KR20110073610A - 재배 식물에서의 카르복스아미드의 용도 - Google Patents
재배 식물에서의 카르복스아미드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3610A KR20110073610A KR1020117011607A KR20117011607A KR20110073610A KR 20110073610 A KR20110073610 A KR 20110073610A KR 1020117011607 A KR1020117011607 A KR 1020117011607A KR 20117011607 A KR20117011607 A KR 20117011607A KR 20110073610 A KR20110073610 A KR 201100736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cultivated
- carboxamide compound
- carboxamide
- heal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125000003917 carbamoyl group Chemical class [H]N([H])C(*)=O 0.000 title 1
- -1 carboxamide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6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9000005740 Bosca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WYEMLYFITZORAB-UHFFFAOYSA-N boscalid Chemical compound C1=CC(Cl)=CC=C1C1=CC=CC=C1NC(=O)C1=CC=CN=C1Cl WYEMLYFITZORA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29940118790 boscal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9000005816 Penthiopyr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PFFIDZXUXFLSSR-UHFFFAOYSA-N 1-methyl-N-[2-(4-methylpentan-2-yl)-3-thienyl]-3-(trifluorometh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S1C=CC(NC(=O)C=2C(=NN(C)C=2)C(F)(F)F)=C1C(C)CC(C)C PFFIDZXUXFLSS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0
- SXSGXWCSHSVPGB-UHFFFAOYSA-N fluxapyroxad Chemical compound FC(F)C1=NN(C)C=C1C(=O)NC1=CC=CC=C1C1=CC(F)=C(F)C(F)=C1 SXSGXWCSHSVPG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9261 trans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5738 Bixaf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LDLMOOXUCMHBMZ-UHFFFAOYSA-N bixafen Chemical compound FC(F)C1=NN(C)C=C1C(=O)NC1=CC=C(F)C=C1C1=CC=C(Cl)C(Cl)=C1 LDLMOOXUCMHBM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XDDAORKBJWWYJS-UHFFFAOYSA-N glyphosate Chemical compound OC(=O)CNCP(O)(O)=O XDDAORKBJWWYJ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108700012359 tox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5562 Glyphos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40097068 glyphos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IAJOBQBIJHVGMQ-UHFFFAOYSA-N 2-amino-4-[hydroxy(methyl)phosphoryl]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P(O)(=O)CCC(N)C(O)=O IAJOBQBIJHVGM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5561 Glufosi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34133 Pathogen resistanc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JFSPBVWPKOEZCB-UHFFFAOYSA-N fenfuram Chemical compound O1C=CC(C(=O)NC=2C=CC=CC=2)=C1C JFSPBVWPKOEZC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353 environmental str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QJQCBDIXRIYRP-UHFFFAOYSA-N N-{2-[1,1'-bi(cyclopropyl)-2-yl]phenyl}-3-(difluoromethyl)-1-methyl-1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FC(F)C1=NN(C)C=C1C(=O)NC1=CC=CC=C1C1C(C2CC2)C1 XQJQCBDIXRIYR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834 Seda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XTDZGXBTXBEZDN-UHFFFAOYSA-N 3-(difluoromethyl)-N-(9-isopropyl-1,2,3,4-tetrahydro-1,4-methanonaphthalen-5-yl)-1-meth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C)C1C2CCC1C1=C2C=CC=C1NC(=O)C1=CN(C)N=C1C(F)F XTDZGXBTXBEZD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799 Isopyraz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193388 Bacillus thuringi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07466 Male Infertilit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40097012 bacillus thuringiensi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6
- LJOZMWRYMKECFF-UHFFFAOYSA-N benodanil Chemical compound IC1=CC=CC=C1C(=O)NC1=CC=CC=C1 LJOZMWRYMKECF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NRTLIYOWLVMQBO-UHFFFAOYSA-N 5-chloro-1,3-dimethyl-N-(1,1,3-trimethyl-1,3-dihydro-2-benzofuran-4-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2C(C)OC(C)(C)C2=CC=CC=1NC(=O)C=1C(C)=NN(C)C=1Cl NRTLIYOWLVMQ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6286 nutrient intak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5504 Dicamba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IWEDIXLBFLAXBO-UHFFFAOYSA-N dicamba Chemical compound COC1=C(Cl)C=CC(Cl)=C1C(O)=O IWEDIXLBFLAX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GOFJDXZZHFNFLV-UHFFFAOYSA-N 5-fluoro-1,3-dimethyl-N-[2-(4-methylpentan-2-yl)phen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NC(=O)C1=C(F)N(C)N=C1C GOFJDXZZHFNFL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905 agrochemical Substances 0.000 claims 2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06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8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8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06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4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98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9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76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7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69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8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67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5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6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2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8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7
- 241000219146 Gossypium Species 0.000 description 5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2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8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5
- 235000006008 Brassica napus var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9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7
- 235000007238 Secale cere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7
- 241000209056 Sec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5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34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3
- 235000016383 Zea mays subsp huehuetenang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35000009973 maiz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8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7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6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5
- 240000000111 Saccharum officin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4
- 244000061176 Nicotiana tab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3
- 235000002637 Nicotiana taba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35000007201 Saccharum officin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41000335053 Bet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1
- 235000014698 Brassica juncea var multisec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5000006618 Brassica rapa subsp ole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41001301148 Brassica rapa subsp. ole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7587 Medicago sativa ssp.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41000219310 Beta vulgaris subsp.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8
- 241000219823 Medicago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5000021536 Sugar be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40000003183 Manihot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1100000699 Bacterial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4
- 244000291473 Musa acum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41000244206 Nema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688 bacterial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21533 Bet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BXDZOYLPNAIDOC-UHFFFAOYSA-N N-[5-[(5-tert-butyl-1,3-oxazol-2-yl)methylsulfanyl]-1,3-thiazol-2-yl]-1-[2-[2-[2-[2-[2-[[2-(2,6-dioxopiperidin-3-yl)-1,3-dioxoisoindol-4-yl]amino]ethoxy]ethoxy]ethoxy]ethylamino]-2-oxoethyl]piperidin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C)(C)c1cnc(CSc2cnc(NC(=O)C3CCN(CC(=O)NCCOCCOCCOCCNc4cccc5C(=O)N(C6CCC(=O)NC6=O)C(=O)c45)CC3)s2)o1 BXDZOYLPNAID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44000138286 Sorghum sacchar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09467 Carica papay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41000208818 Heli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44000062793 Sorghum vulg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2
- 244000105624 Arachis hypog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028 Biom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44000302909 Piper adun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04443 Ricin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6579 abiotic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775 anti-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19112 Cucu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19104 Cucurb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150000003857 carbox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239 gene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017 genetic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3617 genetically modifi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6068 Berberi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510 Cucumis melo subsp melo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4000020551 Helianthus annuu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6735 Manihot esculenta subsp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21015 banan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7858 Laurus nobi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0000006240 Linum usitatiss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4000202761 Sorghum bicolor subsp verticillifl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457 Sorghum bicolor subsp verticilliflo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AMEKQAFGQBKLKX-UHFFFAOYSA-N oxycarboxin Chemical compound O=S1(=O)CCOC(C)=C1C(=O)NC1=CC=CC=C1 AMEKQAFGQBKL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41000220479 Acac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193738 Bacillus anthraci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219172 Car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0219122 Cucurbit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209219 Hordeum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0627035 Ipomoea tili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4431 Linum usitatissi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0000004713 Pis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41001530097 Verbascum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5739 manih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234671 Anana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777 Arachis hypog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178993 Brassica junce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1432 Calendula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23218 Fusa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18195 Lau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7846 Papaver rhoe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4674 Papaver rhoea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723762 Potato virus Y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5212 Terminalia to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713 mill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232 pea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468 Albizia julibriss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185 Albizia julibrissin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5894 Albizia lebbeck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7060 Arachis glab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262 Arachis monti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39223 Arachnid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332 Brassica jun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19173 Ca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489947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381325 Diabrotica virgifera z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21785 Erysiph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108090001090 Le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4856 Le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1147398 Ostrinia nubil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0582 Pis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09504 Po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28453 Pyrenop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108091030071 RNAI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0000002439 Sorghum halep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368 gene silencing by RNA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23 l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UHPMCKVQTMMPCG-UHFFFAOYSA-N 5,8-dihydroxy-2-methoxy-6-methyl-7-(2-oxopropyl)naphthalene-1,4-dione Chemical compound CC1=C(CC(C)=O)C(O)=C2C(=O)C(OC)=CC(=O)C2=C1O UHPMCKVQTMMP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19195 Arabidopsis thal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700 Brassica juncea var napifor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293 Brassica nap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881 Calendula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567 Capsicum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432 Carica papay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60011 Cocos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371644 Curvularia raveneli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489972 Diabrotica barber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127993 Elaeis melanococc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20485 Fab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23195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50396 Hordeum seca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147568 Laurus no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39622 Linum bienn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551441 Linum grandifl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510 Long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658379 Manihot esculenta subsp.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658 Medicago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4295 Mus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128378 Napoleonaea leo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817 Olea europa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316 Oxido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854 Oxido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218180 Papav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25272 Perse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3455 Piper long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4000294611 Punica gran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20222 Ro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7763 Sol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533281 Stagono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84 ger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74 legum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8091070501 mi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79 microR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940 nucleus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63 organell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52 transi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IRJLEWTAGZYMM-UHFFFAOYSA-N 1,3-dimeth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C1=NN(C)C=C1C(N)=O WIRJLEWTAGZY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20433 Albiz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23602 Alternaria alter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226021 Anacardium occid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99147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781 Av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450781 Bipolaris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355 Borago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29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3259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109 Citru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828 Citrullus lanatus var citr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560 Citrus x paradis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28437 Cochliobo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162 Cocos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1800004637 Communi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7892 Convolv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582 Corylus avell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849 Cucumi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21787 Erysiph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341 Gossypium herbace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024 Gossypium herbace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393028 Hordeum mur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1929 Infertility mal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032996 Ipomoea pandu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58791 Juglan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740 Juglans nig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184861 Juglans nig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3986 Kalmia la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322 Lens culin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47 Lens culinaris subsp culin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55777 Lepid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57048 Libertella bleph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204 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69 Linum peren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236527 Linum perenn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KDXKERNSBIXSRK-UHFFFAOYSA-N Lysine Natural products NCCCCC(N)C(O)=O KDXKERNSBIXS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467 Macadam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071 Malv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117 Pa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443 Panicum miliaceum subsp. miliace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037 Panicum miliaceum subsp. ruder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293991 Papaver orient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753 Papaver somnife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679 Peronospo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673 Perse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33622 Phytophthora infes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9769 Potato leafroll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09992 Potato virus X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290151 Prunus avium subsp. avi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5809 Prunus 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040 Prunus persica var 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360 Punica gran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528 Ricin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789 Rosa xanth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651 Rubus gl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82988 Secale cereal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459 Small interfering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8292 Sola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634 Sol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187747 Strept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785 Tagetes erec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311 Tagetes erec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470 Theobroma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723873 Tobacco mosaic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264 Triticum du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143 Triticum turgidum subsp. dur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21577 Uromyces appendicul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244 Zea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1360088 Zymoseptoria tritic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FJJCIZWZNKZHII-UHFFFAOYSA-N [4,6-bis(cyanoamino)-1,3,5-triazin-2-yl]cyanamide Chemical compound N#CNC1=NC(NC#N)=NC(NC#N)=N1 FJJCIZWZNKZH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0723 amp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3
- AVKUERGKIZMTKX-NJBDSQKTSA-N ampicillin Chemical compound C1([C@@H](N)C(=O)N[C@H]2[C@H]3SC([C@@H](N3C2=O)C(O)=O)(C)C)=CC=CC=C1 AVKUERGKIZMTKX-NJBDSQKT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2 anti-sens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45 cold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38 dru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053095 fung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42 heat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308 marijuan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32 phyto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3 rasp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SNICXCGAKADSCV-JTQLQIEISA-N (-)-Nicotine Chemical compound CN1CCC[C@H]1C1=CC=CN=C1 SNICXCGAKADSCV-JTQLQIEI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40650 (ribonucleotides)n+m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631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0700 Acetolactate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881711 Acipenser sturi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34368 Albizia bertero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38 Albizia odoratissim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3600 Alter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3004 Alternaria solan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274 Anacardium occident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2368 Ang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173 Ap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087 Apium graveo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194 Arabidop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911 Arach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340 Asparagus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612703 Augus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393 Avena byzant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20 Avena fatu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764 Avena fatu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410 Avena fatu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372 Avena hybri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123 Avena hybri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700003918 Bacillus Thuringiensis insecticidal crystal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4000233287 Beta vulgaris ssp mariti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1710163256 Bibenzyl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178 Bipol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0150 Bipolaris soroki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8439 Bipolaris ze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689 Borago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23650 Botrytis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31 Bras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3 Brassica alboglab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27 Brassica arv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328 Brassica juncea var fol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337 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855 Brassica juncea var. subintegr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24671 Brassica kabe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291 Brassica nig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80419 Brassica nig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02 Brassic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100 Brassica rap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540 Brassica rapa subsp ra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312 Calcium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3922 Calcium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81921 Camiss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69888 Canephora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283 Capsicum annuum var avicula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380015 Capsicum annuum var. glabriuscul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9030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WLYGSPLCNKYESI-RSUQVHIMSA-N Cartham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C@@]1(O)C(O)=C(C(=O)\C=C\C=2C=CC(O)=CC=2)C(=O)C(\C=C\2C([C@](O)([C@H]3[C@@H]([C@@H](O)[C@H](O)[C@@H](CO)O3)O)C(O)=C(C(=O)\C=C\C=3C=CC(O)=CC=3)C/2=O)=O)=C1O WLYGSPLCNKYESI-RSUQVHIM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809 Cartham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53642 Catalytic RN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994 Catalytic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2286 Chitin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2172 Chit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737241 Coco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4173 Cole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2199 Colletotrich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33184 Colletotrichum ag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6031 Colletotrichum gossyp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466 Corylus avell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747 Corylus colur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46464 Corylus colur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092 Cucurbita argyrosperm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949 Cucurbita mix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947 Cyna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19459 Cynara cardun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06 Cynara scolym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508801 Diaporthe phaseol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950 Elaeis guine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421 Er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3194 Fusarium culm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451172 Fusarium pseudogramine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51 Gossypium arbore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1814 Gossypium arbore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0047 Gossypium barbad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429 Gossypium barbad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99507 Gossypium hirsu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342 Gossypium thurber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1479472 Gossypium thurber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1000953492 Homo sapiens Inositol hexakisphosphate and diphosphoinositol-pentakisphosphate kin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000953488 Homo sapiens Inositol hexakisphosphate and diphosphoinositol-pentakisphosphate kin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335 Hordeum jub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036 Hordeum jub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694 Humulus lup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2
- 241000803621 Ilyonectria liriodendr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329 Inga feuille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7739 Inositol hexakisphosphate and diphosphoinositol-pentakisphosphate kin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7736 Inositol hexakisphosphate and diphosphoinositol-pentakisphosphate kin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862 Ion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310 Ion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7783 Ipomo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57782 Ipomoea tr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58789 Jugl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57 Jugl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056 Juglans cine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929 Juglans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068 Juglans hinds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69 Juglans hinds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328 Kalm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127 Lactuca serri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137 Lactuca serrio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8457 Leptosphaeria maculan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32879 Linum austria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58641 Linum cathar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65629 Linum fla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9043 Linum lewis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743 Linum lewis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32376 Linum narbon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648 Linum perenne ssp. lewis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90473 Linum prat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32858 Linum trigyn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4023 Locus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745 Lup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7653 Lycopersic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262 Lycopersic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76497 Lycopersicon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344131 Magnaporthe gris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293 Magnolia grand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512 Magnolia grand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5908 Manduca sex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093152 Mang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456 Manihot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49260 Manihot esculenta subsp flabell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091 Manihot esculenta subsp flabell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3140 Neomyc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83278 Nephelium litch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125 Nicot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68536 Oculimacula yallun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925 Oenoth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25 Olea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46285 Ostrinia furnac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06558 Papaver dub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94 Papaver dub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70 Papaver orient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723990 Papaya ringspot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196 Pers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236 Persea americana var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47853 Phaeomoniella chlamydo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82645 Phakopsora pachyrhiz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833 Phaseo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86627 Piper amalag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63 Piper auri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534 Piper auri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154 Piper bet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711 Piper cube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3731 Piper cubeb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03593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43704 Pistac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445 Pistac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711 Pistacia v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843 Pis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8602 Pisum arv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815 Pisum sativum var arv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4 Pisum sativum var pumili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290339 Pisum sativum var. pumili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96422 Pithecellob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42 Plant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41001281803 Plasmopara vi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23784 Plum pox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6552 Proteo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99 Pru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827 Prunus armen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18633 Prunus armen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1353 Prunus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86899 Pseudocercospora v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9516 Pseudo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1301 Puccinia grami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46061 Puccinia tritici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20648 Pyrenophora ter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73767 Ra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511 Recombinant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1107098 Rub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051 Sacch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1696 Sclerotinia scleroti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332749 Setosphaeria turc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61 Sinap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8020004688 Small Nuclea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39471 Small Nuclear RN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2164 Sodium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8674 Sodium Channel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62632 Soj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60 Solanum lycoper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230 Sorghum bi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736851 Taget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1 Tagetes luci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670 Tagetes luci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61282 Thielaviopsis bas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22093 Tilletia car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041 Triticum mach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102426 Triticum mach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247 Triticum turgid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805 Triticum turgid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1150077913 VIP3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8452 Venturia inaequ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599 Verbascum thap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1100339555 Zymoseptoria tritici HPPD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93174 agav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KSKPIVNLNLAAV-UHFFFAOYSA-N bis(2-chloro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lCCSCCCl QKSKPIVNLNLA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63 chlorop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37666 field crop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426 flaxsee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59 for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17 fung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1 hard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8 hort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27917 kanamyc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18 kana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SBUJHOSQTJFQJX-NOAMYHISSA-N kanamyc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N)O[C@@H]1O[C@H]1[C@H](O)[C@@H](O[C@@H]2[C@@H]([C@@H](N)[C@H](O)[C@@H](CO)O2)O)[C@H](N)C[C@@H]1N SBUJHOSQTJFQJX-NOAMYHIS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823 kanamycin A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2032 leaf mustard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CTQJXQXJVLSIG-UHFFFAOYSA-N mepronil Chemical compound CC(C)OC1=CC=CC(NC(=O)C=2C(=CC=CC=2)C)=C1 BCTQJXQXJVLS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927 ne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715 nicot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SNICXCGAKADSCV-UHFFFAOYSA-N nicotine Natural products CN1CCCC1C1=CC=CN=C1 SNICXCGAKADSC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571 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86243 ostrich plu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18 over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3 plant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52 pri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91092562 ribozym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6424 stilbene synth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706 tagetes luci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052613 vir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MTCFGRXMJLQNBG-REOHCLBHSA-N (2S)-2-Amino-3-hydroxypropansäure Chemical compound OC[C@H](N)C(O)=O MTCFGRXMJLQNBG-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MJYQFWSXKFLTAY-OVEQLNGDSA-N (2r,3r)-2,3-bis[(4-hydroxy-3-methoxyphenyl)methyl]butane-1,4-diol;(2r,3r,4s,5s,6r)-6-(hydroxymethyl)oxane-2,3,4,5-tetrol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C1=C(O)C(OC)=CC(C[C@@H](CO)[C@H](CO)CC=2C=C(OC)C(O)=CC=2)=C1 MJYQFWSXKFLTAY-OVEQLNGDSA-N 0.000 description 1
- OCUSNPIJIZCRSZ-ZTZWCFDHSA-N (2s)-2-amino-3-methylbutanoic acid;(2s)-2-amino-4-methylpentanoic acid;(2s,3s)-2-amino-3-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H](N)C(O)=O.CC[C@H](C)[C@H](N)C(O)=O.CC(C)C[C@H](N)C(O)=O OCUSNPIJIZCRSZ-ZTZWCFDHSA-N 0.000 description 1
- WRIDQFICGBMAFQ-UHFFFAOYSA-N (E)-8-Octadece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WRIDQFICGBMA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HGTGGPZFJRMF-UHFFFAOYSA-N 1,3-dihydropyrazol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N1CC=CN1 XUHGTGGPZFJR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SKIKFHRZPJSS-UHFFFAOYSA-N 2,4-D Chemical compound OC(=O)COC1=CC=C(Cl)C=C1Cl OVSKIKFHRZPJS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UPJIGQFXCQJBK-UHFFFAOYSA-N 2-(4-isopropyl-4-methyl-5-oxo-4,5-dihydro-1H-imidazol-2-yl)-5-(methoxymethyl)nicot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OC)=CN=C1C1=NC(C)(C(C)C)C(=O)N1 NUPJIGQFXCQJ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MOJENFFHZAFP-UHFFFAOYSA-N 2-Ethoxy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C2=CC(OCC)=CC=C21 GUMOJENFFHZA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ABMTIJINOIHOD-UHFFFAOYSA-N 2-[4-methyl-5-oxo-4-(propan-2-yl)-4,5-dihydro-1H-imidazol-2-yl]quinoline-3-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N1C(=O)C(C(C)C)(C)N=C1C1=NC2=CC=CC=C2C=C1C(O)=O CABMTIJINOIH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TLNOANVTIKPEE-UHFFFAOYSA-N 2-acetyloxy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C)=O WTLNOANVTIKP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TTKDUXKVPEXCG-UHFFFAOYSA-N 2-cyano-3-cyclopropyl-1-(2-mesyl-4-trifluoromethylphenyl)propan-1,3-dione Chemical compound CS(=O)(=O)C1=CC(C(F)(F)F)=CC=C1C(=O)C(C#N)C(=O)C1CC1 ZTTKDUXKVPEXC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QJBNNIYVWPHFW-UHFFFAOYSA-N 20:1omega9c fatty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LQJBNNIYVWPH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GBMMSDIZNGAOK-UHFFFAOYSA-N 2h-triazolo[4,5-d]pyrimidine-5-sulfonamide Chemical compound NS(=O)(=O)C1=NC=C2NN=NC2=N1 NGBMMSDIZNGAO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AAMSDWKXXPUJR-UHFFFAOYSA-N 3,5-dihydro-4H-imidazol-4-one Chemical compound O=C1CNC=N1 CAAMSDWKXXPU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NXCINUKGNQCEZ-UHFFFAOYSA-N 3-(difluoromethyl)-1-methylpyrazole-4-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O)C(C(F)F)=N1 XNXCINUKGNQC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JBZENLMTKDAEK-UHFFFAOYSA-N 3a,5a,5b,8,8,11a-hexamethyl-1-prop-1-en-2-yl-1,2,3,4,5,6,7,7a,9,10,11,11b,12,13,13a,13b-hexadecahydrocyclopenta[a]chrysene-4,9-diol Chemical compound CC12CCC(O)C(C)(C)C1CCC(C1(C)CC3O)(C)C2CCC1C1C3(C)CCC1C(=C)C AJBZENLMTKDA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VSGXWMWNRGTKE-UHFFFAOYSA-N 5-methyl-2-[4-methyl-5-oxo-4-(propan-2-yl)-4,5-dihydro-1H-imidazol-2-yl]pyridine-3-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N1C(=O)C(C(C)C)(C)N=C1C1=NC=C(C)C=C1C(O)=O PVSGXWMWNRGTK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BYPNXLFMSGKH-UHFFFAOYSA-N 9-Heptadece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O)=O QSBYPNXLFMSG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5517 Abelmosc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6676 A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40 Ac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3500 Ac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254032 Acrid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68 Actinid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697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12946 Adeno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24 Agave sisal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8134 Agave sisal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158 Agr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36 Agropyr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241 Agrostis stolo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060 Albizia julibrissin var julibriss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2797 Albizia julibrissin var. julibrissi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1511 Albizia kalk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9511 Albu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9507 Albugo cand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63841 Albugo ipomoeae-pandura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18 Amar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0131 Ammophila aren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40 Amygdalus n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45 Amylo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271 Anacard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3997 Anacar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44007 Andropog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83548 Anemo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99 Annon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44083 Aphan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4 Apium gr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49 Apium graveolens Dulce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91 Appi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788 Are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217 Artocarpus elast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195 Ascoc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87188 Ascochyta hord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73 Ascochyta tritic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Natural products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530056 Athelia rolfs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2334 Aux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82 Averrhoa caramb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63 Averrhoa caramb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755 Bacillus ce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28 Bambu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6905 Benincasa cer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74 Benincasa cer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438 Bipolaris may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0060 Blum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80 Bombax malaba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2256 Borag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877 Bora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10268 Brachycaudus tragopogo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6760 Brachyscome melan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37 Brassica camp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39 Brassica juncea var jun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1989 Brassica juncea var. jun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6811 Brassica nipposi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94 Brassica nipposi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47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4217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073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292 Brassica ra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1633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93 Brass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PUOLQHDNGRHBS-UHFFFAOYSA-N Brassidinsaeur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O)=O DPUOLQHDNGRH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85 Bremia lactuc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673 Brome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670 Brome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36 Bromus ma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57 Cac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98608 Cadophora greg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73 Cajanus indi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05627 Cajanus ind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80 Calendu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507 Camel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92211 Canna cocci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73 Canna cocci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35 Cannab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46 Carb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3255 Carex e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49 Carica mono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7 Carissa ma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79 Carissa macro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418 Cary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21 Caryophyl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6553 Ceiba pentand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301 Ceiba pentand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32570 Centa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40 Centaurea cya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85 Centaurea cy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90235 Ceratobasidium cere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866 Ceratocy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30549 Cercospora be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58057 Cercospora kikuch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13401 Cercospora soj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37818 Cercospora vign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71189 Chenopod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62 Chenopodium quin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36 Chlorogalum pomerid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89254 Cholesterol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23 Cicer arieti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195 Cicer ariet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43 Cicho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42 Cichorium intyb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8479 Cichorium inty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47 Cinnamo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48 Cis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984090 Cis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290 Cladospo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9956 Cladosporium herb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751 Claviceps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34499 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534 Colletotrichum cocc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29695 Colletotrichum gramin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0669 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239 Colletotrichum trunc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05754 Colocasia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81 Colocasia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782 Convolv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32384 Corcho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792 Corchorus capsul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87 Coriandrum sativ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8436 Coriandr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9717 Corticium <basidiomyc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82 Cor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43 Corylus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92040 Cratae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209 Croc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655 Crocu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4252 Cucumber mosaic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1257 Cucumis mel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7 Cucumis melo var cantalup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071 Cucumis prophe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30 Cucurbita pepo subsp.