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411A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Google Patents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5411A KR20210115411A KR1020200031153A KR20200031153A KR20210115411A KR 20210115411 A KR20210115411 A KR 20210115411A KR 1020200031153 A KR1020200031153 A KR 1020200031153A KR 20200031153 A KR20200031153 A KR 20200031153A KR 20210115411 A KR20210115411 A KR 202101154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temperature
- temperature
- image
- region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5—Detecting the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기는 가열 부재, 가열 부재와 정착 닙을 형성하는 가압 부재, 가열 부재의 제1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쇄매체의 소정의 외곽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인쇄매체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목표 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may include a heating member, a pressing member forming the heating member and the fixing nip,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of the heating member,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sets a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a first set temperature at which normal fixing is possible for the entire area of the print medium when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first area, which is a predetermined outer area of the print medium,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ember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becomes a set target temperature.
Description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적재부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화상 형성 장치 내부의 화상 형성부로 이송시켜, 인쇄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기를 통과시킴으로써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킬 수 있다. 정착기는 적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여야, 토너의 정착 성능(Fixing Level or Fusing Level)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정착 닙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인쇄매체에 토너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정착 닙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토너가 정착기의 롤러에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토너의 정착 성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정착기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있어 왔다.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printer, a copier, or a multifunction machine transfers a print medium loaded in a loading unit to an image forming unit insi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ms a toner image on the print medium, and fixes the toner image to the print medium by passing it through a fixing unit. can do it When the fixing device maintains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fixing level or fusing level of the toner can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If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nip is too low, the toner cannot be properly fixed to the print media. If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nip is too high, the toner sticks to the rollers of the fixing unit. There has been interest in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fixing unit in order to maintain the fixing performance of the toner above a certain level.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정착기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목표 온도와 정착기의 정착 성능 및 에너지 효율 성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목표 온도에 따른 정착기의 온도 분포 특성과 인쇄매체의 영역에 대한 정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인쇄매체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쇄매체의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에서 각각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재의 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인쇄매체의 영역 및 영역에 대한 정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인쇄매체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쇄매체의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fixing unit and the fixing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cy performance of the fixing unit.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xing unit according to various target temperatures and the possibility of fixing in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by dividing it in order to explain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unit.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unit.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sibility of fixing a portion of a heating member heated by each heat source in a fix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and a corresponding area and area of a print medium.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by dividing it in order to explain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fix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현상 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chematic structure and operation of an
화상 형성 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스기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통칭한다.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 예를 들어, 인쇄, 카피 또는 팩스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The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4)와, 현상제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 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은 감광체(14)의 일 예로서, 유기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or, OPC)일 수 있다. 대전 롤러(15)는 감광체(14)가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에 수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일 수 있다. The developing
