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35U -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1535U KR20170001535U KR2020150006877U KR20150006877U KR20170001535U KR 20170001535 U KR20170001535 U KR 20170001535U KR 2020150006877 U KR2020150006877 U KR 2020150006877U KR 20150006877 U KR20150006877 U KR 20150006877U KR 20170001535 U KR20170001535 U KR 2017000153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mp
- water
- light transmitting
- power
- transmitt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H02J2007/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물통 안에 저장된 물을 자외선을 발생하는 UV 램프를 이용해 물통을 휴대하고 마시는 동안 지속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하되, UV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휴대용 물통에 내장되게 하고, 유사시 UV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측으로 개방된 물수용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물수용공간부의 하부는 투광체에 의해 막힌 물통부와; 상기 물통부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뚜껑 및, 하부 덮개와; 상기 투광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 덮개 내부의 기판 상에 설치된 UV 램프 및, 상기 UV 램프의 광을 물통부의 투광체 측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판부와; 상기 UV 램프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부 덮개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 및,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을 UV 램프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충전용 보조배터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부 덮개에 형성되는 충전용 USB 포트;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물통 안에 저장된 물을 자외선을 발생하는 UV 램프를 이용해 물통을 휴대하고 마시는 동안 지속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하되, UV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휴대용 물통에 내장되게 하고, 유사시 UV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UV 램프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램프로써 자외선은 물의 살균 기능을 가지며, UV 램프를 이용한 물의 살균 장치로써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등록실용신안 제0409577호: 2006.02.22.공고.)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입구가 삽입되도록 상면 중앙이 개구되고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본체와(100),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물통의 물을 수용하는 집수통(200)과, 상기 집수통(200)의 물을 본체(100) 전면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관(300)과, 상기 배관(300)에 목부(410)가 연결되어 토출구(420)로 물이 배출되는 꼭지(400)로 구성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꼭지(400)의 토출구(420) 내면에 원형 UV 램프(500)를 장착하고, 상기 꼭지(400)의 목부(410)에는 토출구(420) 내면과 관통하는 배선공(600)을 형성하여 상기 원형 UV 램프(500)의 전선(510)이 배선공(600)을 통해 정수기 본체(100) 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UV 램프(500)는 물과의 접촉면적과 접촉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한 코일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꼭지(400)는 투명재질이면서 냉수꼭지에는 녹색 UV 램프를 사용하며, 온수꼭지에는 적색 UV 램프를 사용하고, 상기 배관(300)에는 냉수배관(310)의 내면에 중앙으로 냉수통로(320)가 연통된 원통형 또는 코일형 UV 램프(500)를 일체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보온 기능을 포함한 통상의 휴대용 물통은 휴대하면서 물을 마시게 되는데, 이때 타액으로 인해 9백마리의 세균이 증식한다. 마시는 물은 세균이 1ml당 100마리 이내여야 하는 기준으로 볼 때, 상당히 초과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뉴스 및 기사를 통해서도 먹다 남은 물이 하루만 지나도 세균이 400배로 늘어나 복통과 심장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보도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 야외나 운동시 휴대용 물통에 물을 담아 휴대하면서 조금씩 목마를 때마다 마시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보온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의 경우에는 세균이 번식할 수 밖에 없는 환경 조건을 갖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의 경우에는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용 물통 안에 저장된 물을 자외선을 발생하는 UV 램프를 이용해 물통을 휴대하고 마시는 동안 지속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도록 하되, UV 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휴대용 물통에 내장되게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통 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UV 램프의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투광체를 물통 내부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착탈될 수 있게 하여 물통 내부와 투광체에 대한 세척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UV 램프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해 유사시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간편하게 휴대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의 한 형태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물수용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물수용공간부의 하부는 투광체에 의해 막힌 물통부와; 상기 물통부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뚜껑 및, 하부 덮개와; 상기 투광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 덮개 내부의 기판 상에 설치된 UV 램프 및, 상기 UV 램프의 광을 물통부의 투광체 측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판부와; 상기 UV 램프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부 덮개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 및,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을 UV 램프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충전용 보조배터리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부 덮개에 형성되는 충전용 USB 포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광체는 석영 재질로 형성되고, 물통부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착탈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투광체는 원반형의 투광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몸체에 외측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물통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나선부에 나선 결합되며, 상기 투광몸체의 하부 외측으로 널링부를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와 투광몸체의 사이에 기밀링이 삽입되는 링삽입홈이 형성되며, 밑면부에 램프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USB 포트와 충전용 배터리의 사이에 방전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외부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원을 USB 포트 측으로 방전시켜 외부 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전원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이 담겨지는 휴대용 물통 내부의 물수용공간부의 하부를 투광체로 막고 투광체 하부에 UV 램프를 설치하여 UV 램프의 자외선이 투광체를 통과하여 물수용공간부에 담겨진 물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살균 작용으로 정수되어 항상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식음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의 위생성 및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투광체를 물수용공간부의 하부에 밀폐되면서 착탈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물수용공간부 내부와 투광체의 세척이 용이해 물통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투광체의 오염으로 UV 램프의 자외선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스위치와 방전스위치의 조작으로 USB 포트를 통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함께 유사시 충전용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으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보다 편리하게 휴대폰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용 물통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투광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분리 사시도.
