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00041003A -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 Google Patents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003A
KR20100041003A KR1020080099965A KR20080099965A KR20100041003A KR 20100041003 A KR20100041003 A KR 20100041003A KR 1020080099965 A KR1020080099965 A KR 1020080099965A KR 20080099965 A KR20080099965 A KR 20080099965A KR 20100041003 A KR20100041003 A KR 20100041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luster
communication path
pch
netw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웨어
강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웨어, 강석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웨어
Priority to KR102008009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003A/en
Publication of KR2010004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003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6Cluster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26Details of "hello" or keep-alive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04L45/245Link aggregation, e.g. trun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8Routing tree cal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디스조인트 노드 다중-경로 라우팅 프로토콜(wireless disjoint node multi-path routing protocol) 기술이 무선노드 오류에 따른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소스노드로부터 싱크노드까지 다중 경로를 찾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바인 트리(Vine Tree) 구조, 즉 나무 가지에 해당하는 부분에 무선 트렁크(Wireless Trunk)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무선 통신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Compared to the wireless disjoint node multi-path routing protocol, which seeks multiple paths from the source node to the sink node to reduce packet loss due to wireless node err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ne Tre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reliability is increased by constructing a network by arranging a wireless trunk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tree structure, that is, a tree branch.

또한 무선 트렁크는 주 백본 통신경로와 백업 백본 통신경로의 두 가지 백본 통신경로로 갖는다. 싱크노드는 트리의 루트에 해당되고 트리의 가지에 해당하는 부분이 클러스터 환경에서 무선 트렁크에 연결되며, 그 접속점은 주 백본 경로의 주 클러스터 헤드와 백업 백본 경로의 백업 클러스터 헤드를 둔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runk has two backbone communication paths, a primary backbone communication path and a backup backbone communication path. The sink node corresponds to the root of the tree and the branch of the tre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runk in the cluster environment, and its connection point has the primary cluster head of the primary backbone path and the backup cluster head of the backup backbone path.

특히, 본 발명은 클러스터링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의 위상을 관리한다. 최소화된 소스노드 집합이 클러스터 헤드에 의해 묶여지고 조정되며, 클러스터 헤드와 소스노드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슬레이브 장치로 간주되는 소스노드는 마스터 장치인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명령을 받기 전까지 저 전력 소모 모드로 놓이게 되고, 마스터 장치인 클러스터 헤드는 소스노드에서 읽은 값을 받는다. 이 기술의 특징은, 무선통신 클러스터링 네트워크가 전반적으로 넓은 영역 통신이 가능하지 않음을 극복하는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다수의 무선통신 클러스터링 네트워크 집합의 구성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topology of a clustering-based wireless network. The minimized set of source nodes is bound and coordinated by the cluster heads, and the cluster heads and source nodes operate based on the master / slave model. The source node, which is considered to be a slave device, is placed in a low power consumption mode until it receives a command from the cluster head, which is the master device, and the cluster head, which is the master device, receives the value read from the source node. A feature of this technology is that i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 large number of wireless clustering network sets that cover a wide range of overcoming the overall lack of wide area communication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네트워크 오류, 특히 클러스터 헤드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두 개의 클러스터 헤드를 갖는 네트워크 클러스터링을 사용 한다, 두개의 클러스터 헤드는 주 클러스터 헤드로 불리는 활성화된 클러스터 헤드와, 주 클러스터 헤드에 오류가 발생되면 활성화되는 백업 클러스터 헤드다. 한 클러스터 내의 소스노드들은 주 클러스터 헤드로 연결이 설정 되고 백업 클러스터 헤드로 연결되는 예비 연결이 설정 된다. 싱크노드를 루트로 갖는 주 백본 트리는 일련의 주 클러스터 헤드의 각 연결로 구성되며, 백업 백본 트리도 이와 같이 구성된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ystem uses network clustering having two cluster heads to overcome network errors, in particular, the cluster head error. The two cluster heads are an active cluster head called a main cluster head, and a main cluster head. The backup cluster head is activated when an error occurs. Source nodes within a cluster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cluster head and a spare connection to the backup cluster head is established. The primary backbone tree with the sink node as the root consists of each connection of a series of primary cluster heads, and so is the backup backbone tree.

본 발명은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클러스터 내에서 무선 노드를 관리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을 적용하기 때문에 히든 터미널(Hidden Terminal)과 익스포우즈드 터미널(Exposed Terminal) 문제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며 소스노드와 클러스터 헤드 양쪽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오류조치와 우선순의 통신경로 선정이 네트워크의 복잡도와 크기에 따라 기하급수로 증가되는 네트워크 혼잡도를 대폭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Compared with the existing technology,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master / slave model for managing wireless nodes in a cluster, thereby reducing the influence of hidden terminal and exposed terminal problems, It helps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n both sides of the cluster head. Especially, error correction and priority path selection greatly reduces the network congestion that increases due to the complexity and size of the network.

Description

바인 트리 형태를 갖는 이중 경로 클러스터링 트리 무선 네트워크와 그 구성 방법{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본 발명 기술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클러스터 기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결함성 관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ireless data networks, and particularly includes fault tolerance management to improve communication reliability of cluster-base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무선통신 네트워크는 농업 환경 모니터링과 일기예보 분야 등 많은 응용프로그램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는 영향범위 안에 배치된 여러 개의 무선노드들에 의해 모아지며, 무선노드 데이터는 처리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다수의 무선노드들을 사용할 때, 클러스터링은 무선노드의 구성과 네트워크의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좋은 방법이다. 무선노드 클러스터링 구성이 의미하는 바는 클러스터 헤드에 의해 관리 되어지는 무선노드들의 집합을 최소화하는 것을 말한다. 클러스터 헤드는 무선노드의 활성화 상태를 컨트롤하고, 의도하는 바에 따라 주기적으로 값을 읽어드리는 책임을 갖는다. 클러스터 헤드는 무선노드들로부터 모여진 값들을 처리하기 위해 멀리 있는 싱크노드로 전송한다.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re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fficiency of many applications, such as agricultural environment monitoring and weather forecasting. In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ata is gathered by a number of wireless nodes plac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and the wireless node data is sent to a processing device. When using multiple wireless nodes, clustering is a good way to facilitat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node and management of the network. Wireless node clustering configuration means minimizing the set of wireless nodes managed by the cluster head. The cluster head is responsible for controlling the activation state of the wireless node and reading the value periodically as intended. The cluster head transmits the values gathered from the wireless nodes to remote sink nodes for processing.

