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503A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49503A KR20180049503A KR1020160145495A KR20160145495A KR20180049503A KR 20180049503 A KR20180049503 A KR 20180049503A KR 1020160145495 A KR1020160145495 A KR 1020160145495A KR 20160145495 A KR20160145495 A KR 20160145495A KR 20180049503 A KR20180049503 A KR 201800495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ll
- type
- sensing
- image
- proces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ntras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며 그릴이 장착되는지를 식별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식별된 그릴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에는 스피커 보호와 미화를 위해 얇은 천이나 철망으로 된 그릴(Grill)이 씌워질 수 있다.
스피커에 씌워진 그릴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중고역대 음파를 반사시키고 흡수 및 상쇄시킬 수 있으며 저역대 음파의 회절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같이, 그릴이 씌워진 스피커 출력은 그릴 재질 및 격자 투과율(개구율)에 따른 음원 임피던스로 인해 음질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결합형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출력부에 그릴이 씌워질 수 있어, 출력 영상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를 그릴로 씌워서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며 그릴이 장착되는지를 식별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식별된 그릴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제1면에 그릴이 장착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그릴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릴로 인하여 변화되는 음질과 화질을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이 미장착된 전자 장치의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이 장착된 전자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약속된 그릴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상치 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이 장착된 전자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약속된 그릴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상치 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이 장착되지 않은 전자 장치의 도면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릴이 장착된 전자 장치의 도면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그릴(20)과 결합될 수 있고, 그릴(20)이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전자 장치(10)에 장착되거나, 전자 장치(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블라인드와 유사한 방식 예컨대,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방식으로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릴(2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예: 상→하, 좌→우) 전자 장치(10)에 장착될 수 있다. 허나, 그릴(20)이 전자 장치(10)에 장착되는 방식은 상술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전자 장치(10)의 전면에 탈착식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 장치(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그릴(20)은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의 전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하우징의 전면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전면이 아닌, 후면, 측면 또는 상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11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의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릴(20)은 전자 장치(10)에 장착 시에 복수의 스피커(110)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의 출력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사각형상으로 구성되되, 스피커(110)와 디스플레이(120)의 출력부와 연접한 제1면과 제1면에서 직각 또는 제1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4면(상, 하, 좌, 우면)을 포함하는 한 면이 개방된 육면체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에 장착된 그릴(20)은 스피커(110)의 출력된 음원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밝기 변화, 색감 왜곡 및 물결무늬(Moire)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물결무늬 현상은 주파수가 비슷한 두 개의 파동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쳐 두 주파수의 차에 따라 주파수 폭이 일정한 주기로 변하는 것으로서, 일정 간격을 갖는 물체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 무늬를 말한다. 물결무늬 현상은 모기장이나, 줄무늬 옷에 무지개 색 물결무늬가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물결무늬 현상은 LPF(low pass filter)를 통해 영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함에 따라 개선될 수 있으나, 고주파 성분 제거는 영상의 선명도와 해상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감지객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감지객체(210)는 전자 장치(10)에 의한 그릴 장착 여부를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객체(210)는 그릴(20)의 일부에 구비된 부재로서, 자성체, 메모리(예: 태그), 결합부재 및 금속부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의 메모리는 각 그릴을 구분하는 용도로 부여된 그릴식별정보(예: ID)를 저장한 것으로, USIM 카드, SD 카드, 마이크로 SD 카드와 같은 소형 메모리 칩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천(예: 저지), 메탈,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복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한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면 중에서 스피커(110)와 디스플레이(120)의 출력부와 연접한 제1면은 천 재질로 구성되고, 제1면을 제외한 4면(상, 하, 좌, 우면)의 적어도 일부인 전자 장치(10)와 결합되는 부위는 딱딱한 재질(예: 메탈, 플라스틱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하나의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의 적어도 한 면에는 그릴(2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릴(20)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의 출력부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적어도 한 면을 감싸는 형태로 전자 장치(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릴(20)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의 출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전자 장치(1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는 각기 출력부가 전자 장치(10)의 제1면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면은 전자 장치(10)의 전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의 복수의 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는 각기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는 그 출력부가 전자 장치(10)의 제1면(예: 전면) 또는 제1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면(예: 전면 및 측면)에 구비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전자 장치(10)에는 제1면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8개의 스피커가 구비될 수 있다.