광주사 장치(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14)에 주사하여 감광체(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LSU(Laser Scanning Unit) 등이 있다.The
전사기는 감광체(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전사시키며, 중간전사방식 전사기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사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전사체(60), 중간전사 롤러(61)와, 전사 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중간전사벨트는 복수의 현상기(10) 각각의 감광체(14)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체(60)의 일 예로서, 토너화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중간전사 롤러(61)에는 감광체(14) 상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체(6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전사 롤러(70)는 중간전사체(60)와 대면되게 위치될 수 있다. The transfer machine transfers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인쇄매체(P)는 급지경로(R)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 롤러(70)와 중간전사체(60)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전사 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체(60) 위에 중간전사된 토너화상은 전사 롤러(70)와 중간전사체(60) 사이로 이송된 인쇄매체(P)로 전사될 수 있다. The print medium P may be transferred along the paper feeding path R and transferred between the
인쇄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하여 인쇄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기(80)는 타입에 따라 열을 가하는 가열 부재(81)와 압력을 가하는 가압 부재(85)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2-롤(Roll) 타입, 3-롤(Roll) 타입, 가압부가 내재된 가압 벨트를 이용하는 FBNF(Free Belt Nip Fuser) 타입, 가압부가 있는 가열 벨트를 이용하는 IFS(Instantaneous Fusing System) 타입이나 ODF(On-Demand Fusing) 타입, IH(Induction Heating) 타입 등이 있을 수 있다. 가열 부재(81)나 가압 부재(85)는 정착기(80)의 타입에 따라, 롤러 형태이거나 벨트 형태일 수 있다. 가열 부재(81)는 단일 열원이거나 복수 열원을 구비할 수 있고, 열원은 가열 램프나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매체(P)는 배출 롤러(미도시)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온도 센서(89)는 온도 센서(89)가 배치된 지점에 대응되는 가열 부재(8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가열 부재(81)의 타입에 따라 가열 부재(81)의 표면 온도나 가열 부재(81) 내의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89)는 가열 부재(81)의 온도 분포가 가열 부재(8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이 예상되므로, 가열 부재(81)의 표면이나 내부의 열원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 센서(89)는 정착기(80)의 타입이나 정차기(80) 내부의 구조에 따라, 가열 부재(81)의 소정의 지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가열 부재(81)의 부위 별 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온도 센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print medium P passes through the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광주사 장치(50)는 각 컬러의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광을 각 컬러에 대응되는 감광체(14)에 각각 주사하여 감광체(14)에 각 컬러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복수의 현상제 카트리지(미도시)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로 각각 공급된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의 각 감광체(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될 수 있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체(60)로 중간전사된 후 다시 인쇄매체(P)로 전사되고, 인쇄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도 2a 및 도 2b는 정착기(80)의 발열량을 제어하는 목표 온도와 정착기(80)의 정착 성능 및 에너지 효율 성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rget temperatur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도 2a를 참조하면, 가열 부재(81)와 가압 부재(85)가 형성하는 정착 닙으로 인쇄매체(P)가 이송되어, 인쇄매체(P)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정착시키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Referring to FIG. 2A , the printing medium P is transferred to the fixing nip formed by the
가열 부재(81)와 가압 부재(85)는 서로 맞대어 회전하는 구조로서, 가열 부재(81)는 회전축 방향인 길이 방향을 따라 발열하는 열원을 포함하고 있다. 인쇄매체(P)에 형성된 토너 화상에 전달되는 열량은 가열 부재(81)의 온도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가열 부재(81)는 길이 방향으로 열 저항 분포가 다르고,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가 중앙부에 비해 열 저항이 작다. 별도의 온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해 가열 부재(81)의 온도를 측정해 보면, 도 2a에 도시된 온도 분포도와 같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온도가 중앙부의 온도에 비해 낮은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X)의 온도가 정착 가능 온도보다 높은 목표 온도가 되더라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온도는 정착 가능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그 결과,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에는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The
정착 가능 온도는 정착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온도를 의미한다.The fixable temperature means the minimum temperature required to perform fixation.
목표 온도는 정착기(80)의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의 지점의 온도가 도달해야 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목표 온도는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변수로서, 정착기(80)는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X)에서의 온도가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의 표면이나 가열 부재(81) 내의 열원의 소정의 지점의 온도를 온도 센서(89)로 감지하면서, 해당 지점이 목표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target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to which the temperature of a predetermined point sensed by the
