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989Y1 -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989Y1 KR200474989Y1 KR2020140004883U KR20140004883U KR200474989Y1 KR 200474989 Y1 KR200474989 Y1 KR 200474989Y1 KR 2020140004883 U KR2020140004883 U KR 2020140004883U KR 20140004883 U KR20140004883 U KR 20140004883U KR 200474989 Y1 KR200474989 Y1 KR 2004749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llen
- wall
- column
- drain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부재; 및 상기 화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가 상기 화분 부재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 부재는 기둥 부재 몸체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는 화분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막혀 일정 높이로 상승된 다음 배수되도록 하는 물막이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막이 벽체는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물막이 벽과,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 중 상기 화분 부재 상에 얹힌 기둥 부재의 내면과 상기 물막이 벽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1차 배수 홀과, 상기 물막이 벽을 넘은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2차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상기 물막이 벽체에 막혀 상기 1차 배수 홀을 따라 상기 물막이 벽체의 높이만큼 상승된 다음 상기 2차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의하면, 물막이 벽체가 물막이 벽과, 1차 배수 홀과, 2차 배수 홀을 포함함에 따라, 화분 부재 상의 물이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물막이 벽에 막혀 물막이 벽의 높이만큼 차오를 때까지 배수가 지연되고, 1차 배수 홀을 따라 물막이 벽의 높이만큼 수위가 상승된 다음에야 물이 물막이 벽을 넘어 2차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므로, 물막이 벽 쪽으로 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흙은 물막이 벽에 막혀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다단으로 적층된 화분 부재와 기둥 부재에 물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러한 물의 공급 과정에서 기둥 부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의 일부가 증발하면서 실내에 대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화분 내의 흙 유출은 방지되면서도 화분 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A laminar plant growing and humidifying device is disclosed.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is disclosed, which comprises a flower pot member for providing a space where plants are grown; And a column member passing through the pollen member such that the pollen memb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height, the pollen member penetrating the pollen member, the pollen member is caught on a certain height of the column member, The pollen member and the pillar member can b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one pillar member is placed on the pollen member, and the pillar member includes a pillar member body and a pillar member side drain Wherein the pollen member is raise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 periphery of the pollen member body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pole member penetrates in the pollen member body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pole member side drain hole is block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water damming wall for raising and then draining the water, A water dam wall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a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member penetrates, and a partition wall which is formed as a space for draining water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member placed on the flower member, And a secondary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over the watertight wall drains to the outside, wherein water on the flowerpot member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on the column member side, Is raised along the drain hole by a height of the water wall,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secondary drain hole.
According to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disclosed in the above, water on the flower pot member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on the column member side as the water wall includes the water wall, the primary drain hole and the secondary drain hole, The drainage is delayed until the height of the tundish wall is blocked, the water can be drained through the secondary drainage hole only after the water level is raised by the height of the tundish wall along the primary drainage hole, The soil that can b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toward the tail wall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multi-tiered flower pot member and the pillar member without being clogged by the tail wall, and flows along the column member during the supply of such water As a part of the falling water evaporates, it is possible to humidify the inside of the room, so that the soil can be drained out of the pot while water in the pot can be drained There are advantag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실내에서 식물을 기르면서 실내 공간에 대한 가습도 겸할 수 있는 것이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이다.It is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on humidifying device which can also humidify the indoor space while raising plants indoors.
이러한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 문헌이다.An example of such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is the patent document given below.
그러나, 위 특허 문헌 등에 제시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다단으로 적층된 각 화분에서 물이 배수될 때, 각 화분의 저면에 단순히 형성된 배수 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그 배수 홀을 통해 물만 배수되는 것이 아니라 화분 내의 흙도 함께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s and the like, when water is drained from each of the pots stacked in multiple stages, drainage is made through a drain hole formed simply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flower pot, There was a problem that not only drainage but also the soil in the flowerpot came out.
