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023A -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0023A KR20020000023A KR1020000033879A KR20000033879A KR20020000023A KR 20020000023 A KR20020000023 A KR 20020000023A KR 1020000033879 A KR1020000033879 A KR 1020000033879A KR 20000033879 A KR20000033879 A KR 20000033879A KR 20020000023 A KR20020000023 A KR 200200000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classification
- internet
- database
-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4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06010010071 C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전시되는 상품분류와는 별도의 상품표준분류를 통해 쇼핑몰의 상품을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duct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product in a shopping mall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roduct through a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separate from the product classification displayed in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It is about.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전시되는 상품분류와는 별도의 분류체계를 통해 상품의 자유로운 전시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류별 정산, 결산까지도 수행하기 위한 상품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product management for performing not only the free display of goods, but also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by category at the same time through a separate classification system displayed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전시되는 상품분류와는 별도의 상품표준분류를 통해 쇼핑몰의 상품을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상품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duct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and operating a product in a shopping mall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product through a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separate from the product classification displayed in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It is about.
최근,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은 컴퓨터와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라는 의미에서보다는 기업과 개인, 개인과 개인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해주는 뉴 미디어(Media)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increase of Internet users, the Internet is playing a role as a new media that enables real-time communication between companies and individuals, individuals and individuals rather than in the sense of a network connected with computers.
인터넷은 더 싸고 빠르게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전자시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해주는 매체이자 분배채널이다. 인터넷에는 백화점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쇼핑몰이 형성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은 흔히들 상거래의 핵이라고 불리운다. 그 이유는 인터넷 상거래의 핵심이 현실적으로 구현되고 있는 곳이 바로 인터넷 쇼핑몰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거래의 장점들은 무엇보다도 고객들이 판매인들이나 시간적 제약 없이 물품과 서비스를 구매, 판매할 수 있다는데 있다. 공간적 제약 역시 무의미하며, 중간 유통 과정이 거의 완벽하게 사라지고, 판매 장소 같은 물리적 공간의 임대 및 구입을 위한 비용 역시 절감됨에 따라 최종 소비자들은 현실 세계보다 싼 가격으로 물건을 구입할 수 있게 된다. 기업으로서도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다른 어떠한 인터넷 상거래 형태보다도 훨씬 높은 직접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비즈니스의 장을 열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The Internet is a medium and distribution channel that allows the electronic market to reach the world cheaper and faster. Various shopping malls are formed on the Internet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department stores. Internet shopping malls are often called the nucleus of commerce. The reason is that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where the core of internet commerce is practically implemented. The advantages of Internet commerce are, among other things, that customers can buy and sell goods and services without sellers or time constraints. Space constraints are also insignificant, and the intermediate distribution process is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and the cost of renting and purchasing physical spaces, such as sales locations, is also reduced, allowing end-users to buy things at a lower price than the real world. As a company, you will also have the opportunity to open up a new business because you can generate much higher direct profits than any other form of Internet commerce.
전자상거래(EC : Electronic Commerce)는 인터넷(Internet)이나 PC 통신을이용해 상품 등을 사고 파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나 발주 광고 활동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와 같은 거래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기 때문에 직접 매장까지 나가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거래대금은 주로 신용카드로 결제된다. 또한, 유통 비용이나 건물 임차료 등의 비용이 전혀 없으며 전 세계 모든 인터넷 가입자가 잠재고객이란 점에서 첨단황금 어장에 비유되기도 하고 광속 거래(CALS : Commerce at the light speed)에 포함시키기도 한다.Electronic commerce (EC) refers to the act of buying and selling goods using the Internet or PC communication, and broadly encompasses the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or advertisement of orders placed through a 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 The biggest advantage of such a transaction is that there is no time and space constraints, which saves you the hassle of going directly to the store, and the transaction price is mainly settled by credit card. In addition, there is no cost of distribution or building rent, and it is likened to a state-of-the-art golden fishery in that all Internet subscribers in the world are potential customers, and it is included in commerce at the light speed (CALS).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이러한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은 그 중에서도 핵심을 차지하고 있다. 다양한 상품을 파는 백화점용 쇼핑몰에서부터 전문적인 상품만을 판매하는 전문 쇼핑몰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쇼핑몰이 등장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such electronic commerce through the Internet is becoming active. Internet shopping malls that can purchase goods through the Internet are the most important of them. Various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are appearing, ranging from shopping malls for department stores selling various products to specialized shopping malls selling only specialized products.
