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50306A -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0306A
KR20070050306A KR1020050107715A KR20050107715A KR20070050306A KR 20070050306 A KR20070050306 A KR 20070050306A KR 1020050107715 A KR1020050107715 A KR 1020050107715A KR 20050107715 A KR20050107715 A KR 20050107715A KR 20070050306 A KR20070050306 A KR 2007005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put means
input device
movement
sen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5010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0306A/ko
Priority to MX2008006122A priority patent/MX2008006122A/es
Priority to CA002629352A priority patent/CA2629352A1/en
Priority to CNA2006800421678A priority patent/CN101305335A/zh
Priority to MYPI20081504A priority patent/MY147227A/en
Priority to JP2008539937A priority patent/JP4909355B2/ja
Priority to BRPI0618453-7A priority patent/BRPI0618453A2/pt
Priority to AU2006312430A priority patent/AU2006312430B2/en
Priority to US12/092,409 priority patent/US20120212411A1/en
Priority to EP06812540A priority patent/EP1949205A4/en
Priority to PCT/KR2006/004707 priority patent/WO2007055532A1/en
Priority to RU2008123540/07A priority patent/RU2427025C2/ru
Priority to NZ568202A priority patent/NZ568202A/en
Publication of KR2007005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306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회의 입력동작으로 하나 이상의 문자(음소)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이동입력 및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및 방향입력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문자/숫자/기호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은 입력수단과 감지수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장치, 입력방법, 이동입력, 방향입력, 위상입력, 조합입력, 단일입력기능, 펌핑입력, 문자입력, 한글입력, 영어입력, 일본어입력, 정보기기, PC, PDA, 휴대폰, 노트북, 입력 키, 입력버튼, 입력수단, 감지수단, 센서, 광센서, 압력센서, 접촉센서

Description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Devices and method for inputting alphabet/symbols/nu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모형도.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에 채용된 일 예의 입력수단을 나타낸 모형도.
도 3은 도 1의 입력장치에 채용된 다른 예의 입력수단을 나타낸 모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에서 펌핑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에서 펌핑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에서 펌핑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나타낸 모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수단의 자동복귀를 위한 탄성체로 실리콘 배합고무가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 모형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입력수 단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이 회전판 형태인 경우를 나타낸 모형도.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다른 예의 모형도.
도 13은 도 11에 대응하는 다른 예의 모형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하단 형상을 도시한 모형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바닥 형상을 나타낸 모형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원형가이드수단과 입력수단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모형도.
도 17은 도 16의 다른 예를 나타낸 모형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한글 [자음+모음+자음]이 입력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형상을 나타낸 모형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돌출형 입력수단을 나타낸 모형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을 손가락으로 거머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력수단을 나타낸 모형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모형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움직임이 볼마우스 방식으로 감지되는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현된 입력 단말의 일 예 를 나타낸 모형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듀얼 타입으로 제공된 입력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낸 모형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모형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채용된 입력 단말의 예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입력수단 12… 버튼
14… 탄성체 16… 입력 단말
42… 버튼 52… 압력센서
54… T형 연결구 56… 상단부재
62… T형 연결구 64… 압력센서
102… 원형가이드수단 110… 감지수단
112… 가이드수단 132… 돌기
134… 클릭 홈 136… 금속제 링
142… 볼 152… 바닥
154… 중앙부 162… 감지수단
164… 지지 링 192… 오목부
222… 버튼 232… 버튼
242… X축 롤링 244… Y축 롤링
252… 스크린 254… 문자판
272… 압력센서
본 발명은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의 문자입력량과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노트북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상술한 PC/노트북/PDA/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숫자/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타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러한 ‘1타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 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욱 많은 버튼이나 입력 키를 증설 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 키에 문자를 배열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입력 키의 배열면적이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 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렵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으며, 휴대폰의 경우에는 단지 12개의 버튼으로 24자 이상의 한글 문자를 모두 입력하다 보니 1개의 버튼에 다수개의 문자를 중복 배열하는 것이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하나의 문자(음소)를 입력하기 위해 두 번, 세 번 반복하여 입력하는 ‘반복입력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그만큼 입력이 느려지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천지인’과 같이 소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입력하는 문자입력방식이 제안되기도 했지만, 이 방식에 의해서도 반복입력현상은 해소되지 못하였다.
이 외에도 근래 다양한 종류의 입력장치가 선보이고 있다.
예컨대, 둘둘 말아서 휴대할 수 있는 키보드, 키보드 자판의 이미지를 바닥에 영사하고 그 위에서 손가락으로 키보드를 입력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하면 손가락의 위치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가상레이저 키보드 등이 출시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입력장치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 고,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만 입력이 가능하므로 이동 중에 손으로 들고 입력할 필요가 있는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적용하기가 부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더욱 빠른 입력을 위해서는 협소한 배열공간에 충분한 수의 문자를 배열하면서 사용자 의도에 따라 각 문자를 정확하게 선택·입력할 수 있어야 하지만, 종래 입력방식이나 종래 입력장치로는 이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종래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입력수단을 도입하여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 중에 하나 이상의 음소가 입력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각 문자까지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이동되도록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입력장치의 중앙에는 수평방향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입력수단을 위치시키고, 동 입력수단의 위치이동이 방사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타자 방식의 종래 입력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입력수단을 도입하여 1회의 입력동작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음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아니한 모든 기술 용어와 과학적인 관련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아래 용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용어의 정의
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향입력”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구비된 입력수단 상(像)에서 내비게이션 키와 같이 다수의 방향으로 구분 입력할 수 있는 즉, 입력수단 상을 다수의 방향으로 나누고, 소정의 방향으로 입력수단 전체 또는 입력수단의 상단부(재)만을 비스듬히 기울이거나 동 입력수단 상의 각 방향에 버튼이 위치된 경우에는 소정 방향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하는 행위인 것으로 정의한다. 입력 수단 상에서 다수의 방향으로 “방향성 입력”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제어부에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면 입력수단의 동작 및/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본 명세서에서 “이동입력”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구비된 입력수단 전체를 동일 평면상에서 임의 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키거나 임의 각도/방향으로 기울이는 등 입력수단의 중심점을 위치 이동시켜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하는 행위인 것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입력수단의 동작형태는 상기에 설명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동작형태를 갖지 아니하더라도 즉, 입력수단을 탄성(유동성)이 있는 소재로 제작하고, 입력수단의 미미한 유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설치할 경우 입력 수단에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했을 때 입력수단의 전체적인 위치는 이동되지 않더라도 제어부에는 상기 입력수단이 이동하여 입력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의 “이동입력”이란 입력수단의 동작 및/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으로 상기 입력수단을 수평방향 또는 수평에 가까운 횡 방향으로 미는(힘을 가하는) 행위와 결과적으로 상기 입력장치의 제어부에 입력수단이 이동 입력된 결과를 가져다주는 모든 동작을 포함한다.
