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31629A -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1629A
KR20190031629A KR1020170119290A KR20170119290A KR20190031629A KR 20190031629 A KR20190031629 A KR 20190031629A KR 1020170119290 A KR1020170119290 A KR 1020170119290A KR 20170119290 A KR20170119290 A KR 20170119290A KR 20190031629 A KR20190031629 A KR 20190031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nic pen
pattern
pen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원
정재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2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2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2터치
Priority to KR102017011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1629A/ko
Publication of KR2019003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62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터치 센서들; 상기 터치 센서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센서 신호선들; 및 상기 터치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for interlocking with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전자 펜(electronic pen)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그리고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물론,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그리고 IPTV(Internet Protocol TV)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그리고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위에 부가되는 온셀(On-cell) 타입의 터치 스크린과,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 일체형으로 내장되는 인셀(In-cell) 타입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부착형(add-on type)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상판형(on-cell type) 디스플레이, 그리고 터치 스크린 내장형(in-cell type) 디스플레이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검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손가락 또는 전자 펜 등과 같은 터치 입력 도구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배열된 터치 센서(touch sensor)에 접촉 또는 접근함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에서 발생하는 터치 커패시턴스(Ct: touch capacitance)에 의한 전압 변화에 기반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이 상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펜은, 스타일러스(stylus) 펜, 액티브(active) 펜, 또는 디지털(digital) 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의 손가락(미부호)에 의한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2 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한 제1 터치 위치(P1)와 제2 터치 위치(P2)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는, 줌-업(Zoom-Up))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예: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확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2 개의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터치한 제1 터치 위치(P1)와 제2 터치 위치(P2) 간의 이격 거리를 감소시키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는, 줌-다운(Zoom-Down)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축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줌-업과 줌-다운은, 줌-인(Zoom-In)과 줌-아웃(Zoom-Out) 등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으며, 이하에는, 줌-업과 줌-다운으로 통칭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전자 펜(120)과 연동하여, 터치 여부와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120)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의 임의의 위치를, 2 회 연속 신속하게 터치하는 경우, 줌-업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확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120)을 이용하여 2 회 연속 신속하게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0)는, 줌-다운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확대 표시된 이미지를 축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은,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줌 배율로만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업 동작은, 3 배(x3) 확대로 설정되고,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다운 동작은, 원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1 배(x1)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펜(120)을 이용하여 터치를 수행하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예: x1.8, x2.6 등)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다수의 터치 센서들; 상기 터치 센서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센서 신호선들; 및 상기 터치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수 모드는, 줌 모드, 회전 모드, 또는 이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외부 호스트 IC와 사전에 규약된 통신 포맷에 따라,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고유의 식별 값으로 기록되어 전송되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실시간 비트 스트림의 제어 값으로 기록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특수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펜 드로잉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상기 식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나선형 패턴, 원형 패턴, 또는 직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압력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 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터치 신호의 변화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펜 드로잉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나선형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나선형 패턴이 외부로 확장되는 경우, 줌-업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나선형 패턴이 내부로 수렴되는 경우, 줌-다운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원형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원형 패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계 방향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원형 패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직선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직선 패턴이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상하 방향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직선 패턴이 좌우로 이동되는 경우, 좌우 방향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호스트 IC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V)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자 펜을 이용하여 터치를 수행하던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상기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예: x1.8, x2.6 등)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상기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거리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데이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가이드 이미지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고, 하나의 터치 센서가 자체적으로 터치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는 셀프(self)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된 송신(Tx) 터치 센서와 수신(Rx) 터치 센서가 한 쌍으로 연동하여, 터치 커패시턴스를 발생시키는 상호(mutual) 커패시턴스 방식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LCD, PDP, OLED, 또는 마이크로 LE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위에 부가되는 온셀(On-cell) 타입의 터치 스크린이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내부에 일체형으로 내장되는 인셀(In-cell) 타입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폰, 태블릿, PDA, PMP,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 또는 IPTV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10), 디스플레이(220), 오디오부(230), 통신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저장부(260), 그리고 제어부(270)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전자 펜에 