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72536A -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72536A
KR20250072536A KR1020240163075A KR20240163075A KR20250072536A KR 20250072536 A KR20250072536 A KR 20250072536A KR 1020240163075 A KR1020240163075 A KR 1020240163075A KR 20240163075 A KR20240163075 A KR 20240163075A KR 20250072536 A KR20250072536 A KR 2025007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tch
control
input unit
re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163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5007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7253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1/00Mechanical apparatus for control of a series of operations, i.e. programme control, e.g. involving a set of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시스템은 각 유닛들의 조작에 대한 제1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1입력부; 제1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이하 '조작정보'라 함)를 기록할 수 있는 정보기록부; 및 정보기록부에 기록된 조작정보에 따른 조작이 실행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제2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2입력부; 를 포함하고, 차량 연동 제어부는 제2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정보기록부에 기록된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C턴 과정에서 조작의 수월함이 향상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The oper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first control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each unit; an information recording unit capable of recording information on a user's operation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second control command of the user to execut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an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executes a control that follow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se of operation is improved, especially during the C-turn process.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농업용 작업차량의 작업 중 조향과 관련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related to steering during operation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농업용 작업차량으로는 농용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이 있다.Agricultural work vehicles include agricultural tractors, combines, and rice transplanters.

본 발명은 전자식 조작이 가능한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농용트랙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capable of electronic operatio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using an agricultural tractor as an example.

농용트랙터는 농작업에 필요한 각종 작업기를 탈착해 가면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차량이다.An agricultural tractor is a work vehicle that can perform necessary work by attaching and detaching various work tools necessary for agricultural work.

농용트랙터에 장착될 수 있는 작업기로는 로터베이터(Rotavator)나 쟁기 등이 있다.Work machines that can be mounted on agricultural tractors include rotavators and plows.

일반적인 경운작업에서 농용트랙터는 작업지 끝에서 C턴으로 회전을 한다.In typical tillage work, the agricultural tractor makes a C-turn at the end of the work area.

사용자(운전자)는 핸들을 조작하여 앞바퀴를 회전시킴으로써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user (driver)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to turn the front wheels.

작업 중에는 앞바퀴의 회전과 부대하여 여러 조작이 요구될 수 있다.During operation, several manipulations may be required, including rotation of the front wheels.

사용자는 작업기의 승강 조작, 동력발생기(엔진, 전기모터)의 회전수 증감, 주행 단수의 변경, 보조 유압 조작 등 한번에 많은 조작을 수초 내에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Users are required to perform many operations repeatedly within a few seconds, such as raising and lowering the work tool,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engine, electric motor), changing the driving speed, and operating auxiliary hydraulics.

작업지의 규모가 작은 국내 농업의 경우 빈번히 회전해야 한다.In domestic agriculture where the scale of the work area is small, frequent rotation is necessary.

빈번한 회전은 관련 조작의 피로도를 높이고, 조작 오류의 개연성을 내포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고정밀 지피에스(GPS), 컨트롤러, 관련 사용자 조작부 및 조향장치를 장착한 주행보조장치도 보급되는 추세이다.Frequent turns increase the fatigue of related operations and include the possibility of operational errors. To solve this problem, driving assistance devices equipped with high-precision GPS, controllers, related user controls, and steering devices are also becoming widespread.

출원인의 경우 차량의 주행 제어뿐만 아니라 차량과의 통합 연동 제어를 통해 일부 해결하고 있고, 타사들도 관련 자동화 솔루션을 유사하게 제공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 applicant, the problem is partially solved through integrated linkage control with the vehicle as well as driving control of the vehicle, and other companies are also providing similar related automation solutions.

하지만, 관련 자동화 작업에도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automation work involved.

특정 조건의 작업지(규격화된 밭/전, 사각형 형상)에서는 자동 직진 및 회전과 차량 제어가 가능하지만, 형상이 복잡한 비정형 작업지에서는 자동 회전과 차량 연동 제어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In work areas with specific conditions (standardized fields/fields, square shapes), automatic straightening and turning as well as vehicle control are possible, but in irregular work areas with complex shapes, automatic turning and vehicle linkage control may not be available.

우리나라의 경우 밭은 대부분 농지 정리가 되지 않아서 밭의 경계가 직선이 아닌 곡선인 경우가 많고, 그 평면 형상도 사각형이 아닌 비정형적인 다각형을 취한다.In the case of our country, most fields are not farmland, so the boundaries of the fields are often curved rather than straight, and their plan shape is not a square but an irregular polygon.

도 1의 (a) 및 (b)는 비정형 작업지에서 이루어지는 자율 주행 작업의 예시를 보여준다.Figures 1 (a) and (b) show examples of autonomous driving tasks performed on an irregular work surface.

도 1의 (a)에서와 같이, 자율 주행 작업을 위해서는 밭의 최외곽이 아닌 일부만을 사각형의 형태로 설정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직진 및 선회를 자동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지의 나머지는 사용자가 직접 운전하여 작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As in (a) of Fig. 1, for autonomous driving tasks, only a part of the field, not the outermost part, must be set in a square shape to proceed with the task so that straight driving and turning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In this case, there is the difficulty that the user must drive and work on the rest of the work area.

도 1의 (b)에서와 같이, 밭의 이랑을 만드는 작업의 경우에는 최외곽에서 직선으로 만들어야 하기에 자율 주행의 직진 기능 밖에는 사용할 수 없다. 작업지 중간에서는 자동으로 직진 주행을 하고, 끝에서는 사용자가 핸들 조작, 엔진 회전수 증감 조작, 작업기 승강 조작, 주행 단수 조작 등을 모두 직접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s in Fig. 1 (b), in the case of the work of making furrows in a field, since it must be made in a straight line from the outermost edge, only the straight-line function of autonomous driving can be used. In the middle of the work area, it automatically drives straight, but at the end, the user must directly operate the steering wheel, increase/decrease engine speed, raise/lower the implement, and operate the driving speed, which is inconvenient.

이를 해결하고자 회전 기능을 사용자 조작 모니터에 추가해서 사용자가 직접 실행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안된 기술도 있다. To address this, a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o add a rotation function to the user-controlled monitor,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ability to execute it directly.

도 2는 자율 주행에 적용된 관련 기술(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을 보여준다.Figure 2 shows related technologies applied to autonomous driv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technologies”).

선행기술은 작업지의 형태에 따라서 작업지 내부에 자율 작업 영역의 경계(WB)를 설정하도록 구현되며, 회전 영역을 표시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prior art is implemented to set the boundary (WB) of an autonomous work area within a workshe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sheet, and provides a function to display a rotation area.

사용자는 선회 방향이나 건너 띄울 작업 열 수 등도 설정할 수 있다.Users can also set the turning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asks to skip.

모니터의 버튼 영역(BF)에 있는 각종 버튼들의 조작에 의해 설정 및 선회하는 기능이 실행된다.The setting and turning functions are executed by operating the various buttons in the button area (BF) of the monitor.

선행기술이 적용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이미 작업된 영역을 사전에 판단하여 선회 방향과 건너 뛸 작업 열 등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한다.In order for prior art to be applied, users must go through the hassle of having to judge the area that has already been worked on in advance and modify the turning direction and the work rows to be skipped.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131315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21-0131315

비정형 형태의 작업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C턴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최소화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echnology is required to minimize user manipulation during various C-turn processes in irregularly shaped workspaces.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은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 증감 조절을 위한 증감유닛(111);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 방향 제어를 위한 조향유닛(112);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 단수 제어를 위한 변속유닛(113);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에 의해 견인되는 작업기(WA)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15);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전자식 제어를 담당하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조작에 대한 제1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1입력부(130);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이하 '조작정보'라 함)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기록부(140); 및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조작정보에 따른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2입력부(150);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제2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조작정보를 추종하여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이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한다.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crease/decrease unit (111) for controlling an increase/decrease in the rotation speed of a power generator (DS) that provides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steering unit (112) for controll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shifting unit (11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n elevating unit (115) for elevating a work machine (WA) towed by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n charge of electronic control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elevating unit (115); A first input unit (130) capable of inputting a first control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elevation unit (115)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n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r's operation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input unit (150) capable of inputting a second control command for execut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lifting unit (115) to operate in conjunction by follow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상기 제2입력부(150)는 운전석(2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200)의 암레스트(210)에 설치된다.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armrest (210) of the driver's seat (200) so that it can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r's seat (200).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운전석(200)의 좌측 암레스트(210)에 설치된다.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left armrest (210) of the driver's seat (200).

상기 제1입력부(130)에 의한 수동제어모드와 상기 제2입력부(150)에 의한 자동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스위치(17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모드스위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한 제1제어명령과 상기 제2입력부(150)를 통한 제2제어명령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조작을 제어한다.It further includes a mode switch (170) that can select either a manual control mode by the first input unit (130) or an automatic control mode by the second input unit (150); an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elevating unit (115)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mode switch, in accordance with either a first control command via the first input unit (130) or a second control command via the second input unit (150).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작업차량(WV)의 좌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좌회전스위치(151); 및 상기 작업차량(WV)의 우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우회전스위치(152);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좌회전스위치(151) 또는 상기 우회전스위치(15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2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의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ncludes a left turn switch (151) for commanding a left turn of the work vehicle (WV); and a right turn switch (152) for commanding a right turn of the work vehicle (WV); an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control to follow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a left or right tur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command of a user input through the left turn switch (151) or the right turn switch (152).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을 종료하도록 사용자가 명령할 수 있는 기록스위치(154); 를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ncludes a recording switch (154) that allows a user to command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record or end recording of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제2입력부(150)는 회전구간과 직진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스위치; 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second input section (150) further includes a distinction switch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rotary section and a straight section.

