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539A -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8539A KR20060018539A KR1020040066944A KR20040066944A KR20060018539A KR 20060018539 A KR20060018539 A KR 20060018539A KR 1020040066944 A KR1020040066944 A KR 1020040066944A KR 20040066944 A KR20040066944 A KR 20040066944A KR 20060018539 A KR20060018539 A KR 200600185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line
- wireless lan
- access point
- power
- lin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는,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과, 상기 무선랜 모듈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이더넷 통신 포트를 통해 외부 이더넷 라우터 또는 xDSL/Cable 모뎀에 연결되는 무선랜 컨트롤러와, 다수의 외부 랜 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와, 유무선 IP 공유 및 DHCP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각 부의 모듈과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로 구성되는 억세스 포인트(AP) 블록과; 상기 AP 블록에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AC 전원을 제공받으며, 이를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PLC) 모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 access point ha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LAN module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 antenna connected to the wireless LA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nd an Ethernet communication port. A wireless LAN controller that connects to an external Ethernet router or xDSL / Cable modem, a switching hub to provide multiple external LAN ports, wired and wireless IP sharing, and a DHCP server to implement and centrally connect and control each module. An access point (AP) block composed of a processing device and a memory;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DC power to the AP block;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receive AC power, through whic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odem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PLC 모뎀이 AC 전력선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PLC 모뎀과 무선랜 콘트롤러 및 스위칭 허브, 무선랜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LC modem is connected to an AC power line by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rves as a bridge connecting data between the PLC modem, the WLAN controller, the switching hub, and the WLA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ess point with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일 실시예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home network using an access point with powerline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PLC 모뎀이 구비된 AP 110 : AP 블록100: AP 110 equipped with a PLC modem: AP block
112 : 무선랜 모듈 114 : 스위칭 허브112: wireless LAN module 114: switching hub
116 : 무선랜 컨트롤러 118 : 중앙처리장치116: wireless LAN controller 118: central processing unit
120 : 전원공급장치 130 : PLC 모뎀120: power supply 130: PLC modem
132 : AC 전원132: AC power
본 발명은 억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모뎀이 구비된 억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cess point ha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 for perform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종래 유선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은 호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그룹과, 이들 서브 그룹 각각과 유선랜을 통해서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의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있고, 하나의 게이트웨이는 복수의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게이트웨이의 기능은 각 그룹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ventional network configuration using a wired LAN includes a plurality of subgroups including a host and a plurality of gateways connected to each of these subgroups by wire through a wired LAN, and one gateway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gateways. The gateway functions as a kind of interface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or data between groups.
상기 유선랜 네트워크 시스템은 서브 그룹 즉, PC 등과 같은 각각의 컴퓨터 각각에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각 서브그룹 내에 설치된 유선랜카드과 게이트웨이가 유선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그룹간 정보 또는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wired LAN network system allocates a public IP address to each computer such as a subgroup, that is, a PC, and connects a wired LAN card and a gateway installed in each subgroup by wire,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groups. It is done.
그러나, 이와 같은 유선랜 네트워크 시스템은 유선랜으로 구축된 관계로, 유선매체의 통신혼잡이 초래되면 통신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과, 또한 천재지변이나 기타의 사고로 인하여 유선매체의 단절이 초래되는 경우 네트워크가 단절될 수 있으며, 공인 IP 주소가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ired LAN network system is constructed as a wired LAN, when the communication congestion of the wired medium is caused, the communication speed drops significantly, and when the wired medium is disconnected due to natural disasters or other accidents, the network is disconnected. It may be disconnec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public IP addresses are limited.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랜 네트워크 시스템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랜은 컴퓨터와 컴퓨터간 또는 컴퓨터와 기타 통신 시스템 간에 데이터 송수신을 전파(RF : Radio Frequency)나 빛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수행하는 랜을 의미한다. As a way to overcome this, there is a WLAN network system. In general, a wireless LAN refers to a wireless LAN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a computer and a computer or between a computer and other communication systems by using radio frequency (RF) or light.
이러한 무선랜은 최근 인터넷 서비스와 무선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개발된 것으로서, 이는 특히 빌딩간의 네트워크 접속이나 대형 사무실, 물류센타와 같이 유선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하지 않은 장소에서 설치, 유지보수의 간편함 으로 인하여 그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The wireless LAN has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ser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in a place where wired network is not easy to build, such as network connection between buildings, large offices and logistics center. The use is soaring.