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0)는 스테레오 스피커를 포함하는 다채널 스피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의 제1면(예: 전면)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a와 같이, 디스플레이(120)는 전자 장치(10)의 제1면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출력되는 음원에 대응하는 출력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영상은 음원의 재생 여부를 표현하는 영상, 음원 정보(예: 재생중인 음원 제목) 및 동영상(예: 음원의 뮤직비디오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LCD, OLED, PDP, LED 등의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스피커(110) 및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그릴(20)이 장착되면, 사전에 지정된 보상치 또는 사전에 지정된 보상치로부터 설정된 보상치를 이용하여 그릴 설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음원 및 영상을 보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그릴(20)에 의해 감쇄되는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미리 증폭하는 보상을 적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그릴(20)이 장착되면, 그릴(20)에 의해 변화될 출력 영상의 화질의 밝기, 해상도, 대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화질요소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그릴(20)에 구비된 감지객체(210)의 근접, 결합 또는 저장된 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그릴(20)의 장착 및 그릴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그릴식별정보를 읽음에 따라 그릴 장착 여부 및 그릴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장착 감지부(도 2의 140 참조)에 의해 감지객체(210)의 장착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그릴 장착 여부 및 그릴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은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메모리(160), 신호수신부(170), 통신부(180), 장착 감지부(190), 센서부(14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 스피커(110) 및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는 제어부(131), 제1 신호 처리부(133) 및 제2 신호 처리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의 각 구성요소는 각각 별도의 하드웨어 모듈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각각의 모듈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 신호수신부(170), 통신부(180), 장착 감지부(190), 센서부(140), 제어부(131), 제1 신호 처리부(133) 및 제2 신호 처리부(135)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60)는 그릴 수 및 그릴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각 그릴 종류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보상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상치는 그릴(20)로 인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감쇄를 보상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제1 보상치는 이퀄라이저의 주파수 대역별 증폭율을 조정하며 그릴(20)을 씌워서 변화된 음질을 그릴(20)을 씌우지 않은 상태로 맞추는 실험을 통해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출력되는 소리의 중고역대(예: 1kHz~10kHz)를 감소시키므로, 제1 보상치는 소리의 중고역대를 증가시키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의 설정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보상치는 그릴(20)로 인해 변화된 화질을 보상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제2 보상치는 그릴(20)을 씌우지 않은 때와 비교하여 그릴(20)을 씌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20)의 화질요소를 변경하며 육안으로 화질을 확인함에 따라 실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보상치 중 밝기 보상치는 그릴(20)의 미장착 시보다 장착 시에 영상의 밝기값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밝기 보상치는 그릴 색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보상치는 그릴 색상의 밝기값이 낮아질수록 또는 그릴의 빛의 투과율이 낮아질수록 출력 영상의 밝기값이 더 높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밝기 보상치는 주변 조도를 고려하여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밝기 보상치는 주변 조도가 낮아질수록 출력 영상의 밝기값이 더 높아지도록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보상치 중 대비 보상치는 그릴(20)의 장착 이전과 비교하여 그릴(20)의 장착 시에 출력 영상의 대비(Contrast)를 낮추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비 보상치는 전자 장치(10)에 적용되는 그릴의 색상, 개구율 및 재질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와 전자 장치(10)의 전면 프레임 간의 시각적 연결성이 우수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보상치 중 채도 보상치는 그릴 색상에 대응하는 영상의 각 픽셀의 채도를 감소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이 파란색 계열일 경우에, 해당 그릴에 대응하는 채도 보상치는 영상의 B(blue) 채도를 감소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수신부(170)는 음원 및 영상을 제공받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수신부(170)는 HDMI, DVI, RGB 커넥터 등에 의해서 음원 및 영상을 각기 전달받을 수 있다. 신호수신부(170)에 의해 제공된 음원은 제1 신호 처리부(133)에 의해 보상 및 신호 처리되어 스피커(110)로 출력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170)에 의해 제공된 영상은 제2 신호 처리부(135)에 의해 보상 및 신호 처리되어 디스플레이(120)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40)는 제어부(131)의 지시에 따라 주변 환경을 감지 또는 측정하고, 감지(또는 측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보상치를 변경 적용하거나,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4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근조도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전자 장치(10)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제어부(131)의 지시에 따라 구동되어, 주변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제2 신호 처리부(190)가 측정된 조도에 따라 보상치를 변경 적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는 제어부(131)의 지시에 따라 그릴(20)의 장착 전 후의 조도를 각기 측정하고, 장착 전후 측정된 조도에 따라 다른 보상치가 적용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그릴(20)의 