상기 정보기록부는 회전구간에서는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진 조작들에 대한 조작정보를 저장한다.The above information recorder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for operations performed in time series during the rotation section.

상기 제2 입력부(150)는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기록된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스위치; 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witch that enables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o select a point in time at which control is performed to follow the recorded operation information.

상기 제2입력부(150)는 앞바퀴를 직진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직진스위치; 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further includes a straight-line switch capable of commanding the front wheels to be aligned in a straight-line direction.

상기 조향유닛(112)의 조작에 대한 제3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3입력부(160); 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third input unit (160) capable of inputting a third control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steering unit (112).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제2입력부(130)를 통한 제2제어명령보다 상기 제3입력부(150)를 통한 제3베어명령 또는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한 제1제어명령을 우선하여 따르도록 설계된다.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s designed to give priority to the third bear command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50) or the first control comman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over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30).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제2입력부(150)에 있는 조작스위치들의 기능을 서로 바꾸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스위치(154); 를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ncludes a setting switch (154) that allows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witches in the second input unit (150) to be interchanged and set.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의 작동방법은 기록스위치(15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는 기록 시작 단계; 조작이벤트가 처음 발생한 시점부터 구분스위치의 첫 번째 조작이 발생한 시점까지의 제1 조작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 단계; 상기 제1 저장 단계 후 상기 구분스위치의 두 번째 조작이 발생한 시점부터 마지막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제2 조작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단계; 상기 기록스위치(15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기록 종료 단계; 및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1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1 조작정보와 상기 제2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2 조작정보를 추종하여 농업용 작업차량(MV)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시작 단계, 상기 제1 저장 단계, 상기 제2 저장 단계 및 상기 기록 종료 단계는 수동제어모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주행 제어 단계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이루어진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ording start step in which an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arts recording operation information by a user's command through a recording switch (154); a first storage step in which first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an operation event first occurs to the time when a first operation of a classification switch occurs is stored; a second storage step in which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a second operation of the classification switch occurs to the time when a last operation event occurs after the first storage step is stored; a recording end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ends recording of the operation information by a user's command through the recording switch (154); and a driving control step in which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riving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MV) by follow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tep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tep. , and the recording start step, the first storage step, the second storage step, and the recording end step are performed in a manual control mode, and the driving control step is performed in an automatic control mode.

상기 주행 제어 단계는 회전스위치(151, 152)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1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1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1 제어를 진행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단계 후, 상기 회전스위치(151, 152)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2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2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2 제어를 진행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한다.The driving control step includes a first control step in which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first control to follow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tep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via the rotary switch (151, 152); and a second control step in which,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second control to follow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tep in response to a user's command via the rotary switch (151, 152).

상기 제1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단계 사이에서 상기 구분스위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으로 상기 제2 제어 단계가 수행되는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control step is performed can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command via the division switch between the first control step and the second control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핸들뿐만 아니라 많은 조작을 하나의 스위치로 연동 제어를 할 수 있기에 작업의 피로와 반복 조작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First, since many operations, not just the handle, can be controlled with a single switch, it can reduce work fatigue and mistakes from repetitive operations.

둘째, 시각에 의존하지 않고 손의 감각에 의해 제2입력부 내 각 스위치들의 위치가 정확히 특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의 자유도 및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조작이 수월하다.Second, since the positions of each switch in the second input section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by the sense of the hand without relying on sight, it is easy to operate while increasing the freedom and usability of vision.

셋째, 후진 주행 작업 시 핸들 조작을 대신하여 운전석과 함께 이동되는 제3입력부에 의해 조향 제어가 가능하기에 후방을 바라보며 작업이 가능하다.Third, when driving backwards, steering control is possible through a third input unit that moves together with the driver's seat instead of steering wheel operation, so the work can be done while looking toward the rear.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차량 연동 제어부를 각각의 기능별로 나누어 도시한 기능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입력부에 대한 일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제2입력부의 배치에 대한 일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3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을 구성하는 제3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8은 도 3의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Figures 1 and 2 are reference drawings for explaining conventional technologies.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dividing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of Figure 3 into each func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a second input un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operating syste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of Figure 3.
Figure 6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input unit of Figure 5.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third input unit constituting the electronic operating syste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of Figure 3.
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of the agricultural work vehicle of Figure 3.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주지된 구성이나 중복될 수 있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for the sake of brevity, well-known configurations or descriptions that may be redundant are omitted or compressed as much as possible.

<농업용 작업차량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agricultural work vehicles>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농업용 작업차량(이하 '작업차량'이라 함)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이하 '전자식 조작시스템'이라 약칭함)은 도 3에서와 같이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승강유닛(115), 차량 연동 제어부(120), 제1입력부(130), 정보기록부(140), 제2입력부(150), 제3입력부(160) 및 모드스위치(170) 등을 포함한다.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100, hereinafter abbreviated as “electronic operation system”)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work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s shown in FIG. 3, an increase/decrease unit (111), a steering unit (112), a shifting unit (113), a brake unit (114), an elevation unit (115),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 first input unit (130), an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a second input unit (150), a third input unit (160), and a mode switch (170).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은 차량 연동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전자식 제어 시스템으로 구축된다.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ing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are constructed as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that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증감유닛(111)은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RPM) 증감을 조절하기 위해 조작된다.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is operated to control the increase/decrease in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power generator (DS).

증감유닛(111)이 조작되면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는 증가하거나 감소된다.When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is operated,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increases or decreases.

동력발생기(DS)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킨다.The power generator (DS) generates the power required to drive agricultural work vehicles.

동력발생기(DS)는 내연기관이거나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The power generator (DS) can be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an electric motor driven by batteries.

동력발생기(DS)는 작업차량에 의해 견인되는 작업기(WA)의 승강이나 작업기(WA)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의 공급원으로서도 기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or (DS) can also be implemented to function as a power source required for lifting a work machine (WA) towed by a work vehicle or for operating the work machine (WA).

조향유닛(112)은 작업차량의 주행 방향을 제어 및 조절하기 위해 조작된다.The steering unit (112) is operated to control and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조향유닛(112)이 조작되면 작업차량의 주행 방향이 전환된다.When the steering unit (112) is operate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work vehicle changes.

조향유닛(112)이 조작되면 작업차량의 앞바퀴가 향하는 방향이 설정되고, 작업차량은 설정된 앞바퀴의 방향을 따라 주행한다.When the steering unit (112) is operated,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wheels of the work vehicle are directed is set, and the work vehicle drives along the set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변속유닛(113)은 작업차량의 주행 단수를 제어하기 위해 조작된다.The transmission unit (113) is operated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work vehicle.

변속유닛(113)이 조작되면 주행 단수가 변경되면서 회전 동력의 토크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며, 동력전달기(DS)의 회전수가 동일한 경우 작업차량의 주행 속도가 감소되거나 증가된다.When the transmission unit (113) is operated, the driving speed changes and the torque of the rotational power increases or decreases, and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transmission (DS) remains the same, the driving speed of the work vehicle decreases or increases.

브레이크유닛(114)은 작업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작업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해 조작된다. The brake unit (114) is operated to slow down the driving speed of the work vehicle or to stop the work vehicle.

브레이크유닛(114)이 조작되면 작업차량의 바퀴에 제동력이 작용하여 감속되거나 제동력이 풀리면서 증속될 수 있다.When the brake unit (114) is operated,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wheels of the work vehicle to decelerate it, or the braking force is released to increase its speed.

농작업에 사용되는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속도가 매우 느리게 운행된다. 현장의 작업 과정에서 사용자는 브레이크유닛(114)에 의한 감속보다는 변속에 의한 감속을 주로 선호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감속 과정에서도 브레이크유닛(114)의 조작보다는 변속유닛(113)의 조작만으로도 감속을 실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유닛(114)은 본 발명을 이루는 필수적인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The work vehicle used for agricultural work is operated at a very slow speed during the work process. During the work process on site, the user mainly prefers deceleration by shifting rather than deceleration by the brake unit (114). In the deceleration proces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celeration can be realized only by operating the shifting unit (113) rather than operating the brake unit (114). Therefore, the brake unit (114) can be omitted from the essential components 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승강유닛(115)은 작업차량에 견인되는 작업기(WA)를 승강시키도록 조작된다.The lifting unit (115) is operated to raise and lower a work machine (WA) towed by a work vehicle.

일반적으로 C턴 과정은 실질 작업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작업기(WA)가 들어 올려진 상승된 상태에서 C턴이 이루어지고, C턴이 종료되면 작업을 위해 작업기(WA)가 하강될 필요가 있다.In general, the C-turn process is not related to actual work, so the C-turn is performed while the work machine (WA) is raised and in an elevated state, and when the C-turn is completed, the work machine (WA) needs to be lowered for work.

승강유닛(115)이 조작되면 작업기(WA)가 상승하거나 하강된다.When the lifting unit (115) is operated, the work machine (WA) rises or lowers.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전자식 제어를 담당한다.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s responsible for electronic control.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의 조작을 제어한다. 특히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좌회전 또는 우회전 과정에서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이 연동하여 조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 unit (113), the brake unit (114), and the elevating unit (115)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In particular,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an control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 unit (113), the brake unit (114), and the elevating unit (115)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during a left or right turn.

차량 연동 제어부(120)에서 발생시킨 제어신호에 의해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이 조작된다.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are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작업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세부 제어수단들을 가질 수 있다.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may have various detailed control mean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vehicle.

