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1862A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91862A KR20220091862A KR1020200183022A KR20200183022A KR20220091862A KR 20220091862 A KR20220091862 A KR 20220091862A KR 1020200183022 A KR1020200183022 A KR 1020200183022A KR 20200183022 A KR20200183022 A KR 20200183022A KR 20220091862 A KR20220091862 A KR 202200918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onnector
- terminal
- moving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or.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전기적 결합은 각각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터미널 들이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의 숫자가 많고 가늘게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들의 정렬이 일정하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터미널의 숫자가 많아 결합력과 분리력이 큰 경우에는 지렛대 원리를 활용하는 레버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connector assembly,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Electrical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achieved by coupling terminals in each housing. When the number of the terminals is large and thi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constant. And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is large and the bonding and separation force are large, a lever that utilizes the lever principle can be used.
그리고, 가늘게 만들어진 터미널들이 많은 경우에는 안전플레이트를 제1커넥터 내부에 두고 제2커넥터와의 결합과 분리 시에 안전플레이트가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제1커넥터의 내부에 있는 터미널 들의 상대 위치가 일정 하게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many thin terminals, the safety plate is placed insid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afety plate is moved during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the second connector. By doing thi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erminals inside the first connector can be constantly maintained.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 입구 측에 있으면서 제1커넥터의 터미널 들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다가,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삽입될 때, 제2커넥터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제1커넥터의 최 내측으로 이동하여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될 때, 결합상태에서부터 상기 제2커넥터와 같이 이동하다가 제1커넥터에 구비된 구조에 의해 제2커넥터에서 분리되어 제1커넥터에 걸어져 최 외측으로 이동된 상태(분리상태)로 있게 되고 제2커넥터는 제1커넥터에서 분리될 수 있다.The safety plate prevents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terminals of the first connector while being on the inlet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afety plate moves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first connector to be in the coupled position.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the safety plate moves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or from the coupled state,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by a structur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or and hangs on the first connector to be the outermost is moved to (disconnected state), and the second connector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종래 기술에서 안전플레이트는 단순히 터미널 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등 터미널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터미널의 지지가 필요한 결우에는 별도의 홀더나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터미널을 하우징 내에 지지하게 된다.In the prior art, the safety plate may only serve to protect the terminal from external force, such as simpl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Therefore, in case of need for more robust terminal support, a separate holder or spacer is used to support the terminal in the housing.
하지만, 이와 같이 안전플레이트와 홀더(또는 스페어서)를 같이 사용하게 되면 전체 부품수가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조립공수가 많아지고 가격이 비싸지게 된다.However, when the safety plate and the holder (or spare) are used together 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such as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parts, and the assembly man-hour increases and the price becomes high.
그리고, 종래에는 터미널의 지지를 위해 사용하는 프론트 홀더의 경우에 하우징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터미널을 하우징에 설치하고, 터미널 설치 후에 프론트홀더를 완전결합 상태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프론트홀더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을 이동하다가 프론트홀더가 완전조립상태로 되어 터미널의 설치를 위해서 프론트홀더를 다시 가조립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front holder used for supporting the terminal, in the related art, the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housing in a state of being temporarily assembled to the housing, and the front holder is made to be fully coupled after the terminal is installed. Therefore, while moving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holder is temporarily assembled, the front holder is in a fully assembled state,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front holder has to be temporarily assembled again in order to install th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의 변형방지와 터미널의 지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무빙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ing holder that can simultaneously prevent de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support th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무빙홀더의 가조립상태와 완전조립상태 모두에서 터미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terminal in both the temporarily assembled state and the fully assembled state of the moving holder.
