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40129970A -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970A
KR20140129970A KR1020130048969A KR20130048969A KR20140129970A KR 20140129970 A KR20140129970 A KR 20140129970A KR 1020130048969 A KR1020130048969 A KR 1020130048969A KR 20130048969 A KR20130048969 A KR 20130048969A KR 20140129970 A KR20140129970 A KR 20140129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ual mode
link
terminal
mod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진
조우종
오창영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9970A/ko
Publication of KR20140129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7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듀얼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은 제1 듀얼 모드 단말 - 제1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 제2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과 각 D2D(Device-to-Device)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과 중계 대상 단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중 하나 - 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dual mode user equipment in HetNets, and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개시된 기술은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보급률 증가로 인해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s)에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로 인해 네트워크 부하 증가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기존 매크로셀(Macrocell) 영역에 펨토셀(Femtocell) 또는 피코셀(Picocell)과 같은 스몰셀(Small cell)들의 서비스 영역이 중첩되어 동작하는 이종 네트워크 (Heterogeneous Networks, HetNets) 개념을 도입하였다.
셀룰러 기반 통신 방식 뿐 아니라 그 외의 통신 방식(예컨대, 와이파이)을 지원하는 듀얼 모드 단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종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듀얼 모드 단말의 특성을 적극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일례로,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와이파이 통신 기능과 셀룰러 통신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는 듀얼 모드 단말들이 와이파이 통신 기능을 통해 스몰셀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듀얼 모드 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듀얼 모드 단말 - 제1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 제2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과 각 D2D(Device-to-Device)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과 중계 대상 단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중 하나 - 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은 스몰셀 기지국이며, 제2 기지국은 매크로셀 기지국일 수 있다.
일례로, 제2 듀얼 모드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접속 권한이 없는 듀얼 모드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2 듀얼 모드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듀얼 모드 단말일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초대 프레임 - 중계 가능을 주변의 듀얼 모드 단말에 알리기 위한 프레임 - 을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2D 링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제1 기지국과 제1 듀얼 모드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셀룰라 기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 및 셀룰러 기반 D2D 통신 방식 중에서,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 사용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제1 기지국과 제1 듀얼 모드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셀룰러 기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선택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요청 프레임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 따른 링크 상태 및 셀룰러 기반 D2D 통신 방식에 따른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2D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과 각 D2D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1 기지국과 선택된 제2 듀얼 모드 단말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요청 프레임은 해당 제2 듀얼 모드 단말의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선택하는 단계는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초대 프레임 - 중계 가능을 주변의 듀얼 모드 단말에 알리기 위한 프레임 - 을 각 D2D 링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초대 프레임은 중계 초대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초대 기간 내에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상기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초대 프레임은 P2P(peer-to-peer) 그룹 BSSID(basic set service ID) 속성, P2P 기기 정보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중계 초대 프레임은 상기 중계 초대 기간에 대한 정보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중계 요청 프레임을 먼저 송신한 제2 듀얼 모드 단말을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요청 프레임은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이 방법은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각 제2 듀얼 모드 단말에게 중계 응답 메시지를 해당 D2D 링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응답 프레임은 접속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중계 요청 프레임 및 중계 응답 프레임은 OUI(organizationally unique identifier) subtype 값이 서로 다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대상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 시간을 알려 주기 위한 중계 시작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시작 프레임은 상태 속성, P2P 능력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본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또한,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구현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통해 HetNets 환경에서 모바일 단말이 스몰셀 기지국에 접속하는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빠른 D2D 연결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몰셀 기지국 접속 기회를 확대시킴으로써 매크로 기지국으로 집중되는 셀룰러 데이터 트래픽을 스몰셀 기지국들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D2D 통신을 위한 셀룰러 네트워크 내 무선 자원을 와이파이의 비면허 주파수 대역으로 대체함으로써 셀룰러 네트워크 내 무선 자원의 사용을 절감시켜 추가 가용 무선 자원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듀얼 통신 모드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과 스몰셀 기지국 및 매크로셀 기지국을 위한 해당 기능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하드웨어 구현 및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와이파이 기술을 통해 매크로 기지국에 집중되는 데이터 트래픽 부하를 스몰셀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셀룰러 네트워크 사업자는 네트워크 운용 계획에 따라 탄력적으로 해당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종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한다.
