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097A -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 Google Patents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8097A KR20220138097A KR1020210043792A KR20210043792A KR20220138097A KR 20220138097 A KR20220138097 A KR 20220138097A KR 1020210043792 A KR1020210043792 A KR 1020210043792A KR 20210043792 A KR20210043792 A KR 20210043792A KR 20220138097 A KR20220138097 A KR 20220138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low
- air
- water
- he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물과 공기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구조로 형성하면서도 공기의 주입량을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압으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베개의 쿠션력과 더불어,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유연하고도 편안하게 베개에 닿아 경추부을 이완하여 피로를 풀어주는 기능 및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that has a multi-layered structure that allows the pillow to be filled with water and air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le being able to adjust the cushioning force and height with air pressure that allows the injection amount of air to be adjusted at any time, more specifically In addition to the cushioning power of the pillow that fits the user's body type, the height can be adjusted arbitrarily, so that the user's head and neck can flexibly and comfortably touch the pillow to relax the cervical spine, thereby relieving fatigue and getting a good night's sleep.
일반적으로 베개는 취침시 인체의 특정부분인 머리와 목 부분을 받쳐주어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베개의 구조나 사용되는 재질, 또는 그 내부에 충진되는 소재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pillows are designed to support the head and neck, which are specific parts of the human body, so that you can have a comfortable sleep while sleeping. Various proposals have been made and widely used,
이러한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안정되게 받쳐주는 기능이 매우 중요함으로써 이의 신체 부위가 닿았을 때 그 무게에 비례하여 적절한 쿠션을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한 느낌을 가져야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베개 속에는 스폰지, 솜을 비롯한 각종 씨앗이나 합성수지 알갱이 등 다양한 재질의 쿠션재가 충진되고 있다.Since the function of stably supporting the user's head and neck is very important for such a pillow, it is required that the user should feel comfortable by having an appropriate cushion in proportion to the weight of the body part when it touches, and accordingly Pillows are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ponges and cotton, as well as various seeds and synthetic resin granules.
그러나 이와 같이 베개 속에 쿠션재가 충진되는 구조에서는 재질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쿠션력을 가지기는 하지만,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베개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cushion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pillow as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a certain cushioning for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eight of the pillow cannot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yp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20-0001339호로서 제안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is proposed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20-0001339.
이는 다양한 신체조건 및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로서, 선택적인 부분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이조절용 공기튜브부와, 상기 높이조절용 공기튜브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솜, 메모리폼, 천연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쿠션부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튜브부는 공기주입구가 각각 구비된 평면상 다수로 구획된 공기튜브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This is a height-adjustable pillow made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various physical conditions and user's requirements. It is configured with a cushion part made of any one or more of cotton, memory foam, and natural rubber positioned therein, and the air tube part is configured with air tube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planes each having an air inlet.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공기튜브부의 다수로 구획되게 구비되는 각 공기튜브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선택적인 부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는 베개의 전체적인 부분이 아니라 그 선택된 부분만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단점과 더불어, 신체에 접촉된 부분의 쿠션부는 그 쿠션력을 조절할 수가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다.However, in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a selective part by injecting air into each air tube that is provided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ir tube parts, but this is to adjust the height of only the selected part, not the whole part of the pillow. In addition to the possible disadvantages, there w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at the cushioning part of the part in contact with the body could not control the cushioning force.
또한 다른 종래 구조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로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33417호를 들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conventional pillow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3417 can be cited.
이의 베개는 공기의 충전이 가능한 내큐션과 외큐션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 취향에 맞게 내,외큐션의 공기주입량을 조절하여 베개의 높낮이 및 베개의 쿠션 강도 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is pillow has a dual structure of inner and outer cushions that can be filled with air, so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illow and the cushion strength of the pillow by adjusting the air injection amount of the inner and outer cushions according to the user's sleeping preference.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이중 구조를 가지는 내,외큐션에 각각 별도로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베개의 높낮이 및 쿠션력을 조절할 수는 있으나, 이는 이중 구조의 공기튜브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머리와 목의 중량에 의해 유동이 심하여 장시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굴곡된 인체 부분을 안정되게 밀착시켜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structure, the height and cushioning force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by separat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inner and outer cushions having a double structure, but since this is only an air tube of a double structure, the head and neck It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due to heavy flow due to its weigh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be supported by stably adhering the bent human body part.