도 5b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투광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분리 사시도.
도 5b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휴대용 물통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 뚜껑(3)과 하부 덮개(4)를 갖는 물통부(1)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덮개(4)에 USB 포트(9)와 전원스위치(12) 및 방전스위치(10)가 구비된다. 이를 도 2를 참고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물통부(1)는 상.하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고, 통체의 상부측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내측 뚜껑(1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 뚜껑(1b)의 외부에 상부 뚜껑(3)이 착탈 가능하게 나선 결합된다.
상기 하부 덮개(4)는 물통부(1)의 하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것으로서, USB 포트(9)와 전원스위치(12) 및 방전스위치(10)를 포함하고, 내부에는 기판(5a) 상의 UV 램프(5)와, 상기 UV 램프(5)의 광을 물통부(1) 측으로 유도하는 반사판부(6), 물통부(1)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UV 램프(5)의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체(2) 및, 기밀링(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광체(2)의 재질은 쿼츠(석영) 유리로써 석영 유리는 UV 램프(5)의 튜브를 밀봉할 때 사용할 만큼 자외선을 잘 통과시킨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부(1)는 물이 실질적으로 담겨지는 물수용공간부(1a)를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물수용공간부(1a)의 상부측 개방부에 내측 뚜껑(1b)이 착탈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며, 상기 내측 뚜껑(1b)의 외부에 상부 뚜껑(3)이 물통부(1)의 상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나선 결합된다. 또한, 상기 물수용공간부(1a)의 하부에 기밀링(25)을 갖는 투광체(2)가 결합되어 물수용공간부(1a)의 하부를 밀폐하고, 상기 투광체(2)의 하부에 UV 램프(5)가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UV 램프(5)는 기판(5a) 상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5a)은 하부 덮개(4)의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UV 램프(5)의 광이 투광체(2) 측으로 집중될 수 있게 UV 램프(5)의 외측에 반사판부(6)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사판부(6)는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 형태를 이루고, 중앙부에 UV 램프(5)가 관통할 수 있게 램프 관통공(6a)이 상기 UV 램프(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UV 램프(5)의 상단부는 투광체(2)의 밑면부에 접하고 하단부는 기판(5a)에 접한다. 그리고, 하부 덮개(4)의 내부에는 USB 포트(9)와 함께 충전용 배터리(7)가 내장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투광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5b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체(2)는 물수용공간부(1a)의 하부 내측의 조립공(1c)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반형의 투광투광몸체(21)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투광몸체(21)의 하부 외측으로 원형의 단턱부(24)가 형성되며, 상기 투광투광몸체(21)와 단턱부(24)의 사이에 기밀링(25)이 삽입되는 링삽입홈(26)이 형성된다. 또한, 투광투광몸체(21)는 상기 조립공(1c)의 내측나선부(23)에 결합되는 외측나선부(22)를 포함하고, 단턱부(24)의 외측면은 단턱부(24)를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널링(knurling)부(24a)가 형성되며, 투광투광몸체(21)의 밑면부에는 UV 램프(5)가 최대한 근접될 수 있게 램프 삽입홈(2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투광체(2)는, 먼저 투광투광몸체(21)와 단턱부(24) 사이의 링삽입홈(26)에 오링 형태의 기밀링(25)을 삽입한다. 그런 다음 단턱부(24)를 손으로 잡고 투광투광몸체(21)의 외측나선부(22)를 물수용공간부(1a)의 조립공(1c)에 형성된 내측나선부(23)에 맞추어 나선 결합 방향으로 돌려 조립하게 된다. 