3) 본 명세서에서 “위상입력”이란 상기 입력수단 전체 또는 입력수단의 상단부(재)가 임의 각도/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문자/숫자/기호가 입력되는 행위인 것으로 정의한다.
4) 본 명세서에서 “펌핑입력”이란 입력수단 전체가 손가락으로 눌러져 내려가 입력하는 행위인 것으로 정의한다.
5) 본 명세서에서 “단일입력”이란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중앙에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이 버튼을 누르거나 “펌핑입력” 등 상기 입력수단을 수직으로 눌러서 입력하는 행위인 것으로 정의한다.
6) 본 명세서에서 “배열”이라 함은 숫자/문자/기호가 인쇄된 지점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단일입력 또는 방향입력), 입력수단을 해당 지점으로 이동(이동입력)시켰을 때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정의한다.
7) 본 명세서에서 “모음”이란 외국어의 경우 발음이 한글모음에 해당하거나 언어학상의 분류기준에 따라 동 외국어의 알파벳을 2종류로 나누었을 때 상대적으로 개수가 적은 알파벳 집단에 속하는 알파벳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도면과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사항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정보기기용 입력장치의 구성 및 작용과 문자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는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문자/숫자/기호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일 실시예의 입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입력수단은 모든 감지수단과 가까우면서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각 감지수단으로의 이동이 정확하면서도 쉽도록 중앙에서 다수의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
또한, 상기 입력장치에는 입력수단을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입력이 가능하고, 단일입력기능이 제어부에 구현되어 있다. (청구항 3 및 4)
상기 입력수단은 이동 입력 시 전체가 수평이동하거나(청구항 5),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처럼 원위치로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통상의 (조이) 스틱이나 포인팅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움직임을 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7과 청구항 8에는 각각 입력수단의 방사방향으로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음이 입력되는 입력장치와, 입력수단의 원주방향으로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음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장치는 자음 입력을 방사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입력이 가능하고 원주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입력이 가 능하므로 상기 입력수단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원주이동경로에는 상기 방사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음이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9) 모음은 입력수단 상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동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모음이 입력되는 입력장치가 청구항 10에 청구되어 있다.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9와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방식 또는 문자배열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를 나타낸 모형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에 채용된 일 예의 입력수단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의 입력장치에 채용된 다른 예의 입력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가 채용된 정보기기의 사용자는 입력수단을 조작하여 다양한 문자와 숫자 및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청구항 11과 청구항 12의 내용을 모형화한 도 1 및 2에서 보듯이 입력 단말(16)에서의 입력모드전환에 의해 한글모음 또는 영어모음의 입력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입력수단(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버튼(12)을 중심으로 8개의 한글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과 7개의 영어모음(A, I, E, O, U, W, Y)이 서로 짝을 지워 8방향에 각각 배열되어 있으며, 나머지 한글모음(ㅡ, ㅣ)과 숫자 0과 9가 상기 입력수단의 중앙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입력종료 시 상기 입력수단이 항상 원래 위치에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체(14)가 개재된 입력 단말(16)의 입력영역에는 한글 자음 14자와 1~8까지의 숫자가 8방향에 나뉘어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12)은 정보기기의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약간의 힘을 주어 눌렀을 때에만 입력동작이 취해지도록 충분한 반동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어 알파벳의 모음 7자를 배열하는 경우, 한글모음을 배열할 때와 비교하여 3자리가 공석(空席)이므로 이 빈자리에 영어 알파벳 중 모음 7자를 제외한 임의의 알파벳을 배열하거나 기타 자주 쓰이는 기능-예컨대 엔터나 스페이스, 취소, 콤마 등의 기능-을 배열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10)의 중앙에 형성된 버튼(12)과 펌핑입력에 의하여 한글모음 중 ㅡ, ㅣ 가 입력되고 나머지 한글모음 중 ㅏ, ㅓ, ㅗ, ㅜ 가 입력수단의 4방향에 문자배열되어있어 이의 조작에 의해 한글 기본모음 10자가 모두 입력되는 것이다.
예컨대, 청구항 14와 청구항 15에는 도 3의 입력수단에 의한 한글 기본모음 10자의 입력형태가 청구되고 있는데, 그 중 한 가지 형태로는 입력수단의 4방향에 배열된 한글모음 ㅏ, ㅓ, ㅗ, ㅜ 의 방향입력과 펌핑입력에 의해 한글모음 ㅑ, ㅕ, ㅛ, ㅠ 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고(청구항 14), 다른 형태로는 입력수단의 4방향에 배열된 한글모음 ㅏ, ㅓ, ㅗ, ㅜ 의 어느 한 방향을 중앙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누르면 한글모음 ㅑ, ㅕ, ㅛ, ㅠ 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청구항 15) 이때, 설명되지 아니한 나머지 한글 모음 ㅡ, ㅣ 는 도 1에 도시된 버튼(12)과 펌핑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청구항 16 내지 19에는 도 3의 입력수단을 이용한 영어모음의 입력형태가 청 구되고 있는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⑴ 청구항 16에는 입력수단의 4방향에 문자배열된 알파벳 모음 A, E, O, W 중 E, O, W 가 방향입력과 펌핑입력에 의해 알파벳 모음 E→I, O→U, W→Y로 입력되는 방식이 청구되고 있고, ⑵ 청구항 17에는 입력수단의 4방향에 문자 배열된 알파벳 모음 A, I, U, Y 중 I, U, Y 가 방향입력과 펌핑입력에 의해 I→E, U→0, Y→W로 입력되는 방식이 청구되고 있으며, ⑶ 청구항 18에서는 상기 알파벳 모음 중 E, O, W는 중앙의 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상기 입력수단의 방향입력에 의해 E→I, O→U, W→Y로 입력되는 방식이 청구되고 있다. 또한, 청구항 19에는 상기 알파벳 모음 중 I, U, Y는 중앙의 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방향입력에 의해 I→E, U→O, Y→W로 입력되는 방식이 청구되고 있다.
