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80067880A -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80A
KR20080067880A KR1020070005345A KR20070005345A KR20080067880A KR 20080067880 A KR20080067880 A KR 20080067880A KR 1020070005345 A KR1020070005345 A KR 1020070005345A KR 20070005345 A KR20070005345 A KR 20070005345A KR 20080067880 A KR20080067880 A KR 20080067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aximum
recording layer
optical pickup
pickup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0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80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80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27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3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servo format, e.g. guide tracks, pilot signal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씨디(CD) 또는 디브이디(DV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에서,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피이(PE) 신호의 피크(Peak) 값을 검출하여,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한 후, 그 시점에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제한시킴으로써, 광디스크별 기록층에 최적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를 상대적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광픽업 렌즈와 광디스크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Figure P1020070005345
광픽업 렌즈, 최대 상승 위치, 피이(PE) 신호,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 표면층, 기록층

Description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Method for setting maximum rising position of optical pickup lens}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광픽업의 보호 베이스와 광디스크가 충돌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디스크 11 : 광픽업
12 :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 13 : 전류/전압 증폭기
14 : 스핀들 모터 15 : 스핀들 드라이버
16 : 포커스/트래킹 슬레드 드라이버 17 : 슬레드 모터
18 : 기록 레이저 다이오드 컨트롤 19 : RF 증폭기
20 : 엔코더 및 디코더 21 : 호스트 PC
22 : 오피씨/알오피씨 회로 23 :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24 : 마이크로프로세서 25 : 오디오 회로
26 : L/R 채널 헤드폰 접속부
본 발명은,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씨디(CD) 또는 디브이디(DV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에서, 광디스크별 기록층에 최적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를 상대적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호스트 PC(21)와 연결 접속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광디스크(10), 광픽업(11), 레이저 다이오드 드라이버(12), 전류/전압 증폭기(13), 스핀들 모터(14), 스핀들 드라이버(15), 포커스/트래킹 슬레드 드라이버(16), 슬레드 모터(17), 기록 레이저 다이오드 컨트롤(18), RF 증폭기(19), 엔코더 및 디코더(20), 오피씨/알오피씨(OPC/ROPC) 회로(22),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 마이크로프로세서(24), 오디오 회로(25), 그리고 L/R 채널 헤드폰 접속부(26) 등이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픽업(1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magnet), 보빈(bobbin), 요오크(yoke), 포커스 코일(focus coil), 트래킹 코일(tracking coil), 오브젝트 렌즈(objective lens), 와이어 스프링(wire spring), 그리고 프레임(frame) 등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Actuator)에 의해 수평/수직 방향으로 이동되 어 포커스 및 트래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디스크 장치 내에 삽입된 광디스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턴테이블(Turn Table)에 안착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광픽업 렌즈(Lens)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켜, 광디스크에 형성된 기록층에 초점이 맞추어지도록 한 후, 상기 기록층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 턴테이블에 안착된 광디스크가 기울어진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의 보호 베이스(Protector Base)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광디스크에 충돌하게 되므로, 결국 광픽업 렌즈와 광디스크간의 충돌로 인해 광픽업 렌즈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그 이상 광픽업 렌즈가 광디스크 방향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제한시키는 방안이 있으나, 이 경우, 최대 상승 위치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면진동 성분의 크기 등에 따라 광픽업 렌즈와 광디스크간의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씨디(CD) 또는 디브이디(DV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에서, 광디스크의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 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한 후, 그 시점에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제한시킴으로써, 광디스크별 기록층에 최적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를 상대적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은,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광디스크의 기록층을 검출하는 1단계; 및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1단계는,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피이(PE) 신호의 피크(Peak) 값을 검출하여,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2단계는,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그 시점에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은, 씨디(CD) 또는 디브이디(DVD)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가 장치 내에 삽입되는 경우, 통상적인 디스크 로딩 동작과 서보 초기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광디스크의 기록층을 검출하되,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가변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에 디브이디(DVD)가 삽입되는 경우,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를 통해 스핀들 드라이버(15)와 포커스/트래킹 슬레드 드라이버(16) 등을 동작 제어하여, 광픽업 렌즈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된 초기 위치(예: Lens Position Min)에서 점차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 내의 포토다이오드, 예를 들어 4 분할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광전 변환된 