이때 기밀링(25)은 상기 조립공(1c)의 외곽 밑면부(1d)와 투광투광몸체(21)의 단턱부(24) 사이에 위치하고, 투광투광몸체(21)를 물수용공간부(1a)의 조립공(1c)에 나선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투광투광몸체(21)의 단턱부(24)가 기밀링(25)을 조립공(1c)의 외곽 밑면부(1d) 측으로 압축함으로써 물수용공간부(1a)의 조립공(1c)과 투광투광몸체(21)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투광체(2)를 물수용공간부(1a)에 조립한 후에는, 하부 덮개(4)의 기판(5a) 상에 설치된 UV 램프(5)를 반사판부(6)의 중앙부에 형성된 램프 관통공(6a)의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통과시켜 UV 램프(5)의 외부를 커버한 후 하부 덮개(4)를 물통부(1)에 나선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며, 물통부(1)에 하부 덮개(4)가 결합되면, 상기 반사판부(6)의 상단부는 광투광체(2)의 투광투광몸체(21) 밑면에 밀착되고, 반사판부(6)의 하단부는 기판(5a) 상에 밀착됨으로써 반사판부(6)의 유동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덮개(4)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7)와,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용 배터리(7)에 공급하거나 충전용 배터리(7)의 전원을 외부 기기로 공급하는 USB 포트(9)와, 상기 USB 포트(9)를 통해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용 배터리(7)에 저장하고 방전스위치(10)가 온(ON)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7)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USB 포트(9)를 통해 방전되게 하여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되게 하는 전원 제어부(11)와, 전원스위치(12)가 온(ON)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충전용 배터리(7)에 충전된 전원을 UV 램프(5)에 공급하여 UV 램프(5)를 동작되게 하고 전원스위치(12)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충전용 배터리(7)의 전원이 UV 램프(5)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방전스위치(10)가 오프 상태가 되고, 전원스위치(12)가 온 상태가 되면, USB 포트(9)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충전 전원이 충전용 배터리(7)에 충전되고, 충전용 배터리(7)에 저장된 전원은 전원 공급부(8)에 의해 UV 램프(5)에 공급되어 UV 램프(5)를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UV 램프(5)의 자외선이 투광체(2)를 통과하여 물통부(1)에 담겨진 물을 살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방전스위치(10)가 온 상태가 되고, 전원스위치(12)가 오프 상태가 되면, 전원 제어부(11)는 USB 포트(9)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은 차단하고, 충전용 배터리(7)에 충전된 방전 전원을 USB 포트(9)로 방전시킴으로써 외부기기, 예컨대 휴대폰을 충전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보다 간편하게 휴대폰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물이 담겨지는 휴대용 물통 내부의 물수용공간부의 하부를 투광체로 막고 투광체 하부에 UV 램프를 설치하여 UV 램프의 자외선이 투광체를 통과하여 물수용공간부에 담겨진 물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살균 작용으로 정수되어 항상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을 식음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물의 위생성 및 청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투광체를 물수용공간부의 하부에 밀폐되면서 착탈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물수용공간부 내부와 투광체의 세척이 용이해 물통 내부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투광체의 오염으로 UV 램프의 자외선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원스위치와 방전스위치의 조작으로 USB 포트를 통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기능과 함께 유사시 충전용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으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이 불가능한 야외에서 보다 편리하게 휴대폰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물통부 1a: 물수용공간부
2: 투광체 3: 상부 뚜껑
4: 하부 덮개 5: UV 램프
5a: UV 램프 6: 반사판부
7: 충전용 배터리 8: 전원 공급부
9: USB 포트 10: 방전스위치
11: 전원 제어부 21: 투광투광몸체
22: 외측나선부 23: 내측나선부
24: 단턱부 24a: 널링(knurling)부
25: 기밀링 26: 링삽입홈
2: 투광체 3: 상부 뚜껑
4: 하부 덮개 5: UV 램프
5a: UV 램프 6: 반사판부
7: 충전용 배터리 8: 전원 공급부
9: USB 포트 10: 방전스위치
11: 전원 제어부 21: 투광투광몸체
22: 외측나선부 23: 내측나선부
24: 단턱부 24a: 널링(knurling)부
25: 기밀링 26: 링삽입홈
