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123A - Car wash - Google Patents
Car was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2123A KR20110032123A KR1020090089459A KR20090089459A KR20110032123A KR 20110032123 A KR20110032123 A KR 20110032123A KR 1020090089459 A KR1020090089459 A KR 1020090089459A KR 20090089459 A KR20090089459 A KR 20090089459A KR 20110032123 A KR20110032123 A KR 20110032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vehicle
- washing means
- water
- sp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차량의 하부영역을 효과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세차장치는,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살포배관과, 상기 살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수단과, 상수도 공급원 또는 급수탱크를 상기 세척수단에 연결하는 연결배관과, 상기 상수도 공급원 또는 급수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단으로 고압으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하부 영역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1세척수단,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 영역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2세척수단 및 상기 제2세척수단과는 일정간격 만큼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바퀴 및 차체 프레임 측면으로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3세척수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car wash apparatus, whereb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obile car wash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wash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Car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means comprising a spray pipe which i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or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and the spray nozzl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ay pipe, water supply source Or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ashing means, and a water supply pump for 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or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ashing means at high pressure, wherein the washing means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First washing means for verticall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in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which is arranged to cross in a direction; second washing for extending the vertically spraying of the washing water at the high pressure of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with the first washing means extending in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means and the second washing mea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erpendicular spray the cleaning water at high pressure to the quinone and the vehicle body frame side and being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3-wash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하부 영역 및 측면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척수를 차량에 대해 고압으로 수직 분사시켜 차량의 하부 영역 및 측면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car wash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the lower region and the side of the vehicle easily an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by verticall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차량 세차는 내부 세차와 외부 세차로 구분된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외부를 많이 세차하고 있으나 차량의 차체 밑부분의 세차는 여러가지 제약으로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Vehicle car wash is divided into internal car wash and external car wash. In general,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washed a lot, but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car wash under the vehicle body is rarely performed due to various restrictions.
그러나, 최근 매연, 지구온난화 및 산업화 등의 이유로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은 각종 오염 물질에 노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로 상에 축적된 각종 오염물질은 차량의 하부 또는 바퀴 부근, 그리고 차량의 측면 등에 부착되어 차량의 주요 부품인 전기배선, 연료 공급라인, 전자부품 등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아니라 차량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However, in recent years, environmental pollution is intensifying due to soot, global warming, and industrialization, and as a result, vehicles driving on roads are exposed to various pollutants. For example, various contaminants accumulated on the road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near the wheels, and the side of the vehicle, thereby damaging electric wiring, fuel supply lines, and electronic components, which are main parts of the vehicle. This not only shortens the life of the vehicle but also may threaten the safety of the vehicle.
특히, 동절기의 경우 제설작업을 위해 도로에 살포되는 염화칼슘 등이 차량 하부의 부품을 조기 부식시켜 차량수명을 단축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차량의 하부 영역의 세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In particular, in winter, calcium chloride, which is sprayed on the road for snow removal, is prematurely corroding parts under the vehicle to shorten the life of the vehicle.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car wash in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has been highlighted.
그러나, 차량의 하부 영역을 세차하는 것은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하부를 세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차량 하부로 들어가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걸레를 이용하여 닦아 내야 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 세차를 위해 차량 하부로 들어가서 세차 작업을 하는 것은 그 자체가 고역일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세척되어 나오는 각종 오염물질 및 세척수에 섞여 있는 세제에 바로 노출되어 건강을 해칠 수 있다.However, washing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is not an easy task. Typically, in order to wash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 operator must enter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and spray the washing water or wipe it with a mop. However, when a worker enters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to wash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the washing work is not only a high level, but the worker may be directly exposed to various contaminants and detergents mixed in the washing water, which may damage the health. .
