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148881A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ement using ride-hail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mplemen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ement using ride-hailing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mplementing the same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148881A KR20250148881A KR1020240047196A KR20240047196A KR20250148881A KR 20250148881 A KR20250148881 A KR 20250148881A KR 1020240047196 A KR1020240047196 A KR 1020240047196A KR 20240047196 A KR20240047196 A KR 20240047196A KR 20250148881 A KR20250148881 A KR 20250148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advertisement
- passenger
- driver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5—Vehicular advertis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43—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sharing of vehicles, e.g. car sharing
- G06Q50/47—Passenger ride requests, e.g. ride-hail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및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맞춤형 광고를 승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서비스 서버가 승객 단말기 혹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에 관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 차량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을 승인받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그리고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이 제시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 및 이와 관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발명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to passengers in a vehicle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and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argeted advertisements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comprises: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receives a service acceptance message regarding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from a passenger terminal or a driver terminal and determines a dispatched vehicle;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ispatch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and receives approval from the driver terminal for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to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destination information,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argeted advertisement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related thereto.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Ride-hailing)를 활용한 타겟 광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Smartphone)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Smart Device) 등의 단말기(Terminal)를 이용하여,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맞춤형 디지털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argeted advertising using a ride-hailing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digital advertising to passengers using a ride-hailing service using a terminal such as a smart device including a smartphon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타겟 광고(Targeted Advertisement)란 광고주(Advertiser)가 홍보 내지 마케팅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잠재적 소비자의 특성(Trait) 정보를 연관지어서 수행하는 광고 전략을 의미한다. 예컨대, 검색 엔진 사이트 X에 접속한 소비자 Z가 특정 웹사이트 Y를 방문한 경우, 검색 엔진 사이트의 운영자 X는 소비자 Z의 웹사이트 방문 히스토리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엔진 사이트의 운영자 X는광고주 Y로부터 의뢰받은 광고물을 기왕이면 소비자 Z에게 타겟 광고함으로써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전략이다.Targeted advertising refers to an advertising strategy that advertisers carry out by linking potential consumer trait information to the product or service they want to promote or market. For example, if consumer Z, who accessed search engine site X, visited a specific website Y, the operator of the search engine site X can know consumer Z's website visit history or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herefore, the operator of the search engine site X can increase advertising efficiency by targeting the advertisements requested from advertiser Y to consumer Z.
소비자 Z가 광고주 Y의 웹사이트를 무슨 이유에서든 방문한 이력이 있다면, 그 소비자 Z에게 Y의 광고물을 제공하는 것이 광고 효과, 예컨대 잠재적인 소비자 Z가 광고물을 본 후 Y의 웹사이트에 재방문해서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에, 타겟 광고는 특히 온라인 광고에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위 사례에서 검색 엔진 사이트의 운영자 X는 광고대행자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으며, Y는 X가 타겟 광고를 효율적으로 해주리라는 기대하에 X에게 소정의 광고비를 지불하고 광고를 의뢰하는 광고주가 되는 셈이다. 따라서, 온라인 쿠폰 타겟 광고에 있어서는, 타게팅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숙제이다.If consumer Z has a history of visiting advertiser Y's website for whatever reason, providing Y's advertisement to that consumer Z can have an advertising effect, 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potential consumer Z is more likely to revisit Y's website and purchase a product after seeing the advertisement. Therefore, targeted advertising is becoming a very important means, especially in online advertising. In the above example, the operator of the search engine site X can be seen as acting as an advertising agent, and Y becomes an advertiser who pays a certain advertising fee to X and requests advertising with the expectation that X will effectively perform targeted advertising. Therefore, in online coupon targeted advertising, improving the accuracy of targeting is the most important task.
한편, 최근 택시나 버스 등 교통 수단의 지붕이나 후면, 측면 등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설치하고, 예컨대 택시 운전자 개인이나 버스 운송업체가 광고주와 합의된 조건에 따라 차량의 외장 디스플레이를 광고 노출 영역으로서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광고주들은 소정의 광고비와 광고 노출 시간 등의 조건을 제시하고, 운전자나 운송업체들은 예컨대 경매 낙찰 방식과 유사하게 여러 광고 중 실제 자신의 차량에 디스플레이할 광고를 낙찰 받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물론, 광고주들이 경쟁하여 특정 운송업체의 디스플레이 광고권을 따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re's a growing trend of display devices being installed on the roofs, rears, and sides of vehicles like taxis and buses. For example, individual taxi drivers and bus companies are utilizing the vehicle's exterior displays as advertising displays under agreed-upon terms with advertisers. Advertisers offer a set advertising fee and exposure time, and drivers or transportation companies bid on a system similar to an auction to select the ads to display on their vehicles. Of course, there are also cases where advertisers compete to secure display advertising rights for a specific transportation company.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광고는 CPI(Cost Per Impression), CPC(Cost Per Click), 그리고 CPA(Cost Per Action) 등 크게 3가지 방식으로 광고비 책정이 이루어지고 있다.Digital advertising, as described above, is largely calculated using three methods: CPI (Cost Per Impression), CPC (Cost Per Click), and CPA (Cost Per Action).
CPI는 주로 대형 인터넷 포털사이트와 같이 사이트 이용자 내지 방문자(End User, Client) 수가 이미 많이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 인터넷 광고물이 1회 노출될 때마다 예컨대 0.5원 내지 5원씩의 광고료를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징수하는 방식이다. 광고주(Advertiser)는 노출 횟수가 몇 회로 될 때까지 광고 계약을 하거나, 노출 횟수에 무관하게 일정 기간 동안 포털사이트 내에서 광고물이 노출되는 것을 보장 받는다(기간제 정액 광고 방식은 CPT(Cost Per Time)라고도 함). 예컨대 1000회 노출당 얼마의 광고료를 지불하기로 약정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다른 인터넷 광고 대행업체를 통한다면 광고 대행업체를 위한 수수료도 추가될 수 있겠지만, 대형 인터넷 포털사이트가 광고주들에게 직접 인터넷 광고 플랜(Plan)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CPI is a method where Internet portal sites, such as large Internet portals, which already have a large number of users or visitors (end users, clients), charge an advertising fee of, for example, 0.5 to 5 won per display of an Internet advertisement. The advertiser either signs an advertising contract for a certain number of exposures or is guaranteed to display their advertisement on the portal si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exposures (a fixed-term advertising method called CPT (Cost Per Time). For example, in some cases, an agreement is made to pay a certain amount of advertising fee per 1,000 exposures. Of course, if the Internet portal site uses another Internet advertising agency, the advertising agency's commission may be added, but it is common for large Internet portal sites to offer Internet advertising plans directly to advertisers.
CPC 방식의 경우에는, 노출만으로는 광고주가 광고비를 지불하지 않고, 인터넷 광고물이 실제로 클릭(Click)될 때에만 그 횟수를 계산해서 광고비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CPC 방식을 취하는 키워드 광고의 경우, 예컨대 클릭 1회당 예컨대 100원 내지 수천원을 징수하기도 하고, 특정 키워드에 대한 입찰 가격제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광고주가 제시한 입찰 가격이 높을수록, 해당 키워드 검색이 발생할 경우 선순위(검색창의 위아래 순서, 인터넷 화면상의 광고 위치 등)로 인터넷상에 노출되는 것이다. 하지만, 기계(예컨대, 검색 봇(Bot))에 의한 검색이나 클릭, 사용자의 무의미한 연속적인 클릭, 혹은 경쟁사의 광고비 출혈을 유도하기 위한 의도적인 부정 클릭 등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경우 자칫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비 낭비로 이어질 수 있지만, 부정 클릭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In the case of CPC, advertisers do not pay for impressions alone, but only when their online ads are clicked, calculating advertising cost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y are clicked. Keyword advertising using CPC can charge, for example, 100 won to several thousand won per click, or even operate a bidding system for specific keywords. The higher the advertiser's bid, the higher the priority (e.g., in the search bar, in the ad's position on the internet) it will appear when that keyword is searched. However, this method suffers from persistent problems, such as searches or clicks by machines (e.g., search bots), meaningless, continuous clicks by users, or intentional click fraud intended to defraud competitors. While these can lead to wasted advertising costs for advertisers, various technological solutions are being proposed to address click fraud.
CPA는 광고주에게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서, 광고주가 지정한 기준, 예컨대 인터넷 이용자가 인터넷 광고물을 통해 광고주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회원 가입까지 완료하거나, 신용카드 신청, 실 구매 혹은 이벤트 참여 등의 광고 실적이 발생한 경우에만 광고비를 정산하는 구조이다. 광고주는 예컨대 다수의 웹사이트 운영자들과 제휴 마케팅 계약을 맺고, 광고 실적이 발생할 때에만 광고비를 부담하면 된다. 다만, 제휴 마케팅이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계획된 광고 예산을 소진하지 못하는 사례도 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인터넷 이용자의 구매 취소 등으로 인해 광고비만 지출하고 광고 실적은 쌓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CPA is the most advantageous method for advertisers. It operates by collecting advertising fees only when an advertiser achieves a specific goal, such as a user accessing the advertiser's website through an online advertisement and completing membership registration, applying for a credit card, making an actual purchase, or participating in an event. Advertisers typically enter into affiliate marketing agreements with multiple website operators and only pay when the ad generates results. However, if the affiliate marketing strategy is unsuccessful, the planned advertising budget may not be fully utilized. Conversely, if a user cancels a purchase, the advertiser may spend only on advertising fees without achieving any results.
CPI, CPC 및 CPA 혹은 이들을 조합한 인터넷 광고 기법은 광고비를 징수하는 기준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어 보이지만, 이들 광고 모두 광고주의 인터넷 광고물이 사용자들의 관심(Attention)을 받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광고비를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CPI는 인터넷 이용자들의 관심이 단순히 인터넷 이용자들이 방문한 웹사이트의 어느 곳에 해당 광고물이 노출되기만 해도 이용자들의 관심을 어느 정도 끌었다고 전제하는 것이고, CPC는 클릭이라는 행위가 뒤따른다면 이를 이용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성공한 광고 지표로서 삼을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CPA는 실질적인 광고 효과가 발생할 때에만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었다고 인정한다는 취지의 인터넷 광고 기법이다.While CPI, CPC, CPA, and combinations of these Internet advertising methods may seem to differ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ir criteria for collecting advertising fees, they all measure advertising costs based on whether the advertiser's online advertisements capture user attention. However, CPI assumes that simply displaying an advertisement anywhere on a website has already captured the attention of Internet users, while CPC assumes that click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successful advertising. CPA is an Internet advertising technique that recognizes user attention only when it produces a tangible advertising effect.
다만, 앞서 설명한 타겟 광고 기법이나 차량의 외장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디지털 광고 등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디지털 광고 시스템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광고주 입장에서는 낮은 전환율(Conversion Rate; CVR)이 고질적인 문제다. 전환율이란 얼마나 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특정 광고를 본 후에 클릭, 구매 등의 행위로 행동을 전환했는지 비율을 나타내는데, 전환율은 2 내지 10% 수준인 경우가 많으며, 이보다 전환율이 높다면 예컨대 대형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고가의 CPC 광고비를 입찰 제안한 경우가 대다수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디지털 광고는 광고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합리적인 잣대로 파악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인데, 낮은 전환율은 디지털 광고가 사용자의 관심을 끄는데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의미한다.However, despite various efforts, such as the targeted advertising techniques described above and digital advertising utilizing vehicle exterior displays, the current digital advertising system suffers from several problems. For advertisers, a low conversion rate (CVR) is a persistent problem. The conversion rate indicates the percentage of internet users who convert to action, such as clicking or purchasing, after seeing a specific ad. CVRs are often in the 2-10% range. Higher conversion rates often indicate high cost-per-click (CPC) advertising bids on major internet portal sites. Digital advertising relies on the ability to reasonably gauge user interest in the ad, and a low conversion rate suggests that digital advertising hasn't been very successful in capturing user attention.
