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43474A -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474A
KR20010043474A KR1020007012536A KR20007012536A KR20010043474A KR 20010043474 A KR20010043474 A KR 20010043474A KR 1020007012536 A KR1020007012536 A KR 1020007012536A KR 20007012536 A KR20007012536 A KR 20007012536A KR 20010043474 A KR20010043474 A KR 2001004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mixture
lens
light
mold
initi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유-친
Original Assignee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1522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434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티븐 에이. 헬렁, 바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티븐 에이. 헬렁
Publication of KR2001004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47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37Utility as body contact e.g. implant, contact lens or I.U.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yeglass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형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는 단계, 및 주형에 들어 있는 단량체 혼합물을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UV 흡수 화합물 및/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유용하다. 단량체 혼합물은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콘택트 렌즈 또는 안내(眼內) 렌즈와 같은 렌즈류는 스펙트럼의 자외선 범위의 광, 구체적으로 약 200 내지 400 nm 범위의 광, 특히 약 290 내지 400 nm범위의 광을 흡수하도록 렌즈에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렌즈용 UV 흡수 물질의 대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4,304,895호(Loshaek), 제4,528,311호(Beard 등) 및 제4,719,248호(Bambury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렌즈류는 또한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색제는 색상이 비교적 짙어서 렌즈가 조리개 위에 장착될 때 조리개의 색깔을 변화시키거나 적어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착색제는 색상이 비교적 연하여 조리개의 색깔을 변화시키거나 개선시키지는 않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렌즈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며, 콘택트 렌즈용 "가시 착색제"의 대표적인 예가 미국 특허 제4,997,897호(Melpolder)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렌즈류는 바람직한 렌즈 형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보통 열원(열중합) 또는 광원(광중합)의 존재하에 자유 라디칼 중합시켜서 형성한다.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한 방법에서는 가열 수욕 중에서 튜브에 들어 있는 개시 단량체 혼합물을 열중합시켜서 봉(rod) 모양의 물품을 형성하고, 이어서 그 봉을 버튼으로 절단한 다음, 그 버튼을 콘택트 렌즈로 가공한다.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그러한 렌즈의 형성 방법은 전술한 미국 특허 제4,304,895호(Loshaek) 및 제4,528,311호(Beard 등)에 설명되어 있다. 기타 방법에는 렌즈를 주형에서 직접 주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고 자외선에 노출시켜 중합시킨다.
광중합 방법 중에는, 단량체 혼합물을 UV 경화(즉, 단량체 혼합물을 주로 자외선 범위의 광선에 노출)시키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렌즈의 경우, 그 UV 흡수제가 UV 광을 흡수하여 중합을 수행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UV 광의 양을 감소시키고 단량체 혼합물의 비효과적이거나 균일하지 않은 경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시키고자 할 때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또한, UV 경화에 비해 통상의 렌즈 형성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을 수행하는 데 덜 효과적인 것이 보통이지만,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을 사용하여 광중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미국 특허 제4,719,248호(Bambury)dp는 단량체 혼합물을 가시광에 노출시켜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콘택트 렌즈 조성물을 성공적으로 중합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뱀버리의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은, UV 흡수제 이외에 착색제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단량체 혼합물은 효과적으로 중합시킬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포함하는 렌즈를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효과적으로 광중합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방법을 제공하며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단량체 혼합물을 광중합시켜 렌즈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UV-흡수 화합물과 착색제(tint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비롯한 광원에 노출된다.
본 발명은 단량체 혼합물을 광중합시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렌즈 형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는 단계와, 주형 내의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UV 흡수 화합물과 착색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유용하다. 단량체 혼합물은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단량체 혼합물은 통상의 렌즈 형성 단량체와, UV 흡수제와, 그리고 착색제를 포함한다.
렌즈 형성 단량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불포화 라디칼을 포함하며 에틸렌계 불포화 라디칼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단량체"라는 용어는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중합 가능한 비교적 저분자량의 화합물은 물론 "예비 중합체", "거대단량체" 및 관련 용어들로 지칭되는 고분자량 화합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렌즈 형성 단량체 군은 히드로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들이다. 히드로겔은 평형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고 유지할 수 있는 가교 결합된 중합체 시스템이다. 따라서, 히드로겔의 경우, 단량체 혼합물은 보통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친수성 단량체에는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과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산 치환 알콜, N-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비닐 락탐, 메타크릴아미드 및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크릴아미드가 포함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렌즈 형성 단량체 군은 실리콘 히드로겔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들이다. 그러한 시스템은 친수성 단량체 이외에, 실리콘 함유 단량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일군의 실리콘 함유 단량체에는 하기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공지의 벌키 구조의 일작용성 폴리실록사닐알킬 단량체가 포함된다:
상기 식 중, X는 -COO-, -CONR4-, -OCOO-또는 -OCONR4-을 나타내며, 여기서 R4는 H 또는 저급 알킬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이며, h는 1 내지 10이고, R2는 각각 저급 알킬 또는 할로겐화된 알킬 라디칼, 페닐 라디칼 또는 화학식 -Si(R5)3(식 중, R5는 각각 저급 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 라디칼임)이다. 그러한 벌키 구조의 단량에는 특히 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펜타메틸디실록산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 메타크릴옥시 프로필실란, 메틸디(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옥시메틸 실란,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비닐 카르바메이트, 및 3-[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비닐 카보네이트가 포함된다.
