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9009557A1 -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09557A1
WO2019009557A1 PCT/KR2018/007244 KR2018007244W WO2019009557A1 WO 2019009557 A1 WO2019009557 A1 WO 2019009557A1 KR 2018007244 W KR2018007244 W KR 2018007244W WO 2019009557 A1 WO2019009557 A1 WO 20190095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blic key
key identifier
uicc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2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혜원
이덕기
강수정
류영선
박종한
윤강진
Current Assignee (The listed assignees may be inaccurate.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or warranty as to the accuracy of the list.)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iginal Assignee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ed Critical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ority to CN202310109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248370A/zh
Priority to US16/622,009 priority patent/US11184769B2/en
Priority to CN201880045001.4A priority patent/CN110870281B/zh
Priority to EP18828873.2A priority patent/EP3605995B1/en
Publication of WO20190095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09557A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Priority to US17/529,830 priority patent/US11943615B2/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9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for achieving mutual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04W12/043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using a trusted network node as an anc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communication service to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installing and managing a profile on-line in a communication system.
  • a 5G communication system or a pre-5G communication system is referred to as a 4G network (Beyond 4G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or a post-LTE system (Post LTE) system.
  • 4G network Beyond 4G Network
  • Post LTE post-LTE
  • 5G communication systems are being considered for implementation in very high frequency (mmWave) bands (e.g., 60 gigahertz (60GHz) bands).
  • mmWave very high frequency
  • 60GHz gigahertz
  • beamforming, massive MIMO, full-dimension MIMO (FD-MIMO ), Array antennas, analog beam-forming, and large scale antenna technologies are being discussed.
  • the 5G communication system has developed an advanced small cell, an advanced small cell,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an ultra-dense network, (D2D), a wireless backhaul, a moving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Coordinated Multi-Points (CoMP), and interference cancellation Have been developed.
  • cloud 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 D2D ultra-dense network
  •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 ACM Advanced Coding Modulation
  •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
  •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 SCMA subcarrier code multiple access
  • IoT Internet of Things
  • IoE Internet of Everything
  • M2M machine to machine
  •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 a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 a connection control module for connecting to the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may be included in the UICC.
  • access control modules includ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nd an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ISIM).
  •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 a UICC containing a USIM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USIM card.
  • a UICC that includes a SIM module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SIM card.
  • a SIM card will be used in a conventional sense including a UICC card, a USIM card, a UICC including an ISIM, and the like. That is, even if the SIM card is a SIM card, its technical applica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 USIM card, an ISIM card, or a general UICC card.
  • the SIM card stor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and performs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traffic security key generation when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enabling secure mobile communication use.
  • the SIM card is generally manufactured as a dedicated card for a specific operator upon request of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card, and is provided with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network connection of the provider, for example,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applicatio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K value, and OPc value are loaded in advance on the card.
  • the manufactured SIM card is supplied to the subscriber by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nd if necessary, performs management such as installation, modification, and deletion of the application in the UICC using OTA (Over The Air) can do.
  • the subscriber can insert the UICC card into the ow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e the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 the UICC card is moved from the existing terminal to the new term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lephone number, a personal telephone directory,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y are in a new terminal.
  • the SIM card is inconvenient for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services of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physically acquire the SIM card to receive the servi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 the roaming service solves the above inconveniences to a certain extent,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service can not be received if the contract is not made between the parties.
  • the SIM module when the SIM module is remotely downloaded and installed in the UICC card, the inconvenience can be largely solved. That is, the SIM modu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desired to be used by the user at a desired point of time can be downloaded to the UICC card.
  • the UICC card can also download and install a plurality of SIM modules, and select and use only one of the SIM modules.
  • Such a UICC card may or may not be fixed to the terminal.
  • a UICC fixed to a terminal is called an euICC (embedded UICC).
  • the eUICC means a UICC card that can be fixed to a terminal and remotely download and select a SIM module.
  • a UICC card that can download and select a SIM module remotely will be referred to as an eUICC.
  • the UICC card which can be remotely downloaded and selected from the UICC cards, which is fixed or not fixed to the terminal will be collectively used as the eUICC.
  • I will also use the term "eUICC profile" collectively for the downloaded SIM module inform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connection by selecting a communication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installing, and managing a profile for online connection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providing a profile to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olution of the following part for the above purpose.
  • a method of a terminal performing an authentication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cquiring a public key identifier of a specific CI (Certificate Issuer) determining a public key identifier supported by the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determining a public key identifier belonging to the public key identifier obtained from the public key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UICC of the terminal, And sending the request message to a server (e.g.,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 a server e.g.,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 the step of verifying comprises comparing the obtained public key identifier with the cached UICC information in the terminal 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public key identifier supported by the UICC and comparing the obtained public key identifier with the obtained public key identifier
  • the public key identifier used in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may be restricted by excluding the public key identifier not included in the public key identifier obtained from the public key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public key identifier.
  • the acquiring step may include receiving a user input to the terminal, inqui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UICC, inquiring an activation code, inquiring a command code, receiving from a profile related server, By inquiring the installed profile, the public key identifier of a specific CI can be acquired.
  •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receiving from the server an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ncluding a public key identifier to be used by the UICC, wherein the public key identifier to be used by the UICC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s different from the obtained public key identifier, If the public key identifier can not be supported by the UICC, or if the obtained public key identifier is not supported by the UICC, or if there is no public key identifier belonging to the public key identifier obtained from the public key identifier supported by the UICC,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ends .
  • a terminal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 public key identifier of a specific CI (Certificate Issuer) Determines a public key identifier belonging to the public key identifier obtained from the public key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UICC of the terminal,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etermined public key identifier to the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verify a public key identifier to be used by the UICC included in one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 CI Certificate Issuer
  • a server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ublic key identifier from a terminal; and transmitting a public key identifier to be used by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 the public key identifier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may be a public key identifier belonging to a public key identifier previously obtained by the terminal from the public key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UICC of the terminal .
  • a server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n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 public key identifier from a terminal, and receiving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 the public key identifier included in th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cludes a public key identifier that the terminal obtains in advance from public key identifiers supported by the UICC of the terminal, and a public key identifier It may be a public key identifier that belongs to.
  • the terminal informs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of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Certificate Issuer) trusted by the terminal, and a digital certificate issuer And can receive the issued digital certificate from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 the terminal and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can reduce the security threat dur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process by using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d by the specific digital certificate issuer at mutual authentication.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a termi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UICC on which a fixed profile is installed.
  •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ertificate hierarchy for certificates issued by a specific certificate issuer.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a server and a terminal.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negotiating a certificate to be used in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a server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a terminal to select a certificate to be proposed for use in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by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 (s).
  •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actually be execut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 " part "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eans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or an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 'to'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 the UICC is a smart card inserte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etwork connec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a phone book, and SMS of a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
  •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GSM, WCDMA, LTE, Authentication and traffic security key generation to enable safe mobile communication.
  • the UICC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application such as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 (Universal SIM), and ISIM (IP Multimedia SIM)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subscriber access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evel security function for mounting various application applications.
  • the eUICC (embedded UICC) is a chip-type security module embedded in a non-detachable terminal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a terminal.
  • eUICC can download and install profiles using OTA (Over The Air) technology.
  • OTA Over The Air
  • the eUICC can be named UICC, which can download and install profiles.
  • a method of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profile using the OTA technology in the eUICC can be applied to a removable UICC capable of being inserted and removed in a terminal. That i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UICC that can download and install a profile using OTA technology.
  • UICC may be intermixed with SIM
  • eUICC may be intermixed with eSIM
  • a profile may mean that an application, a file system, an authentication key value, etc. stored in the UICC are packaged in software form.
  • the USIM Profile may mean the same meaning as the profile or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USIM application in the profile is packaged in software form.
  • the profile providing server includes a function of generating a profile, encrypting a generated profile, generating a profile remote management command, or encrypting a generated profile remote management command, and includes a 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SM-DP) , Profile Manager (SM-DP +), Off-card entity of Profile Domain, Profile Encryption Server, Profile Creation Server, Profile Provisioner, Profile Provider,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 holder).
  • SM-DP 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 SM-DP + Profile Manager
  • Off-card entity of Profile Domain Profile Encryption Server
  • Profile Creation Server Profile Provisioner
  • Profile Provider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 holder
  •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SM-SR), a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Plus (SM-SR +), an off-card entity of an eUICC Profile Manager or a PMC holder (Profile Management Credentials holder) ). ≪ / RTI >
  • SM-SR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 SM-SR +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Plus
  • PMC holder PMC holder
  • the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profile providing ser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 the operation of describing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or the SM-SR may be performed by the profile providing server.
  • " terminal " as used herein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a user equipment (UE), a user terminal (UT), a wireless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T), a terminal, a subscriber unit ,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 wireless transmit / receive unit (WTRU), a mobile node, a mobile, or other terminology.
  • the terminal may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cellular telephones, smart phon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wireless modems, portable computer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Devices, gaming devic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music storage and playback applianc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ternet appliances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browsing, as well as portable units or terminals incorporating combinations of such functions have.
  • the terminal may include an M2M (Machine to Machine) terminal, an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rminal /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device.
  • an electronic device can be embedded with an installable UICC by downloading a profile. If the UICC is not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UICC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 a UICC in the form of a card may be inserted into an electronic device.
  •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may be a terminal including a UICC that can download and install a profile.
  • the UICC can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and inserted into th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 An installable UICC by downloading a profile may be referred to as eUICC, for example.
  • the terminal or 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software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terminal or the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UICC or the eUICC.
  • the software or application may be referred to, for example, as a Local Profile Assistant (LPA).
  • LPA Local Profile Assistant
  • the profile delimiter includes a Profile ID, an Integrated Circuit Card ID (ICCID), a Matching ID, an Event ID, an Activation Code, an Activation Code Token, an ISD-P Or a Profile Domain (PD).
  • the Profile ID can represent a unique identifier of each profile.
  • the profile delimiter may include an address of a profile providing server (SM-DP +) capable of indexing a profile.
  • the eUICC identifier may be the unique identifier of the eUICC embedded in the terminal and may be referred to as EID.
  • the provisioning profile may be an identifier of the provisioning profile (Profile ID of the provisioning profile).
