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425A -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Google Patents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5425A KR20060095425A KR1020050047284A KR20050047284A KR20060095425A KR 20060095425 A KR20060095425 A KR 20060095425A KR 1020050047284 A KR1020050047284 A KR 1020050047284A KR 20050047284 A KR20050047284 A KR 20050047284A KR 20060095425 A KR20060095425 A KR 200600954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auxiliary coil
- voice coil
- micro speaker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041 Hearing impa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8—Structural combinations of loudspeakers with built-in power amplifiers, e.g. in the same acoustic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9—Manufacturing aspects of enclosures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판에 부착되어 음향을 재생하는 보이스 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에 관계없이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보조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hearing aid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 of an auxiliary coil that 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urns, outpu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a voice coil attached to a diaphragm to reproduce sound. It is to provide a micro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 hearing aid user that can freely design the number, output and installation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지지프레임, 요크, 마그네트, 플레이트, 진동판, 보호덮개 그리고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보조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보조코일은 상기 보이스 코일과 분리되어 병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는 보조코일의 입력 측에 설치된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되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 yoke, a magnet, a plate, a diaphragm, a protective cover, and a voice coil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an auxiliary coil radiating electromagnetic waves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oice coil. In the micro speaker made, the auxiliary coil is separated from the voice coil and installed in paralle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auxiliary coil is amplified and applied through an amplifier provided on the input side of the auxiliary coi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보조코일의 권회수를 임의로 늘려 고출력의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써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높은 전류가 유도되어 수신음을 명확히 청취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코일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함으로써 보조코일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마이크로 스피커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보이스 코일의 축에서 벗어난 위치(off-axis, radial)의 자계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auxiliary coil arbitrarily by radiating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s, high current is induced to the induction coil of the hearing aid, so as to clearly hear the reception s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coil By freely selecting, it is easy to install the auxiliary coil, miniaturize the micro speaker and increase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off-axis (radial) off the axis of the voice coil.
보청기, 마이크로 스피커, 보조코일, T-코일, 보이스 코일, 증폭기 Hearing Aids, Micro Speaker, Auxiliary Coil, T-Coil, Voice Coil, Amplifier
Description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에 설치된 보이스 코일과 보조코일의 접속관계를 보여주는 회로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oice coil and an auxiliary coil installed in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과 보조코일의 접속관계 및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회로구성도,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 of a voice coil and an auxiliary coil applied to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도3에 도시된 마이크로 스피커의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 speaker shown in FIG. 3;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설치 예를 보여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분사시도이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이동통신 단말기 7 : 기저부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7: base
10 : 마이크로 스피커 13 : 보이스 코일10
15 : 보조코일 19 : 증폭기15: auxiliary coil 19: amplifier
23 : 보이스 코일 접속단자 25 : 보조코일 접속단자23: voice coil connection terminal 25: auxiliary coil connection terminal
33 : 보이스 코일 접속선 35 : 보조코일 접속선33: voice coil connection line 35: auxiliary coil connection line
본 발명은 보청기 사용자를 위하여 전계강도를 높인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판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에 관계없이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보조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로 스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speak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high electric field strength for a hearing aid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 of an auxiliary coil that 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urns of the voice coil attached to the diaphragm, the output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It is to provide a micro sputter for a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that can freely design the number of retrieval, output and installation loca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휴대폰이나 PDA 등에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와 리시버가 설치되어 있는데, 스피커는 호출을 알리는 벨소리나 음악을 들려주고, 리시버는 수신음을 들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피커와 리시버(이하 '마이크로 스피커'라 한다)는 원격지에서 전송되어 오는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하여 청각을 통해서 그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므로 음파의 감지능력이 떨어지는 사람, 즉, 청력이 떨어지거나 귀가 어두운 사람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방사되는 음파만을 가지고 통신을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is provided with a speaker and a receiver for reproducing an electrical signal as an acoustic signal. The speaker plays a ring tone or music for notifying a call, and the receiver receives a reception sound. Role. These speakers and receiv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 speakers') convert electrical signals transmitted from remote places into sound waves and transmit their meaning through hearing, so those who have poor sensing ability, that is, hearing loss or return home The dark person has a lot of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only the sound waves radi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누설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수신음을 직접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청기(Hearing aid)가 개발되었다. 이 보청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누설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신호 전류를 유도하는 유도코일(pick-up coil)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도코일에서 유도된 전류를 증폭한 후, 증폭된 전기신호를 보청기의 스피커를 통해서 음파로 전환함으로써 청력이 약한 사람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보청기를 통해서 명확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 스피커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의 세기가 커야한다.Recently, a hearing aid (Hearing aid) has been developed that can directly listen to the received sound by using electromagnetic waves leaked from the micro speak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earing aid has a built-in pick-up coil for receiving electromagnetic waves leaked from the micro speak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ducing signal current. Accordingly, after amplifying the current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the amplified electric signal is converted into sound waves through the speaker of the hearing aid, so that a person with a weak hearing can talk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in order to be able to hear clear sound through the hearing aid, the intensity of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micro speak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large.