이에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광고 노출 영역으로 활용하면서도, 최적의 타겟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일지 고민하고, 광고주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차량용 타겟 광고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pose a vehicle target advertising platform that can be beneficial to both advertisers and consumers by considering a method for achieving optimal target advertising effects while utilizing the external display of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s an advertising exposure area.
본 발명은 디지털 타겟 광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광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잠재적 소비자의 관심을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광고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최근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 발전에 힘입어 급성장 중인 차량 호출 서비스와 타겟 광고를 접목시키는 방안에 주목하였다.This invention proposes an alternative for increasing ad conversion rates, a key element of digital targeted advertising. As previously discussed, increasing ad conversion rates requires rationally analyzing potential consumers' interests and selectively displaying ads that capture their attention. Therefore, this invention focuses on combining targeted advertising with ride-hailing services, which have been rapidly growing thanks to recent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IT).
즉,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활용한 타겟 광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기가 가진 유무선 액세스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맞춤형 디지털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안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argeted advertising utilizing a vehicle call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digital advertising to passengers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by utilizing wired and wireless access functions of terminals such as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전부나 일부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에 통합되는 차량 호출 서비스에 대해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igned to solve all or part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efore specifically mentioning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e will first examine the vehicle call service integrated into the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호출 서비스란 차량으로 어딘가 이동하고자 하는 승객과, 해당 승객이 위치한 지역에서 개인 차량 혹은 업무용 택시를 운전하는 운전자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현재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차량 호출 서비스용 앱(App, Application)을 설치하고 승객 계정 혹은 운전자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 곧바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A ride-hailing service connects passengers seeking transportation with drivers operating personal vehicles or commercial taxis in the passenger's area. With advanc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phones, ride-hailing services are now readily available simply by installing a ride-hailing app on their smartphone and logging in with a passenger or driver account.
승객 입장에서는, 당장 이용해야 할 차량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경우에도 택시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방문형(Door-to-door) 차량 이동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운전자 입장에서는, 고객을 찾기 위해 도로의 어딘가에서 대기하거나 막연히 주행해야 하는 부담을 줄이면서도 가격 경쟁력 있는 차량 이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는 대중 교통이나 자가용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혁신적인 교통 수단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From the passenger's perspective, they can receive door-to-door car transportation services without the hassle of having to find a taxi even if they don't have a car they need right away. From the driver's perspective, they can provide competitively priced car transportation services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having to wait somewhere on the road or drive around aimlessly to find customers. Therefore, car-hailing service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an innov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or private cars.
더 나아가, 승객이나 운전자가 서로에 의해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경우를 적절하게 통제하기 위한 수단도 마련되고 있다. 예컨대 승객과 운전자 모두, 차량 이동(이하 "운행" 혹은 "여정" 등의 표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함) 서비스가 완료된 후 해당 앱을 통하여 특정 운전자에게 혹은 특정 승객에게 만족도 점수(별점, Rating)를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잘 모르는 운전자와 승객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이나 범죄 가능성, 혹은 사생활 침해 문제 등을 사전에 예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Furthermore, measures are being put in place to appropriately control situations where passengers or drivers experience inconvenience due to each other. For example, by allowing both passengers and drivers to provide satisfaction scores (star ratings) to specific drivers or passengers through the app after a vehicle ride (hereinafter, terms such as "operation" or "journey" are used interchangeably) is completed, efforts are being made to proactively prevent friction, potential crimes, and privacy violations that may arise between drivers and passeng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each other.
일반적으로 승객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용할 수 있다. 우선, ⅰ)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 전용 앱을 다운로드받거나, 혹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웹 사이트에 인터넷으로 접속해서 사용자 계정(Account)을 생성한다. 이때, 향후 요금 결제에 사용할 신용카드 정보 등을 미리 입력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ⅱ) 계정을 생성한 뒤에는 자신의 스마트폰의 위치를 앱이 추적할 수 있도록 사용자(즉, 승객)가 권한을 부여하고, 그때부터 사용자는 앱을 실행해서 행선지를 입력하여 차량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ⅲ) 승객이 차량을 호출한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 회사가 정한 소정의 규칙에 따라, 예컨대 현재 승객이 있는 위치에서 호출 서비스의 수요가 얼마나 많은지(이에 따라 승객이 지불해야 하는 요금이 상승 혹은 하락할 수 있음), 현재 운전자와 승객과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거리가 너무 먼 운전자의 경우, 승객의 대기 시간이 길어져서 배차에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음), 제시된 요금이 운전자로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인지(제시된 요금을 승객 혹은 운전자가 거절할 경우, 배차가 성립되지 않음) 여부 등에 따라, 운전자와 승객의 합의 하에 배차가 성립되고, 배차 성공 여부가 승객 및 운전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통지된다. ⅳ) 이후 승객은 앱을 실행했던 위치, 혹은 앱 내 운전자와의 채팅 등을 통해 서로 합의된 위치에서 운전자의 차량이 도착할 때까지 대기하고, ⅴ) 차량 도착 시, 승객은 탑승하려는 차량이 자신이 호출한 차량이 맞는지 여부를 예컨대 배차된 차량의 번호판 확인 등을 통해 판단한 뒤, 차량에 탑승한다. ⅵ) 행선지까지 주행이 끝나면, 승객은 요금을 정산하고 하차한 뒤, 이번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해 준 운전자에 대한 만족도(예컨대, 별점 등)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Typically, passengers can use ride-hailing service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As mentioned above, they either download a dedicated app on their smartphone or create a user account by accessing the ride-hailing service provider's website online. At this time, they can also enter credit card information, which will be used for future fare payments, in advance. ii) After creating an account, the user (i.e., the passenger) grants permission for the app to track the location of their smartphone. From then on, the user can launch the app, enter a destination, and summon a ride. iii) When a passenger calls for a vehicle, a vehicle dispatch is established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based on the rules set by the vehicle dispatch service company, such as how much demand there is for the call service at the passenger's current location (which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fare paid by the passenger),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if the driver is too far away, the passenger's waiting time may be long, making it more likely that the dispatch will not be successful), and whether the proposed fare is acceptable to the driver (if the passenger or driver refuses the proposed fare, the dispatch will not be established). iv) Afterwards, the passenger waits for the driver's vehicle to arrive at a location agreed upon through the location where the app was launched or through a chat with the driver within the app. v) When the vehicle arrives, the passenger checks whether the vehicle they want to board is the vehicle they called, for example by checking the license plate number of the dispatched vehicle, and then boards the vehicle. ⅵ) After driving to the destination, the passenger can pay the fare, get off the vehicle, and then decide on a satisfaction score (e.g., star rating) for the driver who provided the car call service.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운전자는, 대체로 차량 호출 서비스 회사가 정한 운전자 방침, 예컨대 운전자의 연령 제한, 면허 요건 내지 범죄 경력 조회 등을 통과해야 운전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차량 호출 서비스 회사가 정한 차량 방침, 예컨대 차량의 연식이나 크기, 자동차보험의 가입 여부 및 보험 보장 한도 등의 조건까지 만족시켜야 운전자로서 차량 호출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Drivers seeking to provide ride-hailing services typically must meet the ride-hailing service company's driver policies, such as age restrictions, license requirements, and criminal background checks, before creating a driver account. Furthermore, drivers must meet the company's vehicle policies, such as vehicle age and size, auto insurance status, and insurance coverage limits, to register as a driver with the ride-hailing service.
위와 같은 차량 호출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타겟 광고 플랫폼으로서 활용 가능하다.The above car-hailing service can be utilized as a target advertising platform in various way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 및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맞춤형 광고를 승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서비스 서버가 승객 단말기 혹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에 관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 차량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을 승인받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이 제시된다.Firs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passenger with a customized advertisement in a vehicle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and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receives a service acceptance message regarding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from a passenger terminal or a driver terminal and determines a dispatched vehicle;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ispatch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receives approval from the driver terminal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방법의 경우,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없는 오류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이 거절됨을 통지하며, 더 나아가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이외에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a target adverti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rmines, via the driver's smart device or directly from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whethe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 device state capable of displaying the selected advertisement; and, if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n error state i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cannot be displayed, notifies the driver terminal that the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is rejected, and further,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 addition to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방법의 경우,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승객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승객 단말기가 상기 노출된 광고의 광고주에게 물리적으로 방문하거나 방문 및 구매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가 방문 혹은 방문 및 구매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소정의 광고수당 할증율에 따라 광고비를 추가로 지급하고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a target advertising method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step of detecting, through a passenger terminal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whether the passenger terminal physically visits or visits and purchases the advertiser of the displayed advertisement; and, if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cts that the passenger terminal has visited or visited and purchased, a step of additionally paying and settling an advertising fee to the driv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surcharge rate.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방법의 경우, 상기 운전자가 결정하는 광고 설정 정보는, 상기 선택된 광고가 노출되는 기기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추가로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선택된 광고가 상기 목적지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인지 여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target adverti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whether a device o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exist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whether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an advertisement ordered from an advertiser physically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selected advertisement.
한편, 본 발명의 제 5 측면은 스마트 기기 및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맞춤형 광고를 승객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를 노출할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가능한 운전자 단말기 및 광고비 지급 및 정산을 위한 운전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클라이언트;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에 따라 차량 호출 요청을 하되, 승객의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승객의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는 승객 단말기 및 승객의 속성 정보가 포함된 승객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클라이언트;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통해 노출될 광고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미리 정해진 광고비 요율에 동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광고주 클라이언트; 및 상기 운전자 클라이언트, 상기 승객 클라이언트 및 상기 광고주 클라이언트와 배차 차량의 확정 및 광고비 정산을 위하여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운전자의 계정 정보, 상기 승객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이 제시된다.Meanwhile,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to passengers in a vehicle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and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More specifically, the system comprises: a driver client includ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a driver terminal capable of linking with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driver account information for payment and settlement of advertisement fees; a passenger client including a passenger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passenge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feedback on displayed advertisements, and passenger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for making a vehicle call request according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 advertiser client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transmitting a consent message for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fee rate i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is propo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river client, the passenger client, and the advertiser client via wired or wirelessly to confirm dispatched vehicles and settle advertising fees, stores and manages the driver's account information, the passenger's account information, and the data communicated via wired or wirelessly,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제 6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만약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없는 오류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이 거절됨을 통지하는 한편,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이외에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rmines, via the driver's smart device or directly from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whethe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 device state capable of displaying the selected advertisement, and if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n error state i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cannot be displayed, notifies the driver terminal that the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is rejected, while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 addition to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본 발명의 제 7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승객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승객 단말기가 상기 노출된 광고의 광고주에게 물리적으로 방문하거나 방문 및 구매하는지 여부를 추적하여 검출하고, 상기 승객 단말기가 방문 혹은 방문 및 구매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소정의 광고수당 할증율에 따라 광고비를 추가로 지급하고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cks and detects, through a passenger terminal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whether the passenger terminal physically visits or visits and purchases the advertiser of the displayed advertisement,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passenger terminal has visited or visited and purchased, it additionally pays and settles the advertising fee to the driv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surcharge rate.
본 발명의 제 8 측면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결정하는 광고 설정 정보는, 상기 선택된 광고가 노출되는 기기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추가로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선택된 광고가 상기 목적지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인지 여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whether a device o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exist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whether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an advertisement ordered from an advertiser physically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selected advertisement.
