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55100A -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 Google Patents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5100A
KR20150055100A KR1020157011367A KR20157011367A KR20150055100A KR 20150055100 A KR20150055100 A KR 20150055100A KR 1020157011367 A KR1020157011367 A KR 1020157011367A KR 20157011367 A KR20157011367 A KR 20157011367A KR 20150055100 A KR20150055100 A KR 2015005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patitis
cirrhosis
virus
patients
isoleuc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쓰 구마다
야스토시 무토
슌이치 사토
?이치 사토
아키하루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10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효과를 갖는 약제로서,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INHIBITOR FOR THE ONSET AND PROGRESS OF LIVER CANCER TO BE USED IN HEPATITIS C VIRUS-POSITIVE HUMAN LIVER CIRRHOSIS PATIENTS}
본 발명은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 진전을 억제하는 것에 특징을 갖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간염, 간경변에서 간암으로의 이행의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아직 이의 전체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지만, 간암 발병을 억제하는 데에는 간염, 간경변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간경변은 이의 성립 원인으로부터 C형 간염 바이러스(HCV) 관련 간경변(C형 간경변), B형 간염 바이러스(HBV) 관련 간경변(B형 간경변), 알콜성 간경변, 기타(비(非)B 비C형, 특수형 등)으로 분류된다. HCV와 HBV는 동시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HBV·HCV 혼합형). 이들의 성립 원인 중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 환자(이하,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라고 한다)가 가장 많다.
C형 간경변 환자의 간암 발암율은 B형 간경변 환자의 경우와 상이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케이·이케다 등(K. Ikeda et a1.), 「헤파톨로지 (Hepatology)」(1993) 18: 47-53 참조]. 간암 발생중에 약 70 내지 80%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이라고 하고 있다. 따라서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은 치료후 경과의 개선에 중요하며, 효과적인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가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이다.
현재, 간경변의 치료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페론 치료에 의해 간염 바이러스를 제거하면 발암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와이·이마이 등(Y. Imai et a1.), 「애널즈 인터널 메디신(Annals Internal Medicine)」 (1998) 129: 94 참조]. 간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는 치료법도 있다(제이·지·맥허치슨 등(J.G. McHutchison et a1.), 「더 뉴잉글랜드 져널 오브 메디신[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8) 339: 1485 및 제이·메인 등(J. Main et a1.), 「져널 오브 바이럴 헤파타이티스(Journal of Viral Hepatitis)」 (1996) 3: 211 참조].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모든 환자에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없으며, 간 발암을 완전하게 예방하는 데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간 비호약 등에 의해 만성적인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간암의 발증을 억제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발암을 완전하게 예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에이치·오카 등(H. 0ka et a1.), 「캔서(Cancer)」 (1995) 76: 743 및 와이·아라세 등(Y. Arase et a1.), 「캔서(Cancer)」 (1997) 79: 1494 참조].
또한, 메티오닌 결핍, 발린 결핍, 아스파라긴산 결핍, 라이신 결핍, 시스테인 결핍 또는 페닐알라닌 결핍, 아르기닌 증량 투여, 글루타민 증량 투여와 같은 특정한 아미노산의 결핍 또는 과잉투여에 의한 암치료·억제도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만족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니시히라 데쓰로 등, 「더 저패니즈 져널 오브 패어렌탈 앤드 엔터럴 뉴트리션(JJPEN)」 (1997) 19: 195-199 및 구로카와 노리에다 등, 「영양-평가와 치료」 (1992) vo1. 9 No.2 p.142-146 참조].
그런데, 간경변 환자에게는 단백질·아미노산의 대사 이상에 따른 혈중의 피셔비[분지쇄 아미노산 mol(이소로이신+로이신+발린)/방향족 아미노산 mol(페닐알라닌+티로신)]의 저하, 혈청 알부민 농도의 저하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증례에서 혈청 알부민 농도와 피셔비는 포지티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무토우 야스토시 등, 일본 의사신보(1983) 3101: 3 참조], 혈청 알부민 농도가 낮아지면 생명 치료후 경과가 악화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무토우 야스토시 등, 「더 저패니즈 져널 오브 패어렌털 앤드 엔터럴 뉴트리션(JJPEN)」 (1995) 17: 208 참조].