아울러, 영어 알파벳 26자 중 모음으로 분류된 7자(A, I, E, O, U, W, Y)를 제외한 나머지 영어 알파벳(자음) 19자는 청구항 20과 도 1에서 참조하는 것처럼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을 허용하는 방사이동경로 또는 원주이동경로에 각기 2개씩 쌍을 엮어 8방향에 총 16개를 배열하고 나머지 3개(3자)는 입력수단 상에 배열하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한글의 경우 기본자음 14개를 2개씩 8방향에 배열하면 2군데 공석이 생기므로 이 자리(공석)에는 자주 사용되는 여타 문자/숫자/기호를 배열할 수 있다. 또한, 한글 쌍 자음은 기본자음의 입력 시 버튼과의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에 의해서는 자음이 입력되고 입력수단 상에서의 입력동작에 의해서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1) 즉, 자음 입력 시에는 상기 입력수단을 해당 방향으로 위치이동시켜 입력하고 모음 입력 시에는 입력수단 상에서 해당방향으로 방향입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음+모음] 형태로 입력할 때에는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을 조합하여 한 동작으로 완수할 수 있다. 또한, [자음+모음+자음] 형태로 입력할 때에는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과 동시에 방향입력을 하고 이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입력하는 한 동작으로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자음+자음] 형태의 입력 시에는 해당 자음이 문자배열된 위치로 방사방향 이동입력을 두 번 행하여 입력할 수도 있지만,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 후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한 동작으로 완결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알파벳에서는 자음부터 시작되는 한글과 달리 모음이 앞에 나오는 단어가 많다.
즉, 모음만 입력하고자 할 시에는 입력수단이 움직여지는 입력영역의 중앙에 동 입력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입력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해당 방향의 모음을 눌러 방향입력하고,
[모음+모음] 형태로 입력 시에는 입력수단 상에서 해당 모음이 배열된 방향으로 두 번 연속하여 방향입력을 하고,
[모음+자음] 형태의 입력 시에는 방향입력과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조합하여 한 동작으로 완수할 수 있다.
물론 [자음+모음] 입력 시나 [모음+자음] 입력 시에는 상기와 같이 각 입력동작을 조합하지 않고, 한 동작씩 구분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보다 빠른 입력을 위하여서는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을 서로 조합하여 한 동작에 하여주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때는 이동입력 동작과 방향입력 동작 중 어느 동작을 조금 먼저 행하여 주느냐에 따라 [자음+모음] 또는 [모음+자음] 형태의 입력이 결정된다. 즉, [모음+자음] 형태의 입력 시에는 입력수단에서의 방향입력을 이동입력보다 조금 먼저 행하여 한 동작에 완수하는 것이다. 이것은 미묘한 차이지만 숙달을 통하여 능숙히 구분 입력할 수 있다.
[모음+자음+모음] 형태의 입력은 방향입력과 동시에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하고 이어서 방향입력 하는 한 동작으로 입력을 완수할 수 있다.
[모음+자음+모음+자음+자음] 형태는 방향입력과 방사방향 이동입력을 동시에 하고 연이어 방향입력을 하여줌과 동시에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하고 입력수단이 중앙의 위치로 되돌아옴과 동시에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연이어 하여 줌으로써 유선형의 이어진 한 동작에 완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각 입력동작의 거리감각 및 위치감각이 손가락에 익숙해지면 여러 문자를 연속하여 이어진 한 동작에 완수할 수가 있다. 자주 사용하는 단어들은 각 입력동작의 방향들과 순서들이 익숙해져 기계적으로 바로 한 동작씩에 완수해낼 수가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방향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입력장치를 구성하는 제어부는 한글입력 시 자음이 먼저 입력 처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2) 예컨대, 상기 입력수단을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입력수단 상에서 방향입력동작을 취하여 소정의 시간 내에 두 개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신호가 동시에 또는 모음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에 먼저 도달하는 경우에도 자음에 대한 신호가 우선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6은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행위에 의해 모음 입력이나 기타 기능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 지를 나타낸 모형도로서 이에 관한 것이 청구항 23 내지 25에 청구되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및 청구항 23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수단(10)의 상단부(재)에 각 입력방향에 따라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버튼(42)이 다수 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24와 도 5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T형 연결구(54)의 넓은 면에 다수의 압력센서(52)가 부착된 상태로 유연한 재질의 입력수단용 상단부재(56)가 상기 T형 연결구(54)에 씌워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입력수단의 상단부(재)가 수평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고 이로부터 각각의 압력센서(52) 중 가장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센서에 의해 위상입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 또한, 위상입력의 한 실시예로서 상기 입력 수단의 상단부(재) 아래에 멤브레인이나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반발력)이 있는 감지수단이나 탄성체가 하단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의 기울어짐을 지지해주는 중앙의 버팀대(기둥)가 없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이 스틱의 움직임을 취하는 도 6에는 상술한 도 5의 경우와 반대로 다수의 압력센서(64)가 부착된 T형 연결구(62)의 넓은 면이 아래(지면)를 향하게 배치되어 있어, 상기 입력수단을 임의 방향으로 기울이면 해당 부위의 압력센서가 반응하여 위상입력이 이루어진다.