이를 위해서 마이크로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voice coil)의 권회수를 늘려 전자기파의 출력을 높이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진동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이스 코일의 권회수가 늘어나게 되면 보이스 코일의 무게로 인해 진동판의 떨림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저음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음향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보이스 코일과 보청기의 유도코일에 전류를 유도하는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보조코일(Tele-coil)을 분리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To this e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output of electromagnetic wav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urns of a voice coil of a micro speaker has been proposed. However, when the number of turns of the voice coil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iaphragm increases,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is not natural due to the weight of the voice coi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ss characteristics deteriorate.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separating a voice coil for reproducing an acoustic signal and a secondary coil (tele-coil) that radiates electromagnetic waves inducing current in an induction coil of a hearing aid has been developed.
즉, 도1은 보이스 코일과 보조코일이 분리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는 보이스 코일(3)와 보조코일(5)이 분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1)의 최대 출력이 32Ω이라면, 15Ω의 보이스 코일(3)과 17Ω의 보조코일(5)을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는 하나의 기저부(7)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보이스 코일(3)과 보조코일(5)로 나누어서 출력하기 때문에 보이스 코일(3)의 출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보조코일(5)의 출력을 높일 수는 없었다. 즉, 보조코일(5)의 출력을 높이면 보이스 코일(3)의 출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는 보조코일(5)의 권회수를 늘리거나 그 출력을 자유롭게 높일 수 없었다. 아울러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1)는 보이스 코일(3)에서 누설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기 위해서 보조코일(5)과 보이스 코일(3)이 동일 중심선 상에 근 접하게 설치되었다. 따라서 보조코일(5)의 설치위치가 한정되므로 보조코일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고 마이크로 스피커의 두께를 낮추는데 어려움이 있었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micro speaker in which a voice coil and an auxiliary coil are separated. As shown, in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진동판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에 관계없이 보조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design the number of windings, outpu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coil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turns, outpu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oice coil attached to the diaphragm. To provide a micro speaker for hearing aid users.
