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30020154A - A cup cover - Google Patents

A cup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154A
KR20030020154A KR1020010053845A KR20010053845A KR20030020154A KR 20030020154 A KR20030020154 A KR 20030020154A KR 1020010053845 A KR1020010053845 A KR 1020010053845A KR 20010053845 A KR20010053845 A KR 20010053845A KR 20030020154 A KR20030020154 A KR 2003002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e
contents
user
cup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1005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0154A/en
Publication of KR2003002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54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뜨거운 커피 등을 식혀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몸체; 및 컵을 상기 제 1 구멍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흘러나오도록 상기 제 1 구멍의 반대편 타측 상면에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으로부터 흘러나온 내용물을 임시 수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의 온도를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제 2 구멍 부근에 오목하게 형성된 식힘 접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식힘 접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할 수 있게 하며,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 등의 표면에 광고내용을 인쇄하여 홍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for cooling a hot coffee or the like, wherein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 periphery of a cup in forming a cup lid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cup containing a high temperature content such as coffee. It is formed in a shape, the body formed with a first hole on one side upper surface; And a second hole is formed on the oth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hole so that the contents flow out when the cup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e, and the user temporarily receives the contents flowing out from the second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oling plate portion formed concave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hole so as to cool the temperature of the forming the cooling plate portion by allowing the user to blow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by mouth to cool the contents It prevents burns such as lips, tongue, and palate in advance, allows the user to eat by cooling the contents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forms a gripping wing to protect the user's hands from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It can be protected and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wing for promotional purposes.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available.

Description

컵 뚜껑{A cup cover}Cup lid {A cup cover}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뜨거운 커피 등을 식혀서 마실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l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lid to cool and drink hot coffe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 등에 담아 취식하는 경우가 많은 데, 이때 커피의 뜨거운 김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고, 커피를 조금씩 취식할 수 있도록 컵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되는 합성수지류 재질의 컵 뚜껑이 널리 사용된다.In general, hot coffee is often eaten at home or in coffee shops in paper cups and the like. At this time, a synthetic resin is assembled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up so as to prevent burns caused by hot steaming of the coffee and to eat coffee little by little. Cup lids are widely used.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몸체를 갖는 구성이다.Such a conventional cup li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so as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for accommodating high 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and has a body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in one upper surfac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컵 뚜껑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크거나 작은 구멍만 형성되는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항상 상기 몸체의 구멍에 직접 입을 맞대고 취식하여야만 하는 구성이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up lid i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in which only a large or small hol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user must always eat directly with the mouth of the body.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기울여서 얼마나 뜨거울지도 모를 고온의 커피를 마시다가 소량이라도 고온의 커피에 민감한 신체 부위인 입술이나 혀 입 천장 등이 화상을 입어서 건강을 크게 해치고, 커피를 원하는 온도로 취식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user may drink hot coffee, which may be too hot by tilting the cup, and even a small amount of the body's lips or tongue, which are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coffee, may burn and injure the health and eat coffee at the desired temperature. There was no problem.

또한,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종래의 종이컵 등의 컵은, 내용물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열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사용자의 손에 화상을 입힐 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 cup such as a conventional paper cup that accommodates high temperature contents has a problem in that high temperature heat transferred from the contents is transferred to the user as it is and thus burns the user's hand.

또한, 종래의 컵 뚜껑은, 광고내용을 담을 수 있는 인쇄면이 부족하여 광고용도로 사용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up lid, there i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used for advertising due to the lack of the printing surface for containing the advertising cont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식힘 접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할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cooling plate to allow the user to cool the high-temperature contents by mouth to prevent the burn, such as lips, tongue, palat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in advance. And a cup lid to allow the user to cool the contents to the desired temperature for eat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lid to form a grip wing to protect the user's hand from the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지 날개부 등의 표면에 광고내용을 인쇄하여 홍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컵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lid that can be used for promotional purposes by printing the advertising content on the surface of the gripping wing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1의 컵 뚜껑을 제 1 구멍의 반대편 방향으로 기울여서 사용자가 고온의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cools and eats hot contents by tilting the cup lid of FIG. 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e.