본 고안은 화분 내의 흙 유출은 방지되면서도 화분 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ayer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ication device in which water in a flowerpot can be drained while preventing soil runoff in the flowerpot.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부재; 및 상기 화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apparatus includes a pollen member providing a space where plants are grown; And a pillar member passing through the pollen member such that the pollen memb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화분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가 상기 화분 부재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The pollen member and the pole member ar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ollen member passes through the pole member, the pollen member is caught o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le member, and the other pole member is placed on the pollen member And,
상기 기둥 부재는 기둥 부재 몸체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고,Wherein the column member includes a column member body and a column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member body,
상기 화분 부재는 화분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막혀 일정 높이로 상승된 다음 배수되도록 하는 물막이 벽체를 포함하며,The pollen member is raised up to a certain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pole member penetrates in the pollen member body,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ole member side drain hole is clogged to be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drained And a water barrier wall,
상기 물막이 벽체는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물막이 벽과,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 중 상기 화분 부재 상에 얹힌 기둥 부재의 내면과 상기 물막이 벽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1차 배수 홀과, 상기 물막이 벽을 넘은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2차 배수 홀을 포함하고,Wherein the water barrier wall comprises a water barrier wall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member penetrates in the body of the flower pot member and an inner wall of the column member laid on the flower pot member of the multi- And a secondary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over the water barrier wall is drained to the outside,
상기 화분 부재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상기 물막이 벽체에 막혀 상기 1차 배수 홀을 따라 상기 물막이 벽체의 높이만큼 상승된 다음 상기 2차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on the flower pot member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on the column member side and then is clogged by the water wall wall and raised along the primary drain hole by the height of the dam member wall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secondary drain hole. do.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부재; 및 상기 화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a pollen member for providing a space where plants are grown; And a pillar member passing through the pollen member such that the pollen memb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화분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가 상기 화분 부재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The pollen member and the pole member ar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ollen member passes through the pole member, the pollen member is caught o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le member, and the other pole member is placed on the pollen member And,
상기 기둥 부재는 기둥 부재 몸체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고,Wherein the column member includes a column member body and a column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member body,
상기 화분 부재는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평평한 화분 바닥면과 상기 화분 바닥면의 외주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진 형태인 화분 벽으로 구성되는 화분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 상기 화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관통 형성되는 화분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며,Wherein the pollen member comprises a pollen member body including a flat pollen bottom surface on which plants can be grown and a pollen wall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pollen bottom surface, And a flowerpot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on the height,
상기 화분 부재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상기 화분 벽에 막혀 상기 화분 벽의 높이만큼 상승된 다음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ater on the pollen member passes through the pole member side drain hole, is clogged by the pollen wall, raised by the height of the pollen wall,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pollen member side drain hole.
본 고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의하면, 물막이 벽체가 물막이 벽과, 1차 배수 홀과, 2차 배수 홀을 포함함에 따라, 화분 부재 상의 물이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물막이 벽에 막혀 물막이 벽의 높이만큼 차오를 때까지 배수가 지연되고, 1차 배수 홀을 따라 물막이 벽의 높이만큼 수위가 상승된 다음에야 물이 물막이 벽을 넘어 2차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므로, 물막이 벽 쪽으로 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흙은 물막이 벽에 막혀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다단으로 적층된 화분 부재와 기둥 부재에 물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러한 물의 공급 과정에서 기둥 부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의 일부가 증발하면서 실내에 대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화분 내의 흙 유출은 방지되면서도 화분 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on the pollen element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on the column member side as the water wall contains the water wall, the primary drain hole and the secondary drain hole, The drainage is delayed until the height of the tundish wall is blocked by the tundish wall. After the water level is raised by the height of the tundish wall along the primary drainage hole, the