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6187A - Pack and contents heating kit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ck and contents heating kit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6187A KR20110056187A KR1020090120824A KR20090120824A KR20110056187A KR 20110056187 A KR20110056187 A KR 20110056187A KR 1020090120824 A KR1020090120824 A KR 1020090120824A KR 20090120824 A KR20090120824 A KR 20090120824A KR 20110056187 A KR20110056187 A KR 201100561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pouch
- space
- contents
- pa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12295 chemical reaction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RPQOXSCLDDYGP-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O-2].[Ca+2] BRPQOXSCLDDY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 and a content heating kit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팩은 일측 개구를 갖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파우치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을 남겨두고 상기 제1 파우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uch forming a first receiving space having an open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first pouch le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section for the first receiving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n this way, a pack for easily providing a vapor discharge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outside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in the inner space, and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steam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nd it can provide a content heating kit comprising the s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 and a content heating kit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 discharge structure for easily discharging steam to the outside when steam is generated by an exothermic reaction in an internal space, and increases the residence time of the steam. It relates to a pack that can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nd to a heating kit containing the same.
다양한 팩(PACK) 중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발열팩이 있다. 발열팩은 액상의 반응액체와 고상의 발열체의 발열반응에 의해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도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는 팩으로서, 간편히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음식물 등의 가열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heating packs for heating the contents of various packs. The heating pack is a pack capable of heating the contents without a separate heating device by the exothermic reaction of the liquid reaction liquid and the solid state heating element, and is widely used for heating foods and the like because it is easily portable.
이러한 발열과정에서 상기 반응액체가 기화되어 반응기체(증기 또는 스팀)가 생성된다.In this exothermic process, the reaction liquid is vaporized to generate a reactor (steam or ste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provide a steam discharge structure that can discharge the steam to the outside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in the interior space,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steam heating efficiency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It is to provide a pack that can improve.
한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을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provide a steam discharge structure that can discharge the steam to the outside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in the inner space,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by increasing the residence time of the steam It is to provide a content heating kit containing a pack that can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팩에 있어서, 일측 개구를 갖는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파우치와; 상기 제1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을 남겨두고 상기 제1 파우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갖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pack, the first pouch to form a first receiving space having one side opening; It is achieved by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of the first pouch, le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section allow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상기 개폐부는 상기 개구를 따라 상기 제1 파우치의 일면 내측에 접착되는 암지퍼와, 상기 제1 파우치의 타면 내측에 접착되어 상기 암지퍼에 결합되는 수지퍼를 갖는 지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구간은 상기 암지퍼와 수지퍼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영역을 상기 제1 파우치의 내측에 접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cludes a zipper having a female zipper adhered to the inside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ouch along the opening, and a resin zipper bond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pouch and coupled to the female zipper; The open section is preferably formed by not bonding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arm zipper and the resin zipper to the inside of the first pouch.
상기 지퍼부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를 따라 상기 제1 파우치의 일면과 타면이 접착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ide of the zipper further comprises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one side of the open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ouch along the opening.
상기 실링부는 상기 지퍼부를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실링부의 일측단부 영역에 절취홈이 형성되는 것을이 바람직하다.The sealing portion has a 'c' shape opened toward the zipp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utting groove is formed in one side end area of the sealing part.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용물 가열키트에 있어서, 상기 팩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열팩을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ents heating kit, the pack; 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heat pack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상기 발열팩은,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와; 상기 제2 파우치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용공간을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내용물 수용공간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반응기체 유입개구를 갖는 구획부와; 상호 접촉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 및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상기 발열공간 내에 수용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pack, and the second pouch to form a second receiving space;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s disposed in the second pouch and divides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into a content accommodating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an exothermic space in which an exothermic reaction occurs, and the reactor body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is the content accommodating space. A compartment having a reactor inlet opening for introduction; It may include a heat genera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eat generating space having at least one of a reaction liquid and a heat generating body that causes an exothermic reaction upon mutual contact.
상기 구획부는 상기 반응기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고 상기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가 상기 내용물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하도록 상기 반응기체 유입개구에 배치된 반응기체 통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compartment further includes a reactor body passage member disposed in the reactor inlet opening to allow the reactor to be introduced into the contents receiving space and to suppress the reaction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contents containing space by the exothermic reaction. It is characterized by.
