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WO2018106033A2 -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6033A2
WO2018106033A2 PCT/KR2017/014269 KR2017014269W WO2018106033A2 WO 2018106033 A2 WO2018106033 A2 WO 2018106033A2 KR 2017014269 W KR2017014269 W KR 2017014269W WO 2018106033 A2 WO2018106033 A2 WO 201810603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housing
discharge port
ai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42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106033A3 (ko
Inventor
배준형
박찬정
백인규
강상우
신태석
Current Assignee (The listed assignees may be inaccurate.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or warranty as to the accuracy of the list.)
Coway Co Ltd
Original Assignee
Coway Co 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660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1688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793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899B1/ko
Application filed by Coway Co Ltd filed Critical Coway Co Ltd
Priority to CN201780072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996999B/zh
Priority to MYPI2019002717A priority patent/MY201122A/en
Priority to JP2019530042A priority patent/JP6894510B2/ja
Priority to US16/346,636 priority patent/US12000621B2/en
Publication of WO201810603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6033A2/ko
Publication of WO201810603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6033A3/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capable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 the annular air discharge port may be employed in consideration of product design, or may be used to discharge the discharged air in a tornado form.
  • this annular air discharge po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wind direction in structure.
  • the product having the annular air outle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control of the annular air outlet is impossible.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10-2014-0093158 and 10-2015-0092067 disclose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annular air discharge port, 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10-2014-0093158 and 10-2015-0092067.
  • the air conditioner disclosed in Fig. 1 is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conversion of the annular air outlet is impossib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 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that can adjust the wind direction of the annular air discharge port.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air outlet on one surface; An air guide having a front end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is annular, and a rear end extending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rotation guide rotatably coupl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inside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air guide on the housing, wherein the air guid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It provides a wind 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An annular air outlet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an air guide having a front en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is annular, and a rear end extending in a 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hollow penetrating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 the air guide is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rotatable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using comprising: a housing; A blowing fa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 air guide for distal end of the air discharge port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is annular, and a rear end thereof extends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to guide air flowing by the blower fan to the air discharge port; And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and changing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the flow path of the air spaced apart from the air guide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guide and may include an air barrier film to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 the air barrier laye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n area.
  •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the plurality of deflection disposed in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one end is deflect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and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It may include a blade.
  •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 3 to 15 are diagrams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discharges air to the top discharge port.
  •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discharges air to an annular air discharge port.
  •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simultaneously discharges air to an annular air outlet and an upper outlet.
  • 7 (a) and 7 (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annular air discharge port provid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n air guide, a rotation guide, and a rotational restriction includ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xploded guide and the rotational restriction part shown in FIG. 8.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and the rotation guide shown in FIG.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shown in FIG. 8 is rotated in the rotation guide.
  • FIG. 1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ortion of the air cleaner illustrated in FIG. 1.
  •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n air guide includ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rotates in a rotation guide.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included in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14.
  • 16 to 29 are views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 1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discharges air to the upper discharge port.
  • FIG. 1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discharges air to an annular air outlet.
  • 1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simultaneously discharges air to an annular air outlet and an upper outlet.
  •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ructure of an air guide,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and a rotational restraint included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1.
  •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and the rotational restrictor illustrated in FIG. 20.
  •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air guide and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21.
  •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2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ing unit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barrier membrane included in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shown in FIG. 27.
  • FIG. 2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cleaner having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27.
  • the air 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embodiments, and is divided into a first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 1 and 2 show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common to bo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s 3 to 15 show a view rela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29 to 29 show drawings relat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erals indicated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15 and reference numerals indicated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6 to 29 indicate different embodiments even 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110, air guide 120, air hole 130, blowing fan 140, air purification
  • the filter 150 and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included.
  • the housing 110 constitutes an exterior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the front surface is front. )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ort 112, and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discharge port 113 at an upper end thereof.
  •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may constitut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the air discharge port 11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due to the air guide 1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air intake 111 may be formed in the back (Back) of the housing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and rear of the housing 110. It may be.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118 separating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 the partition wall 118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fan 140 from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and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blower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from the blower fan 140 inside the housing 110.
  • the upper discharge passage 116 connected to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in the fan 140 may be formed.
  • the air guide 120 is disposed in the housing 110, the front end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annular, and the rear end may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have.
  • the air guide 12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inside the housing 110 to guide the air flowing in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guide 120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122 penetrated in the rear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 the air guide 12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hole 13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a part of the hole penetr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the housing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rear end of 120 may be shielded by the partition wall 118.
  • the partition wall 118 surrounds the upper half of the air guide 120 at intervals so as to guide the air flowing above the air guide 120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in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enclosure 119 may be formed to extend.
  • the air hole 130 is formed in the housing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may exten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To this end, the cylindrical or trumpet-shaped structure forming the air hole 130 may be formed across the upper discharge passage 116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and the air hole 13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may be a hole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 the air pressure around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reduced, thereby, through the hollow 122 and the air hole 130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at the rear of the housing 110 may jo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flow in front of the housing 110.
  • the blowing fan 14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when the air is sucked in the air out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inlet 111 during operatio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12 or the upper outlet 113. Can be discharged.
  • the blowing fan 14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disposed at the inlet side of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as shown in Figures 3 to 6,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sition and type of the blowing fan 140 may be changed.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intake 111 and the blowing fan 140 to purify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111.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50 may include a prefilter, a deodorization filter, a sterilization filt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hepa filter, and the like.
  • the air cleaner 100 may include a humidification filter for humidifying air or a dehumidification unit for dehumidifying the air between the air purifying filter 150 and the blowing fan 140. It may be.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140 to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by rotating as shown in FIGS. 2 to 6, but is not limited thereto. .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opens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closes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as shown in FIG. 5,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140 is annular air discharge port. Can be discharged to 112.
  • the air cleaner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guide 120 is rotatable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cleaner 100 may include a rotation guide 170 and a rotational restrictor 190.
  • the rotation guide 17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support the air guide 120 to the housing 110. That is, the rotation guide 170 may function as a medium for coupling the air guide 120 to the housing 110.
  • the rotation guide 17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110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guide 120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170 may also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170.
  • the air guide 12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170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ir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guide 120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guide 170 to be rotated up and down.