따라서, 차량의 하부 영역을 세차하기 위해 세차장의 일부를 굴착한 후 굴착된 부분에 세척수 분사노즐 등을 설치하여 차량의 하부 세차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분사노즐이 설치된 위치까지 차량을 이동시켜 하부 영역을 세차해야 하므로, 운전자에게 불편한 문제가 있고 정확한 차량 이동과 주차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하부 영역 세차가 효율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Accordingly, a method of performing a lower car wash of a vehicle by digging a part of a car wash and installing a washing water spray nozzle or the like on the excavated portion to wash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is proposed. However, this method has to wash the lower area by moving the vehicle to the position where the injection nozzle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for the driver uncomfor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wer area car wash is not efficient unless accurate vehicle movement and parking.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2465호에서는 차량의 양측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차량 지지대와, 바닥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와 물을 차체의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는 차량 하부 세척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차량의 하부 영역을 세차하는 불편함과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으나, 차량을 일정한 높이의 차량 지지대까지 진입시켜야 하므로 운전자의 주의를 요하고 세척수에 의해 바닥이 미끄러운 점을 감안할 때 차량의 전도 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차량의 하부 영역 만을 고정된 위치에서 세차할 수 있을 뿐이고 차량을 이동시키면서 차량 하부 영역 전체를 골고루 세차할 수 없고 차량의 바퀴나 프레임 측면을 세차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In this regar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2465 discloses a vehicle support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to support tires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an injection nozzle installed at the bottom to inject high pressure air an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Disclosed is a vehicle undercarriage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portion. The prior art improves the inconvenience and the problem of the operator washing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by hand, but the vehicle must enter the vehicle support of a certain height, so the driver's attention and the floor is slippery by the wash water Whe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the fall accident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rior art can only wash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in a fixed position, it is not possible to wash the entir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evenly while moving the vehicle and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wash the wheel or frame side of the vehicle.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1046호에서는 캐스터가 저면에 설치되어 있어 이동가능하고 물걸레 타입으로 사용시 노즐 하우징 및 세제 하우징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물과 세제가 분사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하부를 세척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하부 세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작업자가 물걸레와 같이 세차장치를 차량의 하부로 집어 넣어 이동시키면서 차량의 하부를 세차하는 방식이어서 작업이 힘들고 불편할 뿐만아니라 차량의 바퀴나 프레임 측면을 세차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1046, the cast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is movable and when used as a mop type, water and detergent can be cleaned from the nozzle installed in the nozzle housing and detergent housing to wash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Disclosed is a car wash apparatus. However, the prior art is a method of washing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while the worker puts the car wash device into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such as a mop, so that it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to wash the wheels or the frame side of the vehicle. .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차량의 하부 영역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고, 아울러 차량의 하부 영역의 세차 후 차량의 측면 외부를 순차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 is a demand for an automobile car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easily an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nd after washing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vehicle is sequentially washed. There is a demand for providing technology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차량의 하부 영역 및 측면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utomobile car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washing a lower region and a side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하부 영역 전체를 골고루 세차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차량의 바퀴나 프레임 측면을 세차할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wash apparatus capable of washing the wheels or the frame side of the vehicle sequentially while washing the entire lower area of the vehicle evenly.
추가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세척수단의 조합에 의해 차량의 하부영역을 세차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세척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 wash apparatus that can wash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washing mea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by using a selective washing means, if necessary.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는, Car wash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되는 살포배관과, 상기 살포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세척수단과,Washing means including spraying pipes dispos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or parallel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pray nozzl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aying pipes;
상수도 공급원 또는 급수탱크를 상기 세척수단에 연결하는 연결배관과, A connecting pipe connecting a water supply source or a water supply tank to the washing means;
상기 상수도 공급원 또는 급수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단으로 고압으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A water supply pump for transferr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or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washing means at high pressure;
상기 세척수단은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의 하부 영역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1세척수단,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 영역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2세척수단 및 상기 제2세척수단과는 일정간격 만큼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차량의 바퀴 및 차체 프레임 측면으로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제3세척수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shing means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washing means for verticall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in a lower region of the entering vehicle, the extension means being disposed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second washing means for verticall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in the area and the third washing means is disposed so as to be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second washing means in parallel to the wheel and the body frame side of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는, 상기 제2세척수단과 상기 제3세척수단 사이 그리고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세척수단과 상기 제3세척수단의 선단에 배치되고, 차량이 상기 제2세척수단과 상기 제3세척수단을 밟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제2세척수단과 상기 제3세척수단을 보호하고 차량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한다. An automobile car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ashing means and the third washing means and at the tip of the second washing means and the third washing means on the basis of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It further comprises a guide bar for preventing the step of stepping on the second washing means and the third washing means to protect the second washing means and the third washing means and guide the entr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수단은 세척수가 유동하는 살포배관과, 상기 살포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차량의 하부 영역을 향해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살포배관을 내부에 수용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ar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sh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spray pipe and the spray pipe, the washing water flows at regular intervals to spray the washing water vertically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ay nozzle and a protective cover for receiving the spray pipe therei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는, 상기 상수도 공급원 또는 급수탱크로부터의 세척수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급수펌프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으로 공급하는 온수가열기, 또는 상기 살포배관과 상기 분사노즐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공기를 상기 세척수단에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압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Car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 water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or the water supply tank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to supply to the washing means through the water supply pump, or the spray pipe and the injection The air compressor may further include an air compressor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high pressure air to the washing means to prevent freezing of the nozz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는, On the other hand, the car wash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차량의 하부 영역으로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이동세척수단과, 상기 이동세척수단의 양측에 구비되어 차량의 바퀴 및 차체 프레임 측면을 향해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측면세척부를 포함 하고,Moving washing means for verticall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o the lower region of the vehicle and moving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bile washing means to vertically spray the washing water at high pressure toward the wheel and the body frame side of the vehicle. Side cleaning,
상기 이동세척수단은,The mobile washing means,
지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아래에 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세척차와, 상기 이동세척차의 상면에 구비되는 살포배관과, 상기 살포배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차량의 하부 영역에 대해 고압으로 수직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A mobile washing ca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vehicle's entry direction below a certain depth from the ground, the spray pip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washing car, and the spray water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pray pipe to wash the water. It includes a spray nozzle for vertically spraying at a high pressure against.
