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1000A - Super-slim telephone - Google Patents

Super-slim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1000A
KR20000051000A KR1019990001222A KR19990001222A KR20000051000A KR 20000051000 A KR20000051000 A KR 20000051000A KR 1019990001222 A KR1019990001222 A KR 1019990001222A KR 19990001222 A KR19990001222 A KR 19990001222A KR 20000051000 A KR20000051000 A KR 2000005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slim
double
telephone
compon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형
신광호
Original Assignee
지영천
주식회사 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천, 주식회사 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지영천
Priority to KR1019990001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1000A/en
Publication of KR2000005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1000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슬림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화기 회로 부품을 소형 양면 PCB에 다층으로 탑재시켜 소형화된 전화기 몸체와, 상기 전화기 몸체에 폰잭으로 연결/분리되고 이어폰과 마이크가 일체형으로 된 귀걸이 송수화기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기 몸체에 내장되는 전화기 회로 부품들은 부품의 크기 및 다리 길이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층을 이루면서 양면 PCB에 배치된다. 그 배치 구조는 양면 PCB의 일면에 소형 부품 및 박막형 칩저항 등으로 이루어진 제1부품들이 1차로 실장되고, 상기 제1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타면에 IC칩과 오디오 잭 및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제2부품들이 2차로 적층 실장되고, 상기 제1 부품 및/또는 상기 제2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일면 및/또는 타면에 캐패시터 및 크리스탈 등의 제3부품들이 3차로 적층 실장되는 등 크기가 작거나 혹은 다리가 짧은 부품들이 1차로 실장되고 그 위에 크기가 크거나 혹은 다리 긴 부품들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 slim phone.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telephone body miniaturized by mounting a telephone circuit component in a multilayer on a small double-sided PCB, and an earpiece handset which is connected / separated with a phone jack to the telephone body, and an earphone and a microphone are integrated. The telephone circuit components embedded in the telephone body are arranged on the double-sided PCB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leg length of the components. The arrangement structure includes a first part consisting of small parts and a thin film type chip resistor on one side of a double-sided PCB, and a second part consisting of an IC chip, an audio jack, a switch, etc. on the other side while the first parts are mounted. The components are secondly stacked and mounted, an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mponent and / or the second component are mounted, the third components, such as capacitors and crystals, are laminated on the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in the third side. Short-legged parts are mounted first and large or long-legged parts placed on top of them.

Description

초슬림 전화기{Super-slim telephone}Super-slim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 몸체를 소형화시켜 휴대 및 이동이 간편한 핸드프리형 초슬림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free ultra-slim telephone that is compact and portable by miniaturizing the telephone body.