또다른 종래의 구조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139980호의 물 주입형 베개가 제안되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structure, the water injection type pillow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39980 has been proposed.
이의 구성은 앞쪽은 일반 베개솜이 들어가고 뒷쪽은 물을 보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써, 물 보충양을 절반 정도로 하여 베개에 누웠을 때 머리와 목을 신체에 맞게 편안하게 맞춰줌으로써 경추 관절에 무리를 주지않고 편안한 수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베개의 구조는 원단, 베딩솜, 충전솜, 알루미늄 코팅 및 방수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자파 차단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I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by replenishing water in the front and regular pillows in the back. When you lie down on the pillow with half the amount of water, it comfortably adjusts the head and neck to fit your body without straining the cervical vertebrae. Not only is it possible to sleep comfortably, but the structure of the pillow is made of fabric, bedding, filling, aluminum coating and waterproof fabric to block electromagnetic wave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물베개는 베개의 내부에 주입되는 물의 주입량을 조절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외피의 소재에 의해 쿠션감을 유지토록 한 것임으로써 이 역시 내부에 충진되는 물이 인체의 중량에 이해 유동되어 사용의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의 양을 정확히 조절하기도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water pillow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pillow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while maintaining the cushioning feeling by the material of the outer skin. There was a problem that caused inconvenience of use, and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개선된 새로운 형태의 공기압으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cushioning force and height with an improved new type of air pressure.
이러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물과 공기를 각각 주입하여 충진시키면서도 그 주입량을 사용자가 언제든지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구조의 베개로서, 물이 충진되는 워터포켓 부분이 인체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가지는 특성을 최대한 살려서 인체의 머리와 목을 안정되고도 효율적으로 받쳐주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열전달 매체로서의 보온, 보냉 기능을 효율화 할 수 있고, 이와 아울러 사용자가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전체적인 쿠션력과 높낮이를 언제든지 수시로 편리하고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ow with a multi-layer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injection amount at any time while injecting and filling water and air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By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llow, it not only provides stable and efficient support for the head and neck of the human body, but also enables efficient thermal insulation and cooling functions as a heat transfer medium.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can be adjusted conveniently and easily at any time and at any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베개는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물과 공기를 각각 주입하여 충진하면서도 그 주입량을 사용자가 언제든지 손쉽고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층구조의 베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illow of a multi-layer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injection amount at any time while filling by injecting water and air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do.
본 발명의 베개는 상,하부에 물이 주입되어 충진되면서도 다수의 유통로에 의해 상호 유통되는 상,하부 워터포켓과,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의 사이에 구비되면서 공기가 주입되어 충진되는 에어포켓이 다층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워터포켓 및 에어포켓의 물과 공기는 각각 독립되게 주입 및 배출시켜 그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that are mutually circulated through a plurality of flow paths while being filled with water injec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an air pocket filled with air while being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It is composed of this multi-layer structure, and the water and air of the water pocket and the air pocket are each independently injected and discharged, so that the injection amount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상기 에어포켓에 충진되는 공기의 충진량을 사용자가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개의 전체적인 쿠션력 및 높낮이를 사용자의 인체의 특성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수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amount of air filled in the air pocket, so that the overall cushioning power and height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at any time as nee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본 발명 또 다른 특징은 워터포켓에 히터를 구비하여 전원의 공급에 의해 그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온열시키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온열 베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heating pillow by providing a heater in the water pocket to heat the water filled therein by supplying power.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상,하 서로 유통되는 상,하부 워터포켓과, 이들 사이에 에어포켓을 다층구조로 형성하여 수면시 인체가 워터포켓과 접하도록 함으로써 물이 가지는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머리나 목의 인체가 긴밀하고도 부드럽게 밀착되어져 쾌적한 환경에서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circulating top and bottom, and air pockets between them in a multi-layered structure so that the human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pocket when sleeping. The body of the neck is closely and softly attached, so it has the effect of taking a good night's sleep in a comfortable environment.