  • the air guide 120 is also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170, consequently the air guide
  • the air guide 120 may be rotated left or right in the rotation guide 170 or may be rotated diagonal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20 and the rotation guide 170.
  • the air guide 120 can be rotated in a free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ir guide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112 and the annular rim portion 124 disposed in the air outlet 112,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guide 120
  •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connected between the rim portion 124 and the air guide 120 may be provided.
  •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may be disposed in the annular air outlet 112,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12 is discharg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
  • the guide blade 126 is formed to be inclined or cur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Can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a whirlwind.
  • the tornado type airflow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door air circulation performance is high because the reach is longer than the linear airflow.
  • the rotation guide 170 may be composed of an annular frame 171, a rotating shaft member 172, a support frame 173 and a connecting frame 178.
  • the annular frame 171 may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124 of the air guide 120 in an airtight manner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nnular frame 17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le maintaining airtightness on the front panel of the housing 110 forming the air outlet 112.
  • airtightness may be maintained between the annular frame 171 and the rim 124 during the rotation of the air guide 120.
  • the rim 124 is formed as a convex curved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 the annular frame 171 has a diameter of the inner surface at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rim 124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12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nnular frame 17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otation of the air guide 120.
  • the curvature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portion 124 may correspond to the curvature of the circle having a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nnular frame 171,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the rotating shaft member 172 may rotatably couple the rim 124 to the annular frame 171.
  • the rotating shaft member 172 may be provided in a pair at the opposite symmetrical position of the annular frame 171.
  • the rotary shaft member 172 may fasten the rim 124 to the annular frame 171 such that the rim 124 and the air guide 120 can rotate about the annular frame 171. .
  • the support frame 173 is a member which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by the partition wall 118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may slide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73.
  •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73 and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irtightness when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 the contact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when the air guide 120 rotates. have.
  • the surface to be contacted 17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i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llow 122.
  • the contact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both rotation shaft members 172 of the air guide 120.
  •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ircle or sphere with a radius.
  •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may be covered with a cover member 18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is the cover member 180 The contact surface 182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 the air cleaner 100 when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e penetr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support frame 173 in the hollow 122 and the housing of the air guide 120 The through hole 174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the air hole 130 of the 110.
  • the connecting frame 178 may connect the annular frame 171 and the support frame 173 to each other to match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annular frame 171 and the support frame 173.
  • the connecting frame 178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annular frame 171 and the support frame 173, in the air flowing from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thin and a plurality are provided at a wide interval so that the interference to the antenna is minimized.
  •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and the air hole 130 of the housing 110 are mutually air at any rotation angle of the air guide 120. It is desirable to remain in communication at all times to allow flow.
  • the air guide 12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within a range in which the hollow 122 and the air hole 130 communicate. That is, the air guide 120 may be rota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hollow 122 and the air hole 130 at least partially overlap.
  • the air at the rea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hole 130 and the hollow 122 may jo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Can be.
  • a limiting stopper structure (not shown) may be provided.
  • the air guide 120 is formed of a thin cylindrical shape, when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a portion of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through hole 174 of the support frame 173 ), The airtight between the air guide 120 and the support frame 173 may be destroyed. As a result, a part of the air flowing into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may leak into the air hole 13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ir guide 120 and the support frame 173.
  • the cover member 180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 the cover member 180 has a rear end portion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contacted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and a rear end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182 having the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73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guide 120 may be rotated by the thickness of the contact surface 182 of the cover member 180 in the rotation guide 170 as shown in FIG.
  • the rotational binding unit 190 may rotate the rotation guide 170 to the housing 110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al state of the rotation guide 170 is adjusted is maintained. That is, the rotational restrictor 190 is rotated so that the rotated position of the rotation guide 170 adjusted by the user is not changed by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or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housing 110.
  • the guide 170 may be rotated to the housing 110.
  • the rotational restriction 190 is fixed to the partition 118 and may be configured to restrain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support frame 173 of the rotation guide 170.
  • the rotational restraint unit 190 is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18 as shown in FIG. 9, and the track member on whic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ontacted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slides ( 192 and the ball member 194 is provided to protrud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track member 192.
  • a plurality of grooves 17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73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contacted surface 173a of the support frame 173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ll member 194. .
  • the rotary binding unit 19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member 194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frame 173 when the rotation guide 170 is rotated by the user, thereby rotating the rotation guide 170.
  • the friction force can be reduced, and when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170 is stopped, the ball member 194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75 formed in the support frame 173 at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 guide 170 is rotated so that the support frame ( The rotational behavior of 173 can be restrained.
  • the rotational restraint 19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restraining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support frame 173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annular frame 171.
  •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downwardly.
  • Figure 7 (b) is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to the right inclined.
  • the rotation guide 170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member 172 of the air guide 12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ir guide is rotated.
  • the 120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guide 170.
  • the rotation guide 170 is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shaft member 172 of the air guide 120 is disposed above and below.
  •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guide 170.
  • FIGS. 14 and 15 an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the air cleaner 100 may be visually identifiabl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display 200 to display.
  •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0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73 or the partition wall 118, and when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inclined from the rotation guide 170, the housing (through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A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110.
  •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118 is supplied with power and the hollow hole 20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and the air hole 130 of the housing 110 It may include a lighting module 202 having a) and an annular lens 205 provided on the edge of the hollow hole 203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module 202.
  •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onal restricting unit 190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18,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200 is exposed to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so that the user can determine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cleaner 100 in a remote or dark environment You can check it.
  • the air guide 120 when the air guide 120 is rotated upward, the rear end of the air guide 120 is relatively lowered,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annular lens 205 is hollow of the air guide 120. May be exposed through 122. In this case, the user may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through the exposed portion of the annular lens 205.
  • FIGS. 1, 2 and 16 to 29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16 to 29.
  • reference numerals indicated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6 to 29 are the same as the reference numerals indicated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15.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other embodiments.
  • the air cleaner 100 is a housing 110, air guide 120, air hole 130, blowing fan 140, an air purification filter 150, and a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included.
  • the housing 110 constitutes an exterior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n air inlet 11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the front surface is front. ) May be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port 112, and may be provided with an upper discharge port 113 at an upper end thereof.