또한, 입력수단의 형상에 따라서는 도 27과 같이 로드(rod) 부분에 인접하여 압력센서(272)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와 도 27과 같이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아래에는 상단부(재)와 마주하는 받침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청구항 25)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력센서가 입력수단 또는 입력수단 상에서의 입력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사용되었지만, 청구항 26에 기재된 것처럼 압력센서 이외의 다른 수단-예컨대 멤브레인이나 러버돔 등의 스위치(버튼)이나 접촉스위치, 접촉센서,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단일입력이 가능한 형태의 입력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한 것이 청구항 27 내지 29에 청구되고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청구항 27의 내용이 반영된 도 7과 같이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중앙에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버튼(12)이 설치된다든지, 청구항 28의 내용을 구현한 도 8과 같이 입력수단 전체가 상하 펌핑이 가능하 게 설치됨으로써 단일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청구항 29에 청구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압력센서/접촉센서/접촉스위치/광센서 등을 설치하여 펌핑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⑴ 입력수단의 펌핑입력을 사용한 상태에서 이동입력 시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구현된 제어부가 다른 문자/숫자/기호 세트를 호출하여 신호처리하는 형태(청구항 30) 또는 ⑵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단일입력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본래와는 다른 신호를 입력 처리하는 형태(청구항 31) 및 그 방법(청구항 32) 또는 ⑷ 상기 입력수단 의 단일입력기능이 엔터/스페이스/취소/마침/쉼표/문자/숫자/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단일입력에 의해 2개의 입력신호가 처리되도록 하는 형태 (청구항 33) 또는 ⑸ 상기 입력수단의 단일입력기능이 엔터/스페이스/취소/마침/쉼표/문자/숫자/기호로 기능하고, 한/영/숫자/기호나 알파벳의 대/소문자 등으로 전환하는 전환키의 기능도 하며, 통화 시에는 통화/종료키의 기능을 하는 (청구항 34)의 단일입력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각각의 입력장치는 입력수단을 손가락으로 누르는 펌핑동작에 의해 전체가 상하운동을 하는 펌핑입력과 중앙에 버튼이 있는 단일입력 기능으로 각각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이러한 단일입력과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이 서로 조합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입력 값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적용가능한 입력수단의 형상과 동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의 형상 및 이들 구성요소 간 결합관계를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0은 청구항 35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과 도 1에서 참조되듯이, 입력수단(10)을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는 원형가이드수단(102)이 상기 입력수단(10)의 둘레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의 틈새 부분이 탄성체(14)로 메워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14)의 소재로는 청구항 65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고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고무 소재가 9:1의 비율로 배합된 유연한 배합고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청구항 64에서 청구된 것처럼 상기 입력수단(10)의 이동입력 완료 후 상기 탄성체(14)의 작용으로 입력수단이 원래 위치인 중앙에 복귀하게 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입력수단을 정확한 방향으로 예컨대 정확한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수단(112)이 구비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청구항 36)
도면에서 보듯이, 가이드수단(112)의 중앙에는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입력수단(1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사이동경로가 상기 입력수단을 중심으로 12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방사이동경로 상에 다수의 감지수단(1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입력수단(10)에 구비된 버튼(12, 42)을 조작하거나 입력수단 전체를 상하로 펌핑하거나 이동시키는 동작을 취하여 다양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다른 예의 모형도로서, 탄성체가 생략 도시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가이드수단과 다른 점은 방사이동경로의 외측 단에 하나의 원주이동경로가 연통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에 관한 사항이 청구항 37에 청구되고 있다.
한편, 청구항 38에는 상기 가이드수단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판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가 청구되어 있는데, 도 13은 이를 도식화한 것이다.
동 도면에서, 회전판 형태로 제공된 본 실시예의 가이드수단(112)은 12시 방향과 6시 방향의 단면 부분에 클릭 감을 주기 위한 돌기(132)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클릭 홈(134)을 가진 탄성 부재(136)가 상기 돌기와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가이드수단의 외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수단을 회전시키면 돌기(132)가 클릭 홈(134)과 마주치면서 딸깍거리는 클릭 음과 함께 클릭 감을 주게 된다. (청구항 76)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입력수단의 하단 형상을 도시한 모형도로 서, 청구항 40과 청구항 42에 청구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로 유동하면서 회전 가능한 볼(142)이 입력수단(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142)의 소재로는 미끄러우면서도 마모가 없고 내구성이 강한 아세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142)은 청구항 39에 기재된 (하단) 기둥으로 대체 가능하며, 이 기둥도 청구항 41에서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위에 제시된 36, 37, 38항의 입력장치에서 상기 입력수단의 주위에 원형가이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입력수단이 방사방향이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 시 입력수단을 지지하거나 또는 가이드 하여 줄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청구항 43)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바닥 형상을 나타낸 모형도로 청구항 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 14에 도시된 볼 또는 청구항 39에 기재된 기둥이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각각의 방사이동경로의 내측 단이 집중되고 있는 중앙부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각 방사이동경로의 바닥들이 경사져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의 소재로는 아세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볼이 더욱 원활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바닥 표면이 실리콘(TR 55)으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청구항 45에 기재된 것처럼 입력수단의 둘레나 원형가이드수단 사이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의 이동 시 마찰을 줄이기 위한 회전 링이 추가로 설치된다든지, 도 16 및 도 17과 청구항 4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10)과 원형가이드수단(102) 사이에 지지 링(164)이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수단/지지 링/원형가이드수단 사이에는 탄성 정도 또는 강도가 다른 2종류의 탄성체(14)를 각각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청구항 47), 이들 탄성체(14) 내에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 및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종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스위치/광센서/접촉스위치/압력센서/접촉센서 등의 감지수단(162)을 설치하거나 첨부된 도 11과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이드수단/원형가이드수단의 방사이동경로 또는 원주이동경로 상에 다수의 감지수단을 설치하여 두는 것이 좋다. (청구항 48)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도 16과 같이 충진방식으로 채워지거나 도 17과 같이 연결 가능한 구조일 수 있으며, 더 딱딱한 탄성체가 원형가이드수단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대부분의 언어에서 자음은 12자 이상이다.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으로의 이동방향은 4방향 또는 6방향 또는 8방향 또는 12방향 또는 그 이외의 방향 등 다수의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이동방향을 8방향 또는 12방향으로 할 경우 자음은 8방향 또는 12방향에 모두 배열되기 어려우므로 한 방향의 이동경로에 문자가 복수 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위에 서술한 방사방향으로의 이동경로에 감지수단을 복수배열하거나 원형가이드 수단에 지지 링과 같은 방식으로 감지수단을 복수 배열하는 방법 또는 펌핑 입력 기능으로 이동입력 시 본래와는 다른 자음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또는 원형가이드 수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세기에 따라 다른 자음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처리하게 할 수도 있다. (청구항 57)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서는 상기 감지수단이 원형가이드수단의 벽면(청구항 49) 혹은 가이드수단/원형가이드수단에 형성된 방사이동경로나 원주이동경로의 하단(청구항 50) 또는 가이드수단의 벽면(측면)에 설치되거나(청구항 51) 도 16처럼 지지 링의 내면 쪽 각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청구항 52)
