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01164A -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 Google Patents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164A
KR20190101164A KR1020180021174A KR20180021174A KR20190101164A KR 20190101164 A KR20190101164 A KR 20190101164A KR 1020180021174 A KR1020180021174 A KR 1020180021174A KR 20180021174 A KR20180021174 A KR 20180021174A KR 20190101164 A KR20190101164 A KR 2019010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us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window
typ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22051B1 (en
Inventor
유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051B1/en
Publication of KR2019010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05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comprises: a frame unit mounted on a window frame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a filter unit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a dust collection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on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the opening to collect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oreover, the dust collection plates comprise: a first electrode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wire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electrode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e electrodes,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wire electrodes alternately arranged along with the first wire electrodes; and an insulation unit electrically insulating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Description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Window-type air cleaning device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는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 공간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46313호, "창문형 공기청정기"가 개시된다.A general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is installed in a window, and aims to supply air to the indoor space by filtering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As an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46313, "Window type air purifier"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 부재가 구비되나, 필터 부재에 필터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터 부재를 창문으로부터 분리하여 물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provided a filter member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filter member from the window and to wash the water in order to remove the filtered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member.

본 발명은, 필터 부재에 필터링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iltered out of the filter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는,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공기 중에 이물질을 포집하는 것과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st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by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it is easy to control the collection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removing the collected foreign substances, The convenience of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부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해 집진부의 집진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unit from being reduced by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청결한 상태의 집진부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unit in a clean st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에서 이물질이 포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B-B부분을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n exploded view of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A portion of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1 is a front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BB of FIG. 11;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를 도면들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창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창문(1)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이 개구된 창틀(2)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상기 창틀(2)에서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틀(2)의 내측에는 창문(1)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창틀(2)의 내측에 설치된 창문(1)을 "내측창"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외측창"이 설치되는 창틀(2)에 설치될 수 있다. 1 to 3,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2. In detail,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shield the window frame 2 having an inner side open so that the window 1 can be installed.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at the outside of the window frame 2. In addition, a window 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2. At this time, the window 1 installed inside the window frame 2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window". In addition,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2 in which the "outer window" is installed.

즉,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기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은 내측창(3)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That is,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may be selectively partitioned by the inner window 3.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에 의해 상기 창틀(2)이 모두 차폐되지 못하는 경우에 차폐막, 플레이트 등을 통해 차폐되지 못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When the window frame 2 is not all shielded by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the unshielded portion may be shielded through a shielding film or a plate.

상기 내측창(3)이 개방되면,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를 통해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실외 공간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실내 공간으로 깨끗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When the inner window 3 is opened, the outdoor space and the indoor space may communicate with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In this case,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filter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of the outdoor space to introduce clean air into the indoor space.

이하에서는,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프레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include a frame portion 11.

상기 프레임부(11)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상기 창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에 의해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가 상기 창틀(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1)는 상기 창틀(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창틀(2)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는 다수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1)의 내부에는 집진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1)의 내측에는 상기 집진부(100)가 배치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부(11)는 내측에 중공을 가지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part 11 may form a body of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The frame part 11 may be installed in the window frame 2.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be fixed to the window frame 2 by the frame part 11. In addition, the frame part 11 is mounted to the window frame 2 so as to be movable, and can move in the window frame 2. The frame part 1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frames. In addition, a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be disposed in the frame part 11. An opening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be disposed may be formed inside the frame part 11. For example, the frame part 11 may be formed as a polygon having a hollow inside.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집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part 100.

상기 집진부(100)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0)는 다수개의 집진판(1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은 상기 프레임부(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는 중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의 표면에 부착되어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collect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part 11.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air may pass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and separated from the air while the air passes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제1다공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include a first porous part 13.

