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912A - hose holder for tap - Google Patents
hose holder for ta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8912A KR20190068912A KR1020170169162A KR20170169162A KR20190068912A KR 20190068912 A KR20190068912 A KR 20190068912A KR 1020170169162 A KR1020170169162 A KR 1020170169162A KR 20170169162 A KR20170169162 A KR 20170169162A KR 20190068912 A KR20190068912 A KR 201900689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se
- rod
- faucet
- movable
- b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claims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호스를 연결하는 용도가 수도꼭지로부터 거리가 떨어진 먼 곳으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것에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서 호스의 길이에 상관없이 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하고 다시 해제하는 것이 자유로운 후렉시블(flexible) 거치대를 구성함으로서, 수도간에서의 통상적인 수돗물사용 작업시에는 후렉시블 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하여 호스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사용자가 매 작업시마다의 작업여건에 적합하도록 임의로 조절하여서 편리하게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다시 필요시에는 호스의 거치를 용이하게 해제하여 호스의 단부인 토수구를 옮겨서 먼 곳으로의 수돗물 급수를 할 수도 있는 편리함이 있고, 수도꼭지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가능하도록 된 연결용 어댑터나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연결되어 토출수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바꾸어주는 엘보와 일체로 된 연결용 어댑터 등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유리한 연결용 어댑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특히, 노약자의 사용에 도움이 되도록 후렉시블 거치대를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굴신작업 보조구를 가지는 것도 포함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수도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수도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단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faucet is provided at an end of a water pipe, and is used as means for interrupting water supplied through a water pipe.
수도꼭지는 기본적 수도꼭지형태인 범용이외에 주방용, 세면대용 등으로 특성화된 수도꼭지도 사용되고 있는데 주방용 수도꼭지는 대략 수십CM 길이의 후렉시블 토수관을 구비하여 토수구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addition to general purpose faucet type faucets, faucets characterized by kitchens, wash basins, etc. are also used. The kitchen faucets are provided with flexible toilets having a length of several tens of CM,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toys, Respectively.
상기 범용 수도꼭지는 대개가 합성수지제의 호스를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연결하여서 사용이 되고 있고 연결되는 호스의 길이는 각 수도꼭지마다 다시 말하여서 각 사용자마다 수십CM나 수십M 등으로 천차만별하다.The universal faucet is generally used by connecting a hose made of a synthetic resin to a water tube of a faucet,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ed hose is different for each faucet so that each user can vary by several tens CM or tens of meters.
상기 주방용 수도꼭지의 대략 수십CM 길이의 후렉시블 토수관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시킨 형상을 스스로 유지할 능력이 있어서 사용자가 후렉시블 토수관을 구부려서 토출수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금속제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수도꼭지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부합되는 나사부를 형성한 수도꼭지이외에는 사용하기가 어렵고, 또한 가격이 합성수지제의 호스에 비하여 고가여서 기본적 수도꼭지 형태인 범용 수도꼭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이 되지 않고 있다.The flexible tap water pipe having a length of about several tens of CM of the kitchen faucet has an ability to keep the shap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lexibly bend the flexible water pipe to arbitrar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water. However, So that it is difficult to use other than a faucet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price is higher than that of a synthetic resin hose, so that it is generally used for a universal faucet in the form of a basic faucet .
그 반면에, 상기 범용 수도꼭지의 합성수지제의 호스는 손쉽고 저렴한 가격으로 수도꼭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시킨 형상을 호스 스스로는 유지할 능력이 없어서 호스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하려면 한손으로는 호스를 들고 다른 한손으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수도꼭지에 길이가 짧게 연결된 호스라도 때로는 거리가 먼 곳으로 급수가 필요한 경우도 발생하여 다시 별도의 긴 호스를 연결해야하고 역으로 먼 곳으로 길이가 길게 연결된 호스라도 때로는 수도간에서의 수돗물사용 작업이 필요한 경우도 발생하여서 긴 호스를 수도간으로 끌고 와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On the other hand, the synthetic hose made of synthetic resin of the universal faucet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faucet with ease and low cost. However, since the hose can not maintain the shape arbitrarily changed by the user,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tap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hose with one hand and the hose connected to the faucet with a short length sometimes requires the water to be far away If a long hose is connected to a separate long hose and a long hose is connected to a long distance, sometimes it is necessary to use the tap water in the water supply line. Therefore, when the long hose is brought to the water line and the tap water is used It is too big.
이와 함께, 상기 범용 수도꼭지는 대개의 사용자가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할 때 호스 길이를 여유있게 연결하는 것을 선호하여서 수돗물이 토출되는 호스의 단부가 용기 또는 땅 바닥면에 맞닿은 채로 유지 되어서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 universal faucet preferred to connect the length of the hose when the user connects the hose to the faucet, so that the end of the hose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is kept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container or the ground, have.
