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27176A -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176A
KR20020027176A KR1020010059334A KR20010059334A KR20020027176A KR 20020027176 A KR20020027176 A KR 20020027176A KR 1020010059334 A KR1020010059334 A KR 1020010059334A KR 20010059334 A KR20010059334 A KR 20010059334A KR 20020027176 A KR20020027176 A KR 20020027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web page
computer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858B1 (ko
Inventor
최광희
Original Assignee
최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희 filed Critical 최광희
Publication of KR2002002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85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 상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소망 정보를 특정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3+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ustomized intellig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A saving device readable by computer}
본 발명은 통신망 상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소망 정보를 특정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여러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중에서 컴퓨터에 입력된 희망 정보를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의 특정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선택된 내용이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선택된 내용을 갱신하여 표시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 상의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소망 정보를 특정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은 웹브라우저에 희망하는 정보의 위치가 입력되면, 상기 웹브라우저는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웹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웹서버로부터 HTML(Hyper Text Meta Language) 언어로 제작된 웹문서를 다운로드(Download)하고, 다운로드된 웹문서를 웹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 입력된 정보를 웹서버에 접속하여 WML 언어로 제작된 웹문서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웹문서를 이동통신단말의 화면표시부에 표시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컴퓨터의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문서를 단순히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웹페이지가 컴퓨터에 표시되고 있는 동안 또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지 않은 동안에 웹페이지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웹페이지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ASP(Active Server Page)서비스 등의 푸시(Push)기술을 이용한 웹페이지 전송기술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상기 푸시 기술은 시간마다 변하는 웹페이지를 컴퓨터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웹페이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푸시 기술이 적용된 웹페이지에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통신망 상의 많은 정보를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필요하지 않는 정보도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통신망 상에 공개된 전자문서의 내용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컴퓨터 영상출력장치의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망 상에 공개된 전자문서의 텍스트 내용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내용만을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내용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갱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영역을 선택하여 이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를 일정주기마다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영역에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통한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d)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추출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c)가,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 및 지정 태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알엘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 (e)가, (e.1)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 내용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2) 상기단계 (h.1)에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웹페이지의 추출 텍스트 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e.3) 상기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기존 표시 텍스트를 갱신하여 재표시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제1수단;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2수단;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제3수단;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제4수단; 및 상기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제5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3수단이,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 및 지정 테그 정보를 추출하고, 및 상기 추출된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알엘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 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제3수단이,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 내용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웹페이지의 추출 텍스트 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및 상기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기존 표시 텍스트를 갱신하여 재표시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통해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구현가능한바, 이 기록매체에 내장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절차; 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절차;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절차;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는 절차; 및 상기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번히 갱신되는 분산 네트워크의 정보를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통신망 상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와 다량의 정보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정보의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로 하여금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장치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컴퓨터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컴퓨터(10)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망 상에 공개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정보를 웹페이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만을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컴퓨터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망 상의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PDA와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에서도 구현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컴퓨터(10)는 CPU(12), 입력장치(14a), 영상출력장치(14b), 통신장치 (14c), 저장장치(14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장치(14d)는 컴퓨터 운영에 필요한 운영체제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과, 설정DB(DataBase, 16), 및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18a, 18b, 18c, 18d, 18e)을 포함한다.
CPU(12)는 후술하는 장치들(14a, 14b, 14c,14d), 설정DB(16), 및 모듈들 (18a, 18b, 18c, 18d, 18e)을 제어하며, 각 장치 및 모듈들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인텔사의 펜티엄(Pantium) 프로세서(processor), 모토롤라사의 파워피시(PowerPC) 프로세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입력장치(14a)는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예를들어, 키보드 (keyboard), 마우스(Mouse) 등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영상출력장치(14b)는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 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컴퓨터 외부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를들어, 컴퓨터 모니터, 첨부도면 도 5와 같은 표시창(40b) 등이 이에 해당한다.