본 발명의 자동차 세차장치에 따르면, 차량의 하부 영역 및 측면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고, 특히 차량 하부 영역 전체를 골고루 세차하면서도 순차적으로 차량의 바퀴나 프레임 측면을 세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utomobile car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egion and the side of the vehicle can be washed easily and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and in particular, the entire vehicle lower region can be washed evenly while washing the wheels or the frame side of the vehicle sequentially.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세차장치는 복수개의 세척수단의 조합에 의해 차량의 하부영역을 세차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세척수단을 사용하여 세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was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ash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washing mean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car wash by using a selective washing means, if necessar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 세차장치는 제1세척수단, 제2세척수단 및 제3세척수단이 세차시설의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 영역과 차량의 측면을 세차하여 세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detail, in the vehicle car 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shing means, the second washing means and the third washing means are disposed in the loading position of the car washing facility to wash the lower area of the vehicle and the side of the vehic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Hereinafter, the car 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out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only.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embody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eferences c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니들타입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113, 123, 133)이 설치되고 노면 상에 배치되는 살포배관(111, 121, 131)을 갖는 세척수단(100)과, 차량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저장되는 급수탱크(200)와, 상기 급수탱크(200)와 상기 살포배관(111, 121, 131)을 연결하는 연결배관(300)과, 상기 급수탱크(20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단(100)으로 고압으로 이송하는 급수펌프(400)와, 상기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상기 급수펌프(400)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100)으로 공급하는 온수가열기(500)와, 상기 살포배관(111, 121, 131)과 상기 분사노즐(113, 123, 133)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공기를 상기 세척수단(100)에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압축기(6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200)와 상기 온수가열기(500) 사이에는 제1밸브(810)가 제공되고, 상기 급수탱크(200)와 상기 급수펌프(400) 사이에는 제2밸브(820)가 제공되며, 상기 급수펌프(400)와 상기 세척수단(100) 사이에는 제3밸브(830)가 제공된다. 이들 제1밸브(810), 제2밸브(820) 및 제3밸브(830)는 제어부(700)의 밸브구동부(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밸브구동부(7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개폐 및 개폐시간이 순차적으로 자동 또는 반자동으 로도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또한, 급수펌프(400)의 동력원(410),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는 제어부(700)의 장치 구동부(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장치 구동부(73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In addition, the
세척수단(100)은 제1세척수단(110), 제2세척수단(120) 및/또는 제3세척수단(130)으로 구성되는데, 세척수단(100)의 살포배관(111, 121, 131)은 접속배관(340)을 통해 연결배관(300)에 연통하게 되고, 이러한 연결배관(300)을 통해 고압 이송되는 세척수를 공급받게 된다. 추가로, 상기 접속배관(340)과 상기 연결배관(300)의 사이에는 개폐밸브(3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살포배관(111, 121, 131)의 입구 측에 개폐밸브(3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살포배관(111, 121, 131)으로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살포배관(111, 121, 131)의 입구 측에 개폐밸브(320)가 설치되지 않은 것을 배제하지 않는 것임은 물론이다.The washing means 100 comprises a first washing means 110, a second washing means 120 and / or a third washing means 130, the
세척수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 영역 및/또는 측면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수단(110), 제2세척수단(120) 및/또는 제3세척수단(130)을 포함한다.The washing means 100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s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washing means 110, the second washing means 120 and / 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lower region and / or the side of the vehicle. Or third washing means 130.
