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352A - Playing mat assembly - Google Patents
Playing mat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94352A KR20160094352A KR1020160089877A KR20160089877A KR20160094352A KR 20160094352 A KR20160094352 A KR 20160094352A KR 1020160089877 A KR1020160089877 A KR 1020160089877A KR 20160089877 A KR20160089877 A KR 20160089877A KR 20160094352 A KR20160094352 A KR 201600943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
- unit
- wall
- main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2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both fibrous and foamed material in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 매트와 상기 단위 매트에 고정되며 벨크로 결합을 이루는 루프부재를 갖는 메인 매트와, 상기 메인 매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루프부재에 걸려져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갖는 착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매트는 쿠션 매트리스와 상기 쿠션 매트리스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매트의 측면에는 상기 커버가 절개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루프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쿠션 매트리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서 노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mat assembly.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mat having a plurality of unit mat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 main mat having a loop member fixed to the unit mat and forming a velcro connection, Wherein the unit mat comprises a cushion mattress and a cover surrounding the cushion mattres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cover is cu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unit mat, The loop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and the cushion mattress and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타입으로 변형 가능한 놀이 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laymat assemblies, and more particularly to playmat assemblies tha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types.
종래의 놀이를 위한 매트는 주로 층간소음이나 영아, 유아, 어린이 등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단순히 두텁게 평판 형태로 까는 것이 대부분이다.Conventional mats for play are mainly made of a thick flat plate so as to prevent an interlayer noise or an injury of an infant, an infant and a child.
이러한 단순한 구조를 개선하고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다수의 기능성 매트들이 제안되었으나, 제안된 기술들은 대부분 접이식 매트를 통해 침대 또는 쇼파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A number of functional mat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is simple structure and provide a versatile structure, but most of the proposed techniques are limited to bed or couch using a folding mat.
그러나 이러한 활용 기술들은 사용자의 안정성보다는 단순히 접었다 폈다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용도적 전환 측면을 강조한 나머지 사용자의 안전 그리고 본래의 기능인 층간소음이나 부상 방지의 기능에 따른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어 왔다. However, these application techniques have repeatedly emphasized the use of folding rather than the stability of the user, and there has been a dis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effect of the inherent function of interlayer noise and injury prevention are reduced.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놀이 매트 구조에 있어서 본래의 기능인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다양한 타입으로의 전환에 따른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art, it is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 play mat structure while ensuring stability, which is an original function thereof, and switching to various types.
또한, 벨크로(velcro) 결합은 간단한 구조로 물품들을 용이하게 착탈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벨크로 결합은 고리 형상의 후크와 후크가 걸려지는 루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루프와 후크를 지지하는 폴리머 소재의 막이나 천의 모서리가 어린이의 눈을 찌르거나 상처를 입힐 수 있다.In addition, velcro fastening has the advantage that the articles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 a simple structure. Velcro engagement is a combination of an annular hook and a hook loop, which can cause the edges of the film or fabric that support the loop and hook to pierce or scratch the eyes of a child.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2540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2540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며 안전성이 향상된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y mat assembly which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and is improved in safet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된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y mat assembly having a rigid structure and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다각형상의 제1 단위 매트와 상기 제1 단위 매트의 일 측면에 고정되며 다각형상을 갖는 제2 단위 매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 매트와 상기 제2 단위 매트 사이에는 홈부가 형성된 메인 매트와,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 벽에 연결되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보완 매트와 상기 보완 매트의 측면에 하부가 고정된 보조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벽은 상기 보완 매트에 하부가 고정된 제1 보조벽과 상기 제2 단위 매트의 측면에 하부가 결합된 제2 보조벽을 포함한다.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unit mat having a polygonal shape and a second unit mat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mat and having a polygonal shape, A support mat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main mat, a supplementary mat connected to the support wall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 subsidiary wall fixed to a side of the supplement mat, And the auxiliary wall includes a first auxiliary wall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complementary mat and a second auxiliary wall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unit ma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는 벨크로 구조물이 매트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벨크로 구조물에 의하여 아동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hild from being injured by the Velcro structure because the Velcro structure is located inside the mat cover.
