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720A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0720A KR20190020720A KR1020190021287A KR20190021287A KR20190020720A KR 20190020720 A KR20190020720 A KR 20190020720A KR 1020190021287 A KR1020190021287 A KR 1020190021287A KR 20190021287 A KR20190021287 A KR 20190021287A KR 20190020720 A KR20190020720 A KR 201900207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generating
- power supply
- case
- generating device
- char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24F40/95—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case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외장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충전 수용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달할 전력을 저장하는 보조 축전 장치, 및 상기 보조 축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수용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where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eater,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he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Th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case, a charge receiving portion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evice, wherein the charge accommodating portion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se such that the charging accommodating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being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전력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rected to a charging system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various power supply means.
공기 중의 에어로졸,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라는 것도 또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Inhalation of an aerosol in the air, that is to say a so-called tobacco smoke,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inhalation of an aerosol, can be achieved. Conventionally, cigarette-like cigarettes were almost the only means of inhalation of such a substance, but recently electronic cigarettes have become another means. The electronic cigarett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cigarette-type cigarette which generates smoke by burning the inhaled substance by vaporizing the inhaled substance by applying heat or ultrasonic waves to the cartridge containing the inhaled substance in liquid form,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various harmful substances which can be generated by combustion, in particular.
또한, 궐련 형태의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서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전자 담배에서는, 건조 담배잎이 채워지는 궐련부의 구성을 갖는 통상의 담배와는 다르게, 흡입 물질이 함침되거나 표면에 묻혀진 종이로 채워진다. 전자 담배를 홀더에 끼우고 홀더 내부의 히터가 가열되어 궐련부 내부의 흡입물질을 기화시키면 사용자가 필터부를 통해 기화되는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종전의 전자 담배와 마찬가지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은 가지면서 통상의 담배를 피울 때와 똑같은 메카니즘으로 필터부를 통해 기화된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통상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mand of consumers who prefer a cigarette-like ordinary cigarette, a filter portion of a normal cigarette and an electronic cigarette having the shape of a cigarette portion have been proposed. And is sucked by a user through a filter portion having a configuration equivalent to a normal cigarette while being vaporized by a heater. In such an electronic cigarette, unlike a normal cigarette having a structure of a cigarette portion filled with dry tobacco leaves, the suction material is impregnated or filled with paper buried on the surface. When the electronic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holder and the heater inside the holder is heated to vaporize the suction material in the cigarette portion, the user can suck in the suctioned material to be vaporized through the filter portion. As with conventional electronic cigarettes, it has the advantage of not burning, and it can absorb the inhaled material that is vaporized through the filter part by the same mechanism as that of a normal cigarette,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same feeling as smoking a normal cigarette .
전자담배는 일정시간 사용 후 전자담배 내부의 충전기를 분리하여 별도의 충전기에 의해 재충전을 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하루 내지 이틀 정도 사용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재충전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흡입하는 도중에 사용이 중단되곤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자담배의 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배터리의 용량을 늘리기도 하지만 배터리의 크기가 커져서, 전자 담배의 무게와 외형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중에는 배터리만 따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전자담배가 나와 있기는 하나, 사용자가 항시 배터리를 휴대해야하며, 배터리를 분리하여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배터리 분실 우려도 있었다.The electronic cigarette can be us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separating the charger inside the electronic cigarette and recharging it by a separate charger. Normally, if the battery is discharged for a day or two, the battery must be recharged.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was to be stopped. Further, although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s increased in order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the size of the battery increases, and the weight and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cigarette increase. In addition, although electronic cigarettes are shown so that only the battery can be replaced separately on the market, users have to carry the battery at all times and have to charge the battery by removing the batter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소를 수반하지 않으며 흡입 물질을 다양화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im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oes not involve combustion and can diversify the inhaling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흡입하는 도중에 사용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흡연이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for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smoking while the user is in use without interruption in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탈착식의 축전장치 또는 추가의 보조 축전장치를 통해 간편하게 전력공급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이 편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for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supply electric power through a removable storage device or an additional auxiliary storage device, and which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us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충전 수용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달할 전력을 저장하는 보조 축전 장치; 및 상기 보조 축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수용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a