도 4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에 대한 일 실시 형태를 보여준다.Figure 4 shows one embodiment of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도 4의 구성들은 하드웨어적 구성이 아니라 기능적 구성으로 나뉘어 있도록 도시되었다. 따라서 반드시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제한되게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configurations in Fig. 4 are depicted as being divided into functional configurations rather than hardware configurations. Therefore,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hardware configurations.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회전수제어수단(121), 조향제어수단(122), 변속제어수단(123), 브레이크제어수단(124) 및 승강제어수단(125) 등을 포함한다.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ncludes a rotation speed control means (121), a steering control means (122), a shift control means (123), a brake control means (124), and an elevation control means (125).

각각의 회전수제어수단(121), 조향제어수단(122), 변속제어수단(123), 브레이크제어수단(123), 승강제어수단(125)은 캔(CAN)통신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서 필요한 정보를 취합하고, 각각의 제어신호는 취합된 정보를 감안하여 생성된다.Each rotation speed control means (121), steering control means (122), shift control means (123), brake control means (123), and elevation control means (125) are organically connected through CAN communication to collect necessary information, and each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llected information.

회전수제어수단(121)은 회전수 상태 정보나 조속페달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증감유닛(111)이 조작되게 한다. 증감유닛(111)이 조작되면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가 증감된다.The rotation speed control means (121) obtains rotation speed status information or speed pedal status information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operate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When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is operated,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increases/decrease.

조향제어수단(122)은 수평센서(HS)나 조향각센서(AS)로부터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조향유닛(112)이 조작되게 한다. 조향유닛(112)이 조작되면 앞바퀴의 각도가 전환된다.The steering control means (122)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horizontal sensor (HS) or a steering angle sensor (AS), thereby operating the steering unit (112). When the steering unit (112) is operated, the angle of the front wheels is changed.

변속제어수단(123)은 전후진 전환용 셔틀레버, 변속레버 및 클러치페달의 상태 정보, 주변속의 단수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변속유닛(113)이 조작되게 한다. 변속유닛(113)이 조작되면 주행 단수의 변경이 이루어진다.The gear control means (123) obtains status information of the shuttle lever for forward/reverse switching, the gear lever and the clutch pedal, and the gear number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gears,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operate the gear unit (113). When the gear unit (113) is operated, the driving gear is changed.

브레이크제어수단(124)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브레이크유닛(114)이 조작되게 한다. 브레이크유닛(114)이 조작되면 바퀴에 제동이 걸리거나 제동이 풀리면서 작업차량의 속도가 감속되거나 증속된다.The brake control means (124)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operate the brake unit (114). When the brake unit (114) is operated, the wheels are braked or released, thereby slowing down or increasing the speed of the work vehicle.

승강제어수단(125)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승강유닛(115)이 조작되게 한다. 승강유닛(115)이 조작되면 작업기(WA)가 상승하거나 하강된다.The lifting control means (125)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a user to operate the lifting unit (115). When the lifting unit (115) is operated, the work machine (WA) rises or lowers.

도 4에서 수평센서(HS)와 조향각센서(AS)는 작업차량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주행을 위해 구비된다.In Fig. 4, a horizontal sensor (HS) and a steering angle sensor (AS) are provided for stable and accurate driving of the work vehicle.

수평센서(HS)는 작업차량의 수평정보를 감지한다.The horizontal sensor (HS) detects the horizontal information of the work vehicle.

수평정보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에서 작업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및 C턴을 제어하도록 활용된다.Horizontal information is used by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o control stable driving and C-turn of the work vehicle.

조향각센서(AS)는 앞바퀴의 조향각을 감지하여, 앞바퀴가 필요한 만큼의 각도로 정확히 회전되게 제어하도록 활용된다.The steering angle sensor (AS) detects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and is used to control the front wheels to rotate at the required angle.

제1입력부(130)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사용자의 제1제어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first input unit (130) is provided to input the user's first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제1입력부(130)는 수동제어모드에서 활용된다.The first input unit (130) is used in manual control mode.

제1입력부(130)는 통상적인 조속레버나 조속페달, 핸들, 클러치페달, 변속레버, 셔틀레버, 브레이크페달 및 승강레버 등과 같이 작업차량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입력수단들로 구비된다.The first input unit (130) is equipped with input means generally equipped in a work vehicle, such as a conventional speed lever, speed pedal, handle, clutch pedal, shift lever, shuttle lever, brake pedal, and lift lever.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에 구비된 임의의 입력수단을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제1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해당 입력수단에 의해 지시되는 제1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When a user inputs an arbitrary first control command by operating any input means provided in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trol command indicated by the input means.

조속레버나 조속페달은 증감유닛(111)이 조작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조속레버나 조속페달이 조작되면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가 증감된다.The throttle lever or throttle pedal is an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When the throttle lever or throttle pedal is operated by the user,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increases or decreases.

핸들은 조향유닛(112)이 조작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핸들이 조작되면 앞바퀴의 방향이 전환된다.The handle is an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teering unit (112). When the handle is operated by the user,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s is changed.

변속레버와 셔틀레버는 변속유닛(113)이 조작되게 하여 주행 단수나 주행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변속레버가 조작되면 주행 단수가 변경되고, 셔틀레버가 조작되면 전후진 간 주행 방향이 전환된다.The shift lever and shuttle lever are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hift unit (113) to change the driving speed or driving direction. When the shift lever is operated by the user, the driving speed is changed, and when the shuttle lever is operated, the driving direction is changed between forward and backward.

브레이크페달은 브레이크유닛(114)이 조작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브레이크페달이 조작되면 바퀴에 제동력이 발생하거나 제동력이 풀린다.The brake pedal is an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brake unit (114). When the brake pedal is operated by the user,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wheel or released.

승강레버는 승강유닛(115)이 조작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사용자에 의해 승강레버가 조작되면 작업기(WA)가 승강된다.The lifting lever is an input means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lifting unit (115). When the lifting lever is operated by the user, the work unit (WA) is raised and lowered.

정보기록부(14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이하 '조작정보'라 함)를 기록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can record information on the user's operations enter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on information').

조작정보는 단일한 조작에 따른 정보일 수도 있지만, 시간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조작들에 따른 시계열적인 조작패턴일 수 있다.Manipul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single operation, but it may also be a time-series pattern of operations that occur sequentially over time.

만일, 사용자가 작업기(WA) 상승을 위한 승강레버 조작, 작업차량의 속도를 늦추기 위한 브레이크페달 조작, 우회전을 위한 핸들 조작 및 직진을 위한 핸들조작을 순차적으로 진행했다면, 이러한 조작들에 대한 시계열적으로 기록된 조작정보가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록된다.If the user sequentially operates the lifting lever to raise the work machine (WA), operates the brake pedal to slow down the work vehicle,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make a right turn, and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go straight,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ime series for these operations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er (140).

정보기록부(140)에 의한 조작정보의 기록 및 종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Recording and termination of operation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recorder (140)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s choice.

제2입력부(150)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사용자의 제2제어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s provided to input the user's second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제2입력부(150)는 자동제어모드에서의 주행을 담당하기 위해 활용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s used to handle driving in automatic control mode.

제2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제2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정보기록부(140)에 기록된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실행시킨다.When the user's second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executes control that follow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은 조작정보를 추종하도록 조작된다.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are operated to follow the operating information.

특히, 조작정보가 여러 조작이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여러 조작이 시계열적으로 서로 연동하여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when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is such that multiple manipulations are performed in a time series manner, the multiple manipulations are performed in a time series manner an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도 5는 제2입력부(150)에 대한 일 예시이다.Figure 5 is an example of a second input unit (150).

도 5의 제2입력부(150)는 좌회전스위치(151), 우회전스위치(152), 중앙스위치(153), 기록스위치(154), 브레이크스위치(155), 전진스위치(156), 후진스위치(157), 설정스위치(158)를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unit (150) of Fig. 5 includes a left turn switch (151), a right turn switch (152), a center switch (153), a recording switch (154), a brake switch (155), a forward switch (156), a reverse switch (157), and a setting switch (158).

좌회전스위치(151)는 사용자가 좌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스위치이다.The left turn switch (151) is a switch for the user to command a left turn.

좌회전스위치(151)는 좌회전이 요구되는 C턴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The left turn switch (151) can be operated by the user during a C-turn process where a left turn is required.

좌회전스위치(151)가 조작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정보기록부(140)에 기록되어 있는 좌회전을 위한 조작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이 연동하여 조작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left turn switch (151) is operate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left tur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control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ing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사용자가 좌회전스위치(151)를 한 번 조작하면 좌회전 조작정보를 따라서 좌회전 조향에 수반하는 브레이크 작동, 작업기(WA) 승강, 변속 등 일련의 차량 연동 제어가 자동으로 함께 이루어진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left turn switch (151) once, a series of vehicle linkage controls such as brake operation,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unit (WA), and gear shifting, which are accompanied by left turn steering,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left turn operation information.

좌회전 조작정보는 좌회전스위치(151)가 조작되는 시간 기준 이전에 수동제어모드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것으로서 좌회전을 위해 회전한 앞차축의 각도 변화,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 변화, 작업기(WA)의 승강 변화, 변속 단수 변화 등이 포함된 시계열적인 조작정보이다.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은 좌회전 조작정보를 그대로 추종하여 자동 실행함으로써 작업차량의 좌측 선회를 수행한다.The left turn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manual control mode prior to the time when the left turn switch (151) is operated, and is time-series operation information that includes changes in the angle of the front axle rotated for the left turn, changes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changes in the elevation of the work machine (WA), and changes in the gear ratio. 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100) automatically executes the left turn operation information by following it as it is, thereby performing the left turn of the work vehicle.