  •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may constitut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the air discharge port 112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due to the air guide 1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air intake 111 may be formed on the back (Back) of the housing 1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side of the housing 110.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with a partition 118 separating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 the partition wall 118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lower fan 140 from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and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blower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from the blower fan 140 inside the housing 110.
  • the upper discharge passage 116 connected to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in the fan 140 may be formed.
  • the air guide 1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but the front end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so that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annular, and the rear end may exten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have.
  • the air guide 12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inside the housing 110 to guide the air flowing in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guide 120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122 penetra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housing 110.
  • a hole penetrated from the center of the air outlet 112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of the housing 110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pressure around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reduced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reby, the hollow 122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so that the air in the rear of the housing 110 may jo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to flow in front of the housing 110.
  • the partition wall 118 surrounds the upper half of the air guide 120 at a distance from the air guide 120 so as to guide the air flowing above the air guide 120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enclosure 119 extending in the air discharge port 112 direction may be provided.
  • the tip of the air guide 1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ir outlet 112 and the annular rim portion 124 disposed in the air outlet 112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air guide 120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connected between the rim portion 124 and the air guide 120 may be provided.
  • a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may be disposed in the annular air discharge port 112,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It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blades (126).
  • the guide blade 126 is formed to be inclined or curv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s shown in Figure 1, to form a whirlwind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Can be discharged.
  • the cyclone type airflow has a strong straightness than the airflow of the linear behavior has a long reach has the advantage of high indoor air circulation performance.
  • the blowing fan 14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when the air is sucked in the air out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air inlet 111 during operatio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12 or the upper outlet 113. Can be discharged.
  • the blowing fan 140 may be configured as a centrifugal fan disposed at the inlet side of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as shown in Figs. The position and type of the blowing fan 140 may be changed.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intake 111 and the blowing fan 140 to purify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take 111.
  •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50 may include a prefilter, a deodorization filter, a sterilization filt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hepa filter, and the like.
  • the air cleaner 100 may include a humidification filter for humidifying air or a dehumidification unit for dehumidifying the air between the air purifying filter 150 and the blowing fan 140. It may be.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guid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140 to at least on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upper discharge port 113.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to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by rotating as shown in FIGS. 2 and 16 to 19,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happen.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closes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opens the top discharge passage 116 as shown in FIG. 17,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140 is the top discharge outlet 113. Can be discharged.
  • the flow path switching unit 160 opens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and closes the upper discharge passage 116 as illustrated in FIG. 18, the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fan 140 is an annular air discharge outlet. Can be discharged to 112.
  • the air pur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nnular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ir cleaner 100 includes a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170-1).
  •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170-1) is rotatably coup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You can change it.
  • wind direction control units 170 and 170-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9.
  •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includes an air barrier membrane 171, an annular frame 172, a support frame 173, a connection frame 175, and a rotational restraint unit. 190 and the driving unit 180 may be included.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disposed on a flow path of air spaced apart from the air guide 120 and flows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to block air flowing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 In addition,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pivo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barrier layer 171 covers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air guide 120, so that some air from the air flowing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flows directly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You can make a detour without doing it.
  • the air pressu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barrier layer 171 is disposed among the air guide 120 is low, and the air pressur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barrier layer 171 is not disposed is relatively high.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discharged by deflecting the air pressure from the high air side toward the low air pressure side.
  • FIG. 23A illustr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air barrier layer 171 is disposed above the air outlet 112 so that air is discharged upward from the air outlet 112
  • FIG. 23B illustrates air.
  • the blocking film 17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left side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shown.
  • FIG. 23C the air blocking membrane 171 is the air discharge port 112. It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the operation is discharged downward is shown.
  • FIG. 23D illustrates an operation in which the air barrier layer 171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so that air is discharged rightwar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annular frame 17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and the air barrier membrane 171 may be coupled to match the behavior.
  • the annular frame 172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hermetically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124 of the air guide 120.
  • the support frame 173 may be rotatably suppo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partition wall 118 provided in the housing 110.
  • the support frame 173 may be configured in an annular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coupled between the annular frame 172 and the support frame 173. Accordingly, the annular frame 172, the support frame 173, and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integrally rotated.
  • connection frame 175 may connect the annular frame 172 and the support frame 173 to each other to match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annular frame 172 and the support frame 173.
  • the connection frame 175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n thickness so a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to the air flowing from the front discharge passage 115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 the rotational restricting unit 190 may rotate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170 to the housing 110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rotational state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170 is adjusted is maintained. That is, the rotational restraint unit 190 may not change the rotated posi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adjusted by the user due to wind pressur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or vibration generated in the housing 110.
  •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may be rotated to the housing 110.
  • the rotational restriction 190 is fixed to the partition 118 and may be configured to restrain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support frame 173.
  • the rotational restrictor 190 is fixed to the partition 118 as shown in FIG. 21 and the track member 192 o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slides, and the track member. It may include a ball member 194 is provided to protrude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192).
  • a plurality of grooves 174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173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ll member 194.
  • the rotary binding unit 19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rotated while the ball member 194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73 when the annular frame 172 and the support frame 173 are rotated by the user.
  • the frictional force is reduced, but when the rotation of the support frame 173 is stopped, the ball member 194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174 at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frame 173 is rotated to support the support frame 173.
  • the rotational restraint 190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restraining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support frame 173 as described above, and may be configured to restrict the rotational behavior of the annular frame 172.
  • the driving unit 18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may rotate the annular frame 172 or the support frame 17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driving unit 180 is provided to automatically implement the wind direction control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unit 170 may not be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driving unit 180 but may be manually rotated by the user's hand.
  • the front end of the annular frame 172 for the manual operation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not show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 the driving unit 180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member 182 and the motor member 182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nular frame 172 as shown in FIG. 25. 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184.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n area.
  • the area control of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ir barrier layer 171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thereof, or may be implemented by adjusting the width between both ends of the air barrier layer 171.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be configured to be width-adjus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guide 120.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able air barrier layers 171b that are slidably coup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nnular frame 172 and overlap or unfold with each other.
  • the air barrier layers 171b overlap each other, the total area of the air barrier layers 171 may be narrowed, and when the plurality of air barrier layers 171 are expanded to each other, the entire area of the air barrier layers 171 may be expanded.
  • the air barrier layer 171 may include a fixed air barrier layer 171a and a movable air barrier layer 171b as shown in FIG. 26.
