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115A -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 Google Patents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8115A KR20160098115A KR1020160096094A KR20160096094A KR20160098115A KR 20160098115 A KR20160098115 A KR 20160098115A KR 1020160096094 A KR1020160096094 A KR 1020160096094A KR 20160096094 A KR20160096094 A KR 20160096094A KR 20160098115 A KR20160098115 A KR 201600981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ing
- head
- mesh
- push head
- a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6 hair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2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 B05B7/003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37—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ith a compressed gas supply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7—Combination of liquid and air pumps
-
- B65D83/000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piston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내용물(액체)과 공기가 펌핑/혼합되어 발생된 거품을 다단의 거름망을 통해 배출되도록 푸시헤드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부드럽고 균질화된 거품을 배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실린더바디(220)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되는 수직유로(320)와, 수직유로(32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출구(330)가 형성된 헤드본체(310)와; 헤드본체(310)의 수직유로(320)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341)와, 제1바디(341)의 하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1차거름망(342)과, 제1바디(341)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2차거름망(343)으로 이루어진 제1거름부재(340)와; 헤드본체(310) 분출구(330) 선단의 끼움구(332)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도록 후단부에 끼움결합부(352)가 단차턱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전후방부가 개방된 제2바디(351)와, 제2바디(351)의 후방부를 덮도록 마련된 메쉬 형태의 3차거름망(353)으로 이루어진 제2거름부재(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sh head for a foaming pump dispenser, the object of which is to improv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ush head so that bubbles generated by pumping / mixing of the contents (liquid) and air are discharged through a multi- It wants to bubble out.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 push head for forming pump dispenser " A vertical channel 320 which is upwardly and downwardly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220 and which is guided upward by the bubbles generat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cylinder body 220, (310) formed with a jet port (330)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first body 341 that is fitted in the vertical flow path 320 of the head body 31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accommodated and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a first body 341 that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341, A first filtering member 340 composed of a filtering screen 342 and a mesh-shaped secondary filtering screen 343 provid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341; A second body 35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main body 310 with the fitting portion 352 formed at a stepped step and being opened at the front and re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332 at the tip of the spout 330, A second filtering member 350 made of a mesh-shaped tertiary filter 353 provided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351; .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밍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저장된 용액과 공기가 혼합/펌핑되어 발생된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ing pump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 push head for a foaming pump dispenser " for discharging bubbles generated by mixing / pumping a solution and air stored in a container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포밍펌프 디스펜서는 용기에 저장된 액체내용물(용액)을 기액혼합실에서 공기를 합류시킴과 동시에 균질화관체(거름망체)를 통해 균일한 거품 액체를 배출하는 것으로; 목욕삼푸, 모발 화장품 또는 욕실, 부엌, 화장실에서 사용하는 세정제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Generally, a foaming pump dispenser is a device for mixing a liquid content (solution) stored in a container with air in a gas-liquid mixing chamber and discharging a uniform foam liquid through a homogenization pipe (sieve); Bath shampoo, hair cosmetics, or cleaning agents used in bathrooms, kitchens, and toilets.