의한 터치 검출, 그리고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는, 접촉에 의한 리얼 터치(real touch)와 근접에 의한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20)는, LCD, PDP, OLED 또는 마이크로 LE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상기 오디오부(230)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원거리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을 모두 또는 일부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 또는 주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60)는, 예를 들어, 대용량의 스토리지(storage)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각 구성 요소들과 연동하여,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는 씨피유(CPU) 또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7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 터치에 의한 줌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오브젝트를,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전자 펜 터치에 의한 줌(zoom)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7)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상기 전자 펜만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방향 및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전자 펜 터치에 의한 회전(rotate) 동작 또는 이동(move) 동작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210)는, 손가락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전자 펜에 의한 터치 검출과,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pressure signal)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은, 예를 들어, 다수의 터치 센서들(211)과, 다수의 센서 신호선들(212), 그리고 터치 드라이브 IC(TDI: Touch Drive IC)(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들(211)은, 다수의 로우(row)와 컬럼(column)의 매트릭스(matrix)로 배열될 수 있고, 터치 패드, 터치 패턴, 또는 센서 패턴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신호선들(212)은, 상기 터치 센서들(211)에 연결되고, 상기 터치 센서들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커패시턴스(Ct)를,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상기 터치 센서들(211)을 구동하고, 상기 터치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터치 커패시턴스(Ct)를 상기 센서 신호선들(212)을 통해 수신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상기 전자 펜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고, 터치 IC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다양하게 일컬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터치 구동을 위한 구동부(2131), 터치 검출을 위한 터치 검출부(2132), 터치 신호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부(2133), 터치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부(2134),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2135), 터치 구동 및 검출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2136), 터치 검출의 타이밍 제어를 위한 타이밍 제어부(2137), 터치 구동 전압 생성을 위한 전압 생성부(2138), 그리고 외부 통신을 위한 통신부(2139) 등을 모두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136)는, 상기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통신부(2139)를 통해 외부 구성 요소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2139)을 통해,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IC(DDI: Display Drive IC)와 연동하거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씨피유(CPU) 또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등과 연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상기 디스플레이 드라이브 IC(DDI)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2136)는, 상기 터치 검출부(2132)와 상기 신호 처리부(2133), 그리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213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펜에 의한 터치 검출은 물론,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 등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 펜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은, 양방향 통신의 전자 펜과, 단방향 통신의 전자 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통신의 전자 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터치 스크린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 펜과 터치 스크린에는, 양방향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단방향 통신의 전자 펜은, 예를 들어,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의 무선 주파수 신호 등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터치 센서를 통해 단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별도의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방향 통신의 전자 펜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전자 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펜(300)은, 예를 들어, 단방향 통신의 전자 펜일 수 있고,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하나 이상의 버튼(button), 그리고 송신 안테나로 동작하는 팁(tip) 등을 모두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3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 형상의 본체(301)를 포함할 수 있고, 클릭 버튼(click button)(302), 삭제 버튼(erase button)(303), 그리고 팁(tip)(309) 등이, 상기 본체(30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릭 버튼(302)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컴퓨터 마우스의 우측 버튼 등에 해당하는 제1 기능 키(function key 1)일 수 있고, 상기 삭제 버튼(303)은, 라인(line) 또는 페이지(page) 삭제 버튼 등에 해당하는 제2 기능 키(function key 2)일 수 있다.
상기 팁(309)은, 예를 들어, 전도성 재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수직 이동이 가능하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는 지향성 송신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301)의 내부에는, 전원 소스(304), 센서 유니트(305), 펄스 발생기(306), 엔코더(307), 송신기(30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소스(304)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센서 유니트(305)는, 가속도 센서와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전자 펜의 사용 여부 판단에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팁(309)의 수직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압력 레벨 측정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유니트(305)와, 상기 펄스 발생기(306), 그리고 상기 엔코더(307)는, 예를 들어, 하나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C)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펄스 발생기(306)는, 사전에 설정된 고유 주파수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엔코더(307)는, 예를 들어, 상기 클릭 버튼(302)와 상기 삭제 버튼(303)의 키 입력 상태에 해당하는 디지털 값과, 상기 압력 센서의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 디지털 값을 부호화하여, 상기 펄스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송신기(308)은, 지향성 송신 안테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팁(309)을 통해, 상기 펄스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예: FSK 변조 신호 등)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300)은, 예를 들어, 슬립(slip) 모드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의 가속도가 검출되면, 동작(operating)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의 구성 및 동작은, 공지 기술에 해당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데이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손가락 또는 전자 펜에 의한 터치로 인해, 상기 터치 센서들(211)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전자 펜(300)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213)은,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모드(special mode)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특수 모드는, 줌(zoom) 모드, 회전(rotate) 모드, 또는 이동(move)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외부 호스트 IC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의 씨피유 또는 메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메인 프로세서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식별 데이터와 상기 제어 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와 사전에 규약된 통신 포맷에 따른 부가 데이터(Additional