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138007A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138007A
KR20250138007A KR1020240034735A KR20240034735A KR20250138007A KR 20250138007 A KR20250138007 A KR 20250138007A KR 1020240034735 A KR1020240034735 A KR 1020240034735A KR 20240034735 A KR20240034735 A KR 20240034735A KR 20250138007 A KR20250138007 A KR 2025013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ver
jaw
hook
link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4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선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138007A/en
Publication of KR2025013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138007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포함한다. 제2커넥터(20)에는 이동플레이트(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에는 체결레버(33)가 외팔보 형상으로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제2커넥터(20)에서 이동한다. 이동플레이트(30)에 있는 체결레버(33)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20)에 있는 스톱편(29)에 의해 동작이 규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20). A movable plate (3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second connector (20). A fastening lever (33) is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on the movable plate (30). The movable plate (30) moves on the second connector (20)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or (10) being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lever (33) on the movable plate (30) is controlled by a stop piece (29) on the second connector (20)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있을 수 있고, 이들이 서로 결합되어 회로를 연결하는 등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결합되어 하나의 커넥터조립체를 형성한다.A connector consists of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with terminal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stalled inside. Such a connector may have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which are joined toge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s, such as connecting a circuit.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are joined to form a single connector assembly.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조립체는 일측 커넥터의 체결레버의 체결턱이 타측 커넥터의 걸림부에 걸어져 체결상태가 유지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레버가 불의의 외력을 받거나 열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상기 걸림부에 체결턱이 걸려 있지 않은 상태로 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maintains a locked state by having the locking jaw of the locking lever of one connector engage with the engaging portion of the other connector. However, if the locking lever receives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or loses its shape due to heat, the locking jaw may not engage with the engaging por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되었을 때, 체결턱과 걸림부 사이의 체결상태를 강제로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암커넥터와 숫커넥터가 서로 체결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위치보장구, 일명 CPA(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사용한다. To address this issue, a configuration is used that forces the mating jaw and catch to remain locked when the connector assembly is joined. Specifically,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also known as a 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is used to prevent the female and male connectors from accidentally disengaging from each other.

하지만, 이와 같이 커넥터위치보장구를 사용하면, 커넥터위치보장구의 삽발력이 일정 이상으로 되어야 하는데, 실제로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ing a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device in this way, the insertion/extraction force of the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device must be above a certain leve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meet this requirement.

그리고, 암커넥터와 숫커넥터에 더해 별도의 커넥터위치보장구를 사용하려면 부품수 추가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if a separate connector positioning device is used in addition to the male and female connectors, the problem of increased cost arises due to the increased number of parts.

또한, 커넥터조립체의 결합과 분리작업 중에 커넥터위치보장구를 조작해야 하는 단계가 추가되므로 작업공수가 추가되는 문제점도 있다.Additionally,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ed work hours because an additional step is added to manipulate the connector positioning device during th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2396 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3-0112396 일본 공개특허 제 2022-136022 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2-136022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커넥터위치보장구를 사용하지 않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체결되면 자동적으로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automatically block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astened without using a separate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동작에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시에는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fastening lever for fastening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to move according to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perations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 is blocke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레버가 형성된 이동플레이트를 일측 커넥터에 채용하도록 하여 체결레버를 공용화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monize the fastening lever by employing a movable plate having a fastening lever formed thereon in a single connec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있는 이동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게 하는 걸이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purpose,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having a terminal mounting space formed therethrough, a terminal positioned in the terminal moun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release lever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open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formed in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a counterpart connector is inserted to unlock a movable plate in the counterpart connector, and a hook lever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movable plate to move together.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걸이레버를 사이에 두고 2개가 쌍을 이룰 수 있다.The above release levers can be paired in two with the above hanging lever in between.

상기 해제레버에는 해제턱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release lever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release jaw.

상기 해제턱은 양측의 해제레버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 release jaws can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release levers on both sides.

상기 걸이레버는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의 폭방양 양측에 각각 연결레그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anging lever may have a hanging jaw formed at the tip, and connecting legs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width of the hanging jaw.

상기 걸이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상기 연결레버와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인 통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hanging lever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by the hanging jaw, the connecting le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본 발명의 커넥터는,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무빙공간과, 상기 무빙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턱과 상대 커넥터의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걸이턱과 이동플레이트의 결합과 분리를 제어하는 연동턱을 가지는 연동레버와, 상기 무빙공간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를 지지하는 스톱편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formed with a terminal mounting space penetrating the interior thereof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 terminal positioned in the terminal moun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moving spac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a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a moving plate movable in the moving space and having a mounting lever for mount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a linkage lever having a hook step elastically deformable on an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and controlling a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 linkage step interlocked with one side of the counterpart connector to control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of the hook step and the moving plate, and a stop piece provided in the moving space and supporting the mounting lever in a state where the lever is mounted in a mounted state with the counterpart connector.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이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 상기 연동레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bove moving plate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상기 안내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뒷쪽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앞쪽 단부는 개방되지 않아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행정을 규제할 수 있다.The above guide channel is opened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is not opened, so that the movement stroke of the moving plate can be regulated.