  • the fixed air barrier layer 171a may be fixed to the annular frame 172.
  • the movable air barrier layer 171b is slidably coupled to the annular frame 172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verlaps the fixed air barrier layer 171a or may be developed outside the fixed air barrier layer 171a.
  •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ea of the air barrier membrane 171 is adjustable is such that the air outlet port is provid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ir barrier membrane 171 is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air outlet 112 and the blower fan 140 is operated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Since the difference value of the air pressure difference for each part occurring around 112 can be changed, the deflection angle of the deflected air can be further adjusted.
  • the air barrier layer 171 when the air barrier layer 171 is disposed above the air outlet 112, when the movable air barrier layer 171b is superimposed on the stationary air barrier layer 171a, the air above and below the air outlet 112 is aired. If the pressure difference is 15 and the air is discharged upward at an angle of 30 degrees, the air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greater than 15 when the movable air barrier film 171b is fully developed in the stationary air barrier film 171a. It may be 20 or more, which allows air to be discharged upward at an angle of 45 degrees or more.
  •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1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 direction control unit 170-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7 to 29.
  • the wind direction controller 170-1 may include a rotation ring frame 178 and a deflection blade 177.
  • the rotary ring frame 178 is a ring-shaped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inlet 111, a plurality of deflection blades 177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 the deflection blade 177 is a member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is provided across the inside of the rotary ring frame 178 to the air discharge port 112 via the rotary ring frame 178. Can be arranged.
  • the deflection blade 17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is deflected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port 11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that guides the air to one side.
  • the deflection blades 177 may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ic ring frame with a plurality of gaps as shown in FIGS. 27 and 29.
  • air may be discharged at intervals between the plurality of deflection blades 177.
  • the deflection blade 177 may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In one embodiment, the deflection blade 177 may be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 port 1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ring frame 178.
  • the air discharge por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deflection blade 177.
  •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112 may be adjusted.
  • the deflection blade 177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ring frame 178 from side to side.
  • the driving unit 180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rotary ring frame 178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는 일면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를 상기 하우징에 지지시키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가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 가습기, 제습기, 에어컨 등과 같이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품 중에는 환형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제품이 있다.
환형의 공기토출구는 제품 디자인을 고려하여 채용되기도 하고, 토출공기를 회오리 형태로 토출시키기 위해 채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환형의 공기토출구는 구조상 풍향조절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환형의 공기토출구를 가지는 제품은 환형 공기토출구의 풍향조절이 불가한 구조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158호 및 제10-2015-0092067호에는 환형의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158호 및 제10-2015-0092067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형 공기토출구의 풍향 전환이 불가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환형 공기토출구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예의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면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를 상기 하우징에 지지시키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가이드에 결합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1실시예의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Front)에 구비되는 환형의 공기토출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Back)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을 구비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제2실시예의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에어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풍향조절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이격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가이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공기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차단막은 면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끝단이 일방으로 편향되고 상기 공기토출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편향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환형의 공기토출구의 풍향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환형의 공기토출구의 토출풍향을 원거리에서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상단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 및 상단토출구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환형의 공기토출구의 풍향조절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에어가이드, 회전가이드 및 회전구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회전가이드와 회전구속부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및 회전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에어가이드가 회전가이드에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상측 일부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에어가이드가 회전가이드에서 회전되는 동작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발광표시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광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상단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 및 상단토출구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에어가이드, 풍향조절부 및 회전구속부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풍향조절부와 회전구속부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와 풍향조절부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풍향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24의 (a) 내지 (d)는 풍향조절부의 풍향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풍향조절부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6은 풍향조절부에 포함되는 공기차단막의 다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풍향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풍향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풍향조절부가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는 크게 두가지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된다. 도 1 및 도 2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모두 공통되는 외면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1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관련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지시하는 도면부호와 도 16 내지 도 2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지시하는 도면부호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였더라도 서로 다른 실시예를 지시하는 도면부호로 서로 다름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15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구성 및 전체적인 구조와 유로전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에어가이드(120), 에어홀(130), 송풍팬(140), 공기정화필터(150) 및 유로전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11)를 구비할 수 있고, 전면(Front)에 공기토출구(112)를 구비하며, 상단에 상단토출구(113)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12)와 상단토출구(113)는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토출구(112)는 후술할 에어가이드(120)로 인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구(111)는 하우징(110)의 후면(Back)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의 전면, 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기토출구(112)와 상단토출구(113)를 분리하는 격벽(1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8)은 상단토출구(113)에서 송풍팬(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송풍팬(140)에서 공기토출구(112)로 연결된 전방토출유로(115) 및 송풍팬(140)에서 상단토출구(113)로 연결된 상단토출유로(116)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기토출구(112)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공기토출구(112)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하우징(110)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전방토출유로(115)에 배치되어 전방토출유로(115)로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122)을 구비하여 원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는 후술할 에어홀(130)과 연통되어 하우징(110)에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가이드(120)의 후단이 격벽(118)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격벽(118)에는 에어가이드(120)의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로 안내하도록 에어가이드(120)의 상반부를 간격을 가지고 둘러싸고 공기토출구(112) 방향으로 연장된 인클로져(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홀(130)은 하우징(110)에 형성되며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에 연통되어 하우징(110)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홀(130)을 형성하는 원통형 또는 나팔형태의 구조물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단토출유로(116)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과 에어홀(130)이 연결되어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공기토출구(11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면 공기토출구(112) 주위의 기압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과 에어홀(130)을 통해 하우징(110)의 후면에 있는 공기가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합류하여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환형의 공기토출구(112)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12)의 주변 공기에 유동을 발생시켜 결과적으로, 송풍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시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토출구(112) 또는 상단토출구(113)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4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의 입구측에 배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140)의 위치 및 종류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50)는 공기흡입구(111)와 송풍팬(14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정화필터(150)는 프리필터, 탈취필터, 살균필터, 활성탄 필터 및 헤파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필터(150)와 송풍팬(140) 사이에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 또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160)는 송풍팬(140)이 토출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 및 상단토출구(113)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전환부(160)는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전환부(16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로전환부(16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를 폐쇄하고 상단토출유로(116)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가 상단토출구(113)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16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를 개방하고 상단토출유로(116)를 폐쇄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될 수있다.
