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2430A -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 Google Patents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430A
KR20180032430A KR1020160121663A KR20160121663A KR20180032430A KR 20180032430 A KR20180032430 A KR 20180032430A KR 1020160121663 A KR1020160121663 A KR 1020160121663A KR 20160121663 A KR20160121663 A KR 20160121663A KR 20180032430 A KR20180032430 A KR 20180032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fuel
less
fuel tube
vehic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타관
윤치상
홍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일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일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일튜브
Priority to KR102016012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2430A/en
Publication of KR2018003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43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으로 제조되되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에 관한 것으로, 헤드부는, 헤드부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이 형성되는 시트면부와, 시트면부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시트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플랜지부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이 구비된 제 1 경사부와, 플랜지부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바디부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 2 경사부, 및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며 제 2 경사면과 바디부를 잇는 이음면이 구비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헤드부에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which is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includes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seat surface portion in which a spherical seat surface is formed, A first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continuously formed on the seat surface and increasing in outer diameter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conical portion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conne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body portion By including the joint portion, stress concentration occurring in the head portion can be more effectively reduced.

Description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 {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DI 엔진을 채택한 차량에서 가솔린 연료를 내연 기관 측으로 전달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that form a flow path for transferring gasoline fuel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side in a vehicle employing a GDI engin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차량의 내연 기관에서 가솔린 또는 디젤 등의 연료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장치를 의미한다.Generally,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means a device for forming a passage for supplying fuel such as gasoline or diesel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이와 관련하여,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0591970B1(특허문헌 1)이 개시된 바 있다. 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KR10-0591970B1 (Patent Document 1) has been disclosed as a prior art relating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vehicles and an assembly thereof.

특허문헌 1은 고압 연료 분사관에 관한 것으로, 두껍고 작은 직경의 금속관의 단부에서 좌굴 성형에 의해 직경이 증가되는 결합 헤드부를 구비하고, 결합 헤드부의 하부 헤드부에는 후벽부가 형성되는데, 후벽부는 결합 헤드부에 이어지는 후벽부의 부분(A)의 곡률 반경(R1)이 관의 외경의 0.03 내지 0.15 배인 조건과 후벽부의 부분(A)으로부터 직선 관부까지 이어지는 부분(B)의 곡률 반경(R2)이 관의 외경의 0.3 내지 1.5 배인 조건과 후벽부의 최대 직경 크기(w)가 결합 헤드부의 최대 직경 방향 돌출 길이(W)의 0.25 내지 0.4 배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술을 개시하여, 굽힘 하중 등에 의해 야기되는 결합 헤드부의 하부 헤드부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도모한다.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ipe, which has a coupling head portion whose diameter is increased by buckling molding at an end portion of a thick and small-diameter metal pipe, and a rear wall portion is formed in a lower head portion of the coupling head portion, And the radius of curvature R2 of the portion B extending from the portion A of the rear wall portion to the straight tube portion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tube portion And the maximum diameter size (w) of the rear wall portion is 0.25 to 0.4 times the maximum radial protrusion length (W) of the joining head portion. Thus, the joining head So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lower head portion of the portion is mitigated.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고압 연료 분사관의 경우, 결합 헤드부의 하부헤드부에 인접하여 링형와셔 또는 슬리브와셔를 결합시킨 후 체결너트가 와셔의 외주를 감싸게 설치하는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연료레일 등에 접속되는 구조를 개시하지만, 이 경우, 체결너트 및/또는 와셔와 연료 분사관 사이의 조립 공차 등에 의한 이격 공간을 통해 연료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ip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ring washer or the sleeve washer is adjacent to the lower head portion of the coupling head, and then the coupling nut is connected to the fuel rail or the lik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el can be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for separation due to the assembly nut and / or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washer and the fuel injection pipe.

한편,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GDI 엔진을 채택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SUS304계열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을 사용하지만, 최근 환경 규제 관련하여 튜브 내압이 250 ~ 300 bar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에 비추어, 보다 내압 성능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재질의 도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steel pipe made of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material of the SUS304 series is generally used for a high-pressure fuel tube and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employs a conventional GDI engine including Patent Document 1. However, recently, b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 stainless steel material with improved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KR10-0591970B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0591970B1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에 있어서, 내압 성능이 향상된 스테인리스 재질을 도입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including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and to provide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that incorporate a stainless steel material with improved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의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헤드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to which a head part structure for effectively dispersing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head part is applied.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공급 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료 누출 방지 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to which a fuel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fuel from leaking out during fuel supply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으로 제조되되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로서, 헤드부는, 헤드부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이 형성되는 시트면부와, 시트면부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시트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플랜지부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이 구비된 제 1 경사부와, 플랜지부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바디부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 2 경사부, 및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며 제 2 경사면과 바디부를 잇는 이음면이 구비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which is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steel pipe and includes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head portion forms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continuously formed on the seat surface and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continuously form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s reduced toward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having a first curvature radius, And a joint part having a joint part connecting the body part.