heater;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eater, wherein the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comprises: a case; A charge receiving portion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electric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to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mmodated in the charg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charge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The case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cas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다.In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with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being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충전 수용부에 부착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by a magnetic forc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se is open at one sid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to face an opened one side of the cas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수용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receiv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 side su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보조 축전 장치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더 포함한다.In th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includes an LED for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the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USB포트를 더 포함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includes a USB port powered by an external power supply.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irst button por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보조 전력 공급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버튼부를 더 포함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includes a second button portion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시스템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 형태의 담배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담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담배를 가열한다.In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artridge for receiving a cigarette-shaped cigarette, the heater being inserted into the cigarette to heat the cigaret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도 에어로졸 형성 물질 을 기화시킬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vaporizing an aerosol forming material without involving combustion.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하여 원치 않는 작동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rging system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power supply in various ways, thereby preventing an unwanted shutdow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의 제1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의 제2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의 제3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first oper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system shown in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cond oper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third oper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system shown i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usable in a state where the apparatus is housed in an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들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deduce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mbodiment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s " comprising " or " comprising "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not be included, or may be interpreted to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 RTI ID = 0.0 > expression < / RTI > includes plural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commonly used generic terms that may be consider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upon the intent or circumstance of the skilled artisa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본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matter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의 제1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시스템의 제2 작동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l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first operating example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cond operation example of the charging system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이하 "충전 시스템")(1000)은 전류를 인가하면 저항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20)와, 히터(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70)와, 히터(2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충전 수용부(22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달할 전력을 저장하는 보조 축전 장치(230)와, 보조 축전 장치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를 포함하는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charg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ging system") 1000 of a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a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예열하기 위해 누를 수 있는 제1 버튼부(40)와 전류를 인가하면 저항에 의해 발열을 하는 히터(20)와 상기 히터(20)에 순간적으로 높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부(70)와 상기 히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20)는, 카트리지(10)에 수용된 일정 온도 이상 가열 시 기화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된 기화재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킨다.Referring to FIG. 2, the
예컨대, 사용자가 제1 버튼부(40)를 조작하여 제어부(50)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면, 축전부(70)에서 히터(20)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하여 히터(20)를 가열할 수 있다. 반대로, 히터(20)가 가열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제1 버튼부(40)를 조작하면, 제어부(50)에는 비활성화 신호가 전달되어 축전부(70)에서 히터(2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흡입 물질이 함침되거나 표면에 묻혀진 종이로 채워진 궐련 형태의 전자 담배를 상기 카트리지(10)에 삽입하면 상기 히터(20)가 가열되어 궐련부 내부의 흡입물질을 기화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필터부를 통해 기화되는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igarette-shaped electronic cigarette, which is impregnated with the suction material or filled with the surface of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제어부(50)는 히터(20)에 전력이 부족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작동이 불가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작동 준비가 완료된 경우에는 모터(80)를 구동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진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제어부(50)는 축전부(70)의 전력 잔량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형성된 제1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해 주며, 히터(20)에 공급되는 전력이 부족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작동이 불가할 경우에도 제1 표시부를 통해 축전부(7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축전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전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충전 수용부(220)의 충전단자(223)와 접속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충전단자(30)를 통해 배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전력을 공급받을 때 제어부(50)는 축전부(7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2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The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충전단자(30)를 통해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전단자(223)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별도의 무선통신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구비된 무선통신포트와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에 구비된 무선통신포트 사이의 통신을 유도함으로써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무선으로도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The
