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17503A -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 Google Patents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503A
KR20000017503A KR1019990035317A KR19990035317A KR20000017503A KR 20000017503 A KR20000017503 A KR 20000017503A KR 1019990035317 A KR1019990035317 A KR 1019990035317A KR 19990035317 A KR19990035317 A KR 19990035317A KR 20000017503 A KR20000017503 A KR 2000001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e
read
circuit
command
write op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35587B1 (en
Inventor
쯔찌다겐지
도다하루끼
구야마히또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1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5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87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11C11/4087Address decoders, e.g. bit - or word line decoders; Multiple lin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72Latency related aspec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81Timing of a read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9Timing of a write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Abstract

연속적인 판독 동작시, 연속적인 기록 동작시, 및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 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capable of achieving high data transfer efficiency in any of a continuous read operation, a continuous write operation, and a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is provided.

판독 커맨드(RCMD#1)의 설정으로부터 판독 데이터(#1)가 확정될 때까지의 판독 지연(R.L.)과, 기록 커맨드(WCMD#1)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1)를 준비할 때까지의 기록 지연(W.L.)이 동일한 클럭 사이클값 (=3)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메모리 셀로의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을, 판독 동작시와 기록 동작시에서 서로 다르게 하는 (3 CLOCK CYCLES)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When preparing the read delay RL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RCMD # 1 until the read data # 1 is confirmed and the valid write data # 1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WCMD # 1. When the write delay up to WL is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 3), the timing of the start of the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is different (3 CLOCK CYCLES) during the read operation and the write operation. Doing.

Description

반도체 기억 장치{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Semiconductor memory device {A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본 발명은 다이나믹형 RAM(DRAM) 셀을 집적·배치한 반도체 기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 랜덤 액세스 사이클에 있어서, 판독·기록의 혼합 사이클에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DRAM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dynamic RAM (DRAM) cells are integrated and arrang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M capable of improving data transfer efficiency in a read / write mixed cycle in a high-speed random access cycle. .

MOS형 반도체 기억 장치 중 DRAM은 이것을 구성하는 메모리 셀이 비교적 간소하기 때문에 가장 고집적화가 진행되고 있고, 현재 모든 컴퓨터 기기의 주기억 메모리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급격한 마이크로프로세서(MPU)의 성능 향상에 대응하여 메모리 성능을 향상시켜야 하는 수개의 고속 데이터 사이클 기능을 탭재한 DRAM이 제안되고, 또는 양산을 개시하고 있다. 그 대표예로서, 시스템 클럭과 동기시켜 모든 입출력 정보를 교환하는, 이른 바 동기형(Synchronous) DRAM(이하, SDRAM)이나,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클럭의 업/다운 양쪽의 엣지를 트리거로 액세스가 가능한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SDRAM(이하, DDR-SDRAM)을 들 수 있다.Among the MOS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DRAM has the highest integration since the memory cells constituting it are relatively simple, and are currently used as main memory in all computer devices. On the other hand, DRAMs with several high-speed data cycle functions that must improve memory performance in response to the current rapid performance improvement of microprocessors (MPUs) have been proposed or have started mass productio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so-called Synchronous D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DRAM), which exchanges all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ystem clock, can be accessed by triggering both edges of the clock up and down while operating in the same manner. Double Data Rate SD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DDR-SDRAM).

또한, 프로토콜 베이스의 커맨드에 의해, 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지는 램버스(Rambus) DRAM(이하, RDRAM) 등이 개발되어 있고, 종래의 비동기형의 DRAM 중, 이들 동기형의 DRAM으로의 이행의 흐름은 장래적으로는 필연한 것이라 말할 수 있다.In addition, Rambus DR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RDRAMs), etc., in which data transfer is performed at a higher speed by protocol-based commands, have been developed. Among the conventional asynchronous DRAMs, the transition to these synchronous DRAMs has been developed. The flow can be said to be inevitable in the future.

이러한 동기형 DRAM의 특징은 최대 밴드폭(데이터 전송 레이트)이 매우 높은 것에 있다. 예를 들면, 최신의 SDRAM에서의 최대 밴드폭으로서는 100 Mbps가 달성되어 있다.This synchronous DRAM is characterized by a very high maximum bandwidth (data transfer rate). For example, 100 Mbps is achieved as the maximum bandwidth in the latest SDRAM.

또한, 장래적인 DDR-SDRAM에서는 200 Mbps, RDRAM에서는 800 Mbps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된다.It is also expected to reach 200 Mbps in future DDR-SDRAM and 800 Mbps in RDRAM.

단, 이러한 고 밴드폭이 실현 가능한 것은, 메모리 공간의 한정된 특정의 행 방향만의 버스트 액세스에 한정되어 있다.However, such a high bandwidth can be realized only in burst access in a limited specific row direction of the memory space.

즉, 행 어드레스가 변화하는, 이른 바 랜덤 액세스시의 속도에 관해서는, 종래의 비동기형 DRAM과 거의 같은 정도의 속도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이 대책으로서, DRAM을 주기억으로 채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메모리의 계층화가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채용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speed at the time of random access, in which the row address changes, is only about the same speed as the conventional asynchronous DRAM. As a countermeasure, in a computer system employing DRAM as a main memory, hierarchical memory is adopted as a general method.

구체적으로는, DRAM에 비해 액세스가 고속인 SRAM으로 구성되는 캐시 메모리를 MPU와 DRAM 사이에 배치하고, DRAM의 일부분의 정보를 SRAM에 캐싱해 두는 방법이다. 이 경우의 시스템은 MPU로부터의 메모리 액세스가 고속의 캐시 메모리로부터 행해지고, 캐시 메모리에 캐싱되어 있지 않은 어드레스 공간에 액세스 명령이 입수된 경우에만 DRAM으로부터의 액세스를 행한다. 이 방법에 의해, MPU와 DRAM의 속도 성능차가 있는 경우에도, 컴퓨터 시스템 성능은 큰 폭으로 개선되어 있다.Specifically, a cache memory composed of SRAMs having faster access than DRAMs is disposed between the MPU and the DRAMs, and information of a part of the DRAMs is cached in the SRAMs. In this case, the system accesses from the DRAM only when the memory access from the MPU is made from the high speed cache memory, and an access instruction is obtained in an address space not cached in the cache memory. By this method, even when there is a difference in speed performance between the MPU and the DRAM, computer system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단, 캐시 미스한 경우에는 DRAM으로부터의 판독이 필요하고, 특히 DRAM 메모리 공간의 동일 블럭 내의 다른 행 어드레스가 액세스된 경우, MPU에 있어서 최대의 대기 시간이 발생해버린다. 이하, 이 문제를 SDRAM을 예로 들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In the case of a cache miss, however, reading from the DRAM is required, and in particular, when another row address in the same block of the DRAM memory space is accessed, the maximum waiting time occurs in the MPU.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4 taking SDRAM as an example.

도 14는 SDRAM의 판독 동작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메모리의 계층화를 채용한 컴퓨터 시스템에서 캐시 미스가 발생하고, 주기억으로서 SDRAM으로부터의 액세스의 필요가 생기면, 시각 t1에서 시스템측으로부터 현재의 활성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대한 프리차지를 행해야 하고, 프리차지 커맨드(PRECHARGE)가 발행된다. 이것에 계속해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 MPU로부터 액티베이트 커맨드(ACTIVE)가 발행되고, 필요한 메모리 공간에 상당하는 뱅크가 활성화된다. 또한 특정의 시간 경과 후, 판독 커맨드(READ)가 발행된다. 이 판독 커맨드로부터 특정 시간 후의 시각 t2로부터 특정의 버스트 길이의 데이터가 클럭에 동기하여 SDRAM으로부터 판독된다.Fig. 14 shows an example of the read operation timing of the SDRAM. If a cache miss occurs in a computer system employing the above-described layering of memory, and a need for access from the SDRAM occurs as a main memory, a precharge of the currently active address from the system side should be performed at time t1, and precharged. The command PRECHARGE is issued. Subsequent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n activation command ACTIVE is issued from the MPU, and a bank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memory space is activated. After a specific time elapses, a read command READ is issued. From time t2 after a specified time from this read command, data of a particular burst length is read out from the SDRAM in synchronization with a clock.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럭에 동기하여 연속해서 판독되는 경우의 최대 밴드폭은 매우 높지만, 캐시 미스의 경우의 랜덤 액세스에 대한 실행적인 밴드폭은 현저하게 저하하고 있다. 즉, 대략 시각 t1에서 t2에 걸쳐서는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는 시간, 환언하면 MPU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대기 시간이 큰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maximum bandwidth in the case of continuously read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is very high, but the practical bandwidth for random access in the case of cache miss is significantly reduced. In other words, it is understood that the time for which data is not read from time t1 to t2, in other words, the waiting time when viewed from the MPU side is large.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낸 SDRAM 사양의 경우, 랜덤 사이클시의 최대 밴드폭은 버스트 사이클시의 그것의 36% 정도밖에 없다. 이것이 이후의 컴퓨터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보틀네크(bottleneck)로 될 가능성이 높다.Specifically, in the SDRAM specification shown in Fig. 14, the maximum bandwidth at random cycles is only about 36% of that at burst cycles. This is likely to be the bottleneck for future computer system performance improvements.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현재 보다 고속의 액세스 타임 및 사이클 타임을 실현한 고성능 DRAM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현재의 고기능 서버 머신을 중심으로 하는 멀티 MPU 시스템에서는, 고속 버스트 전송 뿐만 아니라, 고속 랜덤 액세스의 중요성이 높고, 또한 장래의 리얼타임 동화상 재생을 주목적으로 하는 민생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도 마찬가지의 고속 랜덤 액세스가 가능한 DRAM이 요청되는 것으로 생각된다.In view of these problems,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high performance DRAMs that realize faster access times and cycle times. In particular, in the multi-MPU system centered on the current high-performance server machine, not only high-speed burst transmission but also high-speed random access is important, and the same high-speed random is also used in a commercial multimedia system whose main purpose is to reproduce real-time video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an accessible DRAM is required.

이러한 요청을 배경으로 한 DRAM으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Enhanced Memory Systems Inc.로부터 발표되어 있는 Enhanced SDRAM(이하, ESDRAM)이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NEC사로부터 발표되어 있는 Virtual Channel Memory(이하, VCM) 등이 있다.As a DRAM based on such a request, Enhanced SD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ESDRAM) announced by Enhanced Memory Systems Inc. as shown in FIG. 15 and Virtual Channel Memo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C) as shown in FIG. , VCM).

그러나, ESDRAM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RAM으로 구성되는 캐시(SRAM CACHE)(101)를 뱅크마다 내장하는 것, 또한 VCM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터 회로로 구성되는 캐시(1K CACHE)(102)를 16K비트분 탑재하는 등, 종래의 DRAM 메모리 셀 어레이 이외에, 대용량의 캐시 메모리부를 신규로 탑재한다. 이렇게 해서, 고속 액세스 및 고속 사이클의 실현을 도모한 것으로서, 칩 사이즈에 대한 오버헤드가 높고 저비용화가 달성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ESDRAM, as shown in FIG. 15, a cache (SRAM CACHE) 101 composed of SRAMs is built into each bank. In the VCM, as shown in FIG. 16, a cache (1K CACHE) composed of register circuits is shown.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DRAM memory cell array, for example, the 102 is loaded with 16K bits, a large-capacity cache memory unit is newly installed. In this way, the high-speed access and the high-speed cycle are realiz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verhead for the chip size is high and the cost reduction is difficult to be achieved.

이 고속 랜덤 액세스 성능과 저비용화를 양립시키는 방법으로서, 종래의 DRAM의 동작 모드인 페이지 사이클의 개념을 폐지하는 방식이 있다.As a method of achieving both high speed random access performance and low cost, there is a method of abolishing the concept of page cycle, which is an operation mode of a conventional DRAM.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판독 커맨드(RCMD#1)가 발행되면, 워드선(WL)의 활성화를 개시하고, 비트선군(bBL/BL)에 셀 데이터를 판독한 후, 시각 t2에서 센스 앰프를 활성화시킨다. 센스 앰프에 의해 셀 데이터가 검지되면 시각 t3에서 컬럼 선택선(CSL)을 활성화하고, 비트선 데이터를 칩 내부의 데이터선(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송하고, 이것을 통해 칩 외부로 판독한다. 칩 내부의 데이터선으로부터 판독부까지의 배선을 데이터가 전파하는 시간을 이용하여, 센스 앰프에 의해 셀 데이터를 소망의 전압까지 증폭한다. 시각 t4에서 증폭이 완료되면, 워드선(WL)의 비활성화 및 비트선의 프리차지라 불리는 일련의 프리차지 동작을 자동적으로 개시시킨다. 이에 따라, 페이지 액세스 기능은 갖지 않지만, 최단 시간으로 일련의 액세스 시컨스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고속 랜덤 사이클이 실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7, when the read command RCMD # 1 is issued at time t1, activation of the word line WL is started to read the cell data into the bit line group bBL / BL. After that, the sense amplifier is activated at time t2. When the cell data is detected by the sense amplifier, the column select line CSL is activated at time t3, and the bit line data is transferred to a data line (not shown) inside the chip, which is read out of the chip. The data is propagated to the desired voltage by the sense amplifier by using the time that data propagates through the wiring from the data line inside the chip to the reading unit. When amplification is completed at time t4, a series of precharge operations called inactivation of the word line WL and precharge of the bit line are automatically started. Thereby, without the page access function, it becomes possible to complete a series of access sequences in the shortest time, and as a result, a high speed random cycle can be realized.

