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50054324A -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324A
KR20050054324A KR1020030087682A KR20030087682A KR20050054324A KR 20050054324 A KR20050054324 A KR 20050054324A KR 1020030087682 A KR1020030087682 A KR 1020030087682A KR 20030087682 A KR20030087682 A KR 20030087682A KR 20050054324 A KR20050054324 A KR 2005005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ystem
recording
optical disc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6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진
서강수
박성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4324A/en
Publication of KR2005005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32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carrier data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11B7/00458Verification, i.e. checking data during or after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레이 디스크(BD)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의 파일시스템 식별을 통한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으로, 광디스크는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기록된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식별정보가 구비된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니면 이를 표시하고, 기록재생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기록재생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통해 광디스크와 광기록재생기간에 상이한 종류의 파일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치명적인 에러의 발생없이 광디스크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 a high density optical disc such as a Blu-ray Disc (BD). The optical disc has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and the type of the recorded file system. And an area for reco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and when the optical disc provid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loaded, check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verification result. If it is not a file system, it displays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including stopping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operation, and a fatal error even when different types of file systems are applied to the optical disc and th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period. Efficient utilization of optical disk is enabled without occurrence of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more convenient features.

Description

파일시스템 식별정보가 기록된 고밀도 광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High density optical disc hav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본발명은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파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와 같은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식별하는 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e system for managing data recorded in an optical disc. In particular, a high-density optical disc such as a Blu-ray Disc records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type of file system and uses the same to record an optical disc.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광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기록 매체(HD-DVD), 예를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이하 "BD"라고 한다)가 개발되고 있다. As optical recording media, optical disks capable of recording large amounts of data are widely used. Among them, recently, a new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medium (HD-DVD) capable of recording and storing high-definition video data and high-quality audio data for a long time, for example, Blu-ray Disc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 ) Is being developed.

차세대 HD-DVD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D)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Blu-ray Disc (BD), the next-generation HD-DVD technology, is a next-generation optical recording solution that can contain data that significantly surpasses existing DVDs. Recently, world-standard technical specifications have been established.

관련하여,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을 응용한 광기록재생기의 개발도 시작되었으나, 아직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이 완전히 완비되지 못한 관계로 완성된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게 사실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광기록재생기는 블루레이 디스크(BD)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에 따라 기록재생의 형태가 상이해 지는바, 광기록재생기의 개발을 위해서는 파일시스템 규격의 완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In relation to this, development of an optical recorder using the Blu-ray Disc (BD) standard has been started, but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complete optical recorder since the Blu-ray Disc (BD) standard is not yet fully completed. It is true. In particular, the typ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le system applied to the Blu-ray Disc (BD). Therefore, the completion of the file system standard should be prioritiz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따라서,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에서는 상기 통일적인 파일시스템 규격사항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본격적인 블루레이디스크(BD) 기반의 광기록재생기를 개발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는 실정이라 할 것이다. Accordingly, since the Blu-ray Disc (BD) standard has not yet provided the uniform file system standard, it will be said tha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developing a full-fledged Blu-ray Disc (BD) -based optical recorder.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광디스크와 광기록재생기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이 상이하더라도 적용가능한 새로운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는 바, 그 기술적과제는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ble to an optical disk and a file system applied to a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의 식별정보를 규격화된 정보로서 체계화하여 제공하자 하며,  In the optical disc,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system should be systematically provided as standardized information.

또한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을 이용한 효율적인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optical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는,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기록된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in the optical disc and an area for reco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recorded fi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은,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니면 이를 표시하고, 기록재생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In addition,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high-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tical disc is loaded, confirm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and if the result of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file system is not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and re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또다른 기록재생방법은, 특정 파일시스템에 근거하여 광디스크를 포맷팅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를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Further, another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disc is formatted based on a specific file system,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specific file system is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optical disc.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는, 특정 파일시스템에 대해서만 기록재생이 가능한 광기록재생기에 있어서, 로딩된 광디스크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독출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광디스크에의 기록재생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결과 기록재생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기록재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igh-density optical dis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only for a specific file system, includes: a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for rea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aded optical disc, and the read file system. And determining,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ther or not recording / reproducing to the optical disc is possible, and if the recording / reproducing is im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 reproducing unit.

이하, 본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록재생하는 방법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thod of recor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sam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selected as a general term widely used as possible now, but in certain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the meaning of terms rather than names.