끝으로 본 발명의 제 9 측면은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에 탑재되고, 컴퓨터로 판독 및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에 관한 발명이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상기 명령어는,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승객 단말기 혹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에 관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확정하는 명령어;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 차량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을 승인받는 명령어; 및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그리고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stores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computer-readable and executable commands. The computer program comprises commands for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receive a service acceptance message regarding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from a passenger terminal or a driver terminal and determine a dispatched vehicle; commands for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atch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and to receive approval for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to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from the driver terminal; and commands for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select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destination information,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and to transmit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우선,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자신이 탑승하게 될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시각적으로 주목할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더 나아가, 차량의 지붕 등 적당한 위치에 차량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고 이를 온라인 제어 플랫폼과 연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점에 착안하여, 기존의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효율적인 타겟 광고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passengers using ride-hailing services will visually focus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they will be riding in. Furthermore, b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installing a display device visible from outside the vehicle, such as on the roof, and linking it with an online control platform, it was determined that an efficient targeted advertising platform could be implemented without significantly altering the existing ride-hailing service system.
물론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가 장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차량 호출 서비스에 운전자로서 참여 중인 경우라면, 차량 호출 서비스가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이 위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서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is often installed by the vehicle owner. However, if you participate as a driver in a ride-hailing service, you can expect greater revenue as a driver by allowing the advertising platform provided by the ride-hailing service to utilize the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입장에서도 자신이 호출한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자신의 출발지, 목적지 혹은 자신에 관한 다양한 특성 정보(예컨대, 연령, 직업, 취미 등)에 부합하는 광고가 노출될 경우, 해당 광고는 차량 호출 서비스의 승객에게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광고주 입장에서도, 승객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광고를 통해 알게 된 출발지나 목적지 주변의 매장 정보 혹은 승객의 특성에 따른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광고가 고객에 대한 실질적인 노출, 더 나아가서는 매출로까지 이어질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assenger's perspective, if an advertisement matching the passenger's departure point, destination, or various characteristics (e.g., age, occupation, hobbies, et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they have summoned, the advertisement can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assengers of the ride-hailing service. From the advertiser's perspective, by providing advertisements tailored to the passenger's characteristics or store information around the departure point or destination discovered through advertisements while using the ride-hailing service, the advertisements can be expected to lead to actual exposure to customers and even sales.
특히 본 발명은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광고 노출이 운전자 차량에서 이루어지지만, 어떤 광고를 이번 운행에 출력할 것인지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담당하도록 하고, 대신에 운전자에게는 예컨대 운전자가 선호하지 않는 광고가 자신의 차량에서 출력되는 일이 없도록 혹은 그 반대로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도, 광고를 촉진시켜주는 운전자의 의사가 광고의 선별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dvertisement exposur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o be performed in the driver's vehicle, but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ich advertisement to display for the current trip is handled by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instead, the driver is given the authority to control, for example, whether advertisements that the driver does not prefer are displayed in his or her vehicle or vice versa,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argeted advertisements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while allowing the driver's intention to promote advertisements to be reflected in the advertisement selection process.
또한, 광고가 노출되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를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측에서 일일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고를 노출할 수 있도록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만 풀(Pull) 혹은 푸쉬(Push) 방식으로 확인하고, 광고 노출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광고 누출을 거절하여 광고주의 광고비가 낭비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r call service server cannot individually check whether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on which the advertisement is displayed is operating normally, the car call service server only checks whether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is operating normally to display the advertisement in a pull or push manner,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advertisement display is not possible, the advertisement leakage is rejected so that the advertiser's advertising fee is not wasted.
나아가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하는 경우, 승객이 배차 차량에 승차하기 일정 시간 이전 혹은 하차한 이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승객의 스마트 기기를 통해 광고 노출이 실제 구매 행위로까지 이어지는지 여부까지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 경우 광고주에게는 더 높은 광고비를 요구할 정당한 근거가 생기는 셈이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더 높아지는 광고비를 운전자에게 전부나 일부 환원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에 운전자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tracking whether advertisements displayed on a passenger's smart device lead to actual purchases, eve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or after boarding a dispatched vehicle, if the passenger consents to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This, of course, provides advertisers with a legitimate basis to demand higher advertising fees, and the ride-hailing service server returns all or part of these higher fees to the driver, encouraging driv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argeted advertising through ride-hailing services.
참고로,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따라 운전자가 결정할 수 있는 광고 설정 정보는, 선택된 광고가 노출되는 기기가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추가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객이 차량에 탑승한 이후에도 차량 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추가적인 광고 노출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을 통해 노출되는 광고가 목적지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인지 여부는 물론이고, 선택된 광고의 노출 시간 등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고주 외에 운전자까지 광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독특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For reference, the advertising setting information that the driver can determ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may include whether a device other tha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o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exists, thereby enabling additional advertisement exposure through the in-vehicle display device even after the passenger has boarded the vehicle.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determine not only whether the advertisement displayed through his or her vehicle is an advertisement commissioned by an advertiser physically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but also the exposure time of the selected advertisement, etc.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a unique system can be implemented that encourages not only the advertiser but also the driver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advertisement conversion 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있어서 운전자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타겟 광고가 노출되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채택 가능한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들과 서버가 연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타겟 광고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되는 디지털 타겟 광고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운전자 설정 정보에 의해 타겟 광고가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서 추가로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승객의 스마트폰에서 구현할 수 있는 차량 호출 서비스 앱의 타겟 광고용 UI(User Interface)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installed in a driver's vehicle and on which a target advertisement is displayed in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linking client devices and a server 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system that can be adop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emplary database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performing targeted advertising in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digital target advertisement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arget advertisement is additionally output on an in-vehicle display based on driver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UI (User Interface) for targeted advertising of a vehicle call service app that can be implemented on a passenger's smartph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이란 터치 스크린이나 전자 펜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갖춘 모바일 전화기를 의미한다. 주의할 점은, 스마트 패드(Smart Pad)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심지어 랩탑(Laptop) 컴퓨터 조차도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고 차량 호출 서비스에 이용 가능한 정도의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소위 "스마트 기기"라면, 해당 전자기기의 카테고리 분류나 모델 명칭이 설령 스마트폰이 아니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마트 기기의 범주에는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되, 청구범위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포괄하는 더욱 광범위한 명칭인 "단말기"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refers to a mobile phone that supports user input using a touch screen or electronic pen, has Internet access, and has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downloading and executing applic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many smart pad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s), and even laptop computers are equipped with all the functions that can be considered smart phones, any so-called "smart device" that can download and execute a car-hailing service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level of mobility convenience that allows for car-hailing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included in the scope of smart device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or model nam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a smart phon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primarily use the term "smart phone" for convenience, but the claims will use the term "terminal," a broader term encompassing smart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있어서 운전자 차량에 탑재 가능하고 타겟 광고가 노출되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that can be installed in a driver's vehicle and on which a target advertisement is displayed in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는, 운전자 차량(100)의 지붕 혹은 차량 앞뒤의 유리 등 적당한 위치에, 도 1과 같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 1과 같은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차량 외장형 LCD(Liquid Crystal Display) 보드(Outdoor Car Top LCD Board) 혹은 택시 LED(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등의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온라인 매장 등을 통해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호칭하기로 하지만, 청구범위에서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통일해서 사용하기로 한다.The target advertising service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n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on an appropriate location, such as the roof of the driver's vehicle (100) or the front and rear windows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1. The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110) as shown in FIG. 1 is sold under the names of an external vehicle LCD (Liquid Crystal Display) board (Outdoor Car Top LCD Board) or a taxi LED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can be easily obtained through online stores, etc. For convenience, the display device (110) as shown in FIG. 1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a "display device" or a "vehicle display device," but in the claims, the term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will be used uniformly.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자의 차량(100)에 탑재됨을 전제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디스플레이 화면(111)을 포함하는데, 도 1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화면(111)은 예컨대 차량의 운전석 방향과 조수석 방향 양면으로 2개 혹은 그 이상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후술하겠지만,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에 둘 이상의 상업용 타겟 광고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화면 분할(Partitioning)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device (110) is mounted on a vehicle (100) of a driver providing a vehicle call service. The display device (110) includes a display screen (111). Although not explicitly illustrated in FIG. 1, the display screen (111) may be installed on two or more surfaces, for example, on both the driver's seat and passenger seat sides of the vehicle. As will be described below, it is also possible to partition the screen so that two or more commercial target advertisements can be displayed simultaneously on a single display screen (111).
참고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력과 관련해서는, 예컨대 차량 내부의 12V 직류 전원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파워 케이블(Power Cable)로 연결해서 직접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충전용 배터리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설치 방법의 경우에도, 드릴 등을 이용하여 차량(100)의 지붕 등에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간편 설치용 캐리어(Carrier, 미도시)를 예컨대 차량의 지붕에 미리 고정 설치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해당 캐리어에 조립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자체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예컨대 4G(Fourth Generation of Broadband Cellular Network)나 WIFI(Wireless Fidelity, IEEE 802.11 표준에 기초한 다양한 버전의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포함) 등의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된 경우도 있을 수 있다.For reference, with respect to the power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for example,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a 12V DC power source inside the vehicle using a power cable to directly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 or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may be built into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display device (110) to the roof of the vehicle (100) using a drill, etc., or it is also possible to pre-fix and install a carrier (not shown) for easy install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for example, and then assemble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carrier.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may have a built-in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for example, 4G (Fourth Generation of Broadband Cellular Network) or WIFI (Wireless Fidelity, including various versions of wireless network protocols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본 발명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운전자의 스마트폰(200)과 연동 가능한 이상,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설치 방법이나 전원 공급 방식, GPS 자체 탑재 여부 등에는 구애받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승객 스마트폰(300, 혹은 승객 단말기)이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승객의 특성 정보나 목적지 설정 정보 등을 직접 전송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후술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배차 차량(100)으로 디지털 광고물을 전송하는데 있어서 운전자 스마트폰(200, 혹은 운전자 단말기)을 경유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도 1에서는 운전자 스마트폰(200), 승객 스마트폰(300) 및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와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상호 무선 통신으로 연동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linked with the driver's smartphone (200), the installation method, power supply method, whether or not GPS is installed, etc. of the display device (110) are not limited. However, in order to optimize the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or passenger terminal) directly transmits passeng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r destination set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described below does not go through the driver's smartphone (200, or driver terminal) when transmitting digital advertisements to the dispatch vehicle (100). Therefore, FIG. 1 illustrates an exemplary configuration in which a driver's smartphone (200), a passenger's smartphone (300), a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and an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110) can be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스마트 제어 방식과 전통적인 제어 방식 2가지로 나뉜다. 먼저 스마트 제어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OS(Operating System)가 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등과 같이 스마트폰이나 PC(Personal Computer)와 쉽게 호환되는 운영 체제인 경우 모바일 혹은 온라인 제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노출될 컨텐츠를 운전자가 자유롭게 설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되는 내용에 관한 제어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주간 및 야간 밝기 설정, 특정한 시간 주기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되도록 하는 설정, 디스플레이 화면(111)의 화소(Pixel) 설정,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온/오프 설정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전통적인 제어 방식은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장치에 디지털 컨텐츠를 미리 저장해 놓고, USB에 저장된 컨텐츠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 상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두 방식 중 어느 것이든,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표시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텍스트(Text), 사진(Pictures), 동영상(Animation) 등의 다양한 포맷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a smart control method and a traditional control method. First, the smart control method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he driver freely sets the conten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0) by using a mobile or online control platform when the OS (Operating System) of the display device (110) is an operating system that is easily compatible with a smartphone or a personal computer (PC), such as Android. This enables a wide range of control, including not only the control of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0), but also the setting of the daytime and nighttim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110), the setting of displaying various contents on the display device (110)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cycle, the pixel setting of the display screen (111), and the on/off setting of the display device (110). Next, the traditional control method is a method in which digital contents are stored in advance on a USB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the contents stored on the USB are sequentially 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0) over time. In either method, the digital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10) can be in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pictures, and animation.