즉, 본 발명은 베개의 상,하부에 서로 유통되는 상,하부 워터포켓이 구비되어 베개를 사용시 사용자의 머리와 목이 워터포켓에 접하게 됨으로써 안정되고도 긴밀하게 받쳐주게 되어 물베개로서 기능을 충분히 살리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circulatin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low, so that when using the pillow, the user's head and neck come into contact with the water pocket, thereby stably and closely supporting the pillow. will have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언제든지 에어포켓에 충진되는 공기의 충진량을 조절할 수가 있음에 따라 베개의 전체적인 높낮이는 물론이고, 워터포켓의 팽압에 따른 베개의 쿠션력을 수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filled in the air pocket at any time according to his/her physical condition. can have an effect.
특히 워터포켓에 충진되는 물의 양은 늘리고, 이와 반면에 에어포켓의 내부로 충진되는 공기의 양은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받쳐주는 쿠션력을 높이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워터포켓의 물의 양은 줄이는 반면에 에어포켓의 공기양은 늘림으로써 쿠션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water pocket is increased an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air filled inside the air pocket is de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cushioning power that supports the user's head and neck, or conversel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pocket. By increasing the amount of air in the air pocket, it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ushioning force.
한편, 이와는 달리 본 발명 베개의 워터포켓에 전원의 공급에 의해 히팅되는 히터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온열토록 함으로써 기능성 온열 베개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is, by providing a heater that is heated by the supply of power to the water pocket of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o heat the water filled therein, i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heating pillow.
즉, 워터포켓에 온도매개체로서 물을 채움으로써 자연대류현상에 의한 보냉기능과 더불어, 히터에 의해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열기구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at is, by filling the water pocket with water as a temperature medium,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used as a heating device by heating water with a heater as well as a cooling function by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베개에 물과 공기를 주입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베개에 히터를 설치한 다른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water and air are injected into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 heater is installed on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 베개에 물과 공기를 주입한 상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발명 베개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1 to 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in a state in which water and air are injected into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and 6 are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nother embodiment, and the
상기 베개(100)는 사용자의 인체가 접하는 부분이면서도 내부에 물이 충진되어 서로 유통되는 상,하부 워터포켓(10)(20)과, 이들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면서도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포켓(30)을 다층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10)(20)은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저장공간을 각각 가지면서 이들은 다수의 유통로(11)들에 의해 물이 서로 유통되도록 구성되고,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어느 일측에는 이들의 내부로 물을 주입시키거나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물주입구(12)가 별도의 마개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The upper and
상기 유통로(11)는 상,하부 워터포켓(10)(20)를 서로 연결하여 내부로 충진되는 물을 보다 용이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전체면에 걸쳐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은 에어포켓(3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물주입구(12)는 상,하부 워터포켓(10)(20)으로 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으면서도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물이 새지 않도록 별도의 마개로서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에어포켓(30)은 전술한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사이에서 다층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을 가지면서 어느 일측에는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주입구(31)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에어주입구(31)에는 공급호스(32)로서 외부공기를 수작업으로 압축하여 주입토록 하는 압축펌프(33)가 구비됨과 동시에, 충진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34)가 연결 구비된다.The
따라서 압축펌프(33)를 누름작동하여 압축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공급호스(32) 및 에어주입구(31)를 통하여 내부로 주입하거나, 또는 배출구(34)를 회전시켜 공급호스(32)를 개방함으로써 내부공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Therefore, by pressing the
한편, 본 발명의 베개(100)는 외부에 면이나 직물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미도시됨)를 더 씌워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이는 사용자의 신체부분을 보다 부드럽게 접하도록 하거나 또는 취침시 땀을 흡수하게 되면 교체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will be natural that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하부 워터포켓(10)(20) 및 에어 포켓(30)의 내부 공간에 물과 공기를 각각 충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먼저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물주입구(12)을 통하여 적정량의 물을 주입하여 충진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ater and air are respectively fill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upper and
이의 물은 베개(100)를 사용시 인체부분이 직접 닿는 부분으로서 인체의 머리나 목 등의 굴곡면이 밀착되더라도 충분히 쿠션을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이면 무방하다.The amount of water may be sufficient to absorb the cushion even if the curved surface of the human body's head or nec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when using the