따라서, 상기 범용 수도꼭지에 있어서, 호스를 거치대에 거치할 수가 있게 하되 거치대가 후렉시블하여서 사용자가 거치대를 임의로 구부려 호스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매 작업시마다의 작업여건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서 편리하게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호스를 연결하는 용도가 수도꼭지로부터 거리가 먼 곳으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것에도 흔히 사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서 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하고 다시 해제하는 것이 자유롭되 호스의 길이에 상관없이 할 수가 있게 하고, 특히, 호스를 거치하여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후렉시블 호스거치대를 사용자가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어서 노약자의 사용에 유리한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universal faucet, the hose can be mounted on the cradle, but the cradle is flexible, so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bend the cradle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hose to suit the working conditions of each oper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ap water to work, as well as to connect the hose to the tap water pipe of the faucet in a distance from the faucet is often used to water tap water, So that the user can freely bend and stretch the flexible hose cradle having a rigidity enough to stand by the hose, and thus, it is advantageous for the use of the elderly The emergence of a hose rest for faucets is required hav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굴신이 자유롭고 굴신에 의해 형상이 변경되고 표면이 내부식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일단에 호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방이 개구된 U형의 호스거치판(2)을 결합하고 타단에는 상기 범용 수도꼭지(91)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5, 15, 25)를 결합하며, A U-shaped hose mounting plate (U-shaped hose) (U-shaped hose mounting plate (U-shaped hose)) U-shaped
상기 연결용 어댑터(5, 15, 25)는 다양한 사용자의 제각기 편익을 감안하여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되는 연결용 어댑터(15)나 수도꼭지(91)의 토수관에 연결되어 토출수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바꾸어주는 L형 엘보(68)와 일체로 된 연결용 어댑터(25) 등으로 다르게 구성하여서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유리한 구성으로 된 연결용 어댑터(5, 15, 25)를 선택할 수 있게 하고, The
호스거치판(2)과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 15, 25)가 일렬로 연결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에는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호스(10)가 호스고정구에 결합이 되어진 상태로 거치가 되도록 호스(10)를 고정하고 다시 해제하는 것이 자유로운 호스고정구로서 설치한 위치에 고정이 되어져 있는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설치위치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호스고정구(7)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을 설치하되 이때 본 발명이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에 거치된 호스(10)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매 작업시마다의 작업여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여서 편리하게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것이 자유로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설치하고 있음에 부합하여서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길이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워서 설치한다,The
그리고 상방으로 개구된 U형의 상기 호스거치판(2)의 일부분에는 상기 고정식 호스고정구(6)를 설치해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특히, 호스(10)를 거치하여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은 노약자가 행하기에는 쉽지 않고 한번 굽혀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다시 곧게 펴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음이 명백해지는 점을 감안하여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 굴신작업 보조구(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굴신작업 보조구(4)를 잡고서 가하는 힘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과 굴신작업 보조구(4)의 일단부가 접하는 곳에 집중되어 가해질 수가 있게 되도록 양단의 구멍이 서로 연통하는 관상의 굴신작업 보조구(4)를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워서 설치되는 구성도 포함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달성되는 것이다.Particularly,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person to bend or straighten the flexible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의 외면으로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를 설치하여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는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것이 자유로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일단에 호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방이 개구된 U형의 호스거치판이 결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임의로 구부려 호스거치판에 거치된 호스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할 수 가 있게 됨으로서 매 작업시마다의 작업여건에 적합하도록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하여서 편리하게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되는데,The hose cradle for a fauc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U-shaped hose mounting plate which is opened upward so that a hose can be inserted and removed at one end of a flexible hose mounting bar freely bent and straightened by a h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hose mounted on the mounting plat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water can be adjusted to suit the working conditions of each operation,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에는 호스의 고정과 해제가 자유로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식 호스고정구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길이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에 끼움 설치되어 있어서 이동식 호스고정구를 호스의 길이가 길고 짧음을 고려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여 호스를 이동식 호스고정구에 결합하여 고정한 상태로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거치할 수가 있게 됨으로서, 수도꼭지로부터 거리가 먼 곳으로 수돗물을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호스가 수도꼭지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수도간에서의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경우에는 긴 호스의 단부를 수도간으로 끌고 와서 한손으로 호스를 들고 다른 한손으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해오던 종래의 불편함이 없이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해두고서 양손으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함도 있다.The flexible hose fixing rod is fitted in the flexible hose fixing bar so that at least one movable hose fixing member free from the fixing and releasing of the hose can move in the both end directions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flexible hose fixing bar, The hose may be moved to a proper position of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considering the length of the flexible hose and the hose may be fixed to the movable hose fixing member so that the hose can be mounted on the hose mounting base for the faucet. Even when a long hose is connected to the faucet, it is difficult to use the tap water in the water supply system because the end of the long hose is drawn to the water line and the hose is lifted with one hand and tap water is used with the other hand Untouchable Dugoseo it through a hose to the hose holder is also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work with both hands using tap water.
아울러, 상기 범용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할 때 대개의 사용자가 호스 길이를 여유있게 연결하는 것을 선호하여서 수돗물이 토출되는 호스의 단부가 용기 또는 땅 바닥면에 맞닿은 채로 유지되어서 위생상 불결한 종래의 문제점도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해 둠으로서 해소가 되고,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hose to the universal faucet, most users prefer to connect the length of the hose with sufficient space, so that the end of the hose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or the ground, It is solved by putting the hose in the hose hanger for the purpose,
또한,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타단에는 수도꼭지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가 결합하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가능토록 된 연결용 어댑터나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연결되어 토출수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바꾸어주는 L형 엘보와 일체로 된 연결용 어댑터 등으로 다르게 연결용 어댑터가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유리한 연결용 어댑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In addition, the flexible hose fixing rod may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adapter or a tap water pipe of a faucet so that a coupling adapter connected to the faucet is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ood, The connecting adapter for connecting with the L-shaped elbow is different from the connecting adapter for connecting with the L-shaped elbow,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connecting adapter suitable for his /
특히, 호스를 거치하여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은 노약자가 행하기에는 쉽지 않고 한번 굽혀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다시 곧게 펴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음이 명백해지는 점을 감안하여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길이 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토록 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에 끼워서 설치되는 구성도 포함함으로서 사용이 용이해지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익함도 있다.Particularly, it is not easy for the elderly person to bend or straighten the above flexible hose mounting rod with the rigidity enough to stand by the hose, and it is not easy to straighten the bent flexible hose mounting bar once again In order to facilitate the bending or straightening operation of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in consideration of the obviousness, the flexible working hose supporting rod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so that it can move in the both end directions within the range of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dvantageous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se holder for a faucet that is easy to us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를 분할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호스거치판 부분을 나타낸다.
도 2는 굴신작업 보조구 부분을 나타낸다.
도 3은 수도꼭지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를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어댑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어댑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굴신작업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는 이형의 굴신작업 보조구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된 이형의 이동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이형의 굴신작업 보조구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된 또 다른 이형의 이동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c는 이형의 고정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사용상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10은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굴신가능부분과 굴신불가능부분의 연결조립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도 9의 일부를 분리한 종단면도.
도 11은 호스고정구가 설치된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1 to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hose rest for a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the hose mounting plate portion.
Fig. 2 shows a portion of the working work auxiliary tool.
3 shows the connecting adapter connected to the faucet in an exploded manner.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apter for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ada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working work support.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hose fixing member of a different type formed integrally with an outer surface of a work support for deforming. FIG.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removable hose fasten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eformed work support port;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hose fixing member of a deformed type.
