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0745U - Board headband - Google Patents

Board head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0745U
KR20250000745U KR2020230002285U KR20230002285U KR20250000745U KR 20250000745 U KR20250000745 U KR 20250000745U KR 2020230002285 U KR2020230002285 U KR 2020230002285U KR 20230002285 U KR20230002285 U KR 20230002285U KR 20250000745 U KR20250000745 U KR 20250000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headband
panel
wall
paragrap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2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크림미디어
Priority to KR2020230002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00745U/en
Publication of KR20250000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0745U/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체 일부인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보드형 머리띠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판넬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shaped headband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which is a part of the body, and includes a wearing part that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d and is worn on the user's head; a fixing part that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and a panel part that is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Description

보드형 머리띠{BOARD HEADBAND}Board type headband {BOARD HEADBAND}

본 고안은 머리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 일부인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보드형 머리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band,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ard-shaped headband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which is a body part.

일반적으로 머리띠는 헝클어진 머리카락을 단정히 모을 수 있도록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된 악세사리의 일종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거나 또는 각종 장식품이 부착된 상태로 장식되어 판매되는 것이다.In general, a headband is a type of accessory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to neatly gather up messy hair. It is manufactured and sold in various shapes or decorated with various ornaments attached.

그리고, 머리띠는 바람에 의해 머리카락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는 헤어 밴드의 역할도 겸하면서 머리를 장식하기 위한 대중적인 제품인 것이다.Additionally, headbands are a popular product for decorating the hair while also serving as a hair band to prevent hair from blowing away in the wind.

그런데, 종래의 머리띠의 경우에는 머리카락을 단정히 하는 기능이외에는 다른 특별한 기능이 없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headbands, there was no special function other than to keep the hair neat.

한편, 아동들의 창의성 교육에 이용하고자 하는 추세에 있어 학습교규재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Meanwhile, there is a growing trend of research being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to be used in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이에 따라, 현재 시중에 많은 수의 놀이학습 교구나 완구들이 시판되고 있고, 아동들을 교육하기 위한 수많은 학습교구들이 고안되어 왔으나, 현재 이용가능한 학습교구 중에서 어린 아이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끄는 놀이 등을 통한 학습교구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large number of play-based learning tools and toys are currently being sold on the market, and numerous learning tools have been designed to educate children. However, there are efforts to find ways to provide learning tools through play that attract the interest and attention of young children among the currently available learning tools, but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achieved to date.

한편, 스포츠 경기를 관람함에 있어 관객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함과 동시에 제3의 팀원으로서 응원을 하게 된다.Meanwhile, when watching a sports game, spectators relieve stress and cheer as a third team member.

관객이 응원을 할 때 여러가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응원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for the audience to cheer, but using cheering tools is effective.

종래의 응원 도구로서는 징, 북, 스피커, 풍선막대 등이 사용되어 왔는데 이들은 부피가 커서 휴대하여 응원할때 주위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Traditional cheering tools used include gongs, drums, speakers, and balloon sticks, but these were bulky and could cause inconvenience to those around them when carried around to cheer.

또한, 풍선막대 등의 응원도구는 사용이 완료된 후에 관객이 계속 소지하기가 불편하다는 이유에서 관람석에 버려짐으로써 청소를 위한 별도의 수거 작업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heering tools such as balloon sticks were thrown away in the stands after use because they were inconvenient for the audience to continue to carry, requiring separate collection work for cleaning.

특히 종래의 응원 도구는 관객별로 응원하는 특정 선수의 이름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conventional cheering tools had the problem of not providing a function that could display the name of a specific player that each audience member was cheering for.

한편, 개인 또는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홍보물 중 하나가 특정 사물 또는 인체를 흉내 낸 형태를 갖는 인형이다. Meanwhile, one of the various promotional materials for promoting products or services of individuals or companies is a doll that has a shape that imitates a specific object or human body.

이러한 인형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 예를 들면, 각종 행사장 또는 국내외 테마파크 등의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일 예로서, 사람이 특정 형태의 옷과 탈을 착용하여 해당 형태의 캐릭터 또는 사물이 직접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제공하는 형태의 것이 있다.These dolls are widely used in places where people gather, such as various event halls 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me parks. For example, there is a type in which a person wears a specific type of clothing and mask to give the effect that the character or object of that type is moving directly.