이 경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은, Ni: 3.0 이상 7.0 이하 중량%, Cr: 21.0 이상 25.0 이하 중량%, Mo: 0.05 이상 4.0 이하 중량%, N: 0.05 이상 0.20% 이하 중량%, C: 0.03 이하 중량%, Si: 1.0 이하 중량%, Mn: 2.0 이하 중량%, P: 0.03 이하 중량%, S: 0.02 이하 중량%의 재질로 구성되고,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uplex stainless steel steel pipe is composed of Ni: 3.0 to 7.0 percent by weight, Cr: 21.0 to 25.0 percent by weight, Mo: 0.05 to 4.0 percent by weight, N: 0.05 to 0.20 percent by weight, Or less, Si: not more than 1.0% by weight, Mn: not more than 2.0% by weight, P: not more than 0.03% by weight, S: not more than 0.02% by weight, and the balance being Fe.

한편, 바디부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바디부의 두께(d)는 0.8mm 이상 1.6mm 이하이고, 바디부의 내경(D2)은 4mm 이상 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s D1 (8.4 占 2.8 mm), the thickness d of the body portion is preferably 0.8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and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body portion is preferably 4 mm or more and 8 mm or less.

이때, 플랜지부의 최대 외경(D3)은 1.2D 이상 1.5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ximum outer diameter (D3) of the flange portion is preferably 1.2D or more and 1.5D or less.

그리고, 이음면의 제 1 곡률반경은 1mm 이상 4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joint surface is preferably 1 mm or more and 4 mm or less.

한편, 제 1 경사면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1 각도(θ1)는 40도 이상 5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gle [theta] 1 formed by the two bus lines that are farthes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s is 40 degrees or more and 50 degrees or less.

아울러, 제 2 경사면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2 각도(θ2)는 60도 이상 7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ngle? 2 formed by the two bus lines that are farthest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s is 60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한편, 헤드부는, 그 단부의 개구부 내주면에 외부를 향해 넓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portion has a tapered surfac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end portion so as to form a flow path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이때, 바디부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테이퍼면의 형성 깊이(t)는 0.2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s D1 (8.4 占 2.8 mm), the depth t of the tapered surface is preferably 0.2 mm or more and 0.8 mm or les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이음부에 인접한 바디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에 수용 설치되되 강관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ng washer accommodated in a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on at least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joint portion, have.

한편, 바디부에는 벤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되 제 2 곡률반경을 갖는 절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제 2 곡률반경은 15mm 이상 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formed by a bending process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으로 제조되되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가 체결너트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로서, 헤드부는, 헤드부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이 형성되는 시트면부와, 시트면부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랜지면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시트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플랜지부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이 구비된 제 1 경사부와, 플랜지부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바디부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 2 경사부, 및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며 제 2 경사면과 바디부를 잇는 이음면이 구비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체결너트에는 헤드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되되, 관통홀의 내측벽에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체결너트의 결합 시,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되는 제 1 턱과, 제 2 경사면에 밀착 접촉되는 제 2 턱과, 제 2 턱에 연장 형성되어 바디부를 이격 공간이 형성된 채 감싸는 제 3 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which is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pipe and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including a head part and a body part is coupled to a fastening nut, A flange portion formed with a flange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sheet surfac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center, and a flange portion continuously formed on the sheet surface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dy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two inclined surfaces,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having a first curvature radius, Wherein the fastening nu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d portion is inserted, wherei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jaw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whe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the fastening nut are engaged, A second jaw extend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third jaw extending from the second jaw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with a spacing space formed therebetween.

이 경우,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이음부에 인접한 바디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에 수용 설치되되 강관 및 체결너트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더 포함하고,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체결너트의 결합 시, 제 3 턱과 바디부 사이 이격 공간에서 가압 변형된 링와셔가 제 3 턱과 바디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씰링하면서 마찰 접촉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further includes a ring washer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or more ring-washer accommodating groove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joint, the ring washer having a lower rigidity than the steel pipe and the lock nut. The ring washer which is press-deformed in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third jaw and the body part during sealing of the third jaw and the body part while generating a frictional contact force is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을 이용함으로써 내압 성능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the assembly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by using a duplex stainless steel pip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는 헤드부의 플랜지부 전 후면에 경사면 구조를 적용하여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킨다.Further, the high-pressure fuel tube and th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y an inclined surface structure to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to effectively disperse stress concent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저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적용한 연료 누출 방지 구조를 통해 연료 공급 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the high-pressure fuel tube and th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fuel from leaking out during fuel supply through a fuel leakage preventing structure using a ring washer made of a relatively low rigidity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를 제작하기 위한 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의 구성인 체결너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ipe for manufacturing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nut that is a component of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clarity, and descriptive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be.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를 제작하기 위한 강관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l pipe for manufacturing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10)으로 제조되되, 헤드부(100) 및 바디부(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에 관한 것이다.1 and 2,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and a body portion 200. The high-pressure fuel tube includes a head portion 100 and a body portion 200. The high- Fuel tube.