상기와 같이 상,하부 워터포켓(10)(20)에 충진되는 물은 그 내부에 다수로 구비되는 유통로(11)들에 의해 상,하 유통됨으로써 하나의 크다란 수조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써 어느 한 부분에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다른 부분에서 완충하게 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and
또한,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10)(20)은 하나의 수조공간을 가지기는 하지만, 이들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포켓(30)에 의해 상,하부면으로 뚜렷이 분리되어져 베개(100)로 사용시 인체부분이 접하는 부분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upper and
상기와 상,하부 워터포켓(10)(20)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적정량의 물이 충진되면, 이어서 에어포켓(30)의 내부로 공기를 충진하게 되는데, 이는 압축펌프(33)를 눌러서 압축하게 되면, 외부공기는 공급호스(32)와 에어주입구(31)를 통하여 내부로 공급된다.When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by the user is filled in the above and upper and
이같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포켓(30)은 부풀려지면서 상,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상,하부 워터포켓(10)(20)에 팽압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하부 워터포켓(10)(20)은 에어포켓(30)이 부풀리는 양만큼 외부로 밀려나 베개(100)를 팽팽하게 유지하게 된다.As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베개(100)는 에어포켓(30)에 에어가 공급되는 양만큼 그 전체가 부풀려져 높이가 높아지게 됨으로써 에어의 공급량에 따라 베개(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포켓(30)에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량에 따라, 상,하부 워터포켓(10)(20)은 외부로 밀려나 팽압을 유지하게 되고, 이의 팽압에 따라 베개(100)의 전체적인 쿠션력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5에서 참조되듯이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어느 일측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그 내부에 충진된 물을 가열토록 하는 히터(40)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water filled therein is heated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either side of the upper and
따라서 미도시된 콘트롤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면, 히터(40)가 히팅되면서 상,하부 워터포켓(10)(20)의 내부에 충진되는 물을 필요로 하는 온도만큼 가열함으로써 기능성 온열 베개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when power is supplied by a controller (not shown), the heater 40 is heated and the water filled in the upper and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6에서 참조되듯이 본 발명의 구조를 개선하여 매트리스(50)로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즉, 전체적인 크기와 형태를 매트리스(50)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을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워터포켓에 물을 사용자가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처에서 물을 충진하여 밀봉한 상태로 공급토록 함으로써 물주입구가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ser does not inject water into the water pocket, but fills the water in the manufacturer and supplies it in a sealed state, so a water inlet is not required and the structure is simple. Rather, it may be possibl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us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필요에 따라서 물과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언제든지 수시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기술적 범위에서 방석, 유모차의 매트, 각종 의자의 등받이 등 다양한 기술분야에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ushioning force and height at any time by adjusting the injection amount of water and air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need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chnical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the example,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variations in various technical fields, such as cushions, mats for strollers, and backrests of various chairs.
100:베개
10:상부 워터포켓
11:유통로
12:물주입구
20:하부 워터포켓
30:에어포켓
31:에어주입구
32:공급호스
33:압축펌프
34:배출구
40:히터
50:매트리스100: pillow 10: upper water pocket
11: Distribution path 12: Water inlet
20: lower water pocket 30: air pocket
31: air inlet 32: supply hose
33: compression pump 34: outlet
40: Heater 50: Mattress
Claims (3)
외부에서 주입구를 통하여 물을 주입시켜 충진토록 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하 연결되는 다수의 유통로들에 의해 물이 서로 연통되는 상,하부 워터포켓과;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의 사이에 다층구조로 구비되고, 내부 공간으로 압축펌프 및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를 공급 및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포켓;을 갖춤으로써 상기 에어포켓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공기압으로서 베개의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공기압으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 As a pillow used at bedtime,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having a storage space to be filled by injecting water through an inlet from the outside, and through which water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flow paths connected up and down;
It is provided in a multi-layer structur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and an air pocket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external air to the inner space through a compression pump and a discharge port; by having a pillow as the air pressure supplied and discharged to the air pocket Pillow that can adjust cushioning power and height with ai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상기 상,하부 워터포켓의 일부에 히터를 장착하여 전원의 공급에 의해 충진되는 물을 온열토록 함으로써 온열 베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공기압으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The method of claim 1,
A pillow capable of adjusting cushioning power and height with air press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as a heating pillow by installing a heater in some of the upper and lower water pockets to heat the water filled by power supply.