클러스터링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헤드에 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클러스터 헤드 안의 모든 무선노드도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네트워크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클러스터 헤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라면 이는 더 큰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 경우, 싱크노드를 포함하지 않는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모두 오류로 간주된다.In a clustering network, if a cluster head fails, all radio nodes in that cluster head are also considered inoperative. If the cluster head in the middle of the network fails, this causes a bigger problem. In this case, the rest of the network that does not contain the sync node is considered to be an error.

무선 클러스터 네트워크에서 무선노드 오류 문제를 해결할 몇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소스노드로부터 싱크노드로의 여분의 경로를 만드는 것이다. 그 후 소스노드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혹은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다중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앞서 말한 모델이 적용된 일반적인 기술로 디스조인트 노드 다중-경로 라우팅 프로토콜(disjoint node multi-path routing protocol) 있다. 그러나 이 다중경로 라우팅 모델은 소스노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많은 전원을 필요로 하며 또한 프로토콜 구성이 보다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다른 기술은 백업 경로를 만들고 주경로에 문제가 생기기 전까지 저장해 두는 것이다. 백업 경로는 주경로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주경로의 역할을 대신한다. 이 기술은 특정 응용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신뢰성 정도에 따라 적용된다. There are several ways to solve the wireless node failure problem in a wireless cluster network, one of which is to create an extra path from the source node to the sink node. Then copy the data from the source node or split it into pieces and send them through multiple paths. A common technique to which the aforementioned model is applied is the disjoint node multi-path routing protocol . However, this multipath routing model requires a lot of power to process data at the source node and also makes the protocol configuration more complicated. Another technique is to create a backup path and save it until the main path has a problem. The backup path takes over the role of the main path when the main path fails. This techniqu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iability required by a particular application.

본 발명은 여러 무선 노드 클러스터들을 결합하는데 있어 "이중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의 이중경로 클러스터링 트리(DPCT: Dual Path Clustering Tree)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DPCT 네트워크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선택적인 보조 트리로 구성되며, 이 보조 트리는 응용프로그램 요청에 대한 신뢰성 및 내결함성을 보장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오류로부터 주 트리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보다 높은 통신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오류 복구 방법이 계획 되어져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관리와 구성을 단순화시킴으로 인해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path clustering tree (DPCT) wireless network in the form of a Vine Tree based on a "double tree" structure in combining several wireless node clusters. The DPCT network consists of one or more optional auxiliary trees, which protect the main tree from network node failures by ensuring reliability and fault tolerance for application request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rror recovery method is planned to secure higher communication reliability,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by simplifying management and configuration of a wireless network.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2가지 방법(단계 98,단계99)이 있다. 각각의 클러스터 헤드는 킵-얼라이브 메시지(Keep-Alive message)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헤드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클러스터 헤드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트리 오류조치 매커니즘은 클러스터 헤드에 백본 경로를 맞추기 위해 동작 한다. 매커니즘의 동작에 관해서는 도 5a, 도 5b, 도 5c에서 설명하고 있다. 네트워크 오류 정보는 수정되어지거나 표면적으로 활성화된 트리의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싱크 노드로 보내진다. There are two methods (steps 98 and 99) to correct errors in the event of a network failure. Each cluster head keep-alive message by using the (Keep-Alive message) to check whether there is a cluster head is operating. If the cluster head is not working properly, the tree failover mechanism works to match the backbone path to the cluster head. The operation of the mechanism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5B and 5C. Network error information is sent to sink nodes in the database of modified or superficially active trees.

본 발명을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한 실례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pplication program is as follows.

a) "농수로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수위측정 센서가 장착된 여러 개의 클러스터 헤드를 포함하는 무선 트렁크(Wireless Trunk)는 수위 정보를 모으고 홉-바이-홉(hop-by-hop) 방식을 통해 싱크노드,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을 거쳐 최종적으로 처리 센터(Processing Center)로 수위를 전달하기 위해 긴 거리에 걸쳐 배치된다. the sink node through the hops (hop-by-hop) method - a) the "nongsuro Monitoring System", a radio trunk that contains multiple cluster head with a water level sensor mounted (Wireless Trunk) collect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hop-by It is then placed over a long distance to deliver the water level through the Remote Terminal Unit and finally to the Processing Center .

b) "무선 일기 예보 시스템"에서, 무선 트렁크는 할당된 환경 센서로부터 날씨정보를 수집하는 여러 개의 클러스터 헤드를 포함한다. 본 "무선 일기 예보 시스템"은 일기 예보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적은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으로 기존의 유선 일기 예보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b) In a "wireless weather forecast system", a wireless trunk includes several cluster heads that collect weather information from assigned environmental sensors. The "wireless weather forecast system" can replace the existing wired weather forecast system with low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while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the weather forecast system.

c) "전력/산업 아이티(IT) 시스템"에서, 무선 트렁크는 여러 개의 무선 게이트웨이(클러스터 헤드로 생각해도 무방)를 포함한다. 각 게이트웨이는 전력 IT 시스템 혹은 산업 IT 시스템의 장비들을 관리할 것이다. 무선 기술의 지원을 통해, 본 시스템은 슬레이브 장치를 위한 보다 나은 이동성을 제공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킨다.c) In a "power / industrial IT system", a wireless trunk includes several wireless gateways (think cluster heads). Each gateway will manage the equipment of a power IT system or an industrial IT system. With the support of wireless technology, the system provides better mobility for slave devices and reduc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도 1은 이중경로 클러스터링 트리(DPCT : Dual Path Clustering Tree) 네트워크의 시스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에서 각각의 센싱 디바이스(100)는 클러스터(40, 50, 60)로 그룹을 이루고 있으며 단거리 통신 능력만 가지고 있다. 그리고 온도, 습도, 압력, 기타 등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모든 클러스터(40, 50, 60)는 클러스터 내의 소스노드를 관리하고 클러스터 내의 모든 소스노드를 위한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는 주 클러스터 헤드(PCH : Primary Cluster Head 15, 25, 35)를 가지고 있다. 1 illustrates a system structure of a dual path clustering tree ( DPCT ) network. In this structure, each sensing device 100 is grouped into clusters 40, 50, and 60, and has only short-range communication capability. I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pressure, and more. Every cluster 40, 50, 60 has a primary cluster head (PCH: Primary Cluster Head 15, 25, 35) that manages source nodes in the cluster and includes routing tables for all source nodes in the cluster.