한편,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용물 가열키트에 있어서, 상기 팩과; 상기 제1 파우치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과 구획되는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를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ents heating kit, the pack; It is also achieved b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ouch coupled to the first pouch to form a second receiving space partitioned from the first receiving space.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호 접촉 시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 및 발열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용공간에는 상기 발열반응에 의해 가열되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A heat generating unit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and having at least one of a reaction liquid and a heating element generating an exothermic reaction upon mutual contact; Contents he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하고, 증기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vide a steam discharge structure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outside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exothermic reaction in the inner space, and to increase the residence time of the steam to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The pack and the contents heating kit including the same can be provid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10) 및 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가열키트(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는 팩(10)과, 팩(10)에 수용되는 발열팩(100)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팩(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우치(20)와 제1 개폐부(30)를 포함한다. The
제1 파우치(20)는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이 상호 접착되어 구성된다. 물론, 제1 파우치(20)는 일체형으로 하나의 필름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필름(20a)과 제2 필름(20b)은 일측 개구를 제외한 테두리 영역이 상호 접착되어 그 내부에 제1 수용공간(S1)을 형성한다. 상기 개구(21)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발열팩(100)이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제1 파우치(2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팩(100) 주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내용물(A, B)이 수용될 수 있다. 제1 파우치(20)는 내부에 수용될 다른 내용물(A, B) 및 발열팩(100)의 부피에 대응하는 제1 수용공간(S1)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른 내용물(A, B)은 후술하는 발열팩(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도 5의 C참조)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내용물(A, B)의 일례로서 반찬, 양념 또는 소스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열팩(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C)의 일례로서 밥 등의 조리된 음식물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제1 파우치(20)는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및 PET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파우치(20)는 외부의 충격에도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파우치(20)의 개구에는 제1 개폐부(30)가 장착되어 있다.The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제1 수용공간(S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개폐한다. The first opening / closing
본 실시예에서 제1 개폐부(30)는 지퍼부(30a, 30b)로 마련된다.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따라 제1 파우치(20)를 구성하는 제1 필름(20a)의 내측에 접착되는 암지퍼(30a)와, 제2 필름(20b)의 내측면에 접착되어 암지퍼(30a)에 결합되는 수지퍼(30b)를 포함한다. 제1 개폐부(30)는 제1파우치(20) 의 개구(21) 전체 영역에 마련된다. 제1 개폐부(30)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21) 중 개방구간(O)을 제외한 구간을 개폐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개방구간(O)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영역을 제1 파우치(20)의 내측에 접착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암지퍼(30a)와 수지퍼(30b)가 상호 체결되더라도 개방구간(O)을 통하여 제1 파우치(20)의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open section O is formed by not bonding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와 제1 파우치(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수지퍼(30b)와 제1 파우치(2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제1 파우치(20)와 암지퍼(30a)의 사이, 제1 파우치(20)와 수지퍼(30b) 사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개방구간(O)은 지퍼부(30a, 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방구간(O)을 통하여 암지퍼(30a)와 수지퍼(30b)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발열팩(100)의 반응기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open section O may be formed betwe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팩(10)은 개구(21)를 따라 지퍼부(30a, 30b)의 외측에서 제1 파우치(20)의 일면과 타면이 접착되어 개구(21)를 폐쇄하는 실링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25)는 도 1을 기준으로 지퍼부(30a, 30b)의 상부로 외측 에 형성되어 개구(21)를 폐쇄한다. 실링부(25)는 지퍼부(30a, 30b)를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실링부(25)는 제1 파우치(20)의 개구(O)를 따라 최상단 영역 및 그 양측 가장자리 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는다. In the
실링부(25)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파우치(20)로부터 실링부(25)의 제거를 위한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홈(2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파우치(20)의 개구(21)에 개방구간(O)이 형성되더라도 외부로부터 먼지, 수분 등의 이물질이 제1 파우치(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절취홈(27)을 따라 실링부(25)를 제1 파우치(20)로부터 절취하여 제거한 후, 제1 개폐부(30)을 조작하여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게 된다. A
한편, 개방구간(O)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를 연속 설치하되, 개구(21)에 비하여 짧게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open section O may be formed by continuously installing the
또한,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와 수지퍼(30b) 중 적어도 하나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개방구간(O)은 암지퍼(30a)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수지퍼(30b)를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지퍼(30a)와 수지퍼(30b)를 모두 개구(21)를 따라 비연속적으로 마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pen section O may be formed by discontinuously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또한, 개방구간(O)은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따라 암지퍼(30a)와 수지퍼(30b)의 길이를 상이하게 마련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pen section O may be formed by providing different lengths of the
발열팩(10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2 수용공간(S2) 및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되는 개구(115)를 갖는 제2 파우치(110)와, 파우치(110) 내에 배치되어 제2 수용공간(S2)을 내용물 수용공간(S3)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발열공간(S4, S5)으로 구획하는 구획부(120)와, 발열공간(S4, S5) 내에 수용되어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부(130)를 포함한다. 3 and 6, the
여기서, 본실시예에서는 발열공간이 2개의 복수의 발열공간(S4, S5)으로 구분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heating space is divided into two plurality of heating space (S4, S5).
