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841A - Drug administ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Drug administr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5841A KR20230085841A KR1020220141141A KR20220141141A KR20230085841A KR 20230085841 A KR20230085841 A KR 20230085841A KR 1020220141141 A KR1020220141141 A KR 1020220141141A KR 20220141141 A KR20220141141 A KR 20220141141A KR 20230085841 A KR20230085841 A KR 202300858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g
- unit
- infusion
- fluid
- reservo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7—Flow controllers controlling delivery of multiple fluids, e.g. sequencing, mixing or via separate flow-pa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365—Air de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61M2202/048—Anaesth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해질 조성의 수액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고, 필요한 약물의 용량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정맥투여를 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intravenously administering an infusion solution having an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atient's condition and accurately preparing a required dose of the drug.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2021년 12월 7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1-0174046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This specif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the filing date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21-0174046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December 7, 2021, all of which ar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액과 약물을 혼합하여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apable of administering a drug by mixing an infusion and a drug.
병원에서 환자에게 약물이나 수액을 정맥투여 하는 경우, 혈관에 직접적으로 약물 자체를 투여하거나(direct intravenous bolus injection, bolus), 수액과 함께 단시간 내에 투여하거나, 수액과 함께 지속적으로 투여(continuous intra venous infusion, CIV)한다. In the case of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drugs or fluids to patients in hospitals, the drug itself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 (direct intravenous bolus injection, bolus), administered with fluid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or continuously administered with fluids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 CIV).
수액과 함께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에, 환자의 상태에 따른 수액의 전해질 조성을 고려하여 약물의 준비가 이루어진다. 시판되는 수액에는 주사용수(멸균 증류수), N/S(normal saline), H/S(hartmann solution), Plasma solution, 5% D/W(Dextrose in water), 10% D/W, Half Saline(0.45% saline), 5% D/S(Dextrose in saline) 등이 있다. 보통 시판되는 제품 중에서 선택한 수액으로 투약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전해질 조성으로 구성된 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의료인이 여러가지 전해질 제품을 일정량으로 혼합하여 투약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혈액 검사를 일정시간마다 시행하여 검사 결과에 따라 전해질의 투여량이 변경되는 경우 수액을 다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the case of administering a drug together with an infusion, the drug is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olyte composition of the infus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Commercially available solutions include water for injection (sterile distilled water), N/S (normal saline), H/S (hartmann solution), Plasma solution, 5% D/W (Dextrose in water), 10% D/W, Half Saline ( 0.45% saline) and 5% D/S (Dextrose in saline). Usually, administration is performed with an infusion select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but when there is no product composed of an appropriate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re are cases where medical personnel have to mix and administer various electrolyte products in a certain amount. In addition, when the blood test is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dosage of electrolyt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there is a hassle of preparing the fluid again.
정맥투여용 약물은 앰플이나 바이알의 형태로 시판되는 경우가 많다. 투약 처방이 시판되는 약물의 용량보다 적거나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앰플이나 바이알에서 처방에 따라 요구되는 용량을 사용한 후 잔량은 폐기하게 되거나, 한번의 투약을 위하여 여러 개의 앰플이나 바이알에서 약물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Drugs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are often marketed in the form of ampoules or vial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dosage prescription is less than or more than the dosag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drug. In this case, the remaining amount is discarded after using the required amount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 the ampoule or vial, or the drug is used in several ampoules or vials for one administration. There is a hassle to prepare.
정맥투여를 위한 약물 준비 시 앰플 또는 바이알의 형태로 제품화된 약물을 생리 식염수 등의 수액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주사기에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약물을 주사기로 흡인하여 준비하는 단계, 희석을 위하여 수액을 수액백에서 흡인하여 준비하는 단계, 준비한 약물과 수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의료인은 주사기에 그려진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용량을 판단하게 되므로, 이러한 과정들을 거치면서 정확한 용량의 약물의 제조가 어려운 실정이다. 약물의 미세한 용량의 차이로도 환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확한 용량의 약물 준비를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멸균법 및 지침을 완벽히 숙지하더라도, 앰플, 바이알 및 수액 등을 이용하여 의료진이 투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합되거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When preparing a drug for intravenous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mix the drug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ampoule or vial with an infusion such as physiological saline at a certain ratio and prepare it in a syringe. In this case, the steps of preparing the drug by sucking it into a syringe, preparing the solution by sucking it from the infusion bag for dilution, and mixing the prepared drug and the solution are performed. Since the dose is determined by checking,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drug of an accurate dose through these processes. Since even minute differences in doses of drug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s, a system for preparing drugs with accurate doses is required. In addition, even if the sterilization method and instructions are fully understood,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r mixing of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completely ruled out in the process of medical staff preparing administration using ampoules, vials, and infusions.