또 다른 적합한 군은 다작용성 에틸렌계 "말단 캡핑된" 실록산 함유 단량체, 특히 하기 화학식 (II)으로 표시되는 이작용성 단량체이다:
상기 식 중, 각 A'는 독립적으로 활성화된 불포화기이고,
각 R'는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0인 알킬렌기인데, 여기서 탄소 원자는 그들 사이에 에테르, 우레탄 또는 우레이도 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R8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8인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할로겐 치환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 탄소 원자는 그들 사이에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고,
a는 1 또는 그 이상의 정수이다. 각 R8은 독립적으로 알킬기, 페닐기 및 플루오로 치환 알킬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 이상의 R8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플루오로 치환 알킬기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식 중, D'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0인 알킬렌기인데, 여기서 탄소 원자는 그들 사이에 에테르 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M'는 수소, 플루오르 또는 알킬기인데, 수소가 바람직하고,
s는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A와 관련하여, 용어 "활성화된"이란 자유 라디칼 중합을 촉진하는 1개 이상의 치환체,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불포화 라디칼을 포함하는 불포화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그러한 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A'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상기 식 중, X는 수소 또는 메틸이 바람직하고, Y는 -O- 또는 -NH-이다. 활성화된 불포화기로 적합한 다른 예에는 비닐 카보네이트, 비닐 카바메이트, 푸마레이트, 푸마르아미드, 말레에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에테르 및 스티릴이 포함된다. 화학식 (II)의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에는 하기 화학식 (IIa), (IIb) 및 (IIc)가 있다:
상기 식 중, d, f, g, h 및 k는 0 내지 250 범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이고,
M'는 수소 또는 플루오로이다.
실리콘 함유 단량체의 또 다른 적합한 군은 하기 일반식 (IIIa) 및 (IIIb)의 단량체가 포함된다:
E'(*D*A*D*G)a*D*A*D*E'
E'(*D*G*D*A)a*D*G*D*E'
상기 식 중, D는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30인 알킬 라디칼, 알킬 시클로알킬 디라디칼, 시클로알킬 디라디칼, 아릴 라디칼 또는 알킬 디라디칼이고,
G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0인 알킬 디라디칼, 시클로알킬 디라디칼, 알킬 시클로알킬 디라디칼, 아릴 디라디칼 또는 알킬아릴 디라디칼인데, 이들은 주쇄에 에테르, 티오 또는 아민 결합을 함유할 수 있으며,
*는 우레탄 또는 우레이도 결합이고,
a는 1 이상이며,
A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이가 중합체 라디칼이고,
[식 중, 각 Rs은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들 사이에 에테르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0인 알킬 또는 플루오로 치환 알킬기이고, m'는 1 이상이며, p는 부분의 중량을 400 내지 10,000이 되게 하는 수임]
각 E'는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 유기 라디칼이다:
[식 중, R23은 수소 또는 메틸이고, R24는 수소,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6인 알킬 라디칼 또는 -CO-Y-R26라디칼(여기서, Y는 -O-, -S- 또는 -NH-임)이며, R25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0인 2가 알킬렌 라디칼이고, R26은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12인 알킬 라디칼이며, X는 -CO- 또는 -OCO-이고, Z는 -O- 또는 -NH-이며, Ar은 탄소 원자수가 6 내지 30인 방향족 라디칼이고, w는 0 내지 6이며, x는 0 또는 1이고, y는 0 또는 1이며, z은 0 또는 1임.]
한가지 구체적인 우레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 중, m은 1 이상이고, 3 또는 4가 바람직하며, a는 1 이상이고, 1이 바람직하며, p는 부분의 중량을 400 내지 10,000이 되게 하는 수이고, 30 이상이 바람직하며, R27은 이소시아네이트기 제거 후의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디라디칼, 예를 들면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디라디칼이고, 각 E"는 하기 화학식의 기이다:
기타 실리콘 함유 단량체는 미국 특허 제5,034,461호, 제5,610,252호 및 제5,496,871호에 기술된 실리콘 함유 단량체가 포함되며, 상기 특허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 인용한다. 다른 실리콘 함유 단량체도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히드로겔의 경우에는, 실리콘 함유 단량체 또는 친수성 단량체가 가교제(가교제는 다중 중합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로서 정의됨)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아니면 별도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량체 혼합물은 UV 흡수제를 포함하는데, UV 흡수제는 최종 렌즈에 도입되었을 때 200 내지 400 nm 범위의 광의 70%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320 내지 400 nm 범위의 광의 70% 이상과 290 내지 320 nm 범위의 광의 90% 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약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통상의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적합하다. 그러한 시약의 일반적인 일군은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과 같은 비중합성 흡수제이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렌즈 형성 단량체와 반응성인 활성화된 불포화기를 포함하여 렌즈 형성 단량체와 공중합하는 중합성 UV 흡수제이다. 그러한 렌즈용 중합성 UV 흡수제의 대표적인 예는 미국 특허 제4,304,895호(Loshaek), 제4,528,311호(Beard 등), 제4,716,234호(Dunks 등), 제4,719,248호(Bambury 등), 제3,159,646호(Milionis 등) 및 제3,761,272호(Manneus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들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 인용한다. 구체적인 예에는 2-(2'-히드록시-5'-메타크릴아미도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아미도페닐)-5-메톡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프로필-3'-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프로필페닐)벤조트리아졸 및 미국 특허 제4,304,895호에 개시되어 있는 중합성 벤조페논류와 같은 벤조트리아졸 함유 단량체가 포함된다.
단량체 혼합물은 또한 착색제를 함유하는데, 이 착색제는 최종 렌즈에 도입되었을 때 렌즈에 다소의 색깔을 부여하는 시약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착색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렌즈 형성 단량체와 반응성인 활성화된 불포화기를 포함하는 비중합성 시약 또는 중합성 시약이 포함된다. 그러한 중합성 시약의 바람직한 한 예는 미국 특허 제4,997,897호에 개시되어 있는 청색계 착색제인 화합물 1,4-비스(4-(2-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아미노)안트라퀴논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을 광중합하여 UV 경화에 의해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렌즈의 경우에는 그 흡수제가 UV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비효과적이거나 불균일한 경화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 발명은 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함유하는 렌즈가 자유 라디칼 중합에 의해 효과적으로 광중합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개시제를 사용하면 광중합에 의해 단량체 혼합물의 경화를 만족스럽게 수행하여 렌즈를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개시제 단량체 혼합물은 포스핀 옥사이드 함유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개시제는 하기 화학식의 포스핀 옥사이드 함유 라디칼을 포함한다:
상기 식 중, n은 0 또는 1인데, 1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포스핀 옥사이드 함유 부분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상기 식 중, Ar 및 Ar'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라디칼이고, R은 알킬 또는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라디칼이며, n은 0 또는 1인데, 1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포스핀 옥사이드 함유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TMBPPO),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DMBAPO), 2,4,6-트리메틸벤질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및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 옥사이드(MAPO)가 포함된다. 그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판 개시제 시스템에는 TMBPPO를 주성분으로 하는 Irgacure-819(등록 상표)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약 25 중량%의 DMBAPO를 포함하는 Irgacure-1700(등록 상표)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약 25 중량%의 DMBAPO를 포함하는 Irgacure-1800(등록 상표)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MAPO(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및 2,4,6-트리메틸벤질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루시린 TPO(등록 상표) 개시제(BASF)가 있다.