좌회전스위치(151)를 연속으로 누르고 있으면 최대 속도 또는 설정된 속도로 앞바퀴를 좌측으로 회전시키고, 좌회전스위치(151)를 놓으면 변화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When the left turn switch (151) is pressed continuously, the front wheels are rotated to the left at the maximum speed or the set speed, and when the left turn switch (151) is released, the changed angle can be maintained.

자율주행 AB모드로 진행중인 경우 좌회전스위치(151)를 1회 누르면 작업 방향의 직각이 되는 좌회전 방향으로 기 설정된 회전 반경을 가지면서 회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When the autonomous driving AB mode is in progress, pressing the left turn switch (151) once can be designed to rotate with a preset turning radius in the left turn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working direction.

자유주행 AB모드로 진행중인 경우 좌회전스위치(151)를 연속 2회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 누르면 정해진 열을 건너 띄는 C턴 회전을 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예, 건너 띄기 3열 설정 시 첫 번째 열 작업 후 5번째 열로 자동 진입함).When the vehicle is in free-run AB mode, pressing the left turn switch (151) twice in succession or for a set period of time can be designed to perform a C-turn that skips a set number of rows (e.g., when setting the skip 3 rows, the vehicle automatically enters the 5th row after working on the first row).

우회전스위치(152)는 사용자가 우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스위치이다.The right turn switch (152) is a switch for the user to command a right turn.

우회전스위치(152)는 우회전이 요구되는 C턴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The right turn switch (152) can be operated by the user during a C-turn process where a right turn is required.

우회전스위치(152)가 조작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우회전을 위한 조작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이 연동하여 조작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right turn switch (152) is operate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right tur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control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ing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to be operated in conjunction.

사용자가 우회전스위치(152)를 한 번 조작하면 우회전 조작정보를 따라서 우회전 조향에 수반하는 브레이크 작동, 작업기(WA) 승강, 변속 등 일련의 차량 연동 제어가 자동으로 함께 이루어진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ight turn switch (152) once, a series of vehicle linkage controls such as brake operation,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unit (WA), and gear shifting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우회전 조작정보는 우회전스위치(152)가 조작되는 시간 기준 이전에 수동제어모드에서 생성되고 저장된 것으로서 우회전을 위해 회전한 앞차축의 각도 변화,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 변화, 작업기(WA)의 승강 변화, 변속 단수 변화 등이 포함된 조작정보이다.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은 우회전 조작정보를 그대로 추종하여 자동 실행함으로써 작업차량의 우측 선회를 수행한다.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in manual control mode prior to the time when the right turn switch (152) is operated, and is operation information that includes changes in the angle of the front axle rotated for right turn, changes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changes in the elevation of the work machine (WA), changes in the gear ratio, etc. The electronic operation system (100) automatically executes the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by following it as is, thereby performing a right turn of the work vehicle.

우회전 과정은 조향 방향만 180도 차이가 있을 뿐 좌회전 과정과 서로 대칭일 수 있으므로, 우회전 조작정보는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좌회전 조작정보를 미러링(mirroring)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Since the right turn process can be symmetrical to the left turn process with only a 180 degree difference in the steering direction, the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can also be generated by mirroring the left turn operation information using the setting switch (158).

또는 우회전 조작정보를 미러링하여 좌회전 조작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left turn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mirroring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좌회전 스위치(151)와 우회전 스위치(152)는 조향 방향만 다르므로 동일한 조작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eft turn switch (151) and the right turn switch (152) can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operating method because only the steering direction is different.

만일, 좌회전에 필요한 조작정보와 우회전에 필요한 조작정보를 다르게 저장하려면 좌회전스위치(151)와 기록스위치(154)를 함께 눌러 좌회전 전용의 조작정보를 기록하거나, 우회전스위치(152)와 기록스위치(154)를 함께 눌러 우회전 전용의 조작정보를 저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If the ope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 left turn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a right turn are to be stored differently, the left turn switch (151) and the recording switch (154) can be pressed together to record the operation information exclusively for a left turn, or the right turn switch (152) and the recording switch (154) can be pressed together to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exclusively for a right turn.

중앙스위치(153)는 3개의 기능을 가진다.The central switch (153) has three functions.

제1기능과 제2기능은 조작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사용되고, 제3기능은 조작정보를 추종하여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용된다.The first and second functions are used in the process of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function is used in the process of following operation information and performing actual work.

제1기능은 직진 기능이다.The first function is the straight-line function.

사용자가 중앙스위치(153)를 누르면 바퀴가 직진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switch (153), the wheels switch to a straight-line state.

제1기능 관점에서 중앙스위치(153)는 직진스위치라 명명될 수 있다.From the first functional perspective, the central switch (153) can be named a straight switch.

C턴 과정에서 2번의 회전 주행이 이루어지는데, 2번의 회전 주행 사이에 있는 직선 주행을 위해 중앙스위치(153)가 사용될 수 있다.During the C-turn process, two rotations are performed, and the center switch (153) can be used for straight driving between the two rotations.

제2기능은 C턴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2번의 회전에서 첫 번째 회전의 종점과 두 번째 회전의 시점을 구분하는 기능이다.The second function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first rotation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rotation during the C-turn process.

사용자는 첫 번째 회전의 종점이면서 직진 주행의 시점에서 중앙스위치(153)를 눌러 첫 번째 회전이 종료되었음을 정보기록부(140)에 알릴 수 있다.The user can press the center switch (153) at the end point of the first turn and at the starting point of straight driving to notif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hat the first turn has ended.

사용자는 직진 주행의 종점이면서 두 번째 회전의 시점에서 중앙스위치(153)를 눌러 두 번째 회전이 시작되었음을 정보기록부(140)에 알릴 수 있다.The user can press the center switch (153) at the end of straight driving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turn to notif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hat the second turn has begun.

중앙스위치(153)의 제2기능은 직진구간과 회전구간을 구분하는 기능이기도 하다.The second func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turning section.

직진구간은 첫 번째 회전구간의 종점을 시점으로 하고 두 번째 회전구간의 시점을 종점으로 하는 구간이다.The straight section is the section that starts at the end point of the first turning section and ends at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turning section.

직진구간의 시점과 종점은 중앙스위치(153)의 눌러짐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중앙스위치(153)는 직진구간의 시점과 종점을 티칭(teaching)하여 직진구간을 명확히 할 수 있게 한다.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a straight section can be confirmed by pressing the center switch (153). The center switch (153) teaches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s of a straight section, thereby making the straight section clear.

회전구간에서는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지는 조작에 대한 조작정보가 저장된다.In the rotation section, operation information for operations performed in time series is stored.

직진구간에서는 시간 또는 위치가 저장된다.In straight sections, time or location is stored.

직진구간에서는 조작정보의 저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직진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자율주행의 경우 직진구간의 시점과 종점의 위치(직진 거리)가 저장된다. 이 관점에서 중앙스위치(153)의 제2기능은 저장되는 정보를 달리하도록 구분하는 기능이다.In a straight section, no oper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the time required for straight driving or, in the case of autonomous driving, the location of the starting point and end point of the straight section (straight distance) is stored. From this perspective, the second func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is to differentiate the information to be stored.

첫 번째 회전구간의 종점에서 사용자가 중앙스위치(153)를 누르면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중앙스위치(153)가 눌러진 시점까지 이루어진 시계열적인 조작들에 대한 제1 조작정보가 저장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switch (153) at the end point of the first rotation section, first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time series of operations performed from the time the operation event occurs to the time the central switch (153) is pressed is stored.

두 번째 회전구간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중앙스위치(153)를 누르면 중앙 스위치(153)가 눌러진 시점부터 조작이벤트가 종료한 시점까지 이루어진 시계열적인 조작들에 대한 제2 조작정보가 저장된다.At the point of the second rotation se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switch (153),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time series of operations performed from the point at which the central switch (153) was pressed to the point at which the operation event ends is stored.

첫 번째 회전구간의 종점과 두 번째 회전구간의 시점 사이에 있는 직진구간에서는 시간 또는 위치가 저장된다.In the straight section between the end point of the first turn and the start point of the second turn, time or position is stored.

제2기능 관점에서 중앙스위치(153)는 회전구간과 직진구간을 구분하는 구분스위치라 명명될 수 있다.From a second functional perspective, the central switch (153) can be called a distinction switch that distinguishes between the turning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중앙스위치(153)의 제3기능에 관해서는 관련 부분에서 후술한다.The third func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relevant section.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직관성 향상을 위해 중앙스위치(153)는 좌회전스위치(151)와 우회전스위치(152) 사이에 배치된다.To improve intuitiveness for user operation, the central switch (153) is placed between the left turn switch (151) and the right turn switch (152).

좌회전스위치(151)는 중앙스위치(153)의 좌측에 배치되고, 우회전스위치(152)는 중앙스위치(153)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left turn switch (151)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switch (153), and the right turn switch (152) is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ral switch (153).

사용자는 약지, 중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좌회전스위치(151), 중앙스위치(153) 및 우회전스위치(152)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left turn switch (151), center switch (153), and right turn switch (152) using the ring finger, middle finger, and index finger.

사용자가 왼손으로 조작하는 경우, 좌회전스위치(151)는 약지로, 중앙스위치(153)는 중지로, 우회전스위치(152)는 검지로 조작된다.When the user operates with his/her left hand, the left turn switch (151) is operated with the ring finger, the center switch (153) with the middle finger, and the right turn switch (152) with the index finger.

