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5001100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005A
KR20150011005A KR1020147035633A KR20147035633A KR20150011005A KR 20150011005 A KR20150011005 A KR 20150011005A KR 1020147035633 A KR1020147035633 A KR 1020147035633A KR 20147035633 A KR20147035633 A KR 20147035633A KR 20150011005 A KR20150011005 A KR 2015001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connector housing
claw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6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5468B1 (en
Inventor
히데히코 이와사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6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5Casing or ring with bayonet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3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two latching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6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one or more balls engaging in a hole or a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2)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4) 및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와 잠금 종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수형 커넥터 하우징(4)에 부착되는 베이어닛(bayonet)형 링(5)을 포함한다. 베이어닛형 링(5)은 잠금 클로(52)를 가지는 잠금 암(53)을 포함하고, 잠금 암(53)은 휘어질 수 있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은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되는 잠금 클로(52)를 잠금하는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되는 잠금 클로(52)를 잠금하는 제2 위치 조절벽(46)을 포함한다. 잠금 클로(52)는 각각 잠금 해제 방향 측에 있는 잠금 암(53)의 기저에 선형으로 경사진 경사 표면(55a) 및 잠금 클로(52)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만곡된 표면(55b)을 포함한다.The connector 2 includes a bayonet-shaped ring 5 attached to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n a rotatable manner between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the lock start position and the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 The bayonet-type ring 5 includes a lock arm 53 having a lock claw 52, and the lock arm 53 can be bent.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has a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for locking the lock claw 52 locat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5 for locking the lock claw 52, (46). The locking claws 52 each include an inclined surface 55a that is linearly inclined to the base of the lock arm 53 on the unlocking direction side and a curved surface 55b tha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cking claw 52 .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약한 조작력으로 한 쌍의 커넥터 사이에서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베이어닛(bayonet)형 구조를 가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bayonet-type structure for switching a locked state and an unlocked state between a pair of connectors with a weak operation force.

약한 조작력으로 한 쌍의 커넥터 사이에서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베이어닛형 구조를 갖는 커넥터는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A connector having a bayonet-type structure for switching between a locked state and an unlocked state between a pair of connectors with a weak operation force is conventionally known (see Patent Document 1).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의 예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수형(male) 커넥터(100)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 및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와 잠금 종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에 부착된 베이어닛형 링(회전 부재)(120)을 포함한다.As an example of such a conventional connector, the male connector 100 shown in Figs. 1 to 4 includes a male connector housing 110 and a male connector 110 in a rotatable manner between a lock start position and a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And a bayonet-shaped ring (rotating member) 120 attached to the housing 110.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내부에 수형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챔버(111)가 설치되어있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에는 각각 외부로 돌출해있는 제1 위치 조절벽(112) 및 제2 위치 조절벽(113)이 후방 에지에 설치되어있다. 제1 잠금 벽면(112a) 및 제2 잠금 벽면(112b)은 각각 수직으로 제1 위치 조절벽(11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chambers 111 for accommodating male terminals (not shown) therein.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is provided at its rear edge with a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protruding outwardly. The first locking wall surface 112a and the second locking wall surface 11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vertically, respectively.

베이어닛형 링(120)은 베이어닛형 링(120)의 전면 에지에 인접한 내벽 상에 복수의 캠 돌출부(121)가 형성되어있다. 캠 돌출부(121)는 짝을 이룬 암형(female) 커넥터(200)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201)에 설치된 캠 그루브(202)와 맞물릴 수 있다. 베이어닛형 링(120)에는 외팔보 구조에 의해 휘어지고 잠금 클로(claw)(122) 및 과도한 회전 조절 돌출부(124)가 설치될 수 있는 잠금 암(123)이 후방 에지에 설치된다. 잠금 클로(122)는 베이어닛형 링(120)이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의 제2 위치 조절벽(113) 및 제1 위치 조절벽(112)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잠금 표면(122a)을 가진다. 잠금 표면(122a)은 외부를 향해 만곡되어있다.The bayonet ring 120 has a plurality of cam protrusions 121 formed on the inner wall adjacent to the front edge of the bayonet ring 120. The cam protrusion 121 can be engaged with the cam groove 202 provided in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201 of the mated female connector 200. [ The bayonet shaped ring 1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arm 123 which is bent by a cantilever structure and can be provided with a locking claw 122 and an excessive rotation adjusting projection 124 at the rear edge. The lock claw 122 sequentially contact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when the bayonet ring 12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And has a locking surface 122a. The locking surface 122a is curved toward the outside.