상기 걸이턱과 연동턱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걸어지는 걸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턱은 상기 연동레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동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ook and linkage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hook includes a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nd a hook surface that is hook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linkage can have linkage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와 연동을 위한 연동턱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1차걸이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ov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plate body having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lever, an interlocking jaw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body for interlock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and a primary hooking e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body to selectively hook onto the hooking jaw of the interlocking lever.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상기 체결레버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1차걸이단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late body may include a base having the above fastening lever, and a side wall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 which the first hanging end is formed.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에 위치되는 안내턱이 상기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positioned in a guide channe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moving spac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상기 측벽의 1차걸이단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도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An escape groove can be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anging end of the above side wall, in which the linkage jaw of the linkage lever is selectively positioned.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개구되는 제1내부공간에는 해제턱을 구비한 해제레버와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레버가 있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에는 무빙공간이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는 연동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무빙공간의 일측에는 스톱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무빙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무빙공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턱을 가지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스톱편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가 지지되어 탄성변형이 규제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having a release lever having a release protrusion and a hook lever having a hook protrusion in a first internal space that is opened toward the front of a first housing, a second connector having a moving space formed in a second housing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internal space, a moving plate movably installed therein, interlocking levers formed on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and a stop piece formed by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moving space, and a moving plate that is movably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is unlocked by the release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so as to be movable in the moving space, and has a fastening lever having a fastening protrusion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fastening lever is supported by the stop piece in a coupl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and elastic deformation is restricted.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 사이에는 걸이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레버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이동플레이트가 함께 이동하도록 될 수 있다.A hook lev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elease levers of the first connector, so that when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are separated, the hook lever and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may be coupled so tha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moving plate may move together.

상기 걸이레버에는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아턱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레그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anging lever may have a hanging jaw formed at the tip, and connecting leg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widthwise sides of the hanging jaw.

상기 걸이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상기 연결레버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인 통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hanging lever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urrounded by the hanging jaw, the connecting le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턱과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걸이턱과 이동플레이트의 결합과 분리를 제어하는 연동턱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linkage lever is provided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mann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and may have a hook jaw that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 linkage jaw that controls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ook jaw and the moving plate by being linked to the release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걸이턱과 연동턱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걸어지는 걸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턱은 상기 연동레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동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ook and linkage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hook includes a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nd a hook surface that is hook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linkage can have linkage inclined surface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이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 상기 연동레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bove moving plate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상기 안내채널은 상기 제2하우징의 뒷쪽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앞쪽 단부는 개방되지 않아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행정을 규제할 수 있다.The above guide channel is open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is not open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can be regulated.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동을 위한 연동턱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1차걸이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oving plate may include a plate body provided with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lever, a linkage jaw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body for linkage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a first hooking e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body to selectively hook onto the hooking jaw of the linkage lever.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상기 체결레버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1차걸이단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plate body may include a base having the above fastening lever, and a side wall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se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 which the first hanging end is formed.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에 위치되는 안내턱이 상기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A guide protrusion positioned in a guide channe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 moving spac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above moving plat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상기 측벽의 1차걸이단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도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An escape groove can be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anging end of the above side wall, in which the linkage jaw of the linkage lever is selectively positioned.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과 분리 동작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에 체결레버를 두었다.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일측 커넥터에 있는 체결레버의 일측이 스톱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버가 별도의 커넥터위치보장구 없이도 조작이 규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lever is positioned on a movable plate that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coupled, one end of the fastening lever on one connector is supported by a stop piece.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fastening lever can be controlled without a separate connector positioning device.

이와 같이 커넥터조립체의 결합상태를 유지함에 있어서, 커넥터위치보장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커넥터조립체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n maintaining the joint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a connector position guarantee device is not used, so the joint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can be made solid while relatively reducing the cost.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조립체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두지 않으므로, 커넥터조립체를 결합하고 분리함에 있어서 작업공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separate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 while maintaining the joint state of the connector assembly firmly, there is an effect of relatively reducing the work time for joining and separating the connector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구성을 보인 도 1의 3-3'선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커넥터를 구성하는 이동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인 상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커넥터를 구성하는 이동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면서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면서 체결레버의 체결턱이 제1커넥터의 체결단에 걸어지고 체결통공 내에 위치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를 제2커넥터의 후방쪽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7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되는 것을 보이는 것으로, (a)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를 위해 체결레버에 힘을 가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이고, (b)는 이동플레이트의 연동턱과 제1커넥터의 걸이레버가 결합되어 이동플레이트와 제1커넥터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epara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1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connecto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housing of a second connec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ing plate constituting the secon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ving plate constituting the second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begin to be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lev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at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jaw of the fastening lever is hooked on the fastening end of the first connector and positioned within the fastening hole.
Figure 1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mpletely coup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Figure 15 from the rear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Figure 17 shows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force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lever for separation whil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mpletely coupled, and (b)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jaw of the moving plate and the hook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being coupled so that the moving plate and the first connector move together.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designating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where possible,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ppear in different drawings. Furthermore,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structure or function is deemed to hinder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조립체(1)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는 숫커넥터일 수 있고, 상기 제2커넥터(20)는 암커넥터일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the connector assembly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0) and a second connector (20).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a male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20) may be a female connector.

상기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부공간(11')은 상기 제2커넥터(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first housing (11) forms the exterior and frame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first housing (11)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housing (11)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A first internal space (11')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11). The first internal space (11') is a portion into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20) is inserted.