8A to 8B are sid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age states of hose rests for a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illustrate a flexible hose mounting bar of a hose holder for a fauc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flexible hose installation rod having a partial flexibility is cut away. Fig.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art of Fig. 9 for showing the connection assembly of a movable part and a non-movable part of a flexible hose mounting rod having a partial elasticity.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 part of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having a partly ovality provided with the hose fixing member is cut awa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를 분할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호스거치판 부분을 나타내고, 도 2는 굴신작업 보조구 부분을 나타내고, 도 3은 수도꼭지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를 분해하여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어댑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어댑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굴신작업 보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a는 이형의 굴신작업 보조구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된 이형의 이동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이형의 굴신작업 보조구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된 또 다른 이형의 이동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c는 이형의 고정식 호스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사용상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hose rest unit for a fauc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shows a hose stiffening plate portion, Fig. 2 shows a bending work assisted por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adap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movable hose fixtu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a work support subsection of a release mold, Fig.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hose fixture, Fig. 7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type hose fixing member of a deformed type, Fig. 8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hose fixing member, Fig. Figure 8b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tap hose example pod in the embodime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는 호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방을 개구한 U형의 호스거치판(2)과 호스거치판(2)의 일단에 결합되는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것이 자유로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과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단부에 결합되어 수도꼭지(91)와 연결하는 연결용 어댑터(5, 15, 25)와 그리고 호스거치판(2)이나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호스(10)가 호스고정구에 결합이 되어진 상태로 거치가 되도록 호스(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식 및 이동식 호스고정구(6,7)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굴신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가 있도록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유동성이 있도록 헐겁게 끼워서 설치하는 굴신작업 보조구(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1 to 3, a
상기 호스거치판(2)은 호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상방을 개구한 U형의 합성수지제나 금속제의 판으로 바닥면(18)에 호스(10)가 거치되고 기준치보다 다소 큰 외경의 호스도 수용이 되도록 폭을 여유가 있게 하여 형성한다. 재료의 가격이 금속보다 저렴하여 선호되는 합성수지제의 호스거치판(2)의 하면에는 하우징(8)을 형성하고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일단부(21)를 하우징(8)에 삽입하여 호스거치판(2)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결합한다.The
또, 호스거치판(2)의 개구된 상방으로 노출되어지는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호스고정구(6)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호스거치판(2)의 외측면에 체결돌편(17)을 형성하고 체결돌편(17)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공(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형성한 밴드 형태의 호스고정구(6)를 대향면에 고정되게 설치한다.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따라서, 상기 체결돌편(17)과 상기 체결공(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형성한 밴드의 조합으로 구성된 상기 호스고정구(6)는 호스거치판(2)에 고정이 되어져 있어서 상기 고정식 호스고정구(6)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은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굴신이 자유로우면서도 거치된 호스(10)를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금속봉(20)을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굴신성 있는 수지(19)로 피복한 것으로서 금속봉(20)은 굴신성이 양호하고 가격이 저렴한 어닐링(annealing)철선의 토막이 선호된다.The flexible
그리고,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일단은 호스거치판(2)에 결합되고 타단은 수도꼭지(91)와 연결하는 연결용 어댑터(5, 15, 25)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므로 따라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양단의 형상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일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호스거치판(2)에 형성된 결합수단(8)이나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타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연결용 어댑터(5, 15, 25)에 형성된 결합수단(32, 93, 76, 76')에 부합이 되도록 구성하는데 이같은 결합수단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어서 첨부한 도면마다 서로 다른 결합수단을 예로삼아 소개하고 있다.One end of the flexible
먼저, 도 1에서는 노출된 금속봉(20)을 포함하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일단(21)이 호스거치판(2)에 형성된 하우징(8)에 삽입되어 하우징(8)과 일체가 되도록 성형함으로서 호스거치판(2)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결합하는 간단한 결합수단을 소개하고 있고, 금속제의 호스거치판(2)일 경우 용접결합도 가능하다.1, one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는 양단의 구멍이 서로 연통하는 관상의 한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는 봉(12)으로 형성하여서, 굴신작업 보조구(4)의 내부공간으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단부를 삽입하고 통과시켜서 굴신작업 보조구(4)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워서 설치한다.The working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는 내면에 걸림턱(26)을 돌출되게 형성하여서 상기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굴신할 때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내면의 걸림턱(26)에 밀착시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굴신작업 보조구(4)의 원형의 내면상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면에는 요철부를 형성하여서 굴신작업 보조구(4)를 손으로 움켜잡았을 때에 미끄럽지 아니하게 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 형상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등의 관상의 봉으로 될 수 있다.The flexible