베이어닛형 링(120)이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위치 조절벽(11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클로(122)를 잠금한다. 베이어닛형 링(120)이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위치 조절벽(113)은 잠금 클로(122)의 잠금 표면(122a)과 접촉하게 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123)을 휘어지게한다. 제2 위치 조절벽(113)은 그런다음 잠금 클로(122) 위로 지나가도록 허용된다.When the bayonet-shaped ring 120 is positioned at the lock end position, the second position restricting wall 113 locks the lock claw 122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bayonet ring 120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cking surface 122a of the locking claw 122, So that the arm 123 is bent.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is then allowed to pass over the locking claw 122.

상술한 구성에서, 수형 단자는 수형 커넥터(100)의 단자 챔버(111)에 수용되고, 암형 단자는 짝을 이룬 암형 커넥터(200)의 단자 챔버(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은 캠 그루브(202)의 입구부에 캠 돌출부(121)를 위치시키고 후속하여 잠금 시작 위치로부터 잠금 종료 위치로(즉, 잠금 방향으로) 베이어닛형 링(12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암형 커넥터 하우징(201)에 대해 잠금 시작 위치에 고정된다. 그런다음, 잠금 집게 발(122)이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하도록, 잠금 암(123)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잠금 클로(122)는 순차적으로 제1 위치 조절벽(112)과 제2 위치 조절벽(113)을 가로질러 지나간다. 그 결과,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113)은 잠금 클로(122)를 유지하도록 잠금 클로(122)의 회전을 조절한다. 잠금 클로(122)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201)은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하고,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의 캠 돌출부(121)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201)의 캠 그루브(202)를 따라서 이동한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100)는 수형 단자가 전기적으로 암형 단자에 접속하도록 암형 커넥터(200)와 잠금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ale terminal is housed in the terminal chamber 111 of the male connector 100, and the female terminal is housed in the terminal chamber (not shown) of the female connector 200 in a mated form.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positions the cam protrusion 121 at the entrance of the cam groove 202 and subsequently rotates the bayonet ring 120 from the lock start position to the lock end position And is fixed to the lock-st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201 in a manner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bending of the lock arm 123, the lock claw 122 sequentially moves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22 in order, so that the lock pin 122 is moved to the lock end position. (113).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econd position restoring wall 113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lock claw 122 to maintain the lock claw 122.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and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201 move to the lock end position and the cam protrusion 121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moves to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201 As shown in FIG. Thus, the male connector 100 is locked with the female connector 200 so that the mal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female terminal.

베이어닛형 링(120)이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잠금 시작 위치로(즉,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잠금 클로(122)는 잠금 암(123)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제2 위치 조절벽(113)과 제1 위치 조절벽(112)을 순차적으로 가로질러 지나서,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110)과 암형 커넥터 하우징(201)은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한다. 이 지점에서, 제1 위치 조절벽(112)은 잠금 클로(122)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클로(122)의 회전을 조절한다.When the bayonet ring 120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i.e.,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lock claw 122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restricting wall 113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and moves to the lock start position. As a result, the male connector housing 110 and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201 move to the lock start position. At this point,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112 regulates the rotation of the lock claw 122 to maintain the lock claw 122.

커넥터가 강한 진동 상태 등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종래 예시에 따른 커넥터는 도 5 및 6에 도시된 잠금 종료 위치에서의 베이어닛형 링(120)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요구된다.Since the connector is used in a strong vibration state or the like,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xample is required to more stably maintain the bail-type ring 120 at the lock end position shown in Figs.

US 6811423 B2US 6811423 B2

종래 예시의 수형 커넥터(100)는 제2 위치 조절벽(113)과 접촉하게 되는 외부를 향해 만곡된 잠금 표면(122a)이 설치된다. 잠금 클로(122)는 제2 위치 조절벽(113)으로부터 잠금 표면(122a)에 인가된 반발력에 의해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잠금 클로(122)는 잠금 해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한다. 추가로,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123)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있는 제2 위치 조절벽(113)의 이동 방향에 대한 잠금 표면(122a)의 경사각(I)은 잠금 암(123)이 휘어진 상태로 있는 잠금 표면(122a)의 경사각(J)과 거의 같다. 이는 또한 잠금 클로(122)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용이한 이동은 베이어닛형 링(120)을 잠금 종료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제한한다.The male connector 100 of the conventional example is provided with a locking surface 122a curved outwar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 Since the locking claw 122 is biased by the repulsive force applied to the locking surface 122a from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the locking claw 122 easily moves in the unlocking direction. Further, as shown in Figs. 4 (a) and 4 (b), when the lock arm 123 is in the unbent state, the locking surface 122a of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113 The inclination angle I is almost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J of the lock surface 122a in which the lock arm 123 is bent. This also allows the locking claw 122 to easily move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is easy movement limits the ability to maintain the bayonet ring 120 in the lock termination position.