장착 전후에 달라진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는 디스플레이(120)와 그릴(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가 조도 변화를 고려하여 제2 보상치를 보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도 센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제어부(131)의 지시에 따라 그릴(20)의 장착 전 후를 촬영하고, 제어부(131)는 그릴 장착 전과 그릴 장착 후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그릴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그릴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된 그릴 종류에 따른 제어부(131)의 구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80)은 리모컨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컨 등에 의해서 그릴(20)의 장착에 의한 음질 및 화질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보상 여부(보상 또는 미보상)를 요청하면, 통신부(180)는 리모컨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질 및 화질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거나 보상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은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키 입력부를 통해서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통신부(18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 방법으로 외부기기 또는 서버에 연결되어 무선으로 영상 및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감지부(190)는 홀 센서, 리더(예: RFID 리더), NFC 모듈, 및 감지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그릴(20)의 감지객체(210)는 자성체이고, 장착 감지부(190)는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홀 센서에 의해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전자 장치(10)에 그릴(2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그릴(20)의 감지객체(210)는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는 RFID 태그이고, 장착 감지부(190)는 RFID 태그로부터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읽는 RFID 리더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하거나,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감지객체(210)는 그릴의 고유식별정보가 저장된 NFC 모듈이고, 장착 감지부(190)는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읽는 NFC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하거나,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릴(20)은 결합 부재(예: jack)를 포함하고, 장착 감지부(190)는 감지객체(210)의 근접 또는 장착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상태천이로 변환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1)는 감지회로를 통한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여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하거나,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그릴(131)의 장착 시에 출력 음원 및 영상에 각기 그릴(20)에 따른 제1 및 제2 보상치를 적용하도록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 13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1)가 장착 감지부(190)를 이용하여 그릴(20)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장착 감지부(190)의 설명과 함께 전술하였으므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사용자의 키 조작을 확인하여 수동으로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전자 장치(10)에 구비된 키 입력부(미도시)의 조작 형태를 감지하여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31)는 통신부(18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 키 조작을 감지하여 그릴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장착 감지부(190) 또는 센서부(140)을 통해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모듈, NFC 모듈, 결합 부재, 금속 부재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31)는 장착 감지부(190)를 통해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장착 감지부(190)에 의해 그릴(20)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31)는 소켓 형태의 장착 감지부(190)를 이용하여 신호상태천이 여부, 상태천이된 신호의 종류 또는 개수 등을 확인하여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객체(210)가 그릴 종류별로 각기 다른 길이와 단자 개수를 갖는 이어잭(Earjack)과 같은 잭(jack)일 경우, 제어부(131)는 소켓에 끼워지는 잭에 따른 복수의 신호상태천이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31)가 장착 감지부(190)를 이용하여 그릴(20)의 장착 여부 및 그릴 종류를 감지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3e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31)는 장착 감지부(190) 및 센서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객체의 특징(예: 색상, 형상, 재질, 결합구조 등)을 파악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센서부(140)(예: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감지 정보(예: 촬영 영상)를 이용하여 그릴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어부(131)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산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제어부(131)는 그릴 종류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보상치를 결정하고,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 135)가 결정된 제1 및 제2 보상치를 이용하여 출력 음원 및 영상을 보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센서부(140)의 감지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1 및 제2 보상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감지 정보로부터 주변 조도가 어두워짐을 확인하면, 출력 영상의 밝기값을 증가시키고, 주변 조도가 저하됨을 확인하면 출력 영상의 밝기값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제2 보상치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감지 정보로부터 그릴 색상의 밝기값 저하 및 빛의 투과율 저하를 확인하면, 그릴 색상의 밝기값 저하 및 빛의 투과율 저하에 대응하여 출력 영상의 밝기값을 높일 수 있도록 제2 보상치 중 밝기 보상치를 증가 적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131)가 그릴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보상치를 가변하는 예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디스플레이(120)가 그릴(20) 종류에 따른 그릴 패턴에 대응하는 그래픽 아트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120) 또는 제2 신호 처리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래픽 아트 영상은 그릴 종류에 대응하여 미리 지정된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이 격자 무늬로 구성될 때 그래픽 아트 영상은 디스플레이(120)에 그릴(20)의 격자 무늬와 합쳐져서 