종래 사용되는 전화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통화 회로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후크 스위치와 송 수화기, 전화번호 입력 및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갖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선택되는 키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다이얼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 발생수단과,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나 DTMF 톤을 감지하여 링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링 감지수단과, 전화선으로부터 들어오는 전기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수화기측으로 전송하거나 혹은 송화기측으로부터 들어오는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화선으로 전송하는 통화 제어수단과, 상기 통화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수화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송화기를 통해 들어오는 음성을 상기 통화 제어수단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수화기 연결수단과, 공중 통신망과의 통화가 가능한 상태 혹은 공중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링신호를 검출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전화회선을 연결하는 회선 접속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A conventional type of telephone used in the related art is a hook switch and handset for turning on / off a telephone circuit, key input means having a plurality of keys for telephone number input and function selection, and a frequency of a key selected from the key input means. DTMF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ing, ring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ring signal or DTMF tone coming through the telephone line and outputting a ring detection signal, and conver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telephone line into voice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ceiver. Or a call control means for converting the voice received from the caller side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a telephone line, and a handset for transmitting the voice output from the call control means to the handset or for transmitting the voice input through an external handset to the call control means. The connection mean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network And a line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telephone line such that a ring signal transmitted from an active state or a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detec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 전화기는 전화기의 몸체가 적당한 부피를 가지고 있으며, 유선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 본체위에 송수화기가 장착되어 후크 스위치를 제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소요 공간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는 항상 송수화기를 든 상태에서 통화해야 하므로 전화 통화와 동시에 다른 작업을 실시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ordinary telephone as described above, the body of the telephone has a proper volume, and in the case of a landline telephone, a handset is mounted on the telephone body to control a hook switch, which requires a certain amount of space, and also makes a call. When you receive or receive a call, you must always hold the handset with you, so you can't perform other tasks at the same time as the phone call.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형 양면 PCB에 전화기 회로 부품을 다층 탑재시켜 부피를 줄인 슬림형 몸체와, 상기 몸체에 폰잭으로 연결/분리되는 귀걸이 형태의 송수화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화기 몸체의 케이스 전면이 키매트릭스만을 수용하는 크기로 소형화시켜 휴대 및 이동이 자유롭고,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초슬림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m body and reduced volume by mounting a multi-layer phone circuit components on a small double-sided PCB, and the earpiece-type handset connected to / separated by a phone jack on the bod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slim telephone, which is compact in size to accommodate only the key matrix of the case body of the telephone body, to be portable and mobile, and to be conveniently used by an operator using both hand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 회로 부품들이 다층으로 배치되는 제1 양면 PCB와; 상기 제1 양면 PCB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1양면 PCB와 일체로 케이싱되어 그 케이스 윗면에 전화기 다수의 키를 수용하는 제2양면 PCB와; 상기 케이스 전면과 측면 소정 위치에 각각 송수화기 연결수단 및 전화회선 접속수단을 구비한 슬림형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양면 PCB의 일면에 소형 부품 및 박막형 칩저항 등으로 이루어진 제1부품들이 1차로 실장되고, 상기 제1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타면에 IC칩과 오디오 잭 및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제2부품들이 2차로 적층 실장되고, 상기 제1 부품 및/또는 상기 제2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일면 및/또는 타면에 캐패시터 및 크리스탈 등의 제3부품들이 3차로 적층 실장되는 등 부품의 크기 및 다리 길이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층을 이루면서 상기 부품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림형 몸체가 평면 케이블 및 그와 연결된 컨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양면 PCB를 접속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double-sided PCB in which telephone circuit components are arranged in multiple layers; A second double-sided PCB stack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double-sided PCB and cas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double-sided PCB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keys of the phon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It includes a slim body having a handset connecting means and a telephone line connection means respectively in the front and sid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the first parts consisting of small components and thin film type chip resistor, etc. ar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ouble-sided PCB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components are mounted, the second components including the IC chip, the audio jack, the switch, and the like are secondarily stacked and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an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components and / or the second components are mounted. And / or the component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leg length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 components such as capacitors and crystals are stacked and mounted on the other surface, and the slim body is a flat cable.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double-sided PCBs using connectors connec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림형 몸체에 연결/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송수화기 연결수단에 상응하는 연결수단을 갖고,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및 그 입/출력 증폭수단을 일체로 케이싱하여서 스피커측을 귀에 걸어 송수화할 수 있는 귀걸이 송수화기로 구성되어서, 전화기 몸체의 부피를 초소형화시켜 휴대 및 이동이 자유롭고, 귀걸이 송수화기를 채용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handset connecting means to be connected to / disconnected from the slim body, the speaker by integrally casing the microphone and speaker and the input / output amplification means for the input / output of the voice signal It is composed of an earring handset that can be handheld by hanging the side of the ear, miniaturized the volume of the phone body is free to carry and move, and employs both hands by using an earring hands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슬림 전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ltra-slim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 1의 슬림형 몸체가 갖는 다층 부품 배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lim body of FIG.

도 3은 다층 부품 배치구조의 상 하부 PCB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CB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도 4a와 도 4b는 상기 슬림형 몸체가 피시(PC)의 하드 드라이브나 모니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상태의 사용예도4A and 4B are examples of the state where the slim body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hard drive or a monitor of a PC.

도 5는 상기 슬림형 몸체로부터 귀걸이 송수화기로의 음성 연결을 위한 내부 블록도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for voice connection from the slim body to the earring handset;

도 6a와 도 6b는 각각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에 내장되는 스피커 출력단 증폭 회로도와 마이크로폰 입력단 증폭 회로도6A and 6B are a speaker output stage amplification circuit diagram and a microphone input stage amplification circuit diagram respectively built in the earring handse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슬림형 몸체 11 : 오디오 잭10: slim body 11: audio jack

12 : 전화선 연결잭 13 : 칩 저항12: telephone line connection jack 13: chip resistance

14 : 아이시(IC) 15 : 캐패시터14: IC 15: Capacitor

16 : 크리스탈 17a, 17b : 컨넥터16: Crystal 17a, 17b: Connector

17c : 평면 케이블 18a, 18b ; 소형 양면 인쇄회로기판(PCB)17c: flat cables 18a, 18b; Small Duplex Printed Circuit Board (PCB)