본 개시에서 목표 온도는 인쇄매체(P)의 기 설정된 영역 내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매체(P)의 소정의 외곽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를 소정의 기준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어느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란 해당 영역에 인쇄할 화상이 분포된 정도를 의미하며, 해당 영역에 인쇄할 화상의 양이 많은지 적은지를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인쇄매체(P)의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인쇄할 화상이 없거나 소정의 기준 미만인 경우, 기 설정된 영역 내에 인쇄할 화상이 있거나 소정의 기준 이상인 경우에 비해, 목표 온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쇄매체(P)의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목표 온도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set based on image information in a preset area of the print medium P, and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page of a print job target. For example,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se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image distribution in the predetermined outer region of the print medium P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a certain area means the degree to which images to be printed are distribu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nd may be a measure of whether the amount of images to be prin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large or small. When there is no image to be printed in the preset area of the print medium P or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set lower than when there is an image to be printed in the preset area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preset area of the print medium P, the lower the target temperature may be set.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으로의 열 저항 분포에 따라, 가열 부재(81)의 온도 분포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가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X)인 중앙부보다 온도가 낮은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하려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온도가 낮은 특성을 고려하여, 목표 온도를 보다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rmal res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일 예시로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보다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지점(X)의 온도가 도달해야 하는 목표 온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온도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2B , by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o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point X sensed by the
따라서, 정착기(80)의 목표 온도를 높게 설정하면,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착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정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 성능 측면에서 도 2a의 경우와 도 2b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도 2b의 경우는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에너지 손실이 많아져, 에너지 효율 성능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즉, 가열 부재(81)의 발열을 위해 가열 부재(81)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목표 온도가 높을수록, 정착기(80)의 정착 성능은 높아지는 반면, 에너지 효율 성능은 낮아지므로, 상호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fixing
도 3은 다양한 목표 온도에 따른 정착기(80)의 온도 분포 특성과 인쇄매체(P)의 영역에 대한 정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xing
도 3을 참조하면, 정착기(80)는 하나의 열원(83)을 포함하는 가열 부재(81), 가열 부재(81)와 정착 닙을 형성하는 가압 부재(85), 가열 부재(81)의 제1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89)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81)의 온도 분포 특성에 따라, 가열 부재(81)로부터 정착기(80)의 정착 닙을 통과하는 인쇄매체(P)에 전달되는 열량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x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온도를 제1 온도(FT), 제2 온도(ST), 및 제3 온도(TT) 각각으로 하는 경우에, 이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온도 분포도, 제2 온도 분포도, 및 제3 온도 분포도를 서로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As shown in FIG. 3 ,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each of the first temperature FT, the second temperature ST, and the third temperature TT, the first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spectively corresponding thereto The distribution diagram and the third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follows.
목표 온도가 제1 온도(FT)인 경우,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제1 온도 분포도가 정착 가능 온도 이상이므로, 인쇄매체(P)에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이 없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목표 온도가 제2 온도(ST)로 낮아진 경우, 인쇄매채(P)의 폭 방향으로 양측 말단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제2 온도 분포도가 정착 가능 온도보다 낮으므로,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의 일부 영역에 정착 불량이 발생될 여지가 있다. 목표 온도가 제3 온도(TT)로 더 낮아진 경우, 인쇄매체(P)의 폭 방향으로 양측 말단인 제1 영역에 대하여 제3 온도 분포도가 정착 가능 온도보다 낮으므로,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에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제1 온도(FT)일 때 제1 에너지 손실, 제2 온도(ST)일 때 제2 에너지 손실, 제3 온도(TT)일 때 제3 에너지 손실을 서로 비교해보면, 목표 온도가 낮아질수록 에너지 손실도 줄어듬을 알 수 있다.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the first temperature FT, since the first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the entire area of the print medium P is above the fixable temperatu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area in the print medium P where fixing failure may occur. can However,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lowered to the second temperature ST, the second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some regions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ing medium P is lower than the fixable temperature, so th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ixing failure may occur in some areas of area 1.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lowered to the third temperature TT, the third temperature distribution is lower than the fixable temperature for the first area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P, Fixing failure may occur in area 1. On the other hand, comparing the first energy loss at the first temperature FT, the second energy loss at the second temperature ST, and the third energy loss at the third temperature TT, as the target temperature de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energy loss is also reduced.
