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350A - Repeater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networks - Google Patents
Repeater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network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20350A KR20100020350A KR1020080079096A KR20080079096A KR20100020350A KR 20100020350 A KR20100020350 A KR 20100020350A KR 1020080079096 A KR1020080079096 A KR 1020080079096A KR 20080079096 A KR20080079096 A KR 20080079096A KR 20100020350 A KR20100020350 A KR 201000203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base station
- antenna
- received signal
- transcei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75—Radio-over-fibre,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ed onto an optical carrier
- H04B10/25752—Optical arrangements for wireless networks
- H04B10/25753—Distribution optical network, e.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의 일 양태는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다른 통신망에 속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허브, 및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송신 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속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송신 신호를 전송받는 리모트 유닛을 포함한다.A relay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and an aspect of the relay apparatu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belonging to a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first base st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Receiving a first transmission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belonging to the first base station or a second transmission signal from a second user terminal belonging to the second base station using a main hub and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It contains the receiving remot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면서 역방향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y device for providing reverse diversity while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지형 형태나 건물, 장애물 등에 의하여 멀티 패스를 거치는 간접파와 곧바로 전달되는 직접파 간의 간섭에 의하여 페이딩(Fad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딩 발생에 의하여 통화가 끊기거나, 핸드오프가 자주 발생하여 통화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Fading may occur due to interference between an indirect wave passing through the multipath and a direct wave immediately transmitted by a terrain shape, a building, or an obstacle. Due to the fading, the call may be disconnected or handoff may occur frequently, resulting in poor call quality.
한편, 기지국의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지하건물 또는 콘크리트 건물 등의 장애물로 인하여 전파의 세기가 약해지는 음역 지역에 중계기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계기는 기지국에서 전송된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repeaters may be installed in the sound region where the intensity of the radio wave is weakened due to an obstacle such as an underground building or a concrete building, which is difficult to reach the base station. Here, the repeater serves to amplify and transm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지하철 역사 및 지하철 선로 주변에 위치하는 지하철 중계기는 지하철 전용 기지국 또는 지하철 인근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하철 대합실, 플랫폼 또는 지하철 차량에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또는 지하철 중계기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지하철 전용 기지국 또는 지하철 인근 기지국에 제공한다.The subway repeater located near the subway station and the subway track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dedicated to the subway or a base station near the subway and provides the signal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in a subway waiting room, a platform, or a subway vehicle. Alternatively, the subway repeater receives a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signal to a base station dedicated to the subway or a base station near the subway.
또한, 지하철에서는 다양한 무선 통신망 서비스, 예를 들어 CDMA, PCS, WCDMA, WiBro 등의 통신 망 서비스에 대하여 각각 지하철 중계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ubway, it is cumbersome to install subway repeaters for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for examp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such as CDMA, PCS, WCDMA, and WiBro.
따라서, 지하에서 다양한 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통합하는 중계 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함께, 지하철 등의 지하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단말에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계 장치가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elay device that integrates to support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undergroun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re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high quality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terminal moving underground in a subway or the lik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 서비스를 지원하는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지하에서의 역방항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는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apparatus that can implement reverse diversity in the basemen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의 일 양태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제1 송신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1 안테나를 구비하는 제1 송수신부; 및 제2 기지국으로부터의 제2 송신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과 다른 통신망에 속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제2 송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수신부는 제1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1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2 수신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송수신부는 제2 안테나를 이 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3 수신 신호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4 수신 신호를 수신한다.One aspect of a relay devi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transceiver comprising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 first transmission signal from a first base station to a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transceiver configured to transmit a second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to a second user terminal belonging to