축전부(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에는 축전부(70)를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수용부를 형성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된 축전부(70)를 하나 혹은 다수 수용하여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는 광 에너지나 기계적 에너지 등의 외부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수단을 내장하여 자체로 전력을 생산하여 축전부(70)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는 분리될 수 있는 각각의 케이스(210)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케이스(210)에는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이 장착될 수 있게 내부가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후크(211)와 걸림홈(212)을 구비하고 있어서 케이스(210)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3, an
충전 수용부(220)는 케이스(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충전 수용부(220)는 양 측면에 형성된 홀(221)을 통해 힌지(222)를 개재하고, 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214)에 힌지(222)를 삽입함으로써 케이스(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마주보는 충전 수용부(220)의 일측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형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축전 장치(230)와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상기 충전 수용부(220)에 형성된 충전단자(223)와 배선(224)으로 연결되어 있다.One side of the
보조 축전 장치(2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달할 전력을 저장하고,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보조 축전 장치(230)를 제어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축전 장치(230)와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수용부(213)에 장착될 수 있다.The auxiliary
상기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USB포트(242)와 같은 케이스에 내장된 통상적인 외부 전원을 통해 보조 축전 장치(23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LED(241)를 통해 보조 축전 장치(230)의 충전 상태를 표시한다.The
예를 들어, LED(241)는 각각 3개의 LED를 구비하여, 충전된 전력량에 따라 하나의 LED를 점등하거나, 두 개 또는 세 개의 LED를 점등할 수 있으며, 세 개의 LED가 점등된 경우에는 보조 축전 장치(230)가 최고치로 충전된 상태를 가리킬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LED(241)의 각각의 LED는 LED(241)가 장착된 케이스(210)에 결합되는 다른 케이스(210)에 구비된 홀(215)을 통해 케이스 외부로 LED(241)를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10) 내부에는 홀(216)을 통해 케이스(210) 외부로 도출되는 제2 버튼부(243)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2 버튼부(243)는 케이스(210) 내에서 고정돌기(244)에 의해 지지된다.Each LED of the
제2 버튼부(243)는 배선을 통해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조작할 경우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여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할 수 있고, 또한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다시 조작할 경우,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충전 수용부(220)에 부착되고, 충전 수용부(22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누를 경우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묻어있는 재나 이물질을 녹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청소하는 청소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when th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조작하는 신호는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로부터 배선을 통해 충전 수용부(220)의 충전단자(223)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충전단자(30)를 거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어부(50)로 전달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히터(20)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signal for operating the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제1 버튼부(4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충전 수용부(220)에 장착하여 충전 수용부(220)를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제2 버튼부(243)를 조작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히터(20)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Even if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충전 수용부(220)에 부착되고, 충전 수용부(22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누를 경우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예열하는 예열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4, in a state in which the
즉, 충전 수용부(220)에 구비된 충전단자(223)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충전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충전단자(223)와 대향되어 구비된 충전단자(30)와 접속하게 되며,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의 제어로 보조 축전 장치(230)에 충전된 전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는 무선통신포트를 구비하여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직접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harging
예컨대,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조작하여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면,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허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히터(20)를 가열할 수 있다. 반대로, 히터(20)가 가열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가 제2 버튼부(243)를 조작하면, 보조 전력 공급 장치(240)에는 비활성화 신호가 전달되어 보조 축전 장치(2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또한, 케이스(210)에는 충전 수용부(220)의 회전 중심, 즉 힌지(222)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자성체(250)와 제2 자성체(260)가 설치된다. 그리고, 충전 수용부(220)는 제1 자성체(250) 및 제2 자성체(260) 중 하나에 대향하는 제3 자성체(225)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제3 자성체(225)가 제1 자성체(250)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자성체(225)가 제2 자성체(260)에 대향하도록 충전 수용부(220)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자성체(225)가 제1 자성체(250)를 대향하도록 충전 수용부(22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또한, 제1 자성체(250) 및 제2 자성체(260) 중 하나는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26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신 제1 자성체(25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자성체(26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one of the first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1 자성체(250) 및 제2 자성체(260) 중 제3 자성체(225)와 대향하지 않는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제4 자성체(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설명한 구조를 간단히 요약하면,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케이스(210)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 자성체(250)와 제2 자성체(260)가 설치되고, 충전 수용부(220)의 상단에는 제1 자성체(250)와 대향하는 제3 자성체(225)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단에는 제2 자성체(260)와 대향하는 제4 자성체(60)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여기서, 제1 자성체(250)와 제3 자성체(225) 사이, 제1 자성체(250)와 제4 자성체(60) 사이, 제2 자성체(260)와 제3 자성체(225) 사이, 제2 자성체(260)와 제4 자성체(6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충전 수용부(220)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단을 가압할 경우에는, 제1 자성체(250)와 제3 자성체(225)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으로 인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전 수용부(22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mounts the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수용부(22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단을 제1 자성체(250)와 제3 자성체(225)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을 극복하는 힘으로 가압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수용부(2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국 제3 자성체(260)와 제4 자성체(60) 사이에 형성되는 인력으로 인해 충전 수용부(220)가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3, when the user puts the lower end of the