상기 무선랜 네트워크가 구성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무선랜 카드가 구비된 이용자 단말기 및 상기 이용자 단말기가 무선으로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이하 AP)가 구비되어야 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WLAN network, a user terminal equipped with a WLAN card and an access poi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 for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wirelessly access the network should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AP는 무선 인터넷 공유 역할 또는 무선 허브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기존의 PC 등과 같은 이용자 단말기가 유선랜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the AP means to perform a role of sharing a wireless Internet or a role of a wireless hub, thereby allowing a user terminal such as an existing PC to receive services such as the Internet without using a wired LAN.
또한, 최근 들어 홈 네트워킹 구축을 위하여 전력선 통신 방식이 각광 받고 있는데, 상기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이하 PLC)이란 전기 콘센트 즉, 전력선만으로 초고속 인터넷과 전화접속이 가능해 음성, 문자데이터, 영상 등을 전송하는 통신 기술을 말한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in the spotlight for establishing home networking.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s a power outlet, that is, a high-speed Internet and telephone connection using only a power line. Refers to communication technology to transmit.
이는 초고속 인터넷 통신, 인터넷 전화, 홈 네트워킹, 홈 뱅킹 등 다양한 분야 까지 활용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 광통신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 아니라, 통신 요금도 거의 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This technology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igh speed internet communication, internet telephony, home networking, home banking, etc.,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optical communication cable, so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low and the communication fee is almost inexpensive.
일 예로 상기 전력선 통신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해 집안의 가전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PLC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For example,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may remotely control home appliances in the home using the Internet. That is, the PLC is an important part in building a home network system.
이에 상기 PLC 모뎀이 구비된 가전제품은 이미 상용화에 이르렀으며, 이를 활용한 홈 네트워킹, 홈 오토메이션 관련 제품 개발이 매우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기 PLD 모뎀은 전력선 이외에 통신선로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가 매우 편리한 통신 방식이어서 가전제품의 통신 방식으로 매우 적합하다.In this regard,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the PLC modem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nd home networking and home automation related products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using the PLC modem. Since it is a very convenient communication method, it is very suitable as a communication method of home appliances.
그러나, 상기 PLC 모뎀을 이더넷과 단순 결합한 종래의 구조 형태에서는 단순한 게이트웨이 역할만 수행할 뿐,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무선랜을 통한 가전제품의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PLC modem is simply combined with the Ethernet, it only serves as a simple gateway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control home appliances through a wireless LAN in forming a home network.
즉, 앞서 설명한 AP를 이용하여 IP공유기를 통한 사설 IP의 확장, DHCP 서버 기능을 통한 네트워크 설정의 간편화가 불가능한 것이다.That is, it is impossible to simplify the network configur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IP and the DHCP server function using the AP described above.
또한, 종래의 PLC 모뎀이 구비된 가전기기 시스템이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 및 PC의 추가 설치가 불가피하여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conventional home appliance system equipped with a PLC modem,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install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and a PC is inevitable, which is cumbersome.
본 발명은 억세스 포인트(AP) 내에 전력선 통신(PLC) 모뎀을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PLC 기능이 있는 가전제품에 대해 가정 내에서는 무선랜 또는 유선랜을 통해 제어하고, 가정 외부에서는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odem in an access point (AP), to control a home appliance with a PLC function through a wireless LAN or a wired LAN in the home, and to control via an Ethernet network outside the ho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cess point ha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는,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과, 상기 무선랜 모듈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안테나와, 이더넷 통신 포트를 통해 외부 이더넷 라우터 또는 xDSL/Cable 모뎀에 연결되는 무선랜 컨트롤러와, 다수의 외부 랜 포트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와, 유무선 IP 공유 및 DHCP 서 버 기능을 구현하고 각 부의 모듈과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로 구성되는 억세스 포인트(AP) 블록과; 상기 AP 블록에 D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AC 전원을 제공받으며, 이를 통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PLC) 모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ccess point ha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LAN module for wireless LAN communication and an antenna provided in or outside of the wireless LA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And a wireless LAN controller that connects to an external Ethernet router or xDSL / Cable modem through an Ethernet communication port, a switching hub to provide multiple external LAN ports, wired / wireless IP sharing, and DHCP server functions. An access point (AP) block compri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power supply for providing DC power to the AP block;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o receive AC power, through whic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odem for performing power line communi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상기 PLC 모뎀이 AC 전력선에 연결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PLC 모뎀과 무선랜 콘트롤러 및 스위칭 허브, 무선랜 모듈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LC modem is connected to an AC power line by th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rves as a bridge connecting data between the PLC modem, the WLAN controller, the switching hub, and the WLA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유무선 IP 공유기능 및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기능을 갖는 독립구조(Stand Alone) 타입의 억세스 포인트(AP) 내부에 전력선 통신(PLC) 모뎀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odem is combined in an AP (Stand Alone) type access point (AP) having a wired / wireless IP sharing function and a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function. It is d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ccess point having a power line commun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억세스 포인트(100)는 크게 AP 블록(110)과, 전원공급장치(120) 및 PLC 모뎀(13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n
상기 AP 블록(110)은 무선랜 통신을 위한 무선랜 모듈(112)과; 상기 무선랜 모듈에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안테나(113)와; 이더넷 통신 포트(140)를 통해 외부 이더넷 라우터 또는 xDSL/Cable 모뎀에 연 결되는 무선랜 컨트롤러(116)와; 다수의 외부 랜 포트(150)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허브(114)와; 유무선 IP 공유 및 DHCP 서버 기능을 구현하고 각 부의 모듈과 연결되어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118) 및 메모리(119)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18)는 전체 모듈을 제어하고 통신하며, 상기 PLC 모뎀(130)과 무선랜 콘트롤러(116) 및 스위칭 허브(114), 무선랜 모듈(112) 사이에서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또한, 유무선 IP 공유기능 및 DHCP 서버 기능을 수행하여 무선랜으로 접속되어지는 스테이션(station) 들과 스위칭 허브에 접속되어지는 클라이언트들에게 사설 유동 IP를 할당한다.In addition, by performing a wired and wireless IP sharing function and a DHCP server function, a private dynamic IP is allocated to stations connected to a WLAN and clients connected to a switching hub.