통신장치(14c)는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장치로서, 통신망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카드(Network Interface Card), 공중전화망을 통해 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뎀(Modem)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가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정보기기인 경우, 상기 통신장치(12c)는 무선인터넷서비스업자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저장장치(14d)는 정보가 저장되는 장치로서,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롬(ROM ; Read Only Memory), 플로피디스크드라이브(FDD ; Floppy Disk Drive),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 씨디롬(CD-ROM ; CompactDisk Read Only Memory) 등의 장치가 이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전술한 저장매체를 두개이상 같이 사용한다. 상기 저장장치(12d)에는 컴퓨터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등의 응용프로그램, 후술하는 프로그램 모듈(18a, 18b, 18c, 18d, 18e)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설정DB(16)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설정된 텍스트 내용, 이 텍스트를 포함하는 웹문서의 URL정보,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지정TAG정보, 검색주기 및 표시위치를 저장한다. 상기 텍스트 내용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영상출력장치에 표시될 내용으로서, 예를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내용 중 마우스포인터 (50)에 의해 선택된 영역(40a)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여기서, URL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웹페이지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들어, "http://www.sktelecom.com/index.html" 등과 같은 인터넷 상의 웹페이지가 존재하는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로 구성된다. 다르게, 상기 웹페이지 URL정보는 상기 문자로 구성된 주소에 대응하는 인터넷 아이피어드레스(IP Address)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IP어드레스는 예를들어, "134.75.54.2" 등의 숫자로 이루저 인터넷 상에서 유일한 서버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지정TAG정보란, 특정웹페이지에 표시된 TAG 중에서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선택된 텍스트 내용과 관련된 한 쌍의 기술(記述)언어이다. 여기서, TAG란 마크업 언어의 요소 기술자(記述子)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예를들어, HTML 언어로 제작된 문서를 텍스트 편집기로 열어보면, "<FONT SIZE=2>" 등과 같이 "<"와 ">"로 이루어진 명령어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TAG는 항상 쌍을 이루어 표시 내용을 지정하는데, 예를들어, "<FONT SIZE=2>홈페이지입니다.</FONT>"와 같이 두개의 TAG가 쌍을 이루는데, 상기 쌍을 이루는 두개의 TAG는 상기 테그 내의 내용이 웹브라우저에 표시될 경우, 상기 내용의 표시형태, 또는 링크 대상을 지정한다.
또한, 텍스트 내용은 상기 웹문서의 전술한 지정TAG정보 내의 내용으로,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상기 텍스트 내용은 웹브라우저에 의해 호출되어 영상출력장치의 특정부분에 표시된다.
아울러, 상기 설정DB(16)는 선택영역의 텍스트 내용을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라 함은 영상출력장치의 표시될 좌표값을 말한다. 예를들어, 해상도가 1024X768 픽셀(pixcel)인 영상출력장치의 경우, 표시영역의 좌측상부 모서리의 좌표값 500,600 등의 좌표값이 위치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영역지정모듈(18a)은 입력장치(14a)로부터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 중에서 희망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선택 명령을 전달받아, 도 4의 도면부호 40a와 같이 박스형태로 영역을 지정한다.
또한, 도 4의 도면부호 60과 같은 메뉴항목(menu item)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지정된 선택영역에 대한 저장 명령을 전송받고, 선택영역의 정보를 설정DB(16)에 저장한다. 이때, 영역지정모듈(18a)은 선택영역이 표시될 위치와 갱신 주기를 상기 선택영역의 정보와 더불어 설정DB(16)에 저장한다. 여기서 선택영역의 정보는 선택영역을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URL정보, 상기 윕페이지의 선택영역에 포함되는 지정TAG정보, 및 선택영역의 텍스트 내용을 말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영역지정모듈(18a)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웹페이지상의 특정 텍스트 정보를 해당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웹페이지의 URL정보, 이 텍스트 정보가 표시될 위치, 텍스트 정보의 갱신 검색주기, 태그정보 등과 같이 같이 설정DB(16)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모듈(18b)은 설정DB(16)로부터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 내용을 영상출력장치의 특정 표시위치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모듈(18b)은 도 5와 같이 특정한 클라이언트측의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툴바의 표시창(40b)에 상기 텍스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텍스트 내용은 운영체제 화면(예를들어, MS사의 윈도우 화면상의 특정 위치)상의 특정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검색모듈(18c)은 영상출력장치(14b)에 표시된 텍스트 내용이 설정된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검색모듈(18c)은 전술한 표시모듈(18b)이 영상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동안 램상주프로그램 형태로 실행되고, 컴퓨터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갱신주기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값의 변화에 따라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검색주기에 도달하였을 경우, 검색에 필요한 URL정보와 지정 TAG정보를 상기 설정DB(16)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들을 후술하는 영역추출모듈 (18d)에 전달한다.