기록스위치(154)는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을 종료하도록 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recording switch (154) is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cause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record operation information or terminate recording.

사용자가 기록스위치(154)를 조작하면,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시작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ecording switch (154),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begins recor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사용자가 기록스위치(154)를 재조작하면,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종료한다.When the user re-operates the recording switch (154),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ops recor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기록스위치(154)는 사용자가 약지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조작할 수 있도록 좌회전스위치(151)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record switch (154) is placed at the rear of the left turn switch (151)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it by moving the ring finger backward.

사용자가 기록스위치(154)를 조작하면 정보기록부(140)는 기록을 시작하며 조작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ecording switch (154),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arts recording and switches to a state for stor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기록스위치(154)가 조작된 후, 정보기록부(140)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중앙스위치(153)가 조작되는 시점까지의 조작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조작이벤트는 동력발생기(DS)의 일정 범위 이상의 회전 수 변화, 작업기(WA) 승강, 조향각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말한다.After the recording switch (154) is operated,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records the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time the operation event occurs to the time the central switch (153) is operated. Here, the operation event refers to at least one of a change in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beyond a certain range, a lifting/lowering of the work unit (WA), and a change in the steering angle.

이 후, 사용자가 기록스위치(154)를 재조작하면 정보기록부(140)는 기록을 종료한다.After this, when the user re-operates the recording switch (154),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ops recording.

참고로, 중앙스위치(153)는 기록스위치(154)에 의해 정보기록부(140)가 기록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종료되는 시점 사이에서 발생한 회전구간에서의 조작정보 및 직선구간에서의 시간 또는 위치정보가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저장된 전체 정보는 다음 번 기록스위치(154)를 누르기 전까지 저장이 유지된다.For reference, the central switch (153) also has a function of storing operation information in the rotation section and time or position information in the straight section that occurred between the time whe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arts recording and the time when it ends by the recording switch (154). All stored information is stored until the recording switch (154) is pressed the next time.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스위치(154)는 작업차량의 회전 및 직진 구간 전체에서의 조작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cording switch (154) is a switch that records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rotation and straight movement section of the work vehicle.

기록스위치(154)가 조작되면 정보기록부(140)가 기록을 시작하고, 재조작되면 정보기록부(140)가 기록을 종료하게 된다.When the recording switch (154) is operated,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arts recording, and when it is operated aga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ops recording.

반면에, 중앙스위치(153)는 C턴 과정에서 작업차량의 1차 회전을 위한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부터 직진구간으로 진입하는 진입시점까지의 조작정보를 저장하거나, 직진구간을 지나 2차 회전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마지막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조작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switch (153) is a switch that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time when an operation event for the first turn of the work vehicle occurs during the C-turn process to the time when it enters the straight section, or from the time when it starts the second turn after passing the straight section to the time when the last operation event occurs.

사용자는 중앙스위치(153)를 조작하여 회전구간의 조작정보를 저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The user can command the central switch (153) to stor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rotation section.

C턴 과정에서 1차 회전구간과 2차 회전구간 사이에 있는 직선구간에서는 직선 이동 시간 또는 위치가 저장된다.During the C-turn process, the straight s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urning sections stores the straight movement time or location.

브레이크스위치(155)는 브레이크유닛(114)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The brake switch (155) is operated by the user to operate the brake unit (114).

사용자가 브레이크스위치(155)를 누르면 브레이크유닛(114)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하고, 브레이크스위치(155)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동력이 풀린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rake switch (155), braking force is generated by the brake unit (114), and when the brake switch (155) is released, the braking force is released.

브레이크스위치(155)는 소지나 약지로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좌회전 스위치(151)의 좌측에 배치된다.The brake switch (155)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turn switch (151) so that it can be easily operated with the thumb or ring finger.

브레이크스위치(155)의 조작 방향과 좌회전스위치(151)의 조작 방향은 직각일 수 있다.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switch (155)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left turn switch (151) may be perpendicular.

좌회전스위치(151)는 아래로 누름에 의해 조작되고, 브레이크스위치(155)는 우측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조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left turn switch (151) can be arranged to be operated by pressing downward, and the brake switch (155) can be arranged to be operated by pressing in the right direction.

전진스위치(156)와 후진스위치(157)는 작업차량의 전진 주행이나 후진 주행을 명령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The forward switch (156) and the reverse switch (157) are operated by the user to command forward or reverse driving of the work vehicle.

전진스위치(156)와 후진스위치(157)는 엄지로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우회전스위치(152)의 우측에 배치된다.The forward switch (156) and reverse switch (157) are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ght turn switch (152) so that they can be easily operated with the thumb.

사용자의 직관성을 위해 전진스위치(156)와 후진스위치(157)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전진스위치(156)는 전방에 후진스위치(157)는 후방에 배치된다.For the user's intuitiveness, the forward switch (156) and the reverse switch (157) are placed side by s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orward switch (156) is placed at the front and the reverse switch (157) is placed at the rear.

전진스위치(156) 및 후진스위치(157)의 조작 방향과 우회전스위치(152)의 조작 방향은 직각일 수 있다.The operating directions of the forward switch (156) and the reverse switch (157)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right turn switch (152) may be perpendicular.

전진스위치(156) 및 후진스위치(157)의 조작 방향과 브레이크스위치(155)의 조작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The operating directions of the forward switch (156) and the reverse switch (157) and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brake switch (155)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설정스위치(158)는 각종 설정을 위해 마련된다.The setting switch (158) is provided for various settings.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좌회전스위치(151), 우회전스위치(152), 중앙스위치(153), 기록스위치(154), 브레이크스위치(155), 전진스위치(156) 및 후진스위치(157) 등 상기 제2입력부(150)에 있는 다른 조작스위치들의 기능을 바꾸어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change and set the functions of other operating switches in the second input unit (150), such as the left turn switch (151), right turn switch (152), center switch (153), record switch (154), brake switch (155), forward switch (156), and reverse switch (157), by using the setting switch (158).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에 조향 각도나 조향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use the setting switch (158) to set the steering angle or steering speed when turning right or left.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작업차량의 좌우 회전시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 변화나 작업기(WA)의 승강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use the setting switch (158) to set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or the lifting height of the work machine (WA) when the work vehicle turns left and right.

예를 들어, 작업차량이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사용자는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작업차량이 건너 띄워야 하는 작업열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work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the user can use the setting switch (158) to set the number of work rows that the work vehicle should skip.

작업차량이 자율주행차량인 경우, 운전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인 HMI와 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인 GNSS가 추가적으로 탑재된다.If the work vehicle is an autonomous vehicle, an HMI (driver interface system) and a GNSS (global positioning system) are additionally installed.

도 5의 예시에서와 같이, 제2입력부(150)를 이루는 좌회전스위치(151), 우회전스위치(152), 중앙스위치(153), 기록스위치(154), 브레이크스위치(155), 전진스위치(156), 후진스위치(157), 설정스위치(158)는 함께 모아져 배치되는 게 바람직할 수 있다.As in the example of Fig. 5, it may be desirable for the left turn switch (151), right turn switch (152), center switch (153), recording switch (154), brake switch (155), forward switch (156), reverse switch (157), and setting switch (158) forming the second input section (150) to be arranged together.

도 5와 같은 배치에서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제2입력부(150)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 또, 한 손의 이동 범위도 최소화된다.In a layout like Fig. 5, the user can operate the second input unit (150) entirely with one hand. In addition, the range of movement of one hand is also minimized.

다만, 사용자 별 직관성 있는 조작을 위한 최적화된 배치라면 좌회전스위치(151), 우회전스위치(152), 중앙스위치(153), 기록스위치(154), 브레이크스위치(155), 전진스위치(156), 후진스위치(157), 설정스위치(158)가 각각 개별적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However, if the layout is optimized for intuitive operation by each user, the left turn switch (151), right turn switch (152), center switch (153), record switch (154), brake switch (155), forward switch (156), reverse switch (157), and setting switch (158) can each be installed in separate locations.

도 6의 바람직한 예시에서와 같이, 제2입력부(150)는 운전석(200)의 좌측 암레스트(210)에 구비될 수 있다.As in the preferred example of Fig. 6, the second input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rmrest (210) of the driver's seat (200).

좌측 암레스트(210)는 운전석(200)의 일부를 이루기 때문에 운전석(200)과 함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Since the left armrest (210) forms part of the driver's seat (200), it can rotate by a certain angle together with the driver's seat (200).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주행 중에 후방에서 견인되는 작업기(WA)의 상태를 살펴 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운전석(200)이 일정 각도 회전되게 구비된다.Since agricultural work vehicles need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work machine (WA) being towed from the rear while driving, the driver's seat (200) is generally equipped to rotate at a certain angle.

좌측 암레스트(210)에 설치된 제2입력부(150)는 운전석(200) 및 사용자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전석(200)이 회전한 상태에서도 손을 좌측 암레스트(210)에 걸친 상태에서 제2입력부(150)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The second input unit (150) installed on the left armrest (210)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r's seat (200) and the user. Therefore, the user has no difficulty in operating the second input unit (150) while placing his or her hand on the left armrest (210) even when the driver's seat (200) is rotated.

제3입력부(160)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사용자의 제3제어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The third input unit (160) is provided to input the user's third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제3입력부(160)는 자동제어모드에서 활용될 수 있다.The third input unit (160) can be utilized in automatic control mode.