상기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후단 외부를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2)이 연통시킨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공간(12)에는 제1커넥터(10)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된다. 상기 제1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A first terminal mounting space (1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first housing (11) from front to back. The first internal space (11') and the rear exterior of the first housing (11) are connected by the first terminal mounting space (12). A first terminal (not shown) constituting a first connector (10) is positioned in the first terminal mounting space (12). The first terminal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는 체결단(1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체결단(13)은 제2커넥터(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단(13)은 상기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체결통공(13')의 일측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통공(1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부와 상기 제1내부공간(11') 사이를 연통한다. 참고로, 상기 체결통공(13')이 홈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통공(13')은 상기 제1내부공간(11')의 내부를 향해 개방되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는 개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first housing (11) may have a fastening end (13) on one side. The fastening end (13) is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20). The fastening end (13) may form one side of a fastening hole (13') formed in the first housing (11). The fastening hole (13') communicates between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11) and the first internal space (11'). For reference, the fastening hole (13')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is, the fastening hole (13') may be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 and may not be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

상기 제1하우징(11)의 제1내부공간(11')에는 해제레버(14)가 있다. 상기 해제레버(14)는 2개가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해제레버(14)의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해제레버(14)는 상기 제1내부공간(11')의 최 내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해제레버(14)는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해제레버(14)는 외팔보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해제레버(14)의 자유단부에는 해제턱(14')이 있다. 상기 해제턱(14')은 양측의 해제레버(14)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각각의 해제턱(14')은 상기 제1내부공간(11')의 양측 내면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해제레버(14)에는 간섭회피공간(15)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15)은 상기 해제턱(14')에 인접한 위치인 상기 해제레버(14)의 선단 근처에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간(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레버(26)의 연동턱(28)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부분이다.In the first inner space (11') of the first housing (11), there is a release lever (14). Two release levers (14) are provided side by side. The configuration of the release levers (14) is well illustrated in FIG. 5. The release levers (14) protrude from the inn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11'). The two release levers (14) are arrang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m. The release levers (14) have a cantilever shape. A release protrusion (14')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release lever (14). The release protrusions (14') of the release levers (14) on both sides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each release protrusion (14') protrudes toward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space (11'). An interference avoidance space (15) is formed in the release levers (14). The above interference avoidance space (15) is formed near the tip of the release lever (14) adjacent to the release jaw (14'). The above interference avoidance space (15) is a part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linkage jaw (28) of the linkage lever (26)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해제레버(14)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제1내부공간(11')의 최 내면에는 걸이레버(16)가 있다. 상기 걸이레버(16)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와 함께 이동하도록, 이동플레이트(30)의 일측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레버(16)에는 걸이턱(16')이 있다. 상기 걸이턱(16')은 그 전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걸이레버(16)를 구성하는 연결레그(17)가 있다. 상기 연결레그(17)는 상기 걸이턱(16')의 폭방향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11')의 최 내면에 연결된다. 상기 걸이턱(16'), 연결레그(17), 제1내부공간(11')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여 통공부(17')가 형성된다. 상기 통공부(17')가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16)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At the inn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release levers (14), there is a hook lever (16). The hook lever (16) is a portion that is hooked to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30) so as to move together with the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hook lever (16) has a hook step (16'). The hook step (16') has a sloped surface inclined toward the front thereof. There is a connecting leg (17) constituting the hook lever (16). The connecting leg (17) extends from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ok step (16')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most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 A through-hole (17') is formed by being surrounded by the hook step (16'), the connecting leg (1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11'). Because the above-mentioned opening (17') is present, elastic de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hanging lever (16) becomes relatively easy.

상기 제2커넥터(20)는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2터미널안착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공간(22)에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2터미널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The second connector (20) above has a second housing (21) that forms the exterior and frame. A second terminal mounting space (22)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second housing (21) from front to back. A second terminal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mounting space (22). The second terminal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 일측에는 무빙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공간(23)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선단에서 후단을 향해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무빙공간(2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무빙공간(23)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고, 또한 상기 제2하우징(21)의 일측 표면에 대응되는 쪽이 개방되어 있다. A moving space (2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The moving space (23) has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21). A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is movably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23). The moving space (23) is ope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21), and also has a side corresponding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open.

상기 무빙공간(23)의 폭방향 양측에는 보호펜스(24)가 있다. 상기 보호펜스(24)는 양측의 것이 서로 마주보고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보호펜스(24)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서, 상기 무빙공간(23)에 위치되는 요소, 예를 들면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에 불의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There are protective fences (24)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moving space (23). The protective fences (24) on both sides face each other and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The protective fences (2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1) so as to prevent unexpected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elements located in the above-mentioned moving space (23), for example, the moving plate (30) described below.

상기 보호펜스(24)의 연장방향으로 안내채널(25)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25)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채널(25)은 상기 무빙공간(23)의 폭방향 양측 내면에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의 안내턱(35)이 이동가능하게 위치되어 안내된다.A guide channel (25) is form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tective fence (24). The guide channel (25)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The guide channel (25) is formed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ving space (23). The guide projection (35) of the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is positioned and gu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guide channel (25).

상기 무빙공간(23)을 형성하는 양측 내면에는 연동레버(26)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26)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연동레버(26)가 양단 지지보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연동레버(26)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무빙공간(23)의 내면에는 연통공(26')이 있고, 상기 연통공(26') 내에 상기 연동레버(26)가 위치된다. 상기 연동레버(26)는 상기 무빙공간(23)의 외측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빙공간(23)의 외측이라 함은 상기 보호펜스(24)를 관통한 위치로서 상기 제2하우징(21)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A linkage lever (26) may be provided on each inner surface of both sides forming the moving space (23). The linkage lever (26)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Of course, the linkage lever (26) may also be formed in a double-end support shape. In order to form the linkage lever (26), a communication hole (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23), and the linkage lever (26) is positioned within the communication hole (26'). The linkage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able toward the outside of the moving space (23). Here, the outside of the moving space (23) means a space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21) at a position penetrating the protective fence (24).