일반적으로,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은 다음, 광을 조사하여 주형 내의 단량체 혼합물의 경화를 수행한다. 콘택트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은, 회전 주조법(spincasting) 또는 정지 주조법(static casting)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회전 주조법은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고, 단량체 혼합물을 광에 노출시키면서 통제된 방법으로 주형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정지 주조법은 단량체 혼합물을 2개의 주형 부분, 즉 렌즈 앞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하나의 주형 부분과 렌즈의 뒷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또 하나의 주형 부분과의 사이에 채워 넣고, 광에 노출시켜 단량체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방법들은 미국 특허 제3,408,429호, 제3,660,545호, 제4,113,224호, 제4,197,266호 및 제5,271,8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 특히 400 내지 500 nm의 광을 제공하는 한 어떤 광원을 사용해도 좋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스펙트럼의 자외선 범위의 광, 특히 300 내지 400 nm의 광을 여광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는데, 경우에 따라 그러한 범위의 광에 노출되면 바람직하지 않은 렌즈의 "뒤틀림(warping)" 또는 렌즈 단부의 "말림(curling)" 현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은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과도하게 제공할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양태에 의하면 단량체 혼합물을 주로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에 노출시킨다. 이것은 가시광에 상대적으로 특이적인 적당한 광원을 선택하거나, 넓은 스펙트럼의 광을 제공하는 광원을 사용하여 단량체 혼합물에 조사되는 UV 광선을 여광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실험 절차를 설명함에 있어서 하기 명명법을 사용한다.
F2D20-- t-부틸아민으로 말단 캡핑된 화학식 (IIc)의 폴리실록산디올계 푸마레이트 예비 중합체(미국 특허 제5,420,324호에 따라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 푸마릴 클로라이드 및 t-부틸아민으로부터 유도된 것)로서 하기 합성법 C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ID2S4H -- 2-메타크릴옥시에틸로 말단 캡핑된 폴리우레탄계 예비 중합체(미국 특허 제5,034,561호에 따라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것)로서 하기 합성법 A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ID3S4H -- 2-메타크릴옥시에틸로 말단 캡핑된 폴리우레탄계 예비 중합체(미국 특허 제5,034,561호에 따라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폴리디메틸실록산디올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것)로서 하기 합성법 B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TRIS --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DMA --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IMVT -- 1,4-비스(4-(2-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아미노)안트라퀴논(미국 특허 제4,997,897호의 실시예 1i), 청색계 착색제
UV 흡수제 -- 2-(2-히드록시-5-메타크릴아미도페닐)-5-메톡시벤조트리아졸 (미국 특허 제4,719,248호의 실시예 4)
TXN -- 티오크산테-9-논
MDEA -- N-메틸디에탄올아민
Darocur-1173(등록 상표) -- 2-히드록시-2-메틸-페닐프로판-1-온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아세토페논계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Irgacure-184(등록 상표) - (I-184) 1-히드록시시클로헥실 페닐케톤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아세토페논계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Irgacure-784(등록 상표) - (I-784) 시판 티타노센계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Irgacure-819(등록 상표) - (I-819)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Irgacure-1700(등록 상표) - (I-17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약 25 중량%)와 Darocur-1173(등록 상표) 아세토페논계 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Irgacure-1800(등록 상표) - (I-1800)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약 25 중량%)와 Irgacure-184(등록 상표) 아세토페논계 개시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개시제(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합성법 A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폴리우체탄 중합체의 제조 -- (ID2S4H)
건조된 1000 ㎖ 들이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질소 유입관에 접속시키고 환류 콘덴서를 연결시켰다. 그 다음, 플라스크에 이소포론(16.916 g, 0.0761 mole), 디에틸렌 글리콜(4.038 g, 0.0380 mole),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0.383 g)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 140 ㎖를 한꺼번에 첨가하고 내용물을 환류시켰다. 16 시간 후에,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을 측정하고 적정에 의해 47%로 감소시켰다. 이어서, α,ω-비스(4-히드록시부틸)폴리디메틸실록산(102.56 g, 0.02536 mole)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환류를 33 시간 동안 계속하고,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을 적정에 의해 초기의 14.1%로 감소시켰다. 이어서 내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2928 g) 및 1,1'-비-2-페놀(0.0129 g)을 첨가하고 2267 cm1-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 피크가 생성물의 IR 스펙트럼으로부터 소실될 때까지 내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서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합성법 B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제조 -- (ID3S4H)
성분들의 몰비를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초기 합성 단계에서의 성분들의 양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10.425 g, 0.04799 mole), 그리고 디에틸렌 글리콜(2.5469 g, 0.024 mole)로 하고, 그 다음 합성 단계에서는 α,ω-비스(4-히드록시부틸)폴리디메틸실록산(74.22 g, 0.01799 mole), 그리고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1.8376 g)로 하였다.