영역추출모듈(18d)은 검색모듈(18c)로부터 전달되는 URL정보 해당 URL에 접속하고, 해당URL의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의 임시저장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임시저장장소에 저장된 웹페이지로부터 지정TAG 내의 텍스트 내용을 추출한다.
갱신모듈(18e)은 상기 영역추출모듈(18d)이 추출한 텍스트 내용과 설정DB (16)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내용을 비교하여, 상기 두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두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모듈은 상기 영역추출모듈 (18d)이 설정DB(16)의 URL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내용 필드를 추출한 텍스트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영역추출모듈(18d)은 표시모듈(18b)에 상기 설정DB(16)의 갱신된 텍스트 내용을 영상출력장치에 이미 표시된 내용을 갱신할 것을 명령한다.
또한, 상기 두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갱신모듈은 종료한다.
전술한 장치를 사용하여, 웹브라우저로 확인 가능한 통신망 상의 전자문서로부터 특정영역의 선택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선택된 영역을 검색하여, 선택된 영역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갱신하여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상의 전자문서를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의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영역을 선택하여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는 방법>
웹페이지 영역 선택 단계(S110)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사용해 웹브라우져를 실행하면, 중앙처리장치(12)는 통신장치(14c), 웹 지원서버(3)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게 된다.
다음,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 중에서 희망하는 텍스트 영역을 선택하면, 영역지정모듈(18a)은 선택영역을 저장할 수 있는 폼을 영상출력장치(14b)에 표시하고, 입력장치(14a)에 의해 저장명령이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예를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웹브라우저(30)에 표시된 웹페이지 중에서 입력장치 (14a)를 사용하여 마우스포인트(50)를 이동하여 선택영역(40a)을 지정하면, 영역지정모듈은 선택영역(40a)을 저장할 수 있는 폼(60)을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한다.
선택영역 저장하는 단계(S120)는 다음과 같다.
입력장치(14a)에 의해 선택영역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선택영역을 저장장치 내의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마우스포인터(50)을 이동하여, 특정영역(박스형태)을 선택하면,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마우스포인터(50) 인근에 선택영역을 저장하기 위한 폼(60)을 메뉴형태로 표시하고, 상기 폼(60)에 표시된 메뉴 중에서 저장 메뉴가 입력장치(14a)에 의해 선택되면,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선택영역을 저장장치 내의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는 선택영역의 텍스트 내용과 상기 텍스트 내용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URL정보, 지정TAG정보도 함께 저장된다.
선택영역 타입 판단 단계(S130)는 다음과 같다.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선택영역의 타입을 판단한다. 즉, 영역지정모듈은 임시저장장소에 저장된 웹페이지의 선택영역을 지정하는 TAG 중에 멀티미디어(그림, 동영상, 소리)를 나타내는 특정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선택영역이 텍스트 타입인지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선택영역에 포함된 태그가 <IMGSRC="IMAGE.JPG"> 등과 같이 텍스트가 아닌 멀티미디어(그림, 동영상, 소리) 등을 웹브라우저에 표시하기 위한 태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검색하여 상기 선택영역이 텍스트 타입인지를 판단한다. 당업자는 상기 단계 S130를 멀티미디어를 나타내는 태그의 종류들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거나, 텍스트를 표시하는 태그의 종류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웹페이지의 선택영역을 지정하는 TAG와 데이터베이스의 태그들을 비교하여 상기 TAG로 표시되는 내용이 멀티미디어를 나타내는 타입인지를 판단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계 S130에서 선택영역의 타입이 텍스트 형태가 아닌 경우, 영역지정모듈(18a)은 영역 재설정요청을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거나, 에러메시지를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한다(S135). 또한, 선택영역의 타입이 텍스트 형태와 멀티미디어 형태가 혼재된 경우, 영역지정모듈(18a)은 선택영역 내의 텍스트 내용만을 저장할지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130에서 선택영역이 텍스트 타입인 경우, 영역지정모듈 (18a)은 단계 S140을 실행한다.