제2 파우치(110)는 제2 수용공간(S2) 및 개구(115)를 형성하는 제1 필름(111) 및 제2 필름(112)를 포함한다.The second pouch 110 includes a
내용물 수용공간(S3)에는 개구(115)를 통해 투입 또는 취출되는 내용물(C)이 수용된다.The contents C, which are input or taken out through the
한편, 구획부(120)는 발열공간(S4, S5)을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부재(121) 및 제2구획부재(123)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구획부(120)는 발열공간(S4, S5)에서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반응기체(증기 또는 스팀)가 발열공간(S4, S5)에서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한다.The
구획부(120)는, 반응기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경우에 따라서는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구획 부(120) 자체를 기체만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마련하는 경우, 굳이 별도의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기체만 투과하고 액체는 투과하지 못하는 구획부(120)의 일례로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예로 들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reactor inlet opening 122 may be omitted. For example, when the
여기서,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를 이용하여 반응기체 투과성 및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의 비투과성에 대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의 평량(g/㎡)은 대략 70이상 110이하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4회에 걸친 반복테스트 결과, 평량(g/㎡) 70미만의 부직포의 경우, 1회 이상 반응액체인 물이 부직포를 투과한 것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평량 70이상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액체의 비투과성을 높은 신뢰도로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액체가 내용물(C)까지 전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내용물(C)을 수용공간(S3)에서부터 취출하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He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permeability of the reaction liquid by the nonwoven fabric made of polypropylene and the reaction liquid by the exothermic reactio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s weight (g / m 2) of the nonwoven fabric made of polypropylene has a range of about 70 or more and 110 or less. As a result of four repeated tests,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g / m 2) of less than 70 was detected that water, which is a reaction liquid, passed through the nonwoven fabric at least onc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of 70 or more in that the liquid impermeability can be ensured with high reliability. When the reaction liquid is delivered to the contents (C), the user may be burned in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contents (C)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S3).
또한, 평량(g/㎡) 110을 초과하는 부직포의 경우, 반응기체를 투과하는 정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반응기체의 원활한 배출에 지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평량(g/㎡) 110이하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반응기체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g / ㎡) of more than 110,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ermeation of the reactor body is drastically reduced, which hinders the smooth discharge of the reactor bod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woven fabric having a basis weight (g / m 2) of 11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discharging the reactor body.
여기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는 제1구획부재(121) 및 제2구획부재(122)의 일단을 제2 파우치(100)에 실링하지 않고 자유단으로 둠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구획부재가 아니라 하나의 구획부재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마련할 수도 있다.Here, the reactor inlet opening 122 may be formed by leaving one end of the
또한, 구획부(120)는 반응기체 유입개구(122)에 배치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경우에 따라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발열공간(S4, S5)에서 발열반응 시 반응액체는 그 자중 때문에 밑으로 발열공간(S4, S5)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발열팩(100)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반응액체가 반응기체 유입개구(122)를 통과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후술하겠지만, 발열부(130)가 발열체 및 발열체와 발열반응하는 반응액체 중 어느 하나만을 갖는 경우에는 반응기체 통과부재(1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ome cases, the
여기서, 발열팩(100)을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홀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파우치(20)를 단열재질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홀더 없이도 사용자가 제1 파우치(20)를 손으로 잡아서 그 내부의 발열팩(100)을 기립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Here, a separate hold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keep the
한편,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발열공간(S4, S5)에서의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기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되 발열반응에 의한 반응액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되는 것은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억제한다'는 용어는 반응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100%막는다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나마 반응액체가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통기성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술한 반응기체만을 투과시키는 소정 범위의 평량을 갖는 폴리프로 필렌 재질의 부직포가 사용될 수도 있다. Here, the reactor
또한,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후술할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반응을 위한 반응액체 또는 발열체가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반응액체 또는 발열체를 용이하게 발열공간(S4, S5)로 안내하기 위해 경사진 "역 U"자 또는 "역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action liquid or the heating element for the exothermic reaction is introduced through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이 각각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로 경사진 "역 U"자 또는 "역 V"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부(113)를 통해 투입되는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가 용이하게 제1발열공간(S4) 및 제2발열공간(S5)로 안내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s illustrated in FIGS. 5 and 6, the
한편, 발열부(130)는 서로 접촉하는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발열체 및 반응액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발열체는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염화마그네슘 및 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는 반응액체와 발열 반응할 수 있는 것이면 예로든 것 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heating ele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alcium oxide, calcium hydroxide, magnesium chloride and iron. The heating element may be variously changed in addition to the examples as long as it can exothermicly react with the reaction liquid.