또한, 놀이 매트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아동들에게 즐거운 놀이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벽을 구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y mat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to provide a pleasant play space for the children,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개폐 벽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아치 엔트런스(arch entrance)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보조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커넥팅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루프를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main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op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ok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pen / close wall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arch entrance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wall of the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at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op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1)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어져 배치된 단위 매트(11)와 단위 매트(11)에 고정되며 벨크로 결합을 이루는 루프부재(15)를 갖는 메인 매트(10),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루프부재(15)에 걸려져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27)를 갖는 복수개의 보조 매트를 포함한다.1, the
메인 매트(10)는 복수 개의 단위 매트(11)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11)는 쿠션 매트리스(14)와 쿠션 매트리스(14)를 감싸는 커버(16)를 포함한다. 쿠션 매트리스(14)는 메모리 폼, 라텍스,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6)는 합성수지재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 매트리스(14)를 전체적으로 감싼다.The
단위 매트(11)는 메인 매트(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진 주측면(11a)과 주측면(11a)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된 보조측면(11b), 및 주측면(11a)과 보조측면(11b)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측면(11c)을 포함한다. 주측면(11a), 보조측면(11b), 및 경사측면(11c)의 결합에 의하여 단위 매트(11)가 8각형상을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매트(11)는 6각, 7각, 9각 10각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위 매트(11) 사이에는 경사면이 이웃하게 배치되어 홈부(11d)가 형성되며, 홈부(11d)는 대략 삼각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보조 매트는 경사측면에 결합된 경사면 매트(23)와 홈부(11d)에 삽입되는 홈보완 매트(21)를 포함한다. 메인 매트(10)는 경사면 매트(23)와 홈보완 매트(21)의 결합에 의하여 직사각형으로 변형된다. The auxiliary mat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mat (23) coupled to the inclined side surface and a groove complementary mat (21)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d). The
경사면 매트(23)는 주측면(11a)과 평행한 측면(23a)과 보조측면(11b)과 평행한 측면(23b), 및 경사측면(11c)과 마주하는 측면(23c)을 갖고, 경사측면(11c)과 마주하는 측면에 후크부재(27)가 고정 설치된다. 홈보완 매트(21)는 주측면(11a)과 평행한 측면(21a)과 경사측면(11c)과 마주하는 2개의 측면을 갖고, 경사측면(11c)과 마주하는 측면에 후크부재(27)가 고정 설치된다.The
단위 매트(11)에는 착탈 유닛과의 벨크로 결합을 위한 루프부재(15)가 고정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착탈 유닛은 보조 매트가 된다. 벨크로 결합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얇은 실형태의 루프와 고리 형태의 후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후크의 고리 부분이 루프에 걸려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unit mat (11) is fixedly provided with a loop member (15) for hook-and-loop connection with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In this embodiment, the attaching / detaching unit is an auxiliary mat. Velcro coupling is a well-known combination of a thin thread-like loop and a hook-shaped hook, in which the loop part of the hook is hooked to the loop and detachably coupled.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루프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main ma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oop me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루프부재(15)는 단위 매트(11)의 측단에 고정되며 루프부재(15)는 커버(16)와 쿠션 매트리스(14) 사이에 위치한다. 단위 매트(11)의 측면에는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개구(18)가 형성되며 루프부재(15)는 개구(18)를 통해서 외측으로 노출된다. 개구(18)는 커버(16)가 절개되어 형성된다.2 and 3, the
루프부재(15)는 베이스 직물(15a)과 베이스 직물(15a)에 고정된 루프(15b)를 포함하고, 베이스 직물(15a)은 커버(16)의 내측에 위치하며 박음질(17)에 의하여 커버에 고정된다. 베이스 직물(15a)은 비교적 딱딱하고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직물(15a)의 측단은 개구(18)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고 커버(16)의 내측에 위치한다.The