강관(10)은,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고, Ni: 3.0 이상 7.0 이하 중량%, Cr: 21.0 이상 25.0 이하 중량%, Mo: 0.05 이상 4.0 이하 중량%, N: 0.05 이상 0.20% 이하 중량%, C: 0.03 이하 중량%, Si: 1.0 이하 중량%, Mn: 2.0 이하 중량%, P: 0.03 이하 중량%, S: 0.02 이하 중량%의 재질로 구성되고,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el pipe 10 is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and contains Ni: 3.0 to 7.0 percent by weight, Cr: 21.0 to 25.0 percent by weight, Mo: 0.05 to 4.0 percent by weight, N: 0.05 to 0.20 percent by weight, C: not more than 0.03% by weight, Si: not more than 1.0% by weight, Mn: not more than 2.0% by weight, P: not more than 0.03% by weight, S: not more than 0.02% by weight and the balance being Fe.

이 경우, Ni의 중량%를 3.0 이상 7.0 이하 중량%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3.0 중량% 미만인 경우 강의 인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7.0 중량% 초과인 경우 이미 충분한 인성 증가 효과 달성 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Ni content is limited to the range of from 3.0 to 7.0% by weight. When the Ni content is less than 3.0%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toughness of the steel is insignificant. When the Ni content exceeds 7.0% by weight, This is because the problem occurs.

그리고, Cr의 중량%를 21.0 이상 25.0 이하 중량%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21.0 중량% 미만인 경우 강의 내식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25.0 중량% 초과인 경우 충분한 내식성 증가 효과 달성 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eight percentage of Cr is limited to the range of not less than 21.0 and not more than 25.0% by weight is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is insignificant when it is less than 21.0% by weight, .

한편, Mo의 중량%를 0.05 이상 4.0 이하 중량%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0.05 중량% 미만인 경우 강의 내식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4.0 중량% 초과인 경우 충분한 내식성 증가 효과 달성 후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 content is limited to the range of 0.05 to 4.0% by weight, because if the Mo content is less than 0.05% by weigh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teel is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4.0% by weight, .

특히, Cr과 Mo의 경우, 최근 가솔린 연료에 메탄올, 에탄올 등의 바이오 연료가 첨가되는 경향이 있어 내식성 향상을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r and Mo, biofuel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have recently been added to gasoline fuels,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또한, N의 중량%를 0.05 이상 0.20 이하 중량%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0.05 중량% 미만인 경우 N이 Fe 격자 사이에 침입형 고용체로 존재하여 도모하는 강도 향상의 효과가 미미하며, 0.20 중량% 초과인 경우 충분한 강도 향상 효과 후 신율이 감소되어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limiting the weight percentage of N to 0.05 to 0.20% by weight is that when N is less than 0.05% by weight, N is present as an interstitial solid solution between Fe lattic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ongation after the sufficient strength improving effect is reduced and the workability is lowered.

한편, C, Si, Mn, P, S의 경우는 선택적으로 첨가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C, Si, Mn, P, and S can be selectively added.

이 경우, C의 중량%를 0.03 중량%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0.03 중량%을 초과인 경우 Cr탄화물을 형성하여 고용 Cr의 양을 감소시켜 내식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weight percentage of C is limited to the range of 0.03 wt% or less because, when the Cr content exceeds 0.03 wt%, the Cr carbide is formed to reduce the amount of the solid Cr to de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그리고, Si의 중량%를 1.0 중량%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1.0 중량% 초과인 경우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eight percentage of Si is limited to 1.0 wt% or less is that if it exceeds 1.0 wt%, the toughness of the steel is lowered.

한편, Mn의 중량%를 2.0 중량%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Mn은 S의 유해성을 저감시키지만, 2.0 중량% 초과인 경우 내식성을 필요 이상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Mn is limited to the range of not more than 2.0 wt% because Mn reduces the harmfulness of S, but if it exceeds 2.0 wt%, the corrosion resistance is lowered more than necessary.