그러나, 인터넷 쇼핑몰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극복하여야 할 장애물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혹은 물품)분류이다. 따라서, 많은 인터넷 쇼핑몰들은 각자 상품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However, there are many obstacles to overcome in order for the internet shopping mall to develop. One of them is the classification of goods (or goods) in Internet shopping malls. Therefore, many internet shopping malls provide a database of product information to Internet users.
도 1 은 종래의 상품분류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roduct classification process.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상거래에서 상품(혹은 물품)분류는 자유로운 전시의 수단이기도 하고 동시에 엄밀하고 정확한 물류관리와 정산, 결산의 단위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용도는 상호 모순되어 항상 고스란히 운영의 어려움으로 부담되어 돌아온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lassification of goods (or goods)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commerce is a means of free exhibition and at the same time a unit of strict and accurate logistics management, settlement and settlement. However, these two uses contradict each other and always come back as burdensome operation difficulties.
이처럼 인터넷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물품)분류는 두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중 하나는 화면에 전시되는 상품을 묶어서 고객의 쇼핑을 돕는 것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가전제품", "농수산물" 등의 단순한 분류를 떠나 고객의 구매를 극대화하기 위해 "올 겨울에 인기있는 상품", "추석 선물용 상품" 등으로 다양한 상품분류들이 사용되고 있다.As such, the classification of goods (items) in the Internet e-commerce is used for two purposes, one of which is to bundle the goods displayed on the screen to help customers shopping. Recently, various kinds of products have been used as "popular products this winter" and "Chuseok gift" to maximize customers' purchases, apart from the simple "home appliances" and "agriculture".
다른 하나는 정산, 결산을 포함한 물류관리의 단위이기도 하다. 분류별로 리포트를 볼 수도 있고, 상품분류안에 묶인 상품의 특성상 다르게 취급되어야 할 필요도 있다. 그리고, 때로는 내부에 이미 있는 물류관리 시스템과 연동될 수도 있다.The other is the unit of logistics management, including settlement and settlement. The reports may be viewed by category, or may need to be handled differently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bundled in the classification. And sometimes it can be linked to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lready inside.
하지만, 예를 들어 "가전제품"과 "혼수용 상품"이라는 두 개의 상품분류에 17" 텔레비젼(TV)이라는 상품을 등록해 놓았다고 가정하자. 이는 마케팅 전략을 위한 선택이었지만, 만약 분류별로 정산, 결산을 하고 싶다면, TV는 두 분류 모두에 포함된다. 따라서 사실상 한 상품을 두 개의 분류에 등록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아니면 분류별 정산, 결산을 하지 않는 것이다.However, for example, suppose that a product of 17 "television (TV) is registered in two product categories," home appliances "and" coma products. " This was a choice for marketing strategy, but if you want to settle and sort by category, TV is included in both categories. Therefore, in fact, one does not give up registering a product in two categories or do not settle or settle each category.
여기에, 만약 상품 전시는 전시분류를 통해 자유롭게 전시하고, 엄밀하게 마련한 표준상품분류는 물류관리를 처리한다면 쉽게 모순은 해결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각각 국가별 또는 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 표준상품분류를 제시하고 각각의 기업들도 자신들만의 상품분류관리 표준을 가지고 있는 실정에 상품표준분류는 이와 같은 기준을 이용하면서도 자유로운 전시까지 쉽게 만족할 수 있다.Here, if the product display is freely displayed through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the strictly prepared standard product classification can easily solve the contradiction. In addition, in recent years, each country or world has suggested a standard classification of e-commerce, and each company has its own product classification management standard. have.
이처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상품분류시에 하나의 상품분류를 이용해 전시와 백오피스(Back office)의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품을 두 개 이상의 분류에 등록하고 분류별로 정산, 결산을 하므로, 둘 중에 하나는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만약 여기에 특정 기업이나 표준으로 나와 있는 분류 체계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자체 시스템과 연동하려 한다면 당연히 자유로운 전시는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as shown in FIG. 1, in the related art, all data of the exhibition and the back office are managed by using one product classification at the time of product classification, and one product is registered in two or more categories as described above. And settled and settled by classification, one of the two was forced to give up. In addition, if the classification system described as a specific company or standard is used as it is or if it is to be linked with its own system, there is a problem that free exhibition becomes difficult.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전시되는 상품분류와는 별도의 분류체계를 통해 상품의 자유로운 전시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류별 정산, 결산까지도 수행하기 위한 상품 관리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product management for performing not only the free display of goods, but also the settlement and settlement by category at the same time through a separate classification system displayed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상품분류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merchandise classification process.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예시도.3 is an exemplary database configur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 방법 중 운영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Figure 4a is a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he operator to build a database of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by product classification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 방법 중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Figure 4b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 user to use a database of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oduct classification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웹서버10: user terminal 20: web server
30 : 데이터베이스(DB)30: Databa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쇼핑몰 구축시에,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등재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제 1 단계; 및 분석된 각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시분류항목 및 상품표준분류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duct management method based on product classification in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about all products list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hen constructing an internet shopping mall; step; And a second step of building information on each analyzed product into a database including an exhibition classification item and a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item.