본 발명은 보조코일의 권회수, 출력 및 설치위치 등을 자유롭게 설계함으로써 상기 보조코일의 권회수를 늘려 고출력의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 보청기의 유도코일에서 높은 신호전류가 유도되어 수신음을 명확히 청취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코일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함으로써 보조코일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마이크로 스피커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며 보이스 코일의 축에서 벗어난 위치(off-axis, radial)의 자계강도를 크게 높일 수 있는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design the number of turns, output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coil to increase the number of turns of the auxiliary coil to radiate high power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a high signal current is induced in the induction coil of the hearing aid so that the sound can be clearly heard. In addition, by freely selec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uxiliary coil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auxiliary coil, miniaturization of the micro-speaker and greatly increase the magnetic field strength of the position (off-axis, radial) off the axis of the voice coil It is to provide a micro speaker that can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지지프레임, 요크, 마그네트, 플레이트, 진동판, 보호덮개 그리고 상기 진동판에 부착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외부로 방사하는 보조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코일과 보조코일은 서로 분리되어 병렬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는 보조코일의 입력단에 설치된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되어 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a yoke, a magnet, a plate, a diaphragm, a protective cover, and a voice coil attached to the diaphragm, and electromagnetic waves correspon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voice coil. In the micro speaker comprising an auxiliary coil radiating to the outside, the voice coil and the auxiliary coil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stalled in parallel,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auxiliary coil through an amplifier installed at the input end of the auxiliary coi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mplified and appli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사용자를 위한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icro speaker for a hearing aid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13)과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보조코일(15)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13)과 보조코일(15)은 마이크로 스피커(10)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고 독립적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10)는 상기 보이스 코일(13)이 접속되는 보이스 코일 접속단자(23)와 상기 보조코일(15)이 접속되는 보조코일 접속단자(25)가 분리되어 있다.First, Figure 2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13)(또는 보이스 코일 접속단자(23))는 보이스 코일 접속선(33)을 통해서 기저부(7)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보조코일(15)(또는 보조코일 접속단자(25))는 보조코일 접속선(35)을 통해서 보이스 코일 접속선(33)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코일 전속선(35)상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 접속선(33)을 통해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1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기저부(7)는 무선주파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처리하여 소정의 전기신호로 출력한다. The voice coil 13 (or voice coil connection terminal 23)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이스 코일(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기저부(7)에서 출력되고 보이스 코일 접속단자(23)를 통해서 입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소정의 음향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코일(15)은 상기 기저부(7)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기(19)를 통해 증폭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보이스 코일(13)의 출력에 관계없이 출력을 임의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보조코일(15)의 출력을 보이스 코일(13)과 관계없이 임의로 높일 수 있으므로 상기 보조코일(15)은 보이스 코일(13)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어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의 일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10)는 소정 형상의 지지프레임(52)과, 상기 지지프레임(52)에 일체로 설치되는 요크부재(53)와, 상기 요크부재(53)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54)와, 상기 마그네트(54)의 상부에 적층되는 플레이트(55)와, 상기 요크부재(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진동판(56)과, 상기 진동판(56)의 저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마그네트(54)와 요크부재(53) 사이의 간극에 위치되는 보이스 코일(13)과, 상기 진동판(56)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보호덮개(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이스 코일(13)은 지지프레임(52)의 일측에 형성된 보이스 코일 접속단자(23)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1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보이스 코일(13)의 위치에 관계없이 보조코일(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코일(15)은 상기 지지프레임(52)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코일 접속단자(25에 접속된다.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cro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코일(15)은 보이스 코일(13)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므로 그 권회수 및 출력을 임의 대로로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설치위치와 형태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코일(15)은 도3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운데에 개구부(61)가 형성된 원형의 기판(60)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보조코일(15)은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코일(15)은 기판에 설치되지 않고 다수회 권회된 코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직접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조 코일(15)은 보이스 코일(13)의 축 상에 설치하거나 축을 벗어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코일(15)은 그 형태와 설치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임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since the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2)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피커(10)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하나 또는 두 개의 보조코일(15)(15')을 설치함으로써 래디얼(radial)의 자계강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보조코일(15)은 마이크로 스피커(10)의 축상(axial)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축을 벗어나면 자속밀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보조코일(15)은 축을 벗어난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보조코일(15)(15')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어느 위치에서도 자계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보조코일(15)을 설치하는 경우에 각 보조코일(15)(15')은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2)의 보조코일 접속단자(25)에 접속된다.As shown in FIG. 5, a radial magnetic field is provided by installing one or tw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이스 코일(13)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저부(7)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신호롤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보조코 일(15)은 기저부(7)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증폭기(19)를 통해 증폭시킨 다음 고출력의 전자기파를 외부로 방사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스피커(10)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보청기는 보조코일(15)이 방사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신호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전류는 보청기의 증폭기와 스피커를 거쳐 청력이 떨어지는 사람도 명확히 청취할 수 있는 고출력의 소리로 재생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스피커는 고출력의 전자기파를 방사함으로 보청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지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micro-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its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s, so that the hearing aid user can smoothly communicate between remote location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코일은 보이스 코일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코일의 권회수를 임의대로 늘릴 수 있고 설치위치도 임의대로 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voice coil,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can be arbitrarily increas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rbitrarily determined.
