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298A -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1298A KR20020071298A KR1020010011371A KR20010011371A KR20020071298A KR 20020071298 A KR20020071298 A KR 20020071298A KR 1020010011371 A KR1020010011371 A KR 1020010011371A KR 20010011371 A KR20010011371 A KR 20010011371A KR 20020071298 A KR20020071298 A KR 200200712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and
- broadcast channel
- layer
- search
- interrup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STTD 전송에 따른 복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송신기의 STTD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STTD 전송 여부에 따른 방송 채널을 복조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치타스크와 계층1과 계층3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일차동기채널 또는 이차동기채널을 이용하여 방송채널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가 획득되면 상기 방송채널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계층3이 방송채널 복조 명령을 상기 서치타스크로 전송하여 최적의 핑거 할당을 위한 윈도우 탐색을 수행시키는 과정과, 슬람 동작을 통해 기준 핑거의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핑거가 안정화되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에 따른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정하여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채널의 최적의 복조를 위해 다중 경로 탐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 전송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여부에 따라 방송채널을 복조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3세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인 국제 이동전화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에서 단말은 최초로 전원이 인가된 경우, 또는 시스템 타이밍, 즉 동기를 잃었을 경우, 일차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이차 동기 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 그리고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을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한 후 시스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일차 공통 제어 물리 채널(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PCCPCH)을 우선적으로 복조해야 한다. 상기 PCCPCH에는 방송채널(Broadcast Channel: BCH) 메시지가 매핑되어 전송된다. 상기 UMTS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BCH 메시지를 STTD 인코딩 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TTD 인코딩은 상기 BCH 채널뿐만 아니라 전용물리채널(Dedicated Physical Channel: DPCH) 및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SCH) 등의 다른 채널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상기 BCH, DPCH 및 동기채널 등에서는 기지국이 단말기에 STTD 인코딩 여부를 알려줌으로서 단말기가 이를 따로 검증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상기 BCH 경우에는 기지국이 단말기에 이러한 STTD 인코딩 여부를 알려주지 않음으로서 BCH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STTD 인코딩 여부를 단말기가 검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상기 STTD 전송 개념을 나타낸 도면으로,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한 채널 비트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1과 같이 STTD 인코딩을 수행하여 BCH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상기 단말측은 수신되는 상기 BCH 메시지가 STTD 인코딩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으면 상기 BCH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다. 이를 위해 UMTS 표준안에서는 BCH 메시지가 STTD 인코딩되어 전송되는지의 여부를 PSCH 및 SSCH의 특정 심볼을 변조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PSCH 및 SSCH의 특정 심볼을 검출하여 BCH 메시지의 STTD 인코딩 여부를 판단하여 BCH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2는 STTD 인코딩을 하여 BCH 메시지를 전송하는지의 여부를 단말기로 알려주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PSCH 및 SSCH의 256 칩(Chip) 길이의 매 슬롯마다 하나의 심볼(예를 들어 a 심볼)이 변조되어 전송한다. 상기 a는 기지국과 단말기가 서로 알고 있는 심볼로, +1(또는 -1)이면 STTD 전송을 나타내고, -1(또는 +1)이면 STTD 전송을 수행하지 않았음을 선택적으로 나타낸다. 도2에서 Cp는 상기 PSCH의 일차 동기 코드이고, Cs는 SSCH의 이차 동기 코드이다.
상기와 같이 PSCH 및 SSCH에 특정 심볼을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법 이외에도 BCH 메시지 내에 인코딩 여부를 나타내는 계층 3 제어비트(Layer 3 Control bit)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초기 STTD 전송을 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계층 3 제어비트를 검출하여야 한다. 단말기는 상기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은 UMTS 표준안에 제안되었을 뿐 단말기에서 상기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시공간 블록 송신 다이버시티 전송 검증 및 복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치타스크와 계층1과 계층3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일차동기채널 또는 이차동기채널을 이용하여 방송채널상태로 천이하기 위해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동기가 획득되면 상기 방송채널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계층3이 방송채널 복조 명령을 상기 서치타스크로 전송하여 최적의 핑거 할당을 위한 윈도우 탐색을 수행시키는 과정과, 슬람 동작을 통해 기준 핑거의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핑거가 안정화되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에 따른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정하여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채널의 최적의 복조를 위해 다중 경로 탐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 전송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동기채널과 공동파일럿채널의 전송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CQ 상태에서 방송 채널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계층1과 서치 타스크간의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CH 상태에서 방송 채널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계층1, 계층3 및 서치 타스크간의 절차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송 채널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대기 부상태와 경로추적 부상태에서의 이벤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6의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 처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6의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6의 STTD 인코딩 변경 결과에 따른 하드웨어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상기 도6의 SEARCH_DONE 인터럽트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상기 도6의 SRCH_STTD_F 명령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모든 동작들은 UMTS 단말(UE) 알고리즘 중 "서치 타스크(Search Task)"라는 entity가 담당한다. 상기 Search Task는 PSCH, SSCH, 그리고 CPICH을 이용하여 초기 동기를 획득하고 또한 지속적인 CPICH 탐색을 통하여 핑거(finger) 할당 작업과 설정 유지(Set Maintenance)를 총괄하는 task를 의미한다.