한편, 기존에 시행되는 투약을 위한 수액 및 약물의 준비과정은 투약 과정에서 요구되는 멸균법 및 지침을 따르기 위하여 비효율적인 과정이 수반되어 과도한 의료진의 수고가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필요 이상의 약물 및 약물 포장재 등의 의료 폐기물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감염 환자의 경우에는 의료진을 보호하고, 의료진에 의한 교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운, 장갑, 마스크 등과 같은 장비를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시간 및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preparation process of fluids and drugs for administration involves inefficient processes in order to follow the sterilization methods and instructions required in the administration process, requiring excessive efforts of medical staff. Accordingly, more than necessary drugs and drugs Medical waste such as packaging materials is also gener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nfected patient, a waste of manpower, time, and resources occurs because equipment such as gowns, gloves, and masks must be worn to protect medical staff and prevent cross-infection by medical staff.
이에 따라, 수액과 약물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료인이 원하는 수액의 전해질 조성과 약물의 용량으로 준비할 수 있으며, 감염 환자와의 최소한의 접촉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Accordingly, a system that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prepare fluids and drugs, prepare the electrolyte composition of fluids and drug doses desired by medical personnel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administer drugs with minimal contact with infected patients. need this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전해질 조성을 가진 수액과 처방된 용량만큼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고 원격으로 투여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preparing an infusion having an appropriat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prescribed dose of a drug according to a patient's condition and remotely administering the drug.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수액 및 약물에 대한 처방이 입력되는 제어부; 수액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수액을 방출하는 수액 저장고; 약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 저장고; 상기 수액 저장고 및 약물 저장고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라 상기 수액 저장고에서 방출된 수액과 상기 약물 저장고에서 방출된 약물이 혼합되는 약물 혼합부; 및 상기 약물 혼합부와 환자 측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into which a prescription for fluid and drug is input; A fluid reservoir for storing fluid and releasing the stored flui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reservoir that stores a drug and releases the stored dru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mix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servoir, and mixes the fluid released from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leased from the drug reservoir according to a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rug mixing unit and the patient-side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른 전해질 조성의 수액과 처방에 따른 용량만큼의 약물이 각각 제조되며, 이들이 혼합되어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른 주입 속도로 투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해질 조성의 수액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고, 필요한 약물의 용량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정맥투여를 할 수 있다.I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usion of an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drug corresponding to the dos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are prepared, and they are mixed at an injec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n infusion of an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to accurately prepare the required dose of the drug, so that intravenous administr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수액의 급속 투여가 가능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apidly administering fluid, so that immediate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의료진의 약물 준비 시간 및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약물 및 수액을 필요량만 준비할 수 있어 기존의 약물 투여 방식에 의할 때 발생하는 약물 또는 약물 포장재 등의 방대한 의료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of medical staff preparing drugs, and can prepare only the necessary amount of drugs and fluids, thereby reducing drugs or drugs that occur when using conventional drug administration metho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a huge amount of medical waste, such as packaging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제어부에 처방을 입력하면 수신부에 정보가 전송되어 원격으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접촉으로 약물 투여가 가능하여 감염 환자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rescriptio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unit and the drug is administered remotely, so that the drug can be administered with minimal contact, so that infected patients can be easily managed. There is an effec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 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 저장고의 수신부에 수신된 투약 처방에 따라 수액 보관부의 수액이 수액 준비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저장고의 수신부에 수신된 투약 처방에 따라 약물 보관부의 약물이 약물 준비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검수부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저장고의 수액 준비부와 약물 혼합부의 연결 라인에 가압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혼합부와 연결부의 연결 라인에 에어 디텍터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투약 처방에 따라 수액과 약물이 혼합되어 투여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uid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infusion of the infusion storage unit is delivered to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medication prescription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of the