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954 Cucurbita pepo var melo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47 Cylindrocarp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98 Cyna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646 Cy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5833 Cysta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53602 DN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75 D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22190 Desmo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8802 Diaporth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08 Dimocarpus longa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25 Dimocarpus long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1702 Dioscorea vill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04 Dipeptid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5926 Diplod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240 Disease Resist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73731 Diuretic hormone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64 Doli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1358 Eballistra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PEZCKBFRMILAV-JNEQICEOSA-N Ecdysone Natural products O=C1[C@H]2[C@@](C)([C@@H]3C([C@@]4(O)[C@@](C)([C@H]([C@H]([C@@H](O)CCC(O)(C)C)C)CC4)CC3)=C1)C[C@H](O)[C@H](O)C2 UPEZCKBFRMILAV-JNEQICEO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043 Echinochl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17772 Elaeag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8399 Elaeag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897 Elae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42 Elae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060 Elaeis melanococ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49 Eleusine cora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8127 Eleusine cora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5117 Elsino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01048 Elsinoe ampel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68757 Elsinoe glyc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68743 Elsinoe pi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410 Elsinoe vene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8083 Endosia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966 Eragrostis abyssi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0063 Eragrostis abyssi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08 Eriobotrya japo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508 Eriobotrya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RXZXNYJPAJJOQ-UHFFFAOYSA-N Eruc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O)=O URXZXNYJPAJ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6250 Erysiphe be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84019 Erysiphe crucifer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37814 Erysiphe glyc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0928 Erysiphe necat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9205 Erysiphe pis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39887 Essential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371 Est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66124 Eucalyptus glob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4281 Eucalyptus ma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20 Eugenia un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13 Eugenia un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017 Euphorb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235 Euphoria long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378864 Euty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06559 Exserohil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7 Fa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0 Ficus car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361 Ficus ca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83 Fluopyr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317 Fortune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3 Frag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3193 Fusarium acumin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79295 Fusarium equiset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778 Fusarium fujikuro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3197 Fusarium laterit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3221 Fusarium oxysp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9200 Fusarium po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779 Fusarium sambuc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27940 Fusarium solan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3192 Fusarium sporotrich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732 Fusarium verticill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90686 Fuscopannaria mediterr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9475 Gaeumannomyces grami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71804 Gentia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50 Geran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4101 Ginkgo bilo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3247 Gloeocerco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20302 Glomerella <beet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6246 Golovinomyces cichorace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8 Gossyp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32 Gossypium hirsu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557 Gymnosporan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09809 Gymnosporangium sab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829 Haematoxylum campech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41 Hemerocallis ful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206 Hemerocallis ful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49914 Hemigraphis rept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81537 Hemile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81532 Hemileia vastatr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98254 Heterodera glyci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84380 Hibiscus ros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44855 Hol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884275 Homo sapiens Endosia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549404 Hyaloperonospora parasi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95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86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66 Imazamo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81 Imazaqu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MQLKJBTEOYOSI-GPIVLXJGSA-N Inositol-hexak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C@H]1[C@H](OP(O)(O)=O)[C@@H](OP(O)(O)=O)[C@H](OP(O)(O)=O)[C@H](OP(O)(O)=O)[C@@H]1OP(O)(O)=O IMQLKJBTEOYOSI-GPIVLXJG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06 Ipomo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350 Ipomoea batatas var.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13425 Iri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089 Jatrop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1369 Juglans ailan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46 Juglans ail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53 Juglans califor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6839 Juglans califor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39115 Juglans jamaic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099 Juglans jamaic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74 Juglans maj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4668 Juglans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71 Juglans micro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20 Juglan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3894 Juglans siebol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52 Juglans siebold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31961 Jun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1662 Junip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988 Kalmi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989 Kalmia mic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3999 Kalmia microphylla var. occident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340 Kalmia pol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88095 Klebsiella pneumoniae neo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DCXYFEDJOCDNAF-REOHCLBHSA-N L-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N)=O DCXYFEDJOCDNAF-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GBXIJSLDSA-N L-threonine Chemical compound C[C@@H](O)[C@H](N)C(O)=O AYFVYJQAPQTCCC-GBXIJSLD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293495 Lactuca vir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44143 Lagurus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29 Lath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1311 L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39 L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158 Lens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66 Lens esculen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456 Leptospha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202 L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95 Linum perenne var lewis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22932 Linum perenne var. lewis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08521 Luc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5547 Luzula sylva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5426 Macrophomina phaseol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30975 Magnaporthe oryz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2489 Maize streak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89 Mammea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984 Mammea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79 Mandevilla lax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826 Mangifera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794 Manilkara zap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39 Manilkara zap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4 Medicago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7433 Melampodium divaric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3996 Melilo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72983 Ment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78 Mesotri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78006 Miscanthus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8 Modified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81 Modified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984 Momor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8729 Monil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8731 Monilinia fruc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8836 Monilinia fructi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615 Mu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1448 Mycosphaer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0286 Nareng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98271 Necat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26034 Nectria <echinod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1450 Neonect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742 Nephelium lit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1322 Nicotiana a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653 Nicotiana attenu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28 Nicotiana glau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0019 Nicotiana langsdorff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4493 Nicotiana obtus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93375 Nicotiana quadrivalv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90303 Nicotiana repan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34 Nicotiana ru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36 Nicotiana sylve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477 Nympha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96 Oenothera bien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916 Oenothera bien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95633 Olea <sea slug>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42 O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UHFFFAOYSA-N 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929 Onag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871 Ophiosto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671 Ophiostoma ulm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39 Opu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55 Orchi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46528 Ornith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516 Oryza la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0808 Panicum virg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526 Papa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6 Papav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59 Papaver bracte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57 Papaver pseudo orient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373498 Parapoynx stag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122 Parastagonospora nod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8 Parthenocis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291 Passalora ful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370 Passiflora edu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88157 Passiflora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70 Pastina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69 Pastina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10091688 Pat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1187 Patu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60 Ped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81 Pelargon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11783 Pelargonium grossulari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046 Pennise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84184 Peperomia cub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86625 Peperomia elong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223281 Perono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0201 Peronospora destruct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670203 Peronospora manshur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2441 Peronospora tabac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426 Persea americana var. drym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55275 Phaeospha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40445 Phakopsora meibom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1757 Phalaris arundin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3107 Phell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831 Phialophora <Chaetothyri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46983 Phleum prat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5369 Phoma be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80007 Phomop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8062 Photorhab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8064 Photorhabdus lumin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0649 Phyllosticta ampelici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4622 Physali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2914 Physalospora obtu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71406 Physoderma may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14 Phytophth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16 Phytophthora capsic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24 Phytophthora megasper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70518 Phytophthora ramo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57 Pi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69 Pieris brassic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02 Pinus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700001094 Plant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9814 Plant Le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3436 Plasmodiophora brassic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26 Plasmopa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10 Plasmopara halsted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82724 Plenodomus tracheiphi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048 P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6242 Podospha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17981 Podosphaera fuligi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37928 Podosphaera leucotric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50 Polygo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2152 Polymyx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00 Pop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311 Primul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28344 Primul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501 Prosopis <angiospe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465 Prot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1991 Protoporphyrinogen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135 Protoporphyrinogen ox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2 Pru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5 Prunus domest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29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714 Prunus persica var. nucipers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13418 Pseudocercospora humu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615 Pseudomonas syring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1802 Pseudoperono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08025 Pseudopezic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08026 Pseudopezicula tetrasp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08269 Ps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300 Pucc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1159 Puccinia aspara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559 Puccinia hord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583 Puccinia stri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83505 Pu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1139 Pyric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639 Pyth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8585 Pythium aphaniderm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18584 Pythium ulti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71943 Ramularia be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201 Ranunc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6137 Ra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057 Raphanus caud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0 Raphanus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486 Reverse transcriptase/ribonuclease H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1 Rheum rhabarb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93032 Rheum rhapon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61634 Rhizocto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13090 Rhizoctonia solan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546 Rhizopus stolonif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5790 Rhynchosporium sec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605 Ribosomal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278 Ribosomal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46 Ric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322381 Ricinus <lou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49 R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299709 Rosell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92459 Rub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998 Sal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33 Sal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31795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erovar Paratyphi 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829 Samb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4592 Sapor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00293 Sarocla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39290 Scari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662 Scleroti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9226 Scorpion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844 Scrophular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160 Secale cereale x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33598 Septo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MTCFGRXMJLQNBG-UHFFFAOYSA-N Serine Natural products OCC(N)C(O)=O MTCFGRXMJLQN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67 Sesamum al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289 Solanum fendler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44100 Solanum integ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99 Solanum integrifol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65 Solanum james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03 Sorghum bicolor subsp. drummondi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94025 Sorghum x drummond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250060 Sphacelothe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11575 Spiloca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315 Spinac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84 Spondia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397423 Spongospora subterranea f. sp. subterr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50070 Sporisorium reil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75042 Stolo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99500 Sudangr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2434 Sudden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18 Sulcotri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389 Sulfonylurea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827175 Synchytrium endobio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719 Syzyg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51 Syzygium attenu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08 Tage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98 Tamarindus ind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584 Tamarindus i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446 Taphr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35617 Taphrina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8448 Taphrina deform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1709 Taphrina prun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8 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61 Theobro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4 Theobroma cacao ssp.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7 Theobroma cacao ssp. sphaerocarp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65903 Thielaviop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AYFVYJQAPQTCCC-UHFFFAOYSA-N Threonine Natural products CC(O)C(N)C(O)=O AYFVYJQAPQTC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3 Threo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133 Tille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096 Tilletia controver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16010 Tomato spotted wilt orthotosp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793 T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18 Tripsacum dactyloid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67 Tripsacum dactyl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359 Triticum dicocc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51 Triticum monococ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81 Triticum monococ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24 Tropaeolum maj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260 Tropaeolum maj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46 Tropaeolum m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73 Tropaeolum mi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33201 Typhula incar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48 Ubiqui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44159 Ubiqui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06462 Ulm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86670 Ulmus x hollan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10929 Uncinu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54828 Urocystis <tapewor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57667 Urocystis occul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576 Ur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91387 Uromyces betico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4883 Urtica dio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08 Urtica dio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566 Ustila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1083 Ustilago may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07070 Ustilago nu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767 Vaccin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78534 Vaccinium myrt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92914 Valer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60 Valerianella locus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668 Valerianella locus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17942 Venturia <ichneumonid wasp>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05623 Venturia oleagi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1404 Verbascum blatt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90187 Verbascum chaix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8736 Verbascum lychn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93860 Verbascum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93859 Verbascum phlom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93865 Verbascum pulver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89 Verbascum thap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82085 Verticillium <Phyllachor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3668 Verticillium dahl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873 Vic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038 Viola odo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87 Viola odo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06476 Vio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4837 Viridiplant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5 Vi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10178 Watermelon mosaic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757 Xenorhabd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735 Xenorhabdus nematophi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4362 Xylella fastidi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9149 Z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82268 Zea mays subsp.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8412 Zizania palus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47821 Zizip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854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736 acet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640 acet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66 aller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PEZCKBFRMILAV-UHFFFAOYSA-N alpha-Ecdysone Natural products C1C(O)C(O)CC2(C)C(CCC3(C(C(C(O)CCC(C)(C)O)C)CCC33O)C)C3=CC(=O)C21 UPEZCKBFRMIL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TOSIQBPPRVQHS-PDBXOOCHSA-N alpha-linole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DTOSIQBPPRVQHS-PDBXOOCH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61 alpha-linol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73130 ampR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66 anti-cip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9748 antifibrinolytic proteinase inhibito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90 anti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87 apium graveol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82 asparag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30 asparag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3 au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QFSQFPPLPISGP-UHFFFAOYSA-N beta-carboxyaspar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O)=O)C(O)=O OQFSQFPPLPIS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6635 beta-lactam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INJFDRNADDBIN-FXQIFTODSA-N bilanafos Chemical compound OC(=O)[C@H](C)NC(=O)[C@H](C)NC(=O)[C@@H](N)CCP(C)(O)=O GINJFDRNADDBIN-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80 bread and bread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46 cacaoter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90 capsicum minim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YSSRZJIHXQEHQ-UHFFFAOYSA-N carboxin Chemical compound S1CCOC(C)=C1C(=O)NC1=CC=CC=C1 GYSSRZJIHXQEH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78 carboxy group Chemical group [H]OC(*)=O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26 cashew 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59 cas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8 castor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87 ci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97 common camel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615 conju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8559 crop plant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7 crystallization see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4038 cyst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13 defol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PEZCKBFRMILAV-JMZLNJERSA-N ecdysone Chemical compound C1[C@@H](O)[C@@H](O)C[C@]2(C)[C@@H](CC[C@@]3([C@@H]([C@@H]([C@H](O)CCC(C)(C)O)C)CC[C@]33O)C)C3=CC(=O)[C@@H]21 UPEZCKBFRMILAV-JMZLNJERSA-N 0.000 description 1
- DPUOLQHDNGRHBS-KTKRTIGZSA-N eruc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O)=O DPUOLQHDNGRHBS-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126 farnes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47 fine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VDJTXBXMWJJEF-UHFFFAOYSA-N fluopyram Chemical compound ClC1=CC(C(F)(F)F)=CN=C1CCNC(=O)C1=CC=CC=C1C(F)(F)F KVDJTXBXMWJJ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45 fruit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04 fungal plant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279 gene sile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53 genetic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396 glutamine synthe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2326 glutamine synthe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ZEMPKEQAKRGZGQ-XOQCFJPHSA-N glycerol triricinoleate Natural products CCCCCC[C@@H](O)CC=CCCCCCCCC(=O)OC[C@@H](COC(=O)CCCCCCCC=CC[C@@H](O)CCCCCC)OC(=O)CCCCCCCC=CC[C@H](O)CCCCCC ZEMPKEQAKRGZGQ-XOQCFJPH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595 glycos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06 glycos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8 grain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1 health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RQSTWLYBFBPDX-UMKHLJCSSA-N helian Natural products OC[C@H]1O[C@@H](O[C@@H](C=C/CCCC=C)C#CC#C[C@@H](O)C=C)[C@H](O)[C@@H](O)[C@@H]1O JRQSTWLYBFBPDX-UMKHLJCS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623 hetero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04 histid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5 in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EOVTRFCIGRIMH-UHFFFAOYSA-N indole-3-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C(=O)O)=CNC2=C1 SEOVTRFCIGRI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XJSBBXBKPUZAA-UHFFFAOYSA-N isoole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QXJSBBXBKPUZ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45 isox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8 lar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10 lig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88 linol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KQQKGWQCNNTQJW-UHFFFAOYSA-N linole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KQQKGWQCNNTQ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PUREKXXPHOJQT-UHFFFAOYSA-N mesotrione Chemical compound [O-][N+](=O)C1=CC(S(=O)(=O)C)=CC=C1C(=O)C1C(=O)CCCC1=O KPUREKXXPHOJ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360 methion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SC)C(=O)*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6 modified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36 myc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81 neur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8 neuro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9 nutrient cont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343 nutrient deficienc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QPPMHVWECSIRJ-KTKRTIGZSA-N ole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ZQPPMHVWECSIRJ-KTKRTIGZ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34 pap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729 papa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927 pas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37 peptide hydrol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61 pest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TJMJGYZQZDUJJ-UHFFFAOYSA-N phencyclidine Chemical compound C1CCCCN1C1(C=2C=CC=CC=2)CCCCC1 JTJMJGYZQZDU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731 phosphor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66 phosphoryl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49 phy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150051209 pip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121 plant develop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6 plant l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0003 plant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6 plant prote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10 polypeptide antibio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81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24 posttranscrip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823 preny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9 proteas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54 protein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74 pru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1150060482 rps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040 seed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00 se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1 serine prote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4 squa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PQTBTIFWAXVEPB-UHFFFAOYSA-N sulcotrione Chemical compound ClC1=CC(S(=O)(=O)C)=CC=C1C(=O)C1C(=O)CCCC1=O PQTBTIFWAXVEP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ROXIXLRRCOBKF-UHFFFAOYSA-N sulfonylurea Chemical class OC(=N)N=S(=O)=O YROXIXLRRCOB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918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50 test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80 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01283 tetracyc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64 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522 tetracyc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21 threo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10 toxi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59 toxicological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0 transgenic ex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3 trypsin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68 valer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01N37/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contain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01N43/3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six-membered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식물의 일부, 종자,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해충을 방제하고/하거나 상응하는 대조 식물에 비해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원은 2008년 10월 21일에 출원된 EP 08167079.6호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언급된 출원의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N-[2-(1,3-디메틸부틸)-페닐]-1,3-디메틸-5-플루오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및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식물의 일부, 종자,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해충을 방제하고/하거나 상응하는 대조 식물에 비해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충 방제 분야에서 발생하는 한 가지 전형적인 문제점은 효과적인 해충 방제를 여전히 가능케 하면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환경적 또는 독성학적 효과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의 약률(dosage rate)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충이라는 용어는 유해 진균을 포괄한다. 유해 진균이라는 용어에는 하기의 속 및 종들이 포함되나,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관상목, 야채 (예, A. candida) 및 해바라기 (예, A. tragopogonis)에 대한 알부고(Albugo) 종 (흰녹병); 야채, 평지 (A. brassicola 또는 brassicae), 사탕 무 (A. tenuis), 과일, 벼, 대두, 감자 (예, A. solani 또는 A. alternata), 토마토 (예, A. solani 또는 A. alternata) 및 밀에 대한 알테르나리아(Alternaria) 종 (알테르나리아 잎 반점); 사탕 무 및 야채에 대한 아파노미세스(Aphanomyces) 종; 곡물 및 야채에 대한 아스코키타(Ascochyta) 종, 예를 들면 밀에 대한 A. 트리티시(tritici) (탄저병) 및 보리에 대한 A. 호르데이(hordei); 비폴라리스(Bipolaris) 및 드레크슬레라(Drechslera) 종 (완전세대: Cochliobolus spp.), 예를 들면 옥수수에 대한 남방형 잎마름병 (D. maydis) 또는 북방형 잎마름병 (B. zeicola), 곡물에 대한 얼룩 반점병 (B. sorokiniana), 및 벼 및 잔디에 대한 B. 오리자에(oryzae); 곡물에 대한 (예, 밀 또는 보리에 대한) 블루메리아(Blumeria) (종전에는 Erysiphe) 그라미니스(graminis) (흰가루병); 과일 및 베리류 (예, 딸기), 야채 (예, 상추, 당근, 셀러리 및 양배추), 평지, 꽃, 포도나무, 삼림 식물 및 밀에 대한 보트리티스 시네레아(Botrytis cinerea) (완전세대: Botryotinia fuckeliana: 회색 곰팡이); 상추에 대한 브레미아 락투카에(Bremia lactucae) (노균병); 활엽수 및 상록수에 대한 세라토시스티스(Ceratocystis) (동의어 Ophiostoma) 종 (부패병 또는 시들음병), 예를 들면 느릅나무에 대한 C. 울미(ulmi) (네덜란드 느릅나무병); 옥수수 (예, 회색 잎 반점: C. zeae-maydis), 벼, 사탕 무 (예, C. beticola), 사탕 수수, 야채, 커피, 대두 (예, C. sojina 또는 C. kikuchii) 및 벼에 대한 세르코스포라(Cercospora) 종 (세르코스포라 잎 반점); 토마토(예, C. fulvum: 잎 곰팡이) 및 곡물에 대한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 종, 예를 들면 밀에 대한 C. 헤르바룸(herbarum) (맥노); 곡물에 대한 클라비셉스 푸르푸레아(Claviceps purpurea) (맥각); 옥수수 (C. carbonum), 곡물 (예, C. sativus, 불완전세대; B. sorokiniana) 및 벼 (예, C. miyabeanus, 불완전세대: H. oryzae)에 대한 코클리오볼루스(Cochliobolus) (불완전세대: Helminthosporium of Bipolaris) 종 (잎 반점); 면화 (예, C. gossypii), 옥수수 (예, C. graminicola: 탄저병 줄기 부패병), 연한 과일, 감자 (예, C. coccodes: 검은 반점), 콩 (예, C. lindemuthianum) 및 대두 (예, C. truncatum 또는 C. gloeosporioides)에 대한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 (완전세대: Glomerella) 종 (탄저병); 벼에 대한 코르티시움(Corticium) 종, 예를 들면 C. 사사키이(sasakii) (엽초 마름병); 대두 및 관상목에 대한 코리네스포라 카시이콜라(Corynespora cassiicola) (잎 반점); 시클로코니움(Cycloconium) 종, 예를 들면 올리브 나무에 대한 C. 올레아기눔(oleaginum); 과실수, 포도나무 (예, C. liriodendri, 완전세대: Neonectria liriodendri: 블랙풋병) 및 관상목에 대한 실린드로카르폰(Cylindrocarpon) 종 (예, 과실수 암종병 또는 어린 포도나무 쇠퇴, 완전세대: Nectria 또는 Neonectria 종); 대두에 대한 데마토포라(Dematophora) (완전세대: Rosellinia) 네카트릭스(necatrix) (뿌리 및 줄기 부패병); 대두에 대한 디아포르테(Diaporthe) 종, 예를 들면 D. 파세올로룸(phaseolorum) (장승병); 옥수수, 보리 (예, D. teres, 그물 반점) 및 밀 (예, D. tritici-repentis: 다갈색 반점)과 같은 곡물, 벼 및 잔디에 대한 드렉슬레라 (동의어 Helminthosporium, 완전세대: Pyrenophora) 종; 포도나무에 대한, 포르미티포리아(Formitiporia) (동의어 Phellinus) 푼크타타(punctata), F. 메디테라네아(mediterranea), 파에오모니엘라 클라미도스포라(Phaeomoniella chlamydospora) (종전에는 Phaeoacremonium chlamydosporum), 파에오아크레모니움 알레오필룸(Phaeoacremonium aleophilum) 및/또는 보트리오스파에리아 옵투사(Botryosphaeria obtusa)로 인한 에스카(Esca) (잎마름병, 졸중); 이과 열매 (E. pyri), 연한 과일 (E. veneta: 탄저병) 및 포도나무 (E. ampelina: 탄저병)에 대한 엘시노에(Elsinoe) 종; 벼에 대한 엔틸로마 오리자에(Entyloma oryzae) (잎 깜부기); 밀에 대한 에피코쿰(Epicoccum) 종 (검은 곰팡이); 사탕 무 (E. betae), 야채 (예, E. pisi), 예컨대 조롱박 (예, E. cichoracearum), 양배추, 평지 (예, E. cruciferarum)에 대한 에리시페(Erysiphe) 종 (흰가루병); 과실수, 포도나무 및 관상목에 대한 유티파 라타 (Eutypa lata) (Eutypa 암종병 또는 잎마름병, 불완전세대: Cytosporina lata, 동의어 Libertella blepharis); 옥수수 (예, E. turcicum)에 대한 엑세로힐룸(Exserohilum) (동의어 Helminthosporium) 종; 각종 식물에 대한 푸사리움 (완전 세대: Gibberella) 종 (시들음병, 뿌리 또는 줄기 부패병), 예컨대 곡물 (예, 밀 또는 보리)에 대한 F. 그라미네아룸(graminearum) 또는 F. 쿨모룸(culmorum) (뿌리 부패병, 반점병 또는 꼭대기 마름병), 토마토에 대한 F. 옥시스포룸(oxysporum), 대두에 대한 F. 솔라니(solani) 및 옥수수에 대한 F. 베르티실리오이데스(verticillioides); 곡물(예, 밀 또는 보리) 및 옥수수에 대한 가에우마노미세스 그라미니스(Gaeumannomyces graminis) (전체 포함); 곡물 (예, G. zeae) 및 벼 (예, G. fujikuroi: 바카나에(Bakanae) 병)에 대한 기베렐라(Gibberella) 종; 포도나무, 이과 열매 및 기타 식물에 대한 글로메렐라 신구라타(Glomerella cingulata) 및 면화에 대한 G. 고씨피이(gossypii); 벼에 대한 낟알착색(Grainstaining) 복합체; 포도나무에 대한 기그나르디아 비드웰리이(Guignardia bidwellii) (흑색 부패병); 장미과 식물 및 노간주나무에 대한 김노스포란지움(Gymnosporangium) 종, 예를 들면 배나무에 대한 G. 사비나에(sabinae) (녹병); 옥수수, 곡물 및 벼에 대한 헬민토스포리움(Helminthosporium) 종 (동의어 Drechslera, 완전세대: Cochliobolus); 커피에 대한 헤밀레이아(Hemileia) 종, 예를 들면 H. 바스타트릭스(vastatrix) (커피 잎 녹병); 포도나무에 대한 이사리옵시스 클라비스포라(Isariopsis clavispora) (동의어 Cladosporium vitis); 대두 및 면화에 대한 마크로포미나 파세올리나(Macrophomina phaseolina) (동의어 phaseoli) (뿌리 및 줄기 부패병); 곡물 (예, 밀 또는 보리)에 대한 미크로도키움(Microdochium) (동의어 Fusarium) 니발 (nivale) (핑크 스노우 곰팡이); 대두에 대한 미크로스파에라 디푸사(Microsphaera diffusa) (흰가루병); 핵과 및 기타 장미과 식물에 대한 모닐리니아(Monilinia) 종, 예를 들면 M. 락사(laxa), M. 프룩티콜라(fructicola) 및 M. 프룩티게나(fructigena) (꽃송이 및 잔가지 마름병, 갈색 부패병); 곡물, 바나나, 연한 과일 및 땅콩에 대한 미코스파에렐라(Mycosphaerella) 종, 예컨대, 밀에 대한 M. 그라미니콜라(graminicola) (불완전세대: Septoria tritici, 얼룩무늬병) 또는 바나나에 대한 M. 피지엔시스(fijiensis) (검은 시가토카(Sigatoka) 병); 양배추 (예, P. brassicae), 평지 (예, P. parasitica), 양파 (예, P. destructor), 담배 (P. tabacina) 및 대두 (예, P. manshurica)에 대한 페로노스포라(Peronospora) 종 (노균병); 대두에 대한 파코프소라 파키리지(Phakopsora pachyrhizi) 및 P. 메이보미아에(meibomiae) (대두 녹병); 예컨대 포도나무 (예, P. tracheiphila 및 P. tetraspora) 및 대두 (예, P. gregata: 줄기 부패병)에 대한 피알로포라(Phialophora) 종; 평지 및 양배추에 대한 포마 린감(Phoma lingam) (뿌리 및 줄기 부패병) 및 사탕 무에 대한 P. 베타에 (뿌리 부패병, 잎 반점 및 장승병); 해바라기, 포도나무 (예, P. viticola: 캔 및 잎 반점) 및 대두 (예, 줄기 부패병: P. phaseoli, 완전세대: Diaporthe phaseolorum)에 대한 포모프시스(Phomopsis) 종; 옥수수에 대한 피소데르마 마이디스(Physoderma maydis) (갈색 반점); 다양한 식물, 예컨대 파프리카 및 조롱박 (예, P. capsici), 대두 (예, P. megasperma, 동의어 P. sojae), 감자 및 토마토 (예, P. infestans: 후기 마름병) 및 활엽수 (예, P. ramorum: 오크의 급사)에 대한 피토프토라(Phytophthora) 종 (시들음병, 뿌리, 잎, 열매 및 줄기 부패병); 양배추, 평지, 무 및 기타 식물에 대한 플라스모디오포라 브라시카에(Plasmodiophora brassicae) (뿌리혹병); 플라스모파라(Plasmopara) 종, 예를 들면 포도나무에 대한 P. 비티콜라(viticola) (포도 노균병) 및 해바라기에 대한 P. 할스테디이(halstedii); 장미과 식물, 호프, 이과 및 연한 과일에 대한 포도스파에라(Podosphaera) 종 (흰가루병), 예를 들면 사과에 대한 P. 레우코트리카(leucotricha); 예컨대 보리 및 밀 (P. graminis)과 같은 곡물 및 사탕 무 (P. betae)에 대한 폴리믹사(Polymyxa) 종 및 그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병; 곡물, 예를 들면 밀 또는 보리에 대한 슈도세르코스포렐라 헤르포트리코이데스(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안점, 완전세대: Tapesia yallundae); 다양한 식물에 대한 슈도페로노스포라(Pseudoperonospora) (노균병), 예를 들면 조롱박에 대한 P. 쿠벤시스(cubensis) 또는 호프에 대한 P. 후밀리(humili); 포도나무에 대한 슈도페지쿨라 트라케이필라(Pseudopezicula tracheiphila) (적색 불꽃 병 또는 '로트브레너(rotbrenner)', 불완전세대: Phialophora); 다양한 식물에 대한 푸치니아(Puccinia) 종 (녹병), 예를 들면 밀, 보리 또는 호밀과 같은 곡물 및 아스파라거스 (예, P. asparagi)에 대한 P. 트리티시나(triticina) (갈색 또는 잎 녹병), P. 스트리이포르미스(striiformis) (줄무늬 또는 황색 녹병), P. 호르데이(hordei) (난쟁이 녹병), P. 그라미니스(graminis) (줄기 또는 검은 녹병) 또는 P. 레콘디타(recondita) (갈색 또는 잎 녹병); 밀에 대한 피레노포라(Pyrenophora) (불완전세대: Drechslera) 트리티시-레펜티스(tritici-repentis) (다갈색 반점) 또는 보리에 대한 P. 테레스(teres) (그물 반점); 피리쿨라리아(Pyricularia) 종, 예를 들면 벼에 대한 P. 오리자에 (완전세대: Magnaporthe grisea, 벼 마름병) 및 잔디 및 곡물에 대한 P. 그리세아(grisea); 잔디, 벼, 옥수수, 밀, 면화, 평지, 해바라기, 대두, 사탕 무, 야채 및 다양한 기타 식물들에 대한 피티움(Pythium) 종 (장승병) (예, P. ultimum 또는 P. aphanidermatum); 라물라리아(Ramularia) 종, 예를 들면 보리에 대한 R. 콜로-시그니(collo-cygni) (라물라리아 잎 반점, 생리적 잎 반점) 및 사탕 무에 대한 R. 베티콜라(beticola); 면화, 벼, 감자, 잔디, 옥수수, 평지, 감자, 사탕 무, 야채 및 다양한 기타 식물에 대한 리족토니아(Rhizoctonia) 종, 예를 들면 대두에 대한 R. 솔라니(solani) (뿌리 및 줄기 부패병), 벼에 대한 R. 솔라니 (엽초 마름병) 또는 밀이나 보리에 대한 R. 세레알리스 (cerealis) (리족토니아 봄 마름병); 딸기, 당근, 양배추, 포도나무 및 토마토에 대한 리조푸스 스톨로니페르(Rhizopus stolonifer) (검은 곰팡이, 연질 부패병); 보리, 호밀 및 라이밀에 대한 린코스포리움 세칼리스(Rhynchosporium secalis) (잎변색); 벼에 대한 사로클라디움(Sarocladium) 오리자에 및 S. 아테누아툼(attenuatum) (옆초 부패병); 야채 및 밭 작물, 예컨대 평지, 해바라기 (예, S. sclerotiorum) 및 대두 (예, S. rolfsii 또는 S. sclerotiorum)에 대한 스클레로티니아(Sclerotinia) 종 (줄기 부패병 또는 흰 곰팡이); 다양한 식물에 대한 세프토리아(Septoria) 종, 예를 들면 대두에 대한 S. 글리시네스(glycines) (갈색 반점), 밀에 대한 S. 트리티시(tritici) (세프토리아 얼룩), 및 곡물에 대한 S. (동의어 Stagonospora) 노도룸(nodorum) (스타고노스포라 얼룩); 포도나무에 대한 운시눌라(Uncinula) (동의어 Erysiphe) 네카토르(necator) (흰가루병, 불완전세대: Oidium tuckeri); 옥수수 (예, S. turcicum, 동의어 Helminthosporium turcicum) 및 잔디에 대한 세토스파에리아(Setospaeria) 종 (잎 마름병); 옥수수 (예, S. reiliana: 꼭대기 깜부기), 수수(sorghum) 및 사탕 수수(sugar cane)에 대한 스파셀로테카(Sphacelotheca) 종 (깜부기); 조롱박에 대한 스파에로테카 풀리기네아 (Sphaerotheca fuliginea) (흰가루병); 감자에 대한 스폰고스포라 수브테라네아 (Spongospora subterranea) (가루형 반점병) 및 그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병; 곡물에 대한 스타고노스포라(Stagonospora) 종, 예를 들면 밀에 대한 S. 노도룸(nodorum) (스타고노스포라 얼룩, 완전세대: Leptosphaeria [동의어 Phaeosphaeria] nodorum); 감자에 대한 신키트리움 엔도비오티쿰(Synchytrium endobioticum) (감자 옹이 병); 타프리나(Taphrina) 종, 예를 들면 복숭아에 대한 T. 데포르만스(deformans) (잎 말림 병) 및 자두에 대한 T. 프루니(pruni) (자두 포켓); 담배, 이과 열매, 야채, 대두 및 면화에 대한 티엘라비오프시스(Thielaviopsis) 종 (검은 뿌리 부패병), 예를 들면 T. 바시콜라(basicola) (동의어 Chalara elegans); 곡물에 대한 틸레티아(Tilletia) 종 (일반 깜부기 또는 깜부깃병), 예컨대, 밀에 대한 T. 트리티시(tritici) (동의어 T. caries, 밀 깜부기) 및 T. 콘트로베르사(controversa) (난쟁이 깜부기); 보리 또는 밀에 대한 티풀라 인카르나타(Typhula incarnata) (회색 스노우 곰팡이); 우로시스티스(Urocystis) 종, 예를 들면 호밀에 대한 U. 오쿨타(occulta) (줄기 깜부깃병); 콩 (예, U. appendiculatus, 동의어 U. phaseoli) 및 사탕 무 (예, U. betae)와 같은 야채에 대한 우로미세스(Uromyces) 종 (녹병); 곡물 (예, U. nuda 및 U. avaenae), 옥수수 (예, U. maydis: 옥수수 깜부깃병) 및 사탕 수수에 대한 우스틸라고(Ustilago) 종 (푸슬푸슬한 깜부깃병); 사과 (예, V. inaequalis) 및 배에 대한 벤투리아(Venturia) 종 (반점병); 및 다양한 식물, 예컨대 과일 및 관상목, 포도나무, 연한 과일, 야채 및 밭 작물에 대한 베르티실리움(Verticillium) 종 (시들음병), 예를 들면 딸기, 평지, 감자 및 토마토에 대한 V. 달리아에(dahliae).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이후 통상적으로 "식물 건강(plant health)"으로 지칭되는 작용인 식물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이다. 식물 건강이라는 용어에는 해충의 방제와 관련되지 않으며 유해 진균의 부정적인 영향의 감소를 포함하지 않는, 식물의 다양한 종류의 개선이 포함된다. "식물 건강"이라는 용어는 산출 (예들 들면 생물량의 증가 및/또는 가치있는 성분 함량의 증가), 식물 활기(plant vigor) (예를 들면 식물 생장의 향상 및/또는 더 푸른 잎 ("녹화 효과")), 품질 (예를 들면 소정 성분의 함량 또는 조성의 개선) 및 비생물적 및/또는 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과 같은 수종의 지표 단독에 의해, 또는 서로의 조합에 의해 측정되는, 식물 및/또는 그의 산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식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상기 확인 지표들은 상호의존성일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개괄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특히 약률을 감소시키거나, 및/또는 식물의 건강을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놀랍게도, 재배 식물에서의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사용이 재배 식물의 특질과 적용된 카르복스아미드 사이에서 상승적인 효과(synergistic effect)를 나타낸다는 것이 드디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상승적이라는 것은 하기를 의미한다:
a) 재배 식물과 조합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사용이 방제될 유해 진균에 대하여 예상되던 부가적인 효과(additive effect)를 초과하며, 그에 따라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및 재배 식물에 의해 발현되는 활성 성분의 작용 범위를 확장시키거나; 및/또는
b) 상기 사용이 해당 재배 식물에서, 비-재배 식물에 적용되었을 때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에 의해 가능한 식물 건강 효과에 비해 식물 건강의 증가 효과를 초래하거나; 및/또는
c)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이 재배 식물에서, 살균 활성을 의미하는 1차적인 작용 양식 이외에도, 각 대조 식물에 비해 식물 건강을 증가시키는 "부수 효과"를 유도하거나; 및/또는
d)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대조 식물에서의 살균 활성을 의미하며 상기 화합물로 처리되지 않은 대조 식물에 비해 식물 건강에 해로운 1차적인 작용 양식 이외에도 "부작용"을 포함함. 재배 식물과 조합될 경우, 이러한 부정적인 부작용이 상기 화합물로 처리되지 않은 재배 식물에 비해 감소되거나, 무효화되거나, 또는 재배 식물의 식물 건강의 증가로 전환됨.
따라서, 본 문맥에서 "상승적"이라는 용어는 상승적인 살균 활성 및/또는 상승적인 식물 건강의 증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재배 식물에 대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1종 이상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적용은 비-재배 식물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에 의해 가능한 방제율에 비해 유해 진균에 대한 상승적으로 강화된 작용으로 이어지거나, 및/또는 재배 식물,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에 적용되었을 때 식물 건강의 상승적인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들은 살균제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EP-A 545 099호, EP-A 589 301호, EP-A 737682호, EP-A 824099호, WO 99/09013호, WO 03/010149호, WO 03/070705호, WO 03/074491호, WO 2004/005242호, WO 2004/035589호, WO 2004/067515호, WO 06/087343호 참조). 예를 들어,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화합물들은 다른 문헌들 중에서도 특히 문헌 [The Pesticide Manual, 13th Edition,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2003)]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식물 번식 재료"라는 용어는 식물의 증식에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및 성장성 식물 재료 예컨대 자른 가지 및 덩이줄기 (예,감자)와 같은 식물의 모든 생식성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는 발아 후 또는 토양으로부터의 출현 후 이식되어야 하는 묘목 및 어린 식물체를 포함하여, 종자, 뿌리, 과일, 덩이줄기, 구근, 땅속줄기, 새싹, 눈 및 기타 식물의 부분이 포함된다. 상기 어린 식물체는 이식 전에 침지 또는 붓기에 의한 전체적이거나 부분적인 처리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 번식 재료라는 용어는 종자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를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를 사용하여 처리된 재배 식물의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가 포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선택된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를 사용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를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들),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농약, 및 재배 식물 또는 그의 일부 또는 세포를 포함하며, 상기 농약은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인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합물은 다른 농약 및 다른 카르복스아미드, 또는 전기 문장에 기술되어 있는 군의 카르복스아미드 수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물은 식물 보호에 사용되는 물질들을 특히 식물 보호 생성물의 제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합물은 살아 있는 식물 재료 또는 번식할 수 없는 식물 재료,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물은 1종 초과의 식물 유래의 식물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1종 이상 재배 식물 유래의 식물 재료 대 농약의 비는 중량 당 중량 기준으로 10 대 1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 대 1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대 1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00 대 1 초과이다. 일부 경우에는, 최대 100000 또는 1000000 대 1을 초과하는 비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양태에서, "농업용 조합물"의 경우 해당 조합물은 살균제, 식물 영양제, 제초제 등의 함량을 규제하는 법률에 부합하는 것으로 양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와 같은 조합물은 보호 식물 및/또는 그것이 공급되는 동물 (인간 포함)에 대하여 어떠한 유해성도 가지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변형을 가지는 재배 식물, 그와 같은 식물의 일부, 식물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에 농약을 적용하는 것, 및 상기 식물, 그와 같은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번식 재료로부터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농약은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 가장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인, 농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농산물"이라는 용어는 토양 재배의 산출물, 예를 들면 곡물, 마초, 과일, 섬유, 꽃, 화분, 잎, 덩이줄기, 뿌리, 비트 또는 종자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농산물"이라는 용어는 USDA (미국 농무성)의 "농산물" 정의에 따라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농산물"은 대두, 사료용 옥수수, 밀, 쌀, 및 고도-가공될 원료 면화와 같은 미가공 대규모 산물, 소시지, 빵 제품, 아이스 크림, 맥주 및 와인과 같은 고-부가 식품 및 음료, 그리고 소매점 및 레스토랑에서 판매되는 양념류에 속하는 광범위한 제품 범위를 포괄하는 "식품 및 섬유" 생성물로 양해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농산물"은 국제 관세 기구에 의해 확립된 국제 표준 산물 코드화 및 분류 시스템 (표준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미국 표준 관세율표(U.S. Harmonized Tariff Schedule) (1993년 12월 이후, 우루과이 라운드 합의의 결과로서 발생) 챕터 4, 6-15, 17-21, 23-24, 챕터 33, 및 챕터 52에 나와 있는 산물들이다. 상기 챕터들 내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들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범주에 속한다: 곡물, 동물 사료, 및 곡물 산물 (예컨대 빵 및 파스타); 오일종자 및 오일종자 산물 (예컨대 대두 오일 및 올리브 오일); 모든 신선 및 가공 과일, 야채, 견과류는 물론, 종묘 산물, 비제조 담배를 포함한 원예 산물; 및 설탕, 코코아 및 커피와 같은 열대 산물. 일 실시양태에서, "농산물"은 미국 표준 관세율표에 하기의 항목으로 나와 있는 산물 군에서 선택되는 산물이다: 0409, 0601 내지 0604, 0701 내지 0714, 0801 내지 0814, 0901 내지 0910, 1001 내지 1008, 1101 내지 1109, 1201 내지 1214, 1301 내지 1302, 1401 내지 1404, 1507 내지 1522, 1701 내지 1704, 1801 내지 1806, 1901 내지 1905, 2001 내지 2009, 2101 내지 2106, 2302 내지 2309, 2401 내지 2403, 3301, 5201 내지 5203.
"재배 식물(들)"이라는 용어는 "변형된 식물(들)" 및 "형질전환 식물(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들)"이라는 용어는 "변형된 식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들)"이라는 용어는 "형질전환 식물"을 지칭한다. "변형된 식물"은 통상적인 품종개량 기술에 의해 변형된 것들이다. 변형된 식물과 관련하여, "변형"은 대조, 야생형, 모 또는 부모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변형이 특질 (또는 1종을 초과하는 특질)을 부여하거나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특질 (또는 1종을 초과하는 특질)의 증가를 부여하는, 변형된 식물의 게놈, 에피게놈(epigenome), 트랜스크립톰(transcriptome) 또는 프로테옴(proteome)의 변화를 의미한다.
상기 변형은 모 식물과 다른, 예컨대 새로운 식물 종류인 변형 식물을 초래할 수 있다.
"형질전환 식물"은 자연 환경하에서는 교잡, 돌연변이 또는 자연적 재조합에 의해 쉽게 수득될 수 없는, 재조합 DNA 기술의 사용에 의해 유전 물질이 변형된 것들로써, 상기 변형은 야생형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특질 (또는 1종을 초과하는 특질)을 부여하거나,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특질 (또는 1종을 초과하는 특질)의 증가를 부여한다. 일 실시양태에서는, 식물의 소정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야생형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특질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유전자가 유전적으로 변형된 식물의 유전 물질에 통합되어 있다. 그와 같은 유전적 변형에는 또한 예를 들면 글리코실화 또는 중합체 부가 예컨대 프레닐화, 아세틸화, 인산화 또는 파르네실화 잔기 또는 PEG 잔기에 의한, 단백질(들)의 표적화된 해독-후 변형, 또는 올리고- 또는 폴리펩티드의 전사-후 변형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양태에서, 형질전환 식물 또는 그의 일부를 지칭할 때의 "변형"이라는 용어는, 활성 또는 발현의 새로운 창출을 포함하여, 대조, 참조 또는 야생형 식물 또는 식물 세포의 해당 양에 비교한 특정 부피에 있어서, 유전자 산물의 활성, 발현 농도 또는 양, 또는 대사물 함량이 변화하였다는 것, 예를 들면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양해된다.
일 실시양태에서는, 해당 폴리펩티드를 코딩하고 있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과발현에 의해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증가되거나 발생되는데, 이는 특질을 부여하거나, 또는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특질의 증가를 부여한다. "발현" 또는 "유전자 발현"이라는 용어는 특정 유전자 또는 특정 유전자들 또는 특정 유전자 구성체의 전사를 의미한다. "발현" 또는 "유전자 발현"이라는 용어는 특히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 또는 유전자 구성체의 구조 RNA (rRNA, tRNA), 조절 RNA (예, miRNA, RNAi, RNAa) 또는 mRNA로의 전사를 의미하며, 이후의 후자의 단백질로의 해독은 관계없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발현" 또는 "유전자 발현"이라는 용어는 특히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 또는 유전자 구성체의 구조 RNA (rRNA, tRNA) 또는 mRNA로의 전사를 의미하며, 이후의 후자의 단백질로의 해독은 관계없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그것이 유전자 또는 유전자들 또는 유전자 구성체의 mRNA로의 전사를 의미한다.