관련하여, 본발명에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File System)"에 대해 정의하면, 디스크내에 기록된 데이터 및 이를 파일(File)들은 특정의 방식에 의해 관리되는 바, 이를 광디스크의 파일시스템(File system)이라 한다. 즉, 파일시스템 (File System)에는 각 파일의 속성정보 및 디스크내 기록된 위치 뿐만아니라, 파일들간의 관계등에 대한 전반적인 파일관리를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In relation to this, when defining the "File Syste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orded on the disk and the files thereof are managed by a specific method, which is the file system of the optical disk. It is called). That is, in the file system, not only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each file and the recorded position on the disk, but also information for overall file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les, and the like are recorded.

특히, 특정방식의 광디스크 규격이 결정될 시에는 해당 규격에 적용되는 파일시스템도 함께 규격화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예를들어,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 에 있어서는 "Blu-ray Disc Rewritable Format Part 2, File System Specification Version 1.0 , 이하 <BD-RE Version 1.0> 이라 한다"으로 규격화 되어 있다.In particular, when a specific type of optical disc standard is determined, the file system applied to the standard is also standardized. For example, in a BD-RE, a "Blu-ray Disc Rewritable Format Part" is used. 2, File System Specification Version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D-RE Version 1.0>.

관련하여, 상기 "BD-RE Version 1.0"에서 기본적으로 적용된 파일시스템은 독자적인 포맷의 "BDFS(Blu-ray Disc File System)"이나, 향후 새로이 개발될 규격, 예를들어 "BD-RE Version 1.1"에서는 상이한 포맷의 파일시스템이 적용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BD-RE Version 1.1"에 적용될 파일시스템을 종래 DVD에 적용되었던 "UDF(Universal Disk Format)"를 근간으로 하는 파일시스템이라고 가정하고자 한다. In this regard, the file system basically applied in the "BD-RE Version 1.0" is a proprietary format of "BDFS (Blu-ray Disc File System)", or a new standar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for example, "BD-RE Version 1.1". Different file systems may be appli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file system to be applied to the "BD-RE Version 1.1" is a file system based on the "UDF (Universal Disk Format)" applied to the conventional DVD.

즉, 광디스크에 적용되는 파일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가능하고, 서로 상이한 파일시스템간에는 상호 호환성이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특정의 파일시스템만을 지원하는 광기록재생기(예를들어 Vrsionon 1.0)의 경우에는, 상이한 파일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광디스크(예를들어 Vrsionon 1.1)가 로딩되면 이를 기록재생할 수 없게 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이에대해 도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a file system applied to an optical disc can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has a feature of mutual in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file systems. Therefore, in the case of an optical recorder (e.g., Vrsionon 1.0) supporting only a specific file system, it is obvious that when an optical disk (e.g., Vrsionon 1.1) managed by a different file system is loaded, it cannot be recorded and reproduced. will be.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이하 본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루레이 디스크(BD)의 규격 진행사항을 예를들어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발명의 기술적사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ogress of the standard of the Blu-ray Disc (B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ich is just one example and will not be limi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1은 본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광기록재생기 (100,200,300,400)와 파일시스템이 기록된 광디스크(101,102,103)간의 사용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diagram to help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of use between the optical recorder (100, 200, 300, 400) and the optical disc (101, 102, 103) in which the file system is recorded.

관련하여, 본발명의 광기록재생기(100,200,300,400)는 여러가지 규격의 광디스크를 기록하거나 재생 가능한 기기로서, 설계에 따라서는 특정규격(예를들면, BD)의 광디스크만을 기록재생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기록은 제외하고 재생만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나, 특히 본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블루레이 디스크(BD) 규격의 완성을 고려하여 이하 블루레이 디스크(BD)를 재생하는 플레이어(BD-Player)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를 기록재생하는 리코더(BD-Recorder)를 예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In this regard, the optical recorder (100, 200, 300,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recording or reproducing optical discs of various standards. Depending on the design, only optical discs of a specific standard (for example, BD) can be recorded and reproduced. It is also possible to enable playback only except recording, but in particular, a player that plays back the Blu-ray Disc (BD)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Blu-ray Disc (BD) standard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BD-Player). O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taking a recorder (BD-Recorder)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a Blu-ray disc (BD).