도 2는 와이파이 규격에 제시된 기기 탐색 동작을 예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우회 전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듀얼 모드 단말을 이용한 중계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서 정의한 관리 프레임 포맷(Management frame format)을 예시하며,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OUI subtype의 사용 예를 예시한다.
도 6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초대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초대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7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요청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응답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8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응답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작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작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기호는, 문맥 상 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는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양상들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구성에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되었음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이종 네트워크에서는 기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매크로 기지국으로 집중되었던 데이터 트래픽이 스몰셀 기지국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몰셀을 통한 부하 분산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몰셀 서비스 영역의 외곽(boundary)에 위치하였거나 스몰셀 서비스 영역에 있지만 스몰셀 기지국 접속 권한이 없는 모바일 단말들의 데이터를 스몰셀 서비스 영역 내에 있으면서 스몰셀 기지국 접속 권한이 있는 단말들이 D2D 통신을 사용하여 중계해 주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활용하면 스몰셀 기지국에 우회 전송 경로를 이용해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들이 증가하므로 매크로 기지국으로 집중되는 네트워크 내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스몰셀 기지국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기존 셀룰러 네트워크 규격은 기지국을 기반으로 한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 관리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지국 기반의 D2D 통신을 위해서는 D2D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디바이스 간 링크 설정 등 여러 가지 해결되어야 하는 이슈들이 있다. 즉, 모바일 단말들이 셀룰러 기반 D2D 통신을 이용한 스몰셀 기지국 접속 기회의 확대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셀룰러 기반 D2D 통신 외에도 와이파이 기술 기반 D2D 통신 규격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Wi-Fi Alliance에서 정의하였는데 기존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는 모바일 단말 간 통신이 항상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접속해야 했었던 데에 비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이용하면 와이파이 네트워크 내 단말들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이 부족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종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매크로 기지국(Macro BS(Base station),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 펨토셀 기지국(Femto BS), 듀얼 모드 단말(셀룰러 통신 방식 및 그외의 통신 방식이 모두 가능한 사용자 단말)과 싱글 모드 단말(셀룰러 통신 기능만 탑재한)이 분포할 수 있다.
그외의 통신 방식의 예로는 와이파이 기반 통신 방식을 들 수 있으며, 와이파이 기반 통신 방식의 예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 같은 와이파이 기반 D2D(Device-to-Device) 통신 방식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는 듀얼 모드 단말이 셀룰러 통신 방식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전제하여, 몇몇 실시예들을 개시하고자 하나, 본 개시를 통한 기술들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 이외의 통신 방식도 수용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듀얼 모드 단말들은 셀룰러 통신 링크와는 독립적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는 과정의 예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 (Wi-Fi Alliance, Peer-to-Peer technical group, Wi-Fi Peer-to-Peer technical specification v1.1, Oct. 2010.)의 기기 탐색(device discovery) 절차를 따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2는 와이파이 규격에 제시된 기기 탐색 동작을 예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는 그 전반적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 규격 (Wi-Fi Alliance, P2P technical group, Wi-Fi Peer-to-Peer (P2P) technical specification v1.1, Oct. 2010.)에 포함된 도면들 중 하나로서, 기기 탐색 절차를 나타낸다.
기기 탐색 절차는 단말이 인접 단말들을 탐색하는 과정을 정의한다. 먼저, 단말(예컨대, 도 2의 P2P Device 1)은 기기 탐색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스캔(Scan) 상태로 천이하여, 와이파이 통신 채널들 전부에 대해서 인접 단말의 존재 여부를 탐색한다.
단말이 스캔 상태에서 인접 단말(예컨대, 도 2의 P2P Device 2)을 발견하지 못 한 경우, 수신 대기(listen) 상태로 상태 천이하여, 소셜(social) 채널들(채널 1, 6, 11)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소셜 채널(예컨대, 도 1의 ch 1)에서 미리 설정된 구간 내에 랜덤하게 선택한 시간(dwell time) 동안 인접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프레임이 있는지를 대기한다.