또한, P의 중량%를 0.03 중량%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P는 강 중 Fe 자리에 치환형 고용체로 존재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지만, 0.03 중량% 초과인 경우 인성을 필요 이상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eight percentage of P is limited to 0.03 wt% or less is that P is present as a substituted solid solution in the Fe site of the steel to improve the strength, but if it exceeds 0.03 wt% This is because a problem occurs.

그리고, S의 중량%를 0.02 중량%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0.02 중량% 초과인 경우 피로강도를 필요 이상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weight percentage of S is limited to 0.02 wt% or less is that the fatigue strength is lowered more than necessary if it exceeds 0.02 w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튜브의 제작에 사용되는 강관(10)은,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을 고려하여 직경이 D1(8.4 ± 2.8mm)인 경우를 전제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el pipe 10 used for manufacturing th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D1 (8.4 ± 2.8 mm) The case is premised.

또한, 강관(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 과정을 통해 생성되어 긴 중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Also, as shown in Fig. 1, the steel pipe 10 is formed through a drawing process and has a long hollow cylindrical shape.

헤드부(100)는 시트면부(110)와, 플랜지부(120)와, 제 1 경사부(130)와, 제 2 경사부(140), 및 이음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ead portion 100 includes a seat surface portion 110, a flange portion 120, a first inclined portion 130, a second inclined portion 140, and a joint portion 150.

시트면부(110)는 헤드부(100)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11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구면형의 시트면(110a)은 피결합 상대부품인 연료레일의 홀더 등에 가압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sheet surface portion 110 forms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00,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 spherical sheet surface 110a is formed. At this time, the spherical surface 110a is a portion which is in pressure contact with a holder of a fuel rail, which is a mating relative part.

시트면부(110)의 축 방향 형성 길이는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대략 1.5mm 정도로 하는 것이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적절한 수치임을 확인하였으나, 이는 피결합대상물품의 형태 변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 -. 2.8 mm), the axial length of the seat surface portion 110 is set to be about 1.5 mm. It is obvious that it is an appropri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joined.

이 경우, 헤드부(100)의 단부의 개구부 내주면에 외부를 향해 넓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테이퍼면(111)이 시트면부(1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ed surface 111 is formed so as to form at least a part of the seat surface portion 110 so as to form a flow path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00.

이 때,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테이퍼면(111)의 형성 깊이(t)는 0.2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면(111)의 형성 깊이(t)를 0.2mm 이상 0.8mm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0.2mm 미만인 경우 가공 시 발생한 버 등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0.8mm를 초과하는 경우 단부의 형상이 너무 날카롭게 되어 테이퍼면(111)에 의한 유로 확장을 통한 연료 토출 시 유로 확장의 의미가 퇴색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200 is D1 (8.4 占 2.8 mm), the depth t of the tapered surface 111 is preferably 0.2 mm or more and 0.8 mm or less. The reason why the formation depth t of the tapered surface 111 is limited to the range of 0.2 mm or more and 0.8 mm or less is that when the thickness is less than 0.2 mm, burrs or the like generated during processing can not be removed sufficiently. The shape is too sharp and the meaning of the flow path expansion during fuel discharge through the tapered surface 111 due to the tapered surface 111 is discolored.

플랜지부(120)는 시트면부(110)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lange portion 1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110 in the axial direction.

이 경우,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플랜지부(120)의 최대 외경(D3)은 1.2D 이상 1.5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20)의 최대 외경(D3)을 1.2D 이상 1.5D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1.2D 미만인 경우 체결너트와의 조립 시 토크가 작게 걸리고 체결너트가 빠질 가능성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1.5D 를 초과하는 경우 그 성형 시 헤드부(100)의 내주면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占 2.8 mm), the maximum outer diameter D3 of the flange portion 120 is preferably 1.2D or more and 1.5D or less. The maximum outer diameter D3 of the flange portion 120 is limited to the range of 1.2D or more and 1.5D or less because when the diameter is less than 1.2D, the torque is small when assembled with the coupling nut, If it exceeds 1.5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part 100 may be deformed during its molding.

플랜지부(120)의 축 방향 형성 길이는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대략 1.5mm 정도로 하는 것이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적절한 수치임을 확인하였으나, 이는 피결합대상물품의 형태 변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xial length of the flange portion 120 in the axial direction is set to about 1.5 mm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 2.8 mm) It is obvious that it is an appropri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joined.

한편, 플랜지부(120)는 호형으로 형성되어 제 1 경사부(130) 및 제 2 경사부(140)와 각진 부분 없이 자연스레 연결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nge 120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so as to be natur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13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0 without an angled portion.