종래 포밍 디스펜서는 액상의 내용물에 적절한 양의 가스를 혼합 및 압출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가스 포밍 디스펜서가 적용되는 제품에서는 용기내에 압축가스를 채워야 하기 때문에 제작상에 상당한 기술적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할 때마다 흔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제품용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충진액을 거품 상태로 분출시키지 못하고 압축가스만 분사되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foaming dispensers are used in a form that mixes and extrudes an appropriate amount of gas to the liquid content to generate foam. In products where such a gas forming dispenser is applied, it is necessary to fill the container with a compressed gas,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shake each time you use it. In addition, when the product container is inclined, the filling liquid can not be ejected in a foam state, and only the compressed gas is injected.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공기를 채우거나 흔들지 않고서도 외부공기와 액체 내용물을 적절히 혼합시켜 거품으로 분출시키는 포밍펌프 디스펜서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773호(고안의 명칭:거품발생기의 공기 밸브장치)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773호에 개시된 포밍펌프 디스펜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액상)이 저장된 용기(A)의 네크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캡(1)과, 이 캡(1) 내부에 고정되며 부합홀(2b)이 천공된 공기실린더(2a)를 가지고 이 공기실린더(2a) 하부 중앙에 내용물(액체)이 진입되는 긴 원통형상의 액체실린더(2c)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바디(2)와, 이 실린더바디(2) 내부에 일단이 출입하도록 캡(1)에 지지 설치되고 거품이 분사되는 출구(3a)를 가지는 푸시헤드(3)와, 이 푸시헤드(3) 내주에 상부가 고정되고 실린더바디(2)의 공기실린더(2a) 내주에 하단 외주가 밀착 설치되어 푸시헤드(3)를 누를 시 공기실린더(2a) 하부를 가압하고 상부를 팽창시키는 공기피스톤(4)과, 실린더바디(2)의 용액실린더(2c) 하부에 구비된 코일스프링(5)과 공기피스톤(4) 사이에 설치되어 푸시헤드(3)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압축된 공기와 내용물을 공기피스톤(4) 상부로 유도하는 액체피스톤(6)과, 실린더바디(2)의 액체실린더(2c) 저부에 위치되어 액체 흡입구(7)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볼(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푸시헤드(3)의 수직유로 내부에는 거품을 거르기 위한 거름망(9)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 포밍펌프 디스펜서에서는 푸시헤드(3)를 반복하여 누르면, 용기(A) 내부에 채워진 내용물(액체)이 액체실린더(2c)를 통해 흡입/펌핑됨과 동시에 공기실린더(2a)내의 공기가 분출되면서 거품이 발생되고, 계속하여 거품은 거름망(9)을 통과하여 고르게 걸러지면서 푸시헤드(3)의 출구(3a)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To solve this disadvantage; A foaming pump dispenser that mixes the outside air and the liquid contents appropriately and ejects it with foam without filling or shaking the compressed ai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9773 (entitled " Foam generator air valve device ") have. As shown in FIG. 1, the foaming pump dispenser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69773 includes a
그러나 이러한 종래 포밍펌프 어셈블리에서는 배출 거품이 푸시헤드(3)의 수직유로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망(9)을 통해서만 일차적으로 걸러져 배출되기 때문에, 부드럽고 균질화된 거품을 풍부하게 발생시키는데 그 한계가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foaming pump assembly, since the discharge foam is primarily filtered and discharged only through the filtering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액체)과 공기가 펌핑/혼합되어 발생된 거품을 다단의 거름망을 통해 배출되도록 푸시헤드의 내부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부드럽고 균질화된 상태로 거품이 배출될 수 있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internal structure of a push head so that bubbles generated by pumping / mixing of contents (liquid) and air are discharged through a multi-stage sieve network, A push head for a dispenser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캡의 상부에 위치하며 반복적인 누름동작을 통해 실린더바디 중앙 상부로 펌핑된 내용물과 가압공기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거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for discharging a foam formed by mixing pressurized air with contents pumped to an upper portion of a center of a cylinder body through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s,
상기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가; 상기 실린더바디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바디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되는 수직유로와, 상기 수직유로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출구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상기 헤드본체의 수직유로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하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1차거름망과, 상기 제1바디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2차거름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유로 내부로 올라오는 거품을 상기 1차거름망과 2차거름망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러 배출하기 위한 제1거름부재와; 상기 헤드본체 분출구 선단의 끼움구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도록 후단부에 끼움결합부가 단차턱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전후방부가 개방된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후방부를 덮도록 마련된 메쉬 형태의 3차거름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거름부재를 통해 걸려진 거품을 상기 3차거름망을 통해 재차 걸러 배출하기 위한 제2거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ush head for the forming pump dispenser; A vertical flow path which