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70014799A -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799A
KR20070014799A KR1020050069739A KR20050069739A KR20070014799A KR 20070014799 A KR20070014799 A KR 20070014799A KR 1020050069739 A KR1020050069739 A KR 1020050069739A KR 20050069739 A KR20050069739 A KR 20050069739A KR 20070014799 A KR20070014799 A KR 20070014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data
signal
aud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희
서정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6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4799A/en
Publication of KR2007001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79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또는 캠코더 모듈을 이용하여 얻은 복수의 정지영상을 편집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거나, DMB 음악방송을 청취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편집한 정지영상이 슬라이드 식으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재생시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when edit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obtained by using a camera or camcorder module to play a music file or listen to a DMB music broadcast, the edited still image is select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device for audio reprodu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by a slide type.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재생시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편집하는 영상처리부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audio reprodu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for outputting an input signal of a user, and converting analog image data input from the camera module into digital data;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editing the plurality of converted image data to be continuously displayed by an output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 audio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previously stored or externally inputted audio data into analog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speaker; And a control unit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ontinuously display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a preset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CONTROL METHOD FOR DISPLAY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CONTROL METHOD FOR DISPLAY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영상처리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n image processor in a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controller in a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제어부 20 표시부10 control section 20 display section

30 영상처리부 31 카메라 모듈30 Image Processor 31 Camera Module

40 조작부 50 메모리40 Control Panel 50 Memory

60 오디오 처리부 61 스피커60 audio processor 61 speak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또는 캠코더 모듈을 이용하여 얻은 복수의 정지영상을 편집하여 음악파일을 재생하거나, DMB 음악방송을 청취할 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편집한 정지영상이 슬라이드 식으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재생시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when edit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obtained by using a camera or camcorder module to play a music file or listen to a DMB music broadcast, the edited still image is selected by a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ntrol device for audio reprodu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by a slide type.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휴대폰은 그 목적이 사람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다른 사람들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휴대폰에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현재 휴대폰은 단문 문자서비스(SMS), 게임,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및 영상촬영, 디지털 음원파일 재생,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휴대폰이 멀티미디어화 되가고 있는 것이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articularly mobile phones, are intended to allow people to easily carry and talk with others. As the technology for additional functions of these mobile phones continues to develop, mobile phones are now able to download various content through SMS, games, cameras and pictures, digital music files,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Can be. In other words, the cellular phone for making a telephone call is basically multimedia.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 되면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이하 카메라폰이라 함)도 대중화 되가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 폰이란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제조된 휴대폰이다. 카메라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항시 휴대가 가능하고, 특별한 제약없이 자유자재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으로 인해 카메라폰은 일반 휴대폰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리고, 카메라 폰은 단순히 사진만을 찍을 수 있는 제품에서 설정시간의 동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캠코더 기능이 포함된 제품도 출시되었으며, 더불어 광학줌 기능이 포함되어 일반 디지탈 카메라의 버금가는 성능을 지늬게 되었다.In particular, as digital cameras become popular, mobile phones equipped with camera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mera phones) are also becoming popular. A camera phone is a mobile phone that is manufactured to take pictures with a small camera module. Since the camera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the user can always carry it and can freely acquire the image data without any limitation. Due to this performance, the demand for camera phones is increasing despite the relatively higher price than general mobile phones. In addition, the camera phone has a product that includes a camcorder function that can acquire a set time video from a product that can only take a picture, and also includes an optical zoom function, which is equivalent to that of a general digital camera. .

또한, 휴대폰에 대용량의 메모리를 내장하여 디지털 음원파일, 예를 들면 엠 피쓰리 파일 및 동영상 파일등을 저장하여 재생하여 감상하거나, 특히 최근에 시행된 DMB 서비스를 통해 휴대폰에 멀티미디어 파일이 저장되어 있지 않아도, 고화질의 동영상 및 고음질의 오디오파일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휴대폰에서 직접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memory is built into the mobile phone to store and play digital sound source files such as MP3 files and video files, or multimedia files are not stored in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recently implemented DMB service. Even if high quality video and high quality audio files ar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y can be viewed directly on the mobile phone.