infus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rugs from the drug storage unit are delivered to the drug preparation unit according to a medication prescription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of the drug stor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including an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ssuriz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and the drug mixing unit of the infusion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detector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between a drug mix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mixing and administering an infusion and a drug according to a medication prescription input through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상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상태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여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and is connected.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제1"및 "제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re not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For exampl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원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상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수액 및 약물에 대한 처방이 입력되는 제어부; 수액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수액을 방출하는 수액 저장고; 약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 저장고; 상기 수액 저장고 및 약물 저장고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라 상기 수액 저장고에서 방출된 수액과 상기 약물 저장고에서 방출된 약물이 혼합되는 약물 혼합부; 및 상기 약물 혼합부와 환자 측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장치를 제공한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into which a prescription for fluid and drug is input; A fluid reservoir for storing fluid and releasing the stored flui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reservoir that stores a drug and releases the stored dru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mix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servoir, and mixes the fluid released from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leased from the drug reservoir according to a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drug mixing unit and the patient-side 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른 전해질 조성의 수액과 처방에 따른 용량만큼의 약물이 각각 제조되며, 이들이 혼합되어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른 주입 속도로 투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따른 전해질 조성의 수액을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고, 필요한 약물의 용량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정맥투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투여 장치는 수액의 급속 투여가 가능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 투여 장치는 의료진의 약물 준비 시간 및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약물 및 수액을 필요량만 준비할 수 있어 기존의 약물 투여 방식에 의할 때 발생하는 약물 또는 약물 포장재 등의 방대한 의료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약물 투여 장치는 제어부에 처방을 입력하면 수신부에 정보가 전송되어 원격으로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최소한의 접촉으로 약물 투여가 가능하여 감염 환자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usion of an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a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drug corresponding to the dos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are prepared, and they are mixed at an injection rat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can be administer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n infusion of an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and to accurately prepare the required dose of the drug, so that intravenous administra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In additio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can rapidly administer fluids, so that immediate treat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In additio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can reduce the preparation time and effort of medical personnel, and can prepare only the required amount of drugs and fluids, thereby eliminating the vast amount of medical waste such as drugs or drug packaging materials generated by conventional drug administration method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In addition, when a prescription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unit and administers the drug remotely, thereby enabling drug administration with minimal contact, thereby enabling easy management of infected patie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10)는 제어부(100), 수액 저장고(200), 약물 저장고(300), 약물 혼합부(40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0)에는 수액 및 약물에 대한 투약 처방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수액 저장고(200)는 수액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된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투여할 수액을 준비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저장고(300)는 약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에 입력된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을 준비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물 혼합부(400)는 수액 저장고(200) 및 약물 저장고(300)와 각각 연결되어 수액 저장고(200)에서 준비된 수액과 약물 저장고(300)에서 준비된 약물이 혼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약물 혼합부(400)와 환자 측 라인을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혼합된 약물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tion prescription for fluids and drugs may be input to the