상기 제1다공부(13)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다공부(13)는 상기 프레임부(11)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다공부(13)는 상기 집진부(100)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다공부(13)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집진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다공부(13)는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다공부(13)는 상기 집진부(100)로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다공부(13)는 곤충 등이 상기 집진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다공부(13)를 "방충망", "제1필터부"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porous portion 1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ame portion 11. The first porous part 13 may cover one side of the frame part 11. The first porous part 13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porous part 13 may flow in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first porous portion 13 is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the first porous portion 13 may filter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100. In addition, the first porous part 13 may prevent insects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this case, the first porous part 13 may be referred to as an “insect screen” or “first filter part”.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제2다공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include a second porous part 14.

상기 제2다공부(14)는 상기 프레임부(1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다공부(14)는 상기 프레임부(11)의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다공부(14)는 상기 집진부(100)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2다공부(14)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다공부(14)는 실내 공간에서 상기 집진부(100)로 물체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다공부(14)는 상기 집진부(100)에서 필터링 되지 못한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필터링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다공부(14)를 "제2필터부"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porous portion 14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ortion 11. The second porous portion 14 may cover the other side of the frame portion 11. The second porous part 14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air.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flow into the second porous part 14. The second porous part 14 may prevent an object from moving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an indoor space. In addition, the second porous part 14 may perform a function for additionally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that has not been filtered by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this case, the second porous part 14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ilter part”.

즉,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필터링 될 수 있다. 이물질이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는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쾌적한 실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Clean air filtered by foreign matters can enter the indoor space to form a comfortable indoor space.

한편,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이물 가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erial guide (16).

상기 이물 가이드(16)는 상기 집진부(100)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부(10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이 가이드된 이물질은 중력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이물 가이드(16)는 상기 집진부(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물 가이드(16)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부(100)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물 가이드(16)는 상기 제2다공부(14)에서 상기 제1다공부(1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다공부(13)에는 상기 이물 가이드(16)에 의해 이동되는 이물질이 통과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물 가이드(16)를 따라 하향 경사지게 이동되는 이물질은 상기 개구를 통과하여 외부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foreign material guided by the movement may fall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be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And,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 (110).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econd porous portion 14 toward the first porous portion 13. In addi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moved by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pass may be formed in the first porous part 13. That is, foreign matter moving downwardly inclined along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may fall through the opening to the external space.

이하에서는 상기 집진부(100)를 구성하는 집진판(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110)은 몸체를 형성하는 집진판 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4 to 7,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plate body 111 forming a body.

상기 집진판 본체(111)는 길이 방향(L)과 높이 방향(H)이 폭 방향(W)보다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은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높이 방향(H)으로 유동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면은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높이 방향(H)과 길이 방향(L)으로 형성되는 양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판 본체(111)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높이 방향(H)으로 일정한 길이 이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길이는, 공기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양측면에 접할 수 있는 시간 및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may be formed in a strip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height direction H are longer than the width direction W.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ow direction of air flows in the height direction H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air may be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At this time, the two side surfaces may be understood as both side surface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H)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n the height direction H, which is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The constant length is to increase the time and area that can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111 in the process of air flow.

상기 집진판(110)은 절연부(120)와 전극부(130, 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may include an insulating part 120 and electrode parts 130 and 140.

상기 집진판 본체(111)는 상기 절연부(120)와 상기 전극부(130, 140)에 의해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130, 140)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극부(130, 140)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부(130, 140)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부(130, 140) 각각에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전극이 인가되거나, 동일한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부(130, 140)는 도전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 물질에는 구리, 인듐, 카본 페이스트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plate main body 111 may form a body by the insulating part 120 and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part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30 and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Different electrodes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30 and 140, or the sam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130 and 140. In addition,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may be provided as a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provided with copper, indium, carbon paste, or the like.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전극부(130, 14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서로 다른 전극부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전극부(130, 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 중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제1절연필름(121), 제2절연필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는 절연 물질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물질은 유리, PCB, 플라스틱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insula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e insulating part 120 may prevent different electrode parts from contacting each other. In addition,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e insulating part 120 may form an attaching surface to which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attached. The insulating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film 121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122. The insulating part 120 may be provid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insulating material may be provided in glass, PCB, plastic, or the lik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집진판(110)은 "필름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집진판(110)은 길이가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부(130, 140)가 배치되고, 상기 전극부(130, 140)의 외부를 상기 절연부(120)가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집진판(110)을 "필름 전극"이라 칭할 경우, 상기 집진판 본체(111)은 "필름 전극 본체"라 칭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may be referred to as a "film electrode." This is because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is formed in a long strip shape,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are disposed therein, and the insulating part 12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 When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is referred to as a "film electrode,"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111 may be referred to as a "film electrode body."