검색주기 및 표시위치 설정 단계(S140)는 다음과 같다.
영역지정모듈(18a)은 영상출력장치(14b)에 검색주기를 설정 할 수 있는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윈도우 내에 검색주기를 선택할 수 있는 폼을 제공하고, 입력장치로부터 검색주기를 지정하는 명령이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예를들어, 매 1시간마다 상기 선택영역의 텍스트 내용을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주기설정 폼에 1시간을 입력한다.
아울러,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텍스트 내용이 영상출력장치(14b)에 표시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정보를 지정할 수 있는 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설정 정보를 설정DB에 저장하는 단계(S150)는 다음과 같다.
영역지정모듈(18a)은 상기 설정된 설정정보를 설정DB(16)에 저장한다. 여기서, 설정정보는 웹페이지의 URL정보,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TAG정보, 텍스트 내용, 검색주기, 표시위치 등의 정보이다. 또한, 상기 설정정보에는 상기 텍스트 내용이 표시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텍스트 내용을 화면상의 표시위치에 표시하는 단계(S160)는 다음과 같다.
표시모듈(18b)은 상기 설정DB(16)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영상출력장치 (14b)의 표시위치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툴바에 상기 설정DB(16)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40b)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 상기 설정DB(16)에 영상출력장치(14)의 표시될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텍스트 내용을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방법으로 표시된 텍스트 내용은 화면상에 계속 표시되고, 일정 주기마다 원래의 웹페이지의 표시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변경되었을 경우, 갱신하여 영상출력장치에 표시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표시 내용 갱신 방법>
검색주기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0)는 다음과 같다.
검색모듈(18c)은 영상출력장치(14b)에 표시된 텍스트 내용 갱신 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표시모듈(18b)에 의해 영상출력장치(14b)에 텍스트 내용이 표시된 경우, 상기 검색모듈(18c)은 램상주 프로그램 형태로 실행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카운트를 실시하여, 카운트 값에 따라 검색주기 도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URL정보 및 지정TAG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220)는 다음과 같다.
검색모듈(18c)은 검색주기에 도달하였을 경우, 설정DB(16)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내용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URL정보, 및 지정 TAG정보를 추출한다.
해당 URL에 접속하는 단계(S230)는 다음과 같다.
영역추출모듈(18d)은 상기 검색모듈(18c)에 의해 추출된 웹페이지 URL정보에 해당하는 URL에 인터넷망(1)을 통해 접속한다. 예를들어, 영역추출모듈은 상기 URL정보의 내용이 "http://www.sktelecom.com/index.html"인 경우,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웹서버(20)중에서 상기 URL에 해당하는 웹서버에 접속한다.
웹페이지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S240)는 다음과 같다.
영역추출모듈(18d)은 웹서버로부터 전송된 웹페이지를 저장장치의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한다.
상기 단계 S230 내지 S240은 한번의 프로세스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영역추출모듈(18d)이 "wget"등의 웹페이지 추출 명령을 사용하여 "http://www.sktelecom.com/index.html" 등 웹페이지 추출 명령을 통해 상기 URL정보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전송명령을 통신망 상에 전송하고, 윕페이지 내용을 바로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wget"은 유닉스 상의 웹페이지 다운로드 명령으로,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통신망상에 웹페이지를 게시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웹페이지로부터 희망하는 웹페이지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전송받아, 이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한다. 당업자는 상기 "wget" 명령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사용하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정 TAG 위치를 검색하는 단계(S250)는 다음과 같다.