  • the terminal ID may be used. It may also refer to a specific secure domain of the eUICC chip.
  • a Profile Container can be named as a Profile Domain.
  • the Profile Container may be a Security Domain.
  •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 the APDU is also a message for the PP or PM to work with the eUICC.
  •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 may be a means used for mutual authentication and profile encryption and signature between the profile providing server and the eUICC.
  • the PPC includes at least one of a symmetric key, a Rivest Shamir Adleman (RSA) certificate and a private key, an elliptic curved cryptography (ECC) certificate and a private key, a Root certification authority (CA) .
  • RSA Rivest Shamir Adleman
  • ECC elliptic curved cryptography
  • CA Root certification authority
  • different PPCs may be stored or used in the eUICC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file providing servers.
  • the PMC may be a means used for mutual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between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d the eUICC and transmission data encryption and signature.
  • the PMC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ymmetric key, an RSA certificate and a private key, an ECC certificate and private key, a Root CA, and a certificate chain.
  • different PMCs can be stored or used in the eUICC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file management servers.
  • the AID may be an application identifier. This value can be a delimiter that identifies different applications within the eUICC.
  • an event may be a term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profile download or a remote profile management or other profile or management / processing instruction of the eUICC.
  • Profile Download can be mixed with Profile Installation.
  • the event type can be used as a term indicating whether a specific event is a profile download, a remote profile management, or other profile or an eUICC management / processing command.
  • the operation type (Operation Type or OperationType) Or OperationClass, an Event Request Type, an Event Class, an Event Request Class, and the like.
  • a Profile Package may be used as a term to denote a data object of a specific profile or mixed with a profile, and may be named a Profile TLV or a Profile Package TLV.
  • PPP protected profile package
  • PPP TLV protected profile package
  • a profile package is encrypted using an encryption parameter that can be decrypted only by a specific eUICC, it can be named a Bound Profile Package (BPP) or a Bundled Profile Package TLV (BPP TLV).
  • the profile package TLV may be a data set (set) representing information constituting a profile in the TLV (Tag, Length, Value) format.
  • the Remote Profile Management includes a Profile Remote Management, a Remote Management, a Remote Management Command, a Remote Command, a Remote Profile Management Package (RPM Package), a Profile Remote Management Package, a Remote Management Package, a Remote Management Command Package, and a Remote Command Package.
  • RPM can be used to change the state of a particular profile (Enabled, Disabled, Deleted), or to update the contents of a particular profile (for example, Profile Nickname or Profile Metadata) It can be used for applications.
  • the RPM may include one or more remote management commands, in which case the profiles subject to each remote management comm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ach remote management command.
  • a certificate or a digital certificate is an asymmetric key-based mutual authentication (PK), which is a pair of a public key (PK) and a secret key (SK) (Digital Certificate) used in the Internet.
  • PK public key
  • SK secret key
  • Each certificate includes one or more public keys (PK), a public key identifier (PKID) corresponding to each public key, an identifier of a certificate issuer (CI) issuing the corresponding certificate (Certificate Issuer ID) and a digital signature.
  • the certificate issuer may be named as a Certification Issuer, a Certificate Authority (CA), or a Certification Authority.
  • a public key (PK) and a public key identifier (PKID) may be a certificate including a specific public key or a corresponding public key, or a certificate including a part of a specific public key or a corresponding public key (For example, a hash value) of a part or a calculation result (e.g., a hash value) of a specific public key or a certificat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public key, (For example, a hash value) or an operation result (for example, a hash value) of a part of the certificat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public key, or the same meaning . ≪ / RTI >
  • a certificate issued by one certificate issuer is used for issuing another certificate (secondary certificate), or the secondary certificates are used for issuing certificates of a tertiary certificate or higher .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ertificates can be named as a certificate chain or a certificate hierarchy.
  • the CI certificate used for issuing the first certificate includes the Root of Certificate, Root CI, Root CI Certificate, Root CA Root CA Certificate, and so on.
  • the AKA may represent an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and may represent an authentication algorithm for accessing the 3GPP and 3GPP2 networks.
  • K is a cryptographic key value stored in the eUICC used in the AKA authentication algorithm.
  • OPc is a parameter value that can be stored in the eUICC used in the AKA authentication algorithm.
  • the NAA is a network access application application, and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such as a USIM or ISIM for accessing a network stored in a UICC.
  • the NAA may be a network connection module.
  • FIG. 1 is a diagram 100 illustrating a method of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a terminal using a UICC on which a profile fixed to the terminal is mounted.
  • a UICC 120 may be inserted into a terminal 110.
  • the UICC may be detachable or may be built in advance in the terminal.
  • the fixed profile of the UICC on which the fixed profile is mounted means that the 'connection informa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a specific communication company is fixed.
  • the access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the K or Ki value required to authenticate the network with the IMSI and the subscriber identifier, which are the subscriber identifiers.
  • the terminal can perform authentication with the authentic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for example,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AuC) using the UICC.
  •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an Authenticide and Key Agreement (AKA) process.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terminal can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telephone or mobile data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ertificate hierarchy (Certificate Hierarchy or Certificate Chain) issued by a certificate issuer (CI), an example of a public key and a certificate issuer (CI) included in each certificate, And is a drawing 200 showing an example of a digital signature configuration.
  • CI Certificate Hierarchy or Certificate Chain
  • a certificate issuer (CI)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secret key to be used by the certificate issuer, and transmits a public key 213 (CI) certificate 211, and attach a digital signature (215) generated by using a secret key of the certificate to its own certificate.
  • the CI certificate 211 may be used to issue (291) the certificate 231 of the object 1.
  • the object 1 may be, for example, a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 the object 1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secret key to be used by the object 1 and generates an object 1 certificate 231 by including the public key 233 in its own certificate, (CI Digital Signature) 235 using the CI secret key of the certificate issuer by requesting the certificate issuer to request the certificate issuer.
  • the object 1 certificate 231 includes a public key identifier (CI) of the certificate issuer corresponding to the public key of the certificate issuer (CI Public Key 213) to be used when checking the certificate issuer signature 235 included in the certificate Public Key ID, CI PKID, 237).
  • CI public key identifier
  • a CI certificate 211 may be used to issue (293) a certificate 251 of object 2.
  • Object 2 may be, for example, an eUICC manufacturer (eUICC Manufacturer, EUM).
  • EUM eUICC Manufacturer
  • the object 2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secret key to be used by the object 2, generates an object 2 certificate 251 by including the public key 253 in its own certificate, (CI Digital Signature) 255 using the CI secret key of the certificate issuer by requesting the certificate issuer to request the certificate issuer's digital signature.
  • CI Digital Signature CI Digital Signature
  • the object 2 certificate 251 includes a public key identifier (CI) of the certificate issuer corresponding to the public key of the certificate issuer (CI Public Key 213) to be used when checking the certificate issuer signature 255 included in the certificate, Public Key ID, CI PKID, 237).
  • the certificate issuer signatures 235 and 255 included in the object 1 certificate 231 and the object 2 certificate 251 may be different values, but the certificate issuer public key identifier (CI PKID) 237 is the same value.
  • an object 2 certificate 251 may be used to issue (295) the certificate 271 of object 3.
  • Object 3 may be, for example, an eUICC manufactured by an eUICC manufacturer (EUM).
  • EUM eUICC manufacturer
  • the object 3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secret key to be used by the object 3 and generates an object 3 certificate 251 by including the public key 273 in its certificate,
  • the user can request the object 2 to receive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object 2 using the secret key of the object 2 (CI Secret Key).
  • the object 3 certificate 271 includes a public key ID (PKID) corresponding to the public key 253 of the object 2 to be used when checking the object 2 signature 275 included in the certificate, , 277).
  • PKI public key ID
  • the object 1 certificate 231, the object 2 certificate 251 and the object 3 certificate 271 shown in the example of FIG. 2 all have the same CI certificate 211 as the top-level certificate or the root of certificate, Object 1, Object 2, and Object 3 require a CI certificate 211 or a CI public key 213 included therein to authenticate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in the example of FIG. 2, object 1 uses the signature of object 2 and object 2 certificate 251 and CI public key 213 to authenticate each other using digital certificates and signatures, Object 2 requires the signature of object 1, object 1 certificate 231 and CI public key 213.
  • the object 1 in order to authenticate each other using the digital certificate and the signature, the object 1 has the signature of the object 3, the object 3 certificate 271, the object 2 certificate 251, the CI
  • the public key 213 is required, and the object 3 requires the signature of the object 1, the object 1 certificate 231, and the CI public key 213.
  • the object 2 certificate 251 for the object 3 certificate 271 can be named as a certificate of a sub-certificate issuer (Sub CI, or Sub Certificate Authority, Sub CA).
  • FIG. 3 is a diagram 300 illustrating a mutual authentication procedure between the server 310 and the terminal 350.
  • the server 310 may be, for example, a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or a service discovery server (SM-DS).
  • the terminal 350 may include a software (Local Profile Assistant, LPA) 320 and an eUICC 330 for eUICC control.
  • LPA Local Profile Assistant
  • the server 310, the LPA 320, and the eUICC 330 may each store one or more digital certificates.
  • the LPA 320 can check a list of all CI PKIDs that the eUICC 330 can support. More specifically, in step 3003, the LPA 320 and the eUICC 330 can confirm the eUICC information using a Get eUICC Info Request message and an eUICC Info Response message.
  • the eUICC information response message may include eUICC information named euiccInfo1 or euiccInfo.
  • the eUICC information may include a list of all CI PKIDs that the eUICC 330 can support.
  • the LPA 320 and the server 310 can perform TLS connection.
  • the TLS connection in step 3005 may use a Server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the LPA 320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server 310 among the TLS connection methods.
  • the server 310 may submit a TLS certificate to the LPA 320 when the LPA 320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server 310 when the TLS connection in step 3005 is performed.
  • At least one CI PKID for verifying validity of the TLS certificate may be stored in the LPA 320 to the terminal 350.
  • the server 310 may submit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together with the TLS certificate to the LPA 320 at step 3005 have. Once the TLS connection is established, all messages between the LPA 320 and the server 310 can then be protected by the TLS security procedure.