따라서 간경변 환자에게 이러한 아미노산 대사의 이상에 수반되는 저알부민 혈증을 개선하기 위해 리백트(LIVACT)(등록상표)라는 분지쇄 아미노산(BCAA) 배합제의 투여가 실시되고 있다.
간성 뇌증을 수반하는 만성 간부전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약인 아미노레반(Aminoleban) EN(등록상표)에 관해서는 이를 함유하는 사료를 간화학 발암 래트에 투여한 바, 통상적인 사료를 제공한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간 발암을 억제하는 경향이 확인됐다는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지만[구로카와 노리에다 등, 「영양-평가와 치료」 (1992) vo1. 9 No.2 p.142-146 참조], 동문헌에는 이러한 발암 억제효과가 당질, 단백질, 지질에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첨가한 균형 영양물인 아미노레반 EN(등록상표) 중의 특정한 성분과 관련되는 것을 시사하는 기재는 일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동일하게 BCAA 첨가 사료를 자연 발암 모델인 LEC 래트에 장기 투여한 바,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암의 발생수에는 차이가 없고, 암의 진전에 억제적으로 작용한다는 보고가 이루어지고 있지만[오쿠세 노리아키 등, 「간장」(2002) 43 Supplement(2): A359 참조] 동문헌에도, BCAA의 종류, 배합비 등에 관해서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당해 작용이 BCAA 중의 특정 성분과 관련되는 것의 시사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상기한 리백트(등록상표)는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분지쇄 아미노산 3종류를 포함하는 제제이며, 분지쇄 아미노산을 적절한 비율로 경구 보충함으로써 피셔비를 시정하며, 혈청 알부민 농도를 상승시켜 병의 용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약제이지만, 발암을 억제하는 작용에 관해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저알부민 혈증과 암 발생의 기술 관련성도 공지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 진전의 억제효과를 갖는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의 간암의 발생, 진전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하기의 항목을 포함한다.
(1)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2)간경변 환자가 남성인 (1)에 기재된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3)간경변이 비대상성(非代償性) 간경변인 (1) 또는 (2)에 기재된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4)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1.5 내지 2.5:0.8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5)1일당 투여량이 2.0g 내지 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6)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의 간암 발생 또는 진전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7)간경변 환자가 남성인 (6)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8)간경변이 비대상성 간경변인 (6) 또는 (7)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9)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1.5 내지 2.5:0.8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0)1일당 투여량이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합계량으로서 2.0g 내지 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6) 내지 (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11)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의 유효량을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치료방법.
(12)간경변 환자가 남성인 (11)에 기재된 방법.
(13)간경변이 비대상성 간경변인 (11) 또는 (12)에 기재된 방법.
(14)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중량비가 1:1.5 내지 2.5:0.8 내지 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 내지 (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5)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1일당 투여량의 합계가 2.0g 내지 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 내지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6)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용도.
(17)간경변 환자가 남성인 (16)에 기재된 용도.
(18)간경변이 비대상성 간경변인 (16) 또는 (17)에 기재된 용도.
(19)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을 중량비가 1:1.5 내지 2.5:0.8 내지 1.7가 되도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내지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도.
(20)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의 1일당 투여량이 2.0g 내지 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내지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용도.
(21)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및 당해 제제의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에서의 사용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상업적 패키지.
(22)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의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한,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식품.
하기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이하, 본 발명의 약제라고 칭한다)의 투여형태·제형은 경구투여, 비경구 투여의 어떤 것이라도 양호하며, 경구 투여제로서는 산제, 과립제, 캡슐제, 정제, 츄어블(chewable)제 등의 고형제, 용액제, 시럽제 등의 액제를 들 수 있으며, 또한 비경구 투여제로서는 주사제, 스프레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는 사람, 특히 남성의 환자에 있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제가 적용되는 병의 용태로서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 발암의 예방 및 종래의 간질환 치료제로는 충분한 치료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 진전의 억제·치유에 효과적이다. 특히 간경변이 비대상성 간경변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이 간경변 환자에서 저알부민 혈증을 개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이나 진전의 억제 등에 대한 적용에서 혈청 알부민 값의 저하는 적용조건이 아니다.