a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wherein the first transceiver uses the first antenna. Receiving a first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a second receiv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wherein the second transceiver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using a second antenna; And a third reception signal and a fourth recep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의 일 양태는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1 기지국과 다른 통신망에 속하는 제2 기지국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메인 허브; 및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기지국에 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송신 신호를 전송받거나 또는 상기 제2 기지국에 속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2 송신 신호를 전송받는 리모트 유닛을 포함한다.One aspect of a relay devic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hub connected to the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belonging to a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first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remote unit receiving a first transmission signal from a first user terminal belonging to the first base station or a second transmission signal from a second user terminal belonging to the second base station by using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tenna. It includes.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인 WCDMA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반적인 WCDMA 통신망(일명, UMTS 망)은 사용자 단말(100), 무선 접속망(UTRAN; UMTS Terrestrial RAN, 50) 및 무선 접속망에 연결되며 외부망(40)과의 접속에 응답하는 코어망(Core Network; 60)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eneral WCDMA communication network. Referring to FIG. 1, a general WCDMA communication network (aka UMTS network) is connected to a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사용자 기기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접속망(RAN: Radio Access Network, 50)은 WCDMA를 지원하기 위해 3GPP 규격의 무선 접속 규격을 수용한 기지국(22), 기지국 제어기(24) 및 중계기(20)를 포함한다. 무선 접속망(2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호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신호 등을 코어망으로 전송한다.A radio access network (RAN) 50 includes a
기지국(22)은 기지국 제어기(24)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The
기지국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24)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하며, 기지국(22)을 제어한다. A base station controller (Radio network controller) 24 dynamically allocates radio resourc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s the
중계기(20)는 기지국(22)에서 전송된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중계기(20)는 기지국(22)의 전송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음역 지역, 또는 전파의 수신이 용이하지 아니한 불량 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The
회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31)는 기지국(22)에서 착신 또는 발 신되는 신호를 전달하며, 이동통신 가입자 상호 간의 교환, 이동통신 가입자와 PSTN, ISDN 등의 고정망 가입자와의 교환 기능을 제공한다. 회선 교환기(31)는 가입자로부터 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을 포함할 수 있다.The
회선교환 게이트웨이(GMSC; 32)는 회선 교환기(31)를 통하여 외부망(40)과 연결되는 지점에서의 게이트웨이(Gateway)이다. 모든 회선교환 접속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거쳐서 이루어진다.The circuit switched gateway (GMSC) 32 is a gateway at the point where the circuit switched 31 is connected to the
상기 회선 교환기(31)와 회선교환 게이트웨이(32)를 포함하여 회선 교환부(33)로 칭할 수 있고, 회선 교환부(33)는 회선교환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과의 통화로를 개설한다.The
패킷교환 지원 노드는(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35)은 GPRS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 등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가진다. The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35 (SGSN) is a mobile station for managing GPRS services, calling / incoming / outgoing call processing procedures, and session management, authentication, and billing for hand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unction and so on. It also has a routing processing function of packet data.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36)는 GPRS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로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세션을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 처리 기능을 하며 WDCMA망과 인터넷 망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 packet switching gateway (GGSN) 36 is a serving node of an IP (Internet Protocol) based packet network that provides a high speed packet data service for GPRS data service. It manages the packet data, handles routing of packet data, and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WDCMA network to the Internet.
상기 패킷교환 지원 노드(35)와 패킷 교환 게이트웨이(36)를 포함하여 패킷 교환부(37)로 칭할 수 있다. 패킷 교환부(37)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 패킷(Packet) 단위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The packet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52)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인증센터(AuC)는 인증 벡터를 생성하며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인증센터(AuC)는 홈 위치 등록기(HLR)와 같이 맞물려 있고 이들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52 stores and manag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ubscriber, and the authentication center (AuC) generates an authentication vector and performs a subscriber authentication function. In general, an authentication center (AuC) is interlocked with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d they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외부망(40)은 회선교환부(100) 또는 패킷교환부(200)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망이다. 회선교환부(100)는 음성 통화 등 회선(circui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회선교환부(100)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종합 정보 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또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일 수 있다. 패킷교환부(200)는 패킷(Packet)의 송수신에 관련된다. 패킷교환부(200)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IP(Internet Protocol)망일 수 있다.The
다만, WCDMA 통신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하나의 통신망으로 제시한 것이며, 예를 들어, WiBro, CDMA, WiFi 등의 다양한 통신망에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e WCDMA communication network is presented as on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the WCDM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Bro, CDMA, and WiFi.