완성되는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처리부(133)는 제어부(131)의 제어에 따라 제1 보상치를 이용하여 출력 음원을 보상함에 따라 그릴(20)에 의한 음원 변화 또는 특정 주파수 감쇄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치는 그릴(20)에 의해 감쇄될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예: 중고역대)의 소리를 그릴(20)에 의해 감쇄되는 양만큼 증폭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처리부(133)는 설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1 보상치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증폭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일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에 의한 음질 변화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주파수 대역은 1kHz 내지 10kHz 대역 중에서 각 그릴(20)에 의해 주파수 특성에 변화(예: dip, peak)가 발생하는 대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상치는 설정 주파수 대역의 딥(dip) 또는 피크(peak)를 평탄화하는 이퀄라이저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보상치는 다채널 스피커에 대응하는 복수의 보상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제1 신호 처리부(133)는 음원이 다채널 스피커로 출력되는 경우에 다채널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원을 각기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신호 처리부(135)는 제2 보상치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의 각 픽셀의 화질요소를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 처리부(135)는 제2 보상치에 대응하여 영상의 각 픽셀의 밝기값(Brightness), 대비(Contrast), 해상도(Resolution) 및 색상(Color Tone) 중 적어도 하나의 화질요소를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에 의한 디스플레이(120)의 화질 변화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그 종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120) 및 스피커(110)의 출력부 전체를 가리지 않고, 그 일부를 가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은 디스플레이(120)의 일부만을 가리는 형태로 전자 장치(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제2 신호 처리부(135)는 출력 영상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일부에 대응하는 픽셀만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이 디스플레이(120)의 외곽 일부 픽셀만을 가리도록 설치된 경우에, 제2 신호 처리부(135)는 입력 영상 중에서 디스플레이(120)의 외곽 픽셀에 대해서만 제2 보상치를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화질요소를 보상하고, 나머지 픽셀에 대한 화질요소는 보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보상치는 보상할 픽셀좌표(예: 그릴(20)에 의해 가려지는 픽셀들의 좌표)와 연관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제2 신호 처리부(135)는 출력 영상에서 제2 보상치와 연관된 픽셀좌표에 대응하는 픽셀만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스피커와 디스플레이 결합 제품에 씌워지는 그릴 종류에 따라 변화되는 음질과 화질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그릴 장착 여부 및 그릴 종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음질 및 화질을 보상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약속된 그릴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홀 센서를 이용한 그릴 장착 여부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와 리더를 이용한 그릴 종류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잭과 소켓을 이용한 그릴 종류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3d 및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부재(예: 돌기 및 홀)를 이용한 그릴 종류 식별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이어잭 소켓을 등가회로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이 한 종류일 경우, 제어부(131)는 그릴(20)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태 310과 같이, 그릴(20)의 감지객체(210)는 그릴(20)의 측면 내부(또는, 외부)에 구비된 자성체이고, 전자 장치(10)의 장착 감지부(190)는 자성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상태 320과 같이, 홀 센서는 그릴(20)이 전자 장치(10)에 장착될 때 그릴(20)에 장착된 자성체와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므로, 그릴(20)이 전자 장치(10)에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자성체의 근접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출력하므로, 제어부(131)는 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0)에 그릴(20)이 장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이 복수 종류인 경우에는 제어부(131)는 그릴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장착 감지부(190)에 의해 파악된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정보나, 장착 감지부(190) 또는 센서부(140)에 의해 감지된 감지객체(210)의 특성 또는 장착 감지부(190)의 감지회로 등의 신호상태천이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3b 내지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객체(210)는 그릴의 그릴식별정보를 저장하는 태그(예: RFID 태그, NFC 태그)이고, 장착 감지부(190)는 리더(RFID 리더, NFC 통신부)일 수 있다. 태그와 리더는 그릴(20)과 전자 장치(10)의 장착 시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릴(20)이 전자 장치(10)에 근접함에 따라 리더에 태그가 근접하면, 리더는 태그로부터 그릴의 고유식별정보(31)를 읽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31)는 리더를 통해 태그에 저장된 그릴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그릴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와 같이, 제어부(131)가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그릴식별정보를 식별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하는 방식은 그릴(20)이 한 종류일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c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20)의 감지객체(210)는 그릴 종류에 따른 잭이고 전자 장치(10)의 장착 감지부(190)는 소켓(35) 및 적어도 하나의 감지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서, 블록 331은 복수의 잭을 도시한 것이고, 블록 333은 소켓을 도시한 것이고, 블록 335 내지 337은 복수의 잭 각각이 소켓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잭과 소켓의 형태로 그릴 종류를 구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회로의 누설전류 등을 고려하여 잭과 소켓의 연결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블록 331을 참조하면, 그릴(20)의 감지객체(210)는 그릴 종류별로 각기 다른 개수 또는 길이의 단자를 갖는 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릴(20)이 제1 내지 제3그릴의 3종류일 경우에, 제1그릴에는 제1 잭(34-1)이 구비되고, 제2그릴에는 제2 잭(34-2)이 구비되고, 제3그릴에는 제3 잭(34-3)이 구비될 수 있다. 블록 331과 같이, 제1 잭 내지 제3 잭(34-1~34-3)은 예컨대, 수직으로 이어지는 서로 다른 개수와 서로 다른 길이의 단자를 갖는 이어잭일 수 있다.