이러한 형태의 인형은, 외부에서는 완전히 해당 캐릭터 또는 사물의 형태를 띄게 되므로 사람들의 주의 또는 시선을 끌기에 좋지만, 착용자의 편의성은 낮은 문제가 있다. This type of doll is good for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or gaze because it completely takes on the shape of the character or object from the outside, but it has the problem of low convenience for the wearer.

특히, 고온의 기후, 예를 들어 여름철에 동물 분장을 하는 등과 같은 경우는 사용 시간에 제약이 가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hot climates, such as summer, when applying animal makeup, there is a problem that usage time is inevitably limited.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어린 아이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끄는 놀이 등을 통한 학습교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응원도구 또는 기업 등의 광고 및 홍보물로 사용할 수는 보드형 머리띠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provides a board-shaped headband that can provide learning tools through play that attracts the interest and attention of young children, and can be used as a cheering tool or as an advertising and promotional material for companies, etc.

본 고안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ttached drawing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는,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판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a board-shaped headband comprises: a wearing part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d and worn on the user's head; a fixing part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earing part; and a panel part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상기 고정부는, 상면에 상기 판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이루는 제1 벽체 및 제2 벽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1 벽체로부터 상기 제2 벽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fixed part includes a body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into which the panel part is inserted, and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forming the insertion groove;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wall part toward the second wall part; and a pair of guide part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trusion part, respectively.

상기 판넬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한다.The above panel portion includes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portion is inserted; and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제2 벽체로부터 이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한다.One side of the above protrusion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and a pair of the above guide parts connect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to each other.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판넬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된다.On one side of the above protrusio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nel portion is inserted.

상기 판넬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될 때, 상기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된다.The above panel portion, when inserted into the above fixed portion, is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inclined surface.

상기 판넬부는, 정면 또는 후면에 보드마카를 통해 그림이 그려지거나, 또는 글씨가 써지고 지워진다.The above panel section can have pictures drawn on the front or back using a board marker, or letters written on it and then erased.

상기 판넬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panel portion further includes a base portion forming a body; and a cover portion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는 하단과 양측단이 서로 접착되어 밀폐되고, 상단은 개방된다.The above base portion and the above cover portion are sealed by being adher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top is open.

상기 커버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The above cover part i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상기 판넬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글씨 또는 그림이 그려진 게시물을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더 포함한다.The above panel portion further includes a base portion forming the body; and a magnetic body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which magnetically attaches a notice with letters or pictures drawn on it to the base portion.

본 고안에 따르면, 판넬부의 정면 또는 후면에 보드마카를 통해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글씨를 쓰고, 지움으로써, 해당 학습교구재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rawing a picture or writing on the front or back of the panel with a board marker and erasing it, the learning material can be reused without being thrown awa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분해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so that this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describ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drawings represent lik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of the listed items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when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 and/or "comprising"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 usage state diagram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는, 착용부(100)와, 고정부(200) 및 판넬부(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4,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portion (100), a fixing portion (200), and a panel portion (300).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바람에 의해 머리카락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한다.The wearing part (100) is made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d and is worn on the user's head, preventing the user's hair from being blown away by the wind when worn on the user's head.

따라서, 착용부(100)의 하부에는 머리카락을 쓸어올릴 수 있는 다수개의 돌기(110)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ly, a number of protrusions (110) capable of sweeping up hair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0).

이러한 돌기(110)는 착용부(100)의 내주면에서 착용부(100)의 호 형상을 따라 한 줄로 배열된다.These protrusions (110) are arranged in a single line along the arc shape of the wearing part (1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part (100).

즉, 돌기(110)는 사용자의 머리카락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머리에 착용할 때, 머리에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110) increases friction with the user's hair,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on the head when worn on the head.

그리고, 착용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 머리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머리와 대응되도록 탄성변형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arable part (100) is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head when worn on the user's head.

따라서, 착용부(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earable part (10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it can be easily worn on the user's head and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user's head.

고정부(200)는, 착용부(10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착용부(100)의 상부에서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다.The fixed part (200)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0) and is placed in the center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0).

즉, 고정부(200)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용부(100)에서 만곡점에 배치된다.That is, the fixed part (200) is placed at a curved point in the wearing part (100)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한편, 고정부(200)는 착용부(100)의 만곡점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만곡점의 양 옆의 어느 한곳 또는 양옆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만곡점과 만곡점의 양옆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ed part (2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ixed to the curved point of the wearing part (100), but may be placed on either side of the curved point or on both sides as needed, and may be placed on both the curved point an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int.

