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711A -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 Google Patents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33711A KR20180133711A KR1020170070916A KR20170070916A KR20180133711A KR 20180133711 A KR20180133711 A KR 20180133711A KR 1020170070916 A KR1020170070916 A KR 1020170070916A KR 20170070916 A KR20170070916 A KR 20170070916A KR 20180133711 A KR20180133711 A KR 201801337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ing line
- reinforcing
- folding
- degrees
- fold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abstract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1 pain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드라이어에 사용되는 애프터쿨러를 지지 및 보호해주는 스탠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an aftercooler used in an air dry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은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를 제습하여 전기, 전자, 의료, 제약, 식품, 화학, 반도체 공정 등에서 청정 압축 공기를 요구하는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 공급 시스템이다.Generally, an air dryer system is an air supply system for dehumidifying compressed air generated from a compressor to be used in a system requiring clean compressed air in electric, electronic, medical, pharmaceutical, food, chemical,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이러한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은 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컴프레셔와, 그러한 컴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 내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드라이어 등이 포함된다.Such an air dryer system includes a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such a compressor, an air dryer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air, and the like.
한편, 컴프레셔는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한 후 산업 현장으로 그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장치로써,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면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에는 이물질을 포함한 오일 및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과 각종 공압기기의 수명이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나 품질 등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 sucks air in the air and compresses it to a high pressure and then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to an industrial site. When the air is compressed to a high pressure, the temperature rises to a high temperature. The life and function of the production line and various pneumatic devices may be deteriorated, which may result in fatal consequences for productivity and quality.
이에 따라, 컴프레셔의 공기 온도를 낮추어 응축 및 용해시키고, 수분을 제거하여 공기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에어드라이어나 필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air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to condense and dissolve it, to remove moisture and to dry the air, 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is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ir dryer or a filter.
이와 같은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은 흡착식과 냉동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냉동식인 경우, 압축된 공기가 애프터쿨러를 거쳐 냉각된 후 메인필터를 거쳐 먼지 등이 제거된 다음 열교환장치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고, 이후 라인필터와 에어필터를 거쳐 이물질 및 수분이 추가적으로 제거되어 청정공기로 만들어진 후 필요한 시스템에 제공된다.The air dryer system can be divided into an adsorption type and a freezing type. In the case of the refrigerated type, after the compressed air is cooled through the aftercooler, the dust and the like are removed through the main filter, moisture is removed through the heat exchange device, Thereafter, foreign matter and moisture are additionally removed through the line filter and the air filter, and the clean air is supplied to the necessary system.
한편, 열교환장치는 기체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부하조절을 위한 핫가스바이패스밸브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드라이어와, 응축기에서 나온 액냉매를 단열팽창시키는 모세관과,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냉매의 증발잠열을 통해 내부를 통과하는 고온다습한 압축공기와의 열교환에 따른 압축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고온 다습한 압축공기의 냉각을 통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장치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gas refrigerant, a hot gas bypass valve for controlling the load, a filter dryer for removing impurities, a capillary for swelling the liquid refrigerant exiting the condenser, A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dehumidification of the compressed air due to heat exchange with hot and humid compressed air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rough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 drain device for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through cooling of the high- .
이러한 에어드라이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애프터쿨러는 열교환장치와 함께 일체형 또는 분리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탠드가 적용될 수 있다.The aftercooler used in such an air dryer system may be installed integrally or separately with the heat exchanger, and a stand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installation floor may be applied.