이하에서는 상기 전극부(130, 140)와 상기 절연부(1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and the insulating par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전극부(130, 140)의 제1전극부(130)는 제1전극부 본체(131), 제1전원인가부(132), 제1와이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는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인가부(132)와 상기 제1와이어(133)는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인가부(132)는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기 제1전원인가부(132)를 통해 상기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13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1와이어(133)는 상기 제1전극부 본체(1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제1와이어(133)의 사이에는 후술할 제2와이어(14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극부(130)는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빗이 배치되는 머리빗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33)는 "제1와이어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unit 130 of the electrode units 130 and 14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unit body 131, a first power supply unit 132, and a first wire 133. The first electrode unit body 131 may be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111. The first power applying unit 132 and the first wire 13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body 131. The first power applying unit 132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The first electrode unit 13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32. The first wire 133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3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3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electrode body 131. The second wire 1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wires 133.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air comb in which a comb is disposed from above to downward. The first wire 133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wire electrode."

상기 전극부(130, 140)의 제2전극부(140)는 제2전극부 본체(141), 제2전원인가부(142), 제2와이어(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는 상기 집진판 본체(11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인가부(142)와 상기 제2와이어(143)는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인가부(142)는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140)는 상기 제2전원인가부(142)를 통해 상기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143)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제2와이어(143)는 상기 제2전극부 본체(14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제2와이어(143)의 사이에는 상기 제1와이어(13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전극부(140)는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빗이 배치되는 머리빗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143)는 "제2와이어 전극"이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unit 140 of the electrode units 130 and 140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unit body 141, a second power supply unit 142, and a second wire 143. The second electrode unit body 141 may be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111. The second power applying unit 142 and the second wire 143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electrode unit body 141. The second power applying unit 142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The second electrode unit 14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142. The second wire 143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4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4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electrode unit body 141. The first wire 1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neighboring second wires 143. For example,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 may be formed in a hair comb shape in which a comb is disposed upward from below. The second wire 143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wire electrode”.

즉,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반복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는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133)와 제2와이어(143)의 사이 간격이 좁을수록 상기 집진판(110)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집진판(110)의 표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wire 133 and the second wire 143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wire 133 and the second wire 143 may be repeatedly arranged sequentiall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wire 133 and the second wire 143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ire 133 and the second wire 143 is narrower,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may be effective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상기 절연부(120)의 제1절연필름(121)은 상기 전극부(130, 1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120)의 제2절연필름(122)은 상기 전극부(130, 14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필름(121)과 상기 제2절연필름(122)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전극부(130, 140)를 감쌀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130, 140)는 상기 제1절연필름(121)과 상기 제2절연필름(1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film 121 of the insula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of the insulating part 1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e first insulating film 1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surround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That is, the electrode parts 130 and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insulating film 1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상기 절연부(120)는 연결필름(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필름(123)은 상기 제1전극부(130)의 제1와이어(133)와 상기 제2전극부(140)의 제2와이어(14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절연필름(121)과 상기 제2절연필름(12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필름(123)은 상기 제1절연필름(121)과 제2절연필름(122)의 일부가 돌출되어 서로 결합된 것으로도 이해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필름(123)은 상기 제1절연필름(121)과 상기 제2절연필름(122)를 연결하는 "연결부"라 칭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part 1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ilm 123. The connection film 123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wire 133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30 and the second wire 143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40. The insulating film 1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may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film 123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the first insulating film 1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are protruded and bond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film 123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insulating film 1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122.