또한, 의료법상의 규정을 준수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멸균 유지 및 수액의 품질 관리가 필요하므로, 상기 수액 준비부(230)와 약물 혼합부(400) 사이 및 약물 준비부(330)와 약물 혼합부(400) 사이에는 일방향 채널 혹은 필터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fluid quality control are required to comply with medical law regulations and ensure patient safety, betwee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의료인의 투약 요구와 약물 주입 요구 속도를 입력하는 입력부(110), 상기 투약 요구 및 약물 주입 요구 속도에 따라 목표 투여량 및 약물 주입 속도를 결정하여 수액 저장고 및 약물 저장고에 명령을 전송하는 전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0)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상태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USB(Universal Serial Bus),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상태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0)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수액 및 약물에 대한 투약 처방의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투약 요구와 약물 주입 요구 속도에 대하여, 상기 투약 처방 모델을 이용하여 목표 투여량 및 약물 주입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수액 및 약물에 대한 투약 처방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의료진은 상기 제어부에 투약 요구와 약물 주입 요구 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0)는, 환자의 전자차트를 기록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가 EMR 시스템과 연동됨으로써, 상기 약물 투여 장치(10)를 통하여 투여되는 약물의 종류 및 용량, 수액의 전해질 구성 및 투여량이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가 EMR 시스템과 연동됨으로써 바이탈 사인(vital sign) 등의 환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제어부(100)는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투약 처방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EMR 시스템은 태블릿, PC 등의 병의원 단말과 연동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상기 EMR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투약 요구와 약물 주입 요구 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 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uid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액 저장고(200)는 상기 전송부(120)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210), 1종 이상의 수액을 보관하는 수액 보관부(220), 및 상기 수신부(2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수액 보관부(220)로부터 전달받은 수액의 방출을 준비하는 수액 준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액 보관부(220)에 보관되는 수액은 주사용수(멸균 증류수), N/S(normal saline), H/S(hartmann solution), Plasma solution, 5% D/W(Dextrose in water), 10% D/W, Half Saline(0.45% saline), 5% D/S(Dextrose in saline) 등의 제품일 수 있으며, 염화나트륨(NaCl), 염화칼륨(KCl), 마그네슘(Mg), 중탄산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 NaHCO3) 등의 전해질 용액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액 보관부(220)에 보관되는 수액의 종류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usion stor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수액 준비부(230)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품으로 판매되는 수액이 일정 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수액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준비부(230)는 전해질 용액이 일정 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전해질 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수액 준비부(230)는 제품으로 판매되는 수액과 전해질 용액이 일정 비로 혼합될 수 있도록 수액과 전해질 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의료법상의 규정을 준수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멸균 유지 및 수액의 품질 관리가 필요하므로, 상기 수액 보관부(220)와 수액 준비부(230) 사이에는 일방향 채널 혹은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aintenance of sterilization and quality control of fluids are required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Medical Act and to ensure the safety of patients, there is a one-way gap between the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 저장고의 수신부에 수신된 투약 처방에 따라 수액 보관부의 수액이 수액 준비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4a to 4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infusion of the infusion storage unit is delivered to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medication prescription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of the infus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액 보관부(220)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액 보관부(220)는 상기 수액 저장고(200) 내에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액 보관부(2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액들이 보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수액 보관부에 수액 1이 보관되고, 제2 수액 보관부에 수액 2가 보관되고, 제3 수액 보관부에 수액 3이 보관되고, 제4 수액 보관부에 수액 4가 보관되고, 제5 수액 보관부에 수액 5가 보관되고, 제n 수액 보관부에 수액 n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n은 6 이상의 정수이다. 다만, 수액 보관부(220)의 개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액 보관부(220)의 개수는 보관하는 수액의 종류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액 준비부(230)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단일의 수액 준비부(230)가 구비된 수액 저장고(20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수액 보관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저장된 수액들을 수액 준비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액 보관부(220)는 수신부(2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수액 1, 수액 2, 수액 4 및 수액 5를 수액 준비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수액 준비부(230)는 수액 보관부(220)로부터 전달된 수액들을 혼합하여, 약물 혼합부(400)로 방출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수액 준비부(230)에서 수액들을 혼합함으로써, 약물 혼합부(400)에 보다 균질한 성분의 수액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b는 2 이상의 수액 준비부(230)가 구비된 수액 저장고(20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2 이상의 수액 준비부(230)는 2 이상의 수액 보관부(220)와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액 1을 보관하는 제1 수액 보관부는 제1 수액 준비부와 연결되고, 수액 2를 보관하는 제2 수액 보관부는 제2 수액 준비부와 연결되고, 수액 3을 보관하는 제3 수액 보관부는 제3 수액 준비부와 연결되고, 수액 4를 보관하는 제4 수액 보관부는 제4 수액 준비부와 연결되고, 수액 5를 보관하는 제5 수액 보관부는 제5 수액 준비부와 연결되고, 수액 n을 보관하는 제n 수액 보관부는 제n 수액 준비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은 6 이상의 정수이다. 즉, 수액 준비부(230)에는 수액 보관부(220)로부터 전달된 수액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될 준비가 될 수 있다. 