본 발명의 목적은 무빙홀더의 장착 시에 터미널의 불완전삽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incomplete inser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moving holder is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외관과 골격을 구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항상 차단하는 잠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빙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constituting an exterior and a skeleton,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and positioned in a terminal seating space penetrating the housing, and the interior A moving holder comprising a holder body movably positioned in space and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sses, and a locking plate formed in the holder body to always block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supporting the terminal. have.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에는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걸이턱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내부공간의 최 내측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1스톱턱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housing, a first hanging jaw for block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from the inner spac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nd a first stop so that the moving holder does not move arbitrarily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inner space. A chin may be formed.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된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홀더측벽과, 상기 홀더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햐는 잠금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sses, a holder side wall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holder body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the lance It may include a locking plate that regulate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상기 무빙홀더의 상기 홀더측벽에 의해 구획된 부분의 일측에는 상기 제1걸이턱에 걸어져 무빙홀더가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걸림후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홀더측벽에 의해 구획된 부분의 타측에는 상기 제1스톱턱에 걸어져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내부공간의 최 내측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2걸림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portion partitioned by the holder side wall of the moving holder, a first engaging hook that is hung on the first clasp to block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from the inner spac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nd on the holder side wall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partitioned by the , a second hook hook that is hooked on the first stop tuck to prevent the moving holder from arbitrarily moving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inner space may be formed.
상기 잠금플레이트는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내부공간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을 걸어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도록 상기 홀더몸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 plate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holder body to regul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for hanging and supporting the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holder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상기 홀더몸체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연동편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연동편에는 걸이공간이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에 걸어져서 상대 커넥터의 이동과 함께 무빙홀더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An interlocking piece may be further provided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a hanging space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piece to be hung on the mating connector so that the moving holder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ating connector.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내부에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개방된 터미널안착공간과 제1내부공간에 제1터미널이 위치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을 걸어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규제하는 잠금플레이트가 구비된 무빙홀더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2내부공간이 제2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2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터미널안착부가 상기 제2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제1내부공간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될 때 제2하우징과 함께 제1내부공간의 더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2커넥터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inner space is formed inside a first housing, a terminal seating space opened to the first inner space and a first terminal are located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moves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A first connector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terminal passes and having a locking plate for regulating elastic deformation of a lance that hangs on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connector including a moving holder, and the tip of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A second inner space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a terminal seat portion having a terminal seat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is formed in the second inner space, wherein the moving holder is When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in a state installed in the first internal space, it moves further into the first internal spac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is originally together with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can be moved to the location of
상기 잠금플레이트는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랜스채널에 위치되어 이동될 수 있다.The locking plate may be moved by being positioned in a lance channel formed in the first housing.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터미널통공이 형성된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홀더측벽과, 상기 홀더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홀더측벽에 의해 구획된 영역 내에 위치되는 상기 잠금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holder includes a holder body having the terminal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holder side wall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holder body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space, and a holder body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formed on the holder side wall It may include the locking plate located in the area partitioned by the.
상기 홀더측벽에 의해 구획된 부분의 일측에는 상기 제1걸이턱에 걸어져 상기 무빙홀더가 제1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걸림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측벽에 의해 구획된 부분의 타측에는 상기 제1스톱턱에 걸어져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1내부공간의 최 내측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제2걸림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part partitioned by the holder side wall, a first hook hook is formed that is hung on the first hook and blocks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to the outside in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is partitioned by the holder side wall.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 a second hook hook that is hooked on the first stop tuck to prevent the moving holder from arbitrarily moving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first inner space may be formed.
상기 제1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에는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1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걸림후크가 걸어지는 제1걸이턱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내부공간의 최 내측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2걸림후크가 걸어지는 제1스톱턱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first housing, a first hanging jaw on which the first locking hook is hooked is formed to block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to the outside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the moving holder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A first stop tuck to which the second locking hook is hooked may be formed so as not to move arbitrarily to the innermost side.
상기 제2커넥터의 내부에는 제2터미널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페이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무빙홀더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무빙홀더가 상기 제2커넥터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A spacer for preventing the second terminal from being pushed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pacer and the moving holder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ving holder can be mov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nnector.
상기 제2커넥터의 터미널설치부와 상기 스페이서에는 상기 무빙홀더의 연동편이 관통하는 연통편슬릿이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의 연동편슬릿에는 상기 연동편이 걸어지는 당김걸이턱이 형성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piece slit through which the interlocking piece of the moving holder passes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pacer, respectively, and a pull hook through which the interlocking piece is hung may be formed in the interlocking piece slit of the spacer. .