본 발명의 경우,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에 의해 최종 선택되는 디지털 타겟 광고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타겟 광고는 운전자가 일정 부분 그 노출 내용이나 방식을 통제할 수 있으나, 종국적으로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에 의해 그 내용이 결정되고,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로부터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을 경유하여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마트 제어 방식이 적합하고, 전통적인 제어 방식은 실시간 디스플레이 제어를 요구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소유자가 차량(100)의 운전자인 경우, 운전자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에게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대한 스마트 제어 권한을 위임하는 것이 효율적인 타겟 광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with the attached drawings, the core is to display a digital target advertisement finally selected by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on the display device (110). Here, although the driver can control the content or method of displaying the digital target advertisement to some extent, the content is ultimately determined by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nd is unilaterally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to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via the driver's smartphone (200). Therefore, a smart control method is suitable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ditional control method does no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call service that requires real-time display control. In addition, if the owner of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is the driver of the vehicle (100), the driver may need to delegate smart control authority fo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in order to build an efficient target advertisement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채택 가능한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600)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장치들과 서버가 연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method of linking client devices and a server 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600)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system that can be adop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운전자의 스마트폰(200) 및 승객의 스마트폰(300)과 상호 통신한다. 즉, 운전자의 차량(100,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포함)과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을 통틀어 운전자 클라이언트(Client)라 부를 수 있고, 승객의 스마트폰(300)은 승객 클라이언트가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500)로부터 디지털 광고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차량 호출 서비스가 있을 때 해당 운행의 출발지, 목적지 혹은 승객의 특성 정보 등에 기초하여 최적의 전환율을 기대할 수 있는 광고를 선택한다. 따라서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500, 스마트폰이나 PC 등 기종에 관계 없음)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600)에서 광고주 클라이언트가 된다.As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1 above,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driver's smartphone (200) and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via wired or wireless Internet. That is, the driver's vehicle (100,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110)) and the driver's smartphone (20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river client, and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becomes a passenger client.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receives and stores digital advertisements from a plurality of advertiser terminals (500), and selects an advertisement that can expect an optimal conversion rate based on the departure point, destination, or passeng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rip when a vehicle call service is provided. Therefore, the plurality of advertiser terminals (500, regardless of the type, such as a smartphone or a PC) become advertiser clients in the target advertising system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은 전술한 스마트 제어 방식을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스마트 제어를 담당하는 플랫폼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제공한다. 다만, 승객의 스마트폰(300)으로부터 전송된 승객 속성이나 여정 정보, 기타 결제 정보를 운전자가 직접 액세스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운전자로부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제어 권한을 넘겨 받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4G 혹은 WIFI 등의 무선 통신으로 상호 연동 가능한 상태라면, 배차가 확정된 운전자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디지털 타겟 광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river's smartphone (200) can access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through the aforementioned smart control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form responsible for the smart control of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provided by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However, since it may not be desirable for the driver to directly access passenger attributes, itinerary information, or other pay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a procedure may be required fo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o transfer control authority of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from the drive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can control the display of digital target advertisements on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of the driver whose dispatch has been confirmed, as long as the driver's smartphone (200) is capable of interoperating with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4G or WIFI, as illustrated in FIG. 2.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는 운전자와 승객이라는 2개의 클라이언트를 상대로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차량 호출 서비스 자체에서는 광고주 클라이언트가 존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차량 호출 서비스 자체만 놓고 본다면, 공급 서비스(Supply Service)와 수요 서비스(Demand Service)의 2가지 서비스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reference, the car-hail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serve two clients: drivers and passengers. In other words, the car-hailing service itself does not require an advertising client. Therefore, considering the car-hailing service itself, it can be understood as consisting of two services: a supply service and a demand service.
이중에서 먼저 공급 서비스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에 참여하는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위도와 경도로 이루어짐)를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로 예컨대 5초마다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차량 호출 서비스를 공급할 차량들을 거의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공급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속성(Attribute) 정보를 함께 관리하는데, 이러한 속성 정보로는 차량의 모델명(승객에게 어떤 차량 모델이 배차되는지 선택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 좌석 수(동승자가 다수인 경우에 대비), 차량의 타입(승합차, 승용차, 스포츠카 등), 유아용 좌석이 존재하는지 여부(유아 승객이 존재할 경우에 대비), 장애인용 휠체어 좌석을 지원하는지 여부(휠체어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에 배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 등이 포함된다.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경우 차량의 속성 정보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되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라는 속성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타겟 광고의 노출을 위한 공간이기 때문에,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정상 동작 중인지 여부를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푸쉬(Push) 방식이든 풀(Pull) 방식이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Among these, the first supply service is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consisting of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driver's vehicle (100) participating in the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for example, every 5 seconds, thereby allowing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o track the vehicles to be provided with the vehicle call service in almost real time.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manag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gether when performing the supply service, and such attribute information includes the vehicle model name (to provide passengers with the opportunity to select which vehicle model is dispatched), the number of seats (in case there are multiple passengers), the type of vehicle (van, passenger car, sports car, etc.), whether a child seat is available (in case there are infant passengers), and whether a wheelchair seat for the disabled is supported (to prevent wheelchair users from being excluded from using the service). Importantly,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 "whether a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and operating normally" must be added to the vehicle attribute informa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for displaying target advertisements,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must be able to check in real time whethe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is operating normally, whether in a push or pull manner.
다음으로 수요 서비스는 후술하는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이 있을 때, 그 승객의 스마트폰(300)을 통해 승객의 현재 GPS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승객이 동승자를 몇 명이나 입력하였는지, 휠체어 지원 차량을 요청하였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추적하는 것 역시 수요 서비스에 포함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초점을 맞추어야 할 부분은, 승객이 원하는 출발지 좌표, 목적지 좌표, 그리고 승객이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승객의 각종 속성 정보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Next, the demand service refers to tracking the passenger's current GPS location via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when the passenger requests a ride-hailing service, as described below. Furthermore, tracking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passengers entered by the passenger and whether the passenger requested a wheelchair-accessible vehicle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demand service. Of course,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ide-hailing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must manage the passenger's desired departure point coordinates, destination coordinates, and various attributes of the passenger for which the passenger consented to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60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베이스(450, Database; DB)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450)는 클라우드 서버인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600, 데이터베이스 포함)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방식으로 동작하는바, 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database (450, Database; DB) configuration that can be used in a target advertising system (600) utilizing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450) may be configured as part of a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which is a cloud server. The target advertising system (600, including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 cloud computing manner,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간단히 말해 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동작, 소프트웨어, 분석 및 지능형 서비스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대체적으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그리고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의 네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된다.Cloud computing, simply put, refers to the provision of computing services, including servers, databases, network operations, software, analytics, and intelligent services, over the Internet. Cloud computing services are broadly categorized into four categorie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Platform as a Service (PaaS), Software as a Service (SaaS), and Serverless Computing.
이 중에서 IaaS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를 제공하려는 사업자가 IT 인프라(예컨대, 서버, 가상머신, 저장공간, 네트워크, 운영 체제 등)를 클라우드 제공 업체로부터 빌려서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이용하는 방식인데,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는 IaaS가 가장 기초적인 타입의 클라우드 방식이라 볼 수 있다. PaaS는 개발자들이 모바일 앱이나 웹 서비스 등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사업자가 개발에 필요한 IT 인프라를 설정하거나 관리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도록 개발이나 테스트, 서비스 배포 혹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의 관리에 필요한 만큼의 IT 인프라 환경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말한다. SaaS는 사업자가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업체에 소정의 가입비를 지불하면,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업체가 인터넷으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사업장에게 제공해 주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나 보안 패치 작업 등의 관리를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업체가 하는 방식이다. 서버리스 컴퓨팅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가 서버 관리를 맡아서 해주기 때문에, IT 인프라 자원이 더 필요한 특별한 이벤트가 있을 때에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IT 자원을 지원받아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를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운영할 경우, 전술한 네 가지 카테고리 중 어느 방식으로 구현하더라도 본 발명의 핵심을 벗어나지는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Among these, IaaS is a method in which a business that wants to provide a ride-hailing service or targeted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nts IT infrastructure (e.g., servers, virtual machines, storage space, networks, operating systems, etc.) from a cloud provider and uses it for a certain fee. In the field of cloud computing, IaaS can be considered the most basic type of cloud method. PaaS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developers to quickly implement mobile apps or web services. It refers to a cloud computing service that provides the IT infrastructure environment necessary for development, testing, service distribution, or software application management so that the business does not have to worry about setting up or managing the IT infrastructure required for development. SaaS is a method in which a business pays a certain subscription fee to a cloud computing provider, and the cloud computing provider provides software applications to the business over the Internet. The cloud computing provider also manages software upgrades and security patches. Serverless computing is a method in which the cloud service provider takes care of server management, so IT resources are supported by the cloud service provider only when there is a special event that requires more IT infrastructure resource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re operated in a cloud computing manner, it is evaluated that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viated from regardless of which of the four categorie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용 데이터베이스(450)는 승객 데이터베이스(451),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 차량 데이터베이스(453), 운행(Trip) 데이터베이스(454), 결제 데이터베이스(455), 별점 데이터베이스(456), 그리고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457)으로 구성된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database (450) for the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ssenger database (451), a driver database (452), a vehicle database (453), a trip database (454), a payment database (455), a star rating database (456), and a vehicle advertisement database (457).
승객 데이터베이스(4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클라이언트마다 할당된 예컨대 128비트로 구성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정보, 승객의 이름과 승객이 차량 호출 서비스 계정에 등록한 이메일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승객의 이름과 이메일은 가변길이 문자열 필드(VARCHAR, Variable Character Field)의 형식으로 DB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가변길이 문자열 필드에 들어갈 수 있는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passenger database (451), as illustrated in FIG. 3,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128-bit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assigned to each passenger client, the passenger's name, and the e-mail address registered by the passenger in the vehicle call service account. The passenger's name and e-mail address are stored in the DB in the form of a variable-length character string field (VARCHAR, Variable Character Field), and it is also possible to limit the number of bytes of data that can be entered into the variable-length character string field, if necessary.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는 운전자마다 할당된 UUID 정보, 운전자의 이름, 운전자의 이메일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는 UUID 형식으로 만들어진 차량 ID 및 위도와 경도로 이루어진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가 공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는 운전자의 생년월일(Date of Birth, DOB)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가 제공되는 지역의 교통 법규에 따라 서로 다른 운전자 연령 제한 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The driver database (452) includes UUID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driver, the driver's name, and the driver's email address. Additionally, the driver database (452) includes a vehicle ID in UUID format a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consisting of latitude and longitude, as described above in FIG. 2, because the car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ly service. Furthermore, the driver database (452)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river's date of birth (DOB), which exists because there may be different driver age restrictions, etc., depending on the traffic laws of the region where the car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되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도 포함해야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운전자 차량(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광고 노출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며, 광고 노출 영역이 정상 동작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자체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을 경유하여 혹은 직접 통신하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온(On) 상태이고 운전자 스마트폰(200)과 정상적으로 연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예컨대 1분마다 주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만약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스마트폰(200) 간의 연동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운전자 스마트폰(200)으로 해당 오류를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되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오류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타겟 광고를 위해 바람직하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driver database (45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also include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and operating normally." This is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isplay device (110) of the driver's vehicle (100) as an advertisement exposure area, and if the advertisement exposure area is not operating normally, the advertisement its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can periodically check, for example, every minute, whether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turned on and normally linked with the driver's smartphone (200) via or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driver's smartphone (200). If there is an error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and the smartphone (200), it is desirable fo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o transmit a message notifying the error to the driver's smartphone (200), thereby inducing the driver to update information on "whether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and operating normally" from an error state to a normal state, for smooth target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 데이터베이스(453)는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에 부속하는 데이터의 집합으로서, 운전자의 UUID 정보는 물론이고, 운전자 차량(100)의 타입에 관한 정보, 차량 등록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참고로 차량(100)의 타입(승용차, 승합차 등의 구분, 혹은 승객이 평균 택시 가격보다 더 높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고급형 차량인지 여부 등)은 미리 정해진 상수들의 집합인 ENUM 타입(Enumerated Type, 열거형)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차량 등록번호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인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가변길이 문자열 필드로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에 포함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설치되어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가 이 차량 데이터베이스(453)에서 관리되도록 설계 변경하여도 무방하다.The vehicle database (453) is a set of data attached to the driver database (452), and includes not only the driver's UUID information, but also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driver's vehicle (100), vehicle registration number, etc. For reference, the type of the vehicle (100) (classification as passenger car, van, etc., or whether it is a luxury vehicle that requires passengers to pay a higher fare than the average taxi price, etc.) can be databased as an ENUM type (Enumerated Type), which is a set of predetermined constants, and the vehicle registration number can be created as a variable-length string field considering that it is often a combination of numbers and letters. The design may be changed so that information regarding "whether the vehic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and operating normally" included in the driver database (452) is managed in the vehicle database (453).