한편, 동기형 메모리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키는 한 방법으로서,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판독 데이터가 확정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소위 판독 지연(Read Latency: R.L.)과,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인, 소위 기록 지연(Write Latency: W.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한 메모리가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으로부터 제안되어 있는 노 버스 지연 SRAM(No Bus Latency SRAM: NoBL SRAM)이 그 일례이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data transfer capability from the synchronous memory to the maximum, so-called read delay (RL), which is a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to the confirmation of the read data, and the write command, A memory in which a so-called write delay (WL) is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has been devised, which is a delay time from setting to preparing valid write data. For example, a No Bus Latency SRAM (NoBL SRAM) proposed by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is one example.

종래의 파이프라인 SRAM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을 실현하기 위해 4 클럭의 주기가 필요했던 것을, NoBL SRAM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클럭으로 반감화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pipeline SRAM, as shown in FIG. 18, four clock cycles were required to realize a read / write mixing cycle. In the NoBL SRAM,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NoBL SRAM은 R.L.과 W.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도 19에서는 둘다 2 클럭 사이클)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의 판독과 기록을 불필요한 아이들 사이클없이 실행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NoBL SRAM sets R.L. and W.L.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both two clock cycles in Fig. 19), thereby enabling data reading and writing to be performed without unnecessary idle cycles, and improving the data transfer capability.

이러한 R.L.과 W.L.를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DRAM에 취입한 경우의 문제점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The problem when the method of setting such R.L. and W.L.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is incorporated into the DRAM will be described below.

DRAM은 SRAM과 달리, 메모리 내부의 동작이 워드선(WL) 구동 및 센스 앰프 구동에 대표되는 로우(Row)계의 둥작 후에, 센스 앰프에 판독된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이것의 일례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다. 환언하면, DRAM의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에는 로우계 동작의 완료, 즉 센스 앰프에 의해 셀 데이터가 검지·증폭된 후로부터 어느 유효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도 20에 나타낸다. 도 20에는 판독시의 내부 동작 상태를 시간에 대응시켜 나타낸다.Unlike the SRAM, the DRAM needs to read the data read into the sense amplifier after the operation in the memory is a low system round which is representative of the word line WL driving and the sense amplifier driving. An example of this is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reading from the memory cell of the DRAM requires a valid time after completion of the row-based operation, that is, after cell data is detected and amplified by the sense amplifier. A specific example is shown in FIG. 20 shows the internal operation state at the time of reading in correspondence with time.

도 20에 나타낸 와 같이,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워드선을 활성화시키고, 메모리 셀로부터 비트선에 셀 데이터를 판독할 때까지(WL Activation: W.ACT.) 10 ns, 센스 앰프에 의해 셀 데이터를 검지할 때까지(Sensing:SENSE.) 5 ns, 센스 앰프에 의해 셀 데이터를 증폭할 때까지(Restore:RSTRE) 10 ns, 프리차지(Equalize: EQL)에 5 ns 정도 필요하다고 가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DRAM의 사이클 타임은 30 ns로 된다.As shown in Fig. 20, 10 ns of cell data is activated by a sense amplifier until the word line is activated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and the cell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cell to the bit line (WL Activation: W.ACT.). 5 ns until detection (Sensing: SENSE.), 10 ns until cell data amplified by sense amplifier (Restore: RSTRE), and 5 ns for precharge (Equalize: EQL). have. The cycle time of the DRAM in this case is 30 ns.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이지 사이클의 개념을 폐지하면, DRAM의 데이터 판독은 센스 앰프에 의한 셀 데이터의 검지가 완료된 단계에서, 셀 데이터의 증폭에 병행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센스 앰프에 의한 셀 데이터의 검지(SENSE.)·증폭(RSTRE.)이 완료된 시점에서, 프리차지(EQL.)를 자동적으로 시작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20, when the concept of page cycles is abolished, the data read of the DRAM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amplification of the cell data at the stage where the cell data is detected by the sense amplifier. This is because the precharge (EQL.) Is automatically started when the sensing (SENSE.) And amplification (RSTRE.) Of the cell data by the sense amplifier is completed.

여기서, 셀 데이터를 칩 내부의 데이터선을 경유하여 칩의 외부로 판독할 때까지(Data Transfer: D.TRS.) 8ns 정도가 필요하다고 가정한 경우, 컬럼 선택선(CSL)을 센스 앰프에 의한 셀 데이터의 검지가 완료된 타임에서 활성화시키면,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칩의 외부로 실제로 데이터가 판독될 때까지의 기간(ACCESS TIME)은 약 25 ns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Here, when it is assumed that about 8 ns is required until the cell data is read out of the chip via the data line inside the chip (Data Transfer: D.TRS.), The column select line CSL is determined by the sense amplifier. If the cell data i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detection is completed, the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to the actual reading of the data out of the chip (ACCESS TIME) requires about 25 ns.

이것을 외부 클럭 CLK의 상승에 동기하여 데이터 버스에 전송하는 것으로 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R.L.은 3 클럭 사이클로 된다(이 상태를 R.L.=3이라고 정의한다).If this is transferred to the data bu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external clock CLK, as shown in Fig. 20, R.L. becomes three clock cycles (this state is defined as R.L. = 3).

한편, DRAM으로의 데이터의 기록을 고려한다. W.L.을 R.L.과 동일 클럭 사이클값의 3 클럭으로 설정한 경우,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3 클럭째의 타이밍에서 확정된 기록 데이터를 칩 내부에 취입하고, 칩 내부의 데이터선을 경유하여 센스 앰프까지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도 2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3 클럭째의 타이밍에서는, DRAM이 이미 프리차지(EQL.)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메모리 셀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consider writing the data into the DRAM. When WL is set to three clocks with the same clock cycle value as RL, the write data determined at the timing of the third clock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is taken into the chip, and the data is sent to the sense amplifier via the data line inside the chip. Will be sent. However, as can be seen from Fig. 20, at the timing of the third clock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the DRAM is already in the precharge (EQL.) State. For this reason, writing data into the memory cell becomes impossible.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록시에서의 프리차지 동작으로 이행할 때가지의 시간을, 판독시에서의 프리차지 동작으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보다도 길게 설정하면 된다. 즉, 기록시의 사이클 타임을 판독시의 사이클 타임보다도 길게 하면 된다. 그러나, 기록시의 사이클 타임을 길게 하기 때문에,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의 경우, 데이터 전송 효율은 현저하게 저하하고, 고속 랜덤 사이클 DRAM의 장점이 현저하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eliminate this, the time until the transition to the precharge operation at the time of recording may be set longer than the time until the transition to the precharge operation at the time of reading. That is,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writing may be longer than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reading. However, since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writing is lengthened, in the case of a read / write mixed cy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ta transfer efficiency is remarkably lowered and the advantages of the high speed random cycle DRAM are remarkably impaired.

이상과 같이, 페이지 사이클의 개념을 폐지하는 것으로 고속 사이클을 실현한 DRAM에서는, 판독 지연(R.L.)의 클럭 사이클값과 기록 지연(W.L.)의 클럭 사이클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일 페이지 내의 다른 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비트로의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에서는 데이터 전송 효율의 향상이 곤란하다.As described above, in a DRAM which realizes a high-speed cycle by eliminating the concept of page cycles, since the clock cycle value of the read delay RL and the clock cycle value of the write delay W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different column addresses within the same page are used.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data transfer efficiency in the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with the bits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한편, 판독 지연(R.L.)의 클럭 사이클값과 기록 지연(W.L.)의 클럭 사이클값을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기록시의 사이클 타임을 판독시의 사이클 타임보다도 길게 할 수 없다. 기록 데이터를 입력한 때, DRAM이 프리차지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데이터 전송 효율은 향상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lock cycle value of the read delay R.L. and the clock cycle value of the write delay W.L. are set equal,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writing cannot be longer than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reading. This is to prevent the DRAM from entering the precharge state when the write data is input. For this reason, data transfer efficiency does not improve.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판독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기록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 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인 판독 동작시, 연속적인 기록 동작시 및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 중 어느 경우에서도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반도체 기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a memory unit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 memory cell in accordance with a read command and writing information into the memory cell in accordance with a write comm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obtaining high data transfer efficiency in any of a continuous read operation, a continuous write operation, and a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집적·배치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을 포함하며, 외부 클럭에 동기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커맨드 중, 판독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동작, 및 기록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동작이 각각 가능한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판독 데이터를 확정할 때까지의 제1 지연 시간과, 상기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제2 지연 시간이 동일한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이 상기 판독 동작시와 상기 기록 동작시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integrated and arranged in a matrix shape, and includes a read command among a plurality of command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And a memory unit capable of respectively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cell and writing operation to write information to the memory cell in accordance with a write command. The first delay time from setting of the read command to confirming valid read data and the second delay time from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to preparing valid write data ar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When present, the start timing of the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section is different from the read operation and the write operation.

상기 구성을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이면, 제1, 제2 지연 시간을 각각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함과 함께, 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을 판독 동작시와 기록 동작시에서 서로 다르게 한다.In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and second delay times ar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respectively, and the start timing of the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section is different between the read operation and the write operation.

특히, 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을 판독 동작시와 기록 동작시에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특히 기록시의 사이클 타임과 판독시의 사이클 타임이 동일한 경우에도, 제2 지연 시간을 제1 지연 시간과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유효한 기록 데이터가 준비된 때에, 메모리부가 이미 프리차지 상태로 되어버리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timing of the start of the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unit differs between the read operation and the write operation, so that the second delay time is equal to the first delay time even when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writing and the cycle time at the time of reading are the same. The clock cycle value can be set. That is, when valid write data is prepared,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that the memory section is already in the precharge state.

이에 따라, 연속적인 판독 동작시, 및 연속적인 기록 동작시의 양쪽에서,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Thus, high data transfer efficiency can be obtained both in the continuous read operation and in the continuous write operation.

또한, 기록 동작시의 사이클 타임을 판독시의 사이클 타임보다도 길게 하지 않고, 제1 지연 시간과 제2 지연 시간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에서도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delay time and the second delay time can b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without making the cycle time in the write operation longer than the cycle time in the read operation, high data transfer even during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s. Efficiency can be obtained.

따라서, 연속적인 판독 동작시, 연속적인 기록 동작시, 및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 중 어느 경우에서도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이 얻어지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in which high data transfer efficiency can be obtained in any of a continuous read operation, a continuous write operation, and a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상기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판독 데이터가 확정될 때까지의 제1 지연 시간과, 상기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제2 지연 시간이 동일한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기록 동작 커맨드 사이클 내에서 메모리 셀로의 정보 기록이 완료되는 제1 기록 동작 모드, 및 상기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기록 동작 커맨드 사이클 내에서 메모리 셀로의 정보 기록이 완료되지 않은 제2 기록 동작 모드 중 한쪽, 또는 양쪽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until the read data is confirmed, and the second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to preparing valid write data When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a first write operation mode in which information writing to a memory cell is completed within a write operation command cycle in which the write command is set, and a write operation command to the memory cell in a write operation command cycle in which the write command is set; One or both of the second recording operation modes in which the information recording is not completed are set.

상기 구성을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이면, 제1 형태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와 마찬가지로,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기억 장치를 얻을 수 있다.In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milarly to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of the first aspect,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ata transfer efficiency during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s can be obtained.