  • the LPA 320 may request the server 310 to start mutual authentication. Initiation of the mutual authentication may use an Initiat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 the authentication start request message in step 3007 may include all the CI PKIDs that the eUICC 330 can support based on the information (euiccInfo1) of the eUICC 330 that the LPA 320 checked in step 3003. [
  • the server 310 may respond to the LPA 320 to start mutual authentication.
  • the mutual authentication response may use an Initiate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 the authentication start response message in step 3009 may include a CI PKID selected from among the CI PKID list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euiccInfo1) of the eUICC 330 received in step 3007 and the validity of the selected CI PKID A server certificate that can be determined, and a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that can determine whether the server certificate is valid or not.
  • the CI PKID selected by the server 310 may be named as a CI PKID (eUICC CI PKID to be used) to be used by the eUICC.
  • the authentication start response message in step 3009 may include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together with the server certificate.
  • the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3007 may be different from the TLS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3005.
  • the CI issuing the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3007 and the CI issuing the TLS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300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LPA 320 may request the eUICC 330 to authenticate the server.
  • the authentication request may use an Authenticate Server Request messag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step 3011 includes a CI PKID se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server 310, a server certificate capable of verifying validity using the corresponding CI PKID,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required for the validation, and a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that can be validated using the server certificat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step 3011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by the LPA 320 and may include operation type inform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 the eUICC 330 may return the server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LPA 320.
  • the response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use an Authenticate Server Response messag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n step 3013 includes a validation result of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received by the eUICC 320 in step 3011, a CI PKID se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server 310, and a corresponding CI PKID A digital signature of the eUICC certificate that can be validated using the eUICC certificate, and a type of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e. Operation Type information.
  • the LPA 320 may request the server 310 to authenticate the terminal.
  • the authentic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may use an Authenticate Client Request message.
  • the terminal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step 3015 may inclu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UICC 330 by the LPA 320 in step 3013.
  • the server 310 may return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terminal.
  • the response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use an Authenticate Client Response message.
  • the terminal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n step 3017 corresponds to the validation result of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eUICC 330 received by the server 310 and the operation type of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350 Or summary information of the event.
  • the terminal 350 may install a profile or perform remote management of the profil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event received in step 3017.
  • the terminal 350 verifies the server certificate using all the CI PKIDs stored in the eUICC 330, so that the certificate of the specific CI certificate It is difficult to restrict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310 having the server certificate belonging to the hierarchical structure (Certificate Hierarchy).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a server 310 and a terminal 3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erver belonging to a certificate hierarchy of a specific CI certificate
  • FIG. 4 is a diagram 400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server 310 having a certificate.
  • the LPA 320 restricts the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o a certificate belonging to a certificate hierarchy of a specific CI certificate when mutual authentication is performed.
  • the public key identifier (CI PKID)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I certificate can be obtained.
  • the following method can be used as a method for the LPA 320 to obtain the corresponding CI PKID information,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list.
  • the server that manages terminal, LPA, and eUICC is forwarded to LPA
  • step 4003 the LPA 320 can confirm whether the eUICC 330 can support the corresponding CI PKID with respect to the CI PKID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4001. [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350 in step 4003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 the LPA 320 and the server 310 can perform TLS connection.
  • the TLS connection in step 4005 may use a Server Authentication method in which the LPA 320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server 310 among the TLS connection methods.
  • the server 310 may submit a TLS certificate to the LPA 320 when the LPA 320 confirms the identity of the server 310 in the TLS connection in step 4005.
  • At least one CI PKID for verifying validity of the TLS certificate may be stored in the LPA 320 to the terminal 350. If more than one Sub CI certificate is required to validate the TLS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using the CI PKID, the server 310 may submit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together with the TLS certificate to the LPA 320 at step 4005 have.
  • the terminal 350 can additionally check whether the TLS certificate and the Sub CI certificate submitted by the server are certificates that can be validated using the CI PKID checked in step 4001, in comparison with step 3005 of FIG. Once the TLS connection is established, all messages between the LPA 320 and the server 310 can then be protected by the TLS security procedure.
  • the LPA 320 may request the server 310 to start mutual authentication. Initiation of the mutual authentication may use an Initiate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 the authentication start request message in step 4007 may include the CI PKID obtained in step 4001 by the LPA 320 in comparison with step 3007 in FIG. Also, the authentication start request message in step 4007 may include a CI PKID that the LPA 320 has confirmed to be supported by the eUICC through the eUICC in step 4003, as compared with step 3007 of FIG.
  • the server 310 may respond to the LPA 320 to start mutual authentication.
  • the mutual authentication response may use an Initiate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 the authentication start response message in step 4009 may include a CI PKID received in step 4007, a server certificat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I PKID is valid or not, And may include a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 the CI PKID to be transmitted at this time may be named as the CI PKID (eUICC CI PKID to be used) to be used by the eUICC.
  • the authentication start response message in step 4009 may include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together with the server certificate.
  • the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4009 may be different from the TLS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4005.
  • the CI issuing the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4009 and the CI issuing the TLS certificate of the server 310 transmitted in step 400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LPA 320 may compare the CI PKID returned by the server 310 in step 4009 with the CI PKID transmitted by the LPA 320 in step 4007. If the CI PKID returned by the server 310 is different from the CI PKID transmitted by the LPA 320 in step 4007, the LPA 320 may terminate the communication.
  • the LPA 320 may request the eUICC 330 to authenticate the server.
  • the authentication request may use an Authenticate Server Request messag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step 4011 includes the CI PKID transmitted by the server 310, the server certificate that can be validated using the corresponding CI PKID, and the validity of the validity, as received by the LPA 320 in step 4009 One or more Sub CI certificates needed for verification, and a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that can be validated using the server certificat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quest message in step 4011 may be additionally generated by the LPA 320 and may include operation typ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desires to perform.
  • the eUICC 330 Upon receiving the message in step 4011, the eUICC 330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certificates included in the message in step 4011, and verifies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using the certificates. At this time, the eUICC 330 can additionally check whether the eUICC 330 can support the CI PKID included in the message of step 4011 and / or whether it is available CI PKID. If the server 310 can not support or use the transmitted CI PKID, the eUICC 330 may terminate the communication.
  • the eUICC 330 may return the server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LPA 320.
  • the response of the authentication result may use an Authenticate Server Response message.
  • the server authentication response message includes a validation result of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server 310 received by the eUICC 320 in step 4011, a CI PKID transmitted from the server 310, and validity using the corresponding CI PKID
  • the digital signature of the eUICC 330 which can be verified by using the eUICC certificate, the type of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Operation Type ) Information.
  • steps 4015 to 401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perations of steps 3015 to 3019 of FIG.
  • the server 310 may restrict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310 having the server certificate belonging to the Certificate Hierarchy.
  • FIG. 5 is a diagram 500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LPA 320 and the eUICC 330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in step 4003 of FIG.
  • the LPA 320 may obtain the CI PKID information in step 4001 of FIG. A detailed description of step 4001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FIG. After that, the terminal 350 can confirm whether the eUICC 330 can support the corresponding CI PKID in the following manner.
  • the LPA 320 may compare the CI PKID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4001 with the eUICC information (euiccInfo1 or euiccInfo) temporarily stored in the LPA 320 in step 5003. More specifically, when the LPA 320 caches the eUICC information (euiccInfo1 or euiccInfo) confirmed in the method described in step 3003 of FIG. 3 in the temporary storage before the step 4001, the eUICC The list of all CI PKIDs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CI PKID can be compared with the CI PKID information obtained in step 4001.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uICC 330 does not support the CI PKID obtained in step 4001, the LPA 320 may terminate the communication.
  • the eUICC information euiccInfo1 or euiccInfo
  • the LPA 320 transmits a message to the eUICC 330 to check the CI PKID list supported by the eUICC 330 and transmits the CI PKID in step 4001 to the eUICC 330.
  • step 5005 Can be compared. More specifically, after step 4001, the LPA 320 may transmit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eUICC 330 in step 5005.
  • the message in step 5005 may be named an eUICC information request message, a eUICC arbitrary character string generation request message, or an authenticate server request message. Further, the message of step 5005 may include an identifier (profile ID, or ICCID, or AID) of a profile to be subjected to profile remote management in the future.
  • the eUICC 330 inquires the CI PKID information from th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ID received in step 5005, or includes all the CI PKID information supported by the eUICC 330, To the LPA 320 together with eUICC information (euiccInfo1 or euiccInfo).
  • the message of step 5007 may be named as a Get eUICC Info Response message or an eUICC Get eUICC Challenge Response message or an Authenticate Server Response message.
  • the LPA 320 may compare the response of the eUICC 330 received in step 5007 with the CI PKID obtained in step 400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uICC 330 does not support the CI PKID obtained in step 4001, the LPA 320 may terminate the communication.
  • the LPA 320 may send a message to the eUICC 330 in step 5011 to step 5015 to request the eUICC 330 to confirm whether the CI PKID in step 4001 is supported. More specifically, after step 4001, the LPA 320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request message to the eUICC 330 in step 5011.
  • the message of step 5011 may be named an eUICC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r an eUICC arbitrary character string generation request message or an authenticate server request message.
  • the message of step 5011 includes the CI PKID information of the step 4001 for requesting the eUICC 330 to confirm whether or not it is supported, and further includes an identifier (Profile ID, ICCID, or the like) AID) information.
  • the eUICC 330 collates the CI PKID information in step 4001 with the CI PKID list supported by the eUICC 330 in step 5011, or from th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rofile identifier received in step 5011 And verifies that the eUICC 330 supports the corresponding CI PKID by collating the CI PKID information with the list of CI PKIDs that it supports. If the corresponding CI PKID is not supported, the eUICC 330 may return a specific error code and terminate the communica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600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inal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0, a control unit 620, and a storage unit 630.
  • the control unit may be defined as a circuit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at least one processor.
  •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eUICC, and the eUICC may be embedded or embedded in the terminal.
