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603A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Google Patents
Electronic control unit, ECU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85603A KR20220085603A KR1020200175807A KR20200175807A KR20220085603A KR 20220085603 A KR20220085603 A KR 20220085603A KR 1020200175807 A KR1020200175807 A KR 1020200175807A KR 20200175807 A KR20200175807 A KR 20200175807A KR 20220085603 A KR20220085603 A KR 202200856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plate
- substrate
- coupled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holding the PCB within the hou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3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ubular housing wherein the PCB is inserted longitudinally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전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듈은,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전원 기판;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EMI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필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모듈은,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내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한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cludes: a housing; a first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 second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first control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inner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a first power substr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 first EMI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first EMI filter includes a substrat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bus bar modul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ower board and the board, wherein the bus bar module includes a bracke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ard,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accommodated in a space within the bracket, so that one end is provided and a bus bar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bstrate an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bstrate.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전자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자동차의 전기장치로는 엔진전기장치(시동장치, 점화장치, 충전장치)와 등화장치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차량이 보다 전자제어화 됨으로써 샤시 전기장치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전기전자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As electric devices of automobiles, engine electric devices (starter, ignition, charg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s are common. .
일반적으로, 전자제어 장치는, 차량의 내부적인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로서, 크게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 동작하는 ECU 및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 ECU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that variously controls the internal operation of a vehicle. In general, an ECU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in an OFF state and operates when the vehicle is in an OFF state. There are two types of ECUs that do not.
전자제어 장치는 모터와 연결되며, 모터의 제어를 통해 차량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제어 장치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되나, 하우징 내 협소한 공간을 고려할 때 상기 전자부품들의 배치에는 어려움이 있다.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ntrol of the motor. Althoug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disposed insid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electronic components in consideration of the narrow space in the housing.
본 발명은 구조를 개선하여 다수의 전자부품들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는 전자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apable of compactly dispos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nd miniaturizing the structure by improving the structure.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듈은,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전원 기판;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EMI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필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모듈은,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내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first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 second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first control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control module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inner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a first power substr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 first EMI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first EMI filter includes a substrat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bus bar modul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ower board and the board, wherein the bus bar module includes a bracke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board,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accommodated in a space within the bracket, so that one end is provided and a bus bar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bstrate and having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ubstrate.
본 실시예를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이 단일의 하우징 내 브라켓을 기준으로 컴팩트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품이 소형화되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can be compactly combined based on the bracket in a single housing,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is miniaturized.
또한, 복수의 전자부품 간에 솔더링을 통한 연결 구조가 제외되므로, 제조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soldering is excluded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easy.
또한, 버스바 모듈을 통해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는 EMI 필터와 전원 기판을 컴팩트하게 연결시킬 뿐 만 아니라, EMI 필터를 브라켓 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MI filter and the power board, which ar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are compactly connected through the busbar module, and the EMI filter can be firmly fixed in the bracke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EMI 필터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내 버스바와 몸체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excluding the housin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brack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bracket and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s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bus bar and a body in a bus 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combined and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and C", it is combined as A, B, C It may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i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and another elem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he upper (above) or lower (below) is not only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Also includes cases in which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 (up) or down (down)”, it may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의 평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과 EMI 필터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housing, and FIG. 3 i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3,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racket and pri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ircuit board, FIG. 7 is a plan view of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bracket and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장치(10)는, 하우징(100), 제1바디(130), 제2바디(110)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1 to 8 , the