블록 333을 참조하면, 소켓(35)은 그릴(20)에 구비된 잭(34-1~34-3)과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소켓으로서, 예를 들어, 1 내지 5번핀을 가지는 이어잭 소켓일 수 있다. 상기 소켓(35)의 각 핀은 소켓(35)에 장착된 잭과 주변 회로(예: 풀 업 또는 풀 다운 회로)에 의해 각기 다른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표 1의 2행과 같이 상기 소켓(35)의 1, 2 3번핀은 풀 업(Pull up)되고, 4번 및 5번핀은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켓(35)의 2, 4번 핀은 잭(34-1~34-3)이 장착되지 않으면 상호 연결되고, 잭(34-1~34-3)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의 3열과 같이, 2번 핀의 상태는 잭의 장착 여부에 따라 상이므로, 제어부(131)는 소켓(35)의 2번핀의 상태를 이용하여 잭(34-1~34-3)이 장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소켓(35)에 잭(34-1~34-3)이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2번핀은 4번핀과 연결되므로, 4번핀의 그라운드의 영향을 받아 로우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소켓(35)에 잭(34-1~34-3)이 장착된 경우에는 풀업된 2번핀은 그라운드인 4번핀과 연결되지 않으므로, 풀업에 의하여 하이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1)는 2번핀의 상태가 로우이면 그릴(20)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2번핀의 상태가 하이이면 그릴(2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소켓 핀 번호 | 2 | 4 | 1 | 3 | 5 | |
| 각 핀 상태 | 풀업 | GND | 풀업 | 풀업 | GND | |
| 잭 미장착 | 핀 간의 연결 | 연결됨 | ||||
| 제어부 | 로우 | 로우 | 하이 | 하이 | 로우 | |
| 제1 잭 장착 | 핀 간의 연결 | |||||
| 제어부 | 하이 | 로우 | 하이 | 하이 | 로우 | |
| 제2 잭 장착 | 핀 간의 연결 | 연결됨 | ||||
| 제어부 | 하이 | 로우 | 하이 | 로우 | 로우 | |
| 제3 잭 장착 | 핀 간의 연결 | 연결됨 | ||||
| 제어부 | 하이 | 로우 | 로우 | 로우 | 로우 | |
블록 335 내지 337과 같이, 전자 장치(10)에 그릴(10)이 장착될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켓(35)에는 제1 내지 제3 잭(34-1~34-3) 중 하나(도 3c의 화살표 방향 참조)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소켓(35)에 연결된 잭의 종류에 따라 소켓(35)의 1, 3, 5번 핀의 연결 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제어부(131)는 소켓(35)의 1, 3, 5번 핀의 신호 상태를 이용하여 장착된 그릴(2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 335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35)에 제1 잭(34-1)이 장착된 경우에는 1, 3, 5번핀은 서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각 핀의 상태를 유지하여 하이(high), 하이(High) 및 로우(low) 상태일 수 있다.
블록 337과 같이, 소켓(35)에 제2 잭(34-2)이 장착될 경우, 1번핀은 다른 핀과 연결되지 않아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3, 5번핀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태 변경되므로, 1, 3, 5번핀은 각기 하이, 로우 및 로우 상태일 수 있다.
블록 339과 같이, 소켓(35)에 제3 잭(34-3)이 장착될 경우, 1, 3, 5번핀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1, 3, 5번핀은 모두 로우 상태일 수 있다. 이 같이, 소켓(25)에 연결된 잭의 종류에 따라서 1, 3, 5번 핀은 각기 다른 상태일 수 있으므로, 그릴 종류별로 각기 다른 잭을 사용한다면, 그릴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도 3c의 구조에서, 제어부(131)는 제1 내지 제3 잭(34-1~34-3) 중 소켓(35)에 연결된 잭에 대응하는 소켓(35)의 적어도 한 핀의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1, 3, 5번이 하이(high), 하이(High) 및 로우(low)이면, 그릴 종류가 제1그릴인 것으로 판단하고, 하이, 하이 및 로우이면, 그릴 종류가 제2그릴인 것으로 판단하고, 로우, 로우, 로우이면, 그릴 종류가 제3그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1)는 소켓(35)의 1, 3, 5번핀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회로(미도시)를 통해서 제어부(13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소켓(35)에 장착되는 잭의 종류에 의해 그릴 종류를 식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소켓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식별 가능한 그릴 종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잭(34-1~34-3)은 예를 들어, 그릴(20)의 전자 장치(10)와 결합되는 제1면(예: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되고, 소켓(35)은 제1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그릴(20)이 전자 장치(10)에 장착되면, 소켓(35)은 잭(34-1~34-3)과 결합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1)는 그릴 결합부의 위치를 이용하여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릴(20)은 종류에 따라 돌기의 위치 및 돌기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전도성 재질의 복수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구비된 모든 종류 그릴과 결합 가능한 개수와 위치의 홀을 구비하고, 각 홀에는 전도성 재질의 돌기의 장착 시에는 장착 전과 다른 상태로 천이되도록 구성된 감지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3종류의 그릴(제1 내지 제3그릴) 중에서 제1그릴(37-1) 및 제3그릴(37-3)은 한 돌기의 위치가 상이한 총 5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고, 제2그릴(37-2)은 총 4개의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제1 내지 제3그릴(37-1~3)의 돌기(371)와 각기 결합 가능한 총 6개의 홀(361~366)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1)는 총 6개의 홀(361~366) 중에서 그릴(20)의 돌기가 끼워진 홀을 전기적 상태천이에 의하여 구분함에 따라 전자 장치(10)에 장착된 그릴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도 3e를 참조하면, 그릴(20)은 종류에 따라 모두 동일한 수의 복수의 돌기(391~394)를 구비하나, 종류에 따라 복수의 돌기(391~394)의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돌기(391~394)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재질의 돌기를 포함하고, 비전도성 재질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질의 돌기는 감지객체(210)이거나, 감지객체(21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복수의 돌기(391~394)와 결합되는 복수의 홀(381~38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홀에는 전도성 재질의 돌기와 결합될 때 전기적으로 상태가 천이되는 감지회로(예: 이어잭 형태, 장착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1)는 복수의 홀(381~384)과 결합된 돌기 중에서 전도성 재질의 돌기 수에 의해 그릴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와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 그릴에는 각기 동일한 위치에 총 4개의 돌기가 구비되며, 제1 그릴은 한 개의 전도성 재질 돌기를 구비하고, 제2 그릴은 두 개의 전도성 재질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4개의 홀 중 전도성 재질 돌기와 결합된 홀과 연결된 감지회로에 의해 전도성 재질 돌기의 결합을 감지함에 따라 그릴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h에서는 복수의 돌기가 총 4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릴(20)은 전자 장치(10)와 결합되는 면 중 일부에 전도성 재질과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질은 금속재질일 수 있으며, 그릴(20)의 