  • the transceiver 610 may send and receive signals to other network entities.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0 receives, for exampl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trusted by the terminal and an arbitrary character string (Nonce or Random Challenge) to be used when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SM-DP +) generates a signature for its authentication
  • SM-DP + profile management server
  • One or more digital certificates that can be used to verify the signature of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the signature of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d any string to be used when the eUICC in the terminal generates a signature for its authentication From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 Transmitter / receiver 610 may also transmit the signature of the eUICC and one or more digital certificates that may be used to verify the signature of the eUICC.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0 may further transmi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ype desired by the terminal to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or may receive a part or all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from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can do.
  • the transceiver 610 may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on an operation type desired by the terminal.
  • the controller 6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620 may control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block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s described above.
  • control unit 620 verifies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should trust by referring to the eUICC in the terminal,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issuer information of the digital certificate and the digital certificate transmitted by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 And generate a signature for the eUICC.
  • control unit 62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installing or managing a profile according t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 control unit 6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the storage unit.
  • the storage unit 630 may store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610 and th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620.
  •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Certificate Issuer) to be trusted by the terminal.
  •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from the server or the network, refer to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or receive from the third software in the terminal. If received from the third software, the third software pre-stores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should trust, or can receive from the server or the network.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700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er may include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710, a control unit 720, and a storage unit 730.
  • the control unit may be defined as a circuit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or at least one processor.
  • Transceiver 710 can send and receive signals to other network entities.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710 receives, for exampl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trusts and an arbitrary character string (Nonce or Random Challenge) to be used when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generates a signature for its authentication, Lt; / RTI >
  • the transceiver 710 may include a signature of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one or more digital certificates that can be used to verify the signature of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an arbitrary string to be used when the eUICC in the terminal generates a signature for its authentication To the terminal and receive one or more digital certificates that can be used to verify the signature of the eUICC and the signature of the eUICC.
  • the transceiver 710 may further receive information on an operation type desired by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However, information on the type of operation desired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may be selectively transmitted.
  • the transceiver 710 may transmit a part or all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to the terminal.
  • the controller 7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720 may control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block to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flowcharts described above.
  • control unit 720 verifies whether or not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trusted by the terminal is valid, determines whether the server trusts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that the terminal trusts, and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trusts the digital certificate issuer information Select a digital certificate, and create a signature for the profile management server.
  • controller 720 may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gital certificat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check the signature of the eUICC, and determine the type of operation that the terminal should perform.
  • control unit 7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the storage unit.
  • the storage unit 730 may stor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710 and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7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프로파일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 (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 (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 (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 (sensor network), 사물 통신 (Machine to Machine, M2M),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UICC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 (smart card)이고 UICC 카드라고도 부른다. 상기 UICC에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 (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이후 설명에서 SIM 카드라 함은 UICC 카드, USIM 카드, ISIM이 포함된 UICC 등을 포함하는 통상의 의미로 사용하도록 하겠다. 즉 SIM 카드라 하여도 그 기술적 적용이 USIM 카드 또는 ISIM 카드 또는 일반적인 UICC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는 이동 통신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traffic) 보안 키(key)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SIM 카드는 본 발명을 제안하는 시점에서 일반적으로 카드 제조 시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의 요청에 의해 해당 사업자를 위한 전용 카드로 제조되며, 해당 사업자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어플리케이션 및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K 값, OPc 값 등이 사전에 카드에 탑재되어 출고된다. 따라서 제조된 상기 SIM 카드는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가 납품 받아 가입자에게 제공하며, 이후 필요시에는 OTA (Over The Air)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UICC 내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수정, 삭제 등의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가입자는 소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UICC 카드를 삽입하여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의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며, 단말기 교체 시 상기 UICC 카드를 기존 단말기에서 새로운 단말기로 이동 삽입함으로써 상기 UICC 카드에 저장된 인증정보, 이동통신 전화번호, 개인 전화번호부 등을 새로운 단말기에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SIM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른 이동통신사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있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사업자로부터 서비스를 받기 위해 SIM 카드를 물리적으로 획득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다른 나라로 여행을 했을 때 현지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현지 SIM 카드를 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로밍 서비스의 경우 상기 불편함을 어느 정도 해결해 주지만, 비싼 요금 및 통신사간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편, UICC 카드에 상기 SIM 모듈을 원격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경우, 이러한 불편함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을 UICC 카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또한 복수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그 중의 한 개의 SIM 모듈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UICC를 eUICC (embedded UICC)라고 하는데, 통상적으로 eUICC는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eUICC로 통칭하겠다. 즉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UICC 카드를 통칭하여 eUICC로 사용하겠다. 또한 다운로드 받는 SIM 모듈정보를 통칭하여 eUICC 프로파일 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겠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여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통신 연결을 하기 위한 프로파일을 온라인으로 다운로드 하여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프로파일을 안전하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위해서 아래의 부분의 해결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정보를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로 전달하는 방법
-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인증서를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가 단말로 회신하는 방법
- 상기 단말 및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의 간 메시지 교환 절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CI(Certificate Issuer)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서버(예를 들어,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확인하는 단계는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단말에 캐쉬(cache)된 UICC 정보와 비교하거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공개키 식별자를 제외함으로써 인증 절차에 이용되는 공개키 식별자가 제한될 수 있다.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하거나,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조회하거나, 프로파일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함으로써, 특정 CI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방법은 서버로부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다르거나,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UICC에 의해 지원될 수 없거나,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UICC가 지원하지 않거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가 없다면, 인증 절차는 종료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특정 CI(Certificate Issuer)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가 회신한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검증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방법은, 단말로부터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로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단말이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일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단말로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단말이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자신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정보를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에 알리고, 단말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가 발급한 디지털 인증서를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과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는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 시 특정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가 발급한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함으로써 상호 인증 과정 중의 보안 위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단말이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특정 인증서 발급자가 발급한 인증서들에 대한 인증서 계층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서버와 단말 간 상호 인증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와 단말 간 상호 인증 절차 중 사용할 인증서를 협상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서버에 상호 인증 절차에 사용할 것으로 제안할 인증서를 선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UICC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로서 이동통신 가입자의 네트워크 접속 인증 정보, 전화번호부, SMS와 같은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GSM, WCDMA,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시 가입자 인증 및 트래픽 보안 키 생성을 수행하여 안전한 이동통신 이용을 가능케 하는 칩을 의미한다. UICC에는 가입자가 접속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IM), ISIM(IP Multimedia SIM)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또한 전자지갑, 티켓팅, 전자여권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의 탑재를 위한 상위 레벨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embedded UICC)는 단말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착탈식 이 아닌 단말에 내장된 칩 형태의 보안 모듈이다. eUICC는 OTA(Over The Air)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eUICC는 프로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한 UICC로 명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에 OTA 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은 단말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착탈식 UICC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는 OTA 기술을 이용하여 프로파일을 다운 받아 설치 가능한 UICC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UICC는 SIM과 혼용될 수 있고, 용어 eUICC는 eSIM과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Profile)은 UICC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시스템, 인증키 값 등을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USIM Profile은 프로파일과 동일한 의미 또는 프로파일 내 USIM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는 프로파일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프로파일을 암호화 하거나, 프로파일 원격관리 명령어를 생성하거나, 생성된 프로파일 원격관리 명령어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SM-DP(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SM-DP+ (Subscription Manager Data Preparation plus), off-card entity of Profile Domain, 프로파일 암호화 서버, 프로파일 생성서버, 프로파일 제공자 (Profile Provisioner, PP), 프로파일 공급자 (Profile Provider), PPC holder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 holder) 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관리서버는 SM-SR(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SM-SR+ (Subscription Manager Secure Routing Plus), off-card entity of eUICC Profile Manager 또는 PMC holder (Profile Management Credentials holder), EM (eUICC Manager)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프로파일 제공서버를 지칭할 때, 상기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기능을 합친 것을 통칭하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즉, 이후의 기술에서 프로파일 제공서버의 동작에 대하여 상기 동작은 프로파일 관리서버 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프로파일 관리서버 또는 SM-SR에 대하여 기술하는 동작은 프로파일 제공서버에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은 전자장치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장치는 프로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 가능한 UICC가 내장될 수 있다. UICC가 전자장치에 내장되지 않은 경우, 물리적으로 전자장치와 분리된 UICC는 전자장치에 삽입되어 전자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형태로 UICC는 전자장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단말은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가능한 UICC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단말에 UICC는 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과 UICC가 분리된 경우 UICC는 단말에 삽입될 수 있고, 단말에 삽입되어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프로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가능한 UICC는 예를 들어 eUICC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단말 또는 전자장치는 UICC 또는 eUICC를 제어하도록 단말 또는 전자장치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Local Profile Assistant(LPA)라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구분자는 프로파일 식별자 (Profile ID),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 Matching ID, 이벤트 식별자 (Event ID),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 활성화 코드 토큰(Activation Code Token), ISD-P 또는 프로파일 도메인(Profile Domain, PD)과 매칭되는 인자로 지칭될 수 있다. Profile ID는 각 프로파일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구분자는 프로파일을 색인할 수 있는 프로파일 제공서버(SM-DP+)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eUICC 식별자(eUICC ID)는, 단말에 내장된 eUICC의 고유 식별자일 수 있고, EID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eUICC에 프로비저닝 프로파일 (Provisioning Profile)이 미리 탑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프로비저닝 프로파일의 식별자 (Provisioning Profile의 Profile ID)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말과 eUICC 칩이 분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 ID일 수 있다. 또한, eUICC칩의 특정 보안 도메인 (Secure Domain)을 지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컨테이너(Profile Container)는 프로파일 도메인(Profile Domain) 으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컨테이너 (Profile Container)는 보안 도메인 (Security Domain)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는 단말이 eUICC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 일수 있다. 또한 APDU는 PP 또는 PM이 eUICC와 연동하기 위한 메시지 일 수다.