즉, 광기록재생기 100 은 "BD-RE Version 1.0"을 지원하는 기록재생가능한 리코더(BD-Recorder)이고, 광기록재생기 200 은 "BD-RE Version 1.0"을 지원하는 재생전용 플레이어(BD-Player) 또는 기록재생가능한 리코더(BD-Recorder)이고, 광기록재생기 300 은 "BD-RE Version 1.1"을 지원하는 기록재생가능한 리코더(BD-Recorder)이고, 광기록재생기 400 은 "BD-RE Version 1.1"을 지원하는 재생전용 플레이어(BD-Player) 또는 기록재생가능한 리코더(BD-Recorder)라고 가정하며,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BD-RE Version 1.0"에서는 "BDFS"를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고, "BD-RE Version 1.1"에서는 "UDF"를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at is, the optical record player 100 is a recordable recorder (BD-Recorder) supporting "BD-RE Version 1.0", and the optical record player 200 is a play-only player (BD-Player supporting "BD-RE Version 1.0"). ) Or a recordable recorder (BD-Recorder), the optical record player 300 is a recordable recordable recorder (BD-Recorder) supporting "BD-RE Version 1.1", and the optical recorder 400 is a "BD-RE Version 1.1". Assume that it is a play-only player (BD-Player) or a recordable recorder (BD-Recorder) that supports ". As described above, " BD-RE Version 1.0 " "BD-RE Version 1.1" assumes that "UDF" is used as the file system.

따라서, 블랭크 디스크(Blank Disc, 101) 또는 언포맷된 디스크(Unformatted Disc, 101)를 상기 광기록재생기 100, 300 을 통해 포맷팅하면, 광디스크 102는 " BDFS"로 파일시스템이 포맷되어 있을 것이고, 광디스크 103은 "UDF"로 파일시스템이 포맷되어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a blank disc 101 or an unformatted disc 101 is formatted via the optical recorder 100, 300, the optical disc 102 will have the file system formatted as "BDFS", and the optical disc 103 is formatted as "UDF".

이후, 상기 포맷된 광디스크(102,103)을 또다른 광기록재생기 200, 400에서 기록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광기록재생기 200은 파일시스템으로 "BDFS"만을 지원 가능하므로 동일한 파일시스템(BDFS)으로 포맷팅된 광디스크 102는 기록재생 가능하지만, 상이한 파일시스템(UDF)으로 포맷팅된 광디스크 103은 기록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광기록재생기 400은 파일시스템으로 "UDF"만을 지원 가능하므로, 동일한 파일시스템(UDF)으로 포맷팅된광디스크 103은 기록재생 가능하지만, 상이한 파일시스템(BDFS)으로 포맷팅된 광디스크 102는 기록재생이 불가능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formatted optical discs 102 and 103 are to be recorded and reproduced by another optical recorder 200 or 400, the optical recorder 200 can support only "BDFS" as a file system. 102 is recordable and reproducible, but optical disc 103 formatted with a different file system (UDF) becomes impossible to record and reproduce. Similarly, since the optical record player 400 can only support " UDF " as a file system, an optical disc 103 formatted with the same file system (UDF) can be recorded and reproduced, while an optical disc 102 formatted with a different file system (BDFS) can be recorded and reproduced. It becomes impossible.

또한, 상이한 파일시스템으로 포맷된 광디스크가 로딩되는 경우, 광기록재생기(200,400)는 로딩된 광디스크를 언포맷(Unformat)상태로 인식거나, 또는 디스크의 종류를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경우, 광기록재생기는 자신이 지원하는 파일시스템을 적용하여 로딩된 광디스크를 강제로 포맷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디스크를 포맷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In addition, when an optical disc formatted with a different file system is loaded, the optical recorder 200 or 400 may recognize the loaded optical disc as an unformat state or fail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disc.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needs to format the disc in order to force the format of the loaded optical disc by applying a file system supported by the optical recorder.

결국,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광기록재생기(200,400)가 언제든지 로딩된 광디스크(102,103)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본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파일시스템으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도입함에 특징이 있다. As a resul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ptical recorder 200 and 400 should be able to check the file system applied to the loaded optical discs 102 and 103 at any time, and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the type of file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It is characteristic of introducing information.

도2는 본발명의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이용한 광디스크와 광기록재생기간의 사용관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the us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disc and the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period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fi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광기록재생기(100, 300)는 광디스크(101)를 자신의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팅하면서, 해당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광디스크내의 특정위치에 기록해 둔다. 이하, 상기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파일시스템 식별정보 (DFS_ID (Disc File System IDentifier))"로 명명하기로 한다.The optical recorder (100, 300) formats the optical disc 101 into its own file system, and records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the file system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optical disc. Hereinafter,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type of the file system will be referred to as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Disc File System IDentifier)").

따라서, 상기 포맷된 광디스크(102,103)에는 특정 파일시스템 정보(BDFS 또는 UDF)와 이를 식별하는 식별정보(DFS_ID)가 각각 기록되어 있을 것이다.Therefore, specific file system information (BDFS or UDF)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dentifying the same may be recorded on the formatted optical discs 102 and 103, respectively.