호 처리(Call Processing)를 위해 단말(UE)은 그 목적 및 수행 동작에 따라크게 계층1(Layer1:L1), 계층2(Layer2:L2), 그리고 계층3(Layer3:L3)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Search Task의 동작들은 계층(L1)의 동작에 포함된다.
호 처리를 위해 각 계층은 다양한 종류의 프리미티브(primitive)를 이용하여 상호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서치 타스크는 계층1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이때 계층1은 다시 계층2 또는 계층3과 연계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계층들간의 인터페이스를 시그널링(signaling)이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계층1을 포함한 상위 계층에서 서치 타스크로 전달되는 시그널링(Request)을 명령(command)이라 하고, 서치 타스크로부터 L1을 포함한 상위 계층들로 전달되는 시그널링(Indication)을 보고(report)라 칭한다. 상기 보고에는 상위 계층들로부터 전달된 명령이 적절히 수행·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응답(Confirm)도 포함된다. 또한, 상위 계층들과의 signaling 및 모뎀과의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CPU 혹은 DSP로 구현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TTD 인코딩 여부 검증에 따른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즉, 상기 도3은 PCCPCH의 "STTD encoding 여부 검증" 및 "검증 이후 수행되는 BCH message 복조 방법"을 보인 것이다. 상기 언급된 두 작업을 수행하는 Search Task의 상태(state)를 모든 도표에서 편의상 BCH state라 표현하였다.
계층1이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 명령을 내리는 주체는 계층3이 되며, 특히, 서치 타스크가 BCH 상태로 천이하여 상기 언급된 동작들을 수행하라는 명령을 계층3의 트리거링에 의해 계층1이 생성하여 서치 타스크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 명령을 SRCH_BCH_F(이하 "방송 채널 복조 명령"이라 함)로 표현하였다. 상기 서치 타스크가 BCH 상태에서 특정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이를 계층1로 보고하게 되고 계층1은 이를 다시 계층3에 알린다. 상기 보고에 대한 응답으로 계층3은 대기 모드(Idle Mode)로의 상태 천이를 위해 계층1로 하여금 대기모드 상태 천이 명령인 SRCH_PCH_F 명령을 서치 타스크로 전송하도록 한다. 대기 모드 상태 천이 명령(SRCH_PCH_F)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FACH(Forward Access Channel), PCH(Paging Channel) 또는 AICH(Acquisition Indicator Channel)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는 state인 PCH state로, 상기 서치 타스크를 천이하도록 하는 계층1의 명령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명칭 및 기능은 IS-95-A 시스템에서 운용되고 있는 단말의 Modem 구성과 동일하거나 그에 대응되는 구성임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면, 핑거(finger)는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에 수신되는 신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 복조하고, 채널을 통한 신호의 감쇠 및 왜곡을 추정하고, 수신 신호의 타이밍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하드웨어를 말하고, 기준 시간 발생기(Reference Time Generator: RTG)는 UE의 자체 타이밍을 생성, 관리하는 구성이다. 한편, Modem의 제어를 위한 레지스터 및 그 명칭, 변수 및 primitive(command, report) 명칭, 그리고 interrupt 등의 기타의 명칭들은 본 발명의 동작 설명을 위해서 또는 필요한 기능의 설명을 위해서 편의상 명명하여 사용한 것에 불과하며, 특정 Modem 칩 또는 특정 단말의 구성들을 반영한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BCH 상태로의 진입은 ACQ 상태 및 DCH 상태에서 가능하다. ACQ 상태는 PSCH, SSCH, 그리고 CPICH를 이용하여 동기 획득 동작을 담당하는 상태이며, DCH 상태는 기지국과 통화를 진행하면서 필요한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ACQ 상태에서 BCH 상태로 천이한 경우는 동기 획득을 완료한 후 진입하는 경우이고, DCH 상태로부터 천이한 경우는 통화가 종료(release)된 후, 대기모드로 들어가기 위해 선택한 셀(cell) 또는 섹터(sector)의 가장 최근 시스템 파라미터 정보를 얻기 위해 진입한 경우에 해당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ACQ 상태에서의 STTD 인코딩 검증 및 BCH 복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에서, 301단계는 방송채널 상태로 진입하기 위해 초기 상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301단계의 초기 동기 상태(ACQ State)는 PSCH, SSCH를 이용하여 초기 동기를 획득한다. 상기 초기 동기가 획득되면 계층1이 계층3으로 초기 동기가 획득되었음을 보고한다. 이를 보고 받은 계층3은 상기 방송채널 메시지의 복조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계층1로 전송하며, 상기 계층1은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서치타스크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서치 타스크로 전달되는 명령을 SRCH_BCH_F(이하 "방송 채널 복조 명령"이라 함)라 표현하였다. 즉, ACQ state에서 진입한 경우 초기동기, CPICH 타이밍 획득 및 frequency tracking 동작을 마친 후, 서치 타스크가 SRCH_ACQ_R을 계층1로 보고하여 그 응답(acknowledgement)으로서 방송 채널 복조 명령(SRCH_BCH_F)을 전달받는다.
그러나, DCH 상태에서 진입하는 경우 계층3은 어떠한 이유로 통화를 종료하는지를 판단한 후, 계층1을 통해 상기 방송 채널 복조 명령을 전달하기 때문에 서치 타스크의 보고(Search Task report)에 의해 상태 천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ACQ 상태에서 BCH 상태로의 천이와 DCH 상태에서 BCH 상태로의 절차를 각각 도 4와 도5에 나타내었다. 이하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ACQ 상태와 DCH 상태 각각에서 BCH 상태로의 천이절차를 먼저 설명한다.