19 : 러버키 20 : 귀걸이 송수화기19: rubbery 20: earring handset

21 : 마이크로폰 22 : 스피커21: microphone 22: speaker

23 : 폰잭23: phone jack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슬림 전화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slim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슬림 전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전화기 회로 부품을 내장한 상태에서 소정 위치에 전화선 연결잭(12)을 구비하고, 케이스 윗면 전체가 전화번호 입력 및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매트릭스만을 수용하는 면적으로 소형화시킨 슬림형 몸체(10)와, 상기 슬림형 몸체에 폰잭(23)을 통해 연결/분리될 수 있으면서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21)과 스피커(22) 및 그 입/출력 증폭수단을 일체로 케이싱하여서 스피커측을 귀에 걸어 송수화할 수 있도록 한 귀걸이 송수화기(20)를 도시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ultra-slim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lephone line connection jack 12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a telephone circuit component is embedded,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selecting a function. A slim body 10 which has been miniaturiz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key matrices, and a microphone 21 and a speaker 22 for input / output of a voice signal while being able to be connected / disconnected to the slim body through a phone jack 23. And the ear / handset handset 20 in which the input / output amplification means are integrally cased so that the speaker side can be hooked to the ear.

이때 상기 슬림형 몸체(10)는 케이스 윗면에 전화번호 입력키와, 토글 스위칭 동작에 의해 후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후크 키(H)와, 상기 후크 온/오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램프(F)와, 재발신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재다이얼 키(R)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전면과 측면에는 각각 송수화기의 오디오 입/출력이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 잭(11)과, 전화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전화선 연결잭(12)을 구비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At this time, the slim body 10 has a phone number input ke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a hook key (H) for controlling the hook on / off by a toggle switching operation, and a lamp for displaying the hook on / off state to the outside ( F), and a redial key (R) for selecting a redial function, etc., and an audio jack 11 for enabling audio input / output of the handset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case, respectively, and a telephone line. It is shown that a telephone line connecting jack 12 for connecting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20)는 상기 슬림형 몸체의 오디오 잭에 연결되기 위한 폰잭(23)을 구비하며, 또한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21)과, 상기 슬림형 몸체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2)와,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일체로 케이싱하고, 상기 스피커 측은 귀에 삽입되어 파지될 수 있는 이어폰 형상을 가지며, 타측은 마이크 형상으로 된 몸체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And the earring handset 20 is provided with a phone jack 23 to be connected to the audio jack of the slim body, the microphone 21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lim body or A speaker 22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external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cas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ntegrally, the speaker side has an earphone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and gripped, the other side into a microphone shape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body.

도 2는 상기 도 1의 슬림형 몸체가 갖는 다층 부품 배치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전화기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중에서 소형 부품이나 혹은 박막 형태로 설계된 칩 저항(13)이 소형 양면 PCB(18a)에 1차로 실장되고, 아이시(14) 혹은 컨넥터(17a)와 오디오 잭(11) 등의 중간 크기의 다리를 갖는 부품이 상기 소형 부품이나 칩 저항(13)을 다리 사이에 둔 상태에서 상기 소형 양면 PCB(18a)의 뒷면에 2차로 적층 실장되고, 상기 2차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다시 캐패시터(15)와 크리스탈(16) 등의 다리가 긴 부품이 상기 2차 부품과 같은 면에 3차로 적층 실장되는 다층 부품 배치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다층 부품 배치구조는 3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lim body of FIG. 1, wherein a chip resistor 13 designed as a small component or a thin film among a plurality of components constituting a telephone circuit is small in size. A component that is primarily mounted on the PCB 18a and has an intermediate size leg such as the ice 14 or the connector 17a and the audio jack 11 has the small component or the chip resistor 13 interposed between the legs. In the state of the second double-sided PCB (18a) is laminated on the back of the secondary secondary,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component is mounted, the long legs such as the capacitor 15 and the crystal 16 is the same as the secondary component It can be seen that it has a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that is laminated and mounted on the surface in a third order, and such a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may be configured of three or more layers.

