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761A - A Pillow - Google Patents
A Pil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3761A KR20150083761A KR1020140013295A KR20140013295A KR20150083761A KR 20150083761 A KR20150083761 A KR 20150083761A KR 1020140013295 A KR1020140013295 A KR 1020140013295A KR 20140013295 A KR20140013295 A KR 20140013295A KR 20150083761 A KR20150083761 A KR 20150083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user
- pillow
- area
- h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0103 occipital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3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claims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889 cervical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706 scrot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904 Musculoskeletal stif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738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116 sleep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843 stiff ne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취침 시 옆으로 눕더라도 얼굴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전면 중앙으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머리가 들어가는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의 앞쪽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홈의 왼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왼쪽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오른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목 뒷쪽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제2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홈의 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며 오른쪽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왼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목 뒷쪽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제3 영역으로 구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for preventing a face from being pressed down even when lying down on a bed at the time of sleeping, comprising a groove into which a head extending rear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is inserted, And a left front corner is a gentle curve in which only the forehead portion can be reached including the ear from the back of the neck when the user is laid down to the right side And a right front edge is a gentle curve in which only the forehead portion can be reached including the ear from the back of the neck when the user is laid down to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Description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 시 경추 신경의 눌림을 방지하고 옆으로 눕더라도 얼굴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low that prevents the cervical nerve from being pressed at bedtime and prevents the face from being pressed even when lying down.
베개는 취침 시에 사람의 목과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지탱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일상생활에서 필수적인 도구이다. Pillows are an essential tool in everyday life that allows people to comfortably support their neck and head at bedtime and take a good night's sleep.
그런데, 자는데 있어 코를 골거나, 두통, 불면증에 시달리거나, 자고난 후 어께결림, 목 디스크, 일자목 등이 발생하는 것은 베개를 잘못 베고 자거나 적절치 못한 베개를 사용하여 자는데 그 원인이 있다. However, when sleeping, nose, headache, sleeplessness, suffering from stiff neck, neck disc, or neck after sleeping is caused by sleeping poorly or using an inappropriate pillow.
종래부터 딱딱한 것과 부드러운 것에 따른 소재의 종류, 한약재 등과 같은 기능성 소재를 베개 내부로 넣어주는 등 재질 및 기능성 측면에서 다양한 베개가 시판되고 있다. Conventionally, various pillows have been put on the market in terms of material and functionality, such as putting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kinds of materials according to hardness and softness and medicinal materials into the pillow.
그런데, 수면을 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눕는 등 여러 형태로 자세를 변경하면서 수면을 취하게 된다. 옆으로 누운 상태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얼굴 아래 부분, 소위 빰이 눌러져서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 코의 양쪽에 발생하는 주름이 고정되는 요인이 된다. However, when we look at the process of taking a sleep, most people do not take sleep in one position but take sleep by changing posture in various ways such as lying down. If you take a sleep while lying sideways, the lower part of the face, the so-called 빰, is pressed, and the nostril or the airway becomes narrower, causing difficulty breathing. In addition, if the lower part of the face is pressed repeatedly periodically, wrinkles occurring on both sides of the nose are fix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옆으로 돌아누워 자더라도 얼굴 아래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여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져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코 주위나 얼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prevents the lower part of the face from being pressed even when lying down to the side so that the nose hole or the airway narrows to prevent the difficulty of breath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 전면 중앙부에 움푹 패인 형상의 오목 만곡부를 구비한 후두골 안치부와, 사용자의 후두골아 상기 후두골 안치부에 수용될 때 상기 후두골의 하단부분과 경추 상단부분의 연결부위가 올려 놓여지는 후두골 거치부가 형성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중심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제2 및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윗면의 높이는 상기 후두골 안치부 보다 높으며,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왼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영역의 윗면의 높이는 상기 후두골 안치부 보다 높으며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오른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which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floor, a rear part of the occipital bone having a concave curved part in the center front part of the main body, A first region in which a posterior portion of a posterior portion of the cervical vertebra and a cervical vertebra of the cervical vertebr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ervical vertebra is received in the cervical region and a second region and a third reg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first region, And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region is higher than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of the occipital bone.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region is composed of a gentle curve having a shape such that only the forehead portion including the ear from the occipital bone when the user is laid down to the left side,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area is higher than that of the rear part of the occipital bone, and the front edge is a part It may be formed of a gentle curve having a shape such that only the forehead portion including the ear and ear can reach.