그리고, 유로전환부(16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의 일부가 상단토출구(113)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환형의 공기토출구(112)의 풍향조절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상기 에어가이드(120)가 공기토출구(112)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회전되어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타고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가 에어가이드(120)의 선단부가 향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회전가이드(170) 및 회전구속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7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에어가이드(120)를 하우징(1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즉, 회전가이드(170)는 에어가이드(120)를 하우징(110)에 결합시키는 매개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가이드(170)는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가이드(170)에 결합된 에어가이드(120)도 회전가이드(170)의 회전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는 공기토출구(112)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가이드(17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가이드(120)는 회전가이드(17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가이드(170)가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 에어가이드(120)도 회전가이드(170)의 회전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결과적으로 에어가이드(120)와 회전가이드(170)의 결합부위의 배치위치에 따라 에어가이드(120)가 회전가이드(170)에서 좌우로 회전될 수도 있고 사선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가이드(170)와 에어가이드(120)의 회전 구조를 통해, 에어가이드(120)는 공기토출구(112)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에어가이드(120)와 회전가이드(1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의 선단부에는 공기토출구(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공기토출구(112)에 배치되는 환형상의 림부(124)와, 에어가이드(120)의 둘레를 따라 림부(124)와 에어가이드(12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환형의 공기토출구(112)에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12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거나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를 회오리 형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회오리 형태의 기류는 직선행태의 기류보다 도달거리가 길어서 실내 공기 순환성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회전가이드(170)는 환형프레임(171), 회전축 부재(172), 지지프레임(173) 및 연결프레임(17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형프레임(171)은 에어가이드(120)의 림부(124)의 외주면을 기밀하게 둘러싸고 공기토출구(112)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형프레임(171)은 외주면이 공기토출구(112)를 형성하는 하우징(110)의 전면패널에 기밀을 유지한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환형프레임(171)과 림부(124)의 사이는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림부(124)는 외주면이 에어가이드(1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환형프레임(171)은 내측면의 직경이 림부(124)의 최대외경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림부(124)의 외주면과 환형프레임(171)의 내측면이 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림부(1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곡면의 곡률은 공기토출구(112)의 중심에서 환형프레임(171)의 내측면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의 곡률에 상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축 부재(172)는 환형프레임(171)에 림부(12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축 부재(172)는 환형프레임(171)의 양단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축 부재(17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부(124) 및 에어가이드(120)가 환형프레임(17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림부(124)를 환형프레임(171)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73)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118)에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가 접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에어가이드(120)가 환형프레임(171)에서 회전될 때,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는 지지프레임(173)에 접촉한 상태로 지지프레임(173)의 표면에 슬라이드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73)과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의 접촉부위는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가 접하는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은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의 선회 궤적에 부합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피접촉면(173a)은 중공(122)의 둘레 전체에서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가이드(120)는 회전축 부재(172)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은 에어가이드(120)의 양측 회전축 부재(172)를 연결하는 직선의 중심에서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이나 구의 곡률에 따라 만곡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에어가이드(120)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커버부재(180)가 덮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에 접촉되는 부위는 커버부재(180)의 후단에 형성된 접촉면(182)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가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홀을 구비하는 경우, 지지프레임(173)에는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과 하우징(110)의 에어홀(130)을 연통시키는 관통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78)은 환형프레임(171)과 지지프레임(173)을 서로 연결하여 환형프레임(171)과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178)은 환형프레임(171)과 지지프레임(173)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방토출유로(115)에서 공기토출구(112)로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되도록 두께가 얇고 복수개가 넓은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과 하우징(110)의 에어홀(130)은 에어가이드(120)의 어떠한 회전 각도에서도 상호간에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에어가이드(120)는 중공(122)과 에어홀(130)이 연통되는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120)는 중공(122)과 에어홀(130)이 적어도 일부분 겹치는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20)가 풍향조절을 위해 회전된 경우에도 에어홀(130) 및 중공(122)을 통해 하우징(110)의 후면에 있는 공기가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합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에어가이드(1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회전축 부재(172) 또는 회전가이드(170)에는 에어가이드(120)의 소정 회전각도 이상에서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120)가 얇은 두께의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면, 에어가이드(120)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경우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의 일부분이 지지프레임(173)의 관통홀(174)에 배치될 수 있고, 이때, 에어가이드(120)와 지지프레임(173) 사이의 기밀이 파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방토출유로(115)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에어가이드(120)와 지지프레임(173) 사이의 간격을 통해 에어홀(130)로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시 에어가이드(120)의 외부와 에어홀(130) 간에 기밀을 유지시킨 상태로 에어가이드(120)의 풍향조절을 위한 회전 각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 두께를 증대시키는 커버부재(180)가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80)는 후단부가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후단부가 지지프레임(173)에 소정두께만큼 면접촉하도록 상기 소정두께 이상의 접촉면(182)을 가지며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에어가이드(1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170)에서 상기 커버부재(180)의 접촉면(182)의 두께만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속부(190)는 회전가이드(170)의 회전상태가 조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회전가이드(170)를 하우징(110)에 회전구속시킬 수 있다. 즉, 회전구속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회전가이드(170)의 회전된 위치가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압이나 하우징(110)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변경되지 않도록 회전가이드(170)를 하우징(110)에 회전구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구속부(190)는 격벽(118)에 고정되며 회전가이드(170)의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 회전구속부(1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8)에 고정되며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의 반대면이 슬라이드되는 궤도부재(192)와, 상기 궤도부재(192)의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볼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73)의 피접촉면(173a)의 반대면에는 상기 볼부재(194)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홈부(175)가 지지프레임(17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회전구속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가이드(170)가 회전될 때 볼부재(194)가 지지프레임(173)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 회전가이드(170)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전가이드(170)의 회전이 정지되면 회전가이드(170)가 회전된 위치에서 볼부재(194)가 지지프레임(173)에 형성된 홈부(175)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할 수 있다.