도 4는 도 1이 컵 뚜껑을 제 1 구멍 방향으로 기울여서 사용자가 저온의 내용물을 직접 취식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directly eats the low-temperature contents by tilting the cup li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l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컵 뚜껑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to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몸체; 및 컵을 상기 제 1 구멍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흘러나오도록 상기 제 1 구멍의 반대편 타측 상면에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으로부터 흘러나온 내용물을 임시 수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의 온도를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제 2 구멍 부근에 오목하게 형성된 식힘 접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in forming a cup li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cup containing high 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the first hole on one side surface Formed body; And a second hole is formed on the oth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hole so that the contents flow out when the cup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e, and the user temporarily receives the contents flowing out from the second hole. And a cooling dish portion formed concave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hole so as to cool the temperature.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식힘 접시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기울였을 때, 넘치지 않고, 사용자의 입술이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식힘 접시부 부근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넘침방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may form an overflow prevention jaw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near the cooling dish so that the user's lips do not overflow when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oling dish are tilted.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식힘접시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깊게 형성되고, 테두리부로 갈수록 올라오는 오목한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거나, 테두리부로 갈수록 내려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거나, 사각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식힘접시부의 일측면 또는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oling plate is formed deep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 concave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which is raised toward the edge portion is formed, or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is formed toward the edge portion, or formed in a square groove shape The second hole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the bottom of the cooling plate.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몸체; 및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in forming a cup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for accommodating high-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on one side upper surface A body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therein; And a gripping wing portion extending in the body in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so as to protect a user's hand from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high temperature contents.

또한, 상기 파지 날개부는, 상기 컵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주름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ing wing portion is preferably corrugated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cu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 뚜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up lid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종이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으로서, 크게 몸체(10)와, 식힘 접시부(20) 및 넘침방지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First,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up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p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cup containing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the body 10 and,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oling dish portion 20 and the overflow prevention jaw (30).

즉, 상기 몸체(10)는, 컵(2)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제 1 구멍(10a)이 형성된 얇은 합성수지류 사출물이다.That is, the body 10 is formed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2, and is a thin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ed article having a first hole 10a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식힘 접시부(20)는, 컵(2)을 상기 제 1 구멍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흘러나오도록 상기 제 1 구멍(10a)의 반대편 타측 상면에 제 2 구멍(20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20a)으로부터 흘러나온 내용물(3)을 임시 수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3)의 온도를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제 2 구멍(20a) 부근에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다.In addition, the cooling dish portion 20, the second hole (20a) on the other side upper surface opposite the first hole (10a) so that the contents flow out when the cup 2 is til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e. Is formed and is formed concave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hole (20a) so that the user can cool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 (3) by temporarily receiving the content (3) flowing out of the second hole (20a).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3)이 기울였을 때, 넘치지 않고, 사용자(1)의 입술이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식힘 접시부(20) 부근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넘침방지턱(30)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ody 10 is predetermined in the vicinity of the cooling dish 20 so that the lips of the user 1 can be reached without overflowing when the contents 3 accommodated in the cooling dish 20 are tilted. The overflow prevention jaw 30 formed in height is formed.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3)이 식지 않아서 아직 내용물(3)의 온도가 화상을 입을 정도로 고온일 때, 사용자(1)는 컵(2)을 제 1 구멍(10a)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여서 내용물(3)이 제 2 구멍(20a)을 통과하면서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임시 수용되도록 한다.Thus,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ntents 3 have not cooled down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3 is still high enough to cause burns, the user 1 opens the cup 2 with the first hole 10a. The contents 3 are temporarily accommodated in the cooling dish 20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hole 20a by til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3)을 입으로 불어서 원하는 온도로 식힌 다음,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3)을 취식할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user can blow the contents 3 contained in the cooling dish 20 by mouth to cool to a desired temperature, and then eat the contents 3 contained in the cooling dish 20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will be.

이때,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3)은 상기 컵(2)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3)과 격리되고,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빠른 시간 동안 적정 온도로 식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ntents 3 contained in the cooling dish 20 are isolated from the contents 3 contained in the cup 2, and for a short time since the amount of contents contained in the cooling dish 20 is small. It can be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또한, 상기 제 2 구멍(20a)을 통해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동안, 상기 제 1 구멍(10a)을 통해 컵 내부로 부족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3)이 상기 제 2구멍(20a)을 통해 원활하게 흘러나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ontents flow out through the second hole 20a, insufficient air flows into the cup through the first hole 10a, and the contents 3 smoothly flow through the second hole 20a. Can flow.