따라서, 정착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에너지 손실은 줄일 수 있도록,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정착기(80)의 성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performance of the fixing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설정 온도는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되게 하는 가열 부재(81)의 소정의 지점의 온도로써, 정착기(80)의 양측 말단부의 정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전에 미리 측정해둔 값일 수 있다. 제1 설정 온도는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온도로서,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일 수 있다. 제1 설정 온도는 메모리(미도시)에 특정 온도 값으로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제1 설정 온도를 참조하여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설정 온도는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을 보장할 수 있는 온도 중 최저 온도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그 값이 변경될 수도 있다. 다만,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하는 과정은 인쇄 작업 대상의 첫 페이지에 대한 목표 온도를 설정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 있다.A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매체(P)의 소정의 외곽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설정 온도 이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목표 온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A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정착기(80)의 승온 성능 또는 프로세서(미도시)의 데이터 처리 성능에 따라,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목표 온도가 설정될 수 있다.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목표 온도를 설정한 경우,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에 도달함이 없이,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 부재(81)의 온도를 높이지 않고,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FPOT(Firt Page Out Time)를 감소시키고, 인쇄매체(P)의 컬(curl) 발생을 감소시키며,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Depending on the temperature raising performance of the fixing
도 4a 및 도 4b는 인쇄매체(P)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쇄매체(P)의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P by dividing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P. Referring to FIG.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한 목표 온도는 인쇄매체(P)의 소정의 외곽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외곽 영역을 어떻게 정의할지와 관련하여, 도 4a와 도 4b의 예를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target temperature for each page of the print job object may be set based on imag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outer region of the print medium P. In this case, examples of FIGS. 4A and 4B will be described in relation to how to define the outer reg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4a는 가열 부재(81)의 온도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을 외곽 영역으로 한 예이다. 도 4a를 보면, 인쇄매체(P)는 소정의 외곽 영역인 제1 영역과 중앙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4A is an example in which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P corresponding to both end portions of the
한편,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제1 범위 내의 영역인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은 선단 영역과 후단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에 비해 정착성이 낮은 경향이 있다. 특히, 인쇄매체(P)의 사이즈나 재질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평량의 인쇄매체(P)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지원되는 경우, 인쇄매체(P)의 평량에 따라서 선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정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4b에 도시된 인쇄매체(P)의 외곽 영역을 제1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도 4b의 제1 영역은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제1 범위 내의 영역과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양측 엣지로부터 제2 범위 내의 영역을 포함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ding and trailing regions, which are regions within the first range from each of the leading edge and trailing edge i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P, tend to have lower fixability than the central region between the front and trailing regions. In particular, when the print medium P of various basis weights is supported by the
도 5는 정착기(80)의 온도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50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과정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선행 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51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소정의 외곽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양측 엣지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51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52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목표 온도는 제1 설정 온도 이하이다.In
52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으면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2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53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53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 경우, 510 블록으로 진행되어 다음 페이지에 대한 목표 온도 제어 프로세스가 다시 진행되고,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없는 경우, 인쇄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510 블록 내지 530 블록의 목표 온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In
아래 표 1에서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유무에 따른 목표 온도 및 이에 따른 FPOT와 정착 소비 전력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에 대비하여, 목표 온도를 8℃ 하향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FPOT는 9.5% 감소하고, 정착 소비 전력은 3.1% 감소함을 알 수 있다.Table 1 below shows the targ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mage in the first area,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POT and the fus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ly. When there is no image for the first area, in preparation for the case where there is an image for the first area, the target temperature can be set lower by 8°C, thereby reducing the FPOT by 9.5% and reducing the fusing power consumption by 3.1% can be known
화상이 있는 경우for the first area
If you have burns
화상이 없는 경우for the second area
If there is no burn
도 6은 정착기(80)의 온도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60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과정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선행 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61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양측 엣지로부터 소정의 범위 내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영역별로 인쇄 데이터의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도 4a 또는 도 4b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뿐만 아니라, 제2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61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62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화상의 커버리지는 해당 영역에 토너가 얼마나 소모되는지 나타내는 수치로써, 해당 영역에 대한 화상의 픽셀의 수나 도트(dot)의 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 In
62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목표 온도를 제1 설정 온도 이하의 제3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63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목표 온도를 제3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4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63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인쇄매체(P)의 전체 영역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 In