상기 연동편은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무빙홀더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당김걸이턱이 안착되는 걸이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locking piece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moving holder in the shape of a cantilever, and a hanging space may be formed in which the pulling jaw is seated.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무빙홀더가 터미널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빙홀더는 하나의 부품이 2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커넥터조립체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holder may serve to support the terminal while preventing external force from acting on the terminal. Accordingly, in the mov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component can perform two functions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relatively.
그리고, 본 발명의 무빙홀더의 잠금플레이트는 무빙홀더의 제1조립상태와 제2조립상태 모두에서 터미널이 걸어지는 랜스를 지지하여 랜스가 탄성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홀더가 상대 커넥터의 결합과 분리에 따라 이동하면서도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plate of the mov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lance on which the terminal is hung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assembled states of the moving holder so that the lance is not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supporting the terminal while the moving holder moves according to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ating connector.
한편, 본 발명의 무빙홀더는 제1조립상태에서 제2조립상태로 가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불완전 삽입에 의한 랜스의 탄성변형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랜스가 터미널을 걸어 지지하지 않고 터미널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는 경우에 무빙홀더의 잠금플레이트가 상기 랜스에 걸어질 수 있어, 무빙홀더의 이동이 차단되어 터미널의 불완전 삽입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nse the elastic deformation state of the lance due to incomplete insertion of the terminal in the process of going from the first assembled state to the second assembled state. That is, when the lance does not hang the terminal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terminal, the locking plate of the moving holder can be hung on the lan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is blocked and incomplete insertion of the terminal can be detected.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D5-D5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1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D6-D6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무빙홀더를 보인 선단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무빙홀더를 보인 후단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제2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5-D5 of FIG. 1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6-D6 of FIG. 1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irst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en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hold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cer used in the second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제1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14)은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으로 개방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17)과 무빙홀더(30)가 위치될 수 있고,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제1하우징(12)에는 상기 제1내부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터미널안착공간(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내부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제1터미널(1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터미널(17)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 내에 지지하기 위해 랜스(18)가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랜스(18)는 외팔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제1터미널(17)의 일측에 걸어져서 랜스(18)가 터미널안착공간(16)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18)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는 랜스채널(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랜스채널(18')은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 있는 것들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랜스채널(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무빙홀더(30)의 잠금플레이트(3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플레이트(38)에 의해 상기 랜스(18)의 탄성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A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일측 벽체에는 제1걸이턱(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턱(20)은 모든 터미널안착공간(16)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될 무빙홀더(30)의 제1걸림후크(4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턱(20)에는 무빙홀더(30)의 제1걸림후크(40)가 걸어져서 무빙홀더(30)가 제1내부공간(14)에서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 a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타측 벽체에는 제1스톱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턱(22)은 모든 터미널안착공간(16)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무빙홀더(30)의 제2걸림후크(43)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턱(22)에는 제2걸림후크(43)의 제2걸림턱(45)이 걸어져서 무빙홀더(30)가 가조립상태에서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임의로 더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3)는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제1스톱턱(22)을 타고 넘을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턱(22)을 지나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의 후단 쪽에는 스톱걸이(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걸이(24)에는 무빙홀더(30)가 제1내부공간(14)에서 이동하여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걸림후크(43)가 걸어질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6 , a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는 연동돌기(2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동돌기(26)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와의 연동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레버(7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돌기(26)는 없을 수도 있다. 도면부호 28은 방수를 위한 시일이다.Interlocking