싱크노드(75)로부터 두 개의 클러스터 헤드(35, 25)를 지나 클러스터(15)로 통하는 경로를 주 백본 경로라고 한다.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PCH(15, 25, 35)는 자신의 백업 클러스터 헤드(BCH: Backup Cluster Head 45, 55, 65)와 각각 짝이 되게 연결해야 한다. 소스노드(100)는 자신의 PCH(15)와 영구적인 연결을 하고 자신의 BCH(45)와는 프리-셋업(pre-setup) 연결을 한다. 도 1에서 싱크노드(75)로 향하는 백업 백본 경로는 PCH(45), PCH(55), PCH(65)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호간에 동작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제작된 하드웨어는 자신들의 무선네트워크에서 주 클러스터 헤드와 백업 클러스터 헤드 모두 불규칙 수신 모드(promiscuous receive mode)로의 동작이 가능하다. The path from the sink node 75 through the two cluster heads 35 and 25 to the cluster 15 is called the main backbone path.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network, each PCH 15, 25, 35 should be paired with its own backup cluster head (BCH: Backup Cluster Head 45, 55, 65). The source node 100 has a permanent connection with its PCH 15 and a pre-setup connection with its BCH 45. The backup backbone path to sink node 75 in FIG. 1 is made by PCH 45, PCH 55, and PCH 65. Hardware designed to detect each other's operation can operate in promiscuous receive mode for both primary and backup cluster heads in their wireless network.

도 2를 참조해보면 PCH(15)는 액티브 모드나 프로세싱 유닛(19)을 중지시켜 파워다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더구나, 휴지 모드(idle mode)인 디바이스는 전원을 끌 수 있다. 전송 전원은 요구되는 범위에 따라 프로그램 할 수 있고 클러스터헤드(15)의 무선 송신기(18)와 무선 수신기(17)에 따라 독립적으로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각 클러스터 헤드(15)에 내장된 클럭(21)은 싱크 노드(75)에 위치한 클럭과 동기를 맞춘다. 클럭 동기화는 싱크 노드(75)에 정확한 소스 클럭을 넣어주고 동기화 메시지 교환을 통해 가능하다. 테이블(20)은 두 개의 테이블로 구성된다. 포워딩 테이블은 클러스터 헤드(40)내의 센싱 디바이스(100)를 관리하는데 사용되고, 라우팅 테이블은 주 백본 경로로 통신에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CH 15 may operate in the power down mode by stopping the active mode or the processing unit 19. Moreover, devices in idle mode can be powered off. The transmit power can be programmed according to the required range and can be powered on or off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radio transmitter 18 and the radio receiver 17 of the clusterhead 15. The clock 21 embedded in each cluster head 15 synchronizes with the clock located at the sink node 75. Clock synchronization is possible by inserting the correct source clock into the sink node 75 and exchanging synchronization messages. The table 20 consists of two tables. The forwarding table is used to manage the sensing device 100 in the cluster head 40, and the routing table is us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primary backbone path.

무선 통신 노드들을 클러스터링 하는 것은 무선 노드를 구성하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데 있어 클러스터 헤드의 역할이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무선 노드를 구성한다는 것은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보내진 신호를 처리해야 되는 무선 노드들의 최소 셋을 선택하는 것이다. 무선 노드 구성은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한 주기상 보내지는 데이터에 따라 이루어진다. Clustering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means increasing the role of the cluster head in configuring the wireless node and managing the network. Configuring a wireless node is to select the minimum set of wireless nodes that need to monit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rocess the signal sent. Wireless node configuration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tion and the data sent in one cycle.

도 3은 클러스터 헤드의 센싱 디바이스를 관리하기위해 사용되는 포워딩 테이블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센서 아이디 필드(Sensor ID field)와 센서 어드레스 필드(Sensor Address field)는 센싱 디바이스의 식별자(MAC address)와 센싱 디바이스가 클러스터에 처음 붙을 때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할당 받은 주소(16bit address) 목록이다. 데이터 길이 필드(Data Length field)는 센싱 디바이스의 길이를 말하며 온도는 8 비트(bit), 습도는 16 비트(bit)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태 필드(Status field)는 센싱 디바이스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만약 센싱 디바이스가 클러스터 헤드와 연결되었다면 True 값을 가지고,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 False값을 갖는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orwarding table used to manage a sensing device of a cluster head. The Sensor ID field and the Sensor Address field are a list of 16-bit addresses allocated from the cluster head when the sens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luster ( MAC address ) and the sensing device first attaches to the cluster. A data length field (Data Length field) is (bit) means the length of the sensing device has an 8-bit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have a length of 16 bits (bit). The Status field shows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nsing device. If the sen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cluster head, it has a value of True. If not, it has a value of False.

도 4a는 클러스터 헤드(25)가 자신의 센싱 디바이스에서 싱크 노드(75)로 기록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소스 아이디 필드(Source ID field)와 소스 어드레스 필드(Source Address field)는 DPCT 네트워크 내의 싱크 노드(75)의 식별자와 주소를 가리킨다. 도 1을 보면 하나의 싱크 노드(75)만이 존재하지만, DPCT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싱크 노드(75)를 허용한다. 넥스트 홉 아이디 필드(Next Hop ID field)와 넥스트 홉 어드레스 필드(Next Hop Address field)는 싱크 노드(75)로 가는 경로 중에서 넥스트 홉(next hop) 클러스터 헤드의 식별자와 주소를 가리킨다. 클러스터 헤드(25)는 싱크 노드(75)로 향하는 경로 중에서 두 개의 넥스트 홉 클러스터 헤드(35)와 (65)를 갖는다. 우선순위 필드(Priority field)는 0과 1의 두 가지 값을 갖는다. 만약 넥스트 홉 클러스터 헤드가 주 클러스터 헤드이면 0 값을 가지며 백업 클러스터헤드이면 1 값을 갖는다. 클러스터 헤드(35)는 주 클러스터 헤드이고 상응하는 우선순위 값은 0을 갖는다. 클러스터 헤드(65)는 백업 클러스터 헤드와 상응하는 우선순위 값은 1이 된다. 이 라우팅 테이블 구조는 주 클러스터헤드(15, 35)의 라우팅 테이블 구조와 유사하다.4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outing table that the cluster head 25 uses to transfer records from its sensing device to the sink node 75. The Source ID field and the Source Address field indicate the identifier and address of the sink node 75 in the DPCT network. 1, only one sink node 75 exists, but the DPCT network allows more than one sink node 75. The Next Hop ID field and the Next Hop Address field indicate the identifier and address of the next hop cluster head in the path to the sink node 75. The cluster head 25 has two next hop cluster heads 35 and 65 in its path to the sink node 75. Priority Field (Priority field) has two values, 0 and 1. It has a value of 0 if the next hop cluster head is the primary cluster head and a value of 1 if it is the backup cluster head. The cluster head 35 is the main cluster head and has a corresponding priority value of zero. The cluster head 65 has a priority value corresponding to 1 for the backup cluster head. This routing table structure is similar to the routing table structure of the main cluster heads 15 and 35.