이후, 상기 포맷된 광디스크(102,103)를 광기록재생기 200 또는 400에 로딩하였을 경우, 광기록재생기(200,400)는 우선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확인하므로서, 로딩된 광디스크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을 정확히 확인가능하게 되므로, 이를통해 로딩된 광디스크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을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에러(error)를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광기록재생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n, when the formatted optical discs 102 and 103 are loaded into the optical recorder 200 or 400, the optical recorder 200 and 400 first checks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thereby applying the file applied to the loaded optical disc. Since the system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this minimizes errors caused by not recognizing the file system applied to the loaded optical disc. Hereinafter, a detailed operation of the optical record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3은 본발명에 의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을 흐름도로서 도시한 것으로,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광디스크내의 특정위치에 기록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 (DFS_ID)를 확인하고(S10), 이로부터 광기록재생기가 지원하는 파일시스템과의 비교를 통해 로딩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20). 상기단계에서 기록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일반적인 동작으로서 기록재생을 수행하게 될 것이나(S30), 기록재생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기록재생 동작을 중지하고 다음의 여러 단계를 단계적 또는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된다(S40).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of the optical di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tical disk is loade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record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optical disk is checked (S10), and from this the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is show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the loaded optical disc is possible through comparison with the file system supported by the controller (S20). If it is determined that recording and playback is possible in the above step, recording and playback will be performed as a normal operation (S30). If it is determined that recording and playback is impossible, the recording and playback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following several steps are performed step by step or independently ( S40).

먼저, 광기록재생기가 기록재생이 불가능한 광디스크라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경고메세지(warning message)를 보여주게 된다(S401). 경고메세지에는 "시스템이 지원할수 없는 디스크입니다. (파일시스템 오류)" 와 같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Firs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tical recorder is an optical disc that cannot be recorded and reproduced,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to the user (S401). The warning message may be expressed in the usual way, such as "The disk is not supported by the system (filesystem error)."

또한 광기록재생기는 사용자에게 포맷을 권고하는 안내메세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S402). 예를들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파일시스템이 시스템의 파일시스템과 상이하므로 디스크를 재포맷하여야 사용가능합니다" 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Also, the optical recorder may transmit a guide message for recommending the format to the user (S402). For example, a message may be provided, such as "The file system of the data recorded on the disk is different from the file system of the system, so the disk must be reformatted before it can be used."

또한 광기록재생기는 사용자에게 파일시스템의 변환을 권고하는 안내메세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S403). 예를들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파일시스템이 시스템의 파일시스템과 상이하므로 디스크를 시스템에서 지원가능한 파일시스템으로 변환하여야 사용가능합니다" 와 같은 안내메세지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ptical recorder may transmit a guide message for recommending the user to change the file system (S403). For example, a message may be provided such as "The file system of the data recorded on the disk is different from the file system of the system, so it can be used only after the disk is converted to a file system supported by the system."

따라서, 상기 광기록재생기의 동작은, 일단 광디스크로부터 해당하는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제공받아야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이하 도4 ~ 도5b를 통해 광디스크내에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recorder can be provided once the correspon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provided from the optical disk. Hereinafter,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stored in the optical disk through FIGS. We will explain in detail how to record.

본발명에서는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크게 두가지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하며, 제1실시예는 파일시스템 정보영역내에 기록하는 방식이고(도4), 제2실시예는 광디스크 관리영역내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도5a, 도5b).In the present invention, two embodiments are largely provided as a method of recording "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 in an optical disc. The first embodiment is a method of recording in a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FIG. 4) and the second embodiment. An example is a method of recording in the optical disc management area (FIGS. 5A and 5B).

도4는 본발명에 의한 고밀도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제1실시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에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Fig. 4 relates to a first embodiment method for recor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a high-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recorded in a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It is about how to.

광디스크는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분되는 바, 디스크 관리영역인 리드인영역(Lead-In)과 리드아웃영역(Lead-Out)이 내주와 외주에 각각 위치하며, 리드인영역(Lead-In)과 리드아웃영역(Lead-Out)의 사이에는 데이터영역(Data Area)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영역(Data Area)의 선두 및 후미에는 디스크내 결함관리를 위한 스페어영역(Spare Area)이 존재할수 있으며, 스페어영역(Spare Area)사이에는 실질적인 데이터가 기록되는 유저데이터 영역(User Data Area)이 존재한다.The optical disc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lead management area (Lead-In) and the lead-out area (Lead-Out), which are disk management areas, are located at the inner and outer circumferences respectively. A data area exists between the lead-out areas and the lead-out areas. In addition, a spare area for managing defects in a disk may exist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data area, and a user data area in which substantial data is recorded between the spare areas. ) Exists.