상기 DHCP 서버 기능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내부 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내부 랜에 존재하는 컴퓨터에 대하여 동적으로 IP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The DHCP server function dynamically allocates an IP address to a computer in an internal LAN having an IP address that is not publicly available in an external network and can be used only in an internal LAN.
또한, IP 공유는 별도의 서버용 컴퓨터를 구비하고 여러가지 등록정보를 설정해 주는 번거로움 해소와 1개의 공인 IP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퓨터 단말기를 인터넷에 연결 사용하고자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로 부터 할당 받은 1개의 공인 IP를 여러 대의 PC가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사설 IP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역할을 말한다.이 때, 상기 중앙처리장치(118) 동작 시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은 롬(ROM) 및 램(RAM) 등의 메모리(119)에 저장된다. In addition, IP sharing is intended to provide a separate server computer and to eliminate the hassle of setting various properties and to connect and use multiple computer terminals to the Internet using one public IP. It refers to a role of automatically allocating a private IP so that multiple PCs can share one public IP assigned by an ISP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본 발명의 경우 AP(100)에 PLC 모뎀(130)이 내장되어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하 는데, 상기 PLC 모뎀(130)은 전원공급장치(120)와 결합되어 AC 전원(132)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전력선에 연결됨으로써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즉, 상기 전원공급장치(120)는 상기 AP 블록(110)에 DC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상기 PLC 모뎀(130)을 전력선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at is, the
또한, 이더넷 통신 포트(140)를 통해 외부 광대역 통신망에 접속되므로 이더넷에 연결된 집 외부의 다른 지역의 단말기 즉, PC 등을 이용하여도 상기 이더넷 통신 포트를 이용하여 내부 유무선 홈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Etherne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home network using an access point with powerline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AP(100)는 PLC와 무선랜을 통한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호 이질 통신망을 이어주는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IP 공유기능 및 DHCP 서버 기능을 통해 홈 서버의 역할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2, the A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erves as a gateway for connec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in a home network through a PLC and a wireless LAN, but also uses an IP sharing function and a DHCP server function. It acts as a server.
즉, 가정 내 또는 상기 AP가 설치된 장소의 근거리에서는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PDA나 노트북 등(200)을 이용하여 외부 이더넷에 접속하거나 스위칭 허브가 연결되어진 PC(300)들과 고속 이더넷 통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PLC 방식으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들과 네트워킹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in the home or near the place where the AP is installed, high-speed Ethernet communication with PC 300 connected to an external Ethernet or a switching hub is connected using a PDA or a
또한, 이더넷 라우터 또는 모뎀(400)에 의해 외부 이더넷(500)에 접속된 PC는 PLC 기능을 가지는 AP(100)를 통해 홈 네트워크 내의 가전기기(600)를 원격 감시 및 제어하고, PDA, 노트북 등과 네트워킹한다. In addition, a PC connected to the external Ethernet 500 by an Ethernet router or 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PLC 모뎀이 장착된 가전기기(냉장고 등)와 접속하여 상기 기기들이 유/무선랜을 포함한 이더넷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웨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가전기기가 설치된 건물외부 공간에서도 이더넷 통신망을 통해 가전제품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랜 통신기능이 있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 가전기긱의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가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gateway that is connected to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PLC modem so that the devices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thernet network including a wired / wireless LAN, through which the home appliance In addition to monitoring and remotely controlling home appliances through the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home office can be monitored and remotely controlled by a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function.