또한,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때에는,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일 때에 불필요한 아이들 사이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set, generation of unnecessary idle cycles can be suppressed during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s. Therefore, the data transfer efficiency in the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연속 판독시의 동작 파형도,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연속 기록시의 동작 파형도.1A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during continuous read of a D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during continuous write of a D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시의 동작 파형도.2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during a read / write mixing cycle of a D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시의 동작 파형도.3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during a read / write mixing cycle of a D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시의 다른 동작 파형도.4 is another operation waveform diagram during a read / write mixing cycle of a D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of a D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의 일례의 블럭도, (b)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의 다른 예의 블럭도.Fig. 6A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command decoder & controller, and Fig. 6B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a command decoder & controller.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시의 또 다른 동작 파형도.Fig. 7 is still another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at the time of a read / write mixing cyc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블럭도.8 is a block diagram of a D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는 정합성 판정기의 일례의 블럭도, (b)는 정합성 판정기의 다른 예의 블럭도.Fig. 9A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and Fig. 9B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xample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블럭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DRA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는 제어 신호 발생기의 일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 (b)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일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 (c)는 클럭 CLK, /CLK를 나타낸 타이밍 차트.11A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circuit example of a control signal generator, (b)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one circuit example of a shift register, and (c) is a timing chart showing clocks CLK and / CLK.

도 12는 정합성 판정기의 일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 consistency determiner.

도 13은 리프레시 제어기의 일 회로예를 나타낸 회로도.Fig.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a refresh controller.

도 14는 종래의 SDRAM의 동작 파형도.14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a conventional SDRAM.

도 15는 종래의 ESDRAM의 블럭도.15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ESDRAM.

도 16은 종래의 VCM의 블럭도.16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VCM.

도 17은 종래의 페이지 액세스의 개념을 폐지한 DRAM의 동작 파형도.Fig. 17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a DRAM abolish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page access.

도 18은 종래의 파이프라인 SRAM의 동작 파형도.18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a conventional pipeline SRAM.

도 19는 종래의 NoBL SRAM의 동작 파형도.19 is an operational waveform diagram of a conventional NoBL SRAM.

도 20은 종래의 페이지 액세스의 개념을 폐지한 DRAM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blem of DRAM abolish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page acces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클럭 버퍼1: clock buffer

2 :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 Command Decoder & Controller

3 : 어드레스 레지스터3: address register

4 :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 input data register

5 : 어드레스 버퍼5: address buffer

6 : 데이터 입력 버퍼6: data input buffer

7 : 제어 신호 발생기7: control signal generator

8 : 행 디코더8: row decoder

9 : 열 디코더9: thermal decoder

10 : I/O 제어 회로10: I / O control circuit

11 : 센스 앰프·I/O 게이트11: Sense amplifier I / O gate

12 : 메모리 셀 어레이12: memory cell array

13 : 데이터 출력 버퍼13: data output buffer

14 : 정합성 판정기14: consistency checker

15 : 리프레시 제어기15: refresh controller

21 : 지연 기록 검출기21: delay recording detector

22, 22' : 커맨드 디코더22, 22 ': command decoder

23 : 스위치23: switch

23' : 스위치 회로23 ': switch circuit

24 : 통상 기록 제어기24: normal recording controller

25 : 지연 기록 제어기25: delay recording controller

31 : 제1 판정 회로31: first determination circuit

32 : 제2 판정 회로32: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33 : 레지스터 회로33: resistor circuit

41 : 기록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1: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write operation

42 : 판독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2: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read operation

43 : 입력 회로43: input circuit

44 :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44: shift register circuit

45 : 지연 기록 동작시용 제어 회로45: control circuit for the delay write operation

46 : 출력 회로46: output circuit

47 : 출력 제어 회로47: output control circuit

48 : 입력 회로48: input circuit

49 : 출력 회로49: output circuit

51 : NAND 게이트 회로51: NAND gate circuit

52 : 시프트 레지스터52: shift register

61 : 클럭형 인버터61: clock type inverter

62 : 인버터62: inverter

63 : 클럭형 인버터63: clock type inverter

71 : ADN 게이트 회로71: ADN gate circuit

72 : NOR 게이트 회로72: NOR gate circuit

81, 82 : 클럭형 인버터81, 82: clock type inverter

91, 92 : AND 게이트 회로91, 92: AND gate circuit

93 : NOR 게이트 회로93: NOR gate circuit

101 : 레지스터 회로101: resistor circuit

102 :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3 : 출력 회로103: output circuit

112 : 버퍼(인버터)112: buffer (inverter)

121 : EX-NOR 게이트 회로121: EX-NOR gate circuit

122 : NOR 게이트 회로122: NOR gate circuit

132 : 인버터132: Inverter

141 : 레지스터 회로141: register circuit

142 : 출력 회로142: output circuit

152 : 버퍼(인버터)152: buffer (inverter)

161 : NOR 게이트 회로161: NOR gate circuit

162 : 클럭형 인버터162: clock type inver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또한,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페이지 사이클 기능을 폐지한 고속 랜덤 사이클이 가능한 SDRAM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페이지 사이클 기능을 갖는 SDRAM에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llustrates the SDRAM which can perform the high speed random cycle which canceled the page cycle function,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SDRAM which has a page cycle func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의(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DRAM의 동작 파형도로서, 100 M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 외부 클럭(CLK)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데이터 출력까지의 지연 시간, 즉 판독 지연 R.L.은 "3",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지연 시간, 즉 기록 지연 W.L.은 "3"으로 하고, 각각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하고 있다.1A and 1B are operation waveform diagrams of the SD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assume a case of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CLK having an operating frequency of 100 MHz. . The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to the data output, that is, the read delay RL is " 3 ", and the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to the preparation of valid write data, i.e., the write delay WL is " 3 " The clocks ar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또한, 도 1의 (a) 및 (b)의 동작 파형도에는 SDRAM 내부의 동작 상태를 부기한다. 동작 상태로서는,In addition, in the operation waveform diagrams of Figs. 1A and 1B, an operation state inside the SDRAM is added. As an operation state,

(1)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워드선을 활성화시키고, 메모리 셀과 비트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동작 상태(WL Activation: W.ACT.:워드선 활성).(1) An operation state in which a word line is activated from the setting of a read command and electrically connects a memory cell and a bit line (WL Activation: W.ACT .: word line activation).

(2) 센스 앰프에 의해 비트선의 데이터를 검지하는 동작 상태(Sensing: SENSE: 데이터 검지).(2) The operating state of detecting the bit line data by the sense amplifier (Sensing: SENSE: data detection).

(3) 센스 앰프에 의해 비트선의 데이터를 증폭하는 동작 상태(Restore: RSTRE: 데이터 증폭)(3) Operation state of amplifying bit line data by sense amplifier (Restore: RSTRE: Data amplification)

(4) 워드선(WL)을 비활성화, 및 비트선을 프리차지하는 동작 상태(Equalize: EQL.: 프리차지).(4)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word line WL is inactivated and the bit line is precharged (Equalize: EQL .: precharge).

(5) 비트선의 데이터를 칩의 외부로 판독하는 동작 상태(Data Transfer: D.TRS.: 데이터 전송)(5) Operation state for reading data of the bit line to the outside of the chip (Data Transfer: D.TRS .: Data Transfer)

이상의 5가지를 상정한다.Assume the above five.

또한, 각 동작 상태에서의 동작 속도는 워드선 활성에 10 ns 정도, 데이터 검지에 5 ns 정도, 데이터 증폭에 10 ns 정도, 프리차지에 5 ns 정도, 데이터 전송에 8 ns 정도를 각각 상정한다.The operating speeds in each operation state are assumed to be about 10 ns for word line activity, about 5 ns for data detection, about 10 ns for data amplification, about 5 ns for precharge, and about 8 ns for data transfer.

이들의 상정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DRAM의 기본 스펙은 워드선 활성으로부터 프리차지까지의 시간, 즉 사이클 타임은 30 ns 정도,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칩 외부로 데이터가 판독될 때까지의 시간, 즉 액세스 타임은 25 ns 정도로 된다. 또한, 판독시의 사이클 타임(READ CYCLE TIME), 기록시의 사이클 타임(WRITE CYCLE TIME)은 서로 동일하게 30 ns 정도(= 3 클럭 사이클)이다.Based on these assumptions, the basic specification of the SD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the time from word line activity to precharge, that is, cycle time is about 30 ns,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until the data is read out of the chip. The time, ie the access time, is about 25 ns. The cycle time (READ CYCLE TIME) at the time of reading and the cycle time (WRITE CYCLE TIME) at the time of writing are equally about 30 ns (= 3 clock cycles).

이하, 이러한 SDRAM을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SDRAM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D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king this SDRAM as an example.

도 1의 (a)는 연속 판독 사이클에서의 동작 파형이다.Fig. 1A is an operating waveform in a continuous read cycle.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 t1에서 외부 클럭 CLK의 상승에 동기하여 판독 커맨드(RCMD#1)가 칩에 입력되면, 이것으로부터 약 25 ns 정도 후에 데이터가 판독되고, 시각 t2의 타이밍인 R.L.=3의 타이밍에서 판독 데이터(#1)가 확정된다. 또한, 시각 t1로부터 30 ns 후의 시각 t2에서, 재차 판독 커맨드(RCMD#2)를 칩에 입력시키면, 최대의 데이터 효율을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1A, when the read command RCMD # 1 is input to the chip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ise of the external clock CLK at time t1, data is read about 25 ns after this, and at time t2, The read data # 1 is determined at the timing RL = 3. Further, at time t2 30 ns after time t1, when the read command RCMD # 2 is input to the chip again, maximum data efficiency can be obtained.

한편, 도 1의 (b)는 연속 기록 사이클에서의 동작 파형이다.1B is an operating waveform in a continuous write cycle.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기록 사이클의 경우에도 시각 t1에서 기록 커맨드(WCMD#1)를 칩에 입력하고, 시각 t2(W.L.=3)에서 기록 데이터(#1)를 칩에 입력한다.As shown in Fig. 1B, even in a continuous write cycle, the write command WCMD # 1 is input to the chip at time t1, and the write data # 1 is written to the chip at time t2 (WL = 3). Enter it.

이 때, DRAM 내부의 동작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 본 발명의 키 포인트이다. 즉, 기록 데이터(#1)가 메모리 셀 내부로 완전히 기록 완료 가능하도록, 기록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지연시켜 개시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inside the DRA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hich is a key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start time of operation in the DRAM at the time of writing is delayed compared to the start time of operation in the DRAM at the time of reading so that the write data # 1 can be completely written into the memory cell.

예를 들면,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커맨드(WCMD#1)의 입력 시각 t1로부터 3 클럭 사이클 후의 시각 t2에서, 워드선(WL)의 기동을 개시한다(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의 개시). 이에 따라, 기록 데이터를 칩 내부의 데이터 버스를 통해 센스 앰프부까지 전송하는 타이밍을, 기록 대상의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메모리 셀의 워드선(WL)의 활성화가 완료되는 타이밍에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드선(WL)에 접속된 기록 대상의 메모리 셀 이외의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메모리 셀 데이터의 재기록(검지·증폭)이 행해지는 시간에 병행하여, 외부 데이터를 기록 대상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메모리 셀에 확실히 기록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B, the start of the word line WL starts at time t2 three clock cycles after the input time t1 of the write command WCMD # 1 (access to the memory section). Start of operation). As a result, the timing of transferring the write data to the sense amplifier via the data bus inside the chip can be made to substantially match the timing at which the activation of the word line WL of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o be written is completed. Therefore,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o be written is written in parallel with the time when the rewrite (detection and amplification) of the memory cell data corresponding to an address other than the memory cell as the write object connected to the word line WL is performed. You can record on

이와 같이 기록시에서도, 판독시와 마찬가지로, 시각 t1로부터 30 ns 후의 시각 t2에서, 재기록 커맨드(WCMD#2)를 칩에 입력할 수 있게 되고, 최대 데이터 전송 능력을 연속 판독시와 연속 기록시에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cording, as in the reading, at the time t2 30 ns after the time t1, the rewrite command WCMD # 2 can be input to the chip, and the maximum data transfer capability is obtained in the continuous reading and the continuous writing. The same can be set.

이상과 같이, 기록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적어도 1 클럭 사이클 이상 지연(도 1의 (b)에서는 3 클럭 사이클 지연)시킴으로써, 연속 판독 사이클 또는 연속 기록 사이클시에서도 데이터 전송 능력을 최대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writing is delayed by at least one clock cycle or more (three clock cycles delay in FIG. 1B) compared to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reading, so that the continuous read cycle or Even during continuous write cycles, the data transfer capacity can be set to the maximum.

이에 따라, 판독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 및 기록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SDRAM에 있어서, R.L.과 W.L.을 동일 클럭 사이클 값으로 설정해도, DRAM 내부의 동작에 모순, 즉 기록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DRAM이 프리차지 상태로 되어버리는 문제가 생기지 않고, 데이터 전송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an SDRAM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 memory cell in response to a read command and writing information into the memory cell in response to a write command, even when RL and WL ar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the operation in the DRAM is inconsistent. In other words, the DRAM does not become precharged when the write data is input, and the data transfer cap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3 클럭 사이클분(30 ns) 지연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시간은 외부 클럭의 주파수, 및 DRAM의 동작 속도 성능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writing is delayed by 3 clock cycles (30 n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reading is shown. Of course, the frequency and operating speed performance of the DRAM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지연시킴으로써 W.L과 R.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W.L and R.L can be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by delaying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writing compared with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reading.