water can be drained through the tundish wall through the secondary drainage hole Therefore, the soil that can b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toward the tail wall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planter member and the pillar member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without being clogged with the tail wall,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down along with the water evaporates, so that the water can be humidified to the inside of the pot, thereby preventing the soil from flowing out in the po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화분 부재와 기둥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수조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식 화분을 보이는 단면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llen member and a pillar member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ch constitute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ub member constitut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B shown in Fig. 5;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part C shown in Fig. 5;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D shown i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flower pot making up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화분 부재와 기둥 부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수조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r plant grow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ub member constitut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100)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부재(150)와, 상기 화분 부재(150)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150)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150)와 상기 기둥 부재(130)는 다단으로 적층되어 요구되는 높이로 자유자재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1 to 7, the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상기 화분 부재(150)를 상기 기둥 부재(130)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130)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150)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130)가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150)와 상기 기둥 부재(130)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상기 기둥 부재(130)는 기둥 부재 몸체(131)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1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132)을 포함한다.The
상세히, 상기 기둥 부재 몸체(131)는 상부가 잘린 꼬깔 형태, 즉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 부재 몸체(131)의 외벽을 따라 물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화분 부재(150)가 상기 기둥 부재 몸체(131)에 삽입되어 일정 깊이만큼만 삽입되면서 고정되어 상기 화분 부재(150)가 상기 기둥 부재 몸체(131)의 일정 높이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상기 화분 부재(150)는 화분 부재 몸체(151)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151)에서 상기 기둥 부재(130)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13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막혀 일정 높이로 상승된 다음 배수되도록 하는 물막이 벽체(155)를 포함한다.The
상기 화분 부재 몸체(151)에는 상기 기둥 부재(130)의 상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화분 부재 몸체(151)의 관통 홀 주변을 따라 원형으로 상기 물막이 벽체(155)가 세워진다.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상기 기둥 부재(130)가 상기 화분 부재 몸체(151)를 관통하면, 상기 화분 부재(150)가 상기 기둥 부재(130)의 일정 높이 상에 걸쳐 고정되는데, 이 때 상기 물막이 벽체(155)에도 상기 기둥 부재(130)가 관통되어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이 접촉된 상태가 된다.When the
상기 물막이 벽체(155)는 물막이 벽(156)과, 1차 배수 홀(157)과, 2차 배수 홀(158)을 포함한다.The
상기 물막이 벽(156)은 상기 화분 부재 몸체(151)에서 상기 기둥 부재(130)가 관통되는 관통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져서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물막이 벽(156)의 내면은 상기 화분 부재(150)가 결합된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물막이 벽(156)의 외면은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얹힌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부재(13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The
상기 1차 배수 홀(157)은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얹힌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부재(130)의 내면과 상기 물막이 벽(156) 외면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 벽(156)의 외주면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막이 벽(156)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The
상기 2차 배수 홀(158)은 상기 화분 부재(150)가 고정된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과 상기 물막이 벽(156) 내면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 벽(156)의 내주면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막이 벽(156)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1차 배수 홀(157)에서 그 수위가 상승되어 상기 물막이 벽(156)을 넘은 물이 상기 2차 배수 홀(158)을 통해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 쪽으로 배수되어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상기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100)는 수조 부재(170)와, 덮개 부재(110)를 더 포함한다.The laminating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상기 수조 부재(170)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최하측의 상기 기둥 부재(130)가 얹히고,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와 상기 화분 부재(150)를 거쳐 최종적으로 흘러내린 물이 수용되며, 수용된 물을 다시 퍼올려줄 수 있는 것이다.The
상세히, 상기 수조 부재(170)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화분 부재(150)와 상기 기둥 부재(13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배수된 물이 수용되는 수조 부재 몸체(171)와, 상기 수조 부재 몸체(171)의 중앙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최하측의 상기 기둥 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는 중앙 돌출부(172)와, 상기 중앙 돌출부(172)에 끼워진 상기 기둥 부재(130)의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132)을 통해 유입된 물 중의 이물질이 상기 중앙 돌출부(172)에 걸리면서 물만 상승되도록 상기 중앙 돌출부(172)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측 배수 홀(173)과, 상기 중앙 돌출부측 배수 홀(173)을 따라 상승되어 상기 중앙 돌출부(172)를 넘어 수용된 물을 퍼올릴 수 있는 펌프(176)를 포함한다.The
도면 번호 174는 상기 펌프(176) 등을 온오프 등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이고, 도면 번호 175는 상기 펌프(176)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연결부이다.