단말이 수신 대기 상태에서 인접 단말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 탐색(search) 상태로 상태 천이한다. 탐색 상태에서, 단말은 소셜 채널들(채널 1, 6, 11)에 대해 차례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송신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응답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수신하면, 인접 단말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 그룹 형성(group formation) 절차가 전개되어 단말들 간에서 그룹 오너(Group owner, GO)가 결정될 수도 있는데, 그룹 오너는 "AP(Access Point)-like entity"로 그룹의 동작 채널을 선택하며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우회 전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이종 네트워크 환경의 일부에서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을 통하여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과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이 통신하는 우회 전송 경로를 예시한다.
도 3에서, 제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D_SUE-2)이 스몰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며 스몰셀 기지국에 접속할 권한(이하, 스몰셀 기지국 접속 권한)을 가지며,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은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과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유지하지만 스몰셀 서비스 영역 외곽에 위치하며,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는 스몰셀 기지국 접속 권한을 가지지 못하는 것을 전제하여, 몇몇 실시예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몰셀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며 스몰셀 기지국 접속 권한이 있는 단말들만이 그룹 오너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듀얼 모드 단말들(D_SUE-1, D_SUE-2, D_MUE-1, D_MUE-2) 중에서 제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D_SUE-2)만이 그룹 오너로 설정될 수 있다.
먼저, 그룹 오너가 아닌 듀얼 모드 단말들(D_MUE-1, D_MUE-2) 중에서 스몰셀 기지국 접속을 원하는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은 중계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에게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중계 요청 프레임(Relaying Request frame)을 송신할 수 있다. 중계 요청 프레임은 중계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은 중계 요청 프레임의 수신에 응답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에게 중계 응답 프레임(Relaying Response frame)을 송신할 수 있다. 중계 응답 프레임은 중계 가능 여부를 포함하는 중계 응답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거쳐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우회 전송 경로(도 3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Transmission path for cellular data of MUE)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전송 경로는 제1 링크(기지국과 중계 단말 간의 링크), 제2 링크(중계 단말과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를 포함한다. 제1 링크인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과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간의 링크는 셀룰러 통신을 사용하는 셀룰러 링크이지만, 제2 링크인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과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 간의 링크는 서로 다른 타입(제1 및 제2 타입)의 통신 링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타입의 통신 링크는 이미 설정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이며, 제2 타입의 링크는 셀룰러 기반 D2D 링크일 수 있다. 도 3에서 셀룰러 기반 D2D 링크는 아직 설정되지 않았으므로 셀룰러 D2D 가상 링크라 편의상 칭한다. 두 단말들(D_SUE-1, D_MUE-1)이 모두 듀얼 모드 단말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셀룰러 기반 D2D 링크를 설정하여 우회 전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 및 셀룰러 기반 D2D 가상 링크 중에서 용량 면에서 우수한 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선택 과정은 후술한다.
제2 링크를 위한 통신 타입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가 선택되었다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포함하는 우회 전송 경로를 통한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의 중계에 의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과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은 유지되고 있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에게 송신하고,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은 셀룰러 링크를 통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에 송신할 수 있다.
제2 링크를 위한 통신 타입으로 셀룰러 D2D 가상 링크가 선택되었다면, 셀룰러 기반 D2D 링크가 설정되고, 설정된 셀룰러 기반 D2D 링크를 포함하는 우회 전송 경로를 통한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의 중계에 의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과 스몰셀 기지국(Smallcell BS) 간의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종 네트워크에서 듀얼 모드 단말을 이용한 중계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 및 도 4b는 위에서 상술한 도 3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과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설정하고, 제안하는 방법에 따라 D2D 연결을 선택하는 절차를 일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같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2)이 존재하며,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2)이 각각 독립적인 그룹의 그룹 오너로 동작하는 상황을 전제하여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그룹 오너인 제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D_SUE-2)은,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이 없거나 세션이 종료된 경우와 같이, 초기에 수신 대기(Listen) 상태에 있는 환경을 전제한다.
