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9906U - Orthopedic saw blade - Google Patents
Orthopedic saw bla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9906U KR20110009906U KR2020100003854U KR20100003854U KR20110009906U KR 20110009906 U KR20110009906 U KR 20110009906U KR 2020100003854 U KR2020100003854 U KR 2020100003854U KR 20100003854 U KR20100003854 U KR 20100003854U KR 20110009906 U KR20110009906 U KR 201100099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w blade
- orthopedic
- reinforcing piece
- bone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4—Surgical saws
- A61B17/142—Surgical saws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8—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 B23D51/1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mounting straight saw blades or other tools for hand-held or hand-operated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형외과용 톱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뼈를 성형하기 위한 외과수술도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톱날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장방형상 단면을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영역에 톱니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바디부의 타측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허브를 가지고, 상기 고정허브를 통해 정형외과 수술장치의 척에 장착되는 정형외과용 톱날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에 가상을 중심선을 그었을 때 중심선을 중심으로 톱날의 형상과 각도가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을 형성한 톱니부와; 상기 톱날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에 그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pedic saw bla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w blade used to be mounted to a surgical instrument for molding bone,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In an orthopedic saw blade having a tooth formed in a jagged arrangement of teeth in one end region, and a fixed hub extending from the other region of the body portion, mounted on the chuck of an orthopedic surgical device through the fixing hub, A tooth portion having a saw blad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shape and angle of the saw blade are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line when the center line is drawn on the tooth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reinforcing pie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w blade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saw blade.
Description
본 고안은 정형외과용 톱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뼈를 성형하기 위한 외과수술도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톱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pedic saw bla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w blade used to be mounted on a surgical tool for shaping bone.
수술시 뼈를 깎아 내거나 절단해야 경우가 있으며,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형외과수술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정형외과수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Gun)형상의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상면에 장착된 대략 원형단면형상의 척(102, chuck)과, 척(102)에 결합된 톱날(103, Saw Blade)과, 하우징(101)의 파지영역 상단에 결합된 트리거(104, Trigger)를 갖고 있다.Bones may need to be scraped or cut during surgery, and orthopedic surgery devices as shown in FIG. 1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1, an orthopedic surgery apparatus includes a Gun-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후술하는 척(102)의 요동축(102a, Rocking Shaft)을 구동하는 축구동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축구동부는 1987년 한국 특허출원 제3110호(발명의 명칭 : 정형외과 수술도구 및 그 구동장치), 1993년 미국특허 제5263972호(발명의 명칭 : Surgical Handpiece Chuck and Blade)등에 개시되어 있다. 척(102)의 내부에는 요동축(102a)이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The inside of the
톱날(103)은 요동축(102a)의 상단에 요동축(102a)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정형외과수술장치의 사용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먼저 트리거(104)를 조작하면 외부전압이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급된다.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전압이 공급되면 축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요동축(102a)은 요동한다. 요동축(102a)이 요동함에 따라 톱날(103)은 요동축(102a)을 지지점으로 하여 반복회동하게 된다.First, the
이러한 톱날(103)의 반복회동동작을 이용하여 뼈의 특정영역을 깎아 내거나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정형외과수술장치에 장착되는 톱날(103)은 다양한 형태의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By using the repeated rotation of the
종래의 정형외과용 톱날(110)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상단면의 바디부(111)와, 바디부(111)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영역에 톱니(121, 131)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2열로 형성된 상측 톱니부(120) 및 하측 톱니부(130)와, 바디부(111)의 우측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허브(112)를 갖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바디부(111)의 중앙영역에는 가루배출공(11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루배출공(111a)을 통해 뼈성형시 발생하는 뼈가루가 배출된다. 상측 톱니부(120)에 속하는 톱니(121)는 바디부(111)의 상면으로부터 동일평면으로 연장 형성된 삼각형상의 상측톱니상면부(121a)와, 바디부(111)의 저면으로부터 동일평면으로 연장 형성된 삼각형상의 상측톱니저면부(121b)와, 상측톱니저면부(121b)와 상측톱니상면부(121a)의 대응하는 각 꼭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상측톱니좌경사면부(121c) 및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를 갖고 있다.The
하측 톱니부(130)에 속하는 톱니(131)는 상측 톱니부(120)에 속하는 톱니(121)와 동일한 형태의 하측톱니상면부(131a), 하측톱니저면부(131b),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 및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는 바로 좌측에 위치하는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와 대향하고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는 바로 우측에 위치하는 상측톱니좌경사면부(121c)에 대향한다.The
상측톱니상면부(121a)는 상측에서 바디부(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하측톱니저면부(131b)를 부분적으로 가리고, 하측톱니저면부(131b)는 하측에서 바디부(111)의 두께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측톱니상면부(121a)를 부분적으로 가리도록 즉, 상측톱니상면부(121a)와 하측톱니저면부(131b)는 저부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tooth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정형외과용 톱날이 뼈에 작용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orthopedic saw blad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o the bone as follows.