상기 집진부(100)는 전원부(19)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은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전극부(130)의 제1전원인가부(132)와 상기 제2전극부(140)의 제2전원인가부(142)가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에 서로 다른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9.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In detail, the first power applying unit 132 of the first electrode unit 130 and the second power applying unit 142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supply different DC pow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supply different AC power to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즉, 상기 집진부(100)에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이 공급되는 여부와,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에 포함된 제1전극부(130) 및 제2전극부(140)에 인가되는 양극과 음극의 여부에 따라 상기 집진부(100)는 "집진 모드"와 "탈진 모드"를 작동할 수 있다.That is, whether the AC power or the DC power is su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and an anod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negative electrode,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operate the "dust collecting mode" and the "dust collecting mode".

도 7의 (a)는 "집진 모드"에서, 대전된 이물질(D)이 일 집진판(110)에 포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harged foreign matter D is collected in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 in the "dust collection mode".

도 7의 (b)는 "탈진 모드"에서, 일 집진판(110)에 미리 포집된 이물질(D)이 상기 일 집진판(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D previously collect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 is separated from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 in the “dust extraction mode”.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에서 이물질이 포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에 포집된 이물질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는 내측창(3)의 개방 여부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측창(3)을 개방 시(도 8의 B),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가 집진 모드로 작동하여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내측창(3)을 폐쇄 시(도 8의 A),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가 탈진 모드로 작동하여 상기 집진부(100)에 집진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1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집진부(100)를 청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에는 상기 내측창(3)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도어 개폐 확인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8 to 10, whether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inner window 3 is opened. For example, when the inner window 3 is opened (B of FIG. 8),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operate in the dust collecting mode to filter the air flowing into the indoor space. When the inner window 3 is closed (A of FIG. 8),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operates in a dust extraction mode to separate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reby collecting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can be cleaned. To this end,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 / close confirm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ner window 3 is open.

상기 집진부(100)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경우, 상기 전원부(19, 도 7 참조)는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에 서로 다른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부(100)를 통해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것을 "집진 모드"라 칭할 수 있다. When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through the dust collector 100, the power supply unit 19 (see FIG. 7) may supply different DC pow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110. At this time,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may be referred to as "dust collection mode".

상세히,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중 일 집진판(110a)에 음극의 전원을 인가하고, 타 집진판(110b)에 양극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일 집진판(110a)과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는 타 집진판(110b)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부(19)는 다수의 집진판(110)에 음극과 양극을 교번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부(19)는 다수의 집진판(110)에 음극과 양극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 집진판(110a)의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는 동일한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타 집진판(110b)의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는 동일한 양극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In detail, the negative power may be applied to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a and the positiv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a to which the negative power is applied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to which the positive power is applie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alternately supply the cathode and the anode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19 may sequentially supply a cathode and an anode to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In this case, the same negative electrod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 of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a, and the first electrode part 130 and the second of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are applied. The same positiv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electrode 140.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일 집진판(110a)과 타 집진판(110b)에 서로 다른 직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일 집진판(110a)과 타 집진판(110b)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일 집진판(110a)에서 대전되어, 타 집진판(110b)에 포집될 수 있다.Therefore, when different DC powers are applied to the neighboring one dust collector plate 110a and the other dust collector plate 110b,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between the one dust collector plate 110a and the other dust collector plate 110b is one dust collector plate. It may be charged at 110a and collected at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상기 집진부(100)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100)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전원부(19)는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제1전극부(130)와 제2전극부(140)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부(100)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판(110)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탈진 모드"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집진판(110)에 포함되는 제1전극부(130)와 상기 제2전극부(140)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파형, 주파수,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집진판(110)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류 전원의 파형은 Sine 파형 또는 Square 파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0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or 100, the power supply unit 19 includes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110. Different AC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ode unit 140. In this case,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may be referred to as a "dust extraction mode". The foreign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by controlling the waveform, frequency, and voltage of the AC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140 included in each dust collecting plate 110.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may be provided as a sine waveform or a square waveform.