Data)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어, 1 바이트의 패킷 아이디(Packet ID), 2 바이트의 총 패킷 개수(Total Packet Num), 1 바이트의 현재 패킷 번호(Cur Packet Num), 그리고 58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로드에는, 예를 들어, 2 바이트의 시작 코드(Start Code), 1 바이트의 타입 코드(TYPE), 2 바이트의 길이(Length), 그리고 2 바이트의 종료 코드(End Code) 등이 포함되며, 상기 종료 코드의 앞에는, 다양한 유형의 실질적인 부가 데이터(Additional Dat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인 부가 데이터는, 예를 들어, 버전 정보(Version), 칼리브레이션 종료 메시지(Calibration Finish Message), 프레임 데이터(Frame Data), 또는 전자 펜 데이터(Electronic Pen Dat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펜 데이터는,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상기 부가 데이터가, 전자 펜 데이터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타입 코드(TYPE)에는, 0xFA 값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타입 코드의 특정 값은, 하나의 실시예의 값으로서, 임의의 다른 값으로 기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타입 코드(TYPE)가, 0xFA 값인 경우, 2 바이트의 길이(Length) 정보와 2 바이트의 종료 코드(End Code) 사이에는, 실질적인 부가 데이터로서 전자 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 데이터는, 예를 들어, 4 비트의 펜 아이디(Pen ID), 4 비트의 펜 터치 및 릴리스(Pen Touch & Released), 1 바이트의 펜 압력(Pen Press)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펜 데이터는,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의 줌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Z-Mode), 회전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R-Mode), 그리고 이동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M-M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Z-Mode)가 1의 값이고, 회전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R-Mode)와 이동 모드 진입을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M-Mode)가, 각각 0의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는, 줌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전자 펜 데이터는, 상기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와 함께, 각 특수 모드에 대응되는 펜 드로잉 패턴(pen drawing pattern)의 가이드(guide) 이미지 표시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줌 모드에 대응되는 나선형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Z-Guide), 회전 모드에 대응되는 원형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R-Guide), 그리고 이동 모드에 대응되는 직선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M-Gu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모드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Z-Guide)가 1의 값이고, 회전 모드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R-Guide)와 이동 모드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1 비트의 식별 데이터(M-Guide)가, 각각 0의 값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는, 줌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나선형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전자 펜 데이터는, 상기 특수 모드에 대응되는 고유의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바이트의 줌 값(Zoom Value)과, 1 바이트의 회전 값(Rotation Value), 그리고 1 바이트의 이동 값(Move Valu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2 바이트의 펜 X 좌표(Pen X Coor)와 2 바이트의 펜 Y 좌표(Pen Y Coo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바이트의 줌 값은, 줌 모드 진입 이후에 전송되며, 사용자의 펜 드로잉 패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임의의 줌 배율 값일 수 있고, 상기 1 바이트의 회전 값은, 회전 모드 진입 이후에 전송되며, 사용자의 펜 드로잉 패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임의의 회전 방향 및 각도 값일 수 있고, 상기 1 바이트의 이동 값은, 이동 모드 진입 이후에 전송되며, 사용자의 펜 드로잉 패턴의 분석 결과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임의의 이동 방향 및 거리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 펜 데이터, 상기 식별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임의의 다른 길이(length)로 할당될 수 있으며, 임의의 다른 명칭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가이드 이미지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300)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300) 상의 임의의 한 포인트(P)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에 포함된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하여 압력(Pressure)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 펜(300)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압력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 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줌 모드, 회전 모드, 그리고 이동 모드 등과 같은 특수 모드로의 진입을, 사용자가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값은, 특수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기준 압력 크기와 기준 카운트 시간의 조합이거나, 기준 압력 변화 량과 기준 카운트 시간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가, 상기 기준 압력 크기 이상이면서, 상기 기준 카운트 시간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로 판단하거나,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의 변화 량이, 상기 기준 압력 변화 량 이상이면서, 상기 기준 카운트 시간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기준 압력 크기, 상기 기준 압력 변화 량, 그리고 상기 기준 카운트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다단계로 구분하여, 줌 모드, 회전 모드, 그리고 이동 모드 중 어느 한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로 세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가, 상기 기준 압력 크기 또는 상기 기준 압력 변화 량 이상이면서, 제1 기준 카운트 시간(예: 3초)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줌 모드 진입에 해당하고, 제2 기준 카운트 시간(예: 4초)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회전 모드 진입에 해당하고, 제3 기준 카운트 시간(예: 5초) 동안 계속 유지되는 경우, 이동 모드 진입에 해당한다고 세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판단 결과, 줌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인 경우,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줌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예: 1 값의 Z-Mode, 1 값의 Z-Guide 등)를 생성하여, 부가 데이터 내에 기록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줌 모드 진입 이후, 펜 드로잉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로서, 나선형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판단 결과, 회전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인 경우, 회전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예: 1 값의 R-Mode, 1 값의 R-Guide 등)를 생성하여, 부가 데이터에 기록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회전 모드 진입 이후, 펜 드로잉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로서, 원형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판단 결과, 이동 모드 진입을 위한 사용자 요구인 경우, 이동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예: 1 값의 M-Mode, 1 값의 M-Guide 등)를 생성하여, 부가 데이터에 기록한 후,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이동 모드 진입 이후, 펜 드로잉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로서, 직선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형상은, 임의의 다른 형상은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형상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부가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300)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300) 상의 임의의 한 포인트(P)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에 포함된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하여 압력(Pressure)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 펜(300)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줌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줌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나선형의 펜 드로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형의 펜 드로잉 패턴이 외부로 확장되는 경우, 줌-업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예: x1.8, x2.6)로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 상기 