본 발명에 따른 보조코일은 증폭기를 통해서 증폭된 전기신호를 인가받음으로써 고출력의 전자기파를 방사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adiate high power electromagnetic waves by receiving an amplified electric signal through an amplifi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47284A KR20060095425A (en) | 2005-06-02 | 2005-06-02 |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47284A KR20060095425A (en) | 2005-06-02 | 2005-06-02 |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5-0005377U Division KR200387457Y1 (en) | 2005-02-28 | 2005-02-28 | Micro speaker for user of a hearing aid in mi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95425A true KR20060095425A (en) | 2006-08-31 |
Family
ID=376251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47284A Ceased KR20060095425A (en) | 2005-06-02 | 2005-06-02 |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95425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1166328B (en) * | 2006-09-05 | 2011-06-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Mobile Wireless Devices with Hearing Aids Using Magnetic Coils in Vibrating Motors |
| KR101097127B1 (en) * | 2004-12-15 | 201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ttachable speaker module with device for degaussing |
| US9736598B2 (en) | 2010-03-03 | 2017-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
-
2005
- 2005-06-02 KR KR1020050047284A patent/KR2006009542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97127B1 (en) * | 2004-12-15 | 2011-12-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Attachable speaker module with device for degaussing |
| CN101166328B (en) * | 2006-09-05 | 2011-06-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Mobile Wireless Devices with Hearing Aids Using Magnetic Coils in Vibrating Motors |
| KR101258214B1 (en) * | 2006-09-05 | 2013-04-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hearing-aid compatible mobile wireless terminal using magnetic coil of vibration motor |
| US9736598B2 (en) | 2010-03-03 | 2017-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in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042032B1 (en) | Micro speaker | |
| KR100896738B1 (en) | Concentric Coplanar Multib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 |
| US69251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hearing aid coupling system | |
| CN114554369A (en) | Sound 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 US20120177245A1 (en) | Multi-magnetic speaker | |
| US20080013781A1 (en) | High-frequency diaphragm and voice coil assembly | |
| JP3997133B2 (en) |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 CN1826837B (en) | Audio information process method and device | |
| US8831268B2 (en) | Micro-speaker | |
| KR200432030Y1 (en) | Hearing Aid Compatible Microphones | |
| US20110261992A1 (en) | Magnetic circuit unit and speaker using same | |
| KR100591814B1 (en) | Audio signal output method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 |
| US20140153738A1 (en) | Wireless induction system for producing audio | |
| KR100510364B1 (en) | Two-way micro speak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d electromagnetic wave | |
| KR20060095425A (en) | Micro speak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
| KR200387457Y1 (en) | Micro speaker for user of a hearing aid in mi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 CN215818594U (en) | Double voice coil moving coil unit | |
| KR100817844B1 (en) | Receiver for mobile terminal for hearing aid users | |
| KR100911945B1 (en) | Hearing Aid Compatible Micro Speakers | |
| KR200403949Y1 (en) | Speaker within Hearing aid compatible to have Flexible-Printed Circuit Board Type Coil | |
| JP4536284B2 (en) | Electromagnetic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 KR100359447B1 (en) | Ear-phone Microphone for Hearing Aid | |
| JP2020014069A (en) | Speaker curved diaphragm | |
| CN1819714B (en) | Loud speaker with double magnetic pole and moving coil, its playing and controlling circuit for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 |
| JPH0448039Y2 (e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8 | Dual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50602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50602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8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