그러나, 기록·판독 혼합 사이클의 경우, 어떤 커맨드 사이에서, 불필요한 아이들 사이클이 발생한다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현상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owever, in the case of a write / read mixed cycle, a phenomenon occurs that an unnecessary idle cycle occurs between certain commands. This phenomenon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연속적으로 판독·기록·판독·기록·…이 계속되는 액세스 시컨스를 상정하고 있다.2 shows continuous reading, writing, reading, recording, ...; This subsequent access sequence is assumed.

이 경우, 판독에서부터 기록까지의 사이에는 DRAM의 사이클 타임으로 결정되는 인터벌(3 클럭 사이클)로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기록에서 판독으로의 천이의 경우에는, 6 클럭 사이클이 필요하고, 그 결과 3 클럭분의 아이들 사이클(IDLE CYCLE)이 존재하게 된다. 이 이유는 기록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3 클럭 사이클분 지연시키기 때문에 기록 동작의 완료가 필연적으로 지연되어, 그 결과 판독 동작으로의 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2에는 이 형태가 DRAM 내부의 동작 타이밍으로서 나타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put a command at an interval (3 clock cycles) determined by the cycle time of the DRAM from read to write, but in the case of a transition from write to read, 6 clock cycles are required. As a result, there are three idle cycles (IDLE CYCL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writing is delayed by three clock cycles compared with the operation start time in the DRAM at the time of reading, so the completion of the write operation is inevitably delayed, and as a result, the transition to the read operation is impossible. Because. This form is shown in FIG. 2 as operation timing inside the DRAM.

이와 같이, 데이터 버스의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R.L.과 W.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취입한 DRAM의 경우에는, 기록 동작 사이클 직후의 판독 동작 사이클에서 아이들 사이클이 존재한다. 이 아이들 사이클의 개선, 즉 기록 커맨드로부터 이 후의 판독 커맨드까지의 인터벌을 단축할 수 있으면, 본 발명에 따른 DRAM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DRAM incorporating a method of setting R.L. and W.L.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ata bus, an idle cycle exists in a read operation cycle immediately after a write operation cycle. If the improvement in the idle cycle, that is, the interval from the write command to the subsequent read command can be shortened, the data transfer capability of the 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improved.

제2 실시 형태는 기록 커맨드로부터 이 후의 판독 커맨드까지의 인터벌을 단축하여, DRAM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 second embodiment aims to shorten the interval from the write command to the subsequent read command to further improve the data transfer capability of the DRAM.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 상당하는 고속 랜덤 사이클 DRAM의 동작 파형도이다.3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a high speed random cycle DRA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독·기록의 연속 사이클에서도, 기록 동작 사이클과 판독 동작 사이클 사이에, 특히 아이들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도 3에 DRAM 내부의 동작 타이밍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DRAM 내부에서 실제로 메모리 셀에 기록 동작이 행해지는 타이밍을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타임에서부터 개시하기 때문이다. 즉, 예를 들면 제1 기록 커맨드(WCMD#1)로 규정된 DRAM 내부로의 데이터의 기록 동작을 제2 기록 커맨드(WCMD#2)가 설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개시되도록 제어한다.As shown in Fig. 3, even in a continuous cycle of read / write, there is no idle cycle in particular between the write operation cycle and the read operation cycle. This is because, as shown in FIG. 3 as the operation timing in the DRAM,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iming at which the write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in the memory cell in the DRAM starts from the time when the next write command is set. That is, for example, the write operation of data into the DRAM defined by the first write command WCMD # 1 is controlled to start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second write command WCMD # 2 is set.

이하, 순차 실제의 DRAM으로의 기록 동작을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시각을 기점으로 하여 개시하도록 설정하면, 연속적으로 판독·기록·판독·기록·…이 연속하는 액세스 시컨스의 경우에 있어서도, 불필요한 아이들 사이클을 개재시키는 것이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페이지 사이클의 개념을 폐지한 고속 랜덤 사이클을 갖는 DRAM에, R.L.과 W.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이 경우, 3)으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도입한 경우에 있어서도, DRAM 내부의 동작에 모순이 생기지 않으므로, 아이들 사이클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when the write operation to the DRAM in real time is set to start from the time when the next write command is set, the reading, writing, reading, writing, ... Even in the case of this continuous access sequence, there is no unnecessary idle cycle.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introducing a method of improving data transfer efficiency by setting RL and WL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in this case, 3) in a DRAM having a high speed random cycle in which the concept of page cycles has been abolished, Since there is no contradiction in the internal operation, the idle cycle can be eliminated.

또한, 상기와 같이, DRAM 내부의 기록 동작을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시각을 기점으로 개시시키는 방식을 "통상 기록 동작"과 구별하여 2종류의 기록 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동작을 "통상 기록 동작"과 구별하는 의미로 "지연 기록 동작"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2개의 기록 동작은 DRAM의 제어 핀을 이용하여, 시스템측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set two types of recording modes by distinguishing the method of starting the write operation inside the DRAM from the time when the next write command is set from the "normal write operation". In this case, the record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delay recording operation" in the sense of distinguishing it from the "normal recording operation". These two write operations can also be freely set on the system side by using the control pins of the DRAM.

도 4에는 2종의 기록 동작을 이용하여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을 실현한 경우의 동작 타이밍의 일례를 나타내었다.4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timing when the read / write mixing cycle is realized by using two kinds of write operations.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통상 기록 동작"과 "지연 기록 동작"을 구별하기 위해, 전용 액세스 제어 핀을 설치하고, 이 제어 핀에 제어 신호 DW(Delayed Write: DW)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n example is provided in which a dedicated access control pin is provided and a control signal DW (Delayed Write: DW) is input to the control pin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normal write operation" and the "delayed write operation". have.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는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사이클에서, 제어 신호 DW를 "HIGH 레벨"로 설정한 경우에 지연 기록 동작으로 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xample shown in FIG. 4 assumes a case where a delayed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control signal DW is set to "HIGH level" in a cycle in which a write command is set.

도 4의 DRAM 내부의 동작 타이밍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회째의 기록 커맨드(WCMD#1)가 "지연 기록 동작"으로 설정되고, 그 직후에 판독 커맨드(RCMD#1)가 게속되고, 또한 그 후에 제2 회째의 기록 커맨드(WCMD#2)가 "통상 기록 동작"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DRAM 내부의 동작은 모순되지 않고, 2회의 기록 동작과 1회의 판독 동작이 가능하다. 이는, 도 4에 부기된 DRAM 내부의 동작 타이밍에서, DRAM의 동작이 반드시 일의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 즉 어떠한 타이밍에서도 DRAM의 동작이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부터 분명하다.As shown in the operation timing inside the DRAM of Fig. 4, the first write command WCMD # 1 is set to " delay write operation ", and immediately after that, the read command RCMD # 1 is continued and Even when the second write command WCMD # 2 is later set to " normal write operation ", the operation inside the DRAM is not inconsistent, and two write operations and one read operation are possible. This is evident from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RAM inside the DRAM appended to Fig. 4,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DRAM is necessarily determin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DRAM does not overlap at any timing.

또한, 기록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DRAM이 프리차지 상태로 되어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 기록 동작"의 동작 개시 시각을 판독시의 동작 개시 시각에 비해 3 클럭 사이클분 지연시키는 것이다. 이 3 클럭 사이클 동안에, 이것에 선행하는 기록 동작이 "지연 기록 동작"인 경우에, 그 기록 동작을 완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환언하면, "지연 기록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통상 기록 동작"시의 DRAM 내부의 동작 기점을 DRAM의 동작 가능한 사이클 타임 이상 지연시키는 것이 필수로 된다.In addition, the problem that the DRAM does not become a precharge state when the write data is input does not cause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start time at the time of reading the operation start time of the "normal write opera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is is delayed by 3 clock cycles. During these three clock cycles, when the write operation preceding this is a "delayed write 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complete the write opera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enable the "delay writ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delay the operation starting point in the DRAM during the "normal write operation" beyond the cycle time of the DRAM operation.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기록 동작"과 "지연 기록 동작"을 구별하기 위해, 전용 액세스 제어 핀을 설치하고, 여기에 제어 신호 DW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특정 핀의 상태를 유용하고, 더욱이는 복수의 핀을 조합하거나, 또는 일반적인 SDRAM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드 레지스터 설정 사이클에서 "통상 기록 동작" 및 "지연 기록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규정하는 등, 각종의 방법으로 실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a "normal write operation" and a "delay write opera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provided the dedicated access control pin and inputs the control signal DW wa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state of a particular pin is useful, and moreover, it is possible to combine multiple pins, or to define the operation of either "normal write operation" or "delay write operation" in a mode register setting cycle used in a typical SDRAM. Of course, it can be realized by various methods.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RA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동작 타이밍의 기준이 되는 외부 입력 클럭(CLK)은 클럭 버퍼(1)에 입력된 후, DRAM 내의 주요 블럭의 동작 타이밍을 규정하기 위해 주요 블럭에 대하여 적절하게 입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입력 클럭(CLK)은 클럭 버퍼(1)에 입력된 후, 어드레스 버퍼(ADDRESS BUFFERS; 5), 데이터 입력 버퍼(Din BUFFER; 6), 제어 신호 발생기(CONTROL SIGNAL GENERATOR; 7), 및 데이터 출력 버퍼(Dout BUFFER; 13)에 대하여 입력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external input clock CLK, which is a reference for all operation timings, is input to the clock buffer 1, and then appropriately inputted to the main block to define the operation timing of the main block in the DRAM.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input clock CLK is input to the clock buffer 1, and then the address buffer ADDRESS BUFFERS 5, the data input buffer DIN BUFFER 6,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 And an example of input to the data output buffer (Dout BUFFER) 13 are shown.

칩 셀렉트 신호(/CS) 등으로 구성되는 커맨드 규정 클럭군(/CS 등)은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COMMAND DECODER & CONTROLLER; 2)에 입력된다.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는 각종 커맨드를 해독함과 함께, 해독된 결과에 따라 DRAM 내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어 신호 DW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 신호 DW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에 입력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에서, 2종의 기록 동작, 즉 "통상 기록 동작"인지 "지연 기록 동작"인지가 판별되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기록 동작이 DRAM 내부에 규정되게 된다.The command defining clock group (/ CS, etc.) composed of the chip select signal / CS and the like is input to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decrypts various commands and controls operations in the DRAM in accordance with the decrypted result. 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trol signal DW is input, the control signal DW is input to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Thereby, in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it is determined whether two types of write operations, i.e., "normal write operation" or "delay write operation", and any one of these write operations is defined inside the DRAM.

"지연 기록 동작"이 규정된 경우,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는,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3) 및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INPUT DATA REGISTER)(4)를 각각 활성화시킨다. 또, 어드레스 레지스터(3)는 외부 어드레스(ADDRESS)가 입력되는 어드레스 버퍼(ADDRESS BUFFERS)(5)의 출력에 접속되며,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는 데이터 핀(DQ0-DQn)으로부터 기록 데이터가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 버퍼(Din BUFFER)(6)의 출력에 접속된다. 어드레스 레지스터(3)가 활성화됨으로써, 어드레스 레지스터(3)는 지연 기록 대상이 되는 셀의 어드레스 정보를 유지·기억하도록, 또한,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가 활성화됨으로써,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는 지연 기록 대상이 되는 기록 데이터 정보를 유지·기록하도록 각각 동작된다.When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pecified,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activates the address register ADDRESS REGISTER 3 and the input data register 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ddress register 3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address buffer ADDRESS BUFFERS 5 to which the external address ADDRESS is input, and the input data register 4 receives the write data from the data pins DQ0-DQn.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data input buffer (Din BUFFER) 6. By activating the address register 3, the address register 3 holds and store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cell to be delayed write. Also,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activated, whereby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delayed. The recording data information to be recorded is held and recorded respectively.