도 4b는 백업 클러스터헤드(55)가 백업 백본 경로를 위해 사용하는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싱크 노드(75)는 여전히 클러스터 헤드(55)의 목적지 노드이고, 클러스터 헤드(55)는 두 개의 넥스트 홉 클러스터헤드, 즉 백업 클러스터 헤드(65)와 주 클러스터헤드(35)를 말한다. 백업 클러스터 헤드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만약 넥스트 홉 클러스터헤드가 백업 타입이면 우선순위 값은 0이고, 그 반대이면 1이다. 클러스터 헤드는 높은 우선순위를 넥스트 홉으로 선택하고 높은 우선순위의 넥스트 홉이 실패했을 때, 낮은 우선순위를 넥스트 홉으로 사용한다. 라우팅 테이블은 다른 백업 클러스터 헤드(45, 65)에 적용할 수 없다.4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outing table that backup clusterhead 55 uses for a backup backbone path. The sink node 75 is still the destination node of the cluster head 55, and the cluster head 55 refers to two next hop clusterheads, namely the backup cluster head 65 and the primary clusterhead 35. In the routing table of the backup cluster head, the priority value is 0 if the next hop clusterhead is the backup type, and 1 otherwise. The cluster head selects the high priority as the next hop and uses the low priority as the next hop when a high priority next hop fails. The routing table is not applicable to the other backup cluster heads 45 and 65.

도 5a는 싱글 모드(single mode)에서 노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구체적나타낸 것이다. 주 노드(25)가 문제가 발생하여 동작하지 않을 때, 노드(55)는 중추(heartbeat) 패킷의 손실을 근거로 자신의 주 노드(25)의 이상 유무를 감지한다. 또한 노드(55)는 통지(Notification) 메시지를 싱크 노드(75)에게 보낸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싱크 노드(75)는 백업 클러스터 헤드(45, 55, 65)에 의해 형성된 백업 백본 경로를 사용한다. 백업 백본 경로는 주 백본 경로가 복구될 때까지 사용된다.5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node does not operate in a single mode . When the main node 25 does not operate due to a problem, the node 55 detects an abnormality of its own main node 25 based on the loss of the heartbeat packet. Node 55 also sends a notification message to sink node 75. Receiving this message, the sink node 75 uses the backup backbone path formed by the backup cluster heads 45, 55 and 65. The backup backbone path is used until the primary backbone path is restored.

도 5b는 혼합 모드(mixed mode)에서 노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주 클러스터 헤드(25)가 동작하지 않을 때, 백업 클러스터(65) 역시 동작하지 않는 경우 백업 백본 경로는 주 백본 경로를 대신할 수 없다. 혼합 모드에서 백업 클러스터 헤드 (55)는 도 4(b)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의 낮은 우선순위의 경로(42)를 사용해서 주 클러스터 헤드 (35)와 연결된다. 이제 주 클러스터 헤드 (15), (25)의 백업 클러스터 헤드인 클러스터 헤드 (45), (55)의 경로가 사용되며 이는 혼합 경로(mixed path)이다. 클러스터 헤드 (15)와 (55) 사이의 링크를 왜 사용할 수 없는지 생각할 수 있는데, 이유는 두 개의 백업 클러스터인 (45)와 (55)사이의 링크가 주 클러스터 헤드인 (15)와 백업 클러스터 헤드 (55)사이의 링크보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FIG. 5B illustrates the case in which the node does not operate in the mixed mode . When the primary cluster head 25 does not operate, the backup backbone path may not replace the primary backbone path if the backup cluster 65 also does not operate. In mixed mode backup cluster head 55 is connected to primary cluster head 35 using low priority path 42 of the routing table in FIG. 4 (b). Now the main cluster head 15, the path of the backup cluster head in the cluster head 45, 55 is used for 25. This mixing path (mixed path). One can think of why the link between cluster heads 15 and 55 is unavailable, because the link between two backup clusters, 45 and 55, is the primary cluster head (15) and the backup cluster head. This is because it has higher priority than the link between 55.

도 5c는 백업 클러스터헤드 (65)와 주 클러스터 헤드 (25)가 동작하지 않을 때, 백업 클러스터 헤드 (45) 역시 동작하지 않을 경우를 나타낸 도이다. 이러한 경우 주 클러스터 헤드 (15)와 백업 클러스터 헤드 (35) 사이의 경로가 사용된다. 소스노드는 읽어 들인 정보를 자신의 클러스터 헤드에게 보내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받는다. 클러스터 헤드는 자신에게 속한 전체 센싱 디바이스들의 모든 정보를 수집한 뒤, 번갈아 가며 홉-바이-홉(hop-by-hop)으로 싱크노드(75)에게 자신의 모든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싱크노드는 모든 클러스터 헤드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 석하는 프로세싱 센터로 보내기도 한다.5C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backup cluster head 45 also does not operate when the backup cluster head 65 and the main cluster head 25 do not operate. In this case the path between the primary cluster head 15 and the backup cluster head 35 is used. The source node is instructed to send the read information to its cluster head. The cluster head collects all information of all the sensing devices belonging to the cluster head, and then alternately transmits all its data to the sink node 75 in a hop-by-hop manner. The sink node then sends it to a processing center that processes and analyzes data from all cluster heads.

