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1621Y1 - 여성용 소변 보조기 - Google Patents

여성용 소변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21Y1
KR200451621Y1 KR2020100004007U KR20100004007U KR200451621Y1 KR 200451621 Y1 KR200451621 Y1 KR 200451621Y1 KR 2020100004007 U KR2020100004007 U KR 2020100004007U KR 20100004007 U KR20100004007 U KR 20100004007U KR 200451621 Y1 KR200451621 Y1 KR 200451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urine
open fixing
present
end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형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유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유재형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2020100004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02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인체에 접촉되는 비교적 넓은 유입구(11)를 갖는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에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유입구(11)에 비해 좁은 배출구(21)가 형성된 후단부(20)로 이루어지는 원뿔 형상의 몸체(A)로 이루어며, 몸체(A)의 측부에는 접이부(10a)(20a)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점착제로 부착되는 개방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시 개방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A)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여성용 소변 보조기.

Description

여성용 소변 보조기{Urine utensil for women}
본 고안은 여성용 소변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여성이 선 자세에서 신체나 의복을 오염시키지 않고 편리하게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신체구조가 남성과 달라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앉은 자세를 유지하여야 함으로써 용변을 보기 위한 화장실을 앉아서 움직이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의 규모를 갖도록 형성하여야 하는 것으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만들 경우라도 남성용 화장실에 비하여 그 수가 적게 되어 휴가철의 행락 인파나 명절 귀성객들이 많을 때 도로변의 휴게소 화장실에는 여성들이 긴 줄로 대기하여야 하는 등 화장실 체증에 의한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근래 들어 화장실 문화가 개량되면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에도 좌변기의 설치가 늘고 있고, 그 점유율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나 여러 사람의 사용에 의해 더러워질 경우 사용을 기피하게 됨으로써 화장실의 체증을 유발하고 사용자가 사용할 때마다 비치된 화장지 등을 이용하여 신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닦아낸 후 사용함으로써 물자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병원균이 신체에 닿아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임신 중인 경우에는 생리적으로 빈뇨 현상이 있어 자주 화장실을 이용하여야 하는 것이나 불러진 배 때문에 앉는 동작이 불편한 임산부가 그 고통을 고스란히 감내하여야 하였으며 질병 등의 검사를 위해 채뇨를 행할 경우에도 채뇨용 용기의 외면에 흘리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성들이 선 자세에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화장실의 체증 문제를 해결하고 앉아서 배뇨를 행함으로써 야기되는 여성의 불편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비교적 넓은 유입구를 갖는 선단과 상기 선단에 일정거리 이격되고 선단 개구에 비해 좁은 배출구가 형성된 원뿔 형상의 소변 보조기 몸체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를 절첩이 자유로운 소재로 제조함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소변 보조기를 보관시 접어서 소형으로 보관함으로써 접혀진 부분이 완전히 잘 펴지지 않거나 펴졌다하더라도 종이 등 재질상 원상복귀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개방고정부를 형성함으로써 소변시에 소변 보조기가 접혀지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인체에 접촉되는 비교적 넓은 유입구(11)를 갖는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에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유입구(11)에 비해 좁은 배출구(21)가 형성된 후단부(20)로 이루어지는 원뿔 형상의 몸체(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유입구(11)의 선단부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쿠션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의 내면에는 미립화된 캡슐상의 중화제(40)가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며,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의 일측면에는 휴지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50)가 더 구비된다.