도 2는 일반적인 지하철 선로 상에서의 중계 장치가 나열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2 shows a structure in which relay devices are listed on a general subway track.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지하철에서의 중계 장치는 WCDMA, WiBro, PCS 등의 각 통신망에 따라 기지국에 따른 중계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의 중계 장치로서 WCDMA 기지국 및 WiBro 기지국에 각각 연결된 중계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relay apparatus in a general subway may configure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base station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CDMA, WiBro, and PCS. For example, a relay device connected to a WCDMA base station and a WiBro base station may be represented as a relay device in a subway.
먼저, WCDMA 통신망에서의 중계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지하철 역의 지상에 위치하는 지하철 전용 기지국(210) 또는 지하철 인근의 기지국과 중계 장치가 연결된다.First, referring to a configuration of a relay device in a WCDMA communication network, a relay device is connected to a
기지국(210, 310)은 기지국 제어기에서 전달된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 110)과 데이터 교환에 필요한 무선 물리채널을 설정하고,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들을 무선 환경에 맞게 사용자 단말(100, 110)로 전송한다. 기지국(210, 310)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10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전용 기지국은 소정의 역을 사이에 두고, 3개 내지 4개 역을 사이에 두고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입자가 속하는 통신망에 따라 WCDMA 용 기지국(210), WiBro 용 기지국(310), PCS용 기지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중계 장치는 기지국(210, 310)에서 전송된 신호 또는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중계 장치는 기지국(210, 310)에 직접 연결되는 마스터 유닛(220, 320) 및 마스터 유닛에 복수로 연결될 수 있는 리모트 유닛(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330_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유닛(220, 320)은 기지국(220, 32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사용자 단말(100, 110)과 신호를 주고 받는 리모트 유닛(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330_3)에 전달한다. The relay device amplifies and transmit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리모트 유닛(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330_3)은 마스터 유닛(220, 32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 1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마스터 유닛(220, 3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remote units 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and 330_3 receive transmission signals from the
리모트 유닛(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330_3)은 복수의 안테나(240_1, 240_2, 240_3, 240_4, 340_1, 340_2, 340_3, 340_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240_1, 240_2, 240_3, 240_4, 340_1, 340_2, 340_3, 340_4)는 무선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지하철용 리모트 유닛에는 안테나가 두 개이상에서 수십 개까지 설치될 수 있으므로, 각 안테나에 대하여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능을 채택하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The remote units 230_1, 230_2, 230_3, 330_1, 330_2, and 330_3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240_1, 240_2, 240_3, 240_4, 340_1, 340_2, 340_3, and 340_4. The plurality of antennas 240_1, 240_2, 240_3, 240_4, 340_1, 340_2, 340_3, and 340_4 serve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RF signals. For example, since two or more antennas may be installed in a remote unit for subways, it is not practical to adopt a diversity function for each antenna.
하지만, 고속으로 이동하는 지하철의 차량 내에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 110)은 고속 이동에 의하여 송수신을 주고 받는 안테나와의 채널 상태가 순간 순간 변동되면서, 갑작스럽게 통화가 끊어지는 콜 드롭(Call drop)이 발생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210, 31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는 파워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00, 110)에는 제대로 전달되지만, 역방향인 업 링크(Uplink)에서는 사용자 단말(100, 110)의 송신 파워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기지국(210, 310)에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업링크에서 사용자 단말(100, 110)의 송신 신호를 기지국(210), 3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중계 장치의 수신 다이버시티 기능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However, a
이와 함께, 각 통신망에 따라 중계 장치를 따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하면 서 각 통신망의 중계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하나의 중계 장치에 의하여 다양한 통신망을 지원할 수 있는 중계 장치가 필요하다.Along with this, there is a need for a relay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s by one relay device by integrating the relay devices of each communication network while avoiding the trouble of installing the relay devices separately according to each communication networ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구조를 보여준다.3 shows a structure of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는 메인 허브(250) 및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메인 허브(250)는 서로 다른 통신망에 속하는 기지국(210, 310)에 연결되어, 기지국(210, 310)으로부터의 신호를 전송받는다. 