상기 덮개 부재(110)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최상단의 상기 기둥 부재(130)에 얹히는 덮개 부재 몸체(111)와, 상기 덮개 부재 몸체(111)의 바닥면(112)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펌프(176)에 의해 퍼올려진 물이 상기 덮개 부재 몸체(111) 상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통 물 공급관(113)과,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에 의해 상승된 물이 부딪혀 하방으로 퍼지도록 하는 물 분배체(115)를 포함한다.The
도면 번호 114는 상기 덮개 부재 몸체(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 부재 몸체(111)에 수용된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덮개 부재측 관통 홀이다.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의 하단과 상기 펌프(176)는 연결 관에 의해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through-
상기 물 분배체(115)는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에 고정되는 물 분배체 고정부(116)와,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까지 이격되도록 상기 물 분배체 고정부(116)에서 돌출되는 높이 형성부(117)와, 상기 높이 형성부(117)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물 공급관(113)을 통해 상승된 물이 부딪혀 하방으로 퍼질 수 있는 물 퍼짐부(118)를 포함한다.The
상기 물 퍼짐부(118)는 일정 면적의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 하방으로 일정 곡률로 만곡된 곡면 형상, 삿갓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먼저, 상기 화분 부재(150)가 상기 기둥 부재(130)에 걸쳐지고, 상기 기둥 부재(130)에 걸쳐진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부재(130)가 얹히며,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얹힌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부재(130)에 다른 하나의 상기 화분 부재(150)가 걸쳐지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상기 화분 부재(150)와 복수 개의 상기 기둥 부재(130)가 다단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최하단의 상기 기둥 부재(130) 하단에는 상기 수조 부재(170)가 결합되고,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130) 중 최상단의 상기 기둥 부재(130) 상단에는 상기 덮개 부재(110)가 결합된다.First, the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수조 부재(170)의 상기 펌프(176)가 작동되면, 상기 수조 부재(170) 내의 물이 퍼올려진 다음 상기 물 분배체(115)에 의해 퍼지면서 상기 덮개 부재 몸체(111) 내에 수용되고, 그 수용된 물은 상기 덮개 부재(110)측 관통 홀을 통해 흘러내려, 그 하측의 상기 기둥 부재(130)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상기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130) 외면을 따라 물이 흘러내리면서 실내에 대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the water flows dow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기둥 부재(130)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던 물은 상기 화분 부재(150)에 도달되어 상기 화분 부재(150) 상의 흙을 적시면서 상기 화분 부재(150) 상에 심긴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화분 부재(150)에 공급되었던 물은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132)을 통해 상기 기둥 부재(130) 내측으로 유입되는데, 이 물 중에는 흙이 혼합되어 있다.The water that has been supplied to the
상기와 같이 상기 기둥 부재(130) 내측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물막이 벽(156)에 의해 막혀 상기 1차 배수 홀(157)을 따라 일정 수위에 도달될 때까지 배수가 지연되고, 그 일정 수위에 도달된 다음 상기 물막이 벽(156)을 넘어 상기 2차 배수 홀(158)을 통해 배수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둥 부재(130) 내측으로 유입된 물 중의 흙은 상기 물막이 벽(156)에 의해 막혀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상기 2차 배수 홀(158)을 통해 배수된 물은 상기 화분 부재(150)가 걸쳐진 상기 기둥 부재(13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기둥 부재(130)의 하단에 놓인 다른 하나의 상기 화분 부재(150)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drained through the
위와 같은 물 유동 과정이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화분 부재(150)와 상기 기둥 부재(130)에서 반복되면서, 실내에 대한 가습과 식물에 대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water flow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at the
상기와 같이, 상기 물막이 벽체(155)가 물막이 벽(156)과, 1차 배수 홀(157)과, 2차 배수 홀(158)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화분 부재(150)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132)을 통과한 다음, 상기 물막이 벽(156)에 막혀 상기 물막이 벽(156)의 높이만큼 차오를 때까지 배수가 지연되고, 상기 1차 배수 홀(157)을 따라 상기 물막이 벽(156)의 높이만큼 수위가 상승된 다음에야 물이 상기 물막이 벽(156)을 넘어 상기 2차 배수 홀(158)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물막이 벽(156) 쪽으로 물과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흙은 상기 물막이 벽(156)에 막혀 유출되지 않으면서도,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화분 부재(150)와 상기 기둥 부재(130)에 물이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러한 물의 공급 과정에서 상기 기둥 부재(130)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의 일부가 증발하면서 실내에 대한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화분 내의 흙 유출은 방지되면서도 화분 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carrying out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already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it will be omitted here.