서치 타스크(403)는 411단계에서 PSCH, SSCH를 통해 초기 동기획득을 하고 상기 동기를 획득했음을 보고하는 명령인 SRCH_ACQ_R을 계층1(401)로 전송한다. 상기 411단계에서 SRCH_ACQ_R 명령을 수신한 계층 1은 상위 계층과의 시그널링을 수행하고 413단계에서 상기 SRCH_ACQ_R 명령에 대한 BCH 상태 천이 명령인 SRCH_BCH_F를 서치 타스크(403)로 전송한다.
그러나, DCH 상태에서는 계층3(501)이 통화중 상태에서의 통화 종료, 즉 트래픽 채널의 해제가 결정되면, 511단계에서 BCH 상태로의 천이를 나타내는 프리미티브를 511단계에서 계층1(503)로 전송한다. 상기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계층1(503)은 513단계에서 방송 채널 복조 명령(SRCH_BCH_F)을 서치 타스크(507)로 전송한다.
상기 두 가지 중 어떤 경우이든 서치 타스크가 방송 채널 복조 명령을 전달받으면 BCH 상태로의 천이를 위해 자동 주파수 제어 루프(Automatic Frequency Control Loop: AFC Loop) 트랙킹 모드(Tracking Mode) 설정 과정을 수행 후, BCH 상태로 상태 천이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AFC 루프 트래킹 모드 설정 과정은 상기 ACQ 상태에서 주파수 트래킹 동작을 통해 안정화되었으므로 위상 주파수 차 지속 검출(Continuos Phase Frequency Difference Detector: CPFDD)의 크로스 프로덕트(Cross Product) 주기를 더 길게 하고 루프 이득을 더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송채널 상태 진입단계 301단계에서 BCH 상태 303단계로 천이가 이루어지면, BCH 메시지 처리를 위해 STTD 관련 하드웨어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다중 경로 등에 의한 핑거 할당을 위한 최적의 윈도우 탐색을 수행한다. 상기 BCH 상태에서 서치 타스크는 상위로부터의 명령, 하드웨어로부터의 인터럽트 그리고 운용 시스템의 설정 시그널과 같은 이벤트들을 처리해야 한다. 상기 서치 타스크는 다수의 이벤트들이 발생하면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BCH 상태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상기 서치 타스크가 처리하는 이벤트들을 이하 표 1에 나타내었다.
| 이벤트 | 발생계층(Origin)/우선순위(Priority) | 동작 |
| SRCH_START_F 명령 | 계층1/1 | BCH 메시지 복조에 실패하였을 경우 시작 상태로 천이 명령 |
| SRCH_PCH_F 명령 | 계층1/1 | BCH 메시지 성공적 복조, PCH 상태로의 천이 명령, PCH, FACH 또는 AICH 메시지 복조를 위한 윈도우 탐색 및 핑거 할당 작업 수행, 설정 유지 |
| SRCH_STTD_F 명령 | 계층1/1 | PCCPCH의 STTD 인코딩 여부 검증을 위한 레이크 수신기에서 검출한 SCH 심볼 'a'값과 BCH의 계층3 메시지가 서로 다른 상황에서 특정 기준에 의해 계층1에서 SCH 심볼 복조 재시도 결정 명령 |
| FRAME_BOUND 인터럽트 | 컴바이너/2 | 컴바이너의 RTG 블록에 의해 발생되는 인터럽트 신호, 10ms 프레임 바운더리가 지날 때마다 생성 |
| STTD_VERIF_DONE 인터럽트 | 컴바이너/3 | PCCPCH의 STTD 인코딩 여부를 나타내는 SCH 심볼을 각 핑거에서 복조하여 결합 후 심볼 검출 완료를 DSP 혹은 CPU로 알리기 위해 컴바이너에서 발생시키는 인터럽트 신호. |
| SEACH_DONE 인터럽트 | 서처/4 | 다중경로 서처가 윈도우 탐색 완료를 DSP 혹은 CPU에 알리기 위한 인터럽트 |
| Lost-dump timeout 시그널 | 운용시스템/5 | 서치 타스크가 탐색 명령을 내린 후 lost dump timer가 종료될 때까지 다중경로 서처로부터 탐색 종료를 알리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운용시스템에서 설정하는 시그널 |
상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될 때, 검출된 심볼 값과 핑거 수신된 신호 코드 전력값(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값이 해당 레지스터에 저장되어야 한다. RSCP값은 검출된 심볼의 신뢰성 즉, 삭제(Erasure) 판정에 사용될 것이며, 삭제 여부와 심볼 검출 값은 계층1로 보고되어 계층3 메시지와 비교된다. 상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서치 타스크는 하드웨어에서 검출된 심볼값을 바탕으로 레이크 수신기를 설정하여 BCH 메시지가 복조되도록 한다. 상기 Lost-dump timeout 시그널을 체크하는 순간 서치 타스크는 다중경로 서처 오류로 간주하여 SEARCH_DONE 인터럽트를 강제로 발생시킨다. 이때 서처 타스크는 인터럽트 발생 시점까지 저장되어 있는 윈도우 탐색 결과를 전달받아 처리한다.