본 명세서에서 PPC (Profile Provisioning Credentials)는 프로파일 제공서버와 eUICC 간 상호 인증 및 프로파일 암호화, 서명을 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일 수 있다. PPC는 대칭키, RSA (Rivest Shamir Adleman) 인증서와 개인키, ECC (elliptic curved cryptography) 인증서와 개인키, 최상위 인증 기관(Root certification authority (CA)) 및 인증서 체인(chai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제공서버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제공서버별로 다른 PPC를 eUICC에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MC (Profile Management Credentials)는 프로파일 관리서버와 eUICC 간 상호 인증 및 전송 데이터 암호화, 서명을 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일 수 있다. PMC는 대칭키, RSA 인증서와 개인키, ECC 인증서와 개인키, Root CA 및 인증서 체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 관리서버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프로파일 관리서버별로 다른 PMC를 eUICC에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ID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Application Identifier) 일 수 있다. 이 값은 eUICC 내에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 을 구분해주는 구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벤트(Event)는 프로파일 다운로드(Profile Download) 또는 원격 프로파일 관리(Remote Profile Manangement) 또는 기타 프로파일이나 eUICC의 관리/처리 명령어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프로파일 다운로드(Profile Download)는 프로파일 설치(Profile Installation)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종류(Event Type)는 특정 이벤트가 프로파일 다운로드인지 원격 프로파일 관리인지 또는 기타 프로파일이나 eUICC 관리/처리 명령인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작 종류(Operation Type 또는 OperationType), 동작 분류(Operation Class 또는 OperationClass), 이벤트 요청 종류(Event Request Type), 이벤트 분류(Event Class), 이벤트 요청 분류(Event Request Class)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파일 패키지(Profile Package)는 프로파일과 혼용되거나 특정 프로파일의 데이터 객체(data object)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Profile TLV 또는 프로파일 패키지 TLV (Profile Package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 암호화된 경우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Protected Profile Package (PPP)) 또는 보호된 프로파일 패키지 TLV (PPP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가 특정 eUICC에 의해서만 복호화 가능한 암호화 파라미터를 이용해 암호화된 경우 묶인 프로파일 패키지(Bound Profile Package (BPP)) 또는 묶인 프로파일 패키지 TLV (BPP TLV)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파일 패키지 TLV는 TLV (Tag, Length, Value) 형식으로 프로파일을 구성하는 정보를 표현하는 데이터 세트 (set)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원격 프로파일 관리(Remote Profile Manangement, RPM)는 프로파일 원격관리(Profile Remote Management), 원격관리(Remote Management), 원격관리 명령(Remote Management Command), 원격 명령(Remote Command), 원격 프로파일 관리 패키지(RPM Package), 프로파일 원격 관리 패키지(Profile 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관리 패키지(Remote Management Package), 원격관리 명령 패키지(Remote Management Command Package), 원격명령 패키지(Remote Command Package)로 명명될 수 있다. RPM은 특정 프로파일의 상태(Enabled, Disabled, Deleted)를 변경하거나, 특정 프로파일의 내용(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별칭(Profile Nickname), 또는 프로파일 요약 정보(Profile Metadata) 등)을 변경(update)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RPM은 하나 이상의 원격관리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원격관리명령의 대상이 되는 프로파일은 원격관리명령마다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증서(Certificate) 또는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는 공개 키(Public Key, PK)와 비밀 키(Secret Key, SK)의 쌍으로 구성되는 비대칭 키(Asymmetric Key) 기반의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에 사용되는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나타낼 수 있다. 각 인증서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개 키(Public Key, PK)와, 각 공개 키에 대응하는 공개키 식별자(Public Key Identifier, PKID)와, 해당 인증서를 발급한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의 식별자(Certificate Issuer ID) 및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는 인증 발급자(Certification Issuer), 인증서 발급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 인증 발급기관(Certification Authority)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개키(Public Key, PK)와 공개 키 식별자(Public Key ID, PKID)는 특정 공개 키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일부분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일부분,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또는 특정 공개 키의 일부분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내지 해당 공개 키가 포함된 인증서의 일부분의 연산 결과(예를 들면, 해시(Hash))값, 또는 상기 데이터들이 저장된 저장 공간을 지칭하는 동일한 의미로 혼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가 발급한 인증서들(1차 인증서)이 다른 인증서(2차 인증서)를 발급하는데 사용되거나, 2차 인증서들이 3차 이상의 인증서들을 연계적으로 발급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해당 인증서들의 상관관계는 인증서 연쇄(Certificate Chain) 또는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로 명명될 수 있으며, 이 때 최초 인증서 발급에 사용된 CI 인증서는 인증서 근원(Root of Certificate), 최상위 인증서, 근원 CI(Root CI), 근원 CI 인증서(Root CI Certificate), 근원 CA(Root CA) 근원 CA 인증서(Root CA Certificate)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KA는 인증 및 키 합의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를 나타낼 수 있으며, 3GPP 및 3GPP2망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알고리즘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K 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되는 암호키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OPc는 AKA 인증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eUICC에 저장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NAA는 네트워크 접속 어플리케이션 (Network Access 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으로, UICC에 저장되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USIM 또는 ISIM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NAA는 망접속 모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단말에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를 이용한 단말의 이동통신 네트워크 연결방법을 도시하는 도면(10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10)에 UICC(1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UICC는 착탈형 일 수도 있고 단말에 미리 내장된 것 일 수도 있다. 상기 고정된 프로파일이 탑재된 UICC의 고정된 프로파일은 특정 통신사에 접속할 수 있는 '접속정보'가 고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접속정보는 이를 테면 가입자 구분자인 IMSI 및 가입자 구분자와 함께 망에 인증하는데 필요한 K 또는 Ki 값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단말은 상기 UICC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인증처리시스템 (이를 테면 HLR (home location register) 이나 AuC)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과정은 AKA (Authenticaiton and Key Agreement) 과정일 수 있다. 인증에 성공하면 이후 단말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통신네트워크(130)를 이용하여 전화나 모바일 데이터 이용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가 발급한 인증서의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 또는 Certificate Chain)의 예와, 각 인증서에 포함된 공개 키(Public Key) 및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의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는 자신이 사용할 공개 키(Public Key)와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하고, 이 중 공개 키(Public Key, 213)를 자신의 인증서에 포함하여 CI 인증서(Certificate Issuer Certificate, CI Certificate, 211)를 생성하고, 자신의 인증서에 자신의 비밀 키(Secret Key)를 이용해 생성한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215)을 인증서에 첨부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CI 인증서(211)는 객체1의 인증서(231)를 발급(291)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객체1은, 예를 들면,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일 수 있다. 객체1은 자신이 사용할 공개 키(Public Key)와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하고, 이 중 공개 키(Public Key, 233)를 자신의 인증서에 포함하여 객체1 인증서(231)를 생성하고,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에게 요청하여 인증서 발급자의 비밀 키(CI Secret Key)를 이용해 인증서 발급자의 디지털 서명(CI Digital Signature, 235)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객체1 인증서(231)는,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인증서 발급자 서명(235)을 확인할 때 사용되어야 하는 인증서 발급자의 공개 키(CI Public Key, 213)에 대응하는 인증서 발급자의 공개키 식별자(CI Public Key ID, CI PKID, 2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CI 인증서(211)는 객체2의 인증서(251)를 발급(293)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객체2는, 예를 들면, eUICC 제조사(eUICC Manufacturer, EUM)일 수 있다. 객체2는 자신이 사용할 공개 키(Public Key)와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하고, 이 중 공개 키(Public Key, 253)를 자신의 인증서에 포함하여 객체2 인증서(251)를 생성하고,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에게 요청하여 인증서 발급자의 비밀 키(CI Secret Key)를 이용해 인증서 발급자의 디지털 서명(CI Digital Signature, 255)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객체2 인증서(251)는,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인증서 발급자 서명(255)을 확인할 때 사용되어야 하는 인증서 발급자의 공개 키(CI Public Key, 213)에 대응하는 인증서 발급자의 공개키 식별자(CI Public Key ID, CI PKID, 2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1 인증서(231)와 객체2 인증서(251)에 포함된 인증서 발급자 서명들(235 및 255)은 서로 다른 값일 수 있으나, 인증서 발급자 공개키 식별자(CI PKID, 237)는 동일한 값이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객체2 인증서(251)는 객체3의 인증서(271)를 발급(295)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객체3은, 예를 들면, eUICC 제조사(eUICC Manufacturer, EUM)가 제조한 eUICC일 수 있다. 객체3는 자신이 사용할 공개 키(Public Key)와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하고, 이 중 공개 키(Public Key, 273)를 자신의 인증서에 포함하여 객체3 인증서(251)를 생성하고, 객체2에게 요청하여 객체2의 비밀 키(CI Secret Key)를 이용해 객체2의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 275)을 받을 수 있다. 이 때 객체3 인증서(271)는, 해당 인증서에 포함된 객체2 서명(275)을 확인할 때 사용되어야 하는 객체2의 공개 키(Public Key, 253)에 대응하는 공개키 식별자(Public Key ID, PKID, 27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도시된 객체1 인증서(231), 객체2 인증서(251), 객체3 인증서(271)는 모두 동일한 CI 인증서(211)를 최상위 인증서 내지 인증서 근원(Root of Certificate)으로 가지며, 따라서 객체1, 객체2, 객체3이 서로를 인증하기 위해 CI 인증서(211) 내지는 그에 포함된 CI 공개 키(213)을 필요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예에서, 객체1과 객체2가 디지털 인증서 및 서명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증하기 위해, 객체1은 객체2의 서명과 객체2 인증서(251)와 CI 공개 키(213)가 필요하고, 객체2는 객체1의 서명과 객체1 인증서(231)와 CI 공개 키(213)가 필요하다.
또한, 도 2의 예에서, 객체1과 객체3이 디지털 인증서 및 서명을 이용하여 서로를 인증하기 위해, 객체1은 객체3의 서명과 객체3 인증서(271)와 객체2 인증서(251)와 CI 공개 키(213)가 필요하고, 객체3은 객체1의 서명과 객체1 인증서(231)와 CI 공개 키 (213)가 필요하다. 이 때 객체3 인증서(271)에 대해 객체2 인증서(251)는 인증서 부발급자(Sub Certificate Issuer, Sub CI, 또는 Sub Certificate Authority, Sub CA) 인증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은 서버(310)와 단말(Terminal, 350)간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300)이다.
