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591A -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 Google Patents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28591A KR20220028591A KR1020200109776A KR20200109776A KR20220028591A KR 20220028591 A KR20220028591 A KR 20220028591A KR 1020200109776 A KR1020200109776 A KR 1020200109776A KR 20200109776 A KR20200109776 A KR 20200109776A KR 20220028591 A KR20220028591 A KR 202200285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rse
- information
- pest
- pests
- golf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practising terrai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4—Relational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센서 기기에서 수집한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를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 고도, 날짜) 및 근처 병충해 정보(예: 주변 골프장의 병충해 발생 정보)와 결합시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코스 관리 방안 및 코스 재해 위험(예: 병충해)에 따른 방제 권고안을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코스 관리를 실현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장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수집한 대량의 코스 상태 정보와 골프장 기본 정보와 주변 골프장 정보의 조합을 빅데이터 분석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코스 관리 방안 및 코스 재해 위험 예방에 활용함으로써 골프장 코스 관리에 필요한 여러 조치를 개인의 경험이나 노하우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골프장 코스 품질을 개선하여 골프장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코스 관리의 효율을 높여 골프장 코스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함으로써 골프장 운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약품 과다 사용을 억제하여 환경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course state information (eg, humidity, rainfall, geo temperature, temperature, wind speed, PH value, ionic conductivity, etc.) collected from sensor devices installed at various points on the golf course to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eg, location, altitude, date) Efficient course management by combining with information on pests and pests nearby (e.g.,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at nearby golf courses)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and through this, the optimal course management plan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ccording to the risk of course disasters (e.g., pests) are derived. It is about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be realiz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g data analysis of a large amount of cours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nsors on a golf course,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golf course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rive correlations therebetween, and is used for course management methods and course disaster risk pre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cientifically process various measures necessary for golf course management by using it, rather than relying on personal experience or know-how. In particular,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olf course, it is possible to not only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golf course, but also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urse management, thereby sav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golf course, thereby helping the operation of the golf cours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burden by suppressing the excessive use of drugs.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골프장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하여 골프장 코스 관리에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a technology for collecting golf course environment data, analyzing big data, and utilizing it for golf course course management.
특히, 본 발명은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센서 기기에서 수집한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를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 고도, 날짜) 및 근처 병충해 정보(예: 주변 골프장의 병충해 발생 정보)와 결합시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코스 관리 방안 및 코스 재해 위험(예: 병충해)에 따른 방제 권고안을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코스 관리를 실현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eg, location, altitude, Date) and nearby pests and pests information (eg, pests and pest occurrence information of nearby golf courses)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and through this, an efficient course is performed by deriving an optimal course management plan and control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 course disaster risk (eg, pests). It is about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technology that realizes management.
최근들어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골프(golf)가 대중적인 스포츠가 되었다. 일반적인 골프 코스는 파4 홀 10개와 파5 홀 4개, 그리고 파3 홀 4개를 조합하고 코스 주변에 인공의 숲, 계곡, 연못 등의 장애물을 배치하기도 하고 자연의 강, 바다, 언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골프 코스에는 벙커와 워터해저드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천연 잔디가 심어져 있다.Recently, as income levels have improved, golf has become a popular sport. A typical golf course combines 10
골프 코스에서 천연시설물은 미관 유지라는 골프장 내방객들을 위한 서비스 측면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골프 경기 중에 일어나는 여러가지 사건사고의 일부분이 되므로 경기력 유지를 위해서도 섬세하게 관리되어야 하며, 이처럼 골프 코스가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지는 해당 골프장의 품격과 경쟁력의 주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골프장은 전문 인력을 두고 예초, 토양갱신, 시비 등을 자주 시행하는 등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다.Natural facilities on a golf course are not only important in terms of service for visitors to the golf course, but also be a part of various accidents that occur during a golf game, so they must be carefully managed to maintain performance. It becomes a major factor in the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golf course. Considering this point, golf courses are costly, such as frequent mowing, soil renewal, and fertilization with professional manpower.
하지만 골프 이벤트와 골프 경기가 빈번하게 열리고 이 과정에서 골프 플레이어와 갤러리들이 잔디를 비롯한 천연시설물에 지속적으로 손상을 입히게 되므로 골프장 코스 관리는 쉽지않은 과제이다. 특히, 골프 코스에 조성된 잔디는 병 저항성과 벌래 저항성이 극히 낮으며 그에 따라 병충해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잔디에 발생하는 각종 병과 벌래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방제 작업을 과도하게 하는 경우에는 심각한 독성문제와 환경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However, golf course management is not an easy task because golf events and golf games are held frequently, and golf players and galleries continuously damage natural facilities including grass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the grass formed on the golf course has extremely low disease resistance and bedbug resistanc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sts are frequently generated. In order to deal with various diseases and bedbugs that occur on the lawn, pesticides are regularly sprayed. If the control work is excessive, serious toxicity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caused, so it must be properly selected.