제 1 경사부(130)는 시트면(110a)에서 연속 형성되어 플랜지부(120)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130a)이 구비된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130 has a first inclined face 130a which i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seat face 110a and extends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front face of the flange portion 120. [

이때, 제 1 경사면(130a)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1 각도(θ1)는 40도 이상 5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각도(θ1)를 40도 이상 50 도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40 도 미만인 경우에는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의 형상에 의하여 시트면(110a)이 피결합대상물품에 접촉할 수 없기 때문이고, 50도 초과인 경우에는 그 성형 시 헤드부(100)의 내주면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gle [theta] 1 formed by the two bus lines that are farthest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30a is 40 degrees or more and 50 degrees or less. The reason why the first angle? 1 is limited to a range of 40 degrees to 50 degrees is that if the sheet surface 110a is less than 40 degrees, It is impossible to mak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bonded. If it exceeds 50 degrees, deformation may occu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00 during its molding.

아울러, 제 1 경사부(130)의 축 방향 형성 길이는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대략 3mm 정도로 하는 것이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적절한 수치임을 확인하였으나, 이는 피결합대상물품의 형태 변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ength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30 in the axial direction is set to about 3 mm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 2.8 mm)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is an appropri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target article, but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target article.

제 2 경사부(140)는 플랜지부(120)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바디부(200)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140a)이 구비된다.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0 i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20 and is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surface 140a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dy portion 200. [

이때, 제 2 경사면(140a)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2 각도(θ2)는 60도 이상 7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각도(θ2)를 60도 이상 70 도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60 도 미만인 경우 체결너트와의 체결 시 체결너트가 빠질 수 있기 때문이고, 70도를 초과하는 경우는 그 성형 시 헤드부(100)의 내주면에 변형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angle? 2 formed by the two most distant busbars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40a is 60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The reason why the second angle? 2 is limited to a range of 60 degrees to 70 degrees is that if the angle is less than 60 degrees, the lock nut can not be released when the lock nut is engaged with the lock nut. This is because deformation may occur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100.

아울러, 제 2 경사부(140)의 축 방향 형성 길이는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대략 1.8mm 정도로 하는 것이 출원인의 발명과 결합될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의 형상을 고려할 때 적절한 수치임을 확인하였으나, 이는 피결합대상물품의 형태 변경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ength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40 in the axial direction is set to be about 1.8 mm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 2.8 mm)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is is an appropriat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combined, but it can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joined.

이음부(150)는 제 1 곡률반경(r1)을 가지며 제 2 경사면(140)과 바디부(200)를 잇는 이음면(150a)이 구비된다.The joint part 150 is provided with a joint surface 150a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and conne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40 and the body part 200. [

이 경우, 이음부(150)의 제 1 곡률반경(r1)은,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1mm 이상 4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음부(150)의 제 1 곡률반경(r1)을 1mm 이상 4mm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1mm 미만인 경우 응력 집중으로 인하여 예를 들어 장시간 차량 주행 시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고, 4mm 초과인 경우 그 성형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joint portion 150 is preferably 1 mm or more and 4 mm or less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0 is D1 (8.4 ± 2.8 mm). The reason why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of the joint portion 150 is limited to the range of 1 mm or more and 4 mm or less is because the stress concentration causes an increase in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vehicle when traveling for a long time, This is because there is difficulty in molding.

바디부(200)는 그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두께(d)는 0.8mm 이상 1.6mm 이하이고, 내경(D2)은 4mm 이상 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200 is D1 (8.4 占 2.8 mm), the thickness d is preferably 0.8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and the inner diameter D2 is preferably 4 mm or more and 8 mm or less.

이때, 바디부(200)의 두께(d)를 0.8mm 이상 1.6mm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0.8mm 미만인 경우 가솔린 연료의 내압을 견디는데 충분치 못하여 파손 가능성이 커지고, 1.6mm 초과인 경우 외경을 더 크게 설정할 수 밖에 없어 부품 중량 증대에 의한 연비 성능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If the thickness d of the body part 200 is limited to the range of 0.8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it is not sufficient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gasoline fuel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0.8 mm.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engine, and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is deteriorated by the increase of the weight of the parts.

한편, 바디부(200)의 내경(D2)을 4mm 이상 8mm 이하의 범위로 한정한 것은, 4mm 미만인 경우 가솔린 연료의 유량 공급이 충분하지 않고, 8mm 초과인 경우 외경을 더 크게 설정할 수 밖에 없어 부품 중량 증대에 의한 연비 성능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D2 of the body portion 200 is limited to a range of 4 mm or more and 8 mm or less. If the diameter is less than 4 mm, the flow rate of the gasoline fuel is not 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el consumption performance is lowered due to the increase in weight.