또한, 상기 감지센서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멤브레인이나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청구항 53) 또는 접촉스위치나 접촉센서(청구항 54) 또는 컬러센서/포토인터럽터 등의 광센서(청구항 55) 또는 압력센서(청구항 56)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센서가 압력센서인 경우에는 도 16처럼 지지 링에 제1열의 압력센서를 배치하고 원형가이드수단과 탄성체의 접촉부분에는 제2열의 압력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압력센서가 각기 다른 압력하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에 탑재된 제어부 혹은 동 제어부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된 램(RAM)이나 데이터베이스에 더욱 많은 수의 문자세트/숫자세트/기호세트를 기록·저장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7) 한편, 상기 센서들과 스위치들은 그 구조/설치방법/기능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수단이 회전판 방식인 경우 상기 가이드수단이 회전한 각도에 대응하여 문자/숫자/기호가 입력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58) 아울러, 상기 입력수단이 원형가이드수단이나 가이드수단 의 원주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여러 개의 감지수단에 감지될 때 마지막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문자/숫자/기호가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청구항 59)
도 18은 청구항 59를 도식화한 일 예로 동 도면에서 보듯이 입력영역의 중앙에 위치한 입력수단(10)을 원형가이드수단(102)의 일 측으로 밀어붙이는 정도에 따라 제1열에서만 감지신호가 생성되어 해당 자음이 입력되거나 제1열과 제2열에서 동시에 2개의 감지신호가 생성된 경우는 제2열에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자음이 입력되고, 이어 입력수단에 배열된 다수의 버튼(42)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모음이 입력되며, 상기 입력수단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 시 맨 마지막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자음이 종성(자음)으로 입력되게 된다.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형상 또는 그 소재에 관한 사항이 청구항 60 내지 청구항 63에 청구되어 있다. 도 19는 청구항 60에서 청구된 입력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부(192)가 상단부(재) 표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상 측면에서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구조로는 청구항 63에서 청구된 요철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는 표면이 위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半球)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소재 측면에서 손가락의 슬립을 방지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청구항 61과 같이 입력수단의 상단부(재)에 손끝과의 접촉성이 좋은 고무계열의 슬립방지소재를 덧씌우거나 청구항 62처럼 입력수단 전체를 고무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수단이 입력영역의 중앙으로 원위치한 때 초기화(리셋)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66) 이러한 리셋기능은 제어부에 해당 프로그램을 탑재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입력수단(10)이 바닥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높게 돌출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67) 이 경우, 정보기기 사용자는 이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입력수단(10)의 상단부(재)를 도 21처럼 손으로 거머쥐고 방향입력(입력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8)
또한, 도 2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입력수단(10)의 상단부(재) 측면에, 문자/숫자/기호/엔터/취소/커서/조합/전환 키의 기능을 하는 다수의 버튼(222)이 구비될 수도 있다. (청구항 69)
또한, 청구항 70을 도식화한 도 23에서 보듯이 상술한 각 실시예의 입력장치가 채용된 PDA나 휴대폰과 같은 입력 단말(16)의 측면 혹은 하단에, 문자/숫자/기호/엔터/취소/커서/조합/전환 키의 기능을 하는 다수의 버튼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입력수단은 그 움직임이나 현재의 위치가 볼마우스( 트랙볼) 방식, 광마우스 방식, 터치 패널 등에서 사용되는 광센서 (적외선) 매트릭스 방식이나 표면파(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감지될 수 있다. (청구항 71 내지 청구항 74) 도 24는 입력수단의 움직임(위치)을 감지하는 방식이 볼마우스 방식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청구항 40과 42에 기재된 볼(142)이 X축 롤링(242)과 Y축 롤링(244)에 각각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6과 같이 원위치로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통상의 스틱이 입력수단으로 취하여 질 때에는 입력수단의 이동을 도 6과 같이 입력수단의 하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입력수단의 움직임에 의하여 생성되는 감지신호의 좌표값에 대응하는 데이터 값을 입력하는 트랙포인트와 같은 방식으로 입력수단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청구항 75)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수단의 방사이동경로 또는 원주이동경로 상에 클릭 감을 주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청구항 77) 예컨대, 도 11의 방사이동경로 상에 배열된 감지수단(110)의 바로 앞쪽이나 뒤쪽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청구항 78에 기재된 것처럼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시 동 입력수단이 위치해 있는 지점에 할당된 문자가 소리로 표출되게 할 수도 있는데, 이때의 소리는 정보기기(입력 단말)에 갖추어져 있는 스피커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에는 상기 각 실시예의 입력수단과 가이드수단과 원형가이드수단에 구현된 문자/숫자/기호의 배열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접속될 수 있으며(청구항 79),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수단의 현재 위치 혹은 입력내용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청구항 80) 도 25는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 일 실시예의 입력 단말(16)을 나타낸 것으로,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시 상기 입력수단의 현재 위치가 스크린(252)의 좌측 코너에 나타나 있는 그래픽 형태의 문자판(254)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두운 실내나 야간에서도 원활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나 입력수단 또는 입력 단말에 조광기능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청구항 81) 이러한 조광기능은 핸드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입력수단이 도 20처럼 위로 뽑히는 경우에는 (조이) 스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82) 이러한 조이스틱으로서의 기능은 입력장치 또는 입력 단말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해당 프로그램을 탑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실시예의 입력수단이 마우스로 기능할 수도 있는데, 이 마우스 기능은 예컨대 동 입력수단에 구비된 버튼 중 하나를 마우스 전환키(버튼)로 설정하고 이의 온-오프를 제어부가 검출하는 것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83)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의하면, PDA나 핸드폰 등의 입력 단말에서 음악/메시지 등의 검색이 빠르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마우스의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회전 휠이 입력수단의 외측에 추가로 구비되거나 입력수단 자체에서 회전하여 수행 수 있다. (청구항 84 및 청구항 86) 또한, 상기 입력수단은 검색 및 스크롤 기능 외의 용도로도 자체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청구항 85)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청구항 87 및 도 26에서 참조되듯이, 입력 단말(16)의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2개의 입력수단(10)과 이에 대응하는 2개의 가이드수단/원형가이드수단을 가진 듀얼 타입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의 입력장치로 문자 등을 입력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88에는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청구되고 있다.