만약, 상기 스페어영역(Spare Area)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규격의 선택적 사항으로 AV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는 스페어영역을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영역 전체가 유저데이터 영역이 될 것이다. 특히 유저데이터 영역은 파일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영역으로서, 로지컬 볼륨(Logical Volume)이라고도 한다.If the spare area does not exist (the spare area may not be allocated when recording an AV stream as an optional feature of the standard), the entire data area will be the user data area. In particular, the user data area is an area managed by the file system, also referred to as a logical volume.

따라서, 도4에서 유저데이터 영역의 시작은 스페어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데이터영역의 선두부터 시작될 것이고 (Logical Volume start ①), 스페어영역이 존재한다면 스페어영역의 다음 기록가능한 영역부터 시작될 것이다 (Logical Volume start ②). 유저데이터 영역의 끝(Logical Volume end ①, ②)도 상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정되어 진다. Therefore, in FIG. 4, the start of the user data area will start from the beginning of the data area if no spare area exists (Logical Volume start ①), and if the spare area exists, it will start from the next recordable area of the spare area (Logical Volume start). ②). The ends of the user data areas (Logical Volume ends 1 and 2) are also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BD-RE)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상기 유저데이터 영역의 선두부분(A) 및 끝부분(B)에는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이 존재하고 해당영역에 광디스크에 적용된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어 진다. 물론 규격에 따라 상기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은 유저데이터 영역내에서 상이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cas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BD-RE), for example, an area in which file system information is recorded exists at the head part A and the end part B of the user data area. The file system information applied to the optical disc is recor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course,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n area in which the file system information is recorded may exist at different locations in the user data area.

본발명은 상기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내의 선두부분 및/또는 끝부분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recorded at the beginning and / or the end of the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BD-RE Version 1.0 , BDFS 사용)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상기 선두부분의 일정크기 (LBN 0 ~LBN 511, LBN:Logical Block Number) 만큼에는 다른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영역으로서, 동영역에 식별정보(DFS_ID)로서 "BDFS"라는 파일시스템명을 반복적으로 기록하므로서, 해당 광디스크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쉽게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using BD-RE Version 1.0, BDFS), for example, no other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predetermined size (LBN 0 to LBN 511, LBN: Logical Block Number) of the first part. As a non-area area, a file system name of "BDFS" is repeatedly record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e area, so that the type of file system applied to the optical disc can be easily recognized.

또한, 향후 논의될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BD-RE Version 1.1 , UDF 사용)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역시 상기 선두부분의 일정크기 (이때 크기는 Version 1.0과는 상이할것이다) 만큼에는 다른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영역으로서, 동영역에 식별정보(DFS_ID)로서 "UDF"라는 파일시스템명을 반복적으로 기록해 두는 방식이 될것이다.Also, for example, the cas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using BD-RE Version 1.1, UDF), which will be discussed in the future, will be different from the other information as long as the size of the head part (the size will be different from Version 1.0). Is an area in which the file system name "UDF" is repeatedly recorded a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is area.

마찬가지로, 유저데이터 영역의 끝부분(B)에 존재하는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내의 후미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할 수도 있으며, 이때 기록방법은 전술한 선두부분(A)에의 기록방식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Similarly,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may be recorded at the end of the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file system information existing at the end portion B of the user data area is recorded. Since it is the same as the recording method in (A), it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발명의 제1 실시예는 파일시스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내의 선두 및/또는 후미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해당 파일시스템명을 캐릭터(Character)표현 방식에 의해 기록해둠으로서, 광기록재생기가 쉽게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할것이다.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displayed at the head and / or the end of the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in which the file system information is recorded. By recording, it will be possible for the optical record player to easily identify the type of file system.

도5a, 도5b는 본발명에 의한 고밀도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 (DFS_ID)를 기록하는 제2실시예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디스크 관리영역내에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5A and 5B relate to a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for recor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a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 method for reco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an optical disc management area.

광디스크의 관리영역이라 함은, 데이터영역을 제외한 디스크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도5a에서의 리드인 영역 (Lead-In)과 리드아웃 영역(Lead-Out)이 이에 해당된다.The management area of the optical disc means an area in which disc management information other than a data area is recorded. The lead-in area and lead-out area in FIG. 5A correspond to this.

특히, 리드인 영역에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것은,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가장 먼저 억세스(access)하는 영역이 리드인 영역이라는 점에서 장점을 가진다 할것이다. In particular, record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ad-in area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rea accessed first when the optical disc is loaded is the lead-in area.

