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84Y1 - Plumbing fixture - Google Patents
Plumbing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084Y1 KR200447084Y1 KR20070020882U KR20070020882U KR200447084Y1 KR 200447084 Y1 KR200447084 Y1 KR 200447084Y1 KR 20070020882 U KR20070020882 U KR 20070020882U KR 20070020882 U KR20070020882 U KR 20070020882U KR 200447084 Y1 KR200447084 Y1 KR 20044708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extension piece
- central
- pipe
- fix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설비 배관들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추가공정이 필요없도록하며, 각각의 브라켓의 결합시 고정력이 더욱 증가되며 이를 위한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아치형 안착부가 마련된 중앙 브라켓과, 상기 중앙 브라켓의 양단부에 체결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의 각 단부에 절곡되어 형성되며, 어느 한 쪽에는 체결홀이 마련되고 다른 한 쪽에는 상기 체결홀과 연통하는 장공이 형성된 제1연장편 및 제2연장편과, 상기 제1연장편 또는 상기 제2연장편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제1연장편 또는 상기 제2연장편 중 다른 한 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ixing device for fixing facility pipes, such as water, sewage or city gas or fire-fighting pipes, so that a fixing part for coupling the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no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fixing device in which a fixing force is further increased when the respective brackets are coupled, and a process for this is simp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ipe fixing comprising a central bracket provided with an arcuate seating portion for fixing the pipe,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bracket and fixed to the wall In the apparatus, the first extension piece is formed bent at each end of the central bracket and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the fastening hole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lo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astening hole on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one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the first extension piece or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or the second extension piece; It includes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배관, 고정, 클램프, 돌기, 장공, 볼트 Plumbing, fastening, clamps, turning, holes, bolts
Description
본 고안은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설비 배관들을 고정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이 고정되는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되는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fixing device for fixing facility pipes, such as water, sewage or city gas or fire-fighting pip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fixing device that can more accurately maintain a position where pipes are fixed and improves construction propertie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배관 고정 장치는 오프셋클램프(offset clamp)로도 불리며, 상, 하수도 또는 도시가스나 소방용 배관 등과 같은 배관 설비들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설치하여 벽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관이 설치되는 벽면은 건축물의 측벽면, 천장 또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배관이 고정되는 모든 구조물을 통칭함을 미리 밝혀둔다.In general, the pipe fixing device is also called an offset clamp,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wall by installing piping facilities such as water, sewage or city gas or fire fighting pip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Here, the wall surface on which the pipe is installed is a concept including a side wall surface, a ceiling, or a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and it is known that all structures to which the pipe is fixed are collectively know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와 (b)는 제1연장편과 제2연장편의 결합단면을 보인 단면도 및 요철부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front view of the pipe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a) and 4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neven portion.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아치형 안착부(11)가 형성된 중앙 브라켓(12)과, 상기 중앙 브라켓(12)과 연결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 브라켓(12) 및 상기 지지 브라켓(16)에는 서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및 제2연장편(14, 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6)에는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17)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7)은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제2연장편(18)에는, 도 4의 (a)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0)를 삽입할 수 있는 체결홀(19)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9)의 배후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너트(20)가 용접(P)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편(14)에는 상기 체결홀(19)과 연통하며 상기 제2연장편(18)과의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장편(14)과 상기 제2연장편(18)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홈(14a, 18a)에 의해 이루어지는 요철부가 마련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연장편(14)과 상기 제2연장편(18)에 형성된 요철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이루어진다.In the
한편, 상기 배관 고정 장치(10)는 다수의 중앙 브라켓들(12, 52)을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배관을 한꺼번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어느 하나의 중앙 브라켓(52)은 일단에 체결홀(59)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59)의 배후에는 너트(60)가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중앙 브라켓(12)에는 상기 체 결홀(59)과 연통하는 장공(55)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 고정 장치(10)는 중앙 브라켓(12)에 형성된 장공(55)을 이용하여 배관이 고정되는 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중앙 브라켓(12)에는 상기 고정되는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브라켓(4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40)은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아치형으로 형성된 안착부(41)가 마련되고, 하단에는 상기 중앙 브라켓(12)에 맞닿는 고정편(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2)에는 관통홀(4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4)에는 체결부재(30), 일례로 볼트가 삽입된다. 