상기 하우징(100)은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 하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은 모터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 내에는 상기 전자제어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전자부품들이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바디(1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10) 상에는 다수의 단자 결합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 결합부(111)는 상기 제2바디(1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외부 단자가 결합되는 단자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단자 결합부(111) 각각은 단자홈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거나, 상기 제2바디(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외부 단자가 상기 단자 결합부(111)에 결합 시, 상기 전자제어 장치(10) 내 구성과 외부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 장치(10)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송, 수신되거나, 상기 전자제어 장치(10)로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바디(110)는 베이스(132)와, 베이스(1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되는 브라켓(140,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0, 150)과 상기 베이스(132)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132)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제2바디(110)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베이스(10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베이스(13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10) 및 상기 베이스(132)는 상기 하우징(100)과 리브 및 리브홈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2바디(110) 및 상기 베이스(132)는 상기 하우징(100)과 단면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전자제어 장치(10)의 하면에는 모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32)의 하면에는 상기 모터와의 결합을 위한 하부 플레이트(1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터미널(125)이 배치되며, 상기 터미널(125)은 하단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베이스(132)를 관통하여 상기 전자제어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32)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25)은 후술할 제1제어모듈과 연결되는 제1터미널과, 제2제어모듈과 연결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moto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한편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기 베이스(132) 사이에는 보조 기판(250)이 추가로 배치되며, 상기 보조 기판(250)은 후술할 제1제어모듈 또는 제2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n
상기 하우징(100) 내 공간에는 상기 전자제어 장치(10)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전자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전자부품은 제1제어모듈과, 제2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모듈과 상기 제2제어모듈은 상기 브라켓(140, 150)에 결합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for driving the
상세히, 상기 브라켓(140, 150)은 상기 베이스(13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40, 150)은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140)와, 제2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제어모듈과 상기 제2제어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는 제1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부(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42)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내면 중 일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마주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1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52)는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 중 일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42)와 상기 제2결합부(152)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42)와 상기 제2결합부(152)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결합부(152) 는 상기 제1결합부(142)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A
상기 제1결합부(142)와 상기 제2결합부(152)에는 각각 스크류(S)가 관통하도록 나사홀이 형성되며, 후술할 제1EMI필터(26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A screw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3결합부(14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44)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내면 중 타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44)는 상기 제1결합부(142)와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3결합부(144)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결합부(142) 보다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마주하는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4결합부(1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결합부(154)는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 중 타측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44)와 상기 제4결합부(154)는 각각 복수로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144)와 상기 제4결합부(154)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4결합부(154) 는 상기 제3결합부(144)의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A
상기 제3결합부(144)와 상기 제2결합부(154)에는 각각 스크류(S)가 관통하도록 나사홀이 형성되며, 후술할 제2EMI필터(27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일측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2홈(14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홈(147)이 배치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일측면은 후술할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홈(147)에는 후술할 제1EMI필터(260)의 제1버스바(340)가 배치될 수 있다.A
상기 제2플레이트(140)의 일측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제1홈(15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57)이 배치되는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일측면은 후술할 제2인쇄회로기판(220)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홈(157)에는 후술할 제2EMI필터(270)의 제2버스바(340)가 배치될 수 있다. A
상기 제1제어모듈은, 제1인쇄회로기판(210), 제1전원(Power Module) 기판(230), 제1EMI 필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모듈은 브라켓(140, 150)을 기준으로 제2제어모듈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first printed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상기 브라켓(140, 15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 상에는 상기 제1제어모듈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rinted