도5a는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BD-RE)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으로, 리드인 영역은 다시 디스크 제작시에 프리기록된 영역 (Pre-recorded area)과 재기록가능한 영역 (Re-writable area)으로 구분되며, 상기 재기록가능한 영역 (Re-writable area)은 다시 각종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두개의 인포메이션 영역 (INFO 1, INFO 2)과 최적 기록파워를 계산하는 OPC영역 및 프리기록 영역과의 간섭방지를 위한 프로텍션 영역(Protection zone2)으로 구분된다.Fig. 5A shows an exampl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BD-RE) case, in which the lead-in area is again pre-recorded area and re-writable area when the disc is produced. The re-writable area is again divided into two information areas (INFO 1 and INFO 2) for recording various management information and interference with an OPC area and a pre-recorded area for calculating an optimal recording power. It is divided into a protection zone for protection.

본발명에서는, 상기 두개의 인포메이션 영역 (INFO 1, INFO 2)중 적어도 어느하나 이상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되, 예를들어 특정바이트를 할당하여 "00h"이면 "BD-RE Version 1.0, BDFS"로, "01h"이면 "BD-RE Version 1.1, UDF"로 정의하는 방식이 된다. 만약 구별해야 될 파일시스템 종류가 더 존재한다면 "02h", "03h" 순으로 계속 정의해두면 될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recorded i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wo information areas (INFO 1, INFO 2). For example, if a specific byte is allocated and "00h", the "BD-RE Version" 1.0, BDFS ", and " 01h " is defined as" BD-RE Version 1.1, UDF ". If there are more filesystem types to distinguish, they can be defined in the order of "02h", "03h".

도5b는 상기 도5a의 두개의 인포메이션 영역 (INFO 1, INFO 2)중 특히, 결함관리영역(DMA; Defect Managememet Area)내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FIG. 5B relates to a method of recor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DMA), particularly of the two information areas INFO 1 and INFO 2 of FIG. 5A.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인포메이션 영역 (INFO 1)은 다시 "Drive Area" , "DMA 1", "Control Data 1" 영역으로 구분되고, 제2 인포메이션 영역 (INFO 2)은 "DMA 2", "Control Data 2" 영역으로 각각 구분된다. In detail, the first information area INFO 1 may be further divided into “Drive Area”, “DMA 1”, and “Control Data 1” areas, and the second information area INFO 2 may be referred to as “DMA 2”, Each is divided into "Control Data 2" areas.

이중 DMA영역은 디스크 결함관리등을 위해 할당된 영역으로서, 리드인 영역에 DMA 1,2가 구비되고, 리드아웃 영역에 DMA 3,4가 구비되어, 디스크내에 총 4개의 DMA가 존재하게 되며, 각각의 DMA 1,2,3,4는 모두 동일내용의 정보를 반복적으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진다. 따라서 DMA영역에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한다 함은, 모두 4군데의 DMA영역에 동시기록함을 의미하고, 이는 어느하나의 식별정보(DFS_ID)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식별정보(DFS_ID)를 이용할 수 있어, 결국 식별정보(DFS_ID)를 보호하는 데도 큰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The dual DMA area is an area allocated for disk defect management and the like. DMAs 1 and 2 are provided in the lead-in area, DMAs 3 and 4 are provided in the lead-out area, and a total of 4 DMAs exist in the disc. Each DMA 1,2,3,4 is used in a manner of repeatedly recording the same information. Therefore, record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MA area means recording all four simultaneous DMA areas. This means that even if any one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damaged, the ot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recorded. ),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protec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또한 DMA는 다시 디스크정의구조 (DDS; Disc Definition Structure)정보와 결함리스트(DFL; Defect List)로 구분되며, 본발명은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디스크정의구조(DDS) 정보내에 기록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DMA is further divided into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information and a defect list (DFL), and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e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information. It is done.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 (BD-RE)경우에, 상기 디스크정의구조(DDS) 정보는 디스크 결함관리를 위한 정보뿐만아니라 각종 디스크 관리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며, 해당 영역(DDS)의 크기는 약 64k바이트에 해당되므로 충분히 많은 관리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라 할 것이다(즉, "Reserved Area"가 많이 존재함). 이하 디스크정의구조(DDS) 정보내에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방법은 전술한 도5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00h", "01h"와 같이 파일시스템마다 구분하여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면 될 것이다. In the cas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BD-RE), the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information is an area for recording various disc management information as well as information for disc defect management, and the size of the area (DDS) is about 64k. Since it corresponds to a byte, it can be said to be an area where enough management information can be recorded (that is, there are many "reserved areas"). Hereinafter, the method of recor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e disk definition structure (DDS) information is applied in a manner of assign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file system such as "00h" and "01h" as described in FIG. 5A. You will.