그리고,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는 제어 신호 발생기(CONTROL SIGNAL GENERATOR)(7)를 제어하고, 통상 기록 동작, 지연 기록 동작 및 판독 동작에서 각각 다른 동작 기점 타이밍을 외부 입력 클럭(CLK)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결정시킨다. 그리고, 제어 신호 발생기(7)는 DRAM의 코어 회로부인, 행 디코더(ROW DECODER)(8), 열 디코더(COLUMN DECODER)(9) 및 I/O 제어 회로(I/O CONTROL CIRCUITS)(10) 등의 동작 타이밍을 결정시킨다.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control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nd the timing of the external input clock CLK is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starting timing in the normal write operation, delayed write operation, and read operation. Determin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is a row decoder (ROW DECODER) 8, a column decoder (COLUMN DECODER) 9, and an I / O CONTROL CIRCUITS (10), which is a core circuit part of the DRAM. Determine the operation timing.

"통상 기록 동작"일 때, 데이터 핀(DQ0-DQn)으로부터 데이터 입력 버퍼(6)에 입력된 기록 데이터가, I/O 제어 회로(10), 및 I/O 게이트 & 센스 앰프(SENSE AMP. & I/O GATE)(11)를 경유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MEMORY ARRAY)(12)에 형성된 도시 생략한 메모리 셀에 기록된다.In the "normal write operation", write data input from the data pins DQ0-DQn to the data input buffer 6 is stored in the I / O control circuit 10 and the I / O gate & sense amplifier SENSE AMP. It is written to a memory cell (not shown) formed in the memory cell array 12 via the & I / O GATE 11.

"지연 기록 동작"시,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6)에 기억·유지된 기록 데이터가, "통상 기록 동작"시와 마찬가지로, I/O 제어 회로(10) 및 I/O 게이트 & 센스 앰프(11)를 경유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12)에 형성된 도시 생략한 메모리 셀에 기록된다.In the "delayed write operation", the write data stored and held in the input data register 6 is similar to the "normal write operation" in the I / O control circuit 10 and the I / O gate & sense amplifier 11. By way of example, the memory cells are written to memory cells (not shown) formed in the memory cell array 12.

한편, "판독 동작"시, 도시 생략한 메모리 셀에 유지·기억된 정보가, I/O 게이트 & 센스 앰프(11)로부터, I/O 제어 회로(10)를 경유하여, 데이터 출력 버퍼(Dout BUFFER)(13)로부터, 데이터 핀(DQ0-DQn)에 판독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 read operation ", information held and stored in a memory cell (not shown) is transferred from the I / O gate & sense amplifier 11 to the data output buffer Dout via the I / O control circuit 10. From the BUFFER 13 is read to the data pins DQ0-DQn.

다음에, 제2 실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for realizing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의 (a)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의 제1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도 6의 (a)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 중, 이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와 제어 신호 발생기(7)와의 접속 부분만을 도시한다.FIG. 6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As shown in FIG. 6A shows only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mong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성예는, 지연 기록 검출기(DELAYED WRITE DETECTOR)(21), 커맨드 디코더(COMMAND DECODER)(22), 스위치(23), 통상 기록 제어기(NORMAL WRITE CONTROLLER)(24) 및 지연 기록 제어기(DELAYED WRITE CONTROLLER)(2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A,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includes a delayed write detector 21, a command decoder 22, a switch 23, and a normal write controller NORMAL. WRITE CONTROLLER 24 and DELAYED WRITE CONTROLLER 25.

지연 기록 검출기(21)는, 제어 신호(DW)를 수신하고, 이 신호가 "HIGH 레벨"인지 "LOW 레벨"인지에 따라, "지연 기록 동작"인지 "통상 기록 동작"인지를 검출한다. 이 검출 결과는 커맨드 디코더(22)에 전송된다.The delay recording detector 21 receives the control signal DW and detects whether it is a "delay recording operation" or a "normal recording oper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signal is "HIGH level" or "LOW level". This detec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mmand decoder 22.

커맨드 디코더(22)는 커맨드 규정 클럭군(/CS ETC.)을 수신하고, 입력된 커맨드를 해독하여, 예를 들면 "기록"인지 "판독"인지를 판별한다. 이 제1 구성예의 커맨드 디코더(22)는, "기록"으로 판별한 경우, 지연 기록 검출기(21)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다시 참조하여, "지연 기록 동작"인지 "통상 기록 동작"인지를 다시 판별한다. 그리고, 이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23)를 전환 제어한다.The command decoder 22 receives the command specification clock group (/ CS ETC.), decodes the input command, and determines, for example, whether it is "write" or "read". When the command decoder 22 of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determines that " write ", the command decoder 22 again refers to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delay write detector 21 to determine again whether it is a "delay write operation" or a "normal write operation". do. Based on this determination result, the switch 23 is controlled to be switched.

"통상 기록 동작"의 경우, 스위치(23)는 통상 기록 제어기(24)를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제어 신호 발생기(7)는 통상 기록 제어기(24)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In the case of "normal recording operation", the switch 23 normally connects the recording controller 24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is normally controlled by the output from the recording controller 24.

한편, "지연 기록 동작"의 경우, 스위치(23)는 통상 기록 제어기(24) 대신 지연 기록 제어기(25)를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제어 신호 발생기(7)는 지연 기록 제어기(25)에 접속되며, 제어 신호 발생기(7)는 지연 기록 제어기(25)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elay write operation", the switch 23 connects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instead of the normal write controller 24. There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is connected to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is to be controlled by the output from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도 6의 (b)는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의 제2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또한, 도 6의 (b)는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 중, 이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와 제어 신호 발생기(7)의 접속 부분만을 도시한다.FIG. 6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As shown in FIG. 6B shows only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mong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similarly to FIG. 6A.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예는, 커맨드 디코더(COMMAND DECODER)(22'), 스위치 회로(23'), 통상 기록 제어기(NORMAL WRITE CONTROLLER)(24) 및 지연 기록 제어기(DELAYED WRITE CONTROLLER)(2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B, the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includes a command decoder 22 ', a switch circuit 23', a normal write controller 24 and a delay write. DELAYED WRITE CONTROLLER 25.

제2 구성예가, 제1 구성예와 특히 다른 점은, 제어 신호(DW)를 커맨드 디코더(22')에 입력하는 점이다. 이에 의해, 커맨드 디코더(22')에는, 제어 신호(DW)와 커맨드 규정 클럭군(/CS ETC.)과의 조합에 의한 커맨드가 입력된다. 그리고, 입력된 커맨드를 해독한다.The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is particularly different from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in that a control signal DW is input to the command decoder 22 '. Thereby, the command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trol signal DW and the command specification clock group / CS ETC. is input to the command decoder 22 '. Then, the input command is decrypted.

또한, 제2 구성예는, 스위치(23)의 일 구성예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tructural example includes one structural example of the switch 23.

스위치(23)의 일 구성예는, 복수의 논리 회로에 의해 구성한 스위치 회로(23')이다. 그리고, 도 6의 (b)에는, 스위치 회로(23')의 일 회로예가 도시되어 있다.One structural example of the switch 23 is a switch circuit 23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logic circuits. 6B shows an example of a circuit of the switch circuit 23 '.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회로(23')의 일 회로예는, 통상 기록 제어기(24)의 출력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AND 회로(26-1), 지연 기록 제어기(25)의 출력을 활성화할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AND 회로(26-2), 및 이들 2 개의 AND 회로(26-1, 26-2)의 출력의 논리합을 출력하는 NOR 회로(27)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B, one circuit example of the switch circuit 23 'is an AND circuit 26-1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activate an output of the recording controller 24, and delayed recording. AND circuit 26-2 for controlling whether to activate the output of the controller 25, and NOR circuit 27 for outputting the logical sum of the outputs of these two AND circuits 26-1 and 26-2. It is composed.

"통상 기록 동작"시, 제2 구성예의 커맨드 디코더(22')는 그 출력을 "HIGH 레벨"로 한다. 이 "HIGH 레벨"의 출력은 AND 회로(26-1)에 입력된다. 이 결과, AND 회로(26-1)는 활성화되어, 그 출력 레벨을 통상 기록 제어기(24)의 출력 레벨에 따라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통상 기록 제어기(24)의 출력이 활성화된다.In the "normal write operation", the command decoder 22 'of the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sets the output to "HIGH level". The output of this "HIGH level" is input to the AND circuit 26-1. As a result, the AND circuit 26-1 is activated to change its output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level of the normal write controller 24. FIG. As a result, the output of the normal recording controller 24 is activated.

AND 회로(26-2)에는, 인버터(28)에서 반전된 "LOW 레벨"의 출력이 입력된다. 이 때문에, AND 회로(26-1)와는 반대로, AND 회로(26-2)는 활성화된다. 따라서, AND 회로(26-2)의 출력 레벨은 지연 기록 제어기(25)의 출력 레벨에 관계없이, "LOW 레벨"로 고정된다.The output of the "LOW level" inverted by the inverter 28 is input to the AND circuit 26-2. For this reason, the AND circuit 26-2 is activated as opposed to the AND circuit 26-1. Therefore, the output level of the AND circuit 26-2 is fixed to the "LOW level", regardless of the output level of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FIG.

NOR 회로(27)는, AND 회로(26-2)로부터의 "LOW 레벨"의 출력을 수신하여 활성화되며, 그 출력 레벨을 AND 회로(26-1)의 출력 레벨에 따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통상 기록 제어기(24)로부터의 출력이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입력되게 되어, 제어 신호 발생기(7)를 통상 기록 제어기(24)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The NOR circuit 27 receives an "LOW level" output from the AND circuit 26-2 and is activated, and changes its output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level of the AND circuit 26-1. As a result, the output from the normal recording controller 24 is input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so that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can be controlled by the output from the normal recording controller 24.

한편, "지연 기록 동작"시, 제2 구성예의 커맨드 디코더(22')는 그 출력을 "LOW 레벨"로 한다. 이 때문에, "통상 기록 동작"시와는 반대로, AND 회로(26-1)는 비활성으로 되며, 그 출력 레벨은, 통상 기록 제어기(24)의 출력 레벨에 관계없이, "LOW 레벨"로 고정된다. 또한, AND 회로(26-2)는 활성으로 되며, 그 출력 레벨은 지연 기록 제어기(25)의 출력 레벨에 따라 변화한다. 즉, 지연 기록 제어기(25)의 출력이 활성으로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lay write operation", the command decoder 22 'of the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sets the output to "LOW level". For this reason, as opposed to the "normal write operation", the AND circuit 26-1 becomes inactive, and its output level is fixed to the "LOW level" irrespective of the output level of the normal write controller 24. FIG. . In addition, the AND circuit 26-2 becomes active, and its output level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level of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In other words, the output of the delay recording controller 25 becomes active.

NOR 회로(27)는, AND 회로(26-1)로부터의 "LOW 레벨"의 출력을 받아 활성으로 되어, 그 출력 레벨을 AND 회로(26-2)의 출력 레벨에 따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지연 기록 제어기(25)로부터의 출력이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입력되게 되어, 제어 신호 발생기(7)를 지연 기록 제어기(25)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The NOR circuit 27 receives the output of the "LOW level" from the AND circuit 26-1, becomes active, and changes the output level according to the output level of the AND circuit 26-2. As a result, the output from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is input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so that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can be controlled by the output from the delay write controller 25.

이들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는 "통상 기록 동작"인지 "지연 기록 동작"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기록 동작"시, 통상 기록 제어기(24)로부터의 출력을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입력할 수 있으며, "지연 기록 동작"시, 지연 기록 제어기(25)로부터의 출력을 제어 신호 발생기(7)에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통상 기록 동작" 및 "지연 기록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DRAM 내부에 규정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can determine whether it is a "normal write operation" or a "delay write operation". And, in the "normal recording operation", the output from the normal recording controller 24 can be input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nd in the "delay recording operation", the output from the delay recording controller 25 is controlled. It can be entered into the generator 7. As a result, one of the " normal write operation " and " delayed write operation &quot; can be defined inside the DRAM.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기재한 "지연 기록 동작"의 다른 제어법에 관한 것이다.The third embodiment relates to another control method of the "delay recording operation"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지연 기록 동작"이 규정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메모리 셀로의 실제의 기록 동작은,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타이밍을 기점으로 동작을 개시시킴으로써, 아이들 사이클이 없이, 고속의 연속적인 판독·기록 혼합 사이클이 실현가능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된 직후에, 이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커맨드가 설정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actual write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for which the " delay write operation " is specified is performed at a high speed without an idle cycle by starting the operation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next write command is set.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successive read / write mixing cycles are feasible, there may be a case where a read command from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is address is set immediately after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et.