운행 데이터베이스(454)는 모든 운행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UUID 정보, 해당 운행 서비스를 제공한 운전자의 UUID 정보, 해당 운행 서비스를 제공받은 승객의 UUID 정보 등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도 및 경도로 이루어진 출발지/도착지 정보와 UUID 타입으로 생성되는 요금 결제 정보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매 운행이 있을 때마다 어떤 광고가 어떤 장치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출력되었는지 등을 기록하기 위해, 광고 내역 UUID가 매 차량 호출 운행마다 생성되어 운행 데이터베이스(454)에서 관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통해 승객이 차량에 승차하기 전부터 주행 중, 그리고 때로는 하차한 이후까지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타겟 광고는 차량 호출 서비스에 따른 배차 및 운행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광고 내역 UUID는 운행 데이터베이스(454)에서 생성 및 관리되며, 필요에 따라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457)에서 광고 내역 UUID가 참조될 수 있다.The operation database (454) includes UUID information uniquely assigned to each operation, UUID information of the driver who provided the operation service, UUID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who received the operation service, etc., and as illustrated in FIG. 3, it includes departure/destination information in latitude and longitude and fare payment information generated as a UUID type. In addition, in order to record which advertisement was displayed on which device and for how long for each operation, an advertisement history UUID is generated for each vehicle call operation and managed in the operation database (454). Since the targeted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fore a passenger boards a vehicle through a vehicle call service, during the operation, and sometimes even after the passenger disembarks, the targeted advertis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upposes dispatching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call service. Therefore, the advertisement history UUID is generated and managed in the operation database (454), and the advertisement history UUID can be referenced in the vehicle advertisement database (457) as needed.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운행 데이터베이스(454)는 미리 정해진 상수들의 집합인 ENUM 타입(Enumerated Type, 열거형)으로 생성되는 운행 상태 정보(해당 운행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었는지 여부, 운행이 배차 후 어떤 사유로 취소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 호출 서비스에 있어서 배차만 이루어졌을 뿐 실제 주행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이 차량 호출을 취소한 경우(고객의 단순 변심 등 사유), 그 배차 및 운행에서 노출되기로 결정된 타겟 광고 역시 집행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배차 취소 여부나 운행 상태는 광고비 정산 시 참조되어야 하는 정보이기도 하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3, the operation database (454) may includ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whether the operation was successfully completed, whether the operation was canceled for some reason after dispatch) generated as an ENUM type (Enumerated Type, enumerated type), which is a set of predetermined constants. That is, in a vehicle call service, if only dispatch has been performed and the actual driving has not occurred at all and the passenger cancels the vehicle call (due to the customer's simple change of heart, etc.), the target advertisement that was decided to be displayed in the dispatch and driving will not be executed either. Therefore, whether dispatch was canceled or the operation status is also information that must be referenced when settling advertising costs.
결제 데이터베이스(455)는 매 결제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UUID 정보, 운행 UUID 정보, 결제 수단, 결제 금액 등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참고로 결제 금액은 부동 소수점 필드(Float Field)로 작성할 수 있다. 참고로 결제 데이터베이스(455)에서 말하는 결제란 차량 호출 서버시를 이용한 승객이 신용카드 등의 결제 수단으로 지불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의 이용 대가이고, 광고주 단말기(500)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간에 이루어지는 광고비 결제 정보는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457)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광고주(500)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사업자(400)에게 광고비를 정산하는 회계 시스템은 본 발명의 본질과 무관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payment database (455) includes UUID information, operation UUID information, payment method, payment amount, etc., which are uniquely assigned to each payment, as illustrated in FIG. 3. For reference, the payment amount can be written as a floating point field. For reference, the payment referred to in the payment database (455) refers to the fee for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that a passenger using the vehicle call server pays for with a payment method such as a credit car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dvertising fee payment information made between the advertiser terminal (500) and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be processed in the vehicle advertising database (457).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unting system for settling the advertising fee from the advertiser (500)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business operator (400) is irrelevant to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별점 데이터베이스(456)는 차량 호출 서비스 종료 후 승객 또는 운전자가 부여하는 별점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매 별점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UUID 정보, 승객의 UUID, 운전자의 UUID, 별점이 매겨진 운행의 UUID, 그리고 별점 및 피드백(Feedback)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참고로 별점 데이터는 도 3에서와 같이 정수(Integer) 필드로 관리할 수도 있고, 예컨대 4.5 식의 별점 제도를 채택한다면 부동 소수점 필드로 관리할 수도 있다. 별점 점수와 함께 고객이 무언가 추가적인 메시지를 남기고 싶어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가변길이 문자열 필드로 구성된 피드백 항목을 별점 데이터베이스(456)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r rating database (456) is a database that manages star rating information provided by passengers or drivers after the end of a car call service, and includes UUID information uniquely provided for each star rating, the passenger's UUID, the driver's UUID, the UUID of the star-rated trip, and star rating and feedback items. For reference, the star rating data can be managed as an integer field as in Fig. 3, or can be managed as a floating point field if a star rating system such as 4.5 is adopted. In case a customer wants to leave an additional message along with the star rat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eedback item composed of a variable-length string field in the star rating database (456).
끝으로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45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 데이터베이스(451),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 및 운행 데이터베이스(454)를 참조한다.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457)에는 광고주(500)로부터 수주하여 본 발명에 따라 타게팅 노출되는 각 광고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UUID를 통해 디지털 광고물을 저장 및 관리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비를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일단 운행 ID가 필요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는 차량 호출 서비스에 따른 각 운행마다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승객 ID는 승객의 현재 위치, 목적지, 기타 속성 정보를 파악하여 맞춤형 광고를 각 운행 및 승객에 적합하도록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고, 운전자 ID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차량 주행 완료 후 운전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보수를 정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에 참여하는 운전자는 차량 호출 서비스 자체를 제공해 준 것에 대한 기본적인 보수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플랫폼에 참여해준 것에 대한 광고 보수를 추가로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광고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광고가 자신의 차량에 노출되도록 노력하게 만드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광고 보수를 지급하는 일종의 급여 시스템은 본 발명의 핵심과 무관하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nally, the vehicle advertisement database (457) references the passenger database (451), the driver database (452), and the operation database (454), as illustrated in FIG. 3. The vehicle advertisement database (457) stores and manages digital advertisements through a unique UUID assigned to each advertisement ordered from an advertiser (500) and targeted for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as described above, a operation ID is required to accurately calculate advertising costs, because target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each oper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call service. The passenger ID is information necessary to identify the passenger's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and other attribute information to select customized advertisements appropriate for each operation and passenger, and the driver ID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to settle the advertising 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river after the vehicle drive is completed.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rs participating in the vehicle call service can expect additional advertising fee for participating in the advertising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basic fee for providing the vehicle call service itself. This could motivate drivers to make efforts to display advertisements in their vehicles that increase conversion rates. However, a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ensation system that compensates drivers for advertising,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here, as this is unrelated to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승객은 예컨대 자신의 스마트폰(300)을 이용하여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로부터 차량 호출 서비스 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승객으로서의 계정을 생성한다. 승객이 계정 생성 시 입력하는 정보들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승객 데이터베이스(451)의 각 필드를 구성하게 된다. 승객과 마찬가지로, 운전자 역시 운전자 계정을 생성하고, 이는 도 3의 운전자 데이터베이스(452)에서 저장 및 관리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앱에 로그인한 승객이 차량 호출 요청을 하게 되면,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승객의 행선지(즉, 목적지) 정보에 기반하여 운행 요금을 예측하고 승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예상되는 요금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행선지까지의 예상 경로(Routing) 및 예상 도착 시간(ETA, Estimated Time of Arrival)까지 승객의 스마트폰(300)으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예컨대 현재 탑승을 원하는 승객의 여정에 관한 정보를 복수의 운전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을 승낙할 수 있는 운전자를 찾아 승객과 운전자를 매칭(즉, 배차 확정)하게 된다. 배차가 확정된 승객은 배차 차량을 탑승한 후 행선지까지 운행이 완료되면 소정의 결제 수단으로 운행 요금을 결제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승객은 이번 운행 서비스를 제공한 운전자 및 차량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평가된 데이터는 도 3의 별점 데이터베이스(456)에서 매 별점마다 고유하게 부여되는 UUID 정보, 승객의 UUID, 운전자의 UUID, 별점이 매겨진 운행의 UUID, 그리고 별점 점수 및 (문장 형식의) 피드백 데이터로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Now, looking at the car call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irst, a passenger downloads and installs a car call service app program from a car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using, for example, his or her own smartphone (300), and creates an account as a passenger. The information entered by the passenger when creating an account configures each field of the passenger database (451) illustrated in FIG. 3 described above. Like the passenger, the driver also creates a driver account, which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river database (452) illustrated in FIG. 3. Next, when a passenger who has logged into the car call service ap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car call request, the car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estimates the fare based on the passenger's destination (i.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stimated fare data to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provide guidance to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on the expected route (Routing) to the destination and the expected time of arrival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Thereafte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ransmits,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journey of a passenger who currently wishes to ride to multiple driver smartphones (200), finds a driver who can accept the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and matches the passenger with the driver (i.e., confirms the dispatch). The passenger whose dispatch has been confirmed will pay the operation fee using a predetermined payment method after boarding the dispatched vehicle and completing the ride to the destination. Additionally, the passenger can evaluate his/her satisfaction with the driver and vehicle that provided the current ride service, and the evaluated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as UUID information uniquely assigned to each star in the star rating database (456) of FIG. 3, the passenger's UUID, the driver's UUID, the UUID of the star-rated ride, and the star rating and feedback data (in sentence forma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타겟 광고가 이루어지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performing targeted advertising in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함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600)은 ⅰ) 운전자의 차량(100,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포함)과 운전자의 스마트폰(200)을 통틀어 호칭할 수 있는 운전자 클라이언트(Client), ⅱ) 승객의 스마트폰(300, 승객 동의 하에 제공되는 승객의 개인정보를 포함)으로 구성되는 승객 클라이언트, ⅲ) 소정의 광고비를 지불하여 본 발명에 따라 승객에게 노출될 광고물을 광고주 단말기(500)를 통해 전송하는 광고주 클라이언트 및 ⅵ) 이들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유무선으로 상호 통신하고 클라우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도 3의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 중에서, 본 발명의 타겟 광고를 수행하는 주체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이다. 그러니까 도 4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의 동작 중 광고물의 수집, 광고물의 타게팅 및 배차 차량으로의 광고물 전송에 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long with FIG. 4, a target advertising system (600)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i) a driver client that can collectively refer to a driver's vehicle (100, including a display device (110)) and the driver's smartphone (200), ii) a passenger client that is configured with a passenger's smartphone (300, including the passenger's personal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passenger's consent), iii) an advertiser client that transmits advertisements to be displayed to passeng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 advertiser terminal (500) by paying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and vi) a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including a database (450) of FIG. 3) that communicates with these multiple clients with or without wires and manages a database in a cloud manner. Among these components, the entity that performs the target adverti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Fig. 4 represents a process for collecting advertisements, targeting advertisements, and transmitting advertisements to dispatched vehicles during the operation of a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도 4를 참조하면,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 및 그에 따른 운전자 매칭이 완료되는 시점에, 스텝 S1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에 의한 광고 요청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프로세스가 이루어진다.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생성하는 광고 요청 신호는 승객의 현재 위치나 출발지, 목적지 및 승객이 정보제공에 동의하여 수집한 승객의 특성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arget adverti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with the generation of an advertisement request signal by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at step S1, when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and the corresponding driver matching are completed. The advertisement request signal generated by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includes the passenger's current location, departure point, destination, and passeng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llected with the passenger's consent to provide information.