상기 BCH 메시지가 복조 및 복호되면 CRC 체크 및 로우 레벨 데이터 처리(Low-level Data Processing)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CRC 체크 및 로우 레벨 데이터 처리는 서치 타스크가 아닌 채널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트래픽 채널(TrCH)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Rx) 타스크에서 수행하므로 상기 메시지와 관련하여 서치 타스크가 계층1로 전달할 보고는 없다. 다만, 상기 수신타스크는 상기 도 1에서 STTD 인코딩 여부를 나타내는 PSCH 또는 SSCH에 변조되어 전송되는 "+1" 또는 "-1"의 값을 갖는 심볼을 검출 및 복조하여 서치 타스크로 전송한다. 상기 서치타스크는 상기 STTD 인코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PSC(Primary Synchronization Code) 또는 SSC(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를 통한 상관 과정을 이용하여 심볼을 복조하며, 그 결과가 +1이면 STTD 인코딩 되었다고 판정하고, -1이면 인코딩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즉, 상기 서치 타스크가 상기 수신타스크로부터 수신한 STTD인코딩 여부를 계층1로 보고하면 된다. 상기 하드웨어에서 계층1로 보고되는 결과값을 이하 표 2에 나타내었다.
| 보고 | SRCH_STTD_R | ||
| 파라미터 | 형태 | 목적지 | 설명 |
| 심볼(Symbol) | Boolean | 계층 1 | 컴바이너에서 검출한 SCH 심볼 값을 미리 결정된 기준치 값과 비교하여 "+1"로 판정되면 참(True)으로, "-1"로 판정되면 거짓(Fault)으로 설정. 서치 타스크에서 비교 및 판정동작을 수행한 후 그 결과만을 보고 |
| 삭제(Erasure) | Boolean | 계층 1 | 각 핑거의 RSCP 값을 결합한 후 미리 결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검출된 심볼 값을 신뢰할 수 없는 경우로서 "참"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거짓"을 보고한다. |
상기 SCH 상태에서는 PCCPCH의 복조뿐만 아니라, 이 채널의 STTD encoding 여부 검증을 위한 SCH symbol 복조 동작을 위해서 윈도우(window) 탐색을 통한 최적의 핑거(finger) 할당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이는, 최적의 핑거(finger) 할당을 통해 다이버시티(diversity)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동시에 파일럿 필터(Pilot Filter)로부터 최적의 채널 추정 값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채널 추정 값을 바탕으로 SCH 심볼을 코히런트(Coherent) 복조 할 경우 최상의 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윈도우(window) 탐색은 BCH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실제적인 윈도우 탐색을 시작하기에 앞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 설정되어야 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는 섹터 구조체(Sector Structure), 핑거 구조체(Finger Structure), 핑거(Finger), 컴바이너(Combiner), 서처(Searcher), 하드웨어 인터럽트(Hardware Interrupt), 이벤트처리(Interesting Events) 등이 있다.
섹터 구조체(Sector Structure)는 서처의 탐색 동작 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관리하고 탐색 결과를 저장하고 또한 관련 기지국 정보를 관리하는 알고리즘 상의 구조체이다. 상기 섹터 구조체는 BCH 상태에서의 CPICH 탐색을 위해 초기화된다. 주요 파라미터로는 스크램블링 코드 번호(Scrambling Code Number), OVSF 코드 번호(OVSF Code Number), 셋 정보(Set Information), 섹터 위치(Sector Potion) 및 윈도우 크기(Window Size) 등이 있다. 상기 OVSF 코드 번호의 경우 PCCPCH 확산에 사용되는 코드로 설정하고, BCH 메시지가 전송되는 섹터를 탐색할 것이다. 상기 섹터는 액티브 셋(Active Set)이 된다. 한편 DCH 상태에서 천이한 경우 통화 상태에서 다중 환경이 넓은 지연 프로파일을 갖는 채널 환경이었을 수도 있고, ACQ 상태에서 천이한 경우 최대 에너지(Maximum Energy)를 갖는 경로 주변의 다중경로를 포착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비교적 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섹터 구조체는 다중경로 서처의 탐색 동작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해당되는 파라미터에는 서처 이득(Searcher Gain), 누적 시간(Integration Time), 비동기 누적 횟수 등이 있으며, 이 파라미터들도 섹터 구조체에 저장된다.
핑거 구조체(Finger Structure)는 수신 신호의 복조를 위해 핑거에 설정해야 할 파라미터 및 핑거의 상태 등을 저장 관리하는 구조체이다. 상기 핑거 구조체는 시간 추적 루프 이득(Time Tracking Loop Gain), 락 기준치(Lock Threshold) 등의 파라미터를 적절히 설정하여 저장한다. 상기 설정된 파라미터 값에 의해 핑거단의 시간 추적 및 락킹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핑거 구조체는 핑거단 제어에 필요한 파라미터 즉, 섹터 번호, 스크램블링 코드 번호, OVSF 코드 번호 등은 핑거 할당 작업 시 할당된 경로가 전송된 섹터 구조체에서 복사하여 사용한다.
핑거(Finger)는 PCCPCH의 심볼 레이트를 핑거단에 설정한다. OVSF 코드 역확산(Despreading)을 통해 심볼을 복조하기 위해서는 핑거단에서 심볼 레이트를 알고 있어야만 한다.