도 7에 이 액세스 시컨스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하였다. 소정 어드레스(ADD1)에 상당하는 지연 기록 커맨드(WCMD)의 직후에, 그것과 동일 어드레스에 대한 판독 커맨드(RCMD)가 입력된 경우이다. 이 경우, "지연 기록 동작"이 규정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메모리 셀에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메모리 셀로부터의 정보를 판독하는 것에서는, 지연 기록시에 메모리 셀 데이터의 정보를 재기록하는 경우에, 데이터의 정합성(코히어런시)을 유지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기록된 데이터가 실제로는 메모리 셀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기록 전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만다.Fig. 7 shows the operation timing of this access sequence. This is the case where the read command RCMD for the same address is input immediately after the delay write command WCMD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address ADD1. In this case, since information is not recorded in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for which the " delay write operation " is specified, when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cell, the information of the memory cell data is rewritten during delay writing. In this cas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data consistency (coherency) cannot be maintained. That is, since the written data is not actually written in the memory cell, the data before writing is read out.

제3 실시 형태의 목적은, 기록된 데이터가 실제로는 메모리 셀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도,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third embodiment is to read the recorded data even if the recorded data is not actually recorded in the memory cell.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판독 요구된 메모리 셀에 데이터가 아직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 판독 요구된 메모리 셀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지 않고, 이 메모리 셀에 기록해야 할 정보를 기억·유지하고 있는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을 해소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data has not yet been written to a read requested memory cell, information to be written into this memory cell is stored without reading data from the read requested memory cell. • Read data from the held input data register (4). This eliminates the problem that data integrity cannot be maintained.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이 도 5에 도시한 DRAM과 특히 다른 점은, 정합성 판정기(COHERENCY DETECTOR)(14), 및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차단함과 함께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도통시키는 스위치(SW1, SW2)를 새롭게 추가한 점이다.As shown in FIG. 8, the D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particularly different from the DRAM shown in FIG. 5 in that it blocks the read path from the coherence detector 14 and the memory cell. At the same time, the switches SW1 and SW2 are newly added to conduct the read path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판독 커맨드가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에 의해 해독되면, 정합성 판정기(14)는, 이 커맨드 사이클 이전에,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후, 어드레스 버퍼(5)로부터의 어드레스와 어드레스 레지스터(3)로부터의 어드레스를 비교하고, "지연 기록 동작"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의 판독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결과가 "참", 즉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되며, 또한 지연 기록 요구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와, 판독 요구된 메모리 셀의 어드레스가 일치한 경우, 정합성 판정기(14)는 I/O 제어 회로(10)와 데이터 출력 버퍼(13)간에 배치된 스위치(SW1)를 비도통 제어함과 동시에,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와 데이터 출력 버퍼(13)간에 배치된 스위치(SW2)를 도통 제어한다. 이에 의해,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가 차단됨과 함께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의 판독 경로가 도통되어,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 판독된다.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에 기억·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는, 판독 요구된 메모리 셀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이다. 따라서, 기록되어 있을 데이터가 판독되지 않고 기록 전의 데이터가 판독되고 만다는 데이터의 정합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ead command is decoded by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determines whether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et before this command cycle. Thereafter, the address from the address buffer 5 is compared with the address from the address register 3,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read. When this determination result is set to "true", that is, "delay write operation", and the address of the memory cell for which the delay write request is requested and the address of the memory cell for which the read request is matched,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is set to I / I. The non-conductive control of the switch SW1 disposed between the O control circuit 10 and the data output buffer 13 and the conduction of the switch SW2 disposed between the input data register 4 and the data output buffer 13. To control. As a result, the read path from the memory cell is interrupted and the read path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conducted so that data is read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The data stored and held in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data to be written to the memory cell for which read is reques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tegrity of the data that the data to be recorded is not read and the data before writing is read.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정합성 판정기(14)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for realizing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9의 (a)는 정합성 판정기(14)의 제1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9A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성예는 제1 판정 회로(1ST CHECKER)(31), 제2 판정 회로(2ND CHECKER)(3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9A,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includes a first determination circuit 1ST CHECKER 31 and a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2ND CHECKER 32.

제1 판정 회로(31)는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 내에, 아직 메모리 셀에 기록을 행하고 있지 않은 정보가 남아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2 판정 회로(32)는 "지연 기록 동작"이 지정된 어드레스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3) 내의 정보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가 일치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The first determination circuit 31 determines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in the input data register 4 that has not yet been written to the memory cell. The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32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n the address register 3 that holds the address information for which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pecified and the address input from the outside match.

제1 판정 회로(31)가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 내에 정보가 남아 있다"고 판정한 경우, 판독 커맨드가 입력된 사이클 이전에,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되어 있게 된다. 즉, 제1 판정 회로(31)의 출력 정보는 "참"이다.When the first judging circuit 31 determines that "information remains in the input data register 4",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et before the cycle in which the read command is input. In other words,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determination circuit 31 is "true".

또한, 제2 판정 회로(32)가 어드레스 레지스터(3) 내의 정보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가 일치하고 있으면, 데이터가 기록되는 메모리 셀과 데이터가 판독되는 메모리 셀이 일치하고 있게 된다. 즉, 제2 판정 회로(32)의 출력 정보는 "참"이다.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n the address register 3 and the address input from the outside coincide with the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32, the memory cell in which data is written and the memory cell in which data is read out match. In other words,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32 is "true".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판정 회로(31, 32)의 출력 정보가 모두 "참"인 경우, 정합성 판정기(14)는 스위치(SW1)를 비도통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SW2)를 도통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가 차단되고,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의 판독 경로가 도통됨으로써,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 판독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determination circuits 31 and 32 are both "true",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controls the switch SW1 to be non-conductive and simultaneously switches the switch SW2. To control the conduction. As a result, as described above, the read path from the memory cell is interrupted, and the read path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conducted so that data is read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도 9의 (b)는 정합성 판정기(14)의 제2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FIG. 9B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구성예가 제1 구성예와 다른 점은, 제1 판정 회로(31) 대신, 레지스터 회로(REGISTER)(33)를 설치한 점이다. 이에 의해,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B, the second configuration example differs from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in that a register circuit (REGISTER) 33 is provided instead of the first determination circuit 31. As a result, th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can be omitted.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의 신호 입력을 생략하기 위한 레지스터 회로(33)의 일례는,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된 경우에 세트되며, "도통 기록 동작"이 설정된 경우에 리셋되도록 동작시키는 것이다.An example of the register circuit 33 for omitting the signal input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set when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et, and is operated to be reset when the "conductive write operation" is set.

제2 판정 회로(32)는 레지스터 회로(33)의 출력을 받아 "지연 기록 동작"이 지정된 어드레스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어드레스 레지스터(3) 내의 정보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어드레스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The second judging circuit 32 receives the output of the register circuit 33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n the address register 3 that holds the address information for which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pecified matches the address input from the outside. Determine.

제2 판정 회로(32)의 출력 정보가 상술한 대로 "참"인 경우, 정합성 판정기(14)는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스위치(SW1)를 비도통 제어함과 동시에 스위치(SW2)를 도통 제어한다.Whe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determination circuit 32 is " true " as described above, the consistency determination unit 14 conducts the switch SW2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configuration example, while controlling the non-conduction control of the switch SW1. To control.

또한, "지연 기록 동작" 및 "통상 기록 동작"에 의해 세트 혹은 리셋되는 레지스터의 기능을,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에 내장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정합성 판정기(14)를 제2 판정 회로(32)만으로 구성할 수 있어, 정합성 판정기(14)를 보다 간략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register set or reset by the "delay write operation" and the "normal write operation" may be incorporated in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In this case,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can be comprised only by the 2nd determination circuit 32, and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can be simplified more.

[제4 실시 형태][4th Embodiment]

제4 실시 형태는 제3 실시 형태에 기재한 지연 기록 동작의 보조적인 제어법이다.The fourth embodiment is an auxiliary control method for the delay recording operation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도 3의 실시 형태에서는,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차단하고, 데이터 입력 레지스터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도통시킴으로서, 데이터의 정합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을 정지하는 경우에도 대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경우, 메모리 내에 있는 필요한 정보는, 하드 디스크 장치로 대표되는 외부의 대용량 불휘발성 기억 장치에 보존된 후, 전원이 차단된다. 이 경우에도 메모리에는 판독 명령이 발행되게 된다. 이 때, 지연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동작이 행해지면서, 메모리 셀의 데이터의 기록이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정합성 판정기(14)의 개재에 의해, 이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차단하고, 데이터 입력 레지스터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도통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it has been explained that it is possible to have data consistency by interrupting the read path from the memory cell and conducting the read path from the data input register. Thereby, for example, even when the use of a computer system is stopped, it can respond. Specifically, when the computer system is stopped,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the memory is stored in an external large capacity nonvolatile storage device represented by a hard disk device, and then the power source is cut off. Even in this case, a read command is issued to the memory. At this time, while the write operation in the delayed write mode is performed,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writing of the data of the memory cell is not completed, but the read path from this memory cell is interrupted by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By blocking and conducting the read path from the data input regist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data integrity.

그러나, 휴대 정보 기기 등에서는, 주기억인 메모리 정보를 불휘발성 외부 기억 매체로 판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휴지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줌 기능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주기억인 DRAM의 정보는 리프레시 동작에 의해 유지한 채, 외부 기억 장치, MPU, 문자 정보 표시 장치 등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이다. 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 제4 실시 형태이다.However,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or the like,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use of the system is temporarily st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memory information that is the main memory is not read by the nonvolatile external storage medium. Specifically, the resume function is a case where the power of the external memory device, the MPU, the character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the like is cut off while the information of the main memory DRAM is maintained by the refresh operation.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is is the fourth embodiment.

도 10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의 일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DRAM이 도 8에 도시한 DRAM과 특히 다른 점은, 리프레시 제어기(REFRESH CONTROLLER)(15)를 추가한 점이다.10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DRA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DRA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s particularly different from the DRAM shown in FIG. 8 in that a refresh controller 15 is added.

리프레시 커맨드가 커맨드 디코더 & 컨트롤러(2)에 의해 해독되면, 리프레시 제어기(15)는 이 커맨드 사이클 이전에,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 판정 결과가 "참", 즉 "지연 기록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리프레시 제어기(15)는 즉각 제어 신호 발생기(7)를 활성화하고, 어드레스 레지스터(3)에 유지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대해 기록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에 유지되어 있던 지연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셀에 기록된다. 이어서 통상의 리프레시 동작이 개시되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리줌 기능으로의 대응이 가능해진다.When the refresh command is decoded by the command decoder & controller 2, the refresh controller 15 determines whether the "delay write operation" is set before this command cycle. Then, when this determination result is set to "true", that is, "delay write operation", the refresh controller 15 immediately activates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to the address held in the address register 3. Control to start a recording operation. As a result, the delay write data held in the input data register 4 is written to the memory cell. Subsequently, the normal refresh operation is started, thereby enabling the above-described resume function.

다음으로, 제어 신호 발생기(7), 정합성 판정기(14) 및 리프레시 제어기(15)의 구체적인 회로예를 설명한다.Next, specific circuit examples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and the refresh controller 15 will be described.

[제어 신호 발생기(7)][Control signal generator 7]

도 11의 (a)는 제어 신호 발생기(7)의 일 회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FIG. 11A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회로예에 따른 제어 신호 발생기(7)는 기록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1) 및 판독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2)를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1A,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7 according to one circuit example has a control signal generator circuit 41 for a write operation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circuit 42 for a read operation.

기록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1)는 입력 회로(43),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44), 지연 기록 동작시용 제어 회로(45), 출력 회로(46) 및 출력 제어 회로(47)를 포함하고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1 for the write operation includes an input circuit 43, a shift register circuit 44, a control circuit 45 for the delay write operation, an output circuit 46, and an output control circuit 47. .

입력 회로(43)의 일 회로예는, NAND 게이트 회로(51)이다. 주변 회로 활성 신호(ACT) 및 기록 커맨드 활성 신호(WCMD)는 NAND 게이트 회로(51)에 입력된다. NAND 게이트 회로(51)의 출력은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44)에 입력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input circuit 43 is the NAND gate circuit 51. The peripheral circuit activation signal ACT and the write command activation signal WCMD are input to the NAND gate circuit 51. The output of the NAND gate circuit 51 is input to the shift register circuit 44.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44)의 일 회로예는 서로 직렬로 접속된 6 단의 시프트 레지스터(52)(52-1∼52-6)이다. 시프트 레지스터(52)의 일 회로예를 도 11의 (b)에 도시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shift register circuit 44 is six-stage shift registers 52 (52-1 to 52-6)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One circuit example of the shift register 52 is shown in Fig. 11B.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52)는 신호 SHIFT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는 클럭형 인버터(61), 클럭형 인버터(61)의 출력이 입력되는 인버터(62), 인버터(62)의 출력이 입력되며 신호 SHIFT로부터 180도 위상이 어긋난 신호 /SHIFT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는 클럭형 인버터(63)를 포함한다. 클럭형 인버터(63)의 출력은 클럭형 인버터(61)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52)는 신호 SHIFT = "HIGH", 신호 /SHIFT = "LOW"일 때, 입력(IN)의 신호 레벨을 반전시킨 출력 OUT을 출력한다. 또한, 신호 SHIFT = "LOW", 신호 /SHIFT = "HIGH"일 때, 출력 OUT의 신호 레벨 (정보)을 유지한다. 또, 신호 SHIFT는 도 11의 (a)에 도시한 클럭 CLK 또는 클럭 /CLK에 대응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1B, the shift register 52 includes a clock-type inverter 61 whose output is controlled by a signal shift, an inverter 62 to which an output of the clock-type inverter 61 is input, and an inverter. An output of 62 is input and includes a clock type inverter 63 whose output is controlled by a signal / SHIFT 180 degrees out of phase from the signal SHIFT. The output of the clocked inverter 63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clocked inverter 61. The shift register 52 outputs the output OUT inverting the signal level of the input IN when the signal SHIFT = "HIGH" and the signal / SHIFT = "LOW". Also, when signal SHIFT = "LOW" and signal / SHIFT = "HIGH", the signal level (information) of the output OUT is maintained. The signal SHIFT corresponds to the clock CLK or clock / CLK shown in Fig. 11A.