상기 베개의 크기를 매트리스의 크기로 형성한 후, 매트리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압으로 쿠션력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베개.
The method of claim 1,
After forming the size of the pillow to the size of the mattress, a pillow capable of adjusting cushioning force and height with air pressure, which includes enabling it to be used as a mattres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43792A KR20220138097A (en) | 2021-04-05 | 2021-04-05 |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43792A KR20220138097A (en) | 2021-04-05 | 2021-04-05 |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38097A true KR20220138097A (en) | 2022-10-12 |
Family
ID=8359802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043792A Ceased KR20220138097A (en) | 2021-04-05 | 2021-04-05 |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138097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71515A (en) | 2023-05-30 | 2024-12-09 | 이상필 | Dual structure functional pillow with overflow applied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3417B1 (en) | 2009-06-15 | 2012-04-09 | 우치혜 | Pillow adjustable in hight |
| KR20200001339U (en) | 2018-12-13 | 2020-06-23 | 양재용 | A height-adjustable pillow |
| KR20200139980A (en) | 2019-06-05 | 2020-12-15 | 주식회사 원우성업 | Water pillow able to isolate harmfulness electron waves |
-
2021
- 2021-04-05 KR KR1020210043792A patent/KR20220138097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33417B1 (en) | 2009-06-15 | 2012-04-09 | 우치혜 | Pillow adjustable in hight |
| KR20200001339U (en) | 2018-12-13 | 2020-06-23 | 양재용 | A height-adjustable pillow |
| KR20200139980A (en) | 2019-06-05 | 2020-12-15 | 주식회사 원우성업 | Water pillow able to isolate harmfulness electron waves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71515A (en) | 2023-05-30 | 2024-12-09 | 이상필 | Dual structure functional pillow with overflow applie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788750B2 (en) | Multi-function cervical pillow | |
| US9314118B2 (en) | Comfort customizable pillow | |
| US7069609B2 (en) | Inflatable liquid furniture | |
| US20080104764A1 (en) | Multi-airbag inflatable pillow | |
| US4791687A (en) | Mattress with support | |
| JP3216326U (en) | Pillows and cushions with automatic height adjustment | |
| JP4335964B1 (en) | pillow | |
| US20080023597A1 (en) | Enhanced comfort wrist rest assembly | |
| KR102320972B1 (en) | Height adjustable multifunctional pillow | |
| KR20180049867A (en) | Available mattress cushions local regulation | |
| CN201022564Y (en) | Multi-air-bag type inflatable pillow | |
| US20240016304A1 (en) | Breathable and comfortable inflatable mattress | |
| KR101133417B1 (en) | Pillow adjustable in hight | |
| US20190059620A1 (en) | Dual-sided adjustably inflatable pillow and method | |
| KR20220138097A (en) | Pillow that can adjust the cushioning power and height by air pressure | |
| KR100718886B1 (en) | Telescoping Adjustable Pillow | |
| CN221356373U (en) | Self-adaptive mattress | |
| CN109924756A (en) | Air cushion | |
| KR101790620B1 (en) | Product for cushion | |
| KR200497926Y1 (en) | Pillow | |
| JP2013248234A (en) | Temperature adjusting sheet, temperature adjusting mat or temperature adjusting cushion containing the same and temperature adjusting apparatus utilizing temperature adjusting mat or temperature adjusting cushion | |
| CN210581827U (en) | Water mattress | |
| KR102780569B1 (en) | Dual structure functional pillow with overflow applied | |
| CN210018644U (en) | Inflatable cushion | |
| KR102668612B1 (en) | Pillow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