상기 제1내부공간(14)에는 무빙홀더(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30)는 상기 제1터미널(17)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과 상기 제1터미널(17)을 지지하는 랜스(18)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터미널(17)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5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커넥터(50)가 제1내부공간(14)에 삽입되어 제1커넥터(10)와의 결합이 진행됨에 의해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제2조립상태) 그리고 제2커넥터(50)가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될 때, 제2커넥터(50)와 무빙홀더(30)가 함께 이동하여 무빙홀더(30)는 제1조립상태(도 5나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한다.A moving
상기 무빙홀더(30)에는 홀더몸체(32)가 있다. 상기 홀더몸체(32)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홀더몸체(32)를 관통하여 터미널통공(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통공(33)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홀더몸체(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홀더측벽(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측벽(34)은 무빙홀더(30)가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홀더측벽(34)에는 돌출리브(도면부호 부여않음)가 무빙홀더(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홀더몸체(32)에서 돌출되어 연동편(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편(36)은 제2커넥터(50)와 무빙홀더(30)의 연동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편(36)은 상기 홀더몸체(32)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동편(36)은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동편(36)에는 걸이공간(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공간(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50)의 스페이서(60)에 있는 당김걸이턱(68)이 안착되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연동편(36)의 선단에는 당김걸이턱(68)이 걸이공간(36')으로 들어가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채널(37)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연동편(36)이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An interlocking
상기 홀더몸체(32)의 배면에서 상기 홀더측벽(34)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영역에 잠금플레이트(38)가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잠금플레이트(38)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랜스채널(18')에 위치되어 상기 랜스(18)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터미널(17)을 랜스(18)가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잠금플레이트(38)는 본 실시례에서는 같은 터미널안착공간(16)의 열에 있는 것이 일체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잠금플레이트(38)는 각각의 터미널안착공간(16)에 대응되는 랜스채널(18')에 대응되게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잠금플레이트(38)가 상기 제1터미널(17)의 열의 갯수와 대응되게 4개가 있다.A locking
상기 홀더몸체(32)에는 상기 잠금플레이트(38)와 나란히 제1걸림후크(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40)는 도 8을 기준으로 홀더몸체(32)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1걸림후크(40)가 있다. 상기 제1걸림후크(40)의 자유단부 쪽에는 제1걸림턱(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41)은 상기 제1걸이턱(20)에 걸어져서 무빙홀더(30)가 제1조립상태에서 제1내부공간(1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상기 홀더몸체(32)에는 상기 잠금플레이트(38)와 나란히 제2걸림후크(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3)는 도 8을 기준으로 상기 홀더몸체(32)의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2걸림후크(43)가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3)의 자유단부 쪽에는 제2걸림턱(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턱(45)은 상기 제1스톱턱(22)과 스톱걸이(24)에 선택적으로 걸어질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30)의 제1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제2걸림턱(45)이 상기 제1스톱턱(22)에 걸어져서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임의로 더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무빙홀더(30)의 제1조립상태가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빙홀더(30)의 제2조립상태에서는 상기 제2걸림턱(45)이 스톱걸이(24)에 걸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걸림턱(45)이 스톱걸이(24)에서 일정 이하의 힘에서는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2걸림턱(45)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스톱턱(22)과 스톱걸이(24)에 걸어진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A
상기 제1커넥터(1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5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5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52)의 양측 외면에는 회전중심축(53)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축(53)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회전중심이다.A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2하우징(52)의 선단으로 개방되게 제2내부공간(54)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부공간(54)에는 터미널설치부(5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6)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내부공간(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6)를 관통해서 터미널안착공간(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56')에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설치부(56)의 전면으로 개방되게 연동편슬릿(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편슬릿(58)에는 상기 무딩홀더(30)의 연동편(36)이 입출될 수 있다.A second
상기 제2하우징(52)의 상기 터미널설치부(56)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스페이서(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는 상기 터미널설치부(56)에 형성된 터미널안착공간(56')에 안착된 제2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는 도 10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상기 스페이서(60)의 골격을 스페이서몸체(6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몸체(62)는 전체적으로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몸체(62)에는 관통공(6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4)들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5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64)을 상기 터미널안착공간(56')에 안착된 제2터미널이 관통할 수 있다.The
