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5234Y1 -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234Y1
KR200435234Y1 KR2020060021272U KR20060021272U KR200435234Y1 KR 200435234 Y1 KR200435234 Y1 KR 200435234Y1 KR 2020060021272 U KR2020060021272 U KR 2020060021272U KR 20060021272 U KR20060021272 U KR 20060021272U KR 200435234 Y1 KR200435234 Y1 KR 200435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pipe
purified water
wat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60021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234Y1/ko
Priority to PCT/KR2007/000500 priority patent/WO2008018668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진료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정수기에서 상기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을 개폐시켜 상기 물배관 내에 잔류하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치과용 유닛체어를 사용하지 않아 물배관 내에 정수가 정체되는 경우, 3-웨이 밸브를 이용하여 특정시간에 특정시간 동안 배수관을 통해 정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닛체어의 타구대나 오토컵 등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치과용 유닛체어 정수배출 장치, 바이오필름, 타구대, 오토컵, 3-웨이(way) 밸브

Description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A dental clean water drain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10 : 정수기 120 : 정수배관
130 : 진료보조장치 140 : 물배관
150, 250 : 유닛체어 160, 260 : 디비전블록
170, 271 : 제1밸브 175, 272 : 제2밸브
180, 280 : 입력부 185, 285 : 제어부
190, 240 : 에어배관 195 : 배수관
230 : 타구대 235 : 오토컵
본 고안은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3-웨이 밸브를 이용하여 유닛체어의 타구대나 오토컵 등 치과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정체된 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물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 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거나, 타구대나 오토컵 등과 같은 치과 보조진료장치에 공급되어 구강의 양치 시에 이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구강의 상처 부위 및 치료 부위에 직접 닿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위생과 청결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하는 물은 수돗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 등을 제거한 정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치과의 진료 시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점심 시간이나 진료 시간 후의 밤 시간 또는 주말 등과 같이 치과용 유닛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정수가 물배관에 정체되고, 이로 인해 유닛체어의 치과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벽에 바이오필름(Biofilm)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필름은 유기물 또는 무기물 등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곳에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 유해한 미생물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 필름이 형성된 물배관을 통해 정수가 배출되어 환자의 구강으로 들어가게 되도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2차 감염 등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용 유닛체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특정 시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유닛체어의 타구대나 오토컵 등 치과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정체된 정수를 배수관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물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정수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료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에 있어서, 정수배관으로부터 상기 진료보조장치로 정수를 공급하는 물배관; 상기 정수배관과 상기 진료보조장치 사이의 상기 물배관에 위치하며, 에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진료보조장치 사이의 상기 물배관에 위치하며,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물배관 내의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료보조장치는 타구대 또는 오토컵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정수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밸브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동작시간 및 동작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상기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물배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제1물배관을 통해 정수배관으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디비전블록; 상기 제1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에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밸브; 제2물배관을 통해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공급받는 타구대; 상기 제2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제1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밸브; 제3물배관을 통해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공급받는 오토컵; 상기 제3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제2배수관과 연결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배관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타구대에 정수를 공급하는 제1물배관 및 제2물배관 내의 정수와 상기 오토컵에 정수를 공급하는 제1물배관 및 제3물배관 내의 정수를 각각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상기 타구대와 연결되는 제3배수관; 및 상기 제3배수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배수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4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물배관 및 제3물배관 내의정수를 배출할 때는 상기 제2배수관과 상기 제3배수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정수배관의 정수를 상기 제1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를 상기 제1물배관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상기 제2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배수관과 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상기 제3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타구대에서 발생한 액체를 상기 제3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타구대의 액체유입을 차단함과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사용자 또는 제조 업자가 동작시간 및 동작기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 및 제4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상기 타구대과 상기 오토컵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물배관과 제2물배관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차단밸브 및 제2차단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전원공급의 중단시 가동되는 보조전원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수배출 상태를 표시하는 정수배출 상태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 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및 그 정수배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는 크게 정수기(110), 정수배관(120), 진료보조장치(130), 물배관(140) 및 유닛체어(15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는 상기 물배관(140)에 제1밸브(170)와 제2밸브(17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밸브(170) 및 제2밸브(175)는 모두 3-웨이(way)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110)는 입수 배관(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하여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정수배관(120)으로 출수시킨다. 