본 실시예와 같이 베이스 직물(15a)이 커버(16) 내에 위치하면 베이스 직물(15a)의 모서리에 아동들이 긁히거나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루프부재(15)가 메인 매트(10)에 설치되고, 후크부재(27)가 보조 매트에 설치되므로 거친 후크부재(27)에 의하여 아동이 상처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베이스 직물(15a)의 두께(D)는 커버(16)의 두께(d)의 1.2배 내지 2배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직물(15a)의 두께(D)가 커버(16)의 두께의 1.2배 보다 더 작으면 커버(16)의 두께가 너무 커져서 루프(15b)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낮아지므로 후크부재(27)와 루프부재(15)가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직물(15a)의 두께(D)가 커버(16)의 두께의 2배 보다 더 크면 베이스 직물(15a)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서 단위 매트(11)의 측면이 돌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rein the thickness D of the
또한, 개구(18)의 길이(L1)는 커버(16)의 내측에 삽입된 베이스 직물(15a)의 길이(L2)의 20배 내지 40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18)의 길이가 형성되면, 단위 매트(11)와 보조 매트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The length L1 of the
또한, 개구(18)가 형성된 단위 매트(11)의 측면의 길이(l)는 개구(18)의 길이(L1)의 1.02배 내지 1.2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매트 측면의 길이가 개구(18)보다 더 커야지만 루프부재(15)와 커버(16)가 결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length l of the side surface of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매트(23)는 쿠션 매트리스(22)와 쿠션 매트리스(22)를 감싸는 커버(24)를 포함한다. 후크부재(27)는 경사면 매트(23)의 측단에 고정되며 후크부재(27)는 커버(24)와 쿠션 매트리스(22) 사이에 위치한다. 경사면 매트(23)의 측면에는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진 개구(24a)가 형성되며 후크부재(27)는 개구(24a)를 통해서 외측으로 노출된다. 개구(24a)는 커버(24)가 절개되어 형성된다.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개폐 벽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아치 엔트런스(arch entrance)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pen / close wall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arch entrance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2)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30)을 포함한다. 본 제2 실시예서는 벽(30)이 착탈 유닛이 된다.5 to 7, the
메인 매트(10)는 2개의 단위 매트(11)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11)는 이어져 형성되며 단위 매트(11) 사이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10)는 단위 매트(11)가 접혀 적층 배치되며 8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main mat (10) includes two unit mat (11). The unit ma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ctagonal shape. The unit mat (11) is continuously formed, and the unit mat (11) is formed so as to be foldable. The
벽(3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31, 32)과 지지벽(31, 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벽(35)을 포함한다. 벽(30)은 메인 매트(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31, 32)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31, 32)은 상단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지지벽(31)과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벽(3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벽(31)과 제2 지지벽(32)은 교대로 배열된다.The
개폐 벽(35)에 의하여 개방된 부분에는 2 개의 기둥(41)과 기둥들(41)을 상부에서 연결하는 지지판(43)을 포함하는 아치 엔트런스(arch entrance)(40)가 설치된다. 개폐 벽(35)의 양쪽 측단에 위치하는 지지벽(32)에는 기둥(41)이 삽입되는 지지 고리(34)가 형성되는데, 지지 고리(34)는 지지벽(32)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An
아치 엔트런스(40)는 입구임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개폐 벽(35)이 개방될 때 지지벽(3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 벽(35)의 양쪽 측단에 연결된 지지벽(32)은 불안한 구조를 갖는데, 아치 엔트런스(40)가 설치되면 지지벽(32)의 측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아치 엔트런스(40)는 아동들에게 놀이 매트 어셈블리(102) 내부로 입장하는 즐거움을 줄 수 있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보조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layma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wall of a playma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3)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60)을 포함한다. 본 제2 실시예서는 벽(60)이 착탈 유닛이 된다.8 and 9, the
메인 매트(10)는 2개의 단위 매트(11, 12)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 12)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매트(10)는 제1 단위 매트(11)와 상기 제1 단위 매트(11)에 연결된 제2 단위 매트(12)를 포함하고, 제1 단위 매트(11)와 제2 단위 매트(12)는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위 매트들(11, 12) 사이에는 홈부(13)가 형성된다.The