상기 관통홀(44)에 삽입되는 볼트는 상기 고정편(42)의 배후에 용접된 너트(2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배관의 이탈을 막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0)는 상기 중앙 브라켓(12)과 상기 지지 브라켓(16)의 연장편에 요철부를 형성하기 위한 홈(14a, 18a)가공이 체결홀(19)의 가공과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작업공수가 추가되고 있으며, 더욱이 절삭가공으로 홈(14a, 18a)을 가공하고 있어 작업이 어렵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상기 홈(14a, 18a)의 가공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형상을 정확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워 맞물림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배관 고정 장치(1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0)의 체결을 위해 너트(20)를 용접하고 있으나, 너트(20)를 정위치에 용접하는 공정이 까다롭고, 너트(20)의 고정시 작업의 간소화를 위해 너트(20)의 일정부분만 용접하고 있어 너트(20)의 고정력이 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너트(20)가 정위치에 용접되지 못할 경우, 현장에서 이를 분리하여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기 중앙 브라켓(12)과 벽면 사이의 공간이 좁아 작업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추가공정이 필요없도록하며, 각각의 브라켓의 결합시 고정력이 더욱 증가되며 이를 위한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ixing portion for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bolts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no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further increase and simplify the process to provide a pipe fixing device that reduces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아치형 안착부가 마련된 중앙 브라켓과, 상기 중앙 브라켓의 양단부에 체결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브라켓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중앙 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구비하는 제1연장편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절곡된 상기 지지 브라켓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장공과 연통하는 체결홀이 구비된 제2연장편과, 상기 제1연장편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는 돌기삽입홈과, 상기 돌기삽입홈과 대응되어 상기 제2연장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절곡된 상기 제1연장편 및 상기 제2연장편은 서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겹쳐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연장편 및 상기 제2연장편은 상기 중앙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ipe fixing comprising a central bracket provided with an arcuate seating portion for fixing the pipe, and a pair of support brackets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central bracket and fixed to the wall An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extension piece bent at an end of the center bracket, the first extension piece having a long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bent center bracket, and an end of the support bracket bent at an end of the support bracket. A second extension piece having a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long hole,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formed at least on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a protrusio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of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are vertical to each other. Extend in the direction is formed to be superimposed, wherein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ded member may be formed to the middle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and the body.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홀 또는 상기 장공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삽입홈은 상기 체결홀 또는 상기 장공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중앙부가 관통된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의 내측에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나선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턱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or the long hole,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sides of the fastening hole or the long hole.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may include a protruding jaw extending rearward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penetrated, and a spiral coupling part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jaw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In addition, the protruding jaw may be formed by press working.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는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아치형 안착부가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중앙 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중앙 브라켓 중 양끝에 위치한 중앙 브라켓의 각 단부에 체결되며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앙 브라켓의 일단에는 체결홀 또는 장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브라켓과 연결되는 다른 중앙 브라켓에는 상기 체결홀 또는 상기 장공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브라켓 또는 상기 다른 중앙 브라켓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중앙 브라켓 또는 상기 다른 중앙 브라켓 중 다른 한 쪽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기삽입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entral brackets provided with an arcuate seating portion for fixing the pipe, and the central bracket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central brackets A pipe fixing device including a support bracket fastened to each end of the wall and fixed to a wall, wherein one end of the central bracket is formed with one of a fastening hole or a long hole, and the other bracket is connected to the central bracket. A hole or the other one of the long holes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one of the center bracket or the other center bracket,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of the center bracket or the other center bracket. It includes a projection insertion groove that is optionally inserted.