전기신호의 합인 피이(PE: Pull in Error) 신호를 감시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광디스크의 유형이 디브이디(DVD)인 경우,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층이, 표면층으로부터 0.6mm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표면층에서 제1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되고, 이후 소정 시간(t1) 경과 후, 광디스크의 기록층에서 제2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제1 피크 값의 피이 신호와 제2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된 시간 간격을 확인하여, 그 시간 간격이 디브이디에 해당하는 't1'이면, 상기 광디스크의 유형을 디브이디라고 판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Lens Position Max)로 설정하게 되는 데, 이때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Focus Drive)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설정 및 제한시키게 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간의 이격 거리가 0.6mm인 디브이디에 적합하게 렌즈 최대 상승 값(예: DVD Sweep Value)을 설정하여, 렌즈와 광디스크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내에 씨디(CD)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23)를 통해 스핀들 드라이버(15)와 포커스/트래킹 슬레드 드라이버(16) 등을 동작 제어하여, 광픽업 렌즈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된 초기 위치(예: Lens Position Min)에서 점차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 내의 포토다이오드, 예를 들어 4 분할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광전 변환된 전기신호의 합인 피이(PE: Pull in Error) 신호를 감시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상기 광디스크의 유형이 씨디(CD)인 경우,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층이, 표면층으로부터 1.1mm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광디스크의 표면층에서 제1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되고, 이후 소정 시간(t2, 예: t2>t1) 경과 후, 광디스크의 기록층에서 제2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제1 피크 값의 피이 신호와 제2 피크 값의 피이 신호가 검출된 시간 간격을 확인하여, 그 시간 간격이 디브이디에 해당하는 't2'이면, 상기 광디스크의 유형을 씨디라고 판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Lens Position Max)로 설정하게 되는 데, 이때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Focus Drive)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설정 및 제한시키게 되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간의 이격 거리가 1.1mm인 씨디에 적합하게 렌즈 최대 상승 값(예: CD Sweep Value)을 설정하여, 렌즈와 광디스크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은, 예를 들어, 씨디(CD) 또는 디브이디(DVD)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광디스크를 재생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장치에서,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피이(PE) 신호의 피크(Peak) 값을 검출하여,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한 후, 그 시점에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제한시킴으로써, 광디스크별 기록층에 최적한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를 상대적으로 가변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광픽업 렌즈와 광디스크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광디스크의 기록층을 검출하는 1단계; 및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광픽업 렌즈를 초기 위치에서 점차 상승시키면서, 피이(PE) 신호의 피크(Peak) 값을 검출하여, 광디스크의 표면층과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기록층 보다 일정 간격 높은 위치에 포커싱되는 렌즈의 위치를, 최대 상승 위치로 설정하는 경우, 그 시점에 인가되는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를 최대 포커스 드라이브 신호로 제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KR1020070005345A 2007-01-17 2007-01-17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Withdrawn KR20080067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45A KR20080067880A (ko) 2007-01-17 2007-01-17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345A KR20080067880A (ko) 2007-01-17 2007-01-17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80A true KR20080067880A (ko) 2008-07-22

Family

ID=3982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345A Withdrawn KR20080067880A (ko) 2007-01-17 2007-01-17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316B1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및그회전속도설정방법
JP4289388B2 (ja) 光ピックアップ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49304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및 이를 채용한 광 기록 및/또는 재생기기
KR20080067880A (ko) 광픽업 렌즈의 최대 상승 위치 설정방법
JP5109638B2 (ja) データ読取装置、焦点距離の再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93923B2 (en) Optical disc apparatus
KR100925218B1 (ko) 언밸런스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JP3565275B2 (ja) フォーカスサーチ方法
JP4048060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010079945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光ピックアップの温度特性補正方法
US7583568B2 (en) Focus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focus gain prior to focus-servo operation
JP4187012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6040463A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474772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US20080259749A1 (en) Recovery of Lost Track Focusing on an Optical Disc
JP411462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14116041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10020836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6024251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回避駆動信号設定方法
JP2005222640A (ja) 光ディスク装置
WO2005098833A1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4199779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制御方法
KR20060011252A (ko) 포커스 인입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8243330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1084604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