상기 휴대폰의 메모리에 내장된 엠피쓰리 파일등의 음악파일을 재생할 때, 단순히 미리 저장된 스킨만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음악파일의 정보, 예를 들면 제목, 플레이 타임등만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지루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DMB 서비스를 통해 음악감상시에도 해당하는 음악파일과 동시에 이미지 파일 하나 만을 공급받아, 상기 음악감상시 상기 공급받은 이미지 파일만을 디스플레이 하게 됨으로서, 오디오 방송의 청취시 사용자 마다 취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단편적인 이미지 만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When playing a music file such as MP3 file embedd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phone, simply display the pre-stored skin only on the display unit, or display only the information of the music file, for example, the title, play time, etc. Has the disadvantage of giving. In addition, only one image file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as the music file through the DMB service, and only the image file is displayed when the music is listened t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only the fragmentary image is displayed and does not satisfy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획득한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편집하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음악감상시 상기 편집한 이미지 파일 및 동영상 파일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dit the image files and video files obtained by the user directly by using the camera module, and the edited image file and when listening to music using a mobile phon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 video file in a slide man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 기에서 오디오 재생시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로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조작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편집하는 영상처리부와,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audio reprodu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user's input signal, and the analog image data input from the camera module as digital data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d editi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to be continuously displayed by an output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d converting previously stored or externally input audio data into analog data to a speaker.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ontinuously display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a preset audio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하는 영상데이터는 정지영상 데이터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or 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ill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하는 영상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이며,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동영상 데이터 중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프레임이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ing image data, the image processing unit extracts a desired image frame of the moving image data by the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the extracted The video frame may be edited to be displayed continuously.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DMB 오디오 방송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data is DMB audio broadcasting data.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중인지를 판단하여 재생중이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한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et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audio data is currently being played back and continuously displays the edited image data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the audio signal is being played back. It further comprises a featur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상기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편집된 영상데이터를 엠피쓰리 파일의 재생시나 디엠비 오디오 방송의 청취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직접 디스플레이 하게 함으로서, 오디오 감상시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directly edit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user and directly displays the edit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when playing MP3 file or listening to DMB audio broadcast. There is an advantage to satisfying.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면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3.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영상처리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서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operation process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controller in a display control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간략한 구성을 설명한다.First, a brief configuration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100)는 조작부(40)와, 표시부(20)와, 메모리(50), 통신부(70), 오디오처리부(60), 영상처리부(30), 제어부(10)를 포함한다.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unit 40, a display unit 20, a memory 50, a communication unit 70, an audio processing unit 60, an image processing unit 30, and a control unit ( 10).

조작부(40)는 다이얼 및 번지 지정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무선 인터넷 접속키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각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 또는 영상처리부(30)로 전송한다. 표시부(2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로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 영상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 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 그리고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어부(1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통신부(70)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7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 신호로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 출력하며,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킨다.The control unit 4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for dialing and addressing,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a wireless Internet access key. The control unit 10 or the image processing unit 30 generates key data for each key button press. To send.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for example, a character, image data, etc. gen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0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e memory 50 is divided into a ROM area in which control program data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tored, a RAM area in which data generated during a terminal control operation are temporarily stored,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area. Is controlled by access. The communication unit 70 performs a radio processing of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70 shifts the frequency band to a high frequency signal for wireless output and transmits the baseband transmission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ntenna and wirelessly outputs the high frequency signal to the baseband. Transition.

오디오처리부(60)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6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모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오디오처리부(60)는 제어부(10)를 통해 복조된 음성신호 및 미리 저장된 음원 데이터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 예를 들면 DMB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61)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40)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 및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한다.The audio processor 60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62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to a controller 10 by performing a process including voice encoding, or under a control of the controller 10, a voice memory (see FIG. (Not shown). 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60 performs a process including voice decoding on the demodulated voice signal and the pre-stored sound source data or externally input sound data, for example, DMB audio data through the control unit 10, and then the speaker 61. It is also printed through). In general, the audio processor 140 includes a firmware module including an analog circuit such as an amplifier and a filter,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circuit, a digital / analog conversion circuit, and a voice compression / extension module.

영상처리부(30)는 카메라 모듈(3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한다. 영상처리부(30)는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필터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 신호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 영상 압축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상처리부(30)는 조작부(40)의 설정 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image processor 30 processes an image input from the camera module 31. The image processing unit 30 generally includes an analog circuit such as a filter, an analog / digital conversion circuit,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nd an image compression module.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image processing unit 30 provides a function of receiving a set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40 to continuous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 data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제어부(10)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며, 메모리(120)에 저장된 시스템 동작동작프그램 데이터에 따라 동작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조작부(40)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처리부(30)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표시부(20)에 상기 편집된 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10 is generally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and is operated according to system operation program data stored in the memory 120.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ontinuously display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30 when the preset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40 to the display unit 20. The edited image data is display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100)에서 상기 영상처리부(30)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An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or 30 in 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사용자가 영상데이터 편집을 위한 키를 입력하는지 판단(S11)하여, 키가 입력되고, 해당하는 영상데이터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영상데이터가 정지영상인지 동영상인지 판단(S12)한다. 상기 선택한 영상데이터가 정지영상이면 복수의 정지영상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편집하여 이를 메모리(50)에 저장하고, 선택한 영상데이터가 동영상이면 사용자가 동영상 중에서 원하는 프레임만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여 선택한 프레임을 추출하고, 추출한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편집하여 메모리(50)에 저장한다. If the user inputs a key for editing the image data (S11), and if a key is input and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is sel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lected image data is a still image or a video (S12). If the selected image data is a still image, the display order of a plurality of still images is edi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50. If the selected image data is a video, the user can select only a desired frame from the video. The frame is extracted, and the display order of the extracted image frame is edited and stored in the memory 50.