64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목표 온도를 제5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64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2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목표 온도를 제4 목표 온도 및 제5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6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65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온도 센서(89)에 의해 감지되는 제1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 부재(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65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 경우, 610 블록으로 진행되어 다음 페이지에 대한 목표 온도 제어 프로세스가 다시 진행되고,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없는 경우, 인쇄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610 블록 내지 650 블록의 목표 온도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In
도 7은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80)에서 각각의 열원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재(81)의 부위와 이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 및 영역에 대한 정착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ssibility of fixing the area of the
정착기(80)의 가열 부재(81)는 복수의 열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부재(81)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83-1)과 양측 말단부 사이의 중앙부를 가열하는 제2 열원(8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89-1)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 중 어느 하나의 제2 지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온도 센서(89-2)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의 제3 지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인쇄매체(P)는 제2 열원(83-2)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5 영역과 제1 열원(83-1)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int medium P has a fifth region fixed by the central portion of the
도 7과 같은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80)에 의하면,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5 영역은 제2 열원(83-2)에 의한 중앙부 목표 온도(TC) 제어에 따라 열이 가해질 수 있고,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은 제1 열원(83-1)에 의한 말단부 목표 온도(TS) 제어에 따라 열이 가해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xing
중앙부 목표 온도(TC)는 정착기(80)의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도달해야 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중앙부 목표 온도(TC)는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변수로서, 정착기(80)는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3-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의 표면이나 중앙부 내의 열원의 제3 지점의 온도를 제2 온도 센서(89-1)로 감지하면서, 제3 지점이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될 때까지 제2 열원(83-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central target temperature TC means a temperature to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point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89 - 2 of the fixing
말단부 목표 온도(TS)는 정착기(80)의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도달해야 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말단부 목표 온도(TS)는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변수로서, 정착기(80)는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표면이나 양측 말단부 내의 열원의 제2 지점의 온도를 제1 온도 센서(89-1)로 감지하면서, 제2 지점이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될 때까지 제1 열원(83-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The distal end target temperature TS means a temperature to which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int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89 - 1 of the fixing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온도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 쪽인 내측보다 외측이 더 낮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앞서, 도 2a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일부분의 온도가 정착 가능 온도보다 낮아, 인쇄매체(P)의 외곽 영역에서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 열원(83-1)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의해 정착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 중에서 제3 영역에서 정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both end portions of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제1 열원(83-1)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보다 높게 설정함으로써,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정착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에너지 손실은 줄일 수 있도록,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설정하여 정착기(80)의 성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order to solve this, by setting higher the distal end target temperature TS used to control the first heat source 83-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열원(8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설정 온도는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일 수 있다. 제2 설정 온도는 메모리(미도시)에 특정 온도 값으로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제2 설정 온도를 참조하여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4 영역보다 외곽 영역인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제2 설정 온도보다 낮은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설정할 수 있다.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제2 설정 온도보다 낮은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설정한 경우,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에 도달함이 없이, 설정된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까지 도달하도록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의 온도를 높이지 않고, 제2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FPOT를 감소시키고, 인쇄매체(P)의 컬 발생을 감소시키며,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한편,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중앙부 목표 온도(TC) 제어를 위해,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제5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3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열원(8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설정 온도는 가열 부재(81)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저 온도일 수 있다. 제3 설정 온도는 메모리(미도시)에 특정 온도 값으로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미도시)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제3 설정 온도를 참조하여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정착기(8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제3 설정 온도보다 낮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설정하며,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or each page of the print job target, in order to control the central target temperature (TC), 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xing
도 8a 및 도 8b는 인쇄매체(P)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하여, 인쇄매체(P)의 영역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8A and 8B are diagrams for dividing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P in order to explain the area of the print medium P. Referring to FIG.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한 말단부 목표 온도(TS)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는 인쇄매체(P)의 영역별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말단부 목표 온도(TS)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중앙부 목표 온도(TC)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The end target temperature TS and the central target temperature TC for each page of the print job object may be set based on image information for each area of the print medium P. The end target temperature TS may be set based on image information for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of the print medium P. The lower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in the third region, the lower the end target temperature TS may be set. The central part target temperature TC may be set based on image information about the fifth area of the print medium P. The lower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in the fifth region, the lower the central target temperature TC may be set.