상세히,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일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일측면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일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을 관통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일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외면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외면까지의 제1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양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제2플레이트(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32)의 상면에 접촉되고, 하면은 상기 제2바디(11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대전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 내 제1터미널(125)은 상기 베이스(132)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전원 기판(230)과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핀(2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에는 상기 핀(232)이 결합되도록 핀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232)과 상기 핀홀(2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내면과 후술할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내면에 의해 양 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EMI 필터(260)는 후술할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내면에 내면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내면에 외면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EMI 필터(260)는 상기 제1결합부(142)와 상기 제2결합부(15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의 양 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의 양 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EMI 필터(260)는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버스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3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기판(230)에는 상기 제1버스바(340)가 관통하도록 제1결합홀(236)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버스바(340)와 상기 제1결합홀(236)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EMI 필터(260)와 상기 제1전원 기판(2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340)는 상기 제1홈(157) 내 수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제어모듈은, 제2인쇄회로기판(220), 제2전원(Power Module) 기판(240), 제2EMI 필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모듈은 브라켓(140, 150)을 기준으로 제1제어모듈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second printed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브라켓(140, 150)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 상에는 상기 제2제어모듈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printed
상세히,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내면이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타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타측면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타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타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류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타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제1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외면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외면까지의 제1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양단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제2플레이트(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32)의 상면에 접촉되고, 하면은 상기 제2바디(11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In detail,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rinted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1전원 기판(22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대전류 제어를 위한 것으로,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 내 제2터미널(125)은 상기 베이스(132)를 관통하여 상기 제2전원 기판(240)과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핀(2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에는 상기 핀(242)이 결합되도록 핀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242)과 상기 핀홀(22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내면과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내면에 의해 양 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제1인쇄회로기판(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상기 제1EMI 필터(27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220)의 내면에 내면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210)의 내면에 외면이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상기 제3결합부(144)와 상기 제4결합부(15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EMI 필터(270)의 양 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EMI 필터(270)의 양 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14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상기 제2EMI 필터(270)는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버스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버스바(3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 기판(240)에는 상기 제2버스바(340)가 관통하도록 제2결합홀(248)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버스바(340)와 상기 제2결합홀(248)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2EMI 필터(270)와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제1EMI 필터(260)와 상기 제2EMI 필터(270)는 각각 플레이트 형상의 기판(261)과, CM 인덕터(263)와, DM 인덕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M 인덕터(266)는 상기 CM 인덕터(263)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DM 인덕터(266)와 상기 CM 인덕터(263)는 각각 상기 기판(251)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에 배치되는 DM 인덕터와 상기 제2EMI 필터(270)에 배치되는 DM 인덕터는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EMI 필터(260)에 배치되는 CM 인덕터와 상기 제2EMI 필터(270)에 배치되는 CM 인덕터는 상하 방향으로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EMI 필터(260, 270) 내 CM 인덕터(263)와, DM 인덕터(266)는 입력된 전류를 변환하여, 상기 버스바(340)를 통해 각각 상기 제1전원 기판(220)과 상기 제2전원 기판(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복수의 제어모듈이 단일의 하우징 내 브라켓을 기준으로 컴팩트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품이 소형화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ontrol modules can be compactly combined based on the bracket in a single housing,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duct is miniaturized.
또한, 복수의 전자부품 간에 솔더링을 통한 연결 구조가 제외되므로, 제조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connection structure through soldering is excluded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easy.
이하에서는 상기 제1EMI필터(260)과 상기 제1전원 기판(230), 상기 제2EMI필터(270)와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us bar modu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의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모듈 내 버스바와 몸체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s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us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us in a busba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bar and the body.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EMI필터(260)과 상기 제1전원 기판(230), 상기 제2EMI필터(270)와 상기 제2전원 기판(240)은 버스바 모듈(300)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300)은 상기 제1EMI필터(260) 및 상기 제2EMI필터(270)의 외형을 형성하는 기판(261, 도 7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1 to 11 , the
상세히, 상기 버스바 모듈(300)은, 일단이 상기 기판(26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전원 기판(230) 또는 제2전원 기판(240)에 결합되는 버스바(340)와, 상기 버스바(340)를 상기 기판(261) 상에 결합하는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버스바(340)를 상기 기판(261) 상에서 지지한다는 점에서 브라켓으로 이름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상기 몸체(310)는 내면이 상기 브라켓(140, 150)에 결합되고, 외면이 상기 기판(2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판(261)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310)의 외면에는 상기 버스바(340)를 관통시키는 제1관통홀(3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원 기판(230) 또는 상기 제2전원 기판(240)과 마주하는 상기 몸체(310)의 측면에는 제2관통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내측에는 양단이 상기 제1관통홀(314) 및 제2관통홀(312)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버스바(3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3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313) 내 상기 버스바(34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며, 상기 몸체(310) 내에서 상기 버스바(3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몸체(310)의 외면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3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내면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3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322)와 상기 제2돌기(324)는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322)와 상기 제2돌기(324)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면에 상기 제1돌기(322)가 배치되고, 내면에 상기 제2돌기(324)가 배치되는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A