이때, 상기 정수기(110)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예컨대, 놋물, 세균 또는 미생물 등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수기(110)는 복수 개의 필터, 모터펌프 및 정수 탱크 등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 측에는 정수배관(12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수배관(120)에는 상기 유닛체어(150)에 구비된 각종 치과보조진료장치 특히, 타구대나 오토컵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배관(14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물배 관(140)은 구비된 유닛체어의 개수에 따라 각각 상기 정수배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닛체어(150) 내부에는 디비전블록(160), 입력부(180) 및 제어부(18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비전블록(160)은 상기 물배관(140)에서 입수된 정수를 상기 치과 진료보조장치(130)로 공급하는 상기 물배관(140)으로 분기하여 준다. 이때, 상기 디비전블록(160)에는 에어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치과 진료보조장치(130)에 연결되는 물배관(140) 및 에어배관을 통해 각각 정수와 에어를 적절히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170)는 상기 정수배관(120)과 상기 디비전블록(160) 사이의 물배관(140)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밸브(170)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물배관(140)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에어배관(190)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밸브(170)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물배관(140)에 정수를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단 및 제3단이 연결되어 상기 에어배관(190)을 통해 상기 물배관(140)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상기 제2밸브(175)는 상기 디비전블록(160)과 상기 치과 진료보조장치(130) 사이의 물배관(140)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175)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물배관(140)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배수관(195)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밸브(175)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물배관(140)에 정수를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단 및 제3단이 연결되어 상기 배수관(190)과 상기 물배관(140)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제1밸브(170)와 상기 제2밸브(175)가 모두 오프 상태일 때에는 콤프레셔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배관(190)을 통해 상기 물배관(140)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준다. 이때, 상기 물배관(140)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2밸브(175)를 통해 상기 배수관(195)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상기 정수배관(120)에서 상기 디비전블록(160)에 연결된 상기 물배관(140) 및 상기 유닛체어(150)의 상기 치과 보조장치(130)에 연결되는 상기 물배관(140) 내에 정체되어 있는 정수를 상기 배수관(195)으로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1밸브(170)의 제3단에 연결되는 상기 에어배관(190)은 상기 디비전블록(160)에서 연결되어 있는 에어배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5)는 상기 제1밸브(170) 및 상기 제2밸브(175)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5)와 연결되어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가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80)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입력부(180)는 상기 유닛체어(15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80)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등과 같은 중앙 통제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5)는 타이머(186)와 장치 제어부(18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186)는 상기 입력부(180)에 입력된 데이터(제1밸브와 제2밸브의 동작시간 및 동작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부의 시계와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장치 제어부(187)에 동작시작 신호 또는 동작끝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장치 제어부(187)는 상기 타이머(186)의 동작시작 신호 또는 동작끝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170) 및 상기 제2밸브(17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정수배출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185)에 의해 상기 제1밸브(170) 및 제2밸브(175)가 오프 상태로 되면, 상기 에어배관(190)과 상기 물배관(140)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195)과 상기 물배관(14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물배관(140)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물배관(140) 내에 정체되어 있는 정수는 상기 배수관(195)으로 배출되게 되며, 상기 물배관(140) 내에는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이외에도, 상기 장치(100)에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면 가동되는 배터리 등을 구비한 보조전원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에는 정수배출 상태를 표시하는 정수배출 상태표시등(도시하지 않음)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배출 상태표시등은 상기 유닛체어 정수배출 장치(100)가 현재 정수배출 중임을 알려주거나, 상기 유닛체어(150)내의 정수가 이미 배출되어있는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를 이용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인 치과의사 또는 간호사 등이 상기 입력부(180)를 통해 상기 제1밸브(170)와 제2밸브(175)가 동작하는 시간과 동작하는 기간을 입력한다. 입력된 기록은 상기 제어부(185)의 타이머(186)에 기록된다. 