또 다른 구성으로,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의 측부에는 접이부(10a)(20a)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점착제로 부착되는 개방고정부재를 형성하여 사용시 개방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A)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개방고정부재는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에는 각각 결합홈(71a) 및 결합돌기(71b)를 형성하여 억지 끼움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것과, 상기 개방고정부재는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양철판(80)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청결하지 못한 공중화장실을 사용하여야 하거나 임신으로 인해 앉거나 일어서기가 불편한 경우 등 여성이 겪게 되는 배뇨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독립된 화장실의 공간점유를 줄여 동일한 공간 내에 더 많은 배뇨공간을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화장실의 체증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 다른 효과로는 소변 보조기를 보관시 접어서 소형으로 보관함으로써 접혀진 부분이 완전히 잘 펴지지 않거나 펴졌다하더라도 종이 등 재질상 원상복귀되는 현상을 고려하여 개방고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소변시에 소변 보조기가 접혀지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접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전개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2의 펼친 상태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쿠숀층 및 코팅층, 중화제의 설치 구성을 보이는 측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휴지 보관 상태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휴지 보관 상태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을 접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개방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접이부를 접은 상태에서 개방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1, 2에 적용될 수 있는 개방고정부재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3은 본 고안의 실시예1, 2에 적용될 수 있는 개방고정부재의 타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14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개방고정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15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개방고정부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선단보조덮개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 내지 5에 나타난 실시예1에 따르면, 본 고안의 여성용 소변 보조기는 비교적 넓은 유입구(11)를 갖는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에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고 선단부(10)상의 유입구(11)에 비하여 좁은 배출구(21)가 형성된 후단부(20)로 이루어지며, 또한 원뿔 형상의 내수성을 갖는 종이 또는 얇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소변 보조기 몸체(A)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이루는 양 측면판(a)(b)의 일변(1)(또는 단일면으로 된 종이 재질의 절첩되는 부분선)을 마주하게 연결시켜 일체화하고,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절첩시켜 대칭을 이루게 하여 절첩된 일변(1)의 양 측면판(a)(b)의 타변(2)(3)중 일측의 타변(2)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접착면(4)을 돌출 형성하여 양 타변(2)(3)을 접착시켜 연결함으로써 일변(1)과 접착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할 때 요(尿)의 통로를 이루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원뿔형상의 통체를 이루는 것으로, 가압시에 선단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21)가 각각 마련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4a는 접착면(4)에 부착되어 탈착가능한 종이카바이다.
또한, 상기 소변 보조기의 몸체(A)는 절첩되어 양 측면판(a)(b)의 내면이 밀착되어진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일변(1)과 접착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하여 유입구(11)와 배출구(21) 및 상기 유입구(11)와 배출구(21)를 연결하는 통로를 마련하도록 통체를 형성한 후 사용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선단부(10)는 원뿔 형상을 갖는 소변 보조기 몸체(A)의 인체 접촉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소변 보조기 몸체(A)를 사용하기 위해 절첩되어진 일변(1)과 접착되어 연결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하게 되면 유입구(11)의 선단부(1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진 신체에 부착시켰을 때 선단부(10)는 자연스럽게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경사진 유입구(11)를 통해 배뇨를 후단부의 배출구(21)를 통해 배출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2로서, 소변 보조기 몸체(A)는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이루는 양 측면판(a)(b)의 일변(1)을 마주하게 연결시켜 일체화하고 연결부를 기준으로 절첩시켜 대칭을 이루게 하고, 양 측면판(a)(b)의 타변(2)(3)중 일측의 타변(2)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접착면(4)을 돌출 형성하여 양 타변(2)(3)을 접착시켜 연결함으로서 일변(1)과 접착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할 때 요(尿)의 통로를 이루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원뿔형상의 통체를 이루는 것으로 가압시에 선단부에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배출구(21)가 각각 마련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변 보조기의 몸체(A)의 배출구(21) 부분에는 양 측면판(a)(b)의 연결부에서 브이(V)자 형태로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소변보조기를 신체에 부착시켰을 때 배출구(21)가 일정한 경사로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후단부(20)를 절개하였다.