합성법 C
t-부틸아민으로 말단 캡핑된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푸마레이트 예비 중합체의 제조(F2D20)
500 ㎖ 들이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질소 주입관에 접속시키고, 환류 콘덴서를 수산화칼륨 관 및 수산화나트륨 용액 관에 직렬로 연결시켰다. 플라스크에 푸마릴 클로라이드(12.56 g, 0.082 mole), Mn 1595의 α,ω-비스(4-히드록시부틸)폴리디메틸실록산(59.81 g, 0.0375 mole) 및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 250 ㎖를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질소 퍼징(purging)을 수행하면서 내용물을 환류시켰다. 18 시간후, 고해상도 NMR에 의해 일정 분량을 분석하여 OH기가 소실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미반응 푸마릴 클로라이드와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이어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50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내지 5℃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 250 ㎖ 중의 t-부틸아민(11.67 g, 0.1595 mole)을 서서히 첨가하여 저온을 유지하였다. 하룻밤 동안 교반하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유지하였다. 암모늄 염을 여과하고, 혼합물을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으로 2회 세정한 다음 중화될 때까지 물로 세정하였다. 생성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미정제 생성물(64.5 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30 ml에 재용해시키고 실리카겔 컬럼을 통과시켰다. 처음 195 ㎖를 수집한 다음, 컬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65 ㎖로 용출시켰다. 최종적인 용출 혼합액 260 ㎖를 회전 증발시키고 80℃에서 진공 건조시켜서 생성물 62.3 g을 얻었다. 예비 중합체를 IR, NMR, 그리고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SEC)로 특성 분석하였다. IR(cm-1): 3325, 2962, 1727, 1644, 1541, 1456, 1412, 1365, 1297, 1257, 1222, 1159, 1010, 963 및 786; 200 Mhz H-NMR(ppm) 0.00, 0.56(t), 1.39(s), 1.40(m), 1.69(m), 4.17(t), 5.70(br), 6.77(m); SEC(폴리스티렌 표준 사용) 결과: Mn은 2593, Mw는 3887, 그리고 복잡 분산도(polydispersity)는 1.50.
단량체 혼합물의 제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제1군의 단량체 혼합물을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혼합물 1A -- F2D20(20 중량부(pbw)); TRIS(40 pbw), DMA(40 pbw); 헥산올 용매(20 pbw); 및 Darocur-1173 개시제(0.5 pbw)
혼합물 1B -- F2D20(20 중량부(pbw)); TRIS(40 pbw), DMA(40 pbw); 헥산올 용매(20 pbw); 및 UV 흡수제(0.5 pbw)
혼합물 1C -- F2D20(20 중량부(pbw)); TRIS(40 pbw), DMA(40 pbw); 헥산올 용매(20 pbw); UV 흡수제(0.5 pbw); IMVT (150 ppm)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제2군의 단량체 혼합물을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혼합물 2A -- ID2S4H(50 중량부(pbw)); TRIS(40 pbw), DMA(30 pbw); 헥산올 용매(20 pbw); 및 Darocur-1173 개시제(0.5 pbw)
혼합물 2B -- ID2S4H(50 중량부(pbw)); TRIS(40 pbw), DMA(30 pbw); 헥산올 용매(20 pbw); 및 UV 흡수제(0.5 pbw)
혼합물 2C -- ID2S4H(50 중량부(pbw)); TRIS(40 pbw), DMA(30 pbw); 헥산올 용매(20 pbw); UV 흡수제(0.5 pbw); IMVT (150 ppm)
히드로겔 필름의 일반적 제조법
단량체 혼합물을 실란 처리된 2개의 유리판 사이에 놓고 광원에 1 시간 동안 노출시켜 그 단량체 혼합물을 필름으로 경화시켰다. 경화된 필름을 플레이트에서 분리해내어 이소프로판올로 추출한 다음, 끓는 물에 넣어 가열하였다. 필름을 특성 분석하기 전에 붕산염 완충 염수로 평형화시켰다.
비교예
혼합물 1B 및 2B에 0.5%의 Darocur-1173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혼합물 1A 및 2A와 함께 전술한 절차에 따라 UV광(4000 μW)으로 경화시켰다. UV 흡수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혼합물 1A 및 2A는 완전히 경화되었다. 그러나, UV 흡수제는 함유하나 착색제는 함유하지 않는 혼합물 1B 및 2B의 경우에, 혼합물은 점성이 매우 높은 상태가 되었으나 경화되지는 않았다.
비교예
혼합물 1B, 1C, 2B 및 2C에 0.2 중량%의 TXN 및 0.4 중량%의 MDEA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질소 대기하에 가시광(약 16 mW)으로 경화시켰다. UV 흡수제는 함유하나 착색제는 함유하지 않는 혼합물 1B 및 2B는 경화되었으나, 필름의 말림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특허 제4,719,248호에 보고된 실험에서와 같은 것이다. 그러나 UV 흡수제 및 착색제를 모두 함유하는 혼합물 IC 및 2C의 경우에, 혼합물은 점성이 매우 높은 상태가 되었으나 경화되지는 않았다.
비교예
혼합물 1B, 1C, 2B 및 2C에 0.2 중량%의 캄퍼 퀴논 및 0.4 중량%의 MDEA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질소 대기하에 가시광(약 16 mW)으로 경화시켰다. UV 흡수제는 함유하나 착색제는 함유하지 않는 혼합물 1B 및 2B는 경화되었으나, 필름의 말림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UV 흡수제 및 착색제를 모두 함유하는 혼합물 IC 및 2C의 경우에, 혼합물은 유체 상태가 유지되었다.
비교예
혼합물 1C 및 2C(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함유)에 0.25, 0.5, 0.75 및 1.0 중량% 분량의 Irgacure-784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질소 대기하에 가시광에 노출시켰다. 혼합물은 유체 상태가 유지되었다.
실시예 1 및 2
혼합물 1C 및 2C(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함유)에 1.0, 2.0, 3.0 및 4.0 중량% 분량의 Irgacure-1700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또한 혼합물 1C 및 2C에 1.0, 2.0, 3.0 및 4.0 중량% 분량의 Irgacure-1800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두 개시제 시스템은 모두 약 25 중량%의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들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질소 대기하에 가시광에 노출시켰다. 수화 단계와 붕산염 완충 염수에 의한 평형화 단계를 거쳐 히드로겔 필름을 얻었다. 히드로겔 필름은 필름 모서리에 약간의 말림 현상이 나타났다.
실시예 3 및 4
혼합물 1C 및 2C(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함유)에 0.25, 0.5, 0.75 및 1.0 중량% 분량의 Irgacure-819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이 개시제 시스템은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전술한 절차에 따라 질소 대기하에 가시광에 노출시켰다. 단량체 혼합물은 완전히 경화되어 필름을 형성하였다. 필름은 초기에는 다소 황색의 외관을 보였으나, 수화 단계와 붕산염 완충 염수에 의한 평형화 단계를 거치자 히드로겔 필름은 녹색을 띠었다. 히드로겔 필름은 필름 모서리에 약간의 말림 현상이 나타났다.