is upwardly gui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and in which bubbles gener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Wow; A first body disposed in a vertical flow path of the head body, the first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body being ope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ed; a mesh-type primary filter dispos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 first filtering unit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bubbles coming into the vertical flow passage through the first filtering network and the second filtering network; A second body formed at the rear end so as to be received in the fitting hole at the tip end of the head main body airtight and having a fitting part formed at the stepped step and having front and rear openings, and a mesh- A second filtration member for filtering the bubbles trapp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member again through the third filtration network;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상기 2차거름망의 메쉬 입도가 상기 1차거름망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3차거름망의 메쉬 입도가 상기 2차거름망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size of the secondary drawing mesh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primary drawing mesh; And the mesh size of the third filtering network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 filtering net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상기 제2거름부재의 제2바디 끼움결합부 외벽에는 둘레방향으로 결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본체 분출구 선단 내벽에는 상기 결합턱이 억지끼움 형태로 안착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upling jaw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body fitting portion of the second filtering member; And an engag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distal end of the head main body so that the engaging jaw is seated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상기와 같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기액혼합실에서 발생된 거품은 푸시헤드의 수직유로에 배치된 제1거름부재의 1차거름망과 2차거름망을 통해 걸러지며, 계속하여 제2거름부재의 3차거름망을 통해 걸러져 배출된다. 이에 따라 내용물(액체)과 공기가 펌핑/혼합되어 발생된 거품이 다단의 거름망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보다 부드럽고 균질화된 상태로 거품이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gas-liquid mixing chamber are filter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nets of the first filtration member disposed in the vertical flow passage of the push head, and are subsequently filter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filtration mesh of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Accordingly, the bubbles generated by pumping / mixing the contents (liquid) and the air are discharged through the multi-stage sieve network, so that the foam is discharged in a more smooth and homogenized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2차거름망의 메쉬 입도가 1차거름망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지며, 3차거름망의 메쉬 입도가 2차거름망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있어서, 기액혼합실에서 발생된 거품이 순차적으로 곱게 걸러져 배출되는 작용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h size of the secondary filtration mesh is larger than that of the primary filtration mesh and the mesh size of the tertiary filtration mesh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ary filtration mesh so that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gas mixing chamber are sequentially filtered There is an action effect to be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에 의하면; 결합턱과 결합홈을 통해 헤드본체의 분출구 선단에 제2거름부재의 제2바디가 억지끼움 형태로 견실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ush head for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cond body of the second filtering member is firmly coupled to the tip of the jet opening of the head body through the coupling jaw and the coupling groove in a forced fit manner.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773호에 개시된 포밍펌프 디스펜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펌프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의 헤드본체에서 제2거름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거름부재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를 통해 거품이 분출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the foaming pump dispenser disclosed i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169773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forming pump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push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filtering member in the head body of the push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excerpt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filter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process of ejecting foam through the push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용기(100)에는 내용물(용액)이 저장되며, 제품용기(100)의 