따라서, 본발명의 제2 실시예는 디스크 관리영역내의 임의위치에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되, 바람직하게는 DMA내의 디스크정의구조(DDS) 정보내에 기록해둠으로서, 광기록재생기가 쉽게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확인가능함은 물론, 복수의 영역 (DMA 1,2,3,4)에 분리하여 식별정보(DFS_ID)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짐으로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의 보호에도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refo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disc management area, but preferably in the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information in the DMA, whereby the optical recorder The type of file system can be check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can be recorded separately in a plurality of areas (DMAs 1,2,3,4), which is advantageous in protect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Will have

도6은 본발명의 고밀도 광디스크에서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이용하여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광기록재생기(100,200,300,4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Fig. 6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es 100, 200, 300, and 400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us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the high density optical disc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및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를 포함한 관리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픽업부(11)와 픽업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보(14), 픽업부(11)로 부터 수신된 재생신호를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와 상기 관리정보등을 일시저장하여 활용가능하도록 하는 메모리(15)와, 상기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6)이 기본적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를 포괄하여 기록재생부(20)라고 한다.. First, from the pickup section 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ckup section 11 and the pickup section 11 for read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a recorded on the optical disk 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the pickup section 11 A memory for reproducing the received playback signal to a desired signal value o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a signal processor 13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be recorded into a signal recorded on an optical disc; 15) and a microcomputer 16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re basically constituted, and these component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recording / playback section 20.

또한, AV디코더(17)는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출력데이터를 최종적으로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AV인코더 (18)는 광디스크에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입력신호를 특정포맷의 신호, 예를들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기록재생부(20)내의 신호처리부(13)에 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AV decoder 17 finally decodes the output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user. The AV encoder 18 controls the controller 12 to perform a function of recording a signal on an optical disc. The input signal is converted into a signal of a specific format, for example, an MPEG2 transport stream, and provided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13 in the recording / reproducing unit 20 under the control of.

또한, 제어부(12)는 전체 광기록재생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요소로서, 상기 독출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로부터, 해당 광디스크에 적용된 파일시스템을 확인하고, 이를통해 로딩된 광디스크에의 기록재생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상기 판단결과 기록재생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기록재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12 also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ntire optical recorder, and checks the file system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optical disc from the read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and records and reproduces the recorded optical disc through the loaded optical disc. After determining whether this is possible, if it is determined that recording and reproduction is not possible, a command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is transmitted.

이후, 제어부(12)는 도3의 단계 S401, S402, S403과 같이 , 사용자에게 경고메세지 및/또는 안내메세지를 전달하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사항을 수행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광디스크를 재포맷팅하거나 파일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도록 기록재생부(20)로 해당명령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2 delivers a warning message and / or a guide message to the user as in steps S401, S402, and S403 of FIG. 3, and performs a user request through an interface with the user. Will be That is, the corresponding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 playback section 20 so as to reformat the optical disk or change the file system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또한, 언포맷된 디스크(Unformatted Disc)가 로딩되고 사용자의 포맷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2)는 자신이 지원하는 특정 파일시스템에 근거하여 디스크를 포맷팅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 (DFS_ID)를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에 기록하도록 하는 명령을 기록재생부(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는 초기 포맷팅시 뿐만아니고, 디스크를 재초기화(re-initialization)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n unformatted disc is loaded and a user requests a format, the control unit 12 formats the disc based on a specific file system supported by the controller, and displays the type of the specific file system. A command for recording the recognizab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n a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is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 playback section 20. FIG. It is obvious that this applies not only to initial formatting, but also to re-initialization of disks.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DFS_ID)가 기록되는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은, 도4와 같이 파일시스템 정보영역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이거나, 도5a와 같이 관리영역내의 인포메이션 영역(INFO 1, 2)이거나, 도5b와 같이 DMA내의 디스크정의구조(DDS)내가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on whic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DFS_ID) is recorded is a file system information area as shown in FIG. 4 or an information area (INFO 1 and 2) in the management area as shown in FIG. 5A, or As shown in Fig. 5B, all of the disk definition structure (DDS) in the DMA is possible.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further various other embodiment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or additions may be made.