상기 스페이서(60)에는 상기 터미널설치부(56)의 연동편슬릿(58)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편슬릿(6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0)의 연동편슬릿(66)에는 당김걸이턱(6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당김걸이턱(68)은 상기 무빙홀더(30)의 연동편(36)이 걸어져서 무빙홀더(30)와 제2커넥터(50)가 함께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n interlocking piece slit 66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제2커넥터(50)에는 레버(7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버(7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동하여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 사이의 결합과 분리를 돕는다. 상기 레버(70)에는 상기 제2하우징(52)의 양측 외면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장착편(72)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장착편(72)은 상기 회전중심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장착편(72)에는 연동채널(7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채널(74)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연동돌기(26)가 위치되어 안내되는 부분이다.A
양측의 상기 장착편(72)을 연결하도록 손잡이(76)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76)는 작업자가 상기 레버(70)를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받는 것이다.There may b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무빙홀더(30)는 상기 제1터미널(17)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6)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1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내부공간(14)으로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랜스(18)가 상기 제1터미널(17)에 제대로 걸리지 않은 상태, 즉 상기 제1터미널(17)이 불완전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무빙홀더(30)의 잠금플레이트(38)가 상기 랜스(18)에 걸어져서 더 이상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홀더(30)를 제1커넥터(1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17)들의 제 위치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상기 무빙홀더(3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공간(14) 내에 제1조립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무빙홀더(30)의 잠금플레이트(38)가 상기 랜스채널(18')의 입구 측에 위치되어 상기 랜스(18)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랜스(18)가 탄성변형되지 않아 상기 제1터미널(17)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4 , the moving
그리고, 제1조립상태에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터미널(17)의 선단만이 제1내부공간(14)에서 볼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홀더몸체(32)에 의해 가려져 있다. 따라서, 외력이 제1터미널(17)에 가해지더라도 제1터미널(17)의 선단 쪽에만 가해질 수 있고, 홀더몸체(32)에 의해 제1터미널(17)이 지지되어 있어 쉽게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다.And, in the first assembled state, as can be seen in FIG. 4 , only the tip of the
상기 무빙홀더(30)는 제1조립상태에서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걸림후크(40)의 제1걸이턱(41)이 제1걸이턱(20)에 걸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홀더(30)가 상기 제1내부공간(14)의 외부로 이동하려는 것을 상기 제1걸림후크(40)와 제1걸이턱(20)이 방지할 수 있다.In the first assembly state of the moving
그리고,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걸림후크(43)의 제2걸이턱(45)이 제1스톱턱(22)에 걸어져서 무빙홀더(30)가 제1내부공간(14)의 내부로 더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걸이턱(45)은 전체적으로 곡면으로 되어 있어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스톱턱(22)을 타고 넘으면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넥터(50)가 제1커넥터(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걸이턱(45)은 상기 제1스톱턱(22)을 타고 넘어 이동하여 상기 스톱걸이(24)에 걸어질 수 있다.And, as can be seen in FIG. 6 , the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5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2커넥터(50)의 레버(70)의 연동채널(74)에 상기 제1하우징(12)의 연동돌기(26)가 진입하도록 하고, 상기 레버(7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커넥터(50)와 제1커넥터(10)는 서로 인접하게 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상기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2) 선단이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내부공간(14)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2커넥터(50)가 제1내부공간(14)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무빙홀더(30)를 밀게 되고, 상기 무빙홀더(30)를 미는 힘이 상기 제2걸림후크(43)의 제2걸림턱(45)이 상기 제1스톱턱(22)을 타고 넘게 하면, 상기 무빙홀더(30)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tip of the
상기 무빙홀더(30)가 이동하여 제1내부공간(14)의 최내측으로 들어가면,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무빙홀더(30)의 홀더측벽(34)이 제1내부공간(14)의 최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When the moving
그리고, 상기 무빙홀더(30)의 연동편(36)은 제2커넥터(50)의 연동편슬릿(58)을 관통하고 상기 스페이서(60)의 연동편슬릿(66)에 들어가서 상기 당김걸이턱(68)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편(36)의 걸이공간(36')에 상기 당김걸이턱(68)이 안착되어 상기 연동편(36)이 상기 당김걸이턱(68)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커넥터(50)가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스페이서(60)가 상기 무빙홀더(3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And, the interlocking
한편, 도 9의 상태인 제2조립상태에서 상기 무빙홀더(30)의 잠금플레이트(38)는 랜스채널(18')의 더 내측으로 들어가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잠금플레이트(38)가 계속해서 랜스(18)를 지지하여, 랜스(18)가 탄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assembled state, which is the state of FIG. 9 , the lock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레버(70)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작업자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를 직접 결합하고 분리할 수도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레버(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면 상기 연동돌기(26)와 연동채널(74) 사이의 연동에 의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 사이가 멀어지게 될 수 있다.Next, separation of the coupling between the