메인 허브(250)는 각 기지국(210, 310)으로부터의 신호를 전달 받아, 복수의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함께, 메인 허브(2500는 복수의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으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각 기지국(210, 3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각 기지국(210, 310)이 각각 WCDMA 용 기지국(210) 또는 WiBro 용 기지국(310)에 해당되면, 메인 허브(250)는 각 기지국(210, 310)의 신호를 전달 받아, 해당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에 전달할 수 있다. The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은 사용자 단말(100, 110)에 각 기지국(210, 31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The remote units 270_1, 270_2, 270_3, ... transmit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각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은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망에 속하는 기지국(210, 310)으로부터 전송되는 송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290)가 WCDMA 용 기지국(21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제2 안테나(295)는 WiBro 용 기지국(31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Each remote unit 270_1, 270_2, 270_3,... May include a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는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WCDMA 용 사용자 단말(100)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다만, 동일한 신호가 리모트 유닛(270_1, 270_2, 270_3, ...)로 전송되더라도,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가 위치하는 공간상의 차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동일한 신호가 전송되더라도, 지하의 건물, 터널의 휘어짐, 장애물의 위치 변화 등에 의하여 반사 또는 굴절되어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에 도달할 수 있다.The
따라서,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 신호를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에 의하여 수신함으로써, 역방향 다이버시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refore, by receiving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통신망의 기지국을 메인 허브(250)에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통신망에 속하는 기지국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의 송신 신호에 대하여 복수의 안테나(290, 295)에 의하여 역방향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the base station of the variou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계 장치는 메인 허브(250) 및 리모트 유닛(2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 서, 메인 허브(250)는 제3 송수신부(450), 제4 송수신부(460) 및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유닛(270)은 제1 송수신부(410), 제2 송수신부(420) 및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relay device may include a
제1 송수신부(410)는 제1 안테나(290)를 통하여 제1 기지국(21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1 송수신부(41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1 기지국(210) 또는 제2 기지국(310)에 전송한다.The first transceiver 410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마찬가지로 제2 송수신부(410)는 제2 안테나(290)를 통하여 제2 기지국(31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제2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한다. 또한 제2 송신부(310)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100, 110)로부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제1 기지국(210) 또는 제2 기지국(310)에 전송한다.Similarly, the second transceiver 410 transmits a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는 광선로에 실어 전송하기 전에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 신호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가 생성되면, 생성된 광 신호를 통합할 수 있다. 한편,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는 후술할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로부터 송신된 광 신호를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로 분리할 수도 있다.The first wavelength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는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와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통합하거나, 통합된 광 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Like the first
제3 송수신부(450)는 제1 기지국(210)의 송신 신호를 제2 파장분할 다중화 부(440)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제1 기지국(210) 또는 제2 기지국(310)에 전달한다.The
마찬가지로 제4 송수신부(460)도 제2 기지국(310)의 송신 신호를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에 전송하거나 또는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제1 기지국(210) 또는 제2 기지국(310)에 전달한다.Similarly, the
이하에서는, 순방향(Down-link) 신호의 전달 및 역방향(Up-link) 신호의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여기서는 제1 기지국(210)을 WCDMA 통신망을 지원하는 기지국으로 하고, 제2 기지국(310)은 WiBro 통신망을 지원하는 기지국으로 한다. 이는 하나의 예에 해당하며, 다양한 통신망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and a transmitting of an up-link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he
예를 들어, WCDMA 통신망에서 순방향(Down-link) 제1 송신 신호의 전달은 제1 기지국(210), 제3 송수신부(450),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 광선로(225),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 제1 송수신부(410), 제1 안테나(290) 및 제1 사용자 단말(100) 순서로 전달된다. 반대로 역방향 신호의 전달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 제1 송수신부(410) 및 제2 송수신부(420),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 광선로(225),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 제3 송신부(450) 및 제4 송수신부(460), 및 제1 기지국(210) 순서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안테나(290)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1 수신 신호라고, 제2 안테나(295)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2 수신 신호라 한다. 따라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는 동일한 신호가 발신되지만, 제1 안테 나(290) 및 제2 안테나(295)는 각각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CDMA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ssion of a downlink first transmission signal is performed by the