잠금 표면(122a)의 경사각 증가는 베이어닛형 링(120)을 잠금 종료 위치에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잠금 표면(122a)의 경사각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예를 들면, 경사각이 직각으로 증가하는 경우, 잠금 암(123)이 손상될 가능성이 증가한다.An increas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ck surface 122a allows the bayonet ring 120 to be held more stably at the lock end position. However,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ck surface 122a excessively increases, 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angle increases at a right angle, the possibility that the lock arm 123 is damaged in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관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부재에 설치된 잠금 암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 부재를 잠금 종료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lock arm provided on a rotating member and keeping the rotating member more stably at a lock end position.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와 잠금 종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잠금 표면을 가진 잠금 클로를 포함하고, 휘어질 수 있는 잠금 암으로서, 상기 잠금 표면의 잠금 해제 방향 측면은 상기 잠금 암의 기저에 대해 선형으로 경사진 표면 및 잠금 클로(claw)의 최상부에 위치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곡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잠금 암;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잠금 클로를 잠금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위치 조절벽;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잠금 클로를 잠금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위치 조절벽;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잠금 시작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클로가 상기 잠금 암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제1 위치 조절벽과 상기 제2 위치 조절벽을 가로질러 지나서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잠금 클로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클로가 상기 잠금 암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제2 위치 조절벽과 상기 제1 위치 조절벽을 가로질러 지나서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잠금 클로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한다.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using accommodating one or more terminals; A rotary member attached to the connector housing in a rotatable manner between a lock start position and a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A locking arm mounted to the rotatable member and including a locking claw having a locking surface, the locking arm side of the locking surface having a surface that is linearly inclined relative to a base of the locking arm, said locking arm comprising a curved surface located at the top of said claw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A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installed on the connector housing to lock the lock claw when the rotating member is locat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installed on the connector housing to lock the lock claw when the rotat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lock end position. When the rotary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 start position to the lock end position, with the connector housing fixed to the lock st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ted connector housing, the lock claw is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lock arm Wherei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housing move to the locking end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law as it moves past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to the locking end position, Move. The lock claw crosse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due to the bending of the lock arm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housing move to the lock start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law.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암과 접촉하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벽의 잠금 벽 표면은 테이퍼링된 형상으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lock wall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 restricting wal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ck arm when the rotatable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커넥터에서, 상기 잠금 클로의 잠금 표면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위치 조절벽과 접촉하는 경사 표면을 가진다. 상기 제2 위치 조절벽은 자신의 에지를 상기 잠금 표면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잠금 종료 위치에서의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잠금 표면의 경사각을 증가시키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잠금 표면에 설치된 경사 표면에 기인하여, 상기 경사 표면의 경사각은 상기 잠금 클로의 휘어짐의 레벨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도록 변화된다. 이는 또한 상기 잠금 클로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각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잠금 종료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기여한다. 추가로, 상기 잠금 클로의 잠금 표면의 최상부에서의 만곡된 표면은 상기 제2 위치 조절벽이 상기 잠금 클로 위로 부드럽게 지나가도록하고, 이는 맞물림 완료되었다는 감각을 제공한다. 제2 위치 조절벽이 잠금 클로 위로 지나가면, 잠금 클로의 휘어짐이 해제되어 잠금 클로가 최초 위치로 복귀할 때 제2 위치 조절벽이 확실하게 소리를 내고, 이는 조작자에게 커넥터의 안정적인 잠금 해제 조작능력을 제공한다.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surface of the locking claw has an incl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the unlocking direction from the locking end position. Since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presses the edge thereof with the locking surfa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rotating member at the locking end position more stably without increas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locking surface. Further, due to the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lock surfac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changed so as to increase as the level of the warp of the lock claw increases. This also contributes to keeping the rotating member more stable at the lock end position without increasing the tilt angle, with the lock claw not bent. In addition, the curved surface at the top of the locking surface of the locking claw allows the second positioning wall to smoothly pass over the locking claw, which provides a sense that engagement is complete. When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passes over the locking claw, the locking of the locking claw is released so that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certainly makes a sound when the locking claw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which gives the operator a stable unlocking operation ability .