이 경우 제2 영역과 제3 영역은 후두골 안치부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적인 면에 대하여 서로 면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hypothe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occipital bone crown.
또, 제2 영역과 제3 영역에서 사용자가 왼쪽 또는 오른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전면 모서리는 평면상에서 후두골 거치부의 가운데에서 수평으로 그은 선 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econd area and the third area, when the user is laid down to the left or right side, the front corner including the ear to the forehead can be seen from the center of the occipital mount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상기 구성에서 사용자의 후두골 하단부의 목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상기 후두골 거치부 아래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공간부는 상기 본체 바닥에서 후두골 거치부 아래부분까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 상기 후두골 거치부 아래부분까지 경사면으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mount so that the neck of the user's lower end of the occipital bone is not press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p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mount, and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o a portion below the occipital bone mount.
상기 구조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제1 영역의 홈의 앞쪽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경추와 바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경추신경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user laid down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structur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ervical vertebra and the floor by the incision part formed in the front of the groove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cervical ner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또, 사용자가 본 발명의 베개를 오른쪽 옆으로 베고 눕거나 왼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빰 부분을 제외한 목 뒷쪽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베개에 닿게 되므로, 얼굴 아래 부분, 소위 빰이 눌러져서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베개는 목 뒷쪽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이 베개에 닿게 되므로, 귀 위쪽만이 베개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lays down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right side and lie down on the left side, only the forehead portion including the ear from the rear side of the neck is contacted to the pillow,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asal cavity or the airway from narrowing, causing difficulty in breathing, or repeatedly press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ace repeatedly. In particular, since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ear from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forehead portion touches the pillow, the anxiety caused when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ear contacts the pillow can be solv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영역과 제3 영역은 제1 영역의 홈의 중앙을 통과하는 가상적인 면에 대하여 서로 면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egion and the third region are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irtu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groove of the first region.
본 발명에서 제1 영역에서 홈의 양쪽 모서리는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가 제1 영역의 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edges of the groove protrude in the first area, which prevents the head from entering the groove of the first area when it is laid down sideways.
또, 본 발명에서 제2 영역과 제2 영역의 측면 모서리는 역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가 베개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edges of the second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lso protrude, which prevents the head from coming off the pillow when laid down sideways.
제1 영역의 홈 내에는 머리의 뒷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area so that the rear part of the head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베개는 베더라도 홈의 전면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경추 신경이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옆으로 돌아눕더라도 얼굴 위 부분 만이 베개에 접촉되고 얼굴아래 부분, 즉 빰 부분이 눌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여 얼굴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by a cutou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roove, so that the cervical nerv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In addition, even if lying down, only the upper part of the face is contacted with the pillow, the lower part of the face, that is, the part of the face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the nose hole or the airway narrows, and breathing difficulty occur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rinkles on the face in advance by preventing it from being repeated periodicall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뒤쪽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정면도
도 5는 도 1에서 절단선 V - V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서 절단선 V - V로 절단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를 베고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전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절단선 XIII - XIII으로 절단한 단면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1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V-V i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Fig. 6
Figs. 9 and 10 are plan views showing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laid sideways
1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 - XIII in Fig. 1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베개를 설명한다. 2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o be.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 and 3. Fig.