도 5 및 도 6에서는 발열부(130)가 발열체만을 갖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발열체 대신에 반응액체(예를 들어, '물')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5 and 6 illustrate that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발열부(130)가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한 경우, 사용자는 제2 파우치(110)에 형성된 투입부(113)를 통해 나머지 다른 하나를 투입함으로서 발열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 의할 경우, 사용자는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액체인 물을 투입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ample shown in Figures 5 and 6, the user may cause an exothermic reaction by injecting water, which is the reaction liquid through the
반대로, 발열부(130)가 반응액체만을 구비한 경우,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체를 투입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발열부(130)는 발열체와, 발열체와 발열반응하는 반응액체가 수용된 반응액체 수용기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반응액체 수용기를 깨트리커나 터뜨리거나 찢거나 하는 등의 외력을 가하여 반응액체를 반응액체 수용기로부터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발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투입부(113)를 통해 발열체 또는 반응액체를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투입부(113)는 생략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한편, 제2 파우치(110)는 투입부(113)를 개폐 가능한 제2 개폐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pouch 1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pening and
제2 개폐부(11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개폐방식은 일례에 불과하고, 밸크로 타입 또는 접착식 타입, 기타 공지된 다양한 개폐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opening /
제2 개폐부(114)는 제1 개폐부(30)와 달리 개방구간 없이 제2 파우치(110)의 투입부(113) 전체 영역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 개폐부(114)는 투입부(113)를 폐쇄하는 경우,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Unlik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공간(S4, S5)으로 투입부(113)를 통해 반응액체가 투입되는 경우, 투입된 반응액체가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사이를 유동 가능하도록 연통구(121a, 123a)가 각각의 구획부재(121, 123)의 측면 하부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reaction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exothermic spaces S4 and S5 through the
투입부(113)를 통해 투입되는 반응액체가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발열공간(S4, S5) 중 어느 하나의 발열공간에만 집중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데, 그렇게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반응액체가 연통구(121a, 123a)를 통해 다른 하나의 발열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reaction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한편, 도 4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의 분해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과 제2 필름(20b)은 그 내부에 발열팩(100)을 수용하면서 개구(21)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그리고, 개구(21)에는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개폐부(30)가 부착되어 있다.The
제2 파우치(110)의 제1 필름(111)과 제1구획부재(121)는, 그 내부에 발열부(130)를 수용하면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제1구획부재(121)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The
제2 파우치(110)의 제2 필름(111)과 제2구획부재(123)도 그 내부에 발열부(130)를 수용하면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될 부분을 제외하고 제2구획부재(123)의 테두리를 따라서 실링된다. The
제2 파우치(110)의 제1 필름(111) 및 제2 필름(112)은 측면 테두리끼리만 서 로 실링된다. 이에 따라, 투입부(113)가 형성된다.The
제1 구획부재(121)와 제2 구획부재(122) 사이의 공간이 내용물 수용공간(S3)이 된다. 제1 구획부재(121)와 제2 구획부재(122)는,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내용물(C)을 투입하기 위한 개구(115)와, 반응기체의 발열공간(S4, S5)에서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의 유입을 위한 반응기체 유입개구(122)가 형성되도록 서로 실링된다. 여기서, 개구(115)의 너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2)의 실링되지 않는 하부구간(w)이 된다.The space between the
도 5 및 6은 상술한 실시예의 내용물 가열키트(1)의 내용물(C) 및 다른 내용물(A, B)을 가열할 때 반응기체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시한 것이다.5 and 6 show the flow of the reactor body with arrows when heating the contents C and the other contents A and B of the
발열반응이 일어나면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에서 반응기체가 발생한다.When an exothermic reaction occurs, a reactive gas i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eat generating spaces S4 and S5.