도 1은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G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3(a)는 종래 예시에서의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의 H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4(a)는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이 회전 부재의 잠금 클로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이 회전 부재의 잠금 클로와 접촉할 때 잠금 암이 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후방 단부를 도시한다.
도 6(a)는 종래 예시에서의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의 K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서의 A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a)는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B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라 전면 홀더가 수형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라 최종 하네스 제품으로 완성된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라 회전 부재가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라 회전 부재가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후방 단부를 도시한다.
도 17(a)는 실시예에 따른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7(b)는 도 17(a)에서의 C 부분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18(a)는 회전 부재의 잠금 암과 잠금 클로의 설명도이고, 18(b)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이 회전 부재의 잠금 클로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c)는 도 18(b)의 E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8(d)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이 회전 부재의 잠금 클로와 접촉할 때 잠금 암이 휘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회전 부재의 잠금 클로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의 설명도이고, 도 19(b)는 상기 잠금 클로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제2 위치 조절벽과 맞물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c)는 제2 위치 조절벽과 잠금 클로의 걸어 맞춤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le type connector and a female type connector in the conventional example.
Fig. 2 (a) is a front view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Fig. 2 (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G portion in Fig.
Fig. 3 (a) is a front view of a rotating member in the conventional example, and Fig. 3 (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ortion H in Fig.
Fig. 4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in the conventional example is in contact with the locking claw of the rotating member, Fig. 4 (b) And shows that the locking arm is bent as the conditioning wall contacts the locking claw of the rotary member.
Fig. 5 shows the male connector housing and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member in the conventional example.
6 (a) is a front view of a male connector housing and a rotary member in a conventional example, and Fig. 6 (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ortion K in Fig. 6 (a).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A is a front view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8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ortion A in Fig. 8A.
9 (a) is a front view of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9 (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ortion B in Fig. 9 (a).
10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and the rotary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and the rotary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holder is attached to the male connector hous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le connector finished with a final harness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member is locat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ry member is located at the lock end pos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6 shows a male connector housing and a rear end of a rota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A is a front view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and the rotary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17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ortion C in Fig. 17A.
18 (a) is an explanatory view of a locking arm and a locking claw of a rotary member, and 18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is in contact with a locking claw of the rotary member, (c) is an enlarged view of part E in Fig. 18 (b), Fig. 18 (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 arm is bent when the second position restricting wall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contacts the lock claw of the rotary member to be.
Fig. 19 (a) is an explanatory view of a locking claw of the rotary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Fig. 19 (b) i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claw engages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19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position regulating wall and the lock claw is complet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도 7 내지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실시예를 예시한다.7 to 19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장치(1)는 실시예에 따라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수형 커넥터(2), 및 짝을 이룬 커넥터로서 기능하는 암형 커넥터(3)를 포함한다. 수형 커넥터(2)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4) 및 회전 부재인 베이어닛(bayonet)형 링(5)을 포함한다. 베이어닛형 링(5)은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와 잠금 종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수형 커넥터 하우징(4)에 부착된다. 여기서,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는 수형 커넥터(2)가 베이어닛형 링(5)을 통해 암형 커넥터(3)와 잠금해제되는 위치이다. 커넥터의 잠금 종료 위치는 수형 커넥터(2)가 베이어닛형 링(5)을 통해 암형 커넥터(3)와 잠금하는 위치이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or device 1 includes a male connector 2 functioning as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a female connector 3 functioning as a paired connector. The male connector (2) includes a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a bayonet ring (5) as a rotating member. The bayonet shaped ring 5 is attached to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n such a manner that it rotates between the lock start position and the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Here, the lock start position of the connector is the position where the male connector 2 is unlocked with the female connector 3 through the bayonet ring 5. The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is a position where the male connector 2 is locked with the female connector 3 through the bayonet ring 5.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은 밀봉재(sealant)(6)를 수용한다. 암형 커넥터(3)가 수형 커넥터(2)와 잠금될 때 암형 커넥터(3)의 전면 단부가 밀봉재(6)와 접촉하게 된다. 밀봉재(6)는 수형 커넥터(2)와 암형 커넥터(3) 사이의 갭을 밀봉(seal)시킨다.The male connector housing (4) receives a sealant (6). The front end of the female connector 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material 6 when the female connector 3 is locked with the male connector 2. [ The sealing material 6 seals the gap between the male connector 2 and the female connector 3. [