이와 함께, WiBro 통신망에서 순방향(Down-link) 제2 송신 신호의 전달은 제2 기지국(310), 제4 송수신부(460),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 광선로(225),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 제2 송수신부(420), 제2 안테나(295) 및 제2 사용자 단말(110) 순서로 전달된다. 반대로 역방향 신호의 전달은 제2 사용자 단말(110),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 제1 송수신부(410) 및 제2 송수신부(420),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430), 광선로(225),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40), 제3 송신부(450) 및 제4 송수신부(460), 및 제2 기지국(310) 순서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1 안테나(290)가 제2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3 수신 신호라고, 제2 안테나(295)가 제2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4 수신 신호라 한다. 따라서, 제2 사용자 단말(110)로부터는 동일한 신호가 발신되지만,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는 각각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the down-link second transmission signal in the WiBro communication network is performed by the
상기와 같이, 역방향 신호의 전달에 있어서 중계 장치는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를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는 광선로(225)를 통하여 메인 허브(25)에 전달되어 각 기지국(210, 31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떨어지더라도 다른 하나의 안테나의 수신율이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기에, 역방향 수신을 상대적으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ransmission of the reverse signal, the relay device receives the signal using the
이와 함께, 서로 다른 통신망을 지원하는 기지국(210, 310)에 중계 장치를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중계 장치로 복수의 기지국(210, 310)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및 중계 장치의 부품수 등의 비용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necting the relay device 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잡음 증폭기(501, 502, 503, 504, 505, 506, 551, 552, 553, 554; LNA)는 메인 허브(250) 또는 리모트 유닛(270)의 전체 잡음 지수를 낮추는 고주파 증폭기이다. 전광 변환부(511, 512, 561, 562; LD)는 RF 신호를 광 신호를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반대로, 광전 변환부(516, 517, 566, 567; PD)는 광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5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전력 증폭기(571, 572)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증폭기로서, 저주파 전력 증폭기 및/또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90, 295)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주파 증폭기(RF amplifier)를 종단 전력 증폭기라 한다.The
듀플렉서(521, 522, 576; D1)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분리해 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2 안테나의 경우에는 듀플렉서(576)에 의하여 WCDMA 망의 수신 대역 주파수(f2) 및 WiBro 망의 송수신 대역 주파수(f3)의 신호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The
마찬가지로, 트리플렉서(577; D2)는 서로 다른 세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각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의 경우에는 트리플렉서(577)에 의하여 WCDMA 망의 송신 대역 주파수(f1), 수신 대역 주파수(f2) 및 WiBro 망의 송수신 대역 주파수(f3)의 신호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한편, WiBro의 경우에는 시분할 방식(TDD)에 의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f3)에서 시간을 달리하면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imilarly, the triplexer 577 (D2) separates signals included in three different frequency ban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antenna, signals of the transmission band frequency f 1 , the reception band frequency f 2 ,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band frequency f 3 of the WiBro network are respectively received by the
콤바이너(581, 582; 2W)는 주파수가 서로 다른 신호를 묶어 하나의 출력 값을 낸다. 병합되는 신호의 개수에 따라 2-방향(2-Way), 3-방향(3-Way)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580; WDM)는 광선로(225)에 실어 전송하기 전에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광 신호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파장이 서로 다른 광 신호를 통합하거나 분리하여 전달할 수 있다.The wavelength
스위치(591, 592)는 제1 스위치(591) 및 제2 스위치(592)를 구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591)는 제1 안테나(290)에 수신된 신호가 제2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송신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온/오프 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591)가 WiBro 수신용인 경우, 제1 안테나(290)에 수신된 신호가 WiBro 통신망을 지원하는 제2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트리플렉서(577)로부터 해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온(On) 시킨다.The