상기 제2커넥터(50)가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내부공간(14)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무빙홀더(30)는 상기 연동편(36)이 제2커넥터(50)의 스페이서(60)에 걸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홀더(30)는 상기 제2커넥터(5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상기 무빙홀더(30)가 이동하기 시작할 때, 상기 스톱걸이(24)에 걸어져 있던 제2걸림후크(43)가 스톱걸이(24)에서 분리되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후크(43)는 상기 제1스톱턱(22)에 걸어질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톱턱(22)에 상기 제2걸림후크(43)의 선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걸림후크(40)의 제1걸림턱(4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이턱(20)에 제1걸림턱(41)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41)이 상기 제1걸이턱(20)에 걸어진 부분은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제1걸림턱(41)이 상기 제1걸이턱(20)에 걸어진 상태는 분리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턱(41)이 상기 제1걸이턱(20)에 걸어진 상태는 계속하여 유지되고, 상기 연동편(36)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페이서(60)의 당김걸이턱(68)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무빙홀더(30)가 상기 스페이서(60)에서 분리되면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50)가 분리될 수 있다.When the mov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combination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제1내부공간
16: 터미널안착공간
17: 제1터미널
18: 랜스
18': 랜스채널
20: 제1걸이턱
22: 제1스톱턱
24: 스톱걸이
26: 연동돌기
28: 시일
30: 무빙홀더
32: 홀더몸체
33: 터미널통공
34: 홀더측벽
36: 연동편
36': 걸이공간
37: 경사채널
38: 잠금플레이트
40: 제1걸림후크
41:제1걸림턱
43: 제2걸림후크
45: 제2걸림턱
50: 제2커넥터
52: 제2하우징
53: 회전중심축
54: 제2내부공간
56: 터미널설치부
56': 터미널안착공간
58: 연동편슬릿
60: 스페이서
62: 스페이서몸체
64: 관통공
66: 연동편슬릿
68: 당김걸이턱
70: 레버
72: 장착편
74: 연동채널
76: 손잡이10: first connector 12: first housing
14: first internal space 16: terminal seating space
17: Terminal 1 18: Lance
18': lance channel 20: first hook jaw
22: first stop tuck 24: stop hanger
26: interlocking projection 28: seal
30: moving holder 32: holder body
33: terminal through hole 34: holder side wall
36: interlocking
37: inclined channel 38: lock plate
40: first engaging hook 41: first engaging jaw
43: second engaging hook 45: second engaging jaw
50: second connector 52: second housing
53: central axis of rotation 54: second inner space
56: terminal installation part 56': terminal seating space
58: interlocking piece slit 60: spacer
62: spacer body 64: through hole
66: interlocking side slit 68: pull chin
70: lever 72: mounting piece
74: interlocking channel 76: knob
Claims (14)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는 터미널안착공간에 위치되는 터미널과,
상기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터미널이 관통하는 터미널통공이 형성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하는 랜스의 탄성변형을 항상 차단하는 잠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빙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constituting an exterior and a skeleton;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positioned in a terminal seating space penetrating the housing;
A moving holder including a holder body movably located in the inner space and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sses, and a locking plate formed in the holder body to always block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supporting the terminal. connector t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first hanging jaw that blocks the movement of the moving holder from the inner space to the outside, and the moving holder does not move arbitrarily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inner space. A connector in which a first stop tuck is formed to prevent it.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ving holder comprises: a holder body having a terminal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terminal passes; a holder side wall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holder body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d a lock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regulat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irst hook hook hanging on the first hanging jaw to block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to the outside in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 partitioned by the holder side wall of the moving holder,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partitioned by the side wall of the holder, a second hook hook is formed on the first stop tuck to prevent the moving holder from arbitrarily moving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inner space.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lock plate extends from the holder body to regul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ance for hanging and supporting the terminal when the moving holder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interlocking piece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holder body, wherein a hanging space is formed in the interlocking piece to be hung on the mating connector so that the moving holder moves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제1하우징의 선단이 삽입되는 제2내부공간이 제2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고, 제2터미널이 위치되는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터미널안착부가 상기 제2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홀더는 상기 제1내부공간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넥터와 결합될 때 제2하우징과 함께 제1내부공간의 더 내부로 이동하고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서 분리될 때 상기 제2커넥터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는 커넥터조립체.