골프장의 코스 유지관리에는 여러가지 난제들이 있다. 골프장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골프 코스를 고품격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나, 그와 동시에 골프장의 수익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코스 유지관리에 너무 많은 비용을 들이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비용을 줄이려는 생각으로 예초, 토양갱신, 시비, 방제작업 등을 줄이면 내방객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오히려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고, 그렇다고 병충해를 막겠다는 생각으로 방제작업을 늘리면 독성과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 are several challenges in maintaining the course of a golf course. As competition among golf courses intensifie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high-quality golf course. However, if you reduce mowing, soil renewal, fertilization, and control work with the intention of reducing costs to increase profit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visitors decreases and profitability worsens. There is a problem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골프장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여 빅데이터 분석하여 골프장 코스 관리에 활용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llecting golf course environment data, analyzing big data, and utilizing it for golf course management.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설치된 센서 기기에서 수집한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를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 고도, 날짜) 및 근처 병충해 정보(예: 주변 골프장의 병충해 발생 정보)와 결합시켜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최적의 코스 관리 방안 및 코스 재해 위험(예: 병충해)에 따른 방제 권고안을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인 코스 관리를 실현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vert course state information (eg, humidity, rainfall, ground temperature, temperature, wind speed, PH value, ion conductivity, etc.) collected from sensor devices installed at various points of the golf course to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eg, location, Altitude, date) and nearby pests and pests information (eg, pests and pests in nearby golf courses) are combined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and through this, the optimal course management plan and prevention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 risk of course disasters (eg pests) are derived. It is to provid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technology that realizes efficient course management.
한편,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들 사항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른 해결 과제가 이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matter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can be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은, 골프장 코스 관리를 위한 정보 수집과 누적 관리와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코스 관리 서버(100);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분산 설치된 센서 기기로서 그 설치된 지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해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코스 상태 센서(200); 골프장의 코스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장치로서 코스 관리자로부터 코스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고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코스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코스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코스 관리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코스 상태 센서(2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코스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병충해명, 병충해 위험도, 병충해 진행 상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병충해 상태 정보 및 방제작업의 종류와 작업량에 관한 방제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고,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징후 발생에 관련된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코스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골프장에 대한 위치, 고도, 날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골프장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코스 상태 센서(200)로부터 코스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관리하고, 코스 관리 단말로부터 병충해 상태 정보와 방제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관리하고, 골프장 기본 정보 및 그 누적 관리하는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방제작업 정보의 조합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현재 수집 데이터에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 및 그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된다.Then, the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골프장 부근의 병충해 발생 여부와 종류 및 심각도에 관한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누적 관리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더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단말(300)은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방제작업 수행 여부에 관한 방제작업 정보 및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에 관한 방제작업 결과 정보를 코스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코스 관리 서버(100)로 응답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방제작업 정보 및 방제작업 결과 정보를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로 누적 관리되어 향후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병충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인 병충해 연구 정보 및 방제작업 연구 정보를 획득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더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이상과 같은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을 위한 운용 프로세스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operation process for th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장에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수집한 대량의 코스 상태 정보와 골프장 기본 정보와 주변 골프장 정보의 조합을 빅데이터 분석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코스 관리 방안 및 코스 재해 위험 예방에 활용함으로써 골프장 코스 관리에 필요한 여러 조치를 개인의 경험이나 노하우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ig data analysis of a large amount of course state information collect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nsors on a golf course,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golf course information is analyzed to derive correlations therebetween, and is used for course management methods and course disaster risk pre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andle various measures necessary for golf course management scientifically rather than relying on personal experience or know-how.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장 코스 품질을 개선하여 골프장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코스 관리의 효율을 높여 골프장 코스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함으로써 골프장 운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약품 과다 사용을 억제하여 환경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ol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golf course, as well as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ourse management, thereby sav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management of the golf course, thereby helping the operation of the golf cour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vironmental burden by suppressing the excessive use of dru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코스 관리를 수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의 빅데이터 분석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코스 상태 센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big data-based golf course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ncept of performing course management by the big data-based golf course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big data analysis structure of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urse state sens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urse management terminal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은 코스 관리 서버(100), 코스 상태 센서(200), 코스 관리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코스 상태 센서(200)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획득되는 다수의 데이터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여기에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골프장 코스를 관리하는 방식이다.Referring to FIG. 1 , th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기술요소에 대해 전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technical element constituting the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whole.