실시예 5 및 6
혼합물 1C 및 2C(UV 흡수제와 착색제를 모두 함유)에 0.75 중량% 분량의 Irgacure-819 개시제를 첨가하였다. 이 개시제 시스템은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를 포함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광원과 경화시키고자하는 단량체 혼합물 사이에 UV 흡수제로 피복된 유리판을 배치하여 그 유리판이 400 nm이하의 모든 광을 실질적으로 여광할 수 있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 및 4에서와 같이 가시광하에 경화시켰다. 단량체 혼합물은 완전히 경화되어 필름을 형성하였다. 수화 단계와 붕산염 완충 염수에 의한 평형화 단계를 거치자, 히드로겔 필름은 말림 현상이 전혀 없었다.
실시예 7
실시예 5 및 6에서 제조한 일련의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콘택트 렌즈를 주조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렌즈 앞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제1 플라스틱 주형 부분의 주형 표면에 배치하고, 렌즈의 뒷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제2 플라스틱 주형 부분을 상기 제1 주형 부분 위에 배치하여 단량체 혼합물이 2개의 주형 표면 사이에 형성된 주형 공간에 채워지게 하였다. 이어서 이 조립체를 1 시간 동안 가시광원에 노출시켰다. 2개의 주형 부분을 분리시키고,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주형 부분에서 렌즈를 분리해 낸 다음, 끓는 물에 넣어 가열하였다. 렌즈를 특성 분석하기 전에 붕산염 완충 염수로 평형화시켜서, 광학 품질이 우수한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얻은, 두께가 180 ㎛인 히드로겔 필름(1.0 중량%의 Irgacure-1700 개시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1C와, 1.0 중량%의 Irgacure-1800 개시제를 함유하는 혼합물 1C를 원료로 하는 것)에 대해 UV-VIS 흡수 측정을 수행하였다. 두 필름 세트의 광투과율은 유사하였다.
파장(nm) 광투과율(%T)
400∼800 92
200∼400 2.7
320∼400(UVA) 6.5
320∼290(UVB) 0.4
290∼200(UVC) 0.2
실시예 9 내지 18
단량체 혼합물 1C에 다양한 개시제를 첨가하고, 히드로겔 필름을 전술한 일반적 방법에 따라 가시광원으로 경화시키고 처리하였다. 히드로겔 필름의 기계적 시험을 인스트론 장치를 이용하여 수정된 ASTM D-1708 시험 방법(인장 모듈러스) 및 ASTM D-1938 시험 방법(인열 강도)에 따라 완충 염수 중에서 수행하였다. 경화된 필름의 추출율(%)과 히드로겔 필름의 함수량을 중량 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개시제의 종류 및 양(중량%) 모듈러스(g/mm2) 인열 강도(g/mm) 추출율(%) 함수량(%)
9 I-1800(1%) 39 18 14.2 38.4
10 I-1800(2%) 48 12 11.2 40.4
11 I-1800(3%) 41 11 9.0 36.8
12 I-1800(4%) 47 10 14.2 37.8
13 I-1700(1%) 40 16 12.6 12.6
14 I-819(0.25%) 48 13 6.3 37.6
15 I-819(0.5%) 49 13 7.9 37.6
16 I-819(0.75%) -- 10 9.1 36.3
17 I-819(0.75%)* 36 13 -- --
18 I-819(1%) 48 10 8.2 35.2
* 실시예 5 및 6의 방법에서와 같이 UV 필터를 사용하여 광원하에 경화시킴
광 시차 주사 열량 측정 분석(광 DSC)
또한, 실시예 9 내지 18의 다양한 단량체 혼합물의 경화를 광 시차 주사 열량 측정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듀퐁(Dupont) 시차 주사 열량 측정계를 이용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샘플 팬에 배치하고 광원에 노출시켜 질소 대기하에서 중합시켰다. 발열 프로필을 관찰하여 피크 시간(최고 발열 시간) 및 최대 열 유량(피크 시간)을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비교 목적으로, 혼합물 1C에 0.5 중량%의 캄포 퀴논과 0.5 중량%의 MDEA를 첨가하였다(표에서는 CM-1로 표시). 광 DSC 평가 결과, 표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록할 수 있는 피크 시간은 구하지 못하였다.
실시예 개시제의 종류 및 양(중량%) 피크 시간(분) 열 유량(MW)
CM-1 CQ/MDEA(0.5%/0.5%) 없음 --
9 I-1800(1%) 20.6 9
10 I-1800(2%) 15.3 13
11 I-1800(3%) 12.2 14
12 I-1800(4%) 11.5 14
13 I-1700(1%) 21.5 9
14 I-819(0.25%) 17.7 10
15 I-819(0.5%) 12.8 13
16 I-819(0.75%) 11.6 14
17 I-819(0.75%)* 14.2 12
18 I-819(1%) 10.2 17
* UV 필터를 사용하여 광원하에 경화시킴
실시예 19 내지 27
실시예 9 내지 18에서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 2C에 다양한 개시제를 첨가하고, 히드로겔을 가시광원하에 경화시키고 처리하여 기계적 특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광 DSC 평가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개시제의 종류 및 양(중량%) 모듈러스(g/mm2) 인열 강도(g/mm) 추출율(%) 함수율(%)
19 I-1800(1%) 75 6 9.3 27.6
20 I-1800(2%) 76 6 10.2 29.3
21 I-1800(3%) 74 6 11.3 28.1
22 I-1800(4%) 72 6 14.5 29.6
23 I-819(0.25%) 79 7 0.9 28.2
24 I-819(0.5%) 76 7 3.0 28.3
25 I-819(0.75%) 71 7 4.4 28.4
26 I-819(0.75%)* 75 7 -- --
27 I-819(1%) 76 7 5.3 28.2
* UV 필터를 사용하여 광원하에 경화시킴
실시예 개시제의 종류 및 양(중량%) 피크 시간(분) 열 유량(MW)
19 I-1800(1%) 3.8 17
20 I-1800(2%) 2.6 23
21 I-1800(3%) 2.2 25
22 I-1800(4%) 2.4 29
23 I-819(0.25%) 3.3 25
24 I-819(0.5%) 3.0 28
25 I-819(0.75%) 2.0 37
26 I-819(0.75%)* 2.6 28
27 I-819(1%) 2.0 38
* UV 필터를 사용하여 광원하에 경화시킴
실시예 28 내지 31
추가의 단량체 혼합물의 제조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단량체 혼합물을 ID3S4H, TRIS 및 DMA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IMVT는 150 ppm, UV 흡수제는 0.5 pbw, 그리고 Irgacure-819 개시제는 0.5 pbw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이하에서는 단량체 혼합물 3A로 표시한다.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단량체 혼합물을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비닐피롤리돈, 가교 단량체 및 4-t-부틸-2-히드록시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제조하였다. 또한 IMVT는 150 ppm, UV 흡수제는 0.5 pbw, 그리고 Irgacure-819 개시제는 0.5 pbw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이하에서는 단량체 혼합물 4A로 표시한다.