전면 홀더(41)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전면 단부에 부착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내부에는 각각 와이어(42)에 클림핑되는 수형 단자(43)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챔버(44)가 설치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후방 단부는 베이어닛형 링(5) 상에 설치된 잠금 암(53)의 잠금 클로(52)를 잠금하기 위해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한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제2 위치 조절벽(46)이 설치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후방 단부는 베이어닛형 링(5)의 과도한 회전 조절 돌출(54)부와 접촉하기 위해 각각 측방향으로 돌출한 2개의 과도한 회전 조절벽(47)이 설치된다.The front holder 41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n the interior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 plurality of terminal chambers 44 for accommodating male terminals 43 crimped to the wires 42 are provided, respectively. The rear end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projecting laterally to lock the locking claw 52 of the locking arm 53 provided on the bayonet- A two-position cladding wall 46 is provided. The rear end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s provided with two excess rotary walls 47 protruding laterally in order to contact the excessive rotation regulating projection 54 of the bayonet ring 5.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벽(45)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4)과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잠금 클로(52)를 잠금한다. 그런다음, 베이어닛형 링(5)은 제1 위치 조절벽(45)에 의해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된다. 이 지점에서, 베이어닛형 링(5)은 베이어닛형 링(5)의 캠 돌출부(51)가 암형 커넥터(3)의 캠 그루브(32)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도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46)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4) 및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될 때 잠금 클로(52)를 잠금한다. 그런다음, 베이어닛형 링(5)은 제2 위치 조절벽(46)에 의해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된다.14, the first position restricting wall 45 locks the lock claw 52 when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the bayonet-type ring 5 are position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Then, the bayonet-shaped ring 5 is locat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 At this point the bayonet shaped ring 5 is positioned in such a way that the cam projection 51 of the bayonet shaped ring 5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cam groove 32 of the female connector 3. 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locks the lock claw 52 when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the bayonet-like ring 5 are located at the lock end position. Then, the bayonet-shaped ring 5 is located at the lock end position by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벽(45)은 테이퍼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잠금벽 표면(45a)과 수직으로 형성된 제2 잠금벽 표면(45b)을 포함한다. 잠금 암(53)은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잠금 시작 위치로(즉,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잠금벽 표면(45a)과 접촉한다. 잠금 암(53)은 잠금 암(53)과 제1 위치 조절벽(45) 사이에서의 상대적 움직임에 연관하여 제1 잠금벽 표면(45a)의 테이퍼링된 형상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휘어진다.8 (a) and 8 (b),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has a first locking wall surface 45a formed in a tapered shape and a second locking wall surface 45b formed vertically, . The lock arm 53 contacts the first lock wall surface 45a when the bayonet-like ring 5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i.e.,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locking arm 53 is gradually bent along the tapered shape of the first locking wall surface 45a in relation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locking arm 53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

외부벽의 전면 단부에 인접하여, 베이어닛형 링(5)에는 내부로 돌출하고 원주방향으로 특정한 간격으로 위치된 회전 지지 돌출부(50)가 설치된다. 회전 지지 돌출부(50)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주변부 상에 설치된 원주형 그루브(40)로 들어간다. 베이어닛형 링(5)은 회전 지지 돌출부(50)가 원주형 그루브(40)를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한 방식으로 수형 커넥터 하우징(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wall, the bayonet-shaped ring 5 is provided with a rotation support projection 50 projecting inward and positioned at a specific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otary support protrusion 50 enters the circumferential groove 40 provided o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 The bayonet shaped ring 5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ry support projection 50 slides along the circumferential groove 40.

캠 돌출부(51)는 베이어닛형 링(5)의 내부 벽의 전면 상에 설치된다. 캠 돌출부(51)는 암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31) 상에 설치된 캠 그루브(32)와 맞물린다. 베이어닛형 링(5)의 후방 단부는 외팔보 구조에 의해 휘어질 수 있고 잠금 클로(52)를 포함하는 잠금 암(53), 및 과도한 회전 조절 돌출부(54)가 설치된다.The cam protrusion 5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bayonet-shaped ring 5. The cam protrusion 51 is engaged with the cam groove 32 provided on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of the female connector 3. The rear end of the bayonet-type ring 5 is provided with a lock arm 53, which can be bent by the cantilever structure and includes a lock claw 52, and an excessive rotation adjusting projection 54. [

도 9(a) 및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클로(52)는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제2 위치 조절벽(46)과 접촉하게 되는 제1 잠금 표면(55) 및 제2 잠금 표면(56)을 포함한다.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잠금 표면(55)은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제2 위치 조절벽(46)과 접촉하게 된다. 제1 잠금 표면(55)은 기저 측면에 선형으로 형성된 경사 표면(55a) 및 경사 표면(55a)과 통합되고 제1 잠금 표면(55)의 최상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만곡 표면(55b)을 포함한다. 제2 잠금 표면(56)은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시작 위치로부터 잠금 종료 위치로(즉, 잠금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제2 위치 조절벽(46)과 접촉한다. 제2 잠금 표면(56)은 수직으로 가늘고 길게 되어있다.9 (a) and 9 (b), the locking claw 52 has a first locking surface 5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And a second locking surface (56). The first locking surface 5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when the bayonet ring 5 rotates in the unlocking direction from the locking end position. The first locking surface 55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55a formed linearly on the base side and a curved surface 55b integrated with the inclined surface 55a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top of the first locking surface 55 . The second locking surface 56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when the bayonet ring 5 rotates from the lock start position to the lock end position / RTI > The second locking surface 56 is elongated vertically.

암형 커넥터(3)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31)에는 또한 각각 암형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하우징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챔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of the female connector 3 is also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rminal chambers (not shown) for respectively housing female terminals (not shown).