먼저, 코스 관리 서버(100)에 대해 기술한다. 코스 관리 서버(100)는 사무실(back office)를 위해 설치 운용되는 장치로서, 물리적인 서버 장치의 형태로 골프장 내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의 형태로 원격에 위치할 수도 있다. 코스 관리 서버(100)는 골프장 코스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보 수집과 누적 관리와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First, the
코스 관리 서버(100)는 골프장 코스 관리를 위하여 해당 골프장에 대한 코스 상태 정보와 골프장 기본 정보를 수집한다. 이들 정보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골프장에 설치된 코스 상태 센서(200)로부터 제공받는다. 다만, 이들 정보의 일부는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공공서버(예: 기상청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컴퓨터 장치에 설치된 시스템 운영체제(예: 윈도우1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때, 골프장 기본 정보로는 위치(GPS 정보), 고도, 날짜(년/월/일) 등을 들 수 있고, 코스 상태 정보로는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을 들 수 있다.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상태 정보와 골프장 기본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누적 관리하는데, 이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것이다.The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골프장에 대한 병충해 상태 정보와 방제작업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병충해 상태 정보로는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 등을 들 수 있고, 방제작업 정보로는 방제작업의 종류와 작업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골프장 부근의 병충해 발생 여부와 종류 및 심각도에 관한 정보, 즉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 즉 병충해 연구 정보(예: 봄철 강수시 옐로우 패치 발생 빈번)와 방제작업 연구 정보(예: 옐로우 패치 징후시 질소 비료 시비 량 축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병충해 상태 정보는 기본적으로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제공받는데, 이들 정보의 일부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서버(예: 네이버 서버, 구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 병충해 연구 정보, 방제작업 연구 정보는 관리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서버(예: 공공서버, 네이버 서버, 구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 상태 정보와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여 누적 관리하는데, 이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코스 관리 서버(100)는 이들 수집 데이터를 조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상태 정보와 병충해 상태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병충해 징후 발생에 따른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방제작업 정보와 병충해 상태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병충해 위험(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The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고 그 결과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관리 단말(300)을 통해 코스 관리자에게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전달하고, 코스 관리자는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따른 방제 작업을 수행한 후에 그 결과, 즉 그 권고안에 따른 방제작업 수행 여부에 관한 방제작업 정보 및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에 관한 방제작업 결과 정보를 코스 관리 서버(100)로 응답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코스 상태 센서(200)에 대해 기술한다. 코스 상태 센서(200)는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분산 설치되는 센서 기기로서 그 설치 지점에 대한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의 코스 상태 정보를 센서 모듈을 통해 수집하는데, 위치(GPS 정보), 고도 등의 골프장 기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코스 상태 센서(200)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코스 상태 정보를 통신망, 예컨대 클라우드를 통해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코스 상태 센서(200)의 통신 모듈은 지그비(Zigbee),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통신(NFC) 등과 같은 무선통신 기술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스 상태 센서(200)는 코스 상태 정보를 골프장에 설치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도 있고, 코스 관리 단말(300)이 자신에 접근하였을 때에 이를 경유하여 코스 상태 정보를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코스 관리 단말(300)에 대해 기술한다.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예: 코스 관리 작업자, 코스관리 책임자)가 휴대하는 단말장치로서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GPS 정보), 고도, 날짜)와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를 기록하고 이를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 또한,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병충해 상태 정보(예: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와 방제작업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달한다.Next, the
또한,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병충해 징후 발생에 대한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코스 관리자는 병충해 경고와 방제 권고안 내용에 따라 방제 작업을 수행하고, 방제작업 정보를 코스 관리 단말(300)에 입력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한다. 이때, 코스 관리자가 정보를 직관적으로 기록 및 파악할 수 있도록 코스 관리 단말(300)은 직관적인 UI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 골프장 코스 관리를 수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performing golf course management by th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골프장의 여러 장소에 코스 상태 센서(2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통해 골프 코스에 대한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와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GPS 정보), 고도 등)를 수집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코스 관리자는 코스 관리 단말(300)을 휴대한 상태로 코스 관리를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골프장 기본 정보(예: 위치(GPS 정보), 고도, 날짜), 코스 상태 정보(예: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병충해 상태 정보(예: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 방제작업 정보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혹은 자체 감지 모듈에 의해 코스 관리 단말(300)에 입력되어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된다. The course manager performs course management while carrying the