또한, 입력 방법에 있어서 입력수단의 단일입력기능을 더하여 입력을 하는 문자입력방법(청구항 89)과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력수단과 감지수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이 입력되고 입력수단 상에서의 입력에 의해서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이 청구항 90에 청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입력수단은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할 뿐 아니라(청구항 91), 입력수단의 이동입력/방향입력의 조합을 통해 연속된 1회의 입력동작으로 다수의 문자/숫자/기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92)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채용된 입력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서, 문자/숫자/기호 등을 입력하거나 다른 부가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입력수단 상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한다든지 동 입력수단을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이를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가 동 감지신호에 대응하는 문자/숫자/기호를 D/B에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표시하거나 당해 부가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로딩함으로써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게 된다. 한편, 상기 D/B에는 각종 외국어와 관련된 알파벳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입력 단말에 갖추어져 있는 유무선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알파벳 관련 데이터나 여러 가지 그래픽 데이터가 필요할 때마다 다운로드 방식으로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정보기기용 입력장치와 동 입력장치를 활용한 문자 등의 입력방법에 의하면, 각 문자까지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제작한 새로운 형태의 입력수단을 통해, 1 회의 연속된 입력동작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음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한 손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문자입력과 통화연결이 가능해진다.
또한, 협소한 면적 내에 주요 문자들을 모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입력이 요구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개인용 휴대기기-예컨대 PDA/IMT-2000/핸드폰-의 크기를 현저히 슬림화/경량화할 수 있다.

Claims (92)

  1.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방향입력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문자/숫자/기호를 추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입력은
    상기 입력수단이 다수의 방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단일입력”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 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여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이동입력 시 전체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원위치로의 자동복귀가 가능한 통상의 스틱이나 포인팅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움직임을 취하는 입력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시 방사방향으로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시 원주방향으로의 위치이동에 의해 자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원주방향으로의 위치이동을 허용하는 원주이동경로에는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자음이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한글 모음 또는 일본어 모음 또는 알파벳 모음(A, I, E, O, U, W, Y)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중앙에 구비된 버튼과 펌핑입력에 의해 한글 모음 ㅡ, ㅣ 가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는 상기 입력수단의 8방향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중앙에 구비된 버튼과 펌핑입력에 의해 한글 모음 ㅡ, ㅣ 가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ㅏ, ㅓ, ㅗ, ㅜ 는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배열된 한글 모음 ㅏ, ㅓ, ㅗ, ㅜ 중 어느 한 방향을 눌러 방향입력을 할 때 더 세게 힘을 가해 펌핑입력이 함께 되도록 하여 누르면 ㅏ, ㅓ, ㅗ, ㅜ 가 각각 한글 모음 ㅑ, ㅕ, ㅛ, ㅠ 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배열된 한글 모음 ㅏ, ㅓ, ㅗ, ㅜ 의 어느 한 방향을 중앙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누르면 한글 모음 ㅑ, ㅕ, ㅛ, ㅠ 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알파벳 모음 A, E, O, W가 배열되고, 상기 알파벳 모음 중 E, O, W의 어느 한 방향을 눌러 방향입력을 할 때 더 세게 힘을 가해 펌핑입력이 함께 되도록 하여 누르면 E→I, O→U, W→Y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알파벳 모음 A, I, U, Y가 배열되고, 상기 알파벳 모음 중 I, U, Y의 어느 한 방향을 눌러 방향입력을 할 때 더 세게 힘을 가해 펌핑입력이 함께 되도록 하여 누르면 I→E, U→O, Y→W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알파벳 모음 A, E, O, W가 배열되고, 상기 알파벳 모음 중 E, O, W의 어느 한 방향을 중앙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누르면 E→I, O→U, W→Y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4방향에 알파벳 모음 A, I, U, Y가 배열되고, 상기 알파벳 모음 중 I, U, Y의 어느 한 방향을 중앙버튼을 누름과 함께 연이어 누르면 I→E, U→O, Y→W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상에 알파벳 자음 19자 중 3자가 배열되고, 나머지 알파벳 자음 16자는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을 허용하는 방사이동경로 또는 원주이동경로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에 의해 자음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글입력 시 이동입력과 동시에 방향입력을 할 때 소정의 시간 내에 자음입력과 모음입력이 동시 또는 모음입력이 먼저 이루어지더라도 자음입력을 먼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3.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에 방사상 다수의 방향으로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입력을 위한 버튼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4.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위상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입력수단 전체 또는 입력수단의 상단부(재)가 수평면에 대해 임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하단에 하단 받침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방향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 압력센서, 접촉센서, 접촉스위치, 광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 중앙에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전체가 펌핑입력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9. 제3항 내지 제6항 또는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지점에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압력센서/접촉센서/접촉스위치/광센서 중 어느 하나가 감지수단으로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0.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28항,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을 펌핑 입력한 상태로 이동입력 시 각각 다른 문자/숫자/기호 세트를 호출하여 신호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1.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의 단일입력을 조합하여 본래와는 다른 신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2.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단일입력을 조합하여 본래와는 다른 신호를 입력하는 조합 입력방법.