또한, 사용자(1)는 컵(2)을 바로 세워서 상기 식힘 접시부(20)에 수용된 내용물(3)을 상기 제 2 구멍(20a)으로 컵(2) 내부에 다시 재인입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내용물(3)을 취식하고 보관할 때, 내용물(3)이 외부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컵(2) 내부의 내용물(3)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ser 1 is able to re-enter the contents (3) contained in the cooling dish portion 20 to the second hole (20a) inside the cup (2) again by standing the cup (2) upright, When the contents 3 are eaten and sto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3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matter and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3 inside the cup 2.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시간이 흘러 내용물(3)이 식어서 내용물(3)의 온도가 충분히 저온일 때, 사용자(1)는 컵(2)을 돌려서 제 1 구멍(10a) 방향으로 기울여 내용물(3)이 제 1 구멍(10a)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구멍(10a)에 입을 대고 직접 취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when a predetermined time passes and the contents 3 cool down and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3 is sufficiently low, the user 1 rotates the cup 2 to form the first hole 10a. Tilt in the direction to allow the contents 3 to pass through the first hole 10a so that the first hole 10a can be directly eaten with the mouth.

이때, 상기 제 1 구멍(10a)은, 사용자(1)가 상기 제 1 구멍(10a) 방향으로 컵(2)을 기울여서 온도가 식은 내용물(3)을 직접 입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테두리에 근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hole (10a), the body 10 so that the user (1) can tilt the cup (2)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le (10a) to directly eat the contents (3) cooled by the mouth.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close to the edge of the).

또한, 상기 제 1 구멍(10a)을 통해 내용물(3)이 흘러나오는 동안, 상기 제 2 구멍(20a)을 통해 컵(2) 내부로 부족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상기 제 1 구멍(10a)을 통해 원활하게 흘러나올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content 3 flows out through the first hole 10a, insufficient air flows into the cup 2 through the second hole 20a, and the content flows into the first hole 10a. It can flow smoothly through.

한편, 상기 식힘 접시부(20)의 형상은 내용물(3)을 임시 수용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깊게 형성되고, 테두리부로 갈수록 올라오는 경사면(21)이 형성되는 형상이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 깊게 형성되고, 테두리부로 갈수록 올라오는 곡면(22)이 형성되는 형상이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중앙부에서 테두리부로 갈수록 깊은 경사면(23)이 형성되는 형상이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홈 오목부(24)형상인 것이 모두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cooling dish portion 20 can be produced in a wide variety of shapes that can temporarily accommodate the contents (3), as shown in Figure 2, deeply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shap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21 which rises toward the edge portion is formed, or as shown in FIG. Or, as shown in Figure 6, the deep inclined surface 23 is formed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10 toward the rim portion, or as shown in Figure 7, the shape of the rectangular groove recess 24 All is possible.

또한, 상기 제 2 구멍(20a)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힘 접시부(20)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힘 접시부(20)의 저면에 형성되는 등 매우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le 20a is also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oling dish 20 as shown in FIG. 7, or as shown in FIGS. 1 and 5, of the cooling dish 20. It can be formed in a wide variety of locations, such as formed on the bottom.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은,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으로서, 상술된 몸체 또는 기존의 몸체(10)에,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2)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10)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cup l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p li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up containing the high-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the above-described body or the existing body 10 In addition, the gripping wing portion 40 is formed to extend a plurality of the body 10 in a shape surrounding the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2 to protect the user's hand from the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 It is done by.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파지 날개부(40)(도면에서는 3개)를 손으로 파지하여 손에 화상을 입지 않고도 뜨거운 컵(2)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고, 사용자(1)가 상기 파지 날개부(40)를 손으로 잡고 있는 동안, 상기 파지 날개부(40)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에 사용자(1)가 컵을 떨어뜨리지 않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user can hold the hot cup 2 safely by holding the grip wings 40 (three in the drawing) by hand, and the user 1 can hold the hot cup 2 without any burn on his or her hand. ) While holding by hand, the grip wing portion 40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user 1 can hold the cup firmly without dropping the cup.

특히, 상기 파지 날개부(40)는, 상기 몸체(10)와 동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0) 제작시 일체로 사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컵(2)과의 접촉면적을 줄여서 열전달면적이 최소가 되도록 주름진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gripping wing portion 4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dy 10, it is possible to be integrally injection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body 10,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up (2)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corrugated shape so that the heat transfer area is minimized.