네크(110)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펌핑하여 거품 형태로 분출시키기 위한 포밍펌프 디스펜서(200)가 장착되어 있다.2; The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200)는; 제품용기(100) 네크(110)에 장착되는 대캡(210)과, 이 대캡(210) 내에 설치되며 에어실린더(221)와 용액실린더(222)가 일체로 이루어진 실린더바디(220)와,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 마련된 흡입구(22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24)와, 대캡(210)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지지되며 거품이 분사되는 분출구(##)가 마련된 푸시헤드(300)와, 에어실린더(221)내의 공기를 가압하여 푸시헤드(300)측으로 펌핑하는 에어피스톤(230)과, 용액실린더(222)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푸시헤드(300)측으로 펌핑하는 용액피스톤(240)과, 에어실린더(221) 내부에 배치되어 용액피스톤(240) 및 에어피스톤(230)을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25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포밍펌프 디스펜서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보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rming pump dispenser (2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rises: A
대캡(21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제품용기(100) 네크(110)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대캡(210)의 내부에는 암나사(2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대캡(211)의 상부에는 푸시헤드(300)의 하단부가 수용되면서 승하강할 수 있도록 원통형 가이드(212)가 마련된다.The
실린더바디(220)는 대캡(210)의 내부에 동심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푸시헤드(300)측으로 펌핑하기 위한 에어실린더(221)와, 이 에어실린더(221)의 저부에 동심을 이루면서 하측으로 연장된 용액실린더(222)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실린더(221)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가압 토출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에어피스톤(230)이 밀착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에어실린더(221)의 벽면 상측에는 에어실린더(221) 내부와 제품용기(100)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부압홀(225)이 천공되어 있다. The
그리고 용액실린더(222)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에어실린더(221)의 저부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제품용기(100)내의 내용물(용액)이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공간이다.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는 용액 흡입을 위해 흡입구(223)가 마련되며, 흡입구(223)에는 흡입튜브(226)가 연통되게 결합된다. 또한, 용액실린더(222)의 저부에는 코일스프링(250)의 하단이 수용 배치되며,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250)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위치에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게 된다. The
그리고 용액실린더(222)의 흡입구(223)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24)는 강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내용물(용액) 흡입시 상측으로 약간 떠올라 흡입구(223)를 개방하게 되며 내용물(용액) 배출시에는 하측으로 내려가 흡입구(223)를 폐쇄하게 된다.The
용액피스톤(24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용액 유로가 확보된 일종의 중공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에어피스톤(230)의 중심부에 상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용액피스톤(240)의 하부는 용액실린더(222)의 내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에어피스톤(230)과 함께 용액피스톤(240)이 하강하게 되면, 용액실린더(222)내의 내용물(용액)은 가압되면서 용액유로를 통해 푸시헤드(300)측으로 펌핑하게 된다.The
에어피스톤(230)은 에어실린더(221)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승하강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단의 원통으로 형성된다. 에어피스톤(230)의 하측 단부는 에어실린더(221)의 내벽에 밀착됨으로써 푸시헤드(300)를 누르게 되면 에어실린더(221)내의 공기를 가압하면서 하강하게 되며, 푸시헤드(300)에서 손을 떼면 코일스프링(2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올라가게 된다. 에어피스톤(230)이 최대로 올라오면 부압홀(225)을 막아 제품용기(100) 내부와 실린더바디(220)의 에어실린더(221) 내부 사이의 공기출입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에어피스톤(230)의 중간부분에는 에어밸브(260)가 구비되어 있어서, 그 일측에 형성된 에어홀(270)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에어피스톤(230) 상부로의 공기 유출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에어피스톤(230)의 상측 중앙부위에는 기액혼합실(28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기액혼합실(280)은 용액피스톤(240)과 에어피스톤(230)의 하강 시 펌핑되는 내용물(용액)과 가압공기가 혼합되어 거품을 발생시키는 공간이다.The
본 발명의 주요 특징적인 요소인 푸시헤드(3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캡(210)의 가이드(212)를 통해 실린더바디(220) 상부에서 승하강 동작이 가이드되며 에어피스톤(230)의 기액혼합실(280)측과 연통되게 배치되는 헤드본체(310)와, 이 헤드본체(310)의 중앙 내부에 형성되어 기액혼합실(280) 즉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되는 수직유로(320)와, 이 수직유로(32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거품을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330)로 정의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또한, 헤드본체(310)의 수직유로(320)에는 제1거름부재(340)가 배치되어 있다. 제1거름부재(340)는 수직유로(320)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341)와, 이 제1바디(341)의 하면과 상면을 덮는 메쉬 형태의 1차거름망(342)과 2차거름망(3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바디(341)의 하부 1차거름망(342) 메쉬 입도에 비해 제1바디(341)의 상부 2차거름망(343) 메쉬 입도가 크게 이루어져 있어서, 기액혼합실(280)에서 발생된 거품은 1차거름망(342)을 통해 일차로 걸러져 제1거름부재(340)의 제1바디(341) 내부로 유입된 후 2차거름망(343)을 통해 2차로 걸러져 배출되게 된다.A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본체(310)의 분출구(330) 선단부에는 보다 곱게 거품을 분출시키기 위해 제2거름부재(350)가 결합된다. 