전자 장치(10)와 결합되는 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31)는 전도성 재질의 접촉에 따른 신호상태천이를 감지하여 그릴(20)의 장착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릴식별정보, 그릴결합구조 및 감지객체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본체에 장착된 그릴 종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상치 결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동작 400에서, 제어부(131)는 그릴(20)이 장착된 경우에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를 기반으로 주변 조도가 밝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측정 조도와 설정된 기준 조도의 차가 양의 값이면, 주변 조도가 밝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1)는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의 차가 음의 값이면 주변 조도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조도는 평균 실내 조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410에서, 제어부(131)는 주변 조도가 밝으면, 밝은 정도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의 차가 클수록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정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2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의 투과율이 기설정된 기준투과율 미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된 그릴의 투과율은 재질 및 개구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빛의 투과율을 수치적으로 계산함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기준투과율은 제2 보상치의 산출에 이용된 기준 그릴의 투과율일 수 있으며, 기준 그릴에 빛을 통과시키는 실험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재질 및 개구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투과율을 산출하는 수식은 재질 및 개구율을 달리하여 빛의 투과율을 확인하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20)의 투과율이 기준투과율 미만이면, 그릴(20)의 투과율과 기준투과율의 차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20)의 투과율과 기준 투과율의 차가 클수록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정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의 밝기가 기설정된 기준밝기 미만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밝기는 디폴트값인 제2 보상치의 산출에 이용된 기준 그릴의 색상일 수 있다. 기준밝기와 적용된 그릴의 밝기는 동일 조도 조건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산출된 평균 밝기값일 수 있다.
동작 45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의 밝기가 기준밝기 미만이면, 그릴의 밝기와 기준밝기의 차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과 기준밝기의 차이가 커질수록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밝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정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70에서, 제어부(131)는 주변조도가 기준조도 미만이면, 주변조도와 기준조도의 차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48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의 투과율이 기준투과율 미만이면,그릴의 투과율과 기준투과율의 차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490에서, 제어부(131)는 적용된 그릴의 밝기가 기준밝기 미만이면, 그릴의 밝기가 기준밝기의 차에 대응하여 밝기 가중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 470 내지 490에서, 밝기 가중치를 감소시키는 정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460에서, 제어부(131)는 동작 410, 430, 450, 470 내지 490에서 증가 또는 감소된 밝기 가중치를 고려하여 제2 보상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보상치는 그릴을 적용한 경우와 그릴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며, 디스플레이(120)의 밝기값을 조절하여 시각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릴 종류 및 주변 조도에 대응하여 화질요소를 조절하여 그릴로 인한 화질변화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10)는 그릴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그릴 장착 여부에 의한 신호의 상태천이 등에 의하여 그릴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10)는 장착된 그릴의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그릴(20)에 구비된 감지객체(210)에 저장된 그릴의 고유식별정보를 읽거나, 센서에 의해 감지객체(210) 또는 그릴 특징(예: 색상, 형상, 재질, 결합구조 등)을 파악하여 그릴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10)는 그릴 종류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보상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확인된 그릴 정보 또는 그릴 특징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제1 및 제2 보상치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검색된 제1 및 제2 보상치를 변경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주변 조도에 따라 그릴 종류에 대응하는 제2 보상치를 변경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주변 조도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제2 보상치를 변경 적용함에 따라 그릴로 인한 화질 변화를 더욱 효율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전자 장치(10)는 제1 및 제2 보상치를 이용하여 각기 음질과 화질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제1 보상치를 이용하여 음원의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증폭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기설정된 제2 보상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20)의 해상도, 밝기값, 대비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릴 식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서, 이미지 센서는 그릴(20)의 외부에서 디스플레이(120)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동작 610에서, 제어부(130)는 그릴(20)의 장착을 확인하면, 동작 620에서 홀 센서, 조도 센서 및 이미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30)는 그릴(20)의 감지객체(예: 자석)를 감지하는 수단(예: 홀 센서, 장착 감지부)에 의해 그릴(2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제어부(13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그릴 장착 전과 그릴 장착 후를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그릴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그릴 장착 전과 후의 촬영 영상의 평균 픽셀값(RGB)의 변화를 이용하여 그릴(20)의 색상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영상의 그릴 장착 전과 후의 촬영 영상의 에지 변화를 이용하여 그릴(20)의 개구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는 그릴(20)과 일정 거리 이격되므로, 그릴(20)의 일정 크기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일정 크기 내의 에지 변화로부터 그릴(20)의 패턴과 각 패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그릴 개구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촬영 영상에서 그릴(20)의 개구율, 개구 밀도 및 개구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그릴(20)의 재질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개구 형상은 촬영 영상의 에지 변화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고, 상기 개구 밀도는 일정 면적에 개구의 개수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개구 밀도가 임계 밀도 미만이거나, 개구율이 일정크기 미만이거나, 개구 형상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릴(20)이 천 재질이고, 개구 밀도가 임계 밀도가 임계 밀도 이상이거나, 개구율이 일정크기 이상이거나, 개구 형상이 일정할 경우에는 그릴(20)이 메탈 재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동작 640에서, 제어부(130)는 조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주변 조도를 기반으로 그릴(20)의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60) 내 조도에 따른 색상 보정값 및 개구율 보정값을 참조하여 그릴 색상 및 개구율을 보정할 수 있다. 