컴바이너(Combiner)는 PCCPCH의 심볼 레이트를 컴바이너단에 설정한다. 각각의 핑거에서 복조한 심볼을 정확한 시점에서 결합하기 위해서는 컴바이너단에서 심볼 레이트를 알고 있어야만 한다. 향후 최초로 발생되는 핑거0의 프레임 경계(Frame Boundary)에서 RTG를 리셋시킨 후, 상기 RTG가 이 핑거를 추적하도록 명령한다. 이 동작을 슬람(Slam)이라 한다.
서처(Searcher)는 다중 경로 서처로부터 전달된 탐색 결과를 DSP 혹은 CPU가 처리함에 있어서 탐색 빈도를 고려하여 처리한다.
하드웨어 인터럽트(Hardware Interrupt)는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를 체크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며, ISR(Interrupt Service Routine)의 연결도 포함한다.
이벤트 처리(Interesting Event)는 이벤트 처리를 위해 무한 루프에 진입한 후 대기 부상태에서 우선적으로 기다려야 할 이벤트들에 대한 시그널들을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하드웨어 구성들이 설정된 후에 이벤트 처리를 위한 무한 루프를 수행한다.
상기의 303단계 후에 305단계의 대기 부상태(SS1_Wait)로 진행한다. 상기 대기 부상태는 슬람(slam) 동작을 통해 핑거 0의 프레임 타이밍에 일치된 RTG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일정 시간을 기다린 후, 컴바이너 및 핑거로부터 STTD 인코딩 검증 결과를 전달받고, 이를 바탕으로 BCH 메시지 복조를 위한 STTD 관련 하드웨어를 설정하는 상태이다. 이때, STTD 인코딩을 위해 지속적인 윈도우 탐색 동작이 요구된다.
상기 대기 부상태에서 PCCPCH의 STTD 인코딩 여부가 검증되면 307단계의 경로 탐색 부상태(SS2_PATHTRACK)로 천이한다. 상기 경로 탐색 부상태는 성공적인 BCH 메시지 복조를 위해 지속적으로 다중경로를 탐색한다. 최상의 복조 성능을 위해 채널 상황을 추적하여 핑거 할당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BCH 메시지의 복조가 완료되면, 즉, BCH 상태를 벗어난 경우 상기 307단계에서 호출 채널 상태 천이 준비 부상태(Actions for Entry into Paging Channel State)인 309단계로 천이한다. 상기 호출 채널 천이 준비 부상태는 BCH 상태에서 PCH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과정이다. 도3에서는 BCH 상태로의 천이만을 도시하였으나, 시작 상태(START state)로 천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BCH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대기 부상태 305단계와 경로 탐색 부상태 307단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무한 루프도 상기 305단계와 307단계에서 수행된다.
도6은 BCH 상태에서 BCH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이벤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이벤트 처리 과정의 실행 주체가 DSP 혹은 CPU이므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행 주체를 제어부로명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3의 301단계와 303단계가 수행된 후에 제어부는 605단계에서 현재의 상태가 BCH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상태가 BCH 상태이면 제어부는 607단계로 진행하고 아니면 BCH 상태를 종료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제어부는 L1계층으로부터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L1계층으로부터 명령이 들어오면 609단계, 613단계 및 617단게에서 상기 입력된 명령이 어떤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609단계에는 상기 표1의 SRCH_START_F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입력된 명령이 상기 SRCH_START_F 명령이면 제어부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시작 상태(Start Sate)로 천이한다. 상기 대기 부상태에서는 어떠한 명령도 서치 타스크로 전달되지 않는다. 다만, 상위 계층 혹은 다른 타스크에서 원치 않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SRCH_START_F 명령은 서치 타스크로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입력된 명령이 SRCH_START_F 명령이 아니면 613단계에서 SRCH_PCH_F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명령이 SRCH_PCH_F 명령이면 615단계로 진행하여 PCH 상태로 천이하고 아니면 61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7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명령이 SRCH_STTD_F 명령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명령이 SRCH_STTD_F 명령이면 619단계로 진행하여 STTD 인코딩에 관련되는 구성들의 환경을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SRCH_STTD_F 명령이 아니면 제어부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계층1로 상태가 좋지 않음을 알린다. 상기 611단계, 615단계, 619단계 및 621단계 수행 후에 상기 605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607단계에서 계층1로부터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623단계,627단계, 631단계 및 635단계에서 이벤트 처리(Interesting Event)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먼저, 상기 623단계에서는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625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경계 이벤트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605단계로 돌아간다. 상기 625단계에서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는 627단계에서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627단계에서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6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605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즉 핑거단에서의 STTD 인코딩 검증 동작에서 사용되는 파일럿 필터 출력이 신뢰할 만한 값을 갖는 시점이 되었을 때, 상기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키고 동시에 이벤트 처리(Interesting Event)에 추가하게 된다. 상기 627단계에서 상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631단계에서 SEARCH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SEARCH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63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적의 핑거할당을 수행하고, 상기 605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635단계에서는 Lost-dump Timer가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Lost-dump Timer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했으면 제어부는 637단계로 진행하여 타임아웃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605단계로 돌아가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Lost-dump Timer가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다음 이벤트의 발생을 대기하고 상기 605단계로 돌아가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7은 상기 도6의 625단계의 상기 프레임 경계(FRMAE_BOUND)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 처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 6의 623단계에서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70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701단계에서는 RTG에 슬람을 명령한 후, 최초로 발생되는 핑거 0의 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인터럽트가 최초로 생성되는데 이 시점부터 인터럽트 발생 횟수를 계수한다. 그리고 상기 계수한 값이 상기 RTG 동작이 안정화되었을 만큼 충분한 카운트 회수인 N값을 초과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계수한 값이 상기 N값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제어부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STTD 인코딩 여부 검증을 위해 SCH 심볼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적절히 설정한다. 상기 703단계 수행후 제어부는 705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705단계에서 SCH 심볼의 복조 및 결합을 위해서 다중경로 탐색을 통한 핑거 할당을 수행해야 하므로 다중경로 서처에 윈도우 탐색 명령을 내린다. 상기 탐색 명령에는 운용시스템(Operating System) 시그널, 소프트웨어 변수(Software Variables), 서처 관련 레지스터 및 Lost-dump timer와 서처 레이트 조절기(Searcher-Rate Governor) 등이 있다.