수액 준비부(230)에서 수액들이 별도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물 혼합부(400)에 최종적으로 수액들을 방출하기 전에 준비된 수액들에 추가 또는 제외할 수액이 있는지 검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Figure 4b shows an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수액 준비부(230)는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백(9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c는 혈액백(900)과 연결된 수액 준비부(230)가 구비된 수액 저장고(20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혈액백(900)은 환자에게 수혈할 피를 저장하며, 수액 준비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액 준비부(230)에는 수액 보관부(220)에서 전달되는 수액과 혈액백(900)에서 전달되는 혈액이 방출 준비될 수 있다. 이후, 혈액백(900)으로부터 전달된 혈액은 최종적으로 약물 혼합부(400) 및 연결부(500)를 겨쳐 환자에게 수혈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저장고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약물 저장고(300)는 상기 전송부(120)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310), 1종 이상의 약물을 보관하는 약물 보관부(320), 및 상기 수신부(3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약물 보관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약물의 방출을 준비하는 약물 준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은 정맥투여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는 모든 약물을 포함한다. 상기 약물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의 용량을 달리 할 수 있도록 일정한 용량으로 규격된 앰플이나 바이알 형태가 아닌 대용량 용기에 준비된 약물일 수 있다. 따라서 멸균유지 등의 이유로, 투약 처방이 앰플이나 바이알의 용량보다 적을 경우, 필요 이상의 약물, 용기, 약물의 포장재 등이 버려지는 것을 예방하여 방대한 의료 폐기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includes all drugs that can be administered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The drug may be a drug prepared in a large-capacity container rather than in the form of an ampoule or vial with a constant dose so that the dose of the drug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Therefore, for reasons such as sterilization, when the dosage prescription is less than the capacity of an ampoule or v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 large amount of medical waste by preventing unnecessary drugs, containers, drug packaging materials, etc. from being discarded.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의료법상의 규정을 준수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멸균 유지 및 약물의 품질 관리가 필요하므로, 상기 약물 보관부(320)와 약물 준비부(330) 사이에는 일방향 채널 혹은 필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aintenance of sterilization and quality control of drugs are required to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Medical Act and to ensure patient safety, a one-way gap between the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저장고의 수신부에 수신된 투약 처방에 따라 약물 보관부의 약물이 약물 준비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A and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rugs from the drug storage unit are delivered to the drug preparation unit according to a medication prescription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of the drug stor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보관부(320)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물 보관부(320)는 상기 약물 저장고(300) 내에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약물 보관부(3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물들이 보관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약물 보관부에 약물 1이 보관되고, 제2 약물 보관부에 약물 2가 보관되고, 제3 약물 보관부에 약물 3이 보관되고, 제4 약물 보관부에 약물 4가 보관되고, 제5 약물 보관부에 약물 5가 보관되고, 제n 약물 보관부에 약물 n이 보관될 수 있다. 이때, n은 6 이상의 정수이다. 다만, 약물 보관부(320)의 개수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약물 보관부(220)의 개수는 보관하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준비부(330)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a는 단일의 약물 준비부(330)가 구비된 약물 저장고(30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약물 보관부(320)는 수신부(3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저장된 약물들을 약물 준비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보관부(320)는 수신부(310)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약물 1, 약물 2, 약물 4 및 약물 5를 약물 준비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약물 준비부(330)는 약물 보관부(320)로부터 전달된 약물들을 혼합하여, 약물 혼합부(400)로 방출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약물 준비부(330)에서 약물들을 혼합함으로써, 약물 혼합부(400)에 보다 균질한 성분의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도 6b는 2 이상의 약물 준비부(330)가 구비된 약물 저장고(300)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2 이상의 약물 준비부(330)는 2 이상의 약물 보관부(320)와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물 1을 보관하는 제1 약물 보관부는 제1 약물 준비부와 연결되고, 약물 2를 보관하는 제2 약물 보관부는 제2 약물 준비부와 연결되고, 약물 3을 보관하는 제3 약물 보관부는 제3 약물 준비부와 연결되고, 약물 4를 보관하는 제4 약물 보관부는 제4 약물 준비부와 연결되고, 약물 5를 보관하는 제5 약물 보관부는 제5 약물 준비부와 연결되고, 약물 n을 보관하는 제n 약물 보관부는 제n 약물 준비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n은 6 이상의 정수이다. 즉, 약물 준비부(330)에는 약물 보관부(320)로부터 전달된 약물이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될 준비가 될 수 있다. 약물 준비부(330)에서 약물들이 별도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물 혼합부(400)에 최종적으로 약물들을 방출하기 전에 준비된 약물들에 추가 또는 제외할 약물이 있는지 검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6B shows an exemplary state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검수부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including an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투여 장치(10)는 상기 제어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수액 및 약물에 대한 처방의 피드백 결과를 상기 제어부(100)에 제공하는 검수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검수부(800)는 수액 저장고(200)의 수신부(210)와 연결되어,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투여 수액의 종류, 수액의 목표 투여량, 수액의 주입 속도 등을 포함한 수액 처방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상기 검수부(800)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수액 처방의 검수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즉, 검수부(800)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수액 저장고(200)의 수신부(210)에 수신한 수액 처방의 적절성을 검수하며, 수액 투약 처방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100)로 피드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검수부(800)는 약물 저장고(300)의 