바람직한 예시에 따르면, 제3제어명령은 조향유닛(112)의 조작에 대한 명령이다.According to a preferred example, the third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steering unit (112).

사용자가 제3입력부(160)를 조작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조향유닛(112)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third input unit (160),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teering unit (112).

사용자는 제3입력부(160)를 통해 조향유닛(112)을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steering unit (112)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60).

사용자는 작업을 위한 직진 과정에서는 제3입력부(160)를 통해 작업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The user can drive the work vehicle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60) during the straight process for work.

제2입력부(150)를 통한 자동제어모드로 이루어지는 C턴 과정에서, 사용자는 조작정보에 따른 회전이 곤란한 상황에서 제3입력부(160)를 통해 임의적으로 작업차량을 운전할 수 있다.In the C-turn process performed in automatic control mode via the second input unit (150), the user can arbitrarily drive the work vehicle via the third input unit (160)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turn according to operating information.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제2제어명령보다 제3제어명령을 우선하여 따르도록 설계된다. 제2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제2제어명령에 따라서 작업차량이 주행하는 도중에라도 제3입력부(160)를 통해 제3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제3제어명령에 따라서 조향유닛(112)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s designed to give priority to the third control command over the second control command. If the third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60) even while the work vehicle is driving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steering unit (112) according to the third control command.

참고로, 자동제어모드에서 제1입력부(130)를 통한 제1제어명령이 입력되도록 구현된 경우에는 제2제어명령보다 제1제어명령을 우선하여 따르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the case where the first control command is implemented to be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in the automatic control mode, the first control command may be designed to be followed with priority over the second control command.

도 7에서와 같이, 제3입력부(160)는 제2입력부(15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입력부(160)도 운전석(200)이 회전할 시에 제2입력부(150)와 함께 회전한다.As shown in Fig. 7, the third input unit (160)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input unit (150). Accordingly, the third input unit (160)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input unit (150) when the driver's seat (200) rotates.

제3입력부(160)는 조이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input unit (160) may be equipped with a joystick.

사용자는 조이스틱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앞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rotate the front wheels by turning the joystick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조이스틱의 회전이동량 당 앞바퀴의 회전량도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front wheel per rotational movement of the joystick can also be set using the setting switch (158).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이스틱의 전체 회전 각도를 90도, 120도, 180도, 360도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total rotation angle of the joystick to 90 degrees, 120 degrees, 180 degrees, or 360 degrees.

사용자가 180도로 설정한 경우, 조이스틱의 우회전 방향으로의 0~90도 회전이 앞바퀴의 우회전 방향으로의 0~40도 회전과 비례적으로 대응된다. 이 경우 조이스틱이 90도 이상 회전하면 앞바퀴는 우회전 방향으로 40도 회전한다.When the user sets it to 180 degrees, a 0 to 90 degree rotation of the joystick in the right direction corresponds proportionally to a 0 to 40 degree rotation of the front wheels in the right direction. In this case, if the joystick is rotated more than 90 degrees, the front wheels will rotate 40 degrees in the right direction.

제3입력부(160)인 조이스틱은 앞바퀴를 직진 이동 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누르면 앞바퀴는 직진 이동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joystick, which is the third input unit (160), may have a function of aligning the front wheels in a straight-line movement direc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joystick, the front wheels may be designed to align in a straight-line movement direction.

운전자가 조이스틱을 전후 방향으로 밀어서 작업차량이 전후 방향으로 주행되도록 명령하거나, 조이스틱을 좌우 방향으로 밀어서 작업차량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게 명령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It may be designed so that the driver can command the work vehicle to drive forward and backward by pushing the joystick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r so that the driver can command the work vehicle to turn left and right by pushing the joystick in a left or right direction.

제3입력부(160)의 경우에도 설정스위치(158)을 이용하여 그 기능을 사용자의 조작감성에 맞게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input unit (160), the function can be set to suit the user's operating sensitivity by using the setting switch (158).

예를 들어 제3입력부(160)가 조이스틱인 경우, 조이스틱에 조향 기능을 부가할 지, 변속 기능을 부가할지 등을 사용자가 설정스위치(158)를 이용하여 설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ird input unit (160) is a joystick,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set whether to add a steering function or a gear shift function to the joystick using the setting switch (158).

도7에서와 같이, 제3입력부(160)가 제2입력부(120)와 함께 구비되면, 사용자는 작업 전 과정에서 왼손 하나로 작업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모든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third input unit (160)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econd input unit (120), the user can perform all operations necessary for driving the work vehicle with only the left hand during the entire work process.

모드스위치(170)는 수동제어모드와 자동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구비된다.A mode switch (170) is provided to select either a manual control mode or an automatic control mode.

수동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수단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작업차량을 운행하는 모드이다.Manual 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work vehicle by manually operating each input means provided in the first input unit (130).

자동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제2입력부(150)에 구비된 각각의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정보기록부(140)에 기록되어 있는 조작정보와 동일하게 증감유닛(111), 조향유닛(112), 변속유닛(113), 브레이크유닛(114) 및 승강유닛(115)의 조작이 자동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면서 작업차량이 운행되는 모드이다.The automatic control mode is a mode in which the work vehicle is operated by automatically linking the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steering unit (112), shift unit (113), brake unit (114), and lifting unit (115) in the same manner as the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by the user operating each switch provided in the second input unit (150).

제3입력부(160)에 의한 조향도 자동제어모드에서만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Steering by the third input unit (160) can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executed only in automatic control mode.

모드스위치(170)는 사용자가 접근하기 수월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면 족하다.The mode switch (170) can be placed in any location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the user.

모드스위치(170)가 수동제어모드로 선택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서 제1제어명령만 입력할 수 있다.If the mode switch (170) is selected to manual control mode, the user can input only the first control comman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모드스위치(170)가 자동제어모드로 선택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제2입력부(150)를 통해서 제2제어명령을 입력하거나 제3입력부(160)를 통해서 제3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f the mode switch (170) is selected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the user can input a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or a thir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60).

자동제어모드에서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 제1제어명령을 입력시키는 게 금지될 수 있다.In automatic control mode, inputting the first control comman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may be prohibited.

제1제어명령과 제2제어명령 간의 우선 순위를 프로그램으로 설정해 놓도록 구현되면 모드스위치(170)는 생략 가능할 수 있다.If the priority between the first control command and the second control command is set by program, the mode switch (170) may be omit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스위치(153)에 구분스위치, 선택스위치 및 직진스위치로서의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좌회전스위치(151)나 우회전스위치(152) 또는 그 외의 스위치에 구분스위치, 선택스위치 및 직진스위치로서의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functions of a division switch, a selection switch, and a straight switch are added to the central switch (153).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functions of a division switch, a selection switch, and a straight switch may be added to the left turn switch (151), the right turn switch (152), or other switches.

<실시 형태><Implementation form>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opera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우회전 조향 과정을 예시하고 있지만, 좌회전 조향 과정도 동일하므로, 좌회전 조향 과정에 대한 설명은 우회전 조향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Figure 8 illustrates a right-turn steering process, but since the left-turn steering process is the same, the description of the left-turn steering process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right-turn steering process.

1. 기록 시작1. Start recording

모드스위치(170)가 수동제어모드일 때, ①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작업차량(WV)의 C턴을 위한 첫 번째 우회전이 요구되는 상황에 닥쳤을 때 기록스위치(154)를 누른다. 이에 따라 정보기록부(140)는 조작정보의 기록을 시작한다.When the mode switch (170) is in manual control mode, the user presses the recording switch (154) at position ① when a situation arises where the first right turn for the C-turn of the work vehicle (WV) is require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begins recording operation information.

사용자에 의한 기록스위치(154)의 조작은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라는 명령이다.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switch (154) by the user is a command for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start record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사용자에 의해 기록스위치(154)가 1회 조작된 상태에서는 정보기록부(140)가 언제든지 첫 번째 우회전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제1 우회전 조작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recording switch (154) is operated once by the user,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is in a state where it can store the first right-turn operation information performed during the first right-turn process at any time.

2. 조작이벤트 발생2. Operation event occurs

①의 위치에서 좀 더 전진한 ②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가 하강하고 변속 단수가 하향되는 조작이벤트를 발생시킨다. 이 시점이 정보기록부(140)에 의해 저장되는 제1 조작정보의 시점이 된다. 향후 자동제어모드에서도 이 시점부터 우회전 조향을 위한 차량 연동 제어가 시작된다.At position ②, which is slightly further forward from position ①, the user generates an operation even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o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and lower the gear ratio. This point in time becomes the point in time of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b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In the future, in automatic control mode, vehicle linkage control for right-turn steering also begins from this point in time.

3. 작업기 상승 및 조향 조작3. Lifting and steering the work machine

②의 위치에서 좀 더 전진한 ③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 작업기(WA)를 상승시킨다. 더불어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의 핸들을 조작하여 앞바퀴를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From position ③, which is slightly further forward from position ②, the user raises the work machine (WA)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In addition,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of the first input unit (130) to rotate the front wheel in the right direction.

4. 제1 조작정보 저장 4. Save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③의 위치에서부터 시작된 우회전 조향이 ④의 위치에서 완료되면, 사용자는 중앙스위치(153)를 눌러 제1 조작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이 과정들에서는 조작이벤트의 발생으로 기록이 시작되고, 중앙스위치(153)가 조작된 시점까지의 기록이 저장된다.When the right turn steering started from position ③ is completed at position ④,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switch (153) to store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n these processes, recording begins with the occurrence of an operation event, and the record up to the point where the central switch (153) is operated is stored.