제1 및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 D_MUE-2)은 주변에 스몰셀 기지국이 있음을 인지하고, 스몰셀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해 중계가 가능한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 또는 그룹 오너(이하, 중계 가능 단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기기 탐색 절차에 따라 탐색하고, 프로비저닝(Provisioning)을 거쳐 제1 및 제2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 D_SUE-2)과 각각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형성하기까지의 과정은 와이파이 다이렉트규격에 따른 절차에 의해 수행 가능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예시된 몇몇 실시예는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이 중계를 필요로 하는 단말들의 중계 요청을 모두 수신한 후, 중계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도 4b에 예시된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이 중계를 필요로 하는 단말들의 중계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단말을 중계 대상 단말로 하여 바로 중계 설정을 시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은 중계 초대 프레임(Relaying Invitation frame)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중계 초대 프레임은 중계 가능 단말(예컨대, D_SUE-1)이 자신의 존재를 알려 중계가 필요한 주변 단말들(이하, 중계 필요 단말)에게 중계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라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초대 프레임은 중계 초대 기간(relaying invitation period)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필요 단말(예컨대, D_MUE-1)은 중계 초대 프레임을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중계 초대 프레임을 송신한 단말(예컨대, D_SUE-1)에게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다(S620). 일례로, 중계 가능 단말이 중계 초대 기간 내에 수신되는 중계 요청 프레임만을 수용하는 경우, 중계 필요 단말은 중계 초대 기간 내에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해야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요청 프레임은 중계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들(이하, 중계 요청 단말) 중에서 중계 대상 단말을 선택할 때 사용되는 단말 선택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선택용 정보는 해당 중계 요청 단말의 링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중계 가능 단말은 우수한 링크 상태가 유지되거나 예측되는 중계 요청 단말을 중계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링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의 예로는 해당 통신 링크(예컨대,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 셀룰러 기반 D2D 링크)의 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를 들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예로는 중계 요청 단말이 중계 초대 프레임 수신시에 측정한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RSS), 데이터 프레임 전송시 가능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들 수 있다. 셀룰러 기반 D2D 링크의 용량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의 예로는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을 수 있는 자원 양 정보, 기존 매크로 기지국과의 링크 상태 정보 (예컨대,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RSS, 셀룰러 통신 동작 대역 전용 MCS 레벨 등)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중계 가능 단말(예컨대, D_SUE-1)은 중계 초대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수신한 중계 요청 프레임들을 기초로 적절한 중계 대상 단말을 선택한다.
복수 개의 중계 요청 단말들이 존재하는 경우, 중계 가능 단말(예컨대, D_SUE-1)은 에서 자신과의 링크의 상태(용량, 처리율, 또는 전송률)가 가장 우수한 중계 요청 단말을 중계 대상 단말로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중계 가능 단말은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단말 선택용 정보를 기초로 중계 대상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가능 단말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의 상태가 가장 우수한 중계 요청 단말을 중계 대상 단말로 선택한다. 이는 중계 가능 단말과 중계 대상 단말 간의 중계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활용하게 될 경우가 빈번할 것으로 예상하며, 셀룰러 D2D 링크의 사용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가 좋지 못한 상황 또는 와이파이 레거시 단말 간 D2D 통신으로 인해 전송 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상황 등을 고려해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가능 단말은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중계 대상 선택 단말이 우회 전송 경로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효율이 기존 매크로 기지국과의 링크에서의 전송 효율보다 저하될 것으로 판단되면, 중계를 거절할 수 있다. 이런 정보들은 중계 초대 기간이 만료된 후 중계 가능 단말이 중계 요청 단말 각각에게 전송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중계 응답 프레임에는 접속 허용 여부(즉,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지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링크를 가지는 중계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에만 접속 허용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고, 나머지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들에는 접속 불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링크를 갖고 있는 중계 요청 단말의 우회 전송 경로 효율이 좋지 않은 경우, 가장 우수한 링크를 갖고 있는 중계 요청 단말에게 전송하는 중계 응답 프레임에도 접속 불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첫째 중계 초대 기간이 만료되고, 중계 응답 프레임의 전송 과정이 종료되면, 