다만, 회전구속부(1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환형프레임(171)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환형의 공기토출구(112)의 풍향조절 구조는, 에어가이드(120)가 회전가이드(170)에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가이드(170)가 하우징(110)에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에어가이드(120)가 공기토출구(112)의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방향으로 회전되어 토출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의 (a)에는 에어가이드(120)가 하향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는 에어가이드(120)가 우측으로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20)를 하향 경사지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축 부재(172)가 좌측과 우측에 배치되도록 회전가이드(170)를 회전시키고 에어가이드(120)를 회전가이드(17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20)를 우향 경사지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에어가이드(120)의 회전축 부재(172)가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도록 회전가이드(170)를 회전시키고 에어가이드(120)를 회전가이드(170)에 대해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빛을 표시하는 발광표시부(2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표시부(200)는 지지프레임(173) 또는 격벽(118)에 구비되며 에어가이드(120)가 회전가이드(170)에서 경사지게 회전된 경우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표시부(200)는 격벽(118)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 및 하우징(110)의 에어홀(130)과 연통되는 중공 홀(203)을 구비하는 조명모듈(202)과, 상기 중공 홀(203)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조명모듈(202)에서 발산하는 빛을 확산시키는 환형렌즈(20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표시부(2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8)에 고정된 회전구속부(19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발광표시부(200)는 에어가이드(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부분이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원거리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공기청정기(100)의 풍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20)가 상향 회전된 경우, 에어가이드(120)의 후단부는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환형렌즈(205)의 하측이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환형렌즈(205)의 노출부위를 통해 에어가이드(120)의 회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 2 및 도 16 내지 도 2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6 내지 도 29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지시하는 도면부호는,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지시하는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였더라도 서로 다른 실시예를 지시하는 도면부호이다.
먼저, 도 1, 도 2 및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구성 및 전체적인 구조와 유로전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에어가이드(120), 에어홀(130), 송풍팬(140), 공기정화필터(150) 및 유로전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외부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111)를 구비할 수 있고, 전면(Front)에 공기토출구(112)를 구비하며, 상단에 상단토출구(113)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112)와 상단토출구(113)는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토출구(112)는 후술할 에어가이드(120)로 인해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구(111)는 하우징(110)의 후면(Back)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1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기토출구(112)와 상단토출구(113)를 분리하는 격벽(1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8)은 상단토출구(113)에서 송풍팬(140)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 송풍팬(140)에서 공기토출구(112)로 연결된 전방토출유로(115) 및 송풍팬(140)에서 상단토출구(113)로 연결된 상단토출유로(116)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기토출구(112)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공기토출구(112)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하우징(110)의 후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전방토출유로(115)에 배치되어 전방토출유로(115)로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된 중공(122)을 구비하여 원통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120)의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에는 공기토출구(112)의 중앙에서 하우징(110)의 후면까지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공기토출구(11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된 홀은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기토출구(11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12) 주위의 기압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에어가이드(120)의 중공(122)에는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공기유동이 발생하게 되어 하우징(110)의 후면에 있는 공기가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합류하여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격벽(118)에는 에어가이드(120)의 상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로 안내하도록 에어가이드(120)와 간격을 가지고 에어가이드(120)의 상반부를 둘러싸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토출구(112) 방향으로 연장된 인클로져(119)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120)의 선단부에는 공기토출구(1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공기토출구(112)에 배치되는 환형상의 림부(124)와, 에어가이드(120)의 둘레를 따라 림부(124)와 에어가이드(120)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에어가이드(120)가 공기토출구(112)에 결합되는 경우, 환형의 공기토출구(112)에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126) 사이의 공간으로 토출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블레이드(12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을 따라 경사지거나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를 회오리 형태로 토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회오리 형태의 기류는 직선행태의 기류보다 직진성이 강하여 도달거리가 길어서 실내 공기 순환성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송풍팬(14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작동시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토출구(112) 또는 상단토출구(113)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40)은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의 입구측에 배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풍팬(140)의 위치 및 종류는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50)는 공기흡입구(111)와 송풍팬(140)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정화필터(150)는 프리필터, 탈취필터, 살균필터, 활성탄 필터 및 헤파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필터(150)와 송풍팬(140) 사이에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 또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유로전환부(160)는 송풍팬(140)이 토출하는 공기를 공기토출구(112) 및 상단토출구(113)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전환부(160)는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전환부(160)는 도 2 및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여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로전환부(160)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를 폐쇄하고 상단토출유로(116)를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가 상단토출구(113)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부(16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를 개방하고 상단토출유로(116)를 폐쇄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가 환형의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될 수있다.
그리고, 유로전환부(160)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토출유로(115) 및 상단토출유로(116)를 모두 개방하는 경우, 송풍팬(140)이 토출시키는 공기의 일부가 상단토출구(113)로 토출되고 나머지가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환형의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풍향조절부(170, 170-1)를 포함한다.
상기 풍향조절부(170, 170-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에어가이드(120)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풍향조절부(170, 170-1)의 실시형태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풍향조절부(170)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풍향조절부(170)는 공기차단막(171), 환형프레임(172), 지지프레임(173), 연결프레임(175), 회전구속부(190) 및 구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차단막(171)은 에어가이드(120)와 이격되어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차단막(171)은 에어가이드(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공기차단막(171)은 에어가이드(120)의 둘레 중에서 일부분을 덮음으로써,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일부의 공기를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으로 직접 유동하지 않고 우회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120)의 둘레 중에서 공기차단막(171)이 배치된 방향의 공기압력이 낮고 공기차단막(171)이 배치되지 않은 방향의 공기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압력이 높은 측에서 공기압력이 낮은 측으로 편향되어 토출되게 된다.