수형 커넥터(2)의 단자 챔버(44)는 수형 단자(43)를 수용하고, 암형 커넥터(3)의 단자 챔버는 암형 단자를 수용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은 캠 돌출부(51)가 캠 그루브(32)의 입구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암형 커넥터 하우징(31)에 대해 잠금 시작 위치에 고정된다.The terminal chamber 44 of the male connector 2 receives the male terminal 43 and the terminal chamber of the female connector 3 receives the female terminal.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is fix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in such a manner that the cam protrusion 51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cam groove 32. [

베이어닛형 링(5)은 잠금 시작 위치로부터 잠금 종료 위치로(도 14에서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시계방향, 즉 잠금 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클로(52)는 잠금 암(53)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제1 위치 조절벽(45) 및 제2 위치 조절벽(46)을 가로질러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잠금 클로(52)는 따라서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46)은 잠금 클로(52)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클로(52)의 회전을 방지한다. 추가로, 수형 커넥터 하우징(4)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31)은 잠금 클로(52)의 움직임에 연관하여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4)의 캠 돌출부(51)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31)의 캠 그루브(32)를 따라서 이동한다. 그 결과, 수형 커넥터(2)는 암형 커넥터(3)와 잠금되고, 수형 단자(43)는 따라서 암형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bayonet ring 5 rotates from the lock start position to the lock end position (clockwis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14, i.e., in the lock direction). The locking claw 52 sequentially passes across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due to the warping of the locking arm 53, Position. As shown in FIG. 15,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prevents the rotation of the lock claw 52 to hold the lock claw 52. In addition,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move to the lock end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 claw 52. The cam protrusion 51 of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moves along the cam groove 32 of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As a result, the male connector 2 is locked with the female connector 3, and the male terminal 43 is thu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잠금 시작 위치로(도 15에서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반시계방향, 즉,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잠금 클로(52)는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46)과 맞물리고, 잠금 클로(52)는 그런 다음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53)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제1 위치 조절벽(46)을 가로질러 통과하고,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46)을 통과하여 지난다. 잠금 클로(52)는 추가로 제1 위치 조절벽(45)을 가로질러 지나고, 그에 의해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한다. 그 결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4) 및 암형 커넥터 하우징(31)은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조절벽(45)은 잠금 클로(52)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암(53)의 잠금 클로(52)의 회전을 방지한다.When the bayonet-type ring 5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15, i.e.,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locking claw 52 is then engaged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as shown in Fig. 19 (b) Passes through the cliff 46,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locating wall 46 as shown in Figure 19 (c). The locking claw 52 further crosses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reby moves to the lock starting position. As a result, the male connector housing 4 and the female connector housing 31 move to the lock start position. 14, the first position restricting wall 45 prevents rotation of the lock claw 52 of the lock arm 53 in order to hold the lock claw 52. As shown in Fig.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면 차량 구동 중에 진동때문에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된 베이어닛형 링(5)이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잠금 집계발(52)의 기저 측면에 위치된 경사 표면(55a)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 조절벽(46)과 접촉한다. 경사 표면(55a)이 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2 위치 조절벽(46)의 에지(46a)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클로(52)의 경사 표면(55)과 맞물린다(bite). 따라서, 경사 표면(55a)의 경사각을 증가시키지 않고서 베이어닛형 링(5)을 잠금 종료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추가로, 잠금 표면(55)의 경사 표면(55a)이 선형이기 때문에, 경사 표면(55a)의 경사각은 잠금 클로(52)의 휘어짐의 레벨 증가와 함께 증가하면서 변화한다. 즉, 도 18(b) 및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암(53)이 휘어진 상태에서의 제2 위치 조절벽(46)의 이동 방향으로의 경사 표면(55a)의 경사각(F)은, 잠금 암(53)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경사 표면(55a)의 경사각(D)은 보다 더 크다. 이러한 구성은 잠금 클로(52)가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각의 증가없이 베이어닛형 링(5)을 잠금 종료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bead-shaped ring 5 positioned at the lock end position due to vibration during driving the vehicle rotates in the unlocking direction, the inclined surface 55a located at the base side of the lock collector 52 Contacts the second position regulating wall 46 as shown in Fig. 18 (b). The edge 46a of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is engaged with the inclined surface 55 of the lock claw 52 as shown in Fig. 18 (c) because the inclined surface 55a is linearly formed (bite). Therefore, the bayonet-type ring 5 can be stably maintained at the lock end position without increas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55a.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55a of the locking surface 55 is linea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55a varies with increasing level of the warp of the locking claw 52. [ 18 (b) and 18 (d), when the inclination angle F of the inclined surface 55a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osition regulating wall 46 in the state where the lock arm 53 is bent is F , The inclination angle D of the inclined surface 55a when the lock arm 53 is not bent is larger.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bayonet ring 5 to stably maintain the bayonet-shaped ring 5 at the lock end position without increasing the inclination angle in a state where the lock claw 52 is not bent.