코스 관리 서버(100)는 이들 정보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도출하여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제공한다. 코스 관리자는 코스 관리 단말(300) 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코스 관리 작업(방제작업)을 수행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가 수행하는 빅데이터 분석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상태 센서(200)와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골프장 코스에 관련된 각종의 데이터, 가장 중요하게는 코스 상태 정보와 병충해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누적 관리하고, 오랜 시간동안 누적된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도출한 후에, 이로부터 해당 골프장 코스에서 현재 병충해 징후가 있는지 여부를 도출하고, 그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을 도출하는 기기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도 1]과 [도 2]에는 코스 관리 서버(100)는 서버장치 1대로 이루어지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 구현에서는 기능적으로 구분된 복수의 서버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나아가 이들중 일부는 아마존웹서비스(AWS) 등과 같이 하드웨어는 써드파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1] and [Fig. 2], the
[도 3]을 참조하면 코스 관리 서버(100)는 기본정보 관리 모듈(110), 코스상태정보 관리 모듈(120), 병충해정보 관리 모듈(130), 방제작업정보 관리 모듈(140), 연구정보 관리 모듈(150), 빅데이터 분석 모듈(160), 병충해경고 출력 모듈(170), 방제권고안 출력 모듈(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개별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먼저, 기본정보 관리 모듈(110)은 골프장 코스에 대한 위치(GPS 정보), 고도 그리고 날짜(년/월/일) 등의 골프장 기본 정보를 입력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획득하여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First, the basic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0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GPS information), altitude, and date (year/month/day) for a golf course course or acquiring it from another device and managing it.
코스상태정보 관리 모듈(120)은 골프장 코스에 대한 환경상태를 나타내는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등과 토양상태를 나타내는 토양 PH 값과 토양 이온전도도 등과 같은 코스 상태 정보를 코스 상태 센서(200) 또는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획득하여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urse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0 transmits course state information such as humidity, rainfall, ground temperature, temperature, wind speed, etc. indicating the environmental state of the golf course, the soil PH value and the soil ion conductivity indicating the soil state to the
병충해정보 관리 모듈(130)은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부근 병충해 발생 여부,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 등의 병충해 상태 정보 및 코스 관리자가 수행하는 방제작업의 내용(예: 살충제 50cc 살포)인 방제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근방에 위치한 다른 골프장의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근처 병충해 정보(예: 주변 골프장의 병충해 발생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The pest
방제작업정보 관리 모듈(140)은 골프 코스에 대해 코스 관리자가 수행한 방제작업의 내용(예: 1번 홀에 살충제 50cc 살포)을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The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nd manages the contents of 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by the course manager for the golf course (eg, spraying 50cc of insecticide on the first hole) from the
연구정보 관리 모듈(150)은 병충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 즉 병충해 연구 정보(예: 봄철 강수시 옐로우 패치 발생 빈번)와 방제작업 연구 정보(예: 옐로우 패치 징후시 질소 비료 시비 량 축소)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esearch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5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related to pests, that is, pest research information (eg, frequent occurrence of yellow patches during spring precipitation) and control work research information (eg, reducing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when yellow patches appear) is a component that receives and manages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빅데이터 분석 모듈(160)은 장기간 누적 수집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즉,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상황별로 병충해 위험을 미리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병충해 징후에 따른 방제 권고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누적됨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The big data analysis module 160 derives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elements by analyzing the long-term accumulated collected data as big data. That is, by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course state information, pest and pest state information, and nearby p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pest risks in advance for each situation. In addition, by deriving a correlation between basic golf course information,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pest status information, and nearby pes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esent control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pests. As data is continuously accumulated, big data analysis must also be continuously performed.
병충해경고 출력 모듈(170)은 현재 수집 데이터, 즉 현재 수집된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에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알리는 구성요소이다.The pest warning output module 170 generates pest warning data that predicts the occurrence of pests early by applying a correlation to the currently collected data, that is, the currently collected basic information of the golf course, course state information, and nearby pest information, and uses this as a course management terminal. It is a component that informs the course manager by passing it to (300).