영역추출모듈(18d)은 상기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된 웹페이지에서 지정 TAG 정보와 일치하는 TAG의 위치를 검색한다.
지정 TAG 존재를 판단하는 단계(S252)는 다음과 같다.
영역추출모듈(18d)은 상기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된 웹페이지에서 지정 TAG 정보와 일치하는 TAG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252에서, 일치하는 TAG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영추출모듈(18d)은 영역을 재설정하기를 요구하거나,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 (S254)
상기 단계 S252에서, 일치하는 TAG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영영추출모듈(18d)은 단계 S256을 실행한다.
지정 TAG 내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S256)는 다음과 같다.
영역추출모듈(18d)은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TAG정보 내의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임시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한다.
텍스트 내용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72)는 다음과 같다.
갱신모듈(18e)은 상기 임시저장장소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과 설정DB(16)에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비교하여,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272에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갱신모듈(18e)은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또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갱신모듈(18e)은 단계 S274를 실행한다.
웹페이지의 텍스트 내용으로 설정DB를 갱신하는 단계(S274)는 다음과 같다.
갱신모듈(18e)은 상기 임시저장장소(미도시)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으로 설정DB(16)의 텍스트 내용 필드를 갱신한다.
화면상의 기존 표시 텍스트를 재표시하는 단계(S276)는 다음과 같다.
갱신모듈(18)은 상기 설정DB(16)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으로 기존에 영상출력장치(14b)에 표시된 텍스트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퍼스널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PDA 등의 휴대정보기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웹 서비스 분야에 적용한 것을 도6에 도시하였다.
도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통한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6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통한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베이스(605);
사용자가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상기 설정 데이터베이스(605)에 저장하는 영역지정모듈(611);
상기 검색주기마다 상기 설정 데이터베이스(605)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상기 저장수단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검색모듈(613);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영역추출모듈(614); 및
상기 영역추출모듈(614)에서 추출된 정보를 상기 설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갱신모듈(615);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설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사용자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는 표시모듈(612)을 포함한다.
그러면 이러한 구성을 가진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망을 통한 지능형 맞춤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망을 통해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컴퓨터를 이용한 맞춤정보 제공시스템과 거의 유사하며 다만 인터넷을 통한 웹 서비스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동작은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601)로 인터넷망(1)을 통해 웹 서버(602)에 접속하여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선택하면, 영역지정모듈(611)은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고,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설정 데이터베이스(605)에 저장한다.
다음, 검색모듈(613)은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면, 영역추출모듈(614)은 상기 수집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한다.
그러면, 갱신모듈(615)은 추출된 텍스트 내용으로 설정DB(605)의 텍스트 내용 필드를 갱신한다.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모듈(612)은 상기 설정DB(605)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으로 기존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필요시마다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를 통한 인터넷 접속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PDA 등의 휴대정보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을 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과정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두 구현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대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빈번히 갱신되는 웹페이지의 내용을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상의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면, 다량의 정보 중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컴퓨터의 영상출력장치에 표시하여, 정보의 효용성을 높이고, 사용자로하여금 짧은 시간에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a)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단계;
    (d)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추출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가,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 및 지정 태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알엘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가,
    (e.1)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 내용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e.2) 상기 단계 (h.1)에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웹페이지의 추출 텍스트 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e.3) 상기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기존 표시 텍스트를 갱신하여 재표시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방법.
  4.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제1수단;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2수단;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제3수단;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제4수단; 및
    상기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검색주기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 및 지정 테그 정보를 추출하고, 및 상기 추출된 유알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유알엘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4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단이,
    상기 추출된 웹페이지의 텍스트 내용과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텍스트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웹페이지의 추출 텍스트 내용을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및 상기 저장된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의 화면상에 기존 표시 텍스트를 갱신하여 재표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7. 컴퓨터를 통해 아래의 절차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절차;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절차;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컴퓨터의 저장장치에 다운로드하는 절차;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추출하는 절차; 및
    상기 텍스트 내용을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는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사용자가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 표시된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선택하면,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제1수단;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2수단;
    상기 검색주기마다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를 상기 저장수단에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제3수단;
    상기 다운로드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제4수단;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텍스트 내용을 사용자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9. (a) 사용자로부터 웹페이지의 특정영역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 영역의 검색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웹페이지의 유알엘(URL) 정보, 선택 영역을 지정하는 태그(TAG) 정보, 텍스트 내용과 검색 주기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검색주기마다 저장되어 있는 유알엘 정보에 대응하는 유알엘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웹페이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수집된 웹페이지의 태그를 검색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비교하고,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태그와 일치하는 웹페이지의 태그가 지시하는 텍스트 내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및
    (e)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추출된 텍스트 내용을 사용자의 컴퓨터 화면상의 특정 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방법.