톱날이 우측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와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에 의해 뼈가 성형되고, 톱날이 좌측으로 회동하는 동안 상측톱니좌경사 면부(121c)와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에 의해 뼈가 성형된다.The bone is molded by the upper teeth right inclined surface portion 121d and the lower teeth right
여기서 뼈가 성형됨에 따라 발생하는 뼈가루는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와 대향하는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사이 및 상측톱니좌경사면부(121c)와 대향하는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사이를 통해 바디부(111)로 안내되고, 바디부(111)로 안내된 뼈가루는 대부분 가루배출공(11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Here, the bone powder generated as the bon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teeth right inclined surface portion 121d and the lower teeth left
그런데 종래의 정형외과용 톱날에 따르면, 뼈성형시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 상측톱니좌경사면부(121c),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 및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는 뼈와 선접촉하기 때문에 뼈와의 접촉이 반복됨에 따라 경사면부(121d,121c,131d,131c)의 바디부(111) 인접영역이 마모될 염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용 톱날의 유효성형길이구간(톱니의 종단으로부터 경사를 유지하는 길이구간)이 작아져 성형능률이 떨어진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orthopedic saw blade, the upper teeth right inclined surface portion 121d, the upper teeth left inclined surface portion 121c, the lower teeth right
그리고 상측톱니우경사면부(121d)와 대향하는 하측톱니좌경사면부(131c)사이 및 상측톱니좌경사면부(121c)와 대향하는 하측톱니우경사면부(131d)사이에 존재하는 뼈가루에 의해 톱니(121, 131)와 뼈사이의 접촉이 방해를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형외과용 톱날의 성형능률이 떨어진다.
The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정형외과용 톱날은 뼈 절단(뼈 성형)시 강성을 보강하여 톱날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하며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이 구비된 톱니부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이 배출이 용이하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톱날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orthopedic saw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oth portion provided with a saw blad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o prevent wear and deformation of the saw blade by reinforcing rigidity during bone cutting (bone forming) It is to provide an orthopedic saw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fragments cut by the reinforcing piece is guide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이러한 본 고안은 장방형상 단면을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영역에 톱니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바디부의 타측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허브를 가지고, 상기 고정허브를 통해 정형외과 수술장치의 척에 장착되는 정형외과용 톱날에 있어서, 상기 톱니부가 중심선을 그었을 때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을 형성한 톱니부와; 상기 톱날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톱날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tooth portion formed by zigzag arrangement of teeth in one longitudinal end reg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ixing hub extending from the other reg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rough the fixing hub. An orthopedic saw blade mounted to a chuck of an orthopedic surgical device, comprising: a saw tooth portion having a saw blad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symmetrical when the tooth portion draws a center line; It is achieved by an orthopedic saw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reinforcing piece integrally formed on the saw blade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saw blade.
상기 보강편과 보강편 사이에는 뼈조각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톱날면이 보강편의 외부면 보다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톱날에 의하여 달성된다.Between the reinforcing piece and the reinforcing piece is achieved by the orthopedic saw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w blade surface is formed lower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ec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bone fragments.