또한, 무선랜이 결합된 형태의 홈 네트워크 또는 소호(SOHO) 네트워크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IP 공유기능, DHCP 서버 기능을 가정 내에서 한정된 자원인 IP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이 필요없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gure a home network or SOHO network in which wireless LAN is combined, and use IP sharing function and DHCP server function by sharing IP which is a limited resource in the home. You can get the effect of not needing i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66944A KR20060018539A (en) | 2004-08-25 | 2004-08-25 |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66944A KR20060018539A (en) | 2004-08-25 | 2004-08-25 |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60018539A true KR20060018539A (en) | 2006-03-02 |
Family
ID=371261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66944A Withdrawn KR20060018539A (en) | 2004-08-25 | 2004-08-25 |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60018539A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4500B1 (en) * | 2006-11-01 | 2008-07-08 | (주)내일커뮤니티 | Shared network using bridge circuit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
| KR100855232B1 (en) * | 2006-12-07 | 2008-08-29 | 주식회사 에스원 |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a network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885185B1 (en) * | 2007-02-05 | 2009-02-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Data relay method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ontroller |
| US7859989B2 (en) | 2006-11-17 | 2010-12-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Wireless LAN and USB bridging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USB network |
| KR101147933B1 (en) * | 2011-02-01 | 2012-05-18 | 주식회사 크로스웍스 | Wi-fi access point apparatus using efm bonding |
| KR101159255B1 (en) * | 2007-04-29 | 2012-06-25 |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 The apparatus, system for process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onnection-adaptation method |
| US8781511B2 (en) | 2009-06-30 | 2014-07-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
| KR101511500B1 (en) * | 2014-04-22 | 2015-04-17 | 주식회사 남전사 | The quickly and effectively data process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in Power Line Communication |
-
2004
- 2004-08-25 KR KR1020040066944A patent/KR20060018539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844500B1 (en) * | 2006-11-01 | 2008-07-08 | (주)내일커뮤니티 | Shared network using bridge circuit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
| US7859989B2 (en) | 2006-11-17 | 2010-12-2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Wireless LAN and USB bridging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wireless USB network |
| KR100855232B1 (en) * | 2006-12-07 | 2008-08-29 | 주식회사 에스원 |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a network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885185B1 (en) * | 2007-02-05 | 2009-02-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Data relay method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controller |
| KR101159255B1 (en) * | 2007-04-29 | 2012-06-25 | 차이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 The apparatus, system for processing internetwork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connection-adaptation method |
| US8781511B2 (en) | 2009-06-30 | 2014-07-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
| KR101147933B1 (en) * | 2011-02-01 | 2012-05-18 | 주식회사 크로스웍스 | Wi-fi access point apparatus using efm bonding |
| KR101511500B1 (en) * | 2014-04-22 | 2015-04-17 | 주식회사 남전사 | The quickly and effectively data process and collision avoidance method in Power Line Communication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058682B1 (en) | Wireless network system and smart device management method using led lighting devices | |
| EP0976211B1 (en) | Infrastructure for wireless lans | |
| TWI459738B (en) | Powerline communication device | |
| TWI477111B (en) | Outdoor wireless modem and method for signal procesisng thereof | |
| US9225551B2 (en) | Communications device | |
| US20030210700A1 (en) |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802.11b client and access point in MS-Windows environment | |
| US8599757B2 (en) | Plug-and-play wireless network extensio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connection for the same | |
| CN102684967B (en) | Intelligent household network control system | |
| CN1918882B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ation of data transfer between networked devices | |
| KR20230117246A (en) |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CPE with embedded IoT gateway | |
| KR20060018539A (en) | Access poin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 |
| WO2003019859A2 (en) | Portable mini-hub for local area networks | |
| KR100833678B1 (en) | Power Line Communication Gateway | |
| US20050151718A1 (en) | Coupling module for a network | |
| TWI511496B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
| KR200195493Y1 (en) | Internet protocol auto configuration possible hub | |
| KR102241501B1 (en) | Method of terminal controll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apparatuf thereof | |
| CN114882631B (en) | Self-adaptive intelligent gate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gate system | |
| CN100353343C (en) | Wireless network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login system and method | |
| KR100855232B1 (en) |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a network system having the communication device | |
| TWI491209B (en) | Router and security system using the same | |
| KR100523749B1 (en) | AP Device using PCI interface | |
| CN104052662A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
| CN106304119B (en) | Wi-Fi coverage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reless multi-hop self-organizing network | |
| JP2004147034A (en) | Address management system and access point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