색상 보정값은 다양한 조도에서 그릴 색상에 따른 촬영 영상의 RGB의 변화를 확인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개구율 보정값은 다양한 조도에서 그릴 개구율에 따른 촬영 영상의 에지 변화를 확인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650에서, 제어부(130)는 메모리(160) 내 그릴 종류에 따른 제1 및 제2 보상치 중에서 확인된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가 가장 유사한 그릴 종류를 선별하고, 선별된 그릴 종류의 제1 및 제2 보상치를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60)에 포함된 그릴 종류 중에서 촬영 영상으로부터 확인된 색상 값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가장 유사한 그릴 종류를 선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60)에 포함된 그릴 종류 중에서 촬영 영상으로부터 확인된 개구율과 동일 또는 상대적으로 가장 유사한 그릴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메모리(160)에 포함된 그릴 종류 중에서 촬영 영상으로부터 확인된 재질의 그릴 종류를 선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복수의 그릴 종류가 선별된 경우에는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유사성이 더 큰 그릴 종류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보상치에 따라 출력 음원 및 출력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133, 135)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40)을 이용하여 측정된 정보(예: 조도 및 촬영 영상)를 기반으로 장착된 전자 장치(10)에 장착된 그릴(20)의 개구율과 색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개구율과 색상을 기반으로 알지 못하는 그릴(20)에 대한 제1 및 제2 보정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며 그릴이 장착되는지를 식별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에서 식별된 그릴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장착 감지부는
장착된 그릴의 종류를 추가로 식별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식별된 그릴의 종류 따라 상기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출력하는 전자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그릴은 감지객체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착 감지부를 통해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거나, 상기 장착 감지부와 상기 감지객체의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그릴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감지객체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홀 센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감지하면, 상기 그릴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감지객체는, 상기 그릴의 종류에 대응하는 그릴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그릴식별정보를 읽는 리더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태그로부터의 그릴식별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그릴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그릴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그릴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감지객체는, 잭(jack)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소켓(socket)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켓과 잭의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그릴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그릴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감지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지는 상기 돌기의 개수, 종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그릴의 종류에 따라 상기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음원을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8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그릴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그릴 색상 및 개구율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서,
장착 여부 또는 종류에 따른 기 설정된 보상치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상치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보상치를 변경 적용하는 것인 전자 장치. - 제10항에서, 상기 보상치는,
상기 그릴의 색상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각 픽셀의 채도를 감소시키는 채도 보상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의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그릴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그릴에 의해 가려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의 출력 영상을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제1면에 그릴이 장착되는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그릴 장착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스피커의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서,
상기 장착된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그릴의 종류에 대응하는 보상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하는 동작은,
상기 보상치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상 또는 상기 출력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서, 상기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그릴에 구비된 감지객체의 근접을 감지하거나, 상기 감지객체와의 결합을 감지하여 상기 그릴의 장착 여부 또는 상기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6항에서,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주변 조도에 따라 상기 보상치를 변경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서, 상기 보상치는,
상기 그릴의 색상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각 픽셀의 채도를 감소시키는 채도 보상치를 포함하는 방법. - 제15항에서,