한편, 바디부(200)에는 벤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되 제 2 곡률반경(r2)을 갖는 절곡부(2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제 2 곡률반경(r2)은, 바디부(200)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15mm 이상 2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곡률반경(r2)의 범위를 15mm 이상 25 mm 이하의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15mm 미만인 경우 굽힘 후 두께 감소가 많아 내압 성능이 저하되고, 25mm 초과인 경우 엔진 내부에 본 발명의 의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의 설치 시 디자인 자유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The body portion 20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210 formed by a bending process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00 ) Is D1 (8.4 占 2.8 mm), it is preferably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The range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is limited to a range of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If the radius of curvature is less than 15 mm, the thickness reduction after bending is large and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is deteriorated.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is reduced when the fuel tube is install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이음부(150)에 인접한 바디부(20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220)에 수용 설치되되, 강관(10)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220 provided on at least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body portion 200 adjacent to a joint portion 15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ing washer 300 having a lower rigidity.

링와셔(300)를 강관(10)보다 저강성으로 한 것은 체결너트와의 결합 시 가압에 의하여 변형되면서 체결너트와 바디부(200) 사이의 공간을 씰링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ing washer 300 is made to have a lower rigidity than the steel pipe 10 in order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lock nut and the body 200 while being deformed by pressing when engaged with the lock nut.

링와셔(300)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헤드부(100)에서 멀어질수록 보다 큰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하면, 체결너트의 체결 시 그 씰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ring washer 30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ealing effect when the locking nut is fastened by constructing the ring washer 300 so as to have a larger cross sec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head portion 100 increase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의 구성인 체결너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nut which is a constitution of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10)으로 제조되되 헤드부(100) 및 바디부(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가 체결너트(400)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3 and 4,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and a body portion 200. The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200 is manufactured from a duplex stainless steel pipe 10, And a fuel tube is coupled to the fastening nut (400).

이 경우, 강관(10), 헤드부(100), 및 바디부(2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간명한 설명을 위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steel pipe 10, the head part 100, and the body part 20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에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링와셔(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ring washer 30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체결너트(400)는 그 일측에 헤드부(10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홀(410)이 구비된다.The fastening nut 400 has a through hole 410 through which the head part 100 is inserted.

이 경우, 관통홀(410)의 내측벽에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체결너트(400)의 결합 시, 플랜지부(120)에 밀착 접촉되는 제 1 턱(411)과, 제 2 경사면(140)에 밀착 접촉되는 제 2 턱(412)과, 제 2 턱(412)에 연장 형성되어 바디부(200)를 이격 공간이 형성된 채 감싸는 제 3 턱(41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410 is provided with a first protrusion 41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14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120 whe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the clamping nut 400 are engaged, And a third jaw 413 extending from the second jaw 412 and surrounding the body part 200 with a spacing space formed therebetween.

한편,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가 이음부(150)에 인접한 바디부(20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220)에 수용 설치되되 강관(10) 및 체결너트(400)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더 포함하는 경우,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체결너트(400)의 결합 시, 제 3 턱(413)과 바디부(200) 사이 이격 공간에서 가압 변형된 링와셔(300)가 제 3 턱(413)과 바디부(200) 사이의 이격 공간을 씰링하면서 마찰 접촉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료레일 등의 피결합대상물품에 결합 후 연료 공급 시 연료가 체결너트(400)의 관통홀(410)과 바디부(200)의 이격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high 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is accommodated in a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220 provided at least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0 adjacent to the joint portion 150 and is inserted into the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220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teel pipe 10 and the fastening nut 400 The ring washer 300 press-de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jaw 413 and the body part 200 whe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the lock nut 4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 frictional contact force while sealing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third jaw 413 and the body part 2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uel from being supplied to the object to be coupled, such as a fuel rail,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hrough hole 410 of the fastening nut 400 and the body part 200 when the fuel is suppli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는 내압 성능의 향상된 스테인리스 재질과 경사면 구조를 도입하여 내압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응력 집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저강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적용한 연료 누출 방지 구조를 통해 연료 공급 시 연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high-pressure fuel tube and the assembly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by introducing the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the inclined surface structure with improved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reduce stress concentration more effectively, The fuel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using the ring washer prevents the fuel from flowing out when the fuel is suppli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및 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내연기관 부품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an assembly thereof, and is applicable to an industrial field relat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onent of a vehicle.

