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831B1 - Heating Pack Unit - Google Patents
Heating Pack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8831B1 KR101018831B1 KR1020060018346A KR20060018346A KR101018831B1 KR 101018831 B1 KR101018831 B1 KR 101018831B1 KR 1020060018346 A KR1020060018346 A KR 1020060018346A KR 20060018346 A KR20060018346 A KR 20060018346A KR 101018831 B1 KR101018831 B1 KR 101018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ck
- reaction liquid
- heat
- heating
- heating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2295 chemical reaction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10126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접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팩커버를 갖는 외부팩과; 상기 외부팩에 수용되며 접착연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상기 팩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팩커버가 상호 접촉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연통공을 갖는 반응재료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발열효율이 증가된 가열팩유니트가 제공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ack unit, comprising: an outer pack having at least one pair of pack covers which are mutually bondable; And a reaction material pack accommodated in the outer pack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interposed between the pack covers in at least some sections of an adhesive edge to allow the pack cover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a result, a heat pack unit having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creased heat generation efficiency may be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eat pack unit,
도 2는 종래 가열팩유니트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conventional heat pack unit;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 pack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eat pack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4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4.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가열팩유니트 200 : 제1팩100: heating pack unit 200: the first pack
201 : 제1팩주머니 203 : 내커버201: first pack pocket 203: inner cover
207 : 외커버 210 : 반응액체주머니207: outer cover 210: reaction liquid bag
211 : 티어링부재 213 : 연통공211: tearing member 213: communication hole
220 : 발열체 300 : 제2팩220: heating element 300: second pack
본 발명은,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용액의 유 동구조를 개선한 가열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pack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pack unit with improved flow struc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가열팩유니트는 야외에서 별도의 취사도구 없이 간편하게 음식물을 데울 때 사용되며 특히, 동절기에 기온이 내려갈 때 작전 중인 군부대의 장병들을 위해 많이 사용된다.The heat pack unit is used for heating food easily without any cooking utensils in the open air, especially for soldiers of military units in operation when the temperature drops in winter.
가열팩유니트는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와,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팩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반응액체와 발열체를 반응시키고 이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한다. 이러한 가열팩유니트의 구성은 한국특허출원 2003-0053988에 개시되어 있다. The heating pack unit includes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the reaction liquid and at least two packs containing the reaction liquid, and the user reacts the reaction liquid with the heating element and heats the food by the heat generated. The configuration of such a heat pack unit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Application 2003-0053988.
도 1은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종래 가열팩유니트(1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응액수용부(21)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1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가열팩유니트(10)는 상호 연통가능하게 결합된 제1팩(20)과, 제2팩(30)과, 두 팩(20,30) 사이에 마련되는 음식물수용부(4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제 1팩(20)과 제2팩(30)은 각각 내부에 반응액체를 수용하는 반응액체주머니(21, 31)와,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25, 35)를 포함한다. 반응액체주머니(21, 3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머니(21) 표면 일측에 사용자가 가압하여 주머니(21)를 찢을 수 있도록 마련된 티어링부재(23)가 마련된다. 발열체(25a)는 반응액체와 직접 접촉하여 즉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부직포(25) 등의 내부에 수용된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가열팩유니트(10)가 음식물을 가열하는 과정을 살 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가열팩유니트(10)의 음식물수용부(50)에 음식물을 삽입하고 외측에 돌출 형성된 제1팩(20)과 제2팩(30)의 티어링부재(23, 33)에 힘을 가한다. When the conventional
힘을 받은 티어링부재(23, 33)는 반응액주머니(21)를 찢게 되고, 반응액은 외부로 유출되며 발열체(25a)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팩(20)과 제2팩(3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두 팩(20, 30)의 사이에 개재된 음식물은 열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The tearing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열팩유니트(10)는 반응액체주머니(21, 31)가 각 팩(20, 30) 내에 고정결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티어링부재(23)를 가압한 경우 힘이 작용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티어링부재(23)가 반응액체주머니(21)를 완전히 찢지 못하게 되고 반응액체가 발열체와 반응하는 시간이 지연되어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However, since the
한편, 종래 가열팩유니트(10)의 각 팩(20, 30)은 여러겹의 포장재가 중첩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종래 가열팩유니트(10)의 제조공정은 이러한 여러겹의 포장재를 결합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간과 비용을 소요하여 포장재를 결합한 경우에도 각 겹의 커버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외력의 작용, 반응액체주머니의 무게,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팩의 결합부위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On the other hand, each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며 팩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가열팩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pack unit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ack and to maintain the bonded state of the pack.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가열팩유니트에 있어서, 상호 접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팩커버를 갖는 외부팩과; 상기 외부팩에 수용되며 접착연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상기 팩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팩커버가 상호 접촉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연통공을 갖는 반응재료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pack unit, comprising: an outer pack having at least one pair of pack covers which are mutually bondable; It is achieved by a heat pack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ction pack is contained in the outer pack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interposed between the pack cover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edge portion to allow the pack cover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do.