그리고 전화선 연결잭(12)은 그 부피를 고려하여 상기 다층 부품 배치구조와 별도로 실장되며, 전화번호 입력 및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들은 또 다른 소형 양면 PCB(18b)에 탑재하여 그것을 상기 소형 양면 PCB(18a) 위에 적층시키고, 상기 두 양면 PCB(18a)(18b)를 일체로 케이싱하되, 상기 또 다른 소형 양면 PCB(18b)의 상측에는 상기 각 키를 눌러 키매트릭스를 스위칭 제어할 수 있는 러버(rubber) 키(19)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싱된 윗면으로 상기 러버 키가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과 측면 소정 위치에는 각각 송수화기 연결수단인 오디오 잭(11)과 전화회선 접속수단인 전화선 연결잭(12)을 마련하여 소형의 다층 부품 배치구조를 이루는 슬림형 몸체(10)를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telephone line connection jack 12 i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in consideration of its volume, and a plurality of keys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selecting a function are mounted on another small double-sided PCB 18b and mounted on the small double-sided PCB. Stacked on (18a), the two-sided PCB (18a, 18b) is integrally casing, the upper side of the other small double-sided PCB (18b) rubber that can switch control the key matrix by pressing the respective keys ( rubber) key 19 is installed so that the rubber key protrudes from the casing upper surface, and the audio jack 11 which is a handset connecting means and the telephone line connecting jack 12 which is a telephone line connecting means respectively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case. ) Shows a slim body 10 that forms a compact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도 3은 다층 부품 배치구조의 상 하부 PCB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슬림형 몸체의 다층 부품 배치구조에서 상, 하부의 소형 양면 PCB(18a)(18b)가 평면 케이블(17c)과 그에 연결된 수 컨넥터(17b) 및 암 컨넥터(17a)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하부의 소형 양면 PCB(18a)에는 암 컨넥터(17a)가 장착되며, 상부의 소형 양면 PCB(18b)에는 수 컨넥터(17b)와 일체로 된 평면 케이블(17c)이 납땜에 의해 직접 접속되고, 상기 수 컨넥터(17b)가 하부 소형 양면 PCB(18a)의 암 컨넥터(17a)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CB connection state of the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mall double-sided PCBs 18a and 18b are connected to the flat cable 17c and the flat cable 17c in the multilayer component arrangement of the slim body. It is shown to be connected by the connector 17b and the female connector 17a. At this time, the female connector 17a is mounted on the small double-sided PCB 18a on the lower side, and the flat cable 17c integrated with the male connector 17b is directly connected by soldering on the small double-sided PCB 18b on the upper side. The male connector 17b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to the female connector 17a of the lower small double-sided PCB 18a.

도 4a와 도 4b는 상기 슬림형 몸체가 피시(PC)의 하드 드라이브나 모니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침대나 그 외의 다른 물품에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4A and 4B show that the slim body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 hard drive or a monitor of a PC,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slim body may be easily mounted on a bed or other items. Can be.

도 5는 상기 슬림형 몸체로부터 귀걸이 송수화기로의 음성 연결을 위한 내부 블록도로서, 전화선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오디오 잭으로 내보내거나 오디오 잭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전화선으로 내보내면서 그 신호를 피드백시켜 다시 오디오 잭의 스피커 측으로 내보내는 피드백 기능을 갖는 전화라인 연결망(net)과, 오디오 잭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수신단의 입/출력 증폭기(AMP21)(AMP22)와, 오디오 잭으로 나가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 송신단의 입/출력 증폭기(AMP12)(AMP13)와, 상기 증폭기들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송/수신단 이득 제어기(G1)(G2)(G3)를 구비하고 있어 마이크로폰에서 입력되는 소리가 송신단의 증폭기를 거쳐 다시 수신단의 증폭기로 피드백되어 자기 자신도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통화하는 상대방에게도 소리가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for a voice connection from the slim body to the earpiece handset, by sending a signal coming from a telephone line to an audio jack or sending a signal coming from an audio jack to a telephone line and feeding back the signal to the audio jack again. A telephone line network (net) having a feedback function to be sent to the speaker side of the speaker, an input / output amplifier (AMP21) (AMP22) of an audio receiver for amplifying a signal input through an audio jack, and an amplifying signal to an audio jack. An input / output amplifier (AMP12) (AMP13) of an audio transmitter and a transmitter / receiver gain controller (G1) (G2) (G3)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mplifiers are provided so that the sound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transmitted to the amplifier of the transmitter. After being fed back to the receiver amplifier, you can hear the sound yourself.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to be delivered.