상기 연동레버(26)에는 걸이턱(27)과 연동턱(28)이 함께 있다. 상기 걸이턱(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의 1차걸이단(37)이 걸어진다. 상기 연동턱(28)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해제레버(14)의 해제턱(14')과 연동된다.The above-mentioned linkage lever (26) has a hook jaw (27) and a hook jaw (28). The first hooking stage (37) of the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is hooked to the hook jaw (27). The above-mentioned linkage jaw (28) is linked with the release jaw (14') of the release lever (14) of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걸이턱(27)에는 1차걸이단(37)이 걸어지는 걸이면(27')이 있고, 상기 1차걸이단(37)을 안내하는 안내면(27")이 있다. 상기 걸이면(27')은 상기 연동레버(26)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27")은 상기 연동레버(26)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hook (27) has a hook surface (27') on which a primary hook stage (37) is hooked, and a guide surface (27") that guides the primary hook stage (37). The hook surface (27')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nkage lever (26), and the guide surface (27")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linkage lever (26).

상기 연동턱(28)은 상기 해제레버(14)와 연동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턱(28)은 상기 걸이턱(27)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동턱(28)은 연동경사면(28')을 가진다. 상기 연동경사면(28')은 상기 연동턱(28)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동경사면(28')은 상기 연동레버(26)의 연장방향 양측에 각각 있다. 즉, 상기 연동턱(28)에 연동경사면(28')이 상기 연동레버(2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동턱(28)을 상기 해제레버(14)가 타고 넘으면서 상기 연동레버(26)가 탄성변형된다. 상기 연동레버(26)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무빙공간(23)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이턱(27)도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걸이턱(27)이 상기 1차걸이단(37)으로부터 해제된다.The above-mentioned linkage jaw (28) is linked with the release lever (14). The linkage jaw (28)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hook jaw (27). The linkage jaw (28) has a linkage slope (28'). The linkage slope (28') is form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linkage jaw (28). The linkage slope (28') is located on each of both sides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26). That is, the linkage slope (28') is formed on the linkage jaw (28)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26). When the release lever (14) rides over the linkage jaw (28), the linkage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above-mentioned linkage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ed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moving space (23), the above-mentioned hook (27) also moves together and the above-mentioned hook (27) is released from the above-mentioned first hook (37).

상기 무빙공간(23)의 일측에는 스톱편(29)이 있다. 상기 스톱편(29)은 상기 무빙공간(23)에서 상기 제2하우징(21)의 뒷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스톱편(29)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플레이트(30)의 체결레버(33)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 스톱편(29)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동플레이트(30)의 체결레버(3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There is a stop piece (29) on one side of the above moving space (23). The stop piece (29)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second housing (21) in the above moving space (23). The stop piece (29) can control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 (33) of the moving plate (30) to be described below.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op piece (29) has a roughly rectangular plate shape. However, any shap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lever (33) of the moving plate (30).

한편,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 체결되었을 때,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안내채널(25)을 따라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스톱편(29)과 이동플레이트(30)의 체결레버(33)가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성변형에 의한 스냅체결구조를 상기 스톱편(29)과 이동플레이트(30)의 체결레버(33)에 둘 수도 있다. 이때, 이 스냅체결구조는 이동플레이트(30)가 안내채널(25)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 즉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분리될 때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업자가 힘을 이동플레이트(30)에 가하면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mpletely fastened, the stop piece (29) and the fastening lever (33) of the movable plate (30)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vable plate (30) does not move arbitrarily along the guide channel (25). In this case, a snap-fastening structure by elastic de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stop piece (29) and the fastening lever (33) of the movable plate (30). At this time, this snap-fastening structure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released when a worker applies force to the movable plate (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plate (30) moves along the guide channel (25), i.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moves away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separated.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20)의 무빙공간(23)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3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제2하우징(2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결합과 분리시에 상기 제1커넥터(10)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33)를 가지고, 동시에 상기 스톱편(29)과 협력하여 상기 체결레버(33)가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ovable plate (30) positioned and moved in the moving space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will be examined. The movable plate (3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21) and moves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or (10)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and separated. The movable plate (30) has a fastening lever (33) for fastening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nd at the same time, cooperates with the stop piece (29) to function to prevent the fastening lever (33) from being arbitrarily deformed.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외관과 골격을 플레이트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1)는 베이스(32)와 측벽(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베이스(32)의 폭방향 양측에는 측벽(32')이 각각 상기 베이스(32)에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32')의 외면은 상기 무빙공간(23)의 양측 내면에 안내될 수 있다.The outer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above-mentioned moving plate (30) are formed by a plate body (31). The plate body (31) is composed of a base (32) and side walls (32'). The base (32) is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both side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32), side walls (32')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base (32).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32') can be guided to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23).