이때, 상기 동작시간은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치과 의료 기기가 동시에 정지하는 점심시간, 저녁 퇴근 후 또는 병원의 휴일 등이 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85)의 타이머(186)는 기록된 상기 동작시간을 현재시간과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동작시간과 타이머 내의 시간(즉, 현재시간)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186)는 상기 장치제어부(187)에 동작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상기 동작시작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187)는 상기 제1밸브(170)을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제2밸브(175)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물배관(140)에는 에어배관(190)이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물배관(140)에 잔류한 정수를 상기 배수관(195)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185) 내의 타이머(186)는 상기 입력된 동작기간과 상기 동작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여 동작기간과 경과된 시간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어부(185)의 장치 제어부(187)로 동작끝 신호를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작끝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187)는 상기 제2밸브(175)를 온 상태로 변화시켜 상기 물배관(140) 내의 정수배출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때, 상기 물배관(140) 내에는 정수가 모두 배출되고 압축공기만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동작이 끝난 후의 상기 치과용 정수배출 장치(100)는 상기 물배관(140) 내부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후 청결한 정수를 환자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정수배출 장치(100)는 상술한 동작과정 후에, 상기 장치 제어부(18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밸브(170)를 온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물배관(140)에 정수를 채워넣는 동작과, 상기 물배관(140)에 정수가 모두 채워지면 상기 물배관(140)의 끝단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닫아 채움동작을 종료하는 동작과정을 더욱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닛체어를 사용할 시간이 되면 상기 치과 진료보조장치(130)에 연결되는 물배관(140) 내에 정수를 채워 진료시 정수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과정에서 상기 동작시간과 동작기간은 미리 상기 제어부(185)의 타이머(186)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및 그 정수배출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200)는 크게 정수기(110), 정수배관(120), 타구대(230), 오토컵(235), 제1물배관(241), 제2물배관(242), 제3물배관(243) 및 유닛체어(25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200)는 상기 제1, 제2, 제3물배관(241, 242, 243)에 제1밸브(271), 제2밸브(272), 제3밸브(27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밸브(271), 제2밸브(272) 및 제3밸브(273)는 모두 3-웨이(way)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정수기(110)는 입수 배관(10)으로부터 입수된 원수를 정수하여 출수구를 통해 상기 정수배관(120)으로 출수시킨다.
상기 정수기(110)의 출수구 측에는 정수배관(12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정수배관(120)에는 상기 유닛체어(150)에 구비된 디비전블록(260)에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물배관(24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닛체어(250) 내부에는 디비전블록(260), 입력부(280) 및 제어부(28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비전블록(260)은 상기 제1물배관(241)에서 입수된 정수를 상기 타구대(230)와 오토컵(235)로 공급하는 제2물배관(242)과 제3물배관(243)으로 각각 분기하여 준다.
상기 타구대(230)는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이나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설치한 장치이다. 상기 타구대(230)는 상기 디비전블록(260)에서 분기한 상기 제2물배관(242)과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제3배수관(293)과 연결되어 타액이나 이물질을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밸브(271)는 상기 정수배관(120)과 상기 디비전블록(260) 사이의 상기 제1물배관(241)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밸브(271)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제1물배관(241)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에어배관(240)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밸브(271)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물배관(241)에 정수를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단 및 제3단이 연결되어 상기 에어배관(240)을 통해 상기 제1물배관(241)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상기 제2밸브(272)는 상기 디비전블록(260)과 상기 타구대(230) 사이의 제2물배관(242)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밸브(272)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제2물배관(242)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제1배수관(291)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밸브(272)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물배관(242)에 정수를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단 및 제3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배수관(291)과 상기 제2물배관(242)이 연결된다. 상기 제1배수관(291)은 상기 제3배수관(29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밸브(273)는 상기 디비전블록(260)과 상기 오토컵(235) 사이의 제3물배관(243)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밸브(273)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제3물배관(243)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제2배수관(292)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3밸브(273)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3물배관(243)에 정수를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2단 및 제3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배수관(292)과 상기 제3물배관(24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배수관(292)은 상기 제 3배수관(293)에 설치된 제4밸브(27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물배관(243)에는 워머(290)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디비전블록(260)에서 분기한 정수를 온도를 높인 상태로 상기 제3물배관(243)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제4밸브(274)는 상기 타구대(230)에 연결된 상기 제3배수관(293)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4밸브(274)의 제1단 및 제2단은 상기 제3배수관(293)과 연결되어 있고, 제3단은 제2배수관(29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4밸브(274)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단 및 제2단이 연결되어 상기 타구대(230)에서 발생한 액체를 상기 제3배수관(293)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타구대(230)의 액체유입을 차단함과 상기 제2배수관(292)의 타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4밸브(274)가 상기 제3배수관(293)에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1배수관(291)이 상기 제3배수관(293)에 연결되는 위치보다 상기 타구대(230)에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역류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5)는 상기 제1밸브(271), 제2밸브(272), 제3밸브(273) 및 제4밸브(274)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85)는 타이머(286)와 장치 제어부(287)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85)에는 입력부(2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286)는 상기 입력부(280)에 입력된 데이터(제1밸브 내지 제4밸브의 동작시간 및 동작기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내부의 시계와 상기 입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장치 제어부(287)에 동작시작 신호 또는 동작끝 신호 등을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장치 제어부(287)는 상기 타이머(286)의 동작시작 신호 또는 동작끝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271), 제2밸브(272), 제3밸브(273) 및 제4밸브(27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200)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밸브를 제어하여 정수를 배출시킨다.