6 단의 시프트 레지스터(52-1∼52-6)에는, 기본적으로, 외부 클럭에 동기한 클럭 CLK 및 이 클럭 CLK로부터 180도 위상이 어긋난 클럭 /CLK가 교대로 입력된다. 각 시프트 레지스터(52-1∼52-6) 내에 유지된 정보를 각각 시프트시키기 위해서이다. 클럭 CLK와 클럭 /CLK의 타이밍을 도 11의 (c)에 도시한다.Basically, the clock CLK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clock and the clock / CLK shifted 180 degrees out of phase from the clock CLK are alternately input to the six-stage shift registers 52-1 to 52-6. This is for shifting the information held in each of the shift registers 52-1 to 52-6, respectively. The timings of the clock CLK and the clock / CLK are shown in Fig. 11C.

단, 제4단째의 시프트 레지스터(52-4)에는, 클럭 CLK가 지연 기록 동작시용 제어 회로(45)를 거친 후 입력된다. 지연 기록 동작시에, 시프트 레지스터(52-4)의 시프트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서이다.However, the clock CLK is input to the fourth-stage shift register 52-4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trol circuit 45 for the delay write operation. This is to stop the shift operation of the shift register 52-4 during the delay write operation.

제어 회로(45)의 일 회로예는, AND 게이트 회로(71)와 NOR 게이트 회로(72)의 조합 논리 회로이다. 지연 기록 커맨드 활성 신호 DWCMD 및 제5단째의 시프트 레지스터(52-5)의 출력은 AND 게이트 회로(71)에 입력된다. 클럭 /CLK 및 AND 게이트 회로(71)의 출력은 NOR 게이트 회로(72)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 회로(72)의 출력은 클럭 CLK로서 기능하는 신호이며, 제4단째의 시프트 레지스터(52-4)에 입력된다. 또한, 최종단의 시프트 레지스터(52-6)의 출력은 출력 회로(46)에 입력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control circuit 45 is a combination logic circuit of the AND gate circuit 71 and the NOR gate circuit 72. The delay write command activation signal DWCMD and the output of the fifth-stage shift register 52-5 are input to the AND gate circuit 71. The output of clock / CLK and AND gate circuit 71 is input to NOR gate circuit 72. The output of the NOR gate circuit 72 is a signal functioning as the clock CLK, and is input to the shift register 52-4 in the fourth stage.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last shift register 52-6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46.

출력 회로(46)의 일 회로예는 클럭형 인버터(81)이다. 클럭형 인버터(81)의 출력은 출력 제어 회로(47)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output circuit 46 is a clocked inverter 81. The output of the clocked inverter 81 is controlled by the output of the output control circuit 47.

출력 제어 회로(47)의 일 회로예는 AND 게이트 회로(91, 92) 및 NOR 게이트 회로(93)의 조합 논리 회로이다. 신호 WCMD 및 신호 DWCMD의 레벨을 반전시킨 신호는 AND 게이트 회로(91)에 입력된다. 또한, 신호 DWCMD 및 신호 ACT는 AND 게이트 회로(92)에 입력된다. AND 게이트 회로(91, 92) 각각의 출력은 NOR 게이트 회로(93)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 회로(93)의 출력은 클럭형 인버터(81)에 입력된다. 클럭형 인버터(81)는 출력 제어 회로(47)의 출력이 "HIGH"일 때, 신호 ACT에 동기한 코어 회로 활성 신호 CACT를 출력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output control circuit 47 is a combination logic circuit of the AND gate circuits 91 and 92 and the NOR gate circuit 93. The signal inverting the levels of the signal WCMD and the signal DWCMD is input to the AND gate circuit 91. In addition, the signal DWCMD and the signal ACT are input to the AND gate circuit 92. The output of each of the AND gate circuits 91 and 92 is input to the NOR gate circuit 93. The output of the NOR gate circuit 93 is input to the clock type inverter 81. The clocked inverter 81 outputs the core circuit activation signal CAC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ignal ACT when the output of the output control circuit 47 is "HIGH".

판독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2)는 입력 회로(48) 및 출력 회로(49)를 포함하고 있다.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2 for the read operation includes an input circuit 48 and an output circuit 49.

입력 회로(48)의 일 회로예는 인버터(52)이다. 신호 ACT는, 인버터(52)에 입력된다. 인버터(52)의 출력은 출력 회로(49)에 입력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input circuit 48 is the inverter 52. The signal ACT is input to the inverter 52. The output of the inverter 52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49.

출력 회로(49)의 일 회로예는 클럭형 인버터(82)이다. 클럭형 인버터(81)의 출력은 판독 커맨드 활성 신호 RCMD에 의해 제어된다. 클럭형 인버터(82)는 신호 RCMD가 "HIGH"일 때, 신호 ACT에 동기한 코어 회로 활성 신호 CACT를 출력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output circuit 49 is a clocked inverter 82. The output of the clocked inverter 81 is controlled by the read command activation signal RCMD. The clocked inverter 82 outputs the core circuit activation signal CAC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ignal ACT when the signal RCMD is "HIGH".

다음에, 그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통상 기록 동작][Normal recording operation]

통상 기록 동작 시, 신호 WCMD = "HIGH", 신호 DWCMD = "LOW", 신호 RCMD = "LOW"가 된다.In the normal write operation, the signal WCMD = "HIGH", the signal DWCMD = "LOW", and the signal RCMD = "LOW".

이 결과, 기록 동작 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1)는 신호 ACT의 활성화로부터 3 클럭 사이클 지연되어, 신호 CACT를 활성화시킨다.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1 for write operation is delayed three clock cycles from the activation of the signal ACT, thereby activating the signal CACT.

[지연 기록 동작][Delay recording operation]

지연 기록 동작 시, 신호 WCMD = "HIGH", 신호 DWCMD = "HIGH", 신호 RCMD = "LOW"가 된다.During the delay write operation, the signal WCMD = "HIGH", the signal DWCMD = "HIGH", and the signal RCMD = "LOW".

이 결과, 시프트 레지스터 회로(44)는 신호 ACT의 활성화로부터, 2.5 클럭 경과한 단계에서, 그 시프트 동작을 정지한다. 그 결과, 최종단의 시프트 레지스터(52-6)의 출력은 "LOW"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다음 번의 기록 사이클시, 출력 제어 회로(47)는 신호 ACT의 활성화에 동기하여 신호 CACT를 활성화시킨다.As a result, the shift register circuit 44 stops the shift operation at the stage 2.5 clock passes from the activation of the signal ACT. As a result, the output of the shift register 52-6 at the last stage maintains the "LOW" state. In the next write cycle, the output control circuit 47 activates the signal CAC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ctivation of the signal ACT.

[판독 동작][Read Action]

판독 동작시, 신호 WCMD = "LOW", 신호 DWCMD = "LOW", 신호 RCMD = "HIGH"가 된다.In the read operation, the signal WCMD = "LOW", the signal DWCMD = "LOW", and the signal RCMD = "HIGH".

이 결과, 판독 동작시용 제어 신호 발생 회로(42)는 신호 ACT의 활성화에 동기하여 신호 CACT를 활성화시킨다.As a result,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circuit 42 for the read operation activates the signal CAC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activation of the signal ACT.

[정합성 판정기(14)]Consistency Checker 14

도 12는 정합성 판정기(14)의 일 회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2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회로예에 따른 정합성 판정기(14)는 레지스터 회로(101),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 출력 회로(103)를 포함하고 있다. 또, 레지스터 회로(101)는 도 9의 (b)에 도시한 레지스터 회로(33)에 거의 대응하며,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 및 출력 회로(103)는 도 9의 (b)에 도시한 제2 판정 회로(32)에 거의 대응한다.As shown in FIG. 12, the consistency determiner 14 according to one circuit example includes a register circuit 101, an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2, and an output circuit 103. In addition, the register circuit 101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register circuit 33 shown in FIG. 9B, and the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2 and the output circuit 103 are made of the agent shown in FIG. Corresponds almost to the two-decision circuit 32.

레지스터 회로(101)의 일 회로예는, NOR 게이트 회로를 사용한 플립플롭 회로이다. 레지스터 회로(101)는 지연 기록 커맨드가 규정되고나서 (DWCMD = "HIGH"),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규정될 때까지의 동안 (WCMD = "HIHG"), 그 출력을 "LOW" 레벨로 한다. 레지스터 회로(101)의 출력은, 버퍼(112)를 통해, 출력 회로(103)에 입력된다. 버퍼(112)의 일 회로예는 인버터이며, 레지스터 회로(101)의 출력이 "LOW" 레벨인 동안, 그 출력을 "HIGH" 레벨로 하고, 출력 회로(103)를 인에이블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register circuit 101 is a flip-flop circuit using a NOR gate circuit. The register circuit 101 sets the output to the "LOW" level after the delay write command is defined (DWCMD = "HIGH") and until the next write command is defined (WCMD = "HIHG"). The output of the register circuit 101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103 via the buffer 112. One circuit example of the buffer 112 is an inverter, while the output of the register circuit 101 is at the "LOW" level, the output is brought to the "HIGH" level, and the output circuit 103 is enabled.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의 일 회로예는, n+1개의 EX-NOR 게이트 회로(121-0∼121-n)와 NOR 게이트 회로(122)의 조합 논리 회로이다. EX-NOR 게이트 회로(121-0∼121-n)에는 각각 어드레스 버퍼(5)로부터의 어드레스 정보 ADD〈0:n〉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3)로부터의 어드레스 정보 RADD〈0:n〉가 입력된다. EX-NOR 게이트 회로(121-0∼121-n)의 출력은 각각 NOR 게이트 회로(122)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 회로(122)의 출력은 출력 회로(103)에 입력된다.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는 어드레스 정보 ADD〈0:n〉와 어드레스 정보 RADD〈0:n〉가 완전히 일치하였을 때, 그 출력을 "HIGH" 레벨로 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2 is a combination logic circuit of n + 1 EX-NOR gate circuits 121-0 to 121-n and the NOR gate circuit 122. The address information ADD <0: n> from the address buffer 5 and the address information RADD <0: n> from the address register 3 are respectively input to the EX-NOR gate circuits 121-0 to 121-n. . The outputs of the EX-NOR gate circuits 121-0 to 121-n are input to the NOR gate circuit 122, respectively. The output of the NOR gate circuit 122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103. The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2 sets the output to &quot; HIGH &quot; level when the address information ADD &lt; 0: n &gt; and the address information RADD &lt;

출력 회로(103)의 일 회로예는, NAND 게이트 회로(131), 인버터(132)를 사용한 AND 회로이다. 출력 회로(103)는 버퍼(112)의 출력 및 어드레스 비교 회로(102)의 출력이 모두 "HIGH" 레벨일 때,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 판독 신호 DRREAD를 활성화시킨다. 신호 DRREAD가 활성화됨으로써, 데이터는 메모리 셀이 아닌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 판독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output circuit 103 is an AND circuit using the NAND gate circuit 131 and the inverter 132. The output circuit 103 activates the input data register read signal DRREAD when both the output of the buffer 112 and the output of the address comparison circuit 102 are at the "HIGH" level. By the signal DRREAD being activated, data is read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rather than the memory cell.

이와 같이 정합 판정기(14)는 지연 기록 커맨드가 규정되고나서,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규정될 때까지의 동안에, 어드레스 정보 ADD〈0:n〉와 어드레스 정보 RADD〈0:n〉가 완전히 일치하였을 때,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 레지스터(4)로부터 판독하도록 제어한다.In this way, the matching determiner 14 has completely matched the address information ADD &lt; 0: n &gt; and the address information RADD &lt; 0: n &gt; until the delayed write command is defined and until the next write command is specified. At the time, control is performed to read data from the input data register 4.