여기서, 상기 접착은 열융착, 고주파융착,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dhesion is preferably made by any one of thermal fusion, high frequency fusion, adhesive.
또한, 상기 연통공은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외부팩은 소정의 반응액체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재료팩은 상기 반응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The outer pack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a predetermined reaction liquid, and the reaction material pack may store the reaction liquid.
한편, 상기 외부팩은, 소정의 반응액체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재료팩은 상기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가 저장될 수 있다.The outer pack may include a predetermined reaction liquid, and the reaction material pack may store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the reaction liquid.
여기서, 상기 반응재료팩은, 상기 반응재료팩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반응재료팩을 찢을 수 있는 티어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action material pack,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ction material pack may include a tearing member that can tear the reaction material pack.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접착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팩커버를 갖는 외부팩을 포함하는 가열팩유니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반응액체가 저장된 반응액체주머니의 접착연부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연통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팩커버를 열융착에 의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팩유니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 다.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ing pack unit comprising an outer pack having at least one pair of pack covers that can be bonded to each other, at least a portion of the adhesive edge portion of the reaction liquid bag in which a predetermined reaction liquid is stored Generating one communication hole; It can be achieved b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pack unit comprising the step of coupling the pack cover by the heat-sealing with the communication hole therebetwee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함을 밝힌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description,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가열팩유니트(100)의 분해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th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는 상호 연통된 제1팩(200)과 제2팩(300), 그리고 제1팩(200)과 제2팩(300) 사이에 마련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물수용부(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제1팩(200)은 반응액체가 저장된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반응액체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220)를 수용하며,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발열체(200)를 수용하는 제1팩주머니(201)를 포함한다. The
반응액체주머니(210)는 발열체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반응액체가 저장되며, 반응액체는 0.5~20%의 NaCl 수용액이 사용된다. 반응액체주머니(210)의 표면 일측에는 반응액체주머니(210) 내부의 반응액체가 발열체(220)와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티어링부재(211)와, 제1팩주머니(20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연통공(213)이 마련된다. The
여기서, 반응액체주머니(210)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포장재로 구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 포장재 중에는 충격을 완충하며 열에 의해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 LLDPE(linear-low density polyethylene)를 포함하는 것이 제1팩주머니(201)와 결합시 접착을 용이하게 하며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Here, the
티어링부재(211)는 반응액체주머니(210)의 테두리부(215)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외측으로 가압을 할 경우 반응액체주머니(210)를 찢어서 반응액체가 발열체(220)와 반응하도록 한다. 티어링부재(211)는 도 4에 도시한 실시예 외에도 주머니의 표면에 마련되어 주머니를 찢을 수 있는 다양한 종래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The tear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티어링부재(211)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티어링부재(211)를 가압하여 반응액체와 반열체(220)를 반응시키지만, 이 외에 사용자가 외부에서 팩의 전면과 후면에서 동시에 압력을 가하여 반응액체주머니(210)를 터뜨려 열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을 밝힌다.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aring
연통공(213)은 테두리부(215)에 마련되어 반응액체주머니(210)를 수용하는 제1팩주머니(201)의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팩주머니(201)의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의 접착시 연통공(213)을 통해 내커버(203)와 외커버(207)가 직접 접촉되면서 접착되므로 접착효율이 높아지고 접착 후 내커버(203)와 외커버(207)가 외력에 의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연통공(213)은 내커버(203)와 외커버(207) 사이에 개재되어 내커버(203)와 외커버(207)와 함께 접착되므로 제1팩주머니(201) 내에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티어링부재(211)의 가압에 의해 반응액체주머니(210)가 찢어지더라도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In addition, the