상기 보강편이 형성되어 있는 정면의 뒷면에는 보강편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보강편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의 뒷면에는 보강편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톱날에 의하여 달성된다.
The reinforcing piece is achieved by the orthopedic saw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piece is no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front 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iece is formed, and the reinforcing piece is not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back 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iece is form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정형외과용 톱날은 뼈 절단(뼈 성형)시 강성을 보강하여 톱날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하며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이 구비된 톱니부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이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Such orthopedic saw blades of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 rigidity during bone cutting (bone shaping) to prevent wear and deformation of the saw blades and bones cut by reinforcing piec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eeth having saw blades having a constant angle. It is a very useful design with the advantage that fragments are easy to drain.
도 1은 일반적인 정형외과용 톱날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종래 정형외과용 톱날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톱날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기술 요지인 톱니부의 확대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기술 요지인 톱니부를 확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 요지인 톱니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인 정형외과용 톱날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배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general orthopedic saw blad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orthopedic saw blad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w blad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 portion which is the technical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tooth, which is a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oth portion which is a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is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rthopedic saw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톱날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정형외과용 톱날(1)은 장방형상 단면을 갖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영역에 톱니(21)(22)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형성된 톱니부(20)와, 상기 바디부(10)의 타측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고정허브(30)를 가지고, 상기 고정허브(30)를 통해 정형외과 수술장치의 척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w blade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ccording to this, the
이때 상기 바디부(10)에는 절단된 뼈조각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통공(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10b)의 양쪽으로는 상기 절단된 뼈조각이 흐트러지지 않고 통공(10b)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뼈조각을 안내하는 뼈조각안내편(10a)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톱니부(20)에 중심선을 그었을 때 연속 반복 형성되는 톱날(21)(22)의 형상과 각도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날(21)(22)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21)(22)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As shown in FIG. 4, the shape and angle of the
한편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편(50)과 보강편(50) 사이에는 뼈조각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톱날면이 보강편(50)의 외부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는 정면의 뒷면에는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의 뒷면에는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구조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between the reinforcing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조각이 발생하게 되면 톱날(21)(22)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톱니부(20)에 중심선을 그었을 때 연속 반복 형성되는 톱날(21)(22)의 형상과 각도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톱날(21)(22)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21)(22)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50)과 보강편(50) 사이에 위치하는 톱날면이 보강편(50)의 외부면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어 마치 보강편(50)과 보강편(50) 사이가 골짜기와 같은 형태를 형성하기 때문에 톱날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배출되는 뼈조각은 톱니부(20)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된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ne fragments occu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4a to 4b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saw blade (21, 22) and when the center line is drawn to the saw blade (20) Shapes and angles of th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21)(22)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 도면에 굵게 표시된 ①면의 톱날면에 의해 뼈가 절단되며, 이때 절단된 뼈조각은 보강편(50)이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톱날(21)(22)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은 보강편(50) 하단부의 도면상 굵게 표시된 각도를 갖는 보강편(50) 하단부의 ㉠면에 걸려 안내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A, when the
한편 첨부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날(21)(22)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 도면에 굵게 표시된 ②면의 톱날면에 의해 뼈가 절단되며, 이때 절단된 뼈조각은 보강편(50)이 마름모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톱날(21)(22)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은 보강편(50) 하단부의 도면상 굵게 표시된 각도를 갖는 보강편(50) 하단부의 ㉡면에 걸려 안내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상기 바디부(10)에는 통공(10b)이 형성되어 있어 통공(10b)에 의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진다. 상기 절단된 뼈조각이 흐트러지지 않고 통공(10b)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은 뼈조각을 안내하는 뼈조각안내편(10a)에 의해서이다.The
한편 상기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는 정면의 뒷면에는 보강편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의 뒷면에는 보강편(50)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여 뼈 절단(뼈 성형)시 강성을 보강하여 톱날(21)(22)의 마모 및 변형을 방지하며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이 구비된 톱니부(20)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50)에 의해 절단된 뼈조각이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1 : 정형외과용 톱날 10 : 바디부
20 : 톱니부 21,22 : 톱니
30 : 고정허브 50 : 보강편1: Orthopedic saw blade 10: Body part
20:
30: fixed hub 50: reinforcing piece
Claims (5)
상기 톱니부에 가상을 중심선을 그었을 때 중심선을 중심으로 톱날의 형상과 각도가 대칭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갖는 톱날을 형성한 톱니부와;
상기 톱날과 같은 각도를 형성하며 톱날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톱날.