또한, 이러한 상기 파지 날개부(40)에 각종 도안 및 문자를 인쇄하여 광고물이나 홍보물로 적극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rinting a variety of patterns and characters on the gripping wing portion 40 can be used as advertising or promotional materials.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of course,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온의 내용물이 수용된 컵의 뚜껑만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식힘 접시부가 매우 차가운 내용물을 따뜻하게 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파지 날개부의 형태 또한 각각의 파지 날개부를 서로 끼워 연결함으로써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파지 날개부가 제작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lid of the cup containing the hot contents is illustrated, but the cooling dish may also be used for warming the very cold contents. By doing so, the grip wings of various forms can be manufactured, such as to further strengthen the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will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technical spirit thereof.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컵 뚜껑에 의하면, 식힘 접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고온의 내용물을 입으로 불어 식힐 수 있게 함으로써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입술이나 혀, 입천장 등의 화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내용물을 식혀서 취식할 수 있게 하며, 파지 날개부를 형성하여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하고, 파지 날개부 등의 표면에 광고내용을 인쇄하여 홍보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up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plat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cool the hot contents by blowing them into the mouth so as to prevent burns such as lips, tongue, and palat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in advance. The user can cool the contents at the desired temperature and eat them, and the grip wings are formed to protect the user's hands from the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ontents, and the advertisement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grip wings and the lik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int and use it for promotional purposes.

Claims (7)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cup li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cup containing high 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제 1 구멍이 형성된 몸체; 및A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and having a first hole formed at an upper surface of one side thereof; And 컵을 상기 제 1 구멍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내용물이 흘러나오도록 상기 제 1 구멍의 반대편 타측 상면에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으로부터 흘러나온 내용물을 임시 수용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의 온도를 식힐 수 있도록 상기 제 2 구멍 부근에 오목하게 형성된 식힘 접시부;When the cup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hole, a second hole is formed on the oth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hole so that the content flows out, and the user temporarily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second hole and A cooling dish portion formed concave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hole to cool the temperatur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는, 상기 식힘 접시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기울였을 때, 넘치지 않고, 사용자의 입술이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식힘 접시부 부근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 넘침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The body is a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n overflow prevention jaw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icinity of the cooling dish so that the user's lips can reach, when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oling dish portion is inclin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힘 접시부는,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깊게 형성되고, 테두리부로 갈수록 올라오는 오목한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거나, 테두리부로 갈수록 내려가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거나, 사각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멍은 상기 식힘 접시부의 일측면 또는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The cooling dish portion is formed deep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dy, a concave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which is raised toward the edge portion is formed, or an inclined surface or curved surface which is lowered toward the edge portion is formed, or formed in a square groove shape, the second hole is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ling dis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구멍은, 사용자가 상기 제 1 구멍 방향으로 컵을 기울여서 온도가 식은 내용물을 직접 입으로 취식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테두리에 근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The first hole is a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rim of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lean the cup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ole to eat the cooled contents directly to the mout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A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ripping w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a plurality of the body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p to protect the user's hand from the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high temperature contents. 커피 등 고온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컵의 상부를 덮는 컵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cup li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a cup containing high temperature contents such as coffee, 컵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상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몸체; 및A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up and having at least one hole formed in one upper surface thereof; And 고온의 내용물로 인한 컵의 열전달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도록 상기 컵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몸체에 다수개가 연장 형성되는 파지 날개부;A gripping wing portion extending in the body in a shape surrounding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to protect a user's hand from heat transfer of the cup due to high temperature contents;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파지 날개부는, 상기 컵과의 접촉면적을 줄이도록 주름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The gripping wing portion is a cup li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ugated shape to reduce the contact area with the cup.
KR1020010053845A 2001-09-03 2001-09-03 A cup cover Ceased KR200300201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45A KR20030020154A (en) 2001-09-03 2001-09-03 A cup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45A KR20030020154A (en) 2001-09-03 2001-09-03 A cup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54A true KR20030020154A (en) 2003-03-08