스텝 S2에서는, 복수의 광고주 단말기(500)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로 전송한 디지털 광고물이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내 광고 필터(410)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걸러지고, 걸러진 광고물은 이번 광고 요청 신호에 부합할 가능성이 높은 "후보 광고물"로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내 광고 타겟 장치(420)로 보내어진다. 예컨대, 광고 필터(410)는 ⅰ) 이번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는 A 도시가 출발지이고, ⅱ) B 도시의 영화관 부근이 도착지이며, ⅲ) 승객의 연령이 30대이고, ⅵ) B 도시에서 현재 국제 영화제가 개최 중이라는 "문맥(Context) 정보"에 기초하여, A 도시나 B 도시와 거리가 먼 C 도시에 오프라인 매장을 두고 있는 광고주의 광고를 후보 광고물에서 제외할 수 있다.In step S2, digital advertisements transmitted by multiple advertiser terminals (500)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re primarily filtered by an advertisement filter (410) withi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nd the filtered advertisements are sent to the advertisement target device (420) withi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s “candidate advertisements” that are highly likely to match the current advertisement request signal. For example, the advertisement filter (410) may exclude advertisements of advertisers that have offline stores in city C, which is far from city A or city B, from the candidate advertisements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that i) in this vehicle call service, city A is the departure point, ii) the destination is near a movie theater in city B, iii) the passenger is in his or her 30s, and vi)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currently being held in city B.
스텝 S3에서 광고 타겟 장치(420)는 앞서 광고 필터(410)가 수행한 1차적인 광고 후보군 산출 결과를 위 "문맥 정보"에 기초하여 더욱 정교하게 2차 필터링하게 된다. 스텝 S2와 같은 예를 들면, 만약 B 도시 도착지 부근의 X 영화관이 광고주로 참여 중이라면, 그 X 영화관(광고주)이 제공한 광고물이 유력한 광고 후보로서 광고 타겟 장치(420)로 전송될 것이다. 다른 예로서, 만약 최근 30대 직장인을 위한 연금저축 상품이 D 은행(또 다른 광고주)에서 출시된 경우, D 은행의 연금저축 관련된 광고물이 광고 후보가 되도록 광고 타겟 장치(420)가 동작할 수도 있다. 1회의 운행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광고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파악한 문맥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카테고리(예컨대, 영화 광고와 은행 저축상품 광고)에 속하는 복수의 광고물이 이번 여정의 타겟 광고로서 후보가 될 수 있다.In step S3, the advertising target device (420) performs a second, more precise filtering of the primary advertising candidate group calcul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advertising filter (410)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ontextu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a movie theater X near the destination of city B is participating as an advertiser, the advertisement provided by the movie theater X (advertiser) will be transmitted to the advertising target device (420) as a strong advertising candidate. As another example, if a pension savings product for office workers in their 30s has recently been launched by Bank D (another advertiser), the advertising target device (420) may operate so that an advertisement related to Bank D’s pension savings becomes an advertising candidate. Since one or more advertisements may be provided in a single trip, multiple advertisements belonging to different categories (e.g., movie advertisements and bank savings product advertisements) may become candidates as target advertisements for this trip by using the contextual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ar call service and the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스텝 S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광고 타겟 장치(420)에 의해 최종 후보로 선별된 광고의 광고주 단말기(500)에게 광고 입찰이 가능함을 통지하고, 광고주 단말기(500)는 광고 입찰을 실시간으로 제출한다. 스텝 S3와 동일한 예에서, 만약 X 영화관이 마침 광고비를 지급할 여력이 부족하여 광고를 포기할 경우, B 도시 도착지 부근의 Y 영화관과 Z 영화관이 예컨대 광고 5분 노출당 1000원, 광고 5분 노출당 1100원 식의 광고 입찰을 각각 제출할 수 있을 것이다.In step S4,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advertiser terminal (500) of the advertisement selected as the final candidate by the advertisement target device (420) that an advertisement bid is possible, and the advertiser terminal (500) submits an advertisement bid in real time. In the same example as step S3, if movie theater X gives up advertising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pay the advertising fee, movie theaters Y and Z near the destination in city B may each submit an advertisement bid of, for example, 1,000 won per 5 minutes of advertisement exposure and 1,100 won per 5 minutes of advertisement exposure.
스텝 S5에서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의 경매 모듈(430)이 배차 차량에 실제로 노출하게 될 광고를 최종 선정해서 배차 차량(100)으로 전송한다. 스텝 S4와 동일한 예에서, 광고 5분 노출당 1100원의 광고비를 제시한 Z 영화관의 광고물이 최종 낙찰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며, Z 영화관이 준비한 디지털 광고물이 배차 차량(100)의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된다.In step S5, the auction module (430) of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finally selects the advertisement to be actually displayed on the dispatched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dispatched vehicle (100). In the same example as step S4, the advertisement of Movie Theater Z, which offered an advertising fee of 1,100 won per 5 minutes of advertisement exposure, is likely to be ultimately successful, and the digital advertisement prepared by Movie Theater Z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of the dispatched vehicle (100).
끝으로 스텝 S6에서는,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의 광고 반응 추적 및 최적화 모듈(440)이 노출 광고에 대한 승객의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ML) 등의 AI(Artificial Intelligence) 메커니즘에 의해 경매 모듈(430)로 광고 실적을 피드백함으로써, 다음 번 광고에서 경매 모듈(430)이 광고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광고를 최종 선정하도록 한다. 스텝 S5와 동일한 예에서, 만약 B 도시의 도착지와 가장 가까운 영화관이 사실 Y 영화관이었고, 그 때문에 승객은 하차 후 막상 Y 영화관으로 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광고 반응 추적 및 최적화 모듈(440)은 "도착지와 거리가 가까운 영화관을 광고하는 것이 광고비가 100원 더 비싼 영화관 광고주를 선택하는 것보다 더 낫다"는 나름대로의 분석 결과를 경매 모듈(430)에 전송하고, 이후 이번 여정과 동일한 코스로 여정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가 있을 때 가능하면 Y 영화관이 선택되도록 경매 프로세스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하는 경우, 승객이 배차 차량(100)에 승차하기 일정 시간 이전 혹은 하차한 이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승객의 스마트 기기(300)를 통해 누출된 광고 덕분에 실제 구매 행위까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추적할 수 있다. 물론, 타겟 광고에 대한 승객의 반응을 추적할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 및 광고대행 사업자(예컨대, 400)로서는 광고주(500)에게는 더 높은 광고비를 요구할 정당한 근거가 생기는 셈이며,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광고에 대한 승객의 반응을 추적함으로써 광고주(500)로부터 더 많이 징수하는 광고비 중 전부나 일부를 운전자에게 광고 보수로 추가 지급함으로써,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에 운전자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Finally, in step S6, the advertisement response tracking and optimization module (440) of the car-hailing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monitors the passenger's response to the displayed advertisement and feeds back the advertisement performance to the auction module (430) through an AI (Artificial Intelligence) mechanism such as Machine Learning (ML), so that the auction module (430) can finally select an advertisement in a way that can increase the advertisement conversion rate in the next advertisement. In the same example as step S5, if it is confirmed that the closest movie theater to the destination in city B was in fact Movie Y and that the passenger actually headed to Movie Y after getting off, the advertisement response tracking and optimization module (440) can transmit its own analysis result that "advertising a movie theater that is close to the destination is better than selecting an advertiser whose advertisement fee is 100 won more" to the auction module (430), and can adjust the auction process so that Movie Y is selected if possible when a car-hailing service travels the same route as this one. 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ck whether an actual purchase occurred thanks to an advertisement leaked through the passenger's smart device (30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or after the passenger boards the dispatched vehicle (100) if the passenger consents to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when using the car-hailing service. Of course, if the passenger's response to the targeted advertisement is tracked, the car-hailing service and advertising agency (e.g., 400) have a legitimate basis to demand a higher advertising fee from the advertiser (500). In addition, the car-hailing service and the targeted advertisement server (400) track the passenger's response to the advertisement and additionally pay all or part of the advertising fee collected from the advertiser (500) as an advertising fee to the driver, thereby encouraging the driver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argeted advertisements using the car-hailing service.
참고로, 도 4의 광고 반응 추적 및 최적화 모듈(440)이 탑재할 수 있는 AI 소프트웨어는 통상적으로 (ⅰ) 문제 정의(Problem Definition), (ⅱ) 데이터 획득 및 준비(Data Acquisition and Preparation), (ⅲ) 모델 개발 및 트레이닝(Model Development and Training), (ⅳ) 모델 평가 및 세부조정(Model Evaluation and Refinement), (ⅴ) 실 제품에 AI 탑재(Deployment), (ⅵ) 머신 러닝 동작(Machine Learning Operation) 실행 등의 여러 과정을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반복해서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들이 서로 완전히 독립된 것이 아니라 상호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호출 서비스 및 이와 연계된 타겟 광고와 관련된 AI 분석이 물리적으로 어느 한 곳에서만 이루어진다고 한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AI 연산 과정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외부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분산해서 상호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도 4에 도시된 광고 필터(410), 광고 타겟 장치(420), 경매 모듈(430) 및 광고 반응 추적 및 최적화 모듈(440)이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및 데이터베이스(450)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차량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와 다른 주체가 타겟 광고 프로세스 부분을 담당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or reference, the AI software that the advertising response tracking and optimization module (440) of FIG. 4 can be equipped with typically has to go through several processes, such as (i) problem definition, (ii) data acquisition and preparation, (iii) model development and training, (iv) model evaluation and refinement, (v) deployment of AI in an actual product, and (vi) execution of machine learning operations, repeatedly and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However, these processes are not completely independent from each other but are interconnect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AI analysis related to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he target advertisement associated therewi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ing physically performed in only one place. Rather, it may be desirable to distribute and interconnect with external servers and databases (not shown) in order to efficiently assist the AI operation process. In the same context,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so that the advertisement filter (410), advertisement target device (420), auction module (430), and advertisement response tracking and optimization module (440) illustrated in FIG. 4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and database (450), or so that an entity different from the entity providing the vehicle call service is responsible for the target advertisement process por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600)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예시는 도 4의 스텝 S5 단계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로부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직접 혹은 운전자 스마트폰(200)을 경유해서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ta packet transmitted by a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in a target advertisement system (600) utilizing a vehicle call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 of FIG. 5 is a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ement server (400) to an external vehicle display device (110) directly or via a driver's smartphone (200) in step S5 of FIG.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를 위해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도 4의 스텝 S5에서 노출 대상 광고가 확정되고 나면, 데이터 패킷의 헤더 파일을 생성한다. 이 헤더 파일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광고가 노출될 운행을 식별할 수 있는 운행 ID, 추후 광고 보수를 정산하기 위한 운전자 ID, 광고의 선정 근거가 된 승객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ID, 운행 상태에 관한 정보, 광고가 노출될 위치(위치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지점일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경로일 수도 있음), 광고의 노출 시간, 광고가 노출될 기기(즉,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 이외에 승객 스마트폰(300)이나 차량 내 디스플레이 패드(120, 도 6 참조) 등)의 고유 식별자 정보 등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5, for targeted adverti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generate a header file of a data packet after the advertisement to be exposed is confirmed in step S5 of FIG. 4. This header file includes, as illustrated in FIG. 5, a trip ID that can identify the trip on which the advertisement will be exposed, a driver ID for calculating advertising fees later, a passenger ID including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select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n the trip status, a location on which the advertisement will be exposed (the location may be a specific point as illustrated in FIG. 5, or a route,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5), the exposure time of the advertisement, and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of a device on which the advertisement will be exposed (i.e., in addition to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such as a passenger smartphone (300) or an in-vehicle display pad (120, see FIG. 6)).