실시예에 따라, 만곡 표면(55b)은 잠금 클로(52)의 잠금 표면(55)의 최상부에 위치된다. 제2 위치 조절벽(46)은 따라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클로(52) 위로 부드럽게 지나갈 수 있고, 이는 맞물림이 완료되었다는 감각을 제공한다. 추가로, 제2 위치 조절벽(46)이 잠금 클로(52) 위로 지나가면, 제2 위치 조절벽(46)은 잠금 클로(52)의 휘어짐이 해제되고 잠금 클로(52)가 따라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위치로 복귀할 때 확실하게 소리를 내고, 이는 조작자에게 커넥터의 안정적인 잠금 해제 조작능력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rved surface 55b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cking surface 55 of the locking claw 52. [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can therefore smoothly pass over the locking claw 52 as shown in Figure 19 (b), which provides a sense that the engagement is complete. Further, when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passes over the locking claw 52,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46 is released from the warping of the locking claw 52, c sound certainly when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c), which provides the operator with a stable unlocking capability of the connector.

실시예에 따라, 제1 위치 조절벽(45)의 제1 잠금벽 표면(45a)이 테이퍼링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어닛형 링(5)은, 잠금 암(53)이 잠금 클로(52)의 경사 표면(55a)이 테이퍼링된 제1 잠금 벽 표면(45a)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점차적으로 휘어지는 방식으로, 제1 위치 조절벽(45)과 제2 위치 조절벽(46) 사이의 위치에 위치된 잠금 암(53)이 잠금 시작 위치로 복귀하도록 이동할 때,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어닛형 링(5)은 제1 위치 조절벽의 잠금벽 표면이 종래 예시(특허문헌1: US 6811423 B2)의 경우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first locking wall surface 45a of the first position restricting wall 45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e bayonet-type ring 5 is locked by the lock arm 53 in the locking claw 52 A lock located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45 and the second position changing wall 46 in such a manner that the inclined surface 55a gradually bends while moving along the tapered first locking wall surface 45a When the arm 53 moves to return to the lock start position, it can easily rotate. Therefore, the bayonet-type ring 5 can be smoothly rotat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ock wall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is vertically formed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xample (Patent Document 1: US 6811423 B2).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클로(52)의 잠금 표면은 기본적으로 도 18(a)에 도시된 2점 쇄선에 의해 지시된 만곡된 표면(종래 예시의 잠금 클로의 잠금 표면)이 도 18(a)에 표시된 실선에 의해 지시된 경사 표면(55a)으로 변화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종래 다이를 미세하게 변경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암(53)의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는 베이어닛형 링(5)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종래 다이의 많은 변경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잠금 클로(52)의 잠금 표면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것은 종래 예시의 잠금 암의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비해 저비용의 방식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cking surface of the locking claw 5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urved surface (the locking surface of the conventional locking claw) indicated by the two-dot chain line shown in Figure 18 (a) To the inclined surface 55a indicated by the solid line shown in Fig. Therefore,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finely changing the conventional die. Here, the spring constant of the lock arm 53 can be increased to maintain the bayonet-type ring 5 more stably. However, in such a case, many modifications of the conventional die may be required. Therefore, changing the shape of the lock surface of the lock claw 52 a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can be a low-cost method as compared with increasing the spring constant of the lock arm of the conventional example.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클로(52)의 잠금 표면은 또한 도 18(a)에 도시된 2점 쇄선에 의해 종래 예시의 잠금 클로의 잠금 표면이 도 18(a)에서의 실선에 의해 지시된 경사 표면(55a)을 따라서 컷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단한 공정만이 종래 예시에 필요할 수 있으므로, 종래 예시는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ck surface of the lock claw 52 is also formed by the two-dot chain line shown in Fig. 18 (a) so that the lock surface of the lock claw of the conventional example is inclined at the inclina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And cut along the surface 55a. Since only a simple process may be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conventional exampl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본 발명은 회전 부재에 설치된 잠금 암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커넥터의 잠금 종료 위치에 상기 회전 부재를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lock arm provided on a rotating member and holding the rotating member in a locking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more stably.