사용시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몸체(A)가 접혀진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일변(1)과 접착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유입구(11)와 배출구(21)를 연결하는 통로를 마련하도록 통체를 형성한 후 사용토록 하면 되는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단면 상태를 보이는 단면도로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의 단부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쿠션층(12)을 형성하여 신체 접촉시 상처를 입거나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쿠션층(12)은 선단부(10)의 단부를 둥글게 말아서 형성하거나 별도로 구비하여 부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몸체(A)의 선단부(10)에 선단보조덮개(12a)(12b)를 둥글게 확장시켜 이를 외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절첩선을 형성하고, 이를 외측으로 접어 사용하게 되면 사람의 몸체에 상처를 입히거나 불편을 느끼기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21) 또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상방으로 열리게 됨으로써 오줌을 배출할 때 신체에서 조금이라도 더 멀리 나아갈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는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만들 수 있는 것으로, 그 내면에는 코팅층(30)이 형성되어 배뇨(排尿)중에 소변 보조기 몸체(A)에 흡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내수성을 확보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코팅층(30)의 상면에는 유기산이나 식초 등으로 이루어진 중화제(40)을 도포 형성하여 냄새를 유발하는 요(尿)중에 함유된 암모니아 성분과의 중화를 유도하여 냄새를 없애므로서 상쾌하게 배뇨를 행하고 청정한 상태로 화장실을 유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화제(40)로 사용되는 유기산 및 식초 성분은 미세 캡슐화하여 도포 부착토록 함으로서 사용하기 전에 대기 중에 확산되거나 증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미 각종 향이나 비타민 등을 미세한 크기로 캡슐화하는 기술은 국내외에 상용화되어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유기산 또는 식초를 미세 캡슐화하기 위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1, 2에 휴지(60)가 수용되는 구조를 보이는 측단면도로서, 도7은 소변 보조기 몸체(A)를 이루는 측면판(a) 또는 측판(b))의 일측 내면에 수납부(50)를 형성한 구조이고, 도8은 그 외면에 휴지(60)를 수용을 위한 수납부(50)가 형성될 수 있는 접이부(10a)(20a)를 더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50)는 소변 보조기 몸체(A)를 이루는 측면판((a) 또는 측면판(b))의 일측 내면 또는 외면으로 일정한 규격을 갖는 판상의 소재를 덧대고 이를 접착시켜 형성하거나, 또 다른 휴지의 수용방법으로 소변 보조기 몸체(A)에 휴지를 덧 댄 후 몸체(A)에 절첩선(55)을 형성하여 접이부(10a)(20a)를 각각 접어줌으로써 수납부(50)가 형성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휴지는 사용자의 신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본원 고안의 개방고정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을 접어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측부 및 하부에 접이부(10a)(20a)를 접을 수 있는 절첩선(55)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접이부(10a)(20a)를 접은 후 사용시 이를 펼 경우에는 일시적으로는 펴져 있을 수 있으나, 몸체((A)의 재질상 원상복귀되는 성질에 의하여 상기 접이부(10a)(20a)가 접혀지므로서, 소변시 소변이 다른 방향으로 가거나, 통로가 막혀버리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10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개방고정부재(70)를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양분하여 점착제 등으로 부착하되, 상기 개방고정부재(70)은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로 구분 형성하고,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에는 각각 결합홈(71a) 및 결합돌기(71b)를 형성하여(도12 참조) 소위 억지 끼움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되어 몸체(A)의 접이부(10a)(20a)를 일직선으로 고정하게 하여 소변시에 소변이 일직선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져오게 한다.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접이부를 절반 정도 접은 상태에서 개방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고안의 실시예1, 2에 적용될 수 있는 개방고정부재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실시예1, 2에 적용될 수 있는 개방고정부재의 타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상기 개방고정부재의 실시예1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양철판(80)을 부착한 구조이다.
상기 양철판(80)의 경우 접은 상태일 경우에는 접이부(10a)(20a)를 그대로 접어 유지하다가 사용시에 이를 펼 경우에는 편 상태로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몸체(A)가 일직선 상태로 유지가 가능하게 되므로, 본 고안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14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개방고정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5는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개방고정부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선단보조덮개(12a)(12b)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몸체(A)가 접혀진 상태로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상기 일측 및 타측개방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몸체(A)를 일직선으로 형성한 후에, 일변(1)과 접착된 타변(2)(3)을 각각 가압하게 되면, 상기 유입구(11)와 배출구(21)가 관통되는 원뿔형 통체가 형성되므로, 이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사용자인 여성이 손쉽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한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휴대시에도 부피가 최소화되어 별다른 표시가 나지 않음으로써 휴대 및 사용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A : 몸체 a,b : 측면판
1 : 일변 2.3 : 타변
4 : 접착면 10 : 선단부
11 : 유입구 12 : 쿠션층
20 : 후단부 21 : 배출구
30 : 코팅층 40 : 중화제
50 : 수납부 55 : 절첩선
60 : 휴지 70 : 개방고정부재
80 : 양철판