제2 스위치(592)는 WiBro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신호를 스위치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 사용자 단말(110)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듀플렉서(576)을 거쳐, 제2 스위치(592)에 의하여 저잡음 증퐁기(553)로 유도된다. 또한, WiBro 기지국(310)으로부터 전달된 송신 신호는 전력 증폭기(572)를 거쳐 제2 스위치(592)에 의하여 듀플렉서(576)로 전달되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제2 스위치(592)는 WiBro 용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 되는 신호를 제2 안테나(295)를 통하여 송수신시키기 위하여 각 소자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다시 도 5를 참조하여, WCDMA 통신망의 기지국(210)으로부터의 순방향 신호의 전달은 기지국(210), 저잡음 증폭기(501), 전광변환부(511),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광선로(225), 파중분할 다중화부(580), 광전변환부(566), 전력 증폭기(571), 트리플렉서(577), 제1 안테나(290) 및 제1 사용자 단말(100) 순서로 전달된다. The
이와 반대로, 역방향 신호의 전달은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안테나(290)를 통한 신호의 전달 및 제2 안테나(295)를 통한 신호의 전달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90)를 통한 신호의 전달은 제1 안테나(290), 트리플렉서(577), 저잡음 증폭기(552), 컴바이너(581), 전광변환부(561), 파장분할 다중화부(580), 광선로(225),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광전변환부(516), 듀플렉서(521), 저잡음 증폭기(502) 및 제1 기지국(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295)를 통한 신호의 전달은 제2 안테나(295), 듀플렉서(576), 저잡음 증폭기(554), 컴바이너(582), 전광변환부(562), 파장분할 다중화부(580), 광선로(225),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광전변환부(517), 듀플렉서(522), 저잡음 증폭기(505) 및 제1 기지국(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reverse signal transmission may be divided into a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따라서, 제1 기지국(210)은 제1 안테나(290)를 통과하여 전달된 제1 신호 및 제2 안테나(295)를 통과하여 전달된 제2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각각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역방향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와 마찬가지로, WiBro 통신망의 기지국(310)으로의 순방향 신호의 전달은 기지국(310), 저잡음 증폭기(504), 전광변환부(512), 파장분할 다중부(530), 광선로(225), 파중분할 다중부(580), 광전변환부(567), 전력 증폭기(572), 듀플렉서(576), 제2 안테나(295) 및 제2 사용자 단말(110) 순서로 전달된다.Similarly, the forward signal transmission to the
이와 반대로, 역방향 신호의 전달은 제1 안테나(290)를 통한 신호 수신 및 제2 안테나(295)를 통하여 신호 수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90)를 통한 신호 전달은 제1 안테나(290), 트리플렉서(577), 저잡음 증폭기(551), 컴바이너(581), 전광변환부(561), 파장분할 다중화부(580), 광선로(225),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광전변환부(516), 듀플렉서(521), 저잡음 증폭기(503) 및 제2 기지국(310)의 순서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테나(295)를 통한 신호 전달은 제2 안테나(295), 듀플렉서(576), 저잡음 증폭기(553), 컴바이너(582), 전광변환부(562), 파장분할 다중화부(580), 광선로(225), 파장분할 다중화부(530), 광전변환부(517), 듀플렉서(552), 저잡음 증폭기(506) 및 제2 기지국(310)의 순서로 전달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transmission of the reverse signal may be divided into signal reception through the
상기와 같이, WiBro 통신망을 지원하는 제2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대하여 제1 안테나(290) 및 제2 안테나(295)를 통하여 수신함으로써 역방향(Up-link)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서로 다른 통신망을 지원하는 통신망에 대하여 동일한 중계 장치를 경유시킴으로써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eption rate of the uplink may be increased by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또는 '~부'는 메모리 상의 소정 영역에서 수행되는 태스크, 클래스, 서브 루틴, 프로세스, 오브젝트, 실행 쓰레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software)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 또는 '~부'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컴퓨터에 그 일부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or '~' used in this embodiment is software such as tasks, classes, subroutines, processes, objects, execution threads, programs, or FPGAs (field-) that are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uch as a programmable gate array 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may be a combination of the software and hardware. The component or 'unit' may be included in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r a part of the components may be distributed and distributed to a plurality of computer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ave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MTS 통신망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MT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일반적인 지하철 선로 상에서의 중계 장치가 나열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relay devices are listed on a general subway track.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의 회로도이다.5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제1 사용자 단말 110: 제2 사용자 단말100: first user terminal 110: second user terminal
210: 제1 기지국 220: 제2 기지국210: first base station 220: second base station
250: 메인 허브 270, 270_1, 270_2, 270_3: 리모트 유닛250:
410: 제1 송수신부 420: 제2 송수신부410: first transceiver unit 420: second transceiver unit
430: 제1 파장분할 다중화부 440: 제2 파장분할 다중화부430: first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440: seco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450: 제3 송수신부 460: 제4 송수신부450: third transceiver 460: fourth transceiver
501, 502, 503, 504, 505, 506, 551, 552, 553, 554; 저잡음 증폭기(LNA)501, 502, 503, 504, 505, 506, 551, 552, 553, 554; Low Noise Amplifier (LNA)