이상 도 1 내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이라면 본인이 탑승하게 될 차량(100)의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시각적으로 주목할 것이라고 전제하고, 이러한 전제하에 종래보다 더 나은 광고 전환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차량(100)의 지붕 등 적당한 위치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설치하기만 하면 운전자나 승객, 광고주에게 추가로 요구하는 프로세스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차량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효율적인 타겟 광고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As can be seen from FIGS.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a passenger using a car call service will visually pay attention to the display device (110) of the vehicle (100) in which he or she will ride, and under this assumption, it is judged that a better advertising conversion rate can be expected than in the past. Furthermore, in implementing a target adverti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process required from the driver, passenger, or advertiser as long as a visually confirmable display device (110) is installed in an appropriate location, such as the roof of the vehicle (100), it is judged that an efficient target advertising platform can be implemente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existing car call service system.
물론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가 장착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차량 호출 서비스에 운전자로서 참여 중인 경우라면, 차량 호출 서비스가 제공하는 광고 플랫폼이 자신의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로서 더 큰 수익, 즉 추가적인 광고 보수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the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110) will often be installed by the vehicle owner. However, if you are participating as a driver in a car-hailing service, you can expect greater revenue, i.e., additional advertising fees, by allowing the advertising platform provided by the car-hailing service to utilize your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100).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 입장에서도 자신이 호출한 차량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자신의 출발지, 목적지 혹은 자신에 관한 다양한 특성 정보(예컨대, 연령, 직업, 취미 등)에 부합하는 광고가 노출될 경우, 해당 광고는 차량 호출 서비스의 승객에게도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도 4에서 들었던 예에서, 도시 B에 처음으로 방문하는 승객이라면 도착 예정 시간에 맞춰 영화제에 참여하거나, 자신의 은행 저축상품에 대해 주행 중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광고주 입장에서도, 승객이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광고를 통해 알게 된 출발지나 목적지 주변의 매장 정보 혹은 승객의 특성에 따른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광고가 고객에 대한 실질적인 노출, 더 나아가서는 매출로까지 이어질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앞서 도 4에서는 경매 방식으로 타겟 광고가 최종 선정되는 구성으로서 도시하였지만, 광고 시스템을 단순화하는 차원에서 승객의 현재 위치, 목적지 및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광고물을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일방적으로 선정하는 방식으로의 설계 변경도 고려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assenger's perspective, if an advertisement that matches their departure point, destination, or various characteristics (e.g., age, occupation, hobbies, etc.)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vehicle they hailed, the advertisement can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assengers using the ride-hailing service.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ure 4, a passenger visiting City B for the first time could attend a film festival in time for their expected arrival time or take the time to consider their bank savings products while driving. From the advertiser's perspective, advertisements based on information about stores near the departure point or destination discovered through advertisements while using the ride-hailing service, or advertisements tailored to the passenger's characteristics, can be expected to lead to substantial exposure to customers and even sales. While Figure 4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targeted advertisements are ultimately selected through an auction, a design change in which the ride-hailing service and the targeted advertisement server (400) unilaterally select digital advertisements corresponding to the passenger's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and characteristics could be considered to simplify the advertising system.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노출되는 디지털 타겟 광고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Next, FIG. 6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digital target advertisement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1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1)을 분할하여 둘 이상의 광고가 제 1 화면(111a)과 제 2 화면(111b)에 각각 노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서는 보이지 않는 방향에 있는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display screen (111)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for a vehicle can be divided so that two or more advertisements are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111a) and the second screen (111b), respectively.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display screen (not shown) o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for a vehicle located in a direction not visible in FIG. 6.
예컨대, 도 4의 스텝 S4에서 들었던 예시에 따르면, 제 1 화면(111a)에는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 및 도착 예정 시간에 타게팅해서 영화관 Y 및 영화관 Y에서 도착 예정 시간 즈음에 상영할 주요 영화나 영화관 Y가 현재 진행 중인 할인 행사 등의 프로모션 내용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2 화면(111b)에는 앞서 도 4에서 들었던 예시처럼 D 은행의 연금저축 상품을 소개하는 화면이 노출될 수도 있고, 도시 B와 관련하여 시에서 홍보 중인 공익 광고물이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어떤 광고물이 노출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스텝 S1 내지 S6의 프로세스를 거치겠지만, 광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example given in step S4 of FIG. 4, the first screen (111a) can display promotional content such as movie theater Y and major movies to be shown at movie theater Y around the expected arrival time, or discount events currently in progress at movie theater Y, targeting the passenger's desired destination and expected arrival time. The second screen (111b) can display a screen introducing D Bank's pension savings product, as in the example given in FIG. 4, or can display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being promoted by the city in relation to city B. Whether or not to display specific advertisements will be determined through the process of steps S1 to S6 described in FIG. 4, but the following design changes are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advertisement conversion rate.
즉,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광고 보수를 받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광고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타겟 광고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광고 필터(410), 광고 타겟 장치(420) 혹은 경매 모듈(430)이 운전자가 설정한 타겟 광고 설정 정보를 참조하거나 이를 따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도 4에서 들었던 예시에서, 운전자는 도착지 부근에 가장 가까운 영화관이 Y 영화관임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 "승객의 하차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영화관 광고주"의 광고가 우선 선택될 수 있도록 운전자 자신의 스마트폰(200)으로 타겟 광고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는 이러한 운전자의 광고 설정 정보를 배차 정보와 함께 광고 필터(410)에 전송함으로써 운전자로서의 경험과 노하우가 타겟 광고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예컨대 특정 운전자의 경우 종교 혹은 정치에 관련된 광고물이 자신의 차량에서 노출되기를 꺼려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특정 카테고리의 광고물이 자신의 차량에서는 아예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광고 노출 제한 설정을 거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요컨대, 본 발명은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에 참여하는 운전자에게 광고의 선별 과정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drivers to participate in targeted advertising to increase the advertising conversion rate by allowing drivers to receive advertising compensation, as previously described. To this end, 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4, the advertising filter (410), advertising targeting device (420), or auction module (430) can be configured to reference or follow target advertising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driver. For example, in the example described in FIG. 4, if the driver already knows that the closest movie theater near the destination is Movie Theater Y, the driver can set the target advertising option on his or her smartphone (200) so that the advertisement of the "closest movie theater advertiser to the passenger's drop-off point" is preferentially selected. The car-hailing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ransmit this driver's advertis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advertising filter (410) along with dispatch information, thereby allowing the driver's experience and expertise to be reflected in the target advertising. Additionally, for example, certain drivers may be reluctant to see religious or political advertisements in their vehicles. In such cases, it would be possible to restrict ad exposure to prevent certain categories of advertisements from being displayed in their vehicles at all. 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drivers who participate in targeted advertising via ride-hailing services with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ad selection process.
이 외에도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자체적으로 GPS 및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와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 간의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한 경우도 상정할 수 있겠으나,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가 운전자 스마트폰(200)과 연동하는 상태에서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운전자 스마트폰(200)을 경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타겟 광고 노출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오류가 발생하여 광고 노출이 불가능한 상태라면, 이를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가 모니터링해서 해당 차량(100)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정상 복구 시까지는 광고 노출이 거절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In addition, from a technical perspective,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may include its own GPS and wireless network module, or vice versa. Accordingly, it is conceivable that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and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is possib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to be linked with the driver's smartphone (200) and for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o control the target advertising exposure of the display device (110) via the driver's smartphone (200). If an error occurs in the display device (110) and advertisement exposure is not possible, it would be desirable to set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target advertising server (400) to monitor this and deny advertisement exposure for the corresponding vehicle (100) until the display device (110) is restored to normal.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운전자 설정 정보에 의해 타겟 광고가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서 추가로 출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arget advertisement is additionally output on an in-vehicle display based on driver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광고 노출 플랫폼으로 설정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타겟 광고는 승객의 승차 전, 주행 중, 하차 후에 대해서까지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승객의 스마트폰(300), 차량(100) 내 뒷좌석 승객을 위한 제 1 디스플레이 패드(120), 차량 내 조수석 승객을 위한 제 2 디스플레이 패드(130) 등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 이외의 다른 기기들에 대해서도 타겟 광고가 노출되도록 운전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노출되는 기기 개수를 많이 하면 할수록, 운전자가 받는 광고 보수 또한 증가하도록 시스템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sets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as an advertising exposure platform. However, since the targeted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assengers before boarding, during driving, and after getting off, the driver can directly configure the targeted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devices other tha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such as the passenger's smartphone (300), the first display pad (120) for the rear seat passenger in the vehicle (100), and the second display pad (130) for the front passenger in the vehicle. The system design can be changed so that the advertising compensation received by the driver increases as the number of devices exposed increases.
나아가, 운전자로서는 예상보다 다음 배차가 빨리 이루어지는 경우, 기존 승객을 위해 노출하던 광고를 중단하고, 새로운 승객을 위한 타겟 광고를 노출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400)측에서는 물론이고, 운전자 역시 자신의 스마트폰(200)을 이용하여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110),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드(120, 130) 등에 대한 광고 노출 시간을 매 운행별로 설정하거나 기기들(예컨대 110, 120, 130)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Furthermore, if the next dispatch is earlier than expected, the driver may need to stop displaying advertisements for existing passengers and display targeted advertisements for new passengers.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change the design so that not only the car call service and targeted advertisement server (400) but also the driver can use his or her smartphone (200) to set the advertisement display time fo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110),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ds (120, 130), etc. for each trip or control the on/off of the devices (e.g., 110, 120, 1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승객의 스마트폰(300)에서 구현할 수 있는 차량 호출 서비스 앱의 타겟 광고용 UI(User Interface)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UI (User Interface) for target advertising of a vehicle call service app that can be implemented on a passenger's smartphone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배차 차량(100)에 탑승한 승객은 자신의 스마트폰(300)을 이용해서 인근 지도 정보(301)를 확인할 수 있다. 인근 지도 정보(301)에는 현재 승객 본인이 탑승하고 있는 차량(100)의 아이콘 이미지(302)가 GPS 위치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차량 아이콘 이미지(302)는 목적지 아이콘(303) 및 예상되는 경로 표시선(304)과 함께 실시간 현황에 따라 승객에게 보여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assenger boarding a dispatch vehicle (100) can check nearby map information (301) using his or her smartphone (300). In the nearby map information (301), an icon image (302) of the vehicle (100) currently being boarded by the passenger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GPS location, and the vehicle icon image (302) can be shown to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real-time status together with a destination icon (303) and an expected route indication line (304).