상기 과정은 DNA의 전사 및 생성되는 mRNA 생성물의 프로세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증가된 발현" 또는 "과발현"이라는 용어는 원래의 야생형 발현 농도에 비해 추가적인 소정 형태의 발현을 의미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폴리펩티드의 발현"이라는 용어는 세포 또는 생물체 내에서의 바람직하게는 활성 형태인 상기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일 실시양태에서는, 해당 폴리펩티드를 코딩하고 있는 유전자의 감소된 발현에 의해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감소되는데, 이는 특질을 부여하거나, 또는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하기에 열거된 바와 같은 특질의 증가를 부여한다. 본원에서 "감소된 발현" 또는 발현의 "감소 또는 실질적인 제거"라는 언급은 대조 식물에 비교한 내생적인 유전자 발현 및/또는 폴리펩티드 농도 및/또는 폴리펩티드 활성의 감소를 의미하는 데에 사용된다. 여기에는 핵산 분자 발현 생성물의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도 포함된다.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이라는 용어는 생물체, 생물체의 일부 예컨대 조직, 종자, 뿌리, 덩이줄기, 과일, 잎, 꽃 등, 또는 세포에서의 상응하는 특성 변화와 관련된다. "특성의 변화"는 대조, 참조 또는 야생형 단백질의 상응하는 부피 또는 양과 비교하여 특정 부피 또는 특정 양의 단백질에서 유전자 생성물의 활성, 발현 농도 또는 양, 또는 대사물 함량이 변화된다는 것으로 양해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감축, 감소 또는 소실이 유전자 생성물 활성의 감축, 감소 또는 소실과 관련되는 경우, 유전자 생성물의 양 또는 유전자 생성물의 특정 활성, 또는 이들 모두가 감축, 감소 또는 소실되는지, 또는 유전자 생성물을 코딩하고 있는 핵산 서열 또는 유전자의 양, 안정성 또는 해독 효율이 감축, 감소 또는 소실되는지에 관계없이, 해당 부피에서의 전체적인 활성이 감축, 감소 또는 소실된다.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이라는 용어에는 본 발명의 대상 일부에서 만의 해당 특성의 변화가 포함됨으로써, 예를 들어, 세포기관과 같은 세포의 구획, 또는 식물의 일부 예컨대 조직, 종자, 뿌리, 잎, 덩이줄기, 과일, 꽃 등에서 변형이 발견될 수 있으나, 전체 대상, 즉 완전한 세포 또는 식물이 시험되는 경우에는 검출하기가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은 세포 단위로 발견되며, 그에 따라 "활성의 감축, 감소 또는 소실" 또는 "대사물 함량의 감축, 감소 또는 소실"이라는 용어는 야생형 세포와 비교한 세포 단위의 감축, 감소 또는 소실과 관련된다. 또한,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이라는 용어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생물체의 상이한 생장 단계 동안 만의 상기 특성의 변화가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은 종자 생장 동안, 또는 개화 동안에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어에는 일시적인 감축, 감소 또는 소실이 포함되는데, 예를 들면 사용되는 방법, 예컨대 안티센스, RNAi, snRNA, dsRNA, siRNA, miRNA, ta-siRNA, 공동억제 분자, 또는 리보자임이 생물체의 게놈에 안정하게 통합되지 않거나, 상기 감축, 감소, 억제 또는 소실이 조절 또는 유도가능 요소, 예컨대 화학적으로 또는 다르게 유도가능한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있음으로써, 일시적인 효과만을 가지기 때문이다.
발현 생성물에서의 상기 감축, 감소 또는 소실을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WO 2008/034648호 국제 특허 출원의 특히 문단 [0020.1.1.1], [0040.1.1.1], [0040.2.1.1] 및 [0041.1.1.1]을 통하여, 업계에 알려져 있다.
변형 식물에서의 핵산 분자 발현 생성물의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에 대해 알려져 있다. 그 예로는 에루크산 및 시나핀의 양이 감소된 카놀라, 즉 이중 닐(nill) 오일종자 평지가 있다.
그와 같은 감소는 예를 들면 재조합 DNA 기술, 예컨대 안티센스 또는 조절 RNA (예, miRNA, RNAi, RNAa) 또는 siRNA 접근법의 사용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RNAi, snRNA, dsRNA, siRNA, miRNA, ta-siRNA, 공동억제 분자, 리보자임, 또는 안티센스 핵산 분자, 단백질 또는 핵산 구성체의 우성-음성 돌연변이 발현을 부여하며 내생 유전자와 재조합하여 그의 활성을 침묵화, 불활성화,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핵산 분자가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양태에서 사용되는 형질전환 식물 또는 그의 일부 또는 그의 식물 세포에서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핵산 분자의 발현 생성물이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된 형질전환 식물의 예로는 플로리다 대학교 사건명 X17-2의 카리카(Carica) 파파야 (파파야 식물), 미국 농무성 - 농업 연구부 사건명 C5의 프루누스 도메스티카(Prunus domestica) (자두), 또는 하기 표 9의 T9-48 및 T9-49 열에 열거되어 있는 것들이 있다. 역시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예를 들면 PCT 공개 WO 2008/095886호의, 핵산 분자 발현 생성물의 감축, 억제, 감소 또는 소실에 의해 선충류에 대하여 증가된 내성을 가지는 식물이 있다.
상기 감축 또는 실질적인 제거는 대조 식물의 그것에 비해 바람직성이 증가하는 순서로 적어도 10 %, 20 %, 30 %, 40 % 또는 50 %, 60 %, 70 %, 80 %, 85 %, 90 %, 또는 95 %, 96 %, 97 %, 98 %, 99 % 또는 그 초과로 감소된다. 본원에서 "내생" 유전자라는 언급은 그의 자연상의 형태로 (즉, 어떠한 인간의 간섭도 존재함이 없이) 식물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문제의 유전자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해당 동일 유전자 (또는 실질적으로 동종인 핵산/유전자)가 분리된 형태로 이후에 식물로 (재)도입된 것 (형질전환)도 지칭한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형질전환원을 함유하는 형질전환 식물은 형질전환원 발현의 실질적인 감축, 및/또는 내생 유전자 발현의 실질적인 감축에 직면할 수 있다.
"대조" 또는 "참조"라는 용어는 호환가능한 것으로써, 식물의 세포 또는 일부 예컨대 엽록체와 같은 세포기관 또는 조직,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본원 기술의 방법에 따라 변형 또는 처리되지 않은 식물일 수 있다. 따라서, 대조 또는 참조로 사용되는 식물은 가능한 한 많고 본 발명의 대상체와 가능한 한 동일한 식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대조 또는 참조는 동일하게, 또는 가능한 한 동일하게 처리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시험되는 특성의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본 발명의 처리가 아닌 다른 조건 또는 특성만이 다를 수 있다.
대조 또는 참조 식물이 야생형 식물인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대조" 또는 "참조"가 1종 이상의 유전적 변형을 보유하는 식물을 지칭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식물이 해당 대조 또는 참조 식물을 초과하는 1종 이상의 유전적 변형을 보유하는 경우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대조 또는 참조 식물은 형질전환되었으나,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형질전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해당 변형 만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형질전환 식물과는 다른 것일 수 있다.
"야생형" 또는 "야생형 식물"이라는 용어는 상기 유전적 변형이 없는 식물을 지칭한다. 상기 용어는 식물의 세포 또는 일부 예컨대 엽록체와 같은 세포기관 또는 조직, 특히 상기 유전적 변형을 결핍하고 있으나 다른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1종 이상의 유전적 변형을 가지는 식물과 가능한 한 동일한 식물을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야생형" 식물은 형질전환체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야생형은 본원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처리된다. 업계 숙련자라면, 야생형 식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 앞서 어떠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지를 알고 있을 것인 바, 예를 들어 비-형질전환 야생형 식물은 예컨대 제초제와 같은 선택제를 사용한 처리에 의한 형질전환 식물의 선택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대조 식물은 평가될 식물의 공접합체(nullizygote)일 수도 있다. "공접합체"라는 용어는 형질전환체와 동일한 생산 과정을 적용받았으나 해당 형질전환체와 동일한 유전적 변형은 획득하지 않은 식물을 지칭한다. 상기 생산 과정의 개시 재료가 형질전환체인 경우라면, 공접합체 역시 형질전환체이나, 생산 과정에 의해 도입되는 추가적인 유전적 변형을 결핍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야생형 및 공접합체의 목적은 대조 및 참조 또는 그의 일부의 것과 동일하다.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의 증거를 제공하기 위한 모든 비교에서 대조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비교는 유사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유사 조건"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면 배양 또는 생장 조건, 토양, 영양소, 토양의 수분 함량, 온도, 주변 공기 또는 토양의 습도, 분석 조건 (예컨대 버퍼 조성, 온도, 기질, 병원체 주, 농도 등)과 같은 모든 조건들이 비교될 실험들 사이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계 숙련자라면, 야생형, 대조 또는 참조 식물이 본 발명의 방법에 앞서 어떠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지를 알고 있을 것인 바, 예를 들어 비-형질전환 야생형 식물은 예컨대 제초제를 사용한 처리에 의한 형질전환 식물의 선택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조건들이 유사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조를 기준으로 결과가 정상화 또는 표준화될 수 있다.
"참조", "대조", 또는 "야생형"은 바람직하게는 본원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변형 또는 처리되지 않은 식물로써, 다른 모든 특성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식물과 가능한 한 유사하다. 참조, 대조 또는 야생형은 그의 게놈, 트랜스크립톰, 프로테옴 또는 메타볼롬(metabolome)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식물과 가능한 한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참조-", "대조-" 또는 "야생형-" 식물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 예컨대 95 %,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9.00 %, 특히 99.10 %, 99.30 %, 99.50 %, 99.70 %, 99.90 %, 99.99 %, 99.999 % 또는 그 초과로 본 발명의 세포기관, 세포, 조직 또는 생물체, 특히 식물 또는 그의 일부와 유전적으로 거의 동일한 식물과 관련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참조", "대조", 또는 "야생형"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사용되는 식물, 세포, 조직 또는 세포기관과 유전적으로 동일한 식물로써,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세포기관, 세포, 조직, 식물에서는 해당 또는 활성 부여 핵산 분자, 또는 그에 의해 코딩되는 유전자 생성물이 수정, 조작, 교체 또는 도입되어 있다는 것은 예외이다.
바람직하게는, 참조와 본 발명의 대상체는 예를 들면 총 RNA, DNA, 또는 단백질의 양, 또는 살림 유전자(housekeeping gene) 예컨대 유비퀴틴, 액틴 또는 리보좀 단백질과 같은 참조 유전자의 활성 또는 발현에 대한 표준화 및 정상화 후에 비교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세포기관, 세포, 조직, 특히 식물에서 수행되는 유전적 변형은 예컨대 안정한 형질전환 발현, 또는 해당 내생 유전자에서의 안정한 돌연변이, 또는 유전자의 발현 또는 거동의 조절로 인하여 안정적이거나, 또는 예컨대 일시적인 형질전환, 또는 작용제나 길항제와 같은 조절제의 일시적인 첨가로 인하여 일시적이거나, 또는 예컨대 유도가능한 프로모터의 조절하에 있는 핵산 분자를 보유하는 유도가능 구성체를 사용한 형질전환, 및 유도제 예컨대 테트라시클린의 첨가 후에는, 유도가능하다.
"변형 식물" 및/또는 "형질전환 식물"이 선택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식물은 곡물, 예컨대 메이즈(maize) (옥수수), 밀, 보리, 수수, 벼, 호밀, 기장, 라이밀, 귀리, 가곡물 (예컨대 메밀 및 퀴노아), 알팔파, 사과, 바나나, 비트, 브로콜리, 방울양배추, 양배추, 카놀라 (평지씨), 당근, 꽃양배추, 체리, 병아리콩, 중국 양배추, 중국 겨자, 콜라드, 면화, 덩굴월귤, 크리핑 벤트그래스, 오이, 가지, 아마,포도, 그레이프프루트, 케일, 키위, 콜라비, 멜론, 미즈나, 겨자, 파파야, 땅콩, 배, 후추, 감, 비둘기 완두, 파인애플, 자두, 감자, 나무딸기, 순무, 대두, 호박, 딸기, 사탕 무, 사탕수수, 해바라기, 스위트 콘, 담배, 토마토, 순무, 호두, 수박 및 겨울 호박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알팔파, 보리, 카놀라 (평지씨), 면화, 메이즈 (옥수수), 파파야, 감자, 벼, 수수, 대두, 호박, 사탕 무, 사탕수수, 토마토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감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은 겉씨 식물, 특히 가문비나무, 소나무 또는 전나무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은 아세라세아에(Aceraceae), 아나카르디아세아에(Anacardiaceae), 아피아세아에(Apiaceae), 아스테라세아에(Asteraceae), 브라씨카세아에(Brassicaceae), 칵타세아에(Cactaceae),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에우포르비아세아에(Euphorbiaceae), 파바세아에(Fabaceae), 말바세아에(Malvaceae), 님파에아세아에(Nymphaeaceae), 파파베라세아에(Papaveraceae), 로사세아에(Rosaceae), 살리카세아에(Salicaceae), 솔라나세아에(Solanaceae), 아레카세아에(Arecaceae), 브로멜리아세아에(Bromeliaceae), 시페라세아에(Cyperaceae), 이리다세아에(Iridaceae), 릴리아세아에(Liliaceae), 오르키다세아에(Orchidaceae), 젠티아나세아에(Gentianaceae), 라비아세아에(Labiaceae), 마그놀리아세아에(Magnoliaceae), 라눈쿨라세아에(Ranunculaceae), 카리폴라세아에(Carifolaceae), 루비아세아에(Rubiaceae), 스크로풀라리아세아에(Scrophulariaceae), 카리오필라세아에(Caryophyllaceae), 에리카세아에(Ericaceae), 폴리고나세아에(Polygonaceae), 비올라세아에(Violaceae), 준카세아에(Juncaceae) 또는 포아세아에(Poaceae) 과, 바람직하게는 아피아세아에(Apiaceae), 아스테라세아에(Asteraceae), 브라씨카세아에(Brassicaceae),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파바세아에(Fabaceae), 파파베라세아에(Papaveraceae), 로사세아에(Rosaceae), 솔라나세아에(Solanaceae), 릴리아세아에(Liliaceae) 또는 포아세아에(Poaceae) 과의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것은 작물, 특히 상기 언급된 과 및 속에서 선택되는 식물,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는 아나카르디움 옥시덴탈레(Anacardium occidentale),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카르타무스 팅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시코리움 이티부스(Cichorium intybus),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헬리안투스 안누스(Helianthus annus), 타게테스 루시다(Tagetes lucida), 타게테스 에렉타(Tagetes erecta), 타게테스 테누이폴리아(Tagetes tenuifolia); 다우쿠스 카로타(Daucus carota); 코릴루스 아벨라나(Corylus avellana), 코릴루스 콜루르나(Corylus colurna),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ago officinalis); 브라씨카 나푸스(Brassica napus), 브라씨카 라파 종(Brassica rapa ssp.), 시나피스 아르벤시스(Sinapis arvensis) 브라씨카 준세아(Brassica junce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준세아(Brassica juncea var junce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크리스피폴리아(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폴리오사(Brassica juncea var. foliosa), 브라씨카 니그라(Brassica nigra), 브라씨카 시나피오이데스(Brassica sinapioides), 멜라노시나피스 콤뮤니스(Melanosinapis communis), 브라씨카 올레라세아(Brassica oleracea), 아라비도프시스 탈리아나(Arabidopsis thaliana), 아나나 코모수스(Anana comosus), 아나나스 아나나스(Ananas ananas), 브로멜리아 코모사(Bromelia comosa),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칸나비스 사티베(Cannabis sative), 이포모에아 바타투스(Ipomoea batatus), 이포모에아 판두라타(Ipomoea pandurata), 콘볼불루스 바타타스(Convolvulus batatas), 콘볼불루스 틸리아세우스(Convolvulus tiliaceus), 이포모에아 파스티기아타(Ipomoea fastigiata), 이포모에아 틸리아세아(Ipomoea tiliacea), 이포모에아 트릴로바(Ipomoea triloba), 콘볼불루스 판두라투스(Convolvulus panduratus),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베타 불가리스 변종 알티씨마(Beta vulgaris var. altissima), 베타 불가리스 변종 불가리스(Beta vulgaris var. vulgaris), 베타 마리티마(Beta maritima), 베타 불가리스 변종 페렌니스(Beta vulgaris var. perennis), 베타 불가리스 변종 콘디티바(Beta vulgaris var. conditiva), 베타 불가리스 변종 에스쿨렌타(Beta vulgaris var. esculenta), 쿠쿠르비타 막시마(Cucurbita maxima), 쿠쿠르비타 믹스타(Cucurbita mixta),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 쿠쿠르비타 모스차타(Cucurbita moschata), 올레아 에우로파에아(Olea europaea), 마니호트 우틸리씨마(Manihot utilissima), 자니파 마니호트(Janipha manihot), 자트로파 마니호트(Jatropha manihot), 마니호트 아이필(Manihot aipil), 마니호트 둘시스(Manihot dulcis), 마니호트 마니호트(Manihot manihot), 마니호트 멜라노바시스(Manihot melanobasis), 마니호트 에스쿨렌타(Manihot esculenta), 리시누스 콤뮤니스(Ricinus communis),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 피숨 아르벤세(Pisum arvense), 피숨 휴밀레(Pisum humile),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메디카고 팔카타(Medicago falcata), 메디카고 바리아(Medicago varia), 글리시네 막스(Glycine max), 돌리초스 소야(Dolichos soja), 글리시네 그라실리스(Glycine gracilis), 글리시네 히스피다(Glycine hispida), 파세올루스 막스(Phaseolus max), 소야 히스피다(Soja hispida), 소야 막스(Soja max),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 펠라르고니움 그로술라리오이데스(Pelargonium grossularioides), 올레움 코코아스(Oleum cocoas), 라우루스 노빌리스(Laurus nobilis), 페르세아 아메리카나(Persea americana), 아라키스 히포가에아(Arachis hypogaea), 리눔 우시타티시뭄(Linum usitatissimum), 리눔 휴밀레(Linum humile), 리눔 아우스트리아쿰(Linum austriacum), 리눔 비엔네(Linum bienne), 리눔 앙구스티폴리움(Linum angustifolium), 리눔 카타르티쿰(Linum catharticum), 리눔 플라붐(Linum flavum), 리눔 그란디플로룸(Linum grandiflorum), 아데놀리눔 그란디플로룸(Adenolinum grandiflorum), 리눔 레위시이(Linum lewisii), 리눔 나르보넨세(Linum narbonense), 리눔 페렌네(Linum perenne), 리눔 페렌네 변종 레위시이(Linum perenne var. lewisii), 리눔 프라텐세(Linum pratense), 리눔 트리지눔(Linum trigynum), 푸니카 그라나툼(Punica granatum), 고씨피움 히르수툼(Gossypium hirsutum), 고씨피움 아르보레움(Gossypium arboreum), 고씨피움 바르바덴세(Gossypium barbadense), 고씨피움 헤르바세움(Gossypium herbaceum), 고씨피움 투르베리(Gossypium thurberi), 무사 나나(Musa nana), 무사 아쿠미나타(Musa acuminata), 무사 파라디시아카(Musa paradisiaca), 무사 종(Musa spp.), 엘라에이스 구이닌시스(Elaeis guineensis), 파파베르 오리엔탈레(Papaver orientale),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파베르 두비움(Papaver dubium),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피페르 아둔쿰(Piper aduncum), 피페르 아말라고(Piper amalago), 피페르 앙구스티폴리움(Piper angustifolium), 피페르 아우리툼(Piper auritum), 피페르 베텔(Piper betel), 피페르 쿠베바(Piper cubeba), 피페르 롱굼(Piper longum), 피페르 니구룸(Piper nigrum), 피페르 레트로프락툼(Piper retrofractum), 아르탄테 아둔카(Artanthe adunca), 아르탄테 엘롱가타(Artanthe elongata), 페페로미아 엘롱가타(Peperomia elongata), 피페르 엘롱가툼(Piper elongatum), 스테펜시아 엘롱가타(Steffensia elongata), 호르데움 불가레(Hordeum vulgare), 호르데움 주바툼(Hordeum jubatum), 호르데움 무리눔(Hordeum murinum), 호르데움 세칼리눔(Hordeum secalinum), 호르데움 디스티콘(Hordeum distichon), 호르데움 아에기세라스(Hordeum aegiceras), 호르데움 헥사스티콘(Hordeum hexastichon), 호르데움 헥사스티쿰(Hordeum hexastichum), 호르데움 일레귤라레(Hordeum irregulare), 호르데움 사티붐(Hordeum sativum), 호르데움 세칼리눔(Hordeum secalinum),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아베나 파투아(Avena fatua), 아베나 비잔티나(Avena byzantina), 아베나 파투아 변종 사티바(Avena fatua var. sativa), 아베나 히브리다(Avena hybrida), 소르굼 비콜로르(Sorghum bicolor), 소르굼 할레펜세(Sorghum halepense), 소르굼 사카라툼(Sorghum saccharatum), 소르굼 불가레(Sorghum vulgare), 안드로포곤 드룸몬디이(Andropogon drummondii), 홀쿠스 비콜로르(Holcus bicolor), 홀쿠스 소르굼(Holcus sorghum), 소르굼 아에티오피쿰(Sorghum aethiopicum), 소르굼 아룬디나세움(Sorghum arundinaceum), 소르굼 카프로룸(Sorghum caffrorum), 소르굼 세르누움(Sorghum cernuum), 소르굼 도크나(Sorghum dochna), 소르굼 드룸몬디이(Sorghum drummondii), 소르굼 두라(Sorghum durra), 소르굼 구이닌세(Sorghum guineense), 소르굼 란세올라툼(Sorghum lanceolatum), 소르굼 네르보숨(Sorghum nervosum), 소르굼 사카라툼(Sorghum saccharatum), 소르굼 서브글라브레센스(Sorghum subglabrescens), 소르굼 베르티실리플로룸(Sorghum verticilliflorum), 소르굼 불가레(Sorghum vulgare), 홀쿠스 할레펜시스(Holcus halepensis), 소르굼 밀리아세움 밀레트(Sorghum miliaceum millet), 파니쿰 밀리타세움(Panicum militaceum), 제아 마이스(Zea mays), 트리티쿰 아에스티붐(Triticum aestivum), 트리티쿰 두룸(Triticum durum), 트리티쿰 투르기둠(Triticum turgidum), 트리티쿰 히베르눔(Triticum hybernum), 트리티쿰 마차(Triticum macha), 트리티쿰 사티붐(Triticum sativum) 또는 트리티쿰 불가레 (Triticum vulgare), 코페아 종(Cofea spp.), 코페아 아라비카 (Coffea arabica),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코페아 리베리카(Coffea liberica), 캡시쿰 안누움(Capsicum annuum), 캡시쿰 안누움 변종 글라브리우스쿨룸(Capsicum annuum var. glabriusculum), 캡시쿰 프루테센스(Capsicum frutescens), 캡시쿰 안누움(Capsicum annuum), 니코티아나 타바쿰(Nicotiana tabacum), 솔라눔 투버로숨(Solanum tuberosum), 솔라눔 멜롱게나(Solanum melongena), 리코페르시콘 에스쿨렌툼(Lycopersicon esculentum), 리코페르시콘 리코페르시쿰(Lycopersicon lycopersicum), 리코페르시콘 피리포르메(Lycopersicon pyriforme), 솔라눔 인테그리폴리움(Solanum integrifolium), 솔라눔 리코페르시쿰(Solanum lycopersicum),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및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종이다.
아나카르디아세아에(Anacardiaceae) 예컨대 속 피스타시아(Pistacia), 망기페라(Mangifera), 아나카르디움(Anacardium) 예컨대 종 피스타시아 베라(Pistacia vera) [피스타치오, 피스타지에(Pistazie)], 망기페르 인디카(Mangifer indica) [망고] 또는 아나카르디움 옥시덴탈레(Anacardium occidentale) [캐슈], 아스테라세아에(Asteraceae) 예컨대 속 칼렌둘라(Calendula), 카르타무스(Carthamus), 센타우레아(Centaurea), 시코리움(Cichorium), 시나라(Cynara), 헬리안투스(Helianthus), 락투카(Lactuca), 로쿠스타(Locusta), 타게테스(Tagetes), 발레리아나(Valeriana) 예컨대 종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금잔화], 카르타무스 팅크토리우스(Carthamus tinctorius) [홍화], 센타우레스 시아누스(Centaurea cyanus) [옥수수꽃], 시코리움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 [블루 데이지],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뚱딴지], 헬리안투스 안누스(Helianthus annus) [해바라기], 락투스 사티바(Lactuca sativa), 락투스 크리스파(Lactuca crispa), 락투스 에스쿨렌타(Lactuca esculenta), 락투스 스카리올라 L. 종 사티바(Lactuca scariola L. ssp. sativa), 락투스 스카리올라 L. 변종 인테그라타(Lactuca scariola L. var. integrata), 락투스 스카리올라 L. 변종 인테그리폴리아(Lactuca scariola L. var. integrifolia), 락투카 사티바 아종 로마나(Lactuca sativa subsp. romana), 로쿠스타 콤뮤니스(Locusta communis), 발레리아나 로쿠스타(Valeriana locusta) [상추], 타게테스 루시다(Tagetes lucida), 타게테스 에렉타(Tagetes erecta) 또는 타게테스 테누이폴리아(Tagetes tenuifolia) [금잔화]; 아피아세아에(Apiaceae) 예컨대 속 다우쿠스(Daucus) 예컨대 종 다우쿠스 카로타(Daucus carota) [당근]; 베툴라세아에(Betulaceae) 예컨대 속 코릴루스(Corylus) 예컨대 종 코릴루스 아벨라나(Corylus avellana) 또는 코릴루스 콜루르나(Corylus colurna) [헤이즐넛]; 보라기나세아에(Boraginaceae) 예컨대 속 보라고(Borago) 예컨대 종 보라고 오피시날리스(Borago officinalis) [보리지]; 브라씨카세아에(Brassicaceae) 예컨대 속 브라씨카(Brassica), 멜라노시나피스(Melanosinapis), 시나피스(Sinapis), 아라바도프시스(Arabadopsis) 예컨대 종 브라씨카 나푸스(Brassica napus), 브라씨카 라파 종(Brassica rapa ssp.) [카놀라, 오일종자 평지, 순무 평지], 시나피스 아르벤시스(Sinapis arvensis), 브라씨카 준세아(Brassica junce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준세아(Brassica juncea var. junce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크리스피폴리아(Brassica juncea var. crispifolia), 브라씨카 준세아 변종 폴리오사(Brassica juncea var. foliosa), 브라씨카 니그라(Brassica nigra), 브라씨카 시나피오이데스(Brassica sinapioides), 멜라노시나피스 콤뮤니스(Melanosinapis communis) [겨자], 브라씨카 올레라세아(Brassica oleracea) [사료 무] 또는 아라비도프시스 탈리아나(Arabidopsis thaliana); 브로멜리아세아에(Bromeliaceae) 예컨대 속 아나나(Anana), 브로멜리아(Bromelia) 예컨대 종 아나나 코모수스(Anana comosus), 아나나스 아나나스(Ananas ananas) 또는 브로멜리아 코모사(Bromelia comosa) [파인애플]; 카리카세아에(Caricaceae) 예컨대 속 카리카(Carica) 예컨대 종 카리카 파파야(Carica papaya) [파파야]; 칸나바세아에(Cannabaceae) 예컨대 속 칸나비스(Cannabis) 예컨대 종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e) [대마], 콘볼불라세아에(Convolvulaceae) 예컨대 속 이포메아(Ipomea), 콘볼불루스(Convolvulus) 예컨대 종 이포모에아 바타투스(Ipomoea batatus), 이포모에아 판두라타(Ipomoea pandurata), 콘볼불루스 바타타스(Convolvulus batatas), 콘볼불루스 틸리아세우스(Convolvulus tiliaceus), 이포모에아 파스티기아타(Ipomoea fastigiata), 이포모에아 틸리아세아(Ipomoea tiliacea), 이포모에아 트릴로바(Ipomoea triloba) 또는 콘볼불루스 판두라투스(Convolvulus panduratus) [고구마, 맨 오브 디 어스(Man of the Earth), 야생 감자], 체노포디아세아에(Chenopodiaceae) 예컨대 속 베타(Beta), 즉 종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베타 불가리스 변종 알티씨마(Beta vulgaris var. altissima), 베타 불가리스 변종 불가리스(Beta vulgaris var. Vulgaris), 베타 마리티마(Beta maritima), 베타 불가리스 변종 페렌니스(Beta vulgaris var. perennis), 베타 불가리스 변종 콘디티바(Beta vulgaris var. conditiva) 또는 베타 불가리스 변종 에스쿨렌타(Beta vulgaris var. esculenta) [사탕 무];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예컨대 속 쿠쿠르비타(Cucubita) 예컨대 종 쿠쿠르비타 막시마(Cucurbita maxima), 쿠쿠르비타 믹스타(Cucurbita mixta), 쿠쿠르비타 페포(Cucurbita pepo) 또는 쿠쿠르비타 모스차타(Cucurbita moschata) [호박, 호박(squash)]; 엘라에아그나세아에(Elaeagnaceae) 예컨대 속 엘라에아그누스(Elaeagnus) 예컨대 종 올레아 에우로파에아(Olea europaea) [올리브]; 에리카세아에(Ericaceae) 예컨대 속 칼미아(Kalmia) 예컨대 종 칼미아 라티폴리아(Kalmia latifolia), 칼미아 앙구스티폴리아(Kalmia angustifolia), 칼미아 미크로필라(Kalmia microphylla), 칼미아 폴리폴리아(Kalmia polifolia), 칼미아 옥시덴탈리스(Kalmia occidentalis), 시스투스 차마에로덴드로스(Cistus chamaerhodendros) 또는 칼미아 루시다(Kalmia lucida) [미국 월계수, 활엽 월계수, 산 월계수, 스푼목, 양 월계수, 알프스 월계수, 습지 월계수, 서부 습지월계수, 늪 월계수]; 에우포르비아세아에(Euphorbiaceae) 예컨대 속 마니호트(Manihot), 자니파(Janipha), 자트로파(Jatropha), 리시누스(Ricinus) 예컨대 종 마니호트 우틸리씨마(Manihot utilissima), 자니파 마니호트(Janipha manihot), 자트로파 마니호트(Jatropha manihot), 마니호트 아이필(Manihot aipil), 마니호트 둘시스(Manihot dulcis), 마니호트 마니호트(Manihot manihot), 마니호트 멜라노바시스(Manihot melanobasis), 마니호트 에스쿨렌타(Manihot esculenta) [마니호트, 칡, 타피오카, 카사바] 또는 리시누스 콤뮤니스(Ricinus communis) [피마자 콩, 피마자유 관목, 피마자유 식물, 팔마 크리스티(Palma Christi), 원더 트리]; 파바세아에(Fabaceae) 예컨대 속 피숨(Pisum), 알비지아(Albizia), 카토르미온(Cathormion), 페우일레아(Feuillea), 잉가(Inga), 피테콜로비움(Pithecolobium), 아카시아(Acacia), 미모사(Mimosa), 메디카조(Medicajo), 글리시네(Glycine), 돌리코스(Dolichos), 파세올루스(Phaseolus), 소야(Soja) 예컨대 종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 피숨 아르벤세(Pisum arvense), 피숨 휴밀레(Pisum humile) [완두], 알비지아 베르테리아나(Albizia berteriana), 알비지아 줄리브리씬(Albizia julibrissin), 알비지아 레베크(Albizia lebbeck), 아카시아 베르테리아나(Acacia berteriana), 아카시아 리토랄리스(Acacia littoralis), 알비지아 베르테리아나(Albizia berteriana), 알비찌아 베르테리아나(Albizzia berteriana), 카토르미온 베르테리아나(Cathormion berteriana), 페우일레아 베르테리아나(Feuillea berteriana), 잉가 프라그란스(Inga fragrans), 피테셀로비움 베르테리아눔(Pithecellobium berterianum), 피테셀로비움 프라그란스(Pithecellobium fragrans), 피테콜로비움 베르테리아눔(Pithecolobium berterianum), 프세우도알비찌아 베르테리아나(Pseudalbizzia berteriana), 아카시아 줄리브리씬(Acacia julibrissin), 아카시아 네무(Acacia nemu), 알비지아 네무(Albizia nemu), 페우일레아 줄리브리씬(Feuilleea julibrissin), 미모사 줄리브리씬(Mimosa julibrissin), 미모사 스페시오사(Mimosa speciosa), 세리칸다 줄리브리씬(Sericanrda julibrissin), 아카시아 레베크(Acacia lebbeck), 아카시아 마크로필라(Acacia macrophylla), 알비지아 레베크(Albizia lebbek), 페우일레아 레베크(Feuilleea lebbeck), 미모사 레베크(Mimosa lebbeck), 미모사 스페시오사(Mimosa speciosa) [잡종 로그우드, 비단목, 동인도 호두],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메디카고 팔카타(Medicago falcata), 메디카고 바리아(Medicago varia) [알팔파], 글리시네 막스(Glycine max), 돌리코스 소야(Dolichos soja), 글리시네 그라실리스(Glycine gracilis), 글리시네 히스피다(Glycine hispida), 파세올루스 막스(Phaseolus max), 소야 히스피다(Soja hispida) 또는 소야 막스(Soja max) [대두]; 게라니아세아에(Geraniaceae) 예컨대 속 펠라르고니움(Pelargonium), 코코스(Cocos), 올레움(Oleum) 예컨대 종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 펠라르고니움 그로쑬라리오이데스(Pelargonium grossularioides) 또는 올레움 코코이스(Oleum cocois) [코코넛]; 그라미네아에(Gramineae) 예컨대 속 사카룸(Saccharum) 예컨대 종 사카룸 오피시나룸(Saccharum officinarum); 주글란다세사에(Juglandaceae) 예컨대 속 주글란스(Juglans), 왈리아(Wallia) 예컨대 종 주글란스 레기아(Juglans regia), 주글란스 아일란티폴리아(Juglans ailanthifolia), 주글란스 시에볼디아나(Juglans sieboldiana), 주글란스 시네레아(Juglans cinerea), 왈리아 시네레아(Wallia cinerea), 주글란스 빅스비이(Juglans bixbyi), 주글란스 칼리포르니카(Juglans californica), 주글란스 힌드시이(Juglans hindsii), 주글란스 인테르메디아(Juglans intermedia), 주글란스 자마이센시스(Juglans jamaicensis), 주글란스 마조르(Juglans major), 주글란스 미크로카르파(Juglans microcarpa), 주글란스 니그라(Juglans nigra) 또는 왈리아 니그라(Wallia nigra) [호두, 흑색 호두, 일반 호두, 페르시아 호두, 백색 호두, 버터 호두, 흑색 호두]; 라우라세아에(Lauraceae) 예컨대 속 페르세아(Persea), 라우루스(Laurus) 예컨대 종 라우렐 라우루스 노빌리스(laurel Laurus nobilis) [베이, 월계수, 베이 월계수, 스위트 베이], 페르세아 아메리카나(Persea americana), 페르세아 그라티씨마(Persea gratissima) 또는 페르세아 페르세아(Persea persea) [아보카도]; 레구미노사에(Leguminosae) 예컨대 속 아라키스(Arachis) 예컨대 종 아라키스 히포가에아(Arachis hypogaea) [땅콩]; 리나세아에(Linaceae) 예컨대 속 리눔(Linum), 아데놀리눔(Adenolinum) 예컨대 종 리눔 우시타티씨뭄(Linum usitatissimum), 리눔 휴밀레(Linum humile), 리눔 아우스트리아쿰(Linum austriacum), 리눔 비엔네(Linum bienne), 리눔 앙구스티폴리움(Linum angustifolium), 리눔 카타르티쿰(Linum catharticum), 리눔 플라붐(Linum flavum), 리눔 그란디플로룸(Linum grandiflorum), 아데놀리눔 그란디플로룸(Adenolinum grandiflorum), 리눔 레위시이(Linum lewisii), 리눔 나르보넨세(Linum narbonense), 리눔 페렌네(Linum perenne), 리눔 페렌네 변종 레위시이(Linum perenne var. lewisii), 리눔 프라텐세(Linum pratense) 또는 리눔 트리기눔(Linum trigynum) [아마, 아마씨]; 리트라리에아에(Lythrarieae) 예컨대 속 푸니카(Punica) 예컨대 종 푸니카 그라나툼(Punica granatum) [석류]; 말바세아에(Malvaceae) 예컨대 속 고씨피움(Gossypium) 예컨대 종 고씨피움 히르수툼(Gossypium hirsutum), 고씨피움 아르보레움(Gossypium arboreum), 고씨피움 바르바덴세(Gossypium barbadense), 고씨피움 헤르바세움(Gossypium herbaceum) 또는 고씨피움 투르베리(Gossypium thurberi) [면화]; 무사세아에(Musaceae) 예컨대 속 무사(Musa) 예컨대 종 무사 나나(Musa nana), 무사 아쿠미나타(Musa acuminata), 무사 파라디시아카(Musa paradisiaca), 무사(Musa) 종 [바나나]; 오나그라세아에(Onagraceae) 예컨대 속 카미쏘니아(Camissonia), 오에노테라(Oenothera) 예컨대 종 오에노테라 비엔니스(Oenothera biennis) 또는 카미쏘니아 브레비페스(Camissonia brevipes) [앵초, 달맞이꽃]; 팔마에(Palmae) 예컨대 속 엘라시스(Elacis) 예컨대 종 엘라시스 구이닌시스(Elaeis guineensis) [오일 야자]; 파파베라세아에(Papaveraceae) 예컨대 속 파파베르(Papaver) 예컨대 종 파파베르 오리엔탈레(Papaver orientale), 파파베르 로에아스(Papaver rhoeas), 파파베르 두비움(Papaver dubium) [양귀비, 동양 양귀비, 옥수수 양귀비, 밭 양귀비, 셜리 양귀비, 밭 양귀비, 긴머리 양귀비, 긴꼬투리 양귀비]; 페달리아세아에(Pedaliaceae) 예컨대 속 세사뭄(Sesamum) 예컨대 종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참깨]; 피페라세아에(Piperaceae) 예컨대 속 피페르(Piper), 아르탄테(Artanthe), 페페로미아(Peperomia), 스테펜시아(Steffensia) 예컨대 종 피페르 아둔쿰(Piper aduncum), 피페르 아말라고(Piper amalago), 피페르 앙구스티폴리움(Piper angustifolium), 피페르 아우리툼(Piper auritum), 피페르 베텔(Piper betel), 피페르 큐베바(Piper cubeba), 피페르 롱굼(Piper longum), 피페르 니그룸(Piper nigrum), 피페르 레트로프락툼(Piper retrofractum), 아르탄테 아둔카(Artanthe adunca), 아르탄테 엘롱가타(Artanthe elongata), 페페로미아 엘롱가타(Peperomia elongata), 피페르 엘롱가툼(Piper elongatum), 스테펜시아 엘롱가타(Steffensia elongata) [고추 후추, 야생 후추]; 포아세아에(Poaceae) 예컨대 속 호르데움(Hordeum), 세칼레(Secale), 아베나(Avena), 소르굼(Sorghum), 안드로포곤(Andropogon), 홀쿠스(Holcus), 파니쿰(Panicum), 오리자(Oryza), 제아(Zea), 트리티쿰(Triticum) 예컨대 종 호르데움 불가레(Hordeum vulgare), 호르데움 주바툼(Hordeum jubatum), 호르데움 무리눔(Hordeum murinum), 호르데움 세칼리눔(Hordeum secalinum), 호르데움 디스티콘(Hordeum distichon), 호르데움 아에기세라스(Hordeum aegiceras), 호르데움 헥사스티콘(Hordeum hexastichon), 호르데움 헥사스티쿰(Hordeum hexastichum), 호르데움 이레귤라레(Hordeum irregulare), 호르데움 사티붐(Hordeum sativum), 호르데움 세칼리눔(Hordeum secalinum) [보리, 진주 보리, 뚝새 보리, 벽 보리, 초지 보리], 세칼레 세레알레(Secale cereale) [호밀], 아베나 사티바(Avena sativa), 아베나 파투아(Avena fatua), 아베나 비잔티나(Avena byzantina), 아베나 파우타 변종 사티바(Avena fatua var. sativa), 아베나 히브리다(Avena hybrida) [귀리], 소르굼 비콜로르(Sorghum bicolor), 소르굼 할레펜세(Sorghum halepense), 소르굼 사카라툼(Sorghum saccharatum), 소르굼 불가레(Sorghum vulgare), 안드로포곤 드룸몬디이(Andropogon drummondii), 홀쿠스 비콜로르(Holcus bicolor), 홀쿠스 소르굼(Holcus sorghum), 소르굼 아에티오피쿰(Sorghum aethiopicum), 소르굼 아룬디나세움(Sorghum arundinaceum), 소르굼 카프로룸(Sorghum caffrorum), 소르굼 세르누움(Sorghum cernuum), 소르굼 도크나(Sorghum dochna), 소르굼 드룸몬디이(Sorghum drummondii), 소르굼 두라(Sorghum durra), 소르굼 구이닌세(Sorghum guineense), 소르굼 란세올라툼(Sorghum lanceolatum), 소르굼 네르보숨(Sorghum nervosum), 소르굼 사카라툼(Sorghum saccharatum), 소르굼 수브글라브레센스(Sorghum subglabrescens), 소르굼 베르티실리플로룸(Sorghum verticilliflorum), 소르굼 불가레(Sorghum vulgare), 홀쿠스 할레펜시스(Holcus halepensis), 소르굼 밀리아세움 밀레트(Sorghum miliaceum millet), 파니쿰 밀리타세움(Panicum militaceum) [사탕수수, 기장],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 오리자 라티폴리아(Oryza latifolia) [벼], 제아 마이스(Zea mays) [옥수수, 옥수수(maize)], 트리티쿰 아에스티붐(Triticum aestivum), 트리티쿰 두룸(Triticum durum), 트리티쿰 투르기둠(Triticum turgidum), 트리티쿰 히베르눔(Triticum hybernum), 트리티쿰 마차(Triticum macha), 트리티쿰 사티붐(Triticum sativum) 또는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 [밀, 빵밀, 일반 밀], 프로테아세아에(Proteaceae) 예컨대 속 마카다미아(Macadamia) 예컨대 종 마카다미아 인테르그리폴리아(Macadamia intergrifolia) [마카다미아]; 루비아세아에(Rubiaceae) 예컨대 속 코페아(Coffea) 예컨대 종 코페아(Cofea) 종,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 또는 코페아 리베리카(Coffea liberica) [커피]; 스크로풀라리아세아에(Scrophulariaceae) 예컨대 속 베르바스쿰(Verbascum) 예컨대 종 베르바스쿰 블라타리아(Verbascum blattaria), 베르바스쿰 차이크시이(Verbascum chaixii), 베르바스쿰 덴시플로룸(Verbascum densiflorum), 베르바스쿰 라구루스(Verbascum lagurus), 베르바스쿰 롱기폴리움(Verbascum longifolium), 베르바스쿰 리크니티스(Verbascum lychnitis), 베르바스쿰 니그룸(Verbascum nigrum), 베르바스쿰 올림피쿰(Verbascum olympicum), 베르바스쿰 플로모이데스(Verbascum phlomoides), 베르바스쿰 포에니쿰(Verbascum phoenicum), 베르바스쿰 풀베룰렌툼(Verbascum pulverulentum) 또는 베르바스쿰 타프수스(Verbascum thapsus) [물레인(mullein), 백색 나방 물레인, 쐐기잎 물레인, 밀화 물레인, 은색 물레인, 장엽 물레인, 백색 물레인, 흑색 물레인, 그리스 물레인, 오렌지색 물레인, 자주색 물레인, 흰 물레인, 그레이트 물레인]; 솔라나세아에(Solanaceae) 예컨대 속 캅시쿰(Capsicum), 니코티아나(Nicotiana), 솔라눔(Solanum), 리코페르시콘(Lycopersicon) 예컨대 종 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캅시쿰 안눔 변종 글라브리우스쿨룸(Capsicum annuum var. glabriusculum), 캅시쿰 프루테센스(Capsicum frutescens) [후추], 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파프리카], 니코티아나 타바쿰(Nicotiana tabacum), 니코티아나 알라타(Nicotiana alata), 니코티아나 아테누아타(Nicotiana attenuata), 니코티아나 글라우카(Nicotiana glauca), 니코티아나 랑스도르피이(Nicotiana langsdorffii), 니코티아나 오브투시폴리아(Nicotiana obtusifolia), 니코티아나 쿠아드리발비스(Nicotiana quadrivalvis), 니코티아나 레판다(Nicotiana repanda), 니코티아나 루스티카(Nicotiana rustica), 니코티아나 실베스트리스(Nicotiana sylvestris) [담배], 솔라눔 투베로숨(Solanum tuberosum) [감자], 솔라눔 멜롱게나(Solanum melongena) [가지], 리코페르시콘 에스쿨렌툼(Lycopersicon esculentum), 리코페르시콘 리코페르시쿰(Lycopersicon lycopersicum.), 리코페르시콘 피리포르메(Lycopersicon pyriforme), 솔라눔 인테그리폴리움(Solanum integrifolium) 또는 솔라눔 리코페르시쿰(Solanum lycopersicum) [토마토]; 스테르쿨리아세아에(Sterculiaceae) 예컨대 속 테오브로마(Theobroma) 예컨대 종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카카오]; 테아세아에(Theaceae) 예컨대 속 카멜리아(Camellia) 예컨대 종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차].