상기 운용시스템 시그널은 윈도우 탐색이 완료되어 인터럽트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서치 타스크에 알리기 위한 신호이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OS에서 설정하는 ISR 시그널을 클리어(Clear)시켜야 한다. 서처 관련 레지스터들로는 서처의 상관 동작 시 사용되는 이득값, 누적 타임 칩수, 비동기 누적 횟수 및 윈도우 크기(가설의 개수)를 쓰는 레지스터들이 있으며,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가 현재 위치로부터 슬루(Slew)해야 할 양을 쓰는 레지스터들이 있다. 상기 Slew는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의 상태를 현재와는 다른 특정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Slew를 한다는 것은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의 타이밍을 변경하는 것이다. 서처 관련 레지스터들에 쓰여지는 값들은 섹터 구조체 내의 변수에 저장된 값을 사용하게 된다. Lost-dump timer는 상기 표 1과 같다. 서처 레이트 조절기는 윈도우 탐색 수행 시 서처 레이트를 제어한다. 서처단이 설정된 서처 레이트보다 더 높은 탐색 빈도로 탐색을 수행하면 조절 타이머를 설정하여 일정 시간 운용시스템 지연을 삽입함으로써 서처 타스크의 제어부 점유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상기 계수되는 값이 N값보다 커질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상기 계수된 값이 상기 N값만큼 반복 수행되면 제어부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RTG 슬람 명령 이후 특정 회수 M회, 즉 SCH 심볼 검출을 위한 하드웨어 설정 작업이 후 M-N회 더 프레임 경계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M-N회를 초과하였다면 제어부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킨다. 상기 707단계에서 M-N회를 더 기다린 다음 검출 결과를 얻는 이유는 다중경로를 핑거에 할당하기 시작한 후, 파일럿 필터로부터 신뢰할만한 채널 추정 값이 출력될 때까지 충분히 기다리기 위함이다. 상기 인터럽트를 기다릴 것이므로 이벤트 처리(Interesting Event)에 추가되어야 한다.
도8은 상기 도6의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6의 627단계에서 계층1로부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면제어부는 803단계에서 핑거의 RSCP 값과 컴바이너로부터의 심볼 값과 같은 검증 결과를 해당 레지스터로부터 얻는다. 상기 검증 결과값들이 얻어지면 제어부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더 이상 심볼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상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가 디스에이블되면 제어부는 807단계에서 STTD 인코딩 검증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들의 설정을 해제한다. 상기 하드웨어 구성들의 설정을 해제한 후, 809단계로 진행하여 검출된 심볼 값을 바탕으로 레이크 수신기를 설정하여 BCH 메시지가 복조되도록 한다. 심볼 값을 미리 정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1 또는 -1로 판정하고, 핑거의 RSCP 값의 경우 RSCP 기준값보다 작으면 삭제로 판정한다. 채널 상황이 열악하여 삭제로 판정한 경우에도 PCCPCH가 STTD 인코딩된 것으로 간주하고 데이터를 복조할 것인데, 이는 채널 상황에 무관하게 BCH 메시지를 복조해야만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상기 809단계에서 BCH 메시지가 복조되면 제어부는 811단계에서 SCH 심볼 검출 결과 및 삭제 여부를 계층 1으로 보고한다. 상기 811단계 후에 제어부는 레이크 수신기에서 PCCPCH를 복조하는 동안 최적의 핑거할당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813단계에서 경로 추적 부상태로 천이하여 지속적인 윈도우 탐색을 수행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BCH 메시지 복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BCH 메시지 복조는 상기 도8의 803단계 수행후 이루어진다.
상기 803단계가 수행 후 제어부는 도9의 901 및 903단계에서 하드웨어로부터 STTD 인코딩 결과 획득 및 핑거의 RSCP값이 삭제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상기 핑거 RSCP값이 상기 삭제 기준값보다 크다면 제어부는 905단계로 진행하고, 작다면 90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905단계에서는 SCH 심볼값이 심볼 기준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상기 SCH 심볼값이 심볼 기준값보다 크다면 제어부는 상기 907단계로 진행한다. 907단계에서는 STTD 인코딩된 PCH의 변조를 위해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 905단계에서 SCH 심볼값이 심볼 기준값보다 작다면 제어부는 909단계로 진행하여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지 않는 PCCPCH 변조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들을 설정한다.