혼합물을 3개의 다른 광원, 즉 (1) 주로 400 nm 이하의 광을 제공하는 UV 램프(4000 μW), (2) 가시광원, 그리고 (3) 실시예 5 및 6에서와 같은 배치를 이용하여 UV 필터를 사용하는 동일한 가시광원에 노출시켜서 필름을 경화시켰다. (1) UV 램프하에 혼합물 3A 및 4A를 경화시킨 결과, 필름의 말림 현상이 많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경화가 불균일하게 일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혼합물 3A 및 4A는 (2) 가시광원 및 (3) UV 필터를 사용하여 가시광원에 노출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경화되었으며, 실시예 9에서와 같이 측정한 이 필름들의 기계적 특성은 하기 표에 기록하였다.
실시예 혼합물 광원 필름 외관 인열 강도(g/mm) 모듈러스(g/mm2) 추출율(%) 함수율(%)
28 3A 가시광 약간 말림 9 46 13.6 24.7
29 3A 가시광+UV 필터 편평함 10 47 13.1 25.0
30 4A 가시광 약간 말림 2 19 9.8 69.5
31 4A 가시광+UV 필터 편평함 2 21 9.2 68.3
실시예 32
혼합물 4A를 사용하여 콘택트 렌즈를 주조하였다. 단량체 혼합물을 렌즈 앞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제1 플라스틱 주형 부분의 주형 표면에 배치하고, 렌즈의 뒷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을 가진 제2 플라스틱 주형 부분을 상기 제1 주형 부분 위에 배치하여 단량체 혼합물이 2개의 주형 표면 사이에 형성된 주형 공간에 채워지게 하였다. 이어서 이 조립체를 UV 광선을 여광하면서 가시광원에 노출시켰다. 제1군의 시험에서, 2개의 주형 부분을 즉시 분리시키고, 주형 부분에서 렌즈를 분리해 낸 다음, 최종적으로 붕산염 완충 염수로 평형화시켰다. 제2군의 시험에서, 렌즈를 주형 부분에서 분리해 내기 전에 열에 의해 후경화시키고 수화시켰다. 두 군의 시험 결과, 광학 품질이 우수하고, 함수량이 각각 61.0%와 61.3%이며, 모듈러스는 각각 42 및 36 g/mm2이고, 인열 강도는 두 군 모두 2 g/mm인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얻었다.
당업자들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 범위 내에서, 앞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 양태 이외의 것도 실시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12)

  1. 렌즈 형성 단량체, UV 흡수 화합물, 그리고 착색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는 단계, 및
    주형에 들어 있는 단량체 혼합물을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에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상기 식 중, Ar 및 Ar'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방향족 라디칼이고, R은 임의로 치환된 알킬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며, n은 0 또는 1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n은 1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 옥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주로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에 노출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UV 광은 단량체 혼합물에 조사되는 광원으로부터 여광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콘택트 렌즈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렌즈 앞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의 주형 표면을 가진 제1 주형 부분과 렌즈의 뒷면을 형성하기 위한 모양의 주형 표면을 가진 제2 주형 부분 사이에 형성된 주형 공간에서 중합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실리콘 히드로겔 콘택트 렌즈인 방법.
  12. 렌즈 형성 단량체, UV 흡수 화합물, 그리고 포스핀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주형에 채워 넣는 단계, 및
    주형에 들어 있는 단량체 혼합물을 스펙트럼의 가시광 범위의 광을 포함하는 광원에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시켜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007012536A 1998-05-15 1999-04-15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 Withdrawn KR20010043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79,701 US6359024B2 (en) 1998-05-15 1998-05-15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US09/079,701 1998-05-15
PCT/US1999/008297 WO1999060427A1 (en) 1998-05-15 1999-04-15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474A true KR20010043474A (ko) 2001-05-25

Family

ID=2215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536A Withdrawn KR20010043474A (ko) 1998-05-15 1999-04-15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359024B2 (ko)
EP (1) EP1090312B1 (ko)
JP (1) JP2002516190A (ko)
KR (1) KR20010043474A (ko)
CN (1) CN1301353A (ko)
AU (1) AU3748099A (ko)
BR (1) BR9911022A (ko)
CA (1) CA2331796C (ko)
DE (1) DE69942452D1 (ko)
ES (1) ES2345308T3 (ko)
ID (1) ID26721A (ko)
WO (1) WO1999060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146B1 (ko) * 2017-10-24 2019-02-18 주식회사 인터로조 블루 계열의 식별 색상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3140A1 (en) * 1998-03-02 2007-02-22 Lorenz Kathrine O Method for the mitigation of symptoms of contact lens related dry eye
US6359024B2 (en) * 1998-05-15 2002-03-19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US20030128336A1 (en) * 2001-12-28 2003-07-10 Jethmalani Jagdish M. Customized lenses
JP3870731B2 (ja) * 2000-07-12 2007-01-24 東レ株式会社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フィルム
KR20030051649A (ko) * 2000-09-14 2003-06-25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메타크릴레이트 캐스팅 수지 중의 아실포스핀 옥사이드광개시제
US6776934B2 (en) 2001-11-02 2004-08-17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polymerizing lenses
CA2418294A1 (en) * 2002-03-08 2003-09-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ktiengesellschaft Imaging method for printing forms
US7276544B2 (en) * 2003-09-08 2007-10-02 Bausch & Lomb Incorporated Process for manufacturing intraocular lenses with blue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7084188B2 (en) * 2003-12-05 2006-08-01 Bausch & Lomb Incorporated Surface modification of contact lenses
JP4896737B2 (ja) 2003-12-29 2012-03-14 アボット・メディカル・オプティ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視光選択的透過領域を有する眼内レンズ
US8147728B2 (en) 2004-04-01 2012-04-03 Novartis Ag Pad transfer printing of silicone hydrogel lenses using colored ink
JP5014981B2 (ja) * 2004-04-21 2012-08-29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着色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レンズ製造用硬化性着色インク
US7278737B2 (en) 2004-04-30 2007-10-09 Advanced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devices having a highly selective violet light transmissive filter and related methods