이러한 고정부(200)는 몸체부(210)와, 돌출부(220) 및 가이드부(230)를 포함한다.This fixed part (200) includes a body part (210), a protrusion part (220), and a guide part (230).

몸체부(210)는, 고정부(2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부(100)의 상부에 배치된다.The body part (210) forms the body of the fixed part (200)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0) as described above.

한편, 판넬부(300)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몸체부(210)에 삽입된다.Meanwhile,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210) from top to bottom.

이를 위해 몸체부(210)의 상면에는 판넬부(300)가 삽입되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다.For this purpose, an insertion groove (211) into which a panel portion (30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10).

그리고, 몸체부(210)는 삽입홈(211)을 이루는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가 형성된다.And, the body part (210) is formed with a first wall (212) and a second wall (213) forming an insertion groove (211).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부(100)의 상부에 고정된다.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ar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wearing part (100)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은 착용부(100)와 함께 사출성형 방식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부(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ar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ogether with the wearing part (100) and are formed as one piece with the wearing part (100).

이로 인해, 고정부(200)는 서로 호환할 수 있는 머리띠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착용부(100)와 함께 사출성형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Due to this, the fixed part (200) can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together with the wearing part (100) without separately manufacturing a headband that is compatible with each oth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돌출부(220)는, 제1 벽체(212)로부터 제2 벽체(213)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protrusion (220) protrudes from the first wall (212) toward the second wall (213) and has a cylindrical shape.

즉, 돌출부(220)는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 사이에 형성된다.That is, the protrusion (2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그리고, 돌출부(220)는 고정부(200)에 판넬부(300)가 삽입되면 판넬부(300)를 고정시킨다.And, the protrusion (220) fixes the panel part (300) when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00).

이러한 돌출부(220)는 제2 벽체(213) 방향인 일단부가 제2 벽체(213)로부터 이격되고, 일단부에서 판넬부(300)가 삽입되는 방향, 즉 상부에는 경사면(221)이 형성된다.This protrusion (220) has one end facing the second wall (213)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213), and an inclined surface (221)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이로 인해, 돌출부(220)는 판넬부(300)가 고정부(200)에 삽입될 때, 판넬부(300)가 제1 벽체(212)와 제2 벽체(213)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판넬부(300)의 하단이 돌출부(220)의 경사면(221)을 타고 용이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Due to this, when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00), the protrusion (220)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and the lower end of the panel part (300) can easily sl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221) of the protrusion (220).

가이드부(2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돌출부(22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The guide portion (230) is formed as a pair, one on each side of the protrusion (220).

그리고, 가이드부(230)는 고정부(200)에 판넬부(300)가 삽입되면 판넬부(300)가 고정부(200)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And, when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fixed part (200), the guide part (230) restricts the panel part (300) from moving left and right from the fixed part (200).

이러한 가이드부(230)은 판넬부(3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is guide part (230)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그리고, 가이드부(230)는 제1 벽체(212)와 제2 벽체(213)를 서로 연결한다.And, the guide part (230) connects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to each other.

즉, 가이드부(230)에 의해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판넬부(300)가 고정부(200)에 삽입될 때, 가이드부(230) 및 제1, 2 벽체 사이로 판넬부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guide part (230), when the panel part (3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00), the panel par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guide part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walls.

판넬부(300)는, 고정부(20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1 벽체(212) 및 제2 벽체(213) 사이에 삽입된다.The panel part (3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200) and inserted between the first wall (212) and the second wall (213).

그리고, 판넬부(300)는 돌출부(220)에 의해 고정부(200)에 고정되고, 가이드부(23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And, the panel part (3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200) by the protrusion part (220), and its movement is limited by the guide part (230).

이를 위해 판넬부(300)에는 고정홈(310) 및 가이드홈(320)이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fixing groove (310) and a guide groove (320) are formed in the panel part (300).

고정홈(310)은, 돌출부(220)와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돌출부(220)가 관통된다.The fixed home (310) is composed of the same number of protrusions (220), and the protrusions (220) penetrate through it.

가이드홈(320)은, 가이드부(23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이드부(230)가 삽입된다. The guide home (320) is formed in the same nu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art (230), and the guide part (230) is inserted.

이로 인해, 판넬부(300)는 돌출부(220)에 의해 고정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가이드부(230)에 의해 판넬부(300)가 고정부(200)로부터의 움직임이 견고하게 제한될 수 있다.Due to this, the panel part (3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fixing part (200) by the protrusion part (220), and the movement of the panel part (300) from the fixing part (200) can be firmly restricted by the guide part (230).