상기 베이스(32)에는 체결레버(33)가 있다. 상기 체결레버(33)는 상기 베이스(32)에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체결레버(33)에는 체결턱(33')이 있다. 상기 체결턱(33')은 상기 체결레버(33)의 외면에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33')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체결통공(13')에 위치되어 상기 체결단(13)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33)를 상기 베이스(32)에 형성하기 위해서, 분리슬릿(33")이 있다. 상기 분리슬릿(33")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체결레버(33)가 상기 베이스(32)에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The base (32) has a fastening lever (33). The fastening lever (33) is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on the base (32). The fastening lever (33) has a fastening jaw (33'). The fastening jaw (33') protrud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lever (33). The fastening jaw (33') is positioned in the fastening hole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can be hooked onto the fastening end (13). In order to form the fastening lever (33) on the base (32), a separation slit (33") is provided. Due to the separation slit (33"), the fastening lever (33) is formed on the base (32) a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체결레버(33)의 자유단부쪽에는 손잡이부(34)가 있다. 상기 손잡이부(34)는 작업자가 상기 체결레버(33)에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플레이트몸체(31)의 측벽(32') 외면에는 안내턱(3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턱(35)은 양측의 측벽(32')의 외면에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안내턱(35)은 상기 안내채널(25)에 위치되어 안내채널(2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re is a handle part (34) on the free end of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lever (33). The handle part (34) is a part where the worker applies force to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lever (33). There may be a guide protrusion (35)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2') of the above-mentioned plate body (31). The guide protrusion (35) protrudes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s (32') on both sides. The guide protrusion (35) is positioned in the above-mentioned guide channel (25) and can move along the guide channel (25).

상기 베이스(32)에는 연동턱(36)이 있다. 상기 연동턱(36)은 상기 베이스(3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턱(36)은 상기 측벽(32')의 돌출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동턱(36)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걸이레버(16)와 연동될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16)가 상기 연동턱(36)을 밀어서 이동플레이트(20)가 이동되게 하거나, 상기 걸이레버(16)에 상기 연동턱(36)이 걸어져서 제1커넥터(10)의 이동과 함께 상기 이동플레이트(20)가 상기 제2커넥터(20)에서 이동되게 할 수 있다.The base (32) has a linkage jaw (36). The linkage jaw (36)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2). The linkage jaw (36) may protrude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side wall (32'). The linkage jaw (36) may be linked with the hook lever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hook lever (16) may push the linkage jaw (36) to move the moving plate (20), or the hookage jaw (36) may be hooked to the hook lever (16) to move the moving plate (20) in the second connector (20)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nector (10).

상기 측벽(32')에서 단차지게 돌출되어 1차걸이단(37)이 있다. 상기 1차걸이단(37)은 상기 연동레버(26)의 걸이턱(27)의 걸이면(27')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면(27')에 상기 1차걸이단(37)이 걸어지면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제2하우징(21)에 고정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다. 상기 1차걸이단(37)이 상기 걸이턱(27)에 걸어지면, 일방향(상기 스톱편(29)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리고 타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안내채널(25)의 일단부에 상기 안내턱(35)이 위치됨에 의해 규제된다.There is a primary hanging member (37)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32') in a step manner. The primary hanging member (37) is hung on the hanging surface (27') of the hanging protrusion (27) of the linkage lever (26). When the primary hanging member (37) is hung on the hanging surface (27'), the moving plate (30) is fixed to the second housing (21) and cannot move in one direction. When the primary hanging member (37) is hung on the hanging protrusion (27), movement in one direction (toward the stop piece (29)) is restricted.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is restricted by the guide protrusion (35) being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guide channel (25).

상기 측벽(32')에는 상기 안내턱(35)이 돌출된 쪽 외면에 도피홈(38)이 있다. 상기 도피홈(38)은 상기 걸이턱(27)과 측벽(32')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피홈(38) 내에 상기 걸이턱(27)이 위치됨에 의해 상기 연동레버(26)가 탄성변형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도피홈(38)에 상기 걸이턱(27)이 위치되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체결된 상태에서 이다. The side wall (32') has a escape groove (38) on the outer surface where the guide jaw (35) protrudes. The escape groove (38) prevents interference between the hook jaw (27) and the side wall (32'). By positioning the hook jaw (27) within the escape groove (38), the linkage lever (26) is not elastically deformed. The hook jaw (27) is positioned in the escape groove (38)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fully engag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및 이를 가진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a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상기 해제레버(14)와 걸이레버(16)가 있어서, 제1커넥터(10)가 제2커넥터(20)와 결합되고 분리될 때, 상기 해제레버(14)가 이동플레이트(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10) has a release lever (14) and a hook lever (16), so that when the first connector (10) is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the release lever (14)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0).

상기 제2커넥터(20)에는 이동플레이트(30)가 있어서, 상기 무빙공간(23)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다.The second connector (20) has a movable plate (30) that can move within the moving space (23). When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not connected, the movable plate (30) is in a position as shown in Fig. 8.

먼저,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상기 제2하우징(21)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무빙공간(23)으로 상기 스톱편(29) 쪽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를 삽입한다. 즉, 상기 안내채널(25)이 개방된 쪽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안내턱(35)을 상기 안내채널(25)로 삽입한다. 상기 안내턱(35)이 상기 안내채널(25)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측벽(32')이 상기 무빙공간(23)의 양측 면에 안내되어 이동한다.First, the mounting of the moving plate (30) to the second housing (21) will be described. The moving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moving space (23) of the second housing (21) from the stop piece (29) side. That is, the guide protrusion (35) of the moving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guide channel (25) from the side where the guide channel (25) is open. When the guide protrusion (35) is moved along the guide channel (25), the side walls (32') of the moving plate (30) are guided to move on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23).