발생한 반응기체는 제2 개폐부(114)가 투입부(113)를 밀폐하고 있는 바, 투입부(11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반응기체 통과부재(125)를 통과하여 내용물 수용공간(S3)으로 유입된다.The generated reactive gas is introduced into the contents receiving space S3 by passing through the reactive
유입된 반응기체는 내용물(C)을 가열한다. 물론, 내용물(C)은 좌우에 인접한 제1 및 제2발열공간(S4, S5)에서 생성되는 열이 전도됨으로써 가열된다. 내용물(C)은 열전도 및 반응기체에 의해 이중으로 가열될 수 있는 바, 가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 introduced reactant heats the contents (C). Of course, the contents C are heated by conducting heat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heat generating spaces S4 and S5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The content (C) can be heated twice by the heat conduction and the reactor bod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heating time.
도면에서, 내용물(C)에 내용물 수용공간(S3)이 넓어 내용물(C1)과 각각의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3)가 비접촉상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발열공간(S3, S4)의 열 이 열전도에 의해 내용물(C)을 용이하게 가열하기 위해서는 내용물(C)과 제1 구획부재(121) 및 제2 구획부재(123)간의 접촉면적이 넓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gure, the contents receiving space (S3) is wide in the contents (C) it is shown that the contents (C1) and each of the
내용물(C)을 통과한 반응기체는 발열팩(100) 주변의 제1 수용공간(S1)에 배치된 다른 내용물(A, B)을 통과하면서 다른 내용물(A, B)을 가열한다.The reactor body having passed the contents (C) heats the other contents (A, B) while passing through the other contents (A, B)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S1) around the heat generating pack (100).
그 후, 반응기체는 제1 파우치(20)에 형성된 개방구간(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after, the reactor bod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section (O) formed in the first pouch (20).
여기서, 제1 파우치(20)가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이 단열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 필름(20a) 및 제2 필름(20b)의 내면 또는 외면에 단열성을 갖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내용물 수용공간(S3)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발열공간(S4, S5)이 형성된 발열팩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의 발열공간을 사이에 두고 복수의 내용물 수용공간을 형성한 구조의 발열팩으로도 변경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heat pack having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spaces S4 and S5 formed therebetween with a content containing space S3 interposed therebetween, but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content containing spaces having a central heat generating space therebetween. It can also be changed to a heat pack having a structure formed.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를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contents heating kit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1')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팩(10)과, 제1 파우치(20)에 결합되어 제1 수용공간(S1)과 구획되는 제2 수용공간(S2')을 형성하는 제2 파우치(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공간(S1)에는 가열될 내용물이 수용되며, 제2 수용공간(S2')에는 발열부(50)가 수용된다. 발열부(5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130)와 동일하다.The
제2 파우치(40)는 하나의 필름으로 마련되며, 제1 파우치(20)의 제1 필름(20a)에 테두리 영역이 접착되어 제1 파우치(20)와의 사이에 제2 수용공간(S2')을 형성한다. 그러나, 제2 파우치(40)는 제1 파우치(2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필름으로 마련되어 제1 파우치(20)에 접착될 수도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파우치(20)의 제1 수용공간(S1)이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소정의 개방구간(O)을 남겨두고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30)를 마련함으로써, 팩(10)의 내부공간에서 발열반응에 의한 증기 발생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조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of the
또한, 개방구간(O)만을 남겨두고 제1 개폐부(30)가 제1 파우치(20)의 개구(21)를 폐쇄한 상태에서 발열반응을 일으키면, 발열반응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개구(21)를 통하여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좁은 개방구간(O)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제1 파우치(20)의 내부에서 증기가 오래 체류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의 가열효율이 향상된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opening / closing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 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팩의 실링부를 절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of the pack is cu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s heating k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분해 사시도,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s heating k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3;