일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은 비리디플란타에(Viridiplantae) 상과, 특히 그중에서도 아세르(Acer) 종, 악티니디아(Actinidia) 종, 아벨모스쿠스(Abelmoschus) 종, 아가바 시살라나(Agave sisalana), 아그로피론(Agropyron) 종, 아그로스티스 스톨로니페라(Agrostis stolonifera), 알리움(Allium) 종, 아마란투스(Amaranthus) 종, 암모필라 아레나리아(Ammophila arenaria), 안노나(Annona) 종, 아피움 그라베올렌스(Apium graveolens), 아라키스(Arachis) 종, 아르토카르푸스(Artocarpus) 종, 아스파라구스 오피시날리스(Asparagus officinalis), 아베나(Avena) 종, 아베로아 카람볼라(Averrhoa carambola), 밤부사(Bambusa) 종, 베닌카사 히스피다(Benincasa hispida), 베르톨레티아 엑셀세아(Bertholletia excelsea), 베타 불가리스(Beta vulgaris), 브라씨카(Brassica) 종, 카다바 파리노사(Cadaba farinosa), 칸나 인디카(Canna indica), 캡시쿰(Capsicum) 종, 카렉스 엘라타(Carex elata), 카리싸 마크로카르파(Carissa macrocarpa), 카리야(Carya) 종, 카스타네아(Castanea) 종, 세이바 펜탄드라(Ceiba pentandra), 시코리움 엔디비아(Cichorium endivia), 신나모뭄(Cinnamomum) 종, 시트룰루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tus), 시트루스(Citrus) 종, 코코스(Cocos) 종, 코페아(Coffea) 종, 콜로카시아 에스쿨렌타(Colocasia esculenta), 콜라(Cola) 종, 코르코루스(Corchorus) 종, 코리안드룸 사티붐(Coriandrum sativum), 크라타에구스(Crataegus) 종, 크로쿠스 사티부스(Crocus sativus), 쿠쿠르비타(Cucurbita) 종, 쿠쿠미스(Cucumis) 종, 시나라(Cynara) 종, 다우쿠스 카로타(Daucus carota), 데스모디움(Desmodium) 종, 디모카르푸스 롱간(Dimocarpus longan), 디오스코레아(Dioscorea) 종, 디오스피로스(Diospyros) 종, 에키노클로아(Echinochloa) 종, 엘라에이스(Elaeis) (예컨대 엘라에이스 올레이페라(Elaeis oleifera)), 엘레우시네 코라카나(Eleusine coracana), 에라그로스티스 테프(Eragrostis tef), 에리안투스(Erianthus) 종, 에리오보트리야 자포니카(Eriobotrya japonica), 에우칼립투스(Eucalyptus) 종, 에우제니아 유니플로라(Eugenia uniflora), 파고피룸(Fagopyrum) 종, 파구스(Fagus) 종, 페스투카 아룬디나세아(Festuca arundinacea), 피쿠스 카리카(Ficus carica), 포르투넬라(Fortunella) 종, 프라가리아(Fragaria) 종,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시네(Glycine) 종 (예컨대 글리시네 막스(Glycine max), 소야 히스피다(Soja hispida) 또는 소야 막스(Soja max)), 헤메로칼리스 풀바(Hemerocallis fulva), 히비스쿠스(Hibiscus) 종, 호르데움(Hordeum) 종, 라티루스(Lathyrus) 종, 렌스 쿨리나리스(Lens culinaris), 리트키 키넨시스(Litchi chinensis), 로투스(Lotus) 종, 루파 아쿠탕굴라(Luffa acutangula), 루피누스(Lupinus) 종, 루줄라 실바티카(Luzula sylvatica), 리코페르시콘(Lycopersicon) 종, 마크로틸로마(Macrotyloma) 종, 말루스(Malus) 종, 말피기아 에마르기나타(Malpighia emarginata), 맘네아 아메리카나(Mammea americana), 마닐카라 자포타(Manilkara zapota),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멜리로투스(Melilotus) 종, 멘타(Mentha) 종, 미스칸투스 시넨시스(Miscanthus sinensis), 모모르디카(Momordica) 종,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무사(Musa) 종, 니코티아나(Nicotiana) 종, 올레아(Olea) 종, 오푼티아(Opuntia) 종, 오르니토푸스(Ornithopus) 종, 오리자(Oryza) 종, 파니쿰 비르가툼(Panicum virgatum), 파씨플로라 에둘리스(Passiflora edulis), 파스티나카 사티바(Pastinaca sativa), 펜니세툼(Pennisetum) 종, 페르세아(Persea) 종, 페트로셀리눔 크리스품(Petroselinum crispum), 팔라리스 아룬디나세아(Phalaris arundinacea), 파세올루스(Phaseolus) 종, 플레움 프라텐세(Phleum pratense), 포에닉스(Phoenix) 종, 프라그미테스 아우스트랄리스(Phragmites australis), 피살리스(Physalis) 종, 피누스(Pinus) 종, 피숨(Pisum) 종, 포아(Poa) 종, 포풀루스(Populus) 종, 프로소피스(Prosopis) 종, 프루누스(Prunus) 종, 프시디움(Psidium) 종, 피루스 콤뮤니스(Pyrus communis), 퀘르쿠스(Quercus) 종, 라파누스 사티부스(Raphanus sativus), 레움 라바르바룸(Rheum rhabarbarum), 리베스(Ribes) 종, 루부스(Rubus) 종, 사카룸(Saccharum) 종, 살릭스(Salix) 종, 삼부쿠스(Sambucus) 종, 세칼레 세레알레(Secale cereale), 세사뭄(Sesamum) 종, 시나피스(Sinapis) 종, 솔라눔(Solanum) 종, 스피나시아(Spinacia) 종, 시지기움(Syzygium) 종, 타게테스(Tagetes) 종, 타마린두스 인디카(Tamarindus indica),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트리폴리움(Trifolium) 종, 트립사쿰 닥틸로이데스(Tripsacum dactyloides), 트리티코세칼레 림파우이(Triticosecale rimpaui), 트리티쿰(Triticum) 종 (예컨대 트리티쿰 모노코쿰(Triticum monococcum)), 트로파에올룸 미누스(Tropaeolum minus), 트로파에올룸 마주스(Tropaeolum majus), 박시니움(Vaccinium) 종, 비시아(Vicia) 종, 비그나(Vigna) 종, 비올라 오도라타(Viola odorata), 비티스(Vitis) 종, 지자니아 팔루스트리스(Zizania palustris), 지지푸스(Ziziphus) 종을 포함하는 목록에서 선택되는 사료 또는 마초 콩과식물, 관상 식물, 식용 작물, 나무 또는 관목을 포함한 외떡잎 및 쌍떡잎 식물에서 선택된다.
재배 식물은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특질"이라는 용어는 유전 공학 또는 통상적인 품종개량 기술 중 어느 것에 의해 식물에 존재하게 된 특성을 지칭한다. 각 특질은 그 각각의 대조와 관련하여 평가될 수 있다. 특질의 예는 하기이다:
* 제초제 내성,
* 세균 독소의 발현에 의한 곤충 저항성,
*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 항생물질 내성
* 스트레스 내성
* 성숙도 변화(maturation alteration),
*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함량 변경, 바람직하게는 식품 및/또는 사료 산업, 화장품 산업 및/또는 제약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에 유리한 미세 화학물질의 함량 증가,
* 영양소 섭취율의 변경, 바람직하게는 증가된 영양소 사용 효율 및/또는 영양소 결핍 조건에 대한 내성,
* 향상된 섬유 품질,
* 식물 활기,
* 변경된 색상,
* 생식능 회복, 및
* 웅성 불임.
원칙적으로, 재배 식물은 상기언급된 특질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이면서 세균 독소를 발현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재배 식물은 상기언급된 특성들의 조합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이면서 세균 독소를 발현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식물"이라는 용어는 재배 식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 건강의 증가"라는 용어는 하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특질의 각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증가를 의미한다: 산출 (예를 들면 생물량 및/또는 종자 수율의 증가), 식물 활기 (예를 들면 식물 생장의 향상 및/또는 조기 활기, 및/또는 더 푸른 잎,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녹색 지수를 가지는 잎을 의미하는 "녹화 효과"), 조기 활기, 녹화 효과 (잎 녹색 표면의 보존), 품질 (예를 들면 소정 성분의 함량 또는 조성의 개선),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항생물질 내성, 식품 및/또는 사료 산업, 화장품 산업 또는 제약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에 유리한 미세 화학물질의 함량, 영양소 사용 효율, 영양소 사용 섭취율, 섬유 품질, 색상, 및 웅성 불임. 또는, "식물 건강의 증가"는 성숙도, 생식능 회복 및 색상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특질의 각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변화 또는 변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식물 건강"은 수종의 양태들 단독, 또는 서로 간의 조합에 의해 측정되는 식물의 상태로 정의된다. 식물 상태의 한 가지 지표는 그의 "산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식물 건강의 증가"라는 용어는 각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산출의 증가를 의미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 건강의 증가"라는 용어는 상기 언급된 특질들 2, 3, 4, 5, 6종 또는 그 초과의 소정 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 건강의 증가"라는 용어는 대조 식물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재배 식물에서는 감소된 적용률 및/또는 감소된 적용 약량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출"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통상적으로 특정 작물, 면적, 및 시간 기간과 관련된 경제적인 값의 측정가능한 생산고를 의미한다. 개별 식물체들을 직접 계산하여 그의 수, 크기 및/또는 중량을 기준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작물용 제곱 미터 및 연수 당으로 실제 산출을 산출하는데, 총 생산량 (수확 및 추정 생산량 모두 포함)을 식재된 제곱 미터로 나눔으로써 측정된다. 식물의 "산출"이라는 용어는 야채의 생물량 (뿌리 및/또는 새싹 생물량), 번식용 기관, 및/또는 식물의 번식체(propagule) (예컨대 종자)와 관련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산출은 과일, 야채, 견과, 곡물, 종자, 목재 또는 심지어는 꽃과 같이 식물에 의해 생산되는 경제적인 값의 소정 식물 생산량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식물 생산량은 수확 후에 추가적으로 활용 및/또는 처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농업, 원예, 임학 및/또는 관상 식물에서의 식물의 "증가된 산출"은 각 식물 산물의 산출이 동일 조건하에서 생산되는 대조 식물의 동일 산물의 산출에 비해 측정가능한 양으로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산출은 특히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식물 및/또는 그의 산물의 하기의 개선된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증가된 중량, 증가된 키, 증가된 생물량 예컨대 더 큰 전체적 신규 중량, 더 큰 곡물 산출, 더 많은 눈, 더 큰 잎, 증가된 새싹 생장, 증가된 단백질 함량, 증가된 오일 함량, 증가된 전분 함량 및/또는 증가된 색소 함량.
식물 상태의 또 다른 지표는 그의 "식물 활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 특히 농업, 원예, 임학 및/또는 관상 식물의 "증가된 식물 활기"는 동일 조건하에서의 대조 식물의 활기에 비해 측정가능한 양으로 식물의 활기가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 활기는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향상된 식물 원기, 향상된 식물 생장, 향상된 식물 발생, 개선된 시각적 외관, 향상된 식물 기립 (식물 도복(verse/lodging)의 감소), 더 우수한 수확성, 향상된 출현, 강화된 근류착생 특히 리조비아 근류착생, 더 큰 크기, 더 큰 잎사귀, 증가된 식물 중량, 증가된 식물 키, 증가된 눈 수, 증가된 새싹 생장, 증가된 뿌리 생장 (광범위한 뿌리 시스템), 척박한 토양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기후에서 생장할 때의 증가된 산출, 강화된 광합성 활성, 강화된 색소 함량 (예를 들면 엽록소 함량), 더 빠른 개화, 더 짧은 개화 기간, 조기 착과, 조기 및 향상된 발아, 조기 곡물 성숙, 향상된 보관-안전 기작, 향상된 스트레스 내성, 및 진균, 세균, 바이러스, 해충, 열 스트레스, 냉 스트레스, 건조 스트레스, UV 스트레스 및/또는 염 스트레스와 같은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식물의 내성, 비-생식 눈의 감소, 기저 잎 사멸 감소, 투입 요구량 (예컨대 비료, 물 또는 농약) 감소, 더 푸른 잎 ("녹화 효과"), 미성숙 스트레스-유도 숙성의 감소 및 과일 이탈의 감소, 단축된 생육 기간하에서의 완전한 성숙, 더 길고 우수한 등숙(grain-filling), 종자 요구량 감소, 용이한 수확 (예를 들면 잎 고엽화의 유도에 의함), 더 빠르고 더 균일한 숙성, 미숙 과일 이탈의 유도 ("과일 적과"), 향상된 저장성, 더 긴 보관-수명, 더 용이하고 더 비용 효과적인 저장 조건, 더 긴 도수(panicle), 노화의 지연, 더 강하거나 및/또는 더 생산성인 눈, 더 우수한 성분 추출성, 향상된 종자 품질 (종자 생산을 위해 후속 시즌에 파종되기 위함) 및/또는 감소된 에틸렌 생성 및/또는 식물에 의한 그의 수용의 억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태에서 드러나게 된다. 대조와 비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활기의 향상은 특히 상기 언급된 식물 특성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수종 또는 전부의 개선이 조성물 또는 활성 성분의 농약 작용과 별개로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기 활기"는 특히 식물 생장 초기 단계 동안의 활성이며 활력있고 잘 균형잡힌 생장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식물이 그의 환경에 더 우수하게 적응되는 것 (즉, 에너지원 사용 및 새싹과 뿌리 사이 분화의 최적화)으로 인한 증가된 식물 적응성에 기인할 수 있다. 조기 활기를 가지는 식물은 또한 증가된 묘목 생존율 및 더 우수한 작물 활착을 나타내는데, 이는 종종 매우 균일한 포장 (균일한 방식의 작물 생장, 즉 대부분의 식물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여러 성장 단계에 도달함)으로 이어지며, 종종 더 우수하고 더 높은 산출로 이어진다. 따라서, 조기 활기는 천개 낟알 중량, 발아 백분율, 출현 백분율, 묘목 성장, 묘목 키, 뿌리 길이, 뿌리 및 새싹 생물량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식물 상태에 대한 또 다른 지표는 식물 및/또는 그 산물의 "품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화된 품질"은 소정 성분의 함량 또는 조성과 같은 소정 작물 특성이 동일 조건하에서 생산되는 대조 식물의 동일 인자에 비해 측정가능하거나 알 수 있는 양 만큼 증가 또는 개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각 식물 산물의 품질은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 향상된 영양소 함량, 향상된 단백질 함량, 향상된 지방산 함량, 향상된 대사물 함량, 향상된 카로티노이드 함량, 향상된 당 함량, 향상된 필수 및/또는 비-필수 아미노산의 양, 개선된 영양소 조성, 개선된 단백질 조성, 개선된 지방산 조성, 개선된 대사물 조성, 개선된 카로티노이드 조성, 개선된 당 조성, 개선된 아미노산 조성, 개선되었거나 적정한 과일 색상, 개선된 과일의 질감, 개선된 잎 색상, 수확된 산물의 더 큰 저장 능력 및/또는 더 큰 가공성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태로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각 식물 산물의 품질은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 향상된 영양소 산출, 향상된 단백질 산출, 향상된 지방산 산출, 향상된 대사물 산출, 향상된 카로티노이드 산출, 향상된 당 산출, 및/또는 수확된 산물의 필수 및/또는 비-필수 아미노산의 향상된 산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태로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영양소 산출, 단백질 산출, 지방산 산출, 대사물 산출, 카로티노이드 산출, 당 산출, 및/또는 필수 및/또는 비-필수 아미노산의 산출은 각 영양소, 단백질, 지방산, 대사물, 카로티노이드, 당, 및/또는 필수 및/또는 비-필수 아미노산과 관련된 종자 및/또는 생물량 산출의 함수로서 계산된다. "증가되다", "향상되다" 또는 "강화되다"라는 용어는 호환가능한 것으로써, 적용 면에서는, 본원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대조 식물과 비교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각 특질, 특징, 양태, 특성, 특색 또는 속성, 예컨대 산출 및/또는 생장의 0.5 %, 1 %, 2 %, 3 %, 4 %, 5 %, 6 %, 7 %, 8 %, 9 % 또는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 또는 2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0 %, 35 % 또는 40 % 이상의 부가를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종자 산출은 하기 중 1종 이상으로서 드러난다: a) 개별 종자 기준이거나, 및/또는 식물 당 및/또는 제곱 미터 당일 수 있는, 종자 생물량 (총 종자 중량)의 증가; b) 증가된 식물 당 꽃의 수; c) 증가된 (성숙) 종자의 수; d) 증가된 종자 성숙율 (총 종자 수로 나눈 성숙 종자 수의 비로 표현됨); e) 총 생물량으로 나눈, 종자와 같이 수확가능한 부분의 산출의 비로 표현되는, 수확 지수의 증가; 및 f) 계수된 성숙 종자의 수 및 그의 총 중량으로부터 외삽된, 천개 낟알 중량 (TKW)의 증가. 증가된 TKW는 증가된 종자 크기 및/또는 종자 중량에서 기인할 수 있으며, 배 및/또는 배젖 크기의 증가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종자 산출의 증가는 종자 크기 및/또는 종자 부피의 증가로 드러날 수도 있다. 또한, 종자 산출의 증가는 종자 면적 및/또는 종자 길이 및/또는 종자 폭 및/또는 종자 원주의 증가로서 드러나기도 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산출은 또한 변형된 구조를 초래하거나, 또는 변형된 구조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유익한 효과는 종자 산출 자체에서가 아니라, 종자 품질 및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식물로부터 생산되는 농산물의 품질에서 드러날 수 있다. 종자 품질은 업계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파라미터들, 예컨대 강화된 영양소 또는 미세 화학물질 함량, 예컨대 비타민 또는 지방산의 양 및 그 조성; 종자의 색상 또는 형상; 발아율 또는 종자 활기; 또는 감소된 독소, 예컨대 진균 독소, 및/또는 소화하기가 어렵거나 소화불가능한 물질, 예컨대 파이테이트, 리그닌의 양과 관련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녹색 지수"는 식물의 디지털 화상으로부터 계산된다. 화상에서의 식물 대상에 속하는 각 픽셀에 대하여, 녹색 값 대 적색 값 (색상을 부호화하는 RGB 모델의 것)의 비가 계산된다. 녹색 지수는 녹색-대-적색 비가 주어진 역치를 초과하는 픽셀의 백분율로 표현된다. 정상 생장 조건, 염 스트레스 생장 조건, 및 감소된 영양소 가용성 생장 조건하에서는, 개화 전 마지막 촬영으로 식물의 녹색 지수가 측정된다. 반면, 건조 스트레스 생장 조건하에서는, 식물의 녹색 지수가 건조 후 첫 번째 촬영으로 측정된다. 유사하게, 다른 비생물적 스트레스 처리, 예컨대 온도에 대해서는, 노출 후에 측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식물 상태의 또 다른 지표는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식물의 내성 또는 저항성이다. 특히 긴 시간 동안의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식물에 대하여 유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생물적 스트레스는 살아있는 생물체의 의해 야기되는 반면,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예를 들면 환경적 극한, 또는 식물의 최적 생장에 바람직하지 않은 조건에 의해 야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강화된 내성 또는 저항성"은 (1)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소정의 부정적인 요인이 동일한 조건에 노출된 대조 식물과 비교할 때 측정가능하거나 알 수 있는 양으로 경감되는 것, 및 (2) 상기 부정적인 효과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조성물의 직접적인 작용, 예를 들면 미생물 또는 해충을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그의 살진균 또는 살곤충 작용에 의해서가 아닌, 해당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식물 자체의 방어 반응의 자극 ("프라이밍(priming)")에 의해 ("유도 저항성"), 또는 상기 언급된 상승 효과에 의해 경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적 스트레스는 살아있는 생물체, 예를 들면 해충 (예컨대 곤충, 거미류, 선충류), 경쟁 식물 (예컨대 잡초), 미생물 (예컨대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비생물적 스트레스는 예를 들면 온도의 극한 예컨대 열 또는 냉 (열 스트레스, 냉 스트레스), 강한 온도의 변화, 특정 시즌에 맞지 않는 온도, 건조 (건조 스트레스), 극한 습기, 높은 염도 (염 스트레스), 방사선 (예컨대 오존 층의 감소로 인한 증가된 UV 방사선에 의한 것), 증가된 오존 농도 (오존 스트레스), 유기 오염 (예컨대 해충의 식물 독소 양에 의한 것), 및 무기 오염 (예컨대 중금속 오염물에 의한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생물적 스트레스는 물론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 모두는 부가적으로 산화성 스트레스와 같은 2차적인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다.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의 결과로서, 스트레스를 받는 식물, 그의 작물 및 과일의 양 및 품질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각 식물의 생물학적인 것에 대한 강화된 내성 또는 저항성은 해충 (예컨대 곤충, 거미류, 선충류), 경쟁 식물 (예컨대 잡초), 미생물 (예컨대 식물병원성 진균 및/또는 세균) 및/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 또는 저항성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태에서 드러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각 식물의 비생물적인 것에 대한 강화된 내성 또는 저항성은 온도의 극한 예컨대 열 또는 냉 (열 스트레스, 냉 스트레스), 강한 온도의 변화, 특정 시즌에 맞지 않는 온도, 건조 (건조 스트레스), 극한 습기, 높은 염도 (염 스트레스), 방사선 (예컨대 오존 층의 감소로 인한 증가된 UV 방사선에 의한 것), 증가된 오존 농도 (오존 스트레스), 유기 오염 (예컨대 해충의 식물 독소 양에 의한 것), 및 무기 오염 (예컨대 중금속 오염물에 의한 것)에 대한 내성 또는 저항성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태에서 드러나게 된다.
식물의 건강 조건에 대한 상기 확인 지표들은 상호의존성일 수 있으며, 서로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은 더 우수한 식물 활기, 예컨대 더 우수하고 더 큰 작물, 및 그에 따른 증가된 산출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더 발달된 뿌리 시스템은 생물적 및/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의존성 및 상호작용 중 어느 것도 전체적으로 알려져 있거나 완전히 이해되어 있지는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 산출은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들), 특히 비생물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증가된 내성"이라는 용어는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 스트레스 조건하에서의 식물의 생존, 및/또는 더 높은 산출 생산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식물은 스트레스 조건에 대하여 더 잘 적응되어 있다. 예컨대 건조, 열, 영양소 고갈, 냉동 및/또는 냉장 온도와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향상된 적응성"은 본원에서 특히 상기에 더 상세하게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산출 관련 특질과 관련하여 증가된 산출을 초래하는 개선된 식물 성능을 지칭한다.
해당 일생-주기 동안, 식물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환경 조건과 직면하게 된다. 소정의 상황하에서는 식물 산출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어떠한 그와 같은 조건도 본원에서는 "스트레스" 조건으로 지칭된다. 환경적인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생물적 스트레스 및 비생물적 (환경적) 스트레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영양소 조건 역시 때로는 "환경 스트레스"로 지칭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예컨대 증가된 영양소 사용 효율로 지칭되는, 이와 같은 종류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책도 시도한다.
본 발명 명세서의 목적상, "스트레스에 대한 강화된 내성",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강화된 저항성",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강화된 내성",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향상된 적응성"이라는 용어, 및 그 의미가 유사한 기타 변형 및 표현들은 호환가능하게 사용되어, 비제한적으로 해당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본원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환경적 스트레스(들)에 대한 내성의 향상을 지칭한다.
비생물적 스트레스 내성(들)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면 저온 내성, 건조 내성 또는 향상된 물 사용 효율 (WUE), 열 내성, 염 스트레스 내성 등을 지칭한다. 저온, 건조, 열 및 염 스트레스 내성과 같은 식물에서의 스트레스 내성은 식물 생장에 중요한 공통적인 주제로써 물의 가용성을 가질 수 있다. 식물은 통상적으로 그의 일생 주기 동안 감소된 주변 물 함량의 조건에 노출된다. 보호 전략은 냉장 내성의 그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산출-관련 특질은 본 발명 식물의 증가된 물 사용 효율, 및/또는 본 발명 식물의 건조 조건에 대한 증가된 내성에 관한 것이다. 물 사용 효율 (WUE)은 종종 건조 내성과 상관되는 파라미터이다. 낮은 물 가용성에서의 생물량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향상된 생장 효율 또는 감소된 물 소비에 기인할 수 있다. 작물 개선을 위한 특질을 선택함에 있어, 생장에서의 변화가 없는 물 사용의 감소는 물 투입 비용이 높은 관개 농업 시스템에서 특별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응하는 물 사용의 급증이 없는 생장의 증가는 모든 농업 시스템에 대하여 적응성을 가지게 된다. 물 공급이 제한적이지 않은 많은 농업 시스템에 있어서, 생장의 증가는, 그것이 물 사용의 증가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 할지라도, 산출 역시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식물 산출은 "식물의 영양소 사용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 예를 들면 비제한적으로 인, 칼륨 및 질소를 포함한 영양소의 영양소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매개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증가된 영양소 사용 효율은 강화된 질소 섭취, 동화, 축적 또는 이용이다. 이러한 복잡한 과정들은 식물에서의 질소의 흡수, 이전, 동화 및 재분배와 관련된다.
식물이 생물적 스트레스하에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식물이 진균- 또는 해충 압력하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상기 언급된 효과, 즉 강화된 식물의 건강은 존재한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진균 또는 곤충 공격을 받는 식물이 병원성 진균 또는 해충에 대한 치유 또는 예방 처리에 적용됨으로써 생물적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 없이 생장할 수 있는 식물에 비해 더 작은 생물량 및 더 작은 작물 산출을 만들어 낸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소정의 식물병원성 진균 또는 해충에 의한 소정의 생물적 스트레스의 부재시에도 강화된 식물 건강으로 이어진다. 이는 본 발명 방법의 긍정적인 효과가 본 발명 화합물의 농약 활성으로만은 설명될 수 없으며, 오히려 추가적인 활성 프로필을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의 "식물"이라는 용어는 종자, 새싹, 줄기, 잎, 뿌리 (덩이줄기 포함), 꽃, 그리고 조직 및 기관을 포함하여, 전체 식물 및 식물의 자손 및 식물 일부를 포괄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일반적으로 복수는 단수를 포괄하고자 하는 것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제초제에 대한 내성은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인 표적 효소의 발현에 의해 제초제 작용 부위에 비민감성을 창출하는 것; 제초제를 불활성화하는 효소의 발현에 의한 제초제의 빠른 대사 (접합 또는 분해); 또는 제초제의 저조한 흡수 및 이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그 예는 글리포세이트에 대하여 내성인 5-엔올피루빌쉬키메이트-3-포스페이트 신타제 (EPSPS)의 발현 (예를 들면 문헌 [Heck et.al, Crop Sci. 45, 2005, 329-339]; [Funke et.al, PNAS 103, 2006, 13010-13015]; US 5188642호, US 4940835호, US 5633435호, US 5804425호, US 5627061호 참조), 글루포시네이트 및 비알라포스에 대하여 내성인 글루타민 신타제의 발현 (예를 들면 US 5646024호, US 5561236호 참조), 및 디캄바-분해 효소를 코딩하고 있는 DNA 구성체 (예를 들면 US 7105724호 참조)와 같이, 야생형 효소에 비해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인 효소의 발현이다.