간장은 기능적으로 예비능이 큰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간경변 환자 중에서 이러한 기능적 예비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소화관 출혈, 복수, 뇌증, 감염증 등이 출현하는 병기(病期)에 대하여는 비대상성 간경변이라는 병명이 사용된다. 이에 대해 기능적 예비력이 그 정도 저하되지 않는 병기에 대해서는 대상성 간경변이라는 병명이 사용된다.
간경변 환자에 있어서 HCV 및 HBV의 감염을 검사하면 C형 간경변, B형 간경변 또는 혼재형의 환자를 특정할 수 있다. HCV 또는 HBV의 감염은 각각 HBs 항원의 측정(RIA법, EIA법 등)이나 HCV 항체의 측정(시판 HCV 항체 측정 키트)을 사용한다. HCV 항체 음성에서도 PCR법에 의한 HCV-RNA의 측정이 양성인 간경변 환자도 있으므로 HCV 항체 음성환자에 대하여는 PCR법에 의한 HCV-RNA의 측정이 보다 유용하다. 상기한 방법 및 기타 HCV 또는 HBV의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양성인 것이 확인된 간경변 환자는 HCV형·HBV형·혼합형의 간경변 환자인 것으로 특정된다. 즉, 본 발명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란 HCV의 감염이 확인된 사람 간경변 환자이며, C형 간염에 유래(관련)하는 간경변의 환자이다.
본 발명에서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은 D체 또는 L체일 수 있지만, L체가 바람직하다.
3종류의 아미노산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1:1.5 내지 2.5:0.8 내지 1.7이며, 특히 1:1.9 내지 2.2:1.1 내지 1.3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효과적인 작용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투여량은 대상 환자의 연령·체중·병의 용태, 투여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인 1일량으로서, 이소로이신 0.5 내지 30.0g, 로이신 1.0 내지 60.0g, 발린 0.5 내지 30.0g을 표준으로 한다. 일반 성인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1일량으로서, 이소로이신 2.0 내지 10.0g, 로이신 3.0 내지 20.0g, 발린 2.0 내지 1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로이신 2.5 내지 3.5g, 로이신 5.0 내지 7.0g, 발린 3.0 내지 4.0g이며, 3종류의 아미노산의 합계량으로서는 1일당 2.0g 내지 50.0g 정도가 바람직하며 이것을 1 내지 6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로 분할하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은 각각이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제제에 함유될 수 있거나 모두가 1종류의 제제중에 함유될 수 있다. 별도 제제화하여 투여하는 경우, 이들의 투여경로, 투여 제형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을 투여하는 타이밍도, 동시이거나 별도일 수 있다. 병용하는 약제의 종류나 효과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한다. 즉, 본 발명의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는 3종류의 아미노산을 동시에 함유하는 제제일 수 있으며 또한, 별도 제제화하여 병용하도록 하는 병용제일 수 있다. 이들 형태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동일 제제중에 3종류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형태가 간편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중량비」란 제제중의 각각의 성분의 중량의 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각 유효성분을 1개의 제제중에 함유시킨 경우에는 개개의 함유량의 비이며, 각 유효성분의 각각을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 제제중에 포함시킨 경우에는 각 제제에 함유되는 각 유효성분의 중량의 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제의 투여량의 비는 투여 대상(즉, 환자)당 각 유효성분 1회 투여량 또는 1일 투여량의 비이다. 예를 들면,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각 유효성분을 1개의 제제중에 함유시켜 이것을 투여 대상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중량비가 투여량비에 상당한다. 각 유효성분을 단독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복수의 제제중에 함유시켜 투여하는 경우에는 1회 또는 1일 투여한 각 제제중의 각 유효성분의 합계량의 비가 중량비에 상당한다.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은 이미, 의약·식품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이들 아미노산을 1:2:1.2의 비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서 급성 독성(LD50)은 마우스의 경구투여에서 10g/Kg 이상이다.
본 발명의 약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정제, 츄어블제 등의 고형제, 용액제, 시럽제 등의 액제 또는 주사제, 스프레이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제제상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활택제, 용제, 붕해제,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유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무통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교미 교취제, 착색제 등을 배합하여 제제화한다.