도 8a는 가열 부재(81)의 온도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에서, 외곽 영역을 제3 영역으로 하고, 나머지를 제4 영역으로 한 예이다. 도 8b의 제3 영역은 도 8a의 제3 영역에 비해, 가열 부재(81)의 양측 말단부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영역 내에서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영역을 더 포함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8A,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도 9는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80)의 온도를 제어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90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열원(83-1)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5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3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열원(8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 및 제3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말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83-1)과 양측 말단부 사이의 중앙부를 가열하는 제2 열원(83-2)에 각각 제2 설정 온도와 제3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과정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선행 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91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영역별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도 8a 또는 도 8b의 인쇄매체(P)의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 각각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정착기(80)는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935 내지 블록 960에 해당)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915 내지 블록 930에 해당)를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91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92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1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중앙부 목표 온도는 제2 설정 온도 이하이다.In
92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1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2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93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한편,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위의 블록 915 내지 블록 930의 프로세스는 다른 예에 따라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와 다른 예를 들면,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제5 영역에서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6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이 없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6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7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며,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es of
또 다른 예를 들면, 정착기(80)는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인쇄매체(P)의 화상 정보와 무관하게 소정의 온도로 설정하여,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만 인쇄매체(P)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설정하여,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93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9 , in
94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1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말단부 목표 온도는 제3 설정 온도 이하이다.In
94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95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1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2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95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2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3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96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온도 센서(89-1)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96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 경우, 910 블록으로 진행되어 다음 페이지에 대한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다시 진행되고,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없는 경우, 인쇄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935 내지 블록 960에 해당)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915 내지 블록 930에 해당)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도 10은 복수의 열원을 포함하는 정착기(80)의 온도를 제어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100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열원(83-1)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5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3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열원(83-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는 인쇄매체(P)의 폭 방향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 및 제3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가열 부재(8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가열 부재(81)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 말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83-1)과 양측 말단부 사이의 중앙부를 가열하는 제3 열원(83-3)에 각각 제2 설정 온도와 제3 설정 온도에 대응되는 전원을 각각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과정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선행 과정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In
101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영역별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기(80)는 도 8a 또는 도 8b의 인쇄매체(P)의 제3 영역, 제4 영역, 및 제5 영역 각각에 대한 화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정착기(80)는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1045 내지 블록 1090에 해당)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1015 내지 블록 1040에 해당)를 각각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101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정착기(80)는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In
102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3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3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In
102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3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3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중앙부 목표 온도는 제3 설정 온도 이하이다.In
103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3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3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4 중앙부 목표 온도(TC3)로 설정할 수 있다.In
103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4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5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104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block 1040, the fixing
한편,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위의 블록 1015 내지 블록 1040의 프로세스는 다른 예에 따라 변형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와 다른 예를 들면,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제5 영역에서 인쇄매체(P)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6 기준값 이상이거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3 설정 온도 이하의 제8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제6 기준값 미만이거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8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9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제5 영역에서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제5 영역에서 선단 영역과 후단 영역 사이의 중앙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7 기준값 이상이거나 중앙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10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제7 기준값 미만이거나 중앙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9 중앙부 목표 온도 및 제10 중앙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11 중앙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정착기(80)는 제2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3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TC)가 되도록 제2 열원(89-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es of
또 다른 예를 들면, 정착기(80)는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인쇄매체(P)의 화상 정보와 무관하게 소정의 온도로 설정하여, 제2 열원(8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만 인쇄매체(P)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설정하여,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xing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104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0 , in
105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4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4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In
105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4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2 설정 온도 이하의 제4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106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4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4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5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106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In
107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5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5 기준값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고, 사용자나 관리자에 의해 그 값이 변경될 수 있다.In
107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5 기준값 이상이거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6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108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5 기준값 미만이거나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6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7 말단부 목표 온도(TS5)로 설정할 수 있다.In
108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매체(P)의 제3 영역과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7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8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In
1090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제1 온도 센서(89-2)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지점의 온도가 설정된 말단부 목표 온도(TS)가 되도록 제1 열원(83-1)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In
1095 블록에서, 정착기(80)는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있는 경우, 1010 블록으로 진행되어 다음 페이지에 대한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가 각각 독립적으로 다시 진행되고, 인쇄 작업할 다음 페이지가 없는 경우, 인쇄 작업이 종료될 수 있다. 정착기(80)는 인쇄 작업 대상의 각 페이지에 대하여 말단부 목표 온도(TS)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1045 내지 블록 1090에 해당)와 중앙부 목표 온도(TC)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블록 1015 내지 블록 1040에 해당)를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한편, 상술한 정착기(80)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Claims (15)
상기 가열 부재와 정착 닙을 형성하는 가압 부재;
상기 가열 부재의 제1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인쇄매체의 소정의 외곽 영역인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인쇄매체의 전체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목표 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1 지점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가열 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정착기.heating element;
a pressing member forming the heating member and the fixing nip;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of the heating member; and
When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first area, which is a predetermined outer area of the print medium,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a first set temperature at which normal fixing is possible is set for the entire area of the print medium, and the temperature sensor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emb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sensed by the target temperature becomes the set target temperature;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상기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상기 목표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and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o be lower as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in the first region is lower.