본 발명의 베개는 수지나 라텍스로 성형된 하나의 물체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편의상 각 부분을 제1 영역(101), 제2 영역(113) 그리고 제3 영역(117)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ngle object molded with resin or latex.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each part is referred to as a first area 101, a
제1 영역(101)은 사용자가 위를 보면서 누울 때 머리가 받혀지는 부분인데, 제1 영역(101)에는 전면 중앙부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후두골 안치부(107)가 형성되어 후두골이 수용되고, 후두골 안치부(107) 앞쪽으로는 후두골 안치부 경사면(107a)을 걸쳐 후두골 하단부와 경추 상단부가 올려 놓여지는 후두골 거치부(103)이 형성되어 있다. 후두골 거치부(103)의 앞쪽은 사용자의 후두골 하단부의 경추 상단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절개부(105)로 되어 경추 상단부분과 베개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은 후두골 하단부와 경추상단의 연결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베개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다. 제1 영역(101)에서 후두골 거치부(103)의 절개부(105)는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경추와 바닥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경추가 베개에 닿지 않도록 하여 머리에 의해 경추가 눌러지지 않도록 한다.
The first region 101 is a portion where the head is supported when the user lies down while looking up. In the first region 101, a posterior capsule
제2 영역(113)은 제1 영역(101)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 영역의 후두골 안치부(107)의 왼쪽 모서리와 제2 영역(113)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된 중간돌출부(123)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제3 영역(117)은 제1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 영역(101)의 후두골 안치부(107)의 오른쪽 모서리와 제3 영역(117)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된 중간돌출부(125)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간 돌출부(123, 125)는 사용자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후두골 안치부(107)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The
제2 영역(113)은 제1 영역(101)의 왼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 측면을 받혀 주는 부분이다. 이 제2 영역(113)의 전면 모서리(115)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주고 얼굴의 빰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제1 영역(101) 보다는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제2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115)로 되어 있다. 이 전면 모서리(115)는, 도 9를 참조하면, 제1 영역 가까이로부터는 대략 후두골 거치부의 가운데에서 수평으로 그은 선(도 9의 선 L - L)과 성인남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 아래로 내린 선의 교차점 A까지는 선 L - L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교차점 A를 지나 제2 영역 끝단까지는 선 L - L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 측면 부분에서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The
이러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115)에 의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지게 되므로 얼굴의 빰 부분은 눌러지지 않게 되어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When the user lays sideways by this gentle curved
제2 영역의 끝 부분은 돌출되어 외부 돌출부(127)를 이루고 있다. 외부 돌출부(127)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제2 영역(113)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is protruded to form an
제3 영역(117)은 제1 영역(101)의 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 측면을 받혀 주는 부분이다. 이 제3 영역(117)의 전면 모서리(119)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주고 얼굴의 빰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제1 영역(101) 보다는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제3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119)로 되어 있다. 이 전면 모서리(119)는,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영역 가까이로부터는 대략 후두골 거치부의 가운데에서 수평으로 그은 선(도 10의 선 L - L)과 성인남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 아래로 내린 선의 교차점 B까지는 선 L - L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교차점 B를 지나 제2 영역 끝단까지는 선 L - L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 측면 부분에서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The
이러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115)에 의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지게 되므로 얼굴의 빰 부분은 눌러지지 않게 되어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When the user lays sideways by this gentle curved
제3 영역의 끝 부분은 돌출되어 외부 돌출부(129)를 이루고 있다. 외부 돌출부(127)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제3 영역(117)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The en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protrudes to form an
이러한 구조의 제2 영역(113)과 제3 영역(117)의 제1 영역(101)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을 이룬다.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101 of the
도 8에는 제1 영역(101)에서 후두골 거치부(103)의 앞쪽의 경사진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105)에 의해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경추가 베개에 닿지 않은 모습을 나타낸다.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cervical vertebrae do not touch the pillow when the user is laid down by th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인데,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2 영역(113) 또는 제3 영역(115)을 사용하여 옆으로 눕게 되면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지게 되고 얼굴의 빰 부분은 눌러지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9 and 10 are plan views showing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laid down side by side.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when the user uses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개의 부분 사시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lan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이들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베개를 설명한다.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12, and 13. Fig.