벽(6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61, 62)과 지지 벽(61, 62)에 연결되며 홈부(13)에 삽입되는 보완 매트(54)를 갖는 보조벽(50)을 포함한다.The
벽(60)은 메인 매트(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61, 62)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61, 62)은 상단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지지벽(61)과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벽(6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벽(61)과 제2 지지벽(62)은 교대로 배열된다.The
보조벽(50)은 보완 매트(54)에 하부가 고정된 제1 보조벽(51)과 제2 단위 매트(12)의 측면에 하부가 결합된 제2 보조벽(52)을 포함한다. 보완 매트(54)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홈부(13)에 끼움 결합되어 메인 매트(10)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제1 보조벽(51)과 제2 보조벽(52)은 지지벽(61, 62)에 지퍼 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제1 보조벽(51)과 제2 보조벽(52)의 측단에는 높이 방향으로 이어진 지퍼(5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단위 매트(11)에는 4개의 지지벽(61, 62)이 결합되고, 제2 단위 매트(12)에는 3개의 지지벽(61, 62)이 결합된다.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3)는 보조벽(50)을 구비하여 일자로 길게 이어지며 벽에 의하여 둘러싸인 매트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커넥팅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at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4)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 12)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130), 및 단위 매트들(11, 12) 사이에 배치된 커넥팅 매트(150)을 포함한다. 본 제4 실시예서는 벽(30)이 착탈 유닛이 된다.10 and 11,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 12)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매트(10)는 제1 단위 매트(11)와 제1 단위 매트(11)에서 이격 배치된 제2 단위 매트(12)를 포함하고, 제1 단위 매트(11)와 제2 단위 매트(12)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단위 매트(11)와 제2 단위 매트(12)는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The unit mat (11,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ctagonal shape. The
제1 단위 매트와 제2 단위 매트 사이에는 사각형상의 커넥팅 매트가 설치되는데, 커넥팅 매트에는 후크부재(27)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 매트(150)는 제1 단위 매트와 제2 단위 매트에 벨크로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A rectangular connecting ma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nit mat and the second unit mat, and a
벽(6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61, 62)과 커넥팅 매트(15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통로벽(135)을 포함한다. The
벽(60)은 메인 매트(10) 및 커넥팅 매트(15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131, 132)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131, 132)은 상단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지지벽(131)과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벽(13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벽(131)과 제2 지지벽(132)은 교대로 배열된다.The
커넥팅 매트(150)의 양쪽 측면에는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벽(135)이 부착되며, 통로벽(135)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커넥팅 매트(150)는 단위 매트(11)의 최대폭 보다 더 작은 폭을 갖는다.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통로벽(135)과 이웃하는 지지벽(131, 132)에는 2개의 기둥(41)과 기둥들(41)의 상부를 연결하는 지지판(43)을 포함하는 아치 엔트런스(arch entrance)(40)가 설치된다. 통로벽(135)의 양쪽 측단에 위치하는 지지벽(32)에는 기둥(41)이 삽입되는 지지 고리(34)가 형성되는데, 지지 고리(34)는 지지벽(32)의 높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An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5)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 12)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230), 벽(230)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 막대(251), 지지 막대(251)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 막대들(251)을 연결하는 아치 프레임(252), 및 아치 프레임(252) 상에 결합 설치된 돔 형상의 커버 막(240)을 포함한다. 본 제5 실시예서는 벽(230)이 착탈 유닛이 된다.12 to 14, the
메인 매트(10)는 2개의 단위 매트(11, 12)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 12)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11, 12)는 이어져 형성되며 단위 매트(11, 12) 사이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10)는 단위 매트(11, 12)가 접혀 적층 배치되며 8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벽(23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231)과 지지벽(2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벽(235)을 포함한다. 벽(230)은 메인 매트(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231)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The