[리프레시 제어기(15)][Refresh Controller 15]

도 13은 리프레시 제어기(15)의 일 회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ircuit of the refresh controller 15.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회로예에 따른 리프레시 제어기(15)는 레지스터 회로(141) 및 출력 회로(142)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refresh controller 15 according to the circuit example includes a register circuit 141 and an output circuit 142.

레지스터 회로(141)의 일 회로예는 정합성 판정기(14)의 레지스터 회로(101)와 마찬가지의 플립플롭 회로이다. 따라서, 레지스터 회로(14)는 지연 기록 커맨드가 규정되고나서 (DWCMD = "HIHG"),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규정될 때까지의 동안 (WCMD = "HIGH"), 그 출력을 "LOW" 레벨로 한다. 레지스터 회로(141)의 출력은 버퍼(152)를 통해 출력 회로(142)에 입력된다. 버퍼(152)의 일 회로예는 인버터이며, 레지스터 회로(141)의 출력이 "LOW" 레벨인 동안, 그 출력을 "HIGH" 레벨로 하고, 출력 회로(142)를 인에이블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register circuit 141 is a flip-flop circuit similar to the register circuit 101 of the match determiner 14. Therefore, the register circuit 14 has its output set to the "LOW" level after the delay write command is defined (DWCMD = "HIHG"), and until the next write command is defined (WCMD = "HIGH"). do. The output of the register circuit 141 is input to the output circuit 142 through the buffer 152. One circuit example of the buffer 152 is an inverter, while the output of the register circuit 141 is at the "LOW" level, the output is brought to the "HIGH" level, and the output circuit 142 is enabled.

출력 회로(142)의 일 회로예는, NAND 게이트 회로(161), 클럭형 인버터(162)를 사용한 AND 회로이다. 버퍼(152)의 출력, 및 리프레시 커맨드 활성화 신호 REFCMD는 NOR 게이트 회로(161)에 입력된다. NOR 게이트 회로(161)의 출력은 클럭형 인버터(162)에 입력된다. 클럭형 인버터(162)의 출력은 신호 REFCMD에 의해 제어된다. 출력 회로(142)는 신호 REFCMD, 버퍼(152)의 출력이 모두 "HIGH" 레벨일 때, 신호 CACT를 활성화시킨다. 신호 CACT가 활성화됨으로써, 코어 회로가 활성화되어, 메모리 셀로의 기록 동작을 행한다.One circuit example of the output circuit 142 is an AND circuit using the NAND gate circuit 161 and the clock inverter 162. The output of the buffer 152 and the refresh command activation signal REFCMD are input to the NOR gate circuit 161. The output of the NOR gate circuit 161 is input to the clock type inverter 162. The output of clocked inverter 162 is controlled by signal REFCMD. The output circuit 142 activates the signal CACT when both the signal REFCMD and the output of the buffer 152 are at the "HIGH" level. By activating the signal CACT, the core circuit is activated to perform a write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이와 같이 리프레시 제어기(15)는 지연 기록 커맨드가 규정되고나서,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가 규정될 때까지의 동안에 리프레시 커맨드 활성화 신호 REFCMD가 규정되었을 때, 리프레시 동작의 개시 직후에, 신호 CACT를 활성화시켜, 메모리 셀로의 기록 동작을 제어한다.In this manner, the refresh controller 15 activates the signal CACT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refresh operation when the refresh command activation signal REFCMD is specified after the delay write command is defined and until the next write command is specified. The write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is controlled.

이상, 본 발명을 4 개의 실시 형태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4 개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four embodimen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four embodiment, It can implement in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또한, 특히 DRAM을 중심으로 종래 기술, 및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W.L.과 R.L.을 동일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하고, 특히 칩 내부의 기록 동작의 개시 타이밍을 판독 동작에 비해 지연시키는 방법을 도입한 FRAM이나 PROM 등, 다른 메모리에서도 적응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ior art and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DRAM, the present invention sets WL and RL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and in particular, delays the start timing of the write operation inside the chip compared to the read operation. It is also applicable to other memories such as FRAM and PROM using the method.

본 발명에 의하면, 판독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것과 기록 커맨드에 따라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인 판독 동작시, 연속적인 기록 동작시, 및 연속적인 판독·기록 동작시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도 높은 데이터 전송 효율을 얻을 수 있는, 부가 가치가 높은 반도체 기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memory unit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from a memory cell in response to a read command and writing information into the memory cell in response to a write comm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high added value that can achieve high data transfer efficiency in either of the operation and the continuous read / write operation.

Claims (20)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매트릭스 형상으로 집적·배치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며, 외부 클럭에 동기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커맨드 중, 판독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동작, 및 기록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동작이 각각 가능한 메모리부; 및A read operation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cell in accordance with a read command among a plurality of command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the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integrated and arranged in a matrix; A memory unit capable of each of writing operations for writ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cells according to a command; And 상기 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을 개시시키는 컨트롤러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판독 데이터를 확정할 때까지의 제1 지연 시간과, 상기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제2 지연 시간이 동일한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판독 동작시와 상기 기록 동작시에서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상기 액세스 동작을 개시시킴 -A controller for initiating an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unit,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delay time from setting of the read command to confirming read data, and from preparing the write command to preparing valid write data. When the delay time is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the access operation is started at different timings in the read operation and the write opera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동작시의 상기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은 상기 판독 동작시의 상기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보다도, 적어도 1 클럭 사이클 이상 지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ss operation start timing at the write operation is delayed at least one clock cycle or more than the access operation start timing at the read oper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동작시의 상기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과 상기 판독 동작시의 상기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간의 차는 상기 메모리부의 사이클 타임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 사이클 타임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access operation start timing at the write operation and the access operation start timing at the read operation is equal to or longer than a cycle time of the memory s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동작 개시 타이밍은 워드선을 활성화시키는 수순으로부터 시작되는 일련의 시컨스가 개시되는 타이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cess operation start timing is a timing at which a sequence of sequences starting from a procedure of activating a word line is sta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셀은 1 캐패시터·1 트랜지스터형의 다이나믹형 메모리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is a one-capacitor-transistor-type dynamic memory cel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형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부는 페이지 사이클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6.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emory unit including the dynamic memory cell does not have a page cycle function. 반도체 기억 장치에 있어서,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매트릭스 형상으로 집적·배치된 복수의 메모리 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를 포함하며, 외부 클럭에 동기하여 설정되는 복수의 커맨드 중, 판독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동작, 및 기록 커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 셀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동작이 각각 가능한 메모리부; 및A read operation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cell in accordance with a read command among a plurality of command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an external clock, the memory cell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memory cells integrated and arranged in a matrix; A memory unit capable of each of writing operations for writing information in the memory cells according to a command; And 상기 메모리부로의 액세스 동작을 개시시키는 컨트롤러 -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판독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판독 데이터가 확정될 때까지의 제1 지연 시간과, 상기 기록 커맨드의 설정으로부터 유효한 기록 데이터를 준비할 때까지의 제2 지연 시간이 동일한 클럭 사이클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상기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기록 동작 커맨드 사이클 내에서 메모리 셀로의 정보 기록이 완료하는 제1 기록 동작 모드, 및 상기 기록 커맨드가 설정된 기록 동작 커맨드 사이클 내에서 메모리 셀로의 정보 기록이 완료하지 않은 제2 기록 동작 모드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설정함 -A controller for initiating an access operation to the memory section, the controll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delay time from the setting of the read command until the read data is confirmed, and from the setting of the write command to preparing valid write data; When the second delay time is set to the same clock cycle value, a first write operation mode in which information writing to a memory cell is completed within a write operation command cycle in which the write command is set, and in a write operation command cycle in which the write command is set; Sets one or both of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s in which information writing to the memory cell is not complet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기록 동작은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 사이클의 접수 직후부터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8.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write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set starts immediately after the reception of the next write command cy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기록 동작 모드는 외부 단자인 제어 핀에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rite operation modes are set by a signal input to a control pin which is an external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기록 동작 모드는 모드 레지스터 설정 사이클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8.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rite operation modes are set by a mode register setting cycl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맨드를 해독하고, 해독된 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를 제어하는 해독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며,10. The apparatus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decryption control means for decrypting the plurality of commands and controlling the memory unit according to the decrypted result, 상기 해독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인지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인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said decoding control means includes a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it is said first write mode or said second write mo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인지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1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eadout control means includes a detection circuit that detects whether the first write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pres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 제어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신호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며,12. The apparatus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controlled by said decryption control means, 상기 해독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제2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가 검출된 때, 상기 제1 제어 수단을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검출된 때, 상기 제2 제어 수단을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The decryption control means includes first control means for setting the first recording operation mode, second control means for setting the second recording operation mode, and the first control when the first recording operation mode is detected. And means for coupling the means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for coupling the second control means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when the second write mode of operation is detec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독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가 검출된 때, 상기 제1 제어 수단을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검출된 때, 상기 제2 제어 수단을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수단에 결합하는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15. The apparatus of claim 13, wherein the readout control means combines the first control means with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when the first write operation mode is detected, and when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detected. And a switching circuit for coupling the control means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제7항에 있어서, 기록 정보를 유지하는 제1 레지스터, 및 기록해야 할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정보를 유지하는 제2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며,8. The apparatus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first register for holding write information, and a second register for holding address information of an address to be written, 상기 제1, 제2 레지스터는 각각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때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registers are respectively activated when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se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에 계속해서, 상기 제2 기록 모드가 설정된 어드레스에 대하여 액세스를 요구하는 판독 커맨드가 설정된 때, 상기 메모리 셀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차단하고, 상기 기록 정보를 유지하는 제1 레지스터 회로로부터의 판독 경로를 도통시키는 전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17. The read information from the memory cell is interrupted when the read command requesting access to the address at which the second write mode is set is continued following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And switching means for conducting a read path from the first register circuit for holding the circui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커맨드가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에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과, 상기 판독 커맨드에 의한 액세스가 요구된 어드레스가 상기 제2 기록 모드가 설정된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정합성 판정기를 더 포함하며,1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read command continues to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and whether or not an address to which access is requested by the read command is an address for which the second write mode is set. Further comprising a consistency determiner comprising a function to determine,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정합성 판정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said switching means is controlled by said matching determin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성 판정기는 상기 판독 커맨드가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에 계속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회로, 및18. The apparatus of claim 17, wherein the consistency determiner determines a first circuit to determine whether the read command continues to the second write mode of operation; 상기 판독 커맨드에 의한 액세스가 요구된 어드레스가 상기 제2 기록 모드가 설정된 어드레스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And a second circu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address for which access by the read command is requested is an address for which the second write mode is se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제2 기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세트되고, 상기 제1 기록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리세트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19.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first circuit includes a register set when the second write operation mode is set and reset when the first write operation mode is s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 모드가 설정된 때, 상기 제2 기록 모드가 설정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메모리 셀로의 기록 동작은, 다음 번의 기록 커맨드의 접수 직후, 및 다음 번의 리프레시 커맨드의 접수 직후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기억 장치.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the second write mode is set, the write operation to the memory cell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at which the second write mode is set i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receipt of the next write command and immediately after receipt of the next refresh command. Disclosed in any one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9990035317A 1998-08-26 1999-08-25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033558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240161 1998-08-26
JP24016198 199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503A true KR20000017503A (en) 2000-03-25
KR100335587B1 KR100335587B1 (en) 2002-05-08

Family

ID=1705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3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5587B1 (en) 1998-08-26 1999-08-25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5587B1 (en)
TW (1) TW418524B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5587B1 (en) 2002-05-08
TW418524B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88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26575B1 (en) Semiconductor memory system and method of accesing to the system
US6636445B2 (en) Fast cycle ram having improved data write operation
US6359813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improved data transfer rate without providing a register for holding write data
US62017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read operation in DDR SDRAM
JP45793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evice timing
JPH0928888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272064B1 (en) Memory with combined synchronous burst and bus efficient functionality
JP4150718B2 (en) Destructive read type random access memory system
US644563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fast access
US663644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ow buffers
KR100322534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RAM &amp;SRAM and Data transferring Method
JPH08129877A (en) Semiconductor storage
JP482739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3007056A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US6545936B1 (en) Pipeline structure of memory for high-fast row-cycle
JP2956426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KR100335587B1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US62528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dual port memory cell
KR100368117B1 (en) method for maintaining data coherency in late-select typ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ata coherency maintaining circuit therefore
JP2002056695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61467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8106778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3050901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H0732618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4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42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