DE602005016262D1 (de) * 2004-07-28 2009-10-08 Novartis Ag Tinten auf wasserbasis für hydrogellinsen
CA2577899C (en) 2004-08-27 2013-06-04 Asahikasei Aime Co., Lt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9322958B2 (en) 2004-08-27 2016-04-26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MY142084A (en) * 2004-09-01 2010-08-30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colore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20060069178A1 (en) * 2004-09-24 2006-03-30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polymerizing ophthalmic devices
US7255438B2 (en) * 2004-09-30 2007-08-14 Novartis Ag Pad transfer printing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US20060065138A1 (en) * 2004-09-30 2006-03-30 Tucker Robert C Pad printing method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AU2005309835B2 (en) * 2004-11-22 2011-08-04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polymerizable azo compounds and articles containing them
AU2005309912B2 (en) * 2004-11-22 2011-10-06 Johnson & Johnson Surgical Vision, Inc. Copolymerizable methine and anthraquinone compounds and articles containing them
DE602005013298D1 (de) * 2004-12-29 2009-04-23 Bausch & Lomb Polysiloxanprepolymere für biomedizinische vorrichtungen
US7731873B2 (en) 2005-08-09 2010-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Contact lens mold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US7799249B2 (en) 2005-08-09 2010-09-2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7785092B2 (en) * 2005-08-09 2010-08-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from a polymerizable composition
US20070092830A1 (en) * 2005-10-24 2007-04-26 Bausch & Lomb Incorporated Polymeric radiation-absorbing materials and ophthalmic devices comprising same
FR2893422B1 (fr) * 2005-11-14 2008-03-07 Essilor Int Lentille ophtalmique comportant un revetement de protection contre la photodegradation et procede pour preparer une telle lentille ophtalmique.
US20070149428A1 (en) 2005-12-14 2007-06-28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Packaging a Lens
US8231218B2 (en) 2006-06-15 2012-07-31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TWI512017B (zh) * 2006-06-15 2015-12-11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可溼性矽氧水凝膠隱形眼鏡及相關組合物及方法
US7468397B2 (en) * 2006-06-30 2008-12-23 Bausch & Lomb Incorporated Polymerizable siloxane-quaternary amine copolymers
US7691917B2 (en) * 2007-06-14 2010-04-06 Bausch & Lomb Incorporated Silcone-containing prepolymers
US8394906B2 (en) * 2008-02-12 2013-03-12 Aaren Scientific Inc. Ophthalmic lens having a yellow dye light blocking component
SG172081A1 (en) 2008-12-18 2011-07-28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MY151232A (en) * 2008-12-30 2014-04-30 Novartis Ag Tri-functional uv-absorbing compounds and use thereof
AU2010295773B2 (en) 2009-09-15 2013-05-30 Novartis Ag Prepolymers suitable for making ultra-violet absorbing contact lenses
HUE030443T2 (en) * 2009-10-01 2017-05-29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produc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UE034946T2 (en) 2010-07-09 2018-03-28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Low UV Permeability Molds for Ophthalmic Lenses, Lenses and Related Procedures
WO2012013949A1 (en) 2010-07-30 2012-02-02 Neil Goodenough Ophthalmic device molds formed from vinyl alcohol copolymer, ophthalmic devic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JP5784119B2 (ja) 2010-07-30 2015-09-24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両親媒性ポリシロキサンプレポリマー及びそれらの使用
WO2012016152A1 (en) 2010-07-30 2012-02-02 Siddiqui A K M Shahab Ophthalmic lens molds, ophthalmic lenses molded therein, and related methods
EP2625217B1 (en) 2010-10-06 2018-07-04 Novartis AG Chain-extended polysiloxane crosslinkers with dangling hydrophilic polymer chains
EP2625218B1 (en) 2010-10-06 2018-04-25 Novartis AG Water-processable silicone-containing prepolymers and uses thereof
CA2813469C (en) 2010-10-06 2016-01-12 Novartis Ag Polymerizable chain-extended polysiloxanes with pendant hydrophilic groups
US8899745B2 (en) 2010-12-13 2014-12-02 Novartis Ag Ophthalmic lenses modified with functional group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JP5904603B2 (ja) 2011-02-28 2016-04-13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ウ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寸法的に安定な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JP2014510945A (ja) 2011-02-28 2014-05-01 クーパーヴィジョ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ホウルディング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シリコーンヒ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
WO2012118675A2 (en) 2011-02-28 2012-09-07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Wett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EP2681616B1 (en) 2011-02-28 2019-01-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having acceptable levels of energy loss
AU2012223582B2 (en) 2011-02-28 2014-10-23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Phosphine-containing hydrogel contact lenses
SG192245A1 (en) 2011-02-28 2013-09-30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N103764724B (zh) 2011-02-28 2016-04-06 库柏维景国际控股公司 硅酮水凝胶隐形眼镜以及相关组合物和方法
US8846010B2 (en) 2011-04-21 2014-09-30 Conopco, Inc. Silicone compound and photoprotective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US8937110B2 (en) 2011-12-23 2015-01-2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ilicone hydrogels having a structure formed via controlled reaction kinetics