사용자의 중앙스위치(153)의 조작으로 첫 번째 우회전구간과 직진구간이 구분된다. 이처럼 중앙스위치(153)의 조작으로 첫 번째 우회전구간과 직진구간이 구분되므로, 이 때의 중앙스위치(153)는 구분스위치로서 기능한다.The first right turn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are distinguish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In this way, since the first right turn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are distinguished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the central switch (153) functions as a distinguishing switch at this time.

정보기록부(140)는 ②에서부터 ④까지의 과정에서 시계열적으로 발생된 여러 조작들로 이루어진 제1 우회전 조작정보를 저장한다.The information recorder (140) stores the first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several operations that occurred in time series during processes ② to ④.

또한 중앙스위치(153)의 조작으로 앞바퀴는 직진 방향으로 정렬되고, 작업차량(WV)은 ⑤의 위치를 향해 직진하게 된다. 이 때의 직진 방향은 작업을 위한 주행 방향에 수직일 수 있지만, 작업지의 형태에 따라서는 수직이 아닐 수도 있다.In addition, by operating the central switch (153), the front wheels are aligned in a straight direction, and the work vehicle (WV) moves straight toward position ⑤. At this time, the straight direction may be perpendicular to the driving direction for work, but may not be perpendicula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work site.

④의 위치에서 ⑤의 위치를 향해 직진하는 과정은 작업차량(WV)이 작업열을 넘어가는 중간 단계로 사용자에 의한 핸들 조작 외에는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이다.The process of moving straight from position ④ to position ⑤ is an intermediate step in which the work vehicle (WV) passes the work line, and there is no other operation other than steering operation by the user.

자율주행이 아닌 전자식 제어 시스템만 탑재된 작업차량의 경우 직진 주행을 위해 사용자의 핸들 조작이 요구된다. 이 때의 핸들 조작에 대한 조작정보는 기록되지 않고, 직진 주행에 대한 시간 또는 위치만 기록되고 저장된다.In the case of work vehicles equipped only with electronic control systems and not autonomous driving, the user's steering wheel operation is required for straight driving. In this case,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information is not recorded, and only the time or location for straight driving is recorded and stored.

5. 두 번째 우회전 시작5. Start the second right turn

⑤의 위치는 직진구간의 종점이자 두 번째 우회전구간의 시점이다.⑤ The location is the end point of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second right turn section.

⑤의 위치에서 작업차량(WV)은 작업할 열로 진입하기 위해 두 번째 우회전 조향을 시작한다.At position ⑤, the work vehicle (WV) starts the second right turn steering to enter the row to be worked.

⑤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중앙스위치(153)를 조작하여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될 시계열적인 제2 조작정보의 시점을 알린다. At position ⑤, the user operates the central switch (153) to notify the time of the second time series operation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er (140).

사용자의 중앙스위치(153) 조작으로 직진구간과 두 번째 우회전구간이 구분된다. 이와 함께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의 핸들을 조작하여 앞바퀴를 우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straight section and the second right turn section are distinguish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central switch (153). In addition, the user operates the handle of the first input unit (130) to turn the front wheels in the right turn direction.

6. 작업기 하강6. Lowering the work machine

우회전 조향이 완료되는 ⑥의 위치에서는 작업차량(WV)이 작업할 열에 맞추어 들어가게 된다.At position ⑥ where the right turn steering is completed, the work vehicle (WV) enters the row to be worked on.

⑥의 위치에서 작업할 열에 작업차량(WV)이 진입하면,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를 통해 작업기(WA)를 하강시킨다.When the work vehicle (WV) enters the row to be worked at position ⑥, the user lowers the work machine (WA)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작업기(WA)의 하강으로 작업지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Work can be done on the work site by lowering the work machine (WA).

7. 회전수 상승 및 변속 단수 상향7. Increase the RPM and increase the gear ratio

⑥의 위치에서 좀 더 전진한 ⑦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제1입력부(130)를 통해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가 상승하고 변속 단수가 상향되도록 한다.At position ⑦, which is slightly further forward from position ⑥, the user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power generator (DS) and increases the gear ratio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8. 제2 조작정보 저장8. Save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⑦의 위치에서 좀 더 전진한 ⑧의 위치에서 사용자는 기록스위치(154)를 다시 누름으로써 정보기록부(140)에 의한 기록이 종료되도록 명령한다. 이에 따라 정보기록부(140)는 ⑤의 위치부터 조작이벤트가 종료된 시점인 ⑦의 위치까지의 과정에서 시계열적으로 발생한 조작들에 대한 제2 우회전 조작정보를 저장한다.At position ⑧, which is slightly further forward from position ⑦, the user commands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end recording by pressing the recording switch (154) again. Accordingl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ores the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s that occurred in time series from position ⑤ to position ⑦, which is the point in time when the operation event ended.

9. 기록 종료9. End of recording

제2 우회전 조작정보의 저장과 함께 정보기록부(140)에 의한 기록은 종료된다.Recording by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ends with the storage of the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사용자의 기록스위치(154) 조작은 기록을 종료하라는 명령이다.The user's operation of the record switch (154) is a command to end recording.

위의 제2 조작정보의 저장과 기록 종료의 선후 관계는 특별히 고려될 필요는 없다. 제2 조작정보의 저장이 이루어진 후 기록이 종료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기록이 종료된 후 제2 조작정보의 저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제2 조작정보의 저장과 기록의 종료가 동시적으로 병행될 수도 있다.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consider the order of the storage of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tion of the recording. It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recording is terminated after the storage of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s completed, or the storage of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completed after the recording is completed. Of course, the storage of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tion of the recording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위와 같이 조작정보의 기록 및 저장은 중앙스위치(153)와 기록스위치(15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만, 중앙스위치(153)는 회전구간과 직선구간 간의 구분만 알려주고, 기록스위치(154)에 의한 기록의 종료가 실행될 때 한꺼번에 제1 우회전 조작정보, 직진구간의 시간 또는 위치 정보 및 제2 우회전 조작정보를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recording and saving of oper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s command through the central switch (153) and the recording switch (154). However, the central switch (153) only indicat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urning section and the straight section, and when the recording is terminated by the recording switch (154), the first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the time 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raight section, and the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to be stored all at once.

10. 주행 제어10. Driving Control

제1 우회전 조작정보, 직진 시간 또는 위치, 제2 우회전 조작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2입력부(150) 및 제3입력부(160)를 통해 C턴 주행 과정을 조작할 수 있다.When the first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straight-line time or location, and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are saved, the user can operate the C-turn driving process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and the third input unit (160).

사용자는 모드스위치(170)를 자동제어모드로 선택한 다음 C턴 과정에서 제2입력부(150)를 통해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제2제어명령을 입력시킨다.The user selects the mode switch (170) to the automatic control mode and then inputs a second control command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during the C-turn process.

제2제어명령의 입력으로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제1 우회전 조작정보, 직진 시간, 제2 우회전 조작정보에 따른 주행 제어를 진행한다.With the input of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straight driving time, and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먼저 사용자가 직진 작업 중 ②위치에서 우회전스위치(152)를 눌러 첫 번째 회전명령을 입력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위의 ②위치에서 ④위치까지 생성된 제1 우회전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1 제어를 시간 기준으로 자동으로 진행한다.First, when the user inputs the first turn command by pressing the right turn switch (152) at position ② during straight driving,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utomatically performs the first control based on time, following the first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position ② to position ④.

다만, GNSS시스템이 탑재된 자율 주행의 경우에는 시간 기준 외에 위치 기준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utonomous driving equipped with a GNSS system, it can operate based on location as well as time.

작업차량(WV)이 ④위치를 통과하는 전후로 운전자가 중앙스위치(153)를 누르지 않으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나머지 ④의 위치에서 ⑤의 위치까지의 직진 이동 및 ⑤의 위치에서 ⑦의 위치까지 제2 우회전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2 제어를 시간 기준으로 자동으로 진행한다.If the driver does not press the central switch (153) before or after the work vehicle (WV) passes through position ④,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utomatically performs the second control based on time to follow the straight movement from the remaining position ④ to position ⑤ and the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from position ⑤ to position ⑦.

좌회전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좌회전스위치(151)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좌회전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회전스위치(151, 152)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작업차량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left turn, left turn control can be executed by a user's command via the left turn switch (151) in the same manner. That is,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ork vehicle in a simple manner by inputting a command via the turn switch (151, 152).

그런데, 사용자가 ④위치를 통과하는 전후로 중앙스위치(153)를 누르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⑤의 위치에서 ⑦의 위치까지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직진으로 제어한다. 그러다 사용자가 우회전스위치(153)를 두 번째 누르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그 시점에서 제2 우회전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2 제어를 시간 기준으로 자동으로 진행한다.However, if the user presses the central switch (153) before or after passing through position ④,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does not perform control from position ⑤ to position ⑦ and controls straight ahead. Then, if the user presses the right turn switch (153) a second time,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utomatically performs the second control based on time, following the second right turn operation information at that point.

작업열은 보통 4~5개를 반복적으로 이용하기에 관련 저장 시 이를 반영하기 위해 중앙스위치(153)를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가 중앙스위치(153)를 조작함에 의해 제2 제어가 수행되는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Since the work sequence is usually used repeatedly for 4 to 5 times, the central switch (153) is used to reflect this when saving related data. In addition,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control is performed can be selected by the user manipulating the central switch (153).

자율주행 AB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건너 띄기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이 때도 중앙스위치(153)를 누르면 건너 띄는 작업열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다.When operating in autonomous driving AB, it rotates based on the skip set by the user, and even at this time,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the skipped work sequence by pressing the central switch (153).