연통공(213)의 크기와 개수는 제1팩주머니(201)의 크기와 두께, 재질 등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접착효율을 위해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ize and number of the
한편,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발열체(220)는 소정의 접착방법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는 티어링부재(211)에 의해 반응액체가 반응액체주머니(210)로부터 분출될 때 반열체(220)의 위치가 고정되어 반응면적을 넓히고 반응시간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발열체(220)의 접착방법은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재질과 발열체(220)를 수용한 부직포의 재질에 따라 다양한 종래 접착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핫멜트에 의해 결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발열체(220)는 마그네슘(Mg), 철(Fe)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반응액체와 접촉시 화학반응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발열체(220)는 반응액체와 반응시 일정한 면적내에 동일한 열이 발생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구획된 부직포 등의 내부에 수용된다. 부직포(221)는 발열체(220)와 반응액체의 반응시 반응액체를 흡수하며 반응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반응시간을 연장시켜 오랫동안 열이 발생하도록 한다. The
제1팩주머니(2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로 이루어진다.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상호 접착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며 소정의 접착방법에 의해 접착되어 반응액체주머니(210)와 발열체(22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As shown in FIG. 5, the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홑겹의 재질로 마련되거나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진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외부에 충격으로부 터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를 이루는 재질은 열에 의해 접착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마련되는 것이 상호 결합시 결합효율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외커버(207)와 내커버(203)는 열융착, 초음파융착, 고주파융착, 그리고 접착제 등의 방법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 때,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결합부(209)는 반응액체주머니(210)의 연통공(213)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촉하게 되며, 열을 가하게 되면 외커버(207)와 내커버(203)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된 반응액체주머니(210)는 융착되어 쉽게 결합된다.Here,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팩(300)은 제1팩(2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제조방법을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먼저, 반응액체가 저장된 반응액체저장부(210)의 테두리부(215)의 하단부에 펀칭기를 사용하여 연통공(2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반응액체저장부(210)의 일측에 핫멜트를 도포하여 발열체(220)를 둘러싼 부직포(221)와 고정결합한다. First, the
그리고, 제1팩(200)의 외커버(207)와 내커버(203)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맞추고, 이들 사이에 반응액체저장부(210)와 발열체(220)를 개재한 후 소정의 실링기를 사용하여 테두리를 결합한다. 이 때, 외커버(207)와 내커버(203) 사이에 반응액체저장부(210)의 연통공(213)이 개재하도록 하며, 연통공(213)을 사이에 두고 외커버(207)와 내커버(203)가 직접 접착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외커버(207)가 내커버 (20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직접 결합하므로 결합효율이 증진되어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n, the positions of the
이렇게 마련된 제1팩(200)과 제2팩(300)의 내커버(203, 307)의 테두리부를 실링기에 의해 실링하여 제1팩(200)과 제2팩(300)을 결합시킨다. 이 때, 테두리부의 하단의 소정길이는 서로 접착하지 않고 자유단 상태로 유지한다. 이는 음식물수용부(400)의 출구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음식물을 입출할 경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The edges of the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가열팩유니트(100)의 사용방법을 도4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The method of using the
먼저 사용자는 음식물수용부(400)에 가열할 음식물을 수용한다. 그리고, 가열팩유니트(100)의 입구에 형성된 노치(205)를 가압하여 입구를 개방한다. 그리고 개방부에 나타낸 티어링부재(211, 311)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First, the user accommodates food to be heated in the
이 때, 티어링부재(211, 311)에 의해 반응액체주머니(210, 310)가 찢어지면서 반응액체가 각 팩(200, 300) 내부로 분출되고 발열체(220, 320)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한다. 음식물수용부(400)에 수용된 음식물은 양 팩(200, 3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가열된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티어링부재(211, 31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더라도 반응액체주머니(210, 310)는 제1팩(200)과 제2팩(300)의 외커버(207, 303)와 내커버(203, 307)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방향으로 함께 올라가지 않고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Here, even if the tear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응액체주머니에 연통공을 형성하 여 내커버와 외커버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접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내커버와 외커버 사이에 반응액체주머니가 고정 결합되므로 티어링부재의 가압에도 반응액체주머니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communication hole in the reaction liquid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bonding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reaction liquid bag is fixedly coupled between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the position of the reaction liquid bag is fixed even when the tearing member is pressed.