유전자 구성체는 예를 들면 글리포스페이트에 대하여 내성인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CP4 EPSPS;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하여 내성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세균; HDDP를 코딩하고 있는 키메라 유전자 서열을 가지고 있는 아라비도프시스, 다우쿠스 카로타, 프세우도모나스 종, 또는 제아 마이스 (예를 들면 WO 1996/38567호, WO 2004/55191호 참조); 프로톡스 억제제에 대하여 내성인 아라비도프시스 탈리아나 (예를 들면 US 2002/0073443호 참조)와 같이, 해당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인 미생물 또는 식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초제 내성 식물은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카놀라, 수수, 대두, 벼, 오일 종자 평지, 사탕 무, 사탕수수, 포도, 렌즈콩, 해바라기, 알팔파, 이과 과일; 핵과; 땅콩; 커피; 차; 딸기; 잔디; 야채, 예컨대 토마토, 감자, 조롱박 및 상추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특히 카놀라, 토마토, 감자, 사탕수수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형질전환 식물의 예는 글리포세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라운드업 레디 콘(Roundup Ready Corn)", "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Monsanto) 사), "아그리슈어(Agrisure) GT", "아그리슈어 GT/CB/LL", "아그리슈어 GT/RW",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Syngenta) 사), "일드가드(ΥieldGard) VT 루트웜(Rootworm)/RR2" 및 "일드가드 VT 트리플" (몬산토 사);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리버티 링크(Liberty Link)" (바이엘(Bayer) 사), "허큘렉스(Herculex) I", "허큘렉스 RW", "허큘렉스 Xtra"(다우, 파이오니어(Dow, Pioneer) 사), "아그리슈어 GT/CB/LL" 및 "아그리슈어 CB/LL/RW" (신젠타 사); 글리포세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대두 변종 "라운드업 레디 소이빈" (몬산토사) 및 "옵티멈(Optimum) GAT" (듀퐁, 파이오니어(DuPont, Pioneer) 사); 글리포세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면화 변종 "라운드업 레디 코튼" 및 "라운드업 레디 플렉스" (몬산토 사);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면화 변종 "파이버맥스 리버티 링크(FiberMax Liberty Link)" (바이엘 사); 브로모크시닐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면화 변종 "BXN" (칼진(Calgene) 사); 브로모크시닐 내성을 가지는 카놀라 변종 "내비게이터(Navigator)" 및 "콤파스(Compass)" (롱-플랑(Rhone-Poulenc) 사); 글리포세이트 내성을 가지는 카놀라 변종 "라운드업 레디 카놀라" (몬산토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을 가지는 카놀라 변종 "인비거(InVigor)" (바이엘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을 가지는 벼 변종 "리버티 링크 라이스" (바이엘 사) 및 글리포세이트 내성을 가지는 알팔파 변종 "라운드업 레디 알팔파"이다. 제초제 내성을 가지는 다른 형질전환 식물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면 글리포세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알팔라, 사과, 유칼립투스, 아마, 포도, 렌즈콩, 오일 종자 평지, 완두, 감자, 벼, 사탕 무, 해바라기, 담배, 토마토, 잔디 및 밀 (예를 들면 US 5188642호, US 4940835호, US 5633435호, US 5804425호, US 5627061호 참조); 디캄바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콩, 대두, 면화, 완두, 감자, 해바라기, 토마토, 담배, 옥수수, 수수 및 사탕수수 (예를 들면 US 7105724호 및 US 5670454호 참조); 2,4-D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후추, 사과, 토마토, 기장, 해바라기, 담배, 감자, 옥수수, 오이, 밀 및 수수 (예를 들면 US 6153401호, US 6100446호, WO 2005107437호, US 5608147호 및 US 5670454호 참조);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사탕무, 감자, 토마토 및 담배 (예를 들면 US 5646024호, US 5561236호 참조); 아세톨아세테이트 신타제 (ALS) 억제 제초제, 예컨대 트리아졸로피리미딘 술폰아미드, 술포닐우레아 및 이미다졸리논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카놀라, 보리, 면화, 상추, 멜론, 기장, 귀리, 감자, 벼, 호밀, 수수, 대두, 사탕무, 해바라기, 담배, 토마토 및 밀 (예를 들면 US 5013659호, WO 2006060634호, US 4761373호, US 5304732호, US 6211438호, US 6211439호 및 US 6222100호 참조); HPPD 억제제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곡물, 사탕 수수, 벼, 옥수수, 담배, 대두, 면화, 평지씨, 사탕 무 및 감자 (예를 들면 WO 2004/055191호, WO 199638567호, WO 1997049816호 및 US 6791014호 참조);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 (PPO) 억제제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밀, 대두, 면화, 사탕 무, 평지, 벼, 수수 및 사탕 수수 (예를 들면 US 2002/0073443호, US 20080052798호, 문헌 [Pest Management Science, 61, 2005, 277-285] 참조)이다. 이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1종 이상의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세균 독소를 합성할 수 있는 식물은 예를 들면 독소-생성 세균, 특히 바실루스 속의 것들 유래의 1종 이상 독소를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바실루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또는 바실루스 포플리아에(Bacillus popliae) 유래의 1종 이상 살곤충 단백질; 또는 바실루스 튜린지엔시스 유래의 살곤충 단백질, 예컨대 델타-내독소, 예를 들면 CrylA(b), CrylA(c), CrylF, CrylF(a2), CrylIA(b), CrylIIA, CrylIIB(b1) 또는 Cry9c, 또는 식물성 살곤충 단백질 (VIP), 예를 들면 VIP1 , VIP2, VIP3 또는 VIP3A; 또는 세균 콜로니화 선충류, 예를 들면 포토르하브두스(Photorhabdus) 종 또는 크세노르하브두스(Xenorhabdus) 종, 예컨대 포토르하브두스 루미네센스(Photorhabdus luminescens), 크세노르하브두스 네마토필루스(Xenorhabdus nematophilus)의 살곤충 단백질; 동물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 예컨대 전갈 독소, 거미류 독소, 말벌 독소 및 기타 해충-특이적 신경독소; 진균에 의해 생성되는 독소, 예컨대 스트렙토마이세츠 독소, 식물 렉틴, 예컨대 완두 렉틴, 보리 렉틴 또는 아네모네 렉틴; 아글루티닌; 프로테이나제 억제제, 예컨대 트립신 억제제,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파타틴, 시스타틴, 파페인 억제제; 리보좀-불활성화 단백질 (RIP), 예컨대 리신, 옥수수-RIP, 아브린, 루핀, 사포린 또는 브리오딘; 스테로이드 대사 효소, 예컨대 3-히드록시스테로이드옥시다제, 에크디스테로이드-UDP-글리코실-트랜스퍼라제, 콜레스테롤 옥시다제, 에크디손 억제제, HMG-COA-리덕타제, 이온 채널 차단제,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칼슘 채널의 차단제, 유충 호르몬 에스테라제, 이뇨 호르몬 수용체, 스틸벤 신타제, 비벤질 신타제, 키티나제 및 글루카나제를 합성할 수 있는 식물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은 그것이 해당 독소, 렉틴, 억제제 또는 억제제 생성 효소를 코딩하고 있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포를 함유하며, 상기 핵산 서열이 전사 및 해독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 단백질이 상시 방식으로 프로세싱 및/또는 분비되거나, 발생적, 유도가능 또는 조직-특이적 조절에 적용되는 경우에, 독소, 렉틴 또는 억제제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는, 델타-내독소, 예를 들면 CrylA(b), CrylA(c), CrylF, CrylF(a2), CrylIA(b), CrylIIA, CrylIIB(b1) 또는 Cry9c, 또는 식물성 살곤충 단백질 (VIP), 예를 들면 VIP1 , VIP2, VIP3 또는 VIP3A, 특히 또한 하이브리드 독소, 감축 독소 및 변형 독소 역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하이브리드 독소는 해당 단백질들의 상이한 도메인들의 새로운 조합에 의해 재조합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면 WO 02/15701호 참조). 감축 독소의 예는 감축된 CrylA(b)로써, 하기되는 바와 같이 신젠타 시드 SAS 사의 Bt11 옥수수에서 발현된다. 변형된 독소의 경우에서는, 자연 발생 독소의 하나 이상 아미노산이 치환된다. 그와 같은 아미노산 치환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자연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프로테아제 인식 서열이 독소에 삽입되는데, 예를 들자면 CrylIIA055의 경우, 카텝신-D-인식 서열이 CrylIIA 독소에 삽입된다 (WO 2003/018810호 참조).
상기 독소들을 합성할 수 있는 해당 독소 또는 형질전환 식물의 예가 예를 들면 EP-A-0 374 753호, WO 93/07278호, WO 95/34656호, EP-A-0 427 529호, EP-A-451 878호 및 WO 2003/05207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Cryl-유형 데옥시리보핵산 및 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WO 95/34656호, EP-A-0 367 474호, EP-A-0 401 979호 및 WO 1990/13651호에 알려져 있다.
형질전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독소는 유해 해충에 대한 내성을 식물에 부여한다. 그와 같은 해충은 어떠한 분류학적 해충 군에서도 발견될 수 있으나, 특히 갑충류 (콜레옵테라(Coleoptera)), 쌍시류 곤충 (디프테라(Diptera)) 및 나비류 (레피돕테라(Lepidoptera))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된다.
바람직하게는, 세균 독소를 발현할 수 있는 식물은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귀리; 카놀라, 면화, 가지, 상추, 수수, 대두, 벼, 오일 종자 평지, 사탕무, 사탕수수, 포도, 렌즈콩, 해바라기, 알팔파, 이과 과일; 핵과; 땅콩; 커피; 차; 딸기; 잔디; 야채, 예컨대 토마토, 감자, 조롱박 및 상추에서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은 면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토마토, 감자, 오일종자 평지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면화, 대두, 옥수수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세균 독소를 발현할 수 있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형질전환 식물의 예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콘 루트웜(YieldGard corn rootworm)" (몬산토 사), "일드가드 VT" (몬산토 사), "헤르큘렉스 RW" (다우, 파이오니어 사), "헤르큘렉스 루트웜" (다우, 파이오니어 사) 및 "아그리슈어 CRW" (신젠타 사); 옥수수 명나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콘 보어러(YieldGard corn borer)" (몬산토 사), "일드가드 VT 프로" (몬산토 사), "아그리슈어 CB/LL" (신젠타 사),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 사), "헤르큘레스 I", "헤르큘레스 II" (다우, 파이오니어 사), "녹아웃(KnockOut)" (노파르티스(Novartis) 사), "내츄어가드(NatureGard)" (미코젠(Mycogen) 사) 및 "스타링크(Starlink)" (아벤티스(Aventis) 사); 서부 콩 거세미나방, 옥수수 명나방, 흑색 거세미나방 및 추기 멸강나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헤르큘렉스 I" (다우, 파이오니어 사) 및 "헤르큘렉스 엑스트라" (다우, 파이오니어 사); 옥수수 명나방 및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플러스(YieldGard Plus)" (몬산토 사); 담배 좀벌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면화 변종 "볼가드(Bollgard) I"" (몬산토 사); 담배 좀벌레, 면화 씨벌레, 추기 멸강나방, 무 멸강나방, 양배추 자벌레, 대두 자벌레 및 분홍 씨벌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면화 변종 "볼가드 II" (몬산토 사), "와일드스트라이크(WideStrike)" (다우 사) 및 "비프콧(VipCot)" (신젠타 사); 감자 뿔나방 저항성을 가지는 감자 변종 "뉴리프(NewLeaf)", "뉴리프 Y" 및 "뉴리프 플러스" (몬산토 사); 및 가지 과일 및 새싹 명나방, 과일 명나방 및 면화 씨벌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가지 변종 "Bt 브린잘(brinjal)", "듀마구에테 롱 퍼플(Dumaguete Long Purple)", "마라(Mara)" (예를 들면 US 5128130호 참조)이다. 곤충 저항성을 가지는 다른 형질전환 식물들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예컨대 황색 줄기명나방 저항성 벼 (예를 들면 문헌 [Molecular Breeding, Volume 18, 2006, Number 1] 참조), 레피돕테란(lepidopteran) 저항성 상추 (예를 들면 US 5349124호 참조), 저항성 대두 (예를 들면 US 7432421호 참조), 및 레피돕테란, 예컨대 벼 줄기명나방, 벼 줄점팔랑나비, 벼 거세미나방, 벼 케이스웜, 벼 혹명나방 및 벼 멸강나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벼 (예를 들면 WO 2001021821호 참조)이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병원성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토마토, 감자, 바나나, 파파야, 담배, 포도, 자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토마토, 감자, 바나나, 파파야, 오일 종자 평지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선택적 작용성을 가지는 항변원성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식물은 예를 들면 소위 "발병-관련 단백질" (PRP, 예를 들면 EP-A-0 392 225호 참조) 또는 소위 "항균 단백질" (AFP, 예를 들면 US 6864068호 참조)을 발현하는 식물들이다. 식물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활성을 가지는 광범위한 항균 단백질들이 소정의 식물 종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항병원성 물질들, 및 해당 항병원성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형질전환 식물들의 예가 예를 들면 EP-A-0 392 225호, WO 93/05153호, WO 95/33818호, 및 EP-A-0 353 191호에 알려져 있다. 진균, 바이러스 및 세균 병원체에 대하여 저항성인 형질전환 식물은 식물에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된다. 수많은 저항성 유전자들이 확인, 분리되어, 식물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사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TMV-저항성 담배 식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Tobacco Mosaic Virus) (TMV)에 감수성인 담배 주에 도입되는 N 유전자 (예를 들면 US 5571706호 참조), 강화된 병원체 저항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식물에 도입되는 PrF 유전자 (예를 들면 WO 199802545호 참조), 및 프세우도모나스 시링가에(Pseudomonas syringae)를 포함한 세균 병원체에 대한 저항성을 창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아라비도프시스 탈리아나(Arabidopsis thaliana) 유래의 Rps2 유전자 (예를 들면 WO 199528423호 참조)이다. 전신성의 획득된 저항성 반응을 나타내는 식물이 N 유전자의 TIR 도메인을 코딩하고 잇는 핵산 분자를 도입함으로써 수득된 바 있다 (예를 들면 US 6630618호 참조). 알려져 있는 저항성 유전자의 다른 예로는 수많은 벼 재배종에 도입된 바 있는 Xa21 유전자 (예를 들면 US 5952485호, US 5977434호, WO 1999/09151호, WO 1996/22375호 참조),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 저항성을 위한 Rcg1 유전자 (예를 들면 US 2006/225152호 참조), prp1 유전자 (예를 들면 US 5859332호, WO 2008/017706호 참조), 자두 폭스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한 ppv-cp 유전자 (예를 들면 US PP15,154Ps 참조), P1 유전자 (예를 들면 US 5968828호 참조), 감자에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에 대한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한 Blb1, Blb2, Blb3 및 RB2와 같은 유전자들 (예를 들면 US 7148397호 참조), LRPKml 유전자 (예를 들면 WO1999064600호 차조), 감자 바이러스 Y 저항성을 위한 P1 유전자 (예를 들면 US 5968828호 참조), HA5-1 유전자 (예를 들면 US 5877403호 및 US 6046384호 참조), 감자 바이러스 X (PVX), 감자 바이러스 Y (PVY), 감자 잎말이 바이러스 (PLRV)와 같은 바이러스들에 대한 광범위 저항성을 도입하기 위한 PIP 유전자 (예를 들면 EP 0707069호 참조), 및 진균 저항성을 수득하기 위한 아라비도프시스 Nl16, ScaM4 and ScaM5 유전자와 같은 유전자들 (예를 들면 US 6706952호 및 EP 1018553호 참조)이 있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항병원성 물질에는 예를 들면 이온 채널 차단제, 예컨대 나트륨 및 칼슘 채널의 차단제, 예를 들어 바이러스 KP1, KP4 또는 KP6 독소; 스틸벤 신타제; 비벤질 신타제; 키티나제; 글루카나제; 소위 "발병-관련 단백질" (PRP; 예를 들면 EP-A-0 392 225호 참조);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병원성 물질, 예를 들어 펩티드 항생물질 또는 헤테로고리형 항생물질 (예를 들면 WO 1995/33818호 참조); 또는 식물 병원체 방어에 관련되어 있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 인자 (WO 2003/00090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위 "식물 병 저항성 유전자")가 포함된다.
식물에 의해 생성되는 항병원성 물질은 다양한 병원체들, 예컨대 진균,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큰 중요성을 가지는 유용한 식물은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대두; 옥수수; 벼; 알팔파, 면화, 사탕 무, 사탕수수, 담배, 감자, 바나나, 오일 종자 평지; 이과 과일; 핵과; 땅콩; 커피; 차; 딸기; 잔디; 포도 및 야채, 예컨대 토마토, 감자, 조롱박, 파파야, 멜론, 렌즈(lense) 및 상추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알팔파, 면화, 감자, 바나나, 파파야, 벼, 토마토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감자, 토마토, 오일종자 평지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진균류 병원체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아시아 대두 녹병균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대두 (예를 들면 WO 2008/017706호 참조);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알팔파, 옥수수, 면화, 사탕 무,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대두, 밀, 감자 및 담배와 같은 식물 (예를 들면 US 5859332호, US 7148397호, EP 1334979호 참조); 잎 마름병, 이삭 부패병 및 줄기 부패병 (예컨대 탄저 잎 마름병, 탄저 줄기 부패병, 디플로디아 이삭 부패병, 푸사리움 베르티실리오이데스(Fusarium verticilioides), 기베렐라 제아에(Gibberella zeae) 및 가지마름병, 예를 들면 US 2006/225152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사과 반점병 (벤튜리아 이나에쿠알리스(Venturia inaequalis), 예를 들면 WO 1999064600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사과; 푸사리움 병, 예컨대 푸사리움 그라미네아룸(Fusarium graminearum), 푸사리움 스포로트리키오이데스(Fusarium sporotrichioides), 푸사리움 라테리티움(Fusarium lateritium), 푸사리움 프세우도그라미네아룸(Fusarium pseudograminearum), 푸사리움 삼부시눔(Fusarium sambucinum), 푸사리움 큘모룸(Fusarium culmorum), 푸사리움 포아에(Fusarium poae), 푸사리움 아쿠미나툼(Fusarium acuminatum), 푸사리움 에퀴세티(Fusarium equiseti)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벼, 밀, 보리, 호밀, 옥수수, 귀리, 감자, 멜론, 대두 및 수수와 같은 식물 (예를 들면 US 6646184호, EP 1477557호 참조); 광범위한 진균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대두, 곡물 (특히 밀, 호밀, 보리, 귀리, 호밀, 벼), 담배, 수수, 사탕수수 및 감자와 같은 식물 (예를 들면 US 5689046호, US 6706952호, EP 1018553호 및 US 6020129호 참조)이다.
세균 병원체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며 본 발명에 의해 포괄되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크실렐라 파스티디오사(Xylella fastidiosa)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벼 (예를 들면 US 6232528호 참조); 세균 마름병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벼, 면화, 대두, 감자, 수수, 옥수수, 밀, 보리, 사탕수수, 토마토 및 후추와 같은 식물 (예를 들면 WO 2006/42145호, US 5952485호, US 5977434호, WO 1999/09151호, WO 1996/22375호 참조); 프세우도모나스 시링가에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토마토 (예를 들면 문헌 [Can. J. Plant Path., 1983, 5: 251-255] 참조)이다.
바이러스 병원체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자두 폭스 바이러스 (PPV, 예를 들면 US PP15,154Ps, EP 0626449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자두, 아몬드, 살구, 체리, 복숭아, 승도복숭아와 같은 핵과; 감자 바이러스 Y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감자 (예를 들면 US 5968828호 참조); 토마토 반점 시들음병 바이러스 (TSWV, 예를 들면 EP 0626449호, US 5973135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인 감자, 토마토, 오이 및 관목과 같은 식물; 옥수수 줄무늬 바이러스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예를 들면 US 6040496호 참조); 파파야 고리 반점 바이러스 (PRSV, 예를 들면 US 5877403호, US 6046384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파파야;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 (CMV, 예를 들면 US 6849780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오이, 멜론, 수박 및 호박과 같은 쿠쿠르비타세아에, 및 감자, 담배, 토마토, 가지, 파프리카 및 후추와 같은 솔라나세아에; 수박 모자이크 바이러스 및 쥬키니 황색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오이, 멜론, 수박 및 호박과 같은 쿠쿠르비타세아에 (예를 들면 US 6015942호 참조); 감자 잎말이 바이러스 (PLRV, 예를 들면 US 5576202호 참조)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감자; 감자 바이러스 X (PVX), 감자 바이러스 Y (PVY), 감자 잎말이 바이러스 (PLRV)와 같은 바이러스에 대하여 광범위한 저항성을 가지는 감자 (예를 들면 EP 0707069호 참조)이다.
[표 I]
선충류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대두 시스트(cyst) 선충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대두 식물이다. 식물 기생성 선충류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식물의 유전적 변형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U.S. 특허 제5,589,622호 및 5,824,876호는 선충의 부착 후 식물 섭식 부위에서, 또는 거기에 인접하여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식물 유전자의 식별에 관한 것이다. 기생성 선충류에 대하여 감소된 섭식 구조를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들, 예를 들면 선충류 섭식 부위인 부분 또는 세포를 제외하고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인 식물, 그리고 그와 같은 식물을 제초제로 처리함으로써, 섭식 부위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것에 의해 선충류 섭식을 방지, 감소 또는 제한하는 것 역시 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US 5866777호). 예컨대 PCT 공개 WO 2001/96584호, WO 2001/17654호, US 2004/0098761호, US 2005/0091713호, US 2005/0188438호, US 2006/0037101호, US 2006/0080749호, US 2007/0199100호, 및 US 2007/0250947호에서는, 필수적인 선충류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RNAi의 사용에 대해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PCT 공개 WO 2008/095886호 및 WO 2008/095889호에는, 선충류 저항성 형질전환 식물들이 개시되어 있다.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및 암피실린과 같은 항생물질에 대하여 저항성인 식물들이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세균 nptII 유전자는 항생물질인 카나마이신 및 네오마이신의 효과를 차단하는 효소를 발현한다. 암피실린 저항성 유전자 ampR (bla TEM1으로도 알려져 있음)은 세균인 살모넬라 파라티피(Salmonella paratyphi)로부터 유래하여, 미생물 및 식물의 형질전환에서 마커 유전자로 사용된다. 그것은 암피실린을 포함한 페니실린 군의 항생물질을 중화하는 효소 베타-락타마제 합성의 원인이 된다. 항생물질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감자, 토마토, 아마, 카놀라, 오일종자 평지 및 옥수수이다 (예를 들면 문헌 [Plant Cell Reports, 20, 2001, 610-615], [Trends in Plant Science, 11, 2006, 317-319], [Plant Molecular Biology, 37, 1998, 287-296], [Mol Gen Genet., 257, 1998, 606-13], [Plant Cell Reports, 6, 1987, 333-336], [Federal Register (USA), Vol.60, No.113, 1995, page 31139], [Federal Register (USA), Vol.67, No.226, 2002, page 70392], [Federal Register (USA), Vol.63, No.88, 1998, page 25194], [Federal Register (USA), Vol.60, No.141, 1995, page 37870],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FD/OFB-095-264-A, October 1999, FD/OFB-099-127-A, October 1999] 참조).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감자, 사탕수수, 알팔파, 토마토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감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스트레스 조건에 대하여 내성인 식물 (예를 들면 WO 2000/04173호, WO 2007/131699호, CA 2521729호 및 US 2008/0229448호 참조)은 건조, 높은 염도, 높은 광 강도, 고도 UV 조사, 화학물질 오염 (예컨대 높은 중금속 농도), 저온 또는 고온, 제한된 영양소 (즉, 질소, 인) 공급, 및 군집 스트레스와 같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에 대하여 증가된 내성을 나타내는 식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스 조건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건조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벼, 옥수수, 대두, 사탕수수, 알팔파, 밀, 토마토, 감자, 보리, 평지씨, 콩, 귀리, 수수 및 면화 (예를 들면 WO 2005/048693호, WO 2008/002480호 및 WO 2007/030001호 참조); 저온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옥수수, 대두, 밀, 면화, 벼, 평지씨 및 알팔파 (예를 들면 US 4731499호 및 WO 2007/112122호 참조); 높은 염도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는 벼, 면화, 감자, 대두, 밀, 보리, 호밀, 수수, 알팔파, 포도, 토마토, 해바라기 및 담배 (예를 들면 US 7256326호, US 7034139호, WO 2001/030990호 참조)에서 선택된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사탕수수, 알팔파, 사탕 무, 감자,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감자, 사탕수수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변경된 성숙 특성은 예를 들면 지연된 숙성, 지연된 연화 및 조기 성숙이다. 바람직하게는, 변형된 성숙 특성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지연된 숙성을 가지는 토마토, 멜론, 나무딸기, 딸기, 머스크멜론, 후추 및 파파야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US 5767376호, US 7084321호, US 6107548호, US 5981831호, WO 1995035387호, US 5952546호, US 5512466호, WO 1997001952호, WO 1992/008798호, 문헌 [Plant Cell. 1989, 53-63], [Plant Molecular Biology, 50, 2002] 참조).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과일, 예컨대 토마토, 포도, 멜론, 파파야, 바나나, 후추, 나무딸기 및 딸기; 핵과, 예컨대 체리, 살구 및 복숭아; 이과 과일, 예컨대 사과 및 배; 및 감귤류, 예컨대 시트론, 라임, 오렌지, 포멜로, 그레이프프루트, 및 만다린; 더욱 바람직하게는 토마토, 포도, 사과, 바나나, 오렌지 및 딸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토마토에서 선택된다.
함량 변형은 변형된 화학적 화합물의 합성 (해당 대조 식물과 비교한 경우), 또는 강화된 화학물질 양의 합성 (화합물을 해당 대조 식물과 비교한 경우)으로써,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및 전분, 서로 다른 오일의 증가되거나 감소된 양, 및 니코틴의 감소된 양에 해당한다.
시중의 예는 낮은 리놀렌산/중간 올레산 함량을 가지는 대두 변종 "비스티브(Vistive) II" 및 "비스티브 III"; 증가된 리신 함량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마베라 하이-밸류(Mavera high-value) 옥수수"; 및 대두박으로 가공하였을 때 통상적인 변종에 비해 5 % 더 많은 단백질을 산출하는 대두 변종 "마베라 하이 밸류 대두"이다. 변경된 함량을 가지는 다른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변형된 아밀로펙틴 함량을 가지는 감자 및 옥수수 (예를 들면 US 6784338호, US 20070261136호 참조); 변형된 오일 함량을 가지는 카놀라, 옥수수, 면화, 포도, 개오동나무, 부들, 벼, 대두, 밀, 해바라기, 여주 및 베르노니아 (예를 들면 US 7294759호, US7157621호, US 5850026호, US 6441278호, US 6380462호, US 6365802호, US 6974898호, WO 2001/079499호, US 2006/0075515호 및 US 7294759호 참조); 증가된 지방산 함량을 가지는 해바라기 (예를 들면 US 6084164호 참조); 변형된 알러지원 함량을 가지는 대두 (소위 "저알레르기성 대두", 예를 들면 US 6864362호 참조); 감소된 니코틴 함량을 가지는 담배 (예를 들면 US 20060185684호, WO 2005000352호 및 WO 2007064636호 참조); 증가된 리신 함량을 가지는 카놀라 및 대두 (예를 들면 문헌 [Bio/Technology 13, 1995, 577-582] 참조);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및 발린의 변경된 조성을 가지는 옥수수 및 대두 (예를 들면 US 6946589호, US 6905877호 참조); 강화된 황 아미노산 함량을 가지는 대두 (예를 들면 EP 0929685호, WO 1997041239호 참조);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세린, 트레오닌, 알라닌, 히스티딘 및 글루탐산과 같은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된 토마토 (예를 들면 US 6727411호 참조); 강화된 아미노산 함량을 가지는 옥수수 (예를 들면 WO 05077117호 참조); 변형된 전분 함량을 가지는 감자, 옥수수 및 벼 (예를 들면 WO 1997044471호 및 US 7317146호 참조); 변형된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가지는 토마토, 옥수수, 포도, 알팔파, 사과, 콩 및 완두 (예를 들면 WO 2000/04175호 참조); 변경된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가지는 옥수수, 벼, 수수, 면화, 대두 (예를 들면 US 20080235829호 참조)이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사탕수수, 감자, 토마토, 오일종자 평지, 아마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오일종자 평지, 감자, 토마토, 면화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강화된 영양소 이용은 예를 들면 질소 또는 인의 동화 또는 대사이다. 바람직하게는, 강화된 질소 동화 및 이용 능력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예를 들면 카놀라, 옥수수, 밀, 해바라기, 벼, 담배, 대두, 면화, 알팔파, 토마토, 밀, 감자, 사탕 무, 사탕 수수 및 평지씨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WO 1995/009911호, WO 1997/030163호, US 6084153호, US 5955651호 및 US 6864405호 참조). 향상된 인 섭취율을 가지는 식물은 예를 들면 토마토 및 감자이다 (예를 들면 US 7417181호 참조).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사탕수수, 알팔파, 감자, 오일종자 평지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감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에서 선택된다.
웅성 불임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카놀라, 옥수수, 토마토, 벼, 인도 겨자, 밀, 대두 및 해바라기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면 US 6720481호, US 6281348호, US 5659124호, US 6399856호, US 7345222호, US 7230168호, US 6072102호, EP 1135982호, WO 2001/092544호 및 WO 1996/040949호 참조).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은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오일종자평지, 토마토, 감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에서 선택된다.
[표 II]
더 고품질의 섬유를 생성시키는 식물은 예를 들면 형질전환 면화 식물이다. 섬유의 그와 같이 향상된 품질은 향상된 섬유의 마이크로네어(micronaire), 증가된 강도, 향상된 스테이플 길이, 섬유의 향상된 길이 균일성 및 색상과 관련된다 (예를 들면 WO 1996/26639호, US 7329802호, US 6472588호 및 WO 2001/17333호 참조).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재배 식물은 예를 들면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 진균 저항성, 바이러스 저항성,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성숙도 변경, 함량 변형, 변형된 영양소 섭취율 및 웅성 불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O 2005033319호 및 US 6376754호 참조).
2종의 조합된 특성을 가지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형질전환 식물의 예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옥수수 명나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라운드업 레디" 및 "일드가드 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아그리슈어 CB/LL" (신젠타 사);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옥수수 뿌리벌레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 가드 VT 루트웜/RR2";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옥수수 뿌리벌레 및 옥수수 명나방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 가드 VT 트리플";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콩 거세미나방, 옥수수 명나방, 흑색 거세미나방 및 추기 멸강나방에 대한 저항성 (Cry1F)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헤르큘렉스 I";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옥수수 뿌리벌레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콘 루트웜/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옥수수 뿌리벌레, 북부 옥수수 뿌리벌레 및 멕시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한 저항성 (Cry3A)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아그리슈어 GT/RW" (신젠타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옥수수 뿌리벌레, 북부 옥수수 뿌리번레 및 멕시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한 저항성 (Cry34/35Ab1)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헤르큘렉스 RW" (다우, 파이오니어 사);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옥수수 뿌리벌레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 가드 VT 루트웜/RR2";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 ALS 제초제 내성을 가지는 대두 변종 "옵티멈 GAT" (듀퐁, 파이오니어 사); 글리포세이트 내성, 옥수수 뿌리벌레 및 유럽 옥수수 명나방에 대한 저항성 및 고리신 특질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마베라 하이-밸류 옥수수"이다.
3종 특질을 가지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형질전환 식물의 예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콩 거세미나방, 옥수수 명나방, 흑색 거세미나방 및 추기 멸강나방에 대한 저항성 (Cry1F)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헤르큘렉스 I/라운드업 레디 2"; 글리포세이트 내성, 옥수수 뿌리벌레 저항성 및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일드가드 플러스/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 사); 글리포세이트에 대한 내성, 글루포시네이트에 대한 내성, 및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아그리슈어 GT/CB/LL" (신젠타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옥수수 뿌리벌레, 북부 옥수수 뿌리벌레, 멕시코 옥수수 뿌리벌레, 서부 콩 거세미나방, 옥수수 명나방, 흑색 거세미나방 및 추기 멸강나방에 대한 저항성 (Cry1F + Cry34/35Ab1)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헤르큘렉스 엑스트라" (다우, 파이오니어 사);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 (Cry1Ab)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옥수수 뿌리벌레, 북부 옥수수 뿌리벌레 및 멕시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한 저항성 (Cry3A)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아그리슈어 CB/LL/RW" (신젠타 사); 글리포세이트 내성 +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 (Cry1Ab) 및 레피돕테란, 즉 서부 옥수수 뿌리벌레, 북부 옥수수 뿌리벌레 및 멕시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한 저항성 (Cry3A)을 가지는 옥수수 변종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 사)이다. 그와 같은 형질전환 식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4종의 특질을 가지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형질전환 식물의 예는 글리포세이트 내성, 글루포시네이트 내성, 옥수수 명나방 저항성 및 옥수수 뿌리벌레 저항성을 가지는 "헤르큘레스 쿼드-스탁(Quad-Stack)"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재배 식물은 본 개시의 문단 및 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식물 군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 내성, 예컨대 1종 이상 세균 독소의 발현에 의한 곤충 저항성, 1종 이상 항병원성 물질의 발현에 의한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영양소 섭취율, 영양소 사용 효율, 해당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함량 변형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 내성, 1종 이상 세균 독소의 발현에 의한 곤충 저항성, 1종 이상 항병원성 물질의 발현에 의한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해당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1종 이상 화학물질의 함량 변형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식물, 및 1종 이상의 세균 독소를 발현하며 1종 이상의 동물 해충 (예컨대 곤충 또는 거미류 또는 선충류)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식물로써, 여기서 상기 세균 독소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루스 튜리지넨시스 유래의 독소이다. 본원에서, 재배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벼, 면화, 사탕수수, 알팔파, 감자, 오일종자 평지, 토마토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메이즈 (옥수수), 면화, 벼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최고로 바람직한 것은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재배 식물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또 다른 재배 식물들은 표 A에 제공되어 있는 식물들이다. 출처: AgBios 데이터베이스 및 GMO-콤파스(compass) 데이터베이스 (AG BIOS 사, 캐나다 온타리오 KOG1NO, 106 St. 존 St. 메리크빌, P.O. Box 475 소재, 접속: http://www.agbios.com/dbase.php, 또한 문헌 [BioTechniques, Volume 35, No. 3, Sept. 2008, p. 213], 및 http://www.gmo-compass.org/eng/gmo/db/ 참조).
[표 A]
최고로 바람직한 또 다른 재배 식물은 하기 표 B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이다. 출처: AgBios 데이터베이스 (AG BIOS 사, 캐나다 온타리오 KOG1NO, 106 St. 존 St. 메리크빌, P.O. Box 475 소재, 접속: http://www.agbios.com/dbase.php).