제1 영역(201)은 사용자가 위를 보면서 누울 때 머리가 받혀지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제1 영역(201)은 전면 중앙부로부터 뒤쪽 방향으로 후두두골 안치부(207)이 형성되어 있으며, 물체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가장 길다. 이 제1 영역(201)에서 후두골 거치부(203)의 앞쪽은 경사진 형태의 경사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205)는 사용자가 베고 누웠을 때 경추와 베개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경추가 베개에 닿지 않도록 하여 머리에 의해 경추가 눌러지지 않도록 한다.
The first region 201 is a portion where a portion where the head is supported when the user lies down while looking up. The first region 201 is formed with a dorsal
후두골 안치부(207)는 머리의 뒤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파인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의 후두골 안치부(207)의 왼쪽 모서리는 돌출되어 중간돌출부(223)를 이루고 있다. 중간 돌출부(223)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후두골 안치부(207)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The posterior capsule
제2 영역(213)은 제1 영역(201)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 영역의 후두골 안치부(207)의 왼쪽 모서리와 제2 영역(213)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된 중간돌출부(223)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제3 영역(217)은 제1 영역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제1 영역(201)의 후두골 안치부(207)의 오른쪽 모서리와 제3 영역(217)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된 중간돌출부(225)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간 돌출부(223, 225)는 사용자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후두골 안치부(207)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The
제2 영역(213)은 제1 영역(201)의 왼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 측면을 받혀 주는 부분이다. 이 제2 영역(213)의 전면 모서리(115)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주고 얼굴의 빰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제1 영역(201) 보다는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제2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115)로 되어 있다. 이 전면 모서리(215)는, 제1 영역 가까이로부터는 대략 후두골 거치부의 가운데에서 수평으로 그은 선과 성인남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 아래로 내린 선의 교차점까지는 수평으로 그은 선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이 교차점을 지나 제2 영역 끝단까지는 수평으로 그은 선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 측면 부분에서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The
이러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215)에 의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지게 되므로 얼굴의 빰 부분은 눌러지지 않게 되어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When the user lays sideways by the gently curved
제2 영역의 끝 부분은 돌출되어 외부 돌출부(227)를 이루고 있다. 외부 돌출부(227)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제2 영역(213)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The end of the second region protrudes to form an
제3 영역(217)은 제1 영역(201)의 오른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 측면을 받혀 주는 부분이다. 이 제3 영역(217)의 전면 모서리(219)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주고 얼굴의 빰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제1 영역(201) 보다는 전면으로부터 뒷면까지의 거리가 제3 영역의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형태로 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219)로 되어 있다. 이 전면 모서리(219)는, 제1 영역 가까이로부터는 대략 후두골 거치부의 가운데에서 수평으로 그은 선과 성인남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귀 아래로 내린 선의 교차점까지는 수평으로 그은 선 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교차점을 지나 제3 영역 끝단까지는 수평으로 그은 선 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르는 베개를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머리 측면 부분에서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The
이러한 완만한 곡선으로 된 전면 모서리(215)에 의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머리의 윗부분만 받혀지게 되므로 얼굴의 빰 부분은 눌러지지 않게 되어 코 구멍 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되어 호흡곤란이 발생하거나, 얼굴 아래부분이 눌러지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방지된다.
When the user lays sideways by the gently curved
제3 영역의 끝 부분은 돌출되어 외부 돌출부(229)를 이루고 있다. 외부 돌출부(127)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돌아누웠을 때 머리가 제3 영역(217)을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And the end portion of the third region is protruded to form an
이러한 구조의 제2 영역(213)과 제3 영역(217)의 제1 영역(201)의 중앙을 지나는 가상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을 이룬다.