여기서, 도 23의 (a)에는 공기차단막(171)이 공기토출구(112)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기토출구(112)에서 공기가 상향 토출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의 (b)에는 공기차단막(171)이 공기토출구(112)의 좌측에 배치되어 공기토출구(112)에서 공기가 좌향 토출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고, 도 23의 (c)에는 공기차단막(171)이 공기토출구(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토출구(112)에서 공기가 하향 토출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의 (d)에는 공기차단막(171)이 공기토출구(112)의 우측에 배치되어 공기토출구(112)에서 공기가 우향 토출되는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환형프레임(172)은 공기토출구(112)의 외곽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공기차단막(171)이 거동이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형프레임(172)은 에어가이드(120)의 림부(124)의 외주면을 기밀하게 둘러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73)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118)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73)은 에어가이드(12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환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기차단막(171)은 환형프레임(172)과 지지프레임(173)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환형프레임(172), 지지프레임(173) 및 공기차단막(171)은 일체로 회전 거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75)은 환형프레임(172)과 지지프레임(173)을 서로 연결하여 환형프레임(172)과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75)은 전방토출유로(115)에서 공기토출구(112)로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되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속부(190)는 풍향조절부(170)의 회전상태가 조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풍향조절부(170)를 하우징(110)에 회전구속시킬 수 있다. 즉, 회전구속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풍향조절부(170)의 회전된 위치가 공기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압이나 하우징(110)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변경되지 않도록 풍향조절부(170)를 하우징(110)에 회전구속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구속부(190)는 격벽(118)에 고정되며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 회전구속부(19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18)에 고정되며 지지프레임(173)의 후면이 슬라이드되는 궤도부재(192)와, 상기 궤도부재(192)의 표면에 일부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볼부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173)의 후면에는 상기 볼부재(194)의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홈부(174)가 지지프레임(173)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회전구속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환형프레임(172) 및 지지프레임(173)이 회전될 때 볼부재(194)가 지지프레임(173)의 후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어 지지프레임(173)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되, 지지프레임(173)의 회전이 정지되면 지지프레임(173)이 회전된 위치에서 볼부재(194)가 홈부(174)에 수용되어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할 수 있다.
다만, 회전구속부(1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73)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환형프레임(172)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8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환형프레임(172) 또는 지지프레임(173)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의 풍향조절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다. 단, 풍향조절부(170)는 구동부(18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지 않고 사용자의 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풍향조절부(170)의 수동조작을 위해 환형프레임(172)의 전단에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 핸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구동부(180)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부재(182)와, 모터부재(182)의 회전력을 환형프레임(172)의 외주면에 전달하는 회전체(1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여, 공기차단막(171)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차단막(171)은 면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차단막(171)의 면적 조절은 공기차단막(171)의 전단과 후단까지의 길이 조절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공기차단막(171)의 양단 사이의 너비 조절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차단막(171)은 에어가이드(120)의 원주방향으로 너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예로, 공기차단막(171)은 환형프레임(172)의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는 복수의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이 서로 중첩되면 공기차단막(171)의 전체 면적이 좁아지고 복수의 공기차단막(171)이 서로 전개되면 공기차단막(171)의 전체 면적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예로, 공기차단막(171)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 및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은 환형프레임(17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은 환형프레임(172)에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에 중첩되거나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의 외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차단막(171)의 면적 조절이 가능한 구조는, 공기차단막(171)이 공기토출구(112)에서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고 송풍팬(140)이 동일한 회전수로 가동되는 조건에서, 공기토출구(112)의 둘레에 발생하는 부위별 공기압력 차이의 차이값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편향 토출되는 공기의 편향각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차단막(171)을 공기토출구(112)의 상부에 배치시킨 경우,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을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에 중첩시켰을 때 공기토출구(112)의 상부와 하부의 공기압력 차이가 15이고 공기가 30도 각도로 상향 토출된다면, 이동식 공기차단막(171b)을 고정식 공기차단막(171a)에서 완전히 전개시켰을 때 공기토출구(112)의 상부와 하부의 공기압력 차이는 15보다 큰 20 이상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공기가 45도 이상의 각도로 상향 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풍향조절부(170-1)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일 실시예에서, 풍향조절부(170-1)는 회전링프레임(178) 및 편향블레이드(1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프레임(178)은 공기흡입구(111)의 외곽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내측에 복수의 편향블레이드(17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편향블레이드(177)는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부재로서, 회전링프레임(178)의 내측을 가로질러 구비되어 회전링프레임(178)을 매개로 공기토출구(1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편향블레이드(177)는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끝단이 일방으로 편향되게 구성되어 공기를 일측으로 가이드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블레이드(177)는 도 27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간격을 가지고 횐전링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편향블레이드(177)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편향블레이드(177)는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편향블레이드(177)는 회전링프레임(178)의 회전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의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풍향조절부(170-1)는, 복수의 편향블레이드(177)가 공기를 공기토출구(112)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가이드하므로, 편향블레이드(177)의 회전 위치에 따라 공기토출구(11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단, 편향블레이드(177)가 회전링프레임(178)에 고정된 경우에는 공기토출구(112)의 정면 수평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 풍향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편향블레이드(177)가 회전링프레임(178)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회전링프레임(178)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6)

  1. 일면에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된 에어가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공기토출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에어가이드를 상기 하우징에 지지시키는 회전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가이드에 결합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을 구비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Front)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공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면(Back)까지 연장된 에어홀이 형성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선단부에는, 상기 공기토출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토출구에 배치되는 림부와, 상기 에어가이드의 둘레를 따라 상기 림부와 상기 에어가이드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레이드가 구비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림부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공기토출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프레임; 및
    상기 환형프레임에 상기 림부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축 부재;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림부의 외주면이 상기 에어가이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면의 직경이 상기 림부의 최대외경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의 회전시 상기 림부의 외주면과 상기 환형프레임의 내측면이 밀착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가 접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환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토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Front)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중공에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면(Back)까지 연장된 에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중공과 상기 에어홀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회전상태가 조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구속되게 결합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공기토출구의 외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가 접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환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전거동을 구속하는 회전구속부가 구비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중공과 상기 에어홀이 연통되는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가 접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에 접촉되는 피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피접촉면은 상기 에어가이드의 회전시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의 선회 궤적에 부합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의 회전시 상기 중공의 둘레 전체에서 상기 에어가이드의 후단부에 접촉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상단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송풍팬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이 토출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 및 상기 상단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격벽에 구비되며,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회전가이드에서 경사지게 회전되는 경우 상기 에어가이드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분이 노출되는 발광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표시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Front)에 구비되는 환형의 공기토출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Back)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을 구비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공기 토출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7.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공기토출구;