[표 B]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 내성, 세균 독소의 발현에 의한 곤충 저항성, 항병원성 물질의 발현에 의한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해당 야생형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함량 변형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 내성, 세균 독소의 발현에 의한 곤충 저항성, 항병원성 물질의 발현에 의한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해당 야생형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함량 변형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특질을 포함하는 식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재배 식물은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식물, 및 동물 해충 (예컨대 곤충 또는 거미류 또는 선충류)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세균 독소를 발현하는 식물이며, 여기서 상기 세균 독소는 바람직하게는 바실루스 튜린지엔시스 유래의 독소이다. 본원에서,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곡물 (밀, 보리, 호밀, 귀리), 대두, 벼, 포도 및 과일, 그리고 야채 예컨대 토마토, 감자 및 이과 과일,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 및 곡물 예컨대 밀, 보리, 호밀 및 귀리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제초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루타민 신테타제 억제제, 5-엔올-피로빌-쉬키메이트-3-포스페이트-신타제 억제제, 아세토락테이트 신타제 (ALS) 억제제,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 (PPO) 억제제, 옥신 유형 제초제와 같은 제초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포세이트, 글루포시네이트, 이마자피르, 이마자픽, 이마자목스, 이마제타피르, 이마자퀸, 이마자메타벤즈 메틸, 디캄바 및 2,4-D와 같은 제초제에 대하여 내성을 부여받은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
A*는 US 4761373호, US 5304732호, US 5331107호, US 5718079호, US 6211438호, US 6211439호 및 US 6222100호를 지칭함.
B*는 문헌 [Tan et. al, Pest Manag. Sci 61, 246-257 (2005)]을 지칭함.
C*는 아세토히드록시산 신타제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 S653N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S654K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A122T (예컨대 WO 2004/106529호 참조), S653(At)N, S654(At)K, A122(At)T를 가지는 이미다졸리논-제초제 내성의 벼 식물, 그리고 WO 2000/27182호, WO 2005/20673호 및 WO 2001/85970호 또는 미국 특허 US 5545822호, US 5736629호, US 5773703호, US 5773704호, US-5952553호, US 627479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타 저항성 벼 식물들을 지칭하는데, 돌연변이 S653A 및 A122T를 가지는 식물이 가장 바람직함.
D*는 WO 2004/106529호, WO 2004/16073호, WO 2003/14357호, WO 2003/13225호 및 WO 2003/14356호를 지칭함.
E*는 US 5188642호, US 4940835호, US 5633435호, US 5804425호 및 US 5627061호를 지칭함.
F*는 US 5646024호 및 US 5561236호를 지칭함.
G*는 US 6333449호, US 6933111호 및 US 6468747호를 지칭함.
H*는 US 6153401호, US 6100446호, WO 2005/107437호, US 5670454호 및 US 5608147호를 지칭함.
I*는 WO 2004/055191호, WO 199638567호 및 US 6791014호를 지칭함.
K*는 HPPD 억제제 제초제, 예컨대 이속사졸 (예, 이속사플루톨), 디케토니트릴, 트리케온 (예, 술코트리온 및 메소트리온), 피라졸리네이트를 지칭함.
L*은 프로토포르피리노겐 옥시다제 (PPO) 억제 제초제를 지칭함.
M*은 US 2002/0073443호, US 20080052798호, 문헌 [Pest Management Science, 61, 2005, 277-285]을 지칭함.
N*은 [Cultivance on the XVI Congresso Brasileiro de Sementes, 31st Augusta to 3rd September 2009 at Estacao Embratel Convention Center - Curitiba/PR, Brazil]의 명칭하에 제시된 제초제 내성 대두 식물을 지칭함.
U*는 "인비고르" (바이엘 사),
V*는 "라운드업 레디 카놀라" (몬산토 사),
W*는 "라운드업 레디 콘", "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 사), "아그리슈어 GT", "아그리슈어 GT/CB/LL", "아그리슈어 GT/RW",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 사), "일드가드 VT 루트웜/RR2", "일드가드 VT 트리플" (몬산토 사),
X*는 "라운드업 레디 코튼", "라운드업 레디 플렉스" (몬산토 사),
Y*는 "라운드업 레디 소이빈" (몬산토 사), 옵티멈 GAT" (듀퐁, 파이오니어 사),
Z*는 "리베르티 링크" (바이엘 사), "헤르큘렉스 I", "헤르큘렉스 RW", "헤르큘렉스 엑스트라" (다우, 파이오니어 사), "아그리슈어 GT/CB/LL", "아그리슈어 CB/LL/RW" (신젠타 사)임.
특히 바람직한 제초제 내성 식물의 하위군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하위군에는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양태들이 존재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2의 T2-3, T2-5, T2-10, T2-11, T2-16, T2-17 및 T2-23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2]
A*는 US 4761373호, US 5304732호, US 5331107호, US 5718079호, US 6211438호, US 6211439호 및 US 6222100호를 지칭함.
B*는 문헌 [Tan et. al, Pest Manag. Sci 61, 246-257 (2005)]을 지칭함.
C*는 아세토히드록시산 신타제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 S653N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S654K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A122T (예컨대 WO 04/106529호 참조), S653(At)N, S654(At)K, A122(At)T를 가지는 이미다졸리논-제초제 내성의 벼 식물, 그리고 WO 2000/27182호, WO 2005/20673호 및 WO 2001/85970호 또는 미국 특허 US 5545822호, US 5736629호, US 5773703호, US 5773704호, US-5952553호, US 627479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타 저항성 벼 식물들을 지칭하는데, 돌연변이 S653A 및 A122T를 가지는 식물이 가장 바람직함.
D*는 WO 04/106529호, WO 04/16073호, WO 03/14357호, WO 03/13225호 및 WO 03/14356호를 지칭함.
E*는 US 5188642호, US 4940835호, US 5633435호, US 5804425호 및 US 5627061호를 지칭함.
F*는 US 5646024호 및 US 5561236호를 지칭함.
G*는 US 6333449호, US 6933111호 및 US 6468747호를 지칭함.
H*는 US 6153401호, US 6100446호, WO 2005/107437호 및 US 5608147호를 지칭함.
I*는 문헌 [Federal Register (USA), Vol. 61, No.160, 1996, page 42581], [Federal Register (USA), Vol. 63, No.204, 1998, page 56603]을 지칭함.
N*은 [Cultivance on the XVI Congresso Brasileiro de Sementes, 31st Augusta to 3rd September 2009 at Estacao Embratel Convention Center - Curitiba/PR, Brazil]의 명칭하에 제시된 제초제 내성 대두 식물을 지칭함.
U*는 "라운드업 레디 카놀라" (몬산토 사),
V*는 "라운드업 레디 콘", "라운드업 레디 2" (몬산토 사), "아그리슈어 GT", "아그리슈어 GT/CB/LL", "아그리슈어 GT/RW",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 사), "일드가드 VT 루트웜/RR2", "일드가드 VT 트리플" (몬산토 사),
W*는 "라운드업 레디 코튼", "라운드업 레디 플렉스" (몬산토 사),
X*는 "라운드업 레디 소이빈" (몬산토 사), "옵티멈 GAT" (듀퐁, 파이오니어 사),
Y*는 "리베르티 링크" (바이엘 사), "헤르큘렉스 I", "헤르큘렉스 RW", "헤르큘렉스 엑스트라" (다우, 파이오니어 사), "아그리슈어 GT/CB/LL", "아그리슈어 CB/LL/RW" (신젠타 사),
Z*는 "내비케이터", "콤파스" (롱-플랑 사)임.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1종 이상의 살곤충성 독소, 바람직하게는 바실루스 종,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실루스 튜린지엔시스 유래의 독소를 발현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3의 T3-13, T3-14, T3-15, T3-16, T3-17, T3-18, T3-19, T3-20, T3-23 및 T3-25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3]
A*는 "쥬크시안 B", WO 2001/021821호, 문헌 [Molecular Breeding, Volume 18, Number 1 / August 2006]을 지칭함.
B*는 "일드가드 콘 루트웜" (몬산토 사), "일드가드 플러스" (몬산토 사), "일드가드 VT" (몬산토 사), "헤르큘렉스 RW" (다우, 파이오니어 사), "헤르큘렉스 루트웜" (다우, 파이오니어 사), "아그리슈어 OCRW" (신젠타 사)이며,
C*는 "일드가드 콘 보어러" (몬산토 사), "일드가드 플러스" (몬산토 사), "일드가드 VT 프로" (몬산토 사), "아그리슈어 CB/LL" (신젠타 사), "아그리슈어 3000GT" (신젠타 사), "헤르큘레스 I", "헤르큘레스 II" (다우, 파이오니어 사), "녹아웃" (노파르티스 사), "내츄어가드" (미코젠 사), "스타링크" (아벤티스 사)이고,
D*는 "뉴리프" (몬산토 사), "뉴리프 Y" (몬산토 사), "뉴리프 플러스" (몬산토 사), US6100456호임.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진균, 바이러스 및 세균 병에 대하여 증가된 저항성을 나타내는 식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항균 단백질과 같은 항병원성 물질을 발현하거나, 또는 전신성의 획득된 저항성 특성을 가지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4]
A*는 US 5689046호 및 US 6020129호를 지칭함.
B*는 US 6706952호 및 EP 1018553호를 지칭함.
C*는 US 6630618호를 지칭함.
D*는 WO 1995/005731호 및 US 5648599호를 지칭함.
E*는 프랑스 FR - 49101 앙게르스 세덱스 02, BP 10121, 불리바드 마레샬 포흐, 3 소재의 [Community Plant Variety Office (CPVO)]에 변종 등록을 위하여 제출되어 있으며, 20082800의 CPVO 파일 번호를 가지는 감자 식물 변종을 지칭함.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5의 T5-2, T5-5, T5-6, T5-9, T5-10, T5-11, T5-13 및 T5-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5]
A*는 US 5689046호 및 US 6020129호를 지칭함.
B*는 US 6706952호 및 EP 1018553호를 지칭함.
C*는 US 6630618호를 지칭함.
D*는 WO 2006/42145호, US 5952485호, US 5977434호, WO 1999/09151호 및 WO 1996/22375호를 지칭함.
E*는 프랑스 FR - 49101 앙게르스 세덱스 02, BP 10121, 불리바드 마레샬 포흐, 3 소재의 [Community Plant Variety Office (CPVO)]에 변종 등록을 위하여 제출되어 있으며, 20082800의 CPVO 파일 번호를 가지는 감자 식물 변종을 지칭함.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바람직하게는 건조, 높은 염도, 높은 광 강도, 고도 UV 조사, 화학물질 오염 (예컨대 높은 중금속 농도), 저온 또는 고온, 제한된 영양소 공급 및 군집 스트레스, 가장 바람직하게는 건조, 높은 염도, 저온 및 제한된 질소 공급에 대하여 내성인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6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6]
A*는 WO 2000/04173호, WO 2007/131699호 및 US 2008/0229448호를 지칭함.
B*는 WO 2005/48693호를 지칭함.
C*는 WO 2007/20001호를 지칭함.
D*는 US 7256326호를 지칭함.
E*는 US 4731499호를 지칭함.
F*는 WO 2008/002480호를 지칭함.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7의 T7-5, T7-6, T7-7, T7-8 및 T7-9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7]
A*는 WO 2000/04173호, WO 2007/131699호 및 US 2008/0229448호를 지칭함.
B*는 WO 2005/48693호를 지칭함.
C*는 WO 2007/20001호를 지칭함.
D*는 US 7256326호를 지칭함.
E*는 US 4731499호를 지칭함.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개선된 성숙도, 바람직하게는 과일 숙성, 조기 성숙 및 지연된 연화를 나타내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 또는 8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8의 T8-1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8]
[표 8a]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야생형 식물과 비교할 때의 변형된 함량, 바람직하게는 증가된 비타민 함량, 변경된 오일 함량, 니코틴 감소, 증가 또는 감소된 아미노산 함량, 단백질 변경, 변형된 전분 함량, 효소 변경, 변경된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감소된 알레르기원 (저알레르기성 식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증가된 비타민 함량, 변경된 오일 함량, 니코틴 감소, 증가된 리신 함량, 아밀라제 변경, 아밀로펙틴 변경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 T9-48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 T9-49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9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9]
A*는 US 7294759호 및 US 7157621호를 지칭함.
B*는 프랑스 FR - 49101 앙게르스 세덱스 02, BP 10121, 불리바드 마레샬 포흐, 3 소재의 [Community Plant Variety Office (CPVO)]에 변종 등록을 위하여 제출되어 있으며, 20031520의 CPVO 파일 번호를 가지는 감자 식물 변종을 지칭함.
C*는 프랑스 FR - 49101 앙게르스 세덱스 02, BP 10121, 불리바드 마레샬 포흐, 3 소재의 [Community Plant Variety Office (CPVO)]에 변종 등록을 위하여 제출되어 있으며, 20082534의 CPVO 파일 번호를 가지는 감자 식물 변종을 지칭함.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0의 T10-1, T10-2, T10-6 및 T10-10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0]
A*는 US 7294759호 및 US 7157621호를 지칭함.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개선된 영양소 이용, 바람직하게는 질소 및 인의 흡수, 동화 및 대사를 나타내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1의 T11-3 및 T11-4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1]
A*는 US 6084153호를 지칭함.
B*는 US 5955651호 및 US 6864405호를 지칭함.
C*는 US 10/898,322호 (출원)를 지칭함.
D*의 "이용"이라는 용어는 개선된 영양소 흡수, 동화 또는 대사를 지칭함.
E*는 WO 1995/009911호를 지칭함.
F*는 WO 1997/030163호를 지칭함.
G*는 WO 2000/04173, WO 2007/131699호 및 US 2008/0229448호를 지칭함.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더 고품질의 섬유,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마이크로네어의 섬유, 증가된 길이, 개선된 스테이플 길이, 개선된 길이 균일성 및 색상의 섬유를 생성시키는, 면화, 섬유 식물 (예, 야자) 및 수목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 바람직하게는 면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면화 식물의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면화 식물의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면화 식물의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웅성 불임이거나, 또는 표 12a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른 특질을 가지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2 또는 12a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2]
A*는 US 6281348호, US 6399856호, US 7230168호, US 6072102호를 지칭함.
B*는 WO 2001/062889호를 지칭함.
C*는 WO 1996/040949호를 지칭함.
[표 12a]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항생물질에 대하여 내성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나마이신, 네오마이신 및 암피실린에 대하여 내성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나마이신에 대하여 내성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는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3의 T13-6이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3]
A*는 문헌 [Plant Cell Reports, 20, 2001, 610-615], [Trends in Plant Science, 11, 2006, 317-319], [Plant Molecular Biology, 37, 1998, 287-296], [Mol Gen Genet., 257, 1998, 606-13]을 지칭함.
B*는 문헌 [Plant Cell Reports, 6, 1987, 333-336]을 지칭함.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개선된 섬유 품질의 특질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DP 104 B2RF 품목 (몬산토/델타 앤드 파인 랜드(Monsanto/Delta and Pine Land) 사의 톰(Tom) R. 스피드(Speed), 리차드 쉬츠(Richard Sheetz), 더그 슈마커(Doug Shoemaker)에 의해 2008 벨트와이드 면화 콘퍼런스에서 제시된 "DP 104 B2RF - 신종 조기 성숙 B2RF 변종", http://www.monsanto.com/pdf/beltwide_08/dp104b2rf_doc.pdf 참조)을 포함하는 면화 식물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2종의 겹쳐진 특질,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 진균 저항성, 바이러스 저항성,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성숙 변경, 함량 변형 및 변형된 영양소 섭취율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특질,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초제 내성과 곤충 저항성, 2종의 제초제 내성, 제초제 내성과 스트레스 내성, 제초제 내성과 변형된 함량, 2종의 제초제 내성과 곤충 저항성,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과 스트레스 내성,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과 변형된 함량의 조합을 가지는 형질전환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펜티오피라드,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한다.
또 다른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티플루자미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플루오피람,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열에 해당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또 다른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재배 작물의 재배 식물 종자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14의 T14-1, T14-8, T14-13, T14-18, T14-19, T14-20, T14-21, T14-35, T14-36 및 T14-37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14]
A*는 US 5188642호, US 4940835호, US 5633435호, US 5804425호 및 US 5627061호를 지칭함.
B*는 아세토히드록시산 신타제 유전자의 특정 돌연변이 S653N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S654K (예컨대 US 2003/0217381호 참조), A122T (예컨대 WO 2004/106529호 참조) S653(At)N, S654(At)K, A122(At)T를 가지는 이미다졸리논-제초제 내성의 벼 식물, 및 WO 2000/27182호, WO 2005/20673호 및 WO 2001/85970호 또는 미국 특허 US 5545822호, US 5736629호, US 5773703호, US 5773704호, US 5952553호, US 6274796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타 저항성 벼 식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돌연변이 S653A 및 A122T를 가지는 식물이 가장 바람직함.
C*는 WO 2000/04173호, WO 2007/131699호, US 20080229448호 및 WO 2005/48693호를 지칭함.
D*는 WO 1993/07278호 및 WO 1995/34656호를 지칭함.
E*는 WO 1996/26639호, US 7329802호, US 6472588호 및 WO 2001/17333호를 지칭함.
F*는 술포닐우레아 및 이미다졸리논 제초제, 예컨대 이마자목스, 이마제타피르, 이마자퀸, 클로리무론, 플루메출람, 클로란술람, 디클로술람 및 티펜술푸론을 지칭함.
G*는 US 6380462호, US 6365802호, US 7294759호 및 US 7157621호를 지칭함.
H*는 문헌 [Plant Cell Reports, 20, 2001, 610-615], [Trends in Plant Science, 11, 2006, 317-319], [Plant Molecular Biology, 37, 1998, 287-296], [Mol Gen Genet., 257, 1998, 606-13], [Federal Register (USA), Vol.60, No.113, 1995, page 31139], [Federal Register (USA), Vol.67, No.226, 2002, page 70392], [Federal Register (USA), Vol.63, No.88, 1998, page 25194], [Federal Register (USA), Vol.60, No.141, 1995, page 37870], [Canadian Food Inspection Agency, FD/OFB-095-264-A, October 1999, FD/OFB-099-127-A, October 1999]을 지칭함.
I*는 문헌 [Federal Register (USA), Vol. 61, No.160, 1996, page 42581], [Federal Register (USA), Vol. 63, No.204, 1998, page 56603]을 지칭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는 형질전환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는 형질전환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호흡 복합체 III 억제제를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B의 B-3, B-4, B-5, B-7, B-8, B-11, B-23, B-28, B-29, B-30, B-39, B-42, B-44, B-46, B-47, B-55, B-59, B-61, B-63, B-64, B-69, B-70, B-71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고, 상기 식물은 aad, ACCase, ALS, AMY797E, APH4, bar, 바르나제, 바르스타, bla, bxn, cDHDPS, CP, cmv-cp, Cry1Ab, Cry1Ac, Cry1A.105, Cry1F, Cry1Fa2, Cry2Ab, Cry34Ab1, Cry35Ab1, Cry3A, Cry3Bb1, Cry9C, dam, DHFR, fad2, fan1, FH, flcry1Ab, GAT4601, GAT4602, gmFAD2-1, GM-HRA, goxv247, gus, hel, mCry3A, nos, NPTII, pat, PG, pinII, PMI, prsv-cp, QTPASE, rep, SAMase, spc, TE, vip3A, vip3A(a), wmv2-cp 및 zymv-cp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고, 상기 식물은 CP4 epsps, pat, bar, Cry1Ab, Cry1Ac, Cry3Bb1, Cry2Ab, Cry1F, Cry34Ab1 및 Cry35Ab1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전자를 발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는 형질전환 식물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보스칼리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빅사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플루펜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플루오피람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세닥산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이소피라잠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은 표 C에 열거되어 있는 식물에서 선택되고, 상기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펜티오피라드이다.
[표 C]
(출처: 필립스 맥두걸 아그리서비스(Phillips McDougall AgriService) 사, 종자 사업부 2009년 5월)
최고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그의 생장 부위를 처리하는 것에 의한, 유해 진균을 방제하고/하거나 재배 식물의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식물 및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표 D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다.
[표 D]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모든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실시양태는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로도 지칭된다. 그들은 또한 용매 또는 고체 담체 및 1종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로 전환될 수도 있다.
농약 조성물은 살균 및/또는 식물 건강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한다.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진균 방제 및/또는 식물 건강과 관련한 상승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며, 처리된 식물에 대한 지속적인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양을 나타낸다. 그와 같은 양은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방제될 진균 종, 처리되는 재배 식물 또는 재료, 기후 조건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농약 조성물의 예는 용액, 에멀션, 현탁액, 더스트(dust), 분말, 페이스트 및 과립이다. 조성물의 유형은 구체적인 의도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매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미세하고 균일한 분포를 보장해야 한다.
조성물 유형의 더 자세한 예로는 수용성이거나 습윤성일 수 있는 현탁액 (SC, OD, FS), 페이스트, 향정제, 습윤성 분말 또는 더스트 (WP, SP, SS, WS, DP, DS) 또는 과립 (GR, FG, GG, MG)은 물론, 종자와 같은 식물 번식 재료 처리용 젤 제제 (GF)가 있다. 보통 조성물 유형 (예, SC, OD, FS, WG, SG, WP, SP, SS, WS, GF)는 희석되어 사용된다. DP, DS, GR, FG, GG 및 MG와 같은 조성물 유형은 보통 희석되지 않고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은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된다 (US 3,060,084호, EP-A 707 445호 (액체 농축액용), 문헌 [Browning: "Agglomeration", Chemical Engineering, Dec. 4, 1967, 147-48],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4th Ed., McGraw-Hill, New York, 1963, S. 8-57 und ff], WO 91/13546호, US 4,172,714호, US 4,144,050호, US 3,920,442호, US 5,180,587호, US 5,232,701호, US 5,208,030호, GB 2,095,558호, US 3,299,566호, 문헌 [Klingman: Weed Control as a Science (J. Wiley & Sons, New York, 1961)], [Hance et al.: Weed Control Handbook (8th Ed., Blackwell Scientific, Oxford, 1989)] 및 [Mollet, H. and Grubemann, A.: Formulation technology (Wiley VCH Verlag, Weinheim, 2001)] 참조).
농약 조성물은 농약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보조제는 구체적인 적용 형태 및 활성 물질에 따라 각각 달라진다.
적합한 보조제의 예는 용매, 고체 담체, 분산제 또는 에멀션화제 (예컨대 추가 가용화제, 보호 콜로이드, 계면활성제 및 부착제), 유기 및 무기 증점제, 살세균제, 부동제, 소포제, 경우에 따라서는 착색제 및 점착화제 또는 바인더 (예컨대 종자 처리 제제용)이다.
적합한 용매는 물, 유기 용매 예컨대 중간 내지 고비점의 무기 오일 분획, 예컨대 케로센 또는 디젤 오일, 그리고 콜타르 오일 및 야채 또는 동물 기원의 오일, 지방족, 고리형 및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파라핀, 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 알킬화 나프탈렌 또는 그의 유도체,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및 시클로헥산올, 글리콜, 케톤 예컨대 시클로헥사논 및 감마-부티로락톤, 지방산 디메틸아미드, 지방산 및 지방산 에스테르 및 강한 극성의 용매, 예를 들면 아민 예컨대 N-메틸피롤리돈이다.
고체 담체는 무기 토양 예컨대 실리케이트, 실리카 겔, 활석, 카올린, 석회석, 석회, 백악, 교회점토, 뢰스, 점토, 돌로마이트, 규조토,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마쇄된 합성 재료, 비료, 예를 들자면 황산 암모늄, 암모늄 포스페이트, 질산 암모늄, 요소, 및 야채 기원의 생성물, 예컨대 곡분, 목피 분말, 목재 분말 및 견과피 분말, 셀룰로스 분말 및 기타 고체 담체이다.
적합한 계면활성제 (보조제, 습윤제, 점착화제, 분산제 또는 에멀션화제)는 방향족 술폰산, 예컨대 리그닌술폰산 (보레스퍼스(Borresperse)® 유형, 보레가드(Borregard) 사, 노르웨이), 페놀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모르웨트(Morwet)® 유형, 악조 노벨(Akzo Nobel) 사, 미국), 디부틸나프탈렌- 술폰산 (네칼(Nekal)® 유형, 바스프 사, 독일), 및 지방산,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라우릴술포네이트, 알킬 술페이트, 라우릴에테르 술페이트, 지방 알콜 술페이트, 및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레이트, 술페이트화 지방 알콜 글리콜 에테르, 또한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의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알킬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트리스테아릴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콜, 알콜 및 지방알콜/에틸렌 옥시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에톡실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탈,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및 단백질, 변성 단백질, 다당류 (예, 메틸셀룰로스), 소수성 변형 전분, 폴리비닐 알콜 (모위올(Mowiol)® 유형, 스위스 클라리안트(Clariant) 사, 스위스),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콜란(Sokolan)® 유형, 바스프 사, 독일), 폴리알콕실레이트, 폴리비닐아민 (루파솔(Lupasol)® 유형, 바스프 사, 독일),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이들의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및 암모늄 염이다.
증점제 (즉, 조성물에 변형된 유동성, 즉 정적인 조건하에서는 높은 점도를, 요동시에는 낮은 점도를 부여하는 화합물)의 예는 다당류, 및 유기 및 무기 점토 예컨대 크산탄 검 (켈잔(Kelzan)®, CP 켈코(Kelco) 사, 미국), 로도폴(Rhodopol)® 23 (로디아 사, 프랑스), 비검(Veegum)® (RT. 반더빌트(Vanderbilt) 사, 미국) 또는 아타클레이(Attaclay)® (엔젤하드(Engelhard) Corp. 사, 뉴저지, 미국)이다.
살세균제는 조성물의 보존 및 안정화를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살세균제의 예는 디클로로펜 및 벤질알콜 헤미 포르말을 기재로 하는 것들 (ICI 사의 프록셀(Proxel)® 또는 토르 케미(Thor Chemie) 사의 악티시드(Acticide)® RS 및 롬 앤드 하스 사의 칸톤(Kathon)® MK), 및 이소티아졸린온 유도체 예컨대 알킬이소티아졸린온 및 벤즈이소티아졸린온 (토르 케미 사의 악티시드® MBS)이다.
적합한 부동제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요소 및 글리세린이다.
소포제의 예는 실리콘 에멀션 (예를 들자면, 실리콘(Silikon)® SRE, 왜커 사, 독일 또는 로도르실(Rhodorsil)®, 로디아 사, 프랑스), 장쇄 알콜, 지방산, 지방산의 염, 플루오로유기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적합한 착색제는 낮은 수용성을 가지는 색소 및 수용성 염료이다. 지정하여 언급할 수 있는 예는 로다민 B, C.I. 피그먼트 레드 112, C.I. 솔벤트 레드 1, 피그먼트 블루 15:4, 피그먼트 블루 15:3, 피그먼트 블루 15:2, 피그먼트 블루 15:1, 피그먼트 블루 80, 피그먼트 옐로우 1, 피그먼트 옐로우 13, 피그먼트 레드 112, 피그먼트 레드 48:2, 피그먼트 레드 48:1, 피그먼트 레드 57:1, 피그먼트 레드 53:1, 피그먼트 오렌지 43, 피그먼트 오렌지 34, 피그먼트 오렌지 5, 피그먼트 그린 36, 피그먼트 그린 7, 피그먼트 화이트 6, 피그먼트 브라운 25, 베이직 바이올렛 10, 베이직 바이롤렛 49, 애시드 레드 51, 애시드 레드 52, 애시드 레드 14, 애시드 블루 9, 애시드 옐로우 23, 베이직 레드 10, 베이직 레드 108이다.
점착화제 또는 바인더의 예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알콜 및 셀룰로스 에테르 (타일로즈(Tylose)®, 신-에츠(Shin-Etsu) 사, 일본)이다.
분말, 살포용 재료 및 더스트는 화합물 I 및 경우에 따라 추가 활성 물질을 1종 이상의 고체 담체와 함께 혼합하거나 동시에 마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 예컨대 코팅 과립, 함침 과립 및 균질 과립은 활성 물질을 고체 담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고체 담체의 예는 무기 토양 예컨대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활석, 카올린, 아타클레이, 석회석, 석회, 백악, 교회점토, 뢰스, 점토, 돌로마이트, 규조토,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마쇄된 합성 재료, 비료, 예를 들자면 황산 암모늄, 암모늄 포스페이트, 질산 암모늄, 요소, 및 야채 기원의 생성물, 예컨대 곡분, 목피 분말, 목재 분말 및 견과피 분말, 셀룰로스 분말 및 기타 고체 담체이다.
조성물 유형의 예는 하기이다:
1. 물과의 희석을 위한 조성물 유형
i) 수용성 농축액 (SL, LS)
1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90 중량부의 물 또는 수용성 용매에 용해시킨다. 대안으로는, 습윤제 또는 다른 보조제가 첨가된다. 활성 물질은 물을 사용한 희석시에 용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0 중량%의 활성물질 함량을 가지는 조성물이 수득된다.
ii) 분산가능 농축액 (DC)
2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10 중량부의 분산제,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이 첨가된 70 중량부의 시클로헥사논에 용해시킨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분산액이 생성된다. 활성 물질 함량은 20 중량%이다.
iii) 에멀션화가능 농축액 (EC)
15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피마자 오일 에톡실레이트 (각 경우 5 중량부)가 첨가된 75 중량부의 크실렌에 용해시킨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에멀션이 생성된다. 조성물은 15 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가진다.
iv) 에멀션 (EW, EO, ES)
25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칼슘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및 피마자 오일 에톡실레이트 (각 경우 5 중량부)가 첨가된 35 중량부의 크실렌에 용해시킨다. 에멀션화 기기 (울트라투락스)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30 중량부의 물에 도입하고, 균질한 에멀션으로 제조한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에멀션이 생성된다. 조성물은 25 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가진다.
v) 현탁액 (SC, OD, FS)
교반되는 볼 밀에서, 2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10 중량부의 분산제 및 습윤제, 및 70 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첨가하면서 미분함으로써, 미세 활성 물질 현탁액을 생성시킨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활성 물질의 안정한 현탁액이 생성된다. 조성물의 활성 물질 함량은 20중량%이다.
vi) 수분산성 과립 및 수용성 과립 (WG, SG)
5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50 중량부의 분산제 및 습윤제를 첨가하면서 미세하게 마쇄하고, 기계적 적용 (예, 압출, 분무탑, 유동화 상)에 의해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 과립으로 제조한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활성 물질의 안정한 분산액 또는 용액이 생성된다. 조성물은 50 중량%의 활성물질 함량을 가진다.
vii) 수분산성 분말 및 수용성 분말 (WP, SP, SS, WS)
75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25 중량부의 분산제, 습윤제 및 실리카 겔을 첨가하면서 로터-고정자 밀에서 마쇄한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활성 물질의 안정한 분산액 또는 용액이 생성된다. 조성물의 활성 물질 함량은 75 중량%이다.
viii) 젤 (GF)
교반되는 볼 밀에서, 2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10 중량부의 분산제, 1 중량부의 젤화 습윤제 및 70 중량부의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첨가하면서 미분함으로써, 활성 물질의 미세 현탁액을 생성시킨다.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면 활성 물질의 안정한 현탁액이 생성됨으로써, 20 % (w/w)의 활성 물질을 가지는 조성물이 수득된다.
2. 희석되지 않고 적용되는 조성물 유형
ix) 더스트화가능 분말 (DP, DS)
5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미세하게 마쇄하고, 95 중량부의 미분할된 카올린과 철저히 혼합한다. 이는 5 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가지는 더스트화가능 조성물을 생성시킨다.
x) 과립 (GR, FG, GG, MG)
0.5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미세하게 마쇄하고, 99.5 중량부의 담체와 혼합한다. 현재의 방법은 압출, 분무-건조 또는 유동화 상이다. 이는 0.5 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가지는, 희석되지 않고 적용되는 과립을 생성시킨다.
xi) ULV 용액 (UL)
10 중량부의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을 90 중량부의 유기 용매, 예컨대 크실렌에 용해시킨다. 이는 10 중량%의 활성 물질 함량을 가지는, 희석되지 않고 적용되는 조성물을 생성시킨다.
상기 농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95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0 중량% 사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 사이의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활성 물질은 9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95 % 내지 100 % (NMR 스펙트럼에 따름)의 순도로 사용된다. 수용성 농축액 (LS), 유동가능 농축액 (FS), 건조 처리용 분말 (DS), 슬러리 처리용 수분산성 분말 (WS), 수용성 분말 (SS), 에멀션 (ES), 에멀션화가능 농축액 (EC) 및 젤 (GF)이 보통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의 처리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성물들은 희석되거나 희석되지 않고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즉석 조제시 2-내지-10배 희석으로 0.0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 중량%의 활성 물질 농도를 생성시킨다. 적용은 파종 전 또는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에 각각 농약 화합물 및 그의 조성물을 적용 또는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에 알려져 있는데, 번식 재료의 드레싱, 코팅, 펠렛화, 더스트화, 침지, 및 인-퍼로우(in-furrow) 적용법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또는 그의 조성물은 각각 예컨대 종자 드레싱, 펠렛화, 코팅 및 더스트화에 의해 발아가 유도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식물 번식 재료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현탁액-유형 (FS) 조성물이 종자 처리에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FS 조성물은 1-800 g/l의 활성 물질, 1-200 g/l의 계면활성제, 0 내지 200 g/l의 부동제, 0 내지 400 g/l의 바인더, 0 내지 200 g/l의 색소 및 1 리터 이하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은 그대로, 또는 그의 조성물 형태, 예를 들면 분무, 분사, 더스트화, 살포, 솔질, 침지 또는 붓기에 의해 직접 분무가능한 용액, 분말, 현탁액, 분산액, 에멀션, 오일 분산액, 페이스트, 더스트화가능 생성물, 살포용 재료, 또는 과립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적용 형태는 전적으로 의도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데; 매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물질의 가능한 가장 미세한 분포를 보장해야 한다.
수성의 적용 형태는 물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에멀션 농축액, 페이스트 또는 습윤성 분말 (분무가능 분말, 오일 분산액)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에멀션, 페이스트 또는 오일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습윤제, 점착화제, 분산제 또는 에멀션화제를 이용하여 그대로이거나 오일 또는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이 수중에서 균질화될 수 있다. 다르게는, 활성 물질, 습윤제, 점착화제, 분산제 또는 에멀션화제, 및 경우에 따라 용매 또는 오일로 구성되는 농축액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와 같은 농축액은 물을 사용하여 희석하기에 적합하다.
즉석 조제시의 활성 물질 농도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것은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 중량%의 활성 물질이다.
활성 물질은 초-저-부피 공정 (ULV)으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데, 95 중량%를 초과하는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 또는 심지어는 첨가제가 없는 활성 물질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되는 활성 물질의 양은 원하는 효과의 종류에 따라 ha 당 0.001 내지 2 kg, 바람직하게는 ha 당 0.005 내지 2 kg, 더욱 바람직하게는 ha 당 0.05 내지 0.9 kg, 특히 ha 당 0.1 내지 0.75 kg이다.
예컨대 종자를 더스트화, 코팅 또는 침지하는 것에 의한 종자와 같은 식물 번식 재료의 처리시에는,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킬로그램 당 0.1 내지 1000 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g,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g의 활성 물질 양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다양한 유형의 오일, 습윤제, 보조제, 제초제, 살세균제, 기타 살진균제 및/또는 살충제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 직전에 비로소 활성 물질 또는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탱크 혼합물). 이러한 제제들은 1:100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의 중량비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혼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조제는 구체적으로 유기 변형 폴리실록산 예컨대 브레이크 트루(Break Thru) S240®; 알콜 알콕실레이트 예컨대 아트플러스(Atplus) 245®, 아트플러스 MBA 1303®, 플루라팍(Plurafac) LF 300® 및 루텐솔(Lutensol) ON 30®; EO/PO 블록 중합체, 예컨대 플루로닉(Pluronic) RPE 2035® 및 제나폴(Genapol) B®; 알콜 에톡실레이트 예컨대 루텐솔 XP 80®; 및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나트륨 예컨대 레오펜(Leophen) RA®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살진균제로서의 사용 형태에서 다른 활성 물질, 예컨대 제초제, 살곤충제, 생장 조절제, 살진균제 또는 다르게는 비료와 함께 사전-혼합물로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 직전에 비로소 (탱크 혼합물)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혼합물은 식물 번식 재료, 예컨대 종자 및 묘목의 뿌리 및 새싹, 바람직하게는 종자의 보호에 사용된다.