중계 대상 단말이 도 3의 상황과 같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은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로부터 데이터 중계 시작을 트리거(trigger)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중계 시작 프레임 (Relaying Initiation frame)을 수신하면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전송은 ACK 응답 과정을 수반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일련의 과정 중에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로부터 선택 받지 못한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은 필요에 따라 다른 중계 가능 단말(도 4a에서 D_SUE-2)이 그룹 오너인 다른 그룹이 있는지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서 해당 중계 가능 단말(도 4a에서 D_SUE-2)을 통해 우회 전송 경로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4b는 도 4a와 같이 도 3의 환경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링크 설정 과정을 거치지만, 중계 대상 단말을 선택하는 다른 방법을 예시한다. 도 4a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 가능 단말은 인접 단말들로부터 중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적절한 중계 요청 단말을 선택하여 해당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에 도 4b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 가능 단말은 최초로 수신한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중계 요청 단말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이 먼저 프로비저닝을 통해 링크 설정을 먼저 했지만,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이 먼저 중계 요청을 했기 때문에 제1 듀얼 모드 스몰셀 단말(D_SUE-1)은 제2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2)에게 중계 서비스를 먼저 제공하고, 그 다음에 중계 요청을 한 제1 듀얼 모드 매크로셀 단말(D_MUE-1)에게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에 따른 방식보다 분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도 4b에 따른 방식은 새롭게 필요한 프레임들(예컨대, 중계 초대 프레임, 중계 시작 프레임)이 적으며, 비교적 그룹 내 단말들에게 공평한 우회 경로 활용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b에 따른 방식은 중계 가능 단말이 적은 경우에 도 4a에 따른 방식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도 4b에 따른 방식에서 중계 가능 단말이 중계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도 4a에 따른 방식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일례로, 도 4a의 몇몇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4b의 따른 방식은 필요에 따라 다른 그룹의 그룹 오너를 찾아서 우회 전송 경로를 제공 받는 예를 포함하고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 중계 요청 프레임, 중계 응답 프레임, 중계 시작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일 수 있다.
도 5a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규격에서 정의한 관리 프레임 포맷(Management frame format)을 예시하며,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OUI subtype의 사용 예를 예시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 중계 요청 프레임, 중계 응답 프레임, 중계 시작 프레임이 관리 프레임으로 사용되는 경우, 다른 프레임과 구별하기 위해, 중계 초대 프레임, 중계 요청 프레임, 중계 응답 프레임, 중계 시작 프레임은 다른 프레임으로부터 구별되기 위한 OUI Subtype의 값(도 5b를 참조하면, 각각 9, 10, 11, 12)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 중계 요청 프레임, 중계 응답 프레임, 중계 시작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P2P 속성(Attribute)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초대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6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초대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은, 초대 요청 프레임(Invitation Request frame)과는 달리. 동작 채널에 관한 속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은 초대 시간 속성(Invitation Time attribute)을 포함할 수 있다. 초대 시간 속성은 상술한 중계 초대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초대 프레임은 P2P 그룹 BSSID 속성, P2P 기기 정보 (device Info.)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요청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7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요청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요청 프레임은, 초대 요청 프레임(Invitation Request frame)과는 달리, 동작 채널에 관한 속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요청 프레임은 D2D 선택 속성(D2D Selection attribute)을 포함할 수 있다. D2D 선택 속성은 매크로 P2P 단말이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자원의 양을 나타내는 자원 정보와 매크로 기지국과의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셀룰러 링크 품질(Cellular Link Quality)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 2 byte, 8 byte를 할당하였다.
도 8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응답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8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응답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응답 프레임은, 초대 응답 프레임(Invitation Response frame)과는 달리, 선택 플래그 속성(Selection Flags attribute)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플래그 속성은 중계 요청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인 선택 플래그를 포함하며, 선택 플래그 값이 1이면 접속 허가를 나타내고, 0이면 접속 불가를 나타낸다.