  33.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단일입력기능이 엔터/스페이스/취소/마침/쉼표/문자/숫자/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되고,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단일입력에 의해 2개의 입력신호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4.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단일입력기능이
    엔터/스페이스/취소/마침/쉼표/문자/숫자/기호로 기능하고, 한/영/숫자/기호 나 알파벳의 대/소문자 등을 전환하는 전환키의 기능을 하며, 통화 시에는 통화/종료키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5.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을 위한 원형가이드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6. 제2항, 제3항, 제5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정확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입력수단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여 주는 가이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원주방향으로 원주이동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판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9. 제36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하단에 기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0. 제36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하단에 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하좌우로 유동하면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3. 제36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 시 입력수단을 지지하여주거나 가이드 하여주는 원형가이드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4. 제 39항 또는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의 입구 바닥은
    상기 입력수단의 하단에 설치된 기둥 또는 볼이 쉽게 진입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5. 제35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 또는 원형가이드수단에
    이동입력 시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회전 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6. 제35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과 원형가이드수단 사이에
    지지 링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과 지지 링과 원형가이드수단 사이에 각각 탄성체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8. 제36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 또는 원형가이드수단에는
    상기 입력수단의 방사방향 이동입력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복수 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9. 제35항 또는 제43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원형가이드수단의 벽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0. 제35항, 제36항, 제37항, 제38항,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수단 또는 원형가이드수단에 형성된 방사이동경로나 원주이동경로의 하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1. 제36항, 제37항, 제38항,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수단 또는 원형가이드수단의 벽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2. 제46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지 링의 각 방향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3. 제49항 내지 제5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멤브레인 또는 러버돔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4. 제49항 내지 제5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접촉스위치 또는 접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5. 제49항 내지 제5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6. 제49항 내지 제5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압력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에서 검출된 압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다른 문자/숫자/기호 세트를 호출하여 신호입력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는 문자/숫자/기호가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9. 제35항 또는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원형가이드수단 또는 가이드수단의 원주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여러 개의 감지수단에 감지될 때, 마지막 감지수단에서의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문자/숫자/기호가 입력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는 표면이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에 슬립방지소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전체가 고무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3.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상단부(재)에
    손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4. 제5항에 있어서,
    방향입력 후 상기 입력수단을 원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탄성체가 상기 입력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5.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6.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원위치로 자동 복귀되면 리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부로 높게 돌출되는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8. 제1항 내지 제6항과 제6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수단을 손으로 잡고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문자/숫자/기호/엔터/취소/커서/조합/전환 키의 기능을 하는 다수의 버튼이 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0.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의 하단 또는 측면에
    문자/숫자/기호/엔터/취소/커서/조합/전환 키의 기능을 하는 다수의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움직임이 볼마우스 방식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움직임이 광마우스 방식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움직임이 광센서 매트릭스 방식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움직임이 표면파(초음파) 방식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트랙포인트 방식으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방식의 가이드수단의 가장자리에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수단의 외측으로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클릭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7. 제36항 또는 제3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의 방사이동경로 또는 원주이동경로 상에 클릭 감을 주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8. 제35항 내지 제38항과 제4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 시
    이동위치에 할당된 문자가 소리로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9.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수단과 가이드수단과 원형가이드수단에 구현된 문자/숫자/기호의 배열을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동작에 따른 입력내용이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1.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야간에서의 입력을 원활하게 하는 조광기능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조이스틱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3. 제1항 내지 제6항과 제7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이 마우스로 기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4. 제35항 내지 제38항과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외측에
    회전 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5. 제35항 내지 제38항과 제4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자체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6.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음악/메시지 검색기능과 마우스 스크롤기능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양손 입력이 가능하도록 2개의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가이드수단 또는 원형가이드수단을 가진 듀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8. 입력수단과 감지수단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문자/숫자/기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방향입력에 의해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89.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단일입력기능을 더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90. 제88항 또는 제 8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에 의해서는 자음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수단 상에서의 입력에 의해서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91. 제88항 내지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원주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92. 제88항 또는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의 이동입력과 방향입력의 조합에 의해 1회의 입력동작으로 다수의 문자/숫자/기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방법.
KR1020050107715A 2005-11-10 2005-11-10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Abandoned KR20070050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715A KR20070050306A (ko) 2005-11-10 2005-11-10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MX2008006122A MX2008006122A (es) 2005-11-10 2006-11-10 Dispositivo de entrada de caracteres.
CA002629352A CA2629352A1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ting device
CNA2006800421678A CN101305335A (zh) 2005-11-10 2006-11-10 文字输入装置
MYPI20081504A MY147227A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ing device
JP2008539937A JP4909355B2 (ja) 2005-11-10 2006-11-10 文字入力装置
BRPI0618453-7A BRPI0618453A2 (pt) 2005-11-10 2006-11-10 dispositivo para a entrada de caracteres
AU2006312430A AU2006312430B2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ting device
US12/092,409 US20120212411A1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ting device
EP06812540A EP1949205A4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 DEVICE