즉, 상기 제1밸브(271)와 상기 제2밸브(272)가 모두 오프 상태일 때에는 콤프레셔가 작동하여 상기 에어배관(240)을 통해 상기 제1물배관(241)과 제2물배관(242)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준다. 이때, 상기 제2물배관(242)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2밸브(272)를 통해 상기 제1배수관(291)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1배수관(291)을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제3배수관(29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밸브(271)와 상기 제3밸브(273)과 상기 제4밸브(274)가 모두 오프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에어배관(240)을 통해 상기 제1물배관(241)과 제3물배관(243)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준다. 이때, 상기 제3물배관(243)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3밸브(273)를 통해 상기 제2배수관(292)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배수관(292)을 통해 배출된 정수는 상기 제4밸브(274)을 통해 상기 제3배수관(293)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4밸브의 상기 타구대(230)에 연결된 부분은 차단되어 있어서 배출된 정수가 상기 타구대(2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100)는 상기 정수배관(120)에서 상기 디비전블록(260)에 연결된 상기 제1물배관(241) 및 상기 유닛체어(250)의 상기 타구대(230)와 오토컵(235)에 연결되는 상기 제2물배관(242)과 제3물배관(243) 내에 정체되어 있는 정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각각의 물배관(241, 242, 243)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200)를 이용하여 정수를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280)를 통해 상기 제1밸브(271), 제2밸브(272), 제3밸브(273) 및 제4밸브(274)가 동작하는 시간과 동작하는 기간을 입력한다. 입력된 기록은 상기 제어부(285)의 타이머(286)에 기록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285)의 타이머(286)는 기록된 상기 동작시간을 현재시간과 비교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동작시간과 타이머 내의 시간(즉, 현재시간)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타이머(286)는 상기 장치제어부(287)에 동작시작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상기 동작시작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287)는 상기 제1밸브(271), 제2밸브(272), 제3밸브(273) 및 제4밸브(274)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1물배관(241)에는 에어배관(240)이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제1물배관(241), 제2물배관(242) 및 제3물배관(243)에 잔류한 정수를 상기 제1배수관(291), 제2배수관(292) 및 제3배수관(29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계속하여, 상기 제어부(285) 내의 타이머(286)는 상기 입력된 동작기간과 상기 동작시간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여 동작기간과 경과된 시간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어부(285)의 장치 제어부(287)로 동작끝 신호를 송신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동작끝 신호를 수신한 장치 제어부(287)는 상기 제2밸브(272), 제3밸브(273) 및 제4밸브(274)를 온 상태로 변화시켜 정수배출 동작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치과용 정수배출 장치(200)는 상기 동작과정 후에, 상기 장치 제어부(287)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밸브(271)를 온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각각의 물배관(241, 242, 243)에 정수를 채워넣는 동작과, 상기 각각의 물배관(241, 242, 243)에 정수가 모두 채워지면 상기 제2물배관(242)과 제3물배관(243)의 끝단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닫아 채움동작을 종료하는 동작과정을 더욱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과정에서 상기 동작시간과 동작기간은 미리 상기 제어부(285)의 타이머(286)에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정수배출 장치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사용하지 않아 물배관 내에 정수가 정체되는 경우, 3-웨이 밸브를 이용하여 특정시간에 특정시간 동안 배수관을 통해 정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유닛체어의 타구대나 오토컵 등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물배관 내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 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삭제
  2. 진료보조장치를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에 있어서,
    정수배관으로부터 상기 진료보조장치로 정수를 공급하는 물배관;
    상기 정수배관과 상기 진료보조장치 사이의 상기 물배관에 위치하며, 에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밸브;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진료보조장치 사이의 상기 물배관에 위치하며,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밸브; 및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상기 물배관 내의 정수를 상기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정수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밸브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배수관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보조장치는 타구대 또는 오토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 및 제2밸브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보조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물배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8. 제1물배관을 통해 정수배관으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디비전블록;
    상기 제1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에어배관과 연결되는 제1밸브;
    제2물배관을 통해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공급받는 타구대;
    상기 제2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제1배수관과 연결되는 제2밸브;
    제3물배관을 통해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공급받는 오토컵;
    상기 제3물배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제2배수관과 연결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제1밸브, 제2밸브 및 제3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에어배관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타구대에 정수를 공급하는 제1물배관 및 제2물배관 내의 정수와 상기 오토컵에 정수를 공급하는 제1물배관 및 제3물배관 내의 정수를 각각 제1배수관과 제2배수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타구대와 연결되는 제3배수관; 및