한편, 상기 제1돌기(322)와 상기 제2돌기(324)는 단일의 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310)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연장부(320)에는 상기 단일의 축이 결합되도록 내면으로부터 외면을 관통하는 홀이 포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기판(261)은 상기 제1돌기(322)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홀은 상기 제1돌기(322)가 결합되도록 외면으로부터 내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버스바 모듈(300)이 상기 EMI필터(260, 270)에 결합 시 상기 제1돌기(322)가 상기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몸체(310)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8)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출부(318)는 상기 제1관통홀(314)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돌기(322)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261)에는 상기 돌출부(318)가 결합되도록 추가 결합홀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318) 및 상기 제1돌기(322)가 상기 결합홀들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310)와 상기 기판(261)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제1돌기(322) 및 상기 결합홀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8)와 상기 제1돌기(322)의 단면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부(318)는 상기 복수의 제1돌기(322)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의 중앙 영역과 상기 제1관통홀(314)을 기준으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상기 제2돌기(324)는 상기 브라켓(140, 1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상기 제2플레이트(150)의 내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돌기(324)가 결합되는 몸체 결합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 결합부(149)는 측면에 상기 제2돌기(324)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홀이 배치되며, 상기 제2돌기(324)가 상기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2EMI필터(260, 270)는 결합부(142, 144)들을 통한 결합 외에도, 상기 제2돌기(324) 및 상기 몸체 결합부(149)의 결합에 의해, 상기 브라켓(140, 1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상기 버스바(340)는, 상기 몸체(310)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1단자(342)와, 상기 몸체(31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제2단자(3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342)는 상기 제1전원 기판(230) 또는 제2전원 기판(2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348)는 상기 기판(2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348)는 상기 기판(261)의 단자홀(미도시) 상에 결합되도록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348)는 복수의 핀들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버스바(340)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단자(342)와 상기 제2단자(348)의 사이 영역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310) 내 공간(313)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버스바(340)는 상기 제1단자(342)의 일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344)와, 상기 제1절곡부(344)와 상기 제2단자(348)를 연결하며 상기 제1절곡부(344)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절곡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344)는 상기 제2단자(348)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절곡부(346)는 상기 제1단자(34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344) 및 상기 제2단자(348)는 상기 제2절곡부(346) 및 상기 제1단자(342)에 수직할 수 있다. 상기 제1절곡부(344)의 내면은 상기 몸체(310)의 일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3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40) 및 제2플레이트(150)의 홈(147, 157)에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버스바 모듈을 통해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는 EMI 필터와 전원 기판을 컴팩트하게 연결시킬 뿐 만 아니라, EMI 필터를 브라켓 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MI filter and the power board, which ar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are compactly connected through the bus bar module, and the EMI filter can be firmly fixed in the bracke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 배치되는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모듈은,
내면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면과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제1인쇄회로기판;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전원 기판;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내면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EMI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EMI필터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모듈은,
상기 기판의 내면에 배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내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제1전원 기판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
housing;
a first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 second plat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inn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A first control module disposed in the housing,
The first control module,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n inner surfa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plate and one side of the second plate;
a first power substr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and
a first EMI filt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inner surface of which is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he first EMI filter includes a substrate and a bus bar module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ower substrate and the substrate;
The bus bar module,
and a bracket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bus bar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a space within the bracket,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power boar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board.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전원 기판은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EMI필터는 상기 제1전원 기판에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power board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first EMI filter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on the first power substrate.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는 상기 공간을 개구시키는 제1관통홀이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측면에는 상기 공간을 개구시키는 제2관통홀이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through hole for opening the space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 second through hole for opening the space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racket.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돌기가 결합되도록 제1결합홀이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which a first coupling hole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such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coupled thereto.