방제권고안 출력 모듈(180)은 현재 수집 데이터, 즉 현재 수집된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에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알리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rol recommendation output module 180 applies a correlation to the currently collected data, that is, the currently collected basic information of the golf course,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and pest status information to generate control recommendation data to respond to the symptoms of pests and pests, and use this as a course management terminal It is a component that informs the course manager by passing it to (300).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가 수행하는 동작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본다.Next, an operation process performed by the
단계 (S100) : 먼저,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상태 센서(200)로부터 골프장 기본 정보와 코스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다. 골프장 기본 정보는 위치(GPS 정보), 고도, 날짜 등으로 한번 설정되면 변하지 않는 고정 정보이다. 코스 상태 정보는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으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이다. 날짜가 현재인 경우에는 현재 정보를, 과거인 경우에는 과거 기록을, 미래인 경우에는 일기 예보를 의미한다. 코스 상태 정보는 골프 코스에 설치되어 있는 코스 상태 센서(200)에 의해 자동으로 수집하는 것이 기본이다. 다만, 코스 관리 단말(300)을 통해 사람이 입력할 수도 있고, 코스 상태 정보의 일부(예: 일기예보)는 인터넷을 통해 예컨대 공공서버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Step (S100): First, the
단계 (S11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코스 관리 단말(300)로부터 병충해 상태 정보와 방제작업 정보를 제공받는다. 병충해 상태 정보는 골프장에서 현재 발견되는 병충해에 관련된 정보로서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부근 병충해 발생 여부,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를 들 수 있는데, 병충해 발생 전에는 병충해 위험도로 상태를 표시하고 병충해 발생 후에는 병충해 진행 상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제작업 정보는 코스 관리자가 수행한 방제작업의 내용이다(예: 살충제 50cc 살포).Step (S110): The
단계 (S12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근방에 위치한 다른 골프장의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근처 병충해 정보(예: 주변 골프장의 병충해 발생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한다.Step (S120): The
단계 (S13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 즉 병충해 연구 정보(예: 봄철 강수시 옐로우 패치 발생 빈번)와 방제작업 연구 정보(예: 옐로우 패치 징후시 질소 비료 시비 량 축소)를 획득하여 관리한다. 이들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는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한국잔디연구소의 연구 보고서 및 Turf Grass Lab Riverside 보고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연구결과 정보는 해당 연구소나 대형 도서관의 서버 또는 외부 범용 서버(예: 네이버 서버, 구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Step (S130): The
단계 (S14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장기간 누적 수집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즉, 코스 관리 서버(1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상황별로 병충해 위험을 미리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병충해 징후에 따른 방제 권고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Step (S140): The
본 발명에서는 골프장 코스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수집되어 누적되므로 빅데이터 분석도 한번 수행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고 예컨대 일정 간격으로(예: 일주일 간격)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상관관계 도출은 엄격한 이론 분석을 통한 인과관계 증명에 의해 얻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누적하여 수집한 대규모의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귀납적인 상관관계 추론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data related to golf course management is continuously collected and accumulated, it is insufficient to perform big data analysis once, for example, it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eg, weekly intervals). Correlation deriv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is not obtained by proof of causality through rigorous theoretical analysis, but is obtained based on inductive correlation inference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large-scale data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단계 (S15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현재 수집 데이터에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에 따라, 코스 관리 서버(100)는 현재 수집된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에 앞서 (S140)에서 도출하였던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생성한다.(예: 봄철 10∼20℃ 온도조건이라면 강수시 옐로우 패치병 발생 가능성 높음). Step (S150): The
단계 (S160) :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는 현재 수집 데이터에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에 따라, 코스 관리 서버(100)는 현재 수집된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에 앞서 (S140)에서 도출하였던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한다.(예: 봄철에 옐로우 패치 발생시 질소 비료 축소) Step (S160): In addition, the
단계 (S170) : 코스 관리 서버(100)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여 코스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코스 관리자는 관련 작업을 수행 후 코스 관리 단말(300)을 통해 수행 결과를 기록하고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달하며, 이를 통해 코스 관리 서버(100)가 수집하게 된 이들 정보는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로 누적 관리되어 향후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된다. Step (S170):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에서 코스 상태 센서(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코스 상태 센서(200)는 골프장의 여기저기에 설치되어 각종 정보(데이터)를 수집하는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의 코스 상태 정보를 수집하며 위치(GPS 정보), 고도 등의 골프장 기본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코스 상태 센서(200)는 온도센서 모듈(211), 습도센서 모듈(212), 풍속센서 모듈(213), 고도센서 모듈(214), PH센서 모듈(215), 이온전도도 센서 모듈(216), GPS 수신 모듈(220)의 하나이상을 구비하며, 이들 센서 모듈에 의해 위치(GPS 정보), 고도,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정보를 수집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GPS 정보)나 고도 등은 센서 설치 이후에는 변경되지 않는 정보이므로 골프장 기본 정보라고 부르고,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은 시시각각 변화하면서 코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므로 코스 상태 정보라고 부른다.To this end, the