상기 프로세서는,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상기 제1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 부재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가열 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According to a print job command, afte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ember based on the first set temperature,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emb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상기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상기 목표 온도를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2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When there is an image for the first region,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as a first target temperature, and when there is no image for the first region,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a second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target temperature to set, the fuser uni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1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목표 온도를 제3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1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상기 목표 온도를 상기 제3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4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f there is an image for the first area,
If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first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the image for the first region is not composed of only text,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as a third target temperature,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o a fourth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third target temperature when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first area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or when the image for the first area consists only of tex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상기 인쇄매체의 전체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2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목표 온도를 제5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2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2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상기 목표 온도를 상기 제5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6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is
If there is no image for the first area,
If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second area excluding the first area in the entire area of the print medium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if the image for the second area does not consist of only text, the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the fifth target temperature set to,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to a sixth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fth target temperature when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second region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or when the image for the second region consists only of text.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인쇄매체의 이송 방향의 선단 엣지와 후단 엣지 각각으로부터 제1 범위 내의 영역과 상기 인쇄매체의 폭 방향의 양측 엣지로부터 제2 범위 내의 영역을 포함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rea includes an area within a first range from each of a leading edge and a trailing edge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and an area within a second range from both edg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 medium.
상기 가열 부재가 상기 가열 부재의 양측 말단부를 가열하는 제1 열원과 상기 양측 말단부 사이의 중앙부를 가열하는 제2 열원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양측 말단부 중 어느 하나의 제2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양측 말단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영역보다 외곽 영역인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3 영역 및 상기 제4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2 설정 온도보다 낮은 말단부 목표 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제1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2 지점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말단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1 열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정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heat source for hea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 source for heating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opposite end portions, and the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of any one of the two end portions a firs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wherein the print medium includes a third area and a fourth area fixed by the both end portions,
The processor is
When the distribution of images for the third region, which is an outer region than the fourth region,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 target temperature of the distal end lower than a second set temperature at which normal fixing is possible for the third region and the fourth region is determined.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heat sour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oint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becomes the set target temperature of the distal en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낮을수록,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and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distal end to be lower as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in the third region is lower.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쇄 작업 명령에 따라, 상기 제2 설정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열원에 전원을 공급한 후,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설정하여, 상기 제1 열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first heat source by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 source based on the second 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print job command, and then setting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distal en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제1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상기 제1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2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없으면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상기 제2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3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if there is an image for the third region, set the end target temperature as the first end target temperature;
When there is no image for the third region, if there is an image for the fourth region, the end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a second end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first end target temperature, and if not, the end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the second and setting the third end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cond end target temperature.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중앙부의 제3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매체는 상기 중앙부에 의해 정착되는 제5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5 영역에 대한 화상의 분포도가 소정의 기준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5 영역에 대해 정상 정착이 가능한 제3 설정 온도보다 낮은 중앙부 목표 온도를 설정하며,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3 지점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중앙부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2 열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temperature sensor further includes a second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point of the central part, and the print medium further includes a fifth area fixed by the central part,
The processor is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image for the fifth region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 central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a third set temperature at which normal fixing is possible is set for the fifth reg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sensed A fix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heat sourc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point becomes the set target temperature of the central part.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4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제4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4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졌으면,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상기 제4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5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when there is an image for the third area,
If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third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ourth reference value or the image for the third region does not consist of only text, the end-end target temperature is set as a fourth end-end target temperature, and and when the coverage of an image is less than the fourth reference value or the image for the third region consists only of text, setting the end target temperature to a fifth end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fourth end target temperature.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는 경우,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있으면,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제5 기준값 이상이거나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제6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의 커버리지가 상기 제5 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상기 제6 말단부 목표 온도 낮은 제7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며,
상기 제4 영역에 대한 화상이 없으면, 상기 말단부 목표 온도를 상기 제7 말단부 목표 온도보다 낮은 제8 말단부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정착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processor is
If there is no image for the third area,
If there is an image for the fourth region, if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fourth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fth reference value or the image for the fourth region does not consist of only text, the end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the sixth end target temperature , and when the coverage of the image for the fourth region is less than the fifth reference value or the image for the fourth region consists only of text, the end target temperature is set to the sixth end target temperature, and the seventh end target temperature is lower. set to,
and if there is no image for the fourth region, setting the end target temperature to an eighth end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the seventh end target temperature.