US9389336B2 (en) * 2013-08-02 2016-07-12 Bausch & Lomb Incorporated Hydrogel monomer mix containing added water
US9482788B2 (en) 2014-12-05 2016-11-01 Pegavision Corporation UV-blocking silicone hydrogel composition an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containing thereof
US10607335B2 (en) * 2016-06-28 2020-03-3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bsorptive imaging metrology to measure the thickness of ophthalmic lenses
CN110018578A (zh) * 2019-04-10 2019-07-16 军视康(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平顶双光改善近视提升裸眼视力镜片及制造方法
CN112239624B (zh) * 2020-07-22 2021-08-10 浙江伟星光学有限公司 一种包含可见光固化的变色涂层的眼镜片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9646A (en) 1960-01-13 1964-12-01 American Cyanamid Co Alkenoylamido and oxy phenylbenzotriazoles
CS108895A (ko) 1961-12-27
NL128305C (ko) 1963-09-11
GB1346764A (en) 1970-06-09 1974-02-13 Agfa Gevaert Ultraviolet absorbing filter layers
US4304895A (en) 1973-06-20 1981-12-08 Wesley-Jessen, Inc. Ultraviolet absorbing corneal contact lenses
US4197266A (en) 1974-05-06 1980-04-08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optical lenses
US4113224A (en) 1975-04-08 1978-09-12 Bausch & Lomb Incorporated Apparatus for forming optical lenses
US4528311A (en) 1983-07-11 1985-07-09 Iolab Corporation Ultraviolet absorbing polymers comprising 2-hydroxy-5-acrylyloxyphenyl-2H-benzotriazoles
US4719248A (en) 1985-08-08 1988-01-12 Bausch & Lomb Incorporated Ultraviolet blocking agents for contact lenses
US4716234A (en) 1986-12-01 1987-12-29 Iolab Corporation Ultraviolet absorbing polymers comprising 2-(2'-hydroxy-5'-acryloyloxyalkoxyphenyl)-2H-benzotriazole
US5374663A (en) * 1988-03-03 1994-12-20 Hoy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yanopsia-correctable intraocular lens
US5070215A (en) 1989-05-02 1991-12-03 Bausch & Lomb Incorporated Novel vinyl carbonate and vinyl carbamate contact lens material monomers
FR2646930B1 (fr) * 1989-05-12 1993-04-09 Essilor Int Procede de realisation d'un element diffractif, utilisable notamment dans la fabrication de lentilles optiques artificielles, et lentilles ainsi obtenues
US5034461A (en) 1989-06-07 1991-07-23 Bausch & Lomb Incorporated Novel prepolymers useful in biomedical devices
JP2798468B2 (ja) * 1990-02-28 1998-09-17 ホーヤ株式会社 コンタクトレンズ材料及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US4997897A (en) 1990-04-03 1991-03-05 Bausch & Lomb Incorporated Polymerizable dye
US5271875A (en) 1991-09-12 1993-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molding lenses
US5260000A (en) * 1992-08-03 1993-11-09 Bausch & Lomb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silicone containing hydrogel lenses
US5374662A (en) 1993-03-15 1994-12-20 Bausch & Lomb Incorporated Fumarate and fumaramide siloxane hydrogel compositions
WO1995000577A1 (en) * 1993-06-24 1995-01-05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Telomer composition
JPH07292015A (ja) * 1994-04-28 1995-11-07 Nitto Chem Ind Co Ltd 光重合性組成物の硬化方法
TW349967B (en) * 1995-02-03 1999-01-11 Novartis Ag Process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and a cross-linkable polyvinylalcohol used therefor
JP3625097B2 (ja) * 1995-02-07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法
JP3762462B2 (ja) * 1995-09-27 2006-04-05 株式会社トクヤマ 透明硬化体の製造方法
JPH10195324A (ja) * 1997-01-16 1998-07-28 Hoya Corp 反応性黄色染料およびそれを含む眼用レンズ
US6015842A (en) * 1997-08-07 2000-01-18 Alcon Laboratories, Inc. Method of preparing foldable hydrophilic ophthalmic device materials
US5891931A (en) * 1997-08-07 1999-04-06 Alcon Laboratories, Inc. Method of preparing foldable high refractive index acrylic ophthalmic device materials
US6099123A (en) * 1997-09-04 2000-08-08 Signet Armorlite, Inc. Production of photopolymerized polyester high index ophthalmic lenses
US6359024B2 (en) * 1998-05-15 2002-03-19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146B1 (ko) * 2017-10-24 2019-02-18 주식회사 인터로조 블루 계열의 식별 색상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748099A (en) 1999-12-06
ID26721A (id) 2001-02-01
DE69942452D1 (de) 2010-07-15
US6359024B2 (en) 2002-03-19
CA2331796C (en) 2005-06-14
ES2345308T3 (es) 2010-09-20
US20020082312A1 (en) 2002-06-27
CN1301353A (zh) 2001-06-27
WO1999060427A1 (en) 1999-11-25
BR9911022A (pt) 2001-09-25
US20010014704A1 (en) 2001-08-16
EP1090312B1 (en) 2010-06-02
JP2002516190A (ja) 2002-06-04
US6465538B2 (en) 2002-10-15
EP1090312A1 (en) 2001-04-11
CA2331796A1 (en)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43474A (ko) 콘택트 렌즈의 중합화 방법
AU746835B2 (en)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having UV absorbing properties
AU751052B2 (en) Method for making contact lenses having UV absorbing properties
US6776934B2 (en) Method for polymerizing lenses
US5962548A (en) Silicone hydrogel polymers
KR102784840B1 (ko) Uv 및 고 에너지 가시광의 중합성 흡수제
JPH07500865A (ja) 共重合において有用な新規なuv硬化型架橋剤
EP1534759B1 (en) Macromer forming catalysts
AU2010295773A1 (en) Prepolymers suitable for making ultra-violet absorbing contact lenses
KR102866829B1 (ko) Uv 및 고 에너지 가시광의 중합성 흡수제
MXPA00011117A (en)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HK1038613A (en) Method for polymerizing contact lenses
KR20210065068A (ko) Uv 및 고 에너지 가시광의 중합성 흡수제
HK1077309B (en) Macromer forming cataly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