도 3에서 서버(310)는, 예를 들면,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이거나 서비스 탐색 서버(SM-DS)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단말(350)은, eUICC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Local Profile Assistant, LPA, 320)와 eUICC(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서버(310)와 LPA(320)와 eUICC(330)는 각각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003 단계에서 LPA(320)는 eUICC(330)가 지원 가능한 모든 CI 공개 키(CI PKID)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003 단계에서 LPA(320)와 eUICC(330)는, eUICC 정보 요청(Get eUICC Info Request) 메시지 및 eUICC 정보 응답(Get eUICC Info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하여 eUICC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eUICC 정보 응답 메시지는 euiccInfo1 또는 euiccInfo 등으로 명명되는 eUICC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UICC 정보에는, eUICC(330)가 지원 가능한 모든 CI PKID 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3005 단계에서 LPA(320)와 서버(310)는 TLS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3005 단계의 TLS 연결은 TLS 연결 방법 중 LPA(320)가 서버(310)의 신원을 확인하는 서버 인증(Server Authentic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3005 단계의 TLS 연결 시 LPA(320)가 서버(310)의 신원을 확인할 때, 서버(310)는 LPA(320)에 TLS 인증서(TLS Certificate)를 제출할 수 있다. LPA(320) 내지 단말(350)에는 상기 TLS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CI PKID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CI PKID를 이용한 서버(310)의 TLS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 3005 단계에서 서버(310)는 TLS 인증서와 함께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를 LPA(320)에 제출할 수 있다. TLS 연결이 성립되면 이후 LPA(320)와 서버(310)간의 모든 메시지는 TLS 보안 절차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3007 단계에서 LPA(320)는 서버(310)에 상호 인증의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인증의 시작은, 인증 시작 요청(Initiate Authent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07 단계의 인증 시작 요청 메시지는, LPA(320)가 상기 3003 단계에서 확인한 eUICC(330)의 정보(euiccInfo1)를 바탕으로, eUICC(330)가 지원 가능한 모든 CI PKID를 포함할 수 있다.
3009 단계에서 서버(310)는 LPA(320)에 상호 인증의 시작을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인증의 응답은, 인증 시작 응답(Initiate Authent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09 단계의 인증 시작 응답 메시지는, 서버(310)가 상기 3007 단계에서 수신한 eUICC(330)의 정보(euiccInfo1)에 포함된 CI PKID 목록 중 선택된 하나의 CI PKID와, 해당 CI PKID로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서버 인증서와, 해당 서버 인증서로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310)가 선택한 CI PKID는, eUICC가 사용할 CI PKID(eUICC CI PKID to be used)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CI PKID로 서버(310) 유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ub CI 인증서가 하나 이상 필요한 경우, 3009 단계의 인증 시작 응답 메시지는, 서버 인증서와 함께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3007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인증서는, 상기 3005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TLS 인증서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3007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인증서를 발급한 CI와, 상기 3005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TLS 인증서를 발급한 CI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3011 단계에서 LPA(320)는 eUICC(330)에 서버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서버 인증 요청(Authenticate Server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11 단계의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는, 3009 단계에서 LPA(320)가 수신한 바와 같이, 서버(310)가 선택하여 전송한 CI PKID와, 해당 CI PKID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서버 인증서와, 해당 유효성 검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와, 서버 인증서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011 단계의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는, LPA(320)가 추가적으로 생성한 정보로서, 단말이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013 단계에서 eUICC(330)는 LPA(320)에 서버 인증 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의 회신은, 서버 인증 응답(Authenticate Server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13 단계의 서버 인증 응답 메시지는, 3011 단계에서 eUICC(320)가 수신한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및 서버(310)가 선택하여 전송한 CI PKID와, 해당 CI PKID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eUICC 인증서와, 해당 유효성 검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와, eUICC 인증서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eUICC(330)의 디지털 서명과, 단말이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3015 단계에서 LPA(320)는 서버(310)에 단말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인증 요청은, 단말 인증 요청(Authenticate Client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15 단계의 단말 인증 요청 메시지는, 3013 단계에서 LPA(320)가 eUICC(33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3017 단계에서 서버(310)는 단말의 인증 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의 회신은, 단말 인증 응답(Authenticate Client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3017 단계의 단말 인증 응답 메시지는, 3015 단계에서 서버(310)가 수신한 eUICC(330)의 디지털 서명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와, 단말(350)이 수행해야 할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에 상응하는 이벤트 내지는 이벤트의 요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3019 단계에서 단말(350)은 상기 3017 단계에서 수신한 이벤트의 내용에 따라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프로파일의 원격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서버(310)와 단말(350)간 상호 인증 절차에 따르면, 단말(350)은 eUICC(330)에 기 저장된 모든 CI PKID를 이용하여 서버 인증서를 검증하므로, 특정 CI 인증서의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에 속하는 서버 인증서를 가지는 서버(310)로 연결을 제한하기 어렵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310)와 단말(Terminal, 350)간 상호 인증(Mutual Authentication)을 수행할 때, 특정 CI 인증서의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에 속하는 서버 인증서를 가지는 서버(310)를 확인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400)이다.
도 4에서 서버(310), LPA(320), eUICC(330), 그리고 단말(350)의 설명은 상기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001 단계에서 LPA(320)는 이후 상호 인증 수행 시 서버(310)의 인증서를 특정 CI 인증서의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에 속하는 인증서로 제한(restrict)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당 CI 인증서의 공개키 식별자(CI PKID)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LPA(320)가 해당 CI PKID 정보를 입수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하기의 목록에 반드시 국한되지는 않는다.
- 사용자가 단말에 직접 입력
- eUICC 저장 공간 중 일부 데이터를 조회
- e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
- 프로파일 설치에 사용되는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
- 제 3 소프트웨어(3rd party software)가 명령 코드(Command Code)의 형태로 LPA에 전달
- 프로파일 설치 내지 원격관리를 중계하는 특정 서버가 LPA에 전달
- 단말, LPA, eUICC를 관리하는 서버가 LPA에 전달
4003 단계에서 LPA(320)는 상기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 정보에 대해, eUICC(330)가 해당 CI PKID를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4003 단계에서 단말(350)의 동작은 후술할 도 5에서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4005 단계에서 LPA(320)와 서버(310)는 TLS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4005 단계의 TLS 연결은 TLS 연결 방법 중 LPA(320)가 서버(310)의 신원을 확인하는 서버 인증(Server Authentication)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4005 단계의 TLS 연결 시 LPA(320)가 서버(310)의 신원을 확인할 때, 서버(310)는 LPA(320)에 TLS 인증서(TLS Certificate)를 제출할 수 있다. LPA(320) 내지 단말(350)에는 상기 TLS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한 CI PKID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CI PKID를 이용한 서버(310)의 TLS 인증서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 4005 단계에서 서버(310)는 TLS 인증서와 함께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를 LPA(320)에 제출할 수 있다. 4005 단계에서 단말(350)은, 상기 도 3의 3005 단계와 비교하여, 서버가 제출한 TLS 인증서 및 Sub CI 인증서가 상기 4001 단계에서 확인한 CI PKID를 이용해 유효성 검증이 가능한 인증서들인지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TLS 연결이 성립되면 이후 LPA(320)와 서버(310)간의 모든 메시지는 TLS 보안 절차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4007 단계에서 LPA(320)는 서버(310)에 상호 인증의 시작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인증의 시작은, 인증 시작 요청(Initiate Authent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4007 단계의 인증 시작 요청 메시지는, 상기 도 3의 3007 단계와 비교하여, LPA(320)가 상기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007 단계의 인증 시작 요청 메시지는, 상기 도 3의 3007 단계와 비교하여, LPA(320)가 상기 4003 단계에서 eUICC를 통해 eUICC가 지원할 것으로 확인된 CI PKID를 포함할 수 있다.
4009 단계에서 서버(310)는 LPA(320)에 상호 인증의 시작을 응답할 수 있다. 상기 상호 인증의 응답은, 인증 시작 응답(Initiate Authentication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4009 단계의 인증 시작 응답 메시지는, 서버(310)가 상기 4007 단계에서 수신한 CI PKID와, 해당 CI PKID로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서버 인증서와, 해당 서버 인증서로 유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CI PKID는, eUICC가 사용할 CI PKID(eUICC CI PKID to be used)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해당 CI PKID로 서버(310) 유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Sub CI 인증서가 하나 이상 필요한 경우, 4009 단계의 인증 시작 응답 메시지는, 서버 인증서와 함께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4009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인증서는, 상기 4005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TLS 인증서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4009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인증서를 발급한 CI와, 상기 4005 단계에서 전송되는 서버(310)의 TLS 인증서를 발급한 CI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LPA(320)는 본 4009 단계에서 서버(310)가 회신한 CI PKID를 상기 4007 단계에서 LPA(320)가 전송한 CI PKID와 비교할 수 있다. 만일 서버(310)가 회신한 CI PKID가 상기 4007 단계에서 LPA(320)가 전송한 CI PKID와 다를 경우, LPA(32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4011 단계에서 LPA(320)는 eUICC(330)에 서버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요청은, 서버 인증 요청(Authenticate Server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4011 단계의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는, 4009 단계에서 LPA(320)가 수신한 바와 같이, 서버(310)가 전송한 CI PKID와, 해당 CI PKID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서버 인증서와, 해당 유효성 검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와, 서버 인증서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4011 단계의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는, LPA(320)가 추가적으로 생성한 정보로서, 단말이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4011 단계의 메시지를 수신한 eUICC(330)는, 4011 단계의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서들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해당 인증서들을 이용하여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이 때 eUICC(330)는, 4011 단계의 메시지에 포함된 CI PKID를 eUICC(330)가 지원할 수 있는지 그리고/또는 사용 가능한 CI PKID인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서버(310)가 전송한 CI PKID를 지원할 수 없거나 사용해서는 안 되는 경우, eUICC(33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4013 단계에서 eUICC(330)는 LPA(320)에 서버 인증 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의 회신은, 서버 인증 응답(Authenticate Server Response)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4013 단계의 서버 인증 응답 메시지는, 4011 단계에서 eUICC(320)가 수신한 서버(310)의 디지털 서명에 대한 유효성 검증 결과 및 서버(310)가 전송한 CI PKID와, 해당 CI PKID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eUICC 인증서와, 해당 유효성 검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Sub CI 인증서와, eUICC 인증서를 이용해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eUICC(330)의 디지털 서명과, 단말이 수행하고자 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4015 단계 내지 4019 단계의 동작들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3의 3015 단계 내지 3019 단계의 동작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서버(310)와 단말(350)간 상호 인증 절차에 따르면, 단말(350)은 4001 단계에서 입력된 특정 CI PKID를 이용하여 서버 인증서를 검증하므로, 특정 CI 인증서의 인증서 계층구조(Certificate Hierarchy)에 속하는 서버 인증서를 가지는 서버(310)로 연결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4의 4003 단계의 동작에 대해, LPA(320)와 eUICC(3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500)이다.