그러나 종래의 스탠드는 애프터쿨러를 구성하는 부품이 놓이는 베이스판과 그러한 베이스판이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가 될 수 있도록 베이스판의 양측에 구비되는 다리가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스탠드의 제작을 위해서는 베이스판과 다리의 개별적인 제작 및 이를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이후 용접부위의 표면처리 및 부식의 방지를 위한 도장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제작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nd, since the base plate on which the components making up the aftercooler are placed and the leg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ase plate can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anufacture the base plate and the leg and to weld the base plate and the leg, and thereafter, coating is performed for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welded portion and the corrosion prevention, which is complicated and costly to manufa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애프터쿨러를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부상시켜 지지 및 보호해주는 스탠드의 제작에 있어, 용접방식이 아닌 하나의 패널이 절곡되어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작공정의 단축 및 원가를 절감하고,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an aftercooler from a floor, And to provide a stand of an after cool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reduce cost and doubl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제1접이선을 통해 아래쪽으로 접어지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에 의해 안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지는 연장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2접이선과, 제2-1접이선과, 제2-2접이선과 제2-3접이선에 의해 안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지며, 마주하는 양측면과 상기 연장부의 측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t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ortion, a leg portion symmetrically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folded downward through a first folding line, An extension part sequentially folded inward by a 1-1 fold line, a 1-2 fold line, a 1-3 fold line and a 1-4 fold lin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 second fold line extending symmetrically to the first fold line, a second fold line extending symmetrically to the first fold line, a second fold line extending symmetrically to the first fold line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sion portion.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의 제2접이선과 제2-1접이선과 제2-2접이선과 제2-3접이선은 각각 상기 연장부의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과 동일 선상을 유지하며, 상기 공간부의 간격은 상기 제1-1접이선과 상기 제1-2접이선의 간격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fold line, the 2-1 fold line, the 2-2 fold line and the 2-3 fold line of the reinforcing portion are respectively folded along the 1-1 fold line, the 1-2 fold line, Line and the 1-4th fold line, and the interval of the space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1-1th fold line and the 1-2th fold line.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부와 상기 연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t least one first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보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3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접어지는 일자형이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면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 중 하나의 제1보강부재는 일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제1보강부재는 일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a pair of straight lines which are folded inward by a third folding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which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ase portion,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is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and one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other surface is on the one rear side The other first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in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ixed to the sid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장부는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의 의해 내측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그 내부에 제2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extended por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a state that the extended portion is folded inward by the 1-1 folding line, the 1-2 folding line, the 1-3 folding line and the 1-4 folding line .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높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며, 제4-1접이선과 제4-2접이선과 제4-3접이선을 통해 안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어지면서 각각의 외면이 상기 연장부의 내면에 각각 접면되도록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eg portion, and is sequentially folded inward through the 4-1 folding line, the 4-2 folding line and the 4-3 folding line, Can be fitted and join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extended portions, respectively.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경사진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를 서로 연결해주는 하나 이상의 제3보강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t least one third reinforcement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ide reinforcing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to each other in a perpendicular or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면과 상면으로 구성되는 케이싱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is formed by coupling a casing having bo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having both sides and an upper surfac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 일부분이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위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중첩된 상태에서 그 중첩된 부위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casing extend downward, and the extended portions thereof are overlapp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eg portion, and the overlapped portions thereof can be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애프터쿨러의 스탠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tand of an aftercoole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면에 위치한 보강부를 상기 제2-3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1차 접은 다음, 상기 제2-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2차 접은 후, 상기 제2-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3차로 접고, 이후 상기 제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4차 접는 제1단계와,The reinforcing portions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are first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second folding line and then folded inward at 90 degrees using the folding line 2-2, A first step of folding inwardly at an angle of 90 degrees by using a 2-1 folding line and then folding the folding line inward at 90 degrees by using the second folding line,
상기 다리부의 전,후면에 위치한 연장부를 상기 제1-4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1차 접은 다음, 상기 제1-3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2차 접고, 이어 상기 제1-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3차 접은 후, 상기 제1-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4차 접는 제2단계와,The extended portions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eg portion are first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first to fourth folding lines and then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folded first to third folding lines, A second step of folding the third fold 90 degrees inward by using the fold line 1-2 and then folding the fold fold 90 degrees inward by the fold line 1-1,
상기 다리부를 상기 제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구부리는 제3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And a third step of bending the leg part 90 degrees inward by using the first folding line.
더 바람직하게 제3접이선에 의해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한 쌍의 제1보강부재 각각을 상기 베이스부 양측에 위치한 전후방의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상기 연장부 측면에 직결나사로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each of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members bent at a right angle by the third folding line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located at the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
더 바람직하게 접어진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제4-1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1차 접어지고, 제4-2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2차 접어진 후 제4-3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3차 접어져 구성되는 제2보강부재를 끼운 후, 다리부의 측면 양측 하부에서 연장부의 내부로 체결되는 직결나사를 통해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folded inwardly by 90 degrees by a 4-1 folding line inside the extended portion folded by 90 degrees twice inward by the 4-2 folding line, Through a direct coupling screw which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extended portion from the lower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leg portion after inserting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which is formed by folding the third reinforcing member 90 degrees inward by 90 degrees.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이 놓이고,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 상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그 겹쳐진 부위가 직결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casing is formed with the bottom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both side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asing is overlapped on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 And a step of fastening by a screw can be further included.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tand of the aftercoole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즉, 본 발명은 하나의 패널을 프레스 가공한 후 이를 구부려 스탠드로 구성함으로써, 스탠드의 제작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공정의 단축을 통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제작성 및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 또한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ingle panel is press-worked and then bent to form a stand, the stand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quickly, and the cost can be reduced by shortening the process, And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can be further improved.