정착기의 가열 부재의 제1 지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1 지점의 온도가 상기 설정된 목표 온도가 되도록 상기 가열 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착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setting a target temperature lower than a first set temperature at which normal fixing is possible for the entire area of the print medium when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first area, which is a predetermined outer area of the print medium,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standard;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ing memb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sensed by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oint of the heating member of the fixing unit becomes the set target temperatur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xing unit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1153A KR20210115411A (en) | 2020-03-13 | 2020-03-13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 PCT/US2020/048122 WO2021183178A1 (en) | 2020-03-13 | 2020-08-27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 US17/757,897 US20230041473A1 (en) | 2020-03-13 | 2020-08-27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31153A KR20210115411A (en) | 2020-03-13 | 2020-03-13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15411A true KR20210115411A (en) | 2021-09-27 |
Family
ID=7767228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31153A Withdrawn KR20210115411A (en) | 2020-03-13 | 2020-03-13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20230041473A1 (en) |
| KR (1) | KR20210115411A (en) |
| WO (1) | WO202118317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12174568B2 (en) * | 2023-03-16 | 2024-12-24 |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671462A (en) * | 1994-07-22 | 1997-09-23 | Canon Kabushiki Kaisha | Fixing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of a heat member |
| KR101474724B1 (en) * | 2007-06-08 | 2014-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6156234B2 (en) * | 2014-04-03 | 2017-07-05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1392064B2 (en) * | 2019-03-27 | 2022-07-19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gloss level of toner image without increasing number of processes performed by fixing unit |
| JP7301585B2 (en) * | 2019-04-16 | 2023-07-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JP7277233B2 (en) * | 2019-04-16 | 2023-05-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Image hea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2020
- 2020-03-13 KR KR1020200031153A patent/KR20210115411A/en not_active Withdrawn
- 2020-08-27 WO PCT/US2020/048122 patent/WO2021183178A1/en not_active Ceased
- 2020-08-27 US US17/757,897 patent/US20230041473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1183178A1 (en) | 2021-09-16 |
| US20230041473A1 (en) | 2023-02-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42123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US9977385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 US20070036572A1 (en) | Fixing apparatus | |
| US9645535B2 (en) | Fixing device for fixing a toner image on a sheet-shaped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 |
| KR20210115411A (en) | Controlling target temperature of fixing unit | |
| JP7350536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 US20110311255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 |
| JP561129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5230316B2 (en) | Image heating device | |
| JP2019197171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or,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 |
| JP484640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5189773A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18013556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device | |
| JP487063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6072207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6220974A (en) |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607435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alibration method | |
| US20240377774A1 (en) | Fusing based on belt temperature | |
| JP2008185906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fixing device in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461532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 JP422734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15036784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23163684A (en) | Image formation device | |
| JP2011118238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21124555A (en) | Image forming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N-1-6-B10-B12-nap-PC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