Family

ID=2772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45A Ceased KR20030020154A (en) 2001-09-03 2001-09-03 A cup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0154A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56B1 (en) * 2002-02-02 2004-09-04 김성일 A rotation type cup cover
WO2009008587A1 (en) * 2007-07-12 2009-01-15 Guem Duck Park A cup lid
GB2473041A (en) * 2009-08-28 2011-03-02 Solo Cup Europ Ltd Lid Having a Perimeter Wall of Varying Height Above a Main Surface
WO2013122371A1 (en) * 2012-02-17 2013-08-22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WO2015105307A1 (en)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holder
WO2015147968A1 (en) * 2014-03-25 2015-10-01 Shapiro Akiva Airflow cooling lid
KR200483160Y1 (en) * 2016-07-27 2017-04-10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Cup lid
WO2017073914A1 (en)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lid having water leakage blocking panel
WO2021163207A1 (en) * 2020-02-14 2021-08-19 Olababy Incorporated Cup having measurement indicator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80U (en) * 1974-07-09 1976-01-24
JPS5168280U (en) * 1974-11-22 1976-05-29
JPS60106958U (en) * 1983-12-27 1985-07-20 青谷 敬太 Lid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JPH0648474U (en) * 1992-12-15 1994-07-05 東京紙管株式会社 Paper heat resistant cup container
JPH0664581U (en) * 1993-02-24 1994-09-13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Beverage container lid
KR200190874Y1 (en) * 2000-02-02 2000-08-01 이제곤 Double cu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080U (en) * 1974-07-09 1976-01-24
JPS5168280U (en) * 1974-11-22 1976-05-29
JPS60106958U (en) * 1983-12-27 1985-07-20 青谷 敬太 Lid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JPH0648474U (en) * 1992-12-15 1994-07-05 東京紙管株式会社 Paper heat resistant cup container
JPH0664581U (en) * 1993-02-24 1994-09-13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Beverage container lid
KR200190874Y1 (en) * 2000-02-02 2000-08-01 이제곤 Double cup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656B1 (en) * 2002-02-02 2004-09-04 김성일 A rotation type cup cover
WO2009008587A1 (en) * 2007-07-12 2009-01-15 Guem Duck Park A cup lid
GB2473041A (en) * 2009-08-28 2011-03-02 Solo Cup Europ Ltd Lid Having a Perimeter Wall of Varying Height Above a Main Surface
WO2013122371A1 (en) * 2012-02-17 2013-08-22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KR101460705B1 (en) * 2012-02-17 2014-11-12 주식회사 케이앤랩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US10076201B2 (en) 2014-01-13 2018-09-18 K&Lab Co., Ltd. Cup holder
WO2015105307A1 (en) 2014-01-13 2015-07-16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holder
WO2015147968A1 (en) * 2014-03-25 2015-10-01 Shapiro Akiva Airflow cooling lid
US9975674B2 (en) 2014-03-25 2018-05-22 Akiva Shapiro Airflow cooling lid
US10577157B2 (en) 2014-03-25 2020-03-03 Akiva Shapiro Airflow cooling lid
WO2017073914A1 (en) * 2015-10-29 2017-05-04 주식회사 케이앤랩 Cup lid having water leakage blocking panel
KR200483160Y1 (en) * 2016-07-27 2017-04-10 주식회사 에이에프프라텍 Cup lid
WO2021163207A1 (en) * 2020-02-14 2021-08-19 Olababy Incorporated Cup having measurement indic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700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8827107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4842157A (en) Retainer for drinking container
US5894952A (en)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US5454482A (en) Safety drinking container
US4412629A (en) Non-spill drink-through lid
US5645191A (en) Disposable safety cup
US10577157B2 (en) Airflow cooling lid
US20050242100A1 (en) Spill-proof container
KR20030020154A (en) A cup cover
KR100446656B1 (en) A rotation type cup cover
US8141740B2 (en) Portable container
CA2341418C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JPS6337902Y2 (en)
CN101060788B (en) Soft candy
JP2017088234A (en) Glass lid
KR200190874Y1 (en) Double cup
KR200224476Y1 (en) Portable Bottle
KR900007542Y1 (en) Cup Containers and Their Lids
KR20050107722A (en) Heat isolation structure for pouch container
KR19980059489U (en) Disposable food container
KR200249850Y1 (en) A Thermos Cup
KR19980066361U (en) Safety cap for cup
EP1880645A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JP2000296867A (en) Straw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5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