종자 처리는 포장에의 식재 전에 종자상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자 처리 목적에 있어서, 본 발명의 2중, 3중 및 4중 혼합물에서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종자 처리에 특히 유용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하기이다:
A 가용성 농축액 (SL, LS)
D 에멀션 (EW, EO, ES)
E 현탁액 (SC, OD, FS)
F 수분산성 과립 및 수용성 과립 (WG, SG)
G 수분산성 분말 및 수용성 분말 (WP, SP, WS)
H 젤-제제 (GF)
I 더스트화가능 분말 (DP, DS)
이러한 조성물은 희석되거나 희석되지 않고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즉석 조제시 2-내지-10배 희석으로 0.0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 중량%의 활성 물질 농도를 생성시킨다. 적용은 파종 전 또는 동안에 수행될 수 있다. 식물 번식 재료, 특히 종자에 각각 농약 화합물 및 그의 조성물을 적용 또는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업계에 알려져 있는데, 번식 재료의 드레싱, 코팅, 펠렛화, 더스트화 및 침지 적용법(및 또한 인-퍼로우 처리)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화합물 또는 그의 조성물은 각각 예컨대 종자 드레싱, 펠렛화, 코팅 및 더스트화에 의해 발아가 유도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식물 번식 재료에 적용된다.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의 처리에 있어서, 본 발명 혼합물의 적용율은 일반적으로 제제화된 생성물 (보통 10 내지 750 g/l의 활성물질(들)을 포함함) 기준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혼합물, 또는 2종 이상 활성 성분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또는 각각 1종의 활성 성분을 제공하는 2종 이상 조성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즉 그것에 의해 코팅되거나, 및/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식물의 번식 생성물, 특히 종자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는 식물 번식 재료 (바람직하게는 종자) 100 kg 당 0.1 g 내지 10 kg의 양으로 본 발명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형질전환 식물, 그의 일부, 세포 또는 세포기관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형진전환", "형질전환유전자" 또는 "재조합체"는 예를 들면
(a)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 또는
(b)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서열과 기능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유전적 조절 서열(들), 예컨대 프로모터, 또는
(c) a) 및 b)
중 어느 것이 그의 자연상 유전 환경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재조합법에 의해 변형되어 있는, 핵산 서열, 발현 카세트 또는 벡터, 재조합법에 의해 초래되는 모든 구성체에 의해 형질전환된 핵산 서열 또는 생물체를 포함하는 핵산 서열, 발현 카세트, 유전자 구성체 또는 벡터와 관련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변형은 예를 들면 1개 이상 뉴클레오티드 잔기의 치환, 부가, 삭제, 역전 또는 삽입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연상 유전 환경은 원래 식물에서의 자연상 게놈 또는 크로모좀 좌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해되며, 게놈 라이브러리 중의 존재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게놈 라이브러리의 경우에는, 핵산서열의 자연상 유전 환경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환경은 적어도 일측에 상기 핵산 서열을 끼고 있으며, 50 bp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 bp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bp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0 bp 이상의 서열 길이를 가진다. 자연 발생 발현 카세트 - 예를 들면 핵산 서열의 자연상 프로모터의 해당 핵산 서열과의 자연 발생 조합 -는 비-자연적인 합성적 ("인공적") 방법, 예를 들자면 돌연변이 처리에 의해 해당 발현 카세트가 변형되는 경우에 형질전환 발현 카세트가 된다. 적합한 방법들은 예를 들면 US 5565350호 또는 WO 2000/15815호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상 형질전환 식물은 해당 핵산이 해당 식물 게놈의 자연상 좌위에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양해되며, 핵산이 동종 또는 이종으로 발현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언급된 바와 같이, 형질전환은 핵산이 식물 게놈의 자연상 위치에 있으면서, 서열이 자연상 서열에 비해 변형되었거나, 및/또는 자연상 서열의 조절 서열이 변형된 것도 의미한다. 형질전환은 바람직하게는 게놈의 비자연적 좌위에서의 핵산의 발현, 즉 핵산의 동종 또는 바람직하게는 이종 발현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바람직한 형질전환 식물은 본원에서 언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질전환 식물은 표 A에 열거되어 있는 어느 것, 예컨대 A-1 내지 A-156 중 어느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형질전환 식물은 형질전환유전자로서 표 B에 열거되어 있는 유전자들 중 임의의 1종 또는 수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이 형질전환 식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형질전환 식물로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다른 형질전환 식물이 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하기 부문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에 적합한 형질전환 식물을 제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한다. 업계 숙련자라면, 형질전환 식물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법이 본 발명을 실행함에 있어서의 해당 식물의 사용에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본원에서 지칭될 때의 "도입" 또는 "형질전환"이라는 용어는 전달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외인성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숙주 세포로의 전달을 포괄한다. 특히 형질전환 식물과 관련하여, "형질전환" 또는 "형질전환된"은 바람직하게는 전달에 사용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외인성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숙주 세포로의 전달을 지칭한다.
형질전환 방법에는 리포좀, 전기영동, 유리 DNA 흡수를 증가시키는 화학물질, DNA의 식물로의 직접 주입, 입자총 투사, 바이러스 또는 화분을 사용한 형질전환, 및 미세투사의 사용이 포함된다. 방법은 원형질체용 칼슘/폴리에틸렌 글리콜법 (문헌 [Krens, F.A. et al., (1982) Nature 296, 72-74]; [Negrutiu I et al. (1987) Plant Mol Biol 8: 363-373]); 원형질체의 전기영동 (문헌 [Shillito R.D. et al. (1985) Bio/Technol 3, 1099-1102]); 식물 재료로의 미세주입 (문헌 [Crossway A et al., (1986) Mol. Gen Genet 202: 179-185]); DNA 또는 RNA-코팅 입자 투사 (문헌 [Klein TM et al., (1987) Nature 327: 70]), (비-통합성) 바이러스를 사용한 주입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형질전환 작물 식물을 포함한 형질전환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아그로박테리움-매개 형질전환을 통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적합한 벡터 예컨대 2원 벡터가 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적합한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예컨대 LBA4044로 형질전환될 수 있다. 다음에, 그와 같이 형질전환된 아그로박테리움은 하기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물 세포를 형질전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I: 식물 형질전환 실시예
벼 형질전환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을 사용하여 오리자 사티바 식물을 형질전환시킨다. 벼 자포니카 재배종 니폰바레의 성숙한 건조 종자를 탈피시킨다. 70 % 에탄올에서 1분 동안, 이어서 0.2 % HgCl2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살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15분 동안 6회 세척함으로써, 살균을 수행한다. 다음에, 살균된 종자를 2,4-D를 함유하는 배지 (유합조직 유도 배지)에서 발아시킨다. 어둠 속에서 4주 배양 후, 배형성 배반-유래 유합조직을 절개하여, 동일 배지에서 번식시킨다. 2주 후, 동일 배지에서 다시 2주 동안 2차배양함으로써, 상기 유합조직을 복제 또는 번식시킨다. 배형성 유합조직 단편을 새로운 배지에서 3일 동안 2차-배양한 후, 공동-배양한다 (세포 분열 활성을 촉진하기 위함).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 균주 LBA4404를 사용하여 공동-배양한다. 아그로박테리움을 적절한 항생물질과 함께 AB 배지에 접종하고, 28 ℃에서 3일 동안 배양한다. 다음에, 세균을 수집하여, 약 1의 밀도 (OD600)로 액체 공동-배양 배지에 현탁시킨다. 다음에, 상기 현탁액을 페트리 디쉬로 이전하고, 유합조직을 15분 동안 현탁액에 침지시킨다. 다음에, 유합조직의 조직을 건조하게 여과지 상에 흡착시키고, 고체화된 공동배양 배지로 이전한 후, 어둠 속에서 25 ℃로 3일 동안 배양한다. 2,4-D-함유 배지에서, 공동-배양된 유합조직을 선택제의 존재하에 어둠 속에서 28 ℃로 4주 동안 생장시킨다. 이 기간 동안, 빠르게 생장하는 저항성 유합조직 세포군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재료를 재생 배지로 이전하여 광하에서 배양하게 되면, 배형성 잠재력이 발휘되어 이후 4주 내지 5주 이내에 새싹이 발생된다. 유합조직으로부터 새싹을 절개하여, 옥신-함유 배지에서 2 내지 3주 동안 배양한 후, 그로부터 토양으로 이전한다. 단단해진 새싹은 온실 내에서 높은 습도 및 단일(short days)하에 생장된다.
대략 35개의 개별적인 T0 벼 형질전환체들을 일 구성용으로 생성시킨다. 상기 1차 형질전환체들을 조직 배양 챔버로부터 온실로 이전한다. T-DNA 삽입물의 복제 수를 확인하기 위한 정량 PCR 분석 후,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단일 복제 형질전환 식물만을 T1 종자 수확용으로 유지한다. 다음에, 이식 3 내지 5개월 후에 종자를 수확한다. 본 방법은 50 %를 초과하는 비율로 단일 좌위 형질전환체를 산출한다 (문헌 [Aldemita and Hodges 1996], [Chan et al. 1993], [Hiei et al. 1994]).
대략 35개의 개별적인 T0 벼 형질전환체들을 생성시킨다. 상기 1차 형질전환체들을 조직 배양 챔버로부터 생장 및 T1 종자의 수확을 위한 온실로 이전한다. T1 자손이 형질전환유전자의 존재/부재에 있어서 3:1로 분리된 6개의 품목을 유지한다. 이들 품목 각각에 대하여, 시각적 마커 발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형질전환유전자를 함유하는 대략 10개의 T1 묘 (이형- 및 동형-접합체), 및 형질전환유전자가 없는 대략 10개의 T1 묘 (무효접합체(nullizygote))를 선택한다.
옥수수 형질전환
문헌 [Ishida et al. (1996) Nature Biotech 14(6): 745-50]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의 변형을 사용하여 메이즈 (제아 마이스)의 형질전환을 수행한다. 형질전환은 옥수수의 유전형-의존성으로써, 고유의 유전형만이 형질전환 및 재생에 적합하다. 동종번식된 주 A188 (미네소타 대학교) 또는 모체로서의 A188과의 하이브리드는 우수한 형질전환용 수여체 재료의 공급원이나, 다른 유전형들 역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분 (DAP) 대략 11일 후 미성숙 배의 길이가 약 1 내지 1.2 mm일 때 옥수수 식물로부터 이삭을 수확한다. 미성숙 배를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와 함께 공동배양하고, 기관형성 내내 형질전환 식물을 회수한다. 절개된 배를 유합조직 유도 배지에서 생장시킨 다음, 선택제 (예컨대 이미다졸리논, 그러나 다양한 선택 마커가 사용될 수 있음)를 함유하는 옥수수 재생 배지에서 생장시킨다. 페트리 플레이트를 광하에서 25 ℃로 2-3주 동안, 또는 새싹이 발생될 때까지 배양한다. 미성숙 새싹을 각 배로부터 옥수수 뿌리발생 배지로 이전하고, 뿌리가 발생될 때까지 25 ℃로 2-3주 동안 배양한다. 뿌리가 발생된 새싹을 온실 내 토양에 이식한다.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며, T-DNA 삽입물의 단일 복제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T1 종자를 생산한다.
밀 형질전환
문헌 [Ishida et al. (1996) Nature Biotech 14(6): 745-50]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하여 밀의 형질전환을 수행한다. 형질전환에는 보통 재배종 보브화이트(Bobwhite) (멕시코 소재 시미트(CIMMYT) 사에서 구입가능함)를 사용한다. 미성숙 배를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와 함께 공동-배양하고, 기관형성 내내 형질전환 식물을 회수한다. 아그로박테리움과의 배양 후, 배를 유합조직 유도 배지에서 시험관 내로 생장시킨 다음, 선택제 (예컨대 이마졸린온, 그러나 다양한 선택 마커들이 사용될 수 있음)를 함유하는 재생 배지에서 생장시킨다. 페트리 플레이트를 광하에서 25 ℃로 2-3주 동안, 또는 새싹이 발생될 때까지 배양한다. 미성숙 새싹을 각 배로부터 뿌리발생 배지로 이전하고, 뿌리가 발생될 때까지 25 ℃로 2-3주 동안 배양한다. 뿌리가 발생된 새싹을 온실 내 토양에 이식한다.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며, T-DNA 삽입물의 단일 복제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T1 종자를 생산한다.
대두 형질전환
텍사스(Texas) A&M사의 특허 US 5,164,310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의 변형에 따라 형질전환한다. 수종의 시중 대두 변종들이 상기 방법에 의한 형질전환에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재배종 잭(Jack) (일리노이 시드 파운데이션(Illinois Seed foundation) 사로부터 구입가능함)이 형질전환에 사용된다. 시험관 내 파종을 위하여, 대두 종자를 살균한다. 배축, 잔뿌리 및 하나의 떡잎을 7일령의 어린 묘로부터 절개한다. 상배축 및 나머지 떡잎은 더 생장시켜 보조 마디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보조 마디를 절개하여,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와 함께 배양한다. 공동배양 처리 후, 외식편을 세척하여(ished), 선택 배지로 이전한다. 재생된 새싹을 절개하여, 새싹 연장 배지에 위치시킨다. 1 cm를 넘지 않는 새싹을 뿌리가 발생될 때까지 뿌리발생 배지에 위치시킨다. 뿌리가 발생된 새싹을 온실 내의 토양으로 이전한다.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며, T-DNA 삽입물의 단일 복제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T1 종자를 생산한다.
평지씨
/
카놀라
형질전환
5-6일령 어린 묘의 떡잎 잎꼭지 및 배축을 문헌 [Babic et al. (1998, Plant Cell Rep 17: 183-188)]에 따른 조직 배양 및 형질전환을 위한 외식편으로 사용한다. 시중의 재배종인 웨스타(Westar) (아그리컬쳐 캐나다(Agriculture Canada) 사)가 형질전환에 사용되는 표준 변종이나, 다른 변종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시험관 내 파종을 위하여, 카놀라 종자를 표면-살균한다. 시험관 내 묘로부터 떡잎이 붙어 있는 떡잎 잎꼭지 외식편을 절개하고, 잎꼭지 외식편의 절단 단부를 세균 현탁액에 침지함으로써 아그로박테리움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것)을 접종한다. 다음에, 상기 외식편을 3 mg/l의 BAP, 3 % 슈크로스, 0.7 % 피타가르를 함유하는 MSBAP-3 배지에서 23 ℃, 16시간 광으로 2일 동안 배양한다. 아그로박테리움과의 공동-배양 2일 후, 잎꼭지 외식편을 3 mg/l의 BAP, 세포탁심, 카르베니실린, 또는 티멘틴 (300 mg/l)을 함유하는 MSBAP-3 배지로 이전하여 7일 동안, 그 다음에는 세포탁심, 카르베니실린, 또는 티멘틴 및 선택제를 함유하는 MSBAP-3 배지에서 새싹이 발생할 때까지 배양한다. 새싹이 5-10 mm 길이가 되면, 그것을 절단하여 새싹 연장 배지 (0.5 mg/l의 BAP를 함유하는 MSBAP-0.5)로 이전한다. 약 2 cm 길이의 새싹을 뿌리 유도를 위한 뿌리발생 배지 (MS0)로 이전한다. 뿌리가 발생된 새싹을 온실 내 토양으로 이식한다.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며, T-DNA 삽입물의 단일 복제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T1 종자를 생산한다.
알팔파
형질전환
문헌 [McKersie et al., 1999 Plant Physiol 119: 839-847]의 방법을 사용하여 알팔파 (메디카고 사티바)의 재생 클론을 형질전환한다. 알팔파의 재생 및 형질전환은 유전형 의존성이며, 그에 따라 재생 식물(regenerating plant)을 필요로 한다. 재생 식물을 수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문헌 [Brown DCW and A Atanassov (1985. Plant Cell Tissue Organ Culture 4: 11 1 -112)]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재배종 란젤란더(Rangelander) (아그리컬쳐 캐나다 사) 또는 임의의 다른 시중 알팔파 변종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르게는, 조직 배양에 사용하기 위하여 RA3 변종 (위스콘신 대학교)이 선택된 바도 있다 (문헌 [Walker et al., 1978 Am J Bot 65: 654-659]). 잎꼭지 외식편을 발현 벡터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 C58C1 pMP90 (문헌 [McKersie et al., 1999 Plant Physiol 119: 839-847]) 또는 LBA4404의 오버나잇 컬쳐(overnight culture)와 함께 공동배양한다. 외식편은 288 mg/L의 프롤린, 53 mg/L의 티오프롤린, 4.35 g/L의 K2SO4, 및 100 μm의 아세토시린진온을 함유하는 SH 유도 배지 중 어둠 속에서 3일 동안 공동배양된다. 상기 외식편을 절반-농도의 무라시게-스쿠그(Murashige-Skoog) 배지 (문헌 [Murashige and Skoog, 1962])로 세척하고, 아세토시린진온이 없으나 적합한 선택제, 및 아그로박테리움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적합한 항생물질이 포함된 동일 SH 유도 배지에 플레이팅한다. 수주 후, 체세포 배를 생장 조절제, 항생물질을 함유하지 않고 50 g/L의 슈크로스를 함유하는 BOi2Y 발생 배지로 이전한다. 이후, 절반-농도의 무라시게-스쿠그 배지에서 체세포 배를 발아시킨다. 뿌리가 발생된 묘를 포트로 이전하여, 온실 내에서 생장시킨다. 선택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며, T-DNA 삽입물의 단일 복제를 함유하는 식물로부터 T1 종자를 생산한다.
면화 형질전환
US 5,159,13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를 사용하여 면화를 형질전환한다. 3 %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 중에서 20분 동안 면화 종자를 표면 살균한 후, 500 ㎍/ml의 세포탁심을 포함하는 증류수 중에서 세척한다. 다음에, 상기 종자를 발아를 위하여 50 ㎍/ml의 베노밀을 포함하는 SH-배지로 이전한다. 4 내지 6일령 묘의 배축을 제거하고, 0.5 cm의 단편으로 절단한 후, 0.8 % 아가 상에 위치시킨다. 배축 외식편의 접종에는 아그로박테리움 현탁액 (ml 당 대략 108 세포, 대상 유전자 및 적합한 선택 마커를 사용하여 형질전환된 오버나잇 컬쳐로부터 희석됨)을 사용한다. 실온 및 광에서 3일 후, B5 비타민이 포함된 무라시게 및 스쿠그 염 (문헌 [Gamborg et al., Exp. Cell Res. 50: 151-158 (1968)]), 0.1 mg/l의 2,4-D, 0.1 mg/l의 6-푸르푸릴아미노퓨린 및 750 ㎍/ml의 MgCl2, 그리고 잔류 세균을 사멸시키기 위한 50 내지 100 ㎍/ml의 세포탁심 및 400-500 ㎍/ml의 카르베니실린을 포함하는 고체 배지 (1.6 g/l의 젤라이트(Gelrite))로 조직을 이전한다. 2 내지 3개월 후에 개별 세포 주들을 단리하고 (매 4 내지 6주 마다 2차 배양), 조직 증폭을 위하여 선택 배지에서 추가 배양한다 (30 ℃, 광기간 16시간). 이후, 형질전환된 조직을 비-선택성 배지에서 2 내지 3개월 동안 추가 배양하여, 체세포 배를 생성시킨다. 4 mm 이상 길이의 활력있게 보이는 배를 미세 버미큘라이트 중에 SH 배지를 포함하며, 0.1 mg/l의 인돌 아세트산, 6 푸르푸릴아미노퓨린 및 기베렐산이 보충된 튜브로 이전한다. 30 ℃에서 16시간의 광기간으로 배를 배양하고, 2 내지 3엽 단계의 묘를 버미큘라이트 및 영양소가 포함된 포트로 이전한다. 식물이 단단해진 이후 추가 배양을 위해 온실로 이동시킨다.
아라비도프시스
식물 형질전환
대략 30-60 ng의 제조된 벡터 및 정해진 양의 제조된 증폭물을 혼합하고, 65 ℃에서 15분 동안, 이어서 37 ℃까지 0.1 ℃/1초로, 이후 37 ℃로 10분 동안, 이어서 0.1 ℃/1초로 4-10 ℃까지, 하이브리드화한다.
적절한 이. 콜라이 세포 (균주 DH5알파)의 첨가, 및 1 ℃에서의 20분 동안의 배양 후, 이어지는 42 ℃에서의 90초 동안의 열 충격, 및 1-4 ℃로의 냉각에 의해, 라이게이팅된 구성물을 동일 반응 용기에서 형질전환한다. 다음에, 완전 배지 (SOC)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7 ℃에서 45분 동안 배양한다. 이후, 전체 혼합물을 0.05 mg/ml의 카나마이신을 포함하는 아가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37 ℃에서 밤새 배양한다.
통합 부위의 상류 및 하류에 결합함으로써 삽입물의 증폭을 가능케 하는 프라이머의 도움에 의한 증폭으로 클로닝 단계의 결과를 확인한다. 증폭은 Taq DNA 폴리머라제 (기브코-BRL 사)의 프로토콜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수행한다.
증폭 주기는 하기와 같다:
94 ℃에서 1-5분의 1 주기, 이후 매 경우 94 ℃에서 15-60초, 50-66 ℃에서 15-60초 및 72 ℃에서 5-15분의 35 주기, 이후 72 ℃에서 10분 다음 4-16 ℃의 1주기.
수개의 집락을 조사하지만, 예상 크기의 PCR 생성물이 검출되는 하나의 집락만을 하기의 단계에 사용한다.
이와 같은 양성 집락의 일부를 카나마이신이 보충된 완전 배지 (LB)가 충전된 반응 용기로 이전하고, 37 ℃에서 밤새 배양한다.
키아프레프(Qiaprep) 또는 뉴클레오스핀 멀티(NucleoSpin Multi)-96 플러스 표준 프로토콜 (키아젠(Qiagen) 또는 매커리-나겔(Macherey-Nagel) 사)에 상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미드 제조를 수행한다.
형질전환 식물의 생성
1-5 ng의 단리된 플라스미트 DNA를 전기영동 또는 형질전환에 의해 아그로박테리움 튜메파시엔스 균주 GV 3101 pMP90 (문헌 [Koncz and Schell, Mol. Gen. Gent. 204, 383 (1986)])의 적절한 세포로 형질전환한다. 이후, 완전 배지 (YEP)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28 ℃에서 3시간 동안 새로운 반응 용기로 이전한다. 이후, 모든 반응 혼합물을 각 항생물질, 예컨대 리팜피신 (0.1 mg/ml), 젠타마이신 (0.025 mg/ml) 및 카나마이신 (0.05 mg/ml)이 보충된 YEP 아가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28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다.
다음에, 플라스미드 구성체를 함유하는 아그로박테리아를 식물의 형질전환에 사용한다.
피펫 팁의 도움으로 아가 플레이트로부터 집락을 뽑아내어,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은 적합한 항생물질들을 함유하는 액체 TB 배지 3 ml에 흡수시킨다. 상기 예비배양물을 28 ℃ 및 120 rpm으로 48시간 동안 생장시킨다.
상기와 동일한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400 ml의 LB 배지를 주 배양에 사용한다. 상기 예비배양물을 주 배양으로 이전한다. 그것을 28 ℃ 및 120 rpm으로 18시간 동안 생장시킨다. 4000 rpm에서의 원심분리 후, 펠렛을 침투 배지 (MS 배지, 10 % 슈크로스)에 재현탁시킨다.
형질전환용 식물을 생장시키기 위하여, 디쉬 (피키 사아트(Piki Saat) 80, 녹색, 저부 스크린 구비, 30×20×4.5 cm, 비에사우플라스트, 쿤츠토프테크니크(Wiesauplast, Kunststofftechnik) 사, 독일)를 GS 90 기질 (표준 오일, 베르크베르반트(Werkverband) E.V. 사, 독일)로 절반 충전한다. 상기 디쉬를 0.05 % 프로플란트(Proplant) 용액 (키막-아프리파르(Chimac-Apriphar) 사, 벨기에)로 밤새 관개한다. 아라비도프시스 탈리아나 C24 종자 (노팅햄 아라비도프시스 스탁 센터, 영국; NASC 스탁 N906)를 디쉬 당 대략 1000 종자로 디쉬 상에 살포한다. 상기 디쉬를 후드로 덮어, 층화(Stratification) 설비에 위치시킨다 (8시간, 110 μmol/m2s1, 22 ℃; 16시간, 어둠, 6 ℃). 5일 후, 디쉬를 단일 환경 조절 챔버 (8시간, 130 μmol/m2s1, 22 ℃; 16시간, 어둠, 20 ℃)에 위치시키고, 그것을 제1 진엽이 형성될 때까지 대략 10일 동안 유지한다.
상기 묘를 동일 기질을 함유하는 포트 (테쿠(Teku) 포트, 7 cm, LC 시리즈, 독일 소재 포펠만(Poppelmann) GmbH & Co. 사 제조)로 이전한다. 5개의 식물체를 각 포트로 이식한다. 다음에, 식물이 생장을 계속하도록 상기 포트를 단일 환경 조절 챔버로 복귀시킨다.
10일 후, 식물을 온실 캐비넷 (보조 조명, 16시간, 340 μE/m2s, 22 ℃; 8시간, 어둠, 20 ℃)로 이전하고, 여기에서 추가 17일 동안 생장시킨다.
형질전환을 위하여, 막 개화하기 시작한 6-주-령의 아라비도프시스 식물을 미리 10 ㎕의 실웨트(Silwett) L77 (크롬프톤(Crompton) S.A., 오시 스페셜티즈(Osi Specialties) 사, 스위스)로 처리된 상기 아그로박테리아 현탁액에 10초 동안 침지한다. 본 방법에 대해서는 문헌 [Clough J.C. and Bent A.F. (Plant J. 16, 735 (1998))]에 기술되어 있다.
이후, 식물을 18시간 동안 가습 챔버에 위치시킨다. 이후, 식물이 생장을 계속하도록 포트를 온실로 복귀시킨다. 종자가 수확 준비될 때까지 추가 10주 동안 식물을 온실에서 유지시킨다.
형질전환된 식물의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저항성 마커에 따라 수확된 종자를 온실에 식재하고, 분무 선택에 적용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먼저 살균한 다음, 각 선택제가 보충된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 생장시킨다. 벡터가 저항성 마커로서 bar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0.02 % 바스타(BASTA)®을 사용하여 묘를 2 내지 3일의 간격으로 4회 분무하고, 형질전환된 식물이 종자를 산출하도록 한다.
형질전환 A. 탈리아나 식물의 종자는 냉동고 (-20 ℃)에서 저장한다.
실시예 II: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N-[2-(1,3-디메틸부틸)-페닐]-1,3-디메틸-5-플루오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및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의 적용.
II.A 종자 처리
대조 및 T2 세대의 재배 옥수수 종자를 탈염수 (무처리), 10 그램 내지 200 그램의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로 처리하는데; 모든 제제 비율은 그램/100kg종자이다. 모든 제제는 대략 80개의 종자에 적용된다. 플라스크의 측면 및 저부를 따라 125 ml 플라스크에 제제를 피펫팅한 후, 종자를 첨가하고, 30초 동안 플라스크를 흔든다. 다음에, 코팅된 종자를 플라스크로부터 꺼내어, 건조를 위해 플라스틱 디쉬에 위치시킨다.
포트용 매체로 처리 당 75개의 3-L 포트를 충전하여, 착색된 말뚝으로 표지하고, 고유 바코드를 부여한다. 대략 2 cm의 깊이로 포트 당 1개의 종자를 식재한 후, 매체로 덮는다. 종자를 적실 정도로 약하게 매체를 관개하는 동시에, 광범위한 산소 교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자상의 화학물질 코팅이 손상 없이 유지되도록 한다. 식재 후, 포트를 무작위로 3반복의 각각 25개의 전체 처리 식물을 포함하는 블록 (1 벤치 = 1 블록)으로 분배한다.
식물은 출현시까지 적정하게 잘 관개되는 조건 (80-90 % 포장 용량)하에 온실 내에서 유지된다. 매 3일마다 관개 동안 보충 영양소가 투여된다. 온실 온도는 30 ℃, 상대 습도는 75 %, 그리고 15시간 주간/9-시간 야간 광기간의 350 μmol m-2s-1의 광으로 유지된다. 보충 광은 금속-할로겐화물 광을 사용하여 제공된다. 주 당 1회씩, 각 블록 내에서 포트를 무작위로 섞는다.
21일차에는, 형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WO2008/129060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식물을 화상화한다.
II.B 식물 처리
식물의 재배, 제초제를 사용한 그의 처리 및 살균제 활성의 평가에 대해서는 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다.
카르복스아미드를 사용한 식물의 처리 및 처리 후 감염의 확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P0545099호, WO200307075호, WO2006087343호, WO200435589호, EP846416호, DE19629828호, WO2003010149호, EP1313709호, JP 2000-342183호, EP1110956호, WO200142223호, WO2000/09482호, WO200366609호, WO200374491호, WO200435555호, WO200439799호 및 EP915868호에 기술되어 있다.
III. 평가
III.A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된 벼 식물의 평가 절차
1. 평가 설정
재배 식물 및 상응하는 대조는 무작위의 위치에서 나란히 생장시킨다. 온실 조건은 단일 (12시간 광), 광하에 28 ℃ 및 어둠 속에서 22 ℃, 그리고 상대 습도 70 %이다. 비-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생장되는 식물은 물 및 영양소가 제한적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완전한 생장 및 발생을 위한 식물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규칙적인 간격으로 관개된다.
파종 단계로부터 성숙 단계까지, 식물을 수회 디지털 화상화 캐비넷으로 통과시킨다. 매 시점마다 6개 이상의 상이한 앵글로 각 식물의 디지털 화상 (2048×1536 픽셀, 16,000,000 컬러)을 촬영한다.
2. 통계 분석: F 시험
식물 형상 특성의 전체적인 평가를 위한 통계 모델로는 2 인자 아노바(ANOVA) (변종 분석)를 사용한다. 모든 식물의 모든 측정된 파라미터에 대하여 F 시험을 수행한다. 진성 포괄 유전자 효과에 대한 유의성의 역치는 F 시험에 대하여 5 % 가능성 수준으로 설정한다.
3. 측정되는 파라미터
생물량
-관련 파라미터 측정
파종 단계로부터 성숙 단계까지, 식물을 수회 디지털 화상화 캐비넷으로 통과시킨다. 매 시점마다 6개 이상의 상이한 앵글로 각 식물의 디지털 화상 (2048×1536 픽셀, 16,000,000 컬러)을 촬영한다.
식물 지상 면적 (또는 엽질 생물량)은 디지털 화상의 배경으로부터 구별되는 지상 식물 부분에서 총 픽셀 수를 계수함으로써 측정된다. 동일 시점에 상이한 앵글에서 촬영된 사진들에 대하여 상기 값을 평균하고, 보삽에 의해 제곱 mm로 표현되는 물리적 표면 값으로 전환한다. 실험에 따르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된 지상 식물 면적은 지상 식물 부분의 생물량과 상관된다. 상기 지상 면적은 식물이 그의 최대 엽질 생물량에 도달한 시점에 측정된 면적이다. 조기 활기는 발아 3주 후의 식물 (묘목) 지상면적이다. 뿌리 생물량의 증가는 총 뿌리 생물량 (식물 생애 동안 관찰되는 최대 뿌리 생물량으로 측정됨)의 증가; 또는 뿌리/새싹 지수 (뿌리 및 새싹의 활발한 생장 기간에서의 뿌리 질량과 새싹 질량 사이의 비로 측정됨)의 증가로 표현된다.
조기 활기는 배경으로부터 구별되는 지상 식물 부분의 총 픽셀 수를 계수하는 것에 의해 측정된다. 동일 시점에 상이한 앵글에서 촬영된 사진들에 대하여 상기 값을 평균하고, 보삽에 의해 제곱 mm로 표현되는 물리적 표면 값으로 전환한다.
종자-관련 파라미터 측정
성숙한 1차 원추꽃차례를 수확하여, 계수하고, 포장하여, 바코드-표지한 다음, 오븐에서 37 ℃로 3일 동안 건조한다. 다음에, 상기 원추꽃차례를 타작하여 모든 종자를 수집하고 계수한다. 공기-송풍 장치를 사용하여 충전된 껍질을 빈 것으로부터 분리한다. 빈 껍질은 폐기하고, 나머지 분획을 다시 계수한다. 충전된 껍질을 분석용 저울에서 칭량한다. 상기 분리 단계 후 남아있는 충전된 껍질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충전된 종자의 수를 측정한다. 총 종자 산출은 식물로부터 수확된 모든 충전된 껍질을 칭량함으로써 측정한다. 식물 당 총 종자 수는 식물로부터 수확된 껍질의 수를 계수함으로써 측정된다. 천개 낟알 중량 (TKW)은 계수된 충전 종자의 수 및 그의 총 중량으로부터 외삽된다. 본 발명에서의 수확 지수 (HI)는 총 종자 산출과 지상 면적 (mm2) 사이의 비를 106 계수로 곱한 것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될 때의 원추꽃차례 당 꽃의 총 수는 총 종자 수와 성숙한 1차 원추꽃차례의 수 사이의 비이다. 본 발명에서 정의될 때의 종자 충전율은 총 종자 (또는 꽃) 수에 대한 충전된 종자 수의 비율 (%로 표현됨)이다.
실시예 III:B: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된 아라비도프시스 식물의 평가 절차
표준화된 생장 조건하에서의 산출 증가를 위한 식물 선별
본 실험에서는, 실질적인 비생물적 스트레스 부재시 표준화된 생장 조건하에서의 산출 증가 (이 경우: 생물량 산출 증가)를 위한 식물 선별이 수행될 수 있다. 표준 실험에서는, 영양소 풍부 토양 (GS90, 탄타우(Tantau) 사, 독일 반스도르프) 및 석영 모래의 3.5:1 (v/v) 혼합물로서 토양을 제조한다. 다르게는, 영양소 풍부 토양 (GS90, 탄타우 사, 독일)에 식물을 파종할 수 있다. 토양 혼합물을 사용하여 포트를 충전한 후 트레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토양 혼합물이 파종 절차를 위한 적절한 양의 물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이 트레이에 첨가될 수 있다. 형질전환 A. 탈리아나 식물 및 그의 대조 예컨대 비-형질전환 야생형의 종자를 포트 (6 cm 직경)에 파종할 수 있다. 4 ℃-5 ℃, 어둠 속에서의 3-4일 기간 동안에 층화가 확립될 수 있다. 종자의 발아 및 생장은 20 ℃, 대략 60 % 상대 습도, 16시간의 광기간 및 대략 200 μmol/m2s에서의 형광 광을 사용한 조명의 생장 조건에서 개시될 수 있다. 형질전환 종자가 균일한 형질전환체가 아닌 경우에는, 선택 단계, 예컨대 바스타(BASTA) 선택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10일차 또는 11일차에 (파종 9 또는 10일 후) 상부로부터 묘를 포함하는 포트에 분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표준 실험에서는, 수돗물 중 바스타 농축액 (183 g/l의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의 0.07 % (v/v) 용액이 1회 분무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르게는 0.02 % (v/v)의 바스타 용액이 3회 분무될 수 있다. 야생형 대조 식물은 수돗물로만 (수돗물에 용해된 바스타를 사용한 분무 대신) 분무될 수 있으나, 다른 것은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파종 13-14일 후에는, 묘의 과잉분을 제거하고 1개의 묘를 토양에 남김으로써, 식물을 개별화할 수 있다. 형질전환 품목 및 대조 식물은 챔버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표준화된 실험에서는, 덮개를 제거한 후 매 2일마다, 또는 다르게는 매일 관개가 수행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제제를 사용한 처리는 본 출원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또는 소정의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생물량 성능 측정을 위해서는, 수확시 (파종 24-29일 후)에 새싹을 절단하고 그것을 칭량하는 것에 의해 식물 신선 중량이 측정될 수 있다. 수확시에, 식물은 개화 전 및 화서의 생장 전 단계일 수 있다. 형질전환 식물은 동일자에 수확될 수 있는 비-형질전환 야생 대조 식물과 비교될 수 있다. 생물량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에 있어서의 유의성 값은 스튜던트 t 시험 (파라미터: 양-측, 비동일 변수)을 적용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2종의 상이한 유형의 실험 절차가 수행된다:
- 절차 1): 형질전환 구성체 당 3-4종의 개별적인 형질전환 주 (= 품목)들을 시험하고 (구성체 당 22-30 식물), 상기한 바와 같이 생물량 성능이 평가될 수 있다.