A body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tooth portion formed by zigzag arrangement of teeth in one longitudinal end reg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ixed hub extending from the other region of the body portion, orthopedic surgery apparatus through the fixing hub In the orthopedic saw blade mounted to the chuck of the
A tooth portion having a saw blad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such that the shape and angle of the saw blade are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line when the center line is drawn on the tooth portion;
An orthopedic saw bla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reinforcing pie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aw blade to form the same angle as the saw blade.
The orthopedic saw bla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aw blade surface is formed lower than an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iece so that bone fragments are easily discharged between the reinforcing piece and the reinforcing piece.
2. The orthopedic saw bla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no reinforcing piece is formed on the rear face of the front 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iece is formed, and no reinforcing piece is formed on the back face of the back 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piece is formed.
The orthopedic saw bla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piece has a rhombus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03854U KR20110009906U (en) | 2010-04-13 | 2010-04-13 | Orthopedic saw bla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00003854U KR20110009906U (en) | 2010-04-13 | 2010-04-13 | Orthopedic saw blad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10009906U true KR20110009906U (en) | 2011-10-19 |
Family
ID=728874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00003854U Ceased KR20110009906U (en) | 2010-04-13 | 2010-04-13 | Orthopedic saw blad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110009906U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204401A1 (en) * | 2015-06-18 | 2016-12-22 | 아이메디컴(주) | Surgical saw blade |
-
2010
- 2010-04-13 KR KR2020100003854U patent/KR20110009906U/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6204401A1 (en) * | 2015-06-18 | 2016-12-22 | 아이메디컴(주) | Surgical saw blad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799968B2 (en) | Saw blade for a machine tool | |
| US20120255417A1 (en) | Tool having predetermined break location | |
| EP3025660B1 (en) | Ultrasonic osteotome cutter head, and ultrasonic osteotome comprising same | |
| WO2009151958A3 (en) | Micro-saw blade for bone-cutting surgical saws | |
| EP3138519B1 (en) | Arthroscopic resection devices | |
| US20120230788A1 (en) | Saw tool for a machine tool | |
| US20100184000A1 (en) | Periodontal scaler | |
| CN103826549A (en) | Surgical sagittal saw and blade cartridge, the blade cartridge having reinforcing ribs integral with the blade bar | |
| US20130133501A1 (en) | Cutting element for oscillating power tool | |
| ATE484256T1 (en) | TOOTH ROOT CANAL FILE WITH ACTIVE AND PASSIVE CUTTING EDGES | |
| US20080312658A1 (en) | Bone-shaping tools | |
| US20100218655A1 (en) | Curved reciprocating saw blade for cutting circles, holes and/or arches | |
| US8814872B2 (en) | Double row keel cut saw blade | |
| KR20110009906U (en) | Orthopedic saw blade | |
| US20120021379A1 (en) | Periodontal scaler | |
| JP6431641B1 (en) | Osteotomy instrument | |
| WO2017111079A1 (en) | Dental root canal cutting tool | |
| US8826790B2 (en) | Saw blade | |
| KR20140059201A (en) | Saw blade | |
| WO1993001751A1 (en) | Saw blades | |
| KR200446835Y1 (en) | Dental Cutting Tips | |
| KR200353902Y1 (en) | Surgical Saw Blade | |
| TWI626101B (en) | Saw blade | |
| KR20110137717A (en) | Chamfering Cutter | |
| AU2014203251B2 (en) | A recip blad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413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8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