상기 그릴을 촬영하는 동작; 및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그릴 색상, 개구율 및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그릴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45495A KR20180049503A (ko) | 2016-11-03 | 2016-11-03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6/347,310 US10810968B2 (en) | 2016-11-03 | 2017-09-04 |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
| PCT/KR2017/009666 WO2018084414A1 (ko) | 2016-11-03 | 2017-09-04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45495A KR20180049503A (ko) | 2016-11-03 | 2016-11-03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80049503A true KR20180049503A (ko) | 2018-05-11 |
Family
ID=620769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45495A Abandoned KR20180049503A (ko) | 2016-11-03 | 2016-11-03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 Country | Link |
|---|---|
| US (1) | US10810968B2 (ko) |
| KR (1) | KR20180049503A (ko) |
| WO (1) | WO20180844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56177B1 (ko) * | 2017-01-13 | 2025-01-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1809774B1 (en) * | 2019-06-05 | 2023-11-07 | Apple Inc. | Privacy with extra-aural speakers |
| WO2022244948A1 (en) * | 2021-05-18 | 2022-11-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brightness on digital displays for optimum visibility and power consumption |
| US12347451B2 (en) * | 2022-10-05 | 2025-07-01 | Bang & Olufsen A/S | Acoustic speaker cover material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
Family Cites Families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546101B1 (en) | 2000-06-02 | 2003-04-08 | Motorola, Inc. |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lluminated audio indicator |
| JP2006094029A (ja) | 2004-09-22 | 2006-04-06 | Yamaha Corp | スピーカボックス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
| JP4826413B2 (ja) | 2006-09-27 | 2011-11-30 | 船井電機株式会社 | スピーカ装置 |
| RU2011128403A (ru) | 2008-12-09 | 2013-01-20 |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акустического выхода из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
| JP2011188220A (ja) | 2010-03-08 | 2011-09-22 | Toshiba Corp | 電子機器及び音声制御方法 |
| US20120250875A1 (en) | 2011-03-31 | 2012-10-04 | Nicholson Travis E | Portable Loudspeaker |
| US9800961B2 (en) * | 2011-03-31 | 2017-10-24 | Bose Corporation | Portable loudspeaker |
| US20120250924A1 (en) * | 2011-03-31 | 2012-10-04 | Nicholson Travis E | Portable Loudspeaker |
| US20130177196A1 (en) * | 2012-01-09 | 2013-07-11 | Noel Lee | Magnetically Attachable Exterior Grills for Speaker Housing |
| WO2015134278A1 (en) * | 2014-03-03 | 2015-09-11 | Wyoming West, Llc | Rotatable speaker control with virtual detents |
| US9521497B2 (en) * | 2014-08-21 | 2016-12-13 |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equalizing audio for playback on an electronic device |
-
2016
- 2016-11-03 KR KR1020160145495A patent/KR20180049503A/ko not_active Abandoned
-
2017
- 2017-09-04 WO PCT/KR2017/009666 patent/WO2018084414A1/ko not_active Ceased
- 2017-09-04 US US16/347,310 patent/US1081096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8084414A1 (ko) | 2018-05-11 |
| US10810968B2 (en) | 2020-10-20 |
| US20190333473A1 (en) | 2019-10-3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80049503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 CN107277356B (zh) | 逆光场景的人脸区域处理方法和装置 | |
| US7545397B2 (en) | Enhancing contrast | |
| EP3134850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based on processing an image captured by other camera | |
| CN110766621B (zh) | 图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 US8964070B2 (en) |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camera and electronic apparatus | |
| KR101264804B1 (ko) | 최적의 촬영위치를 알릴 수 있는 파노라마 촬영 방법 및장치 | |
| CN113016027A (zh) | 电子设备和基于电子设备上的显示信息的照度感测方法 | |
| KR102452564B1 (ko) |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 KR20160143419A (ko) | 영상 데이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
| KR20130140879A (ko) | 단말 기기 내의 발광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및 단말 기기 | |
| KR102489505B1 (ko) | 장치 정보 또는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값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 KR20190026128A (ko)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보정하는 방법 | |
| KR20190085982A (ko) | 카메라 어셈블리 및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camera assembly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 |
| KR20210021062A (ko) | 이미지 캡처 방법 및 시스템 | |
| JP2011150127A (ja) | 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装置 | |
| US20140146198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ick-up device | |
| US20150221284A1 (en) | Backlight Compensa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 |
| US20090041295A1 (en) |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 |
| KR20180039394A (ko) |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 KR20180057060A (ko) | 디스플레이장치, 시스템 및 기록매체 | |
| JP5061864B2 (ja) | テレビ、オーディオ信号供給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 |
| KR20210038129A (ko) |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 CN110519526A (zh) | 曝光时长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 KR20190033407A (ko) |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C19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