PCT/KR2006/004707 WO2007055532A1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ting device
RU2008123540/07A RU2427025C2 (ru) 2005-11-10 2006-11-10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знаков
NZ568202A NZ568202A (en) 2005-11-10 2006-11-10 Character inpu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715A KR20070050306A (ko) 2005-11-10 2005-11-10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306A true KR20070050306A (ko) 2007-05-15

Family

ID=3802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715A Abandoned KR20070050306A (ko) 2005-11-10 2005-11-10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20212411A1 (ko)
EP (1) EP1949205A4 (ko)
JP (1) JP4909355B2 (ko)
KR (1) KR20070050306A (ko)
CN (1) CN101305335A (ko)
AU (1) AU2006312430B2 (ko)
BR (1) BRPI0618453A2 (ko)
CA (1) CA2629352A1 (ko)
MX (1) MX2008006122A (ko)
MY (1) MY147227A (ko)
NZ (1) NZ568202A (ko)
RU (1) RU2427025C2 (ko)
WO (1) WO200705553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7B1 (ko) * 2006-07-26 2008-06-04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9145593A3 (ko) * 2008-05-29 2010-03-25 Oh Eui Jin 데이터 입력장치
WO2011111887A1 (ko) * 2010-03-11 2011-09-15 Ji Song Hak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US8237593B2 (en) 2006-07-26 2012-08-07 Oh Eui-Jin Data inpu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7459B2 (en) 2007-01-07 2019-10-08 Apple Inc. Multitouch data fusion
JP2010533336A (ja) * 2007-07-11 2010-10-21 ユイ・ジン・オ 指の動作感知を利用した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入力変換方法
US20100141580A1 (en) * 2007-08-22 2010-06-10 Oh Eui Jin Piezo-electric sensing unit and data input device using piezo-electric sensing
JP5406196B2 (ja) * 2007-10-12 2014-02-05 ユイ・ジン・オ 文字入力装置
CN101939719A (zh) * 2007-12-05 2011-01-05 吴谊镇 字符输入装置
JP5381630B2 (ja) * 2009-11-13 2014-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携帯端末装置、文字入力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057586A1 (zh) * 2009-11-16 2011-05-1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利用方向操作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JP5427008B2 (ja) * 2009-11-27 2014-02-2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表示システム
US8896543B2 (en) 2010-09-06 2014-11-25 Avi Ettinger Virtual symbols-based keyboard
CN102238258A (zh) * 2011-05-03 2011-11-09 杨建忠 摇杆qwert手机全键盘
US20120290287A1 (en) * 2011-05-13 2012-11-15 Vadim Fux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multi-language input on a mobile device
CN103513776A (zh) * 2013-09-26 2014-01-15 胡华 键移式字符输入键盘
WO2014090124A1 (zh) * 2012-12-12 2014-06-19 重庆睿华洪科技有限公司 一种键移式键盘及应用键移式键盘的输入方法
US11422695B2 (en) * 2013-03-27 2022-08-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CN104345913B (zh) * 2013-07-26 2018-03-16 北京畅游天下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控制方法和装置
CN203786673U (zh) * 2013-09-26 2014-08-20 胡华 一种方向盘式字符键盘
CN104951216B (zh) * 2014-03-24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计时器的方法及装置
CN103955285A (zh) * 2014-04-30 2014-07-30 胡华 一种基于移动平面的键盘及应用该键盘的输入方法
CN104506528B (zh) * 2014-12-23 2018-02-23 国家电网公司 一种一体化网络安全接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417A (ja) * 1982-07-28 1984-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スイツチ
JPH03113667A (ja) * 1989-09-28 1991-05-15 Ezel Inc データ処理装置
JPH0434614A (ja) * 1990-05-31 1992-02-05 Oki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H04105113A (ja) * 1990-08-24 1992-04-07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RU2029353C1 (ru) * 1992-07-15 1995-02-20 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Киселев Сенсорная панель для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H07168658A (ja) * 1993-12-16 1995-07-04 Nec Corp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方法
AU3479197A (en) * 1996-06-10 1998-01-07 Mark Vayda Universal input device and system
US5953541A (en) * 1997-01-24 1999-09-14 Tegic Communications, Inc. Disambiguating system for disambiguating ambiguous input sequences by displaying objec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nput sequences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f use
JP3597060B2 (ja) * 1998-11-10 2004-12-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用日本語文字入力装置と文字入力方法
JP2000165499A (ja) * 1998-11-24 2000-06-16 Nec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それへの文字入力方法
JP2000267786A (ja) * 1999-03-16 2000-09-29 Ntt Docomo Inc 情報通信機器
JP2001331272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JP2002157076A (ja) * 2000-11-20 2002-05-31 ▲桜▼井精技株式会社 数字入力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情報操作端末
JP2002215309A (ja) * 2001-01-24 2002-08-02 Victor Co Of Japan Ltd 回転ダイヤル及び回転ダイヤル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JP2002236537A (ja) * 2001-02-09 2002-08-23 Canon Inc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2268803A (ja) * 2001-03-09 2002-09-20 Ergo Soft Corp 文字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文字入力装置
JP2002312118A (ja) * 2001-04-11 2002-10-25 Software Control Corp ウェアラブ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396518B1 (ko) * 2001-07-27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JP2003337649A (ja) * 2002-05-20 2003-11-28 Sony Corp 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JP2004133868A (ja) * 2002-10-11 2004-04-30 Masaru Iwata 電子機器の文字入力方法とその装置
JP3888280B2 (ja) * 2002-10-11 2007-02-28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体の回転位置決め装置
JP4203885B2 (ja) * 2002-11-21 2009-01-07 逸夫 熊澤 データ入力装置と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方式
KR100525470B1 (ko) * 2003-02-14 2005-11-23 오의진 입력키가 손가락의 이동반경 내에 위치되어 있는입력장치와 이를 사용한 명령 입력방법
JP2004327233A (ja) * 2003-04-24 2004-11-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用入力装置
JP2005115889A (ja) * 2003-10-06 2005-04-28 Toshiyuki Amino 回転キー式入力装置
WO2005064804A1 (en) * 2003-12-30 2005-07-14 Jongtae Park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337B1 (ko) * 2006-07-26 2008-06-04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8237593B2 (en) 2006-07-26 2012-08-07 Oh Eui-Jin Data input device
WO2009145593A3 (ko) * 2008-05-29 2010-03-25 Oh Eui Jin 데이터 입력장치
WO2011111887A1 (ko) * 2010-03-11 2011-09-15 Ji Song Hak 하나의 입력키로 3개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CN103109520A (zh) * 2010-03-11 2013-05-15 池松鹤 可用一个输入键输入三个信号的便携式终端及利用该终端的文字输入方法
US9459702B2 (en) 2010-03-11 2016-10-04 Song Hak JI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hree signals via one input key, and text input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8453A2 (pt) 2011-08-30
MY147227A (en) 2012-11-14
EP1949205A4 (en) 2012-11-14
CA2629352A1 (en) 2007-05-18
JP2009516260A (ja) 2009-04-16
AU2006312430B2 (en) 2012-03-08
WO2007055532A1 (en) 2007-05-18
US20120212411A1 (en) 2012-08-23
AU2006312430A1 (en) 2007-05-18
RU2427025C2 (ru) 2011-08-20
CN101305335A (zh) 2008-11-12
NZ568202A (en) 2011-04-29
MX2008006122A (es) 2008-12-18
EP1949205A1 (en) 2008-07-30
JP4909355B2 (ja) 2012-04-04
RU2008123540A (ru) 200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0306A (ko)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US8659552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52577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00265201A1 (en) Data input device
JP5097775B2 (ja) 文字入力装置
EP2074492A1 (en) Input device
CA2532839C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ller ball input
KR20080050352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10364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5811A (ko) 문자입력장치
KR100835337B1 (ko)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136367B1 (ko) 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080082551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62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20100014163A (ko) 원형 자판 배열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7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76860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KR20080099768A (ko) 데이터입력장치
HK1093583B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ller ball input
HK1095179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roller ball input
KR20080075675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112196A (ko)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1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