도 6을 보면, 소스노드(100)는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받은 명령에 따라 액티브 모드와 센싱 유닛(101)과 프로세싱 유닛(104)의 전원이 차단되는 전원다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각 소스노드(100)의 무선 송신기(103)와 무선 수신기(102)는 독립적으로 온/오프(on/off)가 가능하다. 내장된 클럭(106)은 클러스터 헤드의 내장된 클럭(21)과 동기를 맞추게 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source node 100 may operate in an active mode and a power down mode in which power of the sensing unit 101 and the processing unit 104 is cut off according to a command received from the cluster head. In addition, the radio transmitter 103 and the radio receiver 102 of each source node 100 may be independently turned on / off. The embedded clock 106 is synchronized with the embedded clock 21 of the cluster head.

미디엄 액세스 컨트롤(MAC:Medium Access Control) 메커니즘은 필요하지 않을 때 무선(소스)노드가 선택적으로 노드 내의 수신기의 전원을 끄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클러스터 헤드는 무선노드들의 무선 수신기와 송신기를 켜고 끄기 위해 시나리오를 수정한다. 게다가 송수신을 통제하는 회로는 네트워킹에 있는 전파 장애를 감소시키고 무선노드가 낮은 전송 에너지를 사용하여 신뢰성 있게 통신하는 것을 허용해 오차율을 감소시킨다.Medium Access Control (MAC) mechanisms allow wireless (source) nodes to selectively power down receivers in nodes when not needed. The cluster head modifies the scenario to turn the wireless nodes' wireless receivers and transmitters on and off. In addition, the circuitry that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reduces error rates by reducing radio interference in networking and allowing wireless nodes to communicate reliably using low transmission energy.

도 7a는 새로운 소스(무선)노드의 클러스터로 결합하는 메시지 교환 모델을 나타낸 것이다. 소스노드는 우선 가용한 클러스터 헤드를 찾기 위해 탐지 신호(51)를 뿌린다. 가용한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탐지 응답(52)을 받으면, 새로운 소스노드는 클러스터에 결합하기 위해 클러스터 헤드로 결합 요청(53)을 보낼 것이다. 새로운 소스노드로부터 결합 요청을 받으면, 클러스터 헤드는 포워딩 테이블을 체크하여 이 소스노드가 이전에 클러스터에 결합되었던 오래된 엔트리가 있는지 찾는다. 새로운 노드라면, 클러스터 헤드는 새 소스노드를 위해 새로운 엔트리를 추가하고 무선노드로 결합응답 메시지(54)를 송신한다. Figure 7a shows a message exchange model that combines into a cluster of new source (wireless) nodes. The source node first sprays a detection signal 51 to find available cluster heads. Upon receiving a detection response 52 from an available cluster head, the new source node will send a join request 53 to the cluster head to join the cluster. On receiving a join request from a new source node, the cluster head checks the forwarding table to see if there is an old entry that this source node has previously joined to the cluster. If it is a new node, the cluster head adds a new entry for the new source node and sends a join response message 54 to the wireless node.

도 7b는 결합응답이 포함된 결합상태를 보여준다. 결합이 클러스터 헤드로부터 수락되면, 클러스터 헤드는 결합성공(Association Successful) 신호(56)로 응답한다. 결합이 클러스터 헤드의 용량제한으로 인해 거절되면, 클러스터 헤드 용량제한(CH at capacity) 응답(57)을 보낸다. 결합이 클러스터 헤드의 다른 조건에 의해 승인되지 못하면, 클러스터 헤드는 클러스터 헤드 액세스 거부(CH access denied) 신호(58)로 응답한다.7B shows a coupling state in which a coupling response is included. If the association is accepted from the cluster head, the cluster head responds with an Association Successful signal 56. If the join is rejected due to the capacity limitation of the cluster head, a cluster head capacity response ( CH at capacity) response 57 is sent. If the join is not accepted by other conditions of the cluster head, the cluster head responds with a cluster head access denied signal 58.

한 무선노드는 클러스터 헤드와 두 가지의 연결을 갖는다. 하나는 PCH와의 연결이고 다른 하나는 BCH와의 연결이다. BCH와의 연결은 프리셋업 연결(pre-setup connection)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BCH가 백업 상태에 있고 PCH가 정상 상태일 때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선 노드 노드의 관점에서 보면 클러스터 헤드는 하나가 있을 뿐인데, 이는 PCH와 BCH가 같은 아이디(ID)와 주소를 사용하기 때문이다.One wireless node has two connections with the cluster head. One is the connection with the PCH and the other is the connection with the BCH. The connection with the BCH is called a pre-setup connection because it does not work when the BCH is in backup and PCH is in a normal state.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a wireless node node, there is only one cluster head, because PCH and BCH use the same ID and address.

도 8을 보면, 본 발명은 10단계의 과정으로 DPCT를 구축하고 관리됨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싱크노드를 배치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단계 91) 트리의 모든 정보는 싱크노드에 저장되며 전체 트리의 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의 새로운 클러스터가 설치되었을 때 추가될 것이다. 다음 단계로, 각 클러스터들의 위치를 결정하고(단계92) 그 후 오류조치 클러스터들을 각 클러스터에 배치시킨다. (단계93)Referring to FIG. 8,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s and manages a DPCT in a ten step process. Building a network begins with deploying the sink node (step 91). All information in the tree is stored on the sink node and the entire tree database will be added when one new cluster is installed. The next step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each cluster (step 92) and then place the failover clusters in each cluster. (Step 93)