상기 본발명에 따른 고밀도 광디스크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통해, 광디스크와 광기록재생기간에 상이한 종류의 파일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경우라도, 치명적인 에러의 발생없이 광디스크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Throug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igh densit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different types of file systems are applied to the optical disc and the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period, efficient use of the optical disc is possible without causing a fatal error.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more convenient features.

도1은 본발명의 개념적 이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Figure 1 is shown to illustrate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이용한 광디스크와 광기록재생기간의 사용태양을 도시한 것이고,Fig. 2 shows the use mode of the optical disc and the optical recording / reproducing period us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이용한 기록재생방법을 도시한 것이고,3 shows a recording / playback method us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광디스크내에 기록하는 제1 실시예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Fig. 4 shows a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for record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to an optical disc,

도5a, 도5b는 본발명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광디스크내에 기록하는 제2 실시예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5A and 5B show a second embodiment method of record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optical disc,

도6은 본발명의 광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1 : 픽업 12 : 제어부11 pickup 12 control unit

13 : 신호처리부 15 : 저장수단13 signal processing unit 15 storage means

17 : AV디코더 20 : 기록재생부17: AV decoder 20: recording and playback section

Claims (17)

광디스크내에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기록된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And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in the optical disc, and an area for recor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recorded fil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내의 선두부분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t a head part in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내의 끝부분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at the end of the area in which the file system information is record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광디스크 관리영역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management area.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결함관리영역(DMA)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defect management area (DMA).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는 상기 결함관리영역(DMA)내의 디스크정의구조 (DDS)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And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area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 (DM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디스크는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And said optical disc is a rewritable Blu-ray Disc (BD-RE). 광디스크가 로딩되면, 광디스크내에 기록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When the optical disc is loaded, checking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orded in the optical disc; 상기 확인결과,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니면 이를 표시하고, 기록재생 동작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And confirming that the file system is not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nd stopping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operation.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니면, 재포맷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If it is not a recordable file system,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high density optical disc,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hecking whether or not reformatting.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이 아니면, 기록재생 가능한 파일시스템으로 변환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If it is not a recordable file system,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of the high-density optical dis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converted to a recordable file system. 특정 파일시스템에 근거하여 광디스크를 포맷팅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파일시스템의 종류를 인식할수 있는 식별정보를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      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a high density optical disc,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disc is formatted based on a specific file system,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recognizing the type of the specific file system is recorded in a specific area of the optical disc.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은 파일시스템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방법.      And a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on whic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s an area for recording file system information.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은 광디스크 관리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And a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on whic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s an optical disc management area.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은 결함관리영역(D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And a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on whic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s a defect management area (DMA).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파일시스템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광디스크내의 특정영역은 결함관리영역(DMA)내의 디스크정의구조 (DDS)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      And a specific area in the optical disc in which the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s a disc definition structure (DDS) area in a defect management area (DMA). 특정 파일시스템에 대해서만 기록재생이 가능한 광기록재생기에 있어서,In the optical recording player capable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only a specific file system, 로딩된 광디스크의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를 독출하는 기록재생부와, A recording / playback section for reading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aded optical disc; 상기 독출된 파일시스템 식별정보로부터, 해당 광디스크에의 기록재생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결과 기록재생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기록재생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A high density optical disc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recording and reproducing to the corresponding optical disc is possible from the read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and reproducing unit if the recording and reproduction is not possib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KR1020030087682A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Ceased KR200500543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82A KR20050054324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682A KR20050054324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324A true KR20050054324A (en) 2005-06-10

Family

ID=3724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682A Ceased KR20050054324A (en) 2003-12-04 2003-12-04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432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04B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 reproducing system
JP4991387B2 (en)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RU2408091C2 (en) Recording medium,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onto/from recording medium using said recording medium
JP4945445B2 (en)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4713320B2 (en) Digital data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EP1783773B1 (en) Flags indicating dummy data in the lead-in, lead-out and middle areas of a DVD.
JP2008510263A (en)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CN10053600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ile system information of recording medium
RU2292090C1 (en) Information-carrying medium, method and device for record and playback, and central device
JP2007122859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recording prevention function
KR20060046157A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ormatting the recording medium
KR20050054324A (en) Method for managing a file system information of high density optical disc
TW200423044A (en) Write-once-typ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KR20070101852A (en) Recording medium on which file system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method and device for initializ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using same
US781362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digital audio/video signals
KR100636171B1 (en) Recording / playback control method in host device, host device, recording / playback method and recording / playback device
CN10122177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fro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050101094A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for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080047011A (en) Record carrier, record carrier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050109639A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 in optical disc device and optical disc thereof
JPH02156481A (en) Method for controlling defect of optical d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7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5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