제2거름부재(350)는 후단부가 분출구(330) 선단에 수용 결합되도록 끼움결합부(352)가 형성되며 전후가 개방된 제2바디(351)와, 이 제2바디(351)의 후단부를 덮는 메쉬 형태의 3차거름망(353)으로 이루어져 있다. 3차거름망(353)의 메쉬 입도는 2차거름망(343)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큰 것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거름부재(350)는 후단부가 분출구(330) 선단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져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2거름부재(350)의 제2바디(351) 끼움결합부(352) 외벽에는 둘레 방향으로 결합턱(354)이 돌출 형성되며, 헤드본체(310)의 분출구(330) 선단 내벽에는 결합턱(354)과 대응하도록 결합홈(33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본체(310)의 분출구(330) 선단에는 단차턱을 이루면서 확장된 끼움구(3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거름부재(350)의 후단, 즉 끼움결합부(352)를 분출구(330) 선단에 강제로 밀어 넣으면 결합턱(354)이 결합홈(331)에 안착되어 억지끼움 형태로 견실하게 결합되면서, 제2거름부재(350) 선단이 끼움구(332)에 수용 배치된다.4 to 6, 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푸시헤드(300)가 적용된 포밍펌프 디스펜서(200)에서 푸시헤드(300)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액혼합실(280)에서 발생된 거품은 제1거름부재(340)의 1차거름망(342)을 통해 일차로 걸러져 제1거름부재(340)의 제1바디(341) 내부로 유입된 후 2차거름망(343)을 통해 2차로 걸러져 균질화된 거품으로 분출구(330)측으로 빠져나간다. 계속하여, 2차거름망(343)을 통해 빠져나온 거품은 제2거름부재(350)의 3차거름망(353)을 지나면서 보다 부드럽고 균질화된 상태로 외부에 분출된다.Accordingly, when the pumping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by pushing the
100..제품용기 110..네크 200..포밍펌프 디스펜서
210..대캡 211..암나사 212..가이드
220..실린더바디 221..에어실린더 222..용액실린더
223..흡입구 224..밸브부재 225..부압홀
226..흡입튜브 230..에어피스톤 240..용액피스톤
250..코일스프링 260..에어밸브 270..에어홀
280..기액혼합실 300..푸시헤드 310..헤드본체
320..수직유로 330..분출구 331..결합홈
332..끼움구 340..제1거름부재 341..제1바디
342..1차거름망 343..2차거름망 350..제2거름부재
351..제2바디 352..끼움결합부 353..3차거름망
354..결합턱100 ..
210 ..
220 ..
223 ..
226 ..
250 ..
280 .. gas-
320 ..
332 ..
342.
351 ..
354 .. coupling jaw
Claims (3)
상기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300)는;
상기 실린더바디(220)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바디(220) 중앙 상부에서 발생된 거품이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되는 수직유로(320)와, 상기 수직유로(32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출구(330)가 형성된 헤드본체(310)와;
상기 헤드본체(310)의 수직유로(320)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바디(341)와, 상기 제1바디(341)의 하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1차거름망(342)과, 상기 제1바디(341)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메쉬 형태의 2차거름망(343)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유로(320) 내부로 올라오는 거품을 상기 1차거름망(342)과 2차거름망(343)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러 배출하기 위한 제1거름부재(340)와;
상기 헤드본체(310) 분출구(330) 선단의 끼움구(332)에 끼워져 수용 배치되도록 후단부에 끼움결합부(352)가 단차턱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전후방부가 개방된 제2바디(351)와, 상기 제2바디(351)의 후방부를 덮도록 마련된 메쉬 형태의 3차거름망(353)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거름부재(340)를 통해 걸려진 거품을 상기 3차거름망(352)을 통해 재차 걸러 배출하기 위한 제2거름부재(3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A push head for a foaming pump dispenser for discharging bubbles formed by mixing pressurized air with contents pumped to the upper center of a cylinder body (220) by repetitive pressing operation, the foam being located on an upper portion of a large cap (210)
The push head (300) for the forming pump dispenser comprises:
A vertical channel 320 that is upwardly and downwardly disposed on the cylinder body 220 and is upwardly guided by bubbles generated at a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220, A head body 310 having an ejection port 33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hereof;
A first body 341 which is fitted in the vertical channel 320 of the head body 31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opened and clos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a second body 341 which covers the lower face of the first body 341, The first body 341 includes a primary filter 342 and a mesh-shaped secondary filter 343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341, A first filtering member 340 for sequentially filter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network 342 and the second filtering network 343;
A second body 35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head body 310 with the fitting part 352 formed as a stepped step and opened front and rea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332 at the tip of the spout 330 of the head body 310, And a third type of filtering screen 353 in the form of a mesh provided to cover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body 351. The foam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ing member 340 is filtered again through the third filtering screen 352 A second filtering member (350) Wherein the pushing pump is a pushing head.
상기 2차거름망(343)은 메쉬 입도가 상기 1차거름망(342)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3차거름망(353)은 메쉬 입도가 상기 2차거름망(343)의 메쉬 입도에 비해 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sh size of the secondary mesh 343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primary mesh 342,
Wherein the mesh size of the tertiary mesh screen (353) is larger than the mesh size of the secondary mesh screen (343).