수신부(310)와 연결되어, 수신부(310)에서 수신한 투여 약물의 종류, 약물의 목표 투여량, 약물의 주입 속도 등을 포함한 약물 처방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상기 검수부(800)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통해, 상기 약물 처방의 검수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즉, 검수부(800)는 알고리즘을 통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약물 저장고(300)의 수신부(310)에 수신한 약물 처방의 적절성을 검수하며, 약물 투약 처방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100)로 피드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검수부(800)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검수부(800)가 EMR 시스템과 연동됨으로써, 바이탈 사인(vital sign) 등의 환자의 상태를 반영하여, 수액 저장고(200)의 수신부(210)에 수신한 수액 처방의 적절성과 약물 저장고(300)의 수신부(310)에 수신한 약물 처방의 적절성을 검수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상기 EMR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검수부(800)에서 검수한 수액 및 약물 처방의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 결과를 확인하여, 추가하거나 제외할 약물, 수액(전해질)에 대한 처방을 제어부(100)에 재입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 약물 투여 장치(10)는 검수부(800)를 이용하여 EMR 시스템을 통한 환자의 상태를 토대로, 제어부를 통해 입력된 초기의 수액 및 약물에 대한 처방이 적절한지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보다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수액 및 약물 처방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수액저장고의 수액 준비부와 약물 혼합부의 연결 라인에 가압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ressurizing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and the drug mixing unit of the infusion reservoi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투여 장치(10)는 상기 수액 저장고(200)와 약물 혼합부(400)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수액 저장고(200)의 수액 준비부(230)와 약물 혼합부(400)의 연결 라인(600a)에 가압부(6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환자에게 약물 투여 시 혹은 마취 시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체액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급속도로 수액을 주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가압부(610)는 제어부(100)의 입력부(110)에 입력된 수액 주입 요구 속도에 따라 수액의 주입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When administering drugs to a patient or during anesthesia, if the body fluid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condition, fluid may need to be rapidly injected. The
수액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부(610)에는 수신부가 포함되어 수액 주입 요구 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수액 주입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In order to adjust the speed of the fluid, the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혼합부와 연결부의 연결 라인에 에어 디텍터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n air detector is additionally provided in a connection line between a drug mixing unit and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투여 장치(10)는 상기 약물 혼합부(400)와 상기 연결부(500)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디텍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을 참고하면, 상기 에어 디텍터에는 상기 연결 라인(700)에 에어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00)에 알람을 보내는 전송부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어 디텍터에는 상기 연결 라인(700)에 에어가 감지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표시부를 포함하여, 표시부를 통하여 에어가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라인(700)에 에어가 감지되는 경우 주입을 중단하는 차단부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의료법상의 규정을 준수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멸균 유지 및 수액의 품질 관리가 필요하므로, 상기 연결 라인(700)에는 일방향 채널 혹은 필터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terilization maintenance and fluid quality control are required to comply with medical law regulations and ensure patient safety, a one-way channel or filt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500)는, 상기 약물 혼합부(400)에서 공급된 수액과 약물의 혼합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온부는 상기 연결부(500)로 공급되는 수액, 약물 및 수혈될 혈액의 혼합물에 열을 공급하여 가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온부는 당업계에서 액체에 열을 가하는 수단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온부는 상기 연결부(500)로 공급되는 수액, 약물 및 혈액의 혼합물을 환자의 체온 수준으로 가온할 수 있다. 즉, 연결부(500)는 가온부를 통해 수액, 약물 및 혈액의 혼합물을 체온 수준으로 가온하고, 환자에게 최종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장 보관되어 있던 혈액, 수액, 약물이 환자에게 바로 주입되어 부정맥 등의 환자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약물 투여 장치는 환자의 마취를 위한 용도인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약물 투여 장치의 용도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중환자실이나 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침상에 설치되어 환자의 약물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감염 환자를 수용하는 병실의 침상에 설치되어 약물 투여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의료진은 최소한의 접촉으로 감염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may be used for anesthesia of a patient. However, the use of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on a bed of a patient admitted to an intensive care unit or a ward and used for drug administration to a patient.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on a bed of a hospital room accommodating infected patients and used for drug administration, and medical staff can efficiently manage infected patients with minimal contact.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투약 처방에 따라 수액과 약물이 혼합되어 투여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mixing and administering an infusion and a drug according to a medication prescription input through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에는 입력된 투약 처방과 투여된 정보를 통하여 자동으로 투약 기록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의료인의 업무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ntrol unit can automatically record medications through input medication prescriptions and administered information, thereby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of medical personnel.