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시공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중앙 브라켓과 지지 브라켓이 볼트와 돌기와 돌기삽입홈의 결합구조에 의해 고정되므로 결합력이 더욱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erit that the fixing part for coupling the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is integrally forme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us facilitating construction. Since the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fixed by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bolt and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groove, the coupling force is further increas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8의 (a)와 (b)는 제1연장편과 제2연장편의 결합단면을 보인 단면도 및 돌기와 돌기삽입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of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a) and 8 (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coupling state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part.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1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을 고정하기 위한 아치형 안착부(111)가 형성된 중앙 브라켓(112)과, 상기 중앙 브라켓(11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116)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브라켓(11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16)에는 서로 연결되기 위한 제1 및 제2연장편(114, 118)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연장편(114) 및 상기 제2연장편(118)은 상기 중앙 브라켓(112) 또는 상기 지지 브라켓(116)의 각각의 일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겹쳐지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 고정 장치(110)는 복수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 브라켓들(112, 152)을 연속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브라켓(116)에는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117)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117)은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연장편(118)에는, 도 8의 (a)와 같이, 체결홀(119)이 마련되고, 상기 제1연장편(114)에는 상기 체결홀(119)과 연통하는 장공(115)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홀(119)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돌출턱(12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120)의 중앙부 내측에는 체결부 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부(121)가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A, a
상기 돌출턱(12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턱(12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중앙부가 관통됨과 동시에 그 주변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턱(120)의 내주면을 보링가공 등을 통해 원하는 직경으로 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120)의 내주면에 텝핑(tapping)가공을 하여 나선 결합부(121)를 형성시킨다.The protruding
한편, 상기 제2연장편(118)에는 상기 체결홀(119)의 양측에 한 쌍의 돌기부(118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18a)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이 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부(118a)의 배후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한 가공홀(118b)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제1연장편(114)에는 상기 장공(115)의 양측으로 상기 돌기부(118a)와 대응되어 쌍을 이루는 돌기삽입홈(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삽입홈(114a)은 상기 제1연장편(114)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배관 고정 장치(110)는 상기 중앙 브라켓(112)과 상기 지지 브라켓(116)을 결합시 상기 돌기부(118a)가 상기 다수개의 돌기삽입홈(114a) 중 어느 한 쌍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편(114)의 장공(115)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0)가 관통되어 상기 제2연장편(118)의 체결홀(119)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브라켓(112)과 상기 지지 브라켓(116)은 소정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 브라켓(112)의 안착 부(111)에 지지되는 배관을 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삽입홈(114a)은 미세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한편, 상기 중앙 브라켓(112)은 복수의 배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111)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중앙 브라켓이 연결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중앙 브라켓을 서로 결합하여 복수의 배관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r the embodiment in which the two center brackets are connec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center bracket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ix the plurality of pipes.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2개의 중앙 브라켓이 연결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일례로 2개의 중앙 브라켓(112, 152)은 서로 겹치는 부분에 장공(155) 또는 체결홀(159)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위치되는 중앙 브라켓(112)에는 장공(155)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중앙 브라켓(112)에는 체결홀(159)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59)은 상기 지지 브라켓(116)에 형성되는 체결홀(119)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체결홀(159)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중앙부가 관통 형성된 돌출턱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턱의 중앙부 내측에는 체결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 결합부가 형성된다.Referr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two central brackets are connect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two
한편, 상기 중앙 브라켓(112, 152) 중 하측에 위치되는 중앙 브라켓(152)은 상측에 위치되는 중앙 브라켓(112)과 연결되는 부분에 돌기부(152a)가 형성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중앙 브라켓(112)에는 상기 돌기부(152a)와 대응되는 돌기삽입홈(112a)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삽입홈(112a)은 상기 중앙 브라켓(112)의 단부에 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152a)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중앙 브라켓들(112, 152)간의 간격이 조절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중앙 브라켓(112)에는 상기 고정되는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브라켓(14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 브라켓(140)은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아치형으로 형성된 안착부(141)가 마련되고, 하단에는 상기 중앙 브라켓(112)에 맞닿는 고정편(1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412)에는 관통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브라켓(112)에는 상기 관통홀(144)에 대응하는 체결홀(11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113)은 상기 지지 브라켓(116) 또는 다른 중앙 브라켓(152)을 연결하는 체결홀(119, 159)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브라켓(140)은 하부의 안착부(111)에 배관이 지지된 상태에서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144)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30)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홀(113)에 결합하여 상기 배관을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고정 장치(210)는 하나의 배관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관 