Claims (4)

  1. 인체에 접촉되는 비교적 넓은 유입구(11)를 갖는 선단부(10)와 상기 선단부(10)에 일정거리 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유입구(11)에 비해 좁은 배출구(21)가 형성된 후단부(20)로 이루어지는 원뿔 형상의 몸체(A)로 이루어지는 여성용 소변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의 측부에는 접이부(10a)(20a)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A)의 절첩선(55)을 중심으로 점착제로 부착되는 개방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고정부재는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일측개방고정부재(70a)와 타측개방고정부재(70b)에는 각각 결합홈(71a) 및 결합돌기(71b)가 형성되어 억지 끼움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사용시 개방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몸체(A)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 보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보조기 몸체(A)의 일측면에는 휴지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소변 보조기.
KR2020100004007U 2010-04-16 2010-04-16 여성용 소변 보조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07U KR200451621Y1 (ko) 2010-04-16 2010-04-16 여성용 소변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007U KR200451621Y1 (ko) 2010-04-16 2010-04-16 여성용 소변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621Y1 true KR200451621Y1 (ko) 2010-12-29

Family

ID=4447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00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1621Y1 (ko) 2010-04-16 2010-04-16 여성용 소변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2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3330A (en) 1992-09-04 1994-08-02 Murtagh Daniel S Feminine urinary device
US5408703A (en) 1991-12-16 1995-04-25 Cicio; William Female urination aid
KR200368064Y1 (ko) * 2004-08-17 2004-11-17 유재형 여성용 소변 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8703A (en) 1991-12-16 1995-04-25 Cicio; William Female urination aid
US5333330A (en) 1992-09-04 1994-08-02 Murtagh Daniel S Feminine urinary device
KR200368064Y1 (ko) * 2004-08-17 2004-11-17 유재형 여성용 소변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4068B2 (en) Foldable, disposable, urine receptacle
US2878486A (en) Sanitary device
US9480595B2 (en) Female urination aid
US7131149B2 (en) Female urination aid device
US20070214553A1 (en) Female urinal with discharge conduit
WO2009023878A1 (en) Disposable female urinary aid
US6851131B1 (en) Portable toilet bowl cover
US20070044213A1 (en) Flushable urination assisting device
CN102014812A (zh) 漏斗状小便装置
US8146179B1 (en) Urination canal for females
US8156598B2 (en) Personal hygiene devices to aid physically impaired users to clean their recto-genital area
US7530121B2 (en) Portable disposable urination capture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20060106356A1 (en) Urine-absorbing pad
WO2007050716A1 (en) Urination funnel for women
JP4697548B2 (ja) おむつ
KR200333390Y1 (ko) 어린이 휴대용 소변기
WO2002038089A1 (en) An apparatus for aiding a woman in urinating in a standing position
KR200451621Y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
KR200368064Y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
JP7377579B1 (ja) 採尿具
JP5224307B1 (ja) 男性専用トイレットペーパー
KR101067798B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구
JP3133804U (ja) 男性用排尿補助具
JP3220689U (ja) 使捨て用おむつ
KR102174025B1 (ko) 차량용 공기주입식 간이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UA0301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UA0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512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2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