아울러, 스탠드의 제작에 있어 용접의 공정 및 사상과 도장 공정이 생략됨에 따라 스탠드를 구성하는 패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컬러판을 선택할 수 있어 제품의 특징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stand, owing to the omission of the welding process and paint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rrosion of the panels constituting the stand, and the color plates of various colors can be selected for the beautiful appearance,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emphasized.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He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o be exert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Should not be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Furthe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further by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stated in an explicit sentence,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written description belongs,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의 전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의 결합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의 결합상태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의 제작단계를 예시한 과정도이다.
도 6a, 6b, 6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에 제3보강부재가 설치되는 세가지의 형태를 예시한 저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애프터 쿨러용 스탠드에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eloped view of a stand for an after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nd for an after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of the after cooler viewed from the upper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nd of the after cooler viewed from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rocess diagram illustrating steps of manufacturing a stand for an after coo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and 6C are bottom views illustrating three configurations in which a third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on a stand for an aftercoo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asing is mounted on a stand for an aftercoo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allow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애프터쿨러의 스탠드는 하나의 패널을 접어 구성하게 되며, 그 구성은 크게 애프터쿨러의 부품이 놓이게 되는 베이스부와, 그러한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양측에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접어져 구성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마주하는 전후방 양측에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접어져 구성되는 연장부와,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전후방에 연장 형성된 상태에서 접어져 구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stand of the aftercoo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lds a panel, and its structure is largely composed of a base part in which the parts of the aftercooler are placed, and a base part in which the parts of the after-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by being fold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facing the base portion.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베이스부(100)는,First, the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며, 대략 사각의 형상, 바람직하게 직사각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후술되는 다리부(200)를 통해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부상되며, 상면에 애프터쿨러를 구성하는 부품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영역을 제공한다.1 to 4,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preferably a rectangular shape, is lif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floor of the installation through a
다리부(200)는, The leg portion (200)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전술한 베이스부(100)의 마주하는 양측면으로부터 대칭을 이루면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제1접이선에 의해 베이스부(100)와 구분된다.1 to 4 and extends in a predetermined length symmetrically from both opposite sides of the
다리부(200)는 제1접이선(210)에 의해 아래쪽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접어지게 되고, 이러한 다리부(200)를 통해 베이스부(100)는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부상된다.The
다리부(200)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상이 될 수 있으며, 바깥면 중심에서 안쪽으로 함몰되는 형태의 함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The shape of the
다리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길어질수록 다리부(200)에 의해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부상되는 베이스부(100)의 높이는 더 높아지게 된다.As the length of the
연장부(300)는,The extension (300)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전술한 양쪽 다리부(200)의 세로방향으로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대략 사각의 형상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제1-1접이선(310)에 의해 다리부와 구분된다.1 to 4, the
연장부(300)는 끝단으로 갈수록 제1-1접이선(310)과 수평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을 가지는 제1-2접이선(32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4접이선(340)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며, 이러한 제1-4접이선(34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2접이선(320)과 제1-1접이선(3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접어지게 된다.The
보강부(400)는, The reinforcing portion (400)