또한, 코스 상태 센서(200)는 이들 수집 데이터를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달하기 위한 센서통신 모듈(230)을 구비한다. 이때, 센서통신 모듈(230)은 지그비(Zigbee), 무선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통신(NFC)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코스 상태 센서(200)는 센서모듈과 통신모듈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센서전원 모듈(240)을 구비한다. 이때, 센서전원 모듈(24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용전원에서 동작전원을 획득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태양광 패널에서 동작전원을 획득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코스 상태 센서(200)는 코스 상태 센서(200)의 기기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 환경(예: 태양, 눈, 비)에 대해 코스 상태 센서(200)의 내부 모듈을 보호하기 위한 센서 하우징(250)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에서 코스 관리 단말(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가 코스 관리를 수행하면서 정보 조회 및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GPS 정보), 고도, 날짜등의 골프장 기본 정보,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PH 값, 이온전도도 등의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 등의 병충해 상태 정보, 그리고 방제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한다. 또한,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병충해 징후 발생에 따른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병충해 위험(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제공받아 코스 관리자에게 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코스 관리 단말(300)은 병충해 입력 모듈(310), 방제작업 입력 모듈(320), 코스정보 입력 모듈(330), 병충해 경고 모듈(340), 방제작업 권고 모듈(350), 단말통신 모듈(360), 단말전원 모듈(370), 단말 하우징(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코스 관리 단말(300)을 이루는 개별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작에 대해서 기술한다.To this end, the
먼저, 병충해 입력 모듈(310)은 코스 관리 단말(300)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여 코스 관리자가 골프장 코스를 살펴보면서 발견한 병충해 상태 정보, 예컨대 병충해명(예: 잔디포충나방), 병충해 위험도(예: 중), 병충해 진행 상태(예: 유충상태) 등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어떠한 병충해가 어느 정도로 골프장 코스의 어디에 발생하였는지 코스 관리자가 병충해 상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pest input module 310 provides a menu screen to the
방제작업 입력 모듈(320)은 코스 관리 단말(300)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여 코스 관리자가 골프 코스에 방제 작업을 수행한 후에 그 방제작업 내용을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이 방제 작업은 루틴한 작업일 수도 있고,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업일 수도 있다. 이때, 어떠한 방제 작업이 얼마만큼 골프장 코스의 어디에 이루어졌는지 코스 관리자가 방제작업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직관적인 UI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operation input module 32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the
코스정보 입력 모듈(330)은 코스 관리 단말(300)에 메뉴 화면을 제공하여 코스 관리자가 별도 루트를 통해 획득한 골프장 기본 정보 또는 코스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 구성요소이다. 코스 상태 정보는 코스 상태 센서(200)를 통해 수집되는데, 코스 상태 센서(200)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코스 관리 단말(300)이 코스정보 입력 모듈(330)을 구비한다.The course information input module 33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menu screen to the
병충해 경고 모듈(340)은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병충해 징후 발생을 감지함에 대응하여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시청각 수단을 통해 병충해 경고 메세지를 코스 관리자에게 제공한다.The pest warning module 340 provides a pest warning message to the course manager through audiovisual means as it receives pest warning data in response to detecting the occurrence of signs of pests and diseases from the
방제작업 권고 모듈(350)은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병충해 위험(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수신함에 따라 시청각 수단을 통해 방제작업 권고안 메세지를 코스 관리자에게 제공한다.The control
단말통신 모듈(360)은 코스 관리 단말(300)이 코스 관리 서버(1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단말통신 모듈(360)은 일반적으로 광대역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5G 이동통신, LTE 이동통신, 무선랜(Wifi)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36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path for the
단말전원 모듈(370)은 코스 관리 단말(300)의 내부 모듈에 대해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단말전원 모듈(370)은 내장 배터리와 충전회로, 그리고 멀티전압 DC/DC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power module 37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internal module of the
단말 하우징(380)은 코스 관리자가 소지하기에 적합한 코스 관리 단말(300)의 장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terminal housing 380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device appearance of the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non-volatile recording medium. Various types of storage devices exist as such non-volatile recording media. For example, hard disks, SSDs, CD-ROMs, NAS, magnetic tapes, web disks, cloud disks, etc. The form in which it is made and executed can also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in ord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dure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100 : 코스 관리 서버
110 : 기본정보 관리 모듈 120 : 코스상태정보 관리 모듈
130 : 병충해정보 관리 모듈 140 : 방제작업정보 관리 모듈
150 : 연구정보 관리 모듈 160 : 빅데이터 분석 모듈
170 : 병충해경고 출력 모듈 180 : 방제권고안 출력 모듈
200 : 코스 상태 센서
211 : 온도센서 모듈 212 : 습도센서 모듈
213 : 풍속센서 모듈 214 : 고도센서 모듈
215 : PH센서 모듈 216 : 이온전도도 센서 모듈
220 : GPS 수신 모듈 230 : 센서통신 모듈
240 : 센서전원 모듈 250 : 센서 하우징
300 : 코스 관리 단말
310 : 병충해 입력 모듈 320 : 방제작업 입력 모듈
330 : 코스정보 입력 모듈 340 : 병충해 경고 모듈
350 : 방제작업 권고 모듈 360 : 단말통신 모듈
370 : 단말전원 모듈 380 : 단말 하우징100: course management server
110: basic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20: course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30: pest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40: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50: research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60: big data analysis module
170: pest warning output module 180: control recommendation output module
200: course state sensor
211: temperature sensor module 212: humidity sensor module
213: wind speed sensor module 214: altitude sensor module
215: PH sensor module 216: ion conductivity sensor module
220: GPS receiving module 230: sensor communication module
240: sensor power module 250: sensor housing
300: course management terminal
310: pest input module 320: control work input module