아울러서,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의 외면에 체결돌편(23)을 형성하고 체결돌편(23)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공(16)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형성한 밴드 형태의 호스고정구(7)를 대향면에 고정되게 설치한다.In addition, a band-shaped hose fixture 7 (see FIG. 1) in which a
따라서, 상기 체결돌편(23)과 상기 체결공(16)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형성한 밴드의 조합으로 구성된 상기 호스고정구(7)는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되어져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길이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이동식 호스고정구(7)는 상방으로 밴드를 둘러도 체결돌편(23)과 체결공(16)이 체결될 수 있고 하방으로 밴드를 둘러도 체결돌편(23)과 체결공(16)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사용상 편리하다.The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는 내면에 걸림턱(26)을 형성하지 않아도 가능한데 도 7a 내지 도 7b에서는 내면(80)에 상기 걸림턱(26)이 없는 이형의 굴신작업 보조구(14, 24)를 도시하고 있다.7A and FIG. 7B,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haping operation
상기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는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보면, 도 7a에서는 호스(10)를 내부공간에 끼울 수 있도록 된 클립 형태의 호스고정구(81, 82)를 굴신작업 보조구(14)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하되 외경의 크기가 다른 호스(10)의 사용도 감안을 하여서 내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클립 형태의 호스고정구(81, 82)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The fixed
도 7b에서는 호스(10)를 지그재그로 굽혀서 끼울 수 있도록 돌기(83)와 공간(84)이 교호로 형성된 것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호스고정구를 굴신작업 보조구(24)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7B shows that the hose fixture formed by alternately forming the
도 7c에서는 상단(87)과 하단(88)으로 구분되고 내부공간에 호스(10)를 끼울 수 있도록 상단(87)을 개폐가 자유롭게 탄력성있는 재질로 된 호스고정구를 도시한다.7C shows a hose fixing member made of elastic material which is divided into an
여기에 있어서,Here,
고정식 호스고정구와 이동식 호스고정구로 구분되어지는 것은 도 7a 내지 도 7b의 굴신작업 보조구(14, 24)가 암시하듯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길이범위 내에서 양단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면 이동식 호스고정구로 구분되는 것이고 설치된 위치에 고정이 되어 있으면 고정식 호스고정구로 구분되는 것인데, 도 7c에서 도시하는 호스고정구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삽입하도록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외경과 유사한 내경의 하부관통공(89)과 분리될 수 있는 측벽(90)을 형성하여서 측벽(90)을 분리한 공간을 통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하부관 통공(89)에 빡빡한 끼움하고서 분리한 측벽(90)을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제 위치로 결합시킴에 의해서 호스고정구를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어느 한 곳에 고정되게 끼워두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므로 이는 고정식 호스고정구로 구분된다.The fixed hose fixture and the movable hose fixture are divided into a fixed hose fixture and a movable hose fixture as shown in FIGS. 7A and 7B, respectively, when the flexible
만약, 도 7c에서 도시하는 호스고정구가 하부관통공(89)의 내경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외경보다 커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어져서 설치되어졌다면 이는 이동식 호스고정구가 되어 질것이다.7C,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through-
또한, 고정식 및 이동식 호스고정구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에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거나 호스(10)가 호스고정구에 결합이 되어진 상태로 거치가 되도록 호스(10)를 고정하는 용도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호스(10)가 거치되거나 결합이 된 상태에서 탈락이 불가능할 정도의 약간의 움직임 있도록 느슨하게 고정하여도 좋다.The stationary and movable hose fasteners are used to fix the
수도꼭지(91)에 연결되어지는 상기 연결용 어댑터(5, 15, 25)는 여러 사용자들의 서로 다른 사용환경을 감안하여서 몇가지 유형으로 구성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유리한 구조로 된 연결용 어댑터(5, 15, 25)를 선택한다.The
먼저, 도 3에서 도시하는 연결용 어댑터(5)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나사선을 형성한 단부(37)와 결합하는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결합공(32)을 연결용 어댑터(5)의 본체하단(27)의 정면에 형성하고서 결합공(32)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단부(37)를 나사결합하는데, 이때 나사선을 형성한 단부(37)보다 크게 단부(37)의 전방에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걸림턱(38)은 결합공(32)의 전방에 남아있게 되어서 케이스(28)를 덮으면 케이스상면(39)의 천공(40)으로 본체상단(31)이 통과하여 본체상단(31)이 본체하단(27)보다 폭이 좁아서 형성되어진 단턱부(30)에 케이스상면(39)의 내면이 접하여 재치하게 되고 걸림턱(38)은 케이스(28)의 정면에 걸림턱(38)과 부합하는 형상으로 천공된 걸림턱삽입홈(41)에 끼어지고 걸림턱(38)과 걸림턱삽입홈(41)은 반경이 불균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져서 걸림턱삽입홈(41)에 맞게 끼워진 걸림턱(38)은 회전이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연결용 어댑터(5)의 결합공(32)에 나사결합된 단부(37) 즉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회전이 방지되어 고정되며 케이스(28)의 내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2)는 합성수지제의 케이스(28)재질의 탄성으로 본체하단(27)의 결합요홈(33)에 삽입되어 케이스(28)가 결합하게 된다.3, a
이와 같이하고서, 패킹(43)을 삽입한 클립(29)을 수도꼭지(91)의 후방 밋밋한 부분에 걸어 끼우고서 클립(29)의 보울트공(44)과 본체상단(31)의 보울트공(35)이 일치하도록 클립(29)의 하부를 본체상단(31)에 끼우고 보울트(45)를 보울트공(44,35)에 삽입하여 너트(46)로 체결하는 수도꼭지(91) 연결용 어댑터(5)를 나타내고 있다.The
부호 36은 클립(29)대신에 밴드 형태 클램프(clamp)(22)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제공하는 슬롯(slot)으로서 도 4에 관련되어져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도시하는 연결용 어댑터(15)의 실시예를 살펴보면,Next, referring to an embodiment of the
원형의 기판(94)의 중심에 천공된 축봉공(51)의 외주연을 따라 관체(47)를 입설하여 축봉공(51)과 관체(47)의 중공부가 일치되게 하고 관체(47)의 일측에 기판(94)의 외주연을 초과하는 받침대(52)를 연설하고 타측에는 격벽(54)을 연설하여서 되어진 회동구(93)의 기판(94) 상면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호형으로 중첩된 단부(55)를 안치하는데, 이때 호형으로 굽은 단부(55)의 전방부(56)가 받침대(52)의 상면(53)에 재치되고 관체(47)와 부합하는 호형의 단부(55)는 내곡면이 관체(47)의 외측면(50)과 접하도록 한다.The
그리고, 케이스(48)의 축봉공(57)을 회동구(93)의 축봉공(51)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케이스(48)의 측면 삽입공(58)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호형 단부의 전방부(56)가 재치되어져있는 회동구(93)의 받침대(52)와 일치시키고서 케이스(48)를 씌우면 축봉공(57)의 아래쪽 외주연부가 회동구(93)의 관체(47)의 상면에 접하여서 재치되고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호형 단부의 전방부(56)가 재치되어져있는 받침대(52)는 삽입공(58)에 헐겁지 아니하게 끼워지게 된다.When the