또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상태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상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provided only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s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약물 투여 장치
100: 제어부
110: 입력부
120: 전송부
200: 수액 저장고
210: 수신부
220: 수액 보관부
230: 수액 준비부
300: 약물 저장고
310: 수신부
320: 약물 보관부
330: 약물 준비부
400: 약물 혼합부
500: 연결부
600a: 수액 준비부와 약물 혼합부의 연결 라인
600b: 약물 준비부와 약물 혼합부의 연결 라인
610: 가압부
700: 약물 혼합부와 연결부의 연결 라인
710: 에어 디텍터
610: 가압부
700: 약물 혼합부와 연결부의 연결 라인
710: 에어 디텍터
800: 검수부
900: 혈액백10: drug administration device 100: control unit
110: input unit 120: transmission unit
200: fluid reservoir 210: receiver
220: fluid storage unit 230: fluid preparation unit
300: drug storage 310: receiver
320: drug storage unit 330: drug preparation unit
400: drug mixing unit 500: connection unit
600a: Connection line between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and the drug mixing unit
600b: Connection line between the drug preparation unit and the drug mixing unit
610: pressing unit 700: connection line between the drug mixing unit and the connecting unit
710: air detector 610: pressurization part
700: connection line between the drug mixing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710: air detector 800: inspection unit
900: blood bag
Claims (15)
수액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수액을 방출하는 수액 저장고;
약물을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저장된 약물을 방출하는 약물 저장고;
상기 수액 저장고 및 약물 저장고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에 입력된 처방에 따라 상기 수액 저장고에서 방출된 수액과 상기 약물 저장고에서 방출된 약물이 혼합되는 약물 혼합부; 및
상기 약물 혼합부와 환자 측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약물 투여 장치.
a control unit into which prescriptions for fluids and drugs are input;
A fluid reservoir for storing fluid and releasing the stored fluid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reservoir that stores a drug and releases the stored dru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unit;
a drug mixing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servoir, and mixes the fluid released from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leased from the drug reservoir according to a prescription input to the control unit; and
A drug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drug mixing part and the patient-side line.
상기 제어부는,
의료인의 투약 요구와 약물 주입 요구 속도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투약 요구 및 약물 주입 요구 속도에 따라 목표 투여량 및 약물 주입 속도를 결정하여 상기 수액 저장고 및 약물 저장고에 명령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request for administration of a medical personnel and a request rate for drug injection; and
and a transmiss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target dose and a drug injection rate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request and the drug injection rate, and transmit commands to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reservoir.
상기 수액 저장고는,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1종 이상의 수액을 보관하는 수액 보관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수액 보관부로부터 전달받은 수액의 방출을 준비하는 수액 준비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sap storage,
a receiving unit receiving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Sap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types of sap; and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comprising a; infusion preparation unit for preparing to release the infusion received from the infusion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command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상기 수액 보관부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fluid storage units.
상기 수액 준비부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상기 수액 준비부는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을 저장하는 혈액백과 연결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fusion preparation unit is connected to a blood bag storing blood used for transfusion.
상기 약물 저장고는,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한 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
1종 이상의 약물을 보관하는 약물 보관부; 및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약물 보관부로부터 전달받은 약물의 방출을 준비하는 약물 준비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rug storage,
a receiving unit receiving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 drug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drugs; and
and a drug preparation unit preparing to release the drug delivered from the drug storage unit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by the reception unit.