10: 강관
100: 헤드부 110: 시트면부
110a: 시트면 111: 테이퍼면
120: 플랜지부 130: 제 1 경사부
130a: 제 1 경사면 140: 제 2 경사부
140a: 제 2 경사면 150: 이음부
150a: 이음면
200: 바디부 210: 절곡부
220: 링와셔수용홈
300: 링와셔
400: 체결너트 410: 관통홀
411: 제 1 턱 412: 제 2 턱
413: 제 3 턱
D1: 강관의 직경, 바디부의 외경
D2: 바디부의 내경
D3: 플랜지부의 최대 외경
t: 테이퍼면의 형성 깊이
d: 바디부의 두께
θ1: 제 1 각도
θ2: 제 2 각도
r1: 제 1 곡률반경
r2: 제 2 곡률반경
10: Steel pipe
100: head portion 110: seat surface portion
110a: sheet surface 111: taper surface
120: flange portion 130: first inclined portion
130a: first inclined surface 140: second inclined portion
140a: second inclined plane 150:
150a:
200: body part 210: bent part
220: Ring washer housing groove
300: ring washer
400: fastening nut 410: through hole
411: first jaw 412: second jaw
413: third chin
D1: Diameter of the steel pip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art
D2: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D3: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section
t: forming depth of tapered surface
d: thickness of the body part
&thetas; 1: first angle
2: second angle
r1: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2: second radius of curvature

Claims (13)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으로 제조되되,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로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이 형성되는 시트면부;
상기 시트면부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랜지부;
상기 시트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이 구비된 제 1 경사부;
상기 플랜지부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 2 경사부; 및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경사면과 상기 바디부를 잇는 이음면이 구비되는 이음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comprising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tube being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material,
Wherein:
A sheet surface portion forming an end of the head portion, the sheet surface portion having a spherical surface;
A flang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continuously formed on the seat surface and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dy portion; And
A joint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joint surface conne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body portion;
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은,
Ni: 3.0 이상 7.0 이하 중량%, Cr: 21.0 이상 25.0 이하 중량%, Mo: 0.05 이상 4.0 이하 중량%, N: 0.05 이상 0.20% 이하 중량%, C: 0.03 이하 중량%, Si: 1.0 이하 중량%, Mn: 2.0 이하 중량%, P: 0.03 이하 중량%, S: 0.02 이하 중량%의 재질로 구성되고, 잔부는 F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3] The duplex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claim 1,
Ni: not less than 3.0 and not more than 7.0 weight%, Cr: not less than 21.0 but not more than 25.0 weight%, Mo: not less than 0.05 and not more than 4.0 weight% , Mn: not more than 2.0% by weight, P: not more than 0.03% by weight, S: not more than 0.02% by weight, and the balance being F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상기 바디부의 두께(d)는 0.8mm 이상 1.6mm 이하이고, 상기 바디부의 내경(D2)은 4mm 이상 8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s D1 (8.4 ± 2.8 mm)
Wherein a thickness d of the body portion is 0.8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and an inside diameter D2 of the body portion is 4 mm or more and 8 mm or l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최대 외경(D3)은 1.2D 이상 1.5D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of claim 3,
And a maximum outer diameter (D3) of the flange portion is 1.2D or more and 1.5D or l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면의 상기 제 1 곡률반경은 1mm 이상 4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연료튜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of the joint surface is 1 mm or more and 4 m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면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1 각도(θ1)는 40도 이상 50 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angle (? 1) formed by two bus lines, which are farthest apart from each other,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s is not less than 40 degrees and not more than 50 degr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사면의 서로 가장 멀리 떨어진 두 개의 모선이 형성하는 제 2 각도(θ2)는 60도 이상 7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angle (? 2) formed by two busbars that are farthest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s 60 degrees or more and 70 degrees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그 단부의 개구부 내주면에 외부를 향해 넓어지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tapered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end portion so as to form a flow path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경이 D1(8.4 ± 2.8mm)인 경우,
상기 테이퍼면의 형성 깊이(t)는 0.2mm 이상 0.8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is D1 (8.4 ± 2.8 mm)
(T) of the tapered surface is 0.2 mm or more and 0.8 m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에 인접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에 수용 설치되되, 상기 강관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ing washer accommodated in a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at leas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djacent to the joint portion, the ring washer having a lower rigidity than the steel pipe;
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벤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되 제 2 곡률반경을 갖는 절곡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제 2 곡률반경은 15mm 이상 25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bent portion formed by a bending process and having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Wherei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15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재질의 강관으로 제조되되 헤드부 및 바디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가 체결너트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로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단부를 형성하되, 구면형의 시트면이 형성되는 시트면부와, 상기 시트면부와 축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시트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전면을 향해 외경이 증가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이 구비된 제 1 경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후면에서 연속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를 향해 외경이 감소하는 원추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구비되는 제 2 경사부, 및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 2 경사면과 상기 바디부를 잇는 이음면이 구비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너트에는 상기 헤드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되되,
상기 관통홀의 내측벽에는, 상기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상기 체결너트의 결합 시, 상기 플랜지부에 밀착 접촉되는 제 1 턱과, 제 2 경사면에 밀착 접촉되는 제 2 턱과, 상기 제 2 턱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를 이격 공간이 형성된 채 감싸는 제 3 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
A high-pressure fuel tube assembly for a vehicle, comprising: a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the high-pressure fuel tube including a head portion and a body portion, the high-pressure fuel tube being formed of a steel pipe made of a duplex stainless steel,
Where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 seat surface portion in which a spherical seat surface is formed, an end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 flange portion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at surface portion in the axial direction, A first inclined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portion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nd close to a conical surface whose outer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dy portion A second inclined portion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shape of a first curved surface and a joint surface having a first curvature radius and a joint surface connecting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the body,
Wherein the fastening nut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ead portion is inserted,
And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is provided with a first jaw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whe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a vehicle and the coupling nu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 second jaw which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a third jaw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with a spacing space formed therebetwee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는 상기 이음부에 인접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링와셔수용홈에 수용 설치되되 상기 강관 및 상기 체결너트보다 저강성으로 이루어진 링와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와 상기 체결너트의 결합 시, 상기 제 3 턱과 상기 바디부 사이 이격 공간에서 가압 변형된 상기 링와셔가 상기 제 3 턱과 상기 바디부 사이의 상기 이격 공간을 씰링하면서 마찰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고압 연료 튜브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ring washer accommodated in a ring washer accommodating groove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adjacent to the joint portion and having a rigidity lower than that of the steel pipe and the lock nut,
The ring washer which is press-de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jaw and the body part seals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third jaw and the body part when the high-pressure fuel tube for vehicle and the lock nut are engaged, And a fuel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high-pressure fuel pipe.
KR1020160121663A 2016-09-22 2016-09-22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Ceased KR201800324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663A KR20180032430A (en) 2016-09-22 2016-09-22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663A KR20180032430A (en) 2016-09-22 2016-09-22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430A true KR20180032430A (en) 2018-03-30