Claims (2)

하나 이상의 단자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
커넥터의 잠금 시작 위치와 잠금 종료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설치되고, 잠금 표면을 가진 잠금 클로(claw)를 포함하며, 휘어질 수 있는 잠금 암으로서, 상기 잠금 표면의 잠금 해제 방향 측면은 상기 잠금 암의 기저에 대해 선형으로 경사진 표면 및 상기 잠금 클로 최상부에 위치되고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만곡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잠금 암;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시작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잠금 클로를 잠금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위치 조절벽; 및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잠금 클로를 잠금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 위치 조절벽;
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이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잠금 시작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클로가 상기 잠금 암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제1 위치 조절벽과 상기 제2 위치 조절벽을 가로질러 지나서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잠금 클로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클로가 상기 잠금 암의 휘어짐에 기인하여 상기 제2 위치 조절벽과 상기 제1 위치 조절벽을 가로질러 지나서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잠금 클로의 움직임과 연관하여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connector housing receiving one or more terminals;
A rotary member attached to the connector housing in a rotatable manner between a lock start position and a lock end position of the connector;
A locking arm mounted to the rotatable member and including a locking claw having a locking surface, the lockable side of the locking surface having a surface that is linearly inclined relative to a base of the locking arm, The lock arm including a curved surface located at the top of the lock claw and formed in a curved shape;
A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installed on the connector housing to lock the lock claw when the rotating member is located at the lock star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installed on the connector housing to lock the lock claw when the rotating member is positioned at the lock end position;
/ RTI >
When the rotary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 start position to the lock end position, with the connector housing fixed to the lock star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ted connector housing, the lock claw is caused by the bending of the lock arm Wherei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housing move to the locking end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law as it moves past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to the locking end position, Moving,
The lock claw crosses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wall and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due to the bending of the lock arm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 position, The connector housing and the mating connector housing move to the locking start posi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locking claw.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잠금 종료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시작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암과 접촉하게되는 상기 제1 위치 조절벽의 잠금 벽 표면이 테이퍼링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wall surface of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wall,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ck arm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from the locking end position to the lock starting position,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Connector.
KR1020147035633A 2012-05-23 2013-05-10 connector Active KR1016654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17495 2012-05-23
JP2012117495A JP5886684B2 (en) 2012-05-23 2012-05-23 connector
PCT/JP2013/002999 WO2013175720A1 (en) 2012-05-23 2013-05-10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005A true KR20150011005A (en) 2015-01-29
KR101665468B1 KR101665468B1 (en) 2016-10-12

Family

ID=4867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633A Active KR101665468B1 (en) 2012-05-23 2013-05-10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86684B2 (en)
KR (1) KR101665468B1 (en)
CN (1) CN104335429B (en)
WO (1) WO201317572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6831B2 (en) * 2015-07-02 2017-08-08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Bayonet lock MPO connector
WO2019193567A1 (en) 2018-04-06 2019-10-10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US11374351B2 (en) 2018-04-06 2022-06-28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JP2023041136A (en) 2021-09-13 2023-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3056A (en) * 2001-11-26 2003-06-06 Yazaki Corp connector
KR20060050692A (en) * 2004-08-30 2006-05-19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Multipole connectors
US20060240698A1 (en) * 2005-04-25 2006-10-26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GB2431526A (en) * 2005-10-20 2007-04-25 Souriau Threaded connector having anti-rotation lock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3780U (en) * 1982-09-30 1984-04-09 ソニー株式会社 Cable connector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3056A (en) * 2001-11-26 2003-06-06 Yazaki Corp connector
US6811423B2 (en) 2001-11-26 2004-11-02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echanism for ascertaining engaged condition
KR20060050692A (en) * 2004-08-30 2006-05-19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Multipole connectors
US20060240698A1 (en) * 2005-04-25 2006-10-26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GB2431526A (en) * 2005-10-20 2007-04-25 Souriau Threaded connector having anti-rotation lock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5429A (en) 2015-02-04
WO2013175720A1 (en) 2013-11-28
CN104335429B (en) 2016-10-26
KR101665468B1 (en) 2016-10-12
JP5886684B2 (en) 2016-03-16
JP2013246884A (en)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186B2 (en)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US752076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JP415277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42058B2 (en) Lever-type connector with locking arm
JP5029872B2 (en) Lever type connector
JP2001332342A (en) Lever connector
JP4678227B2 (en) connector
JP2002352903A (en) Lever-type connector
US20060281350A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1665468B1 (en) connector
JP2011124057A (en) Lever type connector
US7445475B2 (en) Lever type connector
EP3316413B1 (en) Connector with wire cover
JP4497038B2 (en) Lever type connector
CN112217047A (en) Lever type connector
JP7139981B2 (en) lever type connector
US9923305B2 (en) Connector
JP6673017B2 (en) connector
JP6447744B2 (en) Connector device
JP2008204663A (en) Lever connector
EP1995828B1 (en) A lever-type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2006185772A (en) Lever type connector
US20170346221A1 (en) Connector
US20170346222A1 (en) Connector
JP2019110015A (en) Lever typ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