상기와 같이 메모리(5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순서가 결정된 복수의 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image data in which the display order stored in the memory 50 is determined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사용자가 오디오 감상을 위한 키를 입력하는지 판단(S21)하여, 키가 입력되 면 엠피쓰리 파일과 같은 디지털 음원파일을 재생하거나 DMB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여 청취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메모리(5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순서가 결정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중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하라는 키가 입력되는지 판단(S23)하여 입력되면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nputs a key for listening to the audio (S21). When the key is input, the user plays a digital sound source file such as an MP3 file or receives and listens to a DMB audio broadcast. Subsequently, when the user determines whether a key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 desired image data is inpu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image data in which the display order stored in the memory 50 is determined (S23),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Done.

즉, 종래의 엠피쓰리 파일의 재생시 표시부(20)에 엠피쓰리 파일의 제목이나 재생시간만을 표시하거나, 특히 DMB 오디오 방송의 청취시에 오디오 정보와 동시에 수신되는 단편적인 영상정보만을 디스플레이 했던거와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오디오 재생시에 표시하여 줌으로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only the title or the playing time of the MP3 file on the display unit 20 during the playback of the conventional MP3 file, or in particular, displays only the fragmentary image information received simultaneously with the audio information when listening to the DMB audio broadcast. Unlike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user's satisfaction by displaying and zooming in on the image data desired by the user during audio reproduction.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획득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편집하여 엠피쓰리 파일 또는 DMB 등의 오디오 방송의 청취시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악감상의 향상된 만족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music for the user by editing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data acquired by the user using the camera module and displaying the image data when listening to an audio broadcast such as an MP3 file or a DMB. Has the effect of providing.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5)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오디오 재생시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로서, A display control device for audio reprodu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와,An operation unit for outputting a user input signal;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조작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수의 영상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편집하는 영상처리부와,An image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alog image data input from the camera module into digital data and editing the display unit to continuously display a plurality of image data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by an output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와,An audio processor for converting audio data, which is stored in advance o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alog data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speaker; 상기 조작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ontinuously display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a preset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하는 영상데이터는 정지영상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And 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or is still image dat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하는 영상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이며,The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or is moving image data.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조작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동영상 데이터 중 원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상 프레임이 연속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And the image processor extracts a desired image frame from the moving image data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and edits the extracted image frame to be continuously display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DMB 오디오 방송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And the audio data is DMB audio broadcast data.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중인지를 판단하여 재생중이면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편집된 영상 데이터를 연속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ontinuously display image data edit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when the predetermined signal is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audio data is being reproduced. Display control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50069739A 2005-07-29 2005-07-29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drawn KR200700147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739A KR20070014799A (en) 2005-07-29 2005-07-29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739A KR20070014799A (en) 2005-07-29 2005-07-29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799A true KR20070014799A (en) 2007-02-01

Family

ID=3808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739A Withdrawn KR20070014799A (en) 2005-07-29 2005-07-29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47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8396A1 (en) Mobile device having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US20070265031A1 (en) Mobile Phon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80317267A1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40173667A1 (en) Mobile phon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5117630A (en) Au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US20070253556A1 (en) Information Terminal
KR20070014799A (en)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372677B2 (en) Telephone device
KR100330850B1 (en) Tv telephone and method for listening tv audio signal by close folder cover
KR20050067865A (en) Mobile phone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contents with a telephone call
WO2006022076A1 (en) Information terminal
KR100547706B1 (en) How to register wallpaper on TV
KR100353217B1 (en)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producing video mail in moving picture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KR10107558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ble to receive Radio broadcasting
KR100502715B1 (en) Battery pack for storing a data
KR100584414B1 (en) How to register wallpaper on TV
JP2007166249A (en) Mobile terminal device
KR10118518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e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678241B1 (en) MP3 playback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69854B1 (en) Method for reserved tv-phone broadcasting using a classified region-channel scanning
KR20060007089A (en) How to edit ringtone on mobile terminal
JP3627435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ving picture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030028018A (en) Hand phone of play an accompaniment
KR100644538B1 (en) Method of performing user multimedia broadcas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