Family

ID=6190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663A Ceased KR20180032430A (en) 2016-09-22 2016-09-22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243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798A (en) * 2021-12-31 2022-04-01 上海至纯精密制造有限公司 Double-inclined-plane flaring pipeline connecting joi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763B2 (en) * 1997-03-03 2006-11-1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ommon rail
KR100694312B1 (en) * 2005-12-19 2007-03-14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High Ni Duplex Stainless Steel for Welding Rods with Improved Hot Workability
JP2007077807A (en) * 2005-09-09 2007-03-29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ion head of fuel pipe in direct-injection fu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head forming method
EP2420666A1 (en) * 2009-04-15 2012-02-2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Fuel injection tube for diesel engine
JP2015055165A (en) * 2013-09-10 2015-03-2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Steel fuel pressure-feeding pipe
KR20160096685A (en) * 2013-12-13 2016-08-16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6763B2 (en) * 1997-03-03 2006-11-1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common rail
JP2007077807A (en) * 2005-09-09 2007-03-29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Connection head of fuel pipe in direct-injection fuel pipe connection structure and head forming method
KR100694312B1 (en) * 2005-12-19 2007-03-14 포스코신기술연구조합 High Ni Duplex Stainless Steel for Welding Rods with Improved Hot Workability
EP2420666A1 (en) * 2009-04-15 2012-02-22 Usui Kokusai Sangyo Kaisha Limited Fuel injection tube for diesel engine
JP2015055165A (en) * 2013-09-10 2015-03-23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Steel fuel pressure-feeding pipe
KR20160096685A (en) * 2013-12-13 2016-08-16 오또꿈뿌 오와이제이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duplex stainless stee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846763호(2006.11.1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798A (en) * 2021-12-31 2022-04-01 上海至纯精密制造有限公司 Double-inclined-plane flaring pipeline connecting jo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9414B2 (en) Connecting head structure of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ipe
JP5178176B2 (en) Connecting head structure of high-pressure fuel injection pipe
JP3995526B2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pipe with connecting head
US9599080B2 (en) Terminal structure of high-pressure fuel pipe for direct injection engine
KR19980070494A (en) Connecting head of high pressure metal pipe and common rail to which the high pressure pipe is connected
JP585552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uel distribution pipe
JP5455013B2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pipe having connecting he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56794A (en) Piping joint structure
JP2010223139A5 (en)
JP4357362B2 (en) Joint structure of branch connection for common rail
CN101389851B (en) Structure for connecting head portion of high-pressure fuel injection tube
WO2010119896A1 (en) Fuel injection tube for diesel engine
KR20180032430A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KR101929398B1 (en)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for vehicle and assembly thereof
US20190010907A1 (en) Component of a hydraulic device, in particular of a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RU2391552C1 (en) Construction of connecting head of high pressure tubes for fuel injection
KR10212385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tube
JP4111283B2 (en) High pressure metal piping connection head
CN106015822B (en) Pipe end sealing for confining pressure pip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8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