도 6은 실링부를 절취한 상태에서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3 in a state of cutting the sealing por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가열키트의 종단면도,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ents heating k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팩의 사시도이다.8 and 9 are perspective views of a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1' : 내용물 가열키트 10 : 팩1, 1 ': Contents Heating Kit 10: Pack
20 : 제1 파우치 30 : 제1 개폐부20: first pouch 30: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a : 암지퍼 30b : 수지퍼30a:
40 : 제2 파우치 50 : 발열부40: second pouch 50: heat generating portion
100 : 발열팩 110: 파우치100: heat pack 110: pouch
113: 투입부 114: 개폐부113: input part 114: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 구획부 121:제1 구획부재120: partition portion 121: the first partition member
122: 반응기체 유입개구 123: 제2구획부재122: reactor inlet opening 123: second compartment member
125: 반응기체 통과부재 130: 발열부125: reactor body passage member 130: heat generating portion
O : 개방구간 S1 : 제1 수용공간O: open section S1: first receiving space
S2, S2' : 제2 수용공간 S3 : 내용물 수용공간S2, S2 ': Second accommodation space S3: Content accommodation space
S4, S5 : 발열공간S4, S5: Heat generation space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112827 | 2009-11-20 | ||
| KR20090112827 | 2009-11-20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56187A true KR20110056187A (en) | 2011-05-26 |
| KR101099049B1 KR101099049B1 (en) | 2011-12-26 |
Family
ID=4436479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120824A Active KR101099049B1 (en) | 2009-11-20 | 2009-12-07 | Pack and package for heating content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99049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099177A (en) * | 2017-11-29 | 2019-06-24 |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 Packaging bag air-permeable with outside |
| KR20210001774A (en) | 2019-06-28 | 2021-01-0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Pouch |
| JP2021160749A (en) * | 2020-03-31 | 2021-10-1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Pouc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381039B (en) * | 2018-09-26 | 2020-07-07 | 合肥中农科泓智营养健康有限公司 | Food heating bag with double-layer nested structure |
| KR20210097425A (en) | 2020-01-30 | 2021-08-09 | 유영규 | Food box for food heating |
| KR102594488B1 (en) | 2021-04-23 | 2023-10-26 | 신현주 | Portable Heating Pack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393367Y1 (en) * | 2005-06-08 | 2005-08-18 | 이영식 | The quick food hiting bag |
-
2009
- 2009-12-07 KR KR1020090120824A patent/KR101099049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9099177A (en) * | 2017-11-29 | 2019-06-24 |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 Packaging bag air-permeable with outside |
| KR20210001774A (en) | 2019-06-28 | 2021-01-06 | 씨제이제일제당 (주) | Pouch |
| JP2021160749A (en) * | 2020-03-31 | 2021-10-1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Pouch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99049B1 (en) | 2011-12-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99049B1 (en) | Pack and package for heating content including the same | |
| KR100949175B1 (en) | Flameless heating pack with high heat efficiency and package for heating content including the same | |
| JP6086369B2 (en) | Flexible insulated container in the shape of an envelope or bag containing a multi-chamber or multi-cell | |
| CN102190111A (en) | Standing pouch | |
| US20140102436A1 (en) | P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 US20110182530A1 (en) | Dual compartment pouch having pressure-openable non-sealing line and heat sealing mould therefor | |
| KR20110040597A (en) | Content heating kit to reduce the emission of reactor | |
| KR101000509B1 (en) | Standing pouch | |
| WO2016171118A1 (en) | Bag-like container, metallic die, and method for forming curved belt-like frangible seal section | |
| KR20150087237A (en) | Vertical pouch | |
| KR101314292B1 (en) | pouch | |
| KR20160110420A (en) | pouch | |
| JP6922366B2 (en) | Steamable pouch | |
| BR112018011668B1 (en) | Wet wipes packaging | |
| KR101286510B1 (en) | Pouch | |
| KR20140054577A (en) | Moment of heated packaging | |
| KR101018831B1 (en) | Heating Pack Unit | |
| KR102645108B1 (en) | Heating Pack Unit | |
| KR200336223Y1 (en) | Flameless heater | |
| JP6710144B2 (en) | Heat treatment pack | |
| KR200318529Y1 (en) | Storage package | |
| JP7194373B2 (en) | packaging bag | |
| JP7424524B2 (en) | pouch | |
| KR20140023177A (en) | Heating unit and pouch comprising the same | |
| JP6894935B2 (en) | Packaging ba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