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D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를 구성하는 이동식 화분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vable flower pot making up a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200)는 식물이 재배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부재(250)와, 상기 화분 부재(250)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250)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250)를 상기 기둥 부재(230)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230)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250)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230)가 상기 화분 부재(250)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250)와 상기 기둥 부재(230)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다.8 to 11, the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상기 기둥 부재(230)는 기둥 부재 몸체(231)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2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232)을 포함한다.The
상기 기둥 부재 몸체(231)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기둥 부재(230)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결합 기둥(234)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 부재(230) 상부에는 상방으로 결합 홀이 뚫린 형태의 결합 기둥 결합 홀부(237)가 형성된다. 그러면, 복수 개로 적층되는 상기 기둥 부재(230) 중 상측에 위치되는 기둥 부재(230)의 결합 기둥(234)이 하측에 위치되는 결합 기둥 결합 홀부(237)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둥 부재(230)들의 적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분 부재(250)가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평평한 화분 바닥면(252)과 상기 화분 바닥면(252)의 외주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진 형태인 화분 벽(253)으로 구성되는 화분 부재 몸체(251)와, 상기 화분 벽(253)에 상기 화분 바닥면(252)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관통 형성되는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은 상기 화분 부재 몸체(251)에서 일정 높이 상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flowerpot member side drain holes 254 are formed on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화분 부재(250)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232)을 통과한 다음, 상기 화분 벽(253)에 막혀 상기 화분 벽(253)의 높이만큼 수위가 상승된 다음에야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화분 부재(250) 내의 흙 유실이 방지되면서 물이 배수될 수 있게 된다.After the water on the
상기 기둥 부재(230)는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을 통해 배수된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35)와, 상기 가이드부(235)를 따라 안내된 물이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부재 몸체(231)를 관통 형성되는 물 가이드 공급 홀(236)을 포함한다.The
상기 가이드부(235)는 상기 기둥 부재(230)의 상부에 그 하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235)가 형성된 상기 기둥 부재(230)의 상측에 얹힌 상기 화분 부재(250)의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을 통해 배수된 물이 상기 가이드부(235)에 낙하된 다음 상기 가이드부(235)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그 흘러내린 물은 상기 물 가이드 공급 홀(236)을 통해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으로 공급되어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The
한편, 상기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200)는 상기 기둥 부재(2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이동식 화분(280)을 더 포함한다.The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상기 이동식 화분(280)은 전면이 개방된 사박 박스 형태의 이동식 화분 몸체(281)와,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 후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물 낙하 홀(284)과,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에서 상기 물 낙하 홀(284) 쪽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 낙하 홀(284)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 중 일부가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동식 화분 몸체 관통 홀(283)을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이동식 화분(280)은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의 배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와의 사이에 상기 물 낙하 홀(284)을 형성하면서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에 연결되는 배면 패널(282)과, 상기 배면 패널(282)과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281)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물 낙하 홀(28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물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 유입 입구(286)와, 상기 배면 패널(282)의 배면에 함몰 형성되는 이동식 화분 결합 홀(285)을 포함한다.The
상기 기둥 부재(230)의 전면에는 상기 이동식 화분 결합 홀(285)에 끼워질 수 있는 이동식 화분 결합 돌기(233)가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상기 이동식 화분 결합 돌기(233)는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이동식 화분 결합 돌기(233) 중 어느 것을 상기 이동식 화분 결합 홀(285)에 끼우느냐에 따라 상기 기둥 부재(230)의 전면에서의 상기 이동식 화분(280)의 위치가 선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그 위치가 간편하게 가변될 수 있다.A plurality of movable flow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aminar plant cultivating and
상기 화분 부재(250)와 상기 기둥 부재(230)가 복수 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 부재(230)의 전면을 따라 흘러내릴 물은 상기 이동식 화분(280) 등에 공급된 다음 상기 기둥 부재(230)가 올려진 상기 화분 부재(250)에 수용된다.The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화분 부재(250)에 수용된 물은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232)을 통과한 다음 상기 화분 벽(253)에 의해 막혀 그 수위가 상승되고, 그 수위가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에 도달되면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254)을 통해 물만 외부로 유출되어 배수된다.The water contained in the