도 1 내지 도 4 에서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0)를 중심으로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며,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방향의 제2접이선(410)에 의해 베이스부(100)와 구분된다.1 to 4,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facing the base 100 in the unfolded state, Direction from the
보강부(400)는 끝단으로 갈수록 제2접이선(410)과 수평을 이루면서 소정 간격을 가지는 제2-1접이선(420)과 제2-2접이선(430)과 제2-3접이선(440)이 구비되며, 이러한 제2-3접이선(440)과 제2-2접이선(430)과 제2-1접이선(420)과 제2접이선(4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접어지게 된다.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부(400)는 베이스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하여 베이스부(100)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등 불필요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The reinforcing
전개된 상태에서 보강부(400)의 마주하는 양측면은 이웃하는 연장부(300)의 안쪽 측면과 각각 이격되어 소정 크기의 공간부(450)를 가진다.In the unfolded state,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이러한 공간부(450)는 전술한 연장부(300)가 제1-1접이선(310)과 제1-2접이선(32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4접이선(34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어진 후, 다리부(200)가 제1접이선(210)을 통해 안쪽으로 접어지는 과정에서 연장부(300)가 위치하게 되며, 공간부(450)로 인하여 접어진 연장부(300)가 보강부(400)의 측면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The
전개된 상태에서 보강부(400)의 세로방향 길이와 연장부의 세로방항 길이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보강부(400)의 제2접이선(410)과 제2-1접이선(420)과 제2-2접이선(430)과 제2-3접이선(440)이 연장부(300)의 제1-1접이선(310)과 제1-2접이선(32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4접이선(340)과 각각 동일한 선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reinforcing
다른 예로 전개된 상태에서 보강부(400)와 연장부(300)의 세로방향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보강부(400)의 제2접이선(410)과 연장부(300)의 제1-1접이선(310)만 동일 선상을 유지하고, 보강부(400)의 제2-1접이선(420)과 제2-2접이선(430)과 제2-3접이선(440)이 연장부(300)의 제1-2접이선(32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4접이선(340)과 서로 다른 선상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연장부(300)의 제1-1접이선(310)과 제1-2접이선(320)의 간격은 보강부(400)의 측면과 연장부(300)의 측면과의 간격인 공간부(450)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공간부(450)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한편, 다리부(200)는 제1접이선(210)에 의해 베이스부(100)로부터 안쪽을 향해 직각으로 접혀진 후 다리부(200)의 상측 중심에 수직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다리부(200)가 벌어질 확률이 낮지만, 다리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00)에 가해지는 다양한 하중에 따라 제1접이선(210)이 다시 펴지면서 다리부(200)가 바깥쪽으로 벌어질 수도 있다.The
따라서, 다리부(200)가 불필요하게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보강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a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제1보강부재는 다리부(200)와 베이스부(100)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 연장부(300)와 보강부(400)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 예로 제1보강부재가 납작한 일자형 판재로 구성되어 제1보강부재의 내면 일단과 타단이 사방에 위치한 보강부 전면과 연장부 전면을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제1보강부재(500a)(500b)는 다른 실시 예로 도 2 및 도 4 에서와 같이 납작한 일자형 판재이면서 길이방향 중심에 제3접이선(510a)(510b)이 구비되고, 그러한 제3접이선(510a)(510b)에 의해 직각으로 접어져 대략 "ㄱ"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때 길이는 베이스부(100)의 전후면 사이의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면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이러한 한 쌍의 제1보강부재(500a)(500b)가 보강부(400)와 연장부(300)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먼저, 하나의 제1보강부재(500a)는 일단의 한쪽 바깥면과 다른 한쪽 바깥면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서 전방쪽 보강부 저면(460) 및 이웃한 연장부 측면(350)에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 바깥면과 다른 한쪽 바깥면은 베이스부(100)의 일측에서 후방쪽 보강부 저면(460) 및 이웃한 연장부 측면(350)에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One first reinforcing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1보강부재(500b)는 일단의 한쪽 바깥면과 다른 한쪽 바깥면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서 전방쪽 보강부 저면(460) 및 이웃한 연장부 측면(350)에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 바깥면과 다른 한쪽 바깥면은 베이스부(100)의 타측에서 후방쪽 보강부 저면(460) 및 이웃한 연장부 측면(350)에 체결부재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other
여기서, 체결부재는 일반적인 나사가 될 수 있으며, 이때, 제1보강부재(500a)(500b)와 보강부 저면(460)과 연장부 측면(350)에는 탭가공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체결부재는 별도의 탭가공이 필요하지 않은 직결나사가 될 수도 있다.Since the first reinforcing
한편, 다리부(200)는 베이스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게 되며, 베이스부(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리부(200)의 보강을 위하여 제2보강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바람직한 실시 예로 도 2 및 도 4 에서와 같이 제2보강부재(600)는 전술한 연장부(300)가 제1-1접이선(310)과 제1-2접이선(320)과 제1-3접이선(330)과 제1-4접이선에 의해 순차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안쪽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그 내부로 끼워져 결합된다.2 and 4, the second reinforcing
이때, 제2보강부재(600)는 끝단에서 제4-3접이선(630) 사이의 면이 연장부(300)의 제1-3접이선(330)과 제1-2접이선(320) 사이의 면에 대응되어 접면되고, 제2보강부재(600)의 제4-3접이선(630)과 제4-2접이선(620) 사이의 면은 연장부(300)의 제1-2접이선(320)과 제1-1접이선(310) 사이의 면에 대응되어 접면되며, 제2보강부재(600)의 제4-2접이선(620)과 제4-1접이선(610) 사이의 면은 연장부(300)의 제1-1접이선(310)과 다리부(200) 내면 사이의 면에 대응되어 접면되고, 이후 다리부(200) 외부에서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연장부(300)의 제4-2접이선(620)과 제4-1접이선(610) 사이의 면에 체결되면서 다리부(200)에 제2보강부재(600)가 고정되며, 이때 체결부재는 다리부(200) 및 제2보강부재(600)에 탭가공을 필요로 하는 일반적인 나사는 물론, 탭가공이 필요하지 않도록 직결나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연장부(300)의 내부에 제2보강부재(600)가 미리 설치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전술한 제1보강부재(500a)(500b)가 연장부(300)와 보강부(400) 사이에 설치될 때 제1보강부재(500a)(500b)를 연장부(300)에 체결해주는 체결부재를 통해 연장부(300)의 내부에 미리 설치된 제2보강부재(600)가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reinforcing