상세히,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중 일 집진판(110a)에 포함된 제1전극부(130a)에는 음극의 전원을 인가하고, 제2전극부(140a)에는 양극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a)에 인가된 음극의 전원은 다수의 제1와이어(133)로 전달되며, 상기 제2전극부(140a)에 인가된 양극의 전원은 다수의 제2와이어(14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집진판(110) 중 타 집진판(110b)에 포함된 제1전극부(130b)에는 음극의 전원이 인가하고, 제2전극부(140b)에는 양극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130b)에 인가된 음극의 전원읜 다수의 제1와이어(133)로 전달되며, 상기 제2전극부(140b)에 인가된 양극의 전원은 다수의 제2와이어(143)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 집진판(110a)과 상기 타 집진판(110b)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power of a negativ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includ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and power of a positiv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a. Pow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a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33, and pow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a is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43. Can be delivered. Among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110, a negativ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b included in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and a positive power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b. Pow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130b is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133, and the power of the positive electrode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art 140b is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143. Can be delivered.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a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일 집진판(110a) 및 타 집진판(110b)에 포함되는 제1전극부(130a, 140a)와 제2전극부(130b, 140b)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집진판(110)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은 상기 제1전극부(130a, 140a)와 상기 제2전극부(130b, 140b)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집진판(11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 자중에 의해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은 상기 이물 가이드(16)에 의해 상기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different AC powers ar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s 130a and 140a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s 130b and 140b includ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110a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110b,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is applied.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130a, 140a)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30b, 140b)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110). Can b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fall in the direction of gravity due to its own weight. The foreign matter fall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due to its own weight may be moved away from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10 by the foreign material guide 16.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집진부(100)의 집진 모드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집진판(110)에 고전압의 직류 전원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포집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의 포집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through the dust collecting mo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may be increased by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by applying a high voltage DC power to the different dust collector 110.

또한, 상기 집진부(100)의 탈진 모드를 통해 상기 집진부(100)에 포집된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00)의 제1전극부(130)과 제2전극부(140)의 사이에 고전압의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되는 전기력으로 상기 집진부(100)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밀어내어 상기 집진부(100)에 부착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can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dust collecting mo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00. The foreign material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by applying a high voltage AC power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ortion 130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40 of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100 may be cleanly rem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에 전원이 인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front view of a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1, and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210)은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의 설명에서 전극부의 개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 예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상기 제1실시 예의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11 to 13,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electrode portions in the descrip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changed.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mbodiment may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진부는 다수의 집진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집진판(210) 각각은 집진판 본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판 본체(211)는 절연부(220)와,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판 본체(211)는 상기 집진판(210)의 몸체를 형성하며, 제1고정부(212) 및 제2고정부(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210. Each of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s 210 may include a dust collecting body 211.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211 may include an insulating part 220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211 forms a body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ixing part 212 and a second fixing part 213.

상기 절연부(220)는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를 감싸도록 제공되며, 제1절연필름(221) 및 제2절연필름(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120)는 상기 제1절연필름(221) 및 제2절연필름(222)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필름(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ulating part 2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and may include a first insulating film 221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222. In addition, the insula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film 223 for connecting the first insulation film 221 and the second insulation film 222 to each other.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상기 절연부(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상기 제1절연필름(221) 및 상기 제2절연필름(2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상기 절연부(220)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sulating part 220. In detail,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221 and the second insulating film 222.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ulating part 220.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제1전극부(230), 제2전극부(240), 및 제3전극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부(230), 제2전극부(240), 및 제3전극부(250)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전극부(230, 240, 250)는 전원부(19)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전극부(250)는 상기 제1전극부(230)와 상기 제2전극부(24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전극부(230), 제2전극부(240), 및 제3전극부(250)는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rt 230, a second electrode part 240, and a third electrode part 250. The first electrode part 230, the second electrode part 24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50 may be sequentially dispos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250 may be provided at least three or more. The plurality of electrode parts 230, 240, and 25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to receive pow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part 250 is described as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40. The first electrode part 230, the second electrode part 240,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25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uniform intervals.