Claims (4)
- 상부측으로 개방된 물수용공간부(1a)를 가지며, 상기 물수용공간부(1a)의 하부는 투광체(2)에 의해 막힌 물통부(1)와;
상기 물통부(1)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뚜껑(3) 및, 하부 덮개(4)와;
상기 투광체(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 덮개(4) 내부의 기판(5a) 상에 설치된 UV 램프(5) 및, 상기 UV 램프(5)의 광을 물통부(1)의 투광체(2) 측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판부(6)와;
상기 UV 램프(5) 측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부 덮개(4)에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7) 및, 전원스위치(12)의 온/오프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용 배터리(7)의 전원을 UV 램프(5)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부(8)와;
상기 충전용 보조배터리(7)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부 덮개(4)에 형성되는 충전용 USB 포트(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체(2)는 석영 재질로 형성되고, 물통부(1)의 하부를 밀폐하면서 착탈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체(2)는, 원반형의 투광몸체(21)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몸체(21)에 외측나선부(22)가 형성되어 상기 물통부(1)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나선부(23)에 나선 결합되며, 상기 투광몸체(21)의 하부 외측으로 널링부(24a)를 갖는 단턱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4)와 투광몸체(21)의 사이에 기밀링(25)이 삽입되는 링삽입홈(26)이 형성되며, 밑면부에 램프 삽입홈(2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9)와 충전용 배터리(7)의 사이에 방전스위치(10)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외부 전원을 충전용 배터리(7)에 충전하거나 상기 충전용 배터리(7)의 전원을 USB 포트(9) 측으로 방전시켜 외부 기기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전원 제어부(1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6877U KR20170001535U (ko) | 2015-10-23 | 2015-10-23 |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50006877U KR20170001535U (ko) | 2015-10-23 | 2015-10-23 |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1535U true KR20170001535U (ko) | 2017-05-08 |
Family
ID=5871662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50006877U Withdrawn KR20170001535U (ko) | 2015-10-23 | 2015-10-23 |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70001535U (ko) |
Cited By (9)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464883A (zh) * | 2018-04-16 | 2018-08-31 | 宁波市奥谱特蒙贸易有限公司 | 便携式生理杯存放器 |
| KR20190001775A (ko) * | 2017-06-28 | 2019-01-07 | 최광오 | 내부 삽입부재가 마련된 텀블러 |
| WO2019066329A1 (ko) * | 2017-09-26 | 2019-04-04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휴대용 물통 |
| KR102015629B1 (ko) * | 2018-03-05 | 2019-08-28 | 정철균 | 음료 용기 |
| WO2020032602A1 (ko) * | 2018-08-08 | 2020-02-13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살균 장치 |
| CN111170405A (zh) * | 2020-03-06 | 2020-05-19 |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 紫外线杀菌式雾化装置 |
| KR20200099095A (ko) * | 2019-02-12 | 2020-08-21 |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용기 |
| KR102422426B1 (ko) | 2022-04-28 | 2022-07-19 | 주식회사 필랩 | 휴대용 고도정수장치 |
| KR102555563B1 (ko) * | 2022-08-17 | 2023-07-17 | 금경원 | 실시간으로 자동 반복 살균이 가능한 음료 저장 용기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09577B1 (ko) | 2001-09-26 | 2003-12-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래칫을 이용한 캠 샤프트 체인의 오토 텐셔너 |
-
2015