클러스터 헤드들의 배치가 완료되면, 일련된 클러스터들 각각의 클러스터 헤드들 간에 데이터경로를 설정한다. 데이터 경로는 일련된 두 주 클러스터 헤드 간, 혹은 일련된 백업 클러스터 헤드 간의 높은 우선순위 경로와 일련된 두 클러스터들의 하나의 주 클러스터 헤드와 하나의 백업 클러스터 헤드 간 낮은 우선순위를 포함한다. 각 클러스터에 무선 노드 노드들을 배치하는 것이 다음 단계이다. (단계 95) 각 클러스터의 소스노드들의 수는 최소한의 셋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같은 기능을 가진 두 개의 소스노드를 가진 클러스터가 없도록 하기 위해 소스노드의 결합 처리를 조절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스노드들이 각 클러스터에 설치되고 난 후, 클러스터는 각 소스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해 타임 슬롯(time-slot)을 설정한다. 타임 슬롯을 설정함으로 클러스터와 무선 노드들 사이의 채널 경쟁(channel contention)을 최소화 하고 네트워크의 전파 장애를 최소화 할 것이다. 클러스터 헤드의 무선 노드 타임 슬롯으로부터 명령을 받은 후 무선 노드는 주변정보를 얻고 그 정보를 무선 노드의 클러스터 헤드에 전송 한다. Once the placement of the cluster heads is complete, a datapath is established between the cluster heads of each of the series of clusters. The data path includes a high priority path between a series of two primary cluster heads, or between a series of backup cluster heads and a low priority between one primary cluster head and one backup cluster head of two series of clusters. Deploying wireless node nodes in each cluster is the next step. (Step 95) The number of source nodes in each cluster is at least three. This means that we must adjust the concatenation of the source nodes so that there are no clusters with two source nodes with the same functionality. After the source nodes are installed in each cluster, the cluster establishes a time-slot to communicate with each source node. Setting time slots will minimize channel contention between clusters and wireless nodes and minimize network propagation disturbances. After receiving a command from the wireless node time slot of the cluster head, the wireless node obtains the peripheral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luster head of the wireless node.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클러스터 그룹들을 포함한 분산 무선 노드 네트워크 구조이다.         Figure 1 illustrates a specific portion of the invention and is a distributed wireless node network architecture including cluster groups.

도 2는 도 1의 무선 네트워크에 적합한 대표적인 클러스터 헤드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cluster head suitable for the wireless network of FIG.

도 3은 클러스터 헤드가 자신의 소스노드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워딩 테이블(Forwarding Table)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3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forwarding table used by a cluster head to manage its source nodes.

도 4a는 도 1의 시나리오를 위해 주 클러스터 헤드에 사용되는 주 백본 경로를 위한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4A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outing table for the primary backbone path used in the primary cluster head for the scenario of FIG. 1.

도 4b는 도 1의 시나리오를 위해 백업 클러스터 헤드에 사용되는 백업 백본 경로를 위한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4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routing table for the backup backbone path used in the backup cluster head for the scenario of FIG. 1.

도 5a는 특정 클러스터가 주 백본 경로의 실패로 문제가 발생하여 백업 백본 경로가 사용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FIG. 5A shows a case where a specific cluster suffers from failure of the primary backbone path and thus the backup backbone path is used.

도 5b는 특정 클러스터들의 문제발생으로 주 백본 경로 와 백업 백본 경로 모두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보여준다.       FIG. 5B shows a case in which both the primary backbone path and the backup backbone path cannot be used due to a problem of specific clusters.

도 5c는 다른 특정 클러스터의 문제발생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류조치 매커니즘을 보여준다.       Fig. 5C shows the error correc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plaining the problem occurrence of another specific cluster in detail.

도 6은 도 1의 트리 네트워크에 적합한 전형적인 소스노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6 is a block diagram of an exemplary source node suitable for the tree network of FIG.

도 7a는 무선 통신노드의 클러스터에서 사용되는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 다.       7A illustrates a process used in a cluster of wireless communication nodes.