이에 따라, 반응액체가 팩 내부로 완전히 분출되게되므로 발열체와 충분히 반응하게 되어 열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reaction liquid is completely ejected into the pack, the reaction liquid is sufficiently reacted with the heating element, thereby increasing the thermal efficienc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액체주머니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내커버와 외커버가 직접 접촉결합되어 결합효율이 증진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가열팩유니트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is directly conta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reaction liquid bag to provide a heating pack unit that can improve the coupling efficiency and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7)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8346A KR101018831B1 (en) | 2006-02-24 | 2006-02-24 | Heating Pack Unit |
| EP07709084A EP1986533B1 (en) | 2006-02-24 | 2007-02-23 | Pouch pack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 CN2007800062449A CN101389248B (en) | 2006-02-24 | 2007-02-23 | Temperature-controlled pouch packaging |
| US12/280,431 US8118021B2 (en) | 2006-02-24 | 2007-02-23 |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
| AT07709084T ATE531301T1 (en) | 2006-02-24 | 2007-02-23 | AIR CONDITIONING BAG |
| PCT/KR2007/000959 WO2007097591A1 (en) | 2006-02-24 | 2007-02-23 |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
| JP2008556253A JP4887382B2 (en) | 2006-02-24 | 2007-02-23 | Temperature control pouch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60018346A KR101018831B1 (en) | 2006-02-24 | 2006-02-24 | Heating Pack Uni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8134A KR20070088134A (en) | 2007-08-29 |
| KR101018831B1 true KR101018831B1 (en) | 2011-03-04 |
Family
ID=386138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60018346A Active KR101018831B1 (en) | 2006-02-24 | 2006-02-24 | Heating Pack Uni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1883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34319A (en) * | 2015-06-29 | 2018-04-04 | (주)참맛 | Thermal Reaction Pack Uni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30785A (en) * | 1999-07-12 | 2002-04-25 | 마이클 이. 카푹 |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
| KR200300703Y1 (en) | 2002-09-26 | 2003-01-14 | 김순일 | Chinese medicine automatic heating packaging container. |
| JP2004534699A (en) | 2001-06-29 | 2004-11-18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Self-heating / self-cooling package |
| KR20050093657A (en) * | 2004-03-17 | 2005-09-23 | 김순일 | Automatic heating pouch pack |
-
2006
- 2006-02-24 KR KR1020060018346A patent/KR1010188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30785A (en) * | 1999-07-12 | 2002-04-25 | 마이클 이. 카푹 |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
| JP2004534699A (en) | 2001-06-29 | 2004-11-18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Self-heating / self-cooling package |
| KR200300703Y1 (en) | 2002-09-26 | 2003-01-14 | 김순일 | Chinese medicine automatic heating packaging container. |
| KR20050093657A (en) * | 2004-03-17 | 2005-09-23 | 김순일 | Automatic heating pouch pack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80034319A (en) * | 2015-06-29 | 2018-04-04 | (주)참맛 | Thermal Reaction Pack Unit |
| KR101957215B1 (en) | 2015-06-29 | 2019-03-12 | (주)참맛 | Thermal Reaction Pack Uni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88134A (en) | 2007-08-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118021B2 (en) | Pouch pack controlling temperature | |
| KR100869056B1 (en) | Heating Pack Unit | |
| JP6159314B2 (en) | Pouch | |
| CN108025836A (en) | sheet container | |
| MX2012009643A (en) | Wet tissue package and production method for same. | |
| JP4103331B2 (en) | Pouch with handle | |
| KR101018831B1 (en) | Heating Pack Unit | |
| JP6046520B2 (en) | Filling method | |
| KR101099049B1 (en) | Pack and package for heating content including the same | |
| JP5988545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wet tissue package | |
| KR20150087237A (en) | Vertical pouch | |
| KR102364875B1 (en) | A packaging bag provided with a handle with improved recycl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3981742B2 (en) | Packaging bag | |
| KR200336223Y1 (en) | Flameless heater | |
| JP2021038008A (en) | Packaging ba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ackaging bag | |
| JPH09315465A (en) | Packaging sheet material for food to be cooked by microwave oven, and packaging body using it | |
| JP2005178856A (en) | Packaging ba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 JP6712158B2 (en) | Pouch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CN113453990A (en) | Pouch and pouch manufacturing method | |
| JP7275491B2 (en) | multilayer packaging bag | |
| JP2004224389A (en) | Shock absorbing package, and packaging container using the same | |
| JP2015077282A (en) | Heating element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heating container | |
| KR200406725Y1 (en) | Beverage packaging | |
| KR200314106Y1 (en) | sealing pack of pouch type | |
| JP6894935B2 (en) | Packaging ba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