    상기 제3배수관의 일정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배수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4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제1물배관 및 제3물배관 내의정수를 배출할 때는 상기 제2배수관과 상기 제3배수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정수배관의 정수를 상기 제1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에어배관의 압축공기를 상기 제1물배관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상기 제2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1배수관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디비전블록에서 분기한 정수를 상기 제3물배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정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밸브는 온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배수관과의 연결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타구대에서 발생한 액체를 상기 제3배수관으로 유입시키고, 오프 상태에서는 상기 타구대의 액체유입을 차단함과 상기 제2배수관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타이머; 및
    상기 타이머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밸브, 제2밸브, 제3밸브 및 제4밸브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구대과 상기 오토컵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물배관과 제2물배관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차단밸브 및 제2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16. 제 2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수배출 상태를 표시하는 정수배출 상태표시등과; 전원공급의 중단시 가동되는 보조전원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20060021272U 2006-08-08 2006-08-08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Ceased KR200435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72U KR200435234Y1 (ko) 2006-08-08 2006-08-08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PCT/KR2007/000500 WO2008018668A1 (en) 2006-08-08 2007-01-29 A dental clean water drain system and method for dr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272U KR200435234Y1 (ko) 2006-08-08 2006-08-08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33A Division KR100907340B1 (ko) 2007-05-14 2007-05-14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234Y1 true KR200435234Y1 (ko) 2007-01-12

Family

ID=3903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272U Ceased KR200435234Y1 (ko) 2006-08-08 2006-08-08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5234Y1 (ko)
WO (1) WO2008018668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304A (en) * 1995-06-16 1997-01-14 Ram; Zeev Dental apparatus including multiple-use electrically-oscillated handpiece
US5800171A (en) * 1995-12-18 1998-09-01 Barney; Everett A. Exhaust control system for pneumatic devices and method
US5785523A (en) * 1997-08-15 1998-07-28 Overmyer; Thad J. Dental water line flushing and disinfecting system
US6464868B1 (en) * 1999-09-14 2002-10-15 Amos Kori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io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8668A1 (en)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1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disinfectant compositions for disinfecting water systems and lines
US6179613B1 (en) Compressed water supply system and supply device for dental unit-chair
KR100907340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JP2000005200A (ja) 給水管路の消毒洗浄機能を備えた医療機器
KR100874509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043523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200432182Y1 (ko) 치과용 핸드피스 거치대
KR100959672B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200433988Y1 (ko) 치과용 정수처리 장치
KR200432184Y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정수배출 장치
KR100898144B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
KR100885866B1 (ko) 치과용 구강 세척수 공급장치
KR100834533B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KR100874510B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JP4766631B2 (ja) 歯科用ユニットの水回路清浄装置
KR200432185Y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배출 장치
KR200432186Y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처리 장치
KR101580505B1 (ko) 치과 체어용 물공급 장치
KR100874511B1 (ko) 치과용 유닛 체어의 정수 처리 장치
JP7088890B2 (ja) 医療用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KR200433990Y1 (ko) 치과용 정수 처리 장치
WO2008018667A1 (en) A dental unit chair&#39;s cleaning water process system
US7211220B2 (en) Method for cleaning /disinfecting /sterilizing the water circuits of dental units and a dental unit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432183Y1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KR20080015135A (ko) 치과용 정수 순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8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8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EXTG Ip right invalidated
UC2102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