상기 브라켓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도록 제2결합홀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1돌기의 단면 형상은 상이한 전자제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 second coupling hole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so that the protrusion is coupl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and the first protrus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브라켓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돌기가 결합되는 제3결합홀을 포함하는 결합부가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wardly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having a coupling port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the coupling portion including a third coupling hole protruding inwardly to which the second projection is coupled.
상기 버스바는, 상기 브라켓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전원 기판에 결합되는 제1단자와, 상기 브라켓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기판에 결합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s bar includes a first terminal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bracket and coupled to the first power substrate, and a second terminal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coupled to the substrate.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측면에는 상기 제1단자가 결합되도록 타 영역보다 함몰 형성되는 홈이 배치되는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 which a groove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plate or the second plate to be recessed from other regions so that the first terminal is coupled.
상기 브라켓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전자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terial of the bracket i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made of plastic.
Priority Applications (5)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5807A KR20220085603A (en) | 2020-12-15 | 2020-12-15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 US18/254,328 US12356561B2 (en) | 2020-12-10 | 2021-11-24 | Electronic control device |
| PCT/KR2021/017420 WO2022124649A1 (en) | 2020-12-10 | 2021-11-24 | Electronic control device |
| CN202180082264.4A CN116568564A (en) | 2020-12-10 | 2021-11-24 | electronic control unit |
| TW110146146A TW202233456A (en) | 2020-12-10 | 2021-12-09 | Electronic control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5807A KR20220085603A (en) | 2020-12-15 | 2020-12-15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5603A true KR20220085603A (en) | 2022-06-22 |
Family
ID=8221645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5807A Pending KR20220085603A (en) | 2020-12-10 | 2020-12-15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85603A (en) |
| CN (1) | CN116568564A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23350A1 (en) * | 2023-07-26 | 2025-01-30 | 모티브링크 주식회사 | Integrated noise filter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5516066B2 (en) * | 2009-06-24 | 2014-06-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Drive device |
| KR101429499B1 (en) * | 2013-07-03 | 2014-08-13 | 주식회사 오리엔트전자 | A line filter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filter |
| JP2020141499A (en) * | 2019-02-28 | 2020-09-03 | 日本電産モビリティ株式会社 | Motor control unit, and motor |
| CN109802608B (en) * | 2019-03-08 | 2024-02-23 | 深圳市雷赛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 Drive control equipment, integrated motor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
-
2020
- 2020-12-15 KR KR1020200175807A patent/KR20220085603A/en active Pending
-
2021
- 2021-11-24 CN CN202180082264.4A patent/CN116568564A/en active Pending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5023350A1 (en) * | 2023-07-26 | 2025-01-30 | 모티브링크 주식회사 | Integrated noise filt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CN116568564A (en) | 2023-08-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3954915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US7419386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 JP5212019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ical junction box | |
| US7095628B2 (en) | Fuse box for a vehicle | |
| JP5714716B2 (en) | Power control device | |
| JP2000059950A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 JP7346844B2 (en) | electronic module | |
| JP4868928B2 (en) | Junction block | |
| CN100438720C (en) | Integrated electronic module structure for vehicles | |
| JP2004080917A (en) | Junction box | |
| JP2002044832A (en) | Assembling method of junction box and junction box assembled thereby | |
| US20240107687A1 (en) | Electronic control device | |
| KR20220085603A (en)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
| JP2000013962A (en) | Electric junction box | |
| JP2001211527A (en) | Electricity-connection box | |
| KR20220082370A (en) | Electronic control unit, ECU | |
| US11798749B2 (en) | Power converter including filter circuit device to improve a noise suppression function | |
| CN215378795U (en) | Dual-motor controller structure | |
| KR100451925B1 (en) | Integrated Circuit Module | |
| CN213583641U (en) | Switch device with mounting structure | |
| KR20250059225A (en) | Electronic device | |
| KR100458750B1 (en) | Hybrid junction Box | |
| JP4470989B2 (en) | Junction box | |
| KR20240022924A (en) |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
| KR20230021935A (en) | Control apparau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