도 5에서 LPA(320), eUICC(330), 그리고 단말(350)의 설명은 상기 도 3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LPA(320)는 상기 도 4의 4001 단계와 같이 CI PKID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4001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 도 4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후 단말(35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eUICC(330)가 해당 CI PKID를 지원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예(5100)로, 5003 단계에서 LPA(320)는,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 정보를 LPA(320)에 임시저장(cache)된 eUICC 정보(euiccInfo1 또는 euiccInfo)와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A(320)가 4001 단계보다 이전에, 도 3의 3003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된 eUICC 정보(euiccInfo1 또는 euiccInfo)를 임시 저장소에 저장(cache)한 경우, 이에 포함된 eUICC가 지원 가능한 모든 CI PKID의 목록을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만일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를 eUICC(330)가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LPA(32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일 예(5200)로, 5005 단계 내지 5009 단계에서 LPA(320)는, eUICC(330)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eUICC(330)가 지원하는 CI PKID 목록을 확인하고, 이를 4001 단계의 CI PKID와 비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A(320)는 4001 단계 이후에, 5005 단계에서 정보 요청 메시지를 eUICC(330)에 전송할 수 있다. 해당 5005 단계의 메시지는 eUICC 정보 요청(Get eUICC Info Request) 메시지, 또는 eUICC 임의의 문자열 생성 요청(Get eUICC Challenge Request) 메시지, 또는 서버 인증 요청 메시지(Authenticate Server Request)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해당 5005 단계의 메시지는, 향후 프로파일 원격관리의 대상이 되는 프로파일의 식별자(Profile ID, 또는 ICCID, 또는 A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5007 단계에서 eUICC(330)는, 상기 5005 단계에서 수신한 프로파일 식별자에 대응하는 프로파일로부터 CI PKID 정보를 조회하거나, eUICC(330)가 지원하는 모든 CI PKID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CI PKID 정보를 eUICC 정보(euiccInfo1 또는 euiccInfo)와 함께 LPA(320)로 회신할 수 있다. 상기 5007 단계의 메시지는, eUICC 정보 응답(Get eUICC Info Response) 메시지, 또는 eUICC 임의의 문자열 생성 응답(Get eUICC Challenge Response) 메시지, 또는 서버 인증 응답(Authenticate Server Response) 메시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이후 5009 단계에서 LPA(320)는, 상기 5007 단계에서 수신한 eUICC(330)의 응답과 상기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만일 4001 단계에서 입수한 CI PKID를 eUICC(330)가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LPA(32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일 예(5300)로, 5011 단계 내지 5015 단계에서 LPA(320)는, eUICC(330)에 메시지를 전송하여 eUICC(330)가 4001 단계의 CI PKID를 지원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A(320)는 4001 단계 이후에, 5011 단계에서 확인 요청 메시지를 eUICC(330)에 전송할 수 있다. 해당 5011 단계의 메시지는 eUICC 정보 요청(Get eUICC Info Request) 메시지, 또는 eUICC 임의의 문자열 생성 요청(Get eUICC Challenge Request) 메시지, 또는 서버 인증 요청(Authenticate Server Request) 메시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해당 5011 단계의 메시지는, eUICC(330)의 지원 여부 확인을 요청하고자 하는 4001 단계의 CI PKID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향후 프로파일 원격관리의 대상이 되는 프로파일의 식별자(Profile ID, 또는 ICCID, 또는 AID)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5013 단계에서 eUICC(330)는, 상기 5011 단계에서 수신한 4001 단계의 CI PKID 정보를 자신이 지원하는 CI PKID 목록과 대조하거나, 상기 5011 단계에서 수신한 해당 프로파일 식별자에 대응하는 프로파일로부터 조회된 CI PKID 정보를 자신이 지원하는 CI PKID 목록과 대조하여, eUICC(330)가 해당 CI PKID를 지원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해당 CI PKID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eUICC(330)는 특정 에러 코드를 회신하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5015 단계에서 eUICC(330)는, 해당 CI PKID에 대한 지원 여부와, 해당 CI PKID 정보와, eUICC 정보(euiccInfo1 또는 euiccInfo)와, eUICC 임의의 문자열(eUICC Random Challenge)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확인 응답 메시지를 LPA(320)로 회신할 수 있다. 상기 5015 단계의 메시지는, eUICC 정보 응답(Get eUICC Info Response) 메시지, 또는 eUICC 임의의 문자열 생성 응답(Get eUICC Challenge Response) 메시지, 또는 서버 인증 응답(Authenticate Server Response) 메시지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만일 eUICC(330)가 해당 CI PKID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에러 코드를 회신하면, LPA(320)는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610), 제어부 (620), 저장부 (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단말은 eUIC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eUICC는 단말에 삽입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송수신부 (6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610)는 예를 들어,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 정보와, 프로파일 관리서버(SM-DP+)가 자신의 인증을 위한 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할 임의의 문자열(Nonce 또는 Random Challenge)을 프로파일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과,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증서와, 단말 내 eUICC가 자신의 인증을 위한 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할 임의의 문자열을 프로파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610)는 eUICC의 서명과, eUICC의 서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증서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610)는 추가적으로 단말이 수행을 원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에 대한 정보를 프로파일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단말이 수행해야 할 동작에 대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프로파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송수신부 (610)는 상기 단말이 수행을 원하는 동작의 종류 (Operation Type)에 대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6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6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20)는 단말 내 eUICC를 참조하여 단말이 신뢰해야 할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 정보를 확인하고, 프로파일 관리서버가 전송한 디지털 인증서 및 디지털 인증서의 발급자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을 확인하고, eUICC의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620)는 프로파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따라 프로파일을 설치하거나 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620)는 송수신부 또는 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630)는 상기 송수신부 (6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6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은 단말이 신뢰해야 할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부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상기 디지털 인증 발급자 정보를 서버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거나, 단말 내 미리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거나, 단말 내 제3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제3 소프트웨어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제3 소프트웨어는, 단말이 신뢰해야 할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서버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7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서버는 송수신부 (710), 제어부 (720), 저장부 (7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7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710)는 예를 들어,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정보와, 프로파일 관리서버가 자신의 인증을 위한 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할 임의의 문자열(Nonce 또는 Random Challenge)을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710)는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과,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증서와, 단말 내 eUICC가 자신의 인증을 위한 서명을 생성할 때 사용할 임의의 문자열을 단말로 전송하고, eUICC의 서명과, eUICC의 서명을 검증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증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710)는 추가적으로 단말이 수행을 원하는 동작의 종류(Operation Type)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단말이 수행을 원하는 동작의 종류 (Operation Type)에 대한 정보는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 (710)는 단말이 수행해야 할 동작에 대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72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7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20)는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 정보가 유효한지를 검증하고,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를 서버도 신뢰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단말이 신뢰하는 디지털 인증서 발급자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인증서를 선택하고, 프로파일 관리서버의 서명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720)는 단말이 전송한 디지털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eUICC의 서명을 확인하고, 단말이 수행해야 할 동작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720)는 송수신부 또는 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상기 송수신부 (7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7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버와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CI(Certificate Issuer)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단말에 캐쉬(cache)된 UICC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공개키 식별자를 제외함으로써 인증 절차에 이용되는 공개키 식별자가 제한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하거나,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조회하거나, 프로파일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특정 CI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UICC에 의해 지원될 수 없거나,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UICC가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가 없다면, 인증 절차는 종료되는 것인,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특정 CI(Certificate Issuer)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단말에 캐쉬(cache)된 UICC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비교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공개키 식별자를 제외함으로써 인증 절차에 이용되는 공개키 식별자가 제한되는 것인, 단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하거나,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조회하거나, 프로파일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함으로써, 상기 특정 CI의 공개키 식별자를 획득하는 것인,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UICC에 의해 지원될 수 없거나,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UICC가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가 없다면, 인증 절차는 종료되는 것인, 단말.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버가 단말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단말이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인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하거나,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조회하거나, 프로파일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함으로써 획득되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단말에 캐쉬(cache)된 UICC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미리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공개키 식별자를 제외함으로써 인증 절차에 이용되는 공개키 식별자가 제한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UICC에 의해 지원될 수 없거나,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UICC가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가 없다면, 인증 절차는 종료되는 것인,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상기 단말의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를 포함하는 인증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의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단말이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인 것인,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거나, 활성화 코드(activation code)를 조회하거나, 명령 코드(command code)를 조회하거나, 프로파일 관련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UICC에 설치된 프로파일을 조회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인,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공개키 식별자는, 상기 단말이,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단말에 캐쉬(cache)된 UICC 정보와 비교하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와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미리 획득된 공개키 식별자에 포함되지 않는 공개키 식별자를 제외함으로써 인증 절차에 이용되는 공개키 식별자가 제한되는 것인,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와 다르거나, 상기 UICC가 사용할 공개키 식별자가 상기 UICC에 의해 지원될 수 없거나,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를 상기 UICC가 지원하지 않거나, 상기 UICC가 지원하는 공개키 식별자 중에서 상기 미리 획득한 공개키 식별자에 속하는 공개키 식별자가 없다면, 인증 절차는 종료되는 것인, 서버.