도 7b는 클러스터 헤드에 의해 만들어진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응답을 하기 위해 요약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7B is a summary illustrating the coupling state created by the cluster head and is summarized for response.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이중경로 클러스터링 트리(DPCT : Dual Path Clustering Tree) 네트워크를 전개하기 위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for developing a dual path clustering tree ( DPCT )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트리 구조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유지보수를 단순화하고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 방법인 도 1과 같이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that simplifies configuration and maintenan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s high sta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a tree structure. (a) 트리 루트에 해당하는 싱크노드(75)가 전체 트리의 모든 정보를 수집 및 저장하고,        (a) the sink node 75 corresponding to the tree root collects and stores all the information of the entire tree, (b) 싱크노드(75)에서 무선노드로 뻗어나가는 무선통신 경로는 프라이머리 클러스터 헤드(PCH : Primary Cluster Head 15, 25, 35)를 경유하는 통신경로와 백업 클러스터 헤드(BCH : Backup Cluster Head 45, 55, 65)를 경유하는 통신경로로 구성하고,       (b)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th extending from the sink node 75 to the wireless node includes a communication path via a primary cluster head (PCH: Primary Cluster Head 15, 25, 35) and a backup cluster head (BCH: Backup Cluster Head 45). , 55, 65), and (c) PCH들은 클러스터(40)의 무선노드(100)과 같은 무선노드들의 데이터를 싱크노드(75)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c) PCHs serve to relay data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nodes such as the wireless node 100 of the cluster 40 to the sink node 75, (d) BCH는 BCH에 대응되는 PCH에서 고장이 발생되면 PCH 대신 동작하도록 구성하며,       (d) The BCH is configured to operate in place of the PCH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CH corresponding to the BCH. (e) PCH와 BCH 쌍은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를 이용해 서로 활성상태를 체크하며,       (e) PCH and BCH pairs check each other's active state using Keep-Alive messages, (f) 클러스터(40)과 클러스터(50)간의 통신에서 통신경로 사용은        (f) The use of the communication path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cluster 40 and the cluster 50 (i) 클러스터(40)의 PCH(15)와 클러스터(50)의 PCH(25) 간 무선 주 통신경로(31)가 사용되다가,           (i) The wireless main communication path 31 between the PCH 15 of the cluster 40 and the PCH 25 of the cluster 50 is used, (ii) 무선 통신경로가 차단되면 클러스터(40)의 BCH(45)와 클러스터(50) 의 BCH(55) 간 무선 보조 통신경로(30)가 대신 사용되고,          (ii)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th is blocked, the wireless auxiliary communication path 30 between the BCH 45 of the cluster 40 and the BCH 55 of the cluster 50 is used instead, (iii) 보조 통신경로(50)를 사용 중에 주 통신경로(31)가 복구되면 주 통신경로(31)가 사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트리구조 무선 네트워크에서 주 통신경로(31)에 오류가 발생되어도 보조 통신경로(30)로 통신이 되고 무선노드들은 PCH의 슬레이브 장치로 구동되고 PCH는 무선노드들의 마스터 장치로 구동되기 때문에 다중 무선통신 경로를 갖는 메시(Mesh)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히든 터미널(hidden Terminal) 과 익스포우즈드 터미널(exposed terminal) 영향에 따른 통신 실패율을 대폭 개선하고 라우팅 경로가 극히 단순화되어 통신경로관리가 쉽고 네트워크 구축비용과 관리비용을 대폭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를 갖는 이중 경로 클러스터링 트리 (DPCT : Dual Path Clustering Tree) 무선 네트워크.(iii) If the main communication path 31 is restored while the auxiliary communication path 50 is in use, the main communication path 31 is used, so that an error occurs in the main communication path 31 in the tree-structured wireless network. The hidden terminal generated in the mesh network hav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aths because th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auxiliary communication path 30 and the wireless nodes are driven by the slave device of the PCH and the PCH is driven by the master device of the wireless nodes. Vine Tree, which greatly improves the communication failure rat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erminal and the exposed terminal and greatly simplifies the routing path, making it easy to manage the communication path and greatly reducing the network construction cost and management cost. Dual Path Clustering Tree (DPCT) wireless network. 청구항 1에 있어서, 클러스터(40)에 위치한 무선노드(100)가 싱크노드(75)에 전달 할 데이터를, PCH(15) 또는 BCH(45)를 통신경로로 경유하여 전달하는데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node 100 located in the cluster 40 transmits data to be delivered to the sink node 75 via the PCH 15 or the BCH 45 via a communication path. (i) 클러스터(40) 내에 있는 PCH(15)와 BCH(45)가 같은 네트워크 ID를 갖게 하여 무선노드(100)의 관점에서는 통신경로는 무선노드가 PCH와 연결되는 하나의 무선 통신경로만 존재하며,          (i) Since the PCH 15 and the BCH 45 in the cluster 40 have the same network I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ireless node 100, there is only one wireless communication path to which the wireless node is connected to the PCH. , (ii) PCH(15)와 BCH(45)의 관점에서 통신경로는 무선노드(100)에서 PCH(15)로의 무선 통신경로(36)와 무선노드(100)에서 BCH(45)로의 무선 통신경로(37)가 존재하며,           (ii)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CH 15 and the BCH 45 is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th 36 from the wireless node 100 to the PCH 15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path from the wireless node 100 to the BCH 45. (37) exists, (iii) 무선노드(100)는 PCH(15)와 BCH(45)에 대하여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고,           (iii) the wireless node 100 operates as a slave device with respect to the PCH 15 and the BCH 45, (iv) 클러스터 내의 각 무선노드들은 PCH와 연결될 때 PCH로부터 고정된 네트워크 주소 값을 받게 하여 연결 실패를 대폭 줄임으로써 클러스터링 관리를 단순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를 갖는 DPCT 무선 네트워크.           (iv) DPCT radios in the form of a Vine Tree that each of the wireless nodes in the cluster receive a fixed network address value from the PCH when connected to the PCH, greatly reducing the connection failure. network.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주 통신경로(31)와 보조 통신경로(30)에 추가하여 PCH(15)에서 BCH(55)로 향하는 통신경로3(32)과 BCH(45)에서 PCH(25)로 향하는 통신경로4(33)를 갖으며 통신경로 선정 우선순위는 주 통신경로(31), 보조 통신경로(30), 통신경로3(32), 통신경로4(33) 순으로 정하여 우선순의가 높은 통신경로를 사용하다가 통신경로에 오류가 발생되면 다음 우선순위의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A communication path 3 (32) from the PCH (15) to the BCH (55) in addition to the main communication path (31) and the auxiliary communication path (30) and from the BCH (45) to the PCH (25). Communication path 4 (33) heading, communication path selection priority is set in order of primary communication path (31), auxiliary communication path (30), communication path 3 (32), communication path 4 (33) in order of priority If a communication path fails while using a high communication path, use a mechanism that uses the next priority communication path. (i) 트리 구조의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 구성을 단순화시킴으로써 무선노드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직하고 관리하게 되고,          (i) By simplifying the routing protocol configuration of the tree-typ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nodes can be more efficiently organized and managed. (ii) 이중 백본에 통신경로 2개가 추가된 4중 통신경로의 구축과 우선순위의 통신경로를 사용하는 메커니즘으로 하나의 백본 통신경로를 갖는 통신 신뢰성 에 비해 16배로 통신 신뢰성을 향상 시키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를 갖는 DPCT 무선 네트워크.          (ii) Vine tree that improves communication reliability by 16 times compared to communication reliability with one backbone communication path as a mechanism that constructs a quadruple communication path with two communication paths added to the double backbone and a communication path of priority. DPCT wireless network in the form of a Vine Tree. 도 1의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의 DPCT(Dual Path Cluster Tree)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To configure and manage a dual path cluster tree (DPCT) wireless network in the form of a Vine Tree of FIG. 1 (a) 싱크노드에 트리의 루트 기능을 배치하는 단계(단계 91),       (a) placing the root function of the tree on the sink node (step 91), (b) 싱크노드를 참고하여 각 클러스터들의 연결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단계 92),       (b) determining a connection location of each cluster by referring to the sink node (step 92); (c) 각 클러스터들을 위한 오류조치 클러스터 헤드를 배치하는 단계(단계 93),       (c) placing a failover cluster head for each cluster (step 93), (i) PCH(Primary Cluster Head) 배치 단계,          (i) the primary cluster head deployment phase, (ii) PCH와 연동하는 BCH(Backup Cluster Head) 배치 단계,          (ii) deploying a Backup Cluster Head (BCH) in conjunction with PCH; (iii) PCH와 BCH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판단을 구성하는 단계,           (iii) constructing a judgment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PCH and the BCH, (d) PCH들 사이의 통신경로 변경이 가능한 무선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단계 (단계 94),       (d) constru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capable of chang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PCHs (step 94), (i) 클러스터들 간의 PCH들과 BCH들의 통신을 위한 높은 우선순위 통신경로를 구성하는 단계,          (i) constructing a high priority communication path for communication of PCHs and BCHs between clusters, (ii) 클러스터들 간의 PCH들과 BCH들의 통신을 위한 낮은 우선순위 통신경로를 구성하는 단계          (ii) constructing a low priority communication path for communication of PCHs and BCHs between clusters; (e) 각 클러스터들에 오류조치 기능을 갖는 무선노드를 배치하는 단계(단계 95)        (e) deploying wireless nodes with error correcting capabilities in respective clusters (step 95). (i) 무선노드가 PCH에게 주소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          (i) the wireless node requesting the PCH to assign an address. (ii) 무선노드가 PCH의 응답 메시지로부터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ii) the wireless node being assigned a network address from the response message of the PCH. (f) 각 클러스터에서, 패킷 충돌을 이끌 채널 경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PCH가 무선노드들과 PCH가 통신하는 시기를 정해주는 타임-슬롯을 넣는 단계 (단계 96)        (f) In each cluster, inserting a time-slot that PCH establishes when the PCH communicates with wireless nodes to minimize channel contention that will lead to packet collisions (step 96). (i) PCH가 클러스터의 각 무선노드들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는 타임-슬롯,          (i) a time-slot at which the PCH sends a data request to each wireless node in the cluster, (ii) PCH가 클러스터의 각 무선노드들에 파워-다운 요청을 보내는 타임-슬롯,          (ii) a time-slot in which PCH sends a power-down request to each wireless node in the cluster, (iii) BCH는 PCH와 같은 네트워크 ID와 주소를 갖게 하여 클러스터 내의 모든 무선 노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단계,          (iii) the BCH has a network ID and address, such as PCH,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all wireless nodes in the cluster, (g) 무선노드가 PCH에 전달 할 데이터를 생성하고, PCH가 할당 한 타임-슬롯 내에서 PCH 요청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단계 97),       (g) the wireless node generating data to be delivered to the PCH, and delivering the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PCH request within the time slot allocated by the PCH (step 97), (h) DPCT 네트워크의 운영에 있어서, PCH는 연관된 BCH의 활동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단계 98),       (h) in operation of the DPCT network, the PCH checks the activity status of the associated BCH (step 98), (i) 클러스터 헤드의 오류가 탐지될 때마다, DPCT 네트워크는 오류가 탐지된 클러스터 헤드를 제외하는 통신경로를 단계(단계 99),           (i) Each time an error in the cluster head is detected, the DPCT network steps (step 99) a communication path excluding the cluster head in which the error is detected; (ii) 클러스터 헤드의 오류 발생 후 데이터 경로를 재설정하는 단계(단계 94)를 갖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의 DPCT 무선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ii) configuring a DPCT wireless network in the form of a Vine Tree with a step of resetting the data path after a cluster head failure (step 94). 청구항 4의 방법에서, 무선노드들의 소비전력을 감축하기 위해 PCH로부터 파워다운 요청을 받으면 CC2420과 같은 RF-칩의 파워다운 모드 명령으로 RF-칩 전원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의 DPCT 무선 네크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claim 4, when receiving a power down request from the PCH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nodes (Vine Tree) having the effect of shutting off the RF-chip power supply by the power-down mode command of the RF-chip, such as CC2420 How to configure DPCT wireless network of the form. 청구항 4의 방법에서, 무선노드(100)와 같은 무선노드들을 포함하는 DPCT(Dual Path Cluster Tree) 네트워크에서        In a method of claim 4, in a dual path cluster tree (DPCT) network comprising wireless nodes such as wireless node 100. (a) 데이터 통신경로를 설정/재설정하는 것은 오류조치 모드에 따라 라우팅 테이블의 접속 우선순위를 일련의 클러스터들에게 주는 단계(단계 94),       (a) establishing / resetting the data communication path gives a set of clusters the access priority of the routing table according to the error handling mode (step 94), (b) 클러스터 헤드가 무선노드와 통신에 타임-슬롯을 넣어 무선 채널 쟁취 경쟁을 최소화하여 클러스터 헤드와 무선노드들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단계(단계 96)를 포함하는 바인 트리(Vine Tree) 형태의 DPCT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       (b) A Vine Tree form in which the cluster head inserts a time-slot in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node to minimize radio channel contention competition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uster head and the wireless nodes (step 96). How to configure a DPCT wireless network.
KR1020080099965A 2008-10-13 2008-10-13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Withdrawn KR201000410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65A KR20100041003A (en) 2008-10-13 2008-10-13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965A KR20100041003A (en) 2008-10-13 2008-10-13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003A true KR20100041003A (en) 2010-04-22