이러한 판넬부(300)의 정면 또는 후면에 보드마카를 통해 그림이 그려지거나, 또는 글씨가 써질 수 있다.A picture can be drawn or letters can be written on the front or back of the panel (300) using a board marker.

그리고, 학습이 완료되면 보드마카를 통해 그려지거나 써진 그림 또는 글씨는 보드지우개를 통해 지울 수 있다.And, once learning is complete, any pictures or text drawn or written with a board marker can be erased with a board eraser.

즉, 판넬부(300)는 아동들의 교육 시, 글씨 또는 그림을 그린 후, 추후에는 지웠다가 다른 글씨 또는 그림을 그릴 수 있다.That is, when children are being educated, the panel part (300) can be used to draw letters or pictures, and then erased and new letters or pictures can be drawn later.

이로 인해, 해당 학습교구재를 버리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This allows the learning materials to be reused rather than discard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용 머리띠는, 판넬부(300)에 게시물(400)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 headband for a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inserting a post (400) into a panel portion (300).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3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anel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usage state diagram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figurations identical to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300)는, 베이스부(330) 및 커버부(3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panel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330) and a cover portion (340).

베이스부(330)는, 판넬부(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베이스부(330)와 커버부(340) 사이에 삽입되는 글씨 또는 그림이 그려진 게시물(400)을 지지한다.The base part (330) forms the body of the panel part (300) and supports a post (400) with letters or pictures drawn on it,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part (330) and the cover part (340).

커버부(340)는, 베이스부(330)의 정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베이스부(330)와 커버부(340) 사이에 삽입되는 게시물(400)을 덮는다.The cover part (34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part (330) and covers the post (400) inserted between the base part (330) and the cover part (340).

이를 위해 베이스부(330) 및 커버부(340)는 하단과 양측단이 서로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되어 밀폐되고, 상단은 개방되어 개방부(350)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base part (330) and the cover part (340) are sealed by bonding the lower and both sides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means,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orm an open part (350).

즉, 그림이 그려지거나, 또는 글씨가 써진 게시물(400)이 개방부(350)를 통해 베이스부(330)와 커버부(340) 사이로 삽입된다.That is, a post (400) on which a picture is drawn or text is written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part (330) and the cover part (340) through the opening part (350).

그리고, 커버부(34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And, the cover part (34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이로 인해, 게시물(400)에 표시된 그림 또는 글씨는 커버부(340)에 의해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Due to this, the picture or text displayed on the post (400)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by the cover part (34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용 머리띠는, 판넬부(300)에 자성체(360)를 이용해 게시물(4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 headband for a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ttaching a post (400) to a panel portion (300) using a magnetic body (360).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3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anel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형 머리띠의 사용상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usage state diagram of a board-shaped headb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nfigurations identical to those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300)는, 베이스부(330) 및 자성체(3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panel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330) and a magnetic body (360).

베이스부(330)는, 판넬부(3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베이스부(330)에 자성체(360)를 매개로 하여 글씨 또는 그림이 그려진 게시물(400)을 지지한다.The base part (330) forms the body of the panel part (300) and supports a notice (400) with letters or pictures drawn on it via a magnetic body (360) on the base part (330).

자성체(360)는, 베이스부(330)의 정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베이스부(330)에 글씨 또는 그림이 그려진 게시물(400)을 자력으로 부착시킨다.The magnetic body (36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330) and attaches a notice (400) with letters or pictures drawn on it to the base (330) by magnetic force.

이를 위해 베이스부(330)는 자성체(360)가 자력에 의해 붙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For this purpose, it is natural that the base part (330) is made of a material to which the magnetic body (360) can be attached by magnetic force.

즉, 판넬부(300)는 자성체(360)에 의해 게시물(400)이 베이스부(330)에 부착될 수 있다.That is, the panel part (300) can be attached to the base part (330) by the magnetic body (360) with the post (40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드용 머리띠는, 판넬부(300)에 자성체(360)를 이용해 게시물(400)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판넬부(300)에 게시물(400)을 부착할 수 있다면, 자성체(360) 외에도 풀(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매개로 하여 게시물을 판넬부에 부착함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headband for a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being usable by attaching a post (400) to a panel portion (300) using a magnetic body (360), but if the post (400) can be attached to the panel portion (300),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post to the panel portion using glue or double-sided tape, in addition to the magnetic body (360).