또한, 본 발명은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를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인터넷 쇼핑몰 구축시에, 상기 인터넷 쇼핑몰에 등재되는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제 1 기능; 및 분석된 각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시분류항목 및 상품표준분류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 2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function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on all products listed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whe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having a large capacity processor for product management by product classification ;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a second function of constructing a database comprising information on each analyzed product into a database including exhibition classification items and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items.
본 발명은 인터넷 공간이 아닌 실제의 상점에서처럼 자유롭게 진열을 하고, 나중에 물류관리는 별도의 관리분류로 관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displayed as in the actual shop, not the Internet space, and later the logistics management can be managed by a separate management classific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사용자 정합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10)와, 인터넷 쇼핑몰에 접속하려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정보통신망(바람직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는 웹서버(20)와, 상기 웹서버(20)에 연동되어 사용자 기본 정보, 쇼핑몰 관련 상품정보, 경품정보, 광고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the user terminal 10 for user registration, and the user to access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 via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Internet) A web server 20 and a database 30 linked with the web server 20 store user basic information, shopping mall-related product information, giveaway information,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개인용컴퓨터(PC),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10 is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notebook computers, etc. This can b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드웨어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도 3 에 관련된 설명 부분 참조)와 그를 이용한 상품 관리 방법(도 4a 및 도 4b 에 관련된 설명 부분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owever, since the hardware environ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only a technique already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the description of FIG. 3) and the merchandis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see the description of FIG. 4A and FIG. 4B) will be described.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view of a database configura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는 상품 A 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조(301)를 예로서 들고 있다. 즉, 전시분류는 "혼수상품", "가전제품"에 속하며, 상품표준분류는 "대우TV"에 속하는 상품 A(구체적인 상품명이 된다. 즉, "대우 TV 중 모델명 000인 25인치 디지털 TV" 와 같이 사용자가 실제로 구입하게 되는 구체적인 상품의 모델이 된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조(301)를 나타내고 있다. 이외에도 상품 A 에 대한 상품 정보, 즉 가격, 판매량, 재고량 등에 대하여도 데이터베이스(301)로 구축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01)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In the figure, the database structure 301 for the article A is taken as an example. In other words, the exhibition category belongs to "coma" and "home appliances", and the standard product category is "A specific product name" belonging to "Daewoo TV." That is, "25-inch digital TV with model name 000 among Daewoo TV" and Likewise, the database structure 301 for the user is actually a model of a specific product to be purchased. In addition, the database 301 also establishes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oduct A, that is, the price, sales amount, and inventory amount. The database 301 is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30.
이때, 본 발명에서 핵심이 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301)는 상기와 같이 하나의 상품 A 에 대하여 전시분류와 상품표준분류로 구축되어 진다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atabase structure 301, which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an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a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for one product A as described above.
먼저, 전시분류(302)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시분류를 사용자 편의 측면에서 보면 도면에서 상품 A 는 "혼수상품" 및 "가전제품"의 전시분류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웹서버(20)에 접속하여 "혼수상품"을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또는 "가전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모두 상품 A 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쉽게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전시분류(302)는 사용자가 웹서버(2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통해 보게 되는 상품의 분류체계를 말하는것이다. 운영자 측면에서 보면 운영자는 하나의 상품에 대해 "혼수상품","가전제품" 등과 같은 다수의 자유로운 화면전시 구성에 포함시킬 수 있어 마치 실제 공간의 진열대와 같은 전시공간을 만들 수 있게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상품은 다수의 전시분류로 나누어 질 수 있다.First,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302 will be described. In other words, in view of the user's convenience, the product A is classified into an exhibition category of "coma" and "home appliances" in the drawing, so the user connects to the web server 20 and selects the product "coma". If you choose "home appliances" or both, you can get information about product A, so you can easily select the desired product. That is,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302 refers to a classification system of goods that the user sees through the screen provided by the web server 20. From the operator's point of view, the operator can include a single commodity in a number of free screen display configurations such as "coma", "home appliances", etc., thus creating an exhibition space that is like a shelf in a real space. That is, as described above, one produc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xhibition categories.