제1세척수단(110)은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수직으로 교차)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하부 영역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에 의해 차량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들이 1차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제1세척수단(110)은 차량의 진입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에 대 한 최초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척수단(110)은 차량(20)이 세차를 위해 진입하는 영역에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제1세척수단(110)은 차량 진입시 차바퀴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지면에 설치시 제1세척수단(110)의 제1살포배관(111)의 외관을 감싸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15)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세척수단(110)은 세척수가 유동하는 제1살포배관(111)과, 제1살포배관(111)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세척수를 차량(20)의 하부 영역을 향해 수직으로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113)과, 제1살포배관(111)의 외관을 감싸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커버(11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4, the first washing means 110 is arranged to cros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in the area where the
제1살포배관(111)은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가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어 연결배관(300)을 통해 제1세척수단(110)의 제1살포배관(1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살포배관(111)의 입구 측에 개폐밸브(320)를 구비함으로써 제1살포배관(111)으로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e
또한, 제1살포배관(111)은 차량(20)의 폭보다 일정길이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살포배관(111)은 고무재질,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아연도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살포배관(111)의 직경은 급수펌프(400)의 용량과 제1살포배관(111)에 설치된 제1분사노즐(113)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제1분사노즐(113)은 제1살포배관(11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개폐밸브(320) 개방시 세척수를 차량의 하부 영역으로 수직으로 분사한다. 제1분사노즐(113)은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으로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차량 하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수직 분사 거리가 대략 5M 이상 되는 수압 타격력을 가져야 한다. 또한, 제1살포배관(111)에 설치된 제1분사노즐(113)의 개수가 많을 경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 및 수량이 감소하므로 제1분사노즐(113)의 개수는 제한되어야 하는데, 10개 내지 14개 내외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제1분사노즐(113)은 플랫노즐 또는 회전노즐일 수 있다. 제1분사노즐(113)은 수압 타격력과 고압 청소 면적이 일반 분사노즐 보다 2-3배 정도 큰 고압분사노즐인 것이 요구되므로, 회전노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플랫노즐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분사노즐(113)의 설치각도는 세차되는 차량의 종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적정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다.Here, the
보호커버(115)는 제1살포배관(111)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살포배관(111)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세척수단(110)은 지면(G)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제1살포배관(111)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가로지르면서 위치하게 되므로 차량(20)의 바퀴(21)가 제1살포배관(111)의 상면을 주행하게 된다. 이때 보호커버(115)는 제1살포배관(111)을 커버하여 차량(20)이 주행하더라도 제1살포배관(1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부에 제1살포배관(111)과 제1분사노즐(113)을 수용하는 보호커버(115)를 제1살포배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함으로써 제1살포배관(111)과 제1분사노즐(113) 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호커버(115)는 녹방지가 가능한 아연도금형강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3 세척수단(110, 120, 130)은 지면(G)으로부터 일정 깊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지면 상에 구비되어 차바퀴(21)와 제1,2,3 살포배관(111, 121, 131)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철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보호철망은 제1,2,3 살포배관(111, 121, 131)과 제1,2,3 분사노즐(113, 123, 133)을 보호하여 차량이 주행하더라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철망의 개구를 통해 고압 세척수가 수직방향으로 차량의 하부를 세척할 수 있게 한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econd, third cleaning means (110, 120, 130) may be located below a certain depth from the ground (G), at this time is provided on the ground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wire mesh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다음으로, 제2세척수단(120)은 제1세척수단(110)을 통과한 차량(20)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어 차량(20)의 하부 영역을 세척하도록 제공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척수단(120)은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 제2살포배관(121)과, 제2살포배관(121)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제2분사노즐(123)을 포함한다. Next, the second washing means 120 is disposed to extend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제2살포배관(121)은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가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어 연결배관(300)을 통해 제2세척수단(120)의 제2살포배관(12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살포배관(121)의 입구 측에 개폐밸브(320)를 구비함으로써 제2살포배관(121)으로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제2살포배관(121)은 고무재질,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 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아연도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2분사노즐(123)은 제2살포배관(121)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개폐밸브(320) 개방시 세척수를 차량의 하부 영역으로 수직으로 분사한다. 제2분사노즐(123)은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으로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차량 하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수직 분사 거리가 대략 5M 이상 되는 수압 타격력을 가져야 한다. The