부형제로서는 유당, 포도당, D-만니톨 등의 당류, 전분류, 결정 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류 등의 유기계 부형제, 탄산칼슘, 고령토 등의 무기계 부형제 등, 결합제로서는 α화 전분, 젤라틴, 아라비아 고무,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 셀룰로스, D-만니톨, 트레할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등,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염 등의 지방산염, 활석, 규산염류 등, 용제로서는 정제수, 생리 식염수 등, 붕해제로서는 저치환도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화학 개질된 셀룰로스나 전분류 등, 용해 보조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레할로스, 벤조산벤질, 에탄올,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 현탁화제 또는 유화제로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레시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스류, 폴리소르베이트류,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 등장화제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당류, 글리세린, 요소 등, 안정화제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덱스트란황산나트륨, 기타 아미노산류 등, 무통화제로서는 포도당, 글루콘산칼슘, 염산프로카인 등, 방부제로서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콜, 펜에틸알콜, 데하이드로아세트산, 소르브산 등, 항산화제로서는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등, 교미 교취제로서는 의약 및 식품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료, 향료 등, 착색제로서는 의약 및 식품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색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에는 다른 간장 질환 치료약, 예를 들면, 인터페론, 글리실리진, 우르소데옥시콜산, 리바비린, 한방약 소자호(小柴胡)탕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경구, 주사 또는 국소투여 등의 임의의 투여방법에 따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이 아미노산이므로 안전성이 우수하고 음식물의 형태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음식물에 사용하는 데에는 특별한 곤란은 없으며 예를 들면, 쥬스, 우유, 과자, 젤리 등에 섞어 음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식품을 보건 기능식품으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건 기능식품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게 간암 발생·진전 억제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라는 표시를 부착시킨 음식물, 특히 특정 건강용 식품 등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와 이의 용도에 대한 사용에 관한 설명을 기재한 기재물을 포함하는 패키지에서 기재물로서는 용도·효능이나 투여방법 등에 관한 설명사항을 기재한 소위 기능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남성 C형 간염 바이러스 간경변 환자에게서 간암의 발생, 진전의 억제효과를 갖는 약제를 제공한다.
도 1은 식사 치료 및 리백트 과립 투여를 실시한 HCV 양성 남성 간경변 환자의 간암의 누적 비발현율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 인식을 얻는 일조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억제에 관해 조사하였다.
알부민 제제 비투여시의 혈청 알부민 값이 모두 3.5g/dl 이하이며, 복수, 부종 또는 간성 뇌증을 현재 갖거나 그전에 앓았던 20세 이상 75세 이하의 특정 연령의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에 대해 식사 치료에 대한 리백트 투여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감염 바이러스의 특정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방법, 예를 들면, HCV 항체 측정 키트나 HCV-RNA 측정 등을 사용하였다.
식사 치료군은 식사요법만을 시행하여, 단백질량의 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식사 지도를 실시하였다. 리백트 투여군은 식사요법을 기본으로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의 중량비가 1:2:1.2(이소로이신: 0.952g, 로이신: 1.904g, 발린: 1.144g)인 분지쇄 아미노산 제제 리백트(등록상표) 과립(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1회 1포를 1일 3회 식후 경구투여하였다.
HCV 양성인 남성 간경변 환자의 식사 치료군 88예, 리백트 투여군 94예에 관해 간암의 발현 상황[화상 해석, 세포진단 등에 따른다]에 관해서 검토한 결과(도 1), 시험 기간중에 식사 치료군에서는 25예에서 간암 발현이 확인된 데 대해 리백트 투여군에서는 17예에서 확인되고 유의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다(Wilcoxon p= 0.0489). 도 1에서 직선은 리백트 과립 투여군, 점선은 식사 치료군(리백트 과립 비투여군)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소로이신, 로이신, 발린의 3종류의 분지쇄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 진전을 억제한다. 특히 남성의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에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특히 간경변이 비대상성 간경변인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점에서 안전성이 높으며,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투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간암 발생에 이르는 장기간의 경과에서 예방·치료에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4-207693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들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이소로이신, 로이신 및 발린의 3종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 및/또는 진전 억제제.