지지 막대(251)는 지지벽(231)에 형성된 고리에 삽입되거나 지지벽(231)에 고정되지 않고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막대(251)와 아치 프레임(252)은 서로 연결되는데, 지지 막대(251)의 내부에는 아치 프레임(252)의 내에 삽입된 탄성을 갖는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아치 프레임(252)은 4개의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데, 아치 프레임(252)을 상부에서 보았을 때 중앙은 사각형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아치 프레임(252)이 제1 통기 구멍(245)을 가리지 않고 천정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한편, 지지 막대(251)의 상단에는 고리가 형성되는데, 고리에는 커버 막(240)의 고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 막(240)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된다. 커버 막(240)의 중앙에는 사각 형상의 제1 통기 구멍(245)이 형성되며, 제1 통기 구멍(245)의 둘레에는 삼각형상의 제2 통기 구멍(24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r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돔 형상의 놀이 매트 어셈블리(10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기 구멍(245)와 제2 통기 구멍(241)가 형성되므로 놀이 매트 어셈블리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볼 수 있으며, 지지 막대(251)와 아치 프레임(252)이 설치되므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ome-shap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6)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어져 배치된 단위 매트(311, 312)와 단위 매트(311, 312)에 고정되며 벨크로 결합을 이루는 루프부재(315)를 갖는 메인 매트(310), 메인 매트(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루프부재(315)에 걸려져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327)를 갖는 복수개의 보조 매트(325)를 포함한다.15, the
단위 매트(311, 312)에는 메인 매트(3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측면(316)이 형성되고, 경사 측면(316)에는 삼각 형상의 보조 매트(325)가 벨크로 결합된다. 보조 매트(325)는 메인 매트(3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제1 측면(325a)과 제1 측면에 수직인 제2 측면(325b), 및 경사 측면(316)와 평행한 제3 측면(325c)을 갖는다. 이에 메인 매트(310)와 보조 매트(325)가 결합되면 직사각형의 매트 어셈블리(106)가 형성된다.The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7)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311)를 갖는 메인 매트(310)와 메인 매트(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330)을 포함한다. 본 제7 실시예서는 벽(330)이 착탈 유닛이 된다.16, the mat assembly 10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메인 매트(310)는 2개의 단위 매트(311)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311)는 6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311)는 이어져 형성되며 단위 매트(311) 사이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제7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310)는 단위 매트(311)가 접혀 적층 배치되며 6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벽(330)은 메인 매트(3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331, 332)과 지지벽(331, 33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벽(335)을 포함한다. 벽(330)은 메인 매트(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3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331, 332)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3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331, 332)은 상단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지지벽(331)과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벽(33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벽(331)과 제2 지지벽(332)은 교대로 배열된다.The wall 330 includes support walls 331 and 332 attached to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8)는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311)를 갖는 메인 매트(310)와 메인 매트(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340)을 포함한다. 본 제7 실시예서는 벽(340)이 착탈 유닛이 된다.17, the
메인 매트(310)는 2개의 단위 매트(311)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311)는 6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311)는 이어져 형성되며 단위 매트(311) 사이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제8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310)는 단위 매트(311)가 접혀 적층 배치되며 6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벽(340)은 메인 매트(3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벽(341)과 지지벽(3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벽(345)을 포함한다. 벽(340)은 메인 매트(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3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341)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3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341)은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루프를 사시도이다.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op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09)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60)을 포함한다. 18 and 19, the