또한, 제2살포배관(121)에 설치된 제2분사노즐(123)의 개수가 많을 경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 및 수량이 감소하므로 제2분사노즐(123)의 총 개수는 제한되어야 하는데, 10개 내지 14개 내외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형 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길이가 짧은 것을 고려하여 제2분사노즐(123)의 총 개수를 8-10개로 하고, 중형 및 대형 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길이가 긴 것을 고려하여 제2분사노즐(123)의 총 개수를 12개 내지 14개 정도로 할 수 있다. 한편, 제2분사노즐(123)의 물리적, 구조적 특성은 제1분사노즐(113)과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he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세척수단(120)은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제2세척수단(120)도 제2살포배관(12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Second cleaning means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are arranged in a pair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like, and of course, the plurality is not excluded. In addition, the second washing means 120 may also include a
다음으로, 제3세척수단(130)은 제1세척수단(110)을 통과한 차량(20)의 진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되고, 전술한 제2세척수단(120)과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바퀴 폭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평행하게 이격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2세척수단(120)은 차량의 하부 영역을 세척하는 반면에, 제3세척수단(130)은 차량의 바퀴와 차체 프레임 측면을 세척한다.Next, the third washing means 130 is extended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세척수단(130)은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된 제3살포배관(131)과, 제3살포배관(131)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제3분사노즐(133)을 포함한다. 제3살포배관(131)은 차량(20)의 바퀴(21)의 외측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S. 2, 4 and 5, the third washing means 130 is fixed to the
제3살포배관(131)은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데,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가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어 연결배관(300)을 통해 제3세척수단(130)의 제3살포배관(13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3살포배관(131)의 입구 측에 개폐밸브(320)를 구비함으로써 제3살포배관(131)으로 고압 세척수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제3살포배관(131)은 고무재질,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아연도배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제3분사노즐(133)은 제3살포배관(131)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개폐밸브(320) 개방시 세척수를 수직으로 분사한다. 제3분사노즐(133)은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으로 분사하여 수압에 의해 차량의 바퀴 및 차체 프레임 측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수직 분사 거리가 대략 5M 이상 되는 수압 타격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강력한 수직 분사 수압에 의해 제3분사노즐(133)로부터 수직으로 광 범위하게 분사된 세척수는 차량의 바퀴 뿐만아니라 차체 프레임의 측면을 때리면서 차량의 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The
또한, 제3살포배관(131)에 설치된 제3분사노즐(133)의 개수가 많을 경우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 및 수량이 감소하므로 제3분사노즐(133)의 총 개수는 제한되어야 하는데, 10개 내지 14개 내외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형 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길이가 짧은 것을 고려하여 제3분사노즐(133)의 총 개수를 8-10개로 하고, 중형 및 대형 차량의 경우는 차량의 길이가 긴 것을 고려하여 제3분사노즐(133)의 총 개수를 12개 내지 14개 정도로 할 수 있다. 한편, 제3분사노즐(133)의 물리적, 구조적 특성은 제1분사노즐(113) 및 제2분사노즐(123)과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the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세척수단(130)은 차량의 진입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한 쌍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또한, 제3세척수단(130)도 제3살포배관(13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커버(115)를 포함할 수 있다. A third washing means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are arranged in a pair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direction of entry of the vehicle.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like, and of course, the plurality is not excluded. In addition, the third washing means 130 may also include a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수단(100)은 제2세척수단(120)과 제3세척수단(130) 사이 그리고 차량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이들 세척수단들의 선단에 가이드바(1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140)는 제1세척수단(110)을 경유한 차량이 진입할 때 차량(20)의 바퀴(21)가 제2세척수단(120) 및 제3세척수단(130)의 상면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세척수단(120)과 제3세척수단(130) 사이로 차 량(20)의 바퀴(21)가 진입하도록 가이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mean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가이드바(140)는 금속재질로 구비되며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바람직하게는 대략 10cm 이내로 돌출형성되어 바퀴(21)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가이드바(140)는 "L"자 형 강재로 구비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강재들(예를 들어, "H"형 강재)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급수탱크(200)는 상수도 공급원(310)과 연결되어 차량(20)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가 저장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급수탱크(200)는 생략이 가능하고, 이 경우 상수도 공급원(310)은 급수펌프(400) 및 온수가열기(500)에 직접 접속하게 된다.The
연결배관(300)은 급수탱크(200), 급수펌프(400), 세척장치(100) 등을 연결하여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가 고압으로 세척장치(100)로 송출되도록 한다. 연결배관(300)은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질성의 고압 고무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The
급수펌프(400)는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를 세척수단(100)으로 고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00)는 고압의 세척수가 차량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급수펌프(400)는 대략 80~100kg/㎠의 압력과 대략 50~100ℓ/분의 수량을 배출할 수 있는 사양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급수펌프(40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10) 는 15 내지 25 마력의 구동력을 제공해야 한다. The
상기 급수펌프(400)는 전기 인입이 곤란한 곳은 내연기관과 같은 동력원(410)에 연결되고, 전기 인입이 가능한 곳은 구동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410)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원(410)의 구동에 의해서 가동된다. 구동모터 또는 내연기관은 급수펌프(400)와 연계되어 원격 조정으로 시동 및 정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급수펌프(400)의 동력원(410)은 제어부(700)의 장치 구동부(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제어부(700)의 조작패널(710)의 급수 버튼 조작을 통해 급수 상태를 ON으로 하면 장치 구동부(730)에서 ON 신호를 발생시켜 동력원(410)을 가동시킬 수 있다.Where the