위와 같이, 중앙스위치(153)는 사용자가 제2 제어를 시작하는 시점을 선택함으로써 건널 뛸 작업열을 선택하는 제3기능을 가지므로 선택스위치로 명명될 수도 있다.As above, the central switch (153) may be named a selection switch because it has a third function of selecting the work row to be crossed by selecting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user starts the second control.

조향 각도 및 조향 속도를 설정한 경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설정된 조향 각도와 조향 속도에 따라 앞바퀴를 설정된 각도와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한다.When the steering angle and steering speed are set,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front wheels to rotate at the set angle and speed according to the set steering angle and steering speed.

만일, 제2입력부(150)를 통한 제2제어명령에 의해 동작하는 과정에서도 제3입력부(160)를 통한 제3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제3제어명령에 따른 제어를 실행시킨다.If a third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60) even during a process of operation by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executes control according to the third control command.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다양한 응용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위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국한되게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대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별도로 기재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have various application form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Instea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separately and their equivalents.

100 :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
111 : 증감유닛 112 : 조향유닛
113 : 변속유닛 114 : 브레이크유닛
115 : 승강유닛
120 : 차량 연동 제어부
130 : 제1입력부
140 : 정보기록부
150 : 제2입력부
151 : 좌회전스위치 152 : 우회전스위치
153 : 중앙스위치 154 : 기록스위치
160 : 제3입력부
170 : 모드스위치
100: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11: Increase/Decrease Unit 112: Steering Unit
113: Shift unit 114: Brake unit
115 : Elevator Unit
120: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30: First input section
140 : Information Record Book
150 : Second input section
151: Left turn switch 152: Right turn switch
153: Center switch 154: Record switch
160: 3rd input section
170 : Mode Switch

Claims (16)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기(DS)의 회전수 증감 조절을 위한 증감유닛(111);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 방향 제어를 위한 조향유닛(112);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의 주행 단수 제어를 위한 변속유닛(113);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WV)에 의해 견인되는 작업기(WA)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115);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전자식 제어를 담당하는 차량 연동 제어부(120);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조작에 대한 제1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1입력부(130);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에 대한 정보(이하 '조작정보'라 함)를 저장할 수 있는 정보기록부(140); 및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로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조작정보에 따른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2입력부(150);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제2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제2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조작정보를 추종하여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이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An increase/decrease unit (111) for controlling the increase/decrease in the rotation speed of a power generator (DS) that provides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steering unit (112)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abov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transmission unit (113)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abov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n elevating unit (115) for elevating a work machine (WA) towed by the above agricultural work vehicle (WV);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responsible for electronic control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lifting unit (115);
A first input unit (130) capable of inputting a first control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elevation unit (115)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An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r's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r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and
A second input unit (150) capable of inputting a second control command to execut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o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lifting unit (115) to operate in conjunction by following 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in response to the second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운전석(2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200)의 암레스트(210)에 설치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armrest (210) of the driver's seat (200) so that it can rotate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r's seat (200).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운전석(200)의 좌측 암레스트(210)에 설치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left armrest (210) of the driver's seat (200).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130)에 의한 수동제어모드와 상기 제2입력부(150)에 의한 자동제어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스위치(17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모드스위치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한 제1제어명령과 상기 제2입력부(150)를 통한 제2제어명령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상기 증감유닛(111), 상기 조향유닛(112), 상기 변속유닛(113) 및 상기 승강유닛(115)의 조작을 제어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 mode switch (170) that can select either a manual control mode by the first input unit (130) or an automatic control mode by the second input unit (150);
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crease/decrease unit (111), the steering unit (112), the shifting unit (113) and the lifting unit (115) according to either the first control comman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or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50)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of the mode switch.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작업차량(WV)의 좌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좌회전스위치(151); 및
상기 작업차량(WV)의 우회전을 명령하기 위한 우회전스위치(152);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좌회전스위치(151) 또는 상기 우회전스위치(15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제2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정보기록부(140)에 저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의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A left turn switch (151) for commanding a left turn of the above work vehicle (WV); and
Includes a right turn switch (152) for commanding a right turn of the above work vehicle (WV);
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control to follow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left or right turns stored in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user's second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left turn switch (151) or the right turn switch (152).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을 종료하도록 사용자가 명령할 수 있는 기록스위치(154); 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The abov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includes a recording switch (154) that allows the user to command the recording of operation information or to terminate the recording;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회전구간과 직진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Article 6,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A distinction switch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turning section and a straight section; further comprising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부는 회전구간에서는 시계열적으로 이루어진 조작들에 대한 조작정보를 저장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Article 7,
The above information recorder stores operation information on operations performed in time series in the rotation section.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기록된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Article 6,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A selection switch that allows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to select a time point at which the control is performed to follow the recorded operation information;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앞바퀴를 직진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직진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Article 6,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further comprising a straight switch capable of commanding the front wheels to align in a straight direction;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유닛(112)의 조작에 대한 제3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제3입력부(160); 를 더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It further includes a third input unit (160) capable of inputting a third control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unit (112);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는 상기 제2입력부(130)를 통한 제2제어명령보다 상기 제3입력부(150)를 통한 제3제어명령 또는 상기 제1입력부(130)를 통한 제1제어명령을 우선하여 따르도록 설계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Article 11,
The abov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is designed to give priority to the thir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third input unit (150) or the first control comman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over the second control comman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30).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부(150)는
상기 제2입력부(150)에 있는 조작스위치들의 기능을 서로 바꾸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스위치(154); 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input unit (150)
A setting switch (154) that allows the functions of the operating switches in the second input section (150) to be interchanged and set;
Electronic operating system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s (100).
기록스위치(15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시작하는 기록 시작 단계;
조작이벤트가 처음 발생한 시점부터 구분스위치의 첫 번째 조작이 발생한 시점까지의 제1 조작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단계;

상기 제1 저장 단계 후 상기 구분스위치의 두 번째 조작이 발생한 시점부터 마지막 조작이벤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제2 조작정보가 저장되는 제2 저장 단계;
상기 기록스위치(154)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정보기록부(140)가 조작정보의 기록을 종료하는 기록 종료 단계; 및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1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1 조작정보와 상기 제2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2 조작정보를 추종하여 농업용 작업차량(MV)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록 시작 단계, 상기 제1 저장 단계, 상기 제2 저장 단계 및 상기 기록 종료 단계는 수동제어모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주행 제어 단계는 자동제어모드에서 이루어지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의 작동방법.
A recording start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starts recording operation information by a user's command via a recording switch (154);
A first storage stage in which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is stored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event first occurs to the time when the first operation of the distinction switch occurs;

A second storage step in which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is stored from the time the second operation of the distinction switch occurs to the time the last operation event occurs after the first storage step;
A recording termination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recording unit (140) terminates recording of operation information by a user's command through the recording switch (154); and
A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riving of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MV) by following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tep and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tep;
The above recording start step, the first storage step, the second storage step and the recording end step are performed in manual control mode, and the driving control step is performed in automatic control mode.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100)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단계는
회전스위치(151, 152)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1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1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1 제어를 진행하는 제1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 단계 후, 상기 회전스위치(151, 152)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차량 연동 제어부(120)가 상기 제2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제2 조작정보를 추종하는 제2 제어를 진행하는 제2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의 작동방법.
In Article 14,
The above driving control steps are
A first control step in which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first control that follows the first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step by a user's command through a rotary switch (151, 152); and
After the first control step, the vehicle linkag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second control to follow the second ope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step by a user's command through the rotary switch (151, 152);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100)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제어 단계 사이에서 상기 구분스위치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으로 상기 제2 제어 단계가 수행되는 위치가 선택될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전자식 조작시스템(100)의 작동방법.












In Article 15,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control step is performed can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command through the division switch between the first control step and the second control step.
Operating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100) for an agricultural work vehicle.












KR1020240163075A 2023-11-16 2024-11-15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ending KR2025007253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159368 2023-11-16
KR1020230159368 2023-1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72536A true KR20250072536A (en) 2025-05-23

Family

ID=9593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63075A Pending KR20250072536A (en) 2023-11-16 2024-11-15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7253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315A (en) 2019-02-28 2021-11-02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work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315A (en) 2019-02-28 2021-11-02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work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395B2 (en) Operator interface for machine control
JP5933296B2 (en) Vehicle shift control system
US7497298B2 (en) Machine joystick control system
EP2983050B1 (en) Driving support system
JP6938303B2 (en) Work machine
EP1714822B1 (en) Agricultural vehicle and implement information display
US20180058039A1 (en) Motion Coupling of Multiple Electronic Control Inputs
US20130180744A1 (en) Operator Interface for an Implement Control System
JP2018116607A (en) Automated traveling vehicle
EP2982885A1 (en) Traveling work vehicle
JP6717366B2 (en) Tractor
KR20250072536A (en) Electronic oper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01510A (en) Transplanting machines
WO2005045285A1 (en) Working vehicle
JP2003239771A (en) Speed change operation structure of work machine
JP7345605B2 (en) Travel control device
JP5215491B2 (en) Paddy field machine
JP2021122182A (en) Work vehicle
JP5346317B2 (en) Paddy field machine
JP5841509B2 (en) Mobile terminal and work machine operation system provided with mobile terminal
JP4304583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traveling vehicle
US6377192B1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JP7392700B2 (en) work vehicle
JP4656173B2 (en) Agricultural tractor
JP2005080513A (en) Work vehicle control se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