이때, 제2 자성체(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2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되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2 자성체(260)의 경사각에 대응하도록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 내에서 틸트(tilt)가 가능하다.Since the second
이후, 사용자는 틸트된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힘을 가하되, 제2 자성체(260)와 제4 자성체(60) 사이의 인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힘을 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usable in a state where the apparatus is housed in an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도 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전 수용부(220)에 수용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제4 자성체(60)에 의해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충전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단부를 밀어주게 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구비된 제4 자성체(60)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충전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충전 수용부(220)가 케이스(210)에 구비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2 자성체(260)에 밀착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이러한 조작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케이스(210) 외부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부 일부분이 외부로 도출되게 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도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카트리지(10)에 궐련을 삽입하고,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제2 버튼부(243)를 눌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예열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upper part of the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충전 시스템(10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면서, 흡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에 기울어져 일부가 도출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와 외장 전력 공급 장치(200)의 자력을 극복하고 인출할 수 있다.7, when the user disconnect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0: 충전 시스템 200: 외장 전력 공급 장치
20: 히터 210: 케이스
30: 충전단자 220: 충전 수용부
40: 제1 버튼 225: 제3 자성체
50: 제어부 230: 보조 축전 장치
60: 제4 자성체 240: 보조 전력 공급 장치
70: 축전부 243: 제2 버튼
80: 모터 250: 제1 자성체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260: 제2 자성체1000: charging system 200: external power supply
20: heater 210: case
30: Charging terminal 220: Charging receptacle
40: first button 225: third magnetic body
50: control unit 230: auxiliary storage device
60: fourth magnetic body 240: auxiliary power supply
70: power storage unit 243: second button
80: motor 250: first magnetic body
100: Aerosol generating device 260: Second magnetic body
Claims (11)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히터;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충전 수용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달할 전력을 저장하는 보조 축전 장치; 및
상기 보조 축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 수용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충전 시스템.A charging system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The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es:
heater;
A power storage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eater,
The external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es:
case;
A charge receiving portion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for storing electric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nd an auxiliary power supply device for controlling the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to supply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on device accommodated in the charge storage part,
Wherein the charge accommodating portion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ase such that the charging accommodating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in a state where the charging accommodating portion is position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상기 충전 수용부가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 수용부에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탈부착 가능한,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is position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자력에 의해 상기 충전 수용부에 부착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by a magnetic force.
상기 케이스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is open at one side.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충전 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harge receiving portion is disposed to face one open side of the case.
상기 충전 수용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수용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l receptacle receiv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surround a portion of a 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보조 축전 장치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comprises an LED for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the auxiliary power storage device.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USB포트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comprises a USB port powered by an external power supply.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first button portion for delivering a signal to the control portion.
상기 외장 전력 공급 장치는 상기 보조 전력 공급 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제2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power supply further comprises a second button portion for delivering a signal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 형태의 담배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담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담배를 가열하는, 충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cartridge for receiving a cigarette-shaped cigarette,
Wherein the heater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igarette to heat the cigaret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70008904 | 2017-01-18 | ||
| KR1020170008904 | 2017-01-18 | ||
| KR1020170058775 | 2017-05-11 | ||