온수가열기(500)는 상수도 공급원(310) 또는 급수탱크(200)로부터의 세척수를 가열한다. 이 가열된 세척수는 급수펌프(400)를 통해 가압되어 연결배관(300)을 통해 세척장치(100)로 이송된다. 온수가열기(500)는 동절기에 세척수의 온도를 20℃ 이상으로 급속가열하여 세차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압축기(600)는 동절기에 세척수단(100)의 살포배관(111, 121, 131) 및 분사노즐(113, 123, 133)의 결빙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고압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장치이다.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 역시 제어부(700)의 장치 구동부(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장치 구동부(730)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The
제1밸브(810)는 급수탱크(200)와 온수가열기(500) 사이에 제공되고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급수탱크(200)로부터 온수가열기(50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절기에는 제어부(700)의 조작패널(710)의 조작을 통해 온수가열기(500)를 ON으로 하면 밸브구동부(740)에서 ON 신호를 발생시켜 제1밸브(810)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수가 온수가열기(500)로 공급된다. 유류 연소식 온수가열기(500)에서 가열된 세척수는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어 세척수단(100)으로 공급된다. The
제2밸브(820)는 급수탱크(200)와 급수펌프(400) 사이에 제공되고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급수탱크(200)로부터 급수펌프(400)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의 조작패널(710)의 급수 버튼 조작을 통해 급수 상태를 ON으로 하면 밸브구동부(740)에서 ON 신호를 발생시켜 제2밸브(820)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수가 급수펌프(400)로 공급되며, 공급된 세척수는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된다. The
제3밸브(830)는 급수펌프(400)와 세척수단(100) 사이에 제공되고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급수펌프(400)로부터 세척수단(100)으로의 세척수 공급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의 조작패널(710)의 세척개시 버튼 조작을 통해 세척개시 상태를 ON으로 하면 밸브구동부(740)에서 ON 신호를 발생시켜 제3밸브(830)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수가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세척수단(100)으로 이송된다.The
이들 제1밸브(810), 제2밸브(820) 및 제3밸브(830)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사용가능한 공지의 개폐밸브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Solenoid valves are preferably used as the
제어부(700)는 차량이 진입하면 세척수단(100) 및 각 구성들의 사용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700)는 조작패널(710) 등의 형태로 특정 위치에 고정되며 제1세척수단(110), 제2세척수단(120) 및 제3세척수단(130) 각각으로의 세척수 공급여부,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 등의 사용여부도 제어한다. The
상기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수동으로 급수펌프(400),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와 제1~3 밸브(810, 820, 83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71)과, 외부에서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급수펌프(400),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와 제1~3 밸브(810, 820, 830)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720)과, 급수펌프(400),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를 작동시키는 장치 구동부(730)와, 제1~3 밸브(810, 820, 830)를 작동시키는 밸브구동부(740)를 포함한다. The
조작패널(710)은 사용자가 직접 급수펌프(400), 온수가열기(500) 및 공기압축기(600)와 제1~3 밸브(810, 820, 8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통신모듈(720)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패널(710)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원격으로 장치 구동부(730)와 밸브구동부(7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통신모듈(720)은 유선통신모듈로 구비되어 원거리에서 푸쉬버튼을 눌러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무선통신모듈을 사용하여 휴대전화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760)를 이용하여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PC 통신에 의한 인터넷 전용선으로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720 controls the
추가로, 상기 제어부(7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에 필요에 따라 제공되는 타이머 또는 경보장치(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급수펌프(400) 내에서 고압 압축된 세척수의 안전성, 정밀성 및 편이성을 높이기 위해 압력조절밸브, 아큐뮬레이터 및 바이패스 밸브(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는 고품질의 최종적인 세차의 마무리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세척수를 차량(20)에 분사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때,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고압살포기(미도시)를 도 1의 급속연결장치(312)를 통하여 연결배관(300)과 연결하면, 급수펌프(400)에 의해 고압으로 이송되는 세척수를 차량의 원하는 위치로 직접 고압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적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의 차량 세차 과정을 도 4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A vehicle car washing process of the vehicle
먼저, 차량이 자동차 세차장치(10)로 진입하면 차량(20)은 제1세척수단(110)을 경유하게 된다. 차량(20)이 제1세척수단(110)의 상면으로 주행하면 제1세척수단(110)의 제1분사노즐(113)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차량의 하부 영역을 횡방향으로 세척한다.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 하부 영역의 전영역이 제1세척수단(110)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된다. First, when the vehicle enters the
제1세척수단(110)에 의해 1차로 세척된 차량(20)은 제2세척수단(120)과 제3세척수단(130) 측으로 진입한다. 이때, 차량(20)은 가이드바(140)에 의해 바퀴(21)가 가이드되어 제2세척수단(120)와 제3세척수단(130) 사이에 바퀴(21)가 위치하도 록 진입하게 된다.The
차량(20)이 진입하면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제2분사노즐(123)과 제3분사노즐(133)이 세척수를 고압으로 수직 분사한다. 제2분사노즐(123)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차량의 하부 영역을 세척하고, 제3분사노즐(133)에 의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차량의 바퀴 영역과 차체 프레임 측면을 세척한다. When the