330: course information input module 340: pest warning module
350: prevention work recommendation module 360: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370: terminal power module 380: terminal housing
Claims (5)
골프장의 여러 지점에 분산 설치된 센서 기기로서 그 설치된 지점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는 복수의 코스 상태 센서(200);
골프장의 코스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장치로서 코스 관리자로부터 코스 관리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달하고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코스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코스 관리자에게 출력하는 코스 관리 단말(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스 상태 센서(200)는 센서 모듈을 통해 습도, 강우량, 지온, 기온, 풍속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코스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스 관리 단말(300)은 코스 관리자의 입력 조작에 의해 병충해명, 병충해 위험도, 병충해 진행 상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병충해 상태 정보 및 방제작업의 종류와 작업량에 관한 방제작업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고,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부터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징후 발생에 관련된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골프장에 대한 위치, 고도, 날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골프장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코스 상태 센서(200)로부터 상기 코스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관리하고, 상기 코스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병충해 상태 정보와 방제작업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관리하고, 상기 골프장 기본 정보 및 상기 누적 관리하는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방제작업 정보의 조합에 대해 빅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현재 수집 데이터에 상기 여러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 및 그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상기 코스 관리 단말(300)로 전달하여 코스 관리자에게 알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
a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for collecting and accumulating information and analyzing big data for golf course course management;
a plurality of course condition sensors 200 that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at various points of the golf course, obtain status information on the installed points and transmit them to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s a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course manager of a golf course, information related to course management is received from the course manager and transmitted to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course management is provided from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to the course manager Course management terminal 300 to output;
consists of,
The course condition sensor 200 is configured to collect course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humidity, rainfall, geo temperature, temperature, and wind speed through a sensor module and transmit it to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The course management terminal 300 obtains pest and pes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est explanation, pest risk, and pest progression status by the course manager's input operation, and control job information on the type and amount of control work to obtain the course.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10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est warning data and control recommendation data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pest symptoms according to time and situation from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and output it to the course manager,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acquires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a location, altitude, and date for a corresponding golf course, receives the course condition information from the course condition sensor 200, accumulat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and Receives and manages the disease and pest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course management terminal, and performs big data analysis on the combination of the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and the cumulatively managed course status information, pest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operation information. By deriv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and appl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to the currently collected data, it generates pest warning data that predicts the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early according to time and situation, and control recommendation data to respond to the symptoms of pests and pests and transmitting the pest warning data and control recommendation data to the course management terminal 300 to notify the course manager.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해당 골프장 부근의 병충해 발생 여부와 종류 및 심각도에 관한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근 병충해 발생 정보를 누적 관리하여 상기 빅데이터 분석에 더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is configur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in the vicinity of the golf course from an external server regarding the occurrence, type, and severity of the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in the vicinity of the golf course.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do so.