그리고, 상면에 돌부(60)를 가진 고정구(49)의 하면에 입설된 축봉(59)을 케이스(48) 및 회동구(93)의 축봉공(57, 51)에 삽입하고서 나사선이 형성된 축봉(59)의 단부에 와샤(65)를 채우고 너트(66)로 체결함으로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단부(55)를 안치한채 케이스(48)가 씌워진 회동구(93)가 고정구(49)의 축봉(59)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이하고서, 공지 기술의 밴드 형태 클램프(22)의 조절나사(64)를 드라이브로 풀림방향으로 돌려 다수의 천공(6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밴드의 단부를 풀어내어서 고정구(49)의 돌부(60)에 만곡형으로 관통된 슬롯(62)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연결용 어댑터(15)에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밴드를 끼우고서, 수도꼭지(91)의 후방 밋밋한 부분의 하면에 고정구(49)의 돌부(60) 상면을 밀착하여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밴드가 수도꼭지(91)의 후방 밋밋한 부분을 둘러싼 상태하에서 밴드의 단부를 다시 밴드 형태 클램프(22)에 끼우고서 조절나사(64)를 드라이브로 조임방향으로 돌려 돌부(60) 상면이 수도꼭지(91)의 후방 밋밋한 부분의 하면에 밀착결합되어 고정하도록 밴드를 강하게 조여서 수도꼭지(91)에 연결하는 어댑터(15)를 나타내고 있다.In this way, by turning the adjusting
밴드 형태 클램프(22) 대신에 상술한 클립(29)을 사용할 수도 있도록 보울트공(61)이 함께 제공되었다.A
이와 같이하여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회동할 수 있는 수도꼭지(91) 연결용 어댑터(15)를 결합한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을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The
상기 밴드 형태 클램프(22) 와 상기 클립(29)은 수도꼭지(91)에 연결용 어댑터(5, 15)를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용 어댑터(5, 15)가 구비하는 수도꼭지(91)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예로서 보인 것이며 종래기술의 다른 결합수단이 사용되어도 좋다.The band-shaped
이어서, 도 5에서 도시하는 연결용 어댑터(25)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Next, referring to an embodiment of the
케이스(70) 상면의 삽입공(95)으로 하단에 단턱부(74)가 형성된 고무관(73)을 끼워 넣고서 내부로 통로가 관통된 L형 엘보(68)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선(69)에 케이스(70) 내측면의 나사선(71)을 체결하여서 케이스(70)를 엘보(68)에 나사결합하되 고무관(73)하단의 단턱부(74)가 엘보(68)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강하게 나사조임을 하여서 엘보(68)에 고무관(73)을 중공부가 연통되게 결합한다.A
그리고, 엘보(68)의 하면에 하방으로 입설된 원형벽체(75)의 전방 결합공(76)에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구(77)를 삽입하면 끝이 뾰족하게 경사진 전방돌편(79)이 합성수지제 재질의 탄성에 의해서 전방 결합공(76)을 통과하고 이어서 후방 결합공(76')도 통과하고서 전방돌편(79)의 끝에 형성된 수직면이 후방 결합공(76')의 상부 외벽면에 걸리게 되고 동시에 결합구(77)의 후방걸림턱(78)은 전방 결합공(76)의 상부 외벽면에 걸리게 되어서, 결합구(77)를 설치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이 전방 결합공(76)과 후방 결합공(76')을 설치한 연결용 어댑터(25)에 고정결합하게 된다.When the engaging
이와 같이하고서, 수도꼭지(91)의 토수관에 고무관(73)을 끼우고 고무관(73)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공지기술의 호스 밴드로 고무관(73)을 수도꼭지(91)의 토수관에 강하게 결속을 시켜서 수도꼭지(91)에 연결되는 어댑터(25)를 나타내고 있다.In this way, the
엘보(68)의 수평관(72)의 단부에 호스(10)를 연결시켜서 사용을 하는 수도꼭지(91) 연결용 어댑터(25)로서, 수도꼭지(91)의 토수관에서 거의 수직으로 떨어지는 수돗물을 수평방향으로 바꾸어서 사용하려고 할 때에 호스(10)를 거의 직각으로 굽히면 호스(10)가 꺾어지면서 호스(10)의 중공부가 막히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The
이하,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hose holder for a fauc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6은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굽혀진 부분을 다시 곧게 펴는 쉽지 않은 작업에 굴신작업 보조구(4)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8a는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분할되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가 기본적 수도꼭지형태인 범용 수도꼭지(91)에 장착되어서 비교적 길이가 긴 호스(10)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8b는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분할되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가 기본적 수도꼭지형태인 범용 수도꼭지(91)에 장착되어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혀서 거치한 호스(10)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냄과 아울러서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된 이동식 호스고정구(7)로 적당한 위치에서 호스(10)를 결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예시도이다.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lexible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는 기본적 수도꼭지형태인 범용 수도꼭지(91)의 후방 밋밋한 부분의 하면에 결합수단 예를 들면 공지기술의 밴드 형태 클램프(22)로 장착이 되어져서 수도꼭지(91)의 전방으로 돌출하는데 대략 30CM 내지 70CM 길이 범위의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가 적당할 것이다.The
수도꼭지(91)에 연결된 호스(10)는 수도꼭지(91)에 장착된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의 호스거치판(2)의 상방으로 개구된 곳으로 호스(10)를 넣어 U형 호스거치판(2)의 바닥면(18)에 호스(10)의 단부인 토수구부를 거치하고서 거치된 호스(1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호스거치판(2)에 설치되어져 있는 밴드 형태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로 호스(10)의 외면을 둘러서 호스(10)를 결속하고, 또,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워서 설치되는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된 밴드 형태의 이동식 호스고정구(7)를 호스(10)의 길이가 길고 짧음을 고려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여 호스(10)의 외면을 둘러서 호스(10)를 결속하여 이동식 호스고정구(7)에 호스(10)가 탈락방지토록 고정된 상태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호스(10)가 거치하도록 한다.The
따라서 호스(10)의 길이와 호스(10) 단부의 부착물 예를들면 살수용 스프레이(92)에 상관없이 호스(10)를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1)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혀서 호스거치판(2)에 거치되는 호스(10)의 단부에서 토출하는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끼워서 설치되는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된 밴드 형태의 이동식 호스고정구(7)를 호스(10)의 형편을 고려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여 호스(10)의 외면을 둘러서 호스(10)를 결속하여 고정한 상태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에 호스(10)가 거치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B,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water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이때, 도 6에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굴신작업 보조구(4)의 통과가 불가능할 정도로 굽혀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쪽에 이동식 호스고정구(7)로 호스(10)를 결속하려고 하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굽히기 이전에 미리 이동식 호스고정구(7)와 일체로 된 굴신작업 보조구(4)를 그쪽으로 이동시켜 놓고서 굴신작업 보조구(4)의 타단을 굴신작업에 사용하면 된다.6, when the