앞서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겟 광고는 승객의 목적지 정보나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배차 차량(100)의 현 위치나 목적지를 포함한 주행 정보가 별도의 주행 정보 표시창(305)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착 예정 시간(306)은 타겟 광고를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차량 호출 서비스 본연의 목적을 고려하더라도 승객에게 중요한 정보일 것이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 예정 시간 표시창(306)을 별도로 앱 내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previously illustrated in FIG. 6, the targeted advertis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ed using the passenger's destination information or expected arrival time informa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display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r destination of the dispatched vehicle (100), on a separate driving information display window (305). The expected arrival time (306) is important not only for targeted advertisements but also for passengers consider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ar-hailing servic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eparate expected arrival time display window (306) within the app, as illustrated in FIG. 8.
앞서 도 7에서는 차량 내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패드(120, 130)에 타겟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더 나아가 도 8에서와 같이 승객이 자신의 스마트폰(300)으로도 예컨대 목적지 부근의 영화관 및 영화 상영 정보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타겟 광고 표시창(307)과, 승객의 속성 정보에 맞추어 타게팅된 예컨대 D 은행의 연금저축 상품 안내를 표시할 수 있는 제 2 타겟 광고 표시창(308)까지 한 화면의 UI 로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In the previous FIG. 7, a case where a target advertisement is display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ads (120, 130) in the vehicle was illustrated. Furthermore, as in FIG. 8,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implement a first target advertisement display window (307) that allows a passenger to check specific information on movie theaters and movie screenings near the destination, for example, with his or her own smartphone (300), and a second target advertisement display window (308) that can display information on pension savings products of, for example, Bank D, targeted according to the passenger's attribute information, as a single screen UI.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주의할 점은, 본 발명의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 등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산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design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ferring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스마트폰"이란 터치 스크린이나 전자 펜 등을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하고, 인터넷 액세스가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갖춘 모바일 전화기를 의미한다. 주의할 점은, 스마트 패드(Smart Pad)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심지어 랩탑(Laptop) 컴퓨터 조차도 스마트폰이라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차량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수 있고 차량 호출 서비스에 이용 가능한 정도의 이동 편의성을 제공하는 소위 "스마트 기기"라면, 해당 전자기기의 카테고리 분류나 모델 명칭이 설령 스마트폰이 아니라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마트 기기의 범주에는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상 스마트폰이라는 명칭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스마트 기기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In particular, as mention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means a mobile phone that supports user input using a touch screen or electronic pen, has Internet access, and has an operating system capable of downloading and executing applica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many smart pad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s), and even laptop computers are equipped with all the functions that can be considered smart phones, any so-called "smart device" that can download and execute a car-hailing service application and provides the level of mobility convenience that can be used for car-hailing servic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smart device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tegory classification or model nam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a smart phone.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term "smart phone" is mainly used for convenienc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rm "smart device" is used in the claims that follow.
따라서 본 발명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의 설계변경 가능성과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regardless of the possibility of design modifications that would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운전자 차량
110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111, 111a, 111b 디스플레이 화면
120, 130 차량용 내부 디스플레이 패드
200 운전자 스마트폰
300 승객 스마트폰
400 차량 호출 서비스 및 타겟 광고 서버
450 데이터베이스
451 승객 데이터베이스
452 운전자 데이터베이스
453 차량 데이터베이스
454 운행 데이터베이스
455 결제 데이터베이스
456 별점 데이터베이스
457 차량용 광고 데이터베이스
500 광고주 단말기
600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100 driver vehicles
110 External display device for vehicles
111, 111a, 111b display screens
Interior display pad for 120, 130 vehicles
200 Driver Smartphones
300 passenger smartphones
400 vehicle calling services and targeted advertising servers
450 databases
451 passenger database
452 Driver Database
453 vehicle database
454 Operation Database
455 Payment Database
456 star database
457 Vehicle Advertising Database
500 advertiser terminals
Targeted advertising system using 600 vehicle call service
Claims (9)
차량 서비스 서버가 승객 단말기 혹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에 관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 차량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을 승인받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to passengers in a vehicle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and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 step in which a vehicle service server receives a service acceptance message regarding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from a passenger terminal or driver terminal and confirms a dispatched vehicle;
A step in which the vehicle service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ispatch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approves the output of an advertisement display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from the driver terminal; and
A method for target advertising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service server comprises a step of selecting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없는 오류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이 거절됨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이외에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The step of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rmining, via the driver's smart device or directly from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whethe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 device state capable of displaying the selected advertisement; and
If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is in an error state where it cannot display the selected advertisement, the step of notifying the driver terminal that the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is rejected is further included.
A target advertising method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based on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 addition to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가,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승객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승객 단말기가 상기 노출된 광고의 광고주에게 물리적으로 방문하거나 방문 및 구매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가 방문 혹은 방문 및 구매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소정의 광고수당 할증율에 따라 광고비를 추가로 지급하고 정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In the first paragraph,
A step in which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cts, through the passenger terminal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whether the passenger terminal physically visits or visits and purchases the advertiser of the exposed advertisement; and
A target advertising method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further includes a step of additionally paying and settling an advertising fee to the driv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surcharge rate when the passenger terminal is detected to have visited or visited and made a purchase.
상기 운전자가 결정하는 광고 설정 정보는, 상기 선택된 광고가 노출되는 기기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추가로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선택된 광고가 상기 목적지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인지 여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방법.In the second paragraph,
A method for target advertising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cludes at least one of whether a device o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exist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whether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an advertisement ordered from an advertiser physically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selected advertisement.
광고를 노출할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가능한 운전자 단말기 및 광고비 지급 및 정산을 위한 운전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클라이언트;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에 따라 차량 호출 요청을 하되, 승객의 현재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 및 노출되는 광고에 대한 승객의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는 승객 단말기 및 승객의 속성 정보가 포함된 승객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승객 클라이언트;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통해 노출될 광고를 제공하고,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에서 미리 정해진 광고비 요율에 동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광고주 클라이언트; 및
상기 운전자 클라이언트, 상기 승객 클라이언트 및 상기 광고주 클라이언트와 배차 차량의 확정 및 광고비 정산을 위하여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운전자의 계정 정보, 상기 승객의 계정 정보 및 상기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In a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advertisements to passengers in a vehicle call service using a smart device and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dvertisements, a driver terminal capable of linking with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and a driver client including driver account information for payment and settlement of advertisement fees;
A passenger client that makes a vehicle call request according to the above vehicle call service, and includes a passenger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passeng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feedback on displayed advertisements, and passenger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 advertiser client that provides advertisement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an agreement message to the vehicle call service for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rate; and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that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river client, the passenger client, and the advertiser client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confirming dispatched vehicles and settling advertising fees, stores and manages the driver's account information, the passenger's account information, and the data communicated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s terminal or directly to the vehicle's external display device.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기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만약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선택된 광고를 노출할 수 없는 오류 상태인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이 거절됨을 통지하고,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는,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이외에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In paragraph 5,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rmines, via the driver's smart device or directly from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whether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 state where the device can display the selected advertisement, and if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is in an error state where the device cannot display the selected advertisement, notifies the driver terminal that the advertisement display output is rejected.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service server selects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vehicle external display device based on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 addition to the current loc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승객 단말기를 통해, 상기 승객 단말기가 상기 노출된 광고의 광고주에게 물리적으로 방문하거나 방문 및 구매하는지 여부를 추적하여 검출하고, 상기 승객 단말기가 방문 혹은 방문 및 구매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소정의 광고수당 할증율에 따라 광고비를 추가로 지급하고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In paragraph 5,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call service server detects by tracking whether the passenger terminal physically visits or visits and purchases the advertiser of the displayed advertisement through the passenger terminal using the vehicle call service, and if the passenger terminal is detected to have visited or visited and purchased, additionally pays and settles the advertising fee to the driver termi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dvertising fee surcharge rate.
상기 운전자가 결정하는 광고 설정 정보는, 상기 선택된 광고가 노출되는 기기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외에 추가로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선택된 광고가 상기 목적지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한 광고주로부터 수주한 광고인지 여부 및 상기 선택된 광고의 노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호출 서비스를 이용한 타겟 광고 시스템.In paragraph 6,
A target advertising system using a vehicle call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includes at least one of whether a device on which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isplayed exist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whether 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an advertisement ordered from an advertiser physically located near the destination,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selected advertisement.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의 상기 명령어는,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승객 단말기 혹은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승객의 차량 호출 요청에 관한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받아 배차 차량을 확정하는 명령어;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배차 차량이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광고 디스플레이 출력을 승인받는 명령어; 및
상기 차량 서비스 서버가, 상기 승객 단말기의 현재 위치, 목적지 정보 및 승객 속성 정보, 그리고 운전자가 결정한 광고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할 광고를 선택하고, 상기 운전자 단말기를 경유하여 혹은 상기 차량용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직접 상기 선택된 광고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recording medium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call service server and stores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computer-readable and executable commands,
The above command of the above computer program is,
A command for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receive a service acceptance message regarding a passenger's vehicle call request from a passenger terminal or driver terminal and confirm a dispatched vehicle;
A command for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atched vehicle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to approve the output of an advertisement display from the driver terminal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mand that causes the vehicle service server to select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passenger terminal, destination information, passenger attribut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setting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driver, and transmit the selected advertisement via the driver terminal or directly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 for the vehicle.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148881A true KR20250148881A (en) | 2025-10-15 |
Family
I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Shaheen et al. | Smartphone applications to influence travel choices: practices and policies | |
| JP6615243B2 (en) | Car sharing user mediation method and system | |
| US10915978B2 (en) | Integrated ride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fleet management systems | |
| US20160027307A1 (en) | Short-term automobile rentals in a geo-spatial environment | |
| US20140172727A1 (en) | Short-term automobile rentals in a geo-spatial environment | |
| US2012004167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Transportation Service | |
| US20150242944A1 (en) | Time dependent inventory asset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es having perishable assets | |
| KR101139340B1 (en) | Proxy driving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of smart phon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 |
| US20150149286A1 (en) | Mobile provider advertising and scheduling platform | |
| KR20200116474A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ble user applications | |
| EP1271368A1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ement rates | |
| US20150294431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city services | |
| US2015024868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discounts | |
| US20130085817A1 (en) | Discount offer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for hire vehicles | |
| US2011002242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Reserving Available Parking | |
| US20080189148A1 (en) | Ground transportation booking | |
| WO2016113602A1 (en) | Real-time presenting on-demand service providers and users or customers and facilitating them | |
| US764705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brokering mobile service providers | |
| US20190303809A1 (en) | Passenger and vehicle-for-hire trip information sharing system | |
| US20200242646A1 (en) | Commercializing user patterns via blockchain | |
| JP5831373B2 (en) | Sales data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 US2016004244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urrent Rental Vehicle Location and Rate Selection Using Network Based Data | |
| KR100421257B1 (en) | Internet-based method of providing car-advertizing agency service between car owner and advertiser | |
| KR20150102141A (en) | Intermediatio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space rental of personal car | |
| US20200065718A1 (en) | Dynamic ad-hoc availability and physical reservation system using market analytics, social metadata, and cognitive analyti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