다음으로, 상품표준분류(303)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의 상품 즉 도면에서 상품 A 는 "대우TV"에 속하는 것과 같이 하나의 상품은 단 한 개의 상품표준분류에만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상품표준분류(303)는 운영자가 정산, 배송, 재고정리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이용될 수 있다.Next,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303 will be described. As one product, ie product A belongs to "Daewoo TV", one product is included in only on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303 may be used when the operator performs operations such as settlement, delivery, and inventory.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시분류(302) 및 상품표준분류(303)는 데이터베이스(30)에 별도의 구조로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즉,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는 구조는 전시분류와 상품표준분류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301)일 뿐이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조(301)를 사용자 측면에서 이용하는 부분은 전시분류(302)가 되며 운영자 측면에서 이용하는 부분은 상품표준분류(303)가 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302 and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303 are not stored in a separate structure in the database 30. That is, the structure stored in the database 30 is only a database structure 301 including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and the part using the database structure 301 from the user side becomes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302 and from the operator side. The part to be used is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303.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 방법 중 운영자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Figure 4a is a flow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he operator to build a database of the product management method by product classification in the Internet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를 위해, 먼저 웹 서버(20)가 운영자로부터 상품 데이터를 입력받아(S401), 상품정보를 분석한다(S402).As shown in the figure, for commodity management by commodit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server 20 first receives commodity data from the operator (S401), and analyzes the commodity information (S402).
이때, 분석된 상품정보 각각에 대해 상기 도 3 과 같이 상품 데이터베이스(301)를 구축하여 저장한다. 즉, 데이터베이스에는 상품에 대한 전시분류와 상품표준분류를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입력된다(S403).In this case, a product database 301 is construct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3 for each analyzed product information. That is, product information including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for the product is input to the database (S403).
전시분류와 상품표준분류외에 상품에 대하여 필요한 정보 즉, 가격, 판매량, 재고량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게 된다(S404).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에 수정될 수 있다. 즉,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에는 판매량과 재고량이 변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to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the standard product classif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duct, that is, price, sales amount, inventory amount, etc. is recorded in the database (S404). This information may be modified when the product is sold by the user. In other words, if a product is sold, the amount sold and the inventory change.
운영자는 각 상품에 대하여 정산, 결산, 배송, 재고정리를 원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301)로부터 상품표준분류(303)를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405). 즉, 도 3 에 있어서 운영자가 대우 TV 에 속하는 상품들에 대한 재고정리를 원하는 경우 상품 A 의 상품표준분류가 대우 TV 에 속해 있으므로 상품 A 에 대한 정보역시 추출되어 운영자가 재고정리를 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or wants to settle, settle, deliver, and clean up the goods for each product, the operator may extract information on a desired product by using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303 from the database 301 (S405). . That is, when the operator wants to clean up the goods belonging to Daewoo TV in FIG. 3, since the product standard classification of the goods A belongs to Daewoo TV, the information on the goods A is also extracted so that the operator can clean up the inventory. .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의 상품분류에 의한 상품 관리 방법 중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4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a user to use a database in a product management method based on product classification in an Internet e-commer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쇼핑몰을 방문하여(S411) 전시페이지를 호출한 후(S412) 해당 전시분류를 호출하면(S413) 웹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상품정보(301) 중 상기 전시분류를 갖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S414).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visits the shopping mall (S411), calls the exhibition page (S412), and then calls the corresponding exhibition classification (S413), the web server 20 stores each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 The product information having the exhibition classification in 301 is extra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S414).