도 9a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작 프레임에 포함되는 P2P 속성 구조를 예시하며,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작 프레임과 관련한 P2P 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중계 시작 프레임은, 그룹 오너 협상 확인 프레임(GO Negotiation Confirmation frame)과 마찬가지로, 상태 속성, P2P 능력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본 프로세스 및 방법 및 다른 프로세스 및 방법에 있어서, 그 프로세스 및 방법에서 실행되는 기능이 다른 순서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략 설명된 단계 및 동작은 예로서만 제공된 것이며,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단계 및 동작은 선택적이며, 더 적은 수의 단계 및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단계 및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동작, 프로세스 등의 어떤 것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모바일 장치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또는 다른 어떤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듀얼 모드 단말이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듀얼 모드 단말 - 제1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 제2 기지국과 링크 연결됨 - 과 각 D2D(Device-to-Device)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로부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제1 기지국과 중계 대상 단말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 중 하나 - 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은 스몰셀 기지국이며, 상기 제2 기지국은 매크로셀 기지국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듀얼 모드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접속 권한이 없는 듀얼 모드 단말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듀얼 모드 단말은 상기 제1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외곽에 위치하는 듀얼 모드 단말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초대 프레임 - 중계 가능을 주변의 듀얼 모드 단말에 알리기 위한 프레임 - 을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링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링크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셀룰러 기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상기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 및 셀룰러 기반 D2D 통신 방식 중에서,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상기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 사용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셀룰러 기반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과 상기 중계 대상 단말 간의 링크에서는 상기 선택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은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방식에 따른 링크 상태 및 상기 셀룰러 기반 D2D 통신 방식에 따른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할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2D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는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과 각 D2D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로부터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선택된 제2 듀얼 모드 단말이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은 해당 제2 듀얼 모드 단말의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초대 프레임 - 중계 가능을 주변의 듀얼 모드 단말에 알리기 위한 프레임 - 을 상기 각 D2D 링크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초대 프레임은 중계 초대 기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초대 기간 내에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상기 제2 듀얼 모드 단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초대 프레임은 P2P 그룹 BSSID 속성, P2P 기기 정보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초대 프레임은 상기 중계 초대 기간에 대한 정보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을 먼저 송신한 제2 듀얼 모드 단말을 위한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은 D2D 링크 상태에 대한 정보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중계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 각 제2 듀얼 모드 단말에게 중계 응답 메시지를 해당 D2D 링크를 통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은 접속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P2P 속성으로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요청 프레임 및 상기 중계 응답 프레임은 OUI subtype 값이 서로 다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듀얼 모드 단말이 상기 중계 대상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 시간을 알려 주기 위한 중계 시작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시작 프레임은 상태 속성, P2P 능력 속성, P2P 그룹 식별자 속성을 포함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관리 프레임인 방법.
KR1020130048969A 2013-04-30 2013-04-30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Withdrawn KR20140129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69A KR20140129970A (ko) 2013-04-30 2013-04-30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69A KR20140129970A (ko) 2013-04-30 2013-04-30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70A true KR20140129970A (ko) 2014-11-07

Family

ID=5245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969A Withdrawn KR20140129970A (ko) 2013-04-30 2013-04-30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9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09A3 (ko) * 2015-01-29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연결기법을 변경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비한 무선랜 스테이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2209A3 (ko) * 2015-01-29 201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연결기법을 변경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비한 무선랜 스테이션
US10172178B2 (en) 2015-01-29 2019-01-0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LAN station having platform capable of changing wireless LAN connection techn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8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0242B1 (en) Relay device
EP3583792B1 (en) Wlan d2d interworing with lte prose
EP3226583B1 (en) Method for realiz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lay selection, network control node and user equipment
US98671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6276826B2 (ja) ユーザ端末、基地局、及びプロセッサ
KR1020833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329732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JP62316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により実行されるd2d動作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TWI612839B (zh) 使用者設備及其裝置對裝置通訊選擇方法
US9723476B2 (en) Location registration for a device-to-device (D2D) user equipment
JP621645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により実行されるセル再選択方法及び前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US9479918B2 (e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apparatuses enabling to improve network controlled discovery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US20160044613A1 (en) Notification of relay capabilities for ue-to-network relay functions
WO2017028743A1 (zh) 中继用户设备控制方法、装置及用户设备
CN106211024A (zh) 信息处理方法及通信节点
JPWO2016185967A1 (ja) 基地局及び無線端末
CN106664699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操作终端的方法和使用所述方法的终端
CN114731714B (zh) 一种会话建立的方法及装置
WO2017130743A1 (ja) 無線端末、通信装置及び基地局
CN104349303A (zh) 设备到设备连接管理方法、装置及基站
EP31798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data transmission link,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5101154B (zh) 一种设备到设备授权信息配置方法、装置及网元设备
KR20140129970A (ko)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듀얼 모드 단말,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325150A1 (en) Base station an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5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