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골프장 기본 정보, 코스 상태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시기와 상황에 따른 병충해 발생을 조기 예측하는 병충해 경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기 골프장 기본 정보, 방제작업 정보, 병충해 상태 정보, 근처 병충해 정보 사이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병충해 징후에 대응하기 위한 방제 권고안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derives a correlation between the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course state information, pest state information, and nearby pest inform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pests and pests early according to time and situation pest warning data Generates a correlation between the golf course basic information, control work information, pest status information, and nearby pest informa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to generate control recommendation data to respond to pest symptoms, characterized in that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상기 코스 관리 단말(300)은 상기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루어진 방제작업 수행 여부에 관한 방제작업 정보 및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에 관한 방제작업 결과 정보를 코스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로 응답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는 상기 병충해 경고 데이터와 방제 권고안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방제작업 정보 및 방제작업 결과 정보를 새로운 병충해 상태 정보로 누적 관리되어 향후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rse management terminal 300 receives, from the course manager, control work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made in response to the pest warning data and control recommendation data, and control operation result information on new pest status information from the course manager, and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provide a response as (100);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is configured to accumulate and manage the control work information and control work result information provided in response to the pest warning data and control recommendation data as new pest status information and utilize it for future big data analysis. Big data-based golf course management system.
상기 코스 관리 서버(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병충해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결과 정보인 병충해 연구 정보 및 방제작업 연구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빅데이터 분석에 더 반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골프장 코스 관리 시스템.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ourse management server 100 is a big data-based golf cour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cquire pest research information and pest control work research information, which are existing research result information related to pests and pests, from an external server and further reflect it in the big data analysis. course managemen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09776A KR20220028591A (en) | 2020-08-31 | 2020-08-31 |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09776A KR20220028591A (en) | 2020-08-31 | 2020-08-31 |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28591A true KR20220028591A (en) | 2022-03-08 |
Family
ID=8081283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09776A Ceased KR20220028591A (en) | 2020-08-31 | 2020-08-31 |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28591A (en) |
-
2020
- 2020-08-31 KR KR1020200109776A patent/KR20220028591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dos Santos et al. | AgriPrediction: A proactive internet of things model to anticipate problems and improve production in agricultural crops | |
| Vega-Rodríguez et al. | Low cost LoRa based network for forest fire detection | |
| Panchard et al. | Commonsense net: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esource-poor agriculture in the semiarid areas of developing countries | |
| Ceccato et al. | Applic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technologies for assessing and monitoring malaria risk | |
| US8064387B2 (en) | Wireless-linked remote ecological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 |
| US11544657B2 (en) | Roadway maintenance condition detection and analysis | |
| US20140089045A1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stand population, stand consistency and stand quality in an agricultural crop and alerting users | |
| KR10163371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mart grass management based on image processing and sensors | |
| Silver | Assessing jaguar abundance using remotely triggered cameras | |
| Jiang et al. | Application of a web-based remote agro-ec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observing spatial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Bactrocera dorsalis in fruit orchards | |
| US20210158237A1 (en) | Utility line maintenance and safety | |
| CN110825931A (en) | Three-dimensional visual integrated system applied to natural protection area management | |
| KR20200106764A (en) | System for predicting diseases and pest signs | |
| CN118230241A (en) | A data collection system for red fire ant control | |
| Londe et al. | Inundation of depressional wetlands declines under a changing climate | |
| CN111708776A (en) | Agricultural data platform based on GIS technology development | |
| CN118095614A (en) | Remote agricultural information intelligent analysis system and agricultural environment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 |
| CN119418462A (en) | A forest fire preven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digital twins and intelligent sensors | |
| Westbrook et al. | A model for long-distance dispersal of boll weevils (Coleoptera: Curculionidae) | |
| Stephan et al. | Drought impact prediction across time and space: limits and potentials of text reports | |
| CN118820727B (en) | A multi-source satellite data fusion arbitration and intelligent analysis system | |
| KR20220028591A (en) | bigdata-based system for golf course management | |
| Bestelmeyer et al. | Managing an arid ranch in the 21st century: New technologies for novel ecosystems | |
| Pal et al. | Factoring multi-hazard risk perception in risk assessment and reduction measures in landslide and flash flood prone areas–a case study of Sichon district, Nakhon Si Thammarat province, Thailand | |
| Huston | Forest productivity and diversity: using ecological theory and landscape models to guide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4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