상기와 같이 배수된 물은 상기 화분 부재(250)의 하측에 위치된 다른 하나의 상기 기둥 부재(230)의 상기 가이드부(235)를 따라 안내되어 흘러내린 다음, 상기 물 가이드 공급 홀(236)을 통해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으로 공급되어 상기 기둥 부재(230)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The water drained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along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상기 이동식 화분(280)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상기 제 1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화분(280)이 상기 기둥 부재(230)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요철 형태의 결합 방식이 제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철판과 자석을 상기 이동식 화분(280)과 상기 기둥 부재(230)에 각각 설치하여 부착하는 방식 등 다른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abov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an be changed. However,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에 의하면, 화분 내의 흙 유출은 방지되면서도 화분 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According to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ng and 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n the pollen can be drained while preventing the soil from flowing out in the pollen, so that the possibility of industrial use is high.
110 : 수조 부재 130 : 기둥 부재
150 : 화분 부재 170 : 덮개 부재110: water tub member 130: pillar member
150: flowerpot member 170: cover member
Claims (7)
상기 화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가 상기 화분 부재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 부재는 기둥 부재 몸체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는 화분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막혀 일정 높이로 상승된 다음 배수되도록 하는 물막이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물막이 벽체는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서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되는 홀 주변을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물막이 벽과,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 중 상기 화분 부재 상에 얹힌 기둥 부재의 내면과 상기 물막이 벽 사이에 배수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1차 배수 홀과, 상기 물막이 벽을 넘은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2차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상기 물막이 벽체에 막혀 상기 1차 배수 홀을 따라 상기 물막이 벽체의 높이만큼 상승된 다음 상기 2차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A flowerpot member providing a space in which plants are grown; And
And a column member passing through the flowerpot member so that the flowerpot memb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height,
The pollen member and the pole member ar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ollen member passes through the pole member, the pollen member is caught o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le member, and the other pole member is placed on the pollen member And,
Wherein the column member includes a column member body and a column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member body,
The pollen member is raised up to a certain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pole member penetrates in the pollen member body,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pole member side drain hole is clogged to be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drained And a water barrier wall,
Wherein the water barrier wall comprises a water barrier wall which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the periphery of the hole through which the column member penetrates in the body of the flower pot member and an inner wall of the column member laid on the flower pot member of the multi- And a secondary drai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over the water barrier wall is drained to the outside,
The water on the flower pot member passes through the drain hole on the column member side and then is clogged by the water wall wall and raised along the primary drain hole by the height of the dam member wall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secondary drain hole. Laminar plant growing and humidifying device.
상기 1차 배수 홀은 상기 물막이 벽체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2차 배수 홀은 상기 1차 배수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물막이 벽체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primary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am body,
Wherein a plurality of the secondary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imary drain holes,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barrier wall.