Family

ID=4221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965A Withdrawn KR20100041003A (en) 2008-10-13 2008-10-13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00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369B1 (en) * 2011-09-30 2014-08-20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Relay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369B1 (en) * 2011-09-30 2014-08-20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Relay unit
US9282065B2 (en) 2011-09-30 2016-03-08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Relay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385B1 (en) Real-time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with linear structure
JP4230918B2 (en) A protocol for reliable self-organizing low-power wireless networks used in security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s
EP16546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awareness informa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US8798084B2 (en) Increasing reliability and reducing latency in a wireless network
US20030151513A1 (en) Self-organizing hierarchical wireless network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US20070161352A1 (en) Selective activation of field devices in low power wireless mesh networks
CN103974367B (en) Fault tolerant and multi-path optimization method based on HEED algorithms in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389405B1 (en) Method for managing the transfer of information packets across a wireless network and routing nodes implementing it
KR20090030320A (en) Mobile ad-hawk network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path for fault tolerance
AU202120320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etworking over a network
US10637684B2 (en) Mesh network connectivity
JP58685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090010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aptive Access Point Mode
CN101325545A (en) A Design Method of Redundant Path in Industri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9788499B (en) LoRa transmission method for backbone N-node M redundancy transmission
KR20100041003A (en) The vine tree formed dual path clustering tree wireless network and its constructing way
CN114885413B (en) Self-organizing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frame structure based on lightweight clock synchronization mechanism
Yim et al. Efficient multipath routing protocol against path failur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01500262A (en) Data redundance sending method for industrial wireless network
Bakshi et al. Structured communication in single hop sensor networks
Ashouri et al. FOMA: Flexible overlay multi-path data aggre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N112423364A (en) Wireless mobile ad hoc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240357421A1 (en) Lorawan gateway network and methods
Mank et al. Mac protocol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Tackling the problem of unidirectional links
CN120416973A (en) Wireless clustered network multi-hop transmi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