PCT/KR2018/007244 2017-07-04 2018-06-26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Ceased WO20190095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10109682.9A CN116248370A (zh) 2017-07-04 2018-06-26 由esim终端和服务器讨论数字证书的方法和装置
US16/622,009 US11184769B2 (en) 2017-07-04 201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ussing digital certificate by ESIM terminal and server
CN201880045001.4A CN110870281B (zh) 2017-07-04 2018-06-26 由esim终端和服务器讨论数字证书的方法和装置
EP18828873.2A EP3605995B1 (en) 2017-07-04 201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ussing digital certificate by esim terminal and server
US17/529,830 US11943615B2 (en) 2017-07-04 2021-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ussing digital certificate by ESIM terminal and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94 2017-07-04
KR1020170084794A KR102382851B1 (ko) 2017-07-04 2017-07-04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622,009 A-371-Of-International US11184769B2 (en) 2017-07-04 2018-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ussing digital certificate by ESIM terminal and server
US17/529,830 Continuation US11943615B2 (en) 2017-07-04 2021-11-1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ussing digital certificate by ESIM terminal and ser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09557A1 true WO2019009557A1 (ko) 2019-01-10

Family

ID=6495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244 Ceased WO2019009557A1 (ko) 2017-07-04 2018-06-26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84769B2 (ko)
EP (1) EP3605995B1 (ko)
KR (1) KR102382851B1 (ko)
CN (2) CN116248370A (ko)
WO (1) WO20190095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035A1 (en) * 2019-07-03 2021-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t 1 of remote sim provisioning of a subscriber ent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0748B2 (en) 2013-03-22 2019-04-23 Nok Nok Labs, Inc. Advanced authent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US10700856B2 (en) * 2013-11-19 2020-06-30 Network-1 Technologies, Inc. Key derivation for a module using a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S10659955B2 (en) 2016-12-01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managing eSIM profiles
KR102237840B1 (ko) * 2016-12-01 2021-04-08 삼성전자 주식회사 eSIM 프로파일을 설치,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68995B2 (en) 2017-11-27 2024-01-09 Nok Nok Labs, Inc. Extending a secure key storage for transaction confirmation and cryptocurrency
CN114095916A (zh) * 2017-12-19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文件管理的方法、嵌入式通用集成电路卡和终端
US11831409B2 (en) 2018-01-12 2023-11-28 Nok Nok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verifiable claims
US12095756B2 (en) * 2018-04-06 2024-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onboarding
KR102657876B1 (ko) 2018-09-07 202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Ssp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07207B1 (ko) * 2019-02-14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활성화 코드를 이용한 ssp의 번들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12041039B2 (en) 2019-02-28 2024-07-16 Nok Nok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ndorsing a new authenticator
US11792024B2 (en) * 2019-03-29 2023-10-17 Nok Nok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challenge-response authentication
CN113259096B (zh) * 2021-04-27 2021-11-12 江南信安(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适于物联网通信环境的密钥在线协商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831A1 (en) * 2003-03-06 2007-08-23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terminal, and program for allowing the terminal to execute the method
US20090019284A1 (en) * 2005-03-09 2009-0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Authentication method and key generating method in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US20090209232A1 (en) * 2007-10-05 2009-08-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echniques for secure channelization between uicc and a terminal
US20140329502A1 (en) * 2011-09-05 2014-11-06 Kt Corporation Certification method using an embedded uicc certificate, provisioning and mno changing methods using the certification method, embedded uicc therefor, mno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160301529A1 (en) * 2015-04-13 2016-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file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974B1 (en) * 1998-11-06 2001-10-16 Oracl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usted certificates
DK1476980T3 (da) * 2002-02-22 2017-11-13 Nokia Technologies Oy Anmodning om digitale certifikater
SE0202450D0 (sv) * 2002-08-15 2002-08-15 Ericsson Telefon Ab L M Non-repudiation of digital content
US8412927B2 (en) 2006-06-07 2013-04-02 Red Hat, Inc. Profile framework for token processing system
US20080003980A1 (en) * 2006-06-30 2008-01-03 Motorola, Inc. Subsidy-controlled handset device via a sim card using asymmetric verification and method thereof
US8806565B2 (en) * 2007-09-12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Secure network location awareness
JP2011529314A (ja) * 2008-07-28 2011-12-01 ワイズキー・エスアー 高額品を対象としたデジタル認証のための方法及び手段
FR2936391B1 (fr) * 2008-09-19 2010-12-17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d'echange de donnees, telles que des cles cryptographiques, entre un systeme informatique et une entite electronique, telle qu'une carte a microcircuit
TW201129129A (en) * 2009-03-06 2011-08-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Platform validation and management of wireless devices
CN101631113B (zh) * 2009-08-19 2011-04-06 西安西电捷通无线网络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有线局域网的安全访问控制方法及其系统
KR101111381B1 (ko) * 2009-11-17 2012-02-24 최운호 유비쿼터스 인증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사용자 인증장치, 스마트 카드 및 사용자 인증방법
CN101764691B (zh) * 2009-12-17 2012-05-0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获取动态口令生成密钥的方法、设备和系统
US8516269B1 (en) * 2010-07-28 2013-08-20 Sandia Corporation Hardware device to physical structure binding and authentication
JP4970585B2 (ja) * 2010-11-10 2012-07-11 株式会社東芝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装置
EP2461613A1 (en) * 2010-12-06 2012-06-06 Gemalto SA Methods and system for handling UICC data
US8621168B2 (en) * 2010-12-17 2013-12-31 Google Inc. Partitioning the namespace of a contactless smart card
US8494485B1 (en) 2010-12-22 2013-07-23 Mobile Iron, Inc. Management of certificates for mobile devices
US9009475B2 (en) 2011-04-05 2015-04-14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toring electronic access clients
WO2011137763A2 (zh) * 2011-05-09 2011-11-10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通用集成电路卡信息的管理方法及装置
CN102752375B (zh) * 2012-06-21 2015-10-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实现智能卡远程操作的方法及系统
EP2704466A1 (en) * 2012-09-03 2014-03-05 Alcatel Lucent Smart card personnalization with local generation of keys
WO2014042701A1 (en) * 2012-09-17 2014-03-20 Motorola Mobility Llc Efficient key generator for distribution of sensitive material from mulitpl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to a secure element such as a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US20140365781A1 (en) * 2013-06-07 2014-12-11 Technische Universitaet Darmstadt Receiving a Delegated Token, Issuing a Delegated Token, Authenticating a Delegated User, and Issuing a User-Specific Token for a Resource
CN106851628B (zh) 2013-12-05 2020-08-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下载运营商的文件的方法及设备
FR3014629B1 (fr) * 2013-12-06 2017-03-31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s de mise a jour d'une memoire cache d'un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s
WO2016119821A1 (en) * 2015-01-27 2016-08-0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Handling of certificates for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s
US10785645B2 (en) * 2015-02-23 2020-09-22 Apple Inc. Techniques for dynamically supporting different authentication algorithms
CN107660346B (zh) * 2015-03-25 2021-04-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下载简档的方法和设备
US9883374B2 (en) * 2015-04-21 2018-01-30 Tracfone Wireless, Inc. System and process for having wireless service value included in a SIM card
CN106357711A (zh) * 2015-07-16 2017-01-25 成都速犀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依赖于uicc扩展存储区域的手机数据缓存与同步方法
US9801046B2 (en) * 2015-09-22 2017-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a network, by a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EP3375165B1 (en) * 2015-11-13 2023-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profile o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of terminal
FR3053203A1 (fr) * 2016-06-24 2017-12-29 Orange Technique de telechargement d'un profil d'acces a un reseau
US10952051B2 (en) * 2016-07-01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Core network connectionless small data transfer
US9831903B1 (en) * 2016-07-28 2017-11-28 Apple Inc. Update of a trusted name list
AU2018219696B2 (en) * 2017-02-10 2021-03-2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updating certificate issuer public key,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CN108667780B (zh) * 2017-03-31 2021-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身份认证的方法、系统及服务器和终端
US11533160B2 (en) * 2017-04-05 2022-12-20 Apple Inc.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UICC) profile content management
US10985926B2 (en) * 2017-09-01 2021-04-20 Apple Inc. Managing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UICC) provisioning with multiple certificate issuers (CIs)
JP6967211B1 (ja) * 2021-07-22 2021-11-17 直樹 柴田 違法な取引を防止しつつ匿名ユーザの参加も許容する暗号資産の取引のための完全分散型ブロックチェーン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98831A1 (en) * 2003-03-06 2007-08-23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processing method for use in the terminal, and program for allowing the terminal to execute the method
US20090019284A1 (en) * 2005-03-09 2009-01-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Authentication method and key generating method in wireless portable internet system
US20090209232A1 (en) * 2007-10-05 2009-08-2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Techniques for secure channelization between uicc and a terminal
US20140329502A1 (en) * 2011-09-05 2014-11-06 Kt Corporation Certification method using an embedded uicc certificate, provisioning and mno changing methods using the certification method, embedded uicc therefor, mno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160301529A1 (en) * 2015-04-13 2016-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file of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1035A1 (en) * 2019-07-03 2021-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t 1 of remote sim provisioning of a subscriber entity
US12225628B2 (en) 2019-07-03 2025-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rt 1 of remote SIM provisioning of a subscriber ent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70281A (zh) 2020-03-06
US20210144551A1 (en) 2021-05-13
EP3605995A1 (en) 2020-02-05
CN110870281B (zh) 2023-05-26
EP3605995B1 (en) 2025-04-23
CN116248370A (zh) 2023-06-09
US11184769B2 (en) 2021-11-23
EP3605995A4 (en) 2020-04-15
KR20190004499A (ko) 2019-01-14
US11943615B2 (en) 2024-03-26
KR102382851B1 (ko) 2022-04-05
US20220078616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09557A1 (ko) Esim 단말과 서버가 디지털 인증서를 협의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968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on eSIM
CN108028758B (zh) 在通信系统中下载简档的方法和装置
WO20200507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sp device and server to negotiate digital certificates
JP6033291B2 (ja) サービスアクセス認証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2041452B2 (en) Non-3GPP device access to core network
US857815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sioning and managing a device
WO2017082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profile on 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of terminal
WO2017116097A1 (ko) 통신 시스템에서 프로파일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24648A (ko) 프로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 장치
WO20191946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onboarding
US12267683B2 (en) Non-3GPP device access to core network
WO2021242071A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네트워크 액세스 정보를 이전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1946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ng euicc 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288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288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10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G Wipo information: grant in national office

Ref document number: 201937050075

Country of ref document: IN

WWG Wipo information: grant in national office

Ref document number: 2018828873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