상기 약물 보관부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the drug storage unit.
상기 약물 준비부는 1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drug dispensing device tha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drug preparation units.
상기 제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수액 및 약물에 대한 처방의 피드백 결과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검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ug disp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inspection unit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unit and providing a feedback result of the prescription for the fluid and the drug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검수부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and the inspection uni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system.
상기 수액 저장고와 약물 혼합부 사이에 구비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iz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infusion reservoir and the drug mixing unit.
상기 약물 혼합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디텍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ug dispens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ir detector provided between the drug mixing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약물 혼합부에서 공급된 수액과 약물의 혼합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온부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투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part,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comprising a heating unit for supplying heat to the mixture of the fluid and the drug supplied from the drug mixing unit.
상기 약물 투여 장치는 환자의 마취를 위한 용도인 것인 약물 투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drug administration device is a drug administration device for the purpose of anesthesia of a pati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2/016827 WO2023106631A1 (en) | 2021-12-07 | 2022-10-31 | Drug administe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10174046 | 2021-12-07 | ||
| KR1020210174046 | 2021-12-07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85841A true KR20230085841A (en) | 2023-06-14 |
Family
ID=8674498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141141A Pending KR20230085841A (en) | 2021-12-07 | 2022-10-28 | Drug administr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85841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89916A1 (en) * | 2023-10-23 | 2025-05-01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and arrangement during invasive treatment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83053B1 (en) | 2003-03-04 | 2012-09-20 |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 Patient monitoring and drug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
-
2022
- 2022-10-28 KR KR1020220141141A patent/KR20230085841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83053B1 (en) | 2003-03-04 | 2012-09-20 |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 Patient monitoring and drug administr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89916A1 (en) * | 2023-10-23 | 2025-05-01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and arrangement during invasive treatmen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62423B2 (en) | Drug administr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surgical hubs | |
| US20240055114A1 (en) |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osage regimen and compatibility of components | |
| US20150258275A1 (en) | Intravenous medication delivery system | |
| KR20230085841A (en) | Drug administration device | |
| KR101888489B1 (en) | Method for infusing drug to patients using infusion pump,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 |
| Giuliano | IV smart pumps and error-prone programming tasks: comparison of four devices | |
| Whitaker et al. | Time for prefilled syringes-everywhere | |
| Grissinger | Oral syringes: making better use of a crucial and economical risk-reduction strategy | |
| Dix | Line flushing to prevent medicine loss after intravenous fluid therapy | |
| Younger et al. | Setting up and priming an intravenous infusion | |
| WO2023106631A1 (en) | Drug administering device | |
| Keady et al. |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improving patient safety across all critical care areas | |
| Berndt et al. | Smart pumps, smart management, safe patients | |
| Blake et al. | Secondary Infusion Underdelivery: Risks and Rewards of Common Workarounds | |
| Sobey et al. | Advancing safety in intrathecal analgesia: a novel web-based pharmacologic requisition platform and data repository for intrathecal drug delivery devices | |
| Spader | A matter of IV push drug safety | |
| Grissinger | ISMP survey reveals user issues with Carpuject prefilled syringes | |
| Quinn | Intravenous flow control and infusion devices | |
| Berndt et al. | Smart pumps, smart management, safe patients: When organizations and clinicians team up, patients are protected. | |
| Lundereng et al. | CPC-114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drug-related problems in an intensive care unit | |
| Sekandarzad et al. | webAIRS news | |
| Hackett | Medical alert-Central Venous Access Device (CVAD) related air embolus | |
| Cohen et al. | ISMP Medication Error Report Analysis-Smart Pump Custom Concentrations Without Hard'Low Concentration'Alert: A Set-up for Serious Errors; Do Not Infuse Cosmegen in Sterile Water; Safety Culture Needs Work; Good News on Heparin Labeling. | |
| Team et al. | Building a Smart Infusion System Drug Library | |
| Cohen et al. | ISMP Medication Error Report Analysis-Avoiding Inadvertent Intravenous Injection of Oral Liquids; Medication Within Intravenous Tubing May Be Overlooked; Searching by Drug Name Gives Information on Wrong Dru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