- 절차 2): 형질전환 구성체 당 5종 이하의 주가 연속 실험 단계 (4 이하)로 시험될 수 있다. 양성의 성능을 나타내는 구성체만을 다음 실험 단계에 적용한다. 보통 제1 단계에서는 구성체 당 5종의 식물이 시험될 수 있으며, 이후 단계에서는 30-60종의 식물이 시험될 수 있다. 생물량 성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평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실험 (절차 2)으로부터의 데이터는 2개 이상의 연속 실험 단계에서 증가된 생물량 성능을 나타내는 구성체에 대하여 나타내어 진다.
생물량 생성은 식물 로제트(rosette)를 칭량하는 것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생물량 증가는 동일 실험에서의 대조 식물의 평균 중량과 비교한 형질전환 식물의 평균 중량의 비로 계산될 수 있다. 형질전환체의 평균 생물량 증가가 제공될 수 있다 (유의성 값 < 0.3 및 생물량 증가 > 5 % (비 > 1.05)).
종자 산출은 식물로부터의 모든 종자를 수집하고, 천개 낟알 중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들이 업계에 알려져 있다.
IV. 해충 방제의 평가 절차
업계 숙련자라면, 상이한 식물 종들 및 병원체 유형에 있어서의 적합한 감염의 접종 및 평가 방법들을 알고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이다.
IV.A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에 의해 야기되는 벼 마름병의 살균 방제 (보호 작용)
포트-생장된 벼 묘의 잎에 상기한 바와 같은 활성 성분 농도를 함유하는 수성 현탁액을 분무하여 흘려보낸다. 식물을 공기-건조시킨다. 다음날, 1×106 포자/ml를 함유하는 피리큘라리아 오리자에의 수성 포자 현탁액을 식물에 접종한다. 시험 식물을 즉시 가습 챔버로 이전한다. 22-24 ℃ 및 100 %에 가까운 상대 주변 습도에서 6일 후, 잎에서의 진균 공격의 정도를 % 감소 옆면적으로서 시각적으로 평가한다.
IV.B 대두 녹병균에 대한 감수성의 평가
대두 녹병균은 브라질 유래의 야생형 단리물이다.
식물을 P. 파키리지로 접종한다.
적절한 접종용 포자 재료를 수득하기 위하여, 15-20일 전에 대두 녹병균이 감염된 대두 잎을 접종 2-3일 전에 채취하여, 아가 플레이트 (H2O 중 1 % 아가)로 이전한다. 잎은 그의 상부 측이 아가를 향하도록 위치시키는데, 이는 진균이 조직을 통하여 생장되어 매우 젊은 포자를 생성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접종 용액용으로, 포자를 잎으로부터 털어내어, 트윈-H2O 용액에 첨가한다. 포자의 계수는 광학 현미경하에서 토마(Thoma) 계수 챔버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식물의 접종을 위하여, 포자 현탁액을 압축-공기 가동 분무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 잎 표면이 충분히 가습될 때까지 식물 또는 잎에 균일하게 적용한다. 현미경용으로는, 10×105 포자/ml의 밀도가 사용된다. 접종된 식물은 평균 22 ℃ 및 > 90 %의 공기 습도를 가지는 온실 챔버에 24시간 동안 위치시킨다. 접종된 잎은 동일한 조건하에 폐쇄된 페트리 디쉬 내의 0.5 % 식물 아가 상에서 배양한다. 하기의 배양은 평균 25 ℃ 및 70 %의 공기 습도를 가지는 챔버에서 수행한다.
병원체 발생의 평가를 위하여, 접종된 식물의 잎을 아닐린 블루로 염색한다.
아닐린블루 염색은 형광 물질의 검출에 사용된다. 숙주 상호작용 및 비-숙주 상호작용에서의 방어 반응 동안에는, 페놀, 칼로스 또는 리그닌과 같은 물질들이 축적 또는 생성되어, 돌기에 국소적으로 또는 전체 세포에서 (과민 반응, HR) 세포 벽에 통합된다. 아닐린 블루와 결합되어 복합체가 형성되는데, 예컨대 칼로스의 경우 이것은 황색의 형광으로 이어진다. 잎 재료를 탈염색 용액 II (에탄올/아세트산 6/1)를 함유하는 팔콘 튜브 또는 디쉬로 이전하고, 워터 배스에서 90 ℃로 10-15분 동안 배양한다. 이후, 즉시 탈염색 용액 II를 제거하고, 물을 사용하여 잎을 2회 세척한다. 염색을 위하여, 염색 용액 II (0.05 % 아닐린 블루 = 메틸 블루, 0.067 M 디-칼륨 수소 포스페이트) 중에서 1.5-2시간 동안 잎을 배양하고, 이후 즉시 현미경으로 분석한다.
상이한 상호작용 유형을 현미경으로 평가 (계수)한다. 올림푸스(Olympus) UV 현미경 BX61 (입사 광) 및 UV 롱패스 필터 (여기: 375/15, 광선 분산기: 405 LP)를 사용한다. 아닐린 블루 염색 후, 포자는 UV 광하에서 청색으로 나타난다. 돌기는 진균 부착기 아래에서의 그린/옐로우 염색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과민 반응 (HR)은 전체적인 세포 형광을 특징으로 한다.
IV.C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에 대한 감수성 평가
예를 들면 감자에서,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 저항성이 평가될 수 있다.
플랜트 리서치 인터내셔날 B.V. 사 (와게닝겐, 네델란드)로부터 3종의 상이한 P. 인페스탄스 단리물을 수득한다.
병 분석: 분리엽
분리엽 분석을 위하여, 온실에서 6 내지 12주 동안 생장된 식물로부터의 잎을 대략 35×4×4 cm의 수-포화 화초용 발포체 단편에 위치시키고, 저부가 천공되어 있는 트레이 (40 cm 폭, 60 cm 길이 및 6 cm 높이)에 놓는다. 각 잎에 배축 측으로 포자낭포자 용액 2 액적 (각각 25 ㎕)을 접종한다. 이후, 수-포화 여과지가 위치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의 상부를 플라스틱 백에 넣고, 기후실에서 17 ℃, 및 형광 광 (필립스(Philips) TLD50W/84HF 및 오스람(OSRAM) L58W/21-840)에 의한 16시간/8시간의 주간/야간 광기간으로 배양한다. 6 내지 9일 후, P. 인페스탄스 병 증상의 발생에 대하여 잎을 평가한다.
평가:
접종 6 내지 9일 후에 명백하게 포자형성 병변을 나타내는 잎을 가지는 식물은 감수성 표현형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는 반면, 명백한 포자형성의 부재하에 접종 측에 시각적인 증상 또는 괴사를 나타내는 잎을 가지지 않는 식물은 저항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IV.D 페로노스포라 파라시티카 및 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에 대한 감수성의 평가
예를 들면 기생 진균인 페로노스포라 파라시티카 또는 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을 사용한 접종에 의해, 아라비도프시스 식물에서의 병원성 진균의 방제를 측정할 수 있다.
a) 페로노스포라 파라시티카
5 내지 8주령의 식물에 포자 현탁액 (분생 포자, 대략 106 포자/ml)을 분무한다.
접종된 식물을 플라스틱 백으로 덮고, 냉장고에서 16으로 밤새 습하고 어둡게 유지한다. 1일 후, 플라스틱 백을 먼저 개방하고, 나중에, 예를 들면 6시간 후에, 완전히 제거한다. 접종 6일 후, 식물을 다시 플라스틱 백에 밤새 넣어 두는데, 이는 포자형성을 유도한다. 이후 일차에는, 분생포자의 출현에 대하여 잎을 점검한다. 진균의 생장은 세포 내적으로 이후 일차 동안에 약한 백화로부터 심각한 잎의 괴사까지를 초래한다. 이러한 증상을 정량하고, 그의 중증도에 대하여 평가한다.
b) 에리시페 시코라세아룸
이 기생 진균은 아라비도프시스 식물에서 재배된다. 감염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질의 소형 브러시를 사용하여 감염된 잎의 분생포자를 수집한 후, 그것을 4주령 식물의 잎으로 이전한다. 다음에, 상기 식물을 20 ℃에서 7일 동안 배양한다. 해당 시간 후, 새로운 분생포자가 보이게 되며, 이후 일차 동안 백화 및 괴사가 보이게 된다. 이러한 증상을 정량하고, 그의 중증도에 대하여 평가한다.
V. 결과: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재배 식물은 식물 건강의 증가를 나타낸다.
VI.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된 식물의 평가 절차
카르복스아미드 화합물인 보스칼리드 및 이후 화합물 2로 지칭되는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두
브라질 상 파울로 산 안토니오 데 포쎄 캄피나스의 바스프 사 실험 단지에서 2008년에 대두를 생장시켰다. 대두를 ha 당 300000 식물체의 파종 비율로 식재하였다. 열 간격은 45 cm이었다. 구획(plot) 크기는 10 m2이었다.
생장 단계 55/61 (BBCH) 및 65/71 (BBCH)에, 리터 당 62.5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실험용 에멀션 농축액 (EC)으로서 0.48 l/ha 및 0.8 l/ha의 생성물 비율로 화합물 2를 2회 적용하였다. 상기 제제는 150 l/ha의 총 분무 부피로 적용하였다.
최종 처리 20일 후에, 구획 당 10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식물에서의 감염된 잎 면적 (표 1)을 평가하는 것에 의해 아시아 대두 녹병균 (파코프소라 파키리지)에 의한 감염을 평가하였다. 효능은 비처리 대조와 비교한 처리에서의 감염된 잎 면적의 % 감소로 계산하였다:
E = (1-a/b)*100
a %로 나타낸, 처리된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해당,
b %로 나타낸, 비처리 (대조)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대당.
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의 감염 잎 면적이 비처리 대조 식물의 그것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이 100 %의 감염 잎 면적 감소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고, 아시아 대두 녹병균에 의한 감염이 검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견본을 수확하여, 곡물 산출 및 천개 낟알 중량 (TGW)을 측정하였다 (표 1).
[표 ExVI-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는 아시아 대두 녹병균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활성은 대두 녹병균의 방제에 있어서 화합물 2 및 형질전환 변종 각각의 단일 효과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화합물 2로 형질전환 글리포세이트 내성 대두 변종을 처리할 때 더욱 더 증가된다. 또한, 화합물 2를 사용한 처리는 비처리 대조에 비해 곡물 산출의 증가를 초래한다. 처리 대두 수확 곡물의 곡물 중량 역시 비처리에 비해 증가된다. 대두 녹병균에 대한 효능에 있어서, 화합물 2 처리 및 형질전환 변종 양자의 단일 효과의 조합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형질전환 대두 변종을 처리할 경우에 곡물 산출 및 곡물 중량의 증가가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병 방제 및 곡물 산출에 있어서의 상승 효과가 화합물 2 처리의 형질전환 대두 변종과의 조합에서 관찰될 수 있다.
메이즈
브라질 상 파울로 산 안토니오 데 포쎄 캄피나스의 바스프 사 실험 단지에서 2008년에 메이즈를 생장시켰다. 변종 DKB 390을 ha 당 60,000 식물체의 파종 비율로 식재하였다. 열 간격은 80 cm이었다. 구획 크기는 30 m2이었다.
수염 출현시에 (생장 단계 51/55, BBCH), 리터 당 62.5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실험실용 에멀션 농축액 (EC)으로서 0.8 l/ha의 약률로 화합물 2를 1회 적용하였다. 제제는 200 l/ha의 총 분무 부피로 적용하였다.
화합물 2를 사용한 처리 28일 후, 구획 당 10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식물에서 감염된 잎 면적을 평가함으로써, 일반 녹병균 (푸시니아 소르기(Puccinia sorghi))에 의한 감염을 평가하였다 (표 2). 효능은 비처리 대조와 비교한 처리에서의 감염된 잎 면적의 % 감소로 계산하였다:
E = (1-a/b)*100
a %로 나타낸, 처리된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해당,
b %로 나타낸, 비처리 (대조)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대당.
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의 감염 잎 면적이 비처리 대조 식물의 그것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이 100 %의 감염 잎 면적 감소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고, 일반 녹병균에 의한 감염이 검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구획 당 10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식물체에서 처리 28일 후 녹색 잎 면적을 평가함으로써, 처리 및 대조 식물에서 녹색 잎 보유력을 평가하였다.
성숙시, 식물을 수확하고, 곡물 산출 및 천개 낟알 중량 (TGW)을 측정하였다 (표 2).
[표 ExVI-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는 메이즈에서 일반 녹병균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활성은 일반 녹병균의 방제에 있어서 화합물 2 및 형질전환 변종 각각의 단일 효과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화합물 2로 형질전환 글리포세이트 내성 및/또는 곤충 저항성 메이즈 변종을 처리할 때 더욱 더 증가된다. 화합물 2 처리된 식물은 또한 대조 식물에 비해 녹색 잎 면적에서의 증가를 나타낸다. 유사하게, 화합물 2로 처리된 형질전환 식물은 형질전환 변종, 또는 화합물 2로 통상적인 메이즈 식물을 처리하는 것을 사용하여 관찰될 수 있는 효과의 조합에서 기대될 수 있었던 것에 비해 더 큰 녹색 잎 조직의 증가를 나타낸다.
또한, 화합물 2를 사용한 처리는 비처리 대조에 비해 곡물 산출의 증가를 초래한다. 처리 메이즈 수확 곡물의 곡물 중량 역시 비처리 대조에 비해 증가된다. 곡물 산출 및 곡물 중량에서의 증가는 화합물 2 처리 및 형질전환 변종 양자의 단일 효과의 조합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형질전환 메이즈 변종을 처리할 경우에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병 방제 및 곡물 산출에 있어서의 상승 효과가 화합물 2 처리의 형질전환 메이즈 변종과의 조합에서 관찰될 수 있다.
벼
미국 LA 7033 하이웨이 103 워싱턴에서 2008년에 이미다졸리논 내성 벼 (클리어필드(Clearfield)™)을 생장시켰다. 134 kg/ha의 파종 비율로 변종 CL 161을 식재하였다. 열 간격은 18 cm이었다. 구획 크기는 27.5 m2이었다.
새싹에 (생장 단계 32/34, BBCH), 리터 당 62.5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실험실용 에멀션 농축액 (EC)으로서 0.8 l/ha의 약률로 화합물 2를 1회 적용하였다. 제제는 187 l/ha의 총 분무 부피로 적용하였다.
화합물 2를 사용한 처리 77일 후, 구획 당 10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식물에서 감염된 잎 면적 및 감염의 빈도를 평가함으로써,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에 의한 감염을 평가하였다 (표 3). 효능은 비처리 대조와 비교한 처리에서의 감염된 잎 면적의 % 감소로 계산하였다:
E = (1-a/b)*100
a %로 나타낸, 처리된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해당,
b %로 나타낸, 비처리 (대조) 식물의 감염된 잎 면적에 대당.
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의 감염 잎 면적이 비처리 대조 식물의 그것에 상응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의 효능은 처리된 식물이 100 %의 감염 잎 면적 감소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고, 리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한 감염이 검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성숙시, 식물을 수확하고, 곡물 산출을 측정하였다 (표 3).
[표 ExVI-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2는 벼에서 리족토니아에 대하여 활성이다. 이와 같은 활성은 화합물 2로 처리되었을 때, 해당 제초제 내성 특질이 없는 변종에서보다 이미다졸리논 내성인 벼 변종에서 더 높다.
또한, 화합물 2를 사용한 처리는 비처리 대조에 비해 곡물 산출의 증가를 초래한다. 곡물 산출의 증가는 통상적인 변종에서보다 클리어필드™ 변종을 처리할 때 더 크다.
제초제 내성 CL 161 변종에서의 병 방제 효능 및 산출의 증가는 병 방제 및 산출에 대한 통상적인 벼 변종에서의 화합물 2 처리의 효과 및 CL 161 변종의 제초제 내성 특질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더 높다. 따라서, 병 방제 및 곡물 산출에 있어서의 상승 효과가 화합물 2 처리의 이미다졸리논 내성 특질과의 조합에서 관찰될 수 있다.
오일종자 평지
프랑스 베리에에서 2002년에 오일종자 평지를 생장시켰다. 3 kg/ha의 파종 비율로 변종 콜로쎄(Colosse)를 식재하였다. 열 간격은 17 cm이었다. 구획 크기는 30 m2이었다.
생장 단계 16에 (BBCH), kg 당 500 g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칸투스(Cantus) 제제 (WG 사)를 사용하여 0.5 kg/ha의 약률로 보스칼리드를 1회 적용하였다. 제제는 300 l/ha의 총 분무 부피로 희석하였다.
보스칼리드를 사용한 처리 209일 후 작물 생장 단계 75 (BBCH)에서, 렙토스파에리아 마큘란스(Leptosphaeria maculans)에 의한 감염을 평가하였다 (표 4). 50개 식물체의 줄기를 점수화하고, 증상 없음 (H1), 덜 심각한 증상 (H2), 심각한 증상 (H3) 및 매우 심각한 증상 (H4)을 가지는 식물체의 수를 계수하였다. 4개의 등급에 걸친 식물체의 가중 평균 수로서 병 지수를 계산하였다: (1*H1의 식물체 수 + 2*H2의 식물체 수 + 3*H3의 식물체 수 + 4*H4의 식물체 수)/평가된 총 식물체 수
처리 28일 후, 구획 당 10개의 무작위로 선택된 식물에서 녹색 잎 면적을 평가함으로써, 처리 및 대조 식물에서 녹색 잎 보유력을 평가하였다.
성숙시, 식물을 수확하고, 곡물 산출을 측정하였다 (표 4).
[표 ExVI-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칼리드는 오일종자 평지에서 렙토스파에리아 마큘란스에 대하여 우수한 활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활성은 렙토스파에리아 방제에 있어서 보스칼리드 처리 및 제초제 내성 특질 (이미다졸리논 내성) 각각의 효과의 조합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보스칼리드로 제초제 내성 오일종자 평지 변종을 처리할 때 더욱 더 증가된다.
또한, 보스칼리드를 사용한 처리는 비처리 대조에 비해 곡물 산출의 증가를 초래한다. 곡물 산출에서의 증가는 보스칼리드 처리 및 제초제 내성 특질 양자의 단일 효과의 조합에서 기대될 수 있던 것에 비해 제초제 내성 오일종자 평지 변종을 처리할 때 더 크다. 따라서, 병 방제 및 곡물 산출에 있어서의 상승 효과가 보스칼리드 처리의 제초제 내성 오일종자 평지 변종과의 조합에서 관찰될 수 있다.
Claims (23)
1종 이상의 변형을 가지는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에 대해 농약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농약은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펜플루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펜티오피라드, 베노다닐, 카르복신, 펜푸람, 플루톨라닐, 푸라메트피르, 메프로닐, 옥시카르복신 및 티플루자미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해충을 방제하고/하거나 상응하는 대조에 비해 재배 식물의 식물 건강을 증가시키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농약이 보스칼리드, N-(3',4',5'-트리플루오로비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빅사펜, N-[2-(1,3-디메틸부틸)-페닐]-1,3-디메틸-5-플루오로-1H-피라졸-4-카르복스아미드, 플루오피람, 세닥산, 이소피라잠 및 펜티오피라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 건강의 증가"가 산출, 식물 활기, 조기 활기, 녹화 효과, 품질,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항생물질 내성, 식품 및/또는 사료 산업, 화장품 산업 또는 제약 산업 분야에서의 적용에 유리한 미세 화학물질의 함량, 영양소 사용 효율, 영양소 사용 섭취율, 섬유 품질, 색상, 및 웅성 불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특질의 각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증가로 이해되어야 하고/하거나, "식물 건강의 증가"가 성숙도, 생식능 회복 및 색상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특질의 각 대조와 비교하였을 때의 변경 또는 변형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재배 식물이 하기 특성들: 상응하는 각 대조 식물과 비교하였을 때의 제초제 내성, 곤충 저항성, 진균 저항성 또는 바이러스 저항성 또는 세균 저항성, 스트레스 내성, 성숙도 변경, 재배 식물에 존재하는 화학물질의 함량 변형, 변형된 영양소 섭취, 항생물질 내성 및 웅성 불임 중 1종 이상을 나타내는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글리포세이트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글루포시네이트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이미다졸리논-제초제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디캄바의 작용에 대하여 내성인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바실루스 종 세균으로부터 유래하는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독소 1종 이상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바실루스 튜린지엔시스 유래의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독소 1종 이상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이 바실루스 튜린지엔시스 유래의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델타-내독소 독소 1종 이상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인 방법.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약이 재배 식물의 식물 번식 재료에 적용되는 방법.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들)가 1종 이상의 변형을 가지는 식물 또는 그의 서식지에 1종 이상의 농약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특성을 가지며,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약으로 처리된,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재배 식물의 종자.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약, 및 재배 식물, 또는 그의 일부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재배 식물이 형질전환 식물인,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제15항에 따른 종자 또는 제16항에 따른 조성물.
재배 식물이 변형된 식물인,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제15항에 따른 종자 또는 제16항에 따른 조성물.
1종 이상의 변형을 가지는 재배 식물, 해당 식물의 일부, 식물 번식 재료, 또는 그의 생장 부위에 대해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약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식물 또는 해당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번식 재료로부터 농산물을 제조하는, 농산물의 제조 방법.
제19항에 있어서, 식물이 제3항, 제5항 내지 제12항, 제17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서와 같이 정의되는 것인 방법.
제16항에 따른 조성물의 농산물의 제조를 위한 용도.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약의, 해충 방제, 및/또는 상응 대조에 비한 재배 식물의 식물 건강의 증가를 위한 용도.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농약의, 해충 방제, 및/또는 상응 대조에 비한 형질전환 식물의 식물 건강의 증가를 위한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EP08167079.6 | 2008-10-21 | ||
| EP08167079 | 2008-10-21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73610A true KR20110073610A (ko) | 2011-06-29 |
Family
ID=4038037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17011607A Withdrawn KR20110073610A (ko) | 2008-10-21 | 2009-10-21 | 재배 식물에서의 카르복스아미드의 용도 |
Country Status (10)
| Country | Link |
|---|---|
| US (3) | US20110203018A1 (ko) |
| EP (1) | EP2361015A2 (ko) |
| JP (1) | JP2012506373A (ko) |
| KR (1) | KR20110073610A (ko) |
| BR (1) | BRPI0914500A2 (ko) |
| CA (1) | CA2739153C (ko) |
| EA (2) | EA023545B1 (ko) |
| MX (1) | MX343039B (ko) |
| UA (1) | UA106052C2 (ko) |
| WO (1) | WO2010046380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A018987B1 (ru) * | 2008-02-05 | 2013-12-30 | Басф Се |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лучшения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и растения |
| EP3586631B1 (en) * | 2008-02-05 | 2024-05-15 | Basf Se | Plant health composition |
| EP2105049A1 (en) * | 2008-03-28 | 2009-09-30 | Bayer CropScience AG | Method of plant growth promotion using amide compounds |
| JP2013512934A (ja) | 2009-12-08 | 2013-04-18 |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 殺害虫混合物 |
| JP5706179B2 (ja) * | 2010-08-20 | 2015-04-22 | 住友化学株式会社 | 有害節足動物防除組成物及び有害節足動物の防除方法 |
| BR112013021019A2 (pt) | 2011-02-17 | 2019-02-26 | Bayer Ip Gmbh | uso de fungicidas sdhi em variedades de soja cultivadas de forma convencional com tolerância à ferrugem asiática da soja (asr), resistentes ao cancro da haste e/ou à mancha foliar olho-de-rã |
| WO2012110464A1 (en) | 2011-02-17 | 2012-08-23 | Bayer Cropscience Ag | Use of sdhi fungicides on conventionally bred asr-tolerant, stem canker resistant and/or frog-eye leaf spot resistant soybean varieties |
| WO2012125468A2 (en) * | 2011-03-11 | 2012-09-20 | Syngenta Participations Ag | Enhanced seed treatments using oils |
| EP2524596A1 (en) * | 2011-05-18 | 2012-11-21 | Basf Se | Seed treatment uses |
| JP6420027B2 (ja) * | 2013-05-28 | 2018-11-07 | 日産化学株式会社 |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および植物病害防除方法 |
| CN103518725A (zh) * | 2013-10-14 | 2014-01-22 | 安徽丰乐农化有限责任公司 | 以啶酰菌胺为有效成分的水稻田、小麦田和玉米田杀菌剂 |
| US10058542B1 (en) | 2014-09-12 | 2018-08-28 | Thioredoxin Systems Ab | Composition comprising selenazol or thiazolone derivatives and silver and method of treatment therewith |
| CA2980505A1 (en) | 2015-04-07 | 2016-10-13 | Basf Agrochemical Products B.V. | Use of an insecticidal carboxamide compound against pests on cultivated plants |
| CN105746527A (zh) * | 2016-04-22 | 2016-07-13 |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 一种含吡唑萘菌胺和啶酰菌胺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
| EP3054014A3 (en) * | 2016-05-10 | 2016-11-23 | BASF Plant Science Company GmbH | Use of a fungicide on transgenic plants |
| WO2019068810A1 (en) * | 2017-10-06 | 2019-04-11 | Bayer Aktiengesellschaft | USE OF COMPOSITIONS COMPRISING FLUOPYRAM TO IMPROVE ANTIOXIDANT PLANT ABILITY |
| CN109379920B (zh) * | 2018-09-21 | 2021-11-02 | 湖南省植物保护研究所 | 一种快速打破稗草种子休眠并提高发芽率的方法 |
| CN116548475A (zh) * | 2023-05-09 | 2023-08-08 | 仲恺农业工程学院 | 一种梅菜提取物及其提取方法和应用 |
| CN120173916B (zh) * | 2025-05-22 | 2025-07-11 | 崖州湾国家实验室 | 糖基水解酶BnaGH在调控千粒重中的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4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8320535D0 (en) * | 1983-07-29 | 1983-09-01 | Elliott T J | Mushroom mutant strain |
| CA2081935C (en) * | 1991-11-22 | 2004-05-25 | Karl Eicken | Anilid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combating botrytis |
| DE4231517A1 (de) * | 1992-09-21 | 1994-03-24 | Basf Ag | Carbonsäureanil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Mittel zur Bekämpfung von Schadpilzen |
| DE19735224A1 (de) * | 1997-08-15 | 1999-02-18 | Basf Ag | Biphenylamide |
| MY138097A (en) * | 2000-03-22 | 2009-04-30 | Du Pont | Insecticidal anthranilamides |
| DE10136065A1 (de) * | 2001-07-25 | 2003-02-13 | Bayer Cropscience Ag | Pyrazolylcarboxanilide |
| TW200724033A (en) * | 2001-09-21 | 2007-07-01 | Du Pont | Anthranilamide arthropodicide treatment |
| DE10215292A1 (de) * | 2002-02-19 | 2003-08-28 | Bayer Cropscience Ag | Disubstitutierte Pyrazolylcarbocanilide |
| DE10229595A1 (de) * | 2002-07-02 | 2004-01-15 | Bayer Cropscience Ag | Phenylbenzamide |
| ES2250921T3 (es) * | 2002-08-12 | 2006-04-16 | Bayer Cropscience S.A. | Nuevo derivado de 2-piridiletilbenzamida. |
| DE10303589A1 (de) * | 2003-01-29 | 2004-08-12 | Bayer Cropscience Ag | Pyrazolylcarboxanilide |
| DE10325438A1 (de) * | 2003-05-21 | 2004-12-09 | Bayer Cropscience Ag | Difluormethylbenzanilide |
| ES2542688T3 (es) * | 2003-12-15 | 2015-08-10 | Monsanto Technology, Llc | Planta de maíz MON88017 y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de detección de la misma |
| BRPI0512118A (pt) * | 2004-06-18 | 2008-02-06 | Basf Ag | composto, processo para combater fungos nocivos, e, agente fungicida |
| JP2008502625A (ja) * | 2004-06-18 | 2008-01-31 |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N−(オルト−フェニル)−1−メチル−3−トリフルオロメチルピラゾール−4−カルボキシアニリドおよびそれらの殺菌剤としての使用 |
| DE102004029972A1 (de) * | 2004-06-21 | 2006-01-05 | Bayer Cropscience Ag | Beizmittel zur Bekämpfung von phytopathogenen Pilzen |
| AU2005273864B2 (en) * | 2004-08-16 | 2010-09-30 | Cropdesign N.V. | Plants having improved growth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US7323556B2 (en) * | 2004-09-29 | 2008-01-29 |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 Corn event DAS-59122-7 and methods for detection thereof |
| GB0422401D0 (en) * | 2004-10-08 | 2004-11-10 | Syngenta Participations Ag | Fungicidal compositions |
| DE102004049761A1 (de) * | 2004-10-12 | 2006-04-13 | Bayer Cropscience Ag |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
| AR051865A1 (es) * | 2004-12-24 | 2007-02-14 | Cropdesign Nv | Plantas teniendo mayor rendimiento y metodo para producirlas |
| DE102005007160A1 (de) * | 2005-02-16 | 2006-08-24 | Basf Ag | Pyrazolcarbonsäureanil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sie enthaltende Mittel zur Bekämpfung von Schadpilzen |
| DE102005009458A1 (de) * | 2005-03-02 | 2006-09-07 | Bayer Cropscience Ag | Pyrazolylcarboxanilide |
| US20080163394A1 (en) * | 2005-03-25 | 2008-07-03 | Cropdesign N.V. | Plants Having Increased Yiel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DE102005015850A1 (de) * | 2005-04-07 | 2006-10-12 | Bayer Cropscience Ag | Synergistische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
| WO2006035316A2 (en) * | 2005-04-25 | 2006-04-06 | Syngenta Participations Ag | Fungicidal aqueous compositions for seed treatment |
| DE102005022147A1 (de) * | 2005-04-28 | 2006-11-02 | Bayer Cropscience Ag | Wirkstoffkombinationen |
| DK1912503T3 (da) * | 2005-08-05 | 2014-11-03 | Basf Se | Fungicide blandinger indeholdende substituerede 1-methyl-pyrazol-4-ylcarboxylsyreanilider |
| CN101272688B (zh) * | 2005-08-09 | 2013-01-30 |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 控制植物致病生物的方法 |
| EP1917360A2 (en) * | 2005-08-24 | 2008-05-07 |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 Compositions providing tolerance to multiple herbic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US8853492B2 (en) * | 2005-11-07 | 2014-10-07 | Cropdesign N.V. | Plants having improved growth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2009532403A (ja) * | 2006-04-06 | 2009-09-10 | シンジェンタ パーティシペーションズ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殺真菌組成物 |
| DE102006024925A1 (de) * | 2006-05-24 | 2007-11-29 | Bayer Cropscience Ag |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en |
| US7884262B2 (en) * | 2006-06-06 | 2011-02-08 | Monsanto Technology Llc | Modified DMO enzyme and methods of its use |
| DE102006030739A1 (de) * | 2006-06-30 | 2008-01-03 | Bayer Cropscience Ag | Synergistische insektizide und fungizide Mischungen |
| US8207092B2 (en) * | 2006-10-16 | 2012-06-26 | Monsanto Technology Ll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plant health |
| EP1922927A1 (en) * | 2006-10-26 | 2008-05-21 | Syngeta Participations AG | A method for controlling soybean rust |
| EA015688B1 (ru) * | 2007-01-19 | 2011-10-31 | Басф Се | Фунгицидные смеси из анилидов 1-метилпиразол-4-ил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азолопиримидиниламинов |
| EA018987B1 (ru) * | 2008-02-05 | 2013-12-30 | Басф Се |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лучшения 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и растения |
| WO2009098225A2 (en) * | 2008-02-05 | 2009-08-13 | Basf Se | Pesticidal mixtures |
| EP2039772A2 (en) * | 2009-01-06 | 2009-03-25 | Bayer CropScience AG | Method for improved utiliz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of transgenic plants introduction |
| BRPI1005355A2 (pt) * | 2009-02-11 | 2016-02-10 | Basf Se | misturas, composição pesticida, método para o controle de pragas e/ou para aprimorar a saúde de plantas, método para a proteção do material de propagação de planta contra pragas e material de propagação de planta |
-
2009
- 2009-10-21 KR KR1020117011607A patent/KR20110073610A/ko not_active Withdrawn
- 2009-10-21 WO PCT/EP2009/063781 patent/WO2010046380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0-21 EA EA201300778A patent/EA023545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1 EP EP09736981A patent/EP2361015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9-10-21 BR BRPI0914500-1A patent/BRPI0914500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1 EA EA201100624A patent/EA019439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10-21 MX MX2011004274A patent/MX343039B/es active IP Right Grant
- 2009-10-21 US US13/124,940 patent/US2011020301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10-21 JP JP2011531518A patent/JP2012506373A/ja active Pending
- 2009-10-21 CA CA2739153A patent/CA2739153C/en active Active
- 2009-10-21 UA UAA201106185A patent/UA106052C2/uk unknown
-
2014
- 2014-08-08 US US14/455,187 patent/US201403574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7
- 2017-11-01 US US15/800,226 patent/US2018011621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EA201100624A1 (ru) | 2011-12-30 |
| BRPI0914500A2 (pt) | 2015-08-11 |
| WO2010046380A2 (en) | 2010-04-29 |
| EP2361015A2 (en) | 2011-08-31 |
| UA106052C2 (uk) | 2014-07-25 |
| EA019439B1 (ru) | 2014-03-31 |
| JP2012506373A (ja) | 2012-03-15 |
| CA2739153A1 (en) | 2010-04-29 |
| MX343039B (es) | 2016-10-21 |
| CA2739153C (en) | 2019-09-10 |
| US20180116218A1 (en) | 2018-05-03 |
| EA023545B1 (ru) | 2016-06-30 |
| WO2010046380A3 (en) | 2011-04-14 |
| MX2011004274A (es) | 2011-05-24 |
| US20140357485A1 (en) | 2014-12-04 |
| US20110203018A1 (en) | 2011-08-18 |
| EA201300778A1 (ru) | 2013-11-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A2739153C (en) | Use of carboxamide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22A2 (en) | Use of auxin type herbicide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387A2 (en) | Use of a respiration complex iii inhibitor on cultivated plants | |
| CN101668860B (zh) | 组合化学剂和转基因修饰增强植物生产力 | |
| WO2010046417A1 (en) | Use of growth inhibitor herbicide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63A1 (en) | Use of selected insecticides on cultivated plants | |
| KR102059948B1 (ko) | 식생적 aba 반응을 위한 합성 화합물 | |
| WO2010046437A2 (en) | Use of acetyl coa carboxylase inhibi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34A1 (en) | Use of bleacher herbicide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19A2 (en) | Use of acetolactate synthase inhibi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389A2 (en) | Use of oomycetes fungicide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30A2 (en) | Use of photosystem ii inhibi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420A2 (en) | Use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inhibi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10046385A2 (en) | Use of a sterol biosynthesis inhibi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21153759A1 (ja) |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 |
| WO2010046423A2 (en) | Use of sulfonylurea herbicide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21153760A1 (ja) |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 |
| WO2010046378A2 (en) | Use of carboxylic amide fungicides on transgenic plants | |
| WO2010015634A1 (en) | Method for screening for a plant protectant | |
| WO2021153758A1 (ja) |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 |
| WO2010046421A1 (en) | Use of GABA-gated chloride channel antagonists on cultivated plants | |
| JP2022108747A (ja) | 植物病害防除方法 | |
| WO2010046382A2 (en) | Use of sodium channel modulators on cultivated plants | |
| WO2021153756A1 (ja) |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 |
| JP2022108749A (ja) | 植物病害防除方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5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