이 과정에서 상기 연동레버(26)는 상기 측벽(32')에 의해 상기 걸이턱(27)과 연동턱(28)이 안내되면서 탄성변형된다. 즉, 상기 걸이턱(27)의 안내면(27")과 상기 연동턱(28)의 연동경사면(28')을 따라 상기 측벽(32')이 안내되면서 상기 연동레버(26)가 상기 무빙공간(23)의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20)가 무빙공간(23)에서 이동하고, 상기 측벽(32')이 상기 걸이턱(27)을 통과하면, 상기 연동레버(26)가 복원되면서 상기 1차걸이단(37)이 상기 걸이턱(27)의 걸이면(27')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0)가 상기 제2하우징(21)에 대해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above-mentioned linkage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ed as the hook jaw (27) and the linkage jaw (28) are guided by the side wall (32'). That is, as the side wall (32') is guided along the guide surface (27") of the hook jaw (27) and the hook slope surface (28') of the hook jaw (28), the hook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oving space (23). In this way, when the moving plate (20) moves in the moving space (23) and the side wall (32') passes the hook jaw (27), the hook lever (26) is restored and the first hook end (37) is hooked to the hook surface (27') of the hook jaw (27). This state is illustrated in FIG. 8. In this state, the moving plate (2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2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20)와 결합되는데, 도 12에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결합되는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0)에 있는 체결레버(33)의 체결턱(33')이 아직 제1커넥터(10)의 체결단(13)을 통과하지 않은 상태이다.In this state, the first connector (10) is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upled is illustrated in Fig. 12. In this state, the fastening jaw (33') of the fastening lever (33) on the moving plate (30) has not yet passed through the fastening end (13) of the first connector (10).

도 13에는 상기 체결단(13)을 상기 체결레버(33)의 체결턱(33')이 통과하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레버(33)의 체결턱(33')이 상기 체결단(13)에 안내되면서 상기 체결레버(33)가 탄성변형된다.(도 13의 확대도 참조)Fig.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jaw (33') of the fastening lever (33) is about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13). As the fastening jaw (33') of the fastening lever (33) is guided to the fastening member (13), the fastening lever (33) is elastically deformed. (See enlarged view of Fig. 13)

도 14에는 상기 체결레버(33)의 체결턱(33')이 상기 체결단(13)을 통과해서 체결통공(13')에 위치된 상태이다. 이 상태까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제2커넥터(20)에 대해서 아직 이동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상기 걸이턱(27)에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1차걸이단(37)이 아직 걸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In Fig. 14, the fastening jaw (33') of the fastening lever (33) is positioned in the fastening hole (13') through the fastening end (13). Up to this point, the moving plate (30) has not yet mov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or (20). This is because the first hook end (37) of the moving plate (30) is still hooked to the hook jaw (27).

하지만, 도 14의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연동턱(36)에 상기 제1커넥터(10)의 걸이레버(16)의 걸이턱(16')이 접촉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해제레버(14)의 해제턱(14')이 상기 연동턱(28)에 안내되면서, 상기 연동레버(26)를 상기 무빙공간(23)의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키기 시작한다.However, in the state of Fig. 14, the hook jaw (16') of the hook lever (16)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in contact with the linkage jaw (36) of the moving plate (30). Then, as the release jaw (14') of the release lever (14) is guided to the linkage jaw (28), the linkage lever (26) begins to elastically deform toward the outside of the moving space (23).

즉, 상기 제2커넥터(20)와 상기 제1커넥터(10)가 더 가까워지면 상기 걸이턱(16')이 상기 연동턱(36)을 밀게 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이동할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턱(28)이 상기 해제레버(14)의 해제턱(14')에 의해 밀려서 상기 연동레버(26)가 탄성변형한다. 따라서, 상기 연동레버(26)의 걸이턱(27)이 상기 1차걸이단(37)에서 빠져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14의 상태에서부터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동작에 의해 밀려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nnector (10) come closer, the hooking jaw (16') pushes the linking jaw (36), so that the moving plate (30) obtains a force that allows it to move. Then, the linking jaw (28) is pushed by the release jaw (14') of the release lever (14), so that the linking lever (26)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the hooking jaw (27) of the linking lever (26) is removed from the first hooking end (37), so that the moving plate (30) can move. Therefore, from the state of FIG. 14, the moving plate (30) is push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nector (10) and moves together.

도 15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걸이레버(16)의 걸이턱(16')에 의해 밀려서 상기 제2커넥터(2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레버(33)의 자유단부에 상기 스톱편(29)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동레버(26)의 걸이턱(27)은 상기 도피홈(38) 내에 있게 된다.Fig. 1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completely coupled. The movable plate (30) is pushed by the hook jaw (16') of the hook lever (16) and moves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connector (20)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top piece (29) at the free end of the fastening lever (33). At this time, the hook jaw (27) of the linkage lever (26) is within the escape groove (38).

도 15의 상태에서는 상기 스톱편(29)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33)의 탄성변형이나 변형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도피홈(38) 내에 상기 걸이턱(27)이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의 이동이 일정 이하의 외력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n the state of Fig. 15, elastic deformation or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lever (33) is blocked by the stop piece (29). In addition, since the hook jaw (27) is located within the escape groove (38),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30) is prevented under a certain level of external force.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2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are separated and the moving plate (30) is moved will be described.

도 17의 (a)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작업자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0)를 밀어준다. 이때, 상기 도피홈(38) 내에 있는 상기 걸이턱(27)이 도피홈(38)에서 빠질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해야 한다. In (a) of Fig. 17, the worker pushes the moving plate (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a force must be applied to the extent that the hook jaw (27) within the escape groove (38) can be removed from the escape groove (38).