상기와 같이 풀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매개로 하여 게시물을 판넬부에 부착할 경우, 판넬부의 재질은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attaching a post to a panel using glue or double-sided tape as described above, the panel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이처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and not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not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착용부 110: 돌기
200: 고정부 210: 몸체부
211: 삽입홈 212: 제1 벽체
213: 제2 벽체 220: 돌출부
221: 제1 경사면 230: 가이드부
300: 판넬부 310: 고정홈
320: 가이드홈 330: 베이스부
340: 커버부 350: 개방부
360: 자성체 400: 게시물
100: Wearing part 110: Bump
200: Fixed part 210: Body part
211: Insertion groove 212: First wall
213: Second wall 220: Projection
221: 1st slope 230: Guide section
300: Panel part 310: Fixed home
320: Guide Home 330: Base
340: Cover part 350: Open part
360: Magnetic 400: Post

Claims (11)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판넬부를 포함하는 보드용 머리띠.
A wearable part that is worn on the user's head and is made of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user's head;
A fixed part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wearing part;
A headband for a board including a panel portion that is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top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면에 상기 판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을 이루는 제1 벽체 및 제2 벽체가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1 벽체로부터 상기 제2 벽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first paragraph, the fixed part,
A body part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the panel part is inserted, and a first wall and a second wall forming the insertion groov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wall toward the second wall; and
A headband for a board including a pair of guide parts form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고정홈; 및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second paragraph, the panel part,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above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headband for a board includ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above guide portion is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면은 상기 제2 벽체로부터 이격되고,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벽체와 상기 제2 벽체를 서로 연결하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third paragraph,
A board headband having one side of the protrus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wall, and a pair of the guide parts connecting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서 상기 판넬부가 삽입되는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된 보드용 머리띠.
In the third paragraph,
A headband for a boar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protrus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nel portion is inser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상기 고정부에 삽입될 때, 상기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보드용 머리띠.
In paragraph 5,
The above panel portion is a board headband that is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en inserted into the above fix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정면 또는 후면에 보드마카를 통해 그림이 그려지거나, 또는 글씨가 써지고 지워지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anel portion is a board headband on which a picture can be drawn on the front or back using a board marker, or words can be written and era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 부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third paragraph, the panel part,
The base part forming the body; and
A headband for a board further comprising a cover portion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커버부는 하단과 양측단이 서로 접착되어 밀폐되고, 상단은 개방된 보드용 머리띠.
In Article 8,
A headband for a board in which the base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re sealed by being adhered to each other at the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top is ope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보드용 머리띠.In the 8th paragraph, the cover part is a board headb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몸체를 이루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정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에 글씨 또는 그림이 그려진 게시물을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보드용 머리띠.

In the third paragraph, the panel part,
The base part forming the body; and
A headband for a board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material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for magnetically attaching a post with letters or pictures drawn on it to the base portion.

KR2020230002285U 2023-11-08 2023-11-08 Board headband Pending KR2025000074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85U KR20250000745U (en) 2023-11-08 2023-11-08 Board head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285U KR20250000745U (en) 2023-11-08 2023-11-08 Board head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0745U true KR20250000745U (en) 2025-05-15

Family

ID=9570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285U Pending KR20250000745U (en) 2023-11-08 2023-11-08 Board head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0074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1723B1 (en) Artificial nails with three dimensional features
US4372077A (en) Combined book, flannelboard and hand puppet
US6612056B1 (en) Versatile enlarged hand-shaped novelty display
US4365353A (en) Body puppet and teaching aid
CA2192528C (en) Device for presenting alternative facial expressions
US6511359B1 (en) Bobbling head toy figurine with photo receiving chamber
US4020586A (en) Doll with envelope for photo image face, and hair concealing envelope opening
US20220343791A1 (en) Toy with light emitting diode
US20070015434A1 (en) Appendage Puppets
KR20250000745U (en) Board headband
KR20240001536U (en) Board headband
KR200458939Y1 (en) An advertising balloon
US6966776B1 (en) Educational doll
KR100422339B1 (en) A cap with a mask
JP3635055B2 (en) Stuffed toy
US20100048094A1 (en) Simulated eye for use in toy
US20110165820A1 (en) Doll kit
KR200188202Y1 (en) Adjustable hat
KR200416068Y1 (en) Cheering Gloves
KR200223008Y1 (en) cap being able to attach accessary
US3583085A (en) Badge construction
KR200361099Y1 (en) Decorative sticker
RU2241259C1 (en) Device for forming stereo image
CN209825528U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box
US20160325194A1 (en) Modular soft toy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