일정시간 세척수가 분사되고 세척이 완료되면 경고음을 울리거나 경고등을 점등하여 세차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에 구비된 타이머가 동작하여 일정시간의 세차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제2분사노즐(123)과 제3분사노즐(133)로부터의 세척수 분사를 멈출 수 있다.When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or a certain time and the cleaning is completed, a warning sound or a warning light may be turned on to indicate the completion of the wash. At this time, when the timer provided i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는 제1세척수단, 제2세척수단 및/또는 제3세척수단이 차량의 가로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를 차량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고압으로 분사시켜 차량의 하부 영역 및 측면을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세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a)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6 and 7 are front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는 위치가 고정된 제1세척수단(110), 제2세척수단(120) 및 제3세척수단(130)의 조합에 의해 차량 하부를 세척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a)는 제1세척수단(110)와 제2세척수단(120)의 역할을 이동세척수단(150)이 수행한다. The
이동세척수단(15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형성된 이동영역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동하며 차량의 하부를 세척한다. 이동세척수단(150)은 바퀴(153)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세척차(151)와, 이동세척차(151) 상에 구비된 이동살포배관(155)과, 이동살포배관(155)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이동분사노즐(157)을 포함한다. The mobile washing means 150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a moving area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ground and wa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mobile washing means 150 includes a
이동세척차(151)는 한 쌍의 제3세척수단(130) 사이의 지면 아래 공간에 위치하여 전후로 이동하며 이동분사노즐(157)로부터 세척수가 고압으로 수직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동세척차(151)는 제어부(700)에 의해 원격으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이동세척수단(150)의 상면에는 이동세척수단(1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철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mobile washing means 15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wire mesh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mobile washing means 15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a)는 이동세척수단이 차량의 하부영역을 전후로 이동하며 차량을 세척하여 고정노즐에 의해 청소가 힘들었던 영역까지 세밀하게 세척할 수 있다. In the vehicle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contemp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의 세척수단(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shing means 100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의 제1세척수단(110)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washing means 110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의 세척과정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를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후 투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washing process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세차장치(10)의 세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process of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a)의 이동세척수단(150)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ving washing means 150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세차장치(10a)의 세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shing process of th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자동차 세차장치 100 : 세척수단10: car washing apparatus 100: washing means
110 : 제1세척수단 111 : 제1살포배관110: first washing means 111: first spray pipe
113 : 제1분사노즐 115 : 보호커버113: first spray nozzle 115: protective cover
120 : 제2세척수단 121 : 제2살포배관120: second washing means 121: second spray pipe
123 : 제2분사노즐123: second injection nozzle
130 : 제3세척수단 131 : 제3살포배관130: third washing means 131: third spray pipe
133 : 제3분사노즐 140 : 가이드바133: third injection nozzle 140: guide bar
150 : 이동세척수단 151 : 이동세척차150: mobile washing means 151: mobile washing car
153 : 바퀴 155 : 이동살포배관153: wheel 155: mobile spray pipe
157 : 이동분사노즐157: moving nozzle
200 : 급수탱크 300: 연결배관200: water supply tank 300: connection piping
310 : 상수도 공급원 400 : 급수펌프310: water supply source 400: feed water pump
500 : 온수가열기 600 : 공기압축기500: hot water heater 600: air compressor
700 : 제어부700: control uni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89459A KR20110032123A (en) | 2009-09-22 | 2009-09-22 | Car was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90089459A KR20110032123A (en) | 2009-09-22 | 2009-09-22 | Car wash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10005280U Division KR20110007338U (en) | 2011-06-14 | 2011-06-14 | Apparatus for washing ca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32123A true KR20110032123A (en) | 2011-03-30 |
Family
ID=439369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89459A Withdrawn KR20110032123A (en) | 2009-09-22 | 2009-09-22 | Car wash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32123A (en) |
Cited By (1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06797B1 (en) * | 2012-03-15 | 2013-09-10 | 주식회사 세진 | Booth of the self car wash |
| KR101359129B1 (en) * | 2012-04-05 | 2014-02-05 | 이동효 | Car washing device |
| WO2013061346A3 (en) * | 2011-10-29 | 2014-05-08 | Nuove Tecnologie Applicate S.R.L. | System equipped with high-pressure and low-flow- rate pumping unit, in particular for cleaning |
| CN106274828A (en) * | 2016-08-12 | 2017-01-04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site Car washer |
| CN106427929A (en) * | 2016-12-22 | 2017-02-22 | 李良 | Fast automobile flushing device for auto beauty |
| CN109131253A (en) * | 2018-10-29 | 2019-01-04 | 广西腾子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ervo-actuated carwash cleaning device of engineering vehicle tyre |
| CN110304025A (en) * | 2019-06-28 | 2019-10-08 | 宣化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 Coal Yard Wheel Cleaning Method |
| CN110509897A (en) * | 2019-07-15 | 2019-11-29 | 陕西龙门钢铁有限责任公司 | Fully automatic non-contact cleaning device for large-scale engineering vehicles in steel plants |
| CN112141052A (en) * | 2020-08-24 | 2020-12-29 | 陆凯鑫 |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 chassis |