고정 장치(210)는 중앙 브라켓(21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브라켓(212)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216)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 브라켓(212)의 양단부에 각각 제1연장편(214)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216)에는 상기 제1연장편(214)과 결합되는 제2연장편(218)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편(214)과 상기 제2연장편(218)에는 각각 장공(215)과 체결홀(219)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219)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부(218a)가 상기 장공(215)의 양측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삽입홈(214a)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장공(215)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219)에 고정되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30)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게 고정된다.Although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the
한편, 상기 중앙 브라켓(212)의 상부에는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브라켓(240)이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110, 210)는 하나 또는 2개의 배관을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중앙 브라켓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더 많은 수의 배관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us,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pipe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의 (a)와 (b)는 제1연장편과 제2연장편의 결합단면을 보인 단면도 및 요철부를 보인 단면도.4 (a) and 4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neven por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와 (b)는 제1연장편과 제2연장편의 결합단면을 보인 단면도 및 돌기와 돌기삽입부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8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ection of the first extension piece and the second extension piece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rojection and the projection insertion portion.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p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70020882U KR200447084Y1 (en) | 2007-12-27 | 2007-12-27 | Plumbing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70020882U KR200447084Y1 (en) | 2007-12-27 | 2007-12-27 | Plumbing fixtur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6615U KR20090006615U (en) | 2009-07-01 |
| KR200447084Y1 true KR200447084Y1 (en) | 2009-12-28 |
Family
ID=413233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7002088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084Y1 (en) | 2007-12-27 | 2007-12-27 | Plumbing fixtur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447084Y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66774A (en) * | 2014-12-03 | 2016-06-13 | 이영호 | A Duct Fix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67916Y1 (en) * | 2010-07-21 | 2013-07-17 | 김윤태 | Clamp for pipe |
| CN102729175B (en) * | 2012-06-15 | 2015-03-11 |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 Clamp support with tying bands |
| US11440362B2 (en) * | 2018-11-15 | 2022-09-13 | John Wesley Nicholson | Universal mounting clamps system and method |
| CN110397822B (en) * | 2019-08-30 | 2024-08-23 | 湖北华电江陵发电有限公司 | Pipeline wear-resistant til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17945A (en) * | 1996-05-30 | 1997-12-12 | Akagi:Kk | Slide fitting for piping |
| KR200197279Y1 (en) * | 2000-04-12 | 2000-09-15 | 이영주 | Clamp for fixing a pipe |
| KR20070000886U (en) * | 2007-07-19 | 2007-08-08 | 김대식 | Improved Piping Support Structure |
-
2007
- 2007-12-27 KR KR20070020882U patent/KR20044708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317945A (en) * | 1996-05-30 | 1997-12-12 | Akagi:Kk | Slide fitting for piping |
| KR200197279Y1 (en) * | 2000-04-12 | 2000-09-15 | 이영주 | Clamp for fixing a pipe |
| KR20070000886U (en) * | 2007-07-19 | 2007-08-08 | 김대식 | Improved Piping Support Structure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60066774A (en) * | 2014-12-03 | 2016-06-13 | 이영호 | A Duct Fixing Apparatus |
| KR101660124B1 (en) | 2014-12-03 | 2016-09-26 | 이영호 | A Duct Fix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06615U (en) | 2009-07-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200447084Y1 (en) | Plumbing fixture | |
| CN110520662B (en) | Horizontal piping 4 direction support device | |
| US7735511B1 (en) | Modular laundry box assembly | |
| US8622092B1 (en) | Pipe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a pipe to a pair of parallel brackets | |
| US8061390B2 (en) | Pipe hanger system with slidable pipe connection member | |
| US7360553B1 (en) | Modular utility box system | |
| KR100891152B1 (en) | Pipe hanger clamp for wire piping with adjustable pipe thickness | |
| KR200445812Y1 (en) | Improved supporting structure of pipe | |
| JP2009264072A (en) | Attachment | |
| KR20150020890A (en) | pipe fixing device | |
| KR20180085543A (en) | Clamp for fixing pipe | |
| KR200437033Y1 (en) | Chemical tube fixed support device | |
| JP7533894B2 (en) | Construction method for drainage pipe support structure and supporting hardware used in said support structure | |
| KR20090119339A (en) | Pipe clamp | |
| KR102694288B1 (en) | Firefighting-exclusively use sprinkler structure | |
| KR102196115B1 (en) | Erection fixture for Connector fo Easy to adjust the angle | |
| KR101186501B1 (en) | The pipe fixing device | |
| KR20090008585U (en) | Plumbing fixture | |
| KR101122349B1 (en) | The pipe fixing device | |
| KR200450428Y1 (en) | Pipe support hanger with variable installation angle | |
| KR200362351Y1 (en) | Supporting device of construction plumbing pipe | |
| KR100786978B1 (en) | Wall installation system of water pipe | |
| JP4681342B2 (en) | Piping fixture | |
| KR200222080Y1 (en) | Disaster prevention trofu support hanger of underground power district | |
| KR20100000247U (en) | Duct fixing stan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U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 2017121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