상기 제2거름부재(350)의 제2바디(351) 끼움결합부(352) 외벽에는 둘레방향으로 결합턱(354)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헤드본체(310) 분출구(330) 선단 내벽에는 상기 결합턱(354)이 억지끼움 형태로 안착 결합되도록 결합홈(3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펌프 디스펜서용 푸시헤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pling protrusion 354 protrud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wall of the second body 351 fitting portion 352 of the second filtering body 350;
Wherein an engaging groove (331)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a tip end of the jet port (330) of the head main body (310) so that the engaging jaw (354) is seated in an engaging mann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96094A KR20160098115A (en) | 2016-07-28 | 2016-07-28 |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96094A KR20160098115A (en) | 2016-07-28 | 2016-07-28 |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98115A true KR20160098115A (en) | 2016-08-18 |
Family
ID=568744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96094A Withdrawn KR20160098115A (en) | 2016-07-28 | 2016-07-28 |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098115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635943A (en) * | 2017-12-21 | 2018-10-12 | 广州丽高塑料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foam pump screen pipe and foam pump screen pipe production method |
| WO2020110331A1 (en) * | 2018-11-29 | 2020-06-04 | 花王株式会社 | Discharge container |
| KR20220019413A (en) | 2020-08-10 | 2022-02-17 | (주)아모레퍼시픽 | Foam accelerator and foaming pump containing the same |
-
2016
- 2016-07-28 KR KR1020160096094A patent/KR20160098115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8635943A (en) * | 2017-12-21 | 2018-10-12 | 广州丽高塑料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foam pump screen pipe and foam pump screen pipe production method |
| CN108635943B (en) * | 2017-12-21 | 2020-08-18 | 广州丽高塑料制品有限公司 | Foam pump filter screen pip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WO2020110331A1 (en) * | 2018-11-29 | 2020-06-04 | 花王株式会社 | Discharge container |
| CN112996732A (en) * | 2018-11-29 | 2021-06-18 | 花王株式会社 | Spout container |
| JPWO2020110331A1 (en) * | 2018-11-29 | 2021-09-27 | 花王株式会社 | Discharge container |
| EP3889065A4 (en) * | 2018-11-29 | 2022-10-05 | Kao Corporation | Discharge container |
| KR20220019413A (en) | 2020-08-10 | 2022-02-17 | (주)아모레퍼시픽 | Foam accelerator and foaming pump contain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2822069B (en) | Pump type foam discharge container | |
| KR20100137407A (en) | Foaming pump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s | |
| US8272539B2 (en) | Angled slot foam dispenser | |
| KR101514811B1 (en) |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 |
| US10758925B2 (en) | Foamer dispenser, and container with foamer dispenser | |
| JP6509439B2 (en) | Inverted squeeze container foam generator | |
| KR101517825B1 (en) | Foaming generater for squeeze bottle | |
| JP6509440B2 (en) | Press container foam generator | |
| KR20160127726A (en) | Squeezing type foam pump and method for generating foam by foam pump | |
| JP5214418B2 (en) | Former dispenser | |
| KR20160098115A (en) | Push head for foaming pump dispenser | |
| JPH09193953A (en) | Foam ejecting pump container | |
| KR102071936B1 (en) | Push head unit for foaming pump dispenser | |
| KR102125725B1 (en) | Pump-dispenser for liquid bottle | |
| KR200423183Y1 (en) | Foaming Dispenser | |
| KR20130089227A (en) | Push-head unit of pump dispenser | |
| JPH07300150A (en) | Foam discharging container | |
| KR20130003887U (en) | Push-head of pump dispenser | |
| CA3027089C (en) | Foamer dispenser, and container with foamer dispenser | |
| KR20180093275A (en) | Discharging pump for shampoo container | |
| KR101950809B1 (en) | Spray type pump dispenser | |
| JP4328733B2 (en) | Dispenser for liquid discharge | |
| KR101681838B1 (en) | A pump vessel for making bubble foam | |
| JPH09187692A (en) | Foam ejecting pump container | |
| KR200405703Y1 (en) | Pump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s with overcap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28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