511, 512, 561, 562; 전광 변환부(LD)511, 512, 561, 562; All-optical conversion part (LD)
516, 517, 566, 567; 광전 변화부(PD)516, 517, 566, 567; Photoelectric Changer (PD)
571, 572; 파워 증폭기(PA)571, 572; Power amplifier (PA)
521, 522, 576; 듀플렉서(D1)521, 522, 576; Duplexer (D1)
577; 트리플렉서(D2)577; Triplexer (D2)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9096A KR101001020B1 (en) | 2008-08-12 | 2008-08-12 | Relay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80079096A KR101001020B1 (en) | 2008-08-12 | 2008-08-12 | Relay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00020350A true KR20100020350A (en) | 2010-02-22 |
| KR101001020B1 KR101001020B1 (en) | 2010-12-14 |
Family
ID=420904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80079096A Active KR101001020B1 (en) | 2008-08-12 | 2008-08-12 | Relay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001020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185639A1 (en) * | 2012-06-15 | 2013-12-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Data transmit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591856B1 (en) * | 2003-09-08 | 2006-06-23 | (주)지에스텔레텍 | Wireless repeater |
-
2008
- 2008-08-12 KR KR1020080079096A patent/KR101001020B1/en active Active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185639A1 (en) * | 2012-06-15 | 2013-12-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Data transmit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
| US9871592B2 (en) | 2012-06-15 | 2018-01-16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001020B1 (en) | 2010-12-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2590441B1 (en) | Base station and method for one cell to cover multiple areas | |
| EP2633628B1 (en) | Mobile terminal with mutliple sim cards | |
| KR102160144B1 (en) | Controller for a suda system | |
| RU2405257C2 (en) | Method and system of basic station for combination of ascending direction signals in mode of sector separation | |
| JP4616249B2 (en) | Improvements in or related to distributed wireless devices | |
| KR20080093746A (en) | Time-division duplex remote station that uses low noise amplifier for up-down common and wired relay method using same | |
| US7257424B2 (en) | Transceiver method in a radio system and a radio system | |
| WO2004006602A1 (en) | Method for allocating information transfer capacit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WO2002062090A2 (en) | Dynamic capacity allocation of in-building system | |
| US9572197B1 (en) | Configuration of remote radio head antenna ports | |
| EP3432486A1 (en) |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and base station interface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 |
| US20080214221A1 (en) | Radio Base Station System | |
| US7539516B2 (en) |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 |
| JP2017135620A (en) |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re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 |
| US6721571B2 (en) |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in that digital processing resources are shared | |
| US20110134811A1 (en) | Mobile station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 JPH11136735A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CN102651873B (en) | Signal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equipment for indoor distribution system | |
| KR101001020B1 (en) | Relay device supporting multiple communication networks | |
| KR20080107795A (en) | Time Division Redundant Optical Wireless Relay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Gain of RS Receiver and Signal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 CN111935730A (en) |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signal coverage of distributed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network | |
| KR10057948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base station through sharing digital unit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KR100282959B1 (en) | Base station using switchable dual path receiver | |
| KR20190003224A (en) | Compensator of communication signal | |
| KR100334559B1 (en) | Apparatus for cell composition of privat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1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161207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7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170306 Request date: 20161207 Appeal identifier: 2016105000143 |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5000143;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61207 Effective date: 20170306 |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17030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161207 Decision date: 20170306 Appeal identifier: 2016105000143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ublication date: 2017033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