Symmetric with respect to a virtual vertical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region 201 of the
100, 200: 베개 101, 201: 제1 영역 103, 203: 후두골 안치부
113, 213: 제2 영역 117, 217: 제3 영역
105, 205: 절개부 115, 119, 215, 219 전면모서리100, 200: pillow 101, 201:
113, 213:
105, 205:
Claims (4)
상기 본체 전면 중앙부에 움푹 패인 형상의 오목 만곡부를 구비한 후두골 안치부와,
사용자의 후두골가 상기 안치부에 수용될 때 상기 후두골 하단부분과 목 상단부분의 연결부위가 올려 놓여지는 후두골 거치부와,
상기 본체부는 상기 후두골 안치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연장되는 왼쪽 영역과 오른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왼쪽 영역의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오른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른쪽 영역의 전면 모서리는 사용자가 왼쪽 옆으로 베고 누웠을 때 후두골부터 귀를 포함하여 이마 부분만이 닿을 수 있는 형태의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된 베개.A main body part placed horizontally on the floor,
A hooked portion of the rear forearm having a concave curved portion in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 posterior capsule mounting portion on which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a lower end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and a neck upper portion is placed when the back of the user's back is received in the toothed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ncludes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that extend laterally from the rear of the occiput bone,
The front edge of the left area is composed of a gentle curve in which the forehead part includes only the forehead bone and the forehead part when the user lies down to the right side,
The front edge of the right area has a gentle curved shape that allows the user to touch the forehead only when the user is lying down on his left side, including the ear and ear.
사용자의 후두골 하단부의 목 부분이 눌러지지 않도록 상기 후두골 거치부 아래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된 베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illow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femoral bone mount so that a neck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ack of the user is not pressed.
상기 공간부는 상기 본체 바닥에서 후두골 거치부 아래부분까지 제거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ace portion is removed from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mounting portion to form a space portion.
상기 공간부는 상기 후두골 거치부 아래부분까지 홈이 형성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는 베개.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ace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ccipital bone mounting portion,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13295A KR20150083761A (en) | 2014-02-05 | 2014-02-05 | A Pil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13295A KR20150083761A (en) | 2014-02-05 | 2014-02-05 | A Pillow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03522A Division KR20140122169A (en) | 2013-04-09 | 2014-01-10 | A Pillow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83761A true KR20150083761A (en) | 2015-07-20 |
Family
ID=538740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13295A Withdrawn KR20150083761A (en) | 2014-02-05 | 2014-02-05 | A Pillow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50083761A (en) |
-
2014
- 2014-02-05 KR KR1020140013295A patent/KR20150083761A/en not_active Withdrawn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0970809B1 (en) | Pilloe | |
| JP5798929B2 (en) | Airway dilator and airway dilator unit having the same | |
| US11051640B2 (en) | Pillow | |
| US20130298333A1 (en) | Balance pillow | |
| CN103249333B (en) | Pillow | |
| CN105283100A (en) | Functional pillow | |
| KR101645927B1 (en) | Two-in-one technical changing type ergonomic pillow | |
| KR101966297B1 (en) | Round-type pillow | |
| KR101418696B1 (en) | A Pillow | |
| CN213128926U (en) | Pillow with elastic pillow body | |
| KR101626126B1 (en) | a functional pillow | |
| KR100982116B1 (en) | Functional headrest pillows for head support and cervical spine protection | |
| KR102123260B1 (en) | Functional pillow | |
| KR102102538B1 (en) | Pillow | |
| KR20150038795A (en) | Ordered Functional Pillow | |
| KR20140122169A (en) | A Pillow | |
| KR200469631Y1 (en) | Pillow for preventing facial wrinkle | |
| KR20150083761A (en) | A Pillow | |
| WO2020177191A1 (en) | Dual-section, adjustable, multifunction anti-crease pillow core | |
| KR20180010707A (en) | Functional Pillow | |
| JP2019042365A (en) | Pillow structure | |
| KR200480282Y1 (en) | Latex pillow having multi function | |
| JP2005118397A (en) | Comfortable pillow | |
| JP2006055383A (en) | Pillow for comfortably sleeping face-down | |
| KR101574773B1 (en) | Functional pillow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2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1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003522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