도10은 상기 도6의 SEARCH_DONE 인터럽트 처리 과정의 구체적인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10을 참조하여 SEARCH_DONE 인터럽트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계층1로부터 SEARCH_DONE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1003단계에서 윈도우 탐색 결과 및 핑거의 상태를 레지스터들로부터 읽는다. 상기 윈도우 탐색 결과를 읽기 위해서 서처 관련 레지스터들과 알고리즘 변수들을 변경하여야 한다. 상기 서처 관련 레지스터들에 대한 처리는 윈도우 탐색이 완료되었을 때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를 읽어 섹터 구조체 내의 변수에 저장한다. 상기 레지스터는 가장 최근 상태 덤프(Status Dump) 시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윈도우 내에서 포착된 n개의 피크(Peak) 에너지와 인덱스를 읽어 섹터 구조체 내의 변수에 저장한다. 포착된 피크 경로들은 핑거 할당에 이용된다. 상기 알고리즘 변경은 윈도우 탐색의 시작과 종료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변수들이 있다면 적절히 설정한다. 상기 핑거 관련 레지스터들에 대한 처리는 가장 최근 상태덤프(Status Dump) 시의 핑거 위치, 핑거 RSCP 그리고 핑거 락 상태들을 해당 레지스터로부터 읽어 핑거 구조체 내의 변수에 저장한다.
상기 과정 후 제어부는 1005에서 상기 읽은 윈도우 탐색 결과 및 핑거의 상태에 따라 최적의 핑거 할당을 수행한다. 상기 핑거할당이 이루어지면 1007단계에서 지속적인 다중경로 추적을 위해 윈도우 탐색을 다시 시작하라는 명령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부상태에서 PCCPCH의 STTD 인코딩 여부가 검증된 후의 경로추적 부상태에서 BCH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해 지속적인 다중경로를 탐색한다. 최상의 복조 성능을 위해 채널 상황을 추적하여 핑거 할당을 수행한다.
경로 추적 부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들로는 SRCH_START_F 명령, SRCH_PCH_F 명령, STCH_STTD_F 명령,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 SEARCH_DONE 인터럽트 및 Lost-dump timeout 시그널 등이 있다. 상기 이벤트들 중 상기 대기 부상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이벤트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은 SRCH_STTD_F 명령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11을 참조하여 SRCH_STTD_F 명령 처리 과정을 설명한다.
PCCPCH의 STTD 인코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레이크 수신기에서 검출한 SCH 심볼 값이 BCH의 L3 메시지와 다른 상황에서, L1이 SCH 심볼 복조를 재 시도하기로 결정하였을 경우 명령 SRCH_STTD_F가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1103단계에서 STTD 인코딩 여부 검증을 위해 SCH 심볼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를 적절히 설정한다. 상기 하드웨어가 설정되면 제어부는 1105단계에서 검출 결과를 하드웨어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STTD_ VERIFY_DONE 인터럽트를 인에이블시킨다. 이는 상기 대기 부상태를 탈출하면서 상기 STTD_VERIFY_DONE 인터럽트를 디스에이블시켰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다시 인에이블 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정이 완료되면 레이크 수신기로부터 SCH 심볼 검출 결과를 기다린다. 이때 고려해야 할 점은 심볼 검출을 위한 하드웨어 설정 작업이 임의의 슬롯의 심볼 구간 내에서 수행되었을 경우 그 심볼에 대한 검출 결과를 무시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을 보완하기 이하여 하드웨어 설정 후 일정 개수의 슬롯 동안 검출 결과를 무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레이크 수신기로부터 심볼 검출이 완료될 때마다 발생하는 STTD_VERIF_DONE 인터럽트에 대한 후속 처리 과정은 도8과 같다. 임의의 채널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최상 도는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으로 복조하려 할 때, 지속적인 윈도우 탐색을 통한 핑거 할당은 필수적이다. 이는 경로추적 부상태에서 레이크 수신기가 PCCPCH를 복조할 경우에도 해당된다. 상기 경로 추적 부상태에서 윈도우 탐색이 완료되었을 때 도10의 과정으로 후속 처리를 수행한다. 즉 상기 대기 부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상기 BCH 상태를 벗어날 경우, 즉 BCH 상태에서 시작 상태(Start state) 또는 PCH 상태로 천이할 경우 현재 진행 중인 다중 경로 서처의 윈도우 탐색 동작이 있다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린 후 그 탐색 결과를 버린다. 또한 BCH 메시지가 성공적으로 복조된 경우 다중경로 탐색이 수행되었던 윈도우 위치를 저장해둔다. 이는 UE가 타이밍을 잃었을 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계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UMTS용 단말에 적용함으로써, UMTS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PCCPCH의 STTD encoding 여부를 검증하고 또한 STTD encoding 여부가 검증된 이후에 수행될 실제적인 BCH message 복조를 위하여 Modem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2)
- 서치타스크와 계층1과 계층3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에 있어서,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동기채널을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하는 과정과,상기 동기가 획득되면 상기 계층3이 방송채널 복조 명령을 상기 서치타스크로 전송하여 최적의 핑거할당을 위한 윈도우 탐색을 수행시키는 과정과,슬람 동작을 통해 기준 핑거의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과,상기 핑거가 안정화되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에 따른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도록 하드웨어를 설정하여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는 과정과,상기 방송채널의 최적의 복조를 위해 다중 경로 탐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최적의 핑거 할당을 위한 윈도우 탐색 수행 과정이,상기 방송채널 상태에서 상기 계층1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과정과,상기 계층1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명령에 따른 상태천이를 수행하는 과정과,상기 계층1로부터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인터럽트들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하고, 특정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상기 인터럽트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1로 발생할 수 있는 명령들이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실패 명령(SRCH_START_F),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성공 명령(SRCH_PCH_F) 및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재시도 명령(SRCH_STTD_F)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1로 발생한 명령이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실패 명령이면 