한편, 베이스부(100)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400)에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경사진 형태로 베이스부(100)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 저면(460)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하나 이상의 일자형 제3보강부재(7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제3보강부재(700)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6a 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 저면(460)을 11자 형상으로 연결하거나, 도 6b 와 같이 X자 형상으로 연결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reinforcing portion bottom surfaces 460 of the
여기서, 제3보강부재(700)의 양단은 보강부 저면(460)과 함께 탭가공 후 일반적인 나사로 체결될 수 있으며, 탭가공 없이 직결나사로 체결될 수도 있다.Here, both ends of the third reinforcing
이러한 제3보강부재(700)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6c 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 저면(460)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461)이 형성되고, 제3보강부재(700)의 양단이 그러한 장공(461)을 따라 이동되면서 선택된 어느 한 지점에서 나사를 통해 11자 형상 또는 X자 형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러한 제3보강부재(700)를 베이스부(100)에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를 고려하여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설치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hird reinforcing
한편,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베이스부(100)에 놓이는 애프터쿨러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8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a
케이싱(8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 7 에서와 같이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 형상이 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케이싱(800)의 양측면 일부분을 하측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케이싱(800)이 베이스부(100)에 올려지게 되면 케이싱(800)의 양측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부위가 다리부(200)의 양측면 상측에 중첩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중첩된 부위에 직결나사를 체결하여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이러한 케이싱(800)은 개방된 전후면이 끝단이 강성을 위하여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져 구성될 수 있으며, 구부러짐은 한번 또는 직각을 유지하면서 여러번 구부러져 구성될 수도 있다.The
케이싱(800)은 양측면과 상면이 하나의 패널로 각각 구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과 상면이 하나의 패널이면서 구부러진 상태의 일체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케이싱(800)의 개방된 전후면에는 개방된 전후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덮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A cover may be provided on the opened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케이싱(800)은 저면만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면과 전후면은 일체 형태 또는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는 함체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스탠드가 애프터쿨러를 안착시키기 위한 실시 예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스탠드는 애프터쿨러의 안착용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응축기나 압축기와 같이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부품의 안착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스탠드는 크기가 조절되어 에어드라이어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이 함께 안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nd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for seating the aftercooler. However, such a stand need not be limited to the interior of the aftercooler, and may be applied to the seating of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ir dryer such as a condenser or a compressor. May be sized so that one or more parts of the air dryer are seated together.
또한, 스탠드 및 전후면이 덮개로 개폐되는 케이싱은 애프터쿨러의 설치용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응축기의 설치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체적인 크기를 가변시켜 애프터쿨러와 에어드라이어의 구성부품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드라이어에서 에어드라이어의 구성부품이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애프터쿨러와 에어드라이어의 구성부품이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에어드라이어에서 애프터쿨러와 에어드라이어의 구성부품이 모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tand and the casing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over are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of the aftercooler but may be constituted for installation of the condenser or may be constituted by varying the overall size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aftercooler and the air dryer are individually installed The components of the air dryer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separate type air dryer or the components of the after cooler and the air dryer may be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grated air dryer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after cooler and the air dryer are installed together .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탠드의 제조과정을 예시된 도 2 와 도 5 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tan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5.