도 6a와 도 6b는 각각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에 내장되는 스피커(22) 출력단 증폭 회로도와 마이크로폰(21) 입력단 증폭 회로도로서, 다수의 증폭기(AMP23, AMP24, AMP11)와, 그 주변의 증폭도 조절소자(R1-R4, R11-R13, C1-C3, C11-C14)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이어폰 형상으로서 귀에 밀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스피커 출력단의 증폭도를 일반적인 것(증폭 저항(R3)이 33[㏀]이고, 감도 저항(R4)이 330[Ω]인 것)보다 약간 낮추기 위하여 증폭 저항(R3)값이 22[㏀]을 갖고, 감도 저항(R4)값이 300[Ω]을 갖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음량을 많이 받지 못하는 형태이므로 입력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폰 입력단의 증폭도를 일반적인 것(증폭 저항(R13)이 100[㏀]이고, 감도 저항(R11)이 100[㏀]인 것)에 비해 증폭 저항(R13)값을 180-250[㏀]의 범위를 갖는 것이 적당하며, 또한 마이크로폰 입력단의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감도 저항(R11)값이 330[Ω]을 갖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6A and 6B illustrate a speaker 22 output stage amplification circuit and a microphone 21 input stage amplification circuit diagram built in the earring handset, respectively, and include a plurality of amplifiers AMP23, AMP24, and AMP11, and an amplification control device around them. R1-R4, R11-R13, C1-C3, C11-C14). In this case, the speaker has a shape of an earphon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so that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peaker output terminal i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one (amplification resistance R3 is 33 [Hz] and sensitivity resistance R4 is 330 [Hz]).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mplification resistance (R3) to have a value of 22 [Hz] and the sensitivity resistance (R4) to have a value of 300 [Hz], and since the microphone does not receive much volume,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is used to increase the input sensitivity. The amplification degree of R13 has a range of 180-250 [kW] compared to the general one (amplification resistance R13 is 100 [kW] and sensitivity resistance R11 is 100 [kW)).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tivity resistance R11 is set to have a value of 330 [Hz] so as to reduce noise of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송수화기(20)는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마이크로폰(21)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폰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전화선으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스피커(22)와, 폰잭(23)을 구비하여 일체로 케이싱하되, 상기 스피커 측은 귀에 삽입되어 파지될 수 있는 이어폰 형상을 가지며, 타측은 마이크 형상으로 되도록 몸체를 구성한다.First, the earring handse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crophone 21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 external voice signal, and receiving an external voice signal or a microphone transmitted from a telephone lin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microphone. A speaker 22 and a phone jack 23, which receive and amplify an audio signal, are integrated into a casing, and the speaker side has an earphone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gripped by the ear, and the body is formed into a microphone shape. Configure.

그리고 슬림형 몸체(10)는 소형 양면 PCB(18a)에 전화기 회로를 구성하는 소형 부품들과 함께 박막 형태의 칩 저항(13)을 1차로 실장하고, 여기에 다시 상기 양면 PCB의 뒷면으로 아이시 형태의 부품들과 함께 컨넥터와 오디오 잭과 스위치 등의 중간 크기 부품을 2차로 적층 실장하되, 상기 1차로 이미 실장된 부품들을 다리 사이에 둔 상태에서 실장한다. 그리고 캐패시터와 크리스탈 등의 다리가 긴 부품을 상기 2차로 실장된 부품들 위에 다시 3차로 적층 실장함으로써, 양면 PCB의 소요 면적을 줄인다. 그리고, 전화번호 입력 및 기능 선택을 위한 다수의 키들을 스위칭 제어하는 러버 키(19)를 상기 소형 양면 PCB(18a)와는 별도의 또 다른 소형 양면 PCB(18b)에 탑재하여 그것을 상기 양면 PCB(18a) 위에 적층하고, 상기 두 양면 PCB(18a)(18b)를 일체로 케이싱함으로써, 상기 케이싱된 슬림형 몸체의 윗면에는 다수의 러버 키(19)들만을 돌출시켜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 전면과 측면의 소정 위치에 각각 송수화기 연결을 위한 오디오 잭(11)과 전화선 연결잭(12)을 마련함으로써, 귀걸이 송수화기와 전화선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초소형 전화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lim body 10 first mounts a thin film type chip resistor 13 together with small components constituting a telephone circuit on the small double-sided PCB 18a, and again forms an Icy form on the back of the double-sided PCB. Secondary components such as connectors, audio jacks, switches, and the like are stacked in a secondary manner together with the components of the first, but the components already mounted in the primary are placed between the legs. In addition, by stacking components such as capacitors and crystals with long legs on the secondary mounted components in the third order, the required area of the double-sided PCB is reduced. A rubber key 19 for switching and controlling a plurality of keys for phone number input and function selection is mounted on another small double-sided PCB 18b separate from the small double-sided PCB 18a, and the double-sided PCB 18a is mounted. ) And by casing the two double-sided PCB (18a) (18b) integr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slim body protrudes only a number of rubber keys (19), and the predetermined front and side of the case By providing audio jacks 11 and telephone line connection jacks 12 for handset connection respectively, the earpiece handset and the telephone lin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compact telephone.