메인 매트(10)는 2개의 단위 매트(11, 12)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 12)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매트(10)는 제1 단위 매트(11)와 상기 제1 단위 매트(11)에 연결된 제2 단위 매트(12)를 포함하고, 제1 단위 매트(11)와 제2 단위 매트(12)는 동일한 평면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위 매트들(11, 12) 사이에는 홈부(13)가 형성된다.The
벽(6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61, 62)과 지지 벽(61, 62)에 연결되며 홈부(13)에 삽입되는 보완 매트를 갖는 보조벽(50)을 포함한다. The
벽(60)은 메인 매트(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61, 62)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벽(61, 62)은 상단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지지벽(61)과 상단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제2 지지벽(62)으로 이루어지며 제1 지지벽(61)과 제2 지지벽(62)은 교대로 배열된다.The
보조벽(50)은 상기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보조벽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조벽(50)에는 루프(70)가 결합 설치되는데, 루프(70)는 보조벽에 형성된 고리에 삽입되는 기둥(71, 72)과 기둥(71, 72)을 연결하는 지지대(74, 75), 및 지지대들(74, 75)에 연결 설치된 덮개판을 포함한다. 덮개판(53)은 보조벽(50)을 상부에서 연결하며 아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4개의 지지대(71, 72)가 보조벽(50)에 형성된 고리에 각각 삽입되며, 덮개판(73)은 마주하는 보조벽을 상부에서 연결하여 터널을 형성한다. 2개의 지지대(71)는 일측에 배치된 보조벽(50)의 고리에 삽입되며, 다른 2개의 지지대(72)는 타측에 배치된 보조벽(50)의 고리에 삽입된다.Four supports 71 and 7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rings formed in the
도 2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놀이 매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y mat assembly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트 어셈블리(110)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단위 매트(11, 12)를 갖는 메인 매트(10)와 메인 매트(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벽(260), 벽(260)의 내측에 설치된 지지 막대(271), 지지 막대(271)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 막대들(271)을 연결하는 아치 프레임(272), 및 아치 프레임(272) 상에 결합 설치된 돔 형상의 커버 막(280)을 포함한다. 본 제10 실시예서는 벽(260)이 착탈 유닛이 된다.20 to 21, the
메인 매트(10)는 2개의 단위 매트(11, 12)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매트(11, 12)는 8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단위 매트(11, 12)는 이어져 형성되며 단위 매트(11, 12) 사이는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인 매트(10)는 단위 매트(11, 12)가 접혀 적층 배치되며 8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벽(260)은 메인 매트(10)에 벨크로 결합으로 부착되는 지지벽(261)과 지지벽(26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벽(265)을 포함한다. 벽(260)은 메인 매트(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메인 매트(10)를 둘러싸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벽(261)의 하단에는 메인 매트(10)의 측면에 벨크로 결합되는 후크부재가 설치된다.The
지지 막대(271)는 지지벽(261)에 형성된 고리에 삽입되거나 지지벽(261)에 고정되지 않고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막대(251)와 아치 프레임(272)은 서로 연결되는데, 지지 막대(271)의 내부에는 아치 프레임(272)의 내에 삽입된 탄성을 갖는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아치 프레임들(272)은 하나의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아치 프레임(272)들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한편, 지지 막대(271)의 상단에는 고리가 형성되는데, 고리에는 커버 막(280)의 고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버 막(280)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폴리머 소재로 형성된다. 커버 막(28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통기 구멍(281)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ring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매트 어셈블리
10, 310: 메인 매트
11, 12, 311, 312: 단위 매트
11a: 주측면
11b: 보조측면
11c: 경사측면
11d: 홈부
13: 홈부
14: 쿠션 매트리스
15, 315: 루프부재
15a: 베이스 직물
15b: 루프
16: 커버
18: 개구
17: 박음질
21: 홈보완 매트
22: 쿠션 매트리스
23: 경사면 매트
24: 커버
24a: 개구
27, 327: 후크부재
30, 60, 130, 230, 330: 벽
31, 61, 131, 331: 제1 지지벽
32, 62, 132, 331: 제2 지지벽
34: 지지 고리
35, 335, 345: 개폐 벽
40: 아치 엔트런스
41: 기둥
43: 지지판
50: 보조벽
51: 제1 보조벽
52: 제2 보조벽
53: 지퍼
54: 보완 매트
135: 통로벽
150: 커넥팅 매트
235: 개폐 벽
240: 커버 막
241: 제2 통기 구멍
245: 제1 통기 구멍
251: 지지 막대
252: 아치 프레임
325: 보조 매트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mat assembly
10, 310: main mat
11, 12, 311, 312: unit mat
11a: main side
11b: secondary side
11c: oblique side
11d:
13: Groove
14: Cushion mattress
15, 315: loop member
15a: base fabric
15b: Loop
16: cover
18: aperture
17: Stitching
21: Home Complement Mat