KR1020157011367A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Ceased KR201500551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07693 2004-07-14
JP2004207693 2004-07-14
PCT/JP2005/013338 WO2006006729A1 (ja) 2004-07-14 2005-07-13 C型肝炎ウイルス陽性ヒト肝硬変患者用肝癌発生・進展抑制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85A Division KR20120125993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100A true KR20150055100A (ko) 2015-05-20

Family

ID=3578405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85A Ceased KR20120125993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KR1020157011367A Ceased KR20150055100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KR1020077003488A Ceased KR20070032818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발생·진전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785A Ceased KR20120125993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 발생·진전 억제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488A Ceased KR20070032818A (ko) 2004-07-14 2005-07-13 C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사람 간경변 환자용 간암발생·진전 억제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97647A1 (ko)
EP (1) EP1774966A4 (ko)
JP (1) JP5555401B2 (ko)
KR (3) KR20120125993A (ko)
CN (1) CN101014334B (ko)
RU (1) RU2372900C2 (ko)
WO (1) WO2006006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0569B2 (ja) * 2009-06-24 2015-05-20 味の素株式会社 核酸アナログの活性増強剤
PH12012501914A1 (en) * 2010-04-07 2022-10-05 Otsuka Pharma Factory Inc Composition for amelioration of hypoalbuminemia
WO2012020785A1 (ja) * 2010-08-11 2012-02-16 興和株式会社 肝細胞がん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医薬
CN103347511B (zh) 2011-02-17 2016-04-27 味之素株式会社 化学治疗剂的抗肿瘤活性的增强剂
JOP20190146A1 (ar)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الكبد
WO2019036471A1 (en) 2017-08-14 2019-02-21 Axcella Health Inc. AMINO ACIDS BRANCHED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US10596136B2 (en) 2018-06-20 2020-03-24 Axcella Health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fat infiltration in mus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00677B (it) * 1978-11-03 1985-09-28 Boehringer Biochemia Srl Formazione farmaceutica iniettabile a base di amminoacidi
JPS58126767A (ja) * 1982-01-22 1983-07-28 Ajinomoto Co Inc 肝臓病患者用栄養組成物
JPH0667831B2 (ja) * 1986-01-13 1994-08-31 森永乳業株式会社 肝物質合成機能障害改善用のアミノ酸組成物
RU2112535C1 (ru) * 1995-03-06 1998-06-10 Белобородова Эльвира Ивановн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гепатитов
CN1087616C (zh) * 1998-08-14 2002-07-17 卫生部人工细胞工程技术研究中心 一种治疗肝病的药物
CA2427030C (en) * 2000-10-27 2010-06-01 Takanobu Yamamoto Fatigue recovering or fatigue preventive agent for central nervous system and food for fatigue recovery or fatigue prevention
JP4419390B2 (ja) * 2001-01-30 2010-02-24 味の素株式会社 炎症性疾患治療予防剤
JP3906716B2 (ja) * 2001-09-26 2007-04-18 味の素株式会社 耐糖能異常用薬剤
WO2004019928A1 (ja) * 2002-08-30 2004-03-11 Ajinomoto Co., Inc. 肝疾患治療剤
KR20110120981A (ko) * 2002-12-26 2011-11-04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간암 발생 및 진행 억제제
AU2009257410B2 (en) * 2008-06-11 2014-03-06 Fudan University Use of miR-26 family as a predictive marker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responsiveness to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6729A1 (ja) 2006-01-19
KR20070032818A (ko) 2007-03-22
RU2007105500A (ru) 2008-08-27
RU2372900C2 (ru) 2009-11-20
JP5555401B2 (ja) 2014-07-23
CN101014334B (zh) 2011-01-05
KR20120125993A (ko) 2012-11-19
EP1774966A1 (en) 2007-04-18
CN101014334A (zh) 2007-08-08
EP1774966A4 (en) 2008-03-05
JPWO2006006729A1 (ja) 2008-05-01
US20070197647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4661B2 (ja) 肝癌発生・進展抑制剤
CA2605651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verweight or obesity with zinc-charged protein fragments
EP1541141A1 (en) Therapeutic agent for hepatic disease
US20070197647A1 (en) Inhibitor for the onset and progress of liver cancer to be used in hepatitis c virus-positive human liver cirrhosis patients
JP3906716B2 (ja) 耐糖能異常用薬剤
JP5516654B2 (ja) 肝癌発生・進展抑制剤
US20040043442A1 (en) Use of betaine in functional products having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s
KR20120099362A (ko) 핵산 아날로그의 활성 증강제
JP2012246308A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2003055215A (ja) 肝線維化抑制剤
JP5484704B2 (ja) 高齢者の発熱症状抑制剤
JPH08208472A (ja) 抗肝炎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504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7028785

Filing date: 201211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