그런데, 일반 송수화기에서 마이크로폰은 그 구조가 음량을 많이 받아줄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초슬림 전화기는 헤드 셋 형태의 귀걸이 송수화기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마이크로폰이 받아줄 수 있는 음량이 작아지므로 특히 음질 및 음량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물론 마이크로폰의 모양이 커지면 가능하지만 착용시에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 전화기보다 마이크로폰의 입력단 증폭비를 무한으로 늘릴 경우 과다 증폭으로 인한 음질의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정한 선의 증폭을 유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안점이다.By the way, in the general handset, the microphone has a form that the structure can receive a lot of volume, but the ultra-slim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use a headset earring handset, so the volume that the microphone can receive relatively It's smaller, so it's especially focused on sound quality and volume (of course, the microphone's shape can be larger, but it's inconvenient when you wear it). Therefore, the distortion of the sound quality due to over-amplification may occur when the input terminal amplification ratio of the microphone is infinitely increas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general telephone, and therefore, it is a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n appropriate line amplification to solve this problem.

즉, 현재 사용중인 일반적인 송수화기의 마이크로폰 입력단과 스피커 출력단의 증폭도는 각각 50-390[㏀], 33[㏀]의 증폭 저항값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이상의 증폭을 시켰을때에는 마이크로폰의 음량 입력을 감안할 때 하울링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귀에 밀착시키는 형태이므로 일반 전화기의 증폭도보다 약간 낮은 증폭도(22[㏀])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귀의 울림을 적게 하여 편안하게 통화할 수 있게 하며,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인 형태보다 고감도의 마이크를 사용(실험치에 의해 58dB정도가 가장 적합하고 180-250[㏀])하도록 함으로써, 콘덴서 마이크의 측음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That is,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microphone input terminal and speaker output terminal of the general handset currently in use is 50-390 [㏀], 33 [㏀], respectively, and the amplification resistance value is higher than that. Howling may occu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for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ar, the amplification degree (22 [㏀])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telephone is used, so that the ear can be made less comfortable and the microphone can be used in general. By using a microphone with a higher sensitivity than the shape (by the experimental value, about 58 dB is most suitable and 180-250 [Hz]), side noise of the condenser microphone is not genera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기 회로 부품을 소형 양면 PCB에 다층으로 탑재시켜 전화기 몸체를 소형화시키고, 상기 전화기 몸체에 폰잭으로 연결/분리되는 귀걸이 형태의 송수화기를 구성하여 귀에 가볍게 걸어 송수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화기 몸체의 케이스 전면이 키매트릭스만을 수용하는 크기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휴대 및 이동이 자유롭고, 양손을 모두 사용하는 작업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mounting the telephone circuit components in a multi-layered PCB on a multi-layered PCB, the phone body can be miniaturized, and the earpiece-type handset connected to / detached by the phone jack can be lightly hanged on the ear. By doing so, the front of the case of the phone body can be miniaturized to a size that accommodates only the key matrix, which is free to carry and move,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n operator who uses both hands.

Claims (6)