| KR1020170058775A KR20180085340A (en) | 2017-01-18 | 2017-05-11 | A fine particle generator having various power supply mean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80006560A Division KR102185911B1 (en) | 2017-01-18 | 2018-01-18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90020720A true KR20190020720A (en) | 2019-03-04 |
| KR102012847B1 KR102012847B1 (en) | 2019-08-21 |
Family
ID=63047922
Famil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58775A Pending KR20180085340A (en) | 2017-01-18 | 2017-05-11 | A fine particle generator having various power supply means |
| KR1020190021287A Active KR102012847B1 (en) | 2017-01-18 | 2019-02-22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58775A Pending KR20180085340A (en) | 2017-01-18 | 2017-05-11 | A fine particle generator having various power supply mea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2) | KR20180085340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44399A (en) * | 2019-06-18 | 2020-12-2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US11000066B1 (en) | 2019-11-05 | 2021-05-11 | Japan Tobacco Inc.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
| KR20210054464A (en) * | 2019-11-05 | 2021-05-13 |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A power supply unit for an aerosol inhal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99794B1 (en) * | 2018-11-16 | 2021-01-07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heater of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continuous use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
| KR102253048B1 (en) * | 2019-04-25 | 2021-05-17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5508996A (en) * | 2012-01-03 | 2015-03-26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Non-rolling aerosol generator and system |
| JP2015204833A (en) * | 2012-01-03 | 2015-11-19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generating device |
| KR101619032B1 (en) * | 2012-08-24 | 2016-05-09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
| KR20160129015A (en) * | 2014-03-18 | 2016-11-08 | 썬전 버디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both with magnetic attraction type charging function |
| KR20160129024A (en) * | 2014-02-28 | 2016-11-08 |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 E-cigarette personal vaporizer |
| KR20160133665A (en) * | 2015-05-13 | 2016-11-23 | 김한기 | A Cas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
-
2017
- 2017-05-11 KR KR1020170058775A patent/KR20180085340A/en active Pending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287A patent/KR1020128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5508996A (en) * | 2012-01-03 | 2015-03-26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Non-rolling aerosol generator and system |
| JP2015204833A (en) * | 2012-01-03 | 2015-11-19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generating device |
| KR101619032B1 (en) * | 2012-08-24 | 2016-05-09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
| KR20160129024A (en) * | 2014-02-28 | 2016-11-08 | 비욘드 투웬티 리미티드 | E-cigarette personal vaporizer |
| KR20160129015A (en) * | 2014-03-18 | 2016-11-08 | 썬전 버디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both with magnetic attraction type charging function |
| KR20160133665A (en) * | 2015-05-13 | 2016-11-23 | 김한기 | A Case for an Electronic Cigarette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144399A (en) * | 2019-06-18 | 2020-12-2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WO2020256291A3 (en) * | 2019-06-18 | 2021-03-1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Aerosol 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US11871797B2 (en) | 2019-06-18 | 2024-01-16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US12268248B2 (en) | 2019-06-18 | 2025-04-08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US11000066B1 (en) | 2019-11-05 | 2021-05-11 | Japan Tobacco Inc.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
| KR20210054464A (en) * | 2019-11-05 | 2021-05-13 |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A power supply unit for an aerosol inhaler |
| KR20210054463A (en) * | 2019-11-05 | 2021-05-13 |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A power supply unit for an aerosol inhaler |
| US11129420B2 (en) | 2019-11-05 | 2021-09-28 | Japan Tobacco Inc.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
| US11490662B2 (en) | 2019-11-05 | 2022-11-08 | Japan Tobacco Inc.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012847B1 (en) | 2019-08-21 |
| KR20180085340A (en) | 2018-07-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80085370A (en)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 JP7163474B2 (en) | 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or | |
| KR20190020720A (en)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 KR102146053B1 (en) | Recharging system for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
| JP7750909B2 (en) |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a coupler - Patent application | |
| EP3760061B1 (en) | Smoking apparatus | |
| RU2614376C2 (en) |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 EP2878214B1 (en) | Portable charging device for electronic cigarette | |
| JP2020500664A (en) | Vaporizer | |
| EP3471565B1 (en) |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n electrical generator assembly | |
| EP3838004A1 (en) | Charging device and smoking substitute kit | |
| WO2018217030A1 (en) | System for charging aerosol generation device | |
| US20220175050A1 (en) | Smoking substitute device/system | |
| JP7222913B2 (en) | aerosol generator | |
| KR20230041063A (en) | Charging Solutions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 |
| KR20180085648A (en) | Power-efficient fine particle generator | |
| KR20180085368A (en) | Fine particle generator capable of adjusting suction conditions | |
| EP4151105B1 (en) | Aerosol delivery device/system | |
| KR102183092B1 (en) | Power-efficient fine particle generator | |
| RU2834335C2 (en) |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 RU2833288C2 (en) |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 RU2831190C2 (en) |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 |
| KR20180085647A (en) | Fine particle generator capable of adjusting suction conditions | |
| TW202425836A (en) | Heating memb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 |
| KR20130002328U (en) | Electricity supply unit for inhaling apparatus eyelashes curl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supply unit for inhaling apparatus and cellphone connecting unit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supply unit for inhaling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2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11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0656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2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