특히, 호스(10)를 거치하여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은 노약자가 행하기에는 쉽지 않고 한번 굽혀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다시 곧게 펴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음이 명백해지는 점을 감안하여서 구비하는 굴신작업 보조구(4)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을 할 때에 사용자가 힘이 가해지길 원하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목표점에 굴신작업 보조구(4)의 일단부를 접하고서 사용자가 한손으로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굴신작업 보조구(4)를 잡고서 힘을 가함으로서 사용자가 가한 힘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과 굴신작업 보조구(4)의 일단부가 접하는 곳에 집중되어져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을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하게 된다.Particularly,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person to bend or stretch the flexible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사용상태 예를 나타내는 도 8b에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3)의 전체가 굴신성을 가지지 아니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부분이 굴신성을 가져도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B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state of the hose holder for a fauc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portions of the flexible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는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으로 구성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ly, the hose holder for a fauc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se holder for a faucet, which is constituted by a flexible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굴신가능부분과 굴신불가능부분의 연결조립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도 9의 일부를 분리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호스고정구가 설치된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다.9 to 11 illustrate a flexible hose mounting bar of a hose holder for a fauc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a flexible hose fixing bar having a partial bending property, Fig. 1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Fig. 9 for showing the connection assembly of a movable part and a non-movable part of a flexible hose mounting rod having a partial elasticity,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ly flexible,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hose mounting rod.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의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은 굴신성 있는 수지로 피복되어진 손으로 구부리고 펴는 굴신이 자유로운 금속봉(103)과 굴신이 비자유로운 합성수지제 봉(97)의 연결로 이루어지는데, 단부(102)가 절곡되어 중첩된 금속봉(103)의 일단부(102)를 결합구(98)에 형성된 삽입홈(101)에 삽입하고 삽입된 일단부(102)의 상방과 후방에 남겨진 삽입홈(101)의 빈 공간에는 상기 빈 공간과 계합하는 고정구(99)를 꼭 끼이게 삽입하여 삽입홈(101)에 수용된 일단부(102)를 고정하고서 굴신이 비자유로운 합성수지제 봉(97)의 일단부에서 상기 결합구(98)를 합성수지제 봉(97)의 내부 중공부로 밀어 넣어 감삽하고 결합구(98)의 핀공(107)과 합성수지제 봉(97)의 핀공(105)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서 핀(106)을 핀공(105, 107)에 관통되게 끼워 넣어서 상기 금속봉(103)의 일단부(102)가 수용된 결합구(98)를 상기 합성수지제 봉(97)에 결합고정한다.As shown in FIGS. 9 to 10, the flexible
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다시 말하여 굴신이 자유로운 금속봉(103)을 부분적으로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으로 되어 지고, 굴신성을 가지는 부분의 개수는 이의 반복으로 충당된다.As a result, the flexible
또한, 부분적으로 굴신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은 굴신가능부분(103)과 굴신불가능부분(97)이 교호로 연결되고 또 굴신가능부분(103)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연설된 굴신불가능부분(97)은 손으로 쥐기 편할 정도 굵기의 봉으로 형성되어 굴신가능부분(103)의 양단에 결합될 수 도 있어서 상술한 굴신작업 보조구(4)가 필요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exible
굴신불가능부분(97)은 당업자에 의해 원형의 봉 형상뿐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경되어 형성되어질 것은 분명해진다.It is apparent that the
그리고, 굴신가능부분(103)과 굴신불가능부분(97)이 교호로 연결되어지는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의 단부는 굴신가능부분인 금속봉(103)이 될 수도 있고 굴신불가능부분인 합성수지제 봉(97)이 될 수도 있는데 첨부한 도면의 도 9를 참조하면 이 둘의 굵기가 서로 다르다.The ends of the flexible
따라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상술한 호스거치판(2)과 타단부에 연결되는 상술한 수도꼭지(91) 연결용 어댑터(5, 15, 25)는 결합상대가 금속봉(103)이 되느냐 아니면 합성수지제 봉(97)이 되느냐에 따라서 결합수단의 크기나 형상이 달라질 수 도 있지만 이같은 변경은 공지기술에 의하여 해결이 되어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의 일단부에는 상술한 호스거치판(2)이 결합하고 타단부에는 상술한 수도꼭지(91) 연결용 어댑터(5, 15, 25)가 결합한다.Therefore,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렉시블 호스거치봉(109)의 굴신이 비자유로운 합성수지제 봉(97)에 호스고정구(108)를 설치하는데, 상단부의 일부의 폭이 줄어들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방이 개구된 탄력성이 있는 재질의 호스고정구(108)는 개구된 상방으로 호스(10)의 출입이 가능하여서 호스고정구(108)에 호스(10)를 거치할 수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거치된 호스(10)의 탈락도 방지할 수가 있게 됨으로서 상기 호스고정구(108)는 상술한 호스거치판(2)의 구실도 겸할 수가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는 거치된 호스의 단부에서 토출되는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할 수 가 있게 됨으로서 매 작업시 마다의 작업여건에 적합하도록 토출수의 위치를 조절하여서 편리하게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가 있고, 또 호스의 길이와 호스단부의 부착물 예를들면 살수용 스프레이 등에 상관없이 호스를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거치할 수 가 있게 됨으로서 수도꼭지로부터 거리가 먼 곳으로 급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길이가 긴 호스가 수도꼭지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수도간에서의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경우에는 긴 호스의 단부를 수도간으로 끌고 와서 한손으로 호스를 들고 다른 한손으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해오던 종래의 불편함이 없이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호스를 해제가 용이하게 거치해두고서 양손으로 수돗물사용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The position of the discharged water discharged from the end of the hos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d water is adjusted to suit the working conditions of each operation, The hose can be mounted on the hose holder for the faucet irrespective of the length of the hose and the attachment of the end of the hose, for example, a water-spraying spray or the like,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a position far from the faucet Even when the long hose is connected to the faucet,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of using the tap water in the water tank is to draw the end of the long hose to the water line and use the tap with one hand while holding the hose with one hand Without the hose for the faucet, the hose can be easily lifted and released. There i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use tap water operation.