상기 제1전극부(230)는 제1전극부 본체(231), 제1전원인가부(232), 다수의 제1와이어(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부(240)는 제2전극부 본체(241), 제2전원인가부(242), 다수의 제2와이어(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233)는 상기 제1전극부 본체(23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제2와이어(243)는 상기 제2전극부 본체(24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와이어(233) 사이에 제2와이어(243)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2와이어(243) 사이에 제1와이어(23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로 이웃하는 제1와이어(233)와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상기 제3전극부(250)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unit 23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unit body 231, a first power supply unit 232, and a plurality of first wires 233. The second electrode unit 240 may include a second electrode unit body 241, a second power supply unit 242, and a plurality of second wires 243.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233 may exten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body 231,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243 may extend from the second electrode unit body 241. The second wire 2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233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wire 23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wires 243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part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re 233 and the second wire 243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3전극부(250)는 제3전극부 본체(251)와 제3와이어(2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electrode part 250 may include a third electrode part body 251 and a third wire 253.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1)는 서로 이격되는 제1전극부(230) 및 제2전극부(2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는 다수 개로 제공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와이어(233)와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1)는 제3인가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는 제3전극부 본체(25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제3전극부 본체(251)는 상기 전원부(19)에 연결되어 동일한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1)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제1와이어(233) 중 어느 하나의 제1와이어(233)와, 상기 복수의 제1와이어(233) 사이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1)는 상기 집진판 본체(2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electrode body 25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4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ird electrode unit body 25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wire 233 and the second wire 243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third electrode unit body 251 may perform a function of a third application unit. The third electrode body 25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third electrode body 251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9 to receive the same pow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hird electrode body 251 is disposed betwee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233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first wires 233. The second wire 2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res 243. The third electrode body 251 may be disposed above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211.

상기 제3와이어(253)는 상기 제3전극부 본체(25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와이어(253)는 상기 제1와이어(233)와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와이어(253)는 상기 제1와이어(233) 및 상기 제2와이어(24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3와이어(253)는 상기 집진판 본체(21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와이어(253)는 상기 제1전극부(230) 및 제2전극부(24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wire 253 may extend from the third electrode unit body 251. The third wire 25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re 233 and the second wire 243. The third wire 253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first wire 233 and the second wire 24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wire 253 may extend in a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body 211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third wire 25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230 and the second electrode 240.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진판(210)에는 상기 제1와이어(233), 제2와이어(243), 및 제3와이어(253)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233), 제2와이어(243), 및 제3와이어(253)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wire 233, the second wire 243, and the third wire 253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wire 233, the second wire 243, and the third wire 253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flow direction of air.

상기 집진부는 상기 집진판(210) 각각에 포함된 제1전극부(230), 제2전극부(240), 및 제3전극부(250)에 인가되는 전원의 변화에 따라 "집진 모드" 또는 "탈진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may be " dust collection mode " or "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230, the second electrode 240, and the third electrode 250 included in each of the dust collecting plates 210, respectively. Exhaustion mode ".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 따르면, "탈진 모드"에서 상기 집진판(210)의 표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판(21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할 때,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parating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in the "dust extraction mo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oreign matter. .

상세히, 상기 제1와이어(233)와 상기 제2와이어(243)의 사이에 상기 제3와이어(253)를 배치하고, 상기 제1와이어(233), 제2와이어(243), 및 제3와이어(253)에 교류 전원을 각각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233), 제2와이어(243), 및 제3와이어(253) 각각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파형, 주파수,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집진판(210)으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는 정도와, 분리된 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류 전원의 파형은 Square 파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류 전원의 위상차는 120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hird wire 25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re 233 and the second wire 243, and the first wire 233, the second wire 243, and the third wire are arranged. AC power can be applied to 25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degree of separat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by controlling the waveform, frequency, voltage of the AC power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wire 233, the second wire 243, and the third wire 253.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moved. For example, the waveform of the AC power may be provided as a square waveform. The phase difference of the AC power may be provided at 120 degree intervals.