나선형의 펜 드로잉 패턴이 내부로 수렴되는 경우, 줌-다운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줌 배율(예: x1.8, x1)로 축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나선형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줌-업 동작과 상기 줌-다운 동작은, 줌 모드 진입 직전에,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터치한 포인트(P)를 기준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포인트(P)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300)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300) 상의 임의의 한 포인트(P)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에 포함된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하여 압력(Pressure)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 펜(300)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회전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회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원형의 펜 드로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원형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펜 드로잉 패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계 방향의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회전 방향 및 각도로 회전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동작은, 회전 모드 진입 직전에,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터치한 포인트(P)를 기준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포인트(P)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제어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과 같은 오브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300)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300) 상의 임의의 한 포인트(P)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210)에 포함된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사용자가 상기 전자 펜을 이용하여 압력(Pressure)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 펜(300)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이동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TDI)는, 상기 이동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직선의 펜 드로잉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직선의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되거나, 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펜 드로잉 패턴이 좌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경우, 좌측 수평 방향의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이 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경우, 우측 수평 방향의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상하좌우 방향 및 이동 거리로 이동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동작은, 이동 모드 진입 직전에, 사용자가 전자 펜을 이용하여 터치한 포인트(P)를 기준으로 수행되거나, 상기 포인트(P)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200: 전자 장치 210: 터치 스크린
220: 디스플레이 230: 오디오부
240: 통신부 250: 인터페이스부
260: 저장부 300: 전자 펜

Claims (11)

  1.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다수의 터치 센서들;
    상기 터치 센서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센서 신호선들; 및
    상기 터치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터치 신호와, 상기 전자 펜에서 발생하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호스트 IC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모드는, 줌 모드, 회전 모드, 또는 이동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데이터는, 상기 외부 호스트 IC와 사전에 규약된 통신 포맷에 따라,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고유의 식별 값으로 기록되어 전송되고,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실시간 비트 스트림의 제어 값으로 기록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특수 모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펜 드로잉 패턴의 가이드 이미지 표시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상기 식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가 데이터 레지스터 내에 기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이미지는, 나선형 패턴, 원형 패턴, 또는 직선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압력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 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특수 모드 진입을 위한 식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식별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터치 신호의 변화에 기반하여 검출되는 펜 드로잉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특수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나선형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나선형 패턴이 외부로 확장되는 경우, 줌-업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나선형 패턴이 내부로 수렴되는 경우, 줌-다운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원형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원형 패턴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시계 방향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원형 패턴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반시계 방향 회전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펜 드로잉 패턴은, 직선 패턴이고,
    상기 터치 드라이브 IC는,
    상기 직선 패턴이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 상하 방향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직선 패턴이 좌우로 이동되는 경우, 좌우 방향 이동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호스트 IC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넷북, 노트북, DID(Digital Information Device), 또는 IPTV(Internet Protocol TV) 중 적어도 하나의 메인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KR1020170119290A 2017-09-18 2017-09-18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Withdrawn KR20190031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290A KR20190031629A (ko) 2017-09-18 2017-09-18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290A KR20190031629A (ko) 2017-09-18 2017-09-18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29A true KR20190031629A (ko) 2019-03-27

Family

ID=6590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290A Withdrawn KR20190031629A (ko) 2017-09-18 2017-09-18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16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879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ing grip sensing
KR102081817B1 (ko)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KR102139110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에서 그립 센싱을 이용한 제어 방법
US9880642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1910983B (zh) 无线通信装置和拼合式触敏用户输入表面
TW201303655A (zh) 無線傳輸觸控筆與觸控顯示系統
EP3447626A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0116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8860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ibration
US20120268373A1 (en) Method for recognizing user's gesture in electronic device
KR20140111790A (ko) 가상 키보드에서 난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08637A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EP299883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HK1215737A1 (zh) 手势遥控、接收装置、无线遥控系统和操作终端设备方法
CN100401251C (zh) 移动装置和显示器上的应用之间的直接通信的方法和系统
KR20140143052A (ko) 멀티 레벨 드라이버를 구비한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US20140348334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earphone connection
KR200477008Y1 (ko) 마우스 겸용 스마트폰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1930283A (zh) 整合式有线/无线鼠标
KR102106354B1 (ko)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90031629A (ko) 전자 펜과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KR2011006654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