상기 이동플레이트(20)가 작업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동턱(36)이 상기 걸이레버(16)의 걸이턱(16')에 걸어진다. 즉, 상기 걸이레버(16)의 통공부(17')에 상기 연동턱(36)이 위치되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20)는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2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커넥터(10)와 함께 상기 이동플레이트(20)도 이동된다.When the above moving plate (20) is moved by a force applied by a worker, the linkage jaw (36) is caught on the linkage jaw (16') of the hook lever (16). That is, when the linkage jaw (36) is positioned on the opening (17') of the hook lever (16), and the moving plate (2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the moving plate (20) is also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or (10).

이와 같은 이동과정에서 상기 연동레버(26)의 걸이턱(27)의 걸이면(27')에 상기 이동플레이트(20)의 1차걸이단(37)이 걸어지면, 상기 이동플레이트(20)는 더 이상 제1커넥터(10)와 함께 이동하지 못한다. 이는 상기 걸이면(27')이 상기 연동레버(26)의 표면에 직교하고, 상기 연동턱(36)과 걸이턱(16')의 대응되는 면은 각각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걸이면(27')에서 1차걸이단(37)이 빠지는 힘보다는 상기 연동턱(36)에서 상기 걸이턱(16')이 빠지는 힘이 더 작게 들기 때문이다.In this moving process, when the first hooking end (37) of the moving plate (20) is hooked on the hooking surface (27') of the hooking jaw (27) of the linkage lever (26), the moving plate (20) can no longer move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or (10). This is because the hooking surface (27') 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linkage lever (26),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linkage jaw (36) and the hooking jaw (16') each have a slight incline. That is, the force for the hooking jaw (16') to detach from the linkage jaw (36) is smaller than the force for the first hooking end (37) to detach from the hooking surface (27').

따라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0)는 상기 제2커넥터(20)의 무빙공간(23)에 남게 되고, 상기 제1커넥터(10)는 상기 제2커넥터(20)와 분리된다.Accordingly, the moving plate (30) remains in the moving space (23) of the second connector (20), and the first connector (1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20).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illustr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커넥터조립체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1': 제1내부공간
12: 제1터미널안착공간 13: 체결단
13': 체결통공 14: 해제레버
14': 해제턱 15: 간섭회피공간
16: 걸이레버 16': 걸이턱
17: 연결레그 17': 통공부
20: 제2커넥터 21: 제2하우징
22: 제2터미널안착공간 23: 무빙공간
24: 보호펜스 25: 안내채널
26: 연동레버 27: 걸이턱
27': 걸이면 27": 안내면
28: 연동턱 28': 연동경사면
29: 스톱편 30: 이동플레이트
31: 플레이트몸체 32: 베이스
32': 측벽 33: 체결레버
33': 체결턱 33": 분리슬릿
34: 손잡이부 35: 안내턱
36: 연동턱 37: 1차걸이단
38: 도피공
1: Connector assembly 10: First connector
11: 1st housing 11': 1st interior space
12: Terminal 1 landing area 13: Conclusion stage
13': Locking hole 14: Release lever
14': Release jaw 15: Interference avoidance space
16: Hanging lever 16': Hanging jaw
17: Connecting leg 17': Through hole
20: Second connector 21: Second housing
22: Terminal 2 Settlement Space 23: Moving Space
24: Protective fence 25: Information channel
26: Linkage lever 27: Hook
27': If you walk 27": If you guide
28: Linkage jaw 28': Linkage slope
29: Stop 30: Moving Plate
31: Plate body 32: Base
32': Side wall 33: Fastening lever
33': Fastening jaw 33": Separating slit
34: Handle 35: Guide jaw
36: Linkage jaw 37: 1st hanging section
38: Escape