상기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는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배수된 물이 수용되는 수조 부재 몸체와, 상기 수조 부재 몸체에 수용된 물을 퍼올릴 수 있는 펌프를 구비하는 수조 부재; 및
다단으로 적층된 상기 기둥 부재 중 최상단의 상기 기둥 부재에 얹히는 덮개 부재 몸체와, 상기 덮개 부재 몸체를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펌프에 의해 퍼올려진 물이 상기 덮개 부재 몸체 상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관통 물 공급관과, 상기 관통 물 공급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 물 공급관에 의해 상승된 물이 부딪혀 하방으로 퍼지도록 하는 물 분배체를 포함하는 덮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 water tub member having a water tub member including the pollen member stacked in a multi-stage structure, the water member dispos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illar member and containing water discharged therefrom, and a pump capable of pumping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ub member body; And
A lid member body which is placed on the column member at the uppermost one of the column member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nd a through-water supply pipe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lid member body and into which water pumped up by the pump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member body And a lid member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through-water supply pipe, the lid member including a water distributing body for allowing the water raised by the through-water supply pipe to bounce downward.
상기 화분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화분 부재가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기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를 상기 기둥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기둥 부재의 일정 높이 상에 상기 화분 부재가 걸리고, 다른 하나의 기둥 부재가 상기 화분 부재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상기 화분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가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 부재는 기둥 부재 몸체와, 상기 기둥 부재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부재는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평평한 화분 바닥면과 상기 화분 바닥면의 외주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세워진 형태인 화분 벽으로 구성되는 화분 부재 몸체와, 상기 화분 부재 몸체에 상기 화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상에 관통 형성되는 화분 부재측 배수 홀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 부재 상의 물이 상기 기둥 부재측 배수 홀을 통과한 다음, 상기 화분 벽에 막혀 상기 화분 벽의 높이만큼 상승된 다음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A flowerpot member providing a space in which plants are grown; And
And a column member passing through the flowerpot member so that the flowerpot memb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height,
The pollen member and the pole member are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ollen member passes through the pole member, the pollen member is caught o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ole member, and the other pole member is placed on the pollen member And,
Wherein the column member includes a column member body and a column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column member body,
Wherein the pollen member comprises a pollen member body including a flat pollen bottom surface on which plants can be grown and a pollen wall whic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pollen bottom surface, And a flowerpot member side drain hole formed so as to penetrate on the height,
Wherein the water on the pollen member is passed through the pole member side drain hole and then clogged by the pollen wall and raised by the height of the pollen wall and then drained through the pollen member side drain hole. Device.
상기 기둥 부재는
상기 화분 부재측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된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안내된 물이 상기 기둥 부재 전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상기 기둥 부재 몸체를 관통 형성되는 물 가이드 공급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lumn member
A guide portion for guiding water drained through the flowerpot member side drain hole,
And a water guide supply hole formed through the body of the pillar member so that water guided along the guide portion can flow down along the entire surface of the pillar member.
상기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는
상기 기둥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이동식 화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laminated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ying device
And a movable flower pot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lumn member and on which plants can be cultivated.