KR10-2001-0059334A 2000-10-04 2001-09-25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487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284 2000-10-04
KR20000058284 2000-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76A true KR20020027176A (ko) 2002-04-13
KR100487858B1 KR100487858B1 (ko) 2005-05-27

Family

ID=196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3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7858B1 (ko) 2000-10-04 2001-09-25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8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14B1 (ko) * 2007-11-29 2009-09-14 엔에이치엔(주)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6922B1 (ko) * 2007-10-25 2010-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블록 북마크를 이용한 동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534B1 (ko) * 2005-11-15 2012-06-11 엔에이치엔(주) 웹 데이터 및 로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자동 태깅 방법및 데이터 자동 태깅 시스템
KR101373206B1 (ko) * 2007-02-12 2014-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과 영상인식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문서작성방법
KR101137564B1 (ko) 2009-07-09 2012-04-1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842A (en) * 1997-01-14 1999-11-02 Netmind Technologies, Inc. Distributed-client change-detection tool with change-detection augmented by multiple clients
JPH10333966A (ja) * 1997-05-29 1998-12-18 Chubu Nippon Denki Software Kk ハイパーリンク自動更新方法
KR20010064736A (ko) * 1999-12-18 2001-07-11 이계철 인터넷 웹페이지 갱신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49986A (ko) * 2000-05-10 2000-08-05 안우길 이메일을 이용한 메세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KR20000054312A (ko) * 2000-06-01 2000-09-05 최우석 맞춤 웹정보 구축 제공 방법
KR100434902B1 (ko) * 2000-08-28 2004-06-07 주식회사 에이전트엑스퍼트 지식 기반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22B1 (ko) * 2007-10-25 2010-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블록 북마크를 이용한 동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16814B1 (ko) * 2007-11-29 2009-09-14 엔에이치엔(주)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텍스트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858B1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322B1 (ko) 유저에 대한 액세스 가능성에 기초하여 컨텐츠를필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869468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use of web content on various types of devices
US8117532B2 (en) Reformatting regions with cluttered hyperlinks
US20090006338A1 (en) User created mobile content
JP4877831B2 (ja) 確認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30236879A1 (en) Server, server program storage medium, and site serving method
JP2000090001A (ja) 変換設定を使用した電子デ―タの変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0087205A (ko) 검색 엔진에서 등록된 웹사이트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그 시스템
JP3794686B2 (ja) リンク先画面表示システム、リンク先画面表示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487858B1 (ko) 지능형 맞춤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EP0953921A2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a control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JP2001265774A (ja) 情報検索方法、装置、およ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ハイパーテキスト情報検索システム
KR20010067973A (ko) 지정된 이미지를 이용한 검색 결과 표시 방법 및 시스템
US6651097B1 (en) Learning support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learning support program
JPH10134087A (ja) 文書要求装置および関連文書の先取り方法
CN104615746B (zh) 新闻数据生成、显示方法和装置
US200200917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geographically classified establishment information
JP5084859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抽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73091B1 (ko) 퍼스널 배너 작성 프로그램
US20040204134A1 (en) Web search results for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0099534A (ja) 情報登録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サーバ、情報蓄積検索サーバ、情報登録端末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5108707B2 (ja) 検索サーバ装置、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49417A (ko) 이미지형태의 웹문서 생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해생성된 웹문서 열람 시스템
JP2002140257A (ja) コンテンツ判定方法
JP2003122795A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05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051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