먼저,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전후면에 위치한 양쪽 보강부(400)를 제2-3접이선(44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1차 접은 다음, 제2-2접이선(43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2차 접은 후, 제2-1접이선(42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3차 접은 이후, 제2접이선(41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4차 접는 제1단계가 수행된다.First, both
그리고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위치한 다리부(200)의 전후방 연장부(300) 각각을 제1-4접이선(34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1차 접은 다음, 제1-3접이선(33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2차 접은 후, 제1-2접이선(32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3차 접은 이후, 제1-1접이선(31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4차 접어 구성하는 제2단계가 수행된다.Each of the front and rear
여기서, 제1단계의 보강부(400)와 제2단계의 연장부(300)는 순차적으로 접어지거나 동시에 함께 접어질 수도 있다.Here, the
전술한 제2단계 이후, 베이스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제1접이선(210)을 이용하여 다리부(200)를 90도 안쪽으로 접으면서 연장부(300)가 보강부(400) 양측의 공간부(450)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제3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스탠드가 완성될 수 있다.After the second step, the
아울러, 이와 같이 스탠드가 완성된 상태에서 스탠드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제2보강부재(600)를 제4-1접이선(61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1차 접은 후, 제4-2접이선(62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2차 접은 다음, 제4-3접이선(630)을 이용하여 90도 안쪽으로 3차 접어 구성하고, 이를 구부러져 있는 연장부(300)의 내부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다리부(200) 바깥면에서 연장부(300)의 내부를 향하여 직결나사를 체결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stand in the state where the stand is completed, the second reinforcing
또한, 한 쌍의 제1보강부재(500a)(500b)를 이용하여 각각의 양단을 마주하는 양쪽 보강부 저면(460)과 연장부 측면(350)에 직결나사로 체결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Further, a step of tightening the reinforcing
또한, 스탠드에 케이싱(8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스탠드의 상면으로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800)을 올려놓은 후, 케이싱(800)의 양측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다리부(200)의 바깥면 상측에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그 겹쳐진 부위에 직결나사를 체결하여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nstall the
이러한 본 발명은 애프터쿨러를 지지해주는 스탠드가 용접 없이 하나의 패널이 절곡되어 조립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원가의 절감효과는 물론 제작이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유지 및 관리의 효율성이 더욱 배가될 수 있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및 그 제조방법을 그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 for supporting the aftercooler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a single panel without weld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as a result of the simple and quick production as well as the cost reduction effect. The stand of the after cool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fter cooler that can be more efficiently managed can be considered as technical idea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베이스부
200 : 다리부
210 : 제1접이선
300 : 연장부
310 : 제1-1접이선
320 : 제1-2접이선
330 : 제1-3접이선
340 : 제1-4접이선
350 : 연장부 측면
400 : 보강부
410 : 제2접이선
420 : 제2-1접이선
430 : 제2-2접이선
440 : 제2-3접이선
450 : 공간부
460 : 보강부 저면
461 : 장공
500a, 500b : 제1보강부재
510a, 510b : 제3접이선
600 : 제2보강부재
610 : 제4-1접이선
620 : 제4-2접이선
630 : 제4-3접이선
700 : 제3보강부재
800 : 케이싱100: base portion 200: leg portion
210: first fold line 300: extension portion
310: 1st to 1st fold line 320: 1st to 2nd fold line
330: 1st to 3rd fold lines 340: 1st to 4th fold lines
350: extension part side surface 400: reinforcement part
410: second fold line 420: second-1 fold line
430: 2-2 folding line 440: 2-3 folding line
450: space portion 460: bottom surface of reinforced portion
461:
510a, 510b: third fold line 600: second reinforcing member
610: 4-1 folding line 620: 4-2 folding line
630: fourth to third folding line 700: third reinforcing member
800: casing
Claims (13)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양측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제1접이선을 통해 아래쪽으로 접어지는 다리부;
상기 다리부의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에 의해 안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전후면에 대칭을 이루면서 연장되고, 소정 간격을 유지하는 제2접이선과, 제2-1접이선과, 제2-2접이선과 제2-3접이선에 의해 안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지며, 마주하는 양측면과 상기 연장부의 측면 사이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A base portion;
A leg portion extending symmetrically to both opposite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folding downward through the first folding line;
A first folding line, a 1-2 folding line, a 1-3 folding line and a 1-4 folding line extending symmetrically to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legs facing each other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 extension that folds; And
A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faces of the base portion and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a second folding line extending inwardly from the second folding line to the second folding line and the second folding line A reinforcing portion folded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opposite sid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a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stand comprise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상기 보강부의 제2접이선과 제2-1접이선과 제2-2접이선과 제2-3접이선은 각각 상기 연장부의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과 동일 선상을 유지하며, 상기 공간부의 간격은 상기 제1-1접이선과 상기 제1-2접이선의 간격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old line, the 2-1 fold line, the 2-2 fold line and the 2-3 fold line of the reinforcing portion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1-1 fold line, the 1-2 fold line, the 1-3 fold line, And a space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s larg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2. The stand of an aftercooler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보강부와 상기 연장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first reinforc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extending portion to each other.