Claims (26)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에 있는 이동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게 하는 걸이레버를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made of insulating material with a terminal moun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terior,
A terminal located in the above terminal moun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release lever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formed in an internal space into which a counterpart connector is inserted, to unlock the moving plate in the counterpart connector;
A connector including a hanging lever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coupled with the moving plate to move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는 상기 걸이레버를 사이에 두고 2개가 쌍을 이루는 커넥터.
In the first paragraph, the release lever is a connector in which two are paired with the hook lever in betwee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레버에는 해제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커넥터.
In the second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a release jaw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release lev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턱은 양측의 해제레버의 것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커넥터.
In the third paragraph, the release jaw is a connector in which the release levers on both sides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는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의 폭방양 양측에 각각 연결레그가 구비되는 커넥터.
A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hook lever has a hook jaw formed at the tip, and connecting leg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width sides of the hook jaw.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상기 연결레버와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인 통공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In the fifth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anging lever and is surrounded by the hanging jaw, the connecting le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nal space.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무빙공간과,
상기 무빙공간에서 이동가능하고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버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턱과 상대 커넥터의 일측과 연동되어 상기 걸이턱과 이동플레이트의 결합과 분리를 제어하는 연동턱을 가지는 연동레버와,
상기 무빙공간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레버를 지지하는 스톱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made of insulating material with a terminal moun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interior,
A terminal located in the above terminal moun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moving space form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hous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movable plate that can move in the above moving space and has a fastening lever for fasten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A linkage lever having a hook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 linkage lever that is linked to one side of the opposite connector to control the connection and separation of the hook and the moving plate,
A connector including a stop piece that supports the fastening lever while being provided in the above moving space and fastened to a counterpart connecto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이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 상기 연동레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넥터.
In the 7th paragraph, a connector in which 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s forme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on the inn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뒷쪽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의 앞쪽 단부는 개방되지 않아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커넥터.
In the 8th paragraph, the guide channel is opened to the rear end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is not opened, so as to regulate the movement stroke of the moving pl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과 연동턱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걸어지는 걸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턱은 상기 연동레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동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
In the seventh paragraph, the hook and the linkage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hook and the linkage includes a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nd a hook surface that is hook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linkage has a linkage inclined surfac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A connector.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와 연동을 위한 연동턱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1차걸이단을 구비하는 커넥터.
A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the movable plate comprises a plate body provided with the fastening lever, an interlocking jaw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body for interlocking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and a primary hooking e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body to selectively hook onto the hooking jaw of the interlocking lev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상기 체결레버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1차걸이단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In the 11th paragraph, the plate body is a connector including a base having the fastening lever and a side wall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on which the first hanging end is formed.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에 위치되는 안내턱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커넥터.
A connector in which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is positioned in a guide channel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n the 12th paragraph.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1차걸이단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도피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A connector in which, in the 11th paragraph, an escape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anging end of the side wall, in which the linkage jaw of the linkage lever is selectively positioned.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개구되는 제1내부공간에는 해제턱을 구비한 해제레버와 걸이턱을 구비하는 걸이레버가 있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하우징에는 무빙공간이 형성되어 이동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는 연동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무빙공간의 일측에는 스톱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무빙공간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무빙공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턱을 가지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스톱편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가 지지되어 탄성변형이 규제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first internal space opening toward the front of the first housing, there is a first connector having a release lever having a release jaw and a hook lever having a hook jaw,
A second housing, at least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ternal space, has a moving space formed therein, a moving plate is installed movably, a linkage lev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and a second connector is formed by protruding a stop piece on one side of the moving space.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movable plate, wherein the movable plate is movably installed within the moving space and is unlocked by a release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so as to be movable within the moving space, and has a fastening lever having a fastening jaw for fastening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fastening lever is supported by the stop piece in a coupl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be regulated from elastic deforma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 사이에는 걸이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레버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이동플레이트가 함께 이동하도록 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15th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hook lever is provided between the release levers of the first connector, an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first connector, the hook lever and one side of the moving plate are coupled so tha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moving plate move togeth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에는 선단에 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아턱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연결레그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16th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hook jaw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ok lever and connecting leg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widthwise sides of the hook jaw.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레버에는 상기 걸이턱과 상기 연결레버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인 통공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16th paragraph,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anging lever and is surrounded by the hanging jaw, the connecting le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는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위치를 규제하는 걸이턱과 상기 제1커넥터의 해제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걸이턱과 이동플레이트의 결합과 분리를 제어하는 연동턱을 가지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15th paragraph, the linkage lever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and is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hook jaw that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and a linkage jaw that controls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ook jaw and the moving plate by being linked with the release lever of the first connector.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과 연동턱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걸이턱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과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걸어지는 걸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동턱은 상기 연동레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연동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19th paragraph, the hook jaw and the linking jaw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hook jaw includes a guide surface formed to be inclined and a hook surface that is hooked to the moving plate, and the linking jaw has a linking inclined surfac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ing lever. A connector assembl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이 상기 무빙공간의 양측 내면에 상기 연동레버의 연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in the 15th paragraph, a guide channe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moving spa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linkage lever.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채널은 상기 제2하우징의 뒷쪽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앞쪽 단부는 개방되지 않아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행정을 규제하는 커넥터조립체.
In the 21st paragraph, the guide channel is open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housing is not opened, thereby regulating the movement stroke of the moving plate.
제 15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플레이트몸체와,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연동을 위한 연동턱과,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동레버의 걸이턱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1차걸이단을 구비하는 커넥터조립체.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2, wherein the moving plate comprises a plate body provided with the fastening lever, a linkage jaw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body for linkage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a first hooking e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body to selectively hook onto the hooking jaw of the linkage lev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상기 체결레버가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1차걸이단이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In claim 23, the plate body is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base having the fastening lever and a side wall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on which the primary hanging end is formed.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채널에 위치되는 안내턱이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space and positioned in a guide channel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s formed on the side wall in the 24th paragraph.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1차걸이단에 인접하여서는 상기 연동레버의 연동턱이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도피홈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in paragraph 24, an escape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the first hanging end of the side wall, in which the linkage jaw of the linkage lever is selectively positioned.
KR1020240034735A 2024-03-12 2024-03-12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Pending KR202501380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735A KR20250138007A (en) 2024-03-12 2024-03-12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735A KR20250138007A (en) 2024-03-12 2024-03-12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138007A true KR20250138007A (en) 2025-09-19

Family

ID=9717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735A Pending KR20250138007A (en) 2024-03-12 2024-03-12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1380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1179A (en) Locking mechanism for a connector assembly of low engaging/disengaging force type
JP440516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half assembly
KR100946917B1 (en) Lever-coupled connector assembly with positioning device
US5643003A (en) Housing latch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106321A (en) Incomplete-engagement prevention type connector assembly
KR20020046947A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rlocking system
CN110571567B (en) Staged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327067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penable cover
KR100796028B1 (en) Connector Locking Structure
JP3511431B2 (en) Connector with terminal lock
KR102242425B1 (en)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WO2021010261A1 (en) Connector
KR20250138007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2675514B1 (en) Connector assembly
KR102743034B1 (en) 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US6220886B1 (en) Connector
KR102807834B1 (en) Slide lever type connector
KR102796356B1 (en) Connector
KR102872195B1 (en) Connector
KR102695393B1 (en) Waterproof type connector assembly
KR102807830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KR102836191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e
KR102695394B1 (en) Panel mounting type connector
KR20240070054A (en) 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4056489B2 (en) Connector lock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