| CN113085794A (en) * | 2021-04-29 | 2021-07-09 | 浙江创之环保科技有限公司 | Car washing tank and car washing system |
| CN113928277A (en) * | 2021-11-12 | 2022-01-14 | 北京青年路混凝土有限公司 | Automatic cleaning system of concrete conveying vehicle |
| CN114103887A (en) * | 2021-11-09 | 2022-03-01 |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 A large transport vehicle cleaning equipment |
| CN115288496A (en) * | 2022-08-03 | 2022-11-04 | 爱绿城环保科技有限公司 | Deposit storage workshop of domestic waste incineration slag |
| CN115384347A (en) * | 2022-09-29 | 2022-11-25 |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 A deicing device for a power station |
| KR20220168824A (en)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 Washing Equipment For Car Underbody |
| CN116729317A (en) * | 2022-03-01 | 2023-09-12 | 闫峰 | Mobile inflatable car wash unit |
| CN116853192A (en) * | 2023-08-23 | 2023-10-10 | 浪潮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 An automatic car washing method |
-
2009
- 2009-09-22 KR KR1020090089459A patent/KR20110032123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061346A3 (en) * | 2011-10-29 | 2014-05-08 | Nuove Tecnologie Applicate S.R.L. | System equipped with high-pressure and low-flow- rate pumping unit, in particular for cleaning |
| KR101306797B1 (en) * | 2012-03-15 | 2013-09-10 | 주식회사 세진 | Booth of the self car wash |
| KR101359129B1 (en) * | 2012-04-05 | 2014-02-05 | 이동효 | Car washing device |
| CN106274828A (en) * | 2016-08-12 | 2017-01-04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Construction site Car washer |
| CN106427929A (en) * | 2016-12-22 | 2017-02-22 | 李良 | Fast automobile flushing device for auto beauty |
| CN109131253A (en) * | 2018-10-29 | 2019-01-04 | 广西腾子熙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servo-actuated carwash cleaning device of engineering vehicle tyre |
| CN110304025A (en) * | 2019-06-28 | 2019-10-08 | 宣化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 Coal Yard Wheel Cleaning Method |
| CN110509897A (en) * | 2019-07-15 | 2019-11-29 | 陕西龙门钢铁有限责任公司 | Fully automatic non-contact cleaning device for large-scale engineering vehicles in steel plants |
| CN112141052B (en) * | 2020-08-24 | 2022-05-10 | 南京灵雀智能制造有限公司 |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 chassis |
| CN112141052A (en) * | 2020-08-24 | 2020-12-29 | 陆凯鑫 | Cleaning device for automobile chassis |
| CN113085794A (en) * | 2021-04-29 | 2021-07-09 | 浙江创之环保科技有限公司 | Car washing tank and car washing system |
| CN113085794B (en) * | 2021-04-29 | 2023-11-17 | 浙江创之环保科技有限公司 | Car washing groove and car washing system |
| KR20220168824A (en) | 2021-06-17 | 2022-12-26 |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 Washing Equipment For Car Underbody |
| CN114103887A (en) * | 2021-11-09 | 2022-03-01 |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 A large transport vehicle cleaning equipment |
| CN113928277A (en) * | 2021-11-12 | 2022-01-14 | 北京青年路混凝土有限公司 | Automatic cleaning system of concrete conveying vehicle |
| CN113928277B (en) * | 2021-11-12 | 2024-06-07 | 北京青年路混凝土有限公司 | Automatic cleaning system for concrete conveying vehicle |
| CN116729317A (en) * | 2022-03-01 | 2023-09-12 | 闫峰 | Mobile inflatable car wash unit |
| CN115288496A (en) * | 2022-08-03 | 2022-11-04 | 爱绿城环保科技有限公司 | Deposit storage workshop of domestic waste incineration slag |
| CN115288496B (en) * | 2022-08-03 | 2023-10-20 | 爱绿城环保科技有限公司 | Store house refuse incinerator slag's storage workshop |
| CN115384347A (en) * | 2022-09-29 | 2022-11-25 |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 A deicing device for a power station |
| CN116853192A (en) * | 2023-08-23 | 2023-10-10 | 浪潮智能物联技术有限公司 | An automatic car wash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110032123A (en) | Car wash | |
| US20090211605A1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uilt-in vehicle washing and other operations | |
| US20110155192A1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built-in vehicle washing and other operations | |
| CN109177929A (en) | A kind of cleaning method, cleaning device and the vehicle of vehicle-mounted optical detector | |
| JP2009235901A (en) | Wall surface cleaning vehicle | |
| KR101182641B1 (en) | Road dust cleaning equipment | |
| KR20090024526A (en) | Tunnel and soundproof wall automatic cleaning device | |
| KR101306797B1 (en) | Booth of the self car wash | |
| US20180015906A1 (en) | Built-in Automobile Washing and Cleaning System | |
| KR20110007338U (en) | Apparatus for washing car | |
| KR100959546B1 (en) | Sprinkler mounted on electric car | |
| CN207389157U (en) | A kind of rearview mirror cleaning device | |
| KR20140128600A (en) | Device for washing underbody of vehicle | |
| KR101359129B1 (en) | Car washing device | |
| KR200421046Y1 (en) | Automobile car washes | |
| CN210561926U (en) | Highway marking cleaning machine | |
| CN204548039U (en) | Movable cleaning device | |
| CN104691514A (en) | Vehicle-mounted intelligent vehicle washing device | |
| JP4503695B1 (en) | Lorry with water tank | |
| JP2005138795A (en) | Car wash equipment | |
| KR102371279B1 (en) | apparatus for washing car bottom | |
| JP4274950B2 (en) | Car wash equipment | |
| JP6274084B2 (en) | Car wash machine and car wash method | |
| US2008022340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a vehicle | |
| KR20060100483A (en) | Truck-mounted washers for building constructio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C1205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 ||
| WICV |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