상기 제1보강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3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접어지는 일자형이며,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면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 중 하나의 제1보강부재는 일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제1보강부재는 일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의 한쪽면과 다른 한쪽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 후방쪽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연장부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is of a pair which has a straight shape folded inward by a third folding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base portion, One reinforcing membe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one side of the reinforcement member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other surface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members is fix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one end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base portion.
상기 연장부는 제1-1접이선과 제1-2접이선과 제1-3접이선과 제1-4접이선의 의해 내측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그 내부에 제2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ded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reinforcing member in a state that the extended portion is folded inward by the 1-1 folding line, the 1-2 folding line, the 1-3 folding line and the 1-4 folding line. Stand of cooler.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높이와 상응한 길이를 가지며, 제4-1접이선과 제4-2접이선과 제4-3접이선을 통해 안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접어지면서 각각의 외면이 상기 연장부의 내면에 각각 접면되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eg portion and is sequentially folded inward through the 4-1 folding line and the 4-2 folding line and the 4-3 folding line,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oling shroud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oling shroud.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또는 경사진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방 양측 보강부를 서로 연결해주는 하나 이상의 제3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third reinforc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side reinforcing portions of the base portion to each other in a rectangular or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는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고, 양측면과 상면이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후면이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casing having a bottom surface and front and rear surfaces opened, both side surfaces and an upper surface being integrally or assembled,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being opened and closed by a lid.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 일부분이 하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연장된 부위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중첩된 상태에서 그 중첩된 부위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part of both sides of the casing extends downward, and the extended portions thereof are overlapp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eg portion, and the overlapped portions are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상기 베이스부의 전,후면에 위치한 보강부를 상기 제2-3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1차 접은 다음, 상기 제2-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2차 접은 후, 상기 제2-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3차로 접고, 이후 상기 제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4차 접는 제1단계;
상기 다리부의 전,후면에 위치한 연장부를 상기 제1-4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1차 접은 다음, 상기 제1-3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2차 접고, 이어 상기 제1-2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3차 접은 후, 상기 제1-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4차 접는 제2단계; 및
상기 다리부를 상기 제1접이선을 이용하여 안쪽으로 90도 구부리는 제3단계;
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nd of an aftercoo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inforcing portions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 are first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second folding line and then folded inward at 90 degrees using the folding line 2-2, Folding 90 degrees three times inward by using a 2-1 folding line, and then folding the folded line inward by 90 degrees in a fourth step using the second folding line;
The extended portions loca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eg portion are first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first to fourth folding lines and then folded inwardly at 90 degrees using the folded first to third folding lines, A third step of folding inward by 90 degrees three times using the folding line 1-2 and then folding inwardly by 90 degrees in the fourth step using the folding line 1-1; And
A third step of bending the leg part 90 degrees inward by using the first folding line;
Wherein the step of assembling the stand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the stand of the after cooler.