전화기 회로 부품들이 다층으로 배치되는 제1 양면 PCB와;A first double-sided PCB on which telephone circuit components are arranged in multiple layers; 상기 제1 양면 PCB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1양면 PCB와 일체로 케이싱되어 그 케이스 윗면에 전화기 다수의 키를 수용하는 제2양면 PCB와;A second double-sided PCB stack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double-sided PCB and cas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double-sided PCB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keys of the phon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 전면과 측면 소정 위치에 각각 송수화기 연결수단 및 전화회선 접속수단을 구비한 슬림형 몸체를 포함하되,It includes a slim body having a handset connecting means and a telephone line connecting means respectively in the front and sid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ase, 상기 제1 양면 PCB의 일면에 소형 부품 및 박막형 칩저항 등으로 이루어진 제1부품들이 1차로 실장되고, 상기 제1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타면에 IC칩과 오디오 잭 및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제2부품들이 2차로 적층 실장되고, 상기 제1 부품 및/또는 상기 제2부품들이 실장된 상태에서 일면 및/또는 타면에 캐패시터 및 크리스탈 등의 제3부품들이 3차로 적층 실장되는 등 부품의 크기 및 다리 길이를 고려하여 다수개의 층을 이루면서 상기 부품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First parts consisting of small parts and thin film type chip resistors are first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double-sided PCB, and second parts consisting of an IC chip, an audio jack, a switch, etc., on the other surface while the first parts are mounted. Size of the components and the length of the legs such that the second components, such as capacitors and crystals,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while the first components and / or the second components are mounted Considering that the parts are arranged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상기 슬림형 몸체가 평면 케이블 및 그와 연결된 컨넥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양면 PCB를 접속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And the slim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ouble-sided PCBs using a flat cable and a connector connected thereto.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몸체를 침대나 PC의 모니터 또는 하드 드라이브에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The ultra-slim pho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lim body is mounted on a bed or a monitor of a PC or a hard dr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 몸체에 연결/분리되기 위하여 상기 송수화기 연결수단에 상응하는 연결수단을 갖고, 음성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 및 그 입/출력 증폭수단을 일체로 케이싱하여서 스피커측을 귀에 걸어 송수화할 수 있는 귀걸이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초슬림 전화기.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handset connecting means to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slim body, and integrally casing a microphone, a speaker, and the input / output amplifying means for input / output of a voice signal. An ultra-slim telephone comprising an earpiece handset that can be handset by hanging the speaker side over the ea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가 마이크로폰의 입력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폰 입력단 증폭회로의 증폭 저항값을 180-250[㏀]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4. The ultra-slim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earring handset has amplification resistance in the range of 180-250 [Hz] in order to increase the input sensitivity of the micropho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가 마이크로폰 입력단의 잡음을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폰 입력단 증폭회로의 감도 저항값이 330[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4. The ultra-slim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earring handset has a sensitivity resistance value of 330 [Hz] in order to reduce noise of a microphone input stag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송수화기가 스피커 출력단의 증폭도를 낮추기 위하여 스피커 출력단 증폭회로의 증폭 저항값이 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슬림 전화기.4. The ultra-slim tele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arring handset has an amplification resistance of 22 [m [Omega]] in order to reduce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peaker output stage.
KR1019990001222A 1999-01-18 1999-01-18 Super-slim telephone Ceased KR20000051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222A KR20000051000A (en) 1999-01-18 1999-01-18 Super-slim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1222A KR20000051000A (en) 1999-01-18 1999-01-18 Super-slim telephon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785A Division KR100194011B1 (en) 1998-05-01 1998-05-01 Super-slim tele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1000A true KR20000051000A (en) 2000-08-16

Family

ID=19571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222A Ceased KR20000051000A (en) 1999-01-18 1999-01-18 Super-slim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10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8776B2 (en) Transceiver
AU644200B2 (en) A hands-free module
US6519475B1 (en) Earphone-microphone combination including a radio module and method of shifting its operational mode between telephone mode and radio mode
US7529566B2 (en) Speakerphone with a cellular phone connection
US7774030B1 (en) Hands-free device
US6970727B1 (en) Hands-free device with button for cellular telephone send/end and two-way radio push-to-talk
US6940968B1 (en) Telephon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KR100194011B1 (en) Super-slim telephone
KR20000051000A (en) Super-slim telephone
KR19990087847A (en) Super-slim telephone
KR100617113B1 (en) Ear microphone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26903Y1 (en) Automatic switching device for sound equip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64963B2 (en)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KR200265083Y1 (en) Mini Phone
KR200213237Y1 (en) Multi jack
KR200189835Y1 (en) Multi-purpose input & output supplementary device for audio signal
KR200193791Y1 (en) Device for selecting output termial of computer-sound card
KR200190237Y1 (en) Input/output switching device of internet phone
KR200268560Y1 (en) Base multi midea amp
KR200203369Y1 (en) Telephone
KR200252094Y1 (en) hands free phone
KR100413537B1 (en) hands free phone
KR200189848Y1 (en) Multi-connecter for computer
KR200258449Y1 (en) Multifuctional Speaker
JP2806446B2 (en)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2-nap-PE08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