A first internal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terminal is loc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the first internal space open to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moves in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nnector including a moving holder having a terminal through-hole formed therethrough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late for regulating elastic deformation of a lance for hanging and supporting the first terminal;
A second connector in which a second inner space in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first housing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a terminal seat portion having a terminal seat spac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is formed in the second inner space. do,
When the moving holder is installed in the first inner space and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the moving holder moves further into the first inner spac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when the second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the first 2The connector assembly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with the connector.
The connector assembly of claim 7, wherein the locking plate is positioned and moved in a lance channel formed in the first housing.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ving holder comprises: a holder body having the terminal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holder side wall formed around an edge of the holder body and moving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nd said locking plate formed and positioned within an area defined by said holder sidewall.
10. The method of claim 9, One side of the part partitioned by the side wall of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hook hook hanging on the first hook to block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to the outside in the first inner space, the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econd hook hook hooked on the first stop tuck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partitioned by the holder side wall to prevent the moving holder from arbitrarily moving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first inner space.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first clasp on which the first catching hook is hung to block the moving holder from moving to the outside in the first internal space, and the moving A connector assembly having a first stop tuck on which the second locking hook is hooked so that the holder does not move arbitrarily to the innermost side of the inner space.
1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1, wherein a spacer for preventing the second terminal from being pushed is furth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pacer and the moving holder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oving holder is A connector assembly that is mov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nnector.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communication piece slit through which the interlocking piece of the moving holder passes is form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part of the second connector and the spacer, respectively, and the interlocking piece slit of the spacer has a pull-hanging chin through which the interlocking piece is hung. A connector assembly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83022A KR20220091862A (en) | 2020-12-24 | 2020-12-24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83022A KR20220091862A (en) | 2020-12-24 | 2020-12-24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91862A true KR20220091862A (en) | 2022-07-01 |
Family
ID=8239715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83022A Pending KR20220091862A (en) | 2020-12-24 | 2020-12-24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91862A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18072A (en) * | 2022-08-02 | 2024-02-13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KR20240070055A (en) | 2022-11-14 | 2024-05-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lip and clip mounting device |
| KR20240070054A (en) | 2022-11-14 | 2024-05-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20240084978A (en) | 2022-12-07 | 2024-06-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58485A (en) | 2009-11-26 | 2011-06-0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 KR101341002B1 (en) | 2012-06-19 | 2013-12-13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Connector |
-
2020
- 2020-12-24 KR KR1020200183022A patent/KR2022009186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58485A (en) | 2009-11-26 | 2011-06-0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 KR101341002B1 (en) | 2012-06-19 | 2013-12-13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Connector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018072A (en) * | 2022-08-02 | 2024-02-13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 KR20240070055A (en) | 2022-11-14 | 2024-05-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lip and clip mounting device |
| KR20240070054A (en) | 2022-11-14 | 2024-05-2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KR20240084978A (en) | 2022-12-07 | 2024-06-14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Moving holde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220091862A (en) |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 |
| KR100987484B1 (en) | connector | |
| JP6419210B2 (en) | Connector mating guarantee | |
| US5769650A (en) | Connector and cover therefor | |
| US5217190A (en) | Panel yoke | |
| US6276957B1 (en) | Connector | |
| US7559779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 KR102421403B1 (en) | Connector assembly | |
| EP0851535B1 (en) | Connector members | |
| JPH06236784A (en) | Electric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guaranteed member | |
| JP2008305660A (en) | Dummy plug | |
| US6080023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ontact-ensuring slide | |
| US5772461A (en) | Locking mechanism for interconnecting two mated connectors | |
| US9859650B2 (en) | Plug element with locking seal | |
| CN112152013B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US5352133A (en) | Connector assembly having anti-overstress latch means | |
| EP1049209B1 (en) | Connector having a terminal retainer | |
| US109718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CN101971434A (en) | connector cover | |
| US7537479B2 (en) | Connector | |
| US5274722A (en) | Housing structure for plug-in type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 |
| JPH11265750A (en) | Connector device | |
| KR20220094835A (en) | Connector assembly | |
| CN101176237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ensuring mechanism | |
| US10135188B2 (en) | Enclosur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nd sam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