시작상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1로 발생한 명령이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성공명령이면 페이징 채널 상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1로 발생한 명령이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재시도 명령이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 관련 구성들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들이 프레임 경계(FRAME_BOUND) 인터럽트 , 심볼 검출 완료(STTD_VERIFY_DONE) 인터럽트, 윈도우 탐색완료(SEARCH_DON) 인터럽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인터럽트가 프레임 경계 인터럽트이면 프레임 경계 이벤트를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인터럽트가 심볼 검출 완료 인터럽트이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 엔코딩 처리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인터럽트가 윈도우 탐색완료 인터럽트이면 핑거할당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경계 이벤트 처리가,슬람 동작 후 N 프레임이 초과할 때까지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위한 다중경로를 서치하는 과정과,상기 N 프레임을 초과 후 소정 프레임 통과 후에 심볼 검출 완료 인터럽트를 인에이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서치타스크와 계층1과 계층3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 방법에 있어서,트래픽 채널 설정 중 트래픽 채널의 해제를 상기 기지국으로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되는 프리미티브에 의해 방송채널 상태로 천이하는 과정과,상기 계층1이 상기 프리미티브를 수신하여 방송채널 복조 명령을 상기 서치타스크로 전송하여 최적의 핑거할당을 위한 윈도우 탐색을 수행시키는 과정과,슬람 동작을 통해 기준 핑거의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상기 핑거가 안정화되면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에 따른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설정하여 방송채널 메시지를 복조하는 과정과,상기 방송채널의 최적의 복조를 위해 다중 경로 탐색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11371A KR20020071298A (ko) | 2001-03-06 | 2001-03-06 |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10011371A KR20020071298A (ko) | 2001-03-06 | 2001-03-06 |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71298A true KR20020071298A (ko) | 2002-09-12 |
Family
ID=2769646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10011371A Withdrawn KR20020071298A (ko) | 2001-03-06 | 2001-03-06 |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0071298A (ko)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320785C (zh) * | 2002-10-10 | 2007-06-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支持使用空-时块码的发射天线分集的发射和接收装置 |
| KR100957210B1 (ko) * | 2007-02-21 | 2010-05-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
| KR101507834B1 (ko) * | 2008-04-17 | 2015-04-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동기 채널 전송 방법 |
-
2001
- 2001-03-06 KR KR1020010011371A patent/KR20020071298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320785C (zh) * | 2002-10-10 | 2007-06-06 | 三星电子株式会社 | 支持使用空-时块码的发射天线分集的发射和接收装置 |
| KR100957210B1 (ko) * | 2007-02-21 | 2010-05-1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신호 전송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
| KR101507834B1 (ko) * | 2008-04-17 | 2015-04-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동기 채널 전송 방법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16973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acquisition and power control | |
| EP0899981B1 (en) | A method for performing a soft handoff | |
| CA2314232C (en) | Reservation multiple access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 |
| US598701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 communication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US6667962B1 (en) | Method for recovering dropped call in mobile station for CDMA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recovery of the dropped call | |
| CA2172370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de acquisition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 |
| CN1216180A (zh) | 在无线cdma通信系统中从用户单元至基站单元的同步传送 | |
| EP1625678A1 (en) | Method of informing uplink synchronization using downlink tpc bit patterns | |
| EP1269656B1 (en) | Dynamically adjusting integration interval based on a signal strength | |
| KR20070011144A (ko) | 패킷 데이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채널의 송수신장치 및 방법 | |
| EP136657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 EP1182803A1 (en) |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 |
| CA2403996C (en) | Efficient detection of general paging messages in poor signal to noise environments | |
| US6834075B2 (en) | Method for improving multipath searcher speed | |
| JP4320016B2 (ja) | ユニバーサル移動体通信システム・レシーバにおける適応フレーム同期 | |
| KR20020071298A (ko) | 시공간 블록 코딩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채널 메시지 복조방법 | |
| JP2007521677A6 (ja) | ユニバーサル移動体通信システム・レシーバにおける適応フレーム同期 | |
| CA2404580A1 (en) | Reacquisition and handoff in a slotted mode communication system | |
| US6868113B2 (en) | Receiver for spectrum spreading communication system | |
| JP3478488B2 (ja) | Cdma用受信装置及びそのパス探索方法 | |
| JP2002204190A (ja) | スペクトル拡散通信におけるアンテナ選択ダイバーシチ方法 | |
| KR20060089718A (ko) | 범용 이동 전화 시스템 수신기에서의 적응적 프레임 동기화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