제3접이선에 의해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한 쌍의 제1보강부재 각각을 상기 베이스부 양측에 위치한 전후방의 보강부 저면과 이웃한 상기 연장부 측면에 직결나사로 각각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Each of the pair of first reinforcing members bent at a right angle by the third folding line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of the extending portion adjacent to the base portion,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stand comprises the steps of:
접어진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제4-1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1차 접어지고, 제4-2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2차 접어진 후 제4-3접이선에 의해 안쪽으로 90도 3차 접어져 구성되는 제2보강부재를 끼운 후, 다리부의 측면 양측 하부에서 연장부의 내부로 체결되는 직결나사를 통해 결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제조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olded inwardly 90 degrees inside by the 4-1 folding line inside the folded extension portion, folded 90 degrees inside 90 degrees by the 4-2 folding line, and then folded inward by the 4-3 folding line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inserting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which is formed by folding the third angle by 90 degrees, through a direct coupling screw that is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extended portion from the lower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leg portion .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저면 및 전후면이 개방되며 양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이 놓이고, 상기 케이싱의 양측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부위가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 상측에 겹쳐진 상태에서 그 겹쳐진 부위가 직결나사에 의해 체결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프터쿨러의 스탠드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asing has a bottom surface and front and back surfaces ope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e and both sides and an upper surface are laid, and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casing is overlapped on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 And a step of fastening the bracket to the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0916A KR101985018B1 (en) | 2017-06-07 | 2017-06-07 |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0916A KR101985018B1 (en) | 2017-06-07 | 2017-06-07 |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133711A true KR20180133711A (en) | 2018-12-17 |
| KR101985018B1 KR101985018B1 (en) | 2019-06-04 |
Family
ID=6500750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70916A Active KR101985018B1 (en) | 2017-06-07 | 2017-06-07 |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985018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93447A (en) * | 1994-04-27 | 1995-11-07 | Sanyo Electric Co Ltd | Attaching device of compressor |
| US20070039464A1 (en) * | 2005-08-17 | 2007-02-22 | Andrew Corporation | Dry gas production systems for pressurizing a space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to produce a dry gas stream |
| KR100907551B1 (en) | 2007-10-19 | 2009-07-14 | 주식회사 베스코 | Integrated Air Dryer System |
| KR101252519B1 (en) * | 2012-11-26 | 2013-04-15 |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 Packing box |
-
2017
- 2017-06-07 KR KR1020170070916A patent/KR10198501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93447A (en) * | 1994-04-27 | 1995-11-07 | Sanyo Electric Co Ltd | Attaching device of compressor |
| US20070039464A1 (en) * | 2005-08-17 | 2007-02-22 | Andrew Corporation | Dry gas production systems for pressurizing a space and methods of operating such systems to produce a dry gas stream |
| KR100907551B1 (en) | 2007-10-19 | 2009-07-14 | 주식회사 베스코 | Integrated Air Dryer System |
| KR101252519B1 (en) * | 2012-11-26 | 2013-04-15 | 주식회사 우림수출포장 | Packing box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985018B1 (en) | 2019-06-0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5506773B2 (en) | Dehumidifier | |
| KR20190007350A (en) | Automatic filter cleaning apparatus for air-conditioner | |
| KR101985018B1 (en) | Stan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fter cooler | |
| JP5402987B2 (en) | Refrigeration unit outdoor unit | |
| CN205066087U (en) | Machine in air -inlet grille box and air conditioning | |
| EP3792566B1 (en) | Bottom shell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same | |
| WO2015092919A1 (en) | Air conditioner | |
| JPS61202028A (en) | Wall member containing dust removing device being bult-in | |
| KR101985017B1 (en) | Air dryer to prevent condensate from entering | |
| JPS6238617B2 (en) | ||
| JP4957517B2 (en) |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 KR20090006305A (en) | Indoor unit installation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 CN203823894U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 |
| KR101796970B1 (en) | Cabinet type air dryer | |
| KR20220116988A (en) | Duct assembly | |
| US11384955B2 (en) |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 |
| KR101064556B1 (en) | Air conditioner with frame structure for heterogeneous casing assembly | |
| US20210087741A1 (en) | Shell structure of clothing treating device, and clothing treating device | |
| CN114345020A (en) | Integrally-formed high-strength fixed frame filter | |
| CN210027991U (en) | Duplex fillet strip-shaped packaging machine | |
| KR200375212Y1 (en) | A filter box | |
| JP2014004509A (en) | Compressed air dehumidifier | |
| KR20200023867A (en) | Supporting structure fo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or air handing unit | |
| KR100486600B1 (en) | Base panel for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 KR100758948B1 (en) | Base structure for the dehumidifi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8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7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