전시된 상품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상품을 구입하게 되면 웹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정보 중 판매량과 재고량 등을 수정하여(S415) 운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purchases the product by viewing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the web server 20 modifies the sales amount and the inventory amount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30 (S415) so that the operator can use i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모든 상품의 식별, 분류와 같은 관리정보를 코드화하여 전산관리 함으로써, 전시분류를 통해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자유롭게 전시하고 아울러 정산, 결산, 배송관리, 재고관리 등과 같은 물류 관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국제표준 상품분류나 기타 다른 상품분류를 쉽게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ding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all the goods, computerized display, freely display to increase sales through exhibition classification, and also settled, settlement, settlement, delivery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etc.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efficiently handle logistics management task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new international standard product classification or other product classification can be easily applied.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33879A KR20020000023A (en) | 2000-06-20 | 2000-06-20 |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00033879A KR20020000023A (en) | 2000-06-20 | 2000-06-20 |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20000023A true KR20020000023A (en) | 2002-01-04 |
Family
ID=1967273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00033879A Ceased KR20020000023A (en) | 2000-06-20 | 2000-06-20 |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20020000023A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0003959A (en) * | 2000-06-28 | 2002-01-16 | 전병국 | Apparatus for driving data base for matching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name |
| KR100394492B1 (en) * | 1999-12-08 | 2003-08-09 | 주식회사 파트랜드 | Standardized article contents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
| KR101627565B1 (en) * | 2015-12-08 | 2016-06-14 | 유영호 | Air comprressor |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1998019259A1 (en) * | 1996-10-25 | 1998-05-07 | Ipf, Inc.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
| WO1998026362A1 (en) * | 1996-12-11 | 1998-06-18 | Kah Yuen John Francis Chong | An electronic directory |
| JPH10240823A (en) * | 1997-02-28 | 1998-09-11 | Hitachi Ltd | Electronic shopping system and electronic catalog data definition method |
| US5890175A (en) * | 1996-09-25 | 1999-03-30 | Wong; Garland | Dynamic generation and display of catalogs |
| KR20000024412A (en) * | 2000-02-12 | 2000-05-06 | 이동파 | Method for building database of goods information standard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tandardized goods information |
| KR20010108810A (en) * | 2000-05-31 | 2001-12-08 | 채정한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
| KR20010114004A (en) * | 2000-06-20 | 2001-12-29 | 황원선 |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in an online shopping mall |
-
2000
- 2000-06-20 KR KR1020000033879A patent/KR20020000023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890175A (en) * | 1996-09-25 | 1999-03-30 | Wong; Garland | Dynamic generation and display of catalogs |
| WO1998019259A1 (en) * | 1996-10-25 | 1998-05-07 | Ipf, Inc.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
| WO1998026362A1 (en) * | 1996-12-11 | 1998-06-18 | Kah Yuen John Francis Chong | An electronic directory |
| JPH10240823A (en) * | 1997-02-28 | 1998-09-11 | Hitachi Ltd | Electronic shopping system and electronic catalog data definition method |
| KR20000024412A (en) * | 2000-02-12 | 2000-05-06 | 이동파 | Method for building database of goods information standard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tandardized goods information |
| KR20010108810A (en) * | 2000-05-31 | 2001-12-08 | 채정한 | Electronic commerce system and method |
| KR20010114004A (en) * | 2000-06-20 | 2001-12-29 | 황원선 | Product 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in an online shopping mall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394492B1 (en) * | 1999-12-08 | 2003-08-09 | 주식회사 파트랜드 | Standardized article contents 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
| KR20020003959A (en) * | 2000-06-28 | 2002-01-16 | 전병국 | Apparatus for driving data base for matching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name |
| KR101627565B1 (en) * | 2015-12-08 | 2016-06-14 | 유영호 | Air comprresso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Yannopoulos | Impact of the Internet on marketing strategy formulation | |
| KR10032938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ustomized shopping malls | |
| US20020128910A1 (en) | Business supporting system and business supporting method | |
| JPH10207945A (en) | Distributed contents electronic business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 |
| CN101238484A (en) |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gains to promote sales through evaluation contents of goods on web site | |
| CN108600323A (en) | A kind of multicenter data-sharing systems and its application method | |
| Ozok et al. | Impact of consistency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on e-commerce shopper preferences | |
| Öztürk et al. | M-Commerce usability: an explorative study on turkish private shopping apps and mobile sites | |
| KR20020000023A (en) | Method For Management Of A Commodity With Classification Of A Commodity I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System | |
| KR20190107835A (en) | Multi-Channel Shopping Mall System | |
| KR20010094588A (en) | Operating method for the free-one online shopping mall using computer system | |
| JP2001229231A (en) | System and method for mediating information circulation, mediating information circulation between circulation mechanism side and general consumer | |
| KR100357890B1 (en) | Comparison advertisement and merchant method and thereof system | |
| TWM613196U (en) | A social robot management system for selling merchandise in social network | |
| KR100306659B1 (en) | Stored goods sale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 |
| KR20070105217A (en) | Seller-centered Internet shopping mall provision method and system through forming shopping network | |
| KR20010048944A (en) | Method for managing merchant's own category on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hosting service system | |
| CN110852835A (en) | Electronic commerce operation management platform | |
| KR20010107361A (en) | Internet store multi-special method and internet store multi-special system | |
| KR100337659B1 (en) | Electronic commerce method using hierarchical internet site | |
| KR100371846B1 (en) | network based-partition advertisement business system and method on network | |
| KR100345756B1 (en) | Comparison au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comparison advertisement | |
| Bouri | Web-marketing and electronic marketing: new challenges for the Company/customer relationship | |
| KR20240131680A (en) | Method for Managing Wish Keyword by Using Exchange | |
| KR2002000305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commer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2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