    상기 공기토출구가 환형이 되도록 선단부가 상기 공기토출구의 중앙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로 가이드하는 에어가이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에어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시키는 풍향조절부;
    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이격되어 상기 에어가이드의 외주면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에어가이드의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공기차단막을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외곽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기차단막이 결합된 환형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격벽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차단막이 상기 환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결합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은 면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은 상기 에어가이드의 원주방향으로 너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은,
    상기 환형프레임에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로 중첩되거나 전개되는 복수의 이동식 공기차단막을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막은,
    상기 환형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식 공기차단막; 및
    상기 환형프레임에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식 공기차단막에 중첩되거나 상기 고정식 공기차단막의 외측으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식 공기차단막을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환형프레임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기준으로 끝단이 일방으로 편향되고 상기 공기토출구의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편향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는, 상기 공기토출구의 외곽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측에 상기 복수의 편향블레이드가 구비된 회전링프레임을 포함하는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PCT/KR2017/014269 2016-12-07 2017-12-07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Ceased WO2018106033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72630.1A CN109996999B (zh) 2016-12-07 2017-12-07 风向可调的空气净化器
MYPI2019002717A MY201122A (en) 2016-12-07 2017-12-07 Wind-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JP2019530042A JP6894510B2 (ja) 2016-12-07 2017-12-07 風向調整可能な空気清浄機
US16/346,636 US12000621B2 (en) 2016-12-07 2017-12-07 Wind-direction adjustable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032 2016-12-07
KR1020160166032A KR101916887B1 (ko) 2016-12-07 2016-12-07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2016-0179328 2016-12-26
KR1020160179328A KR102669899B1 (ko) 2016-12-26 2016-12-26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6033A2 true WO2018106033A2 (ko) 2018-06-14
WO2018106033A3 WO2018106033A3 (ko) 2018-08-02

Family

ID=6249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4269 Ceased WO2018106033A2 (ko) 2016-12-07 2017-12-07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000621B2 (ko)
JP (1) JP6894510B2 (ko)
CN (1) CN109996999B (ko)
MY (1) MY201122A (ko)
WO (1) WO20181060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49382C (en) * 2019-07-09 2021-10-19 Condair Group Ag Mist humidifier blower methods and systems
CN110486760B (zh) * 2019-07-24 2021-04-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除湿吸油烟机
KR102829014B1 (ko) * 2019-10-28 2025-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퓨저, 디퓨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457414B1 (ko) * 2020-05-04 2022-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D1057918S1 (en) 2021-06-23 2025-01-14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purifier
CN113944971B (zh) * 2021-11-04 2023-05-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7788Y1 (ko) * 1967-10-18 1971-09-25
JPH10288391A (ja) * 1997-04-10 1998-10-27 G Ee Shi Kk 空調用ダクトの接合構造、空調用ダクトおよび空調装置
JP2002103957A (ja) * 2000-10-03 2002-04-09 Inoac Corp エアアウトレット
KR100977369B1 (ko) * 2003-11-13 201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08312B1 (ko) * 2004-03-02 2005-08-1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공기정화기
GB2464736A (en) * 2008-10-25 2010-04-28 Dyson Technology Ltd Fan with a filter
GB2466058B (en) * 2008-12-11 2010-12-22 Dyson Technology Ltd Fan nozzle with spacers
GB2468317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Height adjustable and oscillating fan
CN202056982U (zh) * 2009-03-04 2011-11-30 戴森技术有限公司 加湿设备
GB0903682D0 (en) * 2009-03-04 2009-04-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68320C (en) * 2009-03-04 2011-06-01 Dyson Technology Ltd Tilting fan
JP2011177246A (ja) 2010-02-26 2011-09-1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清浄機および電解水ミスト発生器
GB2482548A (en) * 2010-08-06 2012-02-0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with a heater
JP5778293B2 (ja) * 2010-11-02 2015-09-16 ダイソン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送風機アセンブリ
JP5122663B2 (ja) * 2011-03-01 2013-01-16 株式会社ユニックス 換気口カバー
GB2493506B (en) * 2011-07-27 2013-09-11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KR101240536B1 (ko) * 2011-12-08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GB2500010B (en) * 2012-03-06 2016-08-24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RU2606194C2 (ru) * 2012-03-06 2017-01-10 Дайсон Текнолоджи Лимитед Узел вентилятора
KR101564912B1 (ko) * 2012-08-24 2015-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28191A (ko) * 2012-08-24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8274B1 (ko) * 2013-01-03 2020-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G11201505665RA (en) * 2013-01-29 2015-08-28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KR20140096964A (ko) * 2013-01-29 2014-08-06 코웨이 주식회사 순환구조 건조기
US10434448B1 (en) * 2013-03-18 2019-10-08 Von Honnecke Filter cabinets for HVAC systems
AU2014273772B2 (en) * 2013-05-31 2016-08-11 Midea Group Co., Ltd. Air supply apparatus used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the same
CN103363587B (zh) * 2013-05-31 2016-01-13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其空调用独立送风部件
KR102104435B1 (ko) 2013-07-03 2020-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748243A (zh) * 2013-12-25 2015-07-01 济南大学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102379983B1 (ko) * 2014-08-04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9951791B2 (en) *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US9625223B2 (en) * 2014-08-18 2017-04-18 Atieva, Inc. Self-cleaning fan assembly
KR101906341B1 (ko) * 2015-04-09 2018-10-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1628002B1 (ko) 2015-07-29 2016-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0436469B2 (en) * 2016-02-2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201122A (en) 2024-02-06
US12000621B2 (en) 2024-06-04
JP2020501100A (ja) 2020-01-16
JP6894510B2 (ja) 2021-06-30
CN109996999B (zh) 2021-11-26
CN109996999A (zh) 2019-07-09
WO2018106033A3 (ko) 2018-08-02
US20200063991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6033A2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8106032A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WO2017146353A1 (ko) 공기 청정기
WO2017146356A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069360A1 (en) Air conditioner
WO2017095007A1 (ko) 공기청정기
WO2021194277A1 (ko) 가습기
WO2017146352A1 (ko) 공기 청정기
WO2017069359A1 (en) Air conditioner
WO2015034332A4 (en) Dehumidifier
WO2017119721A1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WO2017082601A1 (ko)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0117142A2 (en) Air conditioner
WO2019194637A1 (ko) 팬어셈블리 및 공기조화기
WO2017014505A1 (en) Air conditioner
WO2016093634A1 (ko) 제가습 장치, 제습공기청정기, 가습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0180075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16883A1 (ko) 송풍기
WO2017082602A1 (ko)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9172688A1 (ko) 공기조화기
EP3183508A1 (en) Air conditioner
WO2016043400A1 (ko) 기류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WO2020149582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82600A1 (ko)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74140A1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94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004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94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