22: Cushion mattress
23: inclined surface mat
24: cover
24a: opening
27, 327: hook member
30, 60, 130, 230, 330: wall
31, 61, 131, 331: a first supporting wall
32, 62, 132, 331: a second supporting wall
34: Support ring
35, 335, 345: opening / closing wall
40: Arch Entrance
41: Column
43:
50: auxiliary wall
51: first auxiliary wall
52: Second auxiliary wall
53: Zipper
54: Complement mat
135: passage wall
150: connecting mat
235: opening / closing wall
240: cover film
241: second vent hole
245: first vent hole
251: Support rod
252: Arch frame
325: auxiliary mats
Claims (1)
상기 메인 매트의 측면에 결합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 벽에 연결되며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보완 매트와 상기 보완 매트의 측면에 하부가 고정된 보조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벽은 상기 보완 매트에 하부가 고정된 제1 보조벽과 상기 제2 단위 매트의 측면에 하부가 결합된 제2 보조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매트 어셈블리. A main mat having a polygonal first unit mat and a second unit mat fixed to one side of the first unit mat and having a polygonal shape, the main mat hav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first unit mat and the second unit mat;
A support wall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main mat; And
A supplementary mat connected to the support wall and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an auxiliary wall fixed to a side of the supplement mat,
Wherein the auxiliary wall includes a first auxiliary wall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complementary mat and a second auxiliary wall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unit ma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89877A KR20160094352A (en) | 2016-07-15 | 2016-07-15 | Playing ma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89877A KR20160094352A (en) | 2016-07-15 | 2016-07-15 | Playing mat assembly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62787A Division KR20150135811A (en) | 2014-05-26 | 2014-05-26 | Playing mat assembly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94352A true KR20160094352A (en) | 2016-08-09 |
Family
ID=5671261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89877A Ceased KR20160094352A (en) | 2016-07-15 | 2016-07-15 | Playing mat assembly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60094352A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02540A (en) | 2010-03-11 | 2011-09-19 | 주식회사 삼보모토스 | Manufacturing method of friction integrated clutch plat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2016
- 2016-07-15 KR KR1020160089877A patent/KR2016009435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102540A (en) | 2010-03-11 | 2011-09-19 | 주식회사 삼보모토스 | Manufacturing method of friction integrated clutch plate for automatic transmiss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550083B1 (en) | Crib and playpen protective covering | |
| US8914927B1 (en) | Infant support pillow with attached activity mat | |
| AU2011279242A1 (en) | Play yard with removable enclosure | |
| US7509694B2 (en) | Combined crib and playpen assembly | |
| US20160066706A1 (en) | Play yard with removable liner | |
| CA2895883C (en) | Popped-up playmat assembly | |
| KR101181393B1 (en) | Mat with complex shape | |
| KR200485388Y1 (en) | Variable mat set | |
| KR101339325B1 (en) | Hause shaped multi-function bumper mat | |
| US6959462B2 (en) | Bassinet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 |
| US7017203B2 (en) | Cot | |
| KR20150135811A (en) | Playing mat assembly | |
| KR20160115879A (en) | Playing mat | |
| KR101863494B1 (en) | Playing mat assembly | |
| KR101766003B1 (en) | Playing mat assembly | |
| KR20160094352A (en) | Playing mat assembly | |
| KR20170031125A (en) | Playing mat assembly | |
| KR200490388Y1 (en) | Bumper bed | |
| KR101700524B1 (en) | Variable playing mat | |
| US20120117726A1 (en) | Convertible crib cover | |
| KR20160138650A (en) | Bumper mat set | |
| KR101207929B1 (en) | Mat transformed into castle | |
| CN204876807U (en) | Locking piece and rail | |
| US20160302590A1 (en) | Play yard obscurement system | |
| KR200499120Y1 (en) | Baby Tent Structur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