아울러서, 수도꼭지에 호스를 연결할 때 대개의 사용자가 호스 길이를 여유있게 연결하는 것을 선호하여서 수돗물이 토출되는 호스의 단부가 용기 또는 땅 바닥면에 맞닿은 채로 유지되어서 위생상 불결한 종래의 문제점도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에 호스를 거치해 둠으로서 해소가 된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a hose to a faucet, most users prefer to connect the length of the hose with sufficient space, so that the end of the hose through which the tap water is discharged is kep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or the ground, It is solved by putting the hose in the mount.
그리고, 수도꼭지에 연결되어지는 연결용 어댑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가능토록 된 연결용 어댑터나 수도꼭지의 토수관에 연결되어 토출수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바꾸어주는 L형 엘보와 일체로 된 연결용 어댑터 등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용도에 유리한 연결용 어댑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adapter connected to the fauce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dapter or the water pipe of the faucet which is allowed to rotate to the left or right, and is connected with the L-shaped elbow which changes the flow of the discharged wa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user can select a connection adapter which is advantageous for his / her own use.
또한, 호스를 거치하여 지탱할 정도의 강성을 지닌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사용자가 손으로 굽히거나 펴는 굴신작업은 노약자가 행하기에는 쉽지 않고 한번 굽혀진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을 다시 곧게 펴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음이 명백함으로 굴신작업 보조구로 후렉시블 호스거치봉의 굴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게 되는 유리함도 있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the elderly person to bend or straighten the flexible hose mounting rod with the rigidity enough to stand by the hose, and it is not easy to straighten the bent flexible hose mounting rod once again.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lexible hose mounting bar to the work auxiliary port which is provided by the hinge.
1: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 2: 호스거치판
3:후렉시블 호스거치봉 4: 굴신작업 보조구 5, 15, 25: 연결용 어댑터
6: 고정식 호스고정구 7: 이동식 호스고정구 10: 호스
26: 걸림턱 68: L형 엘보 93: 회동구
98: 결합구 99: 고정구 106: 핀1: Hose holder for faucet 2: Hose holder plate
3: Flexible hose mounting rods 4: Supporting working
6: Fixed hose fixture 7: Movable hose fixture 10: Hose
26: Retaining jaw 68: L-shaped elbow 93:
98: coupling member 99: fixture 106: pin
Claims (12)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봉(3)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A tap connection adapter (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 to form a main body in which a hose fixing plate (2), a rod (3), and an adapter for connecting a faucet (5) are connected in series;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installed in the rod (3) with the movable hose fixture (7) being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양단의 구멍이 연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굴신작업 보조구(4)가 상기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봉(3)을 상기 중공부에 끼워서 봉(3)에 설치되고;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굴신작업 보조구(4)가 설치된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봉(3)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A tubular working support member 4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holes at both ends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Installed;
A tap 3 for connecting the fauc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 so that the rod 3 and the faucet connection adapter 5 provided with the hose mounting plate 2 and the bending work aid 4 are arranged in a line A body to be connected;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installed in the rod (3) with the movable hose fixture (7) being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양단의 구멍이 연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굴신작업 보조구(4)가 상기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봉(3)을 상기 중공부에 끼워서 봉(3)에 설치되고;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굴신작업 보조구(4)가 설치된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되어진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A tubular working support member 4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holes at both ends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Installed;
A tap 3 for connecting the fauce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3 so that the rod 3 and the faucet connection adapter 5 provided with the hose mounting plate 2 and the bending work aid 4 are arranged in a line A body to be connected;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provided with a movable hose fastener (7) integrally formed with the working work auxiliary tool (4)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되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봉(3)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The other end of the rod 3 is coupled to the faucet connecting adapter 15 which is turned to the left or right side so that the hose connecting plate 2 and the rod 3 and the faucet connecting adapter 15 are connected in series ;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installed in the rod (3) with the movable hose fixture (7) being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양단의 구멍이 연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굴신작업 보조구(4)가 상기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봉(3)을 상기 중공부에 끼워서 봉(3)에 설치되고;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되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굴신작업 보조구(4)가 설치된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봉(3)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A tubular working support member 4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holes at both ends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Installed;
The other end of the rod 3 is connected to the faucet connection adapter 15 which is turn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thread coupling so that the rod 3 connected to the hose mounting plate 2 and the bending work assistant 4 is connected to the faucet (15) are connected in series;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installed in the rod (3) with the movable hose fixture (7) being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양단의 구멍이 연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의 굴신작업 보조구(4)가 상기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봉(3)을 상기 중공부에 끼워서 봉(3)에 설치되고;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목돌림 회동이 되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굴신작업 보조구(4)가 설치된 봉(3)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씩의 고정식 호스고정구(6)와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설치되되,
상기 봉(3)에는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와 일체로 되어진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가 봉(3)을 축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capable of entering and exiting the hose 10 is joined to one end of the rod 3 whos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motion and whose surface is resistant to corrosion;
A tubular working support member 4 having a hollow portion for communicating holes at both ends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3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Installed;
The other end of the rod 3 is connected to the faucet connection adapter 15 which is turned to the left or right by the thread coupling so that the rod 3 connected to the hose mounting plate 2 and the bending work assistant 4 is connected to the faucet (15) are connected in series;
At least one stationary hose fixture (6) and a movable hose fixture (7)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rod (3) is provided with a movable hose fastener (7) integrally formed with the working work auxiliary tool (4) so as to be movable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od (3).
상기 봉(3)의 타단에는 수도꼭지(91)의 토수관에서 거의 수직으로 떨어지는 수돗물의 진로를 수평방향으로 바뀌어주는 내부로 수돗물의 통로가 관통된 L형 엘보(68)와 일체로 된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2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ther end of the rod 3 is connected to a tap for connection to a faucet 91, which is integrated with an L-shaped elbow 68 through which a passage of tap water is passed and which changes the course of tap water, And an adapter (25) is coupled to the hose holder.
어닐링(annealing)철선에 굴신성 있는 합성수지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3).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ated with an oily synthetic resin on an annealing wire.
상기 굴신작업 보조구(4)를 사용하여서 상기 봉(3)을 굴신할 때에 굴신작업 보조구(4)의 내면상에서 봉(3)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면에 걸림턱(26)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신작업 보조구.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When the bar 3 is bent by using the working aid 4, the bar 3 is prevented from slipp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ar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ing members.