상기 집진판(210)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이동되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면, 상기 집진판(210)이 설치될 수 있는 위치의 다양성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상기 집진판(210)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집진판(210)의 상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분리된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집진판(210)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이물질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로 상기 이물질을 이동 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으로 이물질이 낙하되는 속도를 증가시켜 신속하게 이물질을 집진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in which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is moved, the variety of positions where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can be installed can be increased. That is, when removing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is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10.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t is possible to move the foreign matter to a desired position, it may have an 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work is facilita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dust collector by increasing the speed at which the foreign matter fall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3의 (a)는 "집진 모드"에서, 대전된 이물질(D)이 일 집진판(210)에 포집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harged foreign matter D is collected in one dust collecting plate 210 in the "dust collecting mode".

도 13의 (b)는 "탈진 모드"에서, 일 집진판(210)에 미리 포집된 이물질(D)이 상기 일 집진판(210)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상기 일 집진판(210)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D)은 상기 일 집진판(210)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방향성을 가진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FIG. 13B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oreign matter D previously collect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210 is separated from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210 in the “dust extraction mode”.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D) separated from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210 may be moved in a state having a direction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210).

1: 창문 2: 창틀
10: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11: 케이스
13: 제1다공부 14: 제2다공부
16: 이물 가이드 100: 집진부
110: 집진판 120: 절연부
130: 제1전극부 140: 제2전극부
1: window 2: window frame
10: window air cleaner 11: case
13: First Perforation 14: Second Perforation
16: Foreign body guide 100: dust collector
110: dust collecting plate 120: insulation
130: first electrode portion 140: second electrode portion

Claims (15)

창틀에 설치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틀에 장착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집진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판은,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1전극부;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의 사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과 서로 교번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이 구비되는 제2전극부; 및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In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installed on the window frame,
A frame part mounted to the window frame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passes;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l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cluding a dust collecting portion disposed in the opening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The dust collecting plate,
A first electrode par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wire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cond electrode part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wire electrodes,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wire electrodes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plurality of first wire electrodes; And
Window-typ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n insula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insulating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집진판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1절연부;
상기 집진판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와 상기 제2절연부의 사이에 제공되며, 서로 이웃하는 제1와이어 전극과 제2와이어 전극을 절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ulation portion,
A first insulating part forming on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 second insulating portion forming the oth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And
And a connec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the connecting part insulating the first and second wire electrodes adjacent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일 집진판과 타 집진판에 서로 다른 전극의 직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일 집진판과 상기 타 집진판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집진판에 이물질이 포집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ndow-type air cleaner of claim 1, wherein when a DC power source of different electrodes is applied to neighboring on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the foreign matter is collected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집진판의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은 서로 동일한 전극의 직류 전원이며,
상기 타 집진판의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인가되는 직류 전원은 서로 동일한 전극의 직류 전원인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DC power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of the dust collector is a DC power supply of the same electrode,
And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of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is a direct current power source of the same electrod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집진판과 상기 타 집진판에 각각 포함되는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해 집진판에 포집된 이물질이 상기 집진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different AC powers ar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the dust collecting plate is collected by the electr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에는, 제1전극부 본체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와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제1전원 인가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2전극부에는, 제2전극부 본체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와 연결되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제2전원 인가부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제1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1전극부 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제2와이어 전극은 상기 제2전극부 본체에서 연장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lectrode part includes a first electrode part main body and a first power apply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main body to receive power from a power supply part.
The second electrode part includes a second electrode part main body and a second power apply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main body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part.
And the plurality of first wire electrodes exten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body, and the plurality of second wire electrodes extend from the second electrode unit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에는, 상기 제1전극부 및 상기 제2전극부와 이격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부가 더 포함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plate,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electrod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부에는, 제3전극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3전극부에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1전극부 본체 및 상기 제2전극부 본체와 이격되는 제3전극부 본체; 및
서로 이웃하는 제1와이어 전극과 제2와이어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전극부 본체에서 연장되는 제3와이어 전극을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t least one electrode portion includes a third electrode portion,
In the third electrode portion,
A third electrode part body to which power is applied from a power supply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part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body; And
And a third wire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re electrode and the second wire electrode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extending from the third electrode body.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전극부와 상기 제2전극부의 사이에 다수개로 제공되며,
상기 제1와이어 전극, 상기 제2와이어 전극, 및 상기 제3와이어 전극은 서로 교번하게 배치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electrode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nd the first wire electrode, the second wire electrode, and the third wire electrode are alternately disposed with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에서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경우에, 서로 이웃하는 일 집진판과 타 집진판에는 서로 다른 전극의 직류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집진부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집진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상기 일 집진판과 타 집진판에 포함되는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제3전극부에 서로 다른 교류 전원이 인가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n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in the dust collector, the DC power source of the different electrode is applied to the neighboring one dust collector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or plate,
When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or, window type air cleaners in which different AC powers ar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art, the second electrode part, and the third electrode part included in the one dust collector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or plat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집진판의 사이에 배치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집진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disposed between the neighboring dust collecting plate,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oreign material guide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집진부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필터부; 및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집진부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필터부가 포함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lter unit,
A first filter part disposed upstream of the dust collecting part based on a flow direction of air; And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filter unit disposed downstream of the dust collec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a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창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문의 개방 유무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이 변화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collecting unit is a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the power applied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window is movably mounted to the window fram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개방되어 공기가 개구를 통과 시, 서로 이웃하는 일 집진판과 타 집진판에 서로 다른 전극의 직류 전원을 인가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applying the DC power of the different electrodes to the neighboring one dust collector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or plate when the window is opened and the air passes through the opening.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이 폐쇄되어 공기가 개구를 미 통과시, 상기 일 집진판과 타 집진판에 포함되는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window type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window is closed and the air does not pass through the opening, AC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included in the one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other dust collecting plate.
KR1020180021174A 2018-02-22 2018-02-22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Active KR102522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4A KR102522051B1 (en) 2018-02-22 2018-02-22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74A KR102522051B1 (en) 2018-02-22 2018-02-22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64A true KR20190101164A (en) 2019-08-30
KR102522051B1 KR102522051B1 (en) 2023-04-14

Family

ID=6777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74A Active KR102522051B1 (en) 2018-02-22 2018-02-22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0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240B1 (en) 2020-06-05 2021-03-05 주식회사 감성 Window-type air clea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340A (en) * 2006-07-13 2008-01-31 Trinc:Kk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material and apparatus for repelling floating material
KR20160127265A (en) * 2015-04-24 2016-1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osquito net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8340A (en) * 2006-07-13 2008-01-31 Trinc:Kk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material and apparatus for repelling floating material
KR20160127265A (en) * 2015-04-24 2016-11-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osquito ne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240B1 (en) 2020-06-05 2021-03-05 주식회사 감성 Window-type air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051B1 (en)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762B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A121005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utralizing static electric charges in sensitive manufacturing areas
US5290343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chine for charging dust particles contained in air and capturing dust particles with coulomb force
US4553987A (en) Continuously rinsed electric dust collector
KR2011004585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including same
CN102164677A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ir purification efficiency
KR10162266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11328296B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mpact air cleaner and compact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190122445A (en) Air conditioner
KR102126953B1 (en)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of an Electric Precipitator Plates using Dielectrophoresis
US20180015482A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design and assembly
US2979158A (en) Electrostatic particle separating apparatus
KR102219778B1 (en) Self-clean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using thereof
KR102522051B1 (en) Window type air cleaning appratus
CN106861906A (en) A kind of electric cleaner
KR101342101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190076B1 (en) Dust collector of Air Clea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208161834U (en) A kind of Powerless micro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lied to electric panel room
CN110449263B (en) Electric dust removal device with groove type filter assembly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1048430B1 (en) High Voltage Electrostatic Reducer and Method
CN206731308U (en) A kind of electric cleaner
KR101886860B1 (en) electric precipitation
KR20190104747A (en) Air cleaning appratus
KR20030019503A (en) electric precipitation
JP6508356B2 (en)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4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