- 2015-10-23 KR KR2020150006877U patent/KR20170001535U/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09577B1 (ko) | 2001-09-26 | 2003-12-1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래칫을 이용한 캠 샤프트 체인의 오토 텐셔너 |
Cited By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90001775A (ko) * | 2017-06-28 | 2019-01-07 | 최광오 | 내부 삽입부재가 마련된 텀블러 |
| US12351488B2 (en) | 2017-09-26 | 2025-07-08 | Seoul Viosys Co., Ltd. |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
| WO2019066329A1 (ko) * | 2017-09-26 | 2019-04-04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휴대용 물통 |
| US11753315B2 (en) | 2017-09-26 | 2023-09-12 | Seoul Viosys Co., Ltd. |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
| CN110234581A (zh) * | 2017-09-26 | 2019-09-13 | 首尔伟傲世有限公司 | 便携式水杯 |
| US11396459B2 (en) | 2017-09-26 | 2022-07-26 | Seoul Viosys Co., Ltd. |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
| KR102015629B1 (ko) * | 2018-03-05 | 2019-08-28 | 정철균 | 음료 용기 |
| CN108464883A (zh) * | 2018-04-16 | 2018-08-31 | 宁波市奥谱特蒙贸易有限公司 | 便携式生理杯存放器 |
| CN108464883B (zh) * | 2018-04-16 | 2024-06-21 | 宁波市奥谱特蒙贸易有限公司 | 便携式生理杯存放器 |
| CN111201202A (zh) * | 2018-08-08 | 2020-05-26 | 首尔伟傲世有限公司 | 杀菌装置 |
| WO2020032602A1 (ko) * | 2018-08-08 | 2020-02-13 |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 살균 장치 |
| US11542180B2 (en) | 2018-08-08 | 2023-01-03 | Seoul Viosys Co., Ltd. | Sterilizing device |
| US11939240B2 (en) | 2018-08-08 | 2024-03-26 | Seoul Viosys Co., Ltd. | Sterilizing device |
| KR20200099095A (ko) * | 2019-02-12 | 2020-08-21 |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용기 |
| CN111170405A (zh) * | 2020-03-06 | 2020-05-19 | 佛山市南海科日超声电子有限公司 | 紫外线杀菌式雾化装置 |
| KR102422426B1 (ko) | 2022-04-28 | 2022-07-19 | 주식회사 필랩 | 휴대용 고도정수장치 |
| KR102555563B1 (ko) * | 2022-08-17 | 2023-07-17 | 금경원 | 실시간으로 자동 반복 살균이 가능한 음료 저장 용기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70001535U (ko) |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 |
| KR101669911B1 (ko) | 식수공급장치 | |
| US9346687B1 (en) | Water purifying drink system and method | |
| US20180055960A1 (en) |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 |
| CN101605565B (zh) | 消毒装置 | |
| JP5848530B2 (ja) | キャップ付き容器用の殺菌装置 | |
| KR20150061337A (ko) | Uv led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 | |
| KR200453674Y1 (ko) | 수저 살균소독기 | |
| KR100862739B1 (ko) | 위생수저통을 구비한 테이블 | |
| KR20130021158A (ko) | 자외선 살균 칫솔 뚜껑 | |
| JP5507890B2 (ja) | 排水口用蓋体 | |
| KR100857288B1 (ko) | 위생 수저통 및 이를 이용한 테이블 | |
| KR20110070267A (ko) | 휴대용 자외선 소독기 | |
| CN209790437U (zh) | 一种便携式杀菌消毒盒 | |
| KR101940092B1 (ko) | 휴대용 생리컵 살균기 | |
| JPH08117742A (ja) | 殺菌装置付き容器用蓋 | |
| CN209733320U (zh) | 一种紫外杀菌保温水杯 | |
| KR200281155Y1 (ko) | 휴대용 컵 살균기 | |
| US7422722B2 (en) | Nipple sterilizer | |
| KR200494512Y1 (ko) | 텀블러 살균장치 | |
| KR101801885B1 (ko) | 자외선 살균 물병 | |
| KR200421614Y1 (ko) | 휴대용 의치 살균 보관함 | |
| KR20190033817A (ko) | Uvc 광을 이용한 컵 소독 장치 | |
| KR101977296B1 (ko) | 내부 삽입부재가 마련된 텀블러 | |
| KR20210054216A (ko) |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휴대용 정수 장치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023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