상기 이동식 호스고정구(7)는 체결돌편(23)과 체결돌편(23)에 순차적으로 체결하는 체결공(16)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 형성한 밴드로 구성되는 호스고정구(7)이고, 상방으로 밴드를 둘러도 체결돌편(23)과 체결공(16)이 체결되고 하방으로 밴드를 둘러도 체결돌편(23)과 체결공(16)이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호스고정구.The method of claim 3,
The movable hose fixture 7 is a hose fixture 7 formed of a band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6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herein the fastening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hole (16) ar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23) and the fastening hole (16) can be fastened even when the band is bent downward.
상기 봉(109)의 타단에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결합되어서, 호스거치판(2)과 봉(109)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호스고정구(10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rod 103 having at least two or more portions 103 free from bending and being deformed by bending and being connected alternately with the portion 103 in which th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and the portions 97 in which the bending and the bending are not free are alternately connected A hose mounting plate 2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hose 10 can enter and exit is coupled;
A tap connection adapter 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rod 109 to constitute a main body in which a hose fixing plate 2, a rod 109 and an adapter 5 for connecting a faucet are connected in series;
Wherein at least two hose fasteners (108) a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상기 봉(109)의 타단에는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결합되어서, 호스고정구(108)가 설치된 봉(109)과 수도꼭지 연결용 어댑터(15)가 일렬로 연결되는 본체를 이루고;
상기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스고정구(108)가 더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용 호스거치대.A rod 103 having at least two or more portions 103 free from bending and being deformed by bending and being connected alternately with the portion 103 in which the shape is changed by the bending and the portions 97 in which the bending and the bending are not free are alternately connected A hose fixing hole 108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se 10 to prevent the hose 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se 10;
The other end of the rod 109 is connected to an adapter 15 for connecting a faucet to form a main body in which a rod 109 with a hose fixing port 108 and a faucet connection adapter 15 are connected in series;
Wherein at least one hose fixing hole (108)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69162A KR102029549B1 (en) | 2017-12-11 | 2017-12-11 | hose holder for t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169162A KR102029549B1 (en) | 2017-12-11 | 2017-12-11 | hose holder for tap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68912A true KR20190068912A (en) | 2019-06-19 |
| KR102029549B1 KR102029549B1 (en) | 2019-10-07 |
Family
ID=6710447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169162A Active KR102029549B1 (en) | 2017-12-11 | 2017-12-11 | hose holder for tap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029549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04132A (en) | 2019-07-03 | 2021-01-13 | 유임호 | Water hose holder for domestic use |
| KR102219605B1 (en) * | 2020-12-27 | 2021-02-23 | 심태선 | Tripod for supporting of fire fighting hose |
| KR102657012B1 (en) * | 2023-09-13 | 2024-04-11 | 박종수 | The hose holder for tap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10008907Y1 (en) * | 1989-03-17 | 1991-11-15 | 강준상 | Supporter of shower head |
| JP2001173843A (en) * | 1999-12-17 | 2001-06-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Tube holder |
| KR200253338Y1 (en) * | 2001-07-30 | 2001-11-22 | 안병윤 | Water service device of sink for kitchen |
| KR20120008219U (en) * | 2011-05-23 | 2012-12-03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Faucet |
-
2017
- 2017-12-11 KR KR1020170169162A patent/KR1020295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10008907Y1 (en) * | 1989-03-17 | 1991-11-15 | 강준상 | Supporter of shower head |
| JP2001173843A (en) * | 1999-12-17 | 2001-06-29 | Sumitomo Wiring Syst Ltd | Tube holder |
| KR200253338Y1 (en) * | 2001-07-30 | 2001-11-22 | 안병윤 | Water service device of sink for kitchen |
| KR20120008219U (en) * | 2011-05-23 | 2012-12-03 | 로얄앤컴퍼니 주식회사 | Faucet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04132A (en) | 2019-07-03 | 2021-01-13 | 유임호 | Water hose holder for domestic use |
| KR102219605B1 (en) * | 2020-12-27 | 2021-02-23 | 심태선 | Tripod for supporting of fire fighting hose |
| KR102657012B1 (en) * | 2023-09-13 | 2024-04-11 | 박종수 | The hose holder for tap |
| CN118640331A (en) * | 2023-09-13 | 2024-09-13 | 朴锺秀 | Hose holder for fauce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29549B1 (en) | 2019-10-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595683B1 (en) | Repositionable and adjustable baskets shelves and accessories | |
| US7293302B2 (en) | Showerhead holder | |
| KR20190068912A (en) | hose holder for tap | |
| US8141826B1 (en) | Pipe holding bracket | |
| US63152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faucet to a hand-held shower | |
| US7191794B2 (en) | Mixing valve mounting assembly | |
| US20050127211A1 (en) | Method and assembly for conversion of a standard showerhead to a spray bar | |
| US7707664B1 (en) | Bathroom cleansing apparatus | |
| US6415461B1 (en) | Adjustable shower system | |
| US12173486B2 (en) | Shower curtain rod facilitating dual shower heads | |
| US20070205336A1 (en) | Hose Attachment For Securing A Hose Adjacenta Shampoo Bowl | |
| US20100084027A1 (en) | Slip-fit clamping system for mounting a fitting on a wall | |
| KR100438021B1 (en) | Toiletry Holder | |
| US20250089948A1 (en) | Magnetically mounted shower items | |
| KR200437480Y1 (en) | Bath Detachment | |
| US20160038955A1 (en) | Shower spa attachment | |
| US6324293B1 (en) | Microphone sanitizer and holster | |
| US4439876A (en) | Clamp assembly for flexible pipe installations primarily for therapy baths | |
| KR200471357Y1 (en) | Sticking elements for shower flag head | |
| US20030208843A1 (en) | Shower mounted douche/bidet apparatus and mehtod | |
| GB2468654A (en) | Fluid flow connector | |
| US20090183307A1 (en) | Shower fitting | |
| US20150328646A1 (en) | Shower Head Attachment | |
| WO2004056232A2 (en) | Hand and fingernail cleaning apparatus | |
| JPH08128734A (en) | Connection tool for bathtub fitt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