상기 이동식 화분은
이동식 화분 몸체와,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 후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물이 흘러내릴 수 있는 물 낙하 홀과,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에서 상기 물 낙하 홀 쪽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물 낙하 홀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 중 일부가 상기 이동식 화분 몸체 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이동식 화분 몸체 관통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bile flower pot
A mobile pollen body,
A water fall hole formed in the rear side of the mobile pollen body so as to be vertically penetrated to allow water to flow down,
And a mobile flowerpot body through hole formed in the mobile pollen body to penetrate the water drop hole and allow part of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drop hole to be supplied toward the mobile pollen body.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4883U KR200474989Y1 (en) | 2014-06-30 | 2014-06-30 |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
| PCT/KR2015/002707 WO2016003051A1 (en) | 2014-06-30 | 2015-03-19 | Stack-type plant cultivation and humidific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140004883U KR200474989Y1 (en) | 2014-06-30 | 2014-06-30 |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74989Y1 true KR200474989Y1 (en) | 2014-10-28 |
Family
ID=5214292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1400048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74989Y1 (en) | 2014-06-30 | 2014-06-30 |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74989Y1 (en) |
| WO (1) | WO2016003051A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871855A (en) * | 2015-05-13 | 2015-09-02 | 浙江枫云景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Cylindrical planter with irrigation and humidification system |
| KR200479522Y1 (en) | 2015-06-26 | 2016-02-05 | 김희수 | Fishing port and water culture apparatus |
| KR102183493B1 (en) * | 2020-05-06 | 2020-11-26 | 김득수 | Water saving pots |
| CN114383312A (en) * | 2022-01-10 | 2022-04-22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Water pan and tuber pipe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9496604A (en) * | 2019-01-11 | 2019-03-22 | 潘仕高 | A kind of cultivation tray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25512A (en) * | 2001-05-01 | 2002-11-12 | Kana Abe | Multistage flowerpot setting body |
| KR200435608Y1 (en) * | 2006-08-22 | 2007-02-05 | 배도윤 | 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 supply |
| KR20090009421U (en) * | 2008-03-15 | 2009-09-18 | 박성국 | Wall-Mounted Multi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IL105601A (en) * | 1993-05-04 | 1997-06-10 | N C A Ltd | Plant holder |
| JPH1189688A (en) * | 1997-09-22 | 1999-04-06 | Minoru Uemura | Flowerpot stacking pole and flowerpot and water supply apparatus used therefor |
-
2014
- 2014-06-30 KR KR2020140004883U patent/KR20047498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3-19 WO PCT/KR2015/002707 patent/WO201600305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25512A (en) * | 2001-05-01 | 2002-11-12 | Kana Abe | Multistage flowerpot setting body |
| KR200435608Y1 (en) * | 2006-08-22 | 2007-02-05 | 배도윤 | Flowerpot with automatic water supply |
| KR20090009421U (en) * | 2008-03-15 | 2009-09-18 | 박성국 | Wall-Mounted Multiassembly.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4871855A (en) * | 2015-05-13 | 2015-09-02 | 浙江枫云景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Cylindrical planter with irrigation and humidification system |
| KR200479522Y1 (en) | 2015-06-26 | 2016-02-05 | 김희수 | Fishing port and water culture apparatus |
| KR102183493B1 (en) * | 2020-05-06 | 2020-11-26 | 김득수 | Water saving pots |
| CN114383312A (en) * | 2022-01-10 | 2022-04-22 |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 Water pan and tuber pipe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6003051A1 (en) | 2016-01-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74989Y1 (en) | Laminating-type plant grow humidification apparatus | |
| US7644537B1 (en) | Unattended plant watering system | |
| CA2847125C (en) |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 |
| US9592525B2 (en) | Garden fountain | |
| US10531615B2 (en) |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irrigation system | |
| KR101384684B1 (en) | Room type hydroponics growing equipment | |
| US9516821B1 (en) | Self-watering planter insert assembly | |
| US20160316644A1 (en) | Self-watering planter assembly | |
| CN106472271A (en) | A kind of potted plant ball float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 |
| JP3168859U (en) | Small cultivation equipment | |
| KR200472887Y1 (en) | Multi-Use Pot Assembly with Supporting Structure | |
| JP2011139695A (en) | Water level adjusting device for adding water pouring-water for water tank or water receiving vessel | |
| JP2010136662A (en) | Floating structure for biotope | |
| KR20150027537A (en) | An irrigation gate for a rice field | |
| KR200479522Y1 (en) | Fishing port and water culture apparatus | |
| KR20130050615A (en) | Assembly plant stand | |
| KR20150120195A (en) | Multistage hydroponic equipment | |
| JP3157945U (en) | Greening panel | |
| JP2007197993A (en) | Wall-mounted planter | |
| TW200915974A (en) | Watering apparatus and watering method used for pot flower | |
| KR101235373B1 (en) | Park for mode of life provided with wall fountain | |
| CN208708237U (en) | A combined plant cultivation device | |
| JP